KR101600463B1 - Automatic Safety Setting and Clearing System of Safety Area by Using Sensor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Automatic Safety Setting and Clearing System of Safety Area by Using Sensor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463B1
KR101600463B1 KR1020140086686A KR20140086686A KR101600463B1 KR 101600463 B1 KR101600463 B1 KR 101600463B1 KR 1020140086686 A KR1020140086686 A KR 1020140086686A KR 20140086686 A KR20140086686 A KR 20140086686A KR 101600463 B1 KR101600463 B1 KR 101600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mobile terminal
door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6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07920A (en
Inventor
황성욱
구기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40086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463B1/en
Publication of KR20160007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9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4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 G07C2209/64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using a proximity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가 접근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으로 보안 구역의 출입문 부근에 설치되며 보안 구역 출입문에 설치된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 모듈과, 보안 구역의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열림과 닫힘을 센싱하여 센싱된 신호를 무선통신 모듈로 전송하는 센서와, 무선 통신 모듈과 통신이 이루어지고 출입문의 열림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무선통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하여 보안구역의 보안을 해제 모드로 전환하고 다시 출입문의 닫힘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무선통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하여 보안 구역의 보안을 보안 모드로 전환하여 표시부를 통하여 표출하는 모바일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security zone automatic security setting and unlocking system using the sensor unit includ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mobile terminal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approaches, is installed near the entrance of the security zon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 sensing signal from a sensor installed and transmitting the sensed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a sensor installed at a door of the security area for sens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transmitting the sensed sig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receives a signal from a sensor that detects the opening of the doo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switch the security of the security zone to the release mode and again transmits a signal from a sensor that senses the closing of the door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Receive to switch security of security zone to security mo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terminal is configured to express through call.

Description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Automatic Safety Setting and Clearing System of Safety Area by Using Sensor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Mobile Terminal}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urity zone automatic security setting and clearing system using a sensor unit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mobile terminal,

현재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사무실의 보안 설정 및 해제는 보안 카드를 이용하여 카드를 접근시키면 카드 정보를 읽고 등록된 카드인 경우 보안 해제가 이루어지며 다시 카드를 접근시키면 보안 설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안 설정 시스템은 카드를 소지하여야 하며 별도의 로킹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출입문 부근에 설치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보안 해제와 보안 설정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연구소 또는 보안이 필요한 장소의 보안 관리를 언제나 확실히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Currently, the security setting of the apartment or the office is turned off when the card is accessed by using the security card, the security is released when the card is registered, and when the card is accessed again, the security setting is automatically performed. The conventional security setting system as described above must have a card and a separate locking system must be establishe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urity release and the security setting are automatically set and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door and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security management of a laboratory or a place requiring security can be always ensured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75537호(2004. 08. 30. 공개)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상기 종래의 모바일을 이용한 보안감시 시스템 구성도이다. 상기도 1에서 종래의 모바일을 이용한 보안감시 시스템은 영상신호의 처리 및 센서신호의 처리에 필요한 캡쳐/오버레이/센서 보드가 구비되고 영상의 입출력과 센서 입출력 및 문자발송 등을 처리하는 보안감시 프로그램이 내장되며 감시장소의 영상촬영 카메라가 연결된 시스템(A)과, 상기 시스템(A)에서 처리된 영상신호를 출력 받아 모니터로 감시하는 한편 VCR로 녹화시키는 모니터부(B)와, 상기 시스템(A)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중 원하는 영상을 백업하여 보관하거나 프린터로 출력하고 스피커를 통하여 침입자에게 경고음성을 전달하는 보조장치부(C)와, 리모트에서 원격 접속하여 시스템(A)에서 출력된 영상이나 백업된 영상을 보거나 센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해 주는 인터넷망부(D)와, 상기 인터넷망부(D)에 PC를 연결하여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리모트 PC부(E)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모바일을 이용하여 시스템(A)에 접속하여 처리된 영상을 보거나 센서를 제어하는 핸드폰 및 PDA 등의 모바일부(F)와, 상기 시스템(A)에 각종 센서를 연결하여 이상 유무 신호를 전달하거나 명령에 따라 제어를 하는 센서부(G)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스템(A)은 캡쳐/오버레이/ 센서용 보드, 서버IP, 인터넷, 드라이버, 사운드 카드 등의 보드가 내장되고 소프트웨어가 탑재되며, 프린터/백업장치/스피커 등의 보조장치부(C)가 연결되는 한편 센서가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센서는 3개의 센서를 입력받고 2개의 센서출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모바일을 이용한 보안감시 시스템은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입력 받아 영상압축을 함과 동시에 영상출력을 하게 되며, 이때 영상을 보고자 하는 곳이 리모트인지 아닌지에 따라 프로그램이 달라지는 것으로, 리모트가 아니면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모니터를 보면서 영상을 확인하는 한편 VCR을 통해 영상을 녹화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쪽에서 할 수 있는 것은 카메라 제어, 화상채팅, 사용자 설정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이와는 달리 리모트인 경우 다음과 같이 2가지 분류로 나누어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다. 첫번째로 일반 PC를 사용하는 경우 리모트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며, 설치된 리모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영상을 확인하게 되고, 원격지인 곳에 센서나 팬틸트가 가능한 카메라가 연결되어 있다면 리모트에서 센서 및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원격지 모니터의 사람과 채팅을 하고 싶다면 V-Phone이라는 화상 채팅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화상 채팅도 가능하며, 네트웍은 초고속 인터넷망을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두번째, 모바일(핸드폰, PDA)인 경우 사용자가 설정해 놓게 되는 보안설정여부에 따라 동작이 달라지게 되는 것으로 외출이나 휴가시에 모바일을 통해 보안 설정을 해 놓으면 자동적으로 녹화 및 센서가 작동되게 되고, 감시지역에 침입자나 움 직임이 발생되면 모바일을 통해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SMS문자를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감시지역에 어떠한 일이 발생하였는지 문자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만일 모바일로 전송된 메시지를 보고 나서 감시지역의 영상을 보고자 한다면 확인을 누르고 ID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하면 유무선망을 통하여 유동IP나 고정IP로 접속을 하여 감시지역의 촬영된 영상을 모바일 화면으로 보여 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영상을 보면서 카메라의 팬틸트(상하, 좌우, ZOOM In/Out, Focus 조절) 및, 센서(전등, 경광등, 가스밸브, 도어 락 등)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4-0075537 (published on Aug. 30, 2004). 1 is a block diagram of a security surveillance system using the conventional mobile. 1, a conventional security monitoring system using a mobile includes a capture / overlay / sensor board necessary for processing of a video signal and a sensor signal, and a security monitoring program for processing input / output of a video, input / output of a sensor, (B) for monitoring a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system (A) and monitoring the video signal and recording the processed video signal on a VCR; and a control unit (C) for backing up a desired image among the image signals processed in the remote system, or outputting the image to a printer and delivering a warning sound to the intruder through a speaker, and a remote controller (D) for connecting to the Internet network (D) so as to be able to view or control the sensor, and a personal computer A mobile unit F such as a mobile phone and a PDA for viewing a processed image or controlling the sensor by connecting to the system A using a mobile regardless of a place and a system And a sensor unit G for connecting various sensors to transmit abnormality signals or performing control according to an instruction. In addition, the system A includes a board for Capture / Overlay / Sensor, a server IP, an Internet, a driver, a sound card and the like, and is equipped with software, and a backup device C such as a printer / backup device / While the sensor is attached, and the sensor receives three sensors and has two sensor outputs. In the conventional securit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mobile terminal, the image is input from the camera and the image is compressed and the image is outputted. At this time, the program is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the place to view the image is remote or not. Or, you can view the video while watching the monitor installed in the system, and record the video through the VCR. The monitoring side offers various functions such as camera control, video chat, user setting, It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nd operates as follows. If you are using a general PC, you need to install a remote program, run the installed remote program to check the image, and if you have a sensor or pan tilt camera connected to the remote location, you can control the sensor and camera from the remote In addition, if you want to chat with a remote monitor person, you can use a video chat program called V-Phone for video chatting, and the network makes it easy to transmit video information using the high-speed internet network. Second, in the case of mobile (mobile phone, PDA), the operation is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the security setting is set by the user. If security setting is made through mobile during the outing or vacation, the recording and sensor are automatically operated, When an intruder or movement occurs in the area, SMS is transmitted to the user to detect any abnormality through the mobile,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what happened in the surveillance area. If you want to view the image of the surveillance area after viewing the message transmitted to the mobile, press OK and log in using ID and password. Then, connect to the live IP or fixed IP through wired / wireless network, . Therefore, the user can control the pan tilt (up and down, left and right, ZOOM In / Out, Focus control) of the camera and sensors (lamp, warning lamp, gas valve, door lock, etc.) while viewing the images provided in real time.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바일을 이용한 보안감시 시스템은 여행지 등에서 모바일을 통하여 보안 구역의 상황을 원격에서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나 보안 구역의 출입문에 대한 보안을 확실히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보안 구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얻을 수 있으나 시스템이 복잡하여 구축비용이 과다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안 구역의 출입문에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과 출입문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무선 통신 모듈과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을 통하여 자동으로 보안 설정과 해제를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부분의 사람이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를 보안 구역을 관리하기 위하여 이용함으로써 구축 비용을 절감하고 보안 설정과 해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Such a conventional securit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mobile ha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secure the security of the door of the security area and to be able to confirm the status of the security zone remotely through the mobile in a travel destination or the like.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can obtain image information about a security zone, but the system is complicated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excessively high.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mobile terminal and a sensing sensor capable of sensing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This is to set and release security automatically through communica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facilitate security setting and release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of most people to manage the security area.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가 접근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으로 보안 구역의 출입문 부근에 설치되며 보안 구역 출입문에 설치된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 모듈과, 보안 구역의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열림과 닫힘을 센싱하여 센싱된 신호를 무선통신 모듈로 전송하는 센서와, 무선 통신 모듈과 통신이 이루어지고 출입문의 열림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의 열림 신호를 무선통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하여 보안구역의 보안을 해제 모드로 전환하고 다시 출입문의 닫힘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의 닫힘 신호를 무선통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하여 보안 구역의 보안을 보안 모드로 전환하여 표시부를 통하여 표출하는 모바일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security zone automatic security setting and unlocking system using the sensor unit hav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approach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security zone to receive a sensing signal from a sensor installed in a door of a security zone and transmit the sensed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and a sensor installed in a door of the security zone to sens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transmit the sensed sig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senso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receives an opening signal from a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doo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witches the security of the security zone to the release mode, A closing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security mode of the mobile terminal is switched to the security mode and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은 보안 구역의 보안 모드 설정 및 해제 모드 설정이 통신을 통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부분의 사람이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보안 구역에 대하여 보안 및 보안 해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기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The security zone automatic security setting and disconnection system using the sensor unit hav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bi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n effect that the security mode setting and the cancellation mode setting of the security zone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through communication will b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switch to a security and security release mode for a secure area by using a mobile terminal possessed by most people,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a construction cost by using an existing mobile terminal will be.

도 1은 종래의 모바일을 이용한 보안감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에 적용되는 센서부 제1실시 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에 적용되는 센서부 제2실시 예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에 적용되는 모바일 단말기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해제 및 설정방법에 대한 제1실시 예 제어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해제 및 설정방법에 대한 제2실시 예 제어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security monitoring system using a mobile,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entire security zone automatic security setting and disarming system using a sensor unit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bile terminal.
3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 sensor unit applied to a security zone automatic security setting and cancellation system using a sensor unit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bile terminal,
4 is a block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a sensor unit applied to a security zone automatic security setting and cancellation system using a sensor unit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bile terminal.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pplied to a security zone automatic security setting and cancellation system using a sensor unit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bile terminal;
FIG. 6 is a control flowchart of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a method for releasing and setting a security zone automatic security using a sensor unit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bile terminal,
FIG. 7 is a control flowchart of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for releasing and setting a security zone automatic security using a sensor unit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bile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을 도 2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security zone automatic security setting and release system using the sensor unit hav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to FIG.

도 2는 본 발명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 전체 구성도이다. 상기도 2에서 본 발명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가 접근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으로 보안 구역의 출입문(300) 부근에 설치되며 출입문 개폐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센서부(100)와,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출입문 열림 신호를 수신하여 보안 해제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출입문 닫힘 신호를 수신하여 보안을 보안 모드로 전환하여 표출하는 모바일 단말기(2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무선 통신 모듈(10)은 WiFi, Bluetooth, Zigbee 통신이 지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출입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는 자석 감지기 등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entire security zone automatic security setting and cancellation system using a sensor unit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bile terminal. 2, when the mobile terminal accesses the wireless terminal, the sensor unit includ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utomatic security setting and unlocking system using the mobile terminal communicate wirelessly with the mobile terminal, A sensor unit 100 for receiving a door open / close detec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door open / close detection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unit for switching the door ope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100 to the security release mode, And a mobile terminal 200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security by switching the security mode to a security mode. In the abov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0 can support WiFi, Bluetooth, Zigbee communication. In addition, a magnet sensor or the like can be applied to the sensor for sens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도 3은 본 발명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에 적용되는 센서부 제1실시 예 구성도 이다. 상기도 3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센서부 제1실시 예(100)는 모바일 단말기가 접근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으로 보안 구역의 출입문 부근에 설치되며 보안 구역 출입문에 설치된 센서로부터의 출입문 개폐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 모듈(10)과 보안 구역의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열림과 닫힘을 센싱하여 센싱된 신호를 무선통신 모듈로 전송하는 센서(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 sensor unit applied to a security zone automatic security setting and cancellation system using a sensor unit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bile terminal. 3, the first embodiment 100 of the sens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relessly with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approaches, and is installed near the entrance of the security zon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0 for receiving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and a sensor 20 installed at a door of the security area to sense the opening / closing of the door and transmit the sensed sig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t is characterized by

도 4는 본 발명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에 적용되는 센서부 제2실시 예 구성도이다. 상기도 4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센서부 제2실시 예(100-1)는 모바일 단말기가 접근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 모듈(10-1)과, 보안 구역의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수신 모듈로 전송하는 센서(20-1)와, 상기 센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30-1)과, 무선 송수신 모듈과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보안 구역의 보안 해제 모드와 보안 모드를 판단하는 모드 설정부(40-1)와,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과 수신 모듈의 신호를 수신하여 모드 설정부로 하여금 보안 모드 또는 해제 모드를 판단하도록 하고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무선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센서부(100-1)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보안 모드 또는 해제 모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60-1)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은 WiFi, Bluetooth, Zigbee 통신이 지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4 is a block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a sensor unit applied to a security zone automatic security setting and cancellation system using a sensor unit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bile terminal. 4, the sensor unit 100-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0-1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mobile terminal when a mobile terminal approaches the wireless terminal, A sensor 20-1 for sens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transmitting a sensing signal to the receiving module, a receiving module 30-1 for receiving the sensor signal, a receiving module A mode setting unit 40-1 for determining a security release mode and a security mode of the security zone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signal, and a control unit 40-1 for receiving signals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nd the reception module, And a control unit 50-1 for receiving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to transmit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In addition, the sensor unit 100-1 may further comprise a display unit 60-1 for displaying a security mode or a release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may include WiFi, Bluetooth, Zigbee communication And can be supported.

도 5는 본 발명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에 적용되는 모바일 단말기 구성도이다. 상기도 5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바일 단말기(200)는 보안 구역에 설치되는 무선 통신 모듈(또는 무선 송수신 모듈)과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모바일 송수신 모듈(110)과, 상기 모바일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출입문 개폐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보안 해제 모드 또는 보안 모드를 판단하여 모바일 제어부로 전송하는 모바일 모드 설정부(120)와, 모바일 모드 설정부에서 판단된 보안 모드 또는 보안 해제 모드를 표시하는 모바일 표시부(160)와, 모바일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보안 해제 모드 또는 보안 모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를 통하여 표출하도록 제어하거나, 모바일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출입문 개폐 정보를 기초로 모드 설정부로 하여금 보안 해제 모드 및 보안 모드를 판단하도록 하고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부로 하여금 표출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제어부(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센서부가 모드 설정부를 구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기의 모드 설정부의 구성은 필요치 않는 것이다.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pplied to a security zone automatic security setting and cancellation system using a sensor unit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bile terminal. 5, the mobil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10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installed in a security area, A mobile mode setting unit 120 for determining a security release mode or a security mode when information is received and transmitting the security release mode or security mode to the mobile control unit, a mobile display unit 160 for displaying a security mode or a security release mode determined by the mobile mode setting unit, Receiving the security release mode or the security mod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mobil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nd controlling the display mode to display the security release mode or security mode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or allowing the mode setting unit to set the security release mode and security mode based on the door opening / And the judgment result is receiv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 mobile controller 150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In the case where the sensor attachment mode setting unit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mode setting unit of the mobile terminal is not required.

도 6은 본 발명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해제 및 설정방법에 대한 제1실시 예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6에서 본 발명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해제 및 설정방법의 제1실시 예는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가 보안 구역의 출입문에 설치된 센서부에 접근하여 센서부의 무선통신 모듈과 통신이 이루어지는 단계(S11)와, 사용자의 출입을 위하여 출입문을 개방하는 경우 센서부의 감지 센서가 사용자의 출입문 열림을 센싱하여 센싱된 정보를 무선 통신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S12)와, 무선 통신 모듈이 출입문 열림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13)와,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출입문 열림 정보를 기초로 보안 해제 모드로 전환하고 표시부를 통하여 표출하는 단계(S14)와, 사용자가 출입 후에 출입문을 닫는 경우 센서부의 감지 센서가 사용자의 출입문 닫힘을 센싱하여 무선통신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S15)와, 무선 통신 모듈이 출입문 닫힘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16)와,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출입문 닫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보안 모드로 전환하고 표시부를 통하여 표출하는 단계(S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FIG. 6 is a control flowchart of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a method for releasing and setting a security zone automatic security using a sensor unit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bile terminal. 6,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utomatic security clearance and setting method using the sensor unit includ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bile terminal can be implemented by a method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held by the user accesses the sensor unit installed at the door of the security zone A step S11 of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ensor unit, and a step of sensing the opening of the door of the user sensing the door opening of the sensor unit when the door is opened to / from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step S14 of switch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the security release mode based on the door opening information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the door opening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When the user closes the door after the entrance and exit, the detection sensor of the sensor unit senses the door closing of the user, A step S15 of transmitting the door closing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step S16 of switching the door mode to the security mode based on the door closing information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S17).

도 7은 본 발명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해제 및 설정방법에 대한 제2실시 예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7에서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해제 및 설정방법에 대한 제2실시 예는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가 보안 구역의 출입문에 설치된 센서부에 접근하여 센서부의 무선통신 모듈과 통신이 이루어지는 단계(S21)와, 사용자의 출입을 위하여 출입문을 개방하는 경우 센서부의 감지 센서가 사용자의 출입문 열림을 센싱하여 센싱된 정보를 무선 통신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S22)와, 무선 통신 모듈이 출입문 열림 정보를 기초로 보안 구역의 보안을 해제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23)와, 무선 통신 모듈이 보안 해제 모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가 전송하는 단계(S24)와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보안 해제 모드를 표시부를 통하여 표출하는 단계(S25)와, 사용자가 출입문 출입 후에 출입문을 닫는 경우 센서부의 감지 센서가 사용자의 출입문 닫힘을 센싱하여 무선통신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S26)와, 무선 통신 모듈이 출입문 닫힘 정보를 기초로 보안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27)와 무선 통신 모듈이 보안 모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28)와,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보안 모드 정보를 표시부를 통하여 표출하는 단계(S2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FIG. 7 is a control flowchart of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for releasing and setting a security zone automatic security using a sensor unit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bile terminal.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automatic security clearance and setting method using the sensor unit hav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mobile terminal in FIG. 7 approaches the sensor unit installed at the door of the security zone, A step S21 of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ensor unit, a step S22 of sensing the opening of the door of the user by sensing the opening of the door of the user's door when the door is opened for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step S23 of switching the security of the security zone to the release mode based on the door open information, a step S24 of transmitting the security release mode information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S25), when the user closes the door after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door, (S26) of sensing the door closing sensor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door closing sig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26), switch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the security mode based on the door closing information (S27) To the mobile terminal (S28), and displaying the security mod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unit (S29).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은 보안 구역의 보안 모드 및 보안 해제 모드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하고 또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하여 관제 센터에도 전송할 수 있으므로 인하여 관제 센터에서 보안 구역의 보안을 관심 있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The security zone automatic security setting and disconnection system using the sensor unit hav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bi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utomatically sets the security mode and the security release mode information of the security zone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center through the terminal, so that the security center can observe the security of the security zone with interest.

10 : 무선통신 모듈, 10-1 : 무선 송수신 모듈,
20, 20-1 : 센서, 30-1 : 수신 모듈,
40-1 : 모드 설정부, 50-1 : 제어부,
100 : 센서부, 110 : 모바일 송수신 모듈,
120 : 모바일 모드 설정부, 150 : 모바일 제어부,
160 : 모바일 표시부, 200 : 모바일 단말기,
300 : 출입문
1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0-1: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0, 20-1: sensor, 30-1: receiving module,
40-1: mode setting section, 50-1: control section,
100: sensor unit, 110: mobil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20: mobile mode setting unit, 150: mobile control unit,
160: mobile display unit, 200: mobile terminal,
300: Entrance

Claims (13)

보안구역의 출입문 출입시 보안 모드 설정을 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가 접근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으로 보안 구역의 출입문(300) 부근에 설치되며 출입문 개폐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센서부(100);
및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출입문 열림 신호를 수신하여 보안 해제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출입문 닫힘 신호를 수신하여 보안을 보안 모드로 전환하여 표출하는 것으로 보안 구역에 설치되는 센서부의 무선 통신 모듈과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모바일 송수신 모듈(110)과 상기 모바일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출입문 개폐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보안 해제 모드 또는 보안 모드를 판단하여 모바일 제어부로 전송하는 모바일 모드 설정부(120)와 모바일 모드 설정부에서 판단된 보안 모드 또는 보안 해제 모드를 표시하는 모바일 표시부(160) 및 모바일 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출입문 개폐 정보를 기초로 모드 설정부로 하여금 보안 해제 모드 및 보안 모드를 판단하도록 하고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부로 하여금 표출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제어부(150)로 이루어진 모바일 단말기(2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
A security zone automatic security setting and disarming system using a sensor unit and a mobile terminal for setting a security mode at entrance and exit of a security zone,
The security zone automatic security setting and disconnection system using the sensor unit and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A sensor unit 100 installed near the door 300 of the security zone to communicate with the mobile terminal wirelessly when the mobile terminal approaches, receives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signal and transmits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And a door opening signal from the sensor unit 100 to switch to a security release mode and receive a door closing signal from the sensor unit 100 to switch the security mode to a security mode for display. A mobile mode setting unit 120 for determining a security release mode or a security mode when the door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mobil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mobile control unit, And determines the security mode and the security mode based on the door open / clos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mobile display unit 160 and the mobil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which are displayed in the security mode or the security release mode determined by the mobile mode setting unit,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result A security zone automatic security system on and off with a sensor and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in the control unit 150 Mobile terminal 200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모바일 단말기가 접근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으로 센서로부터의 출입문 개폐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 모듈(10);
및 출입문의 열림과 닫힘을 센싱하여 센싱된 신호를 무선통신 모듈로 전송하는 센서(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0)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approaches, receiving a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and transmitting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And a sensor (20) for sens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transmitting the sensed sig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은,
WiFi, Bluetooth, Zigbee 통신이 지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ecurity zone automatic security setting and disconnection system using the sensor unit and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WiFi, Bluetooth, and Zigbee communication can be supported by the security zone and the mobile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센서부와 접근하는 모바일 단말기와의 통신을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해제 및 설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와 접근하는 모바일 단말기와의 통신을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해제 및 설정 방법은,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가 보안 구역의 출입문에 설치된 센서부에 접근하여 센서부의 무선통신 모듈과 통신이 이루어지는 단계(S11)와;
사용자의 출입을 위하여 출입문을 개방하는 경우 센서부의 감지 센서가 사용자의 출입문 열림을 센싱하여 센싱된 정보를 무선 통신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S12)와;
무선 통신 모듈이 출입문 열림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13)와;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출입문 열림 정보를 기초로 보안 해제 모드로 전환하고 표시부를 통하여 표출하는 단계(S14)와;
사용자가 출입 후에 출입문을 닫는 경우 센서부의 감지 센서가 사용자의 출입문 닫힘을 센싱하여 무선통신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S15)와;
무선 통신 모듈이 출입문 닫힘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16);
및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출입문 닫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보안 모드로 전환하고 표시부를 통하여 표출하는 단계(S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부와 접근하는 모바일 단말기와의 통신을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해제 및 설정 방법.
A method for automatically releasing and setting a security zone using communication with a mobile terminal accessing a sensor unit,
The security zone automatic security deactivation and setting method using communication with a mobile terminal approaching the sensor unit comprises:
A step S11 of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user accessing the sensor unit installed at the door of the security zone and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ensor unit;
A step S12 of sensing the opening of the door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door is opened for the entrance / exit of the user;
A step S13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ting the door opening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 step (S14) of switching to the security release mode based on the door ope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through the display unit;
A step S15 of sensing the closing of the door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sensed sensor of the sensor par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user closes the door after the entrance and exi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ting door closing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S16);
And a step (S17) of switching to a security mode based on door closing information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the security mode through a display unit (S17). How to unlock and set securit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WiFi, Bluetooth, Zigbee 통신이 지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부와 접근하는 모바일 단말기와의 통신을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해제 및 설정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method of automatically releasing and setting a security zone using communication between a sensor unit and an accessing mobile terminal, wherein the sensor unit is capable of supporting WiFi, Bluetooth, and Zigbee communic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86686A 2014-07-10 2014-07-10 Automatic Safety Setting and Clearing System of Safety Area by Using Sensor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Mobile Terminal KR1016004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686A KR101600463B1 (en) 2014-07-10 2014-07-10 Automatic Safety Setting and Clearing System of Safety Area by Using Sensor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686A KR101600463B1 (en) 2014-07-10 2014-07-10 Automatic Safety Setting and Clearing System of Safety Area by Using Sensor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Mobile Terminal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338A Division KR101636933B1 (en) 2015-10-14 2015-10-14 Automatic Safety Setting and Clearing System of Safety Area by Using Sensor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920A KR20160007920A (en) 2016-01-21
KR101600463B1 true KR101600463B1 (en) 2016-03-08

Family

ID=55308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686A KR101600463B1 (en) 2014-07-10 2014-07-10 Automatic Safety Setting and Clearing System of Safety Area by Using Sensor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46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44624C2 (en) * 2019-11-04 2022-09-27 Assa Abloy Ab Setting a people sensor in a power save mode based on a closed signal indicating that a door of a doorway is close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5574A (en) * 2001-06-29 2003-01-17 Honda Denshi Giken:Kk Voice guide system
KR100419957B1 (en) 2003-06-30 2004-02-25 주식회사 가드텍 Information Security System Inter-working with Entran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800050B1 (en) * 2006-10-23 2008-01-31 대한위즈홈 주식회사 The protection system which uses door-lock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0583A (en) * 2012-01-05 2013-07-15 (주)서원인텍 Security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5574A (en) * 2001-06-29 2003-01-17 Honda Denshi Giken:Kk Voice guide system
KR100419957B1 (en) 2003-06-30 2004-02-25 주식회사 가드텍 Information Security System Inter-working with Entran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800050B1 (en) * 2006-10-23 2008-01-31 대한위즈홈 주식회사 The protection system which uses door-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920A (en)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7335B2 (en) Dynamic linking of security systems
KR101387469B1 (en)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remote control and security systems safe
US20130215276A1 (en) Enhanced-security door loc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381924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ecurity using camera monitoring apparatus
KR20110086254A (en) Transmit information in real time using a webcam, intrusion detection systems
KR100857073B1 (en) Realtime remote monitoring system
JP2006327746A (en) Remote image monitoring system for elevator
KR20150041939A (en) A door monitoring system using real-time event detection and a method thereof
KR101020670B1 (en) Security system with remotetest function
KR101636933B1 (en) Automatic Safety Setting and Clearing System of Safety Area by Using Sensor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Mobile Terminal
KR101600463B1 (en) Automatic Safety Setting and Clearing System of Safety Area by Using Sensor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Mobile Terminal
JP2009223708A (en) Guard device
JP2007201876A (en) Camera system and network camera
JP5198101B2 (en) Security equipment
JP2017173998A (en) Security system
KR101065144B1 (en) Private security system using of auto controling of imag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the same
KR100951801B1 (en) Camera for cctv having function of recording status display
KR20150136226A (en) Visitor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60099505A (en) Control Device utilizing DVR
KR101704466B1 (en) Crime prevention controlling system using blackbox
US8179439B2 (en) Security system
JP4506507B2 (en) Button telephone equipment
KR20190143514A (en) Security robot and security method for manage house with face recognition door lock
KR200296224Y1 (en) The guard camera system attaching a sensor
JP4540462B2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with monitoring function, 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device, and electric devi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