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485B1 -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set top box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set top box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485B1
KR101599485B1 KR1020140147344A KR20140147344A KR101599485B1 KR 101599485 B1 KR101599485 B1 KR 101599485B1 KR 1020140147344 A KR1020140147344 A KR 1020140147344A KR 20140147344 A KR20140147344 A KR 20140147344A KR 101599485 B1 KR101599485 B1 KR 101599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information
top box
terminal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3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우
Original Assignee
김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우 filed Critical 김창우
Priority to KR1020140147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48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4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ergency broadcast method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enabling an emergency broadcast server to receive an emergency signal; enabling the emergency broadcast server to transfer the emergency signal to a set-top box arranged at home; enabling the set-top box to broadcast emergency broadcast content generated based on the emergency signal; enabling the set-top box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a wireless terminal connected to an access point associated with the set-top box; and enabling the set-top box to transfer the collected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to the emergency broadcast server. Therefore, the method enables effective action by providing an emergency broadcast without respect to whether a user watches TV or the TV is operated in case of an emergency situation.

Description

셋탑박스를 기반으로 하는 비상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set top box and method thereof}[0001]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set-top box and method [0002]

본 발명은 셋탑박스를 기반으로 하는 비상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셋탑박스가 통신망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고 비상 상황에 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확인 및 공유할 수 있는 셋탑박스를 기반으로 하는 비상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broadcast system based on a set-top box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t-top box which is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of a terminal existing in a communication network and effectively confirming and sharing information on an emergency situ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일정한 규모 이상의 건물이나 공공장소에는 비상 상황 발생 시 비상신호나 오디오 안내 방송을 통해 비상 상황 발생을 대중에서 알리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비상 상황 발생에 대한 고지의 목적으로 비상벨이나 싸이렌과 같은 오디오 정보가 효과적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단순한 비상 상황의 알림은 정확한 정보의 부재로 인하여 오히려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한편, 비상 상황을 오디오 안내 방송으로 알리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 비상 상황에 맞추어 미리 마련된 안내 방송을 제공하는 것이거나 관리자가 육성으로 방송하는 정도이므로 정확한 내용 파악이 어렵고 비상 상황 고지에 의한 혼란으로 주변 소음이 커지는 경우나 오디오 출력의 울림 혹은 오디오 상태에 따라 내용이 명확하게 들리지 않는 경우도 있어 정확한 상황 파악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비상 상황 고지 이후 대피 과정에서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도 빈번한 상황이다.In a building or public space above a certain size, it is stipulated to inform the public of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through an emergency signal or audio announcement when an emergency occurs. Although audio information such as emergency bell or siren is effective for notification of the occurrence of such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of such a simple emergency situation may cause confusion due to lack of accurate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ases where an emergency announcement is made via an audio announcement. However,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grasp the contents because it is provided to provide an announcement prepared in advance accor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It may be difficult to grasp the exact situation because the contents may not be clearly heard depending on the audio output or the audio output. Therefore, there are frequent cases where additional damage occurs during the evacuation process after th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그리고 비상 상황관련 정보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에 불과하고 비상 상황관련 정보를 상호 교류함에 있어서 제한적이기 때문에, 구조가 필요한 대상 및 상황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비상 상황에 대한 대처는 개선될 여지가 있다.
Since emergency information is limited only to one-sided communication of emergency information and mutual exchange of emergency information, there is a lack of information on the objects and circumstances that need to be structured, and thus, coping with emergency situations may be improv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비상 상황 시 TV의 시청 여부 및 동작 여부에 관계없이 비상방송이 제공되어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in which an emergency broadcasting is provided regardless of whether a TV is viewed or not in an emergency,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비상 상황 시 댁내의 단말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대략적인 인원 파악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enabling an approximate number of persons to be grasped by checking terminal information of a house in an emergency situ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비상 상황 시 댁내의 단말 정보를 외부 관련 센터 및 단말로 전달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enabling safe and efficient countermeasures by transmitting terminal information of a home in an emergency situation to an external related center and a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등록된 단말이 비상 상황 정보를 비상 방송 서버에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상황 파악이 가능하고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emergency broadcast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gister the emergency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emergency broadcast server so that the accurate situation can be grasped and prompt action can be taken.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방송 방법은 비상 방송 서버가 비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상 방송 서버가 댁내에 배치된 셋탑박스에 상기 비상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셋탑박스가 상기 비상 신호에 근거하여 생성된 비상 방송 컨텐츠를 방송하는 단계; 상기 셋탑박스가 상기 셋탑박스와 연동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 중인 무선 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셋탑박스가 상기 수집된 단말 정보를 상기 비상 방송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mergency broadcasting method including: receiving an emergency signal from an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Transmitting the emergency signal to the set-top box disposed in the home by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Broadcasting the emergency broadcast contents generated by the set-top box based on the emergency signal; Collecting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that the set-top box is accessing to an access point associated with the set-top box; And delivering the collected terminal information to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by the set-top box.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방송 시스템은 비상 신호를 수신하고, 비상 방송 컨텐츠를 생성 및 공급하는 비상 방송 서버; 일정 구역 내의 TV, 단말 및 상기 비상 방송 서버가 상호 통신가능하게 하는 통신망; 및 상기 비상 방송 컨텐츠를 상기 TV 또는 단말로 전달하며, 상기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셋탑박스;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includes an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for receiving an emergency signal and generating and supplying emergency broadcasting contents; A communication network enabling a TV, a terminal, and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in a certain area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set top box for delivering the emergency broadcasting contents to the TV or the terminal and receiving th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비상 상황 시 TV의 시청 여부 및 동작 여부에 관계없이 비상방송이 제공되어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n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that emergency broadcasting is provided irrespective of whether the TV is viewed or not in an emergency situation so that an effective response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비상 상황 시 댁내의 단말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대략적인 인원 파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n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that an approximate number of persons can be grasped by confirming terminal information of a house in an emergency situ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비상 상황 시 댁내의 단말 정보를 외부 관련 센터 및 단말로 전달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n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ly and efficiently cop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by transmitting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house to the external related center and the terminal in the emergency situ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등록된 단말이 비상 상황 정보를 비상 방송 서버에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상황 파악이 가능하고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e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put the emergency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so that the accurate situation can be grasped and quick response can be achieved.

도 1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발명의 실시에 따른 비상 방송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방송 컨텐츠 제공부의 비상 방송 컨텐츠 생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발명의 실시예의 적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방송 컨텐츠의 적용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방송 시스템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방송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ergency broadcast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emergency broadcast content generation in an emergency broadcast content prov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t-top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application method of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emergency broadcasting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n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or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urthermore, the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nd the like should not be construed as encompassing various elements or various steps of the invention,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Furthermore,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describe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방송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비상 방송 서버(100), 카메라(150), 통신망(200), TV(300), 셋탑박스(400), 액세스 포인트(500), 단말(600) 및 헤드엔드(700)를 포함한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n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includes a camera 150, a communication network 200, a TV 300, a set- A point 500, a terminal 600, and a head end 700.

비상 방송 서버(100)는 화재, 홍수, 폭동 등의 비상 상황과 관련된 제반 정보를 수집, 전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비상 방송 서버(100)는 카메라(150)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600)을 통해서도 비상 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비상 방송 서버(10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collects, transmits, and manag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an emergency such as fire, flood, and riot.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can receive image information from the camera 150 and can also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through the terminal 600. [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카메라(150)는 영상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비상 방송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팬/틸트/줌인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50)는 건물이나 구역 내에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동일한 건물이나 구역으로 구분된 영역 내의 복수의 카메라는 동일한 비상 방송 서버(100)와 연동될 수 있다. 카메라(150)에 의해 수집된 영상 정보는 TV(300) 또는 단말(600)로 전송될 수 있다.The camera 150 may collect image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and may have a pan / tilt / zoom in function. A plurality of cameras 150 may be installed in a building or a zone, and a plurality of cameras in an area divided into the same building or zone may be interlocked with the sam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amera 150 may be transmitted to the TV 300 or the terminal 600.

통신망(200)은 인터넷망으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망을 의미할 수 있다. IPTV는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양방향 TV 서비스로서, 셋탑박스(400)를 매개로 하여 인터넷 망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와 연결한 것을 말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의 정보 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및 방송 등은 셋탑 박스를 매개로 하여 TV로 제공된다. IPTV는 인터넷과 TV의 융합이라는 점에서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의 한 유형이며, 시청자가 자신이 편리한 시간에 보고 싶은 프로그램만 볼 수 있다(Video On Demand, VOD)는 점에서 일반 케이블 방송과 상이하다.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may be an Internet network, and may mean a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network. IPTV is an interactive TV service provided using a high-speed Internet network, and is connected to a content providing server through an Internet network via a set-top box 400. The information service of the contents providing server, the moving picture contents and the broadcasting are provided on the TV through the settop box. IPTV is a type of digital convergence in that it is a convergence of the Internet and TV. It is a type of digital convergence that allows viewers to view only the programs they want to watch at a convenient time (Video On Demand, VOD) Do.

셋탑박스(400)는 TV(300)에 연결되고, 외부에서 들어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TV(300)에서 재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고 그 내용을 표시해 주는 장치로, 특히, 디지털 셋탑박스는 디지털 망을 통해 서버로부터 전송된 압축신호를 원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로 복원해 주는 장치이다. 외부 신호는 예를 들어, 이더넷 케이블, 위성파 또는 지상파 수신 안테나, 전화선 등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The set-top box 400 is connected to the TV 300, receives signals from outside, converts the received signals into a form reproducible on the TV 300, and displays the contents. Particularly, the digital set- And restores the compress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the original video and audio signal. The external signal may be received via, for example, an Ethernet cable, a satellite wave or terrestrial receive antenna, a telephone line, or the like.

셋탑박스(400)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500)를 통해 단말(600)을 등록하고, 등록된 단말(600)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으며, 단말(600)은 통신망(200)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 또는 비상 방송 서버(100)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고하여 후술한다.The set-top box 400 may register the terminal 600 through an access point 500 and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registered terminal 600. The terminal 600 may use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with other terminals or with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비상 방송 서버(100) 또는 헤드엔드(700)는 통신망(200)으로 비상 방송과 관련된 컨텐츠(비상 상황의 종류, 대피로, 회피로 등)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대피로 또는 회피로는 각 셋탑박스(400)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or the headend 700 can provide the contents related to the emergency broadcasting (kind of emergency situation, evacuation route, avoidance route, etc.)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 At this time, the escape route or the escape route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each set-top box 400.

도 2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방송 서버(100)의 구성도이다. 비상 방송 서버(100)는 비상 상황에 따른 알람 신호를 수신하는 비상 상황 수신부(110), 비상 상황 수신부(110)가 제공하는 비상 방송 시작 요청에 따라 비상 방송 컨텐츠를 기 저장된 컨텐츠로부터 선별하거나 새로운 비상 방송 컨텐츠를 생성하는 비상 방송 컨텐츠 제공부(130), 비상 방송 컨텐츠 제공부(130)가 제공하는 비상 방송 컨텐츠를 원하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부(120), 비상 방송 컨텐츠 제공부(130) 혹은 비상 상황 수신부(110)가 제공하는 비상 방송 전환 요청에 따라 신호전환부에 일반방송 대신 비상 방송을 선택하도록 하는 신호 전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전환 제어부(140) 및 비상 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단말(6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다른 단말, TV에 전달하는 정보 전달부(145)를 포함한다. 이때 제3의 통신망이 사용될 수 있다. 정보 전달부(145)에 정보를 제공하고, 비상 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은 사전에 등록된 단말로 한정될 수 있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includes an emergency status receiving unit 110 for receiving an alarm signal in accordanc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a control unit 110 for selecting emergency broadcasting contents from pre-stored contents in response to an emergency broadcasting start request provided by the emergency status receiving unit 110, An output unit 120 for converting the emergency broadcasting contents provided by the emergency broadcasting contents provider 130 into a desired format and outputting the desired contents, an emergency broadcasting contents provider 130, A signal switching control unit 140 for outputting a signal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n emergency broadcasting instead of a general broadcasting to the signal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ergency broadcasting switching request provided by the emergency situation receiving unit 110, And a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45 for receiv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600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other terminals and the TV. At this time, a third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used. The terminal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transferring unit 145 and receiv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may be limited to the terminal registered in advance.

도 3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방송 컨텐츠 제공부(130)의 비상 방송 컨텐츠 생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비상 방송 서버(100)는 다양한 소스로부터 비상 상황에 따른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비상 방송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generating emergency broadcasting contents of the emergency broadcasting contents providing unit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can collec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from various sources and can be configured to generate emergency broadcasting contents through the information.

구체적으로, 비상 방송 서버(100)는 기본적으로 비상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133)를 통해서 비상 상황에 따른 각종 감지 정보를 직접 혹은 다른 종류의 보안 장치, 영상 처리 장치, 감시 장치 혹은 관리자의 입력을 통해 수신하고, 필요한 경우 외부 신호(다른 시스템으로부터의 신호, 별도의 외부 재난 서버 등이 제공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비상 상황의 종류, 비상 상황 발생 지점의 공간 위치, 위급 정도 등에 대한 비상 상황 관련 정보를 얻어 이를 영상 생성부(132)를 통해 비상 방송에 표출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비상 상황의 종류나 비상 상황 발생 공간 위치 등은 외부 보안 시스템(보안 장치, 영상 처리 장치, 감시 장치, 관리자 입력, 외부 신호 등을 포함)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basically transmits various kinds of det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through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33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an emergency situation, directly or indirectly to other types of security devices, image processing devices, (Eg, a signal from another system, a signal provided by a separate external disaster server, etc.) and, if necessary, the type of the emergency situation,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location, And can display the emergency situation related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broadcasting through the image generating unit 132. [ In most cases, the type of emergency situ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occurrence space can be obtained from external security systems (including security devices, image processing devices, monitoring devices, manager inputs, external signals, etc.).

한편, 영상 선택부(131)는 카메라(150)로부터 직접 영상을 수신하거나 CCTV 영상을 저장 관리하는 DVR(Digital Video Recorder)(미도시)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고, 비상 상황에 관련된 영상을 선택하거나 요청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mage selecting unit 131 can receive an image directly from the camera 150 or receive an image from a DVR (Digital Video Recorder) (not shown) that stores and manages a CCTV image, Or request.

예를 들어, DVR이나 이를 관리하는 별도의 수단 즉 외부 보안 시스템이 비상 상황이 발생된 공간 정보를 제공하면서 그에 따른 영상을 제공하거나, 비상발생 위치에 대한 정보와 대응되는 카메라 정보 등이 제공될 경우 이러한 비상 상황 관련 위치 정보와 영상을 이용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DVR or a separate means for managing the DVR or an external security system provides the space information in which the emergency occurs, and provides the corresponding image, or when the camer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location is provided These emergency situation-related location information and images can be used.

이와 같이 영상 선택부(131)를 통해 선택된 영상은 영상 생성부(132)를 통해 비상 방송 컨텐츠에 적용되어 비상 방송으로 전달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화재 발생 시 해당 화재가 발생한 부분의 영상을 비상 상황 안내와 함께 전달하면 해당 영상을 통해 비상 상황의 구체적인 내용과 상황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정보 수집부(133)를 통해 제공되는 구체적인 비상 상황의 정보를 통해 위급한 정도와 대피 상황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mage selected through the image selecting unit 131 can be applied to the emergency broadcasting contents through the image generating unit 132 and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broadcasting. For example, when a fire occurs, When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situation guidance, the specific contents and situa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corresponding image, and the emergency degree and the evacuation status can be predicted through th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emergency situation provided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3 do.

특히, 정보 수집부(133)가 데이터베이스(160)에 건물이나 구역 내 대피 정보나 공간 정보를 포함한 2D/3D 구조 정보 등을 구비하는 경우 수신된 비상 상황 발생 위치에 대한 공간 정보를 구조 정보에 표시하여 선택된 영상과 함께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비상 방송을 시청한 사람들은 보다 명확하게 비상 상황의 경중과 대피 관련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Particularly, when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33 includes the 2D / 3D structure information including the building or in-zone evacuation information or the spatial information in the database 160, the spatial information about the received emergency situation occurrence position is displayed in the structure information So that the viewer of the emergency broadcast can more clearly understand the severity of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 evacuation related information.

또한 셋탑박스(400)에 기준하여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비상 상황 및 대피로, 회피로 등의 비상 상황 컨텐츠를 TV(300) 또는 단말(600)에 표시할 수 있다. TV(300) 또는 단말(600)에 표시되는 정보는 상호 연동될 수 있다.In addition,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an emergency situation, an evacuation route, and an evacuation route can be displayed on the TV 300 or the terminal 600 based on a position set on the basis of the set top box 400.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V 300 or the terminal 600 can be interlocked.

도 4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의 구성도이다. 셋탑박스(400)는 TV 인터페이스 모듈(4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420), 저장부(430), 등록부(440), 정보제공부(450) 및 제어부(460)를 포함한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t-top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 top box 400 includes a TV interface module 410, a network interface module 420, a storage unit 430, a registration unit 440,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450, and a control unit 460.

셋탑박스(400)는 가구 별로 댁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가구 별로 댁내에 배치된 셋탑박스(400)는 해당 가구의 단말(600)을 인증하여 등록할 수 있다. 가구 별로 댁내에 배치된 셋탑박스(400)에 등록되는 단말(600)은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으며, 등록된 단말과 관련된 정보는 비상 방송 서버(100)에 전달될 수 있다.The set-top box 400 can be placed in the house for each household, and the set-top box 400 disposed in the house for each household can authenticate and register the terminal 600 of the household. The terminal 600 registered in the set-top box 400 disposed in the house for each household may be a single terminal or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gistered termi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TV 인터페이스 모듈(410)은 TV(300)와 연결되어 TV(300)에 컨텐츠를 출력한다. 컨텐츠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 지나간 방송 데이터 및 영화 데이터 등 VOD 컨텐츠 또는 게임, 노래방 등 IPTV 서비스에서 일반적으로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컨텐츠 등을 포함한다.The TV interface module 410 is connected to the TV 300 and outputs the contents to the TV 300. The contents include VOD contents such as real-time broadcast contents, past broadcast data and movie data, and additional service contents generally provided in IPTV services such as games and karaok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인터넷 망을 통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고, 액세스 포인트(500)를 통하여 단말(600)과 통신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등록된 단말(600)의 경우 비상 방송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고, 등록된 단말(600)의 사용자는 대피 후에도 관련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댁내에 대피하지 못한 사람이 있거나, 이웃에 대한 특이사항과 관련된 정보 또는 단말은 댁에 있으나 대피한 사람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는 TV(300) 및 다른 단말(600)과도 공유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module 420 receives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nd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600 through the access point 500. Specifically, the registered terminal 600 can be connected to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and the user of the registered terminal 600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related situation even after evacuation. For example, there may be a person who can not evacuate at home, information related to a specific thing about a neighbor, or information about a person who is at home but who is evacuated. This information may also be shared with the TV 300 and other terminals 600. [

저장부(430)는 컨텐츠, TV 프로그램 편성 정보 및 부가 서비스 실행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컨텐츠 및 TV 프로그램 편성 정보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부가 서비스 실행을 위한 데이터는 미리 내장되거나, 컨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430 stores contents, TV program organizing information, and data for executing an additional service. The contents and the TV program organizing information may be provided from the contents server, and the data for executing the additional service may be built in beforehand or may be provided from the contents server.

등록부(440)는 단말(600)을 등록한다. 등록부(440)는 단말(600)의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방식으로 단말(600)을 등록할 수 있고, 또는 단말(600)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단말 식별자 등을 사용하여 등록할 수도 있고, 또는 단말(600)에 미리 저장된 인증서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등록할 수도 있다.The registration unit 440 registers the terminal 600. The registration unit 440 can register the terminal 600 in a manner of receiving a password from a user of the terminal 600 or can register the terminal 600 using a MAC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of the terminal 600, Or may be register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ertificate stored in the terminal 600 is confirmed in advance.

등록된 단말(600)은 비상 방송 서버(100)에 접속하여 비상 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대피한 후에도 등록된 단말(600)을 통해 비상 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할 수 있다.The registered terminal 600 can access the emergency broadcast server 100 and provide or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Therefore, even after the user is evacuat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can be inputted and confirmed through the terminal 600 registered.

정보제공부(450)는 단말(600)로부터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요청받은 정보를 TV(300) 또는 단말(600)에 제공한다. 제어부(460)는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른 명령을 수행한다.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450 receives the inform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terminal 600 and provides the requested information to the TV 300 or the terminal 600. The control unit 460 executes an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셋탑박스(400)는 액세스 포인트(500)와 연동되므로 액세스 포인트(500)에 접속 중인 단말(600), 예를 들어 휴대폰을 파악할 수 있고 비상 상황시 액세스 포인트(500)를 통해 셋탑박스(400)에 파악되는 단말(600)의 갯수에 근거하여 실내에 위치한 사람의 수를 대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비상 상황시 검출된 통신 단말의 수와 단말의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름, 전화번호, 나이, 성별, 주소, 근무지 정보 등)를 비상 방송 서버(100) 또는 관리센터(800)(도 7 참고)로 전달할 수 있고, 이는 가구, 층(Floor)과 같이 위치에 기반한 사람의 수로 집계될 수 있다.Since the set-top box 400 is interlocked with the access point 500, the set-top box 400 can recognize the terminal 600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500, for example, a mobile phone, The number of communication terminals detected at the time of an emergency and th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or example, a user's name, a telephone number, a telephone number, etc.) (E.g., age, gender, address, and workplace information) to the emergency broadcast server 100 or the management center 800 (see FIG. 7), which is counted as the number of persons based on the location, .

도 5는 발명의 실시예의 적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 방송 신호를 수신한 각 TV들은 각각 원하는 채널로 원하는 방송을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사용 환경을 그대로 유지한다. 도면에서, 제1 TV(301)는 채널 1을, 제2 TV(302)는 채널 2를, 제3 TV(303)는 동작하지 않는 상황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application method of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s shown in FIG. 5A, each of the TVs receiving the general broadcast signal maintains a general usage environment in which a desired broadcast can be viewed on a desired channel. In the drawing, the first TV 301 is in the channel 1, the second TV 302 is in the channel 2, and the third TV 303 is not in operation.

셋탑박스(400)는 네트워크로 원격 구동 가능하므로 비상 상황 발생 시, 동작하지 않는 TV(303)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도 5b와 같이 시청 가능한 모든 채널에서 동일한 비상 방송이 순간적으로 전환되고, 동작하지 않는 TV(303)는 네트워크 신호에 따라 턴온(turn on)되어 비상 상황 시 TV(201~203)를 시청 중이거나 TV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이 시각적인 정보와 함께 제공되어 명확한 상황 파악과 대처가 가능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set-top box 400 can be remotely operated via the network, the set-top box 400 can apply power to the TV 303 that is not operating when an emergency occurs.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e same emergency broadcast is momentarily switched in all viewable channels as shown in FIG. 5B, and the non-operating TV 303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network signal, The emergency situ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along with the visual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situation and cope with the situation clearly.

또한 비상 상황의 종류 및 정도에 따라 비상 상황의 표현 정도 및 음성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의 정도에 따라, 또는 소방작업이 진행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불꽃이 크게 표시될 수 있고, 화재가 심각하지 않거나, 소방작업이 거의 완료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불꽃이 작게 표시될 수 있다.Also, the degree of express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 size of the voic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and degree of the emergency situation.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degree of fire, or when the fire fighting operation is not in progress, the flame may be displayed relatively large, and when the fire is not serious or when the fire-fighting operation is almost completed, .

또한 도난, 강도와 같이 불특정 다수에게 비상 정보가 전달되면 비상 상황이 악화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음성을 통한 알림 없이 영상 정보만 전달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Also, if emergency information is delivered to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persons such as theft or robbery, if the emergency situation is likely to deteriorate, the image information may be set to be transmitted without notification via voice.

또한, 셋탑박스(400)에 등록된 모든 단말(600)에 동일한 내용의 비상 상황을 방송할 수 있다.Also, it is possible to broadcast the same emergency situation to all the terminals 600 registered in the set-top box 400.

도 6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방송 컨텐츠의 적용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a와 같이 비상 상황 종류에 따른 기본 컨텐츠를 제공하여 안내할 수도 있고, 도 6b와 같이 비상 상황 발생 지점의 영상 정보를 제공하여 화재가 발생하였나 현재 진압 중이므로 대피의 시급도가 낮아 천천히 안전하게 대피해도 될 것임을 짐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도 6c와 같이 구체적인 비상 상황 발생 위치와 해당 지점의 영상을 제공하는 것으로 현재 자신의 위치에 비추어 대피 방향이나 시급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emergency broadcasting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A, it is possible to provide basic cont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o provide guidance. Also, as shown in FIG. 6B, since the fire is generated by providing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point, As shown in FIG. 6C,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ocation of a specific emergency situation and an image of the corresponding point, so that it is possible to grasp the evacuation direction and the degree of urgency in view o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한편, 비상 상황에 따른 안내에 대해서 위험도나 대피 시급도가 높은 상황을 기 설정된 정보나 관리자의 선택 혹은 연동 시스템을 통한 스케줄 등을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비상 방송 컨텐츠에서 우선적으로 안내할 위치가 결정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judge a situation in which the risk level or the emergency degree of evacuation is high with respect to the guidance in accordance with the emergency situ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reset information, the selection of the manager or the schedule through the interlocking system, The location may be determined.

또한, 비상 상황의 컨텐츠는 비상 방송 서버(100) 또는 헤드엔드(700)에 의해 셋탑박스(400)로 수신될 수 있으며, 비상 방송 서버(100)가 감독하는 지역의 카메라와 연동가능하다. 즉, 비상 방송 서버(100)가 감독하는 지역의 카메라의 영상 정보가 셋탑박스(400)로 수신되어 TV(300) 또는 단말(600)로 전달될 수 있다. TV(300) 또는 단말(600)로 전달되는 정보는 영상 뿐만 아니라, 사진, 텍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emergency situation can be received by the set-top box 400 by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or the head end 700, and can be interlocked with the cameras of the area supervised by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That is,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amera in the area supervised by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may be received by the set-top box 400 and transmitted to the TV 300 or the terminal 600.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TV 300 or the terminal 600 may be not only an image but also a photograph, text,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7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방송 시스템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등록된 단말(602)을 소지한 사용자는 비상 상황이 발생한 건물(900)로부터 대피하였고, 건물(900) 내에 등록된 다른 단말(601)이 확인되고 있는 상황이다.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n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situation in which a user possessing a registered terminal 602 is evacuated from a building 900 in which an emergency occurs and another terminal 601 registered in the building 900 is being checked.

비상 상황이 발생한 건물(900)로부터 대피한 단말(602)은 통신망(200)을 통해 비상 방송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고, 다른 단말(601)과 관련된 정보(탈출 여부, 특이 사항)나 건물(900) 내부의 상황을 비상 방송 서버(100)에 전달할 수 있다.The terminal 602 evacuated from the building 900 in which an emergency has occurred can be connected to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a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ther terminal 601 To the emergency broadcast server (100).

비상 방송 서버(100)는 단말의 정보에 근거하여 댁내 정보와 사용자 존재를 확인할 수 있고, 소방서, 경찰서 등의 관리센터(800)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can confirm the premises information and the user existenc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center 800 such as a fire station or a police station.

통신망(200)을 통해 비상 상황이 발생한 건물(900) 내에 등록된 모든 단말(600)로 비상 상황을 알릴 수 있다. 건물(900) 내에 등록된 모든 단말(600)에 비상 상황을 알림으로써 비상 상황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며, 적절한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ll the terminals 600 registered in the building 900 in which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can be notified of the emergency situ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It is possible to promptly and accurately share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situation by notifying all the terminals 600 registered in the building 900 of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re is an effect that an appropriate response can be made.

도 8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방송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비상 방송 서버(100)는 비상 신호를 수신한다(S100). 비상 신호는 기 설정된 상황에 대응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비상 방송 서버(100)가 비상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비상 신호를 바탕으로 비상 방송 컨텐츠를 생성하여 통신망(200)을 통해 셋탑박스(400)에 비상 신호를 전달한다(S200). 비상 방송 컨텐츠는 비상 상황의 위치, 현재 상황, 대피 상황, 대피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receives an emergency signal (S100). The emergency signal may include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ituation. Upon receiving the emergency signal,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generates emergency broadcasting contents based on the received emergency signal and transmits the emergency signal to the set-top box 4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S200). The emergency broadcast contents may include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the current situation, the evacuation situation, the evacuation route, and the like.

다음으로, 비상 방송 컨텐츠는 TV(300) 또는 단말(600)을 통해 방송된다(S300). 방송하는 단계는, 모든 TV(300)에 전원이 들어오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모든 TV(300)에 비상 방송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emergency broadcast contents are broadcasted through the TV 300 or the terminal 600 (S300). The broadcasting step may include setting all the TVs 300 to be powered on and transmitting the emergency broadcasting contents to all the TVs 300. [

구체적으로, TV(300)를 통해 방송함에 있어서, TV(30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turn off),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 구동으로 TV(300)를 동작(turn on)시킬 수 있다. 또한 비상 방송 컨텐츠는 비상 방송 서버(100) 또는 헤드엔드(7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비상 방송 컨텐츠가 헤드엔드(7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비상 방송 서버(100)로부터 생성된 비상 방송 컨텐츠는 일단 헤드엔드(700)로 전달된 후, TV(300) 또는 단말(600)로 송신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broadcasting through the TV 300, when the TV 300 is not operated, the TV 300 can be turned on by remote driving through the network. Emergency broadcasting contents may also be received from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or the headend 700. [ When the emergency broadcast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headend 700, the emergency broadcast content generated from the emergency broadcast server 100 is transmitted to the head end 700 and then transmitted to the TV 300 or the terminal 600 .

비상 상황에 따라 외부로 대피, 또는 실내에 머무를 것인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 상황이 화재인 경우에는 화재가 발생, 진행되고 있는 위치 정보와 함께 대피로, 회피로 등을 방송할 수 있으며, 비상 상황이 도난, 강도 등인 경우에는 비상 상황 발생 위치, 문단속 확인, 댁내에 피신 등의 정보를 방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렌과 같은 오디오를 통해서는 방송되지 않고, 단말(600) 또는 TV(300)를 통해서만 방송될 수 있는 등, 비상 상황에 따라 방송의 형태, 메시지는 변경된다.Depending on the emergency situation, it can be decided whether to evacuate to the outside or stay indoors. For example, if the emergency situation is a fire, it can broadcast evacuation routes, evacuation routes, etc. along with the location where the fire occurs, and if the emergency situation is stolen or stolen, , And information such as escape at home can be broadcasted. In this case, the form of broadcasting and the message are changed accor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being broadcast only through the terminal 600 or the TV 300 without being broadcast through audio such as a siren.

또한, 비상 방송 컨텐츠가 TV(300) 또는 단말(600)을 통해 방송되는 단계는, 비상 방송 컨텐츠나 VOD를 상황이나 위치에 맞추어 구성한 후, 비상 상황 정보를 수신하면, 각 TV(301, 302, 303) 및 단말(601, 602, 603, 604, 605, 606)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The emergency broadcasting contents are broadcasted through the TV 300 or the terminal 600. The emergency broadcasting contents and the VOD ar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status or the position and then the emergency broadcas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each of the TVs 301, 303, and the terminals 601, 602, 603, 604, 605, and 606, respectively.

다음으로, 셋탑박스(400)는 댁내 액세스 포인트(500)에 접속 중인 단말의 정보를 수신한다(S400). 단말 정보는 등록된 단말 사용자의 이름,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상 방송 서버(100)는 단말의 정보를 확인한다(S500). 확인된 단말의 정보에는 셋탑박스와 연동되는 정보가 포함되고, 셋탑박스(400)의 초기 설정 위치도 정보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가구, 층과 같이 위치에 기반한 사람의 수를 대략적으로 집계할 수 있으며, 피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Next, the set-top box 40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home access point 500 (S400). The terminal information may include a name, a telephone number, and the like of the registered terminal user.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confirms th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S500). Since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terminal includes information linked to the set-top box and the initial set position of the set-top box 400 can be included in the information, the number of persons based on the position such as furniture and floor is roughly calculated And can confirm the evacuation situation.

다음으로, 비상 방송 서버(100)는 비상 상황 정보를 외부 관리센터로 제공한다(S600). 관리센터에는 소방서, 경찰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비상 상황, 위치에 기반한 사람의 수를 대략적으로 집계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Next,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provides the emergency management information to the external control center (S600). The management center may include fire stations, police stations, etc., and may be provided with an approximate summary of the number of people based on emergency situations and locations.

또한, 셋탑박스(400)에 등록된 단말(600)의 사용자는 비상 방송 서버(100)에 접속 가능하다. 이에 따라, 비상 상황의 정도, 대피 상황, 구조가 필요한 인원수 등의 정보를 비상 방송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고, 이는 관리센터(800)로 전달되어 비상 상황이 갱신되어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다.Also, the user of the terminal 600 registered in the set-top box 400 can be connected to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10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mergency broadcast server 100 with information such as the degree of the emergency situation, the evacuation situation, the number of people who need the structure, and the like, and thi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center 800,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비상 상황 시 댁내의 단말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대략적인 인원 파악이 가능하고, 댁내의 단말 정보를 외부 관련 센터 및 단말로 전달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등록된 단말이 비상 상황 정보를 비상 방송 서버에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상황 파악이 가능하고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n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dentify an approximate number of persons by confirming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premises at the time of an emergency situation and transmit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premises to the external related center and terminal, It is possible to cope. Also, since the registered terminal can input the emergency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accurate situation can be grasped and quick response is possible.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비상 방송 서버
150 카메라
200 통신망
300 TV
400 셋탑박스
500 액세스 포인트
600 단말
700 헤드엔드
800 관리센터
900 건물
100 emergency broadcast server
150 Camera
200 networks
300 TV
400 set-top box
500 access points
600 terminal
700 headend
800 Management Center
900 buildings

Claims (11)

비상 방송 서버가 비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상 방송 서버가 댁내에 배치된 셋탑박스에 상기 비상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셋탑박스가 상기 비상 신호에 근거하여 생성된 비상 방송 컨텐츠를 방송하는 단계;
상기 셋탑박스가 상기 셋탑박스와 연동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 중인 무선 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셋탑박스가 상기 수집된 단말 정보를 상기 비상 방송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비상 방송 서버가 상기 수집된 단말 정보를 근거로 댁내 정보와 사용자 존재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외부 관리센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셋탑박스가 상기 비상 신호에 근거하여 생성된 비상 방송 컨텐츠를 방송하는 단계는 상기 셋탑박스에 등록된 단말 또는 TV에 상기 비상 신호를 전달하되, 비상 상황의 종류 및 정도에 따라 비상 상황의 시각적 표현 정도 및 음성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방송 방법.
Receiving an emergency signal from an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Transmitting the emergency signal to the set-top box disposed in the home by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Broadcasting the emergency broadcast contents generated by the set-top box based on the emergency signal;
Collecting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that the set-top box is accessing to an access point associated with the set-top box;
The set-top box transmitting the collected terminal information to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And
And providing the emergency broadcast server with information including home information and presence of a user based on the collected terminal information to an external management center,
Wherein the step of broadcasting the emergency broadcasting contents generated by the set-top box based on the emergency signal comprises the steps of: transmitting the emergency signal to a terminal or a TV registered in the set-top box, wherein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 size of the voice is adjus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에 등록된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비상 상황 정보를 상기 비상 방송 서버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방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mergency situation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of the terminal using the terminal registered in the set-top box is input to the emergency broadcasting serv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해 입력된 상기 비상 상황 정보는 제3의 통신망을 통해 등록된 다른 단말 또는 TV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방송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mergency situ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terminal is transmitted to another terminal or a TV registered through a third communication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신호에 근거하여 생성된 비상 방송 컨텐츠를 방송하는 단계는,
상기 셋탑박스에 연결된 TV의 전원을 인가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셋탑박스가 상기 TV에 비상 방송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방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broadcasting the generated emergency broadcasting contents based on the emergency signal comprises:
Setting a power of a TV connected to the set-top box to be applied; And
And the set-top box displaying emergency broadcast contents on the TV.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신호에 근거하여 생성된 비상 방송 컨텐츠를 방송하는 단계는,
상기 비상 방송 컨텐츠를 상황 또는 위치에 대응하여 구성한 후, 비상 상황 정보를 수신하면, TV 및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방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broadcasting the generated emergency broadcasting contents based on the emergency signal comprises:
Wherein the emergency broadcast content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a situation or a location, and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V and the terminal is display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는 단말 사용자의 이름, 전화번호, 나이, 성별, 주소, 근무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방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name, a telephone number, an age, a gender, an address, and workplace information of a terminal us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47344A 2014-10-28 2014-10-28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set top box and method thereof KR1015994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344A KR101599485B1 (en) 2014-10-28 2014-10-28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set top box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344A KR101599485B1 (en) 2014-10-28 2014-10-28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set top box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485B1 true KR101599485B1 (en) 2016-03-14

Family

ID=55541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344A KR101599485B1 (en) 2014-10-28 2014-10-28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set top box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48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741B1 (en) * 2016-09-02 2017-07-12 주식회사 미디컴전자 Terminal device, broadcas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CN112003664A (en) * 2020-08-31 2020-11-27 东方明珠新媒体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equipment for issuing emergency broadcast information through smart television
CN114268844A (en) * 2021-12-17 2022-04-01 易视腾科技股份有限公司 Internet television service emergency guarantee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3390A (en) * 2003-11-24 2006-12-01 가에타노 리찌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mergency situations through a mobile terminal
KR20070077953A (en) * 2006-01-25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re-transmitting disaster broadcasting
KR20080020728A (en) * 2006-08-29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cing a state of emergency using the portable terminal
KR101173588B1 (en) * 2012-04-17 2012-08-13 강원식 Digital cable broadcasting system capable of visual emergency broadcasting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3390A (en) * 2003-11-24 2006-12-01 가에타노 리찌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mergency situations through a mobile terminal
KR20070077953A (en) * 2006-01-25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re-transmitting disaster broadcasting
KR20080020728A (en) * 2006-08-29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cing a state of emergency using the portable terminal
KR101173588B1 (en) * 2012-04-17 2012-08-13 강원식 Digital cable broadcasting system capable of visual emergency broadcasting and method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741B1 (en) * 2016-09-02 2017-07-12 주식회사 미디컴전자 Terminal device, broadcas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CN112003664A (en) * 2020-08-31 2020-11-27 东方明珠新媒体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equipment for issuing emergency broadcast information through smart television
CN114268844A (en) * 2021-12-17 2022-04-01 易视腾科技股份有限公司 Internet television service emergency guarantee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4268844B (en) * 2021-12-17 2023-11-24 易视腾科技股份有限公司 Internet television service emergency guarantee system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88B1 (en) Digital cable broadcasting system capable of visual emergency broadcasting and method thereof
US99405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surveillance system
US7450638B2 (en) Power-line communication based surveillance system
US201002119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emergency alert message
US11115227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live sharing and smart monitoring
KR101325040B1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9426424B2 (en) Requesting emergency services via remote control
JP2022507708A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access to camera systems
JP2020518939A (en) Remote disaster prevention system
US9043832B2 (en) Early warning system, server and method
JP6768951B2 (en) Network separator and video surveillance system equipped with this
US83360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bypassing an emergency alert break-in
KR101861752B1 (en) Integrated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KR101599485B1 (en)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set top box and method thereof
JP2012034343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68191B1 (en) Cctv camera apparatu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t
KR1016045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l emergency alert broadcasting
CN102333237A (en) Television-set-top-box-bas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20140013576A (en) Digital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15691037B (en) Emergency broadcast image-text alarm system and method
KR101588446B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emergency broadcasting which enables remote broadcasting
JP6653919B2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KR101269030B1 (en) System and Method for Viewer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KR102339731B1 (en) The disaste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KR101583405B1 (en) Integrated apparatus of defferent device with a security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