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171B1 -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동 디바이스 로밍을 개선하기 위한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동 디바이스 로밍을 개선하기 위한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171B1
KR101599171B1 KR1020147017329A KR20147017329A KR101599171B1 KR 101599171 B1 KR101599171 B1 KR 101599171B1 KR 1020147017329 A KR1020147017329 A KR 1020147017329A KR 20147017329 A KR20147017329 A KR 20147017329A KR 101599171 B1 KR101599171 B1 KR 101599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evice
mobile wireless
roaming
service set
access p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7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4644A (ko
Inventor
카필 차브라
사라바난 발라수브라마니얀
티토 토마스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40094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04W36/362Conditional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에서 탐색 및 스위칭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킨다. 로밍 파라미터들은 검출된 무선 네트워크 유형을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특성화에 기초하여 조정된다.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 유형은 서비스 세트 식별자 및 무선 주파수 대역당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연관된 고유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들의 개수에 의해 특성화된다. 로밍 파라미터들은 스캔 한계치, 로밍 한계치, 및 연속적인 스캔들 사이에서의 시간 간격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동 디바이스 로밍을 개선하기 위한 메커니즘{MECHANISMS TO IMPROVE MOBILE DEVICE ROAMING IN WIRELESS NETWORKS}
설명된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이동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로밍을 적응시키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들은 측정되고 결정된 무선 네트워크 특성들에 기초하여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것에 기초하여 로밍을 개선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들은 아날로그 회로 스위칭식 음성을 단독으로 제공하는 것으로부터 다수의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들을 통해 전달될 수 있는 음성, 데이터 및 비디오를 포함한 매우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것까지 진화하고 있다. "스마트 폰"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들 상에서 상이한 메커니즘들을 통해 이들 서비스들 중 많은 것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동 무선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회로 스위칭식 셀룰러 연결, 패킷 스위칭식 셀룰러 연결 또는 패킷 스위칭식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제공받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유사한 서비스 품질을 예상할 수 있다. 소정의 서비스들은 음성 호출에 대한 연결의 지속성 또는 비디오 호출에 대한 고 품질 프레임 레이트와 같은, 적합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고 성능 실시간 서비스 품질 특성들을 요구할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연결의 품질이 이동 무선 디바이스의 위치, 그것에 의해 수신된 간섭 및 그것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기 때문에 및 여러 개의 상이한 연결 포인트들이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동시에 이용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 네트워크들 내에서 또는 그것에 걸쳐 상이한 연결 포인트들 사이에서의 능동 연결을 시프팅(shifting)하는 것은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결 포인트들 사이에서의 연결들의 시프팅은 셀룰러 네트워크들에서 핸드오프(handoff)로서 그리고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들에서 로밍으로서 불릴 수 있다. 셀룰러 네트워크 핸드오프는 셀룰러 기반시설에 의해 제어될 수 있지만, 무선 네트워크 로밍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그리고 몇몇 경우들에서 무선 기반시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의 로밍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그의 연관을 이동시킬 때 발생할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을 탐색할 때, 로밍할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무슨 기준들을 사용할지 및 대안 액세스 포인트로 로밍하기 위해 어떤 한계치들을 만족시킬지를 결정할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 표준들에서 규정되며 셀룰러 기반시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셀룰러 네트워크들에서의 핸드오프와는 달리,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들에서의 로밍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독점적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들에서의 상이한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로밍할 때를 결정하기 위해 다수의 상이한 성능 기준들을 사용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들은 무선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가능한 수 개의 상이한 무선 주파수 채널들 중 하나 상에서 송신 및 수신할 수 있으며, 상이한 액세스 포인트들이 상이한 무선 주파수 채널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사용된 상이한 무선 주파수 채널들 사이에서 스위칭하기로 결정하거나 상이한 액세스 포인트로 스위칭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대안 액세스 포인트를 평가하기 위해,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그 자신의 수신기를 대안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사용된 송신 무선 주파수 채널로 동조시킬 수 있다. 상이한 무선 주파수 채널 상에서 대안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을 수신하는 동안,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연관되거나 연결되는 현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송신들을 수신할 수 없을 수 있다. 로밍하기 위해 현재 연결들을 중단함으로써,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탐색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와 현재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속도(data throughput)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게다가, 로밍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되지만 달리 유휴 상태(즉, 데이터를 능동적으로 송신 및 수신하지 않음)일 때 제한된 배터리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로밍은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을 탐색하기 위해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송수신기를 활성화시키는 것 및 임의의 수신 신호들을 처리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동작하게 되는 무선 네트워크의 속성들을 책임지도록 로밍 속성들을 적응시키는 것은 성능 및 전력 소비 둘 모두를 개선하여 이동 무선 디바이스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는 홈 환경에서와 같은 단일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작은 사무실 환경에서와 같은 몇몇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또는 대기업 사무실 환경에서와 같은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을 탐색하고 그로 로밍하는 것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동작하게 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환경의 유형에 적응될 수 있다. 어떠한 적합한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도 존재할 수 없는 홈 네트워크에서 빈번하게 탐색 및 로밍하는 것은 데이터 전송속도를 감소시키며 배터리 전력을 불필요하게 소비할 수 있다. 기업 네트워크에서 가끔 탐색 및 로밍하는 것은, 신호 강도가 떨어질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에서의 스위칭이 지연될 수 있을 때, 차선의 실시간 성능을 초래할 수 있다. 다양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유형들에 대한 단일 세트의 미리 결정된 로밍 파라미터들은 결코 이상적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로밍을 개선할 수 있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서 로밍을 적응시키는 방법이 설명된다. 이 방법은 적어도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유형을 검출하는 단계.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무선 네트워크 유형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로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단계. 무선 네트워크 유형은 서비스 세트 식별자(service set identifier) 및 무선 주파수 대역당 상기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연관된 고유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들의 개수에 의해 특성화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연관된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들의 개수가 무선 주파수 대역당 1일 때,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 덜 빈번하게 스캔하고 이들로 로밍하도록 하나 이상의 로밍 파라미터들을 조정한다.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연관된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들의 개수가 무선 주파수 대역당 1 초과일 때,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 더 빈번하게 스캔하고 이들로 로밍하도록 하나 이상의 로밍 파라미터들을 조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로밍 방법이 설명된다. 이 방법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현재 무선 주파수 채널 상에서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연관된 고유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적어도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현재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가 하위 무선 주파수 대역(lower radio frequency band) 내에 있고 제1 미리 결정된 한계치를 초과할 때 상위 무선 주파수 대역(higher radio frequency band)에서의 대안 주파수 채널에 대해 추가로 스캔하고 이로 로밍한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현재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가 상위 무선 주파수 대역 내에 있고 제2 미리 결정된 한계치 아래로 떨어질 때 하위 무선 주파수 대역에서의 대안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해 스캔하고 이로 로밍한다. 제1 미리 결정된 한계치는 미리 결정된 차이만큼 제2 미리 결정된 한계치를 초과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서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방법이 설명된다. 이 방법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현재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될 때 적어도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현재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현재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검색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하나 이상의 로밍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는 단계.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 스캔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대안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탐지된 대안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수신된 정보 및 결정된 무선 네트워크 유형을 저장하는 단계. 현재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미리 결정된 무선 네트워크 유형에 대한 값들은 무선 주파수 대역당 서비스 세트 식별자 유형당 적어도 단일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 및 무선 주파수 대역당 서비스 세트 식별자 유형당 다중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의 로밍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가능한 프로세서, 및 액세스 포인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이용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 주기적으로 스캔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검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또한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연관된 다수의 개별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로밍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서 로밍을 적응시키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인코딩된 비일시적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설명된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비일시적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적어도 하기의 비일시적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적어도 각각의 대안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서비스 세트 식별자 및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포함한 정보를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현재 연결되어 있고 이전에 연결되었던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한 서비스 세트 식별자들과 연관된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들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로밍 파라미터들의 초기 세트를 선택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로밍 파라미터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설명된 실시예들 및 이들의 이점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취해진 하기의 설명에 대한 참조에 의해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
도 1은 대표적인 "홈 네트워크" 유형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예시하는 도면.
<도 2>
도 2는 대표적인 "작은 사무실 네트워크" 유형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예시하는 도면.
<도 3>
도 3은 대표적인 "기업 사무실 네트워크" 유형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예시하는 도면.
<도 4>
도 4는 이동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수 개의 대표적인 아키텍처들을 예시하는 도면.
<도 5>
도 5는 2개의 중첩하는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의 대표적인 맵을 예시하는 도면.
<도 6, 도 7, 도 8 및 도 9>
도 6, 도 7, 도 8 및 도 9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를 위한 로밍에 영향을 미치는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수 개의 로밍 파라미터들을 예시하는 도면.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를 위한 로밍을 적응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들을 예시하는 도면.
하기의 설명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기저를 이루는 개념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상세 사항들이 기재된다. 그러나, 설명된 실시예들이 이들 특정 상세 사항들 중 일부 또는 전부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른 경우들에서, 잘 알려진 프로세스 단계들은 기본 개념들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았다.
이하에 제공된 예들 및 실시예들은 무선 이동 디바이스에서의 로밍을 적응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 및 장치들을 설명하며, 특히 측정 및 결정된 무선 네트워크 특성들에 기초하여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것에 기초하여 로밍을 개선하는 것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동일한 방법들 및 장치들의 구현예들이 상이한 유형들의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사용된 이동 무선 디바이스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교시들은 무선 액세스 기술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 예들 및 구현예들은 간소화를 위해 IEEE 802.11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들에 관하여 제공되지만 또한 다른 무선 네트워크 환경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들은 상이한 기본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 및 기술들을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들에 걸쳐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진보된 통신 능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 및 비디오 능력들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들의 사용자들은 서비스들이 동작하는 어떤 무선 네트워크든지 비슷한 서비스들에 대해 유사한 서비스 품질을 예상할 수 있다. 특히, 음성 및 "비디오 채팅" 서비스들은 셀룰러 네트워크들 상에서의 종래의 회로 스위칭식 연결들을 통해, 셀룰러 네트워크들 상에서의 보다 새로운 패킷 스위칭식 연결들을 통해, 그리고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들 상에서의 패킷 스위칭식 연결들 - 이는 이어서 광대역 유선 또는 무선 링크들을 통해 전기통신 기반시설 네트워크들에 연결할 수 있음 - 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서비스들은 원하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고 성능 서비스 품질 특성들을 요구할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네트워크들의 액세스 부분들 사이에서의 연결들의 품질은 신호 감쇄 및 다중-경로 간섭과 같은 다수의 인자들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연결할 수 있는 수 개의 상이한 액세스 포인트들이 이용가능할 수 있어짐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에서의 연결들(또는 연관들)을 시프팅하는 것, 즉 무선 네트워크들 내에서 또는 그들 사이에서 로밍하는 것은 높은 서비스 품질을 갖는 지속적인 연결을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들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현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관계를 끊음으로써 그리고 대안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시킴으로써 로밍을 제어할 수 있다. 연관시킬 한 세트의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은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이 송신할 수 있는 무선 주파수 채널들의 무선 주파수 대역에 걸쳐 신호들을 탐색함으로써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후보 액세스 포인트들의 이용가능성 및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주파수 채널로 내부 수신기를 동조시킬 수 있으며 송신된 무선 주파수 비콘 신호들을 청취할 수 있다. 대안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사용된 무선 주파수 채널이 현재 액세스 포인트의 무선 주파수 채널과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로밍할 후보 액세스 포인트들을 탐색할 때 현재 액세스 포인트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것을 방해받을 수 있다. 따라서, 로밍은 데이터 전송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게다가,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현재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되며 감소된 전력 상태에서 동작할 때, 빈번한 로밍은, 적은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이 존재하거나 어떠한 적합한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도 존재할 수 없을 때, 전력 소비를 불필요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특성들에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것은 전송속도 성능 및 배터리 전력 소비 둘 모두를 개선할 수 있다. 상당한 중첩 무선 주파수 커버리지(coverage)를 갖는 많은 액세스 포인트들을 가진 밀집(dense)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최상의 가능한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보다 빈번하게 로밍할 수 있다. 보다 적은 액세스 포인트들을 가진 희박(sparse)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현재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이 종종 가능한 최상의 연결일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덜 빈번하게 로밍할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네트워크 유형을 결정하기 위해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현재 연결되어 있고 이전에 연결되었던 액세스 포인트들의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한 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결정된 무선 네트워크 유형에 기초하여,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의 로밍 거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킬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정보는 고유 하드웨어 식별자들 및 연관된 무선 네트워크 명칭들(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될 수 있고 따라서 상이한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 동일할 수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IEEE 802.11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들에서,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는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basic service set identifier, BSSID) 로서 알려진 고유 하드웨어 식별자 및 서비스 세트 식별자(service set identifier, SSID)로서 알려진 텍스트 명칭을 가질 수 있다. BSSID는 계층 2 MAC 어드레스일 수 있는 반면, SSID는 간단한 텍스트 라벨일 수 있다. 이들 식별자들의 연관된 세트들을 저장 및 검색함으로써,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네트워크 유형을 결정하며 적절하게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킬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이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논의된다. 그러나, 당업자들은 이들 도면들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이 단지 설명 목적들을 위한 것이며 제한적인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단일 무선 액세스 포인트(104)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에 대한 무선 주파수 커버리지의 영역을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106)를 포함할 수 있는 대표적인 "홈"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100)를 예시한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04)에 의해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된 무선 주파수 비콘 신호들을 청취함으로써 무선 액세스 포인트(104)를 인식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대표적인 값 "홈 네트워크"를 갖고 예시된 SSID와 같은 텍스트 기반 무선 네트워크 명칭을 사용하여 그리고 대표적인 값 "01-23-45-67-89-ab"에 의해 예시된 BSSID와 같은 고유 하드웨어 라벨에 의해, 송신된 무선 주파수 비콘들에서 스스로를 식별할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또한 무선 주파수 채널 상에서 프로브(probe) 요청을 송신하며 무선 액세스 포인트(104)로부터 프로브 응답(또는 브로드캐스트 비콘)을 청취함으로써 무선 액세스 포인트(104)를 탐색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대표적인 "홈"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100)에서, 단일 무선 액세스 포인트(104)는 전체 홈에 대한 무선 주파수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04)에서 나오는 무선 네트워크(106)와 연관(또는 그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 액세스 포인트로의 로밍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104)의 커버리지 영역을 떠날 때까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홈"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의 로밍은 비교적 덜 빈번하게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에 의한 로밍을 위한 배터리 전력 소비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104)로의 안정된 연결이 일반적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감소될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이전에 연결되었던 무선 네트워크들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서 무선 주파수 대역당 SSID와 연관된 고유 BSSID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대역당 단지 하나의 BSSID를 갖는 SSID는 "희박"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로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희박 무선 네트워크와 연관되거나 이에 연결될 때,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디폴트 세트의 로밍 파라미터들을 사용할 때보다 덜 빈번하게 로밍하도록 로밍 거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한 세트의 로밍 파라미터들을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로밍 파라미터들은 신호 품질 한계치들 - 그 미만에서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후보 액세스 포인트들을 탐색할 수 있음 -, 및 후보 대안 액세스 포인트가 스위칭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신호 품질을 가질 때를 결정할 수 있는 신호 품질 차이 한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알려지지 않은 무선 네트워크와 연관될 때 디폴트 세트의 로밍 파라미터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대하여 더 많이 학습함에 따라, 능동 세트의 로밍 파라미터들이 적응될 수 있다. 로밍 파라미터들은 또한 상이한 액세스 포인트들을 탐색 및/또는 이들로의 로밍의 이력 동안에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응될 수 있다.
도 2는 공통 무선 네트워크(106)를 생성하기 위해 중첩하는 2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102)들을 갖는 대표적인 "작은 사무실" 무선 네트워크(200)를 예시한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102)들 각각은 동일한 SSID, 예컨대 "사무실 네트워크"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별개의 BSSID 값들을 가질 수 있다. "작은 사무실" 무선 네트워크(200)와 연관되거나 이에 연결할 때,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무선 주파수 대역당 고유 BSSI를 각각 갖는 하나 초과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102)가 동일한 SSID를 공유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으며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절히 적응시킬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도 1의 "홈" 네트워크(100)를 위해 사용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홈" 네트워크(100)에서보다 "작은 사무실" 네트워크(200)에서 더 빈번한 탐색 및/또는 로밍을 야기하도록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킬 수 있다. "작은 사무실" 네트워크(200)에 의해,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무선 네트워크(106)에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104)들 각각 사이에서 로밍할 수 있다. 도 2는 또한 2개의 상이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104)들이 단일 액세스 포인트(104) 단독으로보다 더 넓은 무선 네트워크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홈" 네트워크를 나타낼 수 있다. 2개의 상이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104)들 사이에서의 로밍이 요구될 수 있지만,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을 탐색하는 것은 덜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로밍 파라미터들은 덜 빈번한 탐색 그러나 "작은 사무실" 네트워크(200)에서의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에서의 용이한 스위칭을 보장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3은 2개 초과의 상이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104)들을 포함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기업" 무선 네트워크(300)를 예시한다. "기업" 무선 네트워크(300)에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104)들 각각은 동일한 SSID 값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고유 BSSID 값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액세스 포인트(104)들 중에서 더 빈번한 탐색 및 로밍을 야기하도록 "기업" 무선 네트워크(300)에서의 액세스 포인트(104)들 중 하나와 연관되거나 이에 연결될 때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킬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4)들의 비교적 "밀집한" 네트워크는 액세스 포인트(104)들의 "희박한" 그리고 넓게 분리된 네트워크보다 더 높은 레벨의 신호 품질(데이터 전송속도 성능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제공할 수 있다. "기업" 네트워크(300)에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104)들 사이에서 더 빈번하게 연결들을 스위칭함으로써,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 중에서 탐색 및 로밍하기 위해 더 길게 기다릴 때보다 더 높은 성능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대역당 SSID 값과 연관된 고유 BSSID 값들의 개수에 더하여,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무선 네트워크 유형을 결정할 때 액세스 포인트(104)들에 대한 부가적인 특성들을 고려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4)는 특정 보안 설정(예를 들어, 암호화의 유형)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동일한 SSID를 갖지만 상이한 보안 설정들을 갖는 2개의 상이한 액세스 포인트(104)들은 공통 무선 네트워크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2개의 별개의 무선 네트워크들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공통 보안 설정을 사용하는 공통 무선 네트워크가 예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또한 2개의 액세스 포인트(104)들이 공통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104)들에 의해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대역들을 고려할 수 있다. 다중 주파수 대역 액세스 포인트(104)는 상이한 무선 주파수 대역에서 각각 동작할 수 있는 하나 초과의 송수신기, 예컨대 2.4 GHz 송수신기 및 5.0 GHz 송수신기를 가질 수 있다. 송수신기들 각각은 상이한 BSSID 및 공통 SSID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다중 주파수 대역 액세스 포인트(104)는 로밍 파라미터들을 설정 및/또는 적응시킬 때 "다중" 액세스 포인트(104)라기보다는 "단일" 액세스 포인트(104)로서 여전히 간주될 수 있다.
도 4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에서 구성요소들을 선택하기 위한 수 개의 대표적인 아키텍처들을 예시한다. 제1 아키텍처(400)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안테나(408)에 그리고 구성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402)에 연결된 단일 송수신기(404)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와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액세스 포인트(104) 사이에서 연결들을 설정 및 해제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송수신기(404)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서의 무선 주파수 채널 상에서 안테나(408)를 통해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들로 디지털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송수신기(404)는 하나 이상의 무선 주파수 대역들에서의 상이한 무선 주파수 채널들로 동조가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를 상이한 무선 주파수 채널들을 사용할 수 있는 상이한 액세스 포인트(104)들에 연결할 수 있다. 연관시키고/시키거나 연결할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104)들을 탐색할 때,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무선 주파수 채널로 송수신기(404)를 동조시킬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104)에 의해 송신된 브로드캐스트 비콘 신호들을 청취할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또한 무선 주파수 채널 상에서 프로브 요청을 송신하고 액세스 포인트(104)로부터 프로브 응답을 청취할 수 있다. 프로브 요청은 브로드캐스트 SSID를 포함할 수 있지만, 비콘 신호들 및 프로브 응답들은 특정 SSI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액세스 포인트(104)들을 탐색할 때마다 다수의 상이한 라디오 채널 주파수들로 송수신기(404)를 재-동조시킬 수 있다. 탐색된 라디오 채널 주파수들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동일한 무선 주파수 대역에 있을 수 있거나, 특히 "다중-대역"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들을 위해 상이한 무선 주파수 대역에 위치될 수 있다. 단일 송수신기(404)에 의하면, 아키텍처(400)를 가진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한 번에 단지 하나의 무선 주파수 채널 상에서 송신 및 수신할 수 있으며, 따라서 로밍은 상이한 무선 주파수 채널들을 사용할 수 있는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을 탐색하기 위해 현재 액세스 포인트와의 현재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채널 상에서의 통신을 중단시킬 수 있다.
제2 아키텍처(420)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2)에 연결된 제1 송수신기(404) 및 제2 송수신기(406)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404/406)들 각각은 별개의 안테나(408)에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그들 사이에서 제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IEEE 802.11n 무선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송신을 사용할 때, 송수신기(404/406)들 둘 모두는 무선 네트워크(100)에서 액세스 포인트(104)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송수신기(404/406)들 중 단지 하나가 송신을 위해 요구될 수 있을 때,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송수신기들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4)와의 능동 통신을 위해 제1 송수신기(404)를 그리고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을 탐색하기 위한 것과 같은 배경 통신을 위해 제2 송수신기(406)를 사용할 수 있다.
제3 아키텍처(440)에서, 이중 송수신기(410)는 제2 아키텍처(420)에 의해 제공된 것들과 유사한 능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및 장치들은 단일 송수신기, 다중 송수신기, 및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 내에서의 다양한 기능들을 공통 컴포넌트들에 통합시키는 다른 아키텍처들을 포함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용의 매우 다양한 아키텍처들에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반성의 손실 없이,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404/406/410)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2)를 별개로 포함할 수 있지만, 다른 아키텍처들은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404/406/410)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402)에 의해 함께 제공되는 통합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액세스 포인트(104)로부터의 거리에 기초하여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에 의해 수신된 대표적인 무선 네트워크 수신 신호 강도(502) 값들을 갖는 2개의 액세스 포인트(104)들(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음)의 무선 네트워크(500)를 예시한다. 단순한 대표적인 목적들을 위해, 도시된 무선 네트워크 수신 신호 강도(502)는 액세스 포인트(102)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할 수 있지만, 실제 수신 신호 강도(502)는 도 5에 도시된 것과는 상이한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신호 강도(502)는 보다 빠르게 감소할 수 있으며 가변적인 윤곽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수신 신호 강도(502)에 대한 어떠한 일반성의 손실도 도시된 대표적인 다이어그램에 의해 의도되지 않는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예를 들어 -90 dBm의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104)들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으며, 도 5에 나타낸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의 위치에 대해 -80 dBm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수신 신호 강도(502)는 변할 수 있으며,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로부터의 수신 신호 강도(502)들과 현재 액세스 포인트(104)의 수신 신호 강도(502)를 비교할 수 있다.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을 탐색하는 것, 수신 신호들을 청취하는 것, 및 수신 신호 강도들을 측정하는 것은 제1 한계치에 현재 액세스 포인트(104)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502)를 비교함으로써 트리거될 수 있다.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로 로밍하는 것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제2 한계치를 초과하는 현재 액세스 포인트(104)와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 사이에서의 수신 신호 강도 차이를 측정할 때 실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한계치들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로밍할 때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한 세트의 로밍 파라미터들에 포함될 수 있다. 주기적인 탐색은 "스캐닝"으로서 불릴 수 있으며, 제1 한계치는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을 탐색하는 것을 개시할 수 있는 "스캔 한계치"로서 간주될 수 있다. 제2 한계치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에서의 수신 신호 강도에서의 차이가 현재 액세스 포인트(104)로부터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로 스위칭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을 때 결정할 수 있는 "로밍 한계치"로서 불릴 수 있다.
도 6은 2개의 액세스 포인트(104)들을 직접 연결한 라인을 따라 2개의 액세스 포인트(104)들(AP1, AP2)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502)의 그래프(600)를 예시한다. 수신 신호 강도(502)는 가장 강한 강도가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104)에 중심을 둘 수 있으며 거리가 액세스 포인트(104)로부터 멀리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수신 신호 강도는 비-선형적으로 그리고 본 명세서에 나타낸 것보다 더 빠르게 감소할 수 있지만, 선형적 감소는 표현의 간소화를 위해 일반성의 손실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액세스 포인트(104)들 중 하나, 예를 들어 AP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액세스 포인트(104)(AP1)로부터의 수신 신호 강도(502)가 스캔 한계치(602) 아래로 떨어질 때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에 대한 스캔을 개시할 수 있다. 스캔 한계치(602)에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에서의 수신 신호 강도(502)를 비교하는 것에 기초하여,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을 탐색할 수 있는 스캔 영역(606)이 정의될 수 있다. 스캔 한계치를 변경하는 것은 스캔 영역(606)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로밍 한계치(604)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현재 액세스 포인트(104)와 관계를 끊고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와 연관되게 할 수 있는 현재 액세스 포인트(104)와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 사이에서의 수신 신호 강도(502)에서의 차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밍 한계치(604)는 스캔 영역(606)과는 상이한 로밍 영역(608)을 결정할 수 있다. 스캔 한계치(602) 및/또는 로밍 한계치(604)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을 더 빈번하게 또는 덜 빈번하게 탐색하고 이들로 로밍하게 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보다 높은 스캔 한계치(602) 및 보다 낮은 로밍 한계치(604)는 더 빈번한 탐색 및 로밍을 야기할 수 있지만, 보다 낮은 스캔 한계치(602) 및 보다 높은 로밍 한계치는 현재 액세스 포인트(104)와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 사이에서 덜 빈번한 탐색 및 로밍을 야기할 수 있다.
도 7은 2개의 상이한 스캔 한계치(702/704)들을 갖는 2개의 액세스 포인트(104)들(AP1, AP2)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502)의 그래프(700)를 예시한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액세스 포인트(104)(AP1)에 연결될 때, 스캔 한계치 A(702)는 스캔 영역 A(706)를 결정할 수 있지만, 스캔 한계치 B(704)는 보다 작은 스캔 영역 B(710)를 결정할 수 있다. 스캔 영역 B(710)는 스캔 영역 A(706)보다 더 작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을 탐색하는 것을 개시하기 위해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에서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502)가 스캔 한계치 B(704)를 사용할 때 더 낮아야 하기 때문이다. 사실상,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 영역(706/710)은 스캔 한계치(702/704)에 대한 그리고 로밍 한계치(604)에 대한 값들에 의존하여 로밍 영역(608)보다 더 크거나 더 작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캔 한계치(702/704)를 보다 높은 값으로 올리는 것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을 보다 빈번하게 탐색하는 것을 야기할 수 있지만, 스캔 한계치(702/704)를 보다 낮은 값으로 낮추는 것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을 덜 빈번하게 탐색하게 할 수 있다. 너무 "보수적인" 스캔 한계 값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로의 로밍이 달성될 수 있는 때보다 더 늦게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을 탐색하는 것을 야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다른 한편으로, "공격적" 스캔 한계 값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보다 적은(만약에 있다면)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이 로밍 한계치(604)를 만족시킬 수 있을 때보다 더 빨리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을 탐색하는 것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불필요하게 데이터 전송속도를 낮추거나 배터리 전력을 소모시킬 수 있다. 스캔 한계 값 및 로밍 한계 값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동작할 수 있게 되는 무선 네트워크의 상세 사항들에 의존하여 적응 조정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캔 한계치(702/704)들 및 로밍 한계치(604)에 대해 동일한 값들을 사용하여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수신 신호 강도(502)의 그래프(800)를 예시하지만, 도 8에서의 액세스 포인트(104)들(AP1, AP2)은 도 7에서의 액세스 포인트(104)들(AP1, AP2)보다 서로로부터 더 큰 거리만큼 분리된다. 도 7에서, 로밍 영역(608)은 보다 공격적인 스캔 영역 A(706)와 보다 보수적인 스캔 영역 B(710) 사이에 속하여 있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02)(AP1)로부터 멀리 액세스 포인트(102)(AP2)를 분리함으로써, 로밍 영역(802)은 액세스 포인트(AP2)와 함께 (우측으로 더) 이동할 수 있다. 스캔 영역(A, B)(706/710)들 둘 모두는 로밍 영역(802)보다 (로밍 영역의 좌측으로) 더 넓을 수 있다. 스캔 한계치 A(702) 및 스캔 한계치 B(704) 둘 모두는, (로밍 한계치(604)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로밍이 가능하기 전에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을 스캔하기 때문에, "공격적" 값들로 간주될 수 있다. 도 7에서, 스캔 한계치 B(704)는,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을 탐색하는 것이 발생할 수 있기 전에 로밍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보수적" 값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도 8에서 로밍 영역(802)에 대하여 스캔 영역 B(710)와 함께 스캔 영역 A(706)를 비교할 때, 보다 높은 스캔 한계치 A(702)는 보다 넓게 이격된(즉, 보다 희박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적은(만약에 있다면) 이득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중 액세스 포인트(104)들의 밀집하게 배치된 네트워크의 경우, 보다 높은 스캔 한계치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지만, 보다 적은 액세스 포인트(104)들의 희박하게 배치된 네트워크에서, 보다 낮은 스캔 한계치가 요구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들의 특정한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스캔 한계 값은 원하는 로밍 거동을 달성하기 위해 특정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104)들의 개수 및 밀도에 기초하여 적응될 수 있다.
도 9는 액세스 포인트(104)들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502)의 다른 단면의 그래프(900)를 예시한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무선 네트워크의 밀도 특성들을 추정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104)들로부터의 수신 신호 강도(502)의 측정된 값들을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3개의 상이한 액세스 포인트(104)들(AP1, AP2, 및 AP3)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502)를 도시한다. 액세스 포인트(104)들(AP1, AP2(AP3 제외))을 포함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의 경우,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RSSI AP1 및 RSSI AP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수신 신호 강도(502) 레벨들을 측정할 수 있다. AP1 및 AP2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502)들 사이에서의 차이는 비교적 낮을 수 있으며, RSSI에서의 차이는 액세스 포인트(104)들의 "밀집" 무선 네트워크를 표시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4)들(AP1, AP3(AP2 제외))을 포함할 수 있는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의 경우, 2개의 액세스 포인트(104)들은 액세스 포인트(104)들(AP1, AP2)보다 더 이격되며, 수신 신호 강도들 사이에서의 측정된 차이는 RSSI AP1과 RSSI AP3 사이의 차이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높을 수 있다. 수신 신호 강도(502)에서의 비교적 높은 차이는 액세스 포인트(104)들의 "희박" 무선 네트워크를 표시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에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104)들이 있을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104)들의 쌍들 사이에서의 수신 신호 강도(502)에서의 차이는 액세스 포인트(104)들의 다양한 조합들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502)에서의 차이는 최고 값의 수신 신호 강도(502)를 갖는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와 현재 액세스 포인트(104) 사이에서 산출될 수 있다. 다른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수신 신호 강도(502)에서의 차이는 최고 값의 수신 신호 강도(502)들을 갖는 2개의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 사이에서 산출될 수 있다. 수신 신호 강도(502)에서의 차이는 또한 차이 함수를 결정하기 위해 현재 액세스 포인트(104) 및 모든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을 포함하여, 액세스 포인트(104)들의 모든 쌍들 중에서 산출될 수 있다. 차이 함수의 평균 및 분산은 또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104)들의 "밀도"를 평가하기 위해 그리고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희박" 무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지 또는 "밀집" 무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홈", "작은 사무실" 또는 "기업" 무선 네트워크 유형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희박" 또는 "밀집" 무선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단일 고정 세트의 로밍 파라미터들을 사용하기보다는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기 위해 결정된 유형/특성을 사용할 수 있다. 변화될 수 있는 로밍 파라미터들은 "스캔" 한계치 및 "로밍" 한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인 로밍 파라미터들은 로밍의 빈도, 로밍할 때 연속적인 탐색들 사이의 시간 간격, 각각의 로밍 탐색 동안 탐색된 액세스 포인트들의 개수,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각각의 탐색을 위한 시간, 데이터 트래픽이 발생할 때 탐색을 위한 시간 지연, 및 이동 무선 디바이스의 상태(예컨대, 유휴 또는 능동)를 포함할 수 있다. 로밍 파라미터들은 고 성능 레벨을 제공하기 위해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그리고 배터리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덜 빈번한 탐색을 위한 빠른 응답성 탐색들을 달성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로밍 파라미터들은 또한 데이터 전송속도 중단을 최소화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사용된 로밍 파라미터들은 사용된 무선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상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단일 액세스 포인트(104)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 "희박" 무선 네트워크 또는 "홈" 무선 네트워크에 대해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을 덜 빈번하게 탐색하고 이들로 로밍하도록 그리고 다중 액세스 포인트(104) 무선 네트워크, "밀집" 무선 네트워크 또는 "기업" 무선 네트워크에서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을 더 빈번하게 탐색하고 이들로 로밍하도록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과거 로밍의 이력에 기초하여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킬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로밍에 적합한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가 탐색을 위해 얼마나 빈번하게 탐지되는지에 기초하여 로밍 성공률을 결정할 수 있다. 낮은 로밍 성공률(예컨대, < 50%) 및/또는 반복된 실패 탐색들의 이력은 로밍 한계치들이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을 너무 자주 탐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는 것 또는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로 스위칭하기 위한 한계치가 너무 높을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매우 높은 로밍 성공률(예컨대, >95%) 및/또는 반복된 성공 탐색들의 이력은 로밍 한계치들이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을 너무 드물게 탐색하도록 설정되었다는 것 또는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로 스위칭하기 위한 한계치가 너무 낮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대략 75% 내지 95%의 로밍 성공률을 달성하도록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킬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또한,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104)와 "이전의" 액세스 포인트(104) 사이에서 성공적으로 로밍할 때 수신 신호 강도(502)에서의 차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수신 신호 강도(502)에서의 차이가 너무 높을 때, 로밍 파라미터들은 너무 보수적으로 설정될 수 있지만, 수신 신호 강도(502)에서의 차이가 너무 낮을 때, 로밍 파라미터들은 너무 공격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20 dB 미만의 수신 시호 강도에서의 측정된 차이를 달성하도록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킬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하나 이상의 디폴트 세트들의 로밍 파라미터들, 예컨대 단일 액세스 포인트(104)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한 세트의 로밍 파라미터들, 및 "다중" 액세스 포인트(104)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한 세트의 로밍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떠한 세트의 로밍 파라미터들을 사용할지에 대한 선택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현재 연결되어 있거나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스위칭되어 연결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유형의 추정치에 기초하여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에 의해 자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의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유형의 표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식별자(예컨대, SSID를 가짐)를 위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각각의 세트의 디폴트 로밍 파라미터들은 특정한 무선 네트워크 유형에 대해,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을 탐색하는 빈도 및 이들로 스위칭하는 용이함과 같은 한 세트의 로밍 거동 특성들을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또한, 예컨대 SSID 및 연관된 BSSID(들)에 의해 조직된, 무선 네트워크들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유지된 각각의 특정한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킬 수 있다.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프로파일이 유지될 수 있다. 이전에 식별된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할 때,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프로파일을 검색할 수 있으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한 세트의 로밍 파라미터들을 선택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로밍 파라미터들은 원하는 레벨의 로밍 특성들을 유지하기 위해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에 의해 계속해서 적응될 수 있으며 향후 사용을 위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의 속성들은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에 의해 추정될 수 있다.
도 10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에서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1000)을 예시한다. 단계(1002)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액세스 포인트(104)로의 현재 연결(또는 연관)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유형을 검출한다. 단계(1004)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104)의 SSID가 무선 주파수 대역당 단일 BSSID와 연관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SID가 무선 주파수 대역당 고유의 단일 BSSID와 연관될 때, 단계(1006)에서의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에 대해 덜 빈번하게 스캔하고 이로 로밍하기 위해 로밍 파라미터들을 조정한다. SSID가 무선 주파수 대역당 하나 초과의 BSSID와 연관될 때, 단계(1008)에서의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 더 빈번하게 스캔하며 이들로 로밍하기 위해 로밍 파라미터들을 조정한다. 무선 네트워크 유형은 서비스 세트 식별자 및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연관된 고유 기본 세트 서비스 식별자들의 개수에 의해 특성화된다.
도 11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에서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다른 대표적인 방법(1100)을 예시한다. 단계(1002)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액세스 포인트(104)로의 현재 연결(또는 연관)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유형을 검출한다. 단계(1004)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104)의 SSID가 무선 주파수 대역당 단일 BSSID와 연관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SID가 무선 주파수 대역당 고유의 단일 BSSID와 연관될 때,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단계(1102, 1104, 1106)들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한다. 단계(1102)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수신 신호 강도 한계치(502)를 감소시킨다. 수신 신호 강도 한계치(502)는 어떤 레벨의 수신 신호 강도 - 그 레벨 아래에서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을 탐색함 - 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단계(1104)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수신 신호 강도 차이 한계치를 증가시킨다. 수신 신호 강도 차이 한계치는, 연결을 스위칭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가 얼마나 훨씬 더 높은 수신 신호 강도에 있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단계(1106)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에 대한 연속적인 탐색들을 위한 스캔 시간 간격을 증가시킨다. 단계(1102, 1104, 1106)들 중 하나 이상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조정된 로밍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단계(1114)에서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에 대해 덜 빈번하게 스캔하고 이들로 로밍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SID는 무선 주파수 대역당 고유의 단일 BSSID와 연관되지 않을 때,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단계(1108, 1110, 1112)들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한다. 단계(1108)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수신 신호 강도 한계치(502)를 증가시킨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또한 단계(1110)에서 수신 신호 강도 차이 한계치를 감소시킨다. 단계(1112)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에 대한 연속적인 탐색들을 위한 스캔 시간 간격을 감소시킨다. 단계(1108, 1110, 1112)들 중 하나 이상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조정된 로밍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단계(1114)에서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에 대해 더 빈번하게 스캔하고 이들로 로밍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2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에서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또 다른 대표적인 방법(1200)을 예시한다. 단계(1002)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현재 연결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유형을 결정한다. 단계(1004)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현재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104)에 대한 SSID가 무선 주파수 대역당 단일의 고유 BSSID를 갖는지 여부를 시험한다. SSID가 무선 주파수 대역당 고유의 단일 BSSID와 연관될 때, 단계(1202)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사용 중인 현재 무선 주파수 채널이 하위 무선 주파수 대역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현재 무선 주파수 채널이 하위 무선 주파수 대역에 있을 때, 단계(1204)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현재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가 제1 미리 결정된 한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현재 무선 주파수 채널 RSSI가 제1 미리 결정된 한계치를 초과할 때,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단계(1206)에서, 상위 무선 주파수 대역에서의 대안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해 스캔하고 이로 로밍한다. 현재 무선 주파수 채널이 하위 무선 주파수 대역에 없을 때(즉, 상위 무선 주파수 대역에 있을 때),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단계(1208)에서, 현재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가 제2 미리 결정된 한계치 아래로 떨어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현재 무선 주파수 채널 RSSI가 제2 미리 결정된 한계치 아래로 떨어질 때,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단계(1210)에서, 하위 무선 주파수 대역에서의 대안 무선 주파수 채널에 대해 스캔하며 이로 로밍한다.
도 12에 개괄된 방법(1200)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이중 무선 주파수 대역 액세스 포인트(104)에 더 가깝게 위치될 때 상위 무선 주파수 대역을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104)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위치될 때 하위 무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게 할 수 있다. 하위 라디오 채널 주파수들에서의 송신은, 보다 좁은 영역 커버리지를 갖고서 보다 높은 전송속도 레이트들을 제공할 수 있는 상위 라디오 채널 주파수들에서의 송신보다 더 낮은 전송속도 레이트들을 가질지라도, 보다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미리 결정된 한계치와 제2 미리 결정된 한계치 사이에서의 차이는 10 dB보다 더 크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하위 무선 주파수 대역은 2.4 GHz 무선 주파수 대역이며, 상위 무선 주파수 대역은 5.0 GHz 무z선 주파수 대역이다.
도 13은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에 대한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1300)을 예시한다. 단계(1302)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연결되어 있는 현재 액세스 포인트(104)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검색한다. 단계(1304)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현재 액세스 포인트(104)에 대한 검색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에 대한 하나 이상의 로밍 파라미터들을 선택한다. 단계(1306)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에 대해 스캔한다. 단계(1308)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하나 이상의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1310)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유형을 결정한다. 단계(1312)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에 대한 수신된 정보 및 결정된 무선 네트워크 유형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단계(1314)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현재 액세스 포인트(104)에 대한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 유형은 적어도 "무선 주파수 대역당 SSID당 단일 BSSID" 유형 및 "무선 주파수 대역당 SSID당 다중 BSSID" 유형을 포함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대역당 SSID당 다중 BSSID" 유형은 "무선 주파수 대역당 SSID당 2개의 BSSID" 유형 및 "무선 주파수 대역당 SSID당 2개 초과의 BSSID" 유형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 14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에 대한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방법(1400)을 예시한다. 단계(1402)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하나 이상의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로부터 SSID 및 BSSID를 수신한다. 각각의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는 적어도 SSID 및 BSSID를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에 제공한다. 단계(1404)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가 현재 연결되어 있고 이전에 연결되었던 한 세트의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한 SSID와 연관된 BSSID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 단계(1406)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단계(1408)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에 대한 로밍 파라미터들의 초기 세트를 선택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정보를 검색한다. 단계(1410)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대안 액세스 포인트(104)들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로밍 파라미터들을 업데이트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무선 주파수 대역당 SSID와 연관된 BSSID의 개수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의 각각의 SSID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환경 유형을 분류한다. 네트워크 환경 유형은 양의 정수보다 작거나 같은 BSSID의 개수를 갖는 "희박" 환경 유형 및 양의 정수보다 큰 BSSID의 개수를 갖는 "밀집" 환경 유형을 포함한다. 이동 무선 디바이스(102)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있는 현재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분류화에 기초하여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킨다.
설명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태양들, 실시예들, 구현들 또는 특징부들이 별개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태양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설명된 실시예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명명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시하기 위해 특정 상세 사항들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 실시예들의 상기 설명들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제공된다. 이들은 망라하려고 하거나 실시예들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들로 제한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다. 많은 수정들 및 변형들이 상기 교시들에 비추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설명된 실시예들의 이점은 많다. 상이한 태양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하기의 이점들 중 하나 이상을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의 많은 특징들 및 이점들은 기재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며,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본 발명의 모든 그러한 특징들 및 이점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다수의 수정들 및 변화들이 당업자에게 쉽게 일어날 것이므로, 실시예들은 예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은 정확한 구성 및 동작으로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모든 적합한 수정들 및 등가물들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서 재분류될 수 있다.

Claims (25)

  1.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서 로밍을 적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유형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무선 네트워크 유형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로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유형은 서비스 세트 식별자(service set identifier) 및 무선 주파수 대역당 상기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연관된 고유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들의 개수에 의해 특성화되고,
    상기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연관된 상기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들의 개수가 무선 주파수 대역당 1일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로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 덜 빈번하게 스캔하고 이들로 로밍하게 하며;
    상기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연관된 상기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들의 개수가 무선 주파수 대역당 1 초과일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로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 더 빈번하게 스캔하고 이들로 로밍하게 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 신호 강도 한계치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 덜 빈번하게 스캔하도록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신호 강도 한계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 더 빈번하게 스캔하도록 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액세스 포인트의 수신 신호 강도가 상기 수신 신호 강도 한계치 아래로 떨어질 때,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연결할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을 탐색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 신호 강도 차이 한계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로 덜 빈번하게 로밍하도록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신호 강도 차이 한계치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로 더 빈번하게 로밍하도록 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대안 액세스 포인트의 수신 신호 강도와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수신 신호 강도 사이에서의 차이가 상기 수신 신호 강도 차이 한계치를 초과할 때,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대안 액세스 포인트로 로밍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검출된 무선 네트워크 유형에 기초하여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연속적인 스캔들 사이의 시간 간격을 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유형을 검출하는 단계는,
    질의 요청(query request)을 송신하는 단계; 및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질의 응답들 - 각각의 질의 응답은 상기 대안 액세스 포인트의 상기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포함함 - 을 청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삭제
  8.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서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현재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될 때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현재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저장된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상기 현재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상기 검색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하나 이상의 로밍 파라미터들을 선택하는 단계;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 스캔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탐지된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탐지된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탐지된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상기 수신된 정보 및 상기 결정된 무선 네트워크 유형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상기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유형은 무선 주파수 대역당 서비스 세트 식별자 유형당 적어도 단일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 및 무선 주파수 대역당 서비스 세트 식별자 유형당 다중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대역당 서비스 세트 식별자 유형당 다중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는 무선 주파수 대역당 서비스 세트 식별자 유형당 2개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들, 및 무선 주파수 대역당 서비스 세트 식별자 유형당 2개 초과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하는 단계는 수신 무선 주파수 채널을 변경하고 상기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신된 무선 주파수 비콘들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 수동적으로 스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하는 단계는 특정 서비스 세트 식별자 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갖는 요청을 송신하고 후속적으로 매칭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갖는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의 응답들을 청취함으로써 상기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 능동적으로 스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이동 무선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의 로밍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액세스 포인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이용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 주기적으로 스캔하고,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 정보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검색하며,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연관된 다수의 개별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상기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로밍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고,
    대안 액세스 포인트로의 로밍을 위한 로밍 성공률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로밍 성공률에 기초하여 상기 로밍 파라미터들을 동적으로 조정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90% 미만의 로밍 성공률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로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연결된 현재 액세스 포인트와 최고 수신 신호 강도를 갖는 상기 이용가능한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서의 수신 신호 강도에서의 측정된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로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수신 신호 강도에서의 측정된 차이를 20% 미만으로 달성하기 위해 상기 로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이동 무선 디바이스.
  17.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서 로밍을 적응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적어도 각각의 대안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서비스 세트 식별자 및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포함한 정보를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현재 연결되어 있고 이전에 연결되었던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한 서비스 세트 식별자들과 연관된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들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로밍 파라미터들의 초기 세트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로밍 파라미터들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연관된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각각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환경 유형 - 상기 무선 네트워크 환경 유형은 양의 정수보다 작거나 같은 다수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들을 갖는 희박 환경(sparse environment) 및 상기 양의 정수보다 큰 다수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들을 갖는 밀집 환경(dense environment)을 포함함 - 을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연결된 현재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상기 분류된 무선 네트워크 환경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현재 액세스 포인트가 희박 환경에 있을 때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로의 로밍의 빈도를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액세스 포인트가 밀집 환경에 있을 때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로의 로밍의 상기 빈도를 증가시키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성공적인 로밍의 빈도를 75% 내지 95%의 범위에서 달성하고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연결된 현재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가장 최근에 연결되었던 이전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서의 수신 신호 강도에서의 차이를 20 dB 미만으로 달성하도록 상기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로밍 파라미터들은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 중인 무선 주파수 대역에 의존하는, 방법.
  2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하는 단계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갖는 요청을 송신하고 후속적으로 임의의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의 응답들을 청취함으로써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 능동적으로 스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이동 무선 디바이스가, 대안 액세스 포인트들로의 성공적인 로밍의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로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24. 삭제
  25. 삭제
KR1020147017329A 2011-12-08 2012-10-04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동 디바이스 로밍을 개선하기 위한 메커니즘 KR101599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15,144 US9026099B2 (en) 2011-12-08 2011-12-08 Mechanisms to improve mobile device roaming in wireless networks
US13/315,144 2011-12-08
PCT/US2012/058619 WO2013085610A1 (en) 2011-12-08 2012-10-04 Mechanisms to improve mobile device roaming in wireless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644A KR20140094644A (ko) 2014-07-30
KR101599171B1 true KR101599171B1 (ko) 2016-03-02

Family

ID=48572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7329A KR101599171B1 (ko) 2011-12-08 2012-10-04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동 디바이스 로밍을 개선하기 위한 메커니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026099B2 (ko)
EP (1) EP2789193B1 (ko)
JP (1) JP5978547B2 (ko)
KR (1) KR101599171B1 (ko)
CN (1) CN103999511B (ko)
IN (1) IN2014CN02453A (ko)
TW (1) TWI488517B (ko)
WO (1) WO20130856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8627B2 (en) 2005-09-29 2015-07-21 Ipass Inc. System and method for actively characterizing a network
US9167053B2 (en) 2005-09-29 2015-10-20 Ipass Inc. Advanced network characterization
KR101578137B1 (ko) * 2010-02-02 201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기종 시스템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JP5882760B2 (ja) * 2011-03-10 2016-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640131A1 (en) * 2012-03-14 2013-09-18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the propagation of ad-hoc networks
US9320076B2 (en) * 2012-04-06 2016-04-19 Suitable Technologies, Inc. System for wireless connectivity continuity and quality
US9307568B2 (en) 2012-04-06 2016-04-05 Suitable Technologies, Inc. System for wireless connectivity continuity and quality
US20130279473A1 (en) 2012-04-06 2013-10-24 Suitable Technologies, Inc. Method for wireless connectivity continuity and quality
WO2013152360A1 (en) 2012-04-06 2013-10-10 Suitable Technologies, Inc. System for wireless connectivity continuity and quality
US20130343344A1 (en) * 2012-04-06 2013-12-26 Suitable Technologies, Inc. Method for wireless connectivity continuity and quality
US20130279487A1 (en) * 2012-04-06 2013-10-24 Suitable Technologies, Inc. System for wireless connectivity continuity and quality
US20130279479A1 (en) 2012-04-06 2013-10-24 Suitable Technologies, Inc. Method for wireless connectivity continuity and quality
US20130265885A1 (en) 2012-04-06 2013-10-10 Suitable Technologies, Inc. Method for wireless connectivity continuity and quality
US20130279411A1 (en) * 2012-04-06 2013-10-24 Suitable Technologies, Inc. Method for wireless connectivity continuity and quality
US20130279472A1 (en) 2012-04-06 2013-10-24 Suitable Technologies, Inc. System for wireless connectivity continuity and quality
US9320074B2 (en) 2012-04-06 2016-04-19 Suitable Technologies, Inc. Method for wireless connectivity continuity and quality
US9344935B2 (en) * 2012-04-06 2016-05-17 Suitable Technologies, Inc. System for wireless connectivity continuity and quality
US8767862B2 (en) 2012-05-29 2014-07-01 Magnolia Broadband Inc. Beamformer phase optimization for a multi-layer MIMO system augmented by radio distribution network
US20130337850A1 (en) * 2012-06-18 2013-12-19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Power consumption in a cellular device with enhanced idle mode signal reduction using dual standby
US20160164976A1 (en) 2012-09-24 2016-06-09 Suitable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presence
US9717005B2 (en) * 2012-11-21 2017-07-25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Schemes for connecting to wireless network
US9191874B2 (en) * 2012-12-31 2015-11-17 Ipass Inc. Advanced network characterization and migration
US9343808B2 (en) 2013-02-08 2016-05-17 Magnotod Llc Multi-beam MIMO time division duplex base station using subset of radios
US8797969B1 (en) 2013-02-08 2014-08-05 Magnolia Broadband Inc. Implementing 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U MIMO) base station using single-user (SU) MIMO co-located base stations
US9155110B2 (en) 2013-03-27 2015-10-06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co-located and co-channel Wi-Fi access points
US20140226740A1 (en) 2013-02-13 2014-08-14 Magnolia Broadband Inc. Multi-beam co-channel wi-fi access point
US8989103B2 (en) 2013-02-13 2015-03-24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 attenuation of preamble reception in co-located WI FI access points
US9100968B2 (en) 2013-05-09 2015-08-04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cancellation scheme with multi-beam
US9425882B2 (en) 2013-06-28 2016-08-23 Magnolia Broadband Inc. Wi-Fi radio distribution network stations and method of operating Wi-Fi RDN stations
US8995416B2 (en) 2013-07-10 2015-03-31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co-channel access of neighboring access points
US9497781B2 (en) 2013-08-13 2016-11-15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co-located and co-channel Wi-Fi access points
US9088898B2 (en) * 2013-09-12 2015-07-21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cooperative scheduling for co-located access points
US9060362B2 (en) 2013-09-12 2015-06-16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n occupied Wi-Fi channel by a client using a nulling scheme
EP2854453A1 (en) * 2013-09-29 2015-04-01 SITILabs - I&D em Sistemas e Tecnologias Informáticas Method and apparatus for ranking visited networks
US9172454B2 (en) 2013-11-01 2015-10-27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ng a transceiver array
US8891598B1 (en) 2013-11-19 2014-11-18 Magnolia Broadband Inc. Transmitter and receiver calibration for obtaining the channel reciprocity for time division duplex MIMO systems
US8942134B1 (en) 2013-11-20 2015-01-27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registration in a multi-beam system
US9716995B2 (en) * 2013-11-22 2017-07-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adjusting roaming parameters
US9294177B2 (en) 2013-11-26 2016-03-22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 and receive antenna patterns calibration for time division duplex (TDD) systems
US9014066B1 (en) 2013-11-26 2015-04-21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 and receive antenna patterns calibration for time division duplex (TDD) systems
US9042276B1 (en) 2013-12-05 2015-05-26 Magnolia Broadband Inc. Multiple co-located multi-user-MIMO access points
KR20150074545A (ko) * 2013-12-24 2015-07-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 블루투스 연결 단말기 위치 판단방법
US9686302B2 (en) * 2013-12-30 2017-06-20 Anchorfree,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ity and quality assessment of wireless access points
US9763099B2 (en) * 2013-12-30 2017-09-12 Anchorfree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ity and quality assessment of wireless access points
US10306584B2 (en) * 2014-02-24 2019-05-28 Intel IP Corporation User equipment,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method to determine the mobility of user equipment in a long-term evolution network
US9172446B2 (en) 2014-03-19 2015-10-27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parse explicit sounding by implicit data
US9100154B1 (en) 2014-03-19 2015-08-04 Magnolia Broadband Inc. Method and system for explicit AP-to-AP sounding in an 802.11 network
US9271176B2 (en) 2014-03-28 2016-02-23 Magnolia Broadband Inc. System and method for backhaul based sounding feedback
US9253620B2 (en) 2014-05-09 2016-02-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wireless transceiver discovery using re-allocated scan times
KR20150136900A (ko) * 2014-05-28 2015-12-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무선랜 망에서 무선 액세스포인트간 로밍을 위한 로밍 파라미터 설정 장치 및 방법
WO2015199754A1 (en) 2014-06-24 2015-12-30 Ruckus Wireless, Inc. Provisioning radios associated with acess points for testing a wireless network
JP6365017B2 (ja) 2014-06-30 2018-08-01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9608864B2 (en) * 2014-10-29 2017-03-2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Network control
US9560579B2 (en) 2014-12-02 2017-01-31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roaming with coexisting radio access technologies
US9992775B2 (en) * 2015-01-30 2018-06-05 Qualcomm Incorporated Band preference in wireless networks
US10225771B2 (en) * 2015-02-27 2019-03-05 Blackberry Limite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when oper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788269B2 (en) * 2015-03-20 2017-10-10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on of an access poi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9351219B1 (en) * 2015-03-21 2016-05-24 Juniper Network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roaming patterns of mobile devices within wireless networks
US11543487B2 (en) 2015-06-09 2023-01-03 Nokia Technologies Oy Causing performance of an active scan
US9749942B2 (en) * 2015-07-15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Wi-Fi power saving based on coarse motion classification information
JP6584210B2 (ja) * 2015-08-10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10038995B2 (en) 2015-09-02 2018-07-31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wi-fi channel maps for dense access point environments
US9986492B2 (en) * 2015-09-02 2018-05-29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Wi-Fi roaming thresholds for dense access point environments
RU2713749C2 (ru) * 2015-11-12 2020-02-07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Настраиваемый алгоритм перехода, использующий классификацию движения и состояние пациента
CN105873181A (zh) * 2015-12-03 2016-08-17 乐视移动智能信息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终端无线漫游的扫描方法及相应的终端
US20180049077A1 (en) * 2016-01-07 2018-02-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Enabling Deployment Information Controlled Connection Procedures in a Wireless Network
US9813659B1 (en) 2016-05-11 2017-11-07 Drone Racing League, Inc. Diversity receiver
EP3457756B8 (en) 2016-05-31 2021-06-16 Honor Device Co., Ltd. Access point switch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05916180B (zh) * 2016-05-31 2019-03-26 武汉理工大学 一种具有移动速率自适应的快速二层切换方法
US10244464B2 (en) * 2016-11-04 2019-03-2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non-optimal roaming of a client device
CN106686626B (zh) * 2016-12-07 2019-04-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WiFi漫游的设置方法及终端设备
DE102016124179A1 (de) * 2016-12-13 2018-06-14 Intel Corporatio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rahtlosen Kommunikation
US10390273B2 (en) * 2017-02-10 2019-08-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oaming between network access points based on dynamic criteria
US10455485B2 (en) * 2017-04-28 2019-10-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requency scan in Narrow Band—Internet of Things (NB-IoT) systems
US10737781B2 (en) 2017-09-14 2020-08-11 Drone Racing League, Inc. Three-dimensional pathway tracking system
US11039387B2 (en) * 2018-01-22 2021-06-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on of optimal access points
CN110475248A (zh) * 2018-05-10 2019-11-19 中国移动通信集团浙江有限公司 一种无线网络架构及无线网络接入方法
US10511931B1 (en) * 2018-05-25 2019-12-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cting movement of a computing device based on wireless access point signal strength data and adaptive thresholds
CN109687922B (zh) * 2018-12-21 2021-07-0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网络的信号监控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US10863400B1 (en) * 2019-09-27 2020-12-08 Juniper Networks, Inc. Wireless terminal roaming
CN111314900B (zh) * 2020-03-23 2022-08-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连接方法、无线连接装置及移动终端
CN113596864B (zh) * 2020-04-30 2023-08-22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漫游引导方法、装置、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730399B2 (en) * 2020-08-04 2023-08-22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s and methods to visualize roaming patient monitors
CN112492521B (zh) * 2020-11-05 2023-08-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WiFi漫游的触发条件确定方法及装置、移动终端、存储介质
WO2022141000A1 (zh) * 2020-12-28 2022-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切换方法、终端设备及接入点设备
CN112954774B (zh) * 2021-01-29 2022-11-18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Wi-Fi网络的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115357B (zh) * 2021-03-17 2022-12-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线信号测量方法、无线信号测量装置及存储介质
CN114007248B (zh) * 2021-09-16 2022-12-27 荣耀终端有限公司 Wi-Fi漫游的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37626A1 (en) * 2006-12-01 200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wlan in portable terminal
US20110026492A1 (en) * 2008-04-03 2011-02-03 Pal Frenger Method and Arrangement for Handling Handover Related Parameters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2392A1 (de) * 2001-08-30 2003-03-20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Digitales Hausnetzwerk und Verfahren zur Zuordnung drahtloser Endgeräte zu Basisstationen
KR20050039302A (ko) 2003-10-24 2005-04-29 주식회사 케이티 Ap 기반의 무선랜 접속 환경 제공 시스템 및 무선 ip단말의 동작 방법
US7383046B2 (en) 2005-02-04 2008-06-03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points to assist in a handoff decision in a wireless environment
US20060193299A1 (en) * 2005-02-25 2006-08-31 Cicso Technology, Inc., A California Corporation Location-based enhancements for wireless intrusion detection
US20070129084A1 (en) * 2005-12-05 2007-06-07 Nortel Networks Limited Creating and recognizing user-defined locations using communication terminals
US7948953B2 (en) * 2005-12-19 2011-05-24 Aruba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the same service set identifier for different basic service sets
US20070147317A1 (en) * 2005-12-23 2007-06-28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fferentiated network service in WLAN
US20070260711A1 (en) 2006-03-04 2007-11-08 Parag Gupta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station device to access an enterprise network
JP4557962B2 (ja) * 2006-12-28 2010-10-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20080194253A1 (en) * 2007-02-12 2008-08-14 Bandrich Inc. Search method of a roaming service
US8811349B2 (en) * 2007-02-21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node search procedure
JP5059126B2 (ja) * 2007-12-18 2012-10-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の検索方法、検索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端末装置
US8036660B2 (en) 2008-01-24 2011-10-11 Avaya Inc. Call-handling for an off-premises, telecommunications terminal with an installed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8559298B2 (en) 2008-06-30 2013-10-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handover optimization
US20100026885A1 (en) * 2008-08-04 2010-02-0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5097052B2 (ja) * 2008-08-21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8014354B2 (en) * 2008-10-17 2011-09-06 Intermec Ip Corp. Dynamically configured wireless communications, for example, in automatic data collection environment
US9693390B2 (en) * 2009-06-01 2017-06-2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to manage a mobile device based on network density
JP2011049787A (ja) * 2009-08-26 2011-03-10 Ne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US8838097B2 (en) * 2011-03-01 2014-09-1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for better service reselection when on other than the most preferred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37626A1 (en) * 2006-12-01 200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wlan in portable terminal
US20110026492A1 (en) * 2008-04-03 2011-02-03 Pal Frenger Method and Arrangement for Handling Handover Related Parameters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89193A4 (en) 2015-08-19
JP2015505188A (ja) 2015-02-16
US9026099B2 (en) 2015-05-05
TW201330666A (zh) 2013-07-16
TWI488517B (zh) 2015-06-11
KR20140094644A (ko) 2014-07-30
JP5978547B2 (ja) 2016-08-24
WO2013085610A1 (en) 2013-06-13
EP2789193B1 (en) 2017-03-01
IN2014CN02453A (ko) 2015-06-19
US20130150012A1 (en) 2013-06-13
CN103999511A (zh) 2014-08-20
CN103999511B (zh) 2018-06-22
EP2789193A1 (en)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171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동 디바이스 로밍을 개선하기 위한 메커니즘
US10912088B2 (en) Band preference in wireless networks
EP3417645B1 (en) Techniques for handling data stall in wlan
US10050343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CN108235395B (zh) 一种实现无线终端在wlan中跨信道漫游切换的方法
US9137727B2 (en) Controlled client roaming
EP31896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handoff
US200800750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ast roaming
US20070217383A1 (en) Wireless LAN mobile station, wireless LAN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of controlling handover
US11272433B2 (en) Frequency scanning in wireless networks
US20200119802A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20140024323A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20120005543A (ko) 무선 노드 검색 프로시저
JP2010504049A (ja) 混在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干渉管理及び/又は電力制御に関連する方法及び装置
EP2572532B1 (en) Multi-band handover via an adaptive handover threshold
US20180241450A1 (en) Access point controlled steering of wireless stations
US86003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quality of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3747545B (zh) 终端设备和智能选网的方法
JP2001197537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接続基地局セクタ制御方法および移動局装置
CN116266934A (zh) 小区驻留方法、信息发送方法及设备
CN117296380A (zh) 通信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