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703B1 - Assistant system for recovery On-board signal device - Google Patents

Assistant system for recovery On-board signa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703B1
KR101598703B1 KR1020140095897A KR20140095897A KR101598703B1 KR 101598703 B1 KR101598703 B1 KR 101598703B1 KR 1020140095897 A KR1020140095897 A KR 1020140095897A KR 20140095897 A KR20140095897 A KR 20140095897A KR 101598703 B1 KR101598703 B1 KR 101598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ailure
door
signaling device
rail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8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14185A (en
Inventor
김효민
임창희
김광준
이종성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5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703B1/en
Publication of KR20160014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1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7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 차상 신호장치의 고장이 발생했을 시, 상기 차상 신호장치의 초기화를 진행함에 있어서 고장 발생 동안 차량의 이동 및 차량의 출입문 개폐 유무를 감지하여 차량의 위치와 승객의 선로 변으로 탈출 유무를 판단한 후, 무인 자동운전을 지속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차상 신호장치 복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cting a failure of a railway vehicle signaling device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a vehicle and the opening / closing of a doorway of a vehicle during the occurrence of a failure in the initialization of the onboard signal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board signaling device recovery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capable of ensuring the safety of a passenger by continuing unattended automatic operation afte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n-

Description

철도차량용 차상 신호장치 복구 시스템{Assistant system for recovery On-board signal devi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very system for an on-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차상 신호장치 복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 차상 신호장치의 고장이 발생했을 시, 상기 차상 신호장치의 초기화를 진행함에 있어서 고장 발생 동안 차량의 이동 및 차량의 출입문 개폐 유무를 감지하여 차량의 위치와 승객의 선로 변으로 탈출 유무를 판단한 후, 무인 자동운전을 지속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차상 신호장치 복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restoring a vehicle signal device for a railway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mounted signal device recovery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which can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opening and closing of a vehicle, judge whether or not the vehicle has escaped by the passenger's line,

철도차량의 열차운행제어방식과 열차제어를 위한 신호제어시스템 기술은 차량의 형식에 따라 각각의 특성 및 운영에 적합한 여러 형태로 적용되고 있다. 철도차량 신호제어시스템의 기능과 역할은 기존 도시철도나 지하철 시스템과 크게 다르지는 않지만 열차의 위치 검지, 검지한 열차 정보의 전달, 전달된 정보에 따른 제어방식 등이 차량의 무인자동운전 구현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즉, 기존의 철제차륜뿐만 아니라 AGT(Automated Guideway Transit), 모노레일, LIM(Linear Induction Motor), HSST(High Speed Surface Transport) 등 여러 형태의 경전철을 포함하는 철도차량이 운영됨에 따라 레일을 통한 열차검지, 정보전송 및 제어방식이 각각의 경전철 특성에 적합한 방식으로 적용됨을 의미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무인자동운전에 적합한 신호제어시스템 구성이 요구된다.Train control systems for railway vehicles and signal control systems for train control are applied in various forms to suit the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 of each vehicle.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railway vehicle signal control system is not so different from that of the existing urban railway or subway system, but it is suitable for realizing the unmanned automatic operation of the vehicle such as the detection of the position of the train, the transmission of the detected train information, . That is, as a railway vehicle including various types of light railway such as AGT (Automated Guideway Transit), monorail, LIM (Linear Induction Motor) and HSST (High Speed Surface Transport) is operated as well as conventional iron wheels, ,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control systems are applied in a manner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ight rail, but ultimately a signal control system suitable for unmanned automatic operation is required.

철도차량의 신호제어시스템은 지상시스템과 차상시스템으로 크게 구분되고 있으며 무선통신기술을 열차제어에 적용함에 따라 지상에서 차상으로 열차제어의 많은 기능이 옮겨지고 있으며, 상기 차/지상시스템은 ATC(Automatic Train Control) 시스템으로서 ATP(Automatic Train Protection) 서브시스템, ATO(Automatic Train Operation) 서브시스템, ATS(Automatic Train Supervision)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완전한 무인자동운전을 실현한다.The signal control system of a railway car is largely classified into a ground system and an on-board system. As a result of applying radio communication technology to train control, many functions of train control are shifted from the ground to the on- Train Control) system, ATP (Automatic Train Protection) subsystem, ATO (Automatic Train Operation) subsystem and ATS (Automatic Train Supervision) system.

상기 무인자동운전은 열차의 제어를 무인자동운전으로 할 수 있도록 역 부근에서 열차의 정위치 정차 제어, PSD 설비와 연동한 열차출입문 개폐제어지령, 출발제어, 자동회차 및 각종 제어정보를 열차에 전송함과 동시에 열차의 상태정보를 관제실로 전송하고, 비정상 운전정보 발생시 자동열차운행 감시장치로 경고를 전송하여 관제실 관제자의 조치를 요구한다. The unmanned automatic operation is to transmit the train stop position control, the train door opening / closing control command, the start control, the automatic turn control, and various control information to the train in the vicinity of the train so that the train can be controlled by the unmanned automatic operation And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rain to the control room and sends an alarm to the automatic train operation monitoring device when the abnormal oper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to request the action of the control room controller.

또한 열차가 자동이나 ATP 수동 모드로 운행시 차상장치에서 이동권한을 수신할 수 없는 상태임을 감지할 경우, 열차는 자동으로 비상제동된다. 지상장치와 차상장치간 통신이 재개되는 경우, 차상장치는 지상장치로 열차의 현재 위치를 통보한다. 유효한 이동권한이 제공되면 열차는 다시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rain detects that it is unable to receive movement authority from the on-board device in automatic or ATP manual mode, the train is automatically emergency braked. When communication between the ground device and the car is restarted, the onboard device notifies the ground device o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in. If valid mobility rights are provided, the train can proceed again.

도 1은 종래의 차상 신호장치 복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on-vehicle signal device recovery system.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의 차상 신호장치의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 동일한 장치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구성된 차상 신호장치의 이중계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이중계 구성 모두의 고장이 발생하면, 특히 지하구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량 신호 시스템의 고장으로 인해 1개 차량이 역간에 정차하게 된다면 도 1에 도시된 순서와 같이 유지보수 인력이 해당 차량에 접근하여 차량에 직접 조치를 취해야 하므로 전체 노선의 운영중단을 야기할 수 있으며, 차상 신호장치의 복구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차량의 출입문을 개방하고 선로로 탈출할 경우, 인명 안전사고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in a dual system configuration of a dual-purpose vehicle signal device using the same device to enhance the availability of a vehicle signal device for a railway vehicle, if all of the dual system components fail, If one vehicle is stopped between stations due to a failure of the vehicle signal system that may occur in the segment, the maintenance personnel must approach the vehicle and take measures directly on the vehicle as shown in the sequence shown in FIG. 1, And the recovery time of the onboard signaling device becomes long. In addition, if a passenger boarding the vehicle opens the door of the vehicle and escapes to the track, a safety accident of life may occur.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 차상 신호장치의 고장이 발생했을 시, 상기 차상 신호장치의 초기화를 진행함에 있어서 고장 발생 동안 차량의 이동 및 차량의 출입문 개폐 유무를 감지하여 차량의 위치와 승객의 선로 변으로 탈출 유무를 판단한 후, 무인 자동운전을 지속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차상 신호장치 복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nboard signaling device for a railway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recovering a vehicle-mounted on-vehicle signal device for a railway vehicle, which is capable of ensuring the safety of a passenger by continuing unattended automatic operation afte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assenger's escape by detecting the posi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차상 신호장치 복구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 열차 방호장치에 연결되어 타코미터부에서 측정한 차축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차상 신호장치의 고장 발생 시점 이후 차량이 이동한 전체 이동거리를 연산하여 기록하고, 출입문 제어부로부터 출입문 개폐 유무 정보를 수신하여 기록 및 감시하는 감시장치와; 상기 감시장치로부터 출입문 개폐 유무를 수신하여 출입문 개방 기록이 없을 경우 관제소의 원격 명령에 의해 초기화되고, 초기화된 후 상기 감시장치로부터 고장 발생 시점 이후 차량의 이동 거리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현 위치를 획득하는 차상 신호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감시장치로부터 차상 신호장치의 고장 시점 이후에 출입문이 개방된 정보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차상 신호장치는 초기화를 중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restoring a vehicle-mounted signal device for a railway vehicle, the system comprising: A monitoring device for calculating and recording the total movement distance moved and receiving and recording and monitoring presence / absence information of doors and doors from a door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presence / absence of door opening / closing from the monitoring apparatus, initializes by the remote command of the controller when there is no door open record, receives the moving distance information of the vehicle after the occurrence of the failure from the monitoring apparatus, An on-vehicle signal device; Wherein the onboard signaling device stops initialization when receiving information that the door is opened after the time of failure of the onboard signaling device from the monitor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차상 신호 장치의 고장 상황에서 차량의 이동거리, 차량의 이동방향 및 차량 출입문의 개폐 유무를 기록할 수 있으며, 상기 출입문의 개폐유무를 통해 승객이 선로로의 탈출유무를 판단하고, 출입문이 개방되었을 경우 무인 자동운전을 중단시킴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ord the moving distance of the vehicl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door in the failure situation of the onboard signal device, and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escapes to the line through the opening / , An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unmanned automatic operation is stopped to ensure the safety of the passenger.

도 1은 종래의 차상 신호장치 복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차상 신호장치 복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차상 신호장치 복구 시스템의 감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차상 신호장치 복구 시스템의 순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차상 신호장치 복구 시스템을 이용한 차상 신호장치 복구 방법의 구체적인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on-vehicle signal device recovery system.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mounted signal device recovery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nitoring apparatus of a vehicle-mounted signal device recovery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vehicle-mounted signal device recovery system for a railway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pecific operation example of a method of recovering a vehicle signal device using a vehicle signal device recovery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차상 신호장치(10) 복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차상 신호장치(10) 복구 시스템의 감시장치(3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storation system for a railway car signal device 10 for a railway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차상 신호장치(10) 복구 시스템은 차상 신호장치(10)의 이중계(1계, 2계) 모두 고장 시, 상기 차상 신호장치(10)의 고장 발생 시점 이후의 차축 회전수 및 출입문 개폐 유무를 감시 및 기록하는 감시장치(30); 상기 감시장치(30)로부터 출입문 개폐 유무를 수신하여 출입문 개방 기록이 없을 경우 관제소의 원격 명령에 의해 초기화되고, 초기화된 후 상기 감시장치(30)로부터 고장 발생 시점 이후 차량의 이동거리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현 위치를 획득하는 차상 신호 장치(1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system for repairing a railway signaling device 10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repairing a failure of the onboard signaling device 10 when both of the dual systems (first system and second system) A monitoring device (30) for monitoring and record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axle and the opening / closing of a door after the time of occurrence; When there is no door opening / closing record from the monitoring device 30, it is initialized by the remote command of the control station. After the initialization, the moving distanc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device 30 after the occurrence of the failure An onboard signaling device (10) for acquiring a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

상기 감시장치(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축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타코미터부(20)와 차량의 출입문 개폐를 제어하는 출입문 제어부(21)로부터 상기 차상 신호장치(10) 고장 발생 시점 이후의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감시장치(30)는 상기 타코미터부(20)에서 측정한 차륜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차상 신호장치(10)의 고장 발생 시점 이후 차량이 이동한 전체 이동거리를 연산하여 기록하고, 상기 출입문 제어부(21)로부터 출입문 개폐 유무 정보를 수신하여 기록 및 감시한다. 2, the monitoring apparatus 30 includes a tachometer unit 20 for measur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axle and an access door control unit 21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of the vehicle, And receives subsequent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monitoring device 30 calculates and records the total moving distance of the vehicle after the occurrence of the failure of the onboard signaling device 10, us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wheel measured by the tachometer unit 20, And receives and records the door opening / closing presence / absence information from the door control unit (21).

또한 상기 감시장치(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차 자동 제어 장치(ATC, Automatic Train control)의 하부시스템인 자동 열차 방호장치(ATP, Automatic Train Protection)에 연결되어, 화재, 제동시스템의 결함, 차상 설비 신호의 시스템 오류 등과 같은 철도차량의 비정상 상태 발생에 대한 정보를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차상 신호설비의 고장 발생 시점부터의 차량의 이동거리 및 출입문 개폐 유무 정보를 감시할 수 있다.3, the monitoring device 30 is connected to an Automatic Train Protection (ATP), which is a subsystem of an automatic train control (ATC) It is possible to instantaneously detect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of a railway vehicle such as a fault of a vehicle, a system error of a vehicle equipment signal, etc., so that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moving distance of a vehicle from a point of time when a fault of the on- .

이때, 상기 차상 신호장치(10)는 고장 발생 시 관제소의 원격 명령에 의해 초기화되는데, 이때 상기 관제소는 철도차량의 운행을 원격 제어하는 중앙 관제소에 설치된 중앙 관제장치를 포함하며, 지상 제어장치로부터 철도차량에 설치된 차상 신호 장치(10)가 전송하는 철도차량의 운행 상태 정보와 차량 고장 정보를 관제사에게 표시하고, 관제사에 의해 입력된 명령을 차량 제어 명령을 철도차량의 차상 신호장치(10)로 전송하여 초기화를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onboard signaling device 10 is initialized by a remote command of the control station when a fault occurs, wherein the control station includes a central control unit installed in a central control station for remote control of the operation of the railway vehicle, Displays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and the vehicle failure information of the railway car transmitted by the onboard signaling device 10 installed in the vehicle to the controller and transmits a command inputted by the controller to the onboard signaling device 10 of the railway vehicle And performs initialization.

만약 상기 감시장치(30)에서 차상 신호설비 고장 발생 시점 이후, 출입문 제어부(21)로부터 출입문이 개방된 정보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차상 신호장치(10)는 초기화를 수행하지 않으며, 초기화 중 출입문 개방 정보를 수신하였을 경우, 초기화를 중단하고 승객이 대피한 선로로의 정상운행을 방지한다.If the monitoring device 30 receives information that the door is opened from the door controller 21 after the occurrence of a failure of the on-vehicle signaling equipment, the onboard signaling device 10 does not perform initialization, Whe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initialization is stopped and the normal operation of the passenger to the evacuated track is prevented.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차상 신호장치(10) 복구 방법의 구체적인 동작의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specific operation of the method for recovering the on-vehicle signal device 10 for a railway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차상 신호장치(10) 복구 시스템의 순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차상 신호장치(10) 복구 시스템을 이용한 차상 신호장치(10) 복구 방법의 구체적인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flowchart of a vehicle-mounted signal device 10 for a railway ca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pecific operation example of the recovery method of the apparatus 10. FIG.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차상 신호장치(10) 복구 방법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철도차량의 차상 신호장치(10)의 고장 발생 및 상기 철도차량의 정차 단계와; (b) 상기 고장 발생 시점 이후 차량의 위치 이동 및 차량 출입문의 개폐 유무를 감시하고 기록하는 단계와; (c) 상기 고장 발생 시점 이후 차량 출입문 개폐 유무 정보를 수신하여, 출입문 개방 기록이 없을 시 차상 신호장치(10)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d) 상기 차상 신호장치(10)가 초기화된 차량의 현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method for restoring the on-vehicle signal device 10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generating a fault of the on-board signaling device 10 of a railway vehicle and stopping the railway vehicle; (b) monitoring and record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and the opening / closing of the vehicle door after the occurrence of the failure; (c) receiving the vehicle door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after the occurrence of the failure, and initializing the onboard signaling device 10 when there is no door opening record; (d) obtain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on which the onboard signaling device (10) is initialized; .

상기 (a)단계에서는, 철도차량의 차상 신호장치(10)의 고장이 발생했을 시, 상기 차량을 정차하는 단계로, 이때부터 자동 열차 방호장치(ATP, Automatic Train Protection)에 연결된 감시장치(30)가 차상 신호장치(10)의 고장을 감지하여 기능을 수행한다.In step (a),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on-board signaling device 10 of the railway vehicle, the step of stopping the vehicle is performed. Hereinafter, the monitoring device 30 connected to the automatic train protection (ATP) Detects the failure of the onboard signaling device 10 and performs a function.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의 (a)단계에서 차상 신호장치(10)의 고장으로 차량이 정차하게 되면, 타코미터부(20)가 차축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과정과 출입문 제어부(21)가 출입문 개폐 유무를 감시하는 과정이 고장 발생 시점 이후 항시 수행되며, 이를 고장 발생기간 동안 감시장치(30)를 통해 기록하고 감시할 수 있다.In the step (b), when the vehicle stops due to a failure of the onboard signaling apparatus 10 in the step (a), the tachometer unit 20 measure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axle, The process of monitoring whether the door is open or closed is always performed after the occurrence of the failure, and it can be recorded and monitored through the monitoring device 30 during the occurrence of the failure.

상기 (c)단계는에서는, 상기 차상 신호장치(10)의 초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로서, 상기의 감시장치(30)로부터 차상 신호장치(10) 고장 발생 시점 이후에 출입문이 개방된 정보를 수신하면, 차상 신호장치(10)의 초기화는 수행되지 않으며, 기관사의 수동 운전을 대기한다. In the step (c), the initialization of the onboard signaling device 10 is performed. When the monitoring device 30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door open after the occurrence of the failure of the onboard signaling device 10 , The initialization of the onboard signaling apparatus 10 is not performed, and a manual operation of the engineer is awaited.

또한, 상기 감시장치(30)로부터 출입문 개방 정보가 없으면, 차상 신호장치(10)는 관제소에서 관제사의 초기화 명령이 원격으로 수행되며, 초기화가 완료될 때까지 감시장치(30)의 차량 위치이동과 출입문 개폐 유무에 대한 감시는 항시 진행된다.If there is no door opening information from the monitoring device 30, the onboard signaling device 10 performs remote control of the controller in the controller, and moves the vehicle position of the monitoring device 30 until the initialization is completed Surveillance for the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is always ongoing.

이때, 상기 차량 내부의 승객이 출입문을 개방하여 선로로 대피하는 경우, 감시장치(30)를 통해 차상 신호장치(10)에 정보가 전달되고, 즉시 차상 신호장치(10)의 초기화는 중단된다.At this time, when the passenger inside the vehicle opens the door to evacuate to the lin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nboard signaling device 10 through the monitoring device 30, and the initialization of the onboard signaling device 10 is immediately stopped.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c)단계를 통해 초기화가 완료된 차량의 현 위치 를 획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a)단계에서 철도차량의 정차 위치에서 (b)단계의 차상 신호장치(10)의 고장 발생 시점 이후의 차량의 위치 이동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현 위치를 획득한다.In the step (d), acquir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whose initializa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step (c), wherein the step (b)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fter the failure occurrence time of the vehicle, and obtain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철도차량용 차상 신호장치(10) 복구 방법에서는 (e) 차량의 현 위치 획득 후 현 위치에서 최초 지상자까지는 서행하며, 최초 지상자를 검지한 이후부터 정상적으로 운행하는 무인 운전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는 상기 차량의 정확한 위치 확인을 위해 수행되는데, 이를 통해, 차량 내부에서 승객이 선로로의 탈출 유무를 판단하고, 출입문이 개방되었을 경우 무인 자동운전을 중단시킴으로써 인명사고로부터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recovering the on-vehicle signal device 10 for a railway vehicle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e) moving the vehicle from the present position to the first ground box after acquir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 This is performed to confirm the precise posi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has escaped to the line within the vehicle, and to stop the unmanned automatic operation when the door is opened, have.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10 : 차상 신호장치
20 : 타코미터부
21 : 출입문 제어부
30 : 감시장치
10: Onboard signal device
20: Tachometer part
21:
30: Monitoring device

Claims (7)

철도차량용 차상 신호 장치 복구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 열차 방호장치에 연결되어 타코미터부에서 측정한 차축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차상 신호장치의 고장 발생 시점 이후 차량이 이동한 전체 이동거리를 연산하여 기록하고, 출입문 제어부로부터 출입문 개폐 유무 정보를 수신하여 기록 및 감시하는 감시장치와;
상기 감시장치로부터 출입문 개폐 유무를 수신하여 출입문 개방 기록이 없을 경우 관제소의 원격 명령에 의해 초기화되고, 초기화된 후 상기 감시장치로부터 고장 발생 시점 이후 차량의 이동 거리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현 위치를 획득하는 차상 신호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감시장치로부터 차상 신호장치의 고장 시점 이후에 출입문이 개방된 정보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차상 신호장치는 초기화를 중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차상 신호장치 복구 시스템.
A vehicle-mounted signal device recovery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The total travel distance of the vehicle after the occurrence of the failure of the onboard signaling device is calculated and recorded by us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axle connected to the automatic train protection device and the door opening / A monitoring device for recording and monitoring;
The control unit receives a presence / absence of opening / closing of the door from the monitoring device, initializes by the remote command of the controller when there is no door opening record, receives the moving distance information of the vehicle after the occurrence of the failure from the monitoring device, An on-vehicle signal device; , ≪ / RTI >
Wherein the onboard signaling device is configured to stop initialization whe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door is opened after the failure of the onboard signaling device is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95897A 2014-07-28 2014-07-28 Assistant system for recovery On-board signal device KR1015987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897A KR101598703B1 (en) 2014-07-28 2014-07-28 Assistant system for recovery On-board sig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897A KR101598703B1 (en) 2014-07-28 2014-07-28 Assistant system for recovery On-board signa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185A KR20160014185A (en) 2016-02-11
KR101598703B1 true KR101598703B1 (en) 2016-03-02

Family

ID=55351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897A KR101598703B1 (en) 2014-07-28 2014-07-28 Assistant system for recovery On-board signa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703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146B1 (en) * 2008-12-23 2011-03-03 이자영 apparatus for automatic train control in auto train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of motion proccess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185A (en)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78513B (en) Rescue method for unpositioning of unmanned train
CN107856703B (en) Automatic recovery method for positioning of unmanned train
US106185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pecific events related to the movements of a guided vehicle
US20170278319A1 (en) Fault diagnosis apparatus for brake of train and automatic train operation equipment due to the reduction braking performance using the same and fault diagnosis method for brake of train
US11235789B2 (en) Train control system and train control method including virtual train stop
US20130297163A1 (en) Brake Monitoring System for an Air Brake Arrangement
CN108860205B (en) Derailment detection method and device for railway vehicle
WO2014041626A1 (en) Onboard device, on-ground device, and door-control method
US20180105190A1 (en) Method and device for vehicles, which detect the collision of a further vehicle
CN102387952B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the presence of a rail
DK3036146T3 (en) OPERATION OF A SKIN VEHICLE
KR101456534B1 (en) Train control supervision system
KR101357806B1 (en) Train Integrity Monitoring System
JP2007161253A (en) Train traffic control method and train traffic control system
KR101663789B1 (en) Monitoring system for vehicle running information by vibration analysis to predict danger
JP2010259167A (en) Vehicle
KR101598703B1 (en) Assistant system for recovery On-board signal device
JP5236611B2 (en) Open / close door control system for railway vehicles
US10093330B2 (en) Remote locomotive access detection
US11352036B2 (en) Terminal protection apparatus and terminal protection method
KR20080087970A (en) Tester device of cbtc(communication based train control) atc/ato(automatic train control automatic train operation) for magnetic levitation train
US201801182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locking a mechanical gap filler, a guided vehicle door and a platform screen door
KR101792931B1 (en) Tram oper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654352B1 (en) System for Controlling Train Signal for Safe Driving
JPWO2014199491A1 (en) Railway vehicle door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