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879B1 - Touch control method in portable device having large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Touch control method in portable device having large touch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879B1
KR101596879B1 KR1020140089599A KR20140089599A KR101596879B1 KR 101596879 B1 KR101596879 B1 KR 101596879B1 KR 1020140089599 A KR1020140089599 A KR 1020140089599A KR 20140089599 A KR20140089599 A KR 20140089599A KR 101596879 B1 KR101596879 B1 KR 101596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arget window
window
us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5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09298A (en
Inventor
지만석
지현조
Original Assignee
지현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현조 filed Critical 지현조
Priority to KR1020140089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879B1/en
Publication of KR20160009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2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8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터치가 용이한 근거리 영역과 터치가 어려운 원거리 영역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은 터치센서를 통해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원거리 영역 중 대상 윈도우를 정의하는 단계, 정의된 대상 윈도우의 화면을 상기 근거리 영역으로 변위시키는 단계, 대상 윈도우의 변위된 윈도우에 대한 사용자의 중간 터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중간 터치 지점과 변위된 윈도우의 좌표를 매칭하여 연계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display and a touch sensor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wherein the display includes a near area where a user can easily touch and a remote area where a touch is difficult, Detecting a user's touch through a touch sensor, defining a target window of a remote area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touch, displacing a defined window of the target window into the near area, And performing the associated function by matching the coordinates of the displaced window with the intermediate touch point.

Description

대형화면을 갖는 휴대단말기에서의 터치제어방법 {TOUCH CONTROL METHOD IN PORTABLE DEVICE HAVING LARGE TOUCH SCREE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control method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large screen,

본 발명은 대형화면을 갖는 휴대단말기에서 터치입력을 원활히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facilitating touch input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large screen.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패드형 단말기 등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넓은 화면을 요구하면서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도 같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터치 기능을 겸한 디스플레이가 5인치 이상인 제품이 주류이며,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추세는 계속될 전망이다. The use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computers, pad type terminals is increasing, and the display of portable terminals is also increasing as demand for wide screen is increasing. In recent years, products with more than 5 inches of display combined with touch function are the mainstream, and the trend toward larger displays is expected to continue.

하지만, 디스플레이가 5인치보다 작았던 이전에 비해 5인치 이상인 제품을 보면, 한 손으로 원하는 위치에 터치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실제로 성인 남자를 기준으로 한 손으로 휴대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의 모든 위치를 터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However, when viewing a product that is 5 inches or larger than the previous 5 inch display, it was difficult to touch the desired location with one hand. In fact, it is impossible to touch all positions of the display while gripping the portable terminal with a hand based on an adult man.

휴대단말기는 실생활에서 밀접하게 사용되는 물건으로서 한 손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대형 디스플레이를 가진 휴대단말기를 한 손으로 억지로 사용하다가 보면 의도하지 않은 사고가 쉽게 발생할 수가 있다.In many cases, the portable terminal is inevitably used in one hand as a closely used object in a real life. Unexpected accidents can easily occur when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large display is forcibly used with one hand.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의 대형화만 가속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 및 안전을 고려한 인터페이스 개발이나 시스템 개발이 부족한 실정이다.Despite the need for improvement, it is only accelerating the enlargement of the display, and there is a lack of interface development or system development considering user convenience and safety.

본 발명은 한 손으로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정확하면서도 안전하게 터치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control method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an interface that allows a user to precisely and safely touch a desired position with one hand.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터치가 용이한 근거리 영역과 터치가 어려운 원거리 영역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은 터치센서를 통해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원거리 영역 중 대상 윈도우를 정의하는 단계, 정의된 대상 윈도우의 화면을 상기 근거리 영역으로 변위시키는 단계, 대상 윈도우의 변위된 윈도우에 대한 사용자의 중간 터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중간 터치 지점과 변위된 윈도우의 좌표를 매칭하여 연계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display and a touch sensor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wherein the display includes a short range easy to touch by a user and a long range difficult to touch The touch control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sensing a user's touch through a touch sensor, defining a target window of a remote area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touch, , Receiving a middle touch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displaced window of the target window, and executing the associated function by matching the coordinates of the displaced window with the intermediate touch point.

본 명세서에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는 원거리 영역 및 근거리 영역을 포함하며, 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사용자가 단말기를 그립하는 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를 왼손으로 그립하면 디스플레이에서 좌측 하부가 근거리 영역이 되며, 오른손으로 그립하면 디스플레이에서 우측 하부가 근거리 영역이 될 수 있다. 원거리 영역은 근거리 영역을 제외한 상대적인 영역으로서 사용자의 손가락 길이나 운동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remote area and a near area, which are relative to each other, depending on the hand the user grips th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user grips the terminal with his left hand, the lower left portion of the display becomes the near region, and when gripped with the right hand, the lower right portion of the display becomes the near region. The remote area is a relative area excluding the near area, and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finger length or mobility of the user.

대상 윈도우는 원거리 영역 내에서 정의될 수 있는 범위를 가지며, 원거리 영역 전체로 정의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원거리 영역 중 일부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의 터치 위치에 대해 수직선 및 수평선을 가상한다면, 손가락의 바깥 위치 중 수직선의 바깥쪽, 수평선의 바깥쪽(또는 위쪽), 또는 수직선 및 수평선 모두에게 바깥쪽이 대상 윈도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바깥쪽이란 왼손으로 그립한 경우 오른쪽이 되며, 오른손으로 그립한 경우 왼쪽이 된다고 할 수 있다.The target window has a range that can be defined in the remote area and may be defined as a part of the remote area in general, though it may be defined as the entire remote area. For example, if you imagine a vertical line and a horizontal line with respect to the touch position of a finger, the outer window of the finger outside the vertical line, outside (or above) the horizontal line, or outside both the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have. The outer side is the right side when gripping with the left hand, and the left side when gripping with the right hand.

대상 윈도우를 정의한 후, 대상 윈도우의 화면이 근거리 영역으로 변위될 수 있다. 여기서 변위라 함은 크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이동 또는 동기화하는 경우 외에도 확대 또는 축소되면서 동기화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대상 윈도우는 디스플레이 전체를 대상으로 하지 않으며, 그 중 원거리 영역에 있는 일부만 정의하여 변위시킨다는 점에서 종래의 다른 기술과 차별된다고 할 수 있다. After defining the target window, the screen of the target window may be displaced to the near region. Here, the displacement may include a case of moving or synchronizing while maintaining the size, and a case of synchronizing while being enlarged or reduced.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 target window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n that only the part in the remote area is defined and displaced.

본 발명은 위해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특정하여 변위시키고, 변위된 윈도우를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변위된 윈도우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화면 변위로 가까워진 지점을 중간 터치(mid touch)하면, 터치센서에 의한 중간터치 좌표와 디스플레이에서의 좌표를 매칭하여 연계된 기능을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ce the displayed screen and temporarily fix the displaced window in the system or the specific application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When the user touches the point where the user approaches the screen displacement corresponding to the displaced window, the middle touch coordinates by the touch sensor and the coordinates in the display are matched to each other.

따라서, 변위된 윈도우는 그 경계의 크기 및 위치가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그 내부에 표현된 내용은 스크롤을 통해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boundary of the displaced window can be fixed temporarily, and in some cases, the contents expressed therein can be moved through scrolling.

본 발명에 따른 터치제어방법은 시스템 설계자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작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기능 및 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우저 화면에서 손가락이 닿지 않는 부분을 변위할 때도 사용할 수 있으며, 지도나 은행 등의 어플리케이션에서도 손가락이 닿지 않는 부분을 변위할 때도 사용할 수 있고, 전화번호나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서도 사용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휴대단말기에서 구현되는 홈스크린, 설정, 어플리케이션 및 기타 화면에서 제한 없이 적용이 가능하다.The touch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functions and processes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system designer or application maker. For example, you can use it to displace non-touching parts of the browser screen. You can also use it to displace non-finger areas in applications such as maps and banks, or even when entering phone numbers or text. There is a numb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home screens, settings, applications, and other screens implemented in a mobile terminal without limitation.

중간 터치 지점과 변위된 윈도우의 좌표를 매칭하여 목적된 지점의 클릭, 버튼 입력 등과 같은 연계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며, 그 이후 상기 변위된 윈도우를 사라지게 하면서 원래 디스플레이로 복원할 수가 있다. 물론, 복원 이전에 연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화면으로 바로 전환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perform a coordinated function such as clicking a desired point, inputting a button, etc., by matching the coordinates of the middle touch point and the displaced window, and then restore the original display while disappearing the displaced window.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switch directly to another screen to perform the associated functions prior to restoration.

본 발명은 한 손으로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정확하면서도 안전하게 터치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대형화되는 화면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불편 및 사고 가능성을 예방할 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face that allows a user to precisely and safely touch a desired position with a single hand, thereby preventing a user's inconvenience and possibility of an accident occurring due to a large screen.

또한, 변위된 화면에서도 일시적으로 스크롤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터치 목적이 좀 더 편한 위치에 이동하게 하게 더욱 편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temporarily scroll even on the displaced screen,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use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user can move his / her desired touch target to a more convenient position.

대상 윈도우를 결정함에 있어서, 손가락 이동 방향에 따라 대상 윈도우의 형상이나 종류를 전환하게 할 수 있으며, 대상 윈도우 과정에서 직관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determining the target window, the shape or type of the target window can be switched according to the finger moving direction, and intuitive use can be made in the target window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터치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들이다.
1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touch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are front views for explaining a concrete touch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휴대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인터넷 브라우징 기능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브라우징 외에도 기타 설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홈 스크린, 전화번호 입력, 문자 입력 등 휴대단말기에서 터치로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가 있다. Hereinafter, the Internet browsing function implemented in the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imilarly applied to various function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ouch i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other settings, application execution, home screen,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touch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100)는 대형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 상에는 터치센서(미도시)가 제공되며, 일반적으로 터치센서에 의해서 감지된 좌표와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좌표를 매칭하고, 매칭된 지점이 터치된 것으로 감지하여 연계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large-sized display 110. A touch sensor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display 110. In general, the coordinate detected by the touch sensor is matched with the coordinate displayed on the current display, and the matched point is detected as being touched, have.

여기서 연계된 기능이라 하면, 소정의 위치에 정의된 하이퍼링크가 될 수도 있고, 브라우저나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그래픽 버튼(예를 들어, 뒤로 가기, 앞으로 가기, 북마크 등)이 될 수도 있다. Here, the linked function may be a hyperlink defi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r may be a graphic button (for example, backward, forward, bookmark, etc.) provided by a browser or an application.

도 1에서 R-R 라인은 대략 한 손으로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이 닿을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R-R 라인을 넘어서 터치를 하기 위해서는 현재 손이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느슨하게 하여 손가락을 더 멀리 도달하게 하거나 두 손을 모두 이용하여 하나로 잡고 다른 손으로 터치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In FIG. 1, the R-R line may mean a range in which a finger can be touched while holding the terminal 100 with one hand. In order to perform a touch over the R-R line, it is possible to loosen the current gripping state of the hand so that the finger is farther away, or both hands can be used to hold one hand and touch with the other hand.

R-R 라인에서 중심 쪽을 근거리 영역이라 정의할 수 있고, 근거리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원거리 영역이라 정의할 수가 있다.In the R-R line, the center side can be defined as the near region, and the region excluding the near region can be defined as the remote region.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터치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들이다.2 to 5 are front views for explaining a concrete touch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왼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으로 대상 윈도우를 정의하기 위한 터치를 시작할 수 있다. 대상 윈도우를 정의하기 위해 다양한 구분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 이상의 터치로 대상 윈도우 정의를 시작할 수 있고, 일정 회수 이상의 터치로 대상 윈도우의 정의를 시작할 수도 있고, 특정 제스처나 디스플레이 경계로부터의 제스처를 이용하여서도 대상 윈도우의 정의를 시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the user can start a touch for defining a target window with a thumb while grasping with a left hand. Various distinctions can be used to define the target window. For example, you can start defining a target window with a touch over a certain amount of time, start defining a target window with a touch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or start a definition of a target window using a gesture or a gesture from a display boundary have.

도 2의 (b)를 보면, 엄지 손가락이 우측 상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손가락의 터치 위치를 기준으로 우측 상방을 대상 윈도우로 정의할 수 있다. 손가락이 움직이면서 대상 윈도우의 크기 및 가로-세로 비율이 달라 질수가 있다.2 (b), the right upper side can be defined as the target window based on the touch position of the finger while the thumb moves in the direction tilted upward to the right side. As the finger moves, the size and the aspect ratio of the target window can be changed.

물론, 이 외에도 대상 윈도우의 크기나 가로-세로 비율이 미리 결정될 수도 있고, 가로-세로 비율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size and the aspect ratio of the target window may be determined in advance, or the aspect ratio may be maintained to be the same.

대상 윈도우를 정의하는 단계에서, 대상 윈도우의 테두리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대상 윈도우만 선명하고 다른 부분을 어둡거나 흐리게 처리할 수도 있고, 반대로 대상 윈도우만 어둡게 처리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그 경계를 강조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defining the target window, the border of the target window can be emphasized and displayed, and only the target window can be made clear, the other part can be darkened or blurred, or the target window can be darkened, Can be emphasized.

도 2의 (c)를 보면,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터치를 해제하면, 대상 윈도우가 정의되면서 대상 윈도우의 내용이 근거리 영역으로 변위될 수 있다. 변위된 영역은 좌측 하부 모서리가 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중앙부가 될 수도 있다. 변환된 윈도우는 그 내부를 터치 및 이동시킴으로써 통상시와 같이 스크롤이 되도록 할 수가 있다.Referring to (c) of FIG. 2, when the user temporarily releases the touch, the content of the target window may be shifted to the near region while the target window is defined. The displaced area may be the lower left corner, but it may be the center part in some cases. The converted window can be scrolled as usual by touching and moving the inside of the window.

변위된 윈도우에서 사용자는 "Cart" 같이 원거리 영역에 있었던 영역을 터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중간 터치에 의해서 마치 원거리 영역의 "Cart"를 터치한 효과가 발생하게 할 수가 있다. In the displaced window, the user can touch an area that was in the remote area such as "Cart ", and the effect of touching the" Cart "

도 3의 (d)를 보면, 사용자는 대상 윈도우를 정의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의 이동방향을 우상향에서 좌상향으로 전환할 수가 있다. 이 경우, 대상 윈도우는 터치 위치를 기준으로 우상향에서 좌상향의 영역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3 (d), the user can switc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inger from the right upward direction to the left upward direction in the process of defining the target window. In this case, the target window may be switched from the right upward direction to the left upward direction with reference to the touch position.

이는 사용자가 터치하고자 하는 대상을 중간에 바꿀 때도 유용하며, 애초에 원했던 부분이 터치 위치를 기준으로 좌상향인데 잘못 우상향 영역이 대상 윈도우로 나타난 경우 이를 쉽게 전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할 수 있다.This is useful 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object to be touched in the middle, and the desired portion may be useful in that it can be easily switched when the right upward region is displayed as the target window when the desired portion is the left upward with respect to the touch position.

도 3의 (e)를 보면, 사용자가 전환된 방향에서 대상 윈도우를 정의하고 터치를 해제하면, 새롭게 정의된 대상 윈도우를 기준으로 변환된 윈도우가 생성될 수 있다. 변환된 윈도우에서 사용자는 "seller.com"이나 뒤로가기, 앞으로가기 등 다양한 영역을 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3E, when the user defines the target window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is switched and releases the touch, a window converted based on the newly defined target window can be created. In the converted window,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touch various fields such as "seller.com", backward and forward.

이 경우 변환된 윈도우의 위치는, 도 2와 같이 좌측 하부 모서리가 될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하부 중앙부가 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양한 설계 및 프로그램이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converted window may be the lower left corner as shown in FIG. 2, but it may be the central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as shown in FIG. Various designs and programs are possible.

상기 내용은 사용자가 왼손으로 파지한 경우를 가정하였지만, 오른손으로 파지하였다고 가정하면 상기 내용을 좌우 전환하여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assumes that the user grasps with the left hand, assuming that the user grasps with the right hand,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ontents by shifting the contents left and right.

이에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또는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은 변환된 화면의 좌표 및 터치센서에 의한 중간 터치 지점의 좌표를 상호 매칭할 수 있으며, 변환된 화면에서의 좌표와 원래 변환 전 화면의 좌표를 매칭하여 연계된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를 위해서 원래 변화 전 화면의 좌표 및 변환된 경계 좌표를 참조할 수 있으며, 변환 전 좌표와 변환 후 좌표를 매칭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ccordingly, the system or the application system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mutually match the coordinates of the converted screen and the coordinates of the middle touch point by the touch sensor, and the coordinates of the converted screen and the coordinates of the screen before the original conversion are matched Can be performed. For this purpose, it is possible to refer to the coordinates of the screen before the original change and the transformed boundary coordinate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ordinates before transform are matched with those after transform,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중간 터치로 특정되는 변환된 화면의 좌표와 원래 화면에서의 장바구니 아이콘의 위치가 매칭되면, 휴대단말기는 목적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장바구니 아이콘의 기능에 따라 장바구니 화면으로 바로 전환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장바구니에 현재 상품이 담겨 저장되면서 원래 화면으로 다시 복원되는 것도 가능하다. If the coordinates of the converted screen specified by the middle touch are matched with the position of the shopping cart icon on the original screen, the portable terminal can perform the desired function. The shopping cart may be directly switched to the shopping cart screen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shopping cart icon. In some cases, the current shopping cart may be stored and restored to the original screen.

도 4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왼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으로 대상 윈도우를 정의하기 위한 터치를 시작할 수 있다. 대상 윈도우를 정의하기 위해 다양한 구분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 이상의 터치로 대상 윈도우 정의를 시작할 수 있고, 일정 회수 이상의 터치로 대상 윈도우의 정의를 시작할 수도 있고, 특정 제스처나 디스플레이 경계로부터의 제스처를 이용하여서도 대상 윈도우의 정의를 시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the user can start a touch to define a target window with his / her thumb while grasping with the left hand. Various distinctions can be used to define the target window. For example, you can start defining a target window with a touch over a certain amount of time, start defining a target window with a touch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or start a definition of a target window using a gesture or a gesture from a display boundary have.

도 4의 (b)를 보면, 엄지 손가락이 우측으로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손가락의 터치 위치를 기준으로 우측 전체를 대상 윈도우로 정의할 수 있다. 손가락이 움직이면서 대상 윈도우의 폭이 달라 질수가 있다. 4 (b), the entire right side can be defined as the target window based on the touch position of the finger while the thumb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right. As the finger moves, the width of the target window can change.

물론, 이 외에도 대상 윈도우가 우측 중 일부로 정의될 수도 있고, 손가락의 상하 이동이 병합됨에 따라 대상 윈도우의 가로-세로 비율이 달라질 수도 있다.Of course, the target window may be defined as a part of the right side, and the horizontal / vertical ratio of the target window may be changed as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finger is merged.

대상 윈도우를 정의하는 단계에서, 대상 윈도우의 테두리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대상 윈도우만 선명하고 다른 부분을 어둡거나 흐리게 처리할 수도 있고, 반대로 대상 윈도우만 어둡게 처리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그 경계를 강조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defining the target window, the border of the target window can be emphasized and displayed, and only the target window can be made clear, the other part can be darkened or blurred, or the target window can be darkened, Can be emphasized.

도 4의 (c)를 보면,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터치를 해제하면, 대상 윈도우가 정의되면서 대상 윈도우의 내용이 근거리 영역으로 변위될 수 있다. 변위된 윈도우는 전체적으로 좌측 경계로 이동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좌측 경계로부터 어느 정도 이격될 수도 있다. 변환된 윈도우는 그 내부를 터치 및 이동시킴으로써 통상시와 같이 스크롤이 되도록 할 수가 있다.Referring to (c) of FIG. 4, when the user temporarily releases the touch, the content of the target window can be shifted to the near region while the target window is defined. The displaced window generally moves to the left boundary, but in some cases it may be somewhat distanced from the left boundary. The converted window can be scrolled as usual by touching and moving the inside of the window.

변위된 윈도우에서 사용자는 "Product Ⅲ" 같이 원거리 영역에 있었던 영역을 터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중간 터치에 의해서 마치 원거리 영역의 대응 위치를 터치한 효과가 발생하게 할 수가 있다. In the displaced window, the user can touch an area in the remote area such as "Product III ", and the effect of touching the corresponding area in the remote area can be generated by the middle touch.

또한, 사용자는 대상 윈도우를 정의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의 이동방향을 수평에서 우상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전환할 수가 있다. 이 경우, 대상 윈도우는 터치 위치를 기준으로 우측 영역에서 우상향 또는 상부 영역으로 전환될 수 있고, 그 이후 순차적으로 전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Further, the user can switc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nger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right upward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process of defining the target window. In this case, the target window can be switched from the right region to the right or upward region based on the touch position, and then the target window can be switched sequentially.

이 역시 사용자가 터치하고자 하는 대상을 중간에 바꿀 때도 유용하며, 애초에 원했던 부분이 터치 위치를 기준으로 좌측인데 잘못 우측 영역이 대상 윈도우로 나타난 경우 이를 쉽게 전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할 수 있다.This is also useful 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object to be touched in the middle. It is useful in that the desired portion is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touch position and the wrong right side region is displayed as the target window.

상기 내용은 사용자가 왼손으로 파지한 경우를 가정하였지만, 오른손으로 파지하였다고 가정하면 상기 내용을 좌우 전환하여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assumes that the user grasps with the left hand, assuming that the user grasps with the right hand,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ontents by shifting the contents left and right.

도 5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왼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으로 대상 윈도우를 정의하기 위한 터치를 시작할 수 있다. 대상 윈도우를 정의하기 위해 다양한 구분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 이상의 터치로 대상 윈도우 정의를 시작할 수 있고, 일정 회수 이상의 터치로 대상 윈도우의 정의를 시작할 수도 있고, 특정 제스처나 디스플레이 경계로부터의 제스처를 이용하여서도 대상 윈도우의 정의를 시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 the user can start a touch to define a target window with his / her thumb while grasping with the left hand. Various distinctions can be used to define the target window. For example, you can start defining a target window with a touch over a certain amount of time, start defining a target window with a touch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or start a definition of a target window using a gesture or a gesture from a display boundary have.

도 5의 (b)를 보면, 엄지 손가락이 위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손가락의 터치 위치를 기준으로 상부 전체를 대상 윈도우로 정의할 수 있다. 손가락이 움직이면서 대상 윈도우의 높이가 달라 질수가 있다. 5 (b), the entire upper portion can be defined as the target window based on the touch position of the finger while the thumb moves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finger moves, the height of the target window can be changed.

대상 윈도우를 정의하는 단계에서, 대상 윈도우의 테두리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대상 윈도우만 선명하고 다른 부분을 어둡거나 흐리게 처리할 수도 있고, 반대로 대상 윈도우만 어둡게 처리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그 경계를 강조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defining the target window, the border of the target window can be emphasized and displayed, and only the target window can be made clear, the other part can be darkened or blurred, or the target window can be darkened, Can be emphasized.

도 5의 (c)를 보면,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터치를 해제하면, 대상 윈도우가 정의되면서 대상 윈도우의 내용이 근거리 영역으로 변위될 수 있다. 변위된 윈도우는 전체적으로 하부 경계로 이동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하부 경계로부터 어느 정도 이격될 수도 있다. 변환된 윈도우는 그 내부를 터치 및 이동시킴으로써 통상시와 같이 스크롤이 되도록 할 수가 있다.Referring to (c) of FIG. 5, when the user temporarily releases the touch, the content of the target window can be shifted to the near region while the target window is defined. The displaced window generally moves to the lower boundary, but in some cases it may be spaced some distance from the lower boundary. The converted window can be scrolled as usual by touching and moving the inside of the window.

변위된 윈도우에서 사용자는 "seller.com" 같이 원거리 영역에 있었던 영역을 터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중간 터치에 의해서 마치 원거리 영역의 대응 위치를 터치한 효과가 발생하게 할 수가 있다. In the displaced window, the user can touch an area in the remote area such as "seller.com ", and the effect of touching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 the far area can be generated by the middle touch.

또한, 사용자는 대상 윈도우를 정의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의 이동방향을 수직에서 우상향, 좌상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전환할 수가 있다. 이 경우, 대상 윈도우는 터치 위치를 기준으로 수직선 상부에서 터치 위치를 기준으로 우상향, 좌상향 또는 우측, 좌측 영역으로 전환될 수 있고, 그 이후 순차적으로 전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user can chang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nger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right upward direction, the left upward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process of defining the target window. In this case, the target window can be switched to the right upward, leftward upward, rightward, or leftward region based on the touch position at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line with reference to the touch position, and thereafter sequentially switched.

이 역시 사용자가 터치하고자 하는 대상을 중간에 바꿀 때도 유용하며, 애초에 원했던 부분이 터치 위치를 기준으로 좌측인데 잘못 우측 영역이 대상 윈도우로 나타난 경우 이를 쉽게 전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할 수 있다.This is also useful 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object to be touched in the middle. It is useful in that the desired portion is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touch position and the wrong right side region is displayed as the target window.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왼손으로 파지한 상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오른손으로 파지한 상태 역시 동일한 원리로 설명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 위치 및 이동방향을 적절히 조합하여 원하는 부분이 한 손으로 용이하게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하도록 할 수가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mainly with reference to the state in which the user grasps with the left hand, the state gripped by the right hand can also be explained on the same principle. The user can easily combine the touch posi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It can be positioned at a distance that can be reached.

100 : 휴대단말기 110:디스플레이100: portable terminal 110: display

Claims (8)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터치가 용이한 근거리 영역과 터치가 어려운 원거리 영역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를 통해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원거리 영역 중 대상 윈도우를 정의하는 단계;
상기 대상 윈도우의 화면을 상기 근거리 영역으로 변위시키는 단계;
상기 대상 윈도우의 변위된 윈도우에 대한 사용자의 중간 터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 터치 지점과 상기 변위된 윈도우의 좌표를 매칭하여 연계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상 윈도우를 정의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의 상기 터치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대상 윈도우의 형상을 달리 정의하되,
상기 터치의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경우, 상기 대상 윈도우도 상기 터치의 전환에 대응하여 형상도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
A touch control method for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display and a touch sensor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wherein the display includes a near region where the user can easily touch and a remote region where the touch is difficult,
Sensing a user's touch through the touch sensor;
Defining a target window of the remote area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touch;
Displacing a screen of the target window into the near region;
Receiving a middle touch of a user with respect to a displaced window of the target window; And
And performing a coordinated function by matching the coordinates of the middle touch point and the displaced window,
Wherein the step of defining the target window differently defines the shape of the target window according to a moving direction of the touch of the user,
Wherein whe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ouch is changed, the target window is also changed in shape corresponding to the switching of the touch.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의 이동 방향이 경사진 경우, 상기 터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수직선 및 수평선을 동시에 적용하여 상기 원거리 영역 내에서 상기 대상 윈도우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arget window is defined in the remote area by simultaneously applying a vertical line and a horizontal lin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touch wh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ouch is incli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의 이동이 수평인 경우, 상기 터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수직선을 적용하여 상기 원거리 영역 내에서 상기 대상 윈도우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arget window is defined in the remote area by applying a vertical lin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touch when the movement of the touch is horizont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의 이동이 수직인 경우, 상기 터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수평선을 적용하여 상기 원거리 영역 내에서 상기 대상 윈도우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arget window is defined in the remote area by applying a horizontal lin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touch when the movement of the touch is vertic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된 윈도우는 상기 근거리 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모서리 또는 하부 경계 주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ced window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edge or lower border of the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된 윈도우에 표시된 화면은 상기 대상 윈도우의 화면을 그대로,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ced window is displayed by enlarging or reducing the screen of the target window as it is.
KR1020140089599A 2014-07-16 2014-07-16 Touch control method in portable device having large touch screen KR1015968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599A KR101596879B1 (en) 2014-07-16 2014-07-16 Touch control method in portable device having large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599A KR101596879B1 (en) 2014-07-16 2014-07-16 Touch control method in portable device having large touch 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298A KR20160009298A (en) 2016-01-26
KR101596879B1 true KR101596879B1 (en) 2016-03-07

Family

ID=55307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599A KR101596879B1 (en) 2014-07-16 2014-07-16 Touch control method in portable device having large touch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87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4179B2 (en) * 2017-01-30 2020-11-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Display device and display progra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275B1 (en) * 2013-03-27 2014-07-04 지만석 Touch control method in portable device having large touch scre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513B1 (en) * 2011-03-03 2013-02-07 한국과학기술원 Contents control method and device using touch,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and user terminal having it
KR101496512B1 (en) * 2012-03-08 2015-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275B1 (en) * 2013-03-27 2014-07-04 지만석 Touch control method in portable device having large touch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298A (en) 201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59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TWI417764B (en) A control method and a device for performing a switching function of a touch screen of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19156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based motion
KR101467513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CN102368195B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main screen of touch screen terminal as well as touch screen terminal
US1067126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large-size display scre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creen
CN102929554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executing mobile handheld equipment through unlocking gesture
WO201400680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92445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ouch panel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3034408A (en) Page-switching method for user interface and mobile terminal
US20120179963A1 (en) Multi-touch electronic device, graphic display interface thereof and object selection method of multi-touch display
KR20160019762A (en)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with one hand
KR101414275B1 (en) Touch control method in portable device having large touch screen
KR101596879B1 (en) Touch control method in portable device having large touch screen
US9870147B2 (en) Touch control method in mobile terminal having large screen
US10275084B2 (en) Touch control method in mobile terminal having large screen
CN104407789B (en) A kind of mobile terminal desktop icon display control method and device
KR101625187B1 (en) Touch control method in portable device having large touch screen
JP610697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KR101635978B1 (en) Method of controlling application for shopping in portable device having large touch screen
KR20150121411A (en) Touch control method in portable device having large touch screen
JP2015005164A (en) Touch panel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150121413A (en) Touch control method in portable device having large touch screen
KR20160000785A (en) Touch control method in portable device having large touch screen
KR101750253B1 (en) Method of controlling application for shopping in portable device having large touch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