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573B1 -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573B1
KR101593573B1 KR1020090055159A KR20090055159A KR101593573B1 KR 101593573 B1 KR101593573 B1 KR 101593573B1 KR 1020090055159 A KR1020090055159 A KR 1020090055159A KR 20090055159 A KR20090055159 A KR 20090055159A KR 101593573 B1 KR101593573 B1 KR 101593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
content
camera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6833A (ko
Inventor
김정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5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573B1/ko
Priority to CA2765538A priority patent/CA2765538C/en
Priority to PCT/KR2010/003831 priority patent/WO2010147359A2/en
Priority to GB1121253.7A priority patent/GB2482648B/en
Priority to US12/817,757 priority patent/US8564682B2/en
Publication of KR20100136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2Edge-based seg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발명은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가 구동되면, 컨텐츠 합성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이미지를 프리뷰 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이미지가 표시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감지되는 다수개의 객체들 중에서 특정 객체를 인식하여 촬영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된 특정 객체와 상기 선택된 특정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합성하여 특정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객체, 카메라, 이미지, 합성

Description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Method of creating contents using camera in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이미지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객체를 실시간으로 합성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단말기는 기능이 점차 확대되어 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다운받을 수 있고,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여 동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으며,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를 통해 상기 촬영되거나 기 저장된 데이터를 첨부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최근에 UCC(User Created Contents)가 사회의 이슈(issue)화 되는 것처럼, 전술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은 자신만의 독특한 컨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공유하고 싶어 한다. 즉, 사용자들은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하여 터치 기능이 있는 휴대단말기의 그림 그리기 기능에서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을 이용하거나 PC(Personal Computer)에서의 그래픽 툴을 마우스 등 의 입력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기능이 있는 휴대단말기의 경우 터치를 인식하는 패널이 있고, 그 위에 스타일러스 펜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이 반영된다. 또한, PC에서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그래픽 툴에 따라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지만 마우스의 움직임으로 편집의 대부분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편집하고자 하는 이미지와 색깔 또는 선의 굵기 등을 선택하고, 터치 패널 위에 스타일러스 펜이나 가상 마우스 등으로 그리면, 그 움직임에 따라 선택한 색깔의 선이 그려진다. 또한, 사용자는 취소 등의 기능을 통해 바로 전에 그린 선 또는 객체를 지울 수도 있으며, 다른 색깔로 표현하기도 한다.
하지만, 터치 패널이나 가상 마우스 등과 같은 방식을 이용하는 컨텐츠 제작 방법은 실세계에서 펜이나 붓으로 그림을 그리는 방식처럼 자연스럽지 못하다. 또한, 상기 방식은 특정 사람의 글씨체나 그림 스타일을 그대로 담아 내는 데 한계가 있고,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 시 기존 터치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지 않는 디지털 기기에서는 컨텐츠 편집 기능을 지원할 수 없다. 또한, 최근에는 휴대성이 강조되면서 휴대단말기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제한된 크기의 터치 패널 위에서 작은 스타일러스 펜의 움직임만으로 자유롭게 사용자의 의도를 표현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 기 저장된 이미지를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변형함으로써, 새로운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하기 불편한 인터페이스와 이미지 편집 툴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이미지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객체를 실시간으로 합성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가 구동되면, 컨텐츠 합성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이미지를 프리뷰 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이미지가 표시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감지되는 다수개의 객체들 중에서 특정 객체를 인식하여 촬영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된 특정 객체와 상기 선택된 특정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합성하여 특정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장된 이미지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객체를 합성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카메 라를 구동하여 컨텐츠 합성 모드에서 다수개의 객체들 중에서 특정 객체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이미지를 프리뷰 화면으로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상기 특정 객체를 보조화면으로 화면의 일측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객체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상기 특정 객체와 상기 특정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합성하여 특정 컨텐츠를 생성하는 합성부로 구성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기존에 터치 인터페이스 또는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자연스럽지 못한 표현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실세계에서 그림을 그리 것처럼 원하는 위치에 쉽게 컨텐츠를 편집하여 사용자의 글씨체 또는 그림 스타일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터치 기능이 있는 휴대단말기에서만 제공되는 컨텐츠 편집 기능을 카메라가 장착된 모든 디지털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실세계의 객체를 실시간으로 기존 이미지와 합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객체(Object)'는 카메라를 통해 인식될 수 있는 형태, 크기, 모양 및 색깔 등의 특징을 가지는 물체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객체는 단색 테이블이나 일정한 크기의 종이와 같이 한정적인 장소에 위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객체는 인형을 대표적인 예로 설명하지만, 상기 객체는 인형만이 해당되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가 종이에 그린 그림이나 글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휴대단말기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을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통신 기능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단말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단말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단말기,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단말기,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단말기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표시부(110), 입력부(120), 저장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카메라부(150), 무선통신부(160) 및 제어부(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부(110)는 영상처리부(156)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이 때, 상기 표시부(110)는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사용자 데이터 및 부가기능 화면 등을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11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10)는 LCD에 한정된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10)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및 이에 대한 응용 물질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표시부(110)는 카메라 기능이 실행되면, 카메라 모드 선택에 대한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표시부(110)는 컨텐츠 합성 모드가 선택되면 저장부(13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의 종류를 화면에 표시하고, 카메라부(150)를 통해 인식되는 객체를 보조 화면에 상기 이미지와 함께 오버레이(Overlay)하여 표시한다. 그런 다음, 표시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이미지와 인식된 객체가 합성된 새로운 컨텐츠를 표시한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제어부(100)로 전달한다. 특히, 입력부(120)는 이미지를 선택하고, 합성 모드를 선 택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상기 저장부(130)는 휴대단말기의 부팅을 위한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 OS), 휴대단말기의 각 기능 예를 들면, 파일 재생 기능 및 카메라 기능 등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저장부(130)는 프로그램 영역 및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상술한 각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각 기능들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 합성 모드가 선택되면, 색깔 인식 방법에 따라 객체를 구분하여 추출하는 프로그램, 평면 인식 방법에 따라 객체를 구분하여 추출하는 프로그램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이미지와 카메라부(150)를 통해 촬영되는 객체를 실시간으로 합성하는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응용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폰 북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컨텐츠 합성 모드에서 이용될 수 있는 이미지들 및 컨텐츠 합성을 통해 제작된 컨텐츠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40)는 제어부(100)로부터 전달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오디오 처리부(140)는 음성/음향 데이터를 제어부(100)의 제어에 상응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화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140)는 컨텐츠 합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효과음을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60)는 휴대전화 통신,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 등과 관련한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또한, 무선통신부(160)는 음성/음향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등을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고,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음향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통신부(16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부(160)는 합성된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MMS를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 즉,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 통신(IrDA) 등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컨텐츠를 공유하고, 블로그(Blog) 등에 업로드 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부(150)는 휴대단말기의 부가 기능인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카메라부(150)는 카메라(152), 신호처리부(154) 및 영상처리 부(156)를 구비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카메라(152)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학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한다. 상기 신호처리부(154)는 카메라(152)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영상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신호처리부(154)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처리부(156)는 신호처리부(154)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56)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부(150)의 규격에 맞춰 전송하며, 또한 영상을 압축 및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부(150)는 카메라(152)를 통해 인식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하여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150)는 객체를 촬영하기 위한 모드에 따라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특정 객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신호 처리부(154)는 카메라(152)를 통해 인식되는 객체에 대한 데이터 신호를 객체 추출부(102)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표시부(110), 입력부(120), 저장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카메라부(150) 및 무선통신부(160) 등의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카메라 기능 실행 신호가 감지되면, 카메라부(150)를 통해 카메 라 기능을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카메라 기능 실행 중 합성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컨텐츠 합성 모드에 대한 기능을 활성화 하고, 카메라부(150)를 통해 인식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프리뷰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이미지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상기 특정 이미지가 선택되면, 프리뷰 화면에 영상 데이터의 출력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카메라부(150)를 제어하여 현재 인식되고 있는 객체를 보조화면으로 오버레이 하여 상기 특정 이미지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객체를 촬영하기 위한 수동 모드와 자동 모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동 모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카메라부(150)를 통해 인식되는 객체를 선택하는 모드이고, 상기 자동 모드는 카메라부(150)를 통해 인식되는 객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선택하는 모드이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상기 모드들에서 카메라부(150)를 통해 픽셀(Pixel)의 밀집도에 따라 객체의 테두리(Edge)를 판단하여 특정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카메라부(150)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픽셀의 밀집도가 큰 부분을 해당되는 객체의 테두리 부분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픽셀의 밀집도가 작은 부분을 해당되는 객체의 테두리 안쪽 부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00)는 상기 특정 객체와 특정 이미지를 합성하기 위하여 합성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특정 객체의 선택 신호에 따라 특정 이미지와 특 정 객체가 합성된 컨텐츠를 프리뷰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00)는 합성된 컨텐츠를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합성된 컨텐츠의 수정 요청에 따라 다른 객체를 재촬영하거나 이미지를 변경 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0)는 합성된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MMS를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기 위하여 무선통신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능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하여 제어부(100)는 객체 추출부(102)와 합성부(1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객체 추출부(102)는 카메라 구동 중 합성 모드가 선택되면, 카메라부(150)를 통해 인식되는 객체를 추출하기 위하여 평면 인식 모드 또는 색깔 인식 모드를 구분하여 객체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평면 인식 모드는 카메라부(150)를 통해 인식되는 객체들의 테두리 부분에 해당하는 픽셀의 밀집도를 판단하여 특정 객체를 인식하는 모드이고, 상기 색깔 인식 모드는 카메라부(150)를 통해 인식되는 객체들의 색깔을 통해 글씨 등을 구분하는 모드이다. 여기서, 객체 추출부(102)는 기 설정된 색깔에 따라 프리뷰 화면에 포함된 특정 색깔을 구분할 수 있고, 상기 색깔에 대응하는 객체를 추출해 낼 수 있다.
상기 합성부(104)는 객체 추출부(102)로부터 추출되는 객체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이미지를 합성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이 때, 합성부(104)는 특정 객체와 특정 이미지를 이미지 처리하여 합성할 수 있다. 즉, 합성부(104)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이미지에 상기 특정 개체를 오버레이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이미지의 크기와 특정 객체가 위치한 배경의 크기를 매칭시키기 위하여 카메라부(150)를 통해 인식되는 이미지의 특징 점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카메라 모드 중 합성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인식되는 특징 점을 검출하고, 상기 특징 점의 위치에 대응되게 특정 이미지의 크기를 매핑하여 화면에 특정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징 점은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특정 객체가 위치한 배경에 포함되는 다수 개의 모서리 점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객체는 단색 테이블이나 일정한 크기의 종이와 같이 한정적인 장소에 위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과정을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는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객체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합성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단말기는 이미지를 합성하기 위한 이미지 처리 기능, 객체를 구분하여 추출하는 기능 및 특정 객체를 색깔에 따라 구분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단말기는 S201단계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카메라 기능을 구동한다. 이 때, 휴대단말기는 합성 모드 선택 여부에 따라 특정 이미지와 카메라부(150)에 의해 인식되는 객체를 합성하는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 시 예에서 휴대단말기는 특정 이미지와 카메라부(150)에 의해 인식되는 객체를 합성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합성 모드가 선택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카메라 구동 중 합성 모드가 선택되면, 휴대단말기는 S203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단말기는 저장부(13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의 목록을 화면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목록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이미지를 프리뷰 화면으로 표시한다.
상기 특정 이미지가 표시되면, 휴대단말기는 S205단계에서 특정 객체를 촬영한다. 이 때, 휴대단말기는 상기 특정 객체를 인식하기 위하여 평면 인식 기능 또는 색깔 인식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카메라부(150)를 통해 인식되는 객체들의 테두리 부분에 해당하는 픽셀의 밀집도를 판단하여 특정 객체를 인식하는 평면 인식 모드 또는 카메라부(150)를 통해 인식되는 객체들의 색깔을 통해 글씨 등을 구분하는 색깔 인식 모드를 이용하여 객체를 구분할 수 있다. 이 후, 휴대단말기는 특정 객체가 인식되면 특정 객체를 보조화면 상에 특정 이미지와 함께 화면의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특정 객체의 선택을 결정할 수 있다.
특정 객체가 촬영되면, 휴대단말기는 S207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이미지와 촬영된 특정 객체를 합성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실행한다. 이 때, 휴대단말기는 상기 합성하는 과정에서 특정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 상에 촬영된 특정 객체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단말기는 생 성된 컨텐츠를 프리뷰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를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는 촬영된 특정 객체와 특정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합성할 수 있다. 즉, 휴대단말기는 카메라부(150)를 통해 인식되는 특정 객체의 변화에 대응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와 실시간으로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객체의 위치를 이동하는 과정을 통해 합성될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합성 과정을 통해 생성된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즉, 휴대단말기는 합성된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MMS나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이미지의 크기와 특정 객체가 위치한 배경의 크기를 매칭시키기 위하여 카메라부(150)를 통해 인식되는 이미지의 특징 점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단말기는 카메라 모드 중 합성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인식되는 특징 점을 검출하고, 상기 특징 점의 위치에 대응되게 특정 이미지의 크기를 매핑하여 화면에 특정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징 점은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특정 객체가 위치한 배경에 포함되는 다수 개의 모서리 점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객체는 단색 테이블이나 일정한 크기의 종이와 같이 한정적인 장소에 위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 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3 내지 도 4g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S301단계에서 카메라 기능을 동작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카메라부(150)를 구동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카메라 모드를 구분하여 카메라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1.Normal mode'(일반 모드)와'2.Composite mode'(합성 모드)에 대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일반 모드는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기본적인 촬영 모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이미지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객체를 실시간으로 합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촬영 모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S303단계에서 상기 카메라 모드 중 합성 모드에 대한 선택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합성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S305단계에서 카메라부(150)를 제어하여 카메라(152)를 통해 인식되는 영상 데이터를 프리뷰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저장부(13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의 목록을 화면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목록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이미지를 프리뷰 화면으로 표시한다. 이 후, 제어부(100)는 S307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이미지를 확인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합성 모드에서 저장부(13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의 목록을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선택되 는 이미지를 리드하여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이미지가 표시되면, 제어부(100)는 S309단계에서 특정 객체를 촬영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카메라부(150)를 통해 인식되는 객체를 보조화면 상에 오버레이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이미지(401)와 특정 객체(403)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특정 객체(403)는 보조화면(405)으로 특정 이미지(401) 상에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화면(405)은 고정된 위치에 표시되는 것이 아니고, 화면의 일측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보조화면(405)은 줌 인/아웃(Zoom In/Out) 기능을 통해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화면(405)의 크기가 변화함에 따라 보조화면(405)에 표시되는 특정 객체(403)의 크기도 변화될 수 있다.
객체가 촬영되면, 제어부(100)는 S311단계에서 촬영된 객체와 특정 이미지를 합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특정 이미지와 촬영된 객체를 합성하기 위하여 합성부(104)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S313단계에서 특정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 상에 촬영된 특정 객체를 오버레이하여 프리뷰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특정 객체(407)를 특정 이미지(409)와 합성하여 하나의 새로운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특정 객체(407)는 특정 이미지(409)에 오버레이 되어 표시된다.
프리뷰 화면이 표시되면, 제어부(100)는 S315단계에서 합성된 컨텐츠에 대한 'OK'신호 즉, 동의에 대응하는 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이 때, 상기 합성 된 컨텐츠에 대한 동의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S317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저장부(130)에 저장하는 과정을 실행한다.
한편, 프리뷰 화면으로 제공된 컨텐츠에 동의하지 않는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객체를 다시 촬영하는 과정을 실행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객체의 이동이나 글자 추가 등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객체를 다시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객체가 놓인 종이에 추가되는 글자'Best!!'(411)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상기 추가 입력에 대응하는 추가 글자인'Best!!'(413)를 특정 객체와 함께 보조화면(415)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추가된 상기 객체와 기존 이미지를 합성하고, 합성하여 생성된 컨텐츠를 프리뷰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특정 객체와 추가된 글자를 특정 이미지와 합성하여 생성된 하나의 새로운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생성된 컨텐츠가 저장되면, 제어부(100)는 S319단계에서 컨텐츠의 전송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생성된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S321단계에서 합성된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MMS를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생성된 컨텐츠를 전송하지 않으면, 합성 모드에 대한 수행을 종료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과정을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

Claims (14)

  1.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의 컨텐츠 합성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이미지를 프리뷰(Preview) 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이미지가 표시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로부터 객체의 테두리 부분에 해당하는 픽셀(Pixel)의 밀집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특정 객체를 추출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의 일측에 오버레이(Overlay)되는 보조 화면 상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특정 객체와 상기 선택된 특정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합성하여 특정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보조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특정 객체를 선택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과정은
    객체 인식 모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객체 인식 모드가 평면 인식 모드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의 테두리 부분에 해당하는 픽셀(Pixel)의 밀집도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객체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과정은
    상기 객체 인식 모드가 색깔 인식 모드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의 색깔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객체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생성된 특정 컨텐츠를 프리뷰 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특정 컨텐츠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컨텐츠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컨텐츠 제작 방법.
  8. 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를 구동하여 컨텐츠 합성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객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컨텐츠 합성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이미지를 프리뷰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로부터 객체의 테두리 부분에 해당하는 픽셀(Pixel)의 밀집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특정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객체를 상기 프리뷰 화면의 일측에 오버레이되는 보조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며, 상기 추출된 특정 객체와 상기 선택된 특정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합성하여 특정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특정 객체를 선택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객체 인식 모드가 평면 인식 모드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의 테두리 부분에 해당하는 픽셀의 밀집도에 따라 상기 특정 객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객체 인식 모드가 색깔 인식 모드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의 색깔을 확인하여 상기 특정 객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특정 컨텐츠를 프리뷰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특정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090055159A 2009-06-19 2009-06-19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KR101593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159A KR101593573B1 (ko) 2009-06-19 2009-06-19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CA2765538A CA2765538C (en) 2009-06-19 2010-06-15 Method for creating content using a camera of a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adapted therefor
PCT/KR2010/003831 WO2010147359A2 (en) 2009-06-19 2010-06-15 Method for creating content using a camera of a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adapted therefor
GB1121253.7A GB2482648B (en) 2009-06-19 2010-06-15 Method for creating content using a camera of a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adapted therefor
US12/817,757 US8564682B2 (en) 2009-06-19 2010-06-17 Method for creating content using a camera of a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adapte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159A KR101593573B1 (ko) 2009-06-19 2009-06-19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833A KR20100136833A (ko) 2010-12-29
KR101593573B1 true KR101593573B1 (ko) 2016-02-12

Family

ID=43354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159A KR101593573B1 (ko) 2009-06-19 2009-06-19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64682B2 (ko)
KR (1) KR101593573B1 (ko)
CA (1) CA2765538C (ko)
GB (1) GB2482648B (ko)
WO (1) WO201014735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481A (ko) * 2017-11-24 2019-06-0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영상처리방법 및 기록매체
KR20190061565A (ko) 2017-11-28 2019-06-05 차송현 이미지 합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494B1 (ko) * 2008-08-01 2014-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잔류 영상을 표시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상기제어 방법에 따라 구동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상기제어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125487B1 (ko) * 2010-09-30 2012-03-20 팅크웨어(주) 이동통신 단말기,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JP5725965B2 (ja) * 2011-04-28 2015-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674264B2 (en) * 2012-03-12 2017-06-06 Ntt Docomo, Inc. Remote control system, remote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KR101502478B1 (ko) * 2012-09-04 2015-03-17 (주)드림투스튜디오 컨텐츠제공방법 및 컨텐츠제공장치
KR101409251B1 (ko) * 2012-12-13 2014-06-24 (유)어나더레인보우 실시간 개인화 영상 생성 단말기 및 방법
KR102013331B1 (ko) * 2013-02-23 2019-10-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듀얼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미지 합성 장치 및 방법
FR3003715A1 (fr) * 2013-03-25 2014-09-26 France Telecom Procede d'echange de messages multimedias
CN103248830A (zh) * 2013-04-10 2013-08-14 东南大学 面向移动智能终端增强现实的实时视频合并方法
KR102101850B1 (ko) * 2013-06-04 2020-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31142B1 (ko) * 2013-07-12 2019-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82661B1 (ko) * 2013-07-12 2020-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
JP6107518B2 (ja) * 2013-07-31 2017-04-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51085A (ko) * 2013-11-01 201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이 다이나믹 레인지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2138521B1 (ko) * 2013-12-12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3010225B1 (en) * 2014-10-14 2019-07-24 Nokia Technologies OY A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automatically capturing an image
US10203855B2 (en) * 2016-12-09 2019-02-12 Snap Inc. Customized user-controlled media overlays
US20190205015A1 (en) * 2017-12-29 2019-07-04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sharing content
KR102514702B1 (ko) * 2018-02-02 2023-03-28 천종윤 사진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사진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US11675494B2 (en) * 2020-03-26 2023-06-13 Snap Inc. Combining first user interface content into second user interface
CN117119249A (zh) * 2022-05-17 2023-11-24 脸萌有限公司 特效视频确定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2605A1 (en) * 2001-01-11 2002-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sual terminal apparatus having a pseudo background function and method of obtaining the same
US20080042812A1 (en) 2006-08-16 2008-02-21 Dunsmoir John W Systems And Arrangements For Providing Situational Awareness To An Operator Of A Vehicle
US20090066513A1 (en) 2005-12-28 2009-03-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bject detecting device, object detecting method and object detecting computer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0374B2 (en) * 1996-09-18 2002-06-04 Eyematic Interfaces, Inc. Video superposition system and method
US6184926B1 (en) * 1996-11-26 2001-02-06 Nc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human face in uncontrolled environments
US6621524B1 (en) * 1997-01-10 2003-09-16 Casio Computer Co., Ltd. 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s obtained by means of same
US6674485B2 (en) * 1998-08-31 2004-01-06 Hitachi Software Engineering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compositing
JP2001142380A (ja) * 1999-11-12 2001-05-25 Sony Corp ホログラム作成装置及び方法、並びにホログラム
US7075572B2 (en) * 2000-03-16 2006-07-11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photographing/reproducing system and method, photographing apparatus and image reproducing apparatus used in the image photographing/reproducing system and method as well as image reproducing method
US7046279B2 (en) * 2000-09-06 2006-05-16 Minolta Co., Ltd. Image taking apparatus
JP2003333416A (ja) * 2002-05-17 2003-11-21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4296032B2 (ja) * 2003-05-13 2009-07-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2005039785A (ja) * 2003-06-30 2005-02-10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094741A (ja) * 2003-08-14 2005-04-07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及び画像合成方法
US7391445B2 (en) * 2004-03-31 2008-06-24 Magix Ag System and method of creating multilayered digital images in real time
FR2872660B1 (fr) * 2004-07-05 2006-12-22 Eastman Kodak Co Appareil de prise de vue et procede pour la formation d'images annotees
US20060125928A1 (en) * 2004-12-10 2006-06-15 Eastman Kodak Company Scene and user image capture device and method
US20060197851A1 (en) * 2005-03-07 2006-09-07 Paul Vlahos Positioning a subject with respect to a background scene in a digital camera
EP1763243A3 (en) * 2005-09-09 2008-03-26 LG Electronics Inc. Image capturing and displaying method and system
KR100746755B1 (ko) * 2005-10-20 2007-08-06 안성준 문자인식을 통한 전자사전 기능을 갖는 피.엠.피 및 그제어 방법
WO2008001575A1 (fr) * 2006-06-28 2008-01-03 Nikon Corporation Dispositif de localisation, dispositif de mise au point automatique et appareil photographique
KR20080091631A (ko) * 2007-04-09 2008-10-14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화상 통화를 위한 영상의 기울어짐을 보정하는 방법 및장치
JP4518139B2 (ja) * 2007-11-30 2010-08-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2605A1 (en) * 2001-01-11 2002-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sual terminal apparatus having a pseudo background function and method of obtaining the same
US20090066513A1 (en) 2005-12-28 2009-03-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bject detecting device, object detecting method and object detecting computer program
US20080042812A1 (en) 2006-08-16 2008-02-21 Dunsmoir John W Systems And Arrangements For Providing Situational Awareness To An Operator Of A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481A (ko) * 2017-11-24 2019-06-0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영상처리방법 및 기록매체
KR102013647B1 (ko) 2017-11-24 2019-10-2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영상처리방법 및 기록매체
KR20190061565A (ko) 2017-11-28 2019-06-05 차송현 이미지 합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82648A (en) 2012-02-08
WO2010147359A3 (en) 2011-03-10
CA2765538C (en) 2018-09-04
CA2765538A1 (en) 2010-12-23
US8564682B2 (en) 2013-10-22
US20100321534A1 (en) 2010-12-23
GB2482648B (en) 2015-05-27
KR20100136833A (ko) 2010-12-29
GB201121253D0 (en) 2012-01-18
WO2010147359A2 (en)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573B1 (ko)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장치
KR102013331B1 (ko) 듀얼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미지 합성 장치 및 방법
CN110231905B (zh) 一种截屏方法及电子设备
KR102022444B1 (ko)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에서 유효한 영상들을 합성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JP7414842B2 (ja) コメント追加方法及び電子デバイス
CN108496150B (zh) 一种屏幕截图和读取的方法及终端
US10097792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messenger-based video call service
US9324305B2 (en) Method of synthesizing images photographed by portable terminal,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portable terminal
US11308952B2 (en) Text and vo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AU2014201995B2 (en) Objects in screen images
KR20220082926A (ko) 비디오 촬영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CN111078091A (zh) 分屏显示的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87375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3378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2296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tems
KR2018013374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0795007A (zh) 一种获取截图信息的方法及装置
US20230367464A1 (en) Multi-Application Interaction Method
KR20140026726A (ko) 광학식 문자 판독기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00113334A (ko) 휴대 단말기의 태깅 방법 및 장치
WO2021218365A1 (zh) 标注方法及电子设备
CN114666427B (zh) 一种图像显示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597772B (zh) 资料整合方法、资料整合装置及电子设备
JP200503334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ソフトウェア
KR102076629B1 (ko) 휴대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을 편집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