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300B1 -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ication human factors of nuclear energy instru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ication human factors of nuclear energy instr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300B1
KR101591300B1 KR1020140139261A KR20140139261A KR101591300B1 KR 101591300 B1 KR101591300 B1 KR 101591300B1 KR 1020140139261 A KR1020140139261 A KR 1020140139261A KR 20140139261 A KR20140139261 A KR 20140139261A KR 101591300 B1 KR101591300 B1 KR 101591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target device
ergonomic
requirement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2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사길
이현철
이장수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39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3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3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evaluating human factor conformity of various instruments used in nuclear power stations and a method thereof.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verifying whether a target instrument is a subject of the human factor conformity evaluation; detecting, from the job analysis results previously stored relating to the target instrument, a job of the target instrument and job requirements that are necessary for executing the job; detecting, using the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relating to the target instrument and a database that stores interfaces that correspond to the jobs of various multiple instruments, the interface that corresponds to the job and the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instrument; detecting whether the interfaces that correspond to the job and the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instrument comply with the conditions according to preestablished guidelines; and evaluating the human factor conformity of the target instrument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obtained by operating the target instrument according to a preestablished scenario.

Description

원전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를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ICATION HUMAN FACTORS OF NUCLEAR ENERGY INSTRUMENT}[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ICATION HUMAN FACTORS OF NUCLEAR ENERGY INSTRUMENT [0002]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기에 대한 인간 공학 적합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ergonomic suitability of various devices used in a nuclear power plant.

지시계, 기록계, 제어용 단말기와 같은 원전 기기는 원전 내 제어실 운전원이 발전소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안전에 중요한 정보 표시장치 및 제어용 인터페이스이다. 따라서 이러한 원전 기기는 인간공학 적합성이 검증된 기기만을 사용해야만 그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Nuclear equipment such as indicators, recorders, and control terminals are information display devices and control interfaces that are important for safety in the control room operator's control room. Therefore, these nuclear devices can only be guaranteed to be safe if they are used with ergonomically proven instruments.

국내 원자력 계통에 대한 인간공학 적합성 평가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 KINS)이 공시한 경수로형 원전 규제지침의 인간공학 확인 및 검증에 의존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규제지침은 규제자용 지침으로, 인간공학 적합성 평가의 주체인 설계자, 운영자, 제작자, 그리고 제3자 독립기관 등이 상기 규제지침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평가 방법론을 각자 정립하고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인간공학 적합성 평가를 하기 위한 기준 및 방법이 각각 서로 상이한 실정이다. The evaluation of the ergonomic suitability of the domestic nuclear power system depends on the verific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ergonomic nuclear power plant regulatory guidelines published by the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KINS). However, the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Technology (KINS) regulatory guidelines are guidelines for regulators. Designers, operators, manufacturers, and third-party independent organizations, which are the subjects of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establish and implement specific evaluation methodologies Therefore, the standards and methods for evaluating the ergonomic fitnes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그간 인간공학 적합성 평가 과정에서 논란이 되었던 부분은, 어디까지 확인을 해야 그 적합성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인가이다. 새로운 설계에 대한 적합성 평가와 설계변경에 대한 적합성 평가는, 확인해야 하는 인터페이스의 범위를 다르게 적용해야 한다. 그러나 얼마나 다르게 그 범위를 설정해야 하며, 그 기준은 무엇인가에 대해 국내에서는 아직 그 방법론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지 못한 형편이다. 다만,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 NRC)의 관련 규제지침을 참조기준으로 적용할 수는 있으나 국내 현실에 얼마나 맞을 지는 아직 밝혀진 바 없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대한인간공학회 2006 추계 학술대회, 2006.10. 359-365pp'에 개시된 '국내 원자력발전소 주제어실의 인간공학적 설계 기준 검토'를 살펴보면 이처럼 상기 미국 원자력 규제위원회(NRC)의 규제 지침인 NUREG-0700을 근간으로 인간 공학적 평가를 수행하는 원전 주기적 안전성 평가(PSR)을 개시하고 있을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33974호에서는 인간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류 및 생성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현존하는 인간 공학 적합성 평과 관련 기술 표준 및 지침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현존하는 인간공학 적합성 평가 관련 기술표준 및 지침과의 표준 적합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국내 업계 실정에 맞는 획일화된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수단 및 그 절차의 필요성이 현재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the part that has been controversial in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process is the extent to which it can be confirmed. Conformity assessment for new designs and conformance evaluations for design changes should apply different ranges of interfaces to be identified. However, how to set the range differently, and the method is not yet clear in domestic about what the standard is. However, it is possible to apply the relevant regulatory guidelines of the 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NRC) by reference, but it has not yet been clarified how appropriate it is in the domestic reality.
As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2006 Ergonomics Conference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06.10. (Nuclear Power Regulatory Commission) (NUREG-0700), which is a regulatory guide of the 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NRC) (PSR).
As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33974 discloses classification and generation of factors affecting human reliability. However, in the existing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related technical standards and guidelines, I do not consider i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standard conformity with the existing technical standards and guidelines related to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and the necessity of the standardized ergonomic conformity evaluation means and the procedure for the domestic industry is on the rise.

삭제delete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공시된 검증 관련 법령 및 기술 기준에 적합성을 유지하면서, 평가 대상이 되는 기기의 인간공학 적합성을 평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to provide a device for evaluating the ergonomic fitness of a device to be evaluated while maintaining conformity with the verification related laws and technical standards disclosed by the Korea Atomic Energy Agency And a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국내 검증 관련 법령 및 기술 기준 뿐만 아니라,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등 국제적으로 공시된 다양한 다른 검증 관련 법령 및 기술 기준에도 적합성을 유지하는 인간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that maintain conformity with various verification related laws and technical standards internationally announced such as the United State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as well as laws and technical standards related to domestic verification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가 대상 기기로부터 인간 공학 적합성 여부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원인을 검출하고, 그 원인을 해소하기 위한 설계 개선 사항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인간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rgonomic conformity evalu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cause that fails to satisfy the ergonomic suitability from an evaluation target apparatus and deriving a design improvement item for solving the cause .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방법은, 대상 기기가, 상기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의 대상이 되는 기기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해 기 저장된 직무 분석 결과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 상기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요건인 직무 요건들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해 기 저장된 정보 및, 복수의 다양한 기기들의 직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 직무 요건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 직무 요건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들이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대상 기기를 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rming whether a target device is an apparatus to be subjected to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Detecting from the analysis result the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device and the job requirements that are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job; storing the pre-stored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device and the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job of the plurality of various device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cting an interface corresponding to job and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device using a database; determining whether interfaces corresponding to job and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device satisfy condi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guideline And a step of operating the target device in accordance with a preset scenario And evaluating the ergonomic suitability of the target device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대상 기기가, 평가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기기가, 기 설정된 인간 공학 분석 절차들을 통해 검토된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 설정된 인간 공학 분석 절차들을 통해 상기 대상 기기가 검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인간 공학 분석 절차들과 관련된 정보들이 모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device is an evaluation target further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device is a device that has been reviewed through predetermined ergonomic analysis procedures,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device has been reviewed through the set ergonomic analysis procedures is a step of detecting whether or not there is any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t ergonomic analysis procedure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인간 공학 분석 절차들은, 운전자 경험 검토(OER; Operating Experience Review), 기능요건분석 및 기능할당(FRA/FA; Functional Requirements Analysis and Function Allocation), 직무분석(TA; Task Analysis), 운전조 구성 및 자격분석(S&Q; Staffing and Qualifications), 인간신뢰도분석(HRA; Human Reliability Analysi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ergonomic analysis procedures may include an Operating Experience Review (OER), a Functional Requirements Analysis and Function Allocation (FRA / FA), a Task Analysis (S & Q), Human Reliability Analysis (HRA), and the lik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직무 및 직무 요건들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기기가 신규한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한 기기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 기기에 대응되는 직무 분석 결과에 포함된 모든 직무 및 직무 요건들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중 기존의 기기와 변경된 직무 및 직무 요건들만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상 기기가 신규한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기기에 대응되는 기기의 직무 및 직무 요건들에 대한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detecting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may include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device is a new devi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device is a new device, Detecting all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included in the job analysis result or detecting only the existing device and the changed job and job requirements in the job of the target devi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device is a new device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information on job and job requirements of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device is stored in advanc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직무 및 직무 요건들을 검출하는 단계는, In one embodiment, detecting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comprises:

상기 대상 기기가 신규한 기기가 아닌 경우, 상기 변경된 직무 및 직무 요건들에 대한 위험도 평가 절차가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결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험도 평가 절차의 수행 여부는, 상기 위험도 평가를 위해 기 설정된 절차의 수행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comprising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a risk assessment procedure for the changed job and job requirements has been performed if the target device is not a new device, And determining wheth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execution of the predetermined procedure is stored.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직무 및 직무 요건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해 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에서 제공 가능한 인터페이스들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대상 기기에서 제공 가능한 인터페이스들과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 직무 요건들을 각각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 직무 요건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들이 모두 있는 경우, 상기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들이 상기 직무 및 직무 요건에 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detecting an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further comprises the steps of: extracting interfaces available from the target device from pre-stored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device; Comparing each of the available interfaces with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device, and if the comparison results in all of the interfaces corresponding to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device, And judging whether or not the job requirement meets predetermined condition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 직무 요건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기기에서 제공 가능한 인터페이스들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상기 직무 및 직무 요건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서로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comparing step comprises the steps of: extracting interfaces corresponding to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device from the database; and extracting interfaces that are available from the target device, And comparing the interfaces corresponding to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with each other.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시뮬레이션에 참가한 참가자 또는 상기 시뮬레이션을 참관한 참관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평가받는 단계, 및, 상기 참가자 또는 참관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평가된 시뮬레이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여부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evaluating the ergonomic fitness of the subject device comprises the steps of: evaluating a simulation result of the subject device from at least one of a participant participating in the simulation or an observer observing the simulation, And evaluating the ergonomic suitability of the target device based on a simulation result evaluated from at least one of the observer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결과, 상기 대상 기기가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기준에 불일치하는 사항(Human Engineering Discrepancy : HED)을 추출 및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evaluating the ergonomic suitability of the target device may include the step of evaluating the ergonomic suitability of the target device, the human engineering discrepancy (HED) in which the target device is inconsistent with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standard And extracting and managing the data.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불일치 사항을 추출 및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 직무 요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 중, 상기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른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상기 진행자 및 참관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부적합하다고 평가된 인터페이스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불일치 사항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분류된 불일치 사항들을 기 설정된 우선 순위 설정 기준에 따라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불일치 사항들을 서로 다르게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extracting and managing the inconsistency may include extracting and managing the inconsistency based on an interface that does not satisfy the condition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guideline among the interfaces corresponding to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extracting an interface that is judged to be unsuitable from at least one of the host and the observer; classifying the inconsistenc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classifying the classified inconsistenci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iority setting criterion And managing the discrepancie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iorit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는,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한 직무 분석 결과와, 상기 대상 기기에 관련된 정보들, 그리고 복수의 다양한 기기들의 직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를 위한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저장부와,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 및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른 시뮬레이션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 직무 요건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검증하는 검증부, 및, 상기 직무 분석 결과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 직무 요건들을 검출하고,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해 기 저장된 정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 직무 요건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들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상기 검증부의 검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을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pparatus for evaluating an ergonomic conform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atabase including a job analysis result for the target devi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arget device, and interfaces corresponding to jobs of the plurality of various devices, A storage unit including data for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of the target device; and a verification unit for verifying an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device based on a simul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guideline and a predetermined scenario And detects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device from the job analysis result and detects interfaces corresponding to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device using the pre-stored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device and the database For each of the detected interfaces, Based on the increased negative validation result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ntrol unit for evaluating the ergonomic suitability of the subject devic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대상 기기에 관련된 정보들은, 상기 대상 기기의 매뉴얼, 설계도, 입체적 형상에 대한 정보와,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 기능을 분석한 결과, 그리고 상기 대상 기기의 인적 공학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인간 공학 분석 절차들에 관련된 정보, 및 상기 대상 기기의 적어도 일부의 직무에 대한 기 설정된 위험도 평가 절차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arget devic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manual, the design, and the cubic shape of the target device, the result of analyzing the job and the function of the target device, Information relating to ergonomic analysis procedures necessary for evaluation, and information related to a predetermined risk assessment procedure for at least part of the job of the target devic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은, HMD(Head Mounted Display)를 이용한 가상 현실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imulation is performed using a virtual reality using an HMD (Head Mounted Display).

따라서 본 발명은 국내 및 국제적으로 공시된 다양한 검증 법령 및 기술 기준에 적합한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개별 기기 단위의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방법의 국내 표준화를 위한 기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standard suitable for various verification laws and technical standards publiciz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thereby providing a standard for domestic standardization of an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method for individual devices have.

또한 본 발명은, 인간 공학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획일화된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평가 대상 기기가 인간 공학 적합성 요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보다 쉽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effect of making it easier and more accurate to determine whether the device under test meets ergonomic conformity requirements by providing a uniformized criterion for judging whether or not it is ergonomic conforma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에서,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동작 과정 중, 기 저장된 대상 기기의 직무 분석 결과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에서 요구되는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을 도출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에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위험도정보기반방식에 따라 위험도 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2의 동작 과정 중,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 및 시나리오에 따라 인간 공학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과정을 보다 자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에서, 대상 기기에서 인간 공학 불일치 사항이 검출되는 경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불일치 사항을 분류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judging suitability of a target device for ergonom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etermining whether a target device is ergonomically compatible with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deriving a job and / or a job requirement required from the target device from the job analysis result of the pre-stored target device during the operation process of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risk analysis according to a risk information-based metho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in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for determining ergonomic fitness according to predetermined guidelines and scenarios in the operation process of FIG. 2 in greater detail.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the inconsistenc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when an ergonomic inconsistency is detected in a target device in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lso,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comprises" Or "include." Should not be construed to encompass the various components or stage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or steps may not be included, or th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And the like.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Further, in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obscur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직무'라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 인간 공학 적합성 여부의 판단 대상이 되는 대상 기기에서, 상기 대상 기기의 종류 또는 상기 대상 기기가 제공 가능한 기능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작업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대상 기기가 특정 제어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인 경우, 상기 대상 기기에서 제어할 수 있는 상기 특정 제어 설비의 모든 기능이 각각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대상 기기 고유의 기능들 역시 이러한 '직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직무 목록'이라 함은, 상기 대상 기기의 모든 직무가 목록화된 정보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First, the term 'job'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s to a case where, in the target device to be judged as ergonomic conformit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device It may mean all the work that can be done. That is, when the target device is a device for controlling a specific control facility, all the functions of the specific control facility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target device can be the tasks of the target device. In addition, the functions inherent to the target device may also be 'tasks'. And the 'job list' may mean that all the jobs of the target device are listed information.

먼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평가 대상이 되는 기기(이하 대상 기기라고 칭한다)가 기 설정된 충분한 인간 공학 분석 활동을 거쳤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대상 기기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충분한 인간 공학 분석 활동을 거쳐 검토된 기기인 경우에,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들을 도출한다. 그리고 도출된 직무들에 대응되는 상기 대상 기기의 인터페이스가 기 설정된 기준(예를 들어 기 설정된 규제 지침)에 따라 인간 공학 적합성 여부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In order to facilitate a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device to be evaluat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arget device) has undergone sufficient ergonomic analysis activities. And derives the tasks of the target device when the target device is a device that has undergone sufficient ergonomic analysis activities according to predetermined criteria. And judges whether the interface of the targe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derived tasks is suitable for ergonomic suitability according to predetermined criteria (for example, predetermined regulatory guidelines).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100)가, '인간 공학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인간 공학 적합성 여부에 관련하여 기 설정된 규제 지침, 즉, 예를 들어 한국 원자력 안전 기술원에서 공식된 지침에서 규정하고 있는 규정들을, 상기 대상 기기의 인터페이스가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될 수 있다.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ergonomic suitability is judged based on predetermined regulatory guidelines related to the ergonomic suitability, May be to determine whether the interface of the target device is satisfie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간 공학 적합성 판단 장치의 저장부는 상기 규제 지침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규제 지침들을, 상기 대상 기기가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간 공학 적합성 판단 장치는, 상기 규제 지침들 각각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인간 공학 적합성 판단 결과에 따라 저장된 각 지침들에 대응되는 항목들을 하나씩 체크(예를 들어, 상기 대상 기기가 상기 규제 지침에서 요구하는 안전 요구 사항에 대한 승인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상기 대상 기기가 상기 규제 지침에 적합한지 그렇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To this end, the storage unit of the ergonomic fitness jud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on the regulatory guidelines. According to the ergonomic suitability determination result of the target devi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target device satisfies the regulatory guidelin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 this case, the ergonomic suitability determ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database each of the regulatory guidelines, and check item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guidelines stored in accordance with the ergonomic fitness determination resul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arget device conforms to the regulatory guidance by checking whether the target device has approved the safety requirements required by the regulatory guidance.

도 1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100)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block diagram of an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100)는, 연결된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110) 및, 제어부(110)와 연결되며, 저장부(120)와 검증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100)는 입력부(140)와 표시부(1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1, an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10 for controlling each connected component, a storage unit 12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0, And a verification unit 130. [0033] In addition,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140 and a display unit 150. Her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Of course it is possible.

상기한 구성 요소들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우선 저장부(120)는,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부(120)에 저장되고,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10)에 의하여 상기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by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apparatus 100, an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apparatus 100, Data, and commands for the operation of the computer.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also be present on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device 100 since the outset for the basic functioning of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device 100.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and installed on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apparatus 100, and the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apparatus 100 i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10 Lt; / RTI >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100)에서 평가 대상 기기를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20)는 평가 대상 기기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부(120)에는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다양한 인간 공학 분석 결과 또는 상기 대상 기기의 기능들을 기 설정된 방식으로 기술한 매뉴얼 또는 상기 대상 기기의 설계도 및, 상기 대상 기기의 입체적 형상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이하 이처럼 평가 대상 기기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20)의 저장 영역을 평가 대상 기기 정보 저장부(120)라고 칭하기로 한다. Also, the storage unit 12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n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apparatus 100. [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2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That is, in the storage unit 120, a manual describing a result of various ergonomic analysis including the job analysis result of the target device or the functions of the target device in a preset manner or a design of the target device, Information relating to the three-dimensional shape may be stored. Hereinafter, the storage area of the storage unit 120, which stor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will be referred to as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

한편 상기 저장부(120)는 다양한 원전 기기들 각각의 직무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20)에는 다양한 원전 기기들에서 제공 가능한 다양한 직무들이, 기기의 종류별 및/또는 기능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하 이처럼 원전 기기들에 대한 다양한 직무들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20)의 저장 영역을 직무 목록 데이터베이스(122)라고 칭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storage unit 120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job of each of the various nuclear power devices. For example, various functions that can be provided by various nuclear power devices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as a database for each kind of device and / or function. Hereinafter, a storage area of the storage unit 120 in which information on various jobs related to the nuclear power devices are stored in a database is referred to as a job list database 122.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100)는 상기 직무 목록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다양한 직무들 각각에 대한 다양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직무 인터페이스 저장부(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job interface storage unit 120 for storing information on various interfaces for various jobs stored in the job list database 122 .

예를 들어 원전 기기 중, 특정 제어 설비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장치의 경우, 상기 직무 목록 데이터베이스(122)에는 상기 제어 장치에서 제어할 수 있는 상기 특정 제어 설비의 다양한 기능들이 상기 제어 장치의 직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직무 인터페이스 저장부(120)에는 상기 제어 장치에서 수행 가능한 각각의 직무에 따라 상기 제어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들이 상기 직무 인터페이스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제어 설비를 온 또는 오프하는 장치인 경우, 상기 직무 목록 데이터베이스(122)에는, 상기 제어 장치의 직무로서 상기 제어 설비를 온 또는 오프하는 기능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직무 인터페이스 저장부(120)에는 상기 제어 장치에서 상기 제어 설비를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즉 특정 버튼의 입력이나, 특정 그래픽 객체의 터치 입력 등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ontrol device that can control a specific control facility among the nuclear power plants, the job list database 122 stores various functions of the specific control facility, which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And information on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control equipment may be stored in the job interface storage unit 120 in accordance with each job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in the job interface storage unit 120 . That is, when the control device is a device that turns on or off the control facility, the job list database 122 may store a function of turning on or off the control facility as the job of the control device, The job interface storage unit 120 may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an interface for turning on or off the control equipment in the control device, that is, input of a specific button or touch input of a specific graphic object.

한편 저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평가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검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100)는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 또는 기 설정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 따라 평가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상기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검증 자료,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이나,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가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120)의 저장 영역을 검증 정보 저장부(120)라고 칭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storage unit 120 may store various verification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ergonomic suitability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the evaluation target apparatus is ergonomically conformabl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guideline or a predetermined simulation scenario. In this way, the verification data necessary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device is ergonomically compatible,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predetermined guideline or the simulation scenario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and the information is stored The storage area of the storage unit 120 will be referred to as a ver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100)는, 인간 공학 적합성 여부에 관련하여 기 설정된 규제 지침, 즉, 예를 들어 한국 원자력 안전 기술원에서 공식된 지침에서 규정하고 있는 규정들을, 상기 대상 기기의 인터페이스가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저장부(120)에는 상기 규제 지침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하 이러한 규제 지침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120)의 저장 영역을 지침 정보 저장부(120)라고 칭하기로 한다. Further, 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set predetermined regulatory guidelines related to ergonomic fitness, that is, for example, the regulations prescribed in the guidelines issu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Nuclear Safety,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interface of the target device is satisfied. Hereinafter, the storage unit 12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gulation instruction. Hereinafter, the storage area of the storage unit 120 storing the information on the regulation instruction is referred to as a guid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

상기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등과 같은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13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20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of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apparatus 10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storage unit 130 on the Internet.

한편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10)는 평가 대상 기기가 기 설정된 인간 공학 분석 활동을 거쳤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간 공학 분석 활동은 운전 경험 검토, 기능 요건 분석, 직무 분석 등 다양한 분석 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평가 대상 기기 정보 저장부(120)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인간 공학 분석 활동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대상 기기가 기 설정된 다양한 분석 활동을 통해 검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여기서 상기 분석 활동들은, 평가 대상 기기의 종류나 기능 또는 신규한 기기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르게 결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control unit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has undergone predetermined ergonomic analysis activities. Here, the ergonomic analysis activity may include various analysis activities such as a driving experience review, a functional requirement analysis, and a job analysis. For example, when the information about the predetermined ergonomic analysis activities is stored from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target device has been reviewed through various predetermined analysis activitie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analysis activities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and function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or whether it is a new device.

그리고 상기 대상 기기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충분한 인간 공학 분석 활동을 거쳐 검토된 기기인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평가 대상이 되는 기기와 관련된 기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평가 대상 기기의 직무 목록을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새로운 기기인지지 또는 기존의 기기를 변경한 것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그에 따라 서로 다른 직무 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If the target device is a device that has undergone sufficient ergonomic analysis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criterion, the control unit 110 uses the pre-stor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vice to be evaluated, Can be derived.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can extract a different job list based on whether it is a new device or a change of an existing device.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신규한 기기인 경우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하여 기 저장된 직무 분석 결과에 포함된 직무들을 모두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신규한 기기가 아닌 경우, 상기 대상 기기에서 기존의 직무와 변경된 직무만을 검출하고 검출된 직무만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추출된 직무가 위험도 선별 과정을 거쳤는지 여부에 따라 위험도를 분석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i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a new device, the control unit 110 may extract all jobs included in the pre-stored job analysis result with respect to the target device. However, i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not a new device, it is possible to detect only the existing job and the changed job in the target device, and extract only the detected job.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may further analyze the risk according to whether the extracted job has undergone the risk selection process.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추출된 대상 기기의 직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가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해 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들이 추출되면, 상기 대상 기기에서 상기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해 기 저장된 정보, 예를 들어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분석 결과 및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한 설계도나 입체적 형상에 관련된 정보 또는 매뉴얼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If the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task of the extracted target device extracts the tasks of the target device from the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target device,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an interface capable of performing the task can be performed in the target device Can be determine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arget device corresponds to the job stored in the target device, based 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on the target device, for example, a job analysis result of the target device, and information or manual related to the design or cubic shape of the target device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re is an interface.

즉, 상기 대상 기기가 상기한 예와 같이, 특정 제어 설비를 온 또는 오프하는 제어 장치인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로서 상기 제어 설비를 온 또는 오프하는 직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분석 결과나 기능 분석 결과, 또는 설계도나 매뉴얼, 입체적 형상에 관련된 정보로부터 상기 제어 설비를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구성 요소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로서는 버튼이나, 디스플레이부에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구성, 또는 밸브나 로터리 방식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스위치 등과 같은 구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부(110)의 검출 동작은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분석 결과나 기능 분석 결과, 매뉴얼 또는 설계도나 입체적 형상에 관련된 정보로부터 특정 구성 요소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동작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at is, when the target device is a control device that turns on or off a specific control facility as in the above example, the control section 110 can extract a job to turn on or off the control facility as the job of the target device , A component for an interface for turning on or off the control facility from the job analysis result of the target device, the functional analysis result, or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ign plan, the manual, and the three-dimensional shape can be detected. Such a component may be a button, a configuration in which a graphic object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and a touch input is sensed by the user, or various types of switches such as a valve or a rotary type. The detecting opera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of detecting whether there is a specific component from the job analysis result of the target device, the function analysis result, the manual, the design or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bic shape.

한편 상기 대상 기기로부터 추출된 직무에 의해 요구되는 인터페이스들은, 상기 직무 인터페이스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대상 장치에서 추출된 직무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직무 인터페이스 저장부(120)로부터 독출하고, 독출된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구성 요소를 상기 대상 장치에서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에 의해 요구되는 인터페이스가, 대상 기기에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직접 검출한 결과를 대신 입력받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된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기기에, 추출된 직무에 의해 요구되는 인터페이스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interfaces required by the job extracted from the target device may be stored in the job interface storage unit 120.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reads out information on interfaces corresponding to the jobs extracted from the target device from the job interface storage unit 120, and transmits a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read interface to the target device Can be detected.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10 may receive a result of directly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interface required by the job of the target device is present in the target device. In this cas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arget device has an interface required by the extracted job.

한편 상기 추출된 직무들은, 직무 수행에 필요한 정보 등, 상기 직무에 필요한 요건들, 즉 직무 요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직무 뿐만 아니라 이러한 직무 요건들을 모두 충족하는 인터페이스가 상기 대상 기기에서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한 예, 즉 평가 대상 기기가 특정 제어 설비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이며, 상기 제어 설비의 온/오프 제어와 관련된 계측 수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야 하는 직무 요건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제어부(110)는 상기 제어 설비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뿐만 아니라, 상기 계측 수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상기 대상 기기가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이처럼 계측 수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 LED와 같은 표시부 등이 상기 대상 기기에 구비되어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xtracted tasks may include requirements necessary for the job, such as information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job, that is, job requirements.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can detect not only the job but also whether an interface satisfying all of the job requirements exists in the target device. That is, in the above example, that is,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on / off of a specific control facility, and has a job requirement to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ment value related to on / off control of the control facility The control unit 110 can detect not only the interface for controlling on / off of the control facility, but also whether or not the target device has an interface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ment valu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can detect whether or not a display unit such as a display unit, an LED, or the like is provided in the target device.

이러한 인터페이스 검출을 위해 제어부(110)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대상 기기로부터 추출된 직무들 및 직무 요건들에 의하여 대상 기기에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인터페이스들과, 상기 대상 기기의 인터페이스를 매칭하여, 매칭된 결과에 따라 상기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인터페이스들이 상기 대상 기기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10 may use various methods for detecting such an interfac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may match the interfaces judged to be necessary for the target device by the tasks extracted from the target device and the job requirements and the interface of the target device,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judged interfaces exist in the target device.

여기서 상기 대상 기기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해 미리 저장된 정보로부터 독출될 수 있다. 즉, 상기 평가 대상 기기 정보 저장부(120)에는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 정보 저장부(120)에 기 저장된 정보와, 상기 대상 기기로부터 추출된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들로부터 요구되는 인터페이스들을 비교하여, 상기 대상 기기에 필요한 인터페이스가 모두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에 필요한 인터페이스가 있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가 입력되는 경우, 그 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기기에 필요한 인터페이스가 모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Here, the interface of the target device can be read out from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target device. That is,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may store information on an interface with respect to the target device. The control unit 110 compare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with the interfaces required from the job and / or job requirements extracted from the target device,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all of them exist. In addition, when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or not an interface required by the target device is present is input from the user, the control unit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y interface required for the target device based on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에 의하여 요구되는 인터페이스가 모두 있는 경우, 그 인터페이스가 기 설정된 기준(예를 들어 기 설정된 규제 지침)에 따라 인간 공학 적합성 여부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guide line)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들이 인간 공학 적합성 요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들이 기 설정된 규제 지침에 따른 요건들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들이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이나 규제 지침을 만족하는 경우에,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상기 인터페이스에 대한 인간 공학 적합성 판단 결과를 수집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ny interface required by the job and / or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device,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 interface is suitable for ergonomic suitability according to predetermined criteria (for example, predetermined regulatory guidelines) Can be determined. For example, the controller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interfaces meet the ergonomic conformance requirement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guide line, and determine whether the interfaces meet the requirements according to predetermined regulatory guidelines . In addition, when the interfaces satisfy predetermined guidelines or regulatory guidelines, simul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enario may be performed to collect the ergonomic fitness judgment result for the interface.

즉,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실제로 상기 대상 기기를 이용하는 시뮬레이션을 가상 공간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시뮬레이션에 참가한 참가자들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해 평가한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기기가 인간 공학 적합성 요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시뮬레이션에 참가하는 참가자는,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통한 가상 공간 내에서 실제로 상기 대상 기기에 대응되는 가상 객체를 조작하는 사용자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대상 기기에 대응되는 가상 객체를 조작하는 동작을 관찰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관여하는 제3자일 수도 있다. That i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may perform a simulation using the target device in a virtual spac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enario.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target device satisfies the ergonomic fitness requirement using scores evaluated for the target device from the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simulation. Here, the participant participating in the simulation may be a user who actually operates a virtual objec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device in a virtual space through an HMD (Head Mounted Display) or the like, or a user who operates the virtual objec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device Or may be a third party involved in the operation of the user.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점수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인 경우에 상기 대상 기기가 인간 공학 적합성 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평가 점수가 기 설정된 수준 미만인 경우 상기 대상 기기가 인간 공학 적합성 요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상 기기가 인간 공학 적합성 요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시뮬레이션에 참가한 참가자들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의 개선 사항에 대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다. 그리고 수렴된 의견은,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한 설계 개선 사항으로 저장부(120)의 기 설정된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설계 개선 사항은, 상기 대상 기기의 특정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표시부 등과 같은 특정 구성부) 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계 개선 사항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표시부(150)에 표시되거나 출력 또는 전송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may determine that the target device meets the ergonomic fitness requirement when the evaluation sco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On the other hand, if the evaluation scor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level,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arget device does not satisfy the ergonomic fitness require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arget device does not satisfy the ergonomic fitness requirement, the controller 110 may collect feedback on the improvement of the target device from the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simulation. The converged opinion can be stor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torage unit 120 as a design improvement item for the target device. In this case, the design improvements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a specific interface (for example, a specific component such as a display unit) of the target device. The design improvements may be displayed, output, or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50 at the user's option.

그리고 상기 대상 기기가, 다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100)에서 인간 공학 적합성 여부를 평가할 평가 대상 기기가 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대상 기기에 설계 개선 사항이 반영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설계 개선 사항으로 지적된 특정 구성부에 대해, 기존의 인터페이스와 변경된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 여부는, 상기 대상 기기와 관련되어 저장된 정보(예를 들어 기능 분석 결과나 매뉴얼, 설계도 또는 대상 기기의 입체적 형상에 관련된 정보 등)로부터 판단될 수 있으며, 변경 사항이 있는 경우 설계 개선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대상 기기가 설계 개선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한 인간 공학 적합성 요건을 다시 판단할 수도 있다. If the subject device is again an evaluation target device for evaluating the ergonomic suitability in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part 110 reflects design improvement items to the target device Or not.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can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existing interface and a changed part for a specific component indicated as a design improvement item. This change can be judged from the information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target device (for example, the result of the function analysi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manual, the design or the target device, etc.) . The control unit 110 may re-determine the ergonomic fitness requirement for the target device when the target device has undergone the design improvement.

한편 검증부(130)는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부(110)의 인간 공학 적합성 요건을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검증부(130)는 상기 대상 기기에 구비된 각 인터페이스가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 또는 규제 지침에 따른 것인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검증부(132) 및 상기 인터페이스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기 위한 시뮬레이션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검증부(130)의 검증 결과에 따라 제어부(110)는, 상기 대상 기기의 인터페이스들이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 또는 규제 지침에 따른 것인지 여부 및, 상기 대상 기기의 인터페이스들이 인간 공학 적합성 요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verification unit 130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for determining an ergonomic fitness requirement of the control unit 110 for the target device. For example, the verification unit 130 may include an interface verification unit 132 for verifying whether each interface provided in the target device conforms to a predetermined guideline or a regulatory guide, And a simulation unit 134. [0034] FIG.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verification unit 130,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 interfaces of the target device are in accordance with predetermined guidelines or regulatory guidelines, and whether the interfaces of the target device satisfy the ergonomic conformity requirements Can be determined.

한편 입력부(140)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입력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부(140)를 통해 평가 대상 기기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 및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를 위한 검증 데이터(예를 들어 가이드라인, 규제 지침 등)를 입력받고, 이를 저장부(120)의 각 영역에 저자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nput unit 140 may receive various inputs from the user. In addition, the input unit 14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into the storage unit 120.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nd verification data (e.g., guidelines, regulatory guidelines, etc.) for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through the input unit 140, 120).

한편 표시부(150)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대한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결과 및 상기 평가 결과에 따른 설계 개선 사항에 대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검증 과정 즉,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를 위한 시뮬레이션 과정 등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거나,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입체적 형상이나 설계도, 매뉴얼, 기능 또는 직무 분석 결과 등에 대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50)는 화상 정보 뿐만 아니라 음향 정보의 형태로 상기 정보들을 표시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한 다양한 구성 요소(예를 들어 스피커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문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the display unit 150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such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or the like and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50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results of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for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nd the design improvement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Or a simulation process for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or displays information on the three-dimensional shape, design, manual, function or job analysis result of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from the pre-stored information of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0 may display th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coustic information as well as image information, and may further include various components (for example, a speaker) for the display.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capable of outputt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n a document format.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인간 공학 적합성 식별 장치(100)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Hereinafter, embodiments related to the control method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ergonomic fitness discriminator 100 construct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도 2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에서,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device is ergonomically conformable in the ergonomic conformity evalu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우선 평가 대상 기기에 대해 기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에 적합한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0). 2, the controller 110 of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uses the pre-stored information about the evaluation target apparatus to determine whether the evaluation target apparatus is an ergonomic fitness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device is suitable for the evaluation (S200).

상기 S200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다양한 기준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기기가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대상 기기의 종류 및/또는 기능이,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를 받아야 하는 기기로 미리 지정되어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대한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가 요구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요구는, 미리 지정된 전문가나 전문기관 또는 특정 인허가 관청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평가 요구는, 지정된 형태의 정보로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관련된 정보로 입력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현재 평가 대상 기기가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를 하여야 하는 기기로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S200, the controller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target device is suitable based on various criteria.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can check whether the type and / or the function of the target device is designated in advance to the device to be subjected to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Or the control unit 110 can confirm whether or not the evaluation of the ergonomic conformity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required. For example,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request may be made by a pre-designated expert or specialized agency or a specific licensing authority. In this case, the evaluation request may be input as information related to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s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type, an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may determine that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an apparatus that should perform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

한편, 상기 S200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대한 필요한 정보가 모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요한 정보라는 것은,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를 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들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절차들은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인간 공학 분석 절차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인간 공학 분석 절차들은, 운전자 경험 검토(OER; Operating Experience Review), 기능요건분석 및 기능할당(FRA/FA; Functional Requirements Analysis and Function Allocation), 직무분석(TA; Task Analysis), 운전조 구성 및 자격분석(S&Q; Staffing and Qualifications), 그리고 인간신뢰도분석(HRA; Human Reliability Analysis)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기는 이처럼 평가 대상 기기가 인간 공학 평가를 위한 충분한 인간 공학 분석 활동 절차를 설명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step S200, the controller 110 can determine whether all necessary information about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stored. Here, the above-mentioned necessary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cedures necessary for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to perform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These procedures may be, for example, predetermined ergonomic analysis procedures. These ergonomic analysis procedures include operating experience review (OER), functional requirement analysis and functional allocation (FRA / FA), task analysis (TA) And Staffing and Qualifications (S & Q), and Human Reliability Analysis (HRA). The following explains the procedure of sufficient ergonomic analysis for the evaluation of the ergonomic device.

a. 운전자 경험 검토(OER)의 검토.a. Review of Driver Experience Review (OER).

설계자가 동일 혹은 유사 기기의 운전이력을 검토하여 이미 경험한 설계결함 사례 혹은 사용자(주로 운전원이나 유지보수 시험원 등)의 설계 개선요구사항을 기기설계 요건으로 반영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말한다. 여기서 상기 '동일 혹은 유사 기기의 운전이력'은 원자력 산업계의 운전경험, 타산업계의 운전경험, 그리고 유사 발전소 및 계통과 관련된 운전경험을 포함할 수 있다.
A process by which a designer reviews the operation history of the same or similar equipment and confirms whether the design improvement requirements of the user or the user (mainly the operator or the maintenance testing staff) have already been reflected in the equipment design requirements. Here, the 'driving history of the same or similar devices' may include driving experience of the nuclear industry, driving experience of other industries, and driving experience related to similar power plants and systems.

b. 기능요건분석 및 기능할당(FRA/FA)의 검토.b. Functional Requirements Analysis and Functional Allocation (FRA / FA) review.

설계자가 원전 기기의 안전기능을 정의하고 인간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능할당을 행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안전기능이란 원전이 안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거나 안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안전한 상태로 복구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을 의미한다. 이러한 안전기능은 인간의 장점을 살리면서 인간의 한계에 의해 부정적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당되어야 한다. 따라서 설계자가 기록계의 모든 안전기능을 정의하여 그 안전기능을 기기와 운전원에게 적절하게 할당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기능할당의 확인은 다음의 제어모드 구분에 따라 안전기능의 할당을 적합하게 수행하였는지를 검토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is refers to the process by which the designer defines the safety function of the nuclear equipment and confirms whether or not the function allocation has been performed considering human characteristics. In general, a safety function is a function that is necessary for a nuclear power plant to maintain a safe state or to recover from an unsafe state to a safe state. These safety functions should be allocated so as not to be adversely affected by human limitations while taking advantage of human beings. Therefore, the designer defines all the safety functions of the recorder and confirms whether the safety functions are assigned appropriately to the equipment and the operator. Confirmation of the function assignment can be performed by examining whether the assignment of the safety function has been appropriat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ontrol mode classification.

- 자동(Auto) : 인간의 수동제어 수단이 없는 완전한 자동 제어모드를 의미함.- Auto: means a complete automatic control mode without human manual control means.

- 자동 및 수동(Auto and Manual) : 수동제어와 자동제어가 모두 제공되며, 인간은 언제든지 수동제어가 가능하지만 자동제어를 변경할 권한은 없는 제어모드로 수동제어는 완전 자동제어의 다중화를 의미함.- Auto and Manual: Manual control and automatic control are all provided. Man is always in control mode but manual control is not authorized to change the automatic control. Manual control means full automatic control multiplexing.

- 자동 혹은 수동(Auto or Manual) : 수동제어와 자동제어가 모두 제공되며, 인간이 제어모드를 선택할권한을 갖고 있어서 인간이 자동제어를 변경할 권한을 제공하는 제어모드로 운전원에게 유연성 있는 운전전략을 제공함.- Auto or Manual: Both manual control and automatic control are provided. The control mode allows the human operator to change the automatic control by having the right to select the control mode, giving the operator a flexible driving strategy Provided.

- 자동-수동 연계(Auto/Manual) : 수동제어와 자동제어가 모두 제공되며, 인간이 자동제어의 설정치를 조정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는 제어모드로 기능적 중첩은 있으나 완전한 다중성을 의미하지 않음.- Auto / Manual: It is a control mode that provides both manual control and automatic control, and allows the user to adjust the set value of automatic control. Functional overlap exists but does not mean complete multiplicity.

- 수동(Manual) : 자동제어 수단이 없는 완전한 수동 제어모드를 의미함.
- Manual: means a complete manual control mode with no automatic control means.

c. 직무분석(TA)의 검토.c. Review of Job Analysis (TA).

설계자가 원전 기기의 고유 기능뿐만 아니라 안전기능의 달성에 필요한 정보 및 직무지원요건 등을 직무분석을 통해 상세히 기록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말한다. 이러한 직무 분석은, 먼저 평가 대상 기기가 기존에 존재하지 않은 새로운 기기인 경우, 다음과 같은 직무조건을 만족하도록 대표 직무를 추출(sampling)하여 직무분석을 수행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This refers to the process by which the designer has not only recorded the unique functions of the nuclear equipment but also the information and job support requirements necessary for achieving the safety functions through detailed job analysis. In the job analysis, if the device to be evaluated is a new device that does not exist in the past, it can be confirmed whether the job analysis is performed by sampling the representative job to satisfy the following job conditions.

- 플랜트 운전, 유지, 시험, 검사, 그리고 진단과 관련된 대표직무 및 중요 직무.- Representative duties and important duties related to plant operation, maintenance, testing, inspection and diagnosis.

- 기동운전, 정상운전, 비정상운전, 그리고 비정상운전 직무.- Start operation, normal operation, abnormal operation, and abnormal operation.

- 갑작스런 상황, 저출력 상황, 원자로 정지 상황에 대처하는 직무.- Responses to sudden situations, low-power situations, and reactor shutdown situations.

- 확률론적 위험도 평가(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 PRA), 민감도분석, 그리고 인간 신뢰도 분석(Human Reliability Analysis : HRA)를 통해 플랜트 위험상황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는 직무.-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PRA), Sensitivity Analysis, and Human Reliability Analysis (HRA).

- PRA Level 1 및 Level 2를 통해 내적/외적 초기사건에 연루되는 중요행위와 관련된 직무.- Duties related to important activities involving intrinsic / extrinsic initial events through PRA Level 1 and Level 2.

- 안전에 중요한 자동화 기능을 감시하거나 해당 시스템의 실패로 인해 인간의 백업이 필요한 직무.
- Jobs that monitor human safety-critical automation functions or that require human backup due to failure of the system.

또한 상기 직무 분석은, 만약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기존 기기를 일부 변경(예, 일부 인터페이스의 디지털화 혹은 일부 기능의 자동화 등)하는 경우, 기기 변경에 따라 예상되는 사용자의 행위 변화와 관련된 직무를 도출하여 상세한 직무분석을 수행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 기기 변경의 경우, 특별히 사용자의 행위변화가 안전성과 관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설계에 반영하였는지 여부를 검토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In the job analysis, i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changes some of the existing devices (for example, digitalization of some interfaces or automation of some functions), the job related to the change of the user's behavior expected according to the device change is derived This may mean a procedure to confirm that detailed job analysis has been performed. In the case of equipment change,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change of the user's behavior is related to safety and whether it is reflected in the design.

d. 운전조 구성 및 자격분석(S&Q) 검토.d. S & Q review of driver configuration and qualification.

원전의 통합계통에 대한 인간공학 검증시 운전조 구성 및 자격분석 내용을 검토하여 기기와 관련된 기 설정된 인간공학 불일치사항(HED : Human Engineering Discrepancy)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말한다.
This is a procedure to check whether there is a human engineering discrepancy (HED) related to the equipment by examining the composition of the operation group and the qualification analysis in the ergonomic verification of the integrated system of the nuclear power plant.

e. 인간신뢰도분석(HRA)의 검토.e. A Review of Human Reliability Analysis (HRA).

설계자가 인적오류 가능성과 메커니즘을 분석하여 설계회피 사항을 분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말한다. 이러한 설계회피 사항은 인적오류를 최소화하기 어렵고, 인적오류를 감시하기도 어려우며, 회복 가능성을 제공하기 힘들다고 분석되는 경우에 존재하며, 이 경우, 설계 자체를 변경하여 대안설계를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회피설계사항은 평가 대상 기기에 따라 각각 다를 수 있으며, 이러한 설계회피사항이 잇는 경우 이를 점검 항목으로 포함하여 기기 설계에 설계회피사항이 포함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는 절차를 말하는 것이다.
This is a procedure to check whether the designer has analyzed the design avoidance by analyzing the possibility of human error and the mechanism. Such design avoidance exists when it is difficult to minimize human error, human errors are difficult to monitor, and it is analyzed that it is difficult to provide recovery possibility. In this case, the design itself must be changed to provide an alternative design. These avoidance design items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nd when there is such a design avoidance item, it is a check procedure to confirm that the design avoidance is not included in the device design.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S200 단계에서,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상기한 절차들을 거쳤는지 여부를 더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운전경험검토를 통해 도출된 기기설계 요건이,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설계에 적합하게 반영되었는지 여부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상기 기능요건분석 및 기능 할당 검토 절차를 통해, 안전 기능의 할당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step S200, the control unit 110 can further check whether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has undergone the above procedure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can confirm whether or not information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device design requirements derived through the operation experience review are appropriately reflected in the design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stored.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1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has appropriately allocated the safety function through the functional requirement analysis and the function allocation review process.

또한 제어부(110)는, 기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안전 기능을 할당하는 기준에, 기 설정된 기준, 즉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제어 모드 등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등에 따라 상기 기능요건분석 및 기능 할당 검토가 이루어진 기기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S200 단계에서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대한 상기 직무 분석, 운전조 구성 및 자격 분석, 인간 신뢰도 분석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Also,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riteria for assigning the safety function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based on the previously stored information, Analysis, and function assignment. In step S200, the controller 110 can confirm whether the job analysis, the operation group configuration, the qualification analysis, and the human reliability analysis are performed on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대해 기 저장된, 상기 절차들에 관련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기기가 분석 절차를 거쳤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기 설정된 상기 절차들을 거치지 않은 경우(기 저장된 정보를 통해 상기 절차들을 통해 검증되었음이 인증되지 않은 경우)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를 하기에 부적합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필요한 절차에 대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can confirm that the target device has undergone the analysis procedure us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cedures stored in advance in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f the device under evaluation does not pass the predetermined procedures (if it is not authenticated that the device has been verifi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dures through the stored information), the device under evaluation may perform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judged that it is in a state unsuitable for the following.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may display information on a procedure necessary for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

한편 S200 단계에서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상기한 절차들 및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대상으로 적합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관해 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직무들 및 상기 직무들의 직무 요건을 도출할 수 있다(S202). 예를 들어 상기 S202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기능 및/또는 종류에 근거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기존에 존재하던 기기인지 새로운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대응되는 기기에 대한 정보가 직무 목록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기기가 기존에 존재하던 기기인지 새로운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00 that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is suitable for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subjec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procedures and predetermined criteria, (Step S202). [0053] In step S202, For example, in step S202, the control unit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a device that is existing or a new device, based on the function and / or the type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device is a device existing in the existing device or a new device, depending on whether information about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device under evaluation is stored in the job list database 122 .

상기 S202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대상 기기가 기존에 존재하던 기기가 아닌 경우라면,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모든 직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직무에 각각 대응되는 직무 요건들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직무 및 직무 요건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대한 직무 분석의 결과로서, 상기 평가 대상 기기 정보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 직무 요건을 독출할 수 있다. In step S202, if the target device is not an existing device, the controller 110 may extract the job requirements corresponding to all jobs or at least one job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The information on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of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information storage 120 as a result of the job analysis on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can read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device from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

한편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기존에 존재하는 기기인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대응되는 직무 및 직무 요건에 대한 정보와, 직무 목록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상기 대상 기기에 대응되는 기기의 직무 및 직무 요건에 대한 정보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평가 대상 기기와, 기존의 기기의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의 차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상기 차이가 검출된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an existing device,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corresponding to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nformation about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of the device can be compared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10 can detec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and the existing job and / or job requirement of the device. Then, the control unit 110 can determine that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has changed the job and / or job requirement in which the difference is detected.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대상 기기에서 변경된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이 필요한 검증 절차를 거쳤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검증 절차는,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한 기 설정된 방식의 위험도 평가 또는 상기 기기의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 변경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다른 기기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이러한 검증 절차의 승인 여부에 대한 기 저장된 정보를 통해,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 결과에 따라 이후의 절차에서 상기 대상 기기의 변경된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에 대한 인간 공학 적합성 요건을 평가할 수 있다. 이하 이처럼 평가 대상 기기로부터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을 도출하는 상기 S202 단계의 동작 과정을 하기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may check whether the changed job and / or job requirements have been verified in the target device. For example, this verification procedure may be information on other devices that are affected by a predetermined risk assessment for the target device or a change in the job and / or job requirements of the device. The control unit 110 can confirm whether or not the job and / or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device have been changed through the pre-stored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the verification process has been approved. Based on the confirmation result, And assess the ergonomic suitability requirements for the changed job and / or job requirements.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step S202 of deriving the job and / or job requirements from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한편, 상기 S202 단계에서 평가 대상 기기의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이 도출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검출할 수 있다(S204). 상기 S204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관련하여 기 저장된 정보(예를 들어 직무 분석 결과, 매뉴얼, 설계도, 기능 분석, 입체적 형태 등)로부터,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검출할 수 있다. If the job and / or job requirement of the device under evaluation is derived in step S202, the controller 110 may detect the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job and / or the job requirement (S204). In step S204, the control unit 110 acquires, from the pre-stored information (for example, job analysis result, manual, design plan, function analysis, stereotyped form, etc.) related to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n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job requirement can be detected.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가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206). 여기서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서 제공 가능한 인터페이스들에 대해, 저장부(120)에 기 저장된 정보(예를 들어 평가 대상 기기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인터페이스 재고 목록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기 저장된 정보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can detect whether or not an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job and / or job requirement of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exists in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S206). Here, the control unit 110 may store the information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for example, the interface inventory list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stored in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Information) may be used. The pre-stored informa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items.

- 평가 대상 기기의 고유번호 혹은 명칭.- The unique number or name of the device under evaluation.

- 평가 대상 기기와 관련된 원전 계통 및 하위 계통.- Nuclear and sub-systems related to the device under evaluation.

- 평가 대상 기기와 관련된 사용자(운전원)의 기능 및 하위기능.- The functions and sub-functions of the user (operator) related to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 HSI(Human System Interface) 구성요소의 형태: 컴퓨터 기반 제어기, 하드와이어 제어기, 컴퓨터 기반 표시기, 하드와이어 표시기 등.- Human System Interface (HSI) Component types: computer-based controllers, hard-wired controllers, computer-based indicators, hard-wired indicators, and so on.

- 표시기 특성 및 기능: 발전 변수 혹은 운전변수, 측정 단위, 변수의 정확성, 표시의 정확성, 동적 대응 방식, 표시형식 등.- Indicator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Generation variable or operating variable, unit of measurement, accuracy of variable, accuracy of display, dynamic response method, display format, etc.

- 제어기 특성 및 기능: 연속 혹은 구간 제어, 제어모드의 형태, 제어의 정확성, 동적 반응 특성, 제어기 형식 등.- Controller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Continuous or interval control, type of control mode, accuracy of control, dynamic response characteristics, controller type, etc.

- 사용자 상호작용 및 대화 형식.- User interaction and conversation.

- 데이터 관리 체계의 위치.- The location of the data management system.

- HSI의 물리적 위치.- The physical location of the HSI.

- HSI에 대한 사진, 화면 샘플 등.
- Photographs, screen samples, etc. for HSI.

예를 들어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특정 제어 설비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인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대해 기 저장된 매뉴얼, 설계도, 기능 분석, 입체적 형태 또는 직무 분석 결과에 포함된 버튼, 스위치, 아이콘 등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을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서 제공 가능한 인터페이스들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추출된 인터페이스들과, 상기 S202 단계에서 도출된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들을 매칭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f a specific control facility,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ncludes a previously stored manual, a design chart, a function analysi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uch as a button, a switch, or an icon included in the device can be extracted through interfaces that can be provided in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The control unit 110 may match the extracted interfaces with the job and / or job requirements derived in step S202.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직무 인터페이스 저장부(120)에 저장된 인터페이스 관련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설비의 온/오프 제어에 대응되는 기기들의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독출된 인터페이스들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서 제공 가능한 인터페이스들 중, 상기 직무, 즉 상기 특정 제어 설비를 온/오프하기 위해 사용되는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가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can read information on the interfaces of the devices corresponding to on / off control of the specific facility from the interface-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job interface storage unit 120. [ Then,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read interfaces, it is detected whether or not there is an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job, that is, the job and / or the job requirement used for turning on / off the specific control facility can do.

예를 들어, 상기 직무 인터페이스 저장부(120)에 저장된, 상기 특정 설비의 온/오프 제어에 관련된 다른 기기의 인터페이스가, 버튼, 스위치, GUI 환경에서의 특정 그래픽 객체에 대한 터치 입력인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서 제공 가능한 인터페이스들 중, 상기 버튼, 스위치, 및 상기 그래픽 객체를 통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검출 결과에 따라,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서 도출된 모든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가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서 제공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interface of the other device related to on / off control of the specific facility stored in the job interface storage unit 120 is a touch input for a specific graphic object in a button, switch, or GUI environment, The controller 110 may detect whether there is an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through the button, the switch, and the graphical object among the interfaces available in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the control unit 11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an interface corresponding to all job and / or job requirements derived from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can be provided in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한편 상기 S206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직무 인터페이스 저장부(120)에 저장된 다른 기기의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가,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서 제공 가능한 인터페이스들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고 할지라도, 상기 도출된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제공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기존의 기기와는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상기 특정 설비를 제어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Even if the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of the other device stored in the job interface storage unit 120 is not included in the interfaces provided in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n step S206,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can provide an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derived job and / or job requirement. This may occur when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controls the specific facility in a new method different from the existing equipment.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대해 기 저장된 매뉴얼, 설계도, 기능 분석, 입체적 형태, 기능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만약 상기 S202 단계에서 도출된 모든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들이,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서 제공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가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서 도출된 모든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가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서 제공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may detect whether there is an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job and / or job requirement based on the pre-stored manual, design diagram, function analysis, cubic form, . Or if the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interfaces corresponding to all job and / or job requirements derived in the step S202 are available in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n interface corresponding to all job and / or job requirements derived from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can be provided by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한편, 비록 상기 S202 단계에서 도출된 모든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들이,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서 제공 가능하다고 할지라도,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가 상기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에 부적합하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더 고려할 수 있다.
Although the interfaces corresponding to all job and / or job requirements derived in step S202 can be provided by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nterface supports the job and / Or may be deemed unsuitable for job requirement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may further consider the following matters.

- 직무수행에 필요한 HSI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예: 필요한 제어기나 표시기가 없음).- If the HSI required for job performance is not valid (eg no controller or indicator is required).

- HSI의 설계특성이 직무요건과 부합하지 않은 경우(예: 필요한 운전변수를 표시하고 있으나, 직무 수행에 필요한 범위를 벗어났거나 정확하지 않음).-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HSI do not meet the job requirements (eg, they are displaying the required operating variables, but are out of range or inaccurate for job performance).

- 직무분석을 통해 언급되지 않았던 직무수행에 필요한 HSI 요소가 있는 경우.- There is an HSI element that is not mentioned in job analysis and is necessary for job performance.

- 직무분석이 잘못 수행되어 과대 평가된 HSI 요소가 있는 경우.- Job analysis is performed incorrectly and there is an overestimated HSI element.

- 단순히 특정 개개인의 직무요건에 맞추어진 HSI 요소가 있는 경우.
- There is simply an HSI element that is tailored to the specific job requirements of an individual.

한편, 상기 S206 단계의 검출 결과,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모든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들이,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서 제공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대해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인간 공학 적합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S208). 상기 S208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인터페이스들이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이나 규제지침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대해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른 시뮬레이션 테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인간 공학 적합성 요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06 that the interfaces corresponding to all job and / or job requirements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can be provided by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ergonomic according to predetermined criteria (S208). In step S208, the control unit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interfaces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satisfy predetermined guidelines or regulatory guidelines. Also, the control unit 110 can determine whether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satisfies the ergonomic fitness requirement, using a simulation tes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enario for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가이드라인이나 규제 지침에 따라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각 인터페이스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예를 들어 반드시 채도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인 색상으로 표시되어야 할 눈금의 색상을 확인하거나, 또는 인터페이스의 눈금이나 텍스트 정보의 크기 등을 확인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can determine each interface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ccording to the guidelines and the regulatory guidelines.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may check the color of the scale to be displayed in a color whose saturation is necessarily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or check the scale of the interface or the size of the text information.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인터페이스들이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 또는 규제 지침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를 통해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른 작업을 시뮬레이션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요건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10)는 상기 시뮬레이션을 직접 진행하는 진행자 또는 상기 시뮬레이션을 참관하는 관찰자의 평가 점수를 수렴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요건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평가 점수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각 인터페이스 별로 구분되어 산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인터페이스 별로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점수가 서로 다르게 산출될 수도 있다. Also, the control unit 110 may cause the simulation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to proceed only when the interfaces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satisfy predetermined guidelines or regulatory guidelines.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may simulate a task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enario through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nd determine whether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satisfies the ergonomic fitness requirement according to the result.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ergonomic conformity requirement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satisfied based on a result of convergence of evaluation scores of a host who directly goes through the simulation or an observer who observes the simulation. Here, the evaluation score may be calculated separately for each interface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nd accordingly,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score may be calculated differently for each interface.

한편 이처럼 가이드라인이나 규제 지침, 및/또는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이 판단되는 경우,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대한 설계 개선 사항이 같이 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인터페이스들 중 상기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이나 규제 지침에 적합하지 않은 인터페이스가 있는 경우, 이러한 인터페이스가 상기 설계 개선 사항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 상기 시뮬레이션의 진행자 또는 관찰자의 각 인터페이스별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상기 평가 점수가 일정 수준 이하인 인터페이스가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대한 설계 개선 사항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시뮬레이션의 진행자 또는 관찰자로부터 수렴된 의견들을 수집하여, 이를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설계 개선 사항에 대한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ergonomic suitability of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is judg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the regulatory guide, and / or the simulation result, the design improvement items for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can be derived together. For example, if there is an interface among the interfaces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that does not conform to the predetermined guideline or the regulatory guidance, such an interface can be the design improvement. Also,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an interface whose evaluation score is lower than a certain level may be a design improvement item for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based on evaluation scores of each interface of the simulator or the observer of the simulation.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10 collects the converged opinions from the host or the observer of the simulation and stores the gathered opinions as information on the design improvement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한편 이러한 설계 개선 사항은,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서,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에 따라 요구되는 인터페이스가 없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S206 단계의 검출 결과,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모든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들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서 제공 가능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10)는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설계 개선 사항에 대한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S210). On the other hand, such a design improvement may occur even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interface required in accordance with job and / or job requirements in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That is, if at least one of the interfaces corresponding to all job and / or job requirements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not available in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s a result of the checking in step S206, And may be stored as information on the design improvements (S210).

한편 이처럼 설계 개선 사항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경우, 제어부(110)는 평가 대상 기기가 상기 설계 개선 사항을 개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대상 기기가, 다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100)에서 인간 공학 적합성 여부를 평가되는 경우, 상기 설계 개선 사항이 반영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nformation on the design improvement items is stored, the control unit 110 can determine whether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mproves the design improvement items. For example, when the target device is evaluated for ergonomic suitability in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 design improvement is reflected .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설계 개선 사항으로 지적된 특정 구성부에 대해, 기존의 인터페이스와 변경된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 여부는, 상기 대상 기기와 관련되어 저장된 정보(예를 들어 기능 분석 결과나 매뉴얼, 설계도 또는 대상 기기의 입체적 형상에 관련된 정보 등)로부터 판단될 수 있으며, 변경 사항이 있는 경우 설계 개선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대상 기기가 설계 개선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한 인간 공학 적합성 요건을 다시 판단할 수도 있다(S212).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can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existing interface and a changed part for a specific component pointed out as a design improvement item. This change can be judged from the information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target device (for example, the result of the function analysi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manual, the design or the target device, etc.) . If the target device has undergone the design improvement, the controller 110 may re-determine the ergonomic suitability requirement for the target device (S212).

도 3은, 도 2의 동작 과정 중, 기 저장된 대상 기기의 직무 분석 결과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에서 요구되는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을 도출하는 동작 과정을 보다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FIG. 3 shows in more detail an operation procedure for deriving a job and / or a job requirement required from the target device from the job analysis result of the pre-stored target device during the operation process of FIG.

상기 S200 단계에서,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기 설정된 인간 공학 분석 활동을 충분히 거쳤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새로운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0).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기능 및/또는 종류에 대응되는 기기에 대한 정보가 직무 목록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이를 판단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00 that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has undergone sufficient predetermined ergonomic analysis activities, the control unit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a new device (S30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information on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and / or the type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stored in the job listing database 122.

그리고 상기 S300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을 서로 다르게 도출할 수 있다. 예를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새로운 기기인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모든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을 도출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새로운 것이므로, 이에 따라 평가 대상 기기의 모든 직무 및, 그에 따른 직무 요건들을 다 도출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직무 목록 테이블을 작성할 수 있다(S302). 여기서 상기 직무 목록 테이블은,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대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직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대표 직무가, 발전소의 운전 또는 유지와 관련된 직무인 경우, 상기 직무 목록 테이블은, 발전소의 운전 또는 유지와 관련된 특정 제어 설비의 제어를 위한 직무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300, the controller 110 may derive the job and / or job requirements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from different values. For example, if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is a new device, the control unit 110 can derive all the job and / or job requirements of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This is because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new, and therefore all of the jobs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nd the corresponding job requirements must be derive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may create the job list table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S302). Here, the task list table may include tasks required to perform a representative task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representative job of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is a job related to the operation or maintenance of the power plant, the job list table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duties for controlling the specific control facility related to the operation or maintenance of the power plant . ≪ / RTI >

한편 이러한 직무들은,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직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무들은 대표 직무에 따라 수집된 직무 데이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직무 데이터는 상기 대표 직무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수집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직무 분석 대상(대표 직무)과 그 대상에 대응되는 직무 데이터 수집 방법의 예는 하기 표 1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se jobs can be created based on the job analysis result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Here, the dutie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job data collected according to the representative duties. The job data may be collected in different manners depending on the representative job. Examples of these job analysis subjects (representative jobs) and their corresponding job data collection methods are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112014098309918-pat00001
Figure 112014098309918-pat00001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기 저장된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직무 분석 결과에 대해, 상기 직무 분석 대상에 따라 기 설정된 직무 데이터 수집 방안에 따라 수집된 직무 데이터들에 의해 분석된 것인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직무가, 확률론적 위험 평가 또는 HRA를 통해 발전소 위험 상황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는 직무인 경우, 확률론적 위험 평가 결과 또는 HRA를 통해 도출된 직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각 직무 분석 대상에 따라 수집된 직무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직무가 분석된 것일 경우에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직무 분석 결과로부터 직무 목록 테이블을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작성된 직무 목록 테이블에 따라 수집된 직무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직무들의 목록(이하 직무 목록)을 작성할 수 있다(S304).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can verify whether or not the job analysis result of the previously stored evaluation target device is analyzed based on the job data collected according to the job data collection plan previously set according to the job analysis target have. For example, if the job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a stochastic risk assessment or a job judged to be capable of influencing the risk of a plant through the HRA, the control unit 110 may perform a stochastic risk assessment,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job data is included. In the case where the job of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is analyzed based on the job data collected according to each job analysis subject, the job list table can be created from the job analysis result of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The control unit 110 may generate a list of task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job list)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based on the job data collected according to the created job list table (S304).

한편 상기 직무들은 다양한 직무 요건을 추가로 요구하는 것들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직무 요건들은 상기 직무 분석 결과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기 설정된 기준 즉,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 KINS) 또는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 NRC) 등 국제적으로 공시된 규제 지침에 따라 해당 직무에 대해 반드시 요구되는 것으로 정해진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직무 목록에 근거하여 각각의 직무 목록에 대한 직무 요건을 도출할 수 있다(S306). 이러한 직무 요건은 하기와 같은 조건에 의해 분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uties may be those requiring additional job requirements. In this case, the above job requirements may be included in the job analysis results and may be determined internationally, such as a predetermined standard, such as the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KINS) or the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It may be determined that it is required for the job in accordance with the published regulatory guidelines. The control unit 110 may derive the job requirements for each job list based on the job list (S306). These job requirements can be classified by the following conditions.

- 직무수행에 필요한 정보의 요구사항(예, 경보, 변수값, 피드백 정보)인지 여부.-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requirements (eg, alarms, variable values, feedback information) are necessary for the job performance.

- 의사결정의 방식이나 평가 등의 요구사항(예, 판단유형, 평가유무)인지 여부.- Whether there are requirements (eg, type of judgment, evaluation, etc.) such as decision-making or evaluation.

- 직무대응에 필요한 요구사항(예, 행위의 종류, 직무 빈도, 직무 여유도)인지 여부.- Whether or not the requirements (eg, type of activity, job frequency, job margin) are necessary for job responsiveness.

- 의사소통에 필요한 요구사항(예, 정보 감시 및 제어를 위한 운전원 간 의사소통)인지 여부.- Whether the requirements for communication (eg, operator-to-operator communication for information monitoring and control).

- 직무 부하 요구사항(예, 인지적 직무부하, 신체적 직무부하, 직무 요구사항의 중복)인지 여부.- Whether or not the job load requirements (eg, cognitive job load, physical job load, duplication of job requirements).

- 직무 수행에 필요한 지원 도구(예, 도구, 장비)인지 여부.- Whether or not it is a supporting tool (eg, tool, equipment) necessary to perform the job.

- 직무 환경 요소(예, 출입구, 신체적 행위를 수반하는 작업공간, 조명, 온도)인지 여부.- whether it is a work environment element (eg entrance, working space with physical activity, lighting, temperature).

- 상황인식이나 수행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예, 스트레스, 인원 감축)인지 여부.- Whether or not factors that can affect situational awareness or performance (eg stress, personnel reduction).

- 직무 수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예, 잠재된 신체 상해, 감전)에 관련된 것인지 여부.
- Is it related to safety accidents (eg, potential personal injury or electric shock) that may occur during the performance of a job?

그리고 이에 따라 분류된 직무 요건은 하기 표 2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을 수 있다.
And the job requirements classified accordingly can be as shown in Table 2 below.

Figure 112014098309918-pat00002
Figure 112014098309918-pat00002

Figure 112014098309918-pat00003
Figure 112014098309918-pat00003

Figure 112014098309918-pat00004
Figure 112014098309918-pat00004

한편 상기 S300 단계에서, 평가 대상 기기가 신규한 기기가 아닌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직무 목록과 상기 직무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변경된 직무를 도출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와 대응되는 기기의 기 저장된 직무 목록(직무 목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과,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직무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차이가 검출된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을 추출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00 that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not a new device, the control unit 110 may derive the changed job using the job list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nd the job analysis result (S31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compares the previously stored job list (stored in the job list database) of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with the job analysis result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to determine the job and / or job requirement Can be detecte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may extract the job and / or job requirements for which the difference is detected.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변경된 직무가 안전성과 관련된 직무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변경된 직무가 안전성과 관련된 직무인 경우 상기 변경된 직무가 기 설정된 위험도 평가 요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S312). 여기서 상기 위험도 평가 요건은, 기 설정된 규제 지침 또는 가이드라인에 따라 다양한 것이 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G)에서 공시된 Regulatory Guide 1.174와 NUREG-1764에 따라 위험도를 평가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can determine whether the changed job is a job related to safety. If the changed job is a job related to safety, the control unit 110 can further determine whether the changed job meets a predetermined risk assessment requirement (S312). Here, the above risk assessment requirements may be various according to predetermined regulatory guidelines or guidelines. However,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risk assessment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gulatory Guide 1.174 and NUREG-1764 published by the 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NRG)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에서, 이러한 기준에 따른 위험도정보기반방식에 따라 위험도 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isk analysis according to a risk information-base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RC의 위험도선별과정(RG 1.174)은 노심손상빈도(Core Damage Frequency: CDF)에 근거하는 확률론적 접근이며, 인적행위(human actions: HAs)의 변경 관련 사항(NUREG-1764)은 RG 1.174에 일치하는 단계별 위험도정보기반방식(Risk-Informed Approach)을 적용하고 있다. 즉, 위험도가 높은(risk-significant) 인적행위는 보다 상세한 검토를 받고, 위험도가 보다 낮은 인적행위는 이에 비해 덜 상세한 검토를 받는다.The NRC risk selection process (RG 1.174) is a stochastic approach based on the core damage frequency (CDF), and the changes related to human actions (HAs) (NUREG-1764) are consistent with RG 1.174 (Risk-Informed Approach). That is, risk-significant human activities are reviewed in more detail, while human activities with lower risk are subject to less detailed review.

이러한 위험도 정보기반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이 2단계로 구성된다. 제1단계는 위험도선별과정(screening process)으로 발전소 변경 및 이와 관련된 인적행위를 위험도영역(risk space)에 배치하는 과정이다. 여기에서 위험도영역이란 RG 1.174에 언급된 허용영역(Acceptability Region)을 의미한다. This risk information based evaluation method consists of the following two steps. The first step is the process of screening the risks and deploying the changes and related human activities in the risk space. Here, the risk domain means the Acceptability Region referred to in RG 1.174.

이 과정은 처음 두 단계는 정량적 분석과정으로, 세 번째 단계는 정성적 분석과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험도선별과정을 통해 발전소변경 및 이와 관련된 인적행위는 '고', '중', '저' 등 세 가지 수준의 위험도로 분류된다.The first two steps can be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third step can be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the risk selection process, power plant changes and related human activities are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of risk: 'high', 'medium' and 'low'.

제2단계는 '고', '중', '저' 등 세 가지 수준의 위험영역에 대한 인간공학검토과정으로, 인적행위를 검토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의 목적은 인간공학검토를 통해 변경된 인적행위가 신뢰성있게 수행될 수 있음을 보장하는 데 있다. 이러한 인적행위 변경에 대한 검토수준(review level)은 제1단계에서 분석된 위험도에 비례하며,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뉜다.The second stage is an ergonomic review process for three levels of dangerous areas: 'high', 'middle', and 'low'. The purpose of this phase is to ensure that changed human activities can be performed reliably through human engineering review. The review level for these changes in human behavior is proportional to the risk analyzed in Phase 1, and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 '검토수준 I'은 '고' 위험도 인적행위(즉 위험도영역 I에 해당하는 인적행위)를 평가하는 데 적용된다. '검토수준 I'의 기준(review criteria)은 NUREG-0800, NUREG-0711 Rev.2, NUREG-0700 Rev.2 및 IN 97-78 등과 같은 인간공학관련 지침을 적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고' 위험도에 해당하는 인적행위에 대한 변경은 원칙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지만, 정당한 사유(예를 들어, 변경이 일시적이거나 또는 노심 손상빈도를 낮출 수 있는 경우)가 있다면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고'위험도에 해당하는 인적행위 변경을 허용하는 또 다른 중요 고려 사항은 사업자가 얼마나 적절하게, 변경과 관련된 인간공학 측면에서의 평가를 수행하였는가 하는 점이다. - 'Review level I' is applied to assess 'high' risk human activities (ie, human activities corresponding to risk area I). The review criteria for 'Review Level I' are, in principle, to apply ergonomic guidelines such as NUREG-0800, NUREG-0711 Rev.2, NUREG-0700 Rev.2 and IN 97-78. Changes to the 'high' risk behavior are not generally desirable, but changes may be possible if there are justifiable reasons (eg, if the change is temporary or if the frequency of core damage can be reduced). Another important consideration to allow for changes in human behavior that corresponds to this 'high' risk is how well the operator has performed an ergonomic assessment of the changes involved.

- '중' 위험도 인적행위(위험도영역 II)는 '수준 II'에 해당하는 검토를 받는다. 이 검토에는 '수준 I'과 주제별 검토분야는 동일하나, 범위는 수준 I에 비해 협소하다.- 'moderate' risk personality (risk domain II) is subject to a review of 'level II'. In this review, 'Level I' and the thematic review field are the same, but the scope is narrower than Level I.

- '저' 위험도 인적행위(위험도영역 III)는 인간공학검토를 수행하지 않지만, 변경인적행위가 실제 위험도영역 III에 해당하는 것인지(즉 '저'위험도에 속하는 것인지) 기술적 배경을 확인하는 수준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위험도선별과정에서의 마지막 세 번째 단계인 정성적 분석결과를 근거로, 제한된 일부 인간공학검토는 수행할 수 있다.
- 'Low' Risk Human activity (risk domain III) does not perform an ergonomic review, but it is at a level that confirms the technical background of whether the change human activity corresponds to actual risk domain III (ie, "low" risk) It proceeds. However, some limited ergonomics reviews can be carried out based on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the last third step in the risk screening process.

한편 RG 1.174 관점을 유지한다는 측면에서 NUREG-1764는, 사업자가 다른 방식을 통해 인허가 변경근거를 증명하거나 인적행위 변경을 신청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오히려 NUREG-1764에서 언급한 검토방식은 위험도정보기반 인적행위 변경신청에 대한 규제행위의 일관성을 유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RG 1.174는 발전소의 특정변경에 대한 지침보다는, 더욱 광범위한 관련활동들에 대한 위험도정보기반 원칙, 과정, 방법 등에 대한 유용한 검토지침을 제시한다. 따라서 NUREG-1764는 RG 1.174에서 언급된 규제측면과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In keeping with RG 1.174, NUREG-1764 does not rule out that operators are required to prove changes in licensing or apply for changes in human behavior through other means. Rather, the review method referred to in NUREG-1764 aims to maintain consistency of regulatory action on applications for change in risk information-based human behavior. RG 1.174 provides guidance on useful review of risk information-based principles, processes and methods for a broader range of related activities, rather than guidelines for specific changes to the plant. Therefore, NUREG-1764 maintains consistency with the regulatory aspects mentioned in RG 1.174.

RG 1.174는 확률론적위험도평가(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PRA)가 최신 방법 및 데이터에 의해 지원되는 범위까지 관련된 모든 규제현안에 적용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적용은 결정론적 접근방식(deterministic approach)을 보완하며, 전통적인 심층방어(defense-in-depth)개념을 지원한다. 인적행위에 대한 NUREG-1764은 이러한 방향과 개념을 동시에 고려한다.RG 1.174 suggests that the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PRA) should be applied to all relevant regulatory issues to the extent supported by the latest methods and data. This application complements the deterministic approach and supports the traditional defense-in-depth concept. NUREG-1764 on human behavior considers these directions and concepts at the same time.

RG 1.174는 제안된 변경사항에 대한 규제가 전통적인 공학 및 위험도정보를 모두 고려한 통합된 결과에 의거하도록 한다. 즉 규제결정은 정량적 분석 및 정보뿐만 아니라 정성적 요인에 근거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을 반영하여 NUREG-1764는, 위험도선별과정 중 세 번째 단계와 인적행위변경 승인에 대한 최종결정과정에서 정성적 요인을 고려하고 있다.RG 1.174 ensures that regulations on proposed changes are based on integrated results that take into account both traditional engineering and risk information. In other words, regulatory decisions should be based on qualitative factors as well as quantitative analysis and information. Reflecting this view, NUREG-1764 considers qualitative factors in the final decision-making process in the third stage of the risk screening process and in approving changes in human activities.

또한 NRC는 규제조치가 위험도기반(risk-based)이 아닌 위험도정보기반이 되어야함을 언급하고 있다. 따라서 NUREG-1764는 결정론적 측면, 즉 심층방어조치, 현재규제요건만족, 인적행위의 인간공학측면고려 등과 같은 접근방식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인적행위 변경을 포함한 위험도 정보변경에 대한 검토는 반복적인 과정이며, 인간공학에 대한 최종검토결과는 RG 1.174 2.2.6절에 언급된 통합의사결정(Integrated Decisionmaking)의 근거자료로, 그리고 안전성평가보고서(Safety Evaluation Report)로 문서화 될 수 있다.The NRC also notes that regulatory action should be based on risk information rather than risk-based. Therefore, NUREG-1764 maintains a deterministic aspect: an approach to defense in depth, current regulatory requirements, and ergonomic aspects of human behavior. The review of risk information changes, including changes in human behavior, is an iterative process, and the final review of ergonomics is the basis for Integrated Decisionmaking referred to in 2.2.6 of RG 1.174, (Safety Evaluation Report).

NUREG-1764는 (1) 안전성 유지, (2) 대중적인 신뢰성 향상, (3) 규제능률 및 유효성 증대, (4) 불필요한 규제부담감소 등과 같은 목적을 만족시키는 데 있다. 따라서 PRA를 통한 향상된 안전성 의사결정, 인력 및 시간 등 규제에 요구되는 자원의 효율적 이용, 인허가 소지자의 불필요한 부담감소 등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NUREG-1764에서사업자의 변경신청에는 다음과 같은 발전소 변경사안에 따라, 안전성관련 운전원 조치사항관련 인적행위가 포함될 수 있다.
NUREG-1764 is intended to satisfy such objectives as (1) maintaining safety, (2) improving public confidence, (3) increasing regulatory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and (4) reducing unnecessary regulatory burden. Therefore, it can be expected to have effects such as improved safety decision making through PRA, efficient use of resources required for regulations such as manpower and time, and unnecessary burden of license holders. In conclusion, the NUREG-1764 operator's request for change may include human activities related to safety-related action items, depending on the following plant change cases.

- 발전소개선- Power plant improvement

- 절차서변경- Change procedure

- 기기고장- machine failure

- 연속운전에 대한 정당화 (justification for continued operations: JCOs)- justification for continued operations (JCOs)

- 기기성능 또는 안전성분석에서 규명된 결함
- Defects identified in the instrument performance or safety analysis

변경신청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발전소 사안에 따른 변경사항들이, 인적행위(즉 안전성관련 운전원 조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평가한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발전소 변경에 따라 인적행위에 대한 다음과 같은 영향이 있을 수 있다.
The change application should include an assessment of how the changes in the power plant case described above affect the human behavior (ie, safety-related operator action). Depending on the change of the power plant, there may be the following effects on human activities.

- 새로운 인적행위가 발생하는 경우 - 자동으로 수행되던 운전이 운전원에게 할당되는 경우와 같이, 과거 운전원이 직접 수행하지 않았던 것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 When a new human activity occurs. - When the operation that was performed automatically should be assigned to the operator.

- 이전과 다른 인적행위가 요구되는 경우 - 새로운 운전직무가 생기거나(예, 새로운 계통설비, 설비변경, 또는 설비고장으로 인한) 또는 새로운 제어기 및 디스플레이 설비도입에 따라 기존 운전방식이 변경되는 경우- If a different type of human activity is required. - If a new driving assignment occurs (eg due to new system facilities, equipment changes, or equipment failures), or if the existing operation mode changes due to the introduction of new controllers and display equipment.

- 직무요구(task demands)가 변경되는 경우 - 직무조치 자체가 영향 받는 것이 아니라, 직무허용시간(amount of time available) 또는 직무에 대한 전반적 환경 등과 같은 직무요구가 변경되는 경우
- When task demands change - If the job requirements themselves are not affected, but the job requirements such as the amount of time available or the overall environment for the job chang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100)는 이러한 위험도 평가에 관련된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 위험도 인적 행위의 경우, 정당한 사유 및 승인과 관련된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상기 안전성평가보고서(Safety Evaluation Report), 변경 신청서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관련된 정보로서 미리 저장될 수 있다.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information related to such a risk assessm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high-risk human activities, it can be judged whether there is information related to just cause and approval. Such information may include the safety evaluation report, the change application, and the like, and may be stored in advance as information related to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제어부(110)는 이러한 상기 변경된 직무에 대해 필요한 정보가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에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평가 대상 기기의 직무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부(110)는 변경된 직무의 종류에 따라 이를 구분(예를 들어 고, 중, 저 위험도)할 수 있으며, 각각에 대응되는 위험도 평가에 필요한 정보를 결정(예를 들어 고 위험도 : 정당한 사유 및 승인에 관련된 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상기 직무의 변경이 정당하게 이루어진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can check whether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changed job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and determine whether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formation includes all the information to be considered. That is, according to the job analysis result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the control unit 110 can classify (for example, high, medium, low risk)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hanged job, Decisions (eg, high risk: justifiable grounds and information related to approvals).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 change of the job of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has been made legitimately.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변경된 직무에 대응되는 변경 신청서와 같은 정보가 있는지 여부 및, 상기 변경 신청서에 필요한 정보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상기 정보들이 있는지 여부를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변경된 직무에 대해 필요한 서류 및 과정들을 체크 리스트의 형태로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각각의 정보의 유무에 대해 입력을 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변경된 직무에 대한 위험도 평가 관련 정보가 모두 있는 경우, 즉 상기 변경된 직무에 대응되는 위험도 평가 절차를 모두 통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may check whether there is information such as a change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job, and whether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change request is included. Alternatively, necessary documents and procedures for the changed job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check list so that the user can input whether the information is present or not, and the user may be informed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ch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10 may determine that all of the risk assessment-related information for the changed job, that is, the risk assessment procedure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job, has passed.

한편 상기 S312 단계에서, 상기 변경된 직무가 위험도 평가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필요한 정보가 모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대한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를 더 이상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원전 기기의 특성상, 안전성이 최우선이며, 이에 따라 위험도 평가 요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한해 직무의 변경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변경된 직무가 위험도 평가 요건을 만족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현재 결여된 위험도 평가 요건과 관련된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12 that the changed job does not satisfy the risk assessment requirement (for example, if all necessary information is not stored), the control unit 110 transmits an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Or more. This is because, due to the nature of the nuclear equipment used in nuclear power plants, safety is the top priority, and therefore, only when the risk assessment requirements are satisfied, the job must be changed. Accordingly,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may display information including that the changed job does not satisfy the risk assessment requirement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and may further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ly missing risk assessment requirement .

한편 상기 S312 단계에서, 변경된 직무가 위험도 평가 요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해당 기기의 변경된 직무에 대한 직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 대상 기기에 대한 변경된 직무에 대한 직무 목록을 작성할 수 있다(S314). 그리고 이처럼 직무 목록이 작성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S306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314 단계에서 작성된 직무 목록에 근거하여 상기 변경된 직무들에 대한 직무 요건들을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직무 요건들이 도출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S204 단계 내지 S212 단계를 진행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변경된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12 that the changed job satisfies the risk assessment requirement,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a job list for the changed job for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based on the job analysis result for the changed job (S314). When the job list is creat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10 proceeds to step S306 and can derive the job requirements for the changed jobs based on the job list created in step S314. If the job requirements are derived, the controller 110 may proceed to steps S204 through S212 to perform an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of the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job and / or job requirements of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한편, 상기 S212 단계에서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대한 인간 공학 적합성을 평가하는 과정은,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이나 규제 지침에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인터페이스가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기 설정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 따라 인간 공학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100)가 평가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을 평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ergonomic suitability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n the step S212 may include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interface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suitable for a predetermined guideline or a regulatory guide, And may include processe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ergonomic suitability is appropriate. FIG. 5 shows a process in which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aluates the ergonomic fitness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100)는, 상기 S206 단계의 판단 결과 직무 및/또는 직무 요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가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서 모두 가능한 경우, 우선 상기 인터페이스들이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라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BUSV : Bottom Up Suitability Verification : 상향식 적합성 확인)할 수 있다(S500). 5, when the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job and / or the job requirement is available in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6,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SV: Bottom Up Suitability Verification) (S500) to determine whether the interfaces conform to the predetermined guidelines.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S500 단계에서, 특정 계측 값을 표시하는 눈금의 색상이나 텍스트의 크기, 또는 인터페이스의 위치 등이,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 또는 규제 지침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특정 계측값을 표시하는 눈금 또는 텍스트에 대한 조건을, 저장부(120)의 검증 정보 저장부(120) 또는 지침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가이드라인 정보나 규제 지침 정보로부터 검색할 수 있으며, 상기 검색된 조건을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대응되는 인터페이스가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 대해 기 저장된 정보 중, 매뉴얼이나 설계도, 또는 입체적 형상 등으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step S500, the controller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color of the scale indicating the specific measured value, the size of the text, the position of the interface, and the like meet the predetermined guidelines or regulatory guidelines . That is, the control unit 110 stores the condition of the scale or text for displaying the measurement value in the ver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or the instru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of the storage unit 120, Information, and can determine whether the retrieved condition is satisfied by a corresponding interface of the device under evaluation. Here, the information on the interface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can be detected from the manual, the design, or the three-dimensional shape among the pre-stored information about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이러한 BUSV는 HSI의 특성과 해당 인터페이스가 사용되는 환경이 인간공학지침과 일치하는지를 세밀하게 확인하는 과정이다. 인간공학지침은 해당 기기에 대응되는 HSI(Human System Interface) 스타일가이드를 근간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HSI 스타일가이드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신규한 것이 아닌 경우 상기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신규한 기기인 경우 대응되는 HSI 스타일가이드가 없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NUREG-0700 HSI 설계지침을 준용할 수 있다. This BUSV is a process of closely checking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HSI and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interface is used are consistent with ergonomic guidelines. The ergonomics guidelines are based on the HSI (Human System Interface) style guide corresponding to the device. Here, the HSI style guid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i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not new. However, i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a new device, there may be no corresponding HSI style guide, and in this case, the NUREG-0700 HSI design guidelines may be applied.

또한 BUSV는 인증된 인간공학 전문가의 체크리스트 평가 기법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체크리스트는 아래 표와 같이 인간공학지침 각 항목별로 수용(Acceptable), 불일치(Discrepant), 혹은 해당 없음(Not Applicable)을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체크 리스트는 표시부(150)에 화상 정보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체크리스트에 대한 체크 결과는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체크 리스트의 체크 결과에 따라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BUSV may also be performed through checklist evaluation techniques of certified ergonomics specialists. The checklist is structured to evaluate acceptable (Acceptable), Discrepant, or Not Applicable for each item of the Ergonomic Guidelines as shown in the table below. In this case, the check list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imag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check result on the check list may b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40. [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matches the ergonomic conformity according to the check result of the check list.

Figure 112014098309918-pat00005
Figure 112014098309918-pat00005

상기 체크리스트는 HSI 스타일가이드의 구성항목 별로 인간공학 설계원칙 및 지침을 확인할 수 있는 세부내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체크리스트의 모든 항목은 각 항목 간의 독립성이 유지되어야 하며, 하나의 검토 항목에 하나 이상의 검토 내용이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체크리스트의 구성은 먼저 공통 항목으로 정보표시, 인터페이스 요소, 그리고 제어기 설계에 대한 항목이 포함되어야 하며, 그 다음으로 해당 기기 특성에 따른 검토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사용되는 작업환경과 이후 유지보수 측면에 대한 항목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크 리스트는, 위 표 3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 또는 규제 지침에 근거하여 대상 기기의 인터페이스에 대해 체크하여야 할 내용(평가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평가 내용은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가이드라인 또는 규제 지침에서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내용을 검색한 결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보다 상세한 전문가 검토를 필요로 하는 기기로 기 설정된 것일 경우, 제어부(110)는 그 자격이 인증된 전문가의 검토를 요청할 수도 있다. The checklist may be composed of details that can confirm ergonomic design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each constituent item of the HSI style guide. All items in the checklist should be independent of each other, and should not contain more than one review in a review. The composition of the checklist should first include items for information display, interface elements, and controller design as common items, followed by reviews based on the device characteristics. And finally, an item about the working environment in which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is used and the maintenance aspect thereafter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checklist may include content (evaluation content) to be checked on the interface of the target device based on predetermined guidelines or regulatory guidelines, as shown in Table 3 above. The evaluation content may be a result of searching for 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n the guide line or the regulatory guidan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 Further, when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is predetermined by a device requiring more detailed expert review, the control section 110 may request the examination of the certified expert.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S500 단계에서, 상기 체크 리스트의 체크 결과 및/또는 상기 가이드라인이나 규제 지침에 따른 조건을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인터페이스가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인간 공학 적합성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2). 여기서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인간 공학 적합성에 일치한다는 것은,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인터페이스가, 인간공학지침과 일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인간 공학 적합성에 불일치한다는 것은,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인터페이스가, 인간공학지침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In step S500,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whether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satisfies the ergonomic fitness of the user according to whether the check result of the check list and / or the condition based on the guide line or the regulatory guide satisfies the interface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S502). Here, the fact that the device under evaluation conforms to the ergonomic suitability may mean that the interface of the device under evaluation conforms to the ergonomic guidance. Conversely, the incompatibility of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with the ergonomic conformity may mean that the interface of the evaluation subject device is inconsistent with the ergonomic guidance.

한편 상기 S502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인터페이스 중, 상기 가이드라인 또는 규제 지침에서 지정된 것과 어긋나는 것이 있는 경우, 또는 상기 체크 리스트의 체크 결과가 불일치 또는 해당 없음인 인터페이스가 있는 경우,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인간 공학 적합성에 불일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인간 공학 적합성 불일치 사항 및 상기 인간 공학 적합성에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상기 대상 기기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설계 개선 사항으로 도출할 수 있다(S510). 그리고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인간 공학 적합성에 불일치하다는 결과 및 상기 설계 개선 사항을 표시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02 that the interface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inconsistent with the one specified in the guideline or the regulatory guidance, or if the check result of the check list is inconsistent or has no interface ,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inconsistent with the ergonomic fitness.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may derive information on the ergonomic fitness inconsistency and the interface of the target device, which is determined to be inconsistent with the ergonomic fitness, as a design improvement item (S510).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object device inconsistent with the ergonomic fitness and the design improvement item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그러나 만약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특정 인터페이스에 대해 예외적인 사항이 있는 경우라면, 즉,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가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이나 규제 지침에 일치하지는 않으나, 이러한 불일치에 대한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예외적으로 해당 인터페이스가 인간 공학 적합성 여부에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However, if there is an exception to the specific interface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that is, for example, if the interface does not agree with the predetermined guidelines or the regulatory guidance, but there is a legitimate reason for the discrepancy, (110) may, of course, determine that the interface is consistent with ergonomic suitability.

한편, 상기 S502 단계에서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이나 규제지침에 따라 인간 공학 적합성에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진행할 수 있다(S504). 예를 들어 이러한 시뮬레이션은 해당 기기에 대한 인간공학 설계의 적합성을 운전개념(operating concept) 측면에서 평가하는 하향식 적합성 확인(Top Down Suitability Verification : TDSV) 과정의 일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S504 단계에서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운용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은 HMD 등을 이용한 가상 현실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02 that the device under test conforms to the ergonomic suitabilit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guideline or a regulatory guide, the controller 110 may perform a simul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enario in step S504. For example, this simulation can be done as part of a Top Down Suitability Verification (TDSV) process that evaluates the suitability of an ergonomic design for the device in terms of operating concept. The control unit 110 may perform simul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ccording to a scenario set in step S504. This simul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a virtual reality using HMD or the like.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 시뮬레이션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대한 인간 공학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6).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운용 시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정확도 등을 평가한 결과 또는 상기 시뮬레이션을 직접 진행한 진행자나 상기 시뮬레이션을 참관한 제3자의 평가 점수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진행자 또는 제3자는 평가 대상 기기의 각 인터페이스 별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평가 대상 기기의 종류나 수행하는 직무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서로 다른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ergonomic conform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imulation (S506). For example, the controller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operating or not, as a result of evaluating time and accuracy required for performing a task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enario, And the evaluation score of a third party who visited the facility. Here, the host or the third party can evaluate each interface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Further, the control unit 110 may perform different simulations based on the type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nd the job to be performed, or may use different simulation results.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가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에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인간 공학 적합성에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를 운용한 경우에 상기 시나리오에 따른 작업의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수준 이상 단축되거나 정확도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 향상되는 경우, 또는 상기 시뮬레이션의 진행자나 참관한 제3자의 평가 점수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인 경우에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인간 공학 적합성에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인간 공학 적합성에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그 결과를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S508). The controller 110 may determine that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matches the ergonomic fitness when the simulation resul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For example, if the time required for performing the task according to the scenario is short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or the accuracy is improved by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when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operated, It is possible to judge that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in conformity with the ergonomic fitness when the evaluation score of the third party who has visited or observer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matches the ergonomic fitness, the display unit 150 may display or output the result (S508).

한편 상기 S506 단계에서,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인간 공학 적합성에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S51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시뮬레이션 평가 결과에 따른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대한 인간 공학 적합성 불일치 사항(Human Engineering Discrepancy : HED) 및 설계 개선 사항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진행자 및 참관한 제3자로부터 인간 공학 적합성에 불일치하다고 평가된 인터페이스를 상기 설계 개선 사항으로 도출할 수 있으며, 상기 진행자 및/또는 상기 제3자의 의견을 상기 설계 개선 사항에 더 포함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06 that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does not match the ergonomic fitness, the controller 110 proceeds to step S510 to determine whether the ergonomic fitness inconsistency Human Engineering Discrepancy: HED) and design improvement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may derive an interface evaluated as inconsistent with the ergonomic fitness from the host who has performed the simulation and the third party who has visited the simulation as the design improvement, and the host and / Comments can be further included in the above design improvements.

한편 상기 S510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현재 도출된 인간 공학 적합성 불일치 사항(HED)의 당위성에 관련된 정보가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즉, 공인된 기관이나 공인된 전문가로부터 상기 도출된 불일치 사항을 승인한 정보가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해당 불일치 사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에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불일치 사항은 인간 공학과 관련된 문헌이나 사례, 혹은 관련된 인간 공학적 평가 데이터에 근거하여 승인될 수 있으며, 상기 승인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관련된 정보로서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In step S510, the controller 110 may detect whether there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validity of the currently obtained ergonomic fitness inconsistency (HED). That is, if there is information that the approved incompatibilities are approved by the authorized or authorized experts, the control unit 110 may determine that the inconsistencies are consistent with the ergonomic suitability of the evaluation target apparatus have. For example, the discrepancy may be approved based on literature or an example related to ergonomics, or related ergonomic evaluation data, a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pproval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as information related to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There may be something.

그러나 이처럼 상기 불일치 사항(HED)의 당위성에 관련된 정보가 없는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불일치 사항(HED)을 분석 및 평가할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상기 불일치 사항(HED)을 분석 및 평가할 때,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However, if there is no information related to the validity of the HED, the control unit 110 may receive information for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HED from the user. Here, when the user analyzes and evaluates the inconsistency (HED), the control unit 110 may provide the following criteria.

ㄱ) 발전소 계통의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 해당 HED가 발전소 계통에 어떠한 잠재적 영향을 미치는 지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한다. 여기서 HED의 잠재적 영향이라 함은 발전소의 안전이나 인적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할 수 있다.A) Whether it affects the plant system: Provides criteria for assessing the potential impact of the HED on the plant's system. The potential impact of the HED here may include the impact on the safety or human performance of the plant.

ㄴ) HED 범위 기준을 제시한다. B) Present HED range criteria.

- HED 일반: 전반적 구성, 조명이나 환기와 같은 환경과 관련되어 인적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HED인가?- HED General: HED that affects human performance in relation to the environment, such as overall composition, lighting or ventilation?

- 일반특성 관련 HED: HSI 설계지침의 적용성에 관한 HED인가?- General characteristics related HED: Is HED the applicability of HSI design guidelines?

- 설계특성 관련 HED: 표준화되지 않은 설계특성의 일반화에 관한 HED인가?- HED for design characteristics: HED for generalization of non-standardized design characteristics?

- 기타 HED- Other HED

- 각 HSI(Human System Interface) 혹은 절차서: 특정 구성요소와 관련하여 발전소 전체의 안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HSI 구성요소나 절차서를 기준으로 제시.- Each HSI (Human System Interface) or procedure: Based on HSI components or procedures that may affect the safety of the entire plant in relation to specific components.

- 운전원 기능: 발전소 전체의 안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운전원 기능인가?
- Operator function: Is it a function of the operator that can affect the safety of the entire plant?

한편 제어부(110)는 HED 분석 및 평가시 발전소 안전과 인적 수행도에 여러 HED가 복합적으로 누적되어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입력한 분석 및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불일치 사항과 동일 및 유사한 불일치 사항들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상기 불일치 사항과 관련된 다른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특정 불일치 사항이 선택되는 경우, 그와 관련된 다른 불일치 사항 또는 상기 불일치 사항이 발견된 평가 대상 기기의 직무와 관련된 다른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불일치 사항을 분석하는 경우에 다른 기기들과의 관련성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불일치 사항이 개선되는 경우, 다른 기기에 영향을 미치는 지 여부 및 상기 개선 사항이 다른 기기의 불일치 사항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10 can confirm whether various HEDs are cumulatively accumulated in the safety and human performance of the HED during the HED analysis and evaluation.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may classify and manage the same or similar inconsistencies as the inconsistencies of the evaluation target apparatus by using the analysis and evaluation results input by the user. Or the control unit 110 may manage the information about other devices related to the inconsistency. Accordingly, when a specific inconsistency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10 displays information on other incompatibilities related to the specific inconsistency or other incompatibilities related to the job of the evaluation subject apparatus in which the inconsistency is found, In case of analysis, it is possible to trace the relationship with other devices. Accordingly, the user can comprehensively determine whether the specific inconsistencies are improved, whether they affect other devices, and whether the improvements can affect the inconsistencies of other devices.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상기 불일치 사항(HED)를 분석 및 평가할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은 기준들을 제시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분석 및 평가한 사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불일치 사항(HED)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불일치 사항(HED)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10 may provide the above-mentioned criteria so that the user can analyze and evaluate the inconsistency (HED), and thereby receive the analysis and evaluation items by the user.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0 may determine the priorities of the ergonomic inconsistencies (HED)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nd classify, store and manage the inconsistencies (H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iorities.

도 6은, 이처럼 대상 기기에서 인간 공학 불일치 사항이 검출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100)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불일치 사항을 분류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when an ergonomic inconsistency is detected in the target device, th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the inconsistenc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우선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불일치 사항을 기 설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분류 기준은 예를 들어 HED의 범주(예를 들어 HED 일반, 일반 특성 관련 HED, 설계 특성 관련 HED), 평가 대상 기기(HSI : Human System Interface), 계통(예를 들어 발전소 계통, 운전 계통, 감시 계통 등), 직무(예를 들어 운전 직무, 제어 직무 등)등이 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10 of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lassify the inconsistencies of the evaluation target apparatus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criteri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may include, for example, a category of HEDs (e.g., HED general, general characteristics HED, design characteristic HED), an evaluation target device (HSI), a system (e.g., Surveillance system, etc.), job (for example, driving job, control job, etc.).

이처럼 평가 대상 기기의 불일치 사항(HED)이 분류되면, 제어부(110)는 우선 불일치 사항에 대한 당위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상기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불일치가 이미 승인된 것인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S600). 그리고 만약 상기 불일치 사항의 승인에 대한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불일치 사항을 예외적으로 인정하고 상기 평가 대상 기기를 인간 공학 적합성이 일치하는 기기로 판다할 수도 있다. If the inconsistency item (HED)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classifi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10 can first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disparity is valid. That is, the control unit 110 may check whether the ergonomic fitness inconsistency of the target device is already approved (S600). If there is information on the approval of the inconsistency, the inconsistency may be exceptionally recognized, and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may be sold to a device having an ergonomic conformity.

한편 상기 S60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불일치에 대한 승인 정보가 없는 경우, 제어부(110)는 우선 상기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불일치가 원전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02).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S606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불일치 사항이 원전의 안전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불일치 사항을 가장 높은 우선 순위인 제1 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S606). 제어부(110)는 상기 불일치 사항을 분류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불일치 사항이 원전의 안전성에 영향을 주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직무 또는 계통이 원전의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경우).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00 that there is no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inconsistency, the controller 110 may first determine whether the incompatibility of the target device with the ergonomic conformity affects the stability of the power source (S602) .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06 that the inconsistency affects the safety of the nuclear power plant, the controller 110 may set the inconsistency to the highest priority (S606). The control unit 110 can determine whether the inconsistency affects the safety of the nuclear power plant based on the result of classifying the inconsistency (for example, when the job or the system directly affects the safety of the nuclear power plant) .

그러나 만약 상기 S602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불일치 사항이 원전의 안전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닌 경우, 상기 대상 기기의 불일치 사항이 원전 또는 수행원의 수행도에 영향을 주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604).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운전 계통이거나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가 발전소의 운전과 관련된 경우에 상기 불일치 사항을 상기 원전 또는 수행원의 수행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불일치 사항이 상기 원전 또는 수행원의 수행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불일치 사항을 다음 우선 순위인 제2 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S608).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02 that the inconsistency of the ergonomic conformity of the target device does not affect the safety of the power sourc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consistency of the target device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source or the attendant (S604).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may determine that the inconsistency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nuclear power plant or the attendant when the evaluation subject apparatus is a driving system or the job of the target apparatus is related to operation of the power plan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consistency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nuclear power plant or the attendant, the controller 110 may set the inconsistency to the second priority (S608).

한편 상기 S606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대상 기기가 원전 또는 수행원의 수행도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닌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상기 불일치 사항을 가장 낮은 우선 순위인 제3 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S610). 그리고 이처럼 불일치 사항들에 대한 우선 순위가 결정되면, 제어부(110)는 각각의 불일치 사항들을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관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우선 순위가 제1 순위인 불일치 사항의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즉각적인 해결책 및 대안 설계의 이행을 사용자에게 촉구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06 that the target device does not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source or the attendant, the control unit 110 may set the discrepancy to the third lowest priority (S610 ). If the priorities of the inconsistencies are determined, the controller 110 can manage the inconsistencies according to the priorities. That is, in the case of the inconsistency whose priority is the first priority, the controller 110 may prompt the user to implement an immediate solution and alternative design.

한편 이러한 불일치 사항들은, 표시부(150)에 표시될 수 있으며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불일치 사항에 대한 우선 순위, 상기 불일치 사항과 관련된 계통 및 관련된 운전원 기능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정보를 표시부(15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불일치 사항에 관련된 정보들은 전자 문서 등으로 문서화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상기 불일치 사항에 관련된 정보들이 문서화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se discrepancie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and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may display imag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50, which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priorities of inconsistencies, a system related to the inconsistencies, and related operator functions and the lik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consistency may be documented in an electronic document or the like, and the control unit 110 may check whether or not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consistency is documented.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불일치 사항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 설계를 개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대안 설계는 계통 및 운전원 요건과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대안설계를 개발할 수 있다. 이때, 다른 HED와의 관련성을 고려한 상충효과 분석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대안 설계가 완료된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완료된 대안 설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가 대안 설계의 완료 여부를 체크할 수 있으며, 상기 대안 설계가 완료된 경우,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상기 대안 설계에 따라 설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such a case, the user can develop an alternative design to improve the inconsistency, and the alternative design can develop an alternative design to maintain consistency with system and operator requirements. At this time, it should include the analysis of conflict effect considering the relation with other HED. When the alternative design is comple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11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completed alternative design from the user. The control unit 110 can check whether the alternative design has been completed by the user. If the alternative design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10 can determine whether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alternative design.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동일한 평가 대상 기기가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대상으로 재설정되는 경우, 상기 기존의 설계와 새로 저장된 설계를 비교하여 차이점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차이가 발생한 경우, 상기 대안 설계에 따라 설계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상기 불일치 사항이 발생한 인터페이스 부분에 대한 설계 변경 여부 만을 검출하여, 상기 평가 대상 기기가 설계 개선 사항을 반영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am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reset to an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target, the control unit 110 compares the existing design with a newly stored design to determine whether a difference occurs. If a difference occur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design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alternative design.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10 may detect only the design change of the interface part where the inconsistency occurs, and may determine whether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reflects the design improvement items.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해당 기기에 대한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의 재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대안 설계를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대안 설계를 평가한 결과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대안 설계를 평가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대한 설계에 대한 평가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상기 대안 설계에 따른 설계 변경을 이행하기 위한 이행 계획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현재 제시된 대안 설계에 따른 설계 해결안만으로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을 개선시키지 못할 경우, 그에 대한 정보를 상기 평가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불일치에 대한 근거 자료로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10 may perform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for the device again. And the alternative design can be evalua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execution of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The control unit 110 can receive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of the alternative design from the user, and can check whether the user has evaluated the alternative design. When the evaluation for the design is inputted, the control unit 110 can receive a transition plan for performing the design change according to the alternative design from the user. In addition, when the ergonomic fitness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can not be improved only by the design solution according to the currently proposed alternative design, information on the ergonomic fitness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may be input from the user as a basis for the ergonomic fitness inconsistency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isk (SSD), a silicon disk drive (SDD),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Also, the computer may include a control unit 180 of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
110 : 제어부
120 : 저장부
121 : 평가 대상 기기 정보 저장부
122 : 직무 목록 데이터베이스
123 : 직무 인터페이스 저장부
124 : 검증 정보 저장부
125 : 지침 정보 저장부
126 : 설계 개선 정보 저장부
130 : 검증부
132 : 인터페이스 검증부
134 : 시뮬레이션부
140 : 입력부
150 : 표시부
100: An ergonomic conformity evalu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120:
121: Evaluation object device information storage unit
122: Job List Database
123: job interface storage
124: Ver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25: instru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26: design improvement information storage section
130:
132: Interface Verification Unit
134:
140: Input unit
150:

Claims (13)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을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상 기기가, 상기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의 대상이 되는 기기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해 기 저장된 직무 분석 결과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 상기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요건인 직무 요건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해 기 저장된 정보 및, 복수의 다양한 기기들의 직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 직무 요건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 직무 요건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들이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대상 기기를 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방법.
A method for evaluating an ergonomic fitness of a target device,
Confirming whether the target device is an apparatus to be subjected to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Detecting a job requirement of the target device and a job requirement as a requirement for performing the job from the job analysis result pre-stored in the target device;
Detecting an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device using a database storing pre-stored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device and an interface corresponding to a job of the plurality of various devices;
Detecting whether interfaces corresponding to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device satisfy condi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guideline; And
And evaluating the ergonomic suitability of the target device based on a simulation result of operating the target device according to a preset scenari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기기가, 평가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기기가, 기 설정된 인간 공학 분석 절차들을 통해 검토된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 설정된 인간 공학 분석 절차들을 통해 상기 대상 기기가 검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인간 공학 분석 절차들과 관련된 정보들이 모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device is an evaluation target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device is a device reviewed through predetermined ergonomic analysis procedures,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device has been reviewed through the preset ergonomic analysis procedures comprises:
And detecting whether there is any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t ergonomic analysis procedur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 공학 분석 절차들은,
운전자 경험 검토(OER; Operating Experience Review), 기능요건분석 및 기능할당(FRA/FA; Functional Requirements Analysis and Function Allocation), 직무분석(TA; Task Analysis), 운전조 구성 및 자격분석(S&Q; Staffing and Qualifications), 인간신뢰도분석(HRA; Human Reliability Analysi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Operational Experience Review (OER), Functional Requirements Analysis and Function Allocation (FRA / FA), Task Analysis (TA), Operational Structure and Qualification Analysis (S & Q) Qualifications, and Human Reliability Analysis (HR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무 및 직무 요건들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기기가 신규한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한 기기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 기기에 대응되는 직무 분석 결과에 포함된 모든 직무 및 직무 요건들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중 기존의 기기와 변경된 직무 및 직무 요건들만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상 기기가 신규한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기기에 대응되는 기기의 직무 및 직무 요건들에 대한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detecting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device is a new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all job and job requirements included in the job analysis resul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ther the new device is present or to detect only the existing device and changed job and job requirements in the job of the target device And detecting,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device is a new device comprises:
Wherein the step of judging whether or not information on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of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device is stored in advan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직무 및 직무 요건들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기기가 신규한 기기가 아닌 경우, 상기 변경된 직무 및 직무 요건들에 대한 위험도 평가 절차가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결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험도 평가 절차의 수행 여부는,
상기 위험도 평가를 위해 기 설정된 절차의 수행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detecting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a risk evaluation procedure for the changed job and job requirements has been performed if the target device is not a new device,
Whether or not to perform the above-
And judging whether or not information related to performance of a predetermined procedure is stored for the risk assess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무 및 직무 요건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해 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에서 제공 가능한 인터페이스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대상 기기에서 제공 가능한 인터페이스들과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 직무 요건들을 각각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 직무 요건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들이 모두 있는 경우, 상기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들이 상기 직무 및 직무 요건에 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detecting an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comprises:
Extracting interfaces available from the target device from pre-stored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device;
Comparing the interfaces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and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device, respectively; And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orresponding interfaces meet conditions preset in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when all the interfaces corresponding to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device are present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 직무 요건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기기에서 제공 가능한 인터페이스들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상기 직무 및 직무 요건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서로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Extracting interfaces corresponding to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device from the database; And
And comparing the interfaces provided by the target device with the interfaces corresponding to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결과, 상기 대상 기기가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기준에 불일치하는 사항(Human Engineering Discrepancy : HED)을 추출 및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evaluating the ergonomic fitness of the target devic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extracting and managing a Human Engineering Discrepancy (HED) that is inconsistent with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standard of the target device as a result of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of the target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불일치 사항을 추출 및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 직무 요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 중, 상기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른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인터페이스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불일치 사항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불일치 사항들을 기 설정된 우선 순위 설정 기준에 따라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불일치 사항들을 서로 다르게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extracting and managing the inconsistency may include:
Extracting an interface that does not meet the condition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guideline among the interfaces corresponding to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device;
Classifying the inconsistenci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Determining priority of the classified inconsistenci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iority setting criterion; And
And managing the discrepancie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iority.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한 직무 분석 결과와, 상기 대상 기기에 관련된 정보들, 그리고 복수의 다양한 기기들의 직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를 위한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저장부;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 및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른 시뮬레이션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 직무 요건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검증하는 검증부; 및,
상기 직무 분석 결과로부터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 직무 요건들을 검출하고, 상기 대상 기기에 대해 기 저장된 정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 직무 요건들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들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상기 검증부의 검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을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
An apparatus for evaluating ergonomic fitness of a target device,
A database including a job analysis result for the target devi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arget device, and interfaces corresponding to jobs of a plurality of various devices, and a storage including data for the ergonomic conformity assessment of the target device part;
A verification unit verifying an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device based on a simul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guideline and a predetermined scenario; And
Detecting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device from the job analysis result, detecting interfaces corresponding to the job and job requirements of the target device using the pre-stored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device and the database, And a controller for evaluating the ergonomic suitability of the target device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verification unit with respect to the interfac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기기에 관련된 정보들은,
상기 대상 기기의 매뉴얼, 설계도, 입체적 형상에 대한 정보와, 상기 대상 기기의 직무 및 기능을 분석한 결과, 그리고 상기 대상 기기의 인적 공학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인간 공학 분석 절차들에 관련된 정보, 및 상기 대상 기기의 적어도 일부의 직무에 대한 기 설정된 위험도 평가 절차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Information relating to a manual, a design, a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target device, a result of analysis of the job and function of the target device, information related to ergonomic analysis procedures necessary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the target device for human engineering, And information relating to a predetermined risk assessment procedure for at least part of the job of the target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은,
HMD(Head Mounted Display)를 이용한 가상 현실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virtual reality using an HMD (Head Mounted Display) is used.
KR1020140139261A 2014-10-15 2014-10-15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ication human factors of nuclear energy instrument KR1015913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261A KR101591300B1 (en) 2014-10-15 2014-10-15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ication human factors of nuclear energy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261A KR101591300B1 (en) 2014-10-15 2014-10-15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ication human factors of nuclear energy instru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300B1 true KR101591300B1 (en) 2016-02-04

Family

ID=55356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261A KR101591300B1 (en) 2014-10-15 2014-10-15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ication human factors of nuclear energy instru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30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60733A4 (en) * 2017-01-31 2020-01-0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Design process support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2144113B1 (en) * 2019-08-29 2020-08-12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Method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Operator Emergency Time in Case of Fire in Nuclear Power Plant
KR20200124108A (en) * 2019-04-23 2020-11-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User compatibility evaluation method for medical device using Virtual Reality
CN112084323A (en) * 2020-07-31 2020-12-15 中国民用航空上海航空器适航审定中心 Airworthiness approval collaborative work platform and metho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60733A4 (en) * 2017-01-31 2020-01-0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Design process support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200124108A (en) * 2019-04-23 2020-11-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User compatibility evaluation method for medical device using Virtual Reality
KR102264566B1 (en) 2019-04-23 2021-06-1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User compatibility evaluation method for medical device using Virtual Reality
KR102144113B1 (en) * 2019-08-29 2020-08-12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Method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Operator Emergency Time in Case of Fire in Nuclear Power Plant
CN112084323A (en) * 2020-07-31 2020-12-15 中国民用航空上海航空器适航审定中心 Airworthiness approval collaborative work platform and method
CN112084323B (en) * 2020-07-31 2024-03-12 中国民用航空上海航空器适航审定中心 Airworthiness approval cooperative work platfor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23219B (en) 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software
EP260723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nd automatic assessment of structural damage and repair
US20090327943A1 (en) Identifying application program threats through structural analysis
KR1015913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ication human factors of nuclear energy instrument
CN113228100A (en) Imaging modality intelligent discovery and maintenance system and method
Kontogiannis A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cognitive reliability in complex systems: a recovery centred approach
KR101547247B1 (en) Moulde and method for masuring quality of softwar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the method
EP3059676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the availability of a system, in particular of a safety critical system
KR101547248B1 (en) Moulde and method for producting total quality score of softwar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the method
KR20130058336A (en) Analysis apparatus and method for usability of mobile application using user bebavior log
CN112598223A (en) Nuclear power state oriented law accident rule completeness inspection method and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4860518A (en) Detection method and system of function safety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17021282A (en) Fault symptom simulation apparatus, fault symptom simulation method, and fault symptom simulation system
KR201901108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safety of automotive software to obtain a goal reliability index
Alverbro et al. Methods for risk analysis
JP2006235872A (en) Project management apparatus
Oxstrand et al. Design Guidance for Computer-Based Procedures for Field Workers
CN105653445A (en) Implementation method capable of meeting DO-178C test result
WO2012006679A1 (en) Engineering quality system
Boring et al. Baseline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in Support of Control Room Modernization at Nuclear Power Plants
JP7397763B2 (en) Design process support system, design process support method and program
CN115496319A (en) Personnel behavior reliability assessment method and device for digital main control room of nuclear power plant
KR20220104460A (en) Hospital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the managing method thereof
JP2006059276A (en) Source code evaluating system
KR1017681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nito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