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762B1 - A Front Body Member of a Vehicle - Google Patents

A Front Body Member of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762B1
KR101588762B1 KR1020140042597A KR20140042597A KR101588762B1 KR 101588762 B1 KR101588762 B1 KR 101588762B1 KR 1020140042597 A KR1020140042597 A KR 1020140042597A KR 20140042597 A KR20140042597 A KR 20140042597A KR 101588762 B1 KR101588762 B1 KR 101588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member
front side
vehicl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5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17163A (en
Inventor
김현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2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762B1/en
Priority to US14/496,851 priority patent/US9266566B2/en
Priority to CN201410531799.7A priority patent/CN104973000B/en
Publication of KR20150117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1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7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8Details of structures as upper supports for springs or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체 길이 방향으로 차체 전방의 골격을 이루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 전방부에 설치되고 차량의 충돌 사고 시 충돌 에너지를 프런트 사이드 멤버에 전달 또는 흡수시킬 수 있도록 된 차체 전방 구조물에 있어서, 차체 전방 구조물은 차체 높이 방향에 대해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와 차체 전방 구조물 하부를 포함하며,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와 하부는 서로 면대면 접촉할 수 있도록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상부 플랜지(flange)와 하부 플랜지를 각각 포함하고,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면대면 접촉 시 차체 전방 구조물에 목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와 하부 각각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이 개시된다.A vehicle front structure installed at a front portion of a front side member forming a skeleton in front of a vehicl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capable of transmitting or absorbing impact energy to a front side member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respectively include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formed along the rim so as to be face-to-fac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 vehicle front structure is disclosed in which an empty space is formed in each of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so that a target internal space can be formed in the vehicle body forward structure when the flanges are face-to-face contacted.

Description

차체 전방 구조물 {A Front Body Member of a Vehic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차체 전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소한의 부품으로 구성된 일체형 차체 전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front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grated vehicle front structure composed of a minimum number of parts.

일반적으로 차체 전방 구조물은 스몰 오버랩(small overlap) 충돌 시 차체 길이 방향으로 차체 전방의 골격(frame)을 이루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에 충돌 에너지를 전달하거나 흡수시키는 역할을 하기 위해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전방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스몰 오버랩이란 충돌 테스트에 관련된 용어이며, 차량의 운전석 앞부분 일부, 즉 차량 전면의 좌 또는 우측 부분이 장애물과 충돌하는 경우의 차량 및 인명 피해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충돌 시험 부서에서는 스몰 오버랩 테스트가 수행되고 있다.Generally,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front part of the front side member to transmit or absorb the collision energy to the front side member forming the frame in front of the vehicl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during a small overlap collision do. Here, the small overlap is a term related to the collision test. In order to determine the degree of damage to the vehicle and personal injury when a part of the front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that is, the left or right part of the front of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obstacle, .

도1은 종래의 차체 전방 구조물이 프런트 사이드 멤버 전방부에 장착된 모습과 충돌 시 각 용접점에 작용하는 하중과 모멘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is mounted on a front side member front portion and a load and a moment acting on each welding point in a collision.

도1을 참조하면, 차체 전방 구조물(1)이 장착됨으로써 화살표 방향의 스몰 오버랩 충돌 시 장애물과 차체의 오버랩 면(overlapped face)이 차체 전방 구조물(1)의 전면 부위의 폭만큼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만일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이 장착되지 않는다면 스몰 오버랩 충돌 시 장애물과 차체의 오버랩 면은 프런트 사이드 멤버(2)의 전단 면(front end face)의 폭에 한정된다. 따라서, 차체 전방 구조물(1)이 장착됨으로써 충돌을 지지할 수 있는 차체 골격의 오버랩 면이 증가하고 충돌 에너지가 효과적으로 프런트 사이드 멤버(2)에 전달됨으로써 차체의 충돌 흡수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를 통해 차량의 파손이나 운전자의 상해의 정도가 감소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 when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1 is mounted, an overlapped face of the obstacle and the vehicle body is increased by the width of the front portion of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1 in a small overlap collision in the arrow direction . I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 is not mounted, the overlapping surface of the obstacle and the vehicle body in the case of a small overlap collision is limited to the width of the front end face of the front side member 2. Accordingly, when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1 is mounted, the overlapping surface of the vehicle body frame capable of supporting the collision is increased and the impact energy is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front side member 2, thereby improving the impact absorbing capability of the vehicle body . As a result, the degree of damage to the vehicle or the driver is reduced.

그러나, 종래의 차체 전방 구조물(1)은 충돌 에너지가 일정치 이상으로 발생하거나 차체 전방 구조물(1)과 프런트 사이드 멤버(2) 간 결합을 위한 용접점들(spot welds, 도1의 흑색 점들) 중 불량한 용접점이 존재하는 경우 프런트 사이드 멤버(2)에 충돌 에너지를 전달하기도 전에 파괴되거나 분리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첫째, 프런트 사이드 멤버(2)와의 결합을 위한 용접점들의 결합 방향이 모멘트(moment)의 발생으로 인해 떨어지기 쉬운 차체의 폭 방향이라는 점과 둘째, 여러 개의 부품들(parts)로 구성되어 있어 하나의 부품이 먼저 분리될 경우 다른 부품들까지 한꺼번에 분리되어 떨어져 나갈 수 있다는 점이다.However, the conventional vehicle frontal structure 1 has spot welds (black dots in Fig. 1) for impact energy generated above a predetermined value or for joining between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 and the front side member 2,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re is a poor welding spot, the front side member 2 is destroyed or separated even before the impact energy is transmitted to the front side member 2. The first problem is that the joining direction of the welding points for coupling with the front side member 2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which is liable to be deteriorated due to the generation of moment and secondly, So that when one component is first removed, the other components can be separated at once.

상기 모멘트가 발생하는 이유는 스몰 오버랩 충돌 시 차체 전방 구조물(1)에 작용하는 충돌 에너지는 용접점들로부터 차체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용접 플랜지(flange)를 벗겨내는 박리 하중(peel load), 즉 수직 인장 하중(normal tension load)이 발생된다.The reason that the moment is generated is that the impact energy acting on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 at the time of a small overlap collision is generally spaced from the welding point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 peel load, i.e., a normal tension load, is generated.

도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충돌 에너지는 상기 용접점들로부터 차체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작용하므로 각각의 용접점에는 모멘트에 의한 수직 인장 응력(normal tension stress)과 충돌 방향 하중에 의한 전단 응력(shear stress)이 동시에 작용한다. 또한, 용접점은 특히 수직 인장 응력, 즉 박리 응력(peel stress)에 취약하다. 따라서, 용접점이 위치한 용접 플랜지 부위가 쉽게 파단(fracture)될 수 있다. 도1에서 각 용접점에 표시된 직선 화살표는 충돌 에너지에 의한 전단 하중(shear load)을, 원호 형(circular arc type) 화살표는 충돌 에너지에 의한 모멘트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모멘트에 의해서 용접점에 수직 인장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As can be seen from FIG. 1, since the impact energy acts apart from the welding point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 normal tension stress due to a moment and a shearing stress due to a crash direction load (shear stress). In addition, the weld point is particularly susceptible to vertical tensile stress, i.e., peel stress. Therefore, the weld flange portion where the welding spot is located can easily be fractured. In FIG. 1, a straight arrow shown at each welding point shows a shear load due to impact energy, and a circular arc arrow indicates a moment due to impact energy. The moment causes the vertical tensile stress to be generated at the welding point.

도2에는 스폿 용접(spot welding)에 있어서 박리 용접 강도(weld strength in peel)와 전단 용접 강도(weld strength in shear)의 비교 실험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박리 용접 강도는 하중과 용접점 간 오프셋(load axis-to-weld offset)이 커질수록 약화된다. 최대 박리 하중(maximum peel load)이 2100N 정도이며, 오프셋이 커질수록 용접점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커지므로 박리 응력(peel stress)이 증가하게 되어 결국 최대 박리 하중은 오프셋이 25mm일 때 500N 이하로 크게 줄어든다.FIG. 2 shows the results of a comparison between the weld strength in peel and the weld strength in shear in spot welding. The exfoliation weld strength decreases as the load axis-to-weld offset increases. The maximum peel load is about 2100N. As the offset increases, the moment acting on the welding point increases, so that the peel stress increases. As a result, the maximum peel load is less than 500N at 25mm offset It decreases.

이에 반해, 전단 용접 강도는 용접되는 박판(thinnest sheet)의 두께가 늘어날수록 오히려 크게 상승하며 박판의 두께가 0.5mm일 때 약 2000N의 전단 하중, 1mm일 때 약 4000N 이상의 전단 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큰 하중이 작용하는 충돌 사고 대응을 위해 차체 구조 설계 시 용접 플랜지에 수직 인장 하중(normal tension load)은 되도록 작용하지 않게 하고 전단 하중(shear load)이 주로 작용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In contrast, the shear welding strength increases with increasing thickness of the thinnest sheet and can withstand a shear load of about 2000N at a thickness of 0.5 mm and a shear load of at least 4000 N at a thickness of 1 mm . 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a collision accident in which a large load is applied,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shear load so that the normal tension load does not act on the welding flange when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body is designed.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스몰 오버랩 충돌 시 용접점들에 작용하는 수직 인장 하중을 최소화하고 전단 하중을 최대화하도록 설계되어 충돌 에너지의 전달 및 흡수를 보다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일체형 차체 전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grated body front structure that is designed to minimize a vertical tensile load acting on welding points in a small overlap collision of a vehicle and to maximize a shearing load to more smoothly transmit and absorb impact energy will be.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차체 길이 방향으로 차체 전방의 골격(frame)을 이루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 전방부에 설치되고 차량의 충돌 시 충돌 에너지를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에 전달 또는 흡수시킬 수 있도록 된 차체 전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은 차체 높이 방향에 대해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와 차체 전방 구조물 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와 하부는 서로 면대면 접촉할 수 있도록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상부 플랜지(flange)와 하부 플랜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의 면대면 접촉 시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에 목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와 하부 각각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In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ide member is provided at a front portion of a front side member forming a frame in front of the vehicl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includes an upper portion of a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and a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with respect to a vehicle body height direction and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wherein a space is provided in each of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so that a target internal space can be formed in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when face-to-face contact is made between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Wherein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와 하부는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상기 접촉 상태에서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전방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 안쪽으로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전방부의 외주 면(outer perimeter surface)과 겹쳐지는 결합면(an engaging inner perimeter surface)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may have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may be inserted in the contact state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nd an outer perimete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An engaging inner perimeter surface can be formed together.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와 하부의 형상은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접촉 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top and bottom shapes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contact surface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상기 결합면의 길이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길이 방향으로 7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the length of the coupling surface is 70 mm or mo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bulkhead)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내부 공간에 고정 설치되어 보강부재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vehicle front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bulkhead, and the partition may be fixed to the inner space to serve as a reinforcing member.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는 차 폭 방향 외측부를 형성하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 아우터와 차 폭 방향 내측부를 형성하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 인너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아우터 또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인너의 전단(front end)에 닿으면서 차 폭 방향으로 상기 내부 공간을 양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rein the front side member includes a front side member outer which forms a vehicle lateral direction outer side portion and a front side member inner which forms a vehicle lateral direction inner side portion and the partition wall is a front side member outer or a front side member inner front side end portion of the inner spac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상기 격벽 중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에 닿는 부분은 구조용 접착제 또는 레이져 용접에 의해, 그리고 상기 격벽 중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 또는 하부 중 다른 하나에 닿는 부분은 스폿 용접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that is in contact with either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is fixed and fixed by a structural adhesive or laser welding and a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that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of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is fixed by spot welding . ≪ / RTI >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은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가 용접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vehicle front structure may be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이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전방부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에 평행한 평행면, 상기 평행면에 수직한 수직면, 상기 평행면 및 상기 수직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대각면, 그리고 상기 세 면과 수직을 이루는 차 높이 방향의 상하 덮개면들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n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is engaged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includes a front surface side member having a parallel surfac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a vertical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parallel surface, A diagonal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and upper and lower cover surfaces in a heigh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ree surfaces.

상기 대각면과 상기 수직면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차 폭 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the diagonal surface and the vertical surface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은 상기 결합면과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전방부의 외주 면이 용접됨으로써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vehicle front structure may be fixed to the front side member by welding the coupling surfac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side member front portion.

상기 개구부를 포함하는 평면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전방부 전단의 개구된 면을 포함하는 평면이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길이 방향과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the plane including the opening may form an angle equal to an angle formed by the plane including the open side of the front side front end of the front side member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상기 개구부를 포함하는 평면이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길이 방향과 이루는 각도는 +45도에서 +135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an angle formed between the plane including the opening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is between +45 degrees and +135 degrees.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 상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상단면 돌출부 또는 하단면 돌출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과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전방부의 결합 시 상기 상단면 돌출부 또는 하단면 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차 길이 방향으로 상부 결합홈 또는 하부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rein the front side member includes an upper surface protrusion or a lower surface surface protrusion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side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An upper or lower engag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surface protrusion or the lower surface protrusion can be fitted when the front side member front portion is engaged.

상기 상부 결합홈 또는 하부 결합홈은 상기 결합면의 길이와 같은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upper engaging groove or the lower engaging groove may have the same length as the engaging surface.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의 재질의 강도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재질의 강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is not less than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of the front side member.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차체 길이 방향으로 차체 전방의 골격을 이루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 전방부에 설치되고 차량의 충돌 시 충돌 에너지를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에 전달 또는 흡수시킬 수 있도록 된 차체 전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은 목표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이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전방부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에 평행한 평행면, 상기 평행면에 수직한 수직면, 상기 평행면 및 상기 수직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대각면, 그리고 상기 세 면과 수직을 이루는 차 높이 방향의 상하 덮개면들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In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which is provided at a front portion of a front side member forming a skeleton in front of the vehicl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is capable of transmitting or absorbing impact energy to the front side member, Wherein when the vehicle front structure is engaged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the vehicle front structure is formed so as to have a target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height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A vertic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parallel plane, a diagonal plane forming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parallel plane and the vertical plane, and upper and lower cover planes perpendicular to the three planes.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may be provided.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전방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 안쪽으로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전방부의 외주 면(outer perimeter surface)과 겹쳐지는 결합면(an engaging inner perimeter surface)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vehicle front structure includes an opening portion through which a front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can be inserted and an engaging inner perimeter surface that overlaps with an outer perimete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Is formed.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bulkhead)을 더 포함하며,The vehicle front structur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bulkhead,

상기 격벽은 상기 내부 공간에 미리 설정된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어 보강부재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arti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inner space to serve as a reinforcing member.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는 차 폭 방향 외측부를 형성하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 아우터와 차 폭 방향 내측부를 형성하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 인너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아우터 또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인너의 전단(front end)에 닿으면서 차 폭 방향으로 상기 내부 공간을 양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rein the front side member includes a front side member outer which forms a vehicle lateral direction outer side portion and a front side member inner which forms a vehicle lateral direction inner side portion and the partition wall is a front side member outer or a front side member inner front side end portion of the inner spac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상기 대각면과 상기 수직면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차 폭 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the diagonal surface and the vertical surface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상기 개구부를 포함하는 평면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전방부 전단의 개구된 면을 포함하는 평면이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길이 방향과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the plane including the opening may form an angle equal to an angle formed by the plane including the open side of the front side front end of the front side member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 상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상단면 돌출부 또는 하단면 돌출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의 차 높이 방향 상단 면 또는 하단 면에는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과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전방부의 결합 시 상기 상단면 돌출부 또는 하단면 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차 길이 방향으로 상부 결합홈 또는 하부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ront side member includes an upper surface protrusion or a lower surface protrusion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side member, And an upper or lower engag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surface protrusion or the lower surface protrusion can be fitted when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and the front side member front portion are engaged.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의 재질의 강도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재질의 강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is not less than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of the front side memb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별적인 효과는 첫째, 충돌 시 용접점 박리 저항(peel resistance)이 월등히 향상되어 차체 전방 구조물이 먼저 뜯겨 나가거나 일부가 먼저 파단되는 문제가 개선되고 둘째, 일체형 구조로 다양한 충돌 상황에서 차체 전방 구조물의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ifferential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First, the welding point peel resistance is remarkably improved at the time of collision, so that the problem that the body front structure is first torn out or partially broken first is improved. Second, And the role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is stably performed in various collision situations.

도1은 종래의 차체 전방 구조물이 프런트 사이드 멤버 전방부에 장착된 모습과 충돌 시 각 용접점에 작용하는 하중과 모멘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2는 스폿 용접(spot welding)에 있어서 박리 용접 강도(weld strength in peel)와 전단 용접 강도(weld strength in shear)의 비교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전방 구조물이 프런트 사이드 멤버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전방 구조물의 상부와 하부 플랜지(flange)들의 용접점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전방 구조물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전방 구조물이 프런트 사이드 멤버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전방 구조물의 격벽의 위치를 도시하기 위한 평면도 및 확대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전방 구조물의 상부 및 하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전방 구조물이 장착되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차체 전방 구조물 조립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is mounted on a front side member front portion and a load and a moment acting on each welding point in a collision.
FIG. 2 is a graph showing a result of a comparison between the weld strength in peel and the weld strength in shear in spot welding. FIG.
3 is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vehicle fro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front side member.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welding points of upper and lower flanges of a vehicle fro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a vehicle fro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fro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front side member.
7 is a plan view and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a partition of a vehicle fro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fro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ont side member to which a vehicle fro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ssembly of a vehicle fro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러한 실시 예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s. I will do it.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구성요소의 이름이 해당 구성요소의 기능을 한정하지 않는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the name of a component does not limit the functionality of that component.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전방 구조물이 프런트 사이드 멤버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3 is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vehicle fro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front side member.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전방 구조물(10)은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10a)와 하부(1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vehicle front structur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upper portion 10a and a lower portion 10b.

상기 상부(10a)와 하부(10b)는 각각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flang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플랜지들이 면대면 접촉한 상태에서 스폿 용접(spot-welding)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상부(10a)와 하부(10b)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용접점들의 결합 방향은 차 폭 방향이 아니라 차 높이 방향이 된다. 이로써, 종래의 차체 전방 구조물(1)과 달리 용접 플랜지(welded flange)에는 박리 하중(peel load)이 작용하지 않고 전단 하중(shear load)만이 작용하게 된다.The upper portion 10a and the lower portion 10b may include a flange formed along the respective rim and the upper portion 10a may be formed by performing spot- And the lower portion 10b can be fixedly coupled. Therefore, the joining direction of welding points is not the vehicle width direction but the vehicle height direction. Thus, unlike the conventional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1, no peel load acts on the welded flange and only a shear load acts on the welded flange.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전방 구조물의 상부와 하부 플랜지(flange)들의 용접점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welding points of upper and lower flanges of a vehicle fro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에서는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의 상부(10a)와 하부(10b)가 플랜지들 간 용접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일체형 차체 전방 구조물(10)을 형성하는 모습과 차체 길이 방향의 스몰 오프셋 충돌 시 흑색 점으로 표시된 용접점들에 전단 하중이 주로 작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4의 실시 예에서는 용접점들 집합의 우측 상단 두 번째 용접점만이 차 폭 방향의 결합을 이루고 있어 모멘트(화살표)에 의한 박리 하중이 작용할 수 있고 나머지 용접점들은 모두 차 높이 방향의 결합을 이루고 있어 전단 하중만 작용하게 된다.4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portion 10a and the lower portion 10b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are joined by welding between the flanges to form the integral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10, The shear load is mainly applied to the weld points indicated by dots. In the embodiment of FIG. 4, only the upper right second welding point of the set of welding points is engaged in the widthwise direction, so that the peeling load due to the moment (arrow) can act, And only the shear load is applied.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전방 구조물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a vehicle fro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에는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의 모양이 명확히 나타나 있다. 상기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는 상기 플랜지들의 접촉 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며 스폿 용접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5, the shapes of the upper flange 11 and the lower flange 12 are clearly shown. The upper flange 11 and the lower flange 12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flanges and can be fixedly coupled by spot welding.

또한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10a)와 하부(10b)에는 각각 일정한 형태의 빈 공간(empty space)이 형성되어 있다. 이 빈 공간은 상기 상부 플랜지(11) 및 하부 플랜지(12)의 용접에 의해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을 형성할 때 미리 설계된 내부 공간이 만들어지도록 미리 계획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이 적은 중량으로도 충분한 강성(stiffness)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An empty spac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10a and the lower portion 10b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respectively. This empty space has a pre-planned shape so that a pre-designed internal space is formed when welding the upper flange 11 and the lower flange 12 to form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The internal space may be designed so that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10 has sufficient stiffness even with a small weight.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전방 구조물(10)은 격벽(30, bulkhead)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ulkhead 30.

상기 격벽(30)은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10a)와 하부(10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고정 설치되어 보강부재(reinforcement member)의 역할을 한다. 상기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격벽(30)은 상기 내부 공간에 차 높이 방향으로 즉, 수직하게 세워지며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10a)와 하부(10b) 내부 면에 각 모서리가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5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격벽(30)은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의 차 길이 방향 단면과 일치하는 직사각형의 보강부재이다.The partition 30 is fixed to an inner space formed by coupling the upper portion 10a and the lower portion 10b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and serves as a reinforcement member. In order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role, the partition wall 30 is vertically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in the vehicle height direction, and the partition walls 30 are formed in the inner surfaces of the upper portion 10a and the lower portion 10b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As shown in Fig. In the embodiment of FIG. 5, the partition 30 is a rectangular reinforcing member that coincides with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section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FIG.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전방 구조물이 프런트 사이드 멤버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fro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front side member.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전방 구조물의 격벽의 위치를 도시하기 위한 평면도 및 확대 사시도이다.7 is a plan view and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a partition of a vehicle fro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과 도7을 참조하면, 상기 격벽(30)은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의 내부 공간 상에서 수직하게 세워지며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의 내부 면에 세 개의 모서리가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나머지 한 개의 모서리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길이 방향 전단(front end)의 대응하는 높이 방향 모서리에 접촉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격벽(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전방 구조물(10)의 내부 공간을 차 폭 방향으로 양분한다. 도7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격벽(30)의 한 모서리와 접촉하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 전단의 모서리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차 폭 방향 외측부를 형성하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 아우터(20b, 도9 참조) 전단의 높이 방향 모서리이다(확대도 참조). 이로써 상기 격벽(30)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아우터(20b)의 연장 부재(extended member)의 역할을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을 구성하는 면 중에서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면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차 폭 방향 내측부를 형성하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 인너(20a, 도9 참조)의 연장 부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6 and 7, the partition 30 is vertically erected on the inner space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and is formed so that three corners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One edge may be positioned to contact a corresponding height direction edge of the front end of the front side member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partition 30 bisects the internal space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7, the edge of the front end of the front side member 20,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edge of the partition 30, is formed with the front side member outer 20b, which forms the lateral side outer side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20, 9) is the height direction edge of the front end (see the enlarged view). Thus, the partition 30 serves as an extended member of the front side member outer 20b. Likewise, a surfac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20 among the surfaces constituting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10 is formed in the front side member 20 forming the vehicle widthwise inner side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20, It can serve as an extension member of the member inner 20a (see FIG. 9).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전방 구조물(10)은 일체로 형성되면서 동시에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연장부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 차체 전방 구조물(1)에 비해 스몰 오버랩 충돌 발생 시 용접점에 작용하는 수직 인장 하중이 최소화 되고 동시에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충격 흡수 기능은 거의 그대로 유지되어 전체적으로 충돌 에너지의 전달 및 흡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얻어진다.Therefore,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be integrally formed and at the same time to be an extension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20. Accordingly, when a small overlap collision occurs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1, the vertical tensile load acting on the welding point is minimized and at the same time, the shock absorbing fun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20 is substantially maintained, An effect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is obtained.

도7에는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과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전방부가 고정 결합을 위해 겹쳐지는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 내주 면의 특정 부위인 결합면(25, engaging inner perimeter surface)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결합면(25)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 전방부의 외주 면(outer perimeter surface)과 겹쳐지는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의 내주 면(inner perimeter surface)을 의미한다. 상기 결합면(25)은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10a)와 하부(10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7 is an engaging inner perimeter surface 25 which is a specific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10 in which the front portion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and the front side member 20 are overlapped for fixing engagement. Are shown. The engagement surface 25 refers to an inner perimeter surface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which overlaps an outer perimete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20. [ The coupling surface 25 may be formed by coupling the upper portion 10a and the lower portion 10b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상기 결합면(25)의 일단은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15, an opening, 도8 참조)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5)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전방부가 고정 결합을 위해 삽입되는 입구이며,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10a)와 하부(10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One end of the coupling surface 25 is communicated with the inner space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and the other end is communicated with an opening 15 formed at one side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have. The opening 15 is an inlet through which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20 is inserted for fixing engagement and can be formed by engaging the upper portion 10a and the lower portion 10b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도7의 평면도에는 상기 개구부(15)를 포함하는 평면이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길이 방향과 이루는 결합 각도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결합 각도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 전방부 전단의 개구된 면(opened face)을 포함하는 평면이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길이 방향과 이루는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도는 +45도에서 +135도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도7의 실시 예에서는 +45도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7 shows a coupling angle formed by the plane including the opening 15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20. In FIG. The coupling angle may be equal to an angle formed by a plane including an opened face of the front end of the front side member 20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20. [ In this case, the angle may have a value between +45 degrees and +135 degrees, and in the embodiment of FIG. 7, the angle is +45 degrees.

상기 결합면(25)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확보해야 결합 강성(connection stiffness)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면(25)의 길이는 겹쳐지는 면의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의미하므로 도7의 평면도에서 표시된 결합 각도가 어떤 값을 가지더라도 상기 결합면(25)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는 결합 각도가 상기 개구부(15)를 포함하는 평면과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이고, 그 값이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 전방부 전단의 개구된 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상기 결합 각도가 +90도 인 경우를 상정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결합면(25)의 길이가 70mm 이상 확보될 때 충분한 결합 강성이 얻어진다.The coupling surface 25 must mainta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20 to maintain connection stiffness. Since the length of the coupling surface 25 is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20 of the overlapping surface, Can have a constant value. This is because the angle of engagement is the angle between the plane including the opening 15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20 and the value is the plane including the opened face of the front front end of the front side member 20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20. This can be easily understood by assuming that the coupling angle is +90 degrees. When the length of the coupling surface 25 is 70 mm or more, sufficient coupling rigidity is obtained.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전방 구조물의 상부 및 하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fro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에는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의 개구부(15, opening)와 결합홈(40, engaging groove)이 도시되어 있다.8 shows an opening 15 and an engaging groove 40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상기 개구부(15)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전방부가 고정 결합을 위해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의 입구(mouth) 부분이다. 도8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개구부(15)가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10a)와 하부(10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이는 도7에서 설명된 결합면(25)의 형성 방식과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전방 구조물(10)이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의 용접에 의해 형성되지 않고, 상부와 하부의 구분이 없으며, 플랜지 없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15) 역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3차원 프린팅(3D printing) 또는 주조(casting)에 의한 제작 방법을 그 예로 들 수 있다.The opening 15 is a mouth portion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which is formed such that a front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20 can be inserted into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for a fixed engagement. In the embodiment of Fig. 8, the opening 15 is formed by the engagement of the upper portion 10a and the lower portion 10b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This is the same as the forming method of the engaging surface 25 described in Fig. However, when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formed by welding of the upper flange 11 and the lower flange 12, and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The opening 15 may also be integrally formed. An example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by 3D printing or casting.

상기 결합홈(40)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에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을 고정 설치하기 위해 삽입할 때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 상단면 또는 하단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상단면 돌출부(21, 도9 참조) 또는 하단면 돌출부(22, 도9 참조)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10a) 또는 하부(10b)에 차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이다. 상기 상단면 돌출부(21) 또는 하단면 돌출부(22)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차 폭 방향 내측부를 형성하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 인너(20a)와 차 폭 방향 외측부를 형성하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 아우터(20b)의 결합을 위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랜지(flange)들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groove 40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end surface or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front side member 20 when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10 is inserted into the front side member 20 for fixing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10 A groov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10a or the lower portion 10b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surface protruding portion 21 (see FIG. 9) or the lower surface surface protruding portion 22 (see FIG. 9) . The upper surface protrusion 21 or the lower surface protrusion 22 includes a front side member inner 20a forming a vehicle widthwise inner side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20 and a front side member outer 20b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결합홈(40)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면(25, 도7 참조)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결합면(25)은 결합을 위해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에 삽입되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전방부 외주 면이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의 개구부(15) 안쪽 내주 면과 겹쳐지는 면이기 때문이다.The engaging groove 40 may have a length equal to the length of the engaging surface 25 (see FIG. 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20. This is because the front surface sid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side member 20 inserted into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for engagement is connect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nside the opening 15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This is because it is a superimposed surface.

도8의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홈(40)은 상단면 돌출부(21)와 하단면 돌출부(22)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10a)와 하부(10b) 모두에 형성된다. 도8에 상부 결합홈(40a)과 하부 결합홈(40b)이 도시되어 있다.8, the engaging groove 40 is formed in both the upper portion 10a and the lower portion 10b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surface protrusion 21 and the lower end surface protrusion 22. As shown in FIG. 8 shows an upper engagement groove 40a and a lower engagement groove 40b.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전방 구조물이 장착되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ont side member to which a vehicle fro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9의 실시 예에서는 상단면 돌출부(21)와 하단면 돌출부(22)가 각각 프런트 사이드 멤버 인너(20a)와 프런트 사이드 멤버 아우터(20b)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플랜지들에 의해 형성된다.9, the upper surface protrusion 21 and the lower surface protrusion 2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side member outer 20b and the front side member outer 20b, respectively, Lt; RTI ID = 0.0 > direction. ≪ / RTI >

도9에서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인너(20a)와 아우터(20b) 전단의 진한 수직선은 도7에 표시된 결합 각도가 +45도가 될 수 있도록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가 상단면으로부터 하단면까지 수직으로 절단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미리 제작된 프런트 사이드 멤버(20)를 차 길이 방향 및 차 폭 방향과 45도를 이루는 평면으로 절단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할 수도 있지만, 처음부터 결합 각도가 +45도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FIG. 9, the vertical straight line of the front side member 20a and the front end of the outer member 20b is perpendicular to the front side member 20 from the top surface to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coupling angle shown in FIG. To indicate that it has been disconnected. The front side member 20 previously manufactured may be cut into a plane that is 45 degrees to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be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front side member 20 can be formed so as to have a coupling angle of +45 degrees from the beginning It is self-evident.

도9에서 상기 절단면이 일직선으로 보이지만,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인너(20a) 또는 아우터(20b)의 차 폭 방향 단면은 높이 방향 상하면과 차 폭 방향 내측면 또는 외측면이 각기 서로 약 90도를 이루며 꺾여 있을 것임은 자명하다. 일직선으로 보이는 이유는 도9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를 차 길이 방향 및 차 폭 방향과 45도를 이루는 평면으로 절단하여 결합 각도가 +45도인 상태를 차 길이 방향, 차 폭 방향, 그리고 차 높이 방향의 3축 모두에 대해 45도를 이루는 방향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기 때문이다.9, the cross-s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inner 20a or the outer 20b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s approximately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inner side or outer 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t is obvious that there will be.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front side member 20 is cut into a plane which is 45 degrees from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angle is +45 degrees is referred to as a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This is because it is a perspective view looking from a direction forming 45 degrees with respect to all three axes in the height direction.

도10은 본 발명의 차체 전방 구조물 조립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단, 본 발명은 도10에 나타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ssembly of a vehicle fro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먼저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10a)와 프런트 사이드 멤버 아우터(20b)가 결합되며, 이 때 프런트 사이드 멤버 아우터(20b)의 상단면 돌출부(21b)는 상부 결합홈(40a)에 끼워진다. 흑색 점으로 표시된 부위에 스폿 용접을 실시하여 상기 두 부품이 고정 결합된다.the upper surface protrusion 21b of the front side member outer 20b is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joining recess 40a . Spot welding is performed on a portion indicated by a black dot so that the two parts are fixedly coupled.

다음으로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체 전방 구조물 하부(10b)와 프런트 사이드 멤버 인너(20a)가 결합된다. 프런트 사이드 멤버 인너(20a)의 하단면 돌출부(22a)는 하부 결합홈(40b)에 끼워진다. 이 때, 격벽(30)이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 하부(10b)의 빈 공간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격벽(30)의 우측 높이 방향 모서리가 나중에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아우터(20b) 전단의 높이 방향 모서리에 닿을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차 폭 방향 위치에 놓인다. 흑색 점으로 표시된 부위에 스폿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세 부품이 고정 결합된다.Next, as shown in (b),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lower portion 10b and the front side member inner 20a are engaged. The lower end surface projection 22a of the front side member inner 20a is fitted into the lower engagement groove 40b. At this time, the partition 30 is vertically erected in the empty space of the lower portion 10b of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and the right side height direction edge of the partition 30 is later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edge of the front side member outer 20b And is placed in a preset vehicle width direction position so as to be able to reach. Spot welding is performed on a portion indicated by a black dot so that the thin parts are fixedly coupled.

마지막으로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a)와 (b)에 도시된 두 개의 조립품들이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10a)와 하부(10b)가 면대면 접촉하도록 서로 맞대어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상부 결합홈(40a)에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아우터(20b)의 상단면 돌출부(21b)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인너(20a)의 상단면 돌출부(21a)가 함께 끼워지고 면대면 접촉하게 되어 상단면 돌출부(21)를 형성한다. 상기 하부 결합홈(40b)에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인너(20a)의 하단면 돌출부(22a)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아우터(20b)의 하단면 돌출부(미도시)가 함께 끼워지고 면대면 접촉하게 되어 하단면 돌출부(22)를 형성한다.Finally, as shown in (c), the two assemblies shown in (a) and (b) are butted against each other such that the upper portion 10a of the vehicle body structure and the lower portion 10b are face-to- The upper surface protrusion 21b of the front side member outer 20b and the upper surface protrusion 21a of the front side member inner 20a are fitted together and face-to-fac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upper fitting groove 40a The upper surface projection 21 is formed. The lower end surface protruding portion 22a of the front side member inner 20a and the lower end surface protruding portion (not shown) of the front side member outer 20b are fitted together and face-to-face contact with the lower engaging groove 40b, Thereby forming a surface projection 22.

상기 (a)와 (b)의 결합 전, 상기 격벽(30)의 상부 모서리와 좌측 높이 방향 모서리 중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10a)에 맞닿게 될 부분에는 구조용 접착제가 미리 도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a)와 (b)의 결합 후에 레이져 용접에 의해 해당 부위가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격벽(30)이 도10 (a)의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10a)의 미리 설정된 차 폭 방향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 상황에 맞게 구조용 접착제 도포 또는 레이져 용접의 대상 부위가 바뀔 수 있다. 즉, 상기 격벽(30)의 모서리들 중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 하부(10b)에 맞닿게 되는 모서리 부분에 구조용 접착제 또는 레이져 용접이 적용된다.Structural adhesive may be previously applied to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left edges of the partition 30 that are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10a of the vehicle frontal structure before combining (a) and (b). Alternatively, the parts may be fixedly coupled by laser welding after the combination of (a) and (b). Alternatively, in the case where the partition 30 is fixed at a preset lateral width position of the upper portion 10a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shown in FIG. 10 (a), the structural adhesive application or the target portion of the laser welding is changed . That is, a structural adhesive or a laser welding is applied to a corner portion of the edge of the partition 30 which is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10b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도10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가 맞닿는 부분의 흑색 점으로 표시된 곳에 용접이 실시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전방 구조물(1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면 돌출부(21)와 하단면 돌출부(미도시)에도 용접이 실시됨으로써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가 형성될 수 있다.10 (c),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the upper flange 11 and the lower flange 12 at a portion indicated by a black dot at a portion where the upper flange 11 and the lower flange 12 abut . In addition, the front side member 20 can be formed by welding also the upper side projecting portion 21 and the lower side projecting portion (not shown).

단, 조립 순서 및 방법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전방 구조물(10)이 3차원 프린팅 또는 주조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도10 (b)에 나타난 바와 달리 상기 격벽(30)이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아우터(20b)의 연장부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위치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assembling sequence and method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10 (b), when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manufactured by three-dimensional printing or casting, the partition wall 30 is formed on the front side member outer 20b, As shown in FIG.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의 외부 형상은 도3, 도4, 그리고 도10과 같을 수 있다. 상기 외부 형상의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uter shape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may be as shown in Figs. 3, 4, and 10. Characteristics of the outer shap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이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전방부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에 평행한 평행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평행면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인너(20a) 또는 아우터(20b)의 연장된 면의 역할을 할 수 있다.When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10 is engaged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20,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10 may have a parallel surfac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20 have. The parallel surface may serve as an extended surface of the front side member inner 20a or the outer 20b.

또한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은 상기 평행면에 수직한 수직면과 상기 평행면 및 상기 수직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져 있는 대각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면은 스몰 오버랩 충돌 시 충돌체(collision body)와의 오버랩 면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전면부(front face portion)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평행면, 수직면, 그리고 대각면의 세 면에 수직한 덮개면(cover face)을 두 개 가질 수 있다. 상기 덮개면들은 차 높이 방향으로 상부와 하부에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10 may further include a vertic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parallel plane, and a diagonal plane inclin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parallel plane and the vertical plane. The vertical surface defines a front face portion that serves to increase the overlap surface with the collision body during a small overlap collision. And two cover faces perpendicular to the three sides of the parallel face, the vertical face, and the diagonal face. Two of the cover surfaces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the vehicle height direction.

상기 외부 형상에 관한 설명은 도3, 도4 및 도10에 나타낸 차체 전방 구조물(10)의 외부 형상을 일반화하여 설명한 것으로 상기 외부 형상은 도면에 나타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은 상기 평행면, 수직면, 대각면 및 덮개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개구부(15)를 제외한 모든 부분이 닫혀있는 한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external shape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shown in Figs. 3, 4 and 10 is generalized, and the external shap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may include various shapes such as a parallel surface, a vertical surface, a diagonal surface, and a cover surface as long as all portions except for the opening portion 15 are closed.

또한, 상기 대각면과 상기 수직면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차 폭 방향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몰 오버랩 충돌 시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의 충돌 에너지 전달 능력 및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충돌 에너지 흡수 능력이 개선되기 때문이다.The diagonal surface and the vertical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front side member 20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his is because the collision energy transfer capability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and the collision energy absorption capacity of the front side member 20 are improved in the event of a small overlap collision.

또한,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10a)와 하부(10b)의 형상은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은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의 접촉면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을 이룬다. 물론,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이 3차원 프린팅 또는 주조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플랜지들 없이 상하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s of the upper portion 10a and the lower portion 10b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is vertic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upper flange 11 and the lower flange 12. [ Of course, when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is formed by three-dimensional printing or casting, it can be formed to be vertically symmetric without the flanges.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은 상기 결합면(25)과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 전방부의 외주 면이 용접됨으로써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도7과 도10 (a) 및 (b)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 결합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이 3차원 프린팅 또는 주조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용접 이외의 방법으로 고정 결합 될 수도 있다.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10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front side member 20 by welding the coupling surface 25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20. [ This is shown in Figs. 7 and 10 (a) and 10 (b).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is integrally formed by three-dimensional printing or casting, it may be fixedly connected by a method other than welding.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의 재질의 강도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재질의 강도와 같거나 더 크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10)이 종래의 차체 전방 구조물(1)의 역할 뿐만 아니라 프런트 사이드 멤버(20)의 연장부 역할도 함께 수행하기 때문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may be set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of the front side member 20. This is because the vehicle front structure 10 performs not only the role of the conventional vehicle front structure 1 but also the extension of the front side member 20.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ll changes to the scope that are deemed to be valid.

10: 차체 전방 구조물 10a: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
10b: 차체 전방 구조물 하부 11: 상부 플랜지
12: 하부 플랜지 15: 개구부
20: 프런트 사이드 멤버 20a: 프런트 사이드 멤버 인너
20b: 프런트 사이드 멤버 아우터 21: 상단면 돌출부
22: 하단면 돌출부 25: 결합면
30: 격벽(bulkhead) 40: 결합홈(engaging groove)
40a: 상부 결합홈 40b: 하부 결합홈
10: Vehicle front structure 10a: Vehicle front structure
10b: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11: upper flange
12: lower flange 15: opening
20: front side member 20a: front side member inner
20b: Front side member outer 21: Upper side protrusion
22: lower surface protrusion 25: engaging surface
30: bulkhead 40: engaging groove
40a: upper engagement groove 40b: lower engagement groove

Claims (24)

차체 길이 방향으로 차체 전방의 골격을 이루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 전방부에 설치되고 차량의 충돌 시 충돌 에너지를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에 전달 또는 흡수시킬 수 있도록 된 차체 전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은 차체 높이 방향에 대해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와 차체 전방 구조물 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와 하부는 서로 면대면 접촉할 수 있도록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전방부에 삽입됨으로써 장착되며,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의 면대면 접촉 시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에는 상기 삽입 방향을 제외한 모든 방향이 폐쇄된 목표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A vehicle front structure installed at a front portion of a front side member forming a skeleton in front of a vehicl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vehicle body and capable of transmitting or absorbing impact energy to the front side member when a vehicle collides,
The vehicle front structure includes an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and a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height direction,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each include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formed along the rim so as to be in face-to-face contact with each other,
Wherein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is mounted by being inserted into a front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and when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make face-to-face contact, a target internal space is formed in the vehicle front structure, And th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와 하부는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상기 접촉 상태에서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전방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 안쪽으로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전방부의 외주 면과 겹쳐지는 결합면을 함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may have an open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can be inserted in the contact state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nd a coupling surface overlapp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And the front and rear portions are formed toge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와 하부의 형상은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접촉 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p and bottom shapes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contact surface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의 길이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길이 방향으로 7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length of the coupling surface is 70 mm or mo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bulkhead)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내부 공간에 고정 설치되어 보강부재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front structur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bulkhead,
Wherein the partition wall is fixedly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to serve as a reinforcing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는 차 폭 방향 외측부를 형성하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 아우터와 차 폭 방향 내측부를 형성하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 인너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아우터 또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인너의 전단에 닿으면서 차 폭 방향으로 상기 내부 공간을 양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ront side member includes a front side member outer which forms a vehicle lateral direction outer side portion and a front side member inner which forms a vehicle lateral direction inner side portion,
And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so as to divide the inner spac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while contacting the front ends of the front side member outer or the front side member inn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중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에 닿는 부분은 구조용 접착제 또는 레이져 용접에 의해, 그리고 상기 격벽 중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 상부 또는 하부 중 다른 하나에 닿는 부분은 스폿 용접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that is in contact with either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is fixed and fixed by a structural adhesive or laser welding and a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that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of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is fixed by spot welding Wherein the front portion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is formed of a metal.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은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가 용접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is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이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전방부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에 평행한 평행면, 상기 평행면에 수직한 수직면, 상기 평행면 및 상기 수직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대각면, 그리고 상기 세 면과 수직을 이루는 차 높이 방향의 상하 덮개면들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is engaged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includes a front surface side member having a parallel surfac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a vertical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parallel surface, A diagonal fac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and upper and lower cover surfaces in a heigh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ree sid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각면과 상기 수직면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차 폭 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iagonal surface and the vertical surface are formed on the out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은 상기 결합면과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전방부의 외주 면이 용접됨으로써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is fixedly coupled to the front side member by welding the coupling surfac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side member front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포함하는 평면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전방부 전단의 개구된 면을 포함하는 평면이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길이 방향과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ane including the opening has an angle equal to an angle formed by the plane including the open side of the front side front end of the front side member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포함하는 평면이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길이 방향과 이루는 각도는 +45도에서 +135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n angle formed between a plane including the opening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is between +45 degrees and +135 degrees.
제2항, 제4항,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 상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상단면 돌출부 또는 하단면 돌출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과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전방부의 결합 시 상기 상단면 돌출부 또는 하단면 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차 길이 방향으로 상부 결합홈 또는 하부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4 and 11 to 13,
The front side member includes a top surface projection or a bottom surface projection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top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side member,
An upper engaging groove or a lower engaging groove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so that the upper face protrusion or the lower face protrusion can be fitted when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and the front side member front portion are engaged Wherein the front portion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is formed of a meta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홈 또는 하부 결합홈은 상기 결합면의 길이와 같은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upper coupling groove or the lower coupling groove has the same length as the coupling surfac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의 재질의 강도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재질의 강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is not less than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of the front side member.
차체 길이 방향으로 차체 전방의 골격을 이루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 전방부에 설치되고 차량의 충돌 시 충돌 에너지를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에 전달 또는 흡수시킬 수 있도록 된 차체 전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전방부에 삽입됨으로써 장착되며, 상기 삽입 방향을 제외한 모든 방향이 폐쇄된 목표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이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전방부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에 평행한 평행면, 상기 평행면에 수직한 수직면, 상기 평행면 및 상기 수직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대각면, 그리고 상기 세 면과 수직을 이루는 차 높이 방향의 상하 덮개면들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A vehicle front structure installed at a front portion of a front side member forming a skeleton in front of a vehicl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vehicle body and capable of transmitting or absorbing impact energy to the front side member when a vehicle collides,
Wherein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is integrally formed by being inserted into a front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so as to have a closed target interior space except for the insertion direction,
When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is engaged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includes a front surface side member having a parallel surfac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a vertical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parallel surface, A diagonal fac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and upper and lower cover surfaces in a heigh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ree side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전방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 안쪽으로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전방부의 외주 면과 겹쳐지는 결합면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is integrally formed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a front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can be inserted and a coupling surface overlapping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side member front inside the opening.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bulkhead)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내부 공간에 미리 설정된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어 보강부재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vehicle front structur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bulkhead,
Wherein the partition wall is integrally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inner space to serve as a reinforcing member.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는 차 폭 방향 외측부를 형성하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 아우터와 차 폭 방향 내측부를 형성하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 인너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아우터 또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인너의 전단에 닿으면서 차 폭 방향으로 상기 내부 공간을 양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front side member includes a front side member outer which forms a vehicle lateral direction outer side portion and a front side member inner which forms a vehicle lateral direction inner side portion,
And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so as to divide the inner spac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while contacting the front ends of the front side member outer or the front side member inn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대각면과 상기 수직면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차 폭 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diagonal surface and the vertical surface are formed on the out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포함하는 평면은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전방부 전단의 개구된 면을 포함하는 평면이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길이 방향과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plane including the opening has an angle equal to an angle formed by the plane including the open side of the front side front end of the front side member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제17항 내지 제2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 상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상단면 돌출부 또는 하단면 돌출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의 차 높이 방향 상단 면 또는 하단 면에는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과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 전방부의 결합 시 상기 상단면 돌출부 또는 하단면 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차 길이 방향으로 상부 결합홈 또는 하부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2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 to 22,
The front side member includes a top surface projection or a bottom surface projection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top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side member,
The upper surface or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may have an upper engagement groove or a lower engagement surface in a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surface projection or the lower surface projection of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can be fitted when the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and the front side member front portion are engaged, And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제17항 내지 제2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전방 구조물의 재질의 강도는 상기 프런트 사이드 멤버의 재질의 강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방 구조물.
2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 to 20,
Wherein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of the vehicle front structure is not less than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of the front side member.
KR1020140042597A 2014-04-09 2014-04-09 A Front Body Member of a Vehicle KR1015887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597A KR101588762B1 (en) 2014-04-09 2014-04-09 A Front Body Member of a Vehicle
US14/496,851 US9266566B2 (en) 2014-04-09 2014-09-25 Front body member for vehicle
CN201410531799.7A CN104973000B (en) 2014-04-09 2014-10-10 Front body memb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597A KR101588762B1 (en) 2014-04-09 2014-04-09 A Front Body Member of a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163A KR20150117163A (en) 2015-10-19
KR101588762B1 true KR101588762B1 (en) 2016-01-26

Family

ID=54264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597A KR101588762B1 (en) 2014-04-09 2014-04-09 A Front Body Member of a Vehicl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66566B2 (en)
KR (1) KR101588762B1 (en)
CN (1) CN104973000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923A (en) 2018-01-15 2019-07-24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ower lift gate structure comprising a pocket-like rigid reinforcing me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366A (en) 2014-05-16 2017-02-21 디버전트 테크놀로지스, 인크. Modular formed nodes for vehicle chassis and their methods of use
SG10201806531QA (en) 2014-07-02 2018-09-27 Divergent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joint members
CN109311070A (en) 2016-06-09 2019-02-05 戴弗根特技术有限公司 The system and method designed and manufactured for arc-shaped workpiece and node
US11155005B2 (en) 2017-02-10 2021-10-26 Divergent Technologies, Inc. 3D-printed tooling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US10759090B2 (en) 2017-02-10 2020-09-01 Divergent Technologies, Inc. Methods for producing panels using 3D-printed tooling shells
US10898968B2 (en) 2017-04-28 2021-01-26 Divergent Technologies, Inc. Scatter reduction in additive manufacturing
US10703419B2 (en) 2017-05-19 2020-07-07 Diverg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joining panels
US11358337B2 (en) 2017-05-24 2022-06-14 Divergent Technologies, Inc. Robotic assembly of transport structures using on-site additive manufacturing
US11123973B2 (en) 2017-06-07 2021-09-21 Divergent Technologies, Inc. Interconnected deflectable panel and node
US10919230B2 (en) 2017-06-09 2021-02-16 Divergent Technologies, Inc. Node with co-printed interconnect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US10781846B2 (en) 2017-06-19 2020-09-22 Divergent Technologies, Inc. 3-D-printed components including fastener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US10994876B2 (en) 2017-06-30 2021-05-04 Divergent Technologies, Inc. Automated wrapping of components in transport structures
US11022375B2 (en) 2017-07-06 2021-06-01 Diverg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additively manufacturing microtube heat exchangers
US10895315B2 (en) 2017-07-07 2021-01-19 Divergent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node to node connections in mechanized assemblies
US10751800B2 (en) 2017-07-25 2020-08-25 Diverg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dditively manufactured exoskeleton-based transport structures
US10940609B2 (en) 2017-07-25 2021-03-09 Diverg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dditively manufactured endoskeleton-based transport structures
US10605285B2 (en) 2017-08-08 2020-03-31 Divergent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joining node and tube structures
US10357959B2 (en) 2017-08-15 2019-07-23 Diverg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dditively manufactured identification features
US11306751B2 (en) 2017-08-31 2022-04-19 Diverg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necting tubes in transport structures
US10960611B2 (en) 2017-09-06 2021-03-30 Diverg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niversal interface between parts in transport structures
US11292058B2 (en) 2017-09-12 2022-04-05 Diverg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optimization of powder removal features in additively manufactured components
US10814564B2 (en) 2017-10-11 2020-10-27 Divergent Technologies, Inc. Composite material inlay in additively manufactured structures
US10668816B2 (en) 2017-10-11 2020-06-02 Divergent Technologies, Inc. Solar extended range electric vehicle with panel deployment and emitter tracking
US11786971B2 (en) 2017-11-10 2023-10-17 Divergent Technologies, Inc. Structures and methods for high volume production of complex structures using interface nodes
US10926599B2 (en) 2017-12-01 2021-02-23 Divergent Technologies, Inc. Suspension systems using hydraulic dampers
US11110514B2 (en) 2017-12-14 2021-09-07 Diverg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necting nodes to tubes in transport structures
US11085473B2 (en) 2017-12-22 2021-08-10 Diverg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node to panel joints
US11534828B2 (en) 2017-12-27 2022-12-27 Divergent Technologies, Inc. Assembling structures comprising 3D printed components and standardized components utilizing adhesive circuits
US11420262B2 (en) 2018-01-31 2022-08-23 Divergent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casting of additively manufactured interface nodes
US10751934B2 (en) 2018-02-01 2020-08-25 Diverg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additive manufacturing with variable extruder profiles
US11224943B2 (en) 2018-03-07 2022-01-18 Divergent Technologies, Inc. Variable beam geometry laser-based powder bed fusion
US11267236B2 (en) 2018-03-16 2022-03-08 Divergent Technologies, Inc. Single shear joint for node-to-node connections
US11872689B2 (en) 2018-03-19 2024-01-16 Divergent Technologies, Inc. End effector features for additively manufactured components
US11254381B2 (en) 2018-03-19 2022-02-22 Divergent Technologies, Inc. Manufacturing cell based vehicle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US11408216B2 (en) 2018-03-20 2022-08-09 Divergent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printed or concurrently assembled hinge structures
US11613078B2 (en) 2018-04-20 2023-03-28 Diverg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additively manufacturing adhesive inlet and outlet ports
US11214317B2 (en) 2018-04-24 2022-01-04 Divergent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joining nodes and other structures
US11020800B2 (en) 2018-05-01 2021-06-01 Diverg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sealing powder holes in additively manufactured parts
US10682821B2 (en) 2018-05-01 2020-06-16 Divergent Technologies, Inc. Flexible tooling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composite structures
US11389816B2 (en) 2018-05-09 2022-07-19 Divergent Technologies, Inc. Multi-circuit single port design in additively manufactured node
US10691104B2 (en) 2018-05-16 2020-06-23 Divergent Technologies, Inc. Additively manufacturing structures for increased spray forming resolution or increased fatigue life
US11590727B2 (en) 2018-05-21 2023-02-28 Divergent Technologies, Inc. Custom additively manufactured core structures
US11441586B2 (en) 2018-05-25 2022-09-13 Diverg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injecting fluids in node based connections
US11035511B2 (en) 2018-06-05 2021-06-15 Divergent Technologies, Inc. Quick-change end effector
US11292056B2 (en) 2018-07-06 2022-04-05 Divergent Technologies, Inc. Cold-spray nozzle
US11269311B2 (en) 2018-07-26 2022-03-08 Divergent Technologies, Inc. Spray forming structural joints
US10836120B2 (en) 2018-08-27 2020-11-17 Divergent Technologies, Inc . Hybrid composite structures with integrated 3-D printed elements
US11433557B2 (en) 2018-08-28 2022-09-06 Divergent Technologies, Inc. Buffer block apparatuses and supporting apparatuses
US11826953B2 (en) 2018-09-12 2023-11-28 Divergent Technologies, Inc. Surrogate supports in additive manufacturing
US11072371B2 (en) 2018-10-05 2021-07-27 Diverg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additively manufactured structures with augmented energy absorption properties
US11260582B2 (en) 2018-10-16 2022-03-01 Diverg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ptimized panels and other composite structures
US11504912B2 (en) 2018-11-20 2022-11-22 Divergent Technologies, Inc. Selective end effector modular attachment device
USD911222S1 (en) 2018-11-21 2021-02-23 Divergent Technologies, Inc. Vehicle and/or replica
US11529741B2 (en) 2018-12-17 2022-12-20 Diverg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one or more robotic apparatuses
US11449021B2 (en) 2018-12-17 2022-09-20 Divergent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igh accuracy fixtureless assembly
US10663110B1 (en) 2018-12-17 2020-05-26 Divergent Technologies, Inc. Metrology apparatus to facilitate capture of metrology data
US11885000B2 (en) 2018-12-21 2024-01-30 Divergent Technologies, Inc. In situ thermal treatment for PBF systems
US11203240B2 (en) 2019-04-19 2021-12-21 Divergent Technologies, Inc. Wishbone style control arm assemblie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US11912339B2 (en) 2020-01-10 2024-02-27 Divergent Technologies, Inc. 3-D printed chassis structure with self-supporting ribs
US11590703B2 (en) 2020-01-24 2023-02-28 Divergent Technologies, Inc. Infrared radiation sensing and beam control in electron beam additive manufacturing
US11479015B2 (en) 2020-02-14 2022-10-25 Divergent Technologies, Inc. Custom formed panels for transport structures and methods for assembling same
US11884025B2 (en) 2020-02-14 2024-01-30 Divergent Technologies, Inc. Three-dimensional printer and methods for assembling parts via integration of additive and conventional manufacturing operations
US11535322B2 (en) 2020-02-25 2022-12-27 Divergent Technologies, Inc. Omni-positional adhesion device
US11421577B2 (en) 2020-02-25 2022-08-23 Divergent Technologies, Inc. Exhaust headers with integrated heat shielding and thermal syphoning
US11413686B2 (en) 2020-03-06 2022-08-16 Diverg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aling mechanisms for realizing adhesive connections with additively manufactured components
US11850804B2 (en) 2020-07-28 2023-12-26 Divergent Technologies, Inc. Radiation-enabled retention features for fixtureless assembly of node-based structures
US11806941B2 (en) 2020-08-21 2023-11-07 Divergent Technologies, Inc. Mechanical part retention features for additively manufactured structures
US11872626B2 (en) 2020-12-24 2024-01-16 Divergent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loating pin joint design
US11947335B2 (en) 2020-12-30 2024-04-02 Divergent Technologies, Inc. Multi-component structure optimization for combining 3-D printed and commercially available parts
US11928966B2 (en) 2021-01-13 2024-03-12 Divergent Technologies, Inc. Virtual railroad
US11845130B2 (en) 2021-03-09 2023-12-19 Divergent Technologies, Inc. Rotational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s and methods
US11865617B2 (en) 2021-08-25 2024-01-09 Diverg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wide-spectrum consumption of output of atomization processes across multi-process and multi-scale additive manufacturing modaliti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6533A (en) * 2002-03-26 2003-10-02 Fuji Heavy Ind Ltd Bumper support structure for vehicle
KR101359966B1 (en) * 2012-11-05 2014-02-12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0785A (en) * 2005-08-17 2007-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ront side member extension means of vehicle
US7651155B2 (en) * 2006-11-03 2010-01-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Progressive energy absorber
KR100867841B1 (en) * 2006-11-21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ront body structure for vehicle
DE102007035483B4 (en) * 2007-07-28 2013-11-0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crash facility
JP5287927B2 (en) * 2011-05-13 2013-09-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Body structure
JP5821601B2 (en) * 2011-12-13 2015-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Body front structure
KR101448747B1 (en) * 2012-10-02 2014-10-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JP5664637B2 (en) * 2012-12-07 2015-0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Body front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6533A (en) * 2002-03-26 2003-10-02 Fuji Heavy Ind Ltd Bumper support structure for vehicle
KR101359966B1 (en) * 2012-11-05 2014-02-12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923A (en) 2018-01-15 2019-07-24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ower lift gate structure comprising a pocket-like rigid reinforcing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163A (en) 2015-10-19
US20150291220A1 (en) 2015-10-15
CN104973000A (en) 2015-10-14
US9266566B2 (en) 2016-02-23
CN104973000B (en) 201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762B1 (en) A Front Body Member of a Vehicle
CN109292007B (en) Vehicle lower structure
US9290138B2 (en) Vehicle front section structure
EP2707254B1 (en) Vehicle body structure
WO2014097398A1 (en) Structure for end part of vehicle
JP6577978B2 (en) Body structure
US9688226B2 (en) Bumper reinforcement
JP2017088058A (en) Bumper reinforcement
JP5408357B2 (en) Rocker end structure
JP2014125000A (en) Rear bumper reinforcement structure and rear part structure of vehicle
JP6669089B2 (en) Side body structure of vehicle
JP2010083393A (en) Vehicle front structure
US11142253B2 (en) Vehicle side body structure
JP2012162108A (en) Vehicle front structure
JP2019073097A (en) Vehicle side part structure
WO2016060091A1 (en) Vehicle floor structure
JP6066317B2 (en) Joining structure of pillar and lower part of roof in vehicle
JP5234324B2 (en) Vehicle body structure
JP7364789B2 (en) vehicle side sill
KR101689573B1 (en)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JP6642480B2 (en) Side member tip structure
JP6559638B2 (en) Structural members for vehicles
KR101659951B1 (en) Crash box for vehicle
JP5513904B2 (en) Front body structure of the vehicle
JP2020104601A (en) Locker structure of vehicle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