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133B1 -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133B1
KR101587133B1 KR1020090070255A KR20090070255A KR101587133B1 KR 101587133 B1 KR101587133 B1 KR 101587133B1 KR 1020090070255 A KR1020090070255 A KR 1020090070255A KR 20090070255 A KR20090070255 A KR 20090070255A KR 101587133 B1 KR101587133 B1 KR 101587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ground
circuit board
antennas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2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12511A (en
Inventor
임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0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133B1/en
Priority to EP10001319A priority patent/EP2262053B1/en
Priority to US12/709,427 priority patent/US8754815B2/en
Publication of KR20110012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5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1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개시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케이스; 및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제1그라운드를 형성하는 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안테나; 및 상기 회로기판의 측면에 상기 회로기판에 대하여 일정 각을 이룰 수 있게 배치되고, 상기 제1그라운드와 독립된 그라운드를 가지며, 상기 회로기판에 급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포함한다.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terminal case; And a plurality of antennas embedded in the terminal case, wherein the plurality of antennas includes: a first antenna provided on one side of a circuit board forming a first ground; And at least one diversity antenna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so as to be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circuit board and having a ground independent of the first ground and fed to the circuit board.

Description

이동 단말기{PORTABLE TERMINAL}[0001] PORTAB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of a mobile terminal.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A mobi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 func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function, and data storage function.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은 종합적으로 탑재되어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를 구현하기도 한다.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the mobile terminal has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etc., and they are integrated in a multimedia player (Multimedia Player) .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in such multimedia device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될 데이터의 종류와 양이 폭증됨에 따라 무선 안테나의 성능도 그에 부응시키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동 단말 기의 소형화 경향은 안테나간의 공간 다이버시티를 극복하기도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며, 좁은 설치거리에 따른 상호 커플링 등의 문제가 대두되기도 한다.As the type and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re increased, attempts have been made to meet the performance of the wireless antenna. However, the miniaturization tendency of the mobile terminal is not easy to overcome the spatial diversity among the antennas, and there are problems such as mutual coupling due to narrow installation distan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한된 공간에서 설치되는 안테나 간의 상호 커플링을 최소화하고 무선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inimize mutual coupling between antennas installed in a limited space and improve radio performance.

본 발명은 또한, 제한 공간에서의 공간 및 편파 다이버시티를 극대화하면서도 모듈화 및 제작이 용이한 안테나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poses an antenna structure that maximizes space and polarization diversity in a confined space, while facilitating modularization and fabrication.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케이스; 및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제1그라운드를 형성하는 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안테나; 및 상기 회로기판의 측면에 상기 회로기판에 대하여 일정 각을 이룰 수 있게 배치되고, 상기 제1그라운드와 독립된 그라운드를 가지며, 상기 회로기판에 급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terminal case; And a plurality of antennas embedded in the terminal case, wherein the plurality of antennas includes: a first antenna provided on one side of a circuit board forming a first ground; And at least one diversity antenna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so as to be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circuit board and having a ground independent of the first ground and fed to the circuit boar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상기 회로기판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제2안테나; 및 상기 회로기판의 타 측면에 배치되는 제3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versity antenna includes: a second antenn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ircuit board; And a third antenna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ircuit boar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안테나는 상기 제1그라운드와 독립된 제2그라운드를 가지며, 상기 제3안테나는 상기 제1 및 제2그라운드와 독립된 제3그라운드를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ntenna may have a second ground independent of the first ground, and the third antenna may have a third ground independent of the first and second grounds.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안테나 및 제3안테나는 상기 제1안테나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90도를 이룰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may be formed to be substantially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antenna.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칩안테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versity antenna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hip antenna.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그라운드 및 제3그라운드는 상기 제1그라운드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차단된 것일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ground and the third ground may be electrically disconnected from the first groun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다이버시티 안테나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versity antenna may be arranged to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erminal case.

본 개시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또한, 단말기 케이스; 제1그라운드를 형성하는 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안테나; 및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안테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어셈블리는, 상기 회로기판의 양 측면에 상기 회로기판에 대하여 일정 각을 이룰 수 있게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그라운드와 독립된 그라운드를 가지며, 상기 회로기판에 급전되는 제2 및 제3안테나; 및 상기 제2 및 제3안테나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제1그라운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1그라운드의 길이를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comprise: a terminal case; A first antenna provided on one side of a circuit board forming a first ground; And an antenna assembly embedded in the terminal case, wherein the antenna assembly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ircuit boar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ircuit board, and has a ground independent of the first ground, Second and third antennas fed to the circuit board; And a ground extension portion formed to support the second and third antennas and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to extend the length of the first groun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그라운드 확장부는 연성 회로기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extending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lexible circuit boar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그라운드 확장부는 상기 회로기판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extending portion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circuit boar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그라운드 확장부는 상기 회로기판에 이격 되게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extending portion may be disposed apart from the circuit boar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그라운드 확장부는 상기 제2 및 제3안테나가 부착되기 위한 각각의 안테나 부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안테나 부착부에는 상기 제2 및 제3안테나의 급전부를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시킬 수 있는 안테나 전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extending portion is formed with respective antenna attaching portions for attaching the second and third antennas, and the feeding portions of the second and third antennas are connected to the antenna attaching portions, And an antenna transmission line portion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ubstrat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안테나 전송선부는 동축케이블 또는 연성 회로기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transmission line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axial cable or a flexible circuit boar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안테나 전송선부의 그라운드는 상기 그라운드 확장부를 상기 회로기판의 제1그라운드에 연결시킬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of the antenna transmission line portion may be formed to connect the ground extension portion to the first ground of the circuit board.

또한, 이동 단말기 또는 무선모뎀 장치의 케이스에 내장될 수 있게 형성되는 안테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어셈블리는, 제1그라운드를 형성하는 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안테나; 및 상기 회로기판의 양 측면에 상기 회로기판에 대하여 일정 각을 이룰 수 있게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그라운드와 독립된 그라운드를 가지며, 상기 회로기판에 급전되는 제2 및 제3안테나; 및 상기 제2 및 제3안테나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제1그라운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1그라운드의 길이를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어셈블리가 개시된다.The antenna assembly may be embedded in a case of a mobile terminal or a wireless modem device. The antenna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antenna disposed on one side of a circuit board forming a first ground; Second and third antenna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ircuit board so as to have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circuit board, the second antenna having a ground independent of the first ground and fed to the circuit board; And a ground extension portion formed to support the second and third antennas and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to extend a length of the first ground.

상기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에 의하면, 제1안테나와는 독립된 그라운드를 갖는 제2안테나 또는 제3안테나를 다이버시티용 안테나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안테나간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 니라, 제1안테나의 무선특성의 열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LTE, HRPD 등과 같이 높은 데이터 처리용량이 필요한 단말기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ntenna structur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antenna or the third antenna having a ground independent of the first antenna is used as an antenna for diversity, it is possible to improve inter-antenna isolation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deterioration of the radio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tenna can be minimized. As a result, it can be suitably applied to terminals requiring high data processing capacity such as LTE and HRPD.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바(bar)' 타입의 단말기 바디(101)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도 1에 개시된 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개의 단말기 바디가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folder)'타입이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드(slide)' 타입 등 다른 타입이나 폼팩터(form factor)를 갖는 이동 단말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bar' type terminal body 10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bar typ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1, but may be a 'folder' type in which two terminal bodies are foldably connected, a 'slide' Type or a mobile terminal having a form factor.

단말기 바디(101)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으로 불릴 수 있다)는 프론트 케이스(102)와 리어 케이스(103)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2)와 리어 케이스(10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2)와 리어 케이스(103)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A case (which may be referred to as a casing, a housing, a cover, and the like) constituting the appearance of the terminal body 101 is formed by the front case 102 and the rear case 103.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02 and the rear case 103. [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2 and the rear case 103. [

단말기 바디(101)의 전면에는 제1조작부(131),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영상입력부(121), 음향 입력부(12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A display unit 151, an acoustic output unit 152, an image input unit 121, an acoustic input unit 122,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01. The first operation unit 131,

제1조작부(131)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The first operation unit 131 receive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이 페이퍼(e-paper), TOLED(Transparent OLED) 등을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다. 터치감지수단은 윈도우의 내부에 배치되는 투명전극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module, an e-paper, and a TOLED (Transparent OLED) for visually expressing information. Also, 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touch sensing means to receive information or control commands by the user's touch. The touch sensing means may include a transparent electrode film disposed inside the window.

음향출력부(152)는 리시버(Receiver) 또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loudspeaker.

영상입력부(121)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image input unit 121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moving image of a user.

음향 입력부(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ound input unit 122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phone, for exampl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위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및 음향 출력부()는 단말기바디(101)의 다른 면(예: 단말기바디의 측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거나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151, the sound output unit 152 and the sound output unit described above may b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terminal body 101 (e.g., on the side or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or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에는 제2조작부(132), 인터페이스부(170),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8) 등이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 second operating unit 132, an interface unit 170, a broadcast signal receiving antenna 118,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제2조작부(132)는 단말기 바디(101)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조작부(131)와 더불어 제2조작부(132)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32 may be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01.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32 together with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31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operates in a tactile manner.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by a dome switch or a touch screen, a touch pad, or a wheel, a jog type, a joystick, or the like, As shown in FIG.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31)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과 같은 정보 또는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메뉴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132)는 스크롤 기능 외에 제1영상입력부(121)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a functional aspect, the first operation unit 131 is for inputting information such as numbers, letters, symbols, or a menu such as start, end, etc.,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32 is for inputting, Or as a hot-key for performing a special function such as activation of the input unit 121 and the lik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is a path for allowing the mobile terminal 100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a wireless Lan port), or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 card socket that accommodates an external card such as a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or a UIM (user identity module), a memory card for information storage, and the like.

단말기 바디(101)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3)에 인출 또는 인출된 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terminal body 101, an antenna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ay be arranged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a call or the like. The antenna may be installed to be rotatable after being drawn out or drawn out to the rear case 103.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가 장착된 회로기판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ircuit board assembly with an antenna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스(102,103)에 내장되는 회로기판(201)은 디 스플레이부(151)와 음향출력부(152) 및 안테나가 일체형으로 장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ircuit board 201 embedded in the cases 102 and 103 may be mounted with the display portion 151, the sound output portion 152, and the antenna integrally.

회로기판(201)의 일측에는 제1안테나(210)가 설치되어 있다. 제1안테나(210)는 휴대 단말기(100)에 의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무선통신 대역들에서 동작되도록(다중대역)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안테나(210)는 다른 부품과의 간섭(interferece) 또는 핸드 이펙트(hand effect)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단말기 바디(101)의 끝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A first antenna 21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ircuit board 201. The first antenna 21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bands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100 (multi-band). The first antenna 210 may be disposed at an end of the terminal body 101 so as to minimize interference or hand effect with other components.

회로기판(201)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복층구조로 되어 있거나 평면으로 보았을 때 복수 개로 나뉘어진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회로기판(201)은 제1안테나(210)가 담당하는 대역들 중 저대역(low band)에 대응하는 물리적 길이와 관련된 제1그라운드(202)를 형성하고 있다. 제1그라운드(20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확장됨으로써 무선성능을 확장시키기도 한다.The circuit board 201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when viewed from the side, or may be formed into a plurality of structures when viewed in plan view. The circuit board 201 forms a first ground 202 related to a physical length corresponding to a low band among bands served by the first antenna 210. [ The first ground 202 also extends the radio performance by extending as described below.

회로기판(201)의 양 측면에는 제1안테나(210)와 일정한 이격(거리)를 이룰 수 있게 구성되는 제2 및 제3안테나(240,25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2 및 제3안테나(240,250)는 제1안테나(210)의 공간 다이버시티를 구현한다는 점에서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불릴 수 있다. 다만, 제2안테나(240) 및 제3안테나(250)를 모두 갖춘 구성이 필수적이지는 않으며 그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제2 및 제3안테나(210,240,250)는, 예를 들어,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을 구현하기 위한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이룬다. 이러한 안테나 시스템은 LTE, HRPD 등과 같은 대량의 무선 데이터 처리가 요구되는 단말기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On both sides of the circuit board 201, second and third antennas 240 and 250 configured to have a constant distance (distance) from the first antenna 210 are respectively installed. The second and third antennas 240 and 250 may be referred to as a 'diversity antenna' in that they implement spatial diversity of the first antenna 210. However, the configuration including both the second antenna 240 and the third antenna 250 is not essential, and either one of them may be omitted. The first, second and third antennas 210, 240 and 250 form a smart antenna system for implementing, for example, Multiple Input Multiple Out (MIMO). Such an antenna system can be suitably used for terminals requiring a large amount of wireless data processing such as LTE, HRPD, and the like.

MIMO diversity를 구현하기 위해 제2안테나(240) 및 제3안테나(250)의 제1안테나(210)에 대한 물리적인 거리를 늘리는 것이 권장되지만, 소형화되어 가고 있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공간의 조건은 이를 만족시키기 어렵다. 반면, 제2안테나(240) 또는 제3안테나(250)의 제1안테나(210)에 대한 거리가 줄어들게 되면, 상호 커플링(mutual coupling)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In order to realize MIMO diversity, it is recommended to increase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second antenna 240 and the third antenna 250 to the first antenna 210. However, the condi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difficult to satisfy. On the other hand, if the distance of the second antenna 240 or the third antenna 250 to the first antenna 210 is reduced, problems such as mutual coupling occur.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제2안테나(240) 및 제3안테나(250)는 기본적으로 제1안테나(210)가 사용하고 있는 제1그라운드(202)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차단된 제2 및 제3그라운드(252)를 갖는다. 제2안테나(240) 또는 제3안테나(250)는 고유전체를 사용하는 칩안테나가 적용될 수 있다. The second antenna 240 and the third antenna 250 are bas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and third grounds 252 and 253 electrically isolated from the first ground 202 used by the first antenna 210, ). The second antenna 240 or the third antenna 250 may be a chip antenna using a high dielectric constant.

배치의 면에 있어서, 제2안테나(240) 및 제3안테나(250)는 회로기판(201)에 대하여 일정 각을 이루고 있다. 그 결과, 제2안테나(240) 및 제3안테나(250)의 방사패턴은 제1안테나(210)의 방사패턴과 상이한 방향성을 가지게 되므로 편파 특성이 양호해지게 된다. 도 2에 의하면, 제2안테나(240) 및 제3안테나(250)는 회로기판(201)에 대하여 약 90도를 이룰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In terms of arrangement, the second antenna 240 and the third antenna 250 form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circuit board 201. As a result,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second antenna 240 and the third antenna 250 has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first antenna 210, so that the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are improved. Referring to FIG. 2, the second antenna 240 and the third antenna 250 are disposed at about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ircuit board 201.

구조의 면에 있어서, 제2안테나(240) 및 제3안테나(250)는 제1그라운드와는 독립된 그라운드(242,252)를 가지며 각각의 기판(경성회로기판 또는 연성회로기판)에 지지되어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In terms of structure, the second antenna 240 and the third antenna 250 have grounds 242 and 252 independent of the first ground, and are supported on respective substrates (hard circuit boards or flexible circuit boards) Can be implemented.

이와 같은 구조와 배치를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어셈블리의 예시적인 일 단면도이다. 제1안테나(210)의 방사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제1그라운드(202)는 회로기판(201)에 형성되어 있다. 회로기 판(201)에 급전되는 제2안테나(240) 및 제3안테나(250)는 회로기판(201)의 양 측면에 세워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독립적인 방사체(241,251)와 그라운드(242,252)를 포함하고 있다.Such a structure and arrange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of an antenna assembly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round 202 directly affects the radiation characteristic of the first antenna 210 is formed on the circuit board 201. The second antenna 240 and the third antenna 250 that are fed to the circuit board 20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ircuit board 201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dependent radiators 241 and 251 and the grounds 242 and 252, .

제2안테나(240)의 제2그라운드(242) 및 제3안테나(250)의 제3그라운드(252)는 회로기판(201)의 제1그라운드(202)와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므로 제1안테나(210)의 동작시 제2안테나(240) 또는 제3안테나(250)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시킨다. The second ground 242 of the second antenna 240 and the third ground 252 of the third antenna 250 operate independently of the first ground 202 of the circuit board 201, Thereby minimizing the influence on the second antenna 240 or the third antenna 250.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어셈블리의 예시적인 다른 단면도이다. 도 4에 의하면, 제2안테나(240') 및 제3안테나(250')를 이루는 각각의 방사체(241',251')는 제2그라운드(242') 및 제3그라운드(252')에 대하여 반대쪽에 위치되어 있다.4 is another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of an antenna assembly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4, each of the radiators 241 'and 251' constituting the second antenna 240 'and the third antenna 2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ground 242 'and the third ground 252' It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어셈블리의 장착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제2안테나(240) 및 제3안테나(250)는 제조의 면에 있어서 케이스(102)에 직접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5(a)와 같이, 케이스(102)에 안테나 장착부(102a)를 형성시킨 후, 안테나 장착부(102a)에 제2안테나(240) 및 제3안테나(250)를 각각 부착시키고(도 5(b)), 회로기판(201)은 제2안테나(240) 및 제3안테나(250)의 그라운드와 차단시키도록 한다(도 5(c)).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mounting process of the antenna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ntenna 240 and the third antenna 250 can be formed directly on the case 102 in terms of manufacturing. 5 (a), after the antenna mounting portion 102a is formed in the case 102, the second antenna 240 and the third antenna 250 are attached to the antenna mounting portion 102a 5 (b)), the circuit board 201 is shielded from the ground of the second antenna 240 and the third antenna 250 (Fig. 5 (c)).

이와 같이 제2안테나(240) 또는 제3안테나(250)를 케이스(102)에 직접 부착시켜 케이스 일체형의 모듈로 취급함으로써 제2안테나(240)와 제3안테나(250)를 각각 회로기판(201)의 측면에 고정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취급과 조립을 용이하게 하 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When the second antenna 240 or the third antenna 250 is directly attached to the case 102 and treated as a case-integrated module, the second antenna 240 and the third antenna 250 ar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01 ), It is easier to handle and assemble it,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회로기판 어셈블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a circuit board assemb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의하면, 제2안테나(340) 및 제3안테나(350)는 회로기판(301)에 연결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제2안테나(340)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신호 또는 제2안테나(340)를 통하여 공간에 방사될 무선신호는 안테나 전송선부(345,355) 및 커넥터(346,356)를 통하여 전송된다.Referring to FIG. 6, the second antenna 340 and the third antenna 350 include a structure for being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301. The ra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antenna 340 or the radio signal to be radiated into the space through the second antenna 340 is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transmission line units 345 and 355 and the connectors 346 and 356.

안테나 전송선부(345,355)는 제2안테나(340) 또는 제3안테나(350)에 접합되어 있으며, 동축케이블 또는 연성 회로기판 형태로 형성되어 회로기판(301)의 해당위치로 연결된다.The antenna transmission lines 345 and 355 are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340 or the third antenna 350 and are formed in the form of a coaxial cable or a flexible circuit board and are connected to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circuit board 301.

도 6에 의하면, 제2안테나(340) 및 제3안테나(350)는 그들을 지지하고 있는 별도의 구조(360)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한 구조(360)에 도전체로 이루어진 그라운드 확장부(361)가 장착된다. 그라운드 확장부(361)는 회로기판(201)의 소형화에 따른 충분한 길이의 확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서, 회로기판(301)의 제1그라운드(302)에 연결되어 제1그라운드(302)의 길이를 확장시킨다. 그 결과, 특히 저대역에서의 무선특성이 향상된다. 그라운드 확장부(361)는 회로기판(301)과는 일정한 갭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그 갭 내에는 다른 부품이나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second antenna 340 and the third antenna 350 are fixed to a separate structure 360 supporting them. In such a structure 360, a ground extension 361 made of a conductor is mounted. The ground extending portion 361 is introduced to solve the problem of ensuring a sufficient length due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circuit board 201. The ground extending portion 361 is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302 of the circuit board 301, . As a result, the radio characteristic particularly in the low band is improved. The ground extension portion 36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ircuit board 301 by a predetermined gap, and other parts or elements may be disposed in the gap.

도 7은 도 6의 구조의 작용을 등가적으로 보이고 있는 설명도이다.FIG. 7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equivalent operation of the structure of FIG. 6. FIG.

도 7(a)와 같이, 회로기판(301)이 갖는 제1그라운드의 물리적인 길이를 L1이 라 하고, 그라운드 확장부(361)가 갖는 물리적인 길이를 L2라 하였을 때, 본 실시에서의 제2안테나는 회로기판(301)의 그라운드의 길이(L1)과 그라운드 확장부의 길이(L2)를 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도 7(b)).When the physical length of the first ground of the circuit board 301 is L1 and the physical length of the ground extension 361 is L2 as shown in Fig. 7 (a) 2 antenna has the effect of adding the length L1 of the ground of the circuit board 301 and the length L2 of the ground extension portion (Fig. 7 (b)).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어셈블리의 장착과정을 예시적으로 보인 장착과정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mounting process of the antenna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는 연성회로기판 형태로 형성된 그라운드 확장부(361)를 사용하여 제2안테나(340) 및 제3안테나(350)를 장착한 것을 보인다. 8A shows that the second antenna 340 and the third antenna 350 are mounted using the ground extension portion 361 formed in the form of a flexible circuit board.

우선, 전체면에 걸친 적어도 하나의 도전층을 갖는 연성회로기판(360)을 마련한다(도 8a). 연성회로기판(360)에는 제2안테나(340) 및 제3안테나(350)의 급전을 위한 안테나 전송선부(345,355)가 연결되어 있다.First, a flexible circuit board 360 having at least one conductive layer over the entire surface is provided (Fig. 8A). An antenna transmission line portion 345 and 355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cond antenna 340 and the third antenna 350 are connected to the flexible circuit board 360.

도 8b와 같이, 연성회로기판(360)은 다음에 부착될 제2안테나(340) 및 제3안테나(350)가 부착되었을 때 제2안테나(340)의 급전부 및 제3안테나(350)의 급전부(347)가 연결되기 위한 패드(370)도 포함한다. 제2안테나(340) 및 제3안테나(350)를 회로기판(301)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이룰 수 있도록 가장자리 부분이 절곡될 수 있다.8B, when the second antenna 340 and the third antenna 350 to be attached next are attached, the flexible circuit board 360 is connected to the feeding part of the second antenna 340 and the feeding part of the third antenna 350 And a pad 370 to which the power feeder 347 is connected. The edge portion may be bent so that the second antenna 340 and the third antenna 350 can be form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circuit board 301. [

다음으로, 도 8c와 같이 연성회로기판(360)에 독립된 그라운드를 갖는 제2안테나(340) 및 제3안테나(350)를 부착시킨다. Next, the second antenna 340 and the third antenna 350 having independent grounds are attached to the flexible circuit board 360 as shown in FIG. 8C.

부착된 제2안테나(340) 및 제3안테나 결합체는 케이스(102)에 도 8d와 같이 장착된 후, 회로기판 어셈블리(300)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안테나 전송선부(345,355)의 커넥터(346,356)를 회로기판(301)에 형성된 리셉터클(307,308)에 연 결하여 조립시킨다(도 8e).The attached second antenna 340 and the third antenna combination are mounted on the case 102 as shown in FIG. 8D and then connected to the connectors 346 and 356 of the antenna transmission lines 345 and 355 in a state where the circuit board assembly 300 is disposed. And connected to the receptacles 307 and 308 formed on the circuit board 301 (FIG. 8E).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안테나 어셈블리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mobile terminal and antenna assembly are not limited in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가 장착된 회로기판 어셈블리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ircuit board assembly with an antenna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어셈블리의 예시적인 일 단면도3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of an antenna assembl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어셈블리의 예시적인 다른 단면도4 is another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of an antenna assembly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어셈블리의 장착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들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mounting process of the antenna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회로기판 어셈블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a circuit board assemb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구조의 작용을 등가적으로 보이고 있는 설명도Fig. 7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equivalent operation of the structure of Fig. 6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어셈블리의 장착과정을 예시적으로 보인 장착 과정도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process of the antenna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단말기 케이스;A terminal case; 제1그라운드를 형성하는 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안테나; 및A first antenna provided on one side of a circuit board forming a first ground; And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안테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어셈블리는,And an antenna assembly embedded in the terminal case, 상기 회로기판의 양 측면에 상기 회로기판에 대하여 일정 각을 이룰 수 있게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그라운드와 독립된 그라운드를 가지며, 상기 회로기판에 급전되는 제2 및 제3안테나; 및Second and third antenna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ircuit board so as to have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circuit board and having a ground independent of the first ground and fed to the circuit board; And 상기 제2 및 제3안테나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제1그라운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1그라운드의 길이를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And a ground extension part formed to support the second and third antennas and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to extend the length of the first ground.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그라운드 확장부는 연성 회로기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Wherein the ground extension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exible circuit board.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그라운드 확장부는 상기 회로기판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설치공간에 따라 자유롭게 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Wherein the ground extension part is formed parallel to the circuit board and is formed to be freely changeable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space.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그라운드 확장부는 상기 회로기판에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nd the ground extension part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ircuit board.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그라운드 확장부는 상기 제2 및 제3안테나가 부착되기 위한 각각의 안테나 부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안테나 부착부에는 상기 제2 및 제3안테나의 급전부를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시킬 수 있는 안테나 전송선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The ground extending portion is formed with antenna attaching portions for attaching the second and third antennas, and the antenna attaching portions are provided with antenna transmission lines for connecting the feeding portions of the second and third antennas to the circuit board, And a mobile terminal. 제12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안테나 전송선부는 동축케이블 또는 연성 회로기판 형태로 형성된 이동 단말기.Wherein the antenna transmission line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axial cable or a flexible circuit board. 제13항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안테나 전송선부의 그라운드는 상기 그라운드 확장부를 상기 회로기판의 제1그라운드에 연결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nd the ground of the antenna transmission line portion is formed to connect the ground extension portion to the first ground of the circuit board. 이동 단말기 또는 무선모뎀 장치의 케이스에 내장될 수 있게 형성되는 안테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어셈블리는,An antenna assembly for use in a mobile terminal or a case of a wireless modem device, the antenna assembly comprising: 제1그라운드를 형성하는 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안테나; 및A first antenna provided on one side of a circuit board forming a first ground; And 상기 회로기판의 양 측면에 상기 회로기판에 대하여 일정 각을 이룰 수 있게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그라운드와 독립된 그라운드를 가지며, 상기 회로기판에 급전되는 제2 및 제3안테나; 및Second and third antenna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ircuit board so as to have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circuit board and having a ground independent of the first ground and fed to the circuit board; And 상기 제2 및 제3안테나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제1그라운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1그라운드의 길이를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어셈블리.And a ground extending portion formed to support the second and third antennas and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to extend the length of the first ground.
KR1020090070255A 2009-05-26 2009-07-30 Portable terminal KR1015871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255A KR101587133B1 (en) 2009-07-30 2009-07-30 Portable terminal
EP10001319A EP2262053B1 (en) 2009-05-26 2010-02-09 Portable terminal and antenna device thereof
US12/709,427 US8754815B2 (en) 2009-05-26 2010-02-19 Portable terminal and antenna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255A KR101587133B1 (en) 2009-07-30 2009-07-30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511A KR20110012511A (en) 2011-02-09
KR101587133B1 true KR101587133B1 (en) 2016-01-21

Family

ID=43772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255A KR101587133B1 (en) 2009-05-26 2009-07-30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13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339B1 (en) 2011-11-21 2014-04-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Apparatus for steering vehicle and contol system thereof
KR102664719B1 (en) * 2019-11-20 2024-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 isolated conductor
CN112968273B (en) * 2021-02-03 2024-05-17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Antenna structure and terminal equip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4943A (en) * 2000-03-30 2001-10-12 Sony Corp Equipment and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KR100620015B1 (en) 2005-07-26 2006-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having bluetooth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3552A1 (en) * 2002-02-26 2003-09-04 Nortel Networks Limited User terminal antenna arrangement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s
JP2007173929A (en) * 2005-12-19 2007-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wireless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4943A (en) * 2000-03-30 2001-10-12 Sony Corp Equipment and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KR100620015B1 (en) 2005-07-26 2006-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having bluetooth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511A (en)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4815B2 (en) Portable terminal and antenna device thereof
KR101572037B1 (en) Portable terminal
US8564495B2 (en) Portable terminal
US10211515B2 (en)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8144063B2 (en) Antenna isola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EP3462537B1 (en) Mobile terminal
CN101364663B (en) Antenna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CN101627537B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s with isolated antennas
US8350761B2 (en) Antenna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KR100733813B1 (en) Antenna for portable terminal
EP2467905B1 (en) Connectors with embedded antennas
KR101587133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67714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04715B1 (en) Portable terminal
JP4885821B2 (en) ANTENNA DEVICE AN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O2013147342A1 (en) Mobile terminal having dual-band antenna
KR101504203B1 (en) Portable terminal
KR20060109643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ssistant antenna apparatus
KR20120056672A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