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692B1 -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692B1
KR101585692B1 KR1020090110999A KR20090110999A KR101585692B1 KR 101585692 B1 KR101585692 B1 KR 101585692B1 KR 1020090110999 A KR1020090110999 A KR 1020090110999A KR 20090110999 A KR20090110999 A KR 20090110999A KR 101585692 B1 KR101585692 B1 KR 101585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ent
preference
registered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4380A (ko
Inventor
안은선
김재욱
최고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0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692B1/ko
Priority to CN2010800521210A priority patent/CN102668589A/zh
Priority to EP10831700.9A priority patent/EP2502413A4/en
Priority to PCT/KR2010/002835 priority patent/WO2011062333A1/en
Priority to US12/785,838 priority patent/US9591249B2/en
Publication of KR20110054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컨텐츠(contents)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컨텐츠가 등록된 선호 그룹에 대한 정보를 표시된 컨텐츠 정보와 대응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표시되는 선호 그룹 정보는 컨텐츠가 복수의 선호 그룹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information}
본 발명은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가 등록된 선호 그룹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TV 기술이 개발되고 상용화되면서, 기존의 전파 매체 외에도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인터넷 망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제공의 예로서 IPTV(Internet Protocol TV)를 들 수 있다. 상기 IPTV는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 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및 방송 등을 전송하여 사용자의 텔레비전에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컨텐츠들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은,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가 등록된 선호 그룹에 대한 이미지를 상기 컨텐츠 정보와 대응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호 그룹 이미지는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로 표시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는 상기 컨텐츠가 2 이상의 선호 그룹들에 등록되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은, 복수의 방송 채널들 각각에 대응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방송 채널이 등록된 선호 그룹에 대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된 채널 정보와 대응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호 그룹 이미지는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로 표시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는 상기 방송 채널이 2 이상의 선호 그룹들에 등록되었음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컨텐츠 정표 표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한 선호 그룹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입력되는 다양한 컨텐츠들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텐츠가 복수의 선호 그룹들에 등록되어 있은 경우, 상기 복수의 선호 그룹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특정 방송 채널 등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방법은 외부로부터 입력되거나 또는 내부에 저장된 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는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방법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방법은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 비게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재생 장치는 재생 가능한 복수의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S1 단계).
상기 복수의 컨텐츠들은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화상 전화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컨텐츠 재생 장치는 유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들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들에게 개별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자들이 제공하는 실시간 방송, COD, 게임, 동영상, 사진, 날씨 정보, 뉴스, 화상 전화 서비스 등의 다양한 컨텐츠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S1 단계에서, 컨텐츠 재생 장치는 화면 상에 상기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문자 또는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되는 컨텐츠 정보는 해당 컨텐츠의 명칭, 식별 번호, 컨텐츠 제공자, 내용 등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이거나, 해당 컨텐츠를 나타내는 영상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컨텐츠들을 식별하고 각 컨텐츠의 내용을 간략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화면(10) 상에 재생 가능한 복수의 컨텐츠들, 즉 제1 내지 제12 컨텐츠들 각각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 정보는 해당 컨텐츠의 영상 중 축소된 이미지인 썸네일(thumbnail) 이미지일 수 있다.
그 후, 컨텐츠 재생 장치는 컨텐츠에 대한 선호 그룹을 등록 받는다(S2 단계).
특정 컨텐츠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선호 그룹들 중 적어도 하나에 등록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선호 그룹들은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 내에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추가된 선호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선호 그룹들은 컨텐츠의 특성, 예를 들어 컨텐츠의 종류, 내용, 제공자, 사용자 등을 기준으로 하여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선호 그룹들은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드라마, 스포츠, 뉴스, 영화, 동영상, 사진, 날씨, 경제, 게임, 실시간 방송 및 화상 전화 등의 그룹들 중 2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특정 컨텐츠의 종류가 드라마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를 복수의 선호 그룹들 중 "드라마" 그룹에 등록할 수 있으며, 다른 컨텐츠들에 대해서도 해당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선호 그룹을 검색하여 등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컨텐츠에 대응되는 선호 그룹을 등록함에 의해, 사용자는 재생 가능한 다양한 컨텐츠들의 종류 또는 내용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들을 그룹별로 용이하게 관리 및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컨텐츠에 대해 2 이상의 선호 그룹들이 등록될 수 있다. 즉, 특정 컨텐츠가 상기 복수의 선호 그룹들 중 2 이상의 그룹들에 대응되는 특성들을 가지는 경우, 상기 컨텐츠는 상기 2 이상의 그룹들에 등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컨텐츠의 종류가 뉴스에도 속하는 동시에 경제와도 관련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를 복수의 선호 그룹들 중 "뉴스" 그룹 및 "경제" 그룹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방송 채널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종류는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방송 채널에서 시간 대에 따라 드라마 및 스포츠 방송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방송 채널의 컨텐츠를 "드라마" 그룹 및 "스포츠" 그룹에 등록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화면(10) 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원하는 선호 그룹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4 컨텐츠 정보(24)를 선택한 후, 화면(10) 상에 표시된 선호 채널 등록을 위한 "FAV" 버튼을 입력하여 상기 제4 컨텐츠에 대한 선호 채널을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컨텐츠 재생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해 연결된 원격 제어 장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화면 상에 터치 가능한 물체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해 상기한 바와 같은 입력 동작, 예를 들어 특정 컨텐츠 정보의 선택 또는 특정 버튼의 입력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공간 리모컨 또는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재생 장치는 특정 물체에 의해 접촉된 위치 또는 상기 접촉된 물체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패널(touch panel)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 또는 특정 물체를 이용해 화면에 접촉하며 상기한 바와 같은 사용자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 화면(10) 상에 상기 입력 수단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포인터(30)가 표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포인터(30)는 상기 입력 수단을 이용해 사용자가 포인팅(pointing) 하고자 하는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입력 수단을 이용해 화면(10) 상의 포인터(30)를 제4 컨텐츠 정보(24)에 위치시킨 후 특정 선택 버튼을 눌러 상기 제4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또는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입력 수단을 이용해 선호 그룹 등록을 위한 버튼을 눌러, 상기 선택된 컨텐츠, 예를 들어 제4 컨텐츠에 대한 선호 그룹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도 3은 컨텐츠에 대한 선호 그룹을 등록하는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에 대한 선호 그룹 등록을 요청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호 채널 등록 윈도우(40)가 화면(1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선호 채널 등록 윈도우(40)는 컨텐츠가 등록 가능한 복수의 선호 그룹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호 채널 등록 윈도우(40)에는 복수의 선호 그룹등 중 그룹 1에 대응되는 정보(41), 그룹 2에 대응되는 정보(42), 그룹 3에 대응되는 정보(43) 및 그룹 4에 대응되는 정보(44)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선호 채널 등록 윈도우(40)에 표시되는 선호 그룹들에 대한 정보(41, 42, 43, 44)는 해당 그룹의 명칭, 간략한 설명 또는 대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호 채널 등록 윈도우(40)에 표시되는 선호 그룹들 각각에 대한 정보(41, 42, 43, 44)를 확인한 후, 해당 컨텐츠에 대응되는 선호 그룹을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에서 선택한 제4 컨텐츠를 선호 채널 등록 윈도우(40)에 표시된 그룹 1 내지 그룹 4 중 어느 하나에 등록할 수 있으며, 원하는 경우 상기 그룹 1 내지 그룹 4 중 2 이상의 그룹들에 상기 제4 컨텐츠를 등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룹 1 내지 그룹 4는 각각 드라마, 뉴스, 게임 및 스포츠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그룹들 중 제4 컨텐츠의 종류에 대응되는 그룹을 선택하여 상기 제4 컨텐츠에 대한 선호 그룹을 등록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4 컨텐츠의 종류가 드라마인 경우, 사용자는 선호 채널 등록 윈도우(40)에 표시된 그룹 정보들(41, 42, 43, 44) 중 상기 드라마에 대 응되는 그룹인 "그룹 1"을 선택하여 상기 제4 컨텐츠의 선호 그룹으로 등록시킬 수 있다.
그를 위해, 사용자는 선호 채널 등록 윈도우(40)에 표시된 포인터(30)를 이동시켜 그룹 1에 대한 정보(41)에 위치시킨 후, 선호 채널 등록을 위한 버튼을 눌러 상기 제4 채널을 상기 그룹 1에 등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 컨텐츠의 종류가 드라마 및 스포츠인 경우, 사용자는 선호 채널 등록 윈도우(40)에 표시된 그룹 정보들(41, 42, 43, 44) 중 상기 드라마에 대응되는 그룹인 "그룹 1" 및 상기 스포츠에 대응되는 그룹인 "그룹 4"를 선택하여 상기 제4 컨텐츠의 선호 그룹으로 등록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4 컨텐츠는 2 이상의 선호 그룹들, 즉 그룹 1 및 그룹 4에 등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선호 그룹들은 각각 그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선호 그룹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들은 서로 상이하여, 상기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선호 그룹들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선호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들(51 내지 54)이 선호 채널 등록 윈도우(4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선호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이미지들(51 내지 54)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선호 그룹에 따라 서로 상이한 형상의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1은 "★" 이미지(51)로 표시되며, 그룹 2는 "♠" 이미지(52)로 표시되고, 그룹 3은 "♣" 이미지(53)로 표시되며, 그룹 4는 "◆" 이미지(54)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선호 그룹들을 서로 다른 이미지로 표시함으로써, 한정 공간에서 각 컨텐츠들이 등록된 선호 그룹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선호 그룹 등록 결과에 따라, 컨텐츠 재생 장치는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해 등록된 선호 그룹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S3 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컨텐츠가 등록된 선호 그룹에 대한 이미지가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정보와 대응되어 화면(10)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선호 그룹 이미지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는 상기 컨텐츠가 2 이상의 선호 그룹들에 등록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선호 그룹들에 등록된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선호 그룹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해, 상기 컨텐츠가 등록된 선호 그룹에 대한 이미지가 컨텐츠 정보와 대응되어 화면(1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10) 상에 표시된 컨텐츠 정보는 해당 컨텐츠가 등록된 선호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컨텐츠들 중 선호 그룹이 등록된 컨텐츠들, 즉 제2 컨텐츠, 제3 컨텐츠, 제4 컨텐츠, 제5 컨텐츠, 제7 컨텐츠, 제8 컨텐츠 및 제9 컨텐츠 각각에 대해, 상기 컨텐츠가 등록된 선호 그룹에 대한 이미지가 화면(1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선호 그룹이 등록된 컨텐츠들에 대해 각 컨텐츠가 등록된 선호 그룹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각 컨텐츠가 등록된 선호 그룹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제4 컨텐츠가 그룹 1에 등록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10) 상에 표시된 제4 컨텐츠 정보(24)는 상기 제4 컨텐츠가 등록된 그룹 1에 대응되는 "★" 이미지(51)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4 컨텐츠 정보(24)에 표시되는 "★" 이미지(51)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제4 컨텐츠가 상기 그룹 1에 등록되어 있음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호 그룹 정보를 통해, 사용자는 제2 컨텐츠가 그룹 2에 등록되어 있고, 제3 컨텐츠 및 제4 컨텐츠가 그룹 1에 등록되어 있으며, 제5 컨텐츠가 그룹 4에 등록되어 있고, 제7 컨텐츠가 그룹 3에 등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선호 그룹은 컨텐츠의 특성, 예를 들어 컨텐츠의 종류, 내용, 제공자, 사용자 등을 기준으로 하여 구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화면(10) 상에 표시되는 선호 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각 컨텐츠의 종류 등을 파악할 수 있으 며, 그에 따라 원하는 종류의 컨텐츠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룹 1이 드라마인 경우, 사용자는 화면(10) 상에 표시되는 선호 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제3 컨텐츠 및 제4 컨텐츠가 드라마에 해당함을 인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4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원하는 드라마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컨텐츠들 중 적어도 하나는 2 이상의 선호 그룹들에 등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컨텐츠가 2 이상의 선호 그룹들에 등록된 경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선호 그룹 정보는 복수의 선호 그룹들에 등록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이미지(6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선호 그룹들에 등록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이미지(6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복수의 선호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들(51 내지 54)과 상이한 이미지로서, 상기 이미지(60)를 통해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가 2 이상의 선호 그룹들에 등록됨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8 컨텐츠 및 제9 컨텐츠가 각각 2 이상의 선호 그룹들에 등록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제8 컨텐츠 정보(28) 및 제9 컨텐츠 정보(29)에 각각 복수의 선호 그룹들에 등록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이미지(60)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제8 컨텐츠 정보(28)에 복수의 선호 그룹들에 등록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 이미지(60)가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제9 컨텐츠 정보(29)에도 상기 "ⓜ" 이미지(60)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60)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가 등록된 2 이상의 선호 그룹들에 대한 정보가 화면(1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 수단을 이용해 포인터(30)를 이동시켜 제9 컨텐츠 정보(29)에 표시된 이미지(60)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응답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10) 상에 상기 제9 컨텐츠가 등록된 선호 그룹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선호 그룹 정보 윈도우(70)가 표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선호 그룹 정보 윈도우(70)에는 제9 컨텐츠가 등록된 선호 그룹들, 즉 그룹 1 및 그룹 2에 대한 정보(41, 42)가 표시될 수 있다.
선호 그룹 정보 윈도우(70)에 표시되는 선호 그룹 정보는 해당 그룹의 명칭 및 그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1 및 그룹 2가 각각 드라마 및 뉴스인 경우, 사용자는 선호 그룹 정보 윈도우(70)를 통해 상기 제9 컨텐츠가 드라마 및 뉴스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선호 그룹 정보 윈도우(70)에 표시된 선호 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선호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선호 그룹 정보 윈도우(70) 상에서 상기 제9 컨텐츠가 등록된 선호 그룹들, 즉 그룹 1 및 그룹 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선호 그룹에 등록된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가 화면(1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호 그룹 정보 윈도우(70) 상에서 그룹 1을 선택한 경 우, 화면(10) 상에 복수의 컨텐츠들 중 상기 그룹 1에 등록된 1 이상의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화면(10) 상에 상기 그룹 1에 등록된 컨텐츠들, 즉 제3 컨텐츠, 제4 컨텐츠, 제8 컨텐츠 및 제9 컨텐츠에 대응되는 정보는 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되며, 상기 그룹 1에 등록되지 않은 나머지 컨텐츠들에 대응되는 정보는 비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룹 1에 등록된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에는 상기 그룹 1를 나타내는 "★" 이미지(51)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된 상기 제3 컨텐츠, 제4 컨텐츠, 제8 컨텐츠 및 제9 컨텐츠, 즉 그룹 1에 등록된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화면(10) 상에 표시된 제8 컨텐츠 정보(28)를 선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8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이 화면(1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달리, 사용자가 선호 그룹 정보 윈도우(70) 상에서 그룹 1을 선택한 경우, 화면(10) 상에 복수의 컨텐츠들 중 상기 그룹 1에 등록된 컨텐츠들, 즉 제3 컨텐츠, 제4 컨텐츠, 제8 컨텐츠 및 제9 컨텐츠에 대응되는 정보만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9는 컨텐츠에 대한 선호 그룹을 등록하는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방법 중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에 대한 선호 그룹 등록을 요청한 경우, 복수의 선호 그룹들에 대한 정보(41, 42, 43, 44)를 포함하는 선호 채널 등록 윈도우(40)가 화면(1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선호 그룹들, 즉 그룹 1 내지 그룹 4에 각각 대응되는 이미지들(81, 82, 83, 84)은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1, 그룹 2, 그룹 3 및 그룹 4는 각각 노란색, 검은색, 빨간색 및 파란색에 대응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선호 그룹은 그에 대응되는 색상을 가지는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컨텐츠, 예를 들어 제4 컨텐츠에 대한 선호 그룹으로 검은색에 대응되는 그룹 2를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4 컨텐츠 정보(24)는 검은색의 이미지(82)로 표시된 선호 그룹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제4 컨텐츠가 상기 검은색에 대응되는 그룹 2에 등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호 그룹 정보를 통해, 사용자는 제2 컨텐츠 및 제4 컨텐츠는 그룹 2에 등록되어 있으며, 제3 컨텐츠는 그룹 1에 등록되어 있고, 제5 컨텐츠는 그룹 4에 등록되어 있으며, 제7 컨텐츠는 그룹 3에 등록되어 있음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선호 그룹에 등록된 제8 컨텐츠 및 제9 컨텐츠의 정보(28, 29)와 대응되도록, 복수의 선호 그룹에 등록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이미지(90)가 화 면(1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8 컨텐츠 정보(28) 및 제9 컨텐츠 정보(29)에 각각 포함된 이미지(90)를 통해, 상기 제8, 9 컨텐츠가 각각 2 이상의 선호 그룹에 등록되어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선호 그룹에 등록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이미지(90)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각각 해당 컨텐츠가 등록된 선호 그룹들에 대응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컨텐츠 정보에 표시된 상기 이미지(90)를 통해, 해당 컨텐츠가 등록된 2 이상의 선호 그룹들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이미지(90)는 복수의 선호 그룹들, 예를 들어 그룹 1 내지 그룹 4에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들(91, 92, 93, 9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미지(90)의 제1 영역(91)은 그룹 1에 대응되며, 제2 영역(92)은 그룹 2에 대응되고, 제3 영역(93)은 그룹 3에 대응되며, 제4 영역(94)은 그룹 4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이미지(90)의 복수의 영역들(91, 92, 93, 94) 중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이미지, 예를 들어 특정 색상이 표시된 영역은 그에 대응되는 선호 그룹이 등록되어 있음을 의미하며, 상기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은 영역은 그에 대응되는 선호 그룹이 등록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컨텐츠가 복수의 선호 그룹들에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이 미지(90)의 제1 영역(91)에 그룹 1에 대응되는 색상이 표시된 경우 해당 컨텐츠가 그룹 1에 등록되어 있음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영역(92)에 그룹 2에 대응되는 색상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컨텐츠가 그룹 2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을 의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미지(90) 중 제1 영역(91) 및 제2 영역(92)에 특정 색상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도시된 이미지(90)는 해당 컨텐츠, 예를 들어 제9 컨텐츠가 제1, 2 영역(91, 92)에 대응되는 그룹 1 및 그룹 2에 등록되어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미지(90) 중 제3 영역(93) 및 제4 영역(94)에 미리 설정된 색상이 표시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도시된 이미지(90)는 해당 컨텐츠, 예를 들어 제9 컨텐츠가 제3, 4 영역(93, 94)에 대응되는 그룹 3 및 그룹 4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그룹 1 내지 그룹 4가 각각 노란색, 검은색, 빨간색 및 파란색에 대응되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이미지(90)의 제1 영역(91)은 노란색으로 표시되고, 제2 영역(92)은 검은색으로 표시되며, 나머지 제3, 4 영역(93, 94)은 빨간색 및 파란색이 표시되지 않고 예를 들어 흰색으로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미지(90)를 통해, 사용자는 복수의 선호 그룹들에 등록된 컨텐츠, 예를 들어 제8 컨텐츠 또는 제9 컨텐츠가 등록된 선호 그룹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미지(90)에 표시된 복수의 영역들(91, 92, 93, 9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복수의 선호 그룹들 중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그룹에 대한 정보가 화면(1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미지(90)에 표시된 제1, 2 영역들(91, 9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그에 대응되는 그룹 1 및 그룹 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미지(90)에 검은색으로 표시된 제2 영역(92)을 선택하여, 상기 검은색 및 제2 영역(92)에 대응되는 그룹 2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10) 상에 상기 선택된 그룹 2에 대한 정보, 즉 상기 그룹 2에 등록된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10) 상에 상기 그룹 2에 등록된 컨텐츠들, 즉 제2 컨텐츠, 제4 컨텐츠 및 제9 컨텐츠에 대응되는 정보는 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되며, 상기 그룹 2에 등록되지 않은 나머지 컨텐츠들에 대응되는 정보는 비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룹 2에 등록된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에는 상기 그룹 2를 나타내는 이미지, 예를 들어 검은색의 이미지(82)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된 컨텐츠들, 즉 그룹 1에 등록된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달리, 사용자가 표시된 이미지(90) 중 그룹 2에 대응되는 제2 영역(92)을 선택한 경우, 화면(10) 상에 상기 그룹 2에 등록된 컨텐 츠들, 즉 제2 컨텐츠, 제4 컨텐츠 및 제9 컨텐츠에 대응되는 정보만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90)를 선택하는 경우, 화면(10) 상에 상기 이미지(90)가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이미지(90)에 포함된 정보, 즉 해당 컨텐츠가 등록된 선호 그룹들에 대한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상기 이미지(90)의 특정 영역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컨텐츠들에 대한 선호 그룹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복수의 선호 그룹에 등록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이미지(60)는 상기 등록된 선호 그룹 들 중 해당 컨텐츠의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그룹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9 컨텐츠는 그룹 1 및 그룹 2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제9 컨텐츠 정보(29)에 대응되어 상기 제9 컨텐츠가 복수의 선호 그룹에 등록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이미지(60)가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된 이미지(60)는 상기 제9 컨텐츠의 현재 상태가 상기 등록된 그룹 1 및 그룹 2 중 어느 그룹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미지(60)는 상기 컨텐츠의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선호 그룹을 문자, 숫자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60)에 표시된 색상에 의해 해당 컨텐츠의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선호 그룹 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9 컨텐츠 정보(29)에 포함된 이미지(60)는 그룹 1에 대응되는 이미지, 예를 들어 노란색의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표시된 이미지(60)를 통해 상기 제9 컨텐츠가 복수의 선호 그룹들에 등록되어 있으며, 현재 상기 등록된 선호 그룹 중 그룹 1에 대응되는 컨텐츠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미지(60)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9 컨텐츠가 등록된 선호 그룹들 각각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9 컨텐츠가 그룹 1(드라마) 및 그룹 2(뉴스)에 등록되어 있으며, 현재 제공되는 제9 컨텐츠의 종류가 드라마인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9 컨텐츠 정보(29)에는 상기 그룹 1(드라마)에 대응되는 색상, 즉 노란색의 이미지(60)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이미지(60)는 해당 컨텐츠의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선호 그룹을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제9 컨텐츠가 그룹 1 및 그룹 2에 등록되어 있으며, 현재 제공되는 제9 컨텐츠가 그룹 1에 대응되는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9 컨텐츠 정보(29)에는 상기 그룹 1에 대응되는 숫자인 "1"을 포함하는 이미지(60)가 표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제9 컨텐츠가 복수의 선호 그룹에 등록되어 있으며, 현재 제공되는 제9 컨텐츠는 그룹 1에 대응되는 특성을 가짐을 시각적으로 용 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16은 복수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화면(10)에 수신 가능한 복수의 방송 채널들, 즉 제1 내지 제12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되는 방송 채널 정보는 해당 채널의 방송국 명칭, 채널 번호, 상기 채널에서 현재 또는 특정 시간대에 방송되는 컨텐츠의 명칭이나 내용 등을 문자 또는 영상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화면(10)에 표시되는 복수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정보는 각 방송 채널의 영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보다 상세하게는 썸네일 이미지 또는 무비 클립(movie clip) 등을 포함하는 채널 브라우저(channel browser)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화면(10) 상에 표시된 방송 채널들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원하는 채널의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 수단을 이용해 포인터(30)를 이동시켜 원하는 채널에 대응되는 정보에 위치시킴으로써, 해당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7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재생 방법이 수행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튜너(120), 제2 튜너(125), 외부신호입력부(128), 제1 복조부(130), 제2 복조부(135),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40),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60),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 저장부(175), 디스플레이부(180) 및 음성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튜너(12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1)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 1/SIF)로 변환한다. 즉, 제1 튜너(120)는 디지털방송 신호와 아날로그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튜너일 수 있다. 제1 튜너(12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 1/SIF)는 바로 제어부(16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튜너(12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튜너(125)는 제1 튜너(120)과 유사하게,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제2 튜너(125)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기억 기능을 통해 기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저장된 다른 채널의 영상도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썸 네일 형태로 도시하므로, 이에 따라 기저장된 모든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튜너(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인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제2 튜너(125)는 메인 RF 방송 신호를 제외한 모든 RF 방송 신호(서브 RF 방송 신호) 또는 모든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로 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복조부(130)는 제1 튜너(12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 1)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1 튜너(12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 1)가 ATSC 방식인 경우, 제1 복조부(130)는 8-VSB (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제1 복조부(13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 복조부(13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튜너(12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 1)가 DVB 방식인 경우, 제1 복조부(130)는 COFDMA(C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제1 복조부(13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 복조부(13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신호 입력부(128)는 외부 장치와의 신호 입력 등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외부신호입력부(128)는 A/V 입출력부 및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신호 입력부(128)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입력 영상 신호, 외부 입력 음성 신호 및 외부 입력 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60) 내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다른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와의 영상/음성 신호의 입/출력을 입력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IEEE 1394 단자, SPDIF 단자, 리퀴드(Liquid) HD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부 신호 입력부(128)를 통해 입력되 는 다양한 입력 신호는 후술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에 입력되어 썸네일 영상추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VBS 단자 및 S-비디오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없이,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에 바로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신호 입력부(128)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rt Stream)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외부신호입력부(128)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셋탑 박스가, IP(internet Protocol) TV 용 셋탑 박스인 경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 용 셋탑 박스에서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TV 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IPTV 용 셋탑 박스에서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를 거쳐 제어부(160)에서 처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IPTV는 전송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IP(TVIP), Broadband TV(B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IPTV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TV, 풀브라우징 TV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
제1 복조부(13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하고, 스트림 신호(TS 1)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의 스트림 신호(TS 1)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림 신호(TS 1)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rt Strea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림 신호(TS1)는 제어부(160)에 입력되어, 역다중화 및 신호 처리 등이 수행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60)에 입력되기 전에,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에 입력되어 채널 브라우징을 위한 처리가 수행된다. 채널 브라우징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상술한 제1 복조부(13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복조부(135)는 제2 튜너(125)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 2)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하고, 스트림 신호(TS 2)를 출력한다. 제2 복조부(135)의 동작은 상술한 제1 복조부(130)의 동작을 참조하여 생략한다.
한편, 제2 튜너(125)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신호(CVBS 2)인 경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40)에서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 작업이 필요하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40)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되는 신호가 영상 신호인 경우, 샘플링 및 양자화가 수행되어 디지털 영상 신호(DV)로 변환될 수 있다.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부호화되지 않은 신호일 수 있다. 변환된 디지털 영상 신호(DV)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에 입력되어 처리되게 된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6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부(160)로부터의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고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신호 처리하여, 영상 및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 외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부(160)는 역다중화부, 영상 처리부, 음성 처리부, 사용자 입력 신호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 예를 들어 MPEG-2 TS 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6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또한, 외부 출력 장치와 연결된 외부 출력 단자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6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MPEG 4 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 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위성 DMB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MPEG 2의 AAC(Advanced Audio Codec)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AAC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음성 출력부(185), 예를 들어 스피커로 입력되어 음성 출력되게 된다. 또한, 외부 출력 장치와 연결된 외부 출력 단자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60)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OSD(On Screen Display)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와,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 및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상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신호는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 및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 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또는 텍스트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생성된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는 수신되는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 및 외부 신호입력부(128)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입력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브라우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조부(130, 135)에서 복조 및 채널 복호화된 스트림 신호(TS 1 또는 TS 2)를 입력받거나, 외부입력신호입력부(128)에서의 스트림 신호를 입력받거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40)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DV)를 입력받아, 스트림 신호(TS 1, 또는 TS 2)를 역다중화하고,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들 중 일부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기반으로 다중화하여 새로운 스트림 신호(TSa)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림 신호(TSa 또는 TSb)는 MPEG 2 TS 일 수 있다.
또한,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 신 호 중 메인 영역에 표시되는 메인 영상 신호에 해당하는 메인 스트림 신호(TSb)는 별도의 처리없이 그대로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 중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서브 영상 신호에 해당하는 서브 스트림 신호(TS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채널 브라우징 처리를 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를 통해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의 일부 영상을 추출하여 스트림형태로 재부호화함으로써, 채널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는 경우,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화면 상에 도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다른 채널에서 방송되는 내용을 알 수 있게 된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는 외부 신호 입력부(128)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외부 입력 영상의 일부 영상을 추출하여 스트림형태로 재부호화함으로써, 외부 입력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는 경우, 복수의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의 외부 입력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썸네일 형태로 화면 상에 도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외부 입력 장치에서 입력되는 내용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는 상술한 채널의 방송 신호 영상 및 상술한 외부 입력 영상의 일부 영상을 추출하여 스트림 형태로 재부호화함으로써, 채널 목록 및 외부 입력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는 경우,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 영상 및 복수의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의 외부 입력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썸네일 형태로 화면 상에 도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복수의 채널 및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내용을 알 수 있게 된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6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외부 신호 입력부(128)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175)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해 해당하는 방송 채널을 저장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저장부(175)가 제어부(160)와 별도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60) 내에 포함되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75)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신호입력부(128)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부(3D display)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음성 출력부(185)는 제어부(16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로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 제어 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의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사용자 입력, 예를 들어 특정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거나, 특정 기능에 대응되는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특정 영역을 선택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수단일 수 있으며, 즉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이용해 화면 상에 표시된 포인터(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7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2개의 튜너들(120, 125)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 개 또는 3 이상의 튜너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으며, 또한 이동형으로서 지상파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위성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ATSC-M/H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H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미디어플로(Media Foward Link Only) 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위성통신, IPTV 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도 있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는 TS 스위치(205), 디멀티플렉서(210), 비디오 디코더(215), DV 디코더(217), 썸네일 생성부(250) 및 스트림 인코더(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TS 스위치(205)는 입력되는 복수의 스트림(TS1, TS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메인 스트림으로 별도의 변환 동작 없이 TS 형태의 메인 스트림 TSb으로 출력하고, 나머지 하나의 스트림은 디멀티플렉서(210)로 전달하여 TS 형태의 서브 스트림 TSa으로 출력된다.
메인 스트림(TS1)은 메인 영상 신호, 주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것으로, 메인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에 대부분 영역에 표시된다. 디멀티플렉서(210)로 전달되는 서브 스트림(TS2)은 메인 채널 외의 서브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것으로, 서브 스트림(TS2)에서 추출된 썸네일은 디스플레이부(180)의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TS 스위치(205)를 스위칭함으로써 메인 스트림으로 TS2를 선택하고, 서브 스트림으로 TS1을 선택할 수도 있다. 즉, TS 스위치(205)에 입력되는 스트림 중 하나를 메인 스트림, 나머지 하나를 서브 스트림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채널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영역이 아닌 일부 영역에만 도시하는 “방송 채널 목록"의 간편 보기 기능이 수행될 때 수행될 수 있다. 디멀티플렉서(210)에 입력되는 서브 스트림에서 썸네일을 추출하여 간편 보기 화면으로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간편 보기 기능은 채널 목록 이외에 외부 입력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는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채널 목록 및 외부 입력 목록을 함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는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디멀티플렉서(210)는 수신되는 스트림 신호(TS1 또는 TS2)를 디멀티플렉싱하여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신호들 중 영상 신호는 비디오 디코더(215)에 전달되며, 그 외의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는 스트림 인코더(240)로 전달될 수 있다.
비디오 디코더(215)는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에서 픽쳐를 추출하여 복호화한다. 추출되는 픽쳐는 비디오 신호의 I 픽쳐이거나 또는 비디오 신호 중 일부 구간에 해당하는 픽쳐들일 수 있다. 복호화는 MPEG 2, MPEG-4 또는 H.264 디코더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DV 디코더(217)는 DV 인코더(140)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DV)를 입력받아 픽쳐 또는 일부 구간의 픽쳐들을 추출한다.
썸네일 생성부(250)는 비디오 디코더(215) 또는 DV 디코더(217)로부터 입력되는 픽쳐들을 스케일링 및 압축하여 썸네일을 생성한다.
썸네일 생성부(250)의 스케일러(220)는 비디오 디코더(215) 또는 DV 디코더(217)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스케일링하여 데이터량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크기 또는 해상도를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크기 변환은 디스플레이부(180)에 썸네일 형태로 표시되는 경우, 적정 크기로 표시되도록 수행된다.
한편, 스케일러(220)는 "방송 채널 목록"의 간편 보기와 "방송 채널 목록"의 전체 보기에 따라 입력되는 픽쳐들을 다른 크기로 영상 신호를 변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영상 채널 목록"의 전체 보기시 썸네일 형태로 도시되는 영상의 크기가 "영상 채널 목록"의 간편 보기 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간편 보기와 전체 보기 기능은 채널 목록 이외에 외부 입력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는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채널 목록 및 외부 입력 목록을 함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는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이미지 압축부(230)는 스케일러(220)에서 변환된 영상 신호를 부호화하여 압축한다. 예를 들어, 스케일러(220)에서 크기 변환된 영상을, JPEG 으로 부호화거나 MPEG-2 등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이미지 압축부(230)에서 부호화되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은 향후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썸네일 형태로 표시되게 된다.
스트림 인코더(240)는 이미지 압축부(230)에서 부호화된 영상 및 디멀티플렉서(210)로부터의 오디오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 스트림 형태로 패키타이 징(packetizing)하고 멀티플렉싱한다. 패키타이징된 전송 스트림은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1)에 입력된 전송 스트림(TS1,TS2)과 동일한 형태 또는 MPEG2 TS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를 통해 복수의 채널들의 방송 신호 영상 및 외부 입력 영상 중 적어도 일부 영상을 추출하여 재부호화함으로써, “방송 목록 보기” 또는 “외부 입력 목록 보기”시에 복수의 채널 방송 신호 영상 및 복수의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의 외부 입력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썸네일 형태로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다른 채널에서 방송되는 내용 또는 외부 입력 장치에서 입력되는 내용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8에 도시된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는 2개의 출력 스트림(TSa, TSb)을 출력하할 수 있으며, 도 17에 도시된 제어부(160)를 구성하는 칩이 하나의 입력만을 수신할 수 있는 구조인 경우에는 SPI(System Packet Interface)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동작에 대응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하는 공간 리모콘일 수 있다.
한편, 즉 사용자는 상기 공간 리모컨을 이용하여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 여 설명한 바와 같은 사용자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공간 리모콘(30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 수단 중 하나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공간 리모콘(30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포인터(30)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간 리모콘(301)을 상하, 좌우, 앞뒤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30)는 공간 리모콘(30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공간 리모콘(301)을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30)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 리모콘(301)은 움직임을 판별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공간 리모콘(30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공간 리모콘(30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공간 리모콘(301)의 동작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는 포인터(302)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공간 리모콘(301)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소정 명령이 입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공간 리모콘(301)의 앞뒤로 움직일 경우 디 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가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21은 공간 리모콘(301)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17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부(15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공간 리모콘(301)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공간 리모콘(301)은 무선 통신부(320), 사용자 입력부(330), 센서부(340), 출력부(350), 전원 공급부(360), 메모리(370) 및 제어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 리모콘(301)은 RF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31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32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공간 리모콘(301)은 IR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 (31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323)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공간 리모콘(301)은 공간 리모콘(301)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신호를 RF 모듈(321)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공간 리모콘(30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3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공간 리모콘(301)은 필요에 따라 IR 모듈(3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30)는 키패드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330)를 조작하여 공간 리모콘(301)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 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공간 리모콘(301)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3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공간 리모콘(301)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3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340)는 자이로 센서(341) 또는 가속도 센서(343)을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341)는 공간 리모콘(30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341)는 공간 리모콘(30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341)는 공간 리모콘(301)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350)는 사용자 입력부(330)에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3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3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출력부(350)는 사용자 입력부(3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32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3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353),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 모듈(3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3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60)는 공간 리모콘(301)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360)는 공간 리모콘(301)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360)는 공간 리모콘(301)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메모리(370)는 공간 리모콘(301)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공간 리모콘(301)이 RF 모듈(321)을 이용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공간 리모콘(301)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공간 리모콘(301)의 제어부(380)는 공간 리모콘(301)과 페어링(pairing)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3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380)는 공간 리모콘(301)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380)는 사용자 입력부(3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340)에서 센싱한 공간 리모콘(301)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32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310)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10)는 공간 리모콘(301)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320) 및 공간 리모콘(301)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 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315)를 구비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20)는 RF 모듈(321)을 통하여 공간 리모콘(301)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RF 모듈(323)을 통하여 공간 리모콘(301)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315)는 무선 통신부(320)를 통하여 수신된 공간 리모콘(301)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포인터(302)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입력된 공간 리모콘(301) 전송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60)로 전송된다. 제어부(160)는 공간 리모콘(301)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공간 리모콘(301)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2는 화면에 표시되는 채널 브라우저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화면(500) 상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신 가능한 복수의 방송 채널들 각각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채널 브라우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널 브라우저가 복수의 채널들 각각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들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복수의 채널들에서 방송되는 내용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채널 브라우저는 편집 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집 메뉴는 선택된 썸네일 영상을 편집 불가능하도록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잠금" 항목, 선택된 썸네일 영상을 편집하는 "편집" 항목, 썸네일 영상을 정렬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정렬" 항목, 표시되는 썸네일 영상외의 이전 썸네일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는 "이전"항목, 표시되는 썸네일 영상외의 다음 썸네일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는 "다음" 항목 및 "영상 채널 목록"에서 다른 메뉴 항목으로 이동할 수 있는 "나가기"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채널 브라우저에서 표시되는 썸네일 이미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해당 채널에서 현재 수신되는 컨텐츠의 영상 또는 미리 저장된 컨텐츠의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썸네일 이미지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에서 처리되어 출력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채널 브라우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표시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채널의 방송 신호 영상이 화면(50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 브라우저 내에서 표시되는 썸네일 이미지들은 채널 번호, 기설정된 선호 채널, 최근 시청 채널, 및 기설정된 삭제 채널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채널 브라우저 상에 커서 또는 포인터가 표시될 수 있으며, 공간 리모컨(301)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 수단에 의해 상기 커서 또는 포인터의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상,하,좌,우 등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커서 또는 포인터가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22에서는 상기 채널 브라우저가 화면(500)의 전체 영역에 걸쳐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특정 영상이 화면(50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채널 브라우저가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썸네일 이미지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기적으로 또는 랜덤하게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업데이트 동작은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채널 브라우저 상에, 방송 채널이 등록된 선호 그룹에 대한 정보가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와 대응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복수의 방송 채널들 중 적어도 일부에 해당 채널이 등록된 선호 그룹에 대한 이미지(701 내지 704)가 표시될 수 있다.
즉, 그룹 1에 등록된 "DTV 10-1" 채널에는 상기 그룹 1에 대응되는 "★" 이미지(701)가 표시되고, 그룹 2에 등록된 "CADTV 35-1" 채널에는 상기 그룹 2에 대응되는 "♠" 이미지(702)가 표시되며, 그룹 3에 등록된 "CADTV 32-1" 및 "TV 13" 채널 각각에는 상기 그룹 3에 대응되는 "♣" 이미지(703)가 표시되고, 그룹 4에 등록된 "CADTV 31-1" 채널에는 상기 그룹 4에 대응되는 "◆" 이미지(704)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그룹 1 내지 그룹 4는 각각 "드라마", "뉴스", "게임" 및 "스포츠" 그룹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드라마", "뉴스", "게임" 및 "스포츠" 그룹은 각각 "★" 이미지(701), "♠" 이미지(702), "♣" 이미지(703) 및 "◆" 이미지(701)로 표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DTV 10-1" 채널은 "드라마" 컨텐츠를 제공하고, "CADTV 35-1" 채널은 "뉴스" 컨텐츠를 제공하며, "CADTV 32-1" 및 "TV 13"는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고, "CADTV 31-1"는 "스포츠" 컨텐츠를 제공함으로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라마", "뉴스", "게임" 및 "스포츠" 그룹은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이미지, 예를 들어 노란색, 검은색, 빨간색 및 파란색 이미지에 대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선호 그룹 정보는 특정 방송 채널이 복수의 선호 그룹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DTV 39-1"의 채널 정보(600)에는 상기 채널이 복수의 선호 그룹들에 등록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별도의 이미지(710)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CADTV 39-1"의 채널 정보(600)에 표시된 이미지(710)를 선택하는 경우,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ADTV 39-1" 채널이 등록된 선호 그룹들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CADTV 39-1" 채널이 "드라마" 및 "스포츠" 그룹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채널 선호 그룹 정보 윈도우(800)에 상기 "CADTV 39-1" 채널이 등록된 "드라마" 그룹 및 "스포츠" 그룹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은 방송 채널의 선호 그룹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이미지(710)는 해당 채널이 등록된 선호 그룹 들 중 상기 채널에서 현재 방송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그룹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710)는 상기 채널에 현재 방송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선호 그룹을 문자, 숫자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710)에 표시된 색상에 의해 현재 방송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선호 그룹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DTV 39-1"의 채널 정보(600)에 포함된 이미지(710)는 "드라마" 그룹에 대응되는 이미지, 예를 들어 노란색의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표시된 이미지(710)를 통해 상기 "CADTV 39-1"의 채널이 복수의 선호 그룹들에 등록되어 있으며, "CADTV 39-1"의 채널에서 현재 방송되는 컨텐츠는 "드라마"인 것을 인지할 수 잇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710)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CADTV 39-1"의 채널이 등록된 선호 그룹들 각각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있 다.
도 26을 참조하면, "CADTV 39-1"의 채널 정보(600)에 포함된 이미지(710)는 "스포츠" 그룹에 대응되는 이미지, 예를 들어 파란색의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표시된 이미지(710)를 통해 상기 "CADTV 39-1"의 채널에서 현재 방송되는 컨텐츠는 "스포츠"인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도 27은 복수의 선호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이미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복수의 선호 그룹들을 나누기 위한 기준이 2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선호 그룹들은 해당 컨텐츠,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 채널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장르에 따라 "드라마", "뉴스", "게임" 및 "스포츠" 그룹으로 나눠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 "드라마", "뉴스", "게임" 및 "스포츠" 그룹은 각각 "★" 이미지, "♠" 이미지, "♣" 이미지 및 "◆" 이미지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선호 그룹들은 사용자에 따라 "사용자 1", "사용자 2", "사용자 3" 및 "사용자 4" 그룹으로 나눠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 사용자 그룹들은 각각 서로 다른 색상, 예를 들어 노란색, 검은색, 빨간색 및 파란색 이미지에 대응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화면(500) 상에 표시된 선호 그룹에 대한 이미지는 상기 두 선호 그룹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방송 채널이 "드라마" 그룹에 등록되어 있는 동시에 "사용자 2" 그룹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해 표시되는 선호 그룹 이미지는 검은색을 가지는 "★"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 이외에,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채널 브라우저에서 도 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들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한 선호 그룹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입력되는 다양한 컨텐츠들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텐츠가 복수의 선호 그룹들에 등록되어 있은 경우, 상기 복수의 선 호 그룹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특정 방송 채널 등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복수의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컨텐츠에 대한 선호 그룹을 등록하는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컨텐츠들에 대한 선호 그룹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컨텐츠에 대한 선호 그룹을 등록하는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컨텐츠들에 대한 선호 그룹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 및 도 15는 컨텐츠들에 대한 선호 그룹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은 복수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1은 공간 리모컨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채널 브라우저(channel browser) 상에서 방송 채널이 등록된 선호 그룹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복수의 선호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이미지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방송 채널의 선호 그룹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은 방송 채널의 선호 그룹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복수의 선호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이미지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20)

  1.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컨텐츠들 중 제1 컨텐츠가 하나의 선호 그룹에 등록된 경우, 복수의 선호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제1 컨텐츠가 등록된 선호 그룹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들 중 제2 컨텐츠가 2 이상의 선호 그룹들에 등록된 경우 상기 복수의 이미지와 상이한 제2 이미지를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컨텐츠가 등록된 2 이상의 선호 그룹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컨텐츠가 등록된 2 이상의 선호 그룹들 중 하나의 선호 그룹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들 중 상기 선택된 선호 그룹에 등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활성화 상태로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들 중 상기 선택된 선호 그룹에 등록되지 않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비활성화 상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선호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각각이 대응되는 선호 그룹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선호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각각이 대응되는 선호 그룹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선호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의 색상은,
    원격 제어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선호 그룹들 각각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의 색상과 대응되도록 설정되는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가 등록된 2 이상의 선호 그룹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표시된 상기 제2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2 컨텐츠가 등록된 2 이상의 선호 그룹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복수의 선호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며,
    상기 영역들의 색상은 상기 복수의 선호 그룹들에 각각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선호 그룹에 등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활성화 상태로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선호 그룹에 등록되지 않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비활성화 상태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들 중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선호 그룹에 등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활성화 상태로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들 중,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선호 그룹에 등록되지 않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비활성화 상태로 표시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제2 컨텐츠가 등록된 2 이상의 선호 그룹들 중 상기 제2 컨텐츠의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선호 그룹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제2 컨텐츠의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선호 그룹을 문자, 숫자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들 중 적어도 하나는 방송 채널의 영상을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선호 그룹들 각각은
    드라마, 스포츠, 뉴스, 영화, 동영상, 사진, 날씨, 경제, 게임, 실시간 방송 및 화상 전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15. 복수의 방송 채널들 각각에 대응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들 중 제1 방송 채널이 하나의 선호 그룹에 등록된 경우, 복수의 선호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제1 방송 채널이 등록된 선호 그룹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상기 제1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정보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들 중 제2 방송 채널이 2 이상의 선호 그룹들에 등록된 경우 상기 복수의 이미지와 상이한 제2 이미지를 상기 제2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정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방송 채널이 등록된 2 이상의 선호 그룹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방송 채널이 등록된 2 이상의 선호 그룹들 중 하나의 선호 그룹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들 중 상기 선택된 선호 그룹에 등록된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정보를 활성화 상태로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들 중 상기 선택된 선호 그룹에 등록되지 않은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정보를 비활성화 상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들 각각에 대응되는 정보는,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들 각각에 대응되는 썸네일(thumbnail) 이미지인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17. 삭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복수의 선호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제2 방송 채널이 등록된 2 이상의 선호 그룹들 중 상기 제2 방송 채널에서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선호 그룹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20. 제1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90110999A 2009-11-17 2009-11-17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KR101585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999A KR101585692B1 (ko) 2009-11-17 2009-11-17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CN2010800521210A CN102668589A (zh) 2009-11-17 2010-05-04 用于显示内容信息的方法
EP10831700.9A EP2502413A4 (en) 2009-11-17 2010-05-04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INFORMATION
PCT/KR2010/002835 WO2011062333A1 (en) 2009-11-17 2010-05-04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information
US12/785,838 US9591249B2 (en) 2009-11-17 2010-05-24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999A KR101585692B1 (ko) 2009-11-17 2009-11-17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380A KR20110054380A (ko) 2011-05-25
KR101585692B1 true KR101585692B1 (ko) 2016-01-14

Family

ID=44012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999A KR101585692B1 (ko) 2009-11-17 2009-11-17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91249B2 (ko)
EP (1) EP2502413A4 (ko)
KR (1) KR101585692B1 (ko)
CN (1) CN102668589A (ko)
WO (1) WO20110623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9746B2 (en) * 2009-11-27 2016-05-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CN102685583B (zh) * 2011-02-16 2014-12-17 Lg电子株式会社 执行虚拟频道浏览的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EP3634001A1 (en) 2011-05-26 2020-04-08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30227445A1 (en) * 2012-02-24 2013-08-29 Maria Christina Nathalie Freyhult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on of a computing device
US9537802B2 (en) * 2013-02-12 2017-01-03 Priceline.Com Llc Shareable favorites sets
US20140368737A1 (en) 2013-06-17 2014-12-18 Spotify Ab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media during navigation between media streams
US9654531B2 (en) 2013-08-01 2017-05-16 Spotify Ab System and method for transitioning between receiving different compressed media streams
US9529888B2 (en) 2013-09-23 2016-12-27 Spotify Ab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providing media and associated metadata
US9917869B2 (en) 2013-09-23 2018-03-13 Spotify Ab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segment of a file that includes target content
US9063640B2 (en) 2013-10-17 2015-06-23 Spotify Ab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media items in a plurality of sequences of media items
US20160357366A1 (en) * 2015-06-07 2016-12-08 Apple Inc. Navigating Through Documents in a Document Viewing Application
KR20170083795A (ko) * 2016-01-11 2017-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9610A1 (en) * 2000-02-01 2001-10-11 Corvin Johnny B.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romotions with recorded programs

Family Cites Families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7358A (en) * 1978-03-25 1979-10-03 Citizen Watch Co Ltd Digital world watch making combination use of world map display
US5802492A (en) * 1994-06-24 1998-09-01 Delorme Publishing Company, Inc. Computer aided routing and positioning system
US6321158B1 (en) * 1994-06-24 2001-11-20 Delorme Publishing Company Integrated routing/mapping information
US6359636B1 (en) * 1995-07-17 2002-03-19 Gateway,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trol of a home entertainment system
US5815145A (en) * 1995-08-21 1998-09-29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program guide for an interactive televideo system
US5793438A (en) * 1995-11-13 1998-08-11 Hyundai Electronics America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enhanced presentation
US6481011B1 (en) * 1998-06-16 2002-11-12 Prevue Networks, Inc. Program guide system with user designated color coding
GB9826695D0 (en) 1998-12-05 1999-01-2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Television receiver
US6456334B1 (en) * 1999-06-29 2002-09-24 Ati International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video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8397177B2 (en) 1999-07-22 2013-03-12 Tavusi Data Solutions Llc Graphic-information flow method and system for visually analyzing patterns and relationships
US6307573B1 (en) 1999-07-22 2001-10-23 Barbara L. Barros Graphic-information flow method and system for visually analyzing patterns and relationships
US8843850B2 (en) 1999-07-22 2014-09-23 Tavusi Data Solutions Llc Graphic-information flow for visually analyzing patterns and relationships
US6817027B1 (en) * 2000-03-31 2004-11-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lay interface comprising a channel matrix
US6703947B1 (en) * 2000-09-22 2004-03-09 Tierravision, Inc. Method for organizing and compressing spatial data
US6629104B1 (en) * 2000-11-22 2003-09-30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adding personalized metadata to a collection of digital images
US20060109145A1 (en) * 2001-07-13 2006-05-25 Taiwan Online Co., Ltd. Electronic map and method for rapidly finding a geographic location of a landmark in the electronic map
US20090015596A1 (en) * 2002-06-27 2009-01-15 Tele Atlas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viewing and editing digital maps using a plug-in data abstraction layer for different digital map formats
US20040257340A1 (en) * 2002-10-07 2004-12-23 Bjorn Jawerth Method and software for navigation of data on a device display
US7818116B1 (en) * 2002-12-30 2010-10-19 Mapquest, Inc. Presenting a travel route in a ground-based vehicle
US20040243307A1 (en) * 2003-06-02 2004-12-02 Pieter Geelen Personal GPS navigation device
EP1741064A4 (en) * 2004-03-23 2010-10-06 Google Inc DIGITAL CARTOGRAPHIC SYSTEM
US7373244B2 (en) * 2004-04-20 2008-05-13 Keith Kreft Information mapping approaches
US20050278386A1 (en) 2004-06-15 2005-12-15 Geographic Data Technology, Inc.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same
JP2005039845A (ja) 2004-08-10 2005-02-10 Nikon Corp 動画像ファイル編集装置
US8418246B2 (en) 2004-08-12 2013-04-0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Geographical threat response prioritization mapping system and methods of use
US8631493B2 (en) 2004-08-12 2014-01-1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Geographical intrusion mapping system using telecommunication billing and inventory systems
US20060080031A1 (en) 2004-09-07 2006-04-13 Cooper Clive W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downloads of map and geographic based data to portable computing devices
KR101030658B1 (ko) 2004-09-07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세계시간 표시방법
US20060058953A1 (en) 2004-09-07 2006-03-16 Cooper Clive W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downloads of map and geographic based data to portable computing devices
US20060058952A1 (en) 2004-09-07 2006-03-16 Cooper Clive W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downloads of map and geographic based data to portable computing devices
US7698064B2 (en) 2004-09-10 2010-04-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Gas supported inertial sensor system and method
KR100679024B1 (ko) 2004-12-13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 및편집하는 장치
US7596760B2 (en) * 2005-04-07 2009-09-29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tab within a tabbed browser
EP1917544A2 (en) 2005-08-23 2008-05-07 R.A. Smith & Associates, Inc. High accuracy survey-grade gis system
KR100687204B1 (ko) 2005-09-30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계시간의 시차보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8191098B2 (en) * 2005-12-22 2012-05-29 Verimatrix, Inc. Multi-source bridge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7552399B2 (en) 2005-12-27 2009-06-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tensible icons with multiple drop zones
US20070250863A1 (en) * 2006-04-06 2007-10-25 Ferguson Kenneth H Media content programm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WO2007146967A2 (en) * 2006-06-12 2007-12-21 Google Inc. Markup language for interactiv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KR101265609B1 (ko) 2006-07-18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US20080040678A1 (en) * 2006-08-14 2008-02-14 Richard Crump Interactive Area Guide Method, System and Apparatus
US20080040684A1 (en) * 2006-08-14 2008-02-14 Richard Crump Intelligent Pop-Up Window Method and Apparatus
KR100817315B1 (ko) * 2006-09-25 2008-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휴대 단말기 및그의 pip 화면 제어 방법
US8832742B2 (en) * 2006-10-06 2014-09-09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cquiring, categorizing and delivering media i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s
US20080104513A1 (en) * 2006-10-26 2008-05-01 Joker Media Aps System for retrieving information
JP2008131181A (ja) 2006-11-17 2008-06-05 Sharp Corp 受像表示装置および複数画面におけるチャンネル指定方法。
JP4725501B2 (ja) 2006-12-07 2011-07-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ファイル情報表示装置、ファイル情報表示プログラム
US7992097B2 (en) * 2006-12-22 2011-08-02 Apple Inc. Select drag and drop operations on video thumbnails across clip boundaries
US7751971B2 (en) * 2007-01-17 2010-07-06 Microsoft Corporation Location mapping for key-point based services
KR101351023B1 (ko) 2007-03-08 2014-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방송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100863046B1 (ko) 2007-03-09 2008-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채널정보 표시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방송수신용단말기
JP2008258894A (ja) 2007-04-04 2008-10-23 Seiko Epson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US20080295012A1 (en) * 2007-05-23 2008-11-27 Microsoft Corporation Drag-and-drop abstraction
CN100458794C (zh) * 2007-08-03 2009-02-04 苏州工业园区联科信息技术有限公司 在电子地图中加载广告的方法
US20090046110A1 (en) * 2007-08-16 2009-02-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a displayed image
KR20090050577A (ko) 2007-11-16 200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 및 재생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및 그 장치와 제어방법
US20090158185A1 (en) 2007-12-17 2009-06-18 Socialexplorer, Inc. Adaptive map layer visibility control
KR101414631B1 (ko) 2008-01-31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CA2707246C (en) * 2009-07-07 2015-12-29 Certusview Technologies, Llc Automatic assessment of a productivity and/or a competence of a locate technician with respect to a locate and marking operation
KR20090096831A (ko) 2008-03-10 2009-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90234573A1 (en) * 2008-03-17 2009-09-17 Emory University Office Of Technology Transfer Travel Partner Matching Using Selectable Map Interface
CN102016501A (zh) * 2008-04-30 2011-04-13 歌乐株式会社 地图显示装置
US8490124B2 (en) * 2008-05-29 2013-07-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erformance and user experience of a mobile broadcast receiver
KR101568351B1 (ko) * 2008-08-08 2015-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US9336695B2 (en) * 2008-10-13 2016-05-10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regional maps
US8875183B2 (en) * 2008-10-31 2014-10-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lligent TV mosaic for IPTV
US20100162314A1 (en) * 2008-12-23 2010-06-24 Meare David P Enhanced electronic program guides, systems and methods
US8291451B2 (en) * 2008-12-24 2012-10-1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roviding dynamic information regarding a video program
US20100201879A1 (en) * 2009-02-12 2010-08-12 Echostar Technologies L.L.C. Customizable Picture-in-Picture
WO2010114619A1 (en) 2009-04-03 2010-10-07 Certusview Technologies, Llc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acquiring and analyzing vehicle data and generating an electronic representation of vehicle oper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9610A1 (en) * 2000-02-01 2001-10-11 Corvin Johnny B.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romotions with recorded progra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91249B2 (en) 2017-03-07
US20110119712A1 (en) 2011-05-19
EP2502413A4 (en) 2014-08-13
EP2502413A1 (en) 2012-09-26
CN102668589A (zh) 2012-09-12
WO2011062333A1 (en) 2011-05-26
KR20110054380A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692B1 (ko)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US9008190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and method thereof
KR10157069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14781B1 (ko) 컨텐츠 재생 방법
KR10157139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63287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2412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86293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65935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60864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90355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7009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58507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63556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9034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62297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85693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채널브라우저 제공 방법
KR10173139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8883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8568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채널 브라우저 제공 방법
KR101645247B1 (ko) 방송 채널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35563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66967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67688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701833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