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557B1 - Apparatus for monitoring rela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onitoring re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557B1
KR101578557B1 KR1020090020483A KR20090020483A KR101578557B1 KR 101578557 B1 KR101578557 B1 KR 101578557B1 KR 1020090020483 A KR1020090020483 A KR 1020090020483A KR 20090020483 A KR20090020483 A KR 20090020483A KR 101578557 B1 KR101578557 B1 KR 101578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unit
hmi
main body
relay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4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02005A (en
Inventor
김중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0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557B1/en
Publication of KR20100102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0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5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계전기 감시 장치는 계전 동작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계전기 본체, 상기 계전기 본체 모두가 연결되는 중계부, 상기 중계부에 연결되며, 상기 계전기 본체 중 선택된 계전기 본체의 계전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계전기 본체와 별도로 형성되는 HMI를 포함한다.The relay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relay main body that performs relay operation, a relay unit to which all of the relay main bodies are connected, a display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relay unit and displays a relay operation state of the relay main body selected from the relay main body, And an HMI formed separately from the relay main body.

계전기, HMI, 디스플레이, 중계부, 통신 Relay, HMI, Display, Relay, Communication

Description

계전기 감시 장치{Apparatus for monitoring relay}Apparatus for monitoring < RTI ID = 0.0 > relay &

본 발명은 계전기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보호 계전기의 동작, 상태를 감시 및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monito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monitor and control the operation and state of a protection relay.

보호계전기(保護繼電器, protective relay)는 전기회로에 단락이나 맴돌이전류 등의 이상 상태가 일어났을 때, 그 부분을 회로에서 절단시키는 명령기능을 갖춘 장치이다.A protective relay is a device that has a command function to disconnect a circuit when an abnormal condition such as a short circuit or an eddy current occurs in an electric circuit.

간단한 예로 맴돌이전류가 흐르면, 맴돌이전류의 정도에 따라 몇 초, 내지는 몇십 초 내에 회로의 차단기를 열기 위한 명령을 내는 맴돌이전류 계전기가 있다. 이것은 계전기 안에 회전원판을 갖추고, 정상전류 이하에서는 원판이 정지하고 있으나, 맴돌이전류가 흐르면 원판이 회전하기 시작하여, 원판축에 설치한 접점이 닫혀져 명령을 내리는 것으로, 이런 형식을 유도형(誘導型) 맴돌이전류 계전기라고 한다.  A simple example is an eddy current relay that, when eddy current flows, commands to open a circuit breaker within a few seconds to several tens of seconds depending on the degree of eddy current. This means that the disc is equipped with a rotating disc in the relay, but when the eddy current flows, the disc begins to rotate, and the contact set on the disc axis is closed, ) Eddy current relay.

보호계전기의 종류는 대단히 많은데, 회로전압(回路電壓)이 저하했을 때 작용하는 부족전압 계전기, 위험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계전기, 전력을 보내야 할 회로 가 보낼 수 있는 상태가 되었을 때 작용하는 전력계전기, 송전선의 고장위치를 감지하는 거리계전기, 변압기의 1차·2차의 전류비(電流比)에 이상이 있을 때 작용하는 차동계전기(差動繼電器), 송배전선의 접지사고를 알리는 접지계전기 등이 있다. There are many types of protective relays, such as undervoltage relays that operate when the circuit voltage drops, a thermometer that detects dangerous temperatures, a power relay that operates when the circuit to which power is to be sent is ready, A differential relay that operates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current ratio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of the transformer, and a ground relay that notifies the ground fault of the transmission / distribution line, etc. .

보호 계전기의 일예인 모터 보호 계전기는 모터의 시동 및 운전 중에 발생되는 과전류, 결상, 상 불평형 및 역상을 설정된 동작시간에 의해 정확하게 검출하여 모터를 신뢰성있게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기기이다. The motor protection relay, which is an example of a protective relay, is a device that functions to reliably protect the motor by accurately detecting the overcurrent, phase, phase unbalance and reverse phase generated during starting and operation of the motor by the set operation time.

모터 보호 계전기는 모터의 전류를 변류기를 통하여 변환하여 출력하고, 이렇게 변환된 출력값에 이상이 있는 경우 릴레이를 구동하여 폐로 접점을 개로함으로써, 상기 폐로 접점을 통하여 상기 모터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모터의 소손 방지 및 보호를 수행하게 된다.The motor protection relay converts the current of the motor through a current transformer and outputs the converted output. When the converted output value is abnormal, the relay is driven to open the closing contact to disconnect the electric power supplied to the motor through the closing contact, Thereby preventing burn-out and protection.

최근에는 여러 산업분야의 공장 자동화 시스템 구축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모터 구동으로 라인 제어가 전자화되고, 이로 인하여 모터 보호에 대한 기기들도 중요성을 더해가며 제품의 다양화 및 고기능화 그리고 대량생산 체제가 전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factory automation systems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As a result, line control is becoming electronic by motor drive. Therefore, devices for motor protection are becoming more important, diversification of products, high function and mass production system are developed have.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계전기에 대한 감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계전기 감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providing a relay monitoring device that can easily perform monitoring for one or more relay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s disclosed. Other objects,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계전기 감시 장치는 계전 동작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계전기 본체; 상기 계전기 본체 모두가 연결되는 중계부; 상기 중계부에 연결되며, 상기 계전기 본체의 계전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상기 계전기 본체의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계전기 본체와 별도로 형성되는 HMI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lay monitoring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relay main body for performing a relay operation; A relay unit to which all of the relays are connected; And an HMI connected to the relay unit for displaying a relay operation state of the relay main body, performing control of the relay main body, and formed separately from the relay main body.

이 때, 상기 중계부와 상기 HMI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계전기 본체는 상기 중계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계전기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부는 상기 계전기 본체와 통신을 수행하는 중계부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lay unit and the HMI may be integrated. In this case, the relay main body includes a relay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relay unit. The relay unit includes a relay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한편, 상기 계전기 본체는 상기 중계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계전기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HMI는 상기 중계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HMI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 기 중계부는 상기 계전기 본체 및 상기 HMI와 통신을 수행하는 중계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elay main body includes a relay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relay unit. The HMI includes an HMI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relay unit. The relay unit communicates with the relay main unit and the HMI And a relay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the relay communication.

상기 HMI부는 외부 기기와 연결이 가능한 외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HMI unit may include an external interface connectable to an external devic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전기 감시 장치는 단일 HMI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계전기를 감시할 수 있어, 설비가 간편하고 계전기에 대한 감시가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the relay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nitor one or more relays through a single HMI, and is simple in facility and easy to monitor the relay.

본 발명의 기술을 설명하는데 있어, 큰 전류에서 그것에 비례하는 작은 전류를 얻는 장치인 변류기(變流器, current transformer) 및 다른 명칭인 전류 변환기를 변류기로 통일하겠다.In describing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rrent transformer, which is a device for obtaining a small current proportional to a large current, and another current transformer, will be unified into a current transformer.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보호 계전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tective rela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보호 계전기의 일예로써, 모터 보호 계전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tor protection relay as an example of a protective rela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모터 보호 계전기의 일부 구성은 변류기 등이 구비된 계측부의 외형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전면상부에는 조작전원 인가부(112) 및 다수개의 출력 접점(111) 등이 구비된다.A part of the motor protection relay shown in the figure corresponds to the outer shape of a measuring unit provided with a current transformer and the like, and an operation power applying unit 112 and a plurality of output contacts 111 are provided at an upper part of the front fac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계측부는 관통형 계전기(모터와 릴레이 측으로 연결되는 주회로 배선이 배선 관통공(115)을 관통하여 배선)로 적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측부(110)를 독립적으로 설치하거나 혹은 상기 계측부(110)에 단자식 연결수단(본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고정된 단자를 통하여 모터의 배선과 릴레이의 배선을 연결) 또는 직결식 연결수단(모터의 배선을 고정된 단자에 연결하고, 계전기에 형성된 연결핀을 통하여 릴레이에 직접 연결) 등을 계전기의 설치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관통형, 단자형, 직결형 계전기로서 모두 적용할 수 있다.The measuring unit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can be installed by applying a through relay (a main circuit wiring connected to the motor and the relay side through wiring through-hole 115). Alternatively, the measuring unit 110 may be provided independently or may be connected to the measuring unit 110 by single-unit connecting means (connecting the wirings of the motor and the relay through the terminals fix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respectively) It can be applied as a through type, terminal type, or direct type relay by selectively coupling the means (connecting the motor wiring to the fixed terminal and directly connecting to the relay through the connecting pin formed in the rela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relay .

상기 계측부에 계전 동작을 수행하는 계전부를 구비할 수도 있으나, 계전부는 여러 사항을 고려하여 별도로 구성되기도 한다.The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step-up unit for performing the relay operation, but the step-up unit may be separately configur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matters.

따라서, 보호 계전기는 도 1에 도시된 모터 보호 계전기의 계측부와 같은 계측부, 계전 동작을 수행하는 계전부, 각종 회로를 포함하고 있으며,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 수단 또한 갖추고 있다. 따라서, 보호 계전기의 외형은 도 2에서와 같이 커다란 철제 케이스와 같이 형태를 갖추기도 한다.Accordingly, the protective relay includes a measuring unit such as the measuring unit of the motor protection relay shown in FIG. 1, a relay unit performing the relaying operation, various circuits, and a heat dissipating unit for dissipating heat generated in the relay unit. Therefore, the outer shape of the protective relay may be shaped like a large iron case as shown in FIG.

보호 계전기가 도 2에서와 같이 하나의 케이스(120) 내에 각 요소가 구비되는 형태를 취하거나, 각각이 구별되어 있는 형태를 취하는 경우 모두 사용자에게 보호 계전기의 상태를 표시할 필요가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계전 동작의 제어를 받 을 필요가 있다.2, it is necessary for the protection relay to display the state of the protection relay to the user in the case where each element is provided in one case 120 or each of them takes a different form,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relay operation.

따라서, 사용자에게 보호 계전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및 사용자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입력 수단이 구비된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is provided with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protection relay, and an HMI (Human Machine Interface) equipped with an input means for controlling by the user.

상기 HMI는 사람과 기계의 상호 접속이라는 뜻으로 기계와 사용자간의 접근을 좀 더 쉽게 도와줄 수 있는 도구를 의미하며, 보호 계전기에 사용되는 HMI는 도 3의 형태와 같다.The HMI means a human-machine interconnection means a tool that can more easily facilitate access between the machine and the user, and the HMI used in the protection relay is as shown in FIG.

HMI(150)에는 보호 계전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51), 보호 계전기의 계전 동작을 제어하는 입력부(15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HMI는 앞에서 살펴본 보호 계전기의 각 요소가 구비된 케이스(120)와 일체로 형성된다. 보호 계전기는 단독으로 설치되기보다는 배전반 등에 다른 부재와 함께 설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배전반 내의 공간 확보, 유지 보수시 다른 부재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별도의 캐비넷(130)에 수납되기도 한다. 배전반 내에 상기 캐비넷이 설비될 일정 공간을 확보하고, 유지 보수시에 보호 계전기를 용이하게 배전반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MI 150 is provided with a display 151 for displaying the status of the protection relay and an input unit 153 for controlling the relay operation of the protection relay. The HMI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120 provided with the elements of the protective relay described above. Since the protective relay is generally installed together with other members such as the switchboard rather than being installed alone, it may be stored in a separate cabinet 130 in order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with other members during th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of the switchboard. It is preferable that a certain space for installing the cabinet in the switchboard is secured and the protective relay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witchboard at the time of maintenance.

이상에서는 보호 계전기를 HMI와 별개로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HMI가 구비된 보호 계전기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이상의 보호 계전기를 계전기 본체로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계전기 본체와 HMI를 포함하는 구성을 보호 계전기라 칭하기로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otective relay is described separately from the HMI.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rotection relay with the HMI is referred to as the relay main bod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relay main body and the HMI will be referred to as a protection relay.

보호 계전기의 내부 구성을 도 4의 블럭도를 통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보 호 계전기는 계측부(211), 계전부(213), 공용 메모리(215), HMI 제어부(217), 디스플레이(218) 및 입력부(219)를 포함하고 있다.4, the protection relay includes a measurement unit 211, a relay unit 213, a shared memory 215, an HMI control unit 217, a display 218, and an input unit 218. [ (219).

계측부(211)는 변류기 등의 계측 소자를 이용하여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는 요소이다.The measuring unit 211 is an element for measuring a voltage or a current using a measuring device such as a current transformer.

계전부(213)는 상기 계측부에서 측정된 전압 또는 전류의 값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보호 계전기가 보호 대상으로 하는 기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전 동작을 수행하는 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계전부(213)에는 상기 계측부에서 측정된 값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계전 판단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계전 판단부의 정상적인 동작을 위해서는 상기 계측부에서 측정된 값을 비교할 수 있는 기존 데이터 및 처리 루틴 등이 요구되므로 메모리가 요구되는데, 앞에서 언급한 공용 메모리(215)가 이러한 용도로 사용된다.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voltage or current valu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213, the relay unit 213 performs a relay operation to prevent breakage of the protection target device. To this end, the relay unit 213 should include a relay determination unit (not shown) that can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measured value from the measurement unit. For the normal operation of the relay determination unit, a memory is required because existing data and a processing routine for comparing the measured value with the measurement unit are required. The shared memory 215 mentioned above is used for this purpose.

HMI 제어부(217)는 HMI의 동작을 제어하는 요소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담당하며, 입력부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를 분석하여 상기 계전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HMI 제어부 역시 처리 루틴 등이 요구되므로, 상기 처리 루틴이 수납될 메모리가 필요하며, 이러한 용도로 앞에서 언급한 공용 메모리가 사용된다.The HMI control unit 217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MI. The HMI control unit 217 is responsible for the display control and analyzes the control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and transmits the analyzed control to the control unit. Since the HMI controller also requires processing routines and the like, a memory for storing the processing routine is required, and the above-mentioned shared memory is used for this purpose.

디스플레이(218)는 상기 계전부의 계전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거나, 계측부의 계측값을 표시하는 요소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8-세그멘트,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ED(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218 displays an operation state of the relay unit to the user or displays a measurement value of the measurement unit. The display unit 218 may be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or an 8-segment,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Emitting Diodes).

입력부(219)는 상기 계전부의 제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상태의 조정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요소로, 푸쉬(push) 스위치,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put unit 219 receives the control of the calculator from the user or receives the adjustment of the display state of the display from the user. The input unit 219 may include a push switch, a touch screen, or the like.

이상의 구성을 통하여 계전기 본체의 계전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계전기 본체에 대한 제어를 직접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relay operation state of the relay main body can be accurately recognized by the user, and control over the relay main body can be performed directly.

다만, 계전기 본체와 HMI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유지 보수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HMI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확인하거나, 입력부를 통한 제어가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체로 배전함의 외면이 이 위치에 해당한다. 그러나, 여닫이 덮개를 구비하는 배전함을 고려하면 배전함 외부로 HMI가 드러나도록 설비하는 것이 어려우며, 배전함 내에 설비한다 하더라도, 배전함의 여닫이 덮개를 개방했을 경우 사용자 측으로 HMI가 위치하도록 설비가 되어야 한다. 즉, 계전기 본체와 HMI가 일체로 형성된 보호 계전기의 경우 설비 및 유지 보수에 제한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계전부 및 HMI 제어부에서 필요한 메모리를 서로 사용이 가능한 공용 메모리로 형성함으로써, 메모리 충돌로 인한 에러가 발생할 수도 있다.However, since the relay main body and the HMI are integrally formed, maintenance difficulty is expected. Preferably, the HMI is located at a location where the user can verify the display or control via the inpu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abinet generally corresponds to this loc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ovide the HMI to be exposed outside the cabinet considering the cabinet with the hinged cover. Even if it is installed in the cabin, if the cabinet door of the cabin is opened, the HMI should be installed on the user side. That is, in the case of a protection relay in which the relay main body and the HMI are integrally formed, there may be restrictions on facilities and maintenance. In addition, an error due to a memory collision may be caused by forming a necessary memory in the summing unit and the HMI control unit into a mutually usable shared memory.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보호 계전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rotective rela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보호 계전기는 계전 동작을 수행하는 계전기 본체(320), 상기 계전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HMI(350)를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protection relay includes a relay main body 320 performing a relay operation, and an HMI 350 detachable from the relay main body.

HMI는 상기 계전기 본체의 계전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계전기 본체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계전기 본체와 서로 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수단이 구비되 어 있어야 한다. 물론, 상기 계전기 본체에도 HMI와 신호 전송이 가능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The HMI must be equipped with means capable of transmitting signals to and from the relay main body to control the relay operation of the relay main body and display the status of the relay main body. Of course, the relay unit must also be equipped with means capable of signal transmission with the HMI.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블럭도에서와 같이 상기 계전기 본체는 상태 표시 신호를 상기 HMI로 전송하고, 상기 HMI로부터 계전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받는 계전기 통신부(414)를 포함하고, 상기 HMI는 계전 동작 제어 신호를 상기 계전기 본체로 전송하고, 상기 계전기 본체로부터 상태 표시 신호를 전송받는 HMI 통신(415)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외의 구성 요소는 앞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언급은 생략하도록 한다.6, the relay main body includes a relay communication unit 414 that transmits a status display signal to the HMI and receives a relay operation control signal from the HMI, and the HMI is a relay An HMI communication unit 415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relay main body and receiving a status display signal from the relay main body. The other components have been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 계전기 본체는 계전기 통신부 외에도 계측부(411), 계전부(413)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계전부에서 필요로 하는 메모리는 계전기 본체에서만 사용되는 메모리로 구성된다.In addition to the relay communication unit, the relay main body includes a measurement unit 411, a relay unit 413, and the like. The memory required by the relay unit is composed of a memory used only in the relay main body.

상기 HMI는 HMI 통신부 외에 HMI 제어부(417), 디스플레이(418), 입력부(419)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HMI 제어부에서 필요로 하는 메모리는 HMI 자체에서만 사용되는 메모리로 구성된다.The HMI includes an HMI control unit 417, a display 418, an input unit 419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HMI communication unit. The memory required by the HMI control unit includes a memory used only by the HMI itself.

상기 계전기 통신부와 HMI 통신부와의 통신은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더넷(Ethernet),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 방식 등의 적용이 가능하다.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relay communication unit and the HMI communic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For example, it can be applied to Ethernet, Bluetooth, and infrared communication.

도 5에서 상기 HMI가 상기 계전기 본체에 장착될 때는 서로 맞물리는 커넥터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용이한 장착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HMI 통신부와 계전기 통신부의 통신 방식이 무선인 경우에는 별도의 커넥터가 필요하지 않다. 물론 HMI가 신뢰성있게 계전기 본체에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기구적인 장착 및 지지 수단, 필요에 따라 장착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5, when the HMI is mounted on the relay main body, it is preferable to perform easy mounting by providing connectors tha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HMI communication unit and the relay communication unit is wireless, I do not. As a matter of course, mechanical attachment and support means for mounting the HMI reliably in the relay main body, and guide means for guiding the mounting if necessary can be formed.

상기 HMI가 상기 계전기 본체에서 분리되어 배전함 등에 설비되며, 유선 통신 방식으로 신호 전송을 수행할 경우,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계전기와 HMI 간의 신호 배선(370) 또한 별도의 커넥터(371)를 구비하여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HMI를 계전기 본체에서 분리하여 설비할시에 HMI를 지지할 기구에 장착한 후에 신호 배선을 연결하는 것이 설비 작업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커넥터 구조를 취함으로써, 상기 계전기 본체를 HMI가 아닌 제어용 컴퓨터 등에 직접 연결하는 것 또한 가능하게 된다. 도 7에서는 제어용 컴퓨터와의 연결을 HMI가 수행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HMI는 계전기 본체 및 제어용 컴퓨터(390)와의 통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HMI 통신부를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 HMI와 제어용 컴퓨터간의 통신 또한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도 7에서는 유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적외선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바람직할 것이다.When the HMI is separated from the relay main body and installed in a power distribution box and the signal transmission is performed by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the signal wiring 370 between the relay and the HMI is also provided with a separate connector 371 as shown in FIG. It is desirable to make the connection possible. This is because it is advantageous for the equipment work to connect the signal wiring after mounting the HMI in the mechanism to support the HMI when the HMI is separated from the relay body. Further, by taking the connector structure,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connect the relay main body to a control computer, not to the HMI. 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HMI performs connection with the control computer. In this case, the HMI must form an HMI communication unit so as to simultaneously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relay main body and the control computer 390. [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HMI and the control computer is also capable of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lthough the wired communication method is used in Fig. 7, it is preferable for the user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infrared rays.

상기 HMI와 계전기 본체와의 통신을 고정 연결된 신호 배선을 통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장착시 신호 배선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HMI 또는 계전기 본체에 신호 배선 수납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와 같이 커넥터를 사용한 신호 배선의 경우에도 추후 신호 배선의 사용을 고려하여 신호 배선 수납부를 형성하여 신호 배선을 보관토록 하는 것이 유지 보수에 유리할 것이다.Communication between the HMI and the relay main body may be performed through fixedly connected signal wires. In such a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gnal wiring housing portion is formed in the HMI or the relay main body so that the signal wiring is not projected to the outside when mounted. In the case of the signal wiring using the connector 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advantageous to maintain the signal wiring by forming the signal wiring housing part considering the use of the signal wiring later.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HMI를 계전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식으로 형성함으로써, 계전기 본체의 설비 및 HMI의 설비가 보다 자유롭게 되며, HMI의 설비를 사용자에게 드러난 위치에 설비가 가능하다. 따라서, HMI의 본 기능을 사용자게 용이하게 누릴 수 있게 되며, 착탈식 구성에 의하여 메모리 또한 HMI, 계전기 본체 각각에 형성함으로써 메모리 충돌로 인한 오류의 방지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MI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relay main body, the facilities of the relay main body and the HMI are more freed up, and the HMI can be installed in a position exposed to the user. Therefore, this function of the HMI can be easily enjoyed by the user, and the memory can be formed in each of the HMI and the relay main body by the removable structure, thereby preventing errors due to the memory collis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전기 감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elay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에서 살펴본 보호 계전기는 계전기 본체와 HMI가 1:1 대응되는 착탈식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계전기 본체가 적용된 계전기 감시 장치에서 HMI 또한 계전기 본체의 수만큼 구비되어야 한다. 복수의 HMI가 설비된 경우, 복수의 HMI에 대한 감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없으며, 현재 감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보호 계전기의 HMI는 불필요한 자원 상태가 된다. 즉, 사용자가 일시점에서 감시 및 관리할 수 있는 HMI의 수가 한정되어 있는 바, 현재 감시 및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HMI는 불필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이러한 불필요한 요소에 해당하는 HMI는 설비 비용의 증가 및 유지 보수 비용의 증가를 발생시키며, 계전기 감시시 여러 위치에 배치된 HMI 확인에 애로사항이 발생하고 있다.The protection relays shown above are of a detachable structure with a 1: 1 correspondence between the relay main unit and the HMI. Therefore, in the relay monitoring apparatus to which a plurality of relay main bodies are applied, the number of HMIs must also be provided for the number of relay main bodies. If multiple HMIs are installed, it is not possible to simultaneously monitor multiple HMIs, and the HMI of the protection relay that is not currently being monitored becomes an unnecessary resource state. That is, since the number of HMIs that can be monitored and managed by a user at a certain point in time is limited, an HMI that is not currently monitored and managed becomes an unnecessary element. These unnecessary HMIs cause an increase in equipment costs and an increase in maintenance costs, and there are difficulties in identifying HMIs located in various locations during relay monitoring.

도 8을 살펴보면, 계전 동작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계전기 본체(620), 상기 계전기 본체 모두가 연결되는 중계부(670), 상기 중계부에 연결되며, 상기 계전기 본체 중 선택된 계전기 본체의 계전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계전기 본체와 별도로 형성되는 HMI(650)를 포함하는 계전기 감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8, it is assumed that one or more relay main bodies 620 for performing relay operations, a relay unit 670 to which all of the relay main bodies are connected, and a relay operation unit connected to the relay unit, And a HMI 650 formed separately from the relay main body.

상기 계전기 본체(620)는 계측부, 계전 동작을 수행하는 계전부, 제어부 등 각종 회로를 포함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 수단 또한 갖추고 있다.The relay main body 620 includes various circuits such as a measuring unit, a relay for performing the relaying operation, a control unit,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s a heat dissipating unit for dissipating heat generated by itself.

상기 중계부(670)는 상기 계전기 본체가 연결되는 요소로, 상기 계전기 본체 모두가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중계부는 상기 계전기 본체에서 처리하는 모든 신호를 모두 전송받거나 전송하게 된다.The relay unit 670 is an element to which the relay main body is connected, and all of the relay main bodies are connected. Therefore, the relay unit receives or transmits all the signals processed by the relay main body.

상기 HMI는 상기 계전기 본체와 별도로 설비되고, 한 개체만 설비되며, 상기 중계부에 연결되어 선택된 계전기 본체와 관련된 신호를 처리 및 통신하게 된다.The HMI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relay main body, and is provided with only one individual entity, and is connected to the relay section to process and communicate signals related to the selected relay main body.

상기 중계부는 상기 HMI에 의하여 계전기 본체와의 통신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HMI가 일시점에서 어느 하나의 계전기 본체를 선택하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HMI가 관심을 갖는 계전기 본체 외의 계전기 본체와의 통신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상기 HMI의 제어를 받아 상기 중계부에서 신호를 전송하지 말것을 요구하는 전송 금지 신호를 생성하여 관심 대상 외의 계전기 본체로 전송함으로써 계전기 본체에서 중계부로의 신호 전송을 제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송 금지 신호는 HMI에서 생성되어 중계부를 거쳐 관심 대상 외의 계전기 본체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는 이와는 달리 계전기 본체에서 신호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HMI에서 관심을 갖는 계전기 본체에 대하여 통신을 수행할 것으로 요구하는 전송 요청 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계전기 본체에서 신호 전송을 수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전송 요청 신호는 HMI의 제어를 받아 중계부에서 생성되어 전송되거나, HMI에서 직접 생성되어 중계부를 거쳐 전송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처리할 경우, 일시점에서 HMI는 선택된 하나의 계전기 본체만의 HMI로서 기능하게 되며, 중계부는 복수의 계전기 본체 중 선택된 계전기 본체로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중계부에 의하여 통신 경로가 설정되면, HMI에서 선택된 계전기 본체로의 제어 신호의 전송 또한 가능해진다. 다만, 소정 계전기 본체에서 문제 발생시 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통신 경로가 설정되지 않은 계전기 본체라 하더라도 문제 발생시에는 문제 발생 사실을 사용자에 인지시킬 수 있도록 HMI로 계전기 상태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The relay unit may restrict communication with the relay main body by the HMI. For example, when the HMI wants to perform communication by selecting any relay main body at a point in time, it is necessary to restrict communication with a relay main body other than the relay main body in which the HMI is interested. A transmission prohibition signal requesting the relay unit not to transmit a signal is gen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HMI and is transmitted to a relay body other than the target of interest so that signal transmission from the relay body to the relay unit can be restricted. Of course, the transmission prohibition signal may be generated in the HMI and transmitted to the relay body other than the object of interest via the relay unit.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signal transmission in the relay main body selected by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requesting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relay main body of interest in the HMI based on not performing signal transmission in the relay main body have. Also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may be generated in the relay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HMI, or may be directly generated in the HMI and transmitted through the relay unit. In this case, the HMI functions as an HMI for only one relay main body at a certain point in time, and the relay unit sets a communication path to the selected relay main body among the plurality of relay main bodies. Therefore, when the communication path is set by the relay unit in this way,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from the HMI to the selected relay main body.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can be notified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relay main body. Therefore, even if the relay main body is not set to the communication path, the relay status can be transmitted to the HMI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 problem.

경우에 따라 선택된 계전기 본체가 복수개일 수도 있다. 보다 확장하면, 선택된 계전기 본체는 설비되어 있는 계전기 본체 모두가 될 수도 있다.In some cases, the selected relay main body may be plural. To further expand, the selected relay body may be all of the installed relay bodies.

이와 같은 경우, HMI는 선택된 계전기 본체 모두에 대하여 전달할 제어 신호와 각각의 계전기 본체에 전달할 제어 신호를 구분하여 전송할 필요가 있으며, 그에 따라 중계부에서의 통신 경로 설정 또한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계전기 본체, 중계부, HMI 간에는 소정 통신 수단이 적용되어야 한다. 상기 통신 수단은 유무선 통신 수단 모두 가능하며, 예로써, 지그비(Zigbee), 이더넷(ethernet) 등을 적용함으로써 랜(LAN)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HMI needs to separately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selected relay main body and the control signal to be transmitted to each relay main body, and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path in the relay unit must be properly set. For this purpose, certain communication means should be applied between the relay main unit, relay unit and HMI. The communication means may b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form a LAN by applying Zigbee, Ethernet or the like.

한편, HMI는 선택된 복수의 계전기 본체를 표시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를 구성하여야 한다. 일예로,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선택된 계전기 본체의 수만큼 분할할 수 있다. 그러나, HMI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감안하여 많은 수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선택된 복수의 계전기 본체를 동시에 표시 하는 대신, 화면을 가독이 용이한 일정 수로 분할한 뒤, 일정 시간 단위로 표시되는 계전기를 변경, 즉 순환식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할 화면 수는 HMI의 디스플레이 크기 등을 감안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화면 분할 없이 일정 주기별로 선택된 계전기 본체의 상태를 번갈아가며 표시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MI must configure the display so that a selected plurality of relay bodies can be displayed. For example, the screen of the display can be divided by the number of selected relay bodies. However, in view of the display size of the HMI, it may not be desirable to divide and display the display screen into a large number of screens. Therefore, instead of displaying the selected plurality of relay main bodies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o divide the screen into a predetermined number that is easy to read, and then change the relay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that is, display it in a circulating manner. The number of divided screens can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display size of the HMI, etc., and the state of the selected relay main body can be alternately displayed at regular intervals without splitting the screen.

복수의 계전기 본체 중 사용자가 원하는 계전기 본체의 선택은 HMI의 입력부 조작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각 계전기 본체에 일련 번호 등의 식별자를 부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계전기 본체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lection of the relay main body desir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relay main bodies can be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of the HMI. An identifier such as a serial number is added to each relay main bod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lect the relay main body desired by the user .

또한, 계전기 본체의 식별자를 메뉴화하여 HMI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동이 가능한 지시자로 하여금 상기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dentifier of the relay main body can be displayed as a menu on the display of the HMI, and an indicator capable of moving on the display can be configured to select the menu.

한편, 중계부는 연결되는 계전기 본체의 수만큼 통신 포트가 구비되어야 한다. 만약, 계전기 본체의 수가 일정 수 이하로 제한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계부를 HMI 내에 배치할 수도 있다. 즉, 중계부와 HMI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구성이 보다 간소화될 수 있으나, 계전기 본체의 수가 많은 경우 통신 포트 확장성에 있어서 불리한 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중계부의 독립 설비 여부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relay unit must have communication ports as many as the number of relays to be connected. If the number of relay units is limited to a certain number or less, the relay unit may be disposed in the HMI. That is, the relay unit and the HMI can be formed integrally. In such a case, the configuration may be simplified, but if the number of relays is large, disadvantages may arise in expanding the communication port.

계전기 본체, 중계부, HMI 간의 신호 전송을 위해서, 상기 계전기 본체는 중 계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계전기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중계부는 상기 계전기 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중계부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부 통신부는 HMI 통신부와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맞춰 상기 HMI 또한 상기 중계부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HMI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order to transmit signals between the relay main unit, the relay unit, and the HMI, the relay main unit may include a relay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relay unit, and the relay unit may include a relay unit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relay communication unit . The relay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HMI communication unit, and the HMI communication unit may communicate with the relay communication unit.

만약, HMI와 중계부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 중계부와 HMI 간에는 별도의 통신 수단을 요구하지 않는다. 물론, 내부적 배선 연결이 이루어져야 함은 당연하다.If the HMI and the relay unit are integrally formed, no separate communication means is required between the relay unit and the HMI. Of course, it is natural that an internal wiring connection should be made.

한편, 계전기 본체의 구체적인 제어, 처리 루틴의 갱신 등을 위하여 별도의 관리 컴퓨터와 연결될 필요성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need to be connected to a separate management computer for the specific control of the relay main body, the update of the processing routine, and the like.

이 경우, 보통 각 계전기 본체에 직접 상기 관리 컴퓨터를 연결하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각 계전기 본체에 직접 연결하여 각 계전기 본체를 관리하는 것은 번거로운 작업이 되므로, 앞에서 살펴본 HMI를 통하여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management computer is usually directly connected to each relay main body to perform the operation. It is troublesome to manage each relay main body by connecting directly to each relay main body, so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perform it easily through the HMI mentioned above.

이를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MI(650)에 외부 기기와 연결이 가능한 외부 인터페이스(651)를 형성하고,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각 계전기 본체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관리 컴퓨터(690)를 HMI에 형성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HMI와 중계부를 통하여 연결된 각 계전기 본체 모두를 관리할 수 있다.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an external interface 651, which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is formed in the HMI 650 as shown in FIG. 9, and each relay main body can be managed using the external interface. That is, by connecting the management computer 690 to the external interface formed on the HMI, all of the relays connected through the HMI and the relay unit can be managed.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는 유무선 통신 지원 방식 모두 가능하며, 예로써 적외선 무선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USB 등이 적용될 수 있다.The external interface may be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supporting method, for example, infrared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USB, or the lik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계전기 감시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계전기 본체를 하나의 HMI를 통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설비 비용의 감소가 가능하며, 사용자의 입장에서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lay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manage one or a plurality of relays through one HMI. 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facility cost and facilitate management from the user's perspective.

한편,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n addi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보호 계전기의 일예로써, 모터 보호 계전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tor protection relay as an example of a protection rela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는 보호 계전기의 계전기 본체를 감싸는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surrounding the relay main body of the protection relay. Fig.

도 3은 HMI 일체형 보호 계전기를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HMI integral type protective relay.

도 4는 HMI 일체형 보호 계전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HMI integral type protective relay.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보호 계전기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on rela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보호 계전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otection rela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보호 계전기의 신호 배선 연결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ignal wiring connection state of a protective rela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계전기 감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FIG. 8 is a schematic view of a relay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전기 감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FIG. 9 is a schematic view of a relay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620...계전기 본체 650...HMI620 ... Relay body 650 ... HMI

670...중계부670 ... relay unit

Claims (6)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변류기가 구비되어 적어도 측정 대상의 전류를 측정하는 계측부, 상기 계측부에서 측정된 전류의 이상 발생시 상기 측정 대상에 대하여 계전 동작을 수행하는 계전부가 구비된 복수의 계전기 본체;A plurality of relay main bodies provided with a current transformer and having at least a measuring section for measuring a current of a measurement object and a relay section for performing a relay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measurement object when an abnormality of a current measured by the measurement section occurs; 상기 계전기 본체 모두가 연결되는 중계부; 및 A relay unit to which all of the relays are connected; And 상기 중계부에 연결되며, 상기 계전기 본체 중 선택된 계전기 본체의 계전 동작 상태 표시하고, 전송 금지 신호 또는 전송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중계부를 제어하는 HMI를 포함하고, And an HMI connected to the relay unit for displaying a relay operation state of the selected relay main body of the relay main unit and generating a transmission prohibition signal or a transmission request signal to control the relay unit, 상기 중계부는 상기 HMI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계전기 본체와의 통신을 제어하고, The relay unit controls communication with the relay main body under the control of the HMI, 상기 중계부가 상기 전송 금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상기 복수의 계전기 본체로 전송하여 상기 계전기 본체 중 일부의 계전기 본체에서 상기 중계부로 신호 전송을 제한하는 계전기 감시 장치.Wherein the relay unit transmits the transmission prohibition signal to the plurality of relay bodies to limit signal transmission from the relay body of the relay body to the relay unit. 변류기가 구비되어 적어도 측정 대상의 전류를 측정하는 계측부, 상기 계측부에서 측정된 전류의 이상 발생시 상기 측정 대상에 대하여 계전 동작을 수행하는 계전부가 구비된 복수의 계전기 본체;A plurality of relay main bodies provided with a current transformer and having at least a measuring section for measuring a current of a measurement object and a relay section for performing a relay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measurement object when an abnormality of a current measured by the measurement section occurs; 상기 계전기 본체 모두가 연결되는 중계부; 및 A relay unit to which all of the relays are connected; And 상기 중계부에 연결되며, 상기 계전기 본체 중 선택된 계전기 본체의 계전 동작 상태 표시하고, 전송 금지 신호 또는 전송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중계부를 제어하는 HMI를 포함하고, And an HMI connected to the relay unit for displaying a relay operation state of the selected relay main body of the relay main unit and generating a transmission prohibition signal or a transmission request signal to control the relay unit, 상기 중계부는 상기 HMI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계전기 본체와의 통신을 제어하고, The relay unit controls communication with the relay main body under the control of the HMI, 상기 중계부가 상기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계전기 본체 중 선택된 계전기 본체에서만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계전기 감시 장치.And when the relay unit receives the transmission request signal, transmits a signal only to a selected relay main body among the plurality of relay main bodies.
KR1020090020483A 2009-03-10 2009-03-10 Apparatus for monitoring relay KR1015785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483A KR101578557B1 (en) 2009-03-10 2009-03-10 Apparatus for monitoring re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483A KR101578557B1 (en) 2009-03-10 2009-03-10 Apparatus for monitoring re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005A KR20100102005A (en) 2010-09-20
KR101578557B1 true KR101578557B1 (en) 2015-12-17

Family

ID=43007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483A KR101578557B1 (en) 2009-03-10 2009-03-10 Apparatus for monitoring re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55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9649B (en) * 2013-06-28 2016-06-22 江苏林洋能源股份有限公司 A kind of monitoring system controlling circuit switching access stat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7360A (en) 2003-09-03 2005-03-24 Hitachi Ltd Service life diagnostic device of digital protective relay, service life diagnostic system and service life diagnostic method
KR100491528B1 (en) 2004-03-17 2005-05-27 주식회사 세화이엘씨 A synthetic management system for distributing board having touch screen
KR200385681Y1 (en) 2005-03-21 2005-06-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utomatic Detection of Digital Relay for Power Monitor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7360A (en) 2003-09-03 2005-03-24 Hitachi Ltd Service life diagnostic device of digital protective relay, service life diagnostic system and service life diagnostic method
KR100491528B1 (en) 2004-03-17 2005-05-27 주식회사 세화이엘씨 A synthetic management system for distributing board having touch screen
KR200385681Y1 (en) 2005-03-21 2005-06-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utomatic Detection of Digital Relay for Power Monito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005A (en) 2010-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913B1 (en) Power system protective control system
US10969759B2 (en) Safety controller module
EP3149550B1 (en) Universal i/o signal interposer system
KR101194021B1 (en) Distributing board using many area temperature sensing
US20030093519A1 (en)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interface for tank or process monitor
KR102308420B1 (en)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for Switchboard(High-tension Panel, Low-tension Panel, Motor Control Center, Panel Board)
KR20200081088A (en) The implement method of smart solution for switchgear existing installed
CN101326472B (en) On-site electric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data connection between data interface and data memory of the locale electric apparatus
KR20140141939A (en) PLC System
KR20080098950A (en) Fire sensing system f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KR101147538B1 (en) Contactless deterioration diagnosis system
CN112051827A (en) Debugging system of axle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based on train network
US9890575B2 (en) Movable barrier operator with removable power supply module
KR101578557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relay
KR101240034B1 (en) Reray with display for user setting
JP2001157381A (en) Device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transformers
KR200178021Y1 (en) Digital motor control unit and remote motor control system
KR101245091B1 (en) Relay using external memory
KR101701733B1 (en) Apparatus For Test and Evaluation of Condition Monitoring and Diagnosis Device
KR101240124B1 (en) Protection relay
KR20180115450A (en) Protective relay equipment using the wireless terminal
KR101545148B1 (en) Apparatus For Test and Evaluation of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Test and Evaluation of the same
KR101549713B1 (en) Electric Power Connection Device and Electric Power Distribution Arrangment in Building
CN216649707U (en) Industrial firewall device with temperature and humidity display function
JP2012182720A (en) Line concentrator and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