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350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finger-language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finger-language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350B1
KR101575350B1 KR1020090023610A KR20090023610A KR101575350B1 KR 101575350 B1 KR101575350 B1 KR 101575350B1 KR 1020090023610 A KR1020090023610 A KR 1020090023610A KR 20090023610 A KR20090023610 A KR 20090023610A KR 101575350 B1 KR101575350 B1 KR 101575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language
character
voice
icon
conve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6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04899A (en
Inventor
곽용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3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350B1/en
Publication of KR20100104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8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3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91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where the subscribers are hearing-impaired persons, e.g. telephone devices for the dea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단어별로 매칭되는 수화 이미지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로부터 수화 아이콘을 입력받는 수화입력부, 상기 수화입력부 및 상기 입력받은 수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상기 입력받은 수화 아이콘을 할당된 문자로 변환하거나, 문자를 수화 이미지로 변환하는 수화/문자 변환부,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거나,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문자/음성 변환부 및 상기 수화/문자 변환부 및 문자/음성 변환부를 이용하여 변환된 문자 또는 음성을 무선망을 통해 발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atabase storing sign language images matched by words, a sign language input unit receiving a sign language icon from a user,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sign language input unit and the received sign language icons, A sign language / character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icons into assigned characters, a sign language / character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characters into sign language images, a character / voic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characters into voice,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character or voice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using the voice conversion unit.

수화(finger-language), 문자, 음성, 변환, 이동통신단말기 Finger-language, character, voice, convers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수화 통신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finger-language communication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hand-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수화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ign language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수화는 청각장애우들이 사용하는 의사소통 수단으로, 손 제스처(gestures)로 구성되며 언어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Sign language is a communication tool used by the hearing impaired. It consists of hand gestures and has a linguistic structure.

또한, 최근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많은 청각장애우들 역시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타인과 의사소통을 하게 되었다. 종래에는 청각장애우들이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타인과 통신할 때에는 문자 발신/수신 방법과 입력시킨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송출하고, 타인의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여 수신하는 방법 및 청각장애우의 수화 영상을 촬영하고 이 영상을 문자 또는 음성으로 변환하여 송출하고, 타인의 음성을 수화 영상으로 변환하여 수신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고 있다.Recently, as the spre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spreads, many hearing-impaired people also communicate with others by using su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onventionally, when a hearing-impaired user communicates with another pers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are a method of transmitting / receiving a character, a method of converting the inputted character into a voice, transmitting the voice of the other person by converting it into a character, A method in which the image is converted into a character or voice and transmitted, and the voice of another person is converted into a sign language image and received.

그러나, 상기 종래 방법은 청각장애우들이 글을 안다는 가정하에 이루어지는 것이며, 또한 청각장애우들이 수화 영상을 직접 촬영하여 송신해야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method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hearing-impaired ward knows the article, and there is also the inconvenience that the hearing impaired ward must directly capture and transmit the signing imag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청각장애우들이 수화를 직접 입력하여 통화 및 문자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수화 통화 방법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directly inputting sign languag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text message, and a method for sign language communicatio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단어별로 매칭되는 수화 이미지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로부터 수화 아이콘을 입력받는 수화입력부, 상기 수화입력부 및 상기 입력받은 수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상기 입력받은 수화 아이콘을 할당된 문자로 변환하거나, 문자를 수화 이미지로 변환하는 수화/문자 변환부,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거나,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문자/음성 변환부 및 상기 수화/문자 변환부 및 문자/음성 변환부를 이용하여 변환된 문자 또는 음성을 무선망을 통해 발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atabase storing sign language images matched by words, a sign language input unit receiving a sign language icon from a user,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sign language input unit and the received sign language icons, A sign language / character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icons into assigned characters, a sign language / character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characters into sign language images, a character / voic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characters into voice,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character or voice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using the voice conversion un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수화 통신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수화 아이콘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수화 아이콘을 매칭되는 문자 또는 음성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문자 또는 음성을 무선망을 통해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ign language communication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nd displaying a sign language icon from a user, converting the received sign language icon into a matching character or voice,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은 수화 이미지를 직접 입력할 수 있으므로, 글을 모르는 청각장애우들도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 및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input a sign language image, hearing-impaired people who do not know the text can also send and receive calls and text messages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수화 통신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ign language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데이터베이스(101), 수화입력부(103), 수화/문자 변환부(105), 문자/음성 변환부(107), 수화 애니메이션 변환부(111), 제어부(109), 송수신부(113), 표시부(115) 등을 포함한다.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101, a sign language input unit 103, a sign language / character conversion unit 105, a character / voice conversion unit 107, A conversion unit 111, a control unit 109,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13, a display unit 115, and the like.

데이터베이스(101)에는 단어별로 매칭되는 수화 이미지가 할당되어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다. 수화 이미지는 GIF 파일과 같이 움직임을 보여줄 수 있는 파일 형태를 취할 수 있다.Sign language images matching words are assigned to the database 101 and stored in a table format. Sign language images can take the form of a file that can show motion like a GIF file.

수화/문자 변환부(105)는 수화 이미지를 문자로 변환하거나, 문자(단어)를 수화 이미지로 변환하고, 문자/음성 변환부(107)는 TTS(text-to-speech) 기능을 이용하여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거나,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을 문자로 변 환한다. The sign language / character conversion unit 105 converts the sign language image into a character or converts a character (word) into a sign language image. The character / voice conversion unit 107 converts text To a voice, or converts a voice to a character us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이때, 음성을 수화 이미지로 변환할 때에는 먼저 문자/음성변환부(107)를 통해 음성이 문자로 변환된 후, 변환된 문자를 수화/문자 변환부(105)를 이용하여 수화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수화 이미지를 음성으로 변환할 때에는 먼저 수화 이미지를 수화/문자 변환부(105)를 이용하여 문자로 변환하고, 변환된 문자를 문자/음성 변환부(107)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변환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converting a voice to a sign language image, the voice is first converted into a character through the character / voice conversion unit 107, and then the converted character is converted into a sign language image using the sign language / character conversion unit 105 have. Likewise, when converting the sign language image into speech, the sign language image is first converted into characters using the sign language / character conversion unit 105, and the converted characters are converted into speech using the character / speech conversion unit 107 .

수화 애니메이션 변환부(111)는 문장에 포함된 단어들에 대해서 수화/문자 변환부(107)를 통하여 각각 변환된 수화의 내용을 수화 애니메이션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나는 너를 사랑해'라는 문장에 대해서 '나는', '너를', '사랑해' 라는 단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이어서 하나의 수화 시퀀스로 완성시킨다.The sign language animation conversion unit 111 converts the contents of the sign language conversion into the sign language animation through the sign language / character conversion unit 107 for the words included in the sentence. For example, the sentence "I love you" is followed b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words "I", "you" and "I love you" and completes the sign language sequence.

표시부(11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방으로부터 문자를 수신하였을 때, 수신된 문자를 변환한 수화 이미지 또는 상대방과 음성 통화시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변환한 수화 이미지를 수화 애니메이션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창(200)과, 수화입력부(105)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3, the display unit 115 displays a sign language image obtained by converting a received character or a sign language image obtained by converting a voice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during a voice call with the other party, using a sign language animation A display window 200, and a hydration input unit 105.

이때, 수화입력부(105)는 사용자가 문자 또는 음성을 송신할 때 입력하는 수화 아이콘을 포함하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문자 또는 음성을 송신하는 경우에만 도 3과 같이 표시부(115)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상대방으로부터 문자를 수신한 경우에는 수화입력부(105)는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표시부(115) 전체를 디스플레이창(200)으로 사용하여 수화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표시부(115)상의 일측에 별도의 메뉴키 예를 들어, 답장, 삭제 등의 메뉴 키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ign language input unit 105 is a part including a sign language icon to be inputted by the user when transmitting a text or a voice, an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5 as shown in FIG. 3 only when the user transmits a character or voice to the other party. . On the other hand, when a character is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the sign language input unit 105 can display the sign language animation using the entire display unit 115 as the display window 200 without displaying, A menu key, for example, a reply key, a delete key,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수화입력부(103)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는 각 수화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수화 아이콘 선택 필드(400)와, 각 수화 아이콘의 상태 메뉴 즉, 손모양(301), 손위치(303), 손운동(305)과 수화 아이콘 선택 필드 페이지를 이동할 수 있는 이동키(307) 등을 포함하는 수화 아이콘 상태 선택 필드(300)를 포함한다. The sign language input unit 103 includes a sign language icon selection field 400 including various sign language icons that can be selected by a user and a status menu of each sign language icon such as a hand shape 301, 305, a move-to button for moving the sign language icon selection field page 307, and the like.

이때, 수화 아이콘 상태 선택 필드(300)의 상태 메뉴 즉, 손모양(301), 손위치(303), 손운동(305)은 각각 손의 모양과 손이 위치하는 곳, 손의 움직임 등이 표현된 수화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손모양(301)이 선택되면, 손모양(301)에 해당하는 수화 아이콘들이 수화 아이콘 선택 필드(400)에 디스플레이되고, 이 중 하나가 선택되어 디스플레이창(200)에 입력된다. At this time, the state menu of the sign language icon state selection field 300, that is, the hand shape 301, the hand position 303, and the hand movement 305, When the hand shape 301 is selected by the user, the sign language icons corresponding to the hand shape 301 are displayed in the sign language icon selection field 400, one of which is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200).

이후, 사용자에 의해 손위치(303)에 해당하는 수화 아이콘들 중 하나가 선택되어 입력되고, 손운동(305)에 해당하는 수화 아이콘들 중 하나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입력된 수화 아이콘이 차례로 디스플레이창(200)에 표시되고, 입력된 수화 아이콘들의 조합에 의해 단어가 완성되면, 완성된 단어에 해당하는 수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창(20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Then, when one of the sign language icons corresponding to the hand position 303 is selected and input by the user and one of the sign language icons corresponding to the hand movement 305 is selected and input, The sign language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mpleted word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200 when the word is comple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input sign language icons.

또한, 상기 수화 아이콘 입력 시 손모양, 손위치, 손운동의 순서로 입력되어야하므로, 하나의 상태 메뉴가 선택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수화 아이콘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자동으로 다음 순서의 상태 메뉴로 커서가 이동되어 해당하는 수화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andwriting, hand, and hand movements are input in order of inputting the sign language icon, one of the status menus is selected, and when one of the displayed handwriting icons is selected, So that the corresponding sign language icons are displayed.

또한, 수화 아이콘 편집 시 사용되는 별도의 메뉴키 예를 들어 발신, 삭제 등과 같은 메뉴키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menu key used for editing the sign language icon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 menu key such as an origination and deletion.

즉,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상대방으로부터 문자 또는 음성이 수신되면, 문자는 수화/문자 변환부(105)를 통해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된 매칭되는 수화 이미지로 변환되고, 변환된 수화 이미지는 수화 애니메이션 변환부(111)를 통하여 전체적으로 이어지는 수화 애니메이션으로 변환되어 표시부(115)의 디스플레이창(200)에 디스플레이된다.That is, when a character or voice is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in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haracter is converted into a matched sign language image stored in the database 101 via the sign language / character conversion unit 105, Is converted into a sign language animation which is entirely followed by the conversion unit 111 an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200 of the display unit 115.

또한, 음성은 문자/음성 변환부(107)를 통하여 문자로 변환되고, 변환된 문자는 수화/문자 변환부(105)를 통해 수화 이미지로 변환된 후, 변환된 수화 이미지가 수화 애니메이션 변환부(111)를 통하여 수화 애니메이션으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된다. Further, the voice is converted into a character through the character / voice conversion unit 107, the converted character is converted into a sign language image through the sign language / character conversion unit 105, and the converted sign language image is converted into a sign language animation conversion unit 111) and displayed.

따라서, 사용자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문자 또는 음성을 수화 애니메이션으로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confirm the character or voice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with the sign language animation.

또한, 사용자들이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문자 또는 음성을 송신할 때, 문자는 수화입력부(103)의 수화 아이콘 선택 필드(400)에서 보내고자 하는 내용에 해당하는 수화 아이콘을 선택, 입력한 후 송신하면, 수화/문자 변환부(105)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된 입력된 수화 아이콘에 매칭되는 문자로 변환된 후 상대방에게 송신된다. 또한, 음성은 수화입력부(103)를 통하여 보내고자 하는 내용에 해당하는 수화 아이콘을 선택, 입력한 후 송신하면, 수화/문자 변환부(105)를 통하여 입력된 수화 아이콘에 매칭되는 문자로 변환된 후, 변환된 문자는 문자/음성변환부(107)를 통해 음성으로 변환되어 상대방에게 송신된다.When a user transmits a character or voice to the other part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haracter selects and inputs a sign language ic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o be sent from the sign language icon selection field 400 of the sign language input unit 103 The character is converted into a character matched to the input sign language icon stored in the database 101 via the sign language / character conversion unit 105, and then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When the sign language ic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o be sent through the sign language input unit 103 is selected and input and then transmitted, the speech is converted into a character matched to the sign language icon input through the sign language conversion unit 105 Thereafter, the converted character is converted into voice through the character / voice conversion unit 107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수화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ign language communi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문자를 발송하거나 또는 상대방과 음성 통화할 때, 문자 발송 시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송신하기를 원하는 문자를 생성할 수 있는 각각의 수화 아이콘이 입력되면(S201), 상기 입력된 수화 아이콘을 해당하는 문자로 변환하고(S203), 변환된 문자를 상대방에게 송신한다(S205). First, when a user sends a character to a caller or a voice call with a caller, when a character is transmitted, each sign language icon capable of generating a character desired to be transmitted by the user is input (S201) The sign language icon is converted into a corresponding character (S203), and the converted character is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S205).

또한, 음성 통화 시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송신하기를 원하는 단어를 생성할 수 있는 각각의 수화 아이콘이 입력되면(S201), 상기 입력된 수화 아이콘을 매칭되는 문자로 변환하고, 변환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S203) 변환된 음성을 상대방에게 송신한다(S205). In addition, at the time of voice communication, when each sign language icon capable of generating a word desired to be transmitted by the user is input (S201), the input sign icon is converted into a matched character, (S203) and transmits the converted voice to the other party (S205).

반면, 사용자가 상대방으로부터 문자를 수신하면(S207), 수신된 문자는 매칭되는 수화 이미지로 변환한 후, 변환된 수화 이미지를 전체적으로 이어지는 수화 애니메이션으로 변환하여(S209) 사용자의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한다(S211).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receives a character from the other party (S207), the received character is converted into a matched sign language image, and then the converted sign language image is converted into a succeeding sign language animation (S209) S211).

또한, 사용자가 상대방과 음성 통화할 때 상대방으로부터 음성이 수신되면(S207), 수신된 음성은 매칭되는 문자로 변환하고, 변환된 문자를 다시 수화 이미지로 변환하며, 변환된 수화 이미지를 수화 애니메이션으로 변환하여(S207) 사용자의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한다(S211).In addition, when a voice is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when the user makes a voice call with the other party (S207), the received voice is converted into a matched character, the converted character is converted into a sign language image again, (S207) and displays it on the user's terminal (S211).

이때, 상기 수화 아이콘은 각각 손모양에 해당하는 다수의 수화 아이콘과, 손위치에 해당하는 다수의 수화 아이콘 및 손운동에 해당하는 다수의 수화 아이콘 을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손모양, 손위치, 손운동에 해당하는 수화 아이콘을 입력받아 하나의 수화 이미지가 생성된다. At this time, the sign language icon includes a plurality of sign language icons each corresponding to a hand shape, a plurality of sign language icons corresponding to a hand position, and a plurality of sign language icons corresponding to a hand movement, , A sign language icon corresponding to the hand movement is input and a sign language image is generated.

즉, 손모양을 표현한 다수의 수화 아이콘들 중 하나가 선택되고, 손위치를 표현한 다수의 수화 아이콘들 중 하나가 선택되고, 손운동을 표현한 수화 아이콘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이 세 개의 수화 아이콘을 조합하여 하나의 수화 이미지가 생성되는 것이다. That is, one of a plurality of sign language icons expressing a hand shape is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sign language icons representing hand positions is selected, and one of the sign language icons representing the hand movement is selected, Are combined to generate a single sign language image.

따라서, 사용자는 이미지로 표현된 수화 아이콘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고 입력하여 단어를 조합, 생성하여 상대방에게 송신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directly confirm and input the sign language icon represented by the image, combine the words, and transmit the words to the other party.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로부터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는 쉽게 알 수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can easily kn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수화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ign language communi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view illustrating a display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단어별로 매칭되는 수화 이미지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A database storing a sign language image matched by words; 각 수화 아이콘을 선택받을 수 있는 수화 아이콘 선택 필드를 포함하며, 사용자로부터 수화 아이콘을 입력받는 수화입력부;A sign language input unit including a sign language icon selection field for receiving a sign language icon, the sign language input unit receiving a sign language icon from a user;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는 수화 아이콘들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받은 수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sign language icons that can be selected by a user and displaying the received sign language icons; 상기 입력받은 수화 아이콘을 할당된 문자로 변환하거나, 문자를 수화 이미지로 변환하는 수화/문자 변환부;A sign language / character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received sign language icon into an assigned character or converting a character into a sign language image;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거나,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문자/음성 변환부;A character / voic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characters into voice or converting voice to characters; 상기 수화/문자 변환부 및 문자/음성 변환부를 이용하여 변환된 문자 또는 음성을 무선망을 통해 발신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character or voice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using the sign language / character conversion unit and the character / voice conversion unit;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입력된 문장에 포함된 단어에 대해서 각각 상기 수화/문자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수화 이미지를 이어서 수화 애니메이션으로 변환하는 수화 애니메이션 변환부를 포함하며,And a sign language animation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sign language image converted by the sign language / character conversion unit into a sign language animation, respectively, for the words included in the input senten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수화 애니메이션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이동통신단말기.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converted sign language animation on the display uni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입력부는 손모양, 손위치, 손운동을 포함하는 수화 아이콘 상태 선택 필드를 포함하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gn language input comprises a sign language icon status selection field including a hand shape, a hand position, and a hand movement,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손모양, 손위치, 손운동 각각의 수화 아이콘을 입력받아 하나의 수화 단어를 생성하는 이동통신단말기.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a sign language icon of each of the hand shape, the hand position, and the hand movement by a user and generates a sign language word. 삭제delete 사용자로부터 수화 아이콘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Receiving and displaying a sign language icon from a user; 상기 입력받은 수화 아이콘을 매칭되는 문자 또는 음성으로 변환하는 단계;Converting the received sign language icon into a matching character or voice; 상기 변환된 문자 또는 음성을 무선망을 통해 발신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converted character or voice through a wireless network 를 포함하며,/ RTI > 상기 수화 아이콘은 손모양, 손위치, 손운동으로 나뉘어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손모양, 손위치, 손운동 각각의 수화 아이콘을 입력받아 하나의 수화 단어를 생성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수화 통신 방법.The sign language icon is divided into a hand shape, a hand position, and a hand movement. The sign language icon is input by the user to the sign language icons of the hand shape, the hand position and the hand movement, Way. 제 6항에 있어서, 무선망을 통해 수신한 문자 또는 음성을 매칭되는 수화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수화 이미지를 수화 애니메이션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수화 통신 방법.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6, further comprising: converting a character or voice receiv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into a matched sign language image; and converting the sign language image into a sign language animation. 삭제delete
KR1020090023610A 2009-03-19 2009-03-1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finger-language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KR1015753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610A KR101575350B1 (en) 2009-03-19 2009-03-1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finger-language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610A KR101575350B1 (en) 2009-03-19 2009-03-1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finger-language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899A KR20100104899A (en) 2010-09-29
KR101575350B1 true KR101575350B1 (en) 2015-12-07

Family

ID=43009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610A KR101575350B1 (en) 2009-03-19 2009-03-1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finger-language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350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899A (en)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8099B1 (en) Image-based communication methods and apparatus
JP2005135169A (en) Portable terminal and data processing method
KR101592178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rmining user emotion status thereof
KR101609585B1 (en) Mobile terminal for hearing impaired person
KR10157535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finger-language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JP2004015250A (en) Mobile terminal
KR20080025227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moticon display function and a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JP2006215654A (en) Character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character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20060122208A (en) Apparatus for simplified and traditional chinese exchange method thereof
JP2003099368A (en) Portable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850991B1 (en) Method for input receiver number of messaging services using shortening dial
KR20050005687A (en) Method of displaying received short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31715A (e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sms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KR101228038B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typing in shorthand using a mobile device
JP3683195B2 (en) Mobile phone capable of expressing braille and braille expression method in mobile phone
KR100550760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message by user's style of handwriting in mobile phone
KR100501896B1 (en) The Apparatus and Method to Input/Output Braille
KR100834624B1 (en) Methode for using alphanumeric changing key in mobile phone
JP5532779B2 (en) Document creation device, document creation method,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220083354A (en) Real-rime interpretaion support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and non-hearing impaired
KR100672359B1 (en) Method For providing a screen for writting message in mobile terminal
KR10106380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etronome function and its control method
JP2001350493A (en) Voice data converting system
KR20050079132A (en) Method for sending another's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5236526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