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725B1 - Portab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725B1
KR101572725B1 KR1020130151471A KR20130151471A KR101572725B1 KR 101572725 B1 KR101572725 B1 KR 101572725B1 KR 1020130151471 A KR1020130151471 A KR 1020130151471A KR 20130151471 A KR20130151471 A KR 20130151471A KR 101572725 B1 KR101572725 B1 KR 101572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user
movement pattern
stat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4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3359A (en
Inventor
김일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1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725B1/en
Publication of KR20140003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3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7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동 방법은, 소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면, 상기 움직임 패턴에 대한 인식을 통보하고, 상기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소정 기능을 수행한다.A portable terminal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The driv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notifies recognition of a motion pattern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function and performs a predetermined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motion pattern.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PORTAB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0001] PORTAB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0002]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having one or more functions that can carry a voice and video call, a function for inputting / outputting information, and a function for storing data.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has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and is implemented as a multimedia device .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in such multimedia device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In addition, a portable terminal is regarded as a personal portable product for expressing its own personality, and various designs are required.

한편, 상기 최근의 움직임(motion) 감지 센서를 내장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는 움직임을 통해 휴대 단말기에 지시를 내릴 수 있다.Meanwhile, in the case of a portable terminal incorporating the recent motion detection sensor, the user can instruct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movement.

그런데, 움직임 패턴을 통해 지시를 내리는 것은, 상기 지시가 필요한 동작 모드들 및 지시들이 많아짐에 따라, 사용자가 모든 지시에 대한 움직임 패턴을 기억하는 수고를 요구하는 점에서, 사용자 편의성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0004] However, since the user is required to memorize the movement pattern for every instruction as the number of operation modes and instructions requiring the instruction increases, the instruction to make an instruction through the movement pattern has a problem that the user's convenience is deteriorated have.

또한, 사용자의 휴대 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움직임이 가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휴대 단말기가 인식하는 움직임 패턴을 사용자의 지시로 해석하여 오작동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내포될 수밖에 없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rtable environment of the user, the mobile terminal may be subjected to a motion that is not intended by the user. In this case, the possibility that a malfunction is caused by interpreting the movement pattern recognized by the mobile terminal by the user's instruction can not be avoid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혼동이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움직임 패턴을 이용하여 지시를 인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that can apply an instruction using a movement pattern that can prevent a malfunction due to a user's confusion or unintended movement.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소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는 센서부; 상기 움직임 패턴에 대한 인식을 통보하고, 상기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display unit; A sensor unit for recognizing a movement pattern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function; And a controller for notifying recognition of the movement pattern and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patter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의 상기 움직임 패턴에 대한 인식의 통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오프상태로 온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tification of recognition of the movement pattern by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switching the display unit to the off state and the on st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의 상기 움직임 패턴에 대한 인식의 통보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tification of the recognition of the movement pattern by the controller may include switching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움직임 패턴은, 소정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pattern may include inputt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는, 터치센서와 가속도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ny one of a touch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 문자를 인식하는 센서부; 상기 소정 문자에 대한 인식을 통보하고, 상기 소정 문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display unit; A sensor unit for recogniz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notifying recognition of the predetermined character and driving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charact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의 상기 움직임 패턴에 대한 인식의 통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오프상태로 온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tification of recognition of the movement pattern by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switching the display unit to the off state and the on st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의 상기 움직임 패턴에 대한 인식의 통보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오프상태로 온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tification of the recognition of the movement pattern by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switching the portable terminal to an off state and an on st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는, 터치센서와 가속도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ny one of a touch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휴대 단말기 구동 방법은, 소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패턴에 대한 인식을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riving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recognizing a movement pattern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function; Notifying recognition of the movement pattern; And performing a predetermined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patter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인식을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informing the recognition may include switching the display unit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인식을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informing the recognition may include switching the portable terminal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휴대 단말기 구동 방법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 문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소정 문자에 대한 인식을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문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recogniz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through a display unit; Notifying recognition of the predetermined character; And driving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charact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인식을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informing the recognition may include switching the display unit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인식을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informing the recognition may include switching the portable terminal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을 실시하면, 움직임 패턴에 의한 지시를 입력받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움직임 감지 기능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어, 그 결과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for driving the same, which can prevent a malfunction caused by a motion detection function in a mobile terminal receiving an instruction based on a movement patter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터치스크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움직임 패턴을 설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움직임 패턴을 설정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인가된 움직임 패턴을 파악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a 내지 7b는 도 6a 내지 6d의 움직임 패턴을 파악하는 방법의 구체적인 계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8은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패턴으로 입력된 지시를 확인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승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가 로딩된 휴대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승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이 로딩된 휴대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승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동영상이 재생 중인 휴대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승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TV 방송이 방영 중인 휴대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승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영상 통화 중인 휴대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승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메시지 자동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승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텍스트를 보여주고 있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승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게임이 로딩된 휴대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승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이 로딩된 휴대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18은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패턴으로 입력된 지시를 확인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9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패턴으로 입력된 지시를 확인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setting a movement pattern that can be applied to implement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C is a display screen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of setting a movement pattern that can be applied to implemen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D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grasping a motion pattern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to 7B are graphs for explaining a specific calculation method of a method of grasping the movement pattern of Figs. 6A to 6D.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confirming an instruction input as a movement pattern of the portable terminal.
FIG. 9 is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loaded with a web browser to which a method of approving movement patter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10 is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loaded with a messenger program to which a motion pattern approva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IG. 11 is a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moving picture can be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on which a TV broadcast is available, to which a method of approving movement patter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IG. 13 is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in a video call, to which a method of recognizing a movement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IG. 14 is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message transmission function to which a method of approving movement patter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IG. 15 is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showing texts to which a method of approving movement patter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IG. 16 is a screen of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game is loaded, to which a motion pattern approva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17 is a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loaded with a navigation program to which a method of approving movement patter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18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confirming an instruction input as a movement pattern of the portable terminal.
FIG. 19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confirming an instruction input as a movement pattern of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패턴'의 여러가지 사전적 의미들 중, '반복되는 형/도안'에 가까운 의미를 사용된다. 여기서 '형/도안'은 가시적인 의미의 형/도안이 아니라 소정 시간 간격 내에서의 신호의 특정 파라미터의 변화에 대한 형/도안을 의미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various dictionary meanings of 'pattern', a meaning close to 'repeated pattern / design' is used. Here, 'type / design' refers to a type / design for a change of a specific parameter of a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not a type / design of a visible meaning.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움직임 패턴'은, '소정 시간 동안 휴대 단말기의 기준점(무게 중심점이 되어야 하나 실제로는 센서의 부착 위치가 될 것이다)의 위치 변화를 축적하여 얻어진 패턴'을 의미하는 '변위 패턴'뿐만 아니라, 회전 운동 여부 및 회전 방향, 중력 방향에 대한 기울기 정도 등의 움직임에 관한 모든 정보를 더한 넓은 의미를 가지는 개념이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pattern' refers to a 'displacement' which means a pattern obtained by accumulating a positional change of a reference point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Not only the pattern but also all information about motion such as the rotational motion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degree of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gravitational direction.

휴대 단말기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무선 통신망을 구성하는 전산장치와 무선 접속되며, 상기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메신저 등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an Internet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provides a variety of Internet services such as a messenger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is wirelessly connected to a computer device constitu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a company providing a communication service.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Th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a navigation system.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Referring to FIG. 1,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조작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udio / video input unit 120, an operation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storage unit 160, An interface unit 170, a control unit 180,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It should be noted that when the components are implemented in a practical application,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merg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cessary.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GPS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GPS module 115.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미 도시)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not shown)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Meanwhile,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ing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ing systems. In particular, the broadcasting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Only Digital Broadcast-Handheld (DVB-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and the like.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ing systems that provide broadcasting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can be built in or externally.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또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5)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항법 정보를 수신한다.In addition, the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115 receives navig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The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The audio / video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camera module 121 and a microphone module 122. The camera module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n,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51.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module 121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he camera module 121 may be equipped with two or more camera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마이크 모듈(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modul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through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and output. The microphone module 122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조작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130 generates key input data that the user input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operation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Particularly,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module 151 described later, it can be called a touch screen.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reby generating a sensing signal.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is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Also, it is responsible for a sensing function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the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it may be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card socket (e.g. a memory card, a SIM / UIM card), an audio I / I / O (input / output) terminals, and earphones.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transfer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transmits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 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2, an alarm output module 153, and the like.

디스플레이 모듈(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module 1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captured image and / or the received image or UI and GUI are display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module 151 and the touch pad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to constitute a touch screen, the display module 151 can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The display module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Also,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modules 151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include an external display module (not shown) and an internal display module (not shown) at the same time.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52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and the like)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 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전화 통화를 요청하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미리 정해진 시간을 알리는 알람 등이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alarm output module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generat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 a call signal request for requesting a telephone call, a message reception, a key signal input, and an alarm for notifying a predetermined time. The alarm output module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output a signal in a vibration mode.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or a message is received, the alarm output module 153 may output a vibration to inform it. Alternatively, when the key signal is input, the alarm output module 153 can output the vibration as the feedback to the key signal input. The user can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n event through the vibration output as described above. Of course,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module 151 or the sound output module 152.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80 and may hav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 ≪ / RTI >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A RAM, and a ROM.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storage unit 150 on the Internet.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playback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playback module 181 may be configured in hardware in the controller 180 or separately from software in the controller 180. [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객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근접 터치 또는 직접 터치하는 동작을 식별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 또는 영역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 또는 영역을 조절하기 위한 스크롤 바 또는 미니 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의 세부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identify an operation of touching or directly touching the touch screen by an object (e.g., a user's finger) to change the size or area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 For this, the controller 180 may form a scroll bar or a mini map for adjusting the size or area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e detailed function of the controller 18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터치 스크린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In the foregoing,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Hereinafter, 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m. Hereinafter,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a touch screen type portable terminal will be exemplified among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folder type, a bar type, a swing type, a slider type, and the lik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ouch screen type portable terminal but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portable terminals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type.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제1바디(100A)와, 상기 제1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100B)를 포함한다. The portab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00A and a second body 100B configured to be slidable along at least one direction on the first body 100A.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The state where the first body 100A is disposed in a state of being overlapped with the second body 100B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configuration and the first body 100A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body 100B )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portable terminal 100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in the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is also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user. Also, the mobile terminal 100 operates mainly in a call mode in an open state, but is also switched to a standby mode after an operation of a user o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상기 제1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casing (casing, housing, cover, etc.) constitut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first body 100A is formed by the first front case 100A-1 and the first rear case 100A-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front case 100A-1 and the first rear case 100A-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ont case 100A-1 and the first rear case 100A-2.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2-1), 제1 카메라모듈(121-1) 또는 제1 조작부(130-1)가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151,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2-1, the first camera module 121-1, or the first operation unit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00A, specifically, the first front case 100A- 130-1 may be disposed.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The display module 1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nd the like, which visually represent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module 151 is overlapped with the touch pad in a layer structure, so that the display module 151 may operate as a touch screen to enable information input by a user's touch.

상기 제 1 음향출력모듈(152-1)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2-1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상기 제1카메라모듈(121-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camera module 121-1 may be adapted to photograph an image or a moving image of a user.

제1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Like the first body 100A, the case constitut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second body 100B is formed by the second front case 100B-1 and the second rear case 100B-2.

제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30-2)가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operation unit 130-2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face of the second body 100B, specifically, the second front case 100B-1.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130-3), 마이크모듈(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operating unit 130-3, the microphone module 122, and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front case 100B-1 and the second rear case 100B-2.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30-1, 130-2, 130-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operating portions 130-1, 130-2, and 130-3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130. In a tactile manner, Any way can be employed.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130 may be embodi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pad capable of receiving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or may be a wheel, a jog type, a joystick, Or the like.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30-1)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30-2)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In terms of functions, the first operation unit 130-1 is for inputting commands such as start, end, and scroll,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30-2 is for inputting numbers, characters, symbols, will be.

또한, 제3 조작부(130-3)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Also, the third operating unit 130-3 may operate as a hot-key for activating a special fun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마이크모듈(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microphone module 122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suitable for receiving voice, sound, etc. of the user.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is a channel through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a port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an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or the like), or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 card socket for accommodat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or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제 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A power supply unit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mounted on the second rear case 100B-2.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 rechargeable battery, for example, for charging.

도 3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3을 참조하면, 제2바디(100B)의 제 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모듈(121-2)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모듈(121-2)은 제1 카메라모듈(121-1, 도 1 참조)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모듈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second camera module 121-2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rear case 100B-2 of the second body 100B.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amera module 121-1 (see FIG. 1), and may have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camera module 121-1 (see FIG. 1).

예를 들어, 제1 카메라모듈(121-1)은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모듈(121-2)은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camera module 121-1 has low pixels so that it is easy to capture a face of a user in the case of a video call or the like and transmit the face to the other party, and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has a general object It is often desirable to have a high pixel.

제2 카메라모듈(121-2)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1-3)와 거울(121-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121-3)는 제2 카메라모듈(121-2)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121-4)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모듈(121-2)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flash 121-3 and a mirror 121-4 may b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The flash 121-3 shin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The mirror 121-4 allows the user to illuminate the user's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intends to take a picture of himself / herself (self-photographing) using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 음향출력모듈 (152-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module 152-2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second rear case 100B-2.

상기 제2 음향출력모듈(152-2)는 제1 음향출력모듈(152-1, 도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module 152-2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2-1 (see FIG. 2), and may be used for a call in a speakerphone mode.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11-1)는 제2바디(100B)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second rear case 100B-2, a broadcast signal reception antenna 111-1 may be arranged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communication. The antenna 111-1 may be install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from the second body 100B.

제1바디(100A)의 제 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바디(100A)와 제2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A part of the slide module 100C that slidably connects the first body 100A and the second body 100B is disposed on the first rear case 100A-2 side of the first body 100A.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00B)의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The other part of the slide module 100C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front case 100B-1 side of the second body 100B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in this figure.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모듈(121-2)) 등이 제2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and the like are disposed on the second body 100B,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제2 카메라모듈(121-2)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11-1, 121-2 내지 121-3, 15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00A),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카메라모듈(121-2)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모듈(121-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모듈(121-2)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at least two of the configurations 111-1, 121-2 to 121-3, and 152-2 described as being arranged in the second rear case 100B-2, such as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It is also possible that at least one is mounted on the first body 100A, mainly the first rear case 100A-2. In such a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s) arranged in the first rear case 100A-2 in the closed state is protected by the second body 100B. Further, even if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is not separately provided, the first camera module 121-1 is rotatably formed so that the camera module 121-2 can be photographed up to the photographing direction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터치패드(40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룸으로써 터치 스크린(500)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4, the display module 15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500 by forming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pad 400.

도 4에 도시된, 상기 터치패드(400)는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4각형의 도전막(411)과 상기 도전막(411)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금속 전극들(412-1 내지 412-4)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전막(411) 상에는 보호막(420)이 형성될 수 있다.4, the touch pad 400 includes a rectangular conductive film 411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Indium Tin Oxide), and metal electrodes (not shown)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conductive film 411 412-1 to 412-4. A protective layer 420 may be formed on the conductive layer 411.

상기 터치패드(400)는 정전 용량 감지 방식(Capacitive sensing type)의 위치 검출 장치로서, 송신측 금속 전극들(T: 412-1, 412-4)에 인가된 교류 전압에 의하여 상기 송신측 금속 전극들(T: 412-1, 412-4)과 수신측 금속 전극들(R: 412-2, 412-3) 사이에 전기력선(Electric Field Lines)을 형성한다. 상기 형성된 전기력선은 상기 보호막(420)을 통하여 상기 터치 패널(400)에 외부에 연장된다. 이에 따라, 객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가 상기 터치패드(400)에 근접하거나 상기 터치패드(400)를 직접 터치할 경우 상기 전기력선을 일부 차단시킴으로써 상기 수신측 금속 전극들(R: 412-2, 412-3)로 흐르는 전류의 위상 및 크기에 변화가 발생한다. 이는 인체가 지면에 대하여 수 pF의 정전 용량을 갖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터치패널(400)에 손가락을 근접시키거나 터치할 경우 상기 터치패널(400) 상에 형성된 전기력선을 왜곡시키기 때문이다. The touch pad 400 is a capacitive sensing type position detecting device. The touch pad 40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side metal electrode Electric field lines are formed between the reception side metal electrodes (R) 412-1 and 412-4 and the reception side metal electrodes (R) 412-2 and 412-3. The formed line of electric force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touch panel 400 through the protective film 420. Accordingly, when the object (for example,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touch pad 400 or directly touches the touch pad 400, the reception side metal electrodes R 412 -2, and 412-3, changes in the phase and magnitude of the current. This is because the human body has a capacitance of several pF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therefore, when the user touches or touches the touch panel 400 with a finger, the electric force line formed on the touch panel 400 is distorted.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에 구성된 프로세서들(미도시)은 상기 객체의 터치 동작에 따른 수신측 금속 전극들(R: 412-2, 412-3)의 전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가 근접한 거리와, 상기 터치가 발생한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Processors (not shown) configur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use the current changes of the reception-side metal electrodes R 412 - 2 and 412 - 3 according to the touch operation of the object, Distance, and the position where the touch is generated.

또한, 상기 객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패드(400) 상에 형성된 전기력선을 왜곡시킴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물체라면 모두 포함된다.
In addition, the object includes not only the user's finger but also any object that can recognize the touch input by distorting the electric force line formed on the touch pad 4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센싱부(140)는 자이로 센서 등으로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a gyro sensor or the like.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3축 가속도 센서로 구현할 수 있는데, 3축 가속도 센서는 시판되고 있는 다양한 제품들 중 휴대 단말기에 내장하기에 적합한 크기 및 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The motion sensing unit may be implemented by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may be selected to have a size and performance suitable for being embedded in a portable terminal among various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3축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여 변위 패턴을 계산하는 방법은 공지기술로서 여러가지 방안들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하지만, 간략히 원리를 언급하자면 다음과 같다. 즉, 가속도의 적분값이 속도가 되고, 속도의 적분값이 이동 거리가 되는 것을 감안하면, 정지된 시점을 알 수 있다면, 직교하는 3축에 대한 가속도 누적값들로, 센서가 장착된 물체의 변위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A method of calculating a displacement pattern using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is disclosed in a publicly known technique,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at is, considering that the integrated value of the acceleration is the velocity and the integrated value of the velocity is the moving distance, if the stopped point is known, the acceleration accumulation values for the three orthogonal axes The displacement pattern can be grasped.

구현에 따라 본 실시예의 움직임 감지부는, 3축 가속도 센서보다 저렴한 2축 가속도 센서나 다른 방식의 자이로 센서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 운동을 감지하기 위해 1축 내지 3축 회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을 알기 위해 3축 가속도 값들을 연산하거나, 중력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motion sensing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a two-axis acceleration sensor that is cheaper than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or a gyro sensor of another type. In addition, a single-axis to three-axis rotation detection sensor may be further included to detect rotational motion. In addition, the three-axis acceleration values may b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gravity direction, or may further include a gravity sensing sensor.

구현에 따라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그 감지값들을 다양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 단말기의 변위 패턴을 출력할 수도 있고, 단순히 3축 가속도 값들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는 지시를 입력하는데 적용하려는 변위 패턴의 복잡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지시의 종류가 많고 변위 패턴이 복잡한 경우, 변위 패턴을 이용하는 구현이 바람직하고, 지시의 종류가 적고 변위 패턴이 단순한 경우, 3축 가속도 출력값을 이용하는 구현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he motion sensing unit may output the sensing values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displacement pattern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output, or simply the three-axis acceleration values may be output. This is based on the complexity of the displacement pattern to be applied for inputting the instruction. In the case where there are many kinds of instructions and the displacement pattern is complicated, the implementation using the displacement pattern is preferable. When the type of instruction is small and the displacement pattern is simple, An implementation that uses output values is desirable.

구현에 따라,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진동 패턴의 방향성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움직임 감지부에 의해 인지된 상기 움직임 패턴의 방향성을 참고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잡고 있는 상태에 따라 진동 패턴의 방향을 결정함으로써,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어떤 방향으로 잡고 있던지 진동 패턴에 대하여 동일한 느낌을 가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해 상기 진동 발생부는 진동 방향이 다른(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진동 소자를 2개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he controller 180 may refer to the directionality of the movement pattern recogniz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to determine the directionality of the vibration pattern. This is to allow the user to have the same feeling on the vibration pattern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held by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vibr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state in which the user holds the portable terminal.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wo or more vibration elements having different directions (preferably orthogonal) are provided.

또한, 상기 진동 방향이 다른 진동 소자를 2개 이상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 사용자가 인가하는 움직임 패턴의 진동 방향과 상기 진동 생성부에 의한 진동 방향을 서로 연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세로로 길게 쥐고 있다면,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시를, 휴대 단말기의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내리는 경우, 사용자가 세로 방향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하자. 이때, 사용자의 지시에 긍정적인 응답은 사용자가 인가한 방향인 세로 방향의 진동을 발생시키고, 부정적인 응답은 다른 방향인 가로 방향의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저장부(160) 등에 사용자가 인가한 움직임 패턴의 진동 방향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when two or more vibration elements having different vibration directions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correlate the vibration direction of the movement pattern applied by the user with the vibration direction of the vibration generation unit. For example, if the user holds the portable terminal vertically long, assume that the user selects the portrait direction when selectively instructing the specific application in the portrait or landscap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t this time, an affirmative response to the user's instruction may be generated to generate vibr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applied by the user, and a negative response, to generate vibr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other direction. For this purpose, the storage unit 160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provided with a region for recording the vibration direction of the movement pattern applied by the user.

사용자가 동일하다고 인식하는 움직임 패턴들도, 각 움직임 패턴을 가할때의 사용자의 심리적 상태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180)는 움직임 패턴을 판단하는데 있어 근사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기록된 패턴과 소정의 근사치 이내의 패턴을 해당 움직임 패턴으로 간주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Since the movement patterns recognized by the user are sligh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user when applying the movement patterns, the controller 180 preferably applies an approximation to determine movement patterns . For example, a pattern within a predetermined approximation to the recorded pattern may be regarded as a corresponding motion pattern.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의 감지값들로부터 얻어지며 움직임 패턴으로 해석하기 위한 파라미터로서, 변위량, 속도, 가속도, 방향, 회전 방향 등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들을 이용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may use one or more selected from among the sensed values of the motion sensing unit and selected as the parameters for interpreting the motion pattern, such as displacement amount, speed, acceleration, direction, and rotation direction.

또한, 상기 제어부(180)가 인식하는 움직임 패턴들을 분류하면, 왕복 운동, 원운동, 순간 가속으로서 치기나 밀기, 돌리기(회전), 복잡 패턴 운동(예: 8자 운동, 지그재그 운동 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If the movement patterns recognized by the controller 180 are classified,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 movement patterns as a reciprocating motion, a circular motion, and an instantaneous acceleration as stroke, pushing, turning (rotation), complex pattern movement (e.g., 8- .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움직임 패턴을 설정(등록)하는 방법의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방법은, 움직임 감지부로서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고 있다.5A to 5C show embodiments of a method of setting (registering) a motion pattern that can be applied to implement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strated method uses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as a motion sensing unit.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움직임 패턴에 대한 설정 모드로 변경한 뒤, 도 5a와 같이 움직임 패턴을 가하면, 지정된 시각들인 t0 및 t1 사이에 3축 가속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가속도 값들(도면에서 점선 박스 내 값들)이, 휴대 단말기의 저장부 내 소정 영역에 저장된다. 도면에서는 t0 및 t1 사이에 값들이 연속적으로 표현되었지만, 실제 디지털 기기의 특성상 간헐적인(discrete) 가속도값들이 저장된다.When the user changes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setting mode for the movement pattern and then applies the movement pattern as shown in FIG. 5A, the acceleration values detected by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between the designated times t0 and t1 )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area in the storage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figure, values are continuously represented between t0 and t1, but discrete acceleration values are stored in the characteristics of a real digital device.

한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에 시각적으로 움직임 패턴을 그려서 설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s shown in FIG. 5C, a movement pattern can be visually drawn on the touch screen to be set.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인가된 움직임 패턴을 파악하는 방법의 일 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방법은 도 5a 및 5b의 과정에 따라 설정된 움직임 패턴과, 휴대 단말기내 가속도 센서가 감지한 3축 가속도값들을 비교하는 것이다.6A to 6D illustrate an example of a method of recognizing a movement pattern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nd the three-axis acceleration values sens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in the portable terminal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소정의 움직임 패턴을 인가하면, 휴대 단말기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한 타임 윈도우를 규정하는 tr + t0 및 tr + t1 사이에 감지된 가속도값들(x, y, z)을, 상기 도 5a 및 5b에서 저장된 가속도값들(X, Y, Z)과 비교하여, 설정된 움직임 패턴에 해당되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설정된 움직임 패턴이 인가되었다고 판단되면, 도 6c와 같은 슬립 모드의 휴대 단말기를 활성화시키는(awake) 동작 등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6A, when a user applies a predetermined movement pattern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is moved between t r + t 0 and t r + t 1 , which define a specific time window, (X, Y, Z) stored in FIGS. 5A and 5B to determine whether the detected acceleration values correspond to the set motion pattern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t movement pattern has been applied, the mobile terminal performs a designated operation such as awake operation of the sleep mode mobile terminal as shown in FIG. 6C.

도 6d는 상기 과정에 따라 슬립 모드의 휴대 단말기가 흔드는 동작의 인가에 의해 활성화되는 전체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FIG. 6D shows an entire process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of the sleep mode is activated by the application of the shaking motion according to the above process.

도 7a 내지 7d는 휴대 단말기에서 실시간적으로 감지되는 가속도값들과, 설정된 움직임 패턴으로서 저장된 가속도값들과 비교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들이다.7A to 7D are graphs for explaining how to compare the acceleration values sensed in real time in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acceleration values stored as the set motion pattern.

설정된 하나의 움직임 패턴에 대하여, 도 7a에 도시한 것과 같은 소정 시간 길이(tw)를 가지는 타임 윈도우 구간(t0 ~ t1)내 3축 가속도값들이 저장부의 소정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The three-axis acceleration values within the time window period t0 to t1 having the predetermined time length tw as shown in FIG. 7A can be stor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torage unit.

움직임 감지 기능이 활성화된 휴대 단말기는 주기적으로 3축 가속도값들을 감지하는데, tw 시간 동안의 축적된 3축 가속도값들로 움직임 패턴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이동하는 타임 윈도우 내의 감지된 3축 가속도값들에 대하여 움직임 패턴 파악이 수행된다.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motion sensing function periodically senses the three-axis acceleration values. Since the motion pattern can be grasped by the accumulated three-axis acceleration values during tw twenty hours, as shown in FIG. 7B, Motion pattern recognition is performed on the detected three-axis acceleration values in the moving time window.

도 7c에 도시한 특정 타임 윈도우(W0)내에 간헐적으로 감지된 3축 가속도값들(x0, x1, x2, x3, ... , y0, y1, y2, y3, ... , z0, z1, z2, z3, ...)을 도 7d에 도시한 움직임 패턴으로 저장된 3축 가속도값들(X0, X1, X2, X3, ... , Y0, Y1, Y2, Y3, ... , Z0, Z1, Z2, Z3, ...)과 각 대응하는 항목들을 각각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 소정 여유 내에 유사하다면 설정된 움직임 패턴으로 판단한다.X 3, ..., y 0, y 1, y 2, y 3, ..., z 0, z 1, ..., z 2 intermittently sensed in the specific time window W 0 shown in FIG. X2, X3, ..., Y0, Y1, Y2, Y3, ..., Z0, ..., Z3 stored in the motion pattern shown in Fig. Z1, Z2, Z3, ...) and corresponding item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if the comparison result is within a predetermined margin, it is determined as a set movement pattern.

구체적으로, 대응하는 2개의 가속도값들로 이루어진 각 조합에 대하여, 각 조합을 이루는 2값들의 차가 소정 범위 내 라면 유사하다고 판단하고,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대응하는 조합들의 개수가 소정의 문턱값 보다 많다면, 두 움직임 패턴은 유사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for each combination of corresponding two acceleration values, it is determin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values forming each combination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when the number of corresponding combinations judged to be similar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two movement patterns can be judged to be similar.

상기와 같이 가변적인 타임 윈도우를 적용하는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움직임 패턴을 파악할 수 있으나,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에 연산 부담을 가중시킨다. 상기 연산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소정의 키 버튼을 이용하여 움직임 패턴을 파악하는 동작의 시점(또는 시점 및 종점)을 지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키 버튼을 눌렀을 때 부터 소정 시간 동안만 움직임 패턴을 파악하도록 구현하거나, 상기 키 버튼이 눌러진 동안 가해지는 움직임에 대해서만 움직임 패턴을 파악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applying the variable time window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grasp various kinds of movement patterns, but it increases the calculation burden on the controller of the portable terminal. In order to reduce the computation burden, a time point (or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of an operation of grasping a movement pattern using a predetermined key button may be specified. In this case, a movement pattern may be grasped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when the key button is pressed, or the movement pattern may be grasped only for a motion applied while the key button is pressed.

다른 방법으로서, 연산 부담이 작은 보다 간단한 형태의 움직임 패턴만을 파악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As another method, it is possible to realize only a movement pattern of a simpler form with a small calculation burden.

예컨대, 3축 가속도값들이 순간적으로 지정된 문턱값을 넘으면, 해당 움직임 패턴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3축 가속도값들이 지정된 문턱값을 넘는 값으로 유지되는 시간이 지정된 시간을 넘으면 해당 움직임 패턴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the three-axis acceleration values are instantaneously exceeded the specified threshold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motion pattern is added. If the time for which the three-axis acceleration values are maintained at a value exceeding the designated threshold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time, It may be judged that it has been applied.

(( 실시예Example 1) One)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는 움직임 패턴을 인지하면,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여, 사용자로부터 승인을 받은 후, 상기 움직임 패턴을 해석한 지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When the mobile terminal recognizes a movement pattern, it notifies the user of the movement pattern and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instruction to analyze the movement pattern after receiving approval from the user.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는, 본 발명의 사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1의 센싱부(140)에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motion)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자이로 센서로 구현할 수 있는데, 그 중 3축 가속도 센서가 비용 대비 효과면에서 바람직하다.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omponent for achiev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mo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mo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sensing unit 140 of FIG. The motion sensing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gyro sensor. Of these,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is preferred from the viewpoint of cost effectiveness.

또한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가 감지한 움직임 패턴이 사용자의 지시로 해석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상기 지시에 따른 작업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notifies the user of the movement pattern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unit by the user's instruction, and performs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또한,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의 조작부(130)는 다수 개의 키 버튼으로 이루어진 키 패드를 구비할 수 있고, 사용자가 포인팅한 지점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포인팅 장치로서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130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keypad includ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and may include a touch screen as a pointing device for detecting a coordinate value of a point pointed by the user.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저장부(160)에 할당된 소정 영역에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휴대 단말기 구동 방법을 지원하기 위한 DB 등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Data such as a DB for supporting the method of driv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in a predetermined area allocated to the storage unit 160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예컨대, 상기 제어부(180)가 인가된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사용자의 지시를 해석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하나의 필드가 움직임 패턴을 위해 할당되며, 다른 필드가 해석되는 지시(instruction)를 위해 할당된, 움직임 패턴 - 지시 DB를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order to assist the controller 180 in interpreting the user's instructions from the applied motion pattern, one field is assigned for the movement pattern, the other field is assigned for the instruction to be interpreted, A pattern-instruction DB may be provided.

도 8은 본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FIG. 8 illustrates a driv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패턴을 파악하는 단계(S110); 상기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사용자의 지시를 해석하는 단계(S140); 사용자의 지시로 해석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S150); 사용자로부터 명시적 또는 묵시적 승인을 받아 상기 지시에 따른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step S110 of recognizing a movement pattern of the portable terminal; Analyzing a user's instruction from the movement pattern (S140); If it is interpreted as a user's instruction, notifying the user thereof (S150); And performing a job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in response to the explicit or implicit approval from the user (S170).

상기 S110 단계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80)가 상기 움직임 감지부로부터 입력받아 축적된 움직임 감지값들로부터 움직임 패턴을 파악한다. 예컨대, 일정한 타임 간격으로 얻어진 3축 가속도값들을 적분하여 3축 속도값들을 구할 수 있고, 이를 다시 적분하여 3축 변위값들을 얻을 수 있다. 상기 3축 변위값들의 변동으로 움직임 패턴의 형태를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In step S110, the controller 180 of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a motion pattern from the accumulated motion sensing values received from the motion sensing uni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obtain three-axis velocity values by integrating the three-axis acceleration values obtained at a constant time interval, and integrate them again to obtain three-axis displacement values. The shape of the movement pattern can be grasped directly by the variation of the three-axis displacement values.

구현에 따라 상기 움직임 패턴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변위 패턴을 적용할 수도 있고, 단순히 3축 가속도 값들을 적용할 수도 있다. 복잡하게는 변위 패턴에 회전 운동 여부 및 방향을 더하여 움직임 패턴으로 파악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displacement pattern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applied as the movement pattern, or simply the three-axis acceleration values may be applied. In a complicated manner, it is possible to grasp the movement pattern by adding the direction and direction of rotation to the displacement pattern.

적용하려는 지시(instruction)의 종류가 많은 경우, 보다 복잡한 움직임 패턴을 이용하는 구현이 바람직하고, 지시(instruction)의 종류가 적은 경우, 2/3축 가속도 출력값과 같이 단순한 값을 움직임 패턴으로 이용하는 구현이 바람직하다. 단순히 툭치는 동작은 2축 가속도 센싱값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소정 방향으로 기울이는 동작은 3축 가속도 센싱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If there are many kinds of instructions to be applied, an implementation using a more complex movement pattern is preferable. If the instruction type is small, an implementation using a simple value such as a 2/3 axis acceleration output value as a movement pattern desirable. The simple tapping operation can be represented by a two-axis acceleration sensing value, and the tilting operatio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can be represented by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ing valu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움직임 패턴으로 적용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구체적인 움직임 패턴의 종류로서 기울이기, 90도 회전, 흔들기, 다소 복잡한 움직임 및 툭 치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고, 각 움직임 패턴을 구별하는 파라미터로서 흔드는 세기, 기울임 정도 및/또는 방향, 움직임의 구체적 형태 등을 적용할 수 있다.As a kind of a specific movement pattern of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applied as a movement pattern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lassified into a tilt, a 90 degree rotation, a wobble, a more complicated motion, A shaking intensity, a degree of tilting and / or a direction, a specific form of movement, and the like can be applied.

상기 S140 단계에서는 S110 단계에서 파악된 움직임 패턴이 표방하는 사용자의 지시를 알아내기 위하여, 하나의 필드가 움직임 패턴이며, 다른 필드가 지시(instruction)로 이루어진, 움직임 패턴 - 지시 DB를 이용할 수 있다. In step S140, a movement pattern-instruction DB in which one field is a movement pattern and the other field is an instruction is used in order to find an instruction of a user expressing the movement pattern detected in step S110.

상기 S150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움직임 패턴의 인식을 통보하는 방법으로, 휴대 단말기의 외부에 구비된 특정 LED 등 발광장치를 구동시키는 방법, 키 패드에 구비된 LED를 발광시키는 방법, 터치스크린의 경우 백라이트를 구동시키는 방법, 소정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 등 여러 방법을 적용가능하지만, 사용자가 손에 휴대 단말기를 쥔 상태에서 움직임 패턴을 가하는 것을 감안하면, 진동 패턴으로 출력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A method of driving a light emitting device such as a specific LED provided outside the portable terminal, a method of emitting an LED provided in a keypad, a method of emitting a backlight in the case of a touch screen, And a method of outputting a predetermined sound can be applied. However, considering that a user applies a movement pattern while holding a portable terminal in a hand, a method of outputting a vibration pattern is preferable.

상기 S160 단계는 묵시적 사용자 승인을 구하도록 구현하거나, 또는 명시적 사용자 승인을 구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The step S160 may be implemented to obtain implicit user approval or to obtain explicit user approval.

상기 명시적 사용자 승인의 일례로서, 상기 S150 단계의 사용자 통보 후, 소정 시간을 대기하는데, 상기 소정 시간 내 사용자로부터의 승인 입력이 있으면 상기 지시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explicit user approval, the user may wait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notification of the user in step S150, and if there is an approval input from the user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the user may perform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상기 승인 입력으로 특정 키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스크린의 전체(또는 지정된 일부) 영역을 터치하도록 구현하거나, 지정된 음성/음향을 가하여 음성 인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사용자로부터 최초 입력이 움직임 패턴의 형태로 이루어졌으므로, 다음 승인 입력 또한 움직임 패턴의 형태로 가해지도록 구현하는 것이 사용자 편의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이 경우, 최초 입력의 움직임 패턴과 승인 입력에 대한 움직임 패턴은 다른 형태로 구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pecific key button may be pressed as the approval input, or an entire (or a designated part) area of the touch screen may be touched or a voice / sound may be applied to recognize the voice. However, since the first input is made in the form of a movement pattern from the user,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user convenience that the next approval input is also applied in the form of a movement pattern. In this case, the movement pattern of the first input and the movement pattern of the approval input are preferably distinguished in different forms.

상기 묵시적 사용자 승인의 일례로서, 상기 S150 단계의 사용자 통보 후, 소정 시간을 대기하는데, 상기 소정 시간 내 사용자로부터의 취소로 간주될 수 있는 입력이 없으면, 묵시적 승인으로 보아 상기 지시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implicit user approval, if there is no input that can be regarded as a cancellation from the user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after waiting for the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user notification in step S150,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implicit approval .

상기 S170 단계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80)에서 어플리케이션이나 태스크를 실행하는 형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전산 장비의 중앙 처리 장치에서 운영체제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내의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공지의 사실이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In step S170, the control unit 180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execute the application or the task.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computer, it is well known that performing a specific task in the operating system or the application program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8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메뉴 실행 중에 수행될 수 있으며, 다양한 동작 모드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다.
The method of driving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8 can be performed during various menu opera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operation modes or applications.

이하에서는,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도 8의 구동 방법이 적용된 다양한 구현예들을 살펴보겠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the driving method of FIG. 8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showing a mobile phone display screen.

우선,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은, 도 6d의 슬립 모드의 휴대 단말기를 활성화시키는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First, the portable terminal and its driving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the activation of the sleep mode portable terminal of FIG. 6D.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슬립 모드의 예로서, 전력 소모가 많은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파워-오프 시키는 절전 모드, 및 의도하지 않은 오입력을 방지하기 위해 키 패드나 터치 스크린 등 수동 조작부를 불활성화시키는 키 락 모드가 있다. 상기 모드는 동시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Examples of the sleep mode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 a power saving mode for powering off a display of a portable terminal with high power consumption and a sleep mode for deactivating a manual operation unit such as a keypad or a touch screen There is a key lock mod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bove mode can be applied at the same time.

본 구현예의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발생부;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motion)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부; 및 상기 움직임 감지부가 감지한 움직임 패턴이 사용자의 활성화 지시로 해석되면, 이를 상기 진동 발생부의 동작으로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이에 대한 승인을 받아 휴대 단말기를 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vibration generator for vibrating the portable terminal; A mo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mo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control unit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movement pattern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unit as an activation instruction of the user, by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or, and activating the portable terminal by receiving approval from the user.

상기 휴대 단말기를 사용한 활성화 과정은 다음과 같다. The activation process using the portable terminal is as follows.

절전 모드에서도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감지 기능은 활성화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절전 모드(또는 키 락 모드)인 휴대 단말기를 활성화시키고자 한다면, 지정된 패턴으로 휴대 단말기를 흔들어 제1 움직임 패턴을 인가한다. In the power saving mode, the motion detection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activated. In this state, if the user wishes to activate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power saving mode (or the key lock mode), the portable terminal is shaken in a designated pattern to apply the first movement pattern.

도 7a 내지 7d에서 상술한 움직임 패턴 파악 방법 등으로 상기 움직임 패턴을 파악한 휴대 단말기는 소정 진동 패턴으로 진동하여, 사용자에게 휴대 단말기 활성화에 대한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였음을 알린다. 7A to 7D, the mobile terminal recognizing the movement pattern vibrates in a predetermined vibration pattern, and informs the user that a movement pattern for activ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sensed.

이후, 상기 진동 패턴의 출력 후 소정 대기 시간이내에, 사용자가 다시 제2 움직임 패턴을 가하면,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제2 움직임 패턴이 승인에 대한 움직임 패턴인지를 도 7a 내지 7d에서 상술한 움직임 패턴 파악 방법 등으로 다시 확인한다.When the user again applies the second movement pattern within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after the output of the vibration pattern,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movement pattern is a movement pattern for approval by referring to the movement pattern recognition method And so on.

상기 승인에 대한 움직임 패턴임을 확인한 휴대 단말기는 절전 모드를 해제하고 디스플레이를 파워-온 시킨다.(또는 키 락 모드를 해제하고 키 패드/터치스크린을 활성화시킨다).The portable terminal that has confirmed the movement pattern for the approval releases the power saving mode and powers on the display (or releases the key lock mode and activates the keypad / touch screen).

움직임 패턴에 의한 슬립 모드 해제가 사용자 편의성 면에서 유용한 기능이지만, 오작동의 우려가 크다는 단점이 있었는데, 상기 구현예에 의해 그 단점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lthough the sleep mode cancellation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is a useful feature in terms of user convenienc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re is a great fear of malfunction. However,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disadvantage can be effectively overcome by the above embodiment.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승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가 로딩된 휴대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다.FIG. 9 shows a portable terminal loaded with a web browser to which a method of approving movement patter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도시한 휴대 단말기에 본 실시예를 적용하면, 예컨대, 웹 브라우져에서 소정의 움직임 패턴을 가하면 즐겨찾기 페이지로 이동하는 구현의 경우, 즐겨찾기 페이지로 이동 지시로 파악되는 움직임 패턴을 인지하면,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진동 패턴을 출력하여, 이를 통보하고 사용자로부터 승인을 기다린다. I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illustrated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web browser moves to a favorite page when a predetermined movement pattern is applied, if the portable terminal recognizes a movement pattern recognized as a movement instruction to the favorite page, Outputs a vibration pattern to the user, notifies the user of the vibration pattern, and waits for approval from the user.

다음에 별도의 지정된 움직임 패턴 등으로 사용자가 승인을 입력하면, 이를 인지한 휴대 단말기는 최초 움직임 패턴을 해석한 지시인 즐겨찾기 페이지로 이동 동작을 수행한다.
Then, when the user inputs the approval in a separate designated movement pattern or the like, the portable terminal that recognizes the movement performs the movement operation to the favorite page, which is an instruction that interprets the initial movement pattern.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승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이 로딩된 휴대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다.FIG. 10 shows a portable terminal loaded with a messenger program to which a method of approving a movement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도시한 휴대 단말기에 본 실시예를 적용하면, 예컨대, 메신저 대화 중 소정의 움직임 패턴을 가하면 상대방 메신저 대화창을 흔드는 구현의 경우, 대화창 흔들기로 파악되는 움직임 패턴을 인지하면,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진동 패턴을 출력하여, 이를 통보하고 사용자로부터 승인을 기다린다. When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illustrated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in the case of implementing the messenger conversation window by shaking the conversation messenger window by applying a predetermined movement pattern during messenger conversation, if the mobile terminal recognizes a movement pattern recognized as shaking the conversation window, And notifies it of this, and waits for approval from the user.

다음에 별도의 지정된 움직임 패턴 등으로 사용자가 승인을 입력하면, 이를 인지한 휴대 단말기는 대화창 흔들기 명령을 상대방 메신저 프로그램으로 전송한다.
Then, when the user inputs an approval in a separate designated movement pattern or the like, the portable terminal that recognizes the approval transmits the dialog shaking command to the other messenger program.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승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동영상이 재생 중인 휴대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다.FIG. 11 illustrates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moving pictures can be applied to a method of recognizing a movement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시한 휴대 단말기에 본 실시예를 적용하면, 예컨대, 도시한 바와 같이 동영상 재생 중 소정의 움직임 패턴을 가하면 동영상이 전체 화면으로 재생되는 구현의 경우, 전체 화면 재생 지시로 파악되는 움직임 패턴을 인지하면,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진동 패턴을 출력하여, 이를 통보하고 사용자로부터 승인을 기다린다. I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illustrated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if a motion pattern is reproduced in a full screen by applying a predetermined motion pattern during motion picture reproduction, , The portable terminal outputs a vibration pattern to the user, notifies the user of the vibration pattern, and waits for approval from the user.

다음에 별도의 지정된 움직임 패턴 등으로 사용자가 승인을 입력하면, 이를 인지한 휴대 단말기는 재생 중인 동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다.
Then, when the user inputs an approval in a separate designated motion pattern or the like, the mobile terminal recognizing the approval displays the video being reproduced in full screen.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승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TV 방송(예 : DMB 방송)이 방영 중인 휴대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다.FIG. 12 shows a portable terminal on which a TV broadcast (for example, a DMB broadcast) to which a method of approving a movement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cable.

도시한 휴대 단말기에 본 실시예를 적용하면, 예컨대, 방영 중인 휴대 단말기에 소정의 움직임 패턴을 가하면 방송 채널을 이동하는 구현의 경우, 채널 이동 지시로 파악되는 움직임 패턴을 인지하면,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진동 패턴을 출력하여, 이를 통보하고 사용자로부터 승인을 기다린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implementing a broadcast channel by applying a predetermined movement pattern to the broadcasting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recognizes a movement pattern recognized by the channel movement instruction, Outputs the vibration pattern, notifies it, and waits for approval from the user.

다음에 별도의 지정된 움직임 패턴 등으로 사용자가 승인을 입력하면, 이를 인지한 휴대 단말기는 채널을 이동시켜 방영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Then, when the user inputs an approval in a separate designated motion pattern or the like, the portable terminal recognizing the movement inputs the channel and performs an operation of broadcasting the channel.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승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영상 통화 중인 휴대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다.FIG. 13 shows a mobile terminal in a video call to which a method of approving movement patter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도시한 휴대 단말기에 본 실시예를 적용하면, 예컨대, 영상 통화 중인 휴대 단말기에 소정의 움직임 패턴을 가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보기 모드가 변경(예: 내 화면 작게 보기에서 내 화면 크게 보기로 변경)하는 구현의 경우, 영상 모드 변경 지시로 파악되는 움직임 패턴을 인지하면,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진동 패턴을 출력하여, 이를 통보하고 사용자로부터 승인을 기다린다. For example, when a predetermined motion pattern is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in a video call, the image viewing mode is changed (for example, from the small-screen view to the large-screen view) by applying the present embodiment to the illustrated portab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outputs a vibration pattern to the user, notifies the user of the vibration pattern, and waits for approval from the user.

다음에 별도의 지정된 움직임 패턴 등으로 사용자가 승인을 입력하면, 이를 인지한 휴대 단말기는 영상 보기 모드를 변경한다.
Then, when the user inputs an approval in a separate designated motion pattern or the like, the portable terminal recognizing the approval changes the image viewing mode.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승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메시지 자동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다.FIG. 14 shows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utomatic message transmission function to which a method of approving movement patter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도시한 휴대 단말기에 본 실시예를 적용하면, 예컨대, 메시지 확인 중 소정의 움직임 패턴을 가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예약된 상용구로 답장 메시지 보내기를 수행하는 구현의 경우, 예약 상용구로 답장하라는 지시로 파악되는 움직임 패턴을 인지하면,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진동 패턴을 출력하여, 이를 통보하고 사용자로부터 승인을 기다린다. When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illustrated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when a predetermined movement pattern is applied during message confirmation,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case of the implementation of sending a reply message to a reserved boilerplate, Upon recognizing the movement pattern, the portable terminal outputs the vibration pattern to the user, notifies the user of the vibration pattern, and waits for approval from the user.

다음에 별도의 지정된 움직임 패턴 등으로 사용자가 승인을 입력하면, 이를 인지한 휴대 단말기는 예약된 상용구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확인 메시지의 발신자에게 발송한다.
Then, when the user inputs the approval in a separate designated movement pattern or the like, the portable terminal recognizing the approval transmits the message including the reserved utility to the sender of the confirmation message.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승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텍스트를 보여주고 있는 휴대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다.FIG. 15 shows a portable terminal showing texts to which a method of approving movement patter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도시한 휴대 단말기에 본 실시예를 적용하면, 예컨대, 텍스트 뷰어가 실행 중인 휴대 단말기에 소정의 움직임 패턴을 가하면 텍스트의 폰트 크기가 커지는 구현의 경우, 폰트 크기 키우기 지시로 파악되는 움직임 패턴을 인지하면,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진동 패턴을 출력하여, 이를 통보하고 사용자로부터 승인을 기다린다. When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illustrated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in which the font size of the text increases when a certain movement pattern is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on which the text viewer is executing, when recognizing the movement pattern grasped by the font size increasing instruction , The portable terminal outputs a vibration pattern to the user, notifies the user of the vibration pattern, and waits for approval from the user.

다음에 별도의 지정된 움직임 패턴 등으로 사용자가 승인을 입력하면, 이를 인지한 휴대 단말기는 출력 중인 텍스트의 폰트 크기를 키우는 동작을 수행한다.
Then, when the user inputs an approval in a separate designated movement pattern or the like, the portable terminal recognizing the operation inputs the font size of the output text.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승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게임(예 :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이 로딩된 휴대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다.FIG. 16 shows a portable terminal loaded with a game (for example, a breeding simulation game) to which a method of approving movement patter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도시한 휴대 단말기에 본 실시예를 적용하면, 예컨대,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의 경우 사용자의 능동적인 작업이 없는 상태로 실행시켜야 할 경우가 있다)이 실행 중인 휴대 단말기에 소정의 움직임 패턴을 가하면 게임을 종료시키는 구현의 경우, 게임 종료 지시로 파악되는 움직임 패턴을 인지하면,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진동 패턴을 출력하여, 이를 통보하고 사용자로부터 승인을 기다린다. When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illustrated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a training simulation game (in the case of a training simulation game, it is necessary to execute the training simulation game in the absence of the user's active work) In the case of the implementation in which the game is terminated, when recognizing the movement pattern recognized by the game end instruction, the portable terminal outputs the vibration pattern to the user, notifies the user of the vibration pattern, and waits for approval from the user.

다음에 별도의 지정된 움직임 패턴 등으로 사용자가 승인을 입력하면, 이를 인지한 휴대 단말기는 실행 중인 게임을 종료한다.
Next, when the user inputs an approval in a separate designated movement pattern or the like, the portable terminal recognizing the approval ends the game in execution.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승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이 로딩된 휴대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다.FIG. 17 shows a portable terminal loaded with a navigation program to which a method for approving movement patter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도시한 휴대 단말기에 본 실시예를 적용하면, 예컨대, 네비게이션이 실행 중인 휴대 단말기에 소정의 움직임 패턴을 가하면 경로 재탐색을 수행하는 구현의 경우, 경로 재탐색 지시로 파악되는 움직임 패턴을 인지하면,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진동 패턴을 출력하여, 이를 통보하고 사용자로부터 승인을 기다린다. When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illustrated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implementation that performs a route search when a predetermined movement pattern is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on which navigation is performed, The portable terminal outputs a vibration pattern to the user, notifies the user of the vibration pattern, and waits for approval from the user.

다음에 별도의 지정된 움직임 패턴 등으로 사용자가 승인을 입력하면, 이를 인지한 휴대 단말기는 경로를 재탐색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Then, when the user inputs an approval in a separate designated motion pattern or the like, the portable terminal recognizing the movement performs an operation of searching for a path again.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승인 방법은, 수신 대기 모드에서 휴대 단말기에 소정의 움직임 패턴을 가하면, 전자사전 등과 같은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로딩하는 휴대 단말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method of accepting a movement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that loads a designated application such as an electronic dictionary when a predetermined movement pattern is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reception standby mode.

예컨대, 수신 대기 중인 휴대 단말기에 소정의 움직임 패턴을 가하면 전자사전 어플리케이션을 로딩하는 구현의 경우, 전자사전 로딩 지시로 파악되는 움직임 패턴을 인지하면,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진동 패턴을 출력하여, 이를 통보하고 사용자로부터 승인을 기다린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loading an electronic dictionary application by applying a predetermined movement pattern to a portable terminal that is waiting for reception, when recognizing a movement pattern recognized by an electronic dictionary loading instruction, the portable terminal outputs a vibration pattern to the user, And waits for approval from the user.

다음에 별도의 지정된 움직임 패턴 등으로 사용자가 승인을 입력하면, 이를 인지한 휴대 단말기는 지정된 전자사전 어플리케이션을 로딩한다.
Then, when the user inputs an approval in a separate designated movement pattern or the like, the portable terminal recognizing the approval loads the designated electronic dictionary application.

(( 실시예Example 2) 2)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는 움직임 패턴을 인지하면, 상기 움직임 패턴이 인가되었을때 사용자가 손에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였는지를 검사하여, 사용자가 손에 휴대하였을 때 발생한 움직임 패턴에 대해서만 이를 해석한 지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recognizes a movement pattern and checks whether the user carries the portable terminal in his or her hand when the movement pattern is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는, 본 발명의 사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1의 센싱부(140)에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motion)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부, 및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휴대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휴대 상태 센싱부를 구비한다.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omponent for achiev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mo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mo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sensing unit 140 of FIG. 1, And a portable stat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portable state sensing unit.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자이로 센서로 구현할 수 있는데, 그 중 3축 가속도 센서가 비용 대비 효과면에서 바람직하다. The motion sensing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gyro sensor. Of these,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is preferred from the viewpoint of cost effectiveness.

상기 휴대 상태 센싱부는, 전자기적 변화로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 센서나, 사용자의 체온을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로 구현할 수 있다.The portable state sensing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contac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user's body contact due to an electromagnetic change or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a user's body temperature.

또는, 사용자가 손에 휴대 단말기를 들고 있을 때 중력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일정함을 이용하여, 중력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 중력 방향을 근거로 사용자의 손에 휴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부로서 3축 가속도 센서를 적용한 경우, 상기 중력 감지 센서를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으로부터 중력 방향을 산출하는 중력 방향 연산 모듈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중력 방향 연산 모듈은, 3축 가속도값을 입력받은 별도의 연산용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user holds the portable terminal in his or her hand, the slope of the gravitational direction is constant,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user's hand based on the gravitational direction sensed by using the gravitational sensor. When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is used as the motion sensing unit, the gravity sensing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a gravity direction calculation module that calculates a gravity direction from an output value of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The gravity direction computation module may be implemented by separate computation hardware or software that receives the triaxial acceleration values.

또한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다고 판단될 때, 상기 움직임 감지부가 감지한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해석된 지시에 따른 작업을 수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carrying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ler 180 performs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terpreted instruction from the movement pattern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unit.

또한,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의 조작부(130)는 다수 개의 키 버튼으로 이루어진 키 패드를 구비할 수 있고, 사용자가 포인팅한 지점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포인팅 장치로서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130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keypad includ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and may include a touch screen as a pointing device for detecting a coordinate value of a point pointed by the user.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저장부(160)에 할당된 소정 영역에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휴대 단말기 구동 방법을 지원하기 위한 DB 등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Data such as a DB for supporting the method of driv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in a predetermined area allocated to the storage unit 160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예컨대, 상기 제어부(180)가 인가된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사용자의 지시를 해석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하나의 필드가 움직임 패턴을 위해 할당되며, 다른 필드가 해석되는 지시(instruction)를 위해 할당된, 움직임 패턴 - 지시 DB를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order to assist the controller 180 in interpreting the user's instructions from the applied motion pattern, one field is assigned for the movement pattern, the other field is assigned for the instruction to be interpreted, A pattern-instruction DB may be provided.

도 18은 본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18 shows a driv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패턴을 파악하는 단계(S110'); 휴대 단말기의 휴대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S120');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다고 판단될 때(S130'), 상기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사용자의 지시를 해석하는 단계(S140'); 및 상기 지시에 따른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step S110 'of recognizing a movement pattern of the portable terminal; (S120 ') of determining the portabl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S140 ') of interpreting the user's instruction from the movement patter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carrying the portable terminal (S130'); And executing a job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S170 ').

상기 S110' 단계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80)가 상기 움직임 감지부로부터 입력받아 축적된 움직임 감지값들로부터 움직임 패턴을 파악한다. 예컨대, 일정한 타임 간격으로 얻어진 3축 가속도값들을 적분하여 3축 속도값들을 구할 수 있고, 이를 다시 적분하여 3축 변위값들을 얻을 수 있다. 상기 3축 변위값들의 변동으로 움직임 패턴의 형태를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In step S110 ', the controller 180 of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a motion pattern from the accumulated motion sensing values received from the motion sensing uni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obtain three-axis velocity values by integrating the three-axis acceleration values obtained at a constant time interval, and integrate them again to obtain three-axis displacement values. The shape of the movement pattern can be grasped directly by the variation of the three-axis displacement values.

구현에 따라 상기 움직임 패턴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변위 패턴을 적용할 수도 있고, 단순히 3축 가속도 값들을 적용할 수도 있다. 복잡하게는 변위 패턴에 회전 운동 여부 및 방향을 더하여 움직임 패턴으로 파악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displacement pattern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applied as the movement pattern, or simply the three-axis acceleration values may be applied. In a complicated manner, it is possible to grasp the movement pattern by adding the direction and direction of rotation to the displacement pattern.

적용하려는 지시(instruction)의 종류가 많은 경우, 보다 복잡한 움직임 패턴을 이용하는 구현이 바람직하고, 지시(instruction)의 종류가 적은 경우, 2/3축 가속도 출력값과 같이 단순한 값을 움직임 패턴으로 이용하는 구현이 바람직하다. 단순히 툭치는 동작은 2축 가속도 센싱값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소정 방향으로 기울이는 동작은 3축 가속도 센싱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If there are many kinds of instructions to be applied, an implementation using a more complex movement pattern is preferable. If the instruction type is small, an implementation using a simple value such as a 2/3 axis acceleration output value as a movement pattern desirable. The simple tapping operation can be represented by a two-axis acceleration sensing value, and the tilting operatio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can be represented by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ing valu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움직임 패턴으로 적용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구체적인 움직임 패턴의 종류로서 기울이기, 90도 회전, 흔들기, 다소 복잡한 움직임 및 툭 치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고, 각 움직임 패턴을 구별하는 파라미터로서 흔드는 세기, 기울임 정도 및/또는 방향, 움직임의 구체적 형태 등을 적용할 수 있다.As a kind of a specific movement pattern of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applied as a movement pattern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lassified into a tilt, a 90 degree rotation, a wobble, a more complicated motion, A shaking intensity, a degree of tilting and / or a direction, a specific form of movement, and the like can be applied.

상기 S120' 단계에서 사용자의 휴대 상태는, 전자기적 변화로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 센서, 사용자의 체온을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 또는 휴대 단말기의 중력 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한 중력 감지 센서의 출력값으로부터 판단한다.The portable state of the user in step S120 'may include a contac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physical contact of a user with electromagnetic variation,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a body temperature of the user, or a gravity sensor for detecting a tilt with respect to the gravity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output value of the detection sensor.

예컨대, 접촉 감지 센서의 경우 사용자의 손에 접촉을 의미하는 전자기적 값을 감지하면, 온도 센서의 경우 그 센싱 온도가 사람의 손에 해당하는 온도 범위를 가지면, 중력 감지 센서의 경우 그 기울기가 사용자가 손에 휴대 단말기를 들었을때의 기울기와 근사한 범위내에 있으면, 사용자가 손에 휴대 단말기를 들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ontact detection sensor, when an electromagnetic value indicating contact with a user's hand is sensed, if the sensed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sensor has a temperature range corresponding to a human hand, The user can determine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holding the portable terminal in his / her hand if the portable terminal is in a range close to the inclina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held by the user.

또는, 사용자가 손에 휴대 단말기를 들고 있을 때 중력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일정함을 이용하여, 중력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 중력 방향을 근거로 사용자의 손에 휴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부로서 3축 가속도 센서를 적용한 경우, 상기 중력 감지 센서를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으로부터 중력 방향을 산출하는 중력 방향 연산 모듈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중력 방향 연산 모듈은, 3축 가속도값을 입력받은 별도의 연산용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user holds the portable terminal in his or her hand, the slope of the gravitational direction is constant,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user's hand based on the gravity direction sensed using the gravitational sensor. When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is used as the motion sensing unit, the gravity sensing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a gravity direction calculation module that calculates a gravity direction from an output value of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The gravity direction computation module may be implemented by separate computation hardware or software that receives the triaxial acceleration values.

상기 S140' 단계에서는 S110' 단계에서 파악된 움직임 패턴이 표방하는 사용자의 지시를 알아내기 위하여, 하나의 필드가 움직임 패턴이며, 다른 필드가 지시(instruction)로 이루어진, 움직임 패턴 - 지시 DB를 이용할 수 있다. In step S140 ', a motion pattern-instruction DB, in which one field is a movement pattern and the other field is an instruction, can be used in order to find an instruction of a user expressing the movement pattern identified in step S110' have.

상기 S170' 단계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80)에서 어플리케이션이나 태스크를 실행하는 형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전산 장비의 중앙 처리 장치에서 운영체제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내의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공지의 사실이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The step S170 'may be performed in the form of executing an application or a task in the control unit 180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a well-known fact tha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computer equipment performs a specific task in the operating system or the application program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8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메뉴 실행 중에 수행될 수 있으며, 다양한 동작 모드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driving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8 can be performed during various menu opera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operation modes or applications.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또한, 도 6d에 도시한 기능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고, 상기 도 9 내지 도 17에 도시한 기능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각 적용에 대한 구체적인 구현예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며, 상기 제1 실시예의 각 구현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가능하므로, 중복되는 설명들을 생략하겠다.
The portable terminal and its driving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also be applied to the functions shown in Fig. 6D, and can be applied to the functions shown in Figs. 9 to 17. The detailed implementation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s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can be easily deduced from the description of each embodiment of the first embodiment, so that duplicat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한편, 도 8의 휴대 단말기의 구동 방법 및 도 18의 휴대 단말기의 구동 방법의 양 특징부를 함께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구동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The driv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8 and the driv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8 may be implemented together.

즉, 도 19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패턴을 파악하는 단계(S110''); 휴대 단말기의 휴대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S120'');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다고 판단될 때(S130''), 상기 움직임 패턴으로부터 사용자의 지시를 해석하는 단계(S140''); 상기 해석된 지시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S150''); 및 사용자로부터 명시적 또는 묵시적 승인을 받아(S160'') 상기 지시에 따른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driv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9 includes: a step S110 '' of recognizing a movement pattern of the portable terminal; (S120 ") of determining the portabl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S140 ") when the user is determined to be carrying the portable terminal (S130 "), interpreting the user's instruction from the movement pattern; Notifying the interpreted instruction to the user (S150 "); And receiving (S160 ") explicit or implied approval from the user (S170 ") to perform the task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

도 19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방법은, 도 8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구동 방법의 특징인 사용자 승인을 획득하는 과정 및 도 18에 도시한 제2 실시예의 구동 방법의 특징인 사용자 휴대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모두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e driv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9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driving method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8, and the driving method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And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process.

따라서, 도 19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위한 구성요소들은, 도 8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위한 구성요소들 및 도 18에 도시한 제2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위한 구성요소들로부터 용이하게 유추가 가능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겠다.
Therefore, the driv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9 and the constituent elements thereof are the same as the driv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8 and the components for the same and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The method of driving the terminal and the components for the same can be easily analogized, so that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이 설명된 사용자의 의도적인 움직임 패턴인가를 확인하였을때, 움직임 패턴 입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When the user's intentionally described movement pattern is confirmed 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be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as the movement pattern inpu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또한,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ddi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각 경우에 대한 설명들에서는 흔드는 동작을 위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대표적인 움직임 패턴의 하나를 적용할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 기울이기나, 툭 치기, 돌리기 등 다른 움직임 패턴을 상기 흔드는 동작 대신 적용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haking motion is mainly described.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of applying one of typical motion patterns, and other motion patterns such as tilting, tucking, and turning can be applied instead of the shaking mo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is also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디스플레이부;
소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는 센서부;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휴대 상태를 감지하는 휴대 상태 센싱부; 및
상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휴대한 상태에서 상기 움직임 패턴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때, 상기 움직임 패턴에 대한 인식을 통보하고, 상기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A display unit;
A sensor unit for recognizing a movement pattern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function;
A portable state sensing unit for sensing a user portabl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nd a control unit for notifying recognition of the movement pattern and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patter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vement pattern is generated while the user is carrying the portab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상기 움직임 패턴에 대한 인식의 통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otification of the recognition of the movement pattern by the control unit comprises:
And switching the display unit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상기 움직임 패턴에 대한 인식의 통보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otification of the recognition of the movement pattern by the control unit comprises:
And switching the portable terminal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패턴은,
소정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inputt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터치센서와 가속도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one of a touch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 문자를 인식하는 센서부;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휴대 상태를 감지하는 휴대 상태 센싱부; 및
상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휴대한 상태에서 상기 소정 문자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될 때, 상기 소정 문자에 대한 인식을 통보하고, 상기 소정 문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A display unit;
A sensor unit for recogniz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A portable state sensing unit for sensing a user portabl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nd a control unit for notifying recognition of the predetermined character and driving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charact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character is input while the user is carrying the portable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상기 소정 문자에 대한 인식의 통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6, wherein the notification of recognition of the predetermined character by the control unit comprises:
And switching the display unit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상기 소정 문자에 대한 인식의 통보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6, wherein the notification of recognition of the predetermined character by the control unit comprises:
And switching the portable terminal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터치센서와 가속도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one of a touch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소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휴대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휴대한 상태에서 상기 움직임 패턴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패턴이 상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휴대한 상태에서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때, 상기 움직임 패턴에 대한 인식을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구동 방법.
Recognizing a movement pattern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function;
Detecting a user portabl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movement pattern is generated while the user is carrying the portable terminal;
Notifying recognition of the movement patter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vement pattern is generated while the user is carry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And performing a predetermined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patter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을 통보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부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구동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switching the display unit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을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구동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switching the portable terminal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 문자를 인식하는 단계;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휴대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휴대한 상태에서 상기 소정 문자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소정 문자가 상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휴대한 상태에서 입력되었다고 판단될 때, 상기 소정 문자에 대한 인식을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문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구동 방법.
Recogniz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Detecting a user portabl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predetermined character is input while the user is carrying the portable terminal;
Notifying recognition of the predetermined character when the predetermined character is determined to be input while the user is carry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And driving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charact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을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구동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switching the display unit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을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구동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switching the portable terminal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KR1020130151471A 2013-12-06 2013-12-06 Portab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1015727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471A KR101572725B1 (en) 2013-12-06 2013-12-06 Portab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471A KR101572725B1 (en) 2013-12-06 2013-12-06 Portab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453A Division KR101359233B1 (en) 2008-07-01 2008-07-01 PORTAB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359A KR20140003359A (en) 2014-01-09
KR101572725B1 true KR101572725B1 (en) 2015-12-01

Family

ID=5013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471A KR101572725B1 (en) 2013-12-06 2013-12-06 Portab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72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1316A (en) 2000-11-30 2002-06-14 Toshiba Corp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1316A (en) 2000-11-30 2002-06-14 Toshiba Corp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359A (en)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198B1 (en) PORTAB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CN105404412B (en) Portab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85363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29645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486581B1 (en) PORTAB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101480559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information in thereof
US10474312B2 (en) Operation method of portable terminal
KR101657549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23604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23605A (en)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plural display uni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20498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123336A (en) Method of switching user interface mod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26386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359233B1 (en) PORTAB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20100021859A (en) Portab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20100013420A (en) Digital camera and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it
KR101499963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Imformation in thereof
KR101572725B1 (en) Portab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101559694B1 (en) PORTAB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101572730B1 (en) Portab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101883179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457219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information in thereof
KR101590363B1 (en)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multi-view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90364B1 (en)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multi-view display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32006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