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450B1 -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450B1
KR101572450B1 KR1020140091697A KR20140091697A KR101572450B1 KR 101572450 B1 KR101572450 B1 KR 101572450B1 KR 1020140091697 A KR1020140091697 A KR 1020140091697A KR 20140091697 A KR20140091697 A KR 20140091697A KR 101572450 B1 KR101572450 B1 KR 101572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
coffee
capsule
water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화디지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화디지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화디지탈
Priority to KR1020140091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5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one or more infusion chambers moving successively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dump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원두가루가 내장된 원두캡슐에 고온 고압의 물을 공급하여 원두커피를 추출하는 것으로, 원두캡슐을 이용함으로써 원두의 맛과 향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고, 일정한 온도와 압력의 물이 공급되므로 항상 일정한 맛의 원두 커피를 마실 수 있는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만들 수 있도록 일측에 우유 프림 및 카푸치노 크림 중 적어도 하나의 원료를 보관 및 배출하는 원료 배출부를 더 구비하여, 원두커피뿐만 아니라 카페라떼, 카푸치노 등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원두캡슐 보관함에 복수개의 원두캡슐을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하나의 원두캡슐만을 추출할 수 있는 소형커피머신의 한계를 개선하여 상기 소형커피머신과 업소용 커피머신에 비해 관리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기기를 다루는 전문가가 필요없는 시스템으로 다량의 원두캡슐을 보관 및 추출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로써 이용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 {Capsule coffee transfer and extract device}
본 발명은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원두가루가 내장된 원두캡슐에 고온 고압의 물을 공급하여 원두커피를 추출하는 것으로, 원두캡슐을 이용함으로써 원두의 맛과 향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고, 일정한 온도와 압력의 물이 공급되므로 항상 일정한 맛의 원두 커피를 마실 수 있으며, 우유 프림 및 카푸치노 크림을 포함하는 원료들을 보관 및 배출하는 원료 배출부가 더 구비되어 다양한 커피를 공급할 수 있고, 종래 하나의 원두캡슐만을 추출할 수 있는 소형커피머신의 한계를 개선하여 다량의 원두캡슐을 보관 및 추출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로써 이용가능한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 및 사회 생활이 진보 발전하여 전문화되면서 생활(일상 및 사회 생활)에서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사용 및 활용할 수 있는 장치들이 무수히 개발되고 있으며, 일명 커피메이커와 같은 커피추출머신은 생활(일상 및 사회 생활)에서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장치 중의 하나이다.
캡슐커피머신(일명 커피메이커)은, 커피를 비롯하여 홍차 및 코코아 등과 같은 커피는 주로 물을 뜨겁게 하여 음용 하는 커피음료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물통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고압으로 공급하는 가열스팀장치부, 상기 가열스팀장치로부터 고온의 물(스팀)을 캡슐추출장치에 장전된 캡슐에 공급하여 액상의 커피수를 축출하고 캡슐을 배출시키는 커피수축출장치부, 상기 커피수축출장치부로부터 배출되는 액상커피를 컵에 받기 위한 컵안치부와 배출되는 캡슐을 받아 보관하는 캡슐보관통 등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캡슐커피머신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1회 패키지 즉, 캡슐커피머신에 충진되어 있는 분말커피를 액상커피로 축출하는 장치의 축출사이클의 작동이 거의 자동화되거나 또는 반자동화되어 있다.
축출사이클(장치)이 자동화된 캡슐커피머신은,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하면(누르면) 매거진에서 커피캡슐(개별패키지)이 축출장치에 장전되고, 축출장치가 작동하여 커피캡슐(개별패키지)에 구멍을 뚫어 고온의 물과 수압을 공급하여 액상의 커피를 안치되어 있는 컵에 충진시키며, 커피원액이 소진된 커피캡슐(개별패키지)이 수집통에 낙하하도록 된 것이다.
또 축출사이클(장치)이 반 자동화된 캡슐커피머신은, 사용자가 축출장치의 투입구를 개방하여 커피캡슐(개별패키지)을 수동으로 투입하고 투입구를 닫으면, 축출장치가 작동하여 커피캡슐(개별패키지)에 구멍을 뚫고 고온의 물과 수압을 공급하여 액상의 커피를 안치되어 있는 컵에 충진시키며, 커피원액이 소진된 커피캡슐(개별패키지)이 수집통에 낙하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캡슐커피머신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5791호에서 개시하고 있는 캡슐커피머신의 작동시스템을 비롯한 소형커피머신으로써, 이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커피캡슐만을 보관 및 추출가능한 장치로 소량만 수용가능하기 때문에 가정용으로는 유용할 수 있으나, 대량의 커피캡슐 보관 및 추출이 필요한 자동판매기로 사용하기에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현대인들의 욕구가 점점 높아지면서 가정이 아닌 외부에서도 일반커피가 아닌 신선한 원두커피를 마시고자 하므로 이를 해결하고자 캡슐커피머신을 자동판매기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커피캡슐을 추출하고자 할 때 공급되는 물이 골고루 분사되지 않으면 희석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물이 골고루 분사될 수 있도록 해결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5791호(2011.10.1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0453호(2012.01.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내부에 원두가루가 내장된 원두캡슐에 고온 고압의 물을 일정하게 공급하여 원두커피를 추출하는 것으로, 원두캡슐을 이용함으로써 원두의 맛과 향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고, 일정한 온도와 압력의 물이 공급되므로 항상 일정한 맛의 원두 커피를 마실 수 있으며, 우유 프림 및 카푸치노 크림을 포함하는 원료들을 보관 및 배출하는 원료 배출부가 더 구비되어 다양한 커피를 공급할 수 있고, 종래 하나의 원두캡슐만을 추출할 수 있는 소형커피머신의 한계를 개선하여 다량의 원두캡슐을 보관 및 추출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로써 이용가능한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일부가 상기 케이스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원두가루가 내장된 원두캡슐을 보관 및 배출하는 원두캡슐 이송부와, 상기 원두캡슐 이송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원두캡슐 이송부에서 배출된 원두캡슐을 원두커피로 추출하는 원두커피 추출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원두커피 추출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물통의 물을 상기 원두커피 추출부로 이송하는 물이송관과, 상기 물통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물통의 물을 펌핑하여 상기 물이송관을 거쳐 상기 원두커피 추출부에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물이송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원두커피 추출부에 공급하는 물을 80~90℃의 온도로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원두캡슐 이송부에 복수개의 상기 원두캡슐을 공급하면 상기 복수개의 원두캡슐 중 어느 하나를 배출시키며, 상기 배출된 원두캡슐은 상기 원두커피 추출부에서 수용되어 80~90℃의 물이 8~9bar의 압력으로 공급되며 상기 원두캡슐 내부의 원두가루가 물에 희석되어 원두커피로 추출된 후, 사용된 원두캡슐이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원두가루가 내장된 원두캡슐에 고온 고압의 물을 일정하게 공급하여 원두커피를 추출하는 것으로써, 상기 원두캡슐은 종래 원두가 장기보관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원두를 갈아 만든 원두가루를 캡슐에 일정량 넣고 필름접착으로 마감하여 제작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상기 원두캡슐을 이용하여 원두커피를 추출하므로 원두의 맛과 향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만들 수 있도록 일측에 우유 프림 및 카푸치노 크림 중 적어도 하나의 원료를 보관 및 배출하는 원료 배출부를 더 구비하여, 원두커피뿐만 아니라 카페라떼, 카푸치노 등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피공급수의 압력과 온도를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는 마이컴이 더 구비되어, 상기 원두캡슐에 일정한 온도와 압력의 물이 공급되므로 바리스타가 없어도 항상 일정한 맛의 원두 커피를 마실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두캡슐 보관함에 복수개의 원두캡슐을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하나의 원두캡슐만을 추출할 수 있는 소형커피머신의 한계를 개선하여 상기 소형커피머신과 업소용 커피머신에 비해 관리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기기를 다루는 전문가가 필요없는 시스템으로 다량의 원두캡슐을 보관 및 추출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로써 이용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커피머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커피머신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정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배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의 원두캡슐 이송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의 원두커피 추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원두가루가 내장된 원두캡슐에 고온 고압의 물을 공급하여 원두커피를 추출하는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 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부가 상기 케이스(100)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원두가루가 내장된 원두캡슐을 보관 및 배출하는 원두캡슐 이송부(110)와, 상기 원두캡슐 이송부(110)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원두캡슐 이송부(110)에서 배출된 원두캡슐을 원두커피로 추출하는 원두커피 추출부(12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보관하는 물통(130)과,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통(130)에서 공급되는 물을 70~120℃의 온도로 가열하는 히터(14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140)에서 가열된 물을 펌핑하여 상기 원두커피 추출부(120)로 공급하는 펌프(15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하부에는 사용된 원두캡슐이 회수되는 캡슐회수구(17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원두커피 추출부(120)는 하기 케이스(100)의 외부 전면에 구비되어 추출된 커피가 배출되는 커피배출구(102)에 대응하도록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물통(130), 히터(140), 펌프(150) 및 원두커피 추출부(120)는 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각각을 연결하는 물이송관(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원두캡슐 이송부(110)에 복수개의 상기 원두캡슐을 공급하면 상기 복수개의 원두캡슐 중 어느 하나를 배출시키며, 상기 배출된 원두캡슐은 상기 원두커피 추출부(120)에서 수용되어 70~120℃의 물이 7~18bar의 압력으로 공급되며 상기 원두캡슐 내부의 원두가루가 물에 희석되어 원두커피로 추출된 후, 사용된 원두캡슐이 상기 캡슐회수구(170)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공급되는 물의 압력과 온도는 마이컴(미도시)에 의해 일정하게 제어된다.
이때, 상기 원두캡슐은 종래 원두가 장기보관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캡슐 하나당 원두를 갈아 만든 원두가루를 일정량 즉, 7~8g씩 넣고 필름접착으로 마감하여 제작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상기 원두캡슐을 이용하여 원두커피를 추출하므로 원두의 맛과 향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원두캡슐에 일정한 온도와 압력의 물이 공급되므로 항상 일정한 맛의 원두 커피를 마실 수 있다. 즉, 상기 원두캡슐에 내장된 7~8g의 원두가루에 70~120℃의 물이 7~18bar의 압력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맛의 원두 커피를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두캡슐에 내장된 원두가루의 양은 일정하므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아메리카노 또는 에소프레소로 커피의 선택적 제조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공급되는 물의 압력이 18bar를 초과하면 원두커피 추출 시 상기 원두캡슐이 펀칭되며 추출되는 원두커피가 외부로 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7bar 미만 시 상기 원두캡슐 내부의 원두가루가 골고루 희석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 전면은 커피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메뉴버튼(101)과, 추출된 커피가 배출되는 커피배출구(102)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 상면에는 상기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의 내부로 상기 원두캡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원두캡슐 이송부(110)가 일부 돌출형성되어 상기 일부 돌출형성된 부분의 외부를 감싸는 보호케이스(103) 및 덮개(10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상기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가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만들 수 있도록, 우유 프림 및 카푸치노 크림 중 적어도 하나의 원료를 보관하고, 상기 원료를 상기 원두커피 추출부(120)로 배출하는 원료 배출부(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우유 프림 및 카푸치노 크림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만들 수 있는 원료들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로써 원두커피뿐만 아니라 카페라떼, 카푸치노 등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원두캡슐 이송부(110)는 원두가루가 내장된 원두캡슐을 복수개 보관할 수 있는 구획된 원통형 보관구가 8개로 구성된 원두캡슐 보관함(111)과, 상기 원두캡슐 보관함(111)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원두캡슐 보관함(111)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112)과, 상기 턴테이블(112)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원두캡슐 중 어느 하나를 배출시키는 솔레노이드 배출구(113)와, 상기 솔레노이드 배출구(113)의 일측에 상기 원두캡슐을 하나씩 배출하기 위하여 원두캡슐 감지 및 턴테이블(112) 동작을 제어하는 포토인터럽터 센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원통형의 보관구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8개로 구성하였으나, 통상의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솔레노이드 배출구(113)는 양측에 전기적 신호로 상기 원두캡슐의 배출 통로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제1회전걸림구 및 제2회전걸림구를 구비하여, 평소에는 상기 원두캡슐 보관함(111)에 보관된 복수개의 원두캡슐 중 어느 하나가 배출되어 상기 제1회전걸림구 및 제2회전걸림구에 의해 걸려 대기상태에 있다가 사용자의 상기 메뉴버튼(101) 선택에 의한 신호로 상기 제1회전걸림구 및 제2회전걸림구의 회전에 따라 대기상태에 있던 상기 원두캡슐이 하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과 동시에 상기 원두캡슐 보관함(111)에서는 보관된 복수개의 원두캡슐 중 또 다른 하나를 배출하여 상기 배출된 원두캡슐은 상기 제1회전걸림구 및 제2회전걸림구에 의해 걸려 다시 대기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포토인터럽터 센서는 상부에 구비된 상기 원두캡슐 보관함(111)의 원두캡슐 존재 여부와 상기 턴테이블(112)의 회전수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원두캡슐이 배출될 때 상기 포토인터럽터 센서는 상기 원두캡슐 보관함(111)을 구성하는 8개의 원통형 보관구 중 상기 포토인터럽터 센서의 상부에 위치한 하나의 원통형 보관구 내부의 원두캡슐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보관된 원두캡슐이 다 배출되어 원두캡슐이 감지되지 않으면 턴테이블(112) 회전 신호를 보내 턴테이블(112)이 회전하여 다음 원통형 보관구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112)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상기 원두캡슐 보관함(111)에 보관된 남은 원두캡슐의 개수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나타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상기 원두캡슐 보관함(111)에 복수개의 원두캡슐을 보관할 수 있고, 상기 솔레노이드 배출구(113)에 의해 상기 원두캡슐이 하나씩 배출되므로, 종래 하나의 원두캡슐만을 추출할 수 있는 소형커피머신의 한계를 개선하여 상기 소형커피머신과 업소용 커피머신에 비해 관리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기기를 다루는 전문가가 필요없는 시스템으로 다량의 원두캡슐을 보관 및 추출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로써 이용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원두커피 추출부(120)는 상기 원두캡슐 이송부(110)에서 배출된 상기 원두캡슐을 수용하는 원두캡슐 홀더(121)와, 상기 원두캡슐 홀더(121)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원두캡슐의 상부를 펀칭하고 물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제1핀이 구비된 상부 펀칭기(122)와, 상기 원두캡슐 홀더(121)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원두캡슐의 하부를 펀칭하고 사용된 원두캡슐을 배출시키는 제2핀이 구비된 하부 펀칭기(123)를 포함한다. 상기 기설정된 각도는 25~35°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원두커피 추출부(120)는 상기 하부 펀칭기(123) 하부에 상기 원두커피 추출부(120)의 원두커피 추출을 진행하기 위한 기어(124)와, 상기 기어(124)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원두커피 추출 시 상기 상부 펀칭기(122)에서 공급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원두캡슐 홀더(121)가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락킹구와, 상기 기어(124)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124)를 구동하기 위한 기어 모터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어 모터는 기어(124)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상부 펀칭기(122)는 물을 골고루 분사하기 위하여 물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상부 펀칭기(122)의 표면과 상기 복수개의 제1핀의 일부가 기설정된 깊이로 파여 있는 형태의 홈을 구비한다. 상기 홈은 상기 상부 펀칭기(122)의 중앙부로부터 직선형태로 뻗어나가는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1~10㎜의 깊이로 홈이 구성되어 상기 커피공급수의 흐름을 유도하여 상기 원두캡슐 내부 전체에 물을 골고루 분사하게 되므로, 종래 일부에만 물이 공급되어 상기 원두캡슐 내부의 원두가루가 전체 희석이 되지 않았던 문제점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커피가 추출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원두캡슐 보관함(111)에 복수개의 상기 원두캡슐을 공급하면, 상기 솔레노이드 배출구(113)는 하나의 원두캡슐을 배출시키며, 상기 배출된 원두캡슐은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 상기 원두캡슐 홀더(121)에 안착되고, 상기 원두캡슐 홀더(121)는 상기 기어 모터 및 제어부에 의해 기어(124)가 기설정된 각도 즉, 25~35°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부 펀칭기(122)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회전한 후, 상기 상부 펀칭기(122)가 하강하여 상기 원두캡슐과 결합되며 상기 상부 펀칭기(122) 및 하부 펀칭기(123)에 의해 원두캡슐의 상부 및 하부가 펀칭되되, 상기 상부 펀칭기(122)에서 70~120℃의 물이 7~18bar의 압력으로 공급되어 상기 원두캡슐 내부의 원두가루가 물에 희석되며 상기 원두캡슐 홀더(121)에 구비된 추출구를 통해 원두커피로 추출된 후, 상기 원두캡슐 홀더(121)는 다시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되 상기 하부 펀칭기(123)에 구비된 제2핀에 의해 사용된 원두캡슐이 상기 캡슐 회수구로 배출된다.
100 : 케이스
101 : 메뉴버튼
102 : 커피배출구
103 : 보호케이스
104 : 덮개
110 : 원두캡슐 이송부
111 : 원두캡슐 보관함
112 : 턴테이블
113 : 솔레노이드 배출구
120 : 원두커피 추출부
121 : 원두캡슐 홀더
122 : 상부 펀칭기
123 : 하부 펀칭기
124 : 기어
130 : 물통
140 : 히터
150 : 펌프
160 : 원료 배출부
170 : 캡슐회수구

Claims (6)

  1.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부가 상기 케이스(100)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원두가루가 내장된 원두캡슐을 보관 및 배출하는 원두캡슐 이송부(110)와,

    상기 원두캡슐 이송부(110)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원두캡슐 이송부(110)에서 배출된 원두캡슐을 원두커피로 추출하는 원두커피 추출부(12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보관하는 물통(130)과,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통(130)에서 공급되는 물을 70~120℃의 온도로 가열하는 히터(14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140)에서 가열된 물을 펌핑하여 상기 원두커피 추출부(120)로 공급하는 펌프(150)를 포함하며,

    상기 원두캡슐 이송부(110)에 복수개의 상기 원두캡슐을 공급하면 상기 복수개의 원두캡슐 중 어느 하나를 배출시키며, 상기 배출된 원두캡슐은 상기 원두커피 추출부(120)에서 수용되어, 70~120℃의 물이 7~18bar의 압력으로 공급되며, 상기 원두캡슐 내부의 원두가루가 물에 희석되어 원두커피로 추출된 후, 사용된 원두캡슐이 회수되고,

    상기 원두커피 추출부(120)는 상기 원두캡슐 이송부(110)에서 배출된 상기 원두캡슐을 수용하는 원두캡슐 홀더(121)와, 상기 원두캡슐 홀더(121)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원두캡슐의 상부를 펀칭하고 물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제1핀이 구비된 상부 펀칭기(122)와, 상기 원두캡슐 홀더(121)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원두캡슐의 하부를 펀칭하고 사용된 원두캡슐을 배출시키는 제2핀이 구비된 하부 펀칭기(123)와, 상기 하부 펀칭기(123)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원두커피 추출부(120)의 원두커피 추출을 진행하기 위한 기어(124)와, 상기 기어(124)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원두캡슐 홀더(121)가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락킹구와, 상기 기어(124)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124)를 구동하기 위한 기어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펀칭기(122)는 물을 골고루 분사하기 위하여 물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상부 펀칭기(122)의 표면과 상기 복수개의 제1핀의 일부가 기설정된 깊이로 파여 있는 형태의 홈을 구비하는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내부에 우유 프림 및 카푸치노 크림 중 적어도 하나의 원료를 보관 및 배출하는 원료 배출부(16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두캡슐 이송부(110)는,
    원두가루가 내장된 원두캡슐을 복수개 보관할 수 있는 원두캡슐 보관함(111)과, 상기 원두캡슐 보관함(111)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원두캡슐 보관함(111)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112)과, 상기 턴테이블(112)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원두캡슐 중 어느 하나를 배출시키는 솔레노이드 배출구(113)를 포함하는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배출구(113)는,
    일측에 상기 원두캡슐을 하나씩 배출하기 위하여 원두캡슐 감지 및 턴테이블(112) 동작을 제어하는 포토인터럽터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40091697A 2014-07-21 2014-07-21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 KR101572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697A KR101572450B1 (ko) 2014-07-21 2014-07-21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697A KR101572450B1 (ko) 2014-07-21 2014-07-21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450B1 true KR101572450B1 (ko) 2015-11-27

Family

ID=54847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697A KR101572450B1 (ko) 2014-07-21 2014-07-21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4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7590A (zh) * 2018-07-17 2018-12-07 无锡鼎加弘思饮品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垂直落料的胶囊饮料冲泡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312A (ja) 1998-09-24 2000-04-04 Sanden Corp 粉末飲料密封カートリッジ格納装置
WO2008113459A1 (en) * 2007-03-22 2008-09-25 Bianchi Vending Group S.P.A. Apparatus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beverages from a powder contained in capsules
JP2013128559A (ja) * 2011-12-20 2013-07-04 Ucc Ueshima Coffee Co Ltd ミルクフォーミ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312A (ja) 1998-09-24 2000-04-04 Sanden Corp 粉末飲料密封カートリッジ格納装置
WO2008113459A1 (en) * 2007-03-22 2008-09-25 Bianchi Vending Group S.P.A. Apparatus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beverages from a powder contained in capsules
JP2013128559A (ja) * 2011-12-20 2013-07-04 Ucc Ueshima Coffee Co Ltd ミルクフォーミング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7590A (zh) * 2018-07-17 2018-12-07 无锡鼎加弘思饮品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垂直落料的胶囊饮料冲泡装置
CN108937590B (zh) * 2018-07-17 2020-11-17 无锡鼎加弘思饮品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垂直落料的胶囊饮料冲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5690B2 (en) Single serve brewing machine
JP5944946B2 (ja) コーヒー飲料を準備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6306165B2 (ja) 食用組成物調製用カプセル
EP2757926B1 (e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US9414710B2 (en) System for preparing a coffee beverage, ground coffee packaging cartridge for use with such a system,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by means of said system, and method of supplying ground coffee from said ground coffee packaging cartridge
RU2557749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фейного напитка, картридж упаковки молотого кофе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такой системой,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посредством упомянутой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 подачи молотого кофе из упомянутого картриджа упаковки молотого кофе
MX2013008840A (es) Un codigo de barras para una capsula de preparacion de bebidas.
EP30945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verage carafe detection
TW201509352A (zh) 飲料設備廢液槽水位偵測
KR101572450B1 (ko) 캡슐커피 이송 및 추출 장치
KR101598585B1 (ko) 캡슐커피머신용 캡슐 이송장치
EP3313244B1 (en) Capsule dispensing device
US20150257584A1 (en) Food preparation system
KR101582351B1 (ko) 캡슐커피머신용 커피 추출장치
EP3157396B1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refillable multi-dose container
KR20060111087A (ko) 분쇄공정 및 커피제조공정 수행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