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602B1 -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wireless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wireless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602B1
KR101567602B1 KR1020080105821A KR20080105821A KR101567602B1 KR 101567602 B1 KR101567602 B1 KR 101567602B1 KR 1020080105821 A KR1020080105821 A KR 1020080105821A KR 20080105821 A KR20080105821 A KR 20080105821A KR 101567602 B1 KR101567602 B1 KR 101567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wel
input
generated
character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8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46801A (en
Inventor
박세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5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602B1/en
Publication of KR20100046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8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6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터치키보드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터치 키 입력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이, 상기 터치 키 입력부의 해당 키 영역에 터치 입력이 발생된 이후 일정시간 이내에 드래그 입력이 발생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드래그 입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해당 키 영역에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키 영역에 배치된 자음에 해당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 및 상기 자음을 반복적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일정시간이내에 드래그 입력이 발생 되면, 상기 키 영역에 배치된 자음에 상기 드래그 방향에 대응되는 해당 모음들 중 특정 모음이 적용된 문자를 표시하고, 이후 상기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자음에 상기 해당 모음들 중 상기 특정 모음의 다음 모음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를 반복적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80105821

터치 키 입력부, 자음, 제1 - 제5 모음 군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in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using a touch keyboard implemented in a touch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In order to achieve this, a character input method in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touch key input unit and a touch screen including a display unit determines whether a drag input occur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a touch input is generated in a corresponding key area of the touch key input unit ; Repeatedly displaying characters and consonants sequentially applied to the consonants arranged in the key area whenever a touch input is generated in the corresponding key area if no drag input is gener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Wherein when a drag input is gener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a character to which a specific vow is applied among the vowels corresponding to the drag direction is displayed on a consonant arranged in the key region, and then, And repeatedly displaying the characters sequentially applied from the next vowel of the specific vowel among the vowels.

Figure R1020080105821

Touch key input unit, consonant, first to fifth vowel groups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WIRELESS TERMINAL}METHOD FOR INPUTING CHARACTER IN WIRELESS TERMINAL I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터치키 입력부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in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into a touch key input unit implemented in a touch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개인용 단말기의, 대표적인 예로 개인정보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가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PDA는 컴퓨터의 기본이 되는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 운영체제(OS : Operating System), 운용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주변기기를 갖추며, 정보수집, 저장, 작성, 검색기능을 수행 할 수 있는 기기로서, 근래에는 휴대폰 모듈을 탑재하여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복합기로서 발전하고 있다. A typical example of a personal terminal i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Generally, the PDA has a variety of software and peripherals based o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emory, an operating system (OS), and an operating system, And has been developed as a multifunctional apparatus capable of carrying out voice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using the Internet) by mounting a mobile phone module in recent years.

일반적으로, PDA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터치스크린은 표시부(LCD)과 그 위에 설치되는 터치패널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포인터를 가지고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터치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소정영역에 표시되는 터치키 입력부를 터치하여 문자 등을 입력한다. 이중 터치 키입력부에서 한글을 위한 입력방식은 자음과 모음을 모두 배치하고 이 중 자음을 선택하고 난 후 특정 영역에 있는 모음을 선택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하지만 LCD 사이즈 제약이 큰 모바일 기기에서 자음과 모음을 모두 표기한다는 것은 사용성에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Generally, the PDA includes a touch screen, which comprises a display unit (LCD) and a touch panel mounted thereon. Accordingly, the user may touch the ic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ith the finger or the pointer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or touch the touch key input unit displayed in the predetermined area to input characters or the like. The input method for Hangul in the dual touch key input section works by arranging both consonants and vowels, selecting a consonant among them, and then selecting a vowel in a specific area and processing. However, the fact that both consonants and vowels are displayed on a mobile device with a large LCD size constraint presents a lot of usability problem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 키 입력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100)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100 having a touch screen including a touch key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은 입력받은 문자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표시부(110)와 입력을 받는 터치 키 입력부(120)로 나뉘며, 상기 터치 키 입력부(120)에는 일반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이하 PC라 한다.)의 키 입력부 배열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PC의 키 입력부 배열방식을 상기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구현한 경우, 사용자는 터치 키 입력부(120)에서 하나의 키를 선택하고 자신이 선택한 키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신이 입력 중인 문자가 표시되는 표시부(110)를 왕복하여 보면서 입력을 하게 되는 방식을 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위,아래를 왕복하여 보는 문제로 인하여 문자 입력을 빠르게 하지 못하거나, 위를 보지 않고 아래만 보고 입력을 하여 오타를 인지하지 못하고 계속 입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1,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is divided into a display unit 110 for displaying input characters on a screen, and a touch key input unit 120 for receiving input. The touch key input unit 120 is connected to a general personal computer Compu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C). When the key input unit arrangement method of the PC is implement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e user selects one key from the touch key input unit 120 and inputs his or her input key So that the user can input the character while looking at the display unit 110 on which the character is being displayed. Accordingly, the user has difficulty in not performing the character input promptly due to the problem of reciprocating the up and down, or inputting only by looking down without seeing the above, and continuously inputting the input without recognizing the typo.

또한 종래의 터치 키 입력부(12)에서 일정 키 영역들에 대한 긋기를 수행하면 특정 문자가 출력되거나, 특정 기능이 수행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사용자는 이를 인지하지 못하게 되어, 좋은 기능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경험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ventional touch key input unit 12 draws out certain key areas, a certain character is output or a specific function is performed, but the user can not recognize the key, Has a problem that can not be experienced.

또한 상기 터치 키 입력부의 각각의 키 영역에 자음과 모음을 모두 배치함으 로 인하여 화면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키 영역의 셀 사이즈가 작아 사용자가 입력 중에 많은 오타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both the consonant and the vowel are arranged in each key region of the touch key input unit, the cell size of the key region that can be selected by the user on the screen is small, so that a lot of typos may occur during the input by the us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터치키 입력부로 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in a mobile terminal that can easily input a character into a touch key input unit implemented in a touch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터치 키 입력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이, 상기 터치 키 입력부의 해당 키 영역에 터치 입력이 발생된 이후 일정시간 이내에 드래그 입력이 발생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드래그 입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해당 키 영역에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키 영역에 배치된 자음에 해당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 및 상기 자음을 반복적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일정시간이내에 드래그 입력이 발생 되면, 상기 키 영역에 배치된 자음에 상기 드래그 방향에 대응되는 해당 모음들 중 특정 모음이 적용된 문자를 표시하고, 이후 상기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자음에 상기 해당 모음들 중 상기 특정 모음의 다음 모음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를 반복적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including a touch key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a drag input is genera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a touch input is generated in a corresponding key area of the touch key input unit A process of judging; Repeatedly displaying characters and consonants sequentially applied to the consonants arranged in the key area whenever a touch input is generated in the corresponding key area if no drag input is gener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Wherein when a drag input is gener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a character to which a specific vow is applied among the vowels corresponding to the drag direction is displayed on a consonant arranged in the key region, and then, And repeatedly displaying the characters sequentially applied from the next vowel of the specific vowel among the vowels.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터치 키 입력부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따라, 터치 키 입력부의 각각의 키 영역 크기가 2배 이상 커지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여러 곳을 이동하지 않고 한 곳에서 몇 번의 터치입력만으로 쉽게 입력할 수 있는 기술이 지원되게 되어 문자입력 시의 사용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into a touch key input unit implemented on a touch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the size of each key region of the touch key input unit is increased by two times or more, There is provided a technique for easily inputting a single character by touching only a few times without moving a plurality of places in order to input one character by using the finger, .

또한 현재 자신이 입력 중인 문자가 어떤 상황에 있는지를 표시부를 보지 않고 알 수 있게 됨으로 빠른 입력을 도와줄 수 있게 되었고, 자신이 선택한 지점에서 현재 조합 중인 정보 또는 현재 입력 중인 정보 또는 현재 긋기를 통해 입력 가능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 줌으로서 터치스크린 문자 입력 시 화면 위, 아래를 번갈아 보지 않아도 되고, 긋기를 지원하는 키인지, 긋기를 수행하면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를 알 수 있게 되어 종전에 비해 직관적이고 사용성이 높아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know the status of the character currently inputting by himself / herself without looking at the display part, it is possible to help the quick input, and it is possible to input the information currently being combined, information currently being input, By showing the possible information to the user, it is not necessary to alternate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the screen when inputting the touch screen character, and it is possible to know what result is obtained by carrying out the key supporting the flicker, and the result is intuitive and usab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ncreas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nfigurations of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는 각각의 키 영역에 자음만이 배치된 터치 키 입력부를 구비하며, 해당 키 영역의 터치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을 통해 자음과 적용되는 제1 모음 군 -제5 모음 군을 포함한다.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key input unit having only individual consonants is disposed in each key area, and a first vowel group-a fifth vowel group-applied as a consonant through a touch input or a drag input, ≪ / RTI >

상기 제1 모음 군은 [ㅣ, ㅡ, ㅢ ]로 구성된다. 상기 제2 모음 군은 "ㅏ"를 포함하는 모음 군으로 모든 모음들이 "ㅏ"로 시작되어 다른 모음이 조합되는 경우로써 [ㅏ,ㅑ, ㅐ, ㅒ]로 구성된다. 또한 "ㅏ"에서 "." 의 위치가 "l"의 우측방향에 있음으로, 상기 제2 모음 군의 모음들이 해당 자음과 적용되기 위한 드래그 입력방향은 우측방향이다. The first vowel group is composed of [?,?,?]. The second vowel group is a vowel group that includes "a", and all vowels are composed of [a, ㅑ, ㅐ, ㅒ] when the other vowels are combined starting from "a". Also, since the position of " . " In "a" is in the right direction of "l", the drag input direction for applying the vowel of the second vowel group to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s the rightward direction.

상기 제3 모음 군은 "ㅜ"를 포함하는 모음 군으로 모든 모음들이 "ㅜ"로 시작되어 다른 모음이 조합되는 경우로써[ㅜ, ㅠ, ㅟ, ㅝ, ㅞ]로 구성된다. 또한 "ㅜ"에서 "." 의 위치가 "ㅡ"의 하측방향에 있음으로, 상기 제3 모음 군의 모음들이 해당 자음과 적용되기 위한 드래그 입력방향은 하측방향이다. The third vowel group is a vowel group including "ㅜ", and all vowels are composed of [ㅜ, ㅠ, ㅟ, ㅝ, ㅞ]. Also, since the position of " . " In "T" is in the lower direction of "- ", the drag input direction for applying the vowel of the third vowel group to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s the lower direction.

상기 제4 모음 군은 "ㅓ"를 포함하는 모음 군으로 모든 모음들이 "ㅓ"로 시작되어 다른 모음이 조합되는 경우로써[ㅓ, ㅕ, ㅔ, ㅖ]로 구성된다. 또한 "ㅓ"에서 "." 의 위치가 "l"의 좌측방향에 있음으로, 상기 제4 모음 군의 모음들이 해당 자음과 적용되기 위한 드래그 입력방향은 좌측방향이다. The fourth vowel group is a vowel group including "ㅓ", and all vowels are composed of [ㅓ, ㅕ, ㅔ, ㅖ] in which other vowels are combined starting from "ㅓ". Also, since the position of " . " In "ㅓ" is in the left direction of "l", the drag input direction for applying the vowels of the fourth vowel group to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s the leftward direction.

상기 제5 모음 군은 "ㅗ"를 포함하는 모음 군으로 모든 모음들이 "ㅗ"로 시작되어 다른 모음이 조합되는 경우로써[ㅗ, ㅛ, ㅚ, ㅘ, ㅙ]로 구성된다. 또한 "ㅗ"에서 "." 의 위치가 "ㅡ"의 상측방향에 있음으로, 상기 제5 모음 군의 모음들이 해당 자음과 적용되기 위한 드래그 입력방향은 상측방향이다. The fifth vowel group is a vowel group including "ㅗ", and all vowels are composed of [ㅗ, ㅛ, ㅚ, ㅘ, ㅙ].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 . " In "ㅗ" is in the upper direction of "ㅡ", the direction of the drag input for applying the vowel of the fifth vowel group to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s the upward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해당 키 영역의 터치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을 통해 자음과 적용되는 제2-1 모음 군 -제5-1 모음 군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vowel group-fifth-vowel group applied with consonants through a touch input or a drag input of the corresponding key region.

상기 제2-1 모음 군은 상기 제2 모음 군의 일부 모음들로써 [ㅐ, ㅒ]로 구성되며, 상기 제2-1 모음 군의 모음들이 해당 자음과 적용되기 위한 드래그 입력방법은 해당 키 영역에서 우측방향 드래그입력 이후 일정시간 내 좌측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해당 키 영역으로 복귀하는 것이다. The second-1 vowel group is composed of [ㅐ, 로] as some vowels of the second vowel group, and the drag input method for applying the vowels of the second-1 vowel group to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s composed of And then returns to the corresponding key region through a left drag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rightward drag input.

상기 제3-1 모음 군은 상기 제3 모음 군의 일부 모음들로써 [ㅟ, ㅝ, ㅞ]로 구성되며, 상기 제3-1 모음 군의 모음들이 해당 자음과 적용되기 위한 드래그 입력방법은 해당 키 영역에서 하측방향 드래그입력 이후 일정시간 내 상측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해당 키 영역으로 복귀하는 것이다. The third-first vowel group is composed of [ㅟ, ㅝ, 로] as some vowels of the third vowel group, and the drag input method for applying the vowels of the third- And then returns to the corresponding key region through an upper drag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dragging downward in the region.

상기 제4-1 모음 군은 상기 제4 모음 군의 일부 모음들로써 [ㅔ, ㅖ]로 구성되며, 상기 제4-1 모음 군의 모음들이 해당 자음과 적용되기 위한 드래그 입력방법은 해당 키 영역에서 좌측방향 드래그입력 이후 일정시간 내 우측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해당 키 영역으로 복귀하는 것이다. The 4-1 vowel group is composed of [ㅔ, ㅖ] as some vowels of the 4 vowel group, and the drag input method for applying the vowels of the 4-1 vowel group to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s composed of And then returns to the corresponding key region through a right drag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dragging in the left direction.

상기 제5-1 모음 군은 상기 제5 모음 군의 일부 모음들로써 [ㅚ, ㅘ, ㅙ]로 구성되며, 상기 제5-1 모음 군의 모음들이 해당 자음과 적용되기 위한 드래그 입력방법은 해당 키 영역에서 상측방향 드래그입력 이후 일정시간 내 하측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해당 키 영역으로 복귀하는 것이다. The fifth-vowel group is composed of [ㅚ, ㅘ, 로] as some vowels of the fifth vowel group, and the drag input method for applying the vowels of the fifth- And then returns to the corresponding key region through a downward drag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dragging in the upward direction in the region.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a-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의 터치 키 입력부를 통해 문자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a-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터치 키 입력부를 통해 문자입력을 설명하 기 위한 도면이다.FIGS. 2A and 2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process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to 3E illustrate 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through a touch key input uni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haracter input through a touch key input uni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기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3a와 같은 터치 키 입력부 중 해당 키 영역에 터치입력이 발생되면, 휴대단말기의 제어부(미도시)는 2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일정 시간 내에 드래그 입력이 발생되는지 판단한다. Referring to FIG. 2A, when a touch input is generated in the corresponding key region of the touch key input unit as shown in FIG. 3A, the controller (not shown) of the portable terminal senses the touch in step 201 and generates a drag input .

상기 일정 시간 이내에 드래그 입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2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해당 키 영역에 배치된 자음에 제1 모음 군 중 첫 번째 모음인 "ㅣ"가 적용된 문자를 휴대단말기의 표시부(미도시)에 표시하는 203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해당 키 영역에는 터치입력이 재 발생될 때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터치 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당 자음에 상기 제1 모음 군의 두 번째 모음(ㅡ)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와 해당 자음을 반복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204단계를 진행한다.If the drag input is not gener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senses the key input in step 202 and displays a character to which the first vowel of the first vowel group, "l, " is applied, (Not shown). At this time, the key area displays the next character that can be displayed when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again. Then, each time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repeatedly displays the characters and corresponding consonants sequentially applied from the second vowel of the first vowel group on the display unit.

예를 들어, "ㅂ"이 배치된 키 영역에 터치입력만이 발생되면, 상기 표시부 에는 "ㅂ"에 제1 모음 군의 첫 번째 모음인 "l"가 적용된 문자"비"가 표시되 고, 이때 상기 키 영역에는 다시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인 "브"가 표시된다. 따라서 이후 상기 키 영역에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ㅂ"에 상기 제1 모음 군의 두 번째 모음(ㅡ)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와 해당 자음인 "브" -> "브ㅣ"-> "ㅂ"->"비"를 반복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키 영역에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인"브ㅣ"-> "ㅂ"->"비" -> "브"가 반복적으로 표시된다.For example, if only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in the key region in which "F" is arranged,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letter "ratio " to which" At this time, when the touch input is again generated in the key area, the next character "b"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Therefore, every time a touch input is generated in the key area, the characters sequentially applied from the second vowel of the first vowel group and the corresponding consonants of "v" -> "v" -> Quot; - " - "" is repeatedly displayed on the display section. At this time, the key area is repeatedly displayed the next character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 b "->" b "

그러나 상기 일정 시간 이내에 드래그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2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 방향을 확인하는 20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방향이 우측방향임이 판단되면 상기 2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일정시간 내 좌측방향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키 영역으로 복귀하여 다시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지 판단한다.However, if the drag input is gener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detects the drag input in step 202 and proceeds to step 205 to confirm the drag input directio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05 that the drag input direction is the right direction, the controller detects it in step 206 and returns to the key area through a leftward drag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o determine whether a touch input is again generated.

상기 일정시간 내에 상기 키 영역으로 복귀하여 다시 터치 입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2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해당 키 영역에 배치된 자음에 제2 모음 군 중 첫 번째 모음인 "ㅏ"가 적용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208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해당 키 영역에는 터치입력이 재 발생될 때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터치 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당 자음에 상기 제2 모음 군의 두 번째 모음(ㅑ)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를 반복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209단계를 진행 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207 that the touch input is not generated again, the controller returns to the key area within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if the first vowel "a" of the second vowel group is applied to the consonants arranged in the corresponding key area The charact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t this time, the key area displays the next character that can be displayed when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again. Then, the control unit repeatedly displays the characters sequentially applied from the second vowel of the second vowel group on the display unit every time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ㅂ"이 배치된 키 영역(a1)에 터치입력이 발생되고 일정시간 이내에 우측방향의 드래그 입력이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에는 "ㅂ"에 제2 모음 군의 첫 번째 모음인 "ㅏ"가 적용된 문자"바"가 표시되고, 이때 상기 키 영역에는 다시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인 "뱌"(a3)가 표시된다. 따라서 이후 상기 키 영역에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ㅂ"에 상기 제2 모음 군의 두 번째 모음(ㅑ)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 "뱌" -> "배"-> "ㅂㅒ"-> "바"를 반복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다. 이때 상기 키 영역에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인"배"(a4) -> "ㅂㅒ"(a5)-> " 바"(a2)->"뱌"(a3)가 반복적으로 표시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a touch input is generated in the key area a1 in which "F" is arranged and drag input in the right direction is determin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display unit displays " A character "bar" to which the first vowel "a" is applied is displayed. At this time, when the touch input is again generated in the key area, the next character "a3" which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Therefore, every time a touch input is generated in the key area, the character "뱌" -> "times" -> "ㅒ ㅒ" -> applied sequentially from the second vowel (ㅑ) > "Bar" is repeated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t this time, in the key area, the next character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repeatedly displayed (a4) -> "a" -> "bar" (a2) -> "a3" do.

또는 상기 일정시간 내 좌측방향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키 영역으로 복귀하여 다시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2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해당 키 영역에 배치된 자음에 제2-1 모음 군 중 첫 번째 모음인 "ㅐ"가 적용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210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해당 키 영역에는 터치입력이 재 발생될 때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터치 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당 자음에 상기 제2-1 모음 군의 두 번째 모음(ㅒ)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를 반복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211단계를 진행 한다.Alternatively, if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again after returning to the key area through the leftward drag input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senses the touch input in step 207 and notifies the consonant disposed in the corresponding key area And then proceeds to step 210 to display the character to which the first vowel "ㅐ" is applied on the display unit. At this time, the key area displays the next character that can be displayed when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again. Thereafter, every time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the controller repeatedly displays on the display unit the characters sequentially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consonant from the second vowel of the second-first vowel group (step 211).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ㅂ"이 배치된 키 영역(b1)에 터치입력 이후 일정시간 이내에 우측방향의 드래그 입력이 판단되고, 다시 일정시간 내 좌측방향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키 영역(b1)으로 복귀하여 다시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표시부에는 "ㅂ"에 제2-1 모음 군의 첫 번째 모음인 "ㅐ"가 적용된 문자"배"가 표시된다. 이때 상기 키 영역에는 다시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인 "ㅂㅒ"(b2)가 표시된다. 따라서 이후 상기 키 영역에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ㅂ"에 상기 제2-1 모음 군의 두 번째 모음(ㅒ)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 "ㅂㅒ" -> "배"를 반복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다. 이때 상기 키 영역에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인 "배"(b3)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a drag operation in the right direction is determin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touch input in the key area b1 in which "F" is arranged, ), And when a touch input is generated again, the display unit displays a character "double" to which "ㅐ" is applied, which is the first vowel of the second-first vowel group, to "F". At this time, when the touch input is again generated in the key area, the next character 'b' (b2)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Accordingly, every time a touch input is generated in the key area, the character "x" -> "times" sequentially applied from the second vowel (vii) of the secon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t this time, in the key area, the next character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fold" (b3) -> "

ㅂㅒ"(b2)가 반복적으로 표시된다.(B2) is repeatedly displayed.

상기와 같이 해당 자음에 제2 모음 군의 일부로 구성된 제2-1 모음 군의 모 음들을 적용하여 문자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제2 모음 군을 적용할 때는 적어도 세 번의 터치 입력을 통해 표시될 문자("배")가 한번의 터치 입력을 통해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vowel group is applied, characters to be displayed through at least three touch inputs are displayed by applying the vowels of the second-first vowel group composed of a part of the second vowel group to the corresponding consonant as described above, Quot;) can display a character through a single touch input.

또한 상기 일정 시간 이내에 발생된 드래그 입력 방향이 하측방향이면, 상기 제어부는 21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다시 일정시간 내 상측방향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키 영역으로 복귀하여 다시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지 판단한다.If the drag input direction gener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is the downward direction, the controller senses the drag direction in step 212 and returns to the key area through the upward direction drag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o determine whether a touch input is again generated.

상기 일정시간 내에 상기 키 영역으로 복귀하여 다시 터치 입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2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해당 키 영역에 배치된 자음에 제3 모음 군 중 첫 번째 모음인 "ㅜ"가 적용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214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해당 키 영역에는 터치입력이 재 발생될 때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터치 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당 자음에 상기 제3 모음 군의 두 번째 모음(ㅠ)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를 반복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215단계를 진행 한다.If the touch input is not generated again within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controller detects the key input in step 213 and applies the first vowel "tl" of the third vowel group to the consonants arranged in the corresponding key area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14 in which character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t this time, the key area displays the next character that can be displayed when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again. Then, each time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repeatedly displays on the display unit the characters sequentially applied from the second vowel of the third vowel group to the corresponding consonant.

예를 들어, "ㅂ"이 배치된 키 영역에 터치입력이 발생되고 일정시간 이내에 하측방향의 드래그 입력이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에는 "ㅂ"에 제3 모음 군의 첫 번째 모음인 "ㅜ"가 적용된 문자"부"가 표시되 고, 이때 상기 키 영역에는 다시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인 "뷰"가 표시된다. 따라서 이후 상기 키 영역에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ㅂ"에 상기 제3 모음 군의 두 번째 모음(ㅠ)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 "뷰" -> "뷔"-> "붜"-> "붸"-> "부"를 반복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다. 이때 상기 키 영역에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인 "뷔"-> "붜"-> "붸"-> "부"-> "뷰"가 반복적으로 표시된다.For example, if a touch input is generated in a key region in which "F" is disposed and drag input in the downward direction is determin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display unit displays " The applied character "part" is displayed, and the key area is displayed with the next character "view"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art when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again. Therefore, each time a touch input is generated in the key area, the character "view" -> "big" -> "붜" -> which is sequentially applied from the second vowel of the third vowel group to the " "" - """ is repeatedly displayed on the display section. At this time, the key area is repeatedly displayed with the following characters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ig" -> "붜" -> "v" -> "part" -> "view".

또는 상기 일정시간 내 상측방향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키 영역으로 복귀하여 다시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2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해당 키 영역에 배치된 자음에 제3-1 모음 군 중 첫 번째 모음인 "ㅟ"가 적용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216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해당 키 영역에는 터치입력이 재 발생될 때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터치 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당 자음에 상기 제3-1 모음 군의 두 번 째 모음(ㅝ)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를 반복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217단계를 진행 한다.Alternatively, if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again after returning to the key area through the upward direction dragging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detects it in step 213, and recognizes the consonant arranged in the corresponding key area And then proceeds to step 216 to display the character to which the first vowel "" is applied on the display unit. At this time, the key area displays the next character that can be displayed when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again. Then, every time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repeatedly displays the characters sequentially applied from the second vowel of the third-vowel group to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n step 217.

예를 들어,"ㅂ"이 배치된 키 영역에 터치입력 이후 일정시간 이내에 하측방향의 드래그 입력이 판단되고, 다시 일정시간 내 상측방향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키 영역으로 복귀하여 다시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표시부에는 "ㅂ"에 제3-1 모음 군의 첫 번째 모음인 "ㅟ"가 적용된 문자"뷔"가 표시된다. 이때 상기 키 영역에는 다시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인 "붜"가 표시된다. 따라서 이후 상기 키 영역에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ㅂ"에 상기 제3-1 모음 군의 두 번째 모음(ㅠ)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 "붜" -> "붸"-> "뷔"를 반복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며, 이때 상기 키 영역에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 인 "붸"-> "뷔"-> "붜"가 반복적으로 표시 된다.For example, if the dragging of the downward direction is determin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touch input in the key region in which the "F" is disposed, the touch input is again generated by returning to the key region through the upward direction drag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 The display portion displays the letter "Big" to which "F" is applied, which is the first vowel of the 3-1 vowel group. At this time, when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again in the key area, the next character "붜"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Therefore, every time a touch input is generated in the key area, the letters "붜" -> "" "->" 뷔 ", which are sequentially applied from the second vowel of the 3-1 vowel group to the" Is repeated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t this time, the next characters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re repeatedly displayed in the key area.

상기와 같이 해당 자음에 제3 모음 군의 일부로 구성된 제3-1 모음 군의 모음들을 적용하여 문자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제3 모음 군을 적용할 때는 적어도 세 번의 터치 입력을 통해 표시될 문자("뷔")가 한번의 터치 입력을 통해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3-1) vowel group composed of a part of the third vowel group is applied to the consonant as described above so that when the third vowel group is applied, a character (" Quot; can display a character through a single touch input.

상기 도 2b를 참조하여, 상기 일정 시간 이내에 발생된 드래그 입력 방향이 좌측방향이면, 상기 제어부는 21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다시 일정시간 내 우측 방향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키 영역으로 복귀하여 다시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지 판단한다.Referring to FIG. 2B, if the drag input direction gener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is the left direction, the controller detects it in step 218 and returns to the key area through a rightward drag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gain, .

상기 일정시간 내에 상기 키 영역으로 복귀하여 다시 터치 입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2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해당 키 영역에 배치된 자음에 제4 모음 군 중 첫 번째 모음인 "ㅓ"가 적용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220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해당 키 영역에는 터치입력이 재 발생될 때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터치 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당 자음에 상기 제4 모음 군의 두 번째 모음(ㅕ)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를 반복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221단계를 진행 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219 that the touch input is not generated again after returning to the key area within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control unit detects that the first vowel of the fourth vowel group " And proceeds to step 220 to display the character on the display unit. At this time, the key area displays the next character that can be displayed when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again. Then, each time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repeatedly displays on the display unit the characters sequentially applied from the second vowel of the fourth vowel group to the corresponding consonant.

예를 들어, "ㅂ"이 배치된 키 영역에 터치입력이 발생되고 일정시간 이내에 좌측방향의 드래그 입력이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에는 "ㅂ"에 제4 모음 군의 첫 번째 모음인 "ㅓ"가 적용된 문자"버"가 표시되 고, 이때 상기 키 영역에는 다시 터치 입력이 발생될 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인 "벼"가 표시된다. 따라서 이후 상기 키 영역에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ㅂ"에 상기 제4 모음 군의 두 번째 모음(ㅕ)부터 적용된 문자 "벼" -> "베"-> "볘"-> "버"를 반복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며, 이때 상기 키 영역에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인 "베"-> "볘"-> "버"-> "벼"가 반복적으로 표시된다.For example, if a touch input is generated in a key area in which "F" is arranged and drag input in a left direction is determin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display unit displays " The applied character "bur" is displayed. At this time, "rice" which is the next character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when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again. Therefore, each time a touch input is generated in the key area, the letter " - "-" - "-" ", applied from the second vowel "- >" bur "- >" rice "are repeatedly displayed in the key area.

또는 상기 일정시간 내 우측방향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키 영역으로 복귀하여 다시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2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해당 키 영역에 배치된 자음에 제4-1 모음 군 중 첫 번째 모음인 "ㅔ"가 적용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222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해당 키 영역에는 터치입력이 재 발생될 때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터치 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당 자음에 상기 제4-1 모음 군의 두 번 째 모음(ㅖ)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를 반복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223단계를 진행 한다.Or if the touch input is again generated by returning to the key area through the rightward drag input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detects it in step 219, and recognizes the consonant arranged in the corresponding key area And then proceeds to step 222 to display the character to which the first vowel "ㅔ" is applied on the display unit. At this time, the key area displays the next character that can be displayed when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again. Then, each time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the controller repeatedly displays on the display unit the characters sequentially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consonant from the second vowel of the 4-1 vowel group, in step 223.

예를 들어,"ㅂ"이 배치된 키 영역에 터치입력 이후 일정시간 이내에 좌측방향의 드래그 입력이 판단되고, 다시 일정시간 내 우측방향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키 영역으로 복귀하여 다시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표시부에는 "ㅂ"에 제4-1 모음 군의 첫 번째 모음인 "ㅔ"가 적용된 문자"베"가 표시된다. 이때 상기 키 영역에는 다시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인 "볘"가 표시된다. 따라서 이후 상기 키 영역에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ㅂ"에 상기 제4-1 모음 군의 두 번째 모음(ㅖ)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 "볘" -> "베"를 반복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며, 이때 상기 키 영역에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 인 "베"-> "볘"가 반복적으로 표시된다.For example, if the dragging of the left direction is determin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touch input in the key area in which "F" is arranged, the touch area is again returned to the key area through the rightward drag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letter "ber" to which "f" is applied as the first vowel of the 4-1 vowel group. At this time, when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again in the key area, the next character "볘"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Therefore, every time a touch input is generated in the key area, the character "" - > "Bee" sequentially applied from the second vowel of the 4-1 vowel group to the " Quot ;, " " " "which is the next character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repeatedly displayed in the key area.

상기와 같이 해당 자음에 제4 모음 군의 일부로 구성된 제4-1 모음 군의 모음들을 적용하여 문자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제4 모음 군을 적용할 때는 적어도 세 번의 터치 입력을 통해 표시될 문자("베")가 한번의 터치 입력을 통해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4-1) vowel group composed of a part of the fourth vowel group is applied to the consonant as described above, so that when the fourth vowel group is applied, a character (" Can display a character through a single touch input.

또한 상기 일정 시간 이내에 발생된 드래그 입력 방향이 상측방향이면, 상기 제어부는 22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다시 일정시간 내 하측 방향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키 영역으로 복귀하여 다시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지 판단한다.Also, if the drag input direction gener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is the upward direction, the controller detects it in step 224 and returns to the key area through the downward drag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gain to determine whether a touch input is again generated.

상기 일정시간 내에 상기 키 영역으로 복귀하여 다시 터치 입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2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해당 키 영역에 배치된 자음에 제5 모음 군 중 첫 번째 모음인 "ㅗ"가 적용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226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해당 키 영역에는 터치입력이 재 발생될 때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터치 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당 자음에 상기 제5 모음 군의 두 번째 모음(ㅛ)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를 반복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227단계를 진행 한다. If the touch input is not generated again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the controller detects it in step 225 and applies a first vowel of the fifth vowel group to the consonants arranged in the corresponding key area,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26 in which character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t this time, the key area displays the next character that can be displayed when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again. Then, each time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repeatedly displays characters applied sequentially from the second vowel of the fifth vowel group to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n step 227.

예를 들어, "ㅂ"이 배치된 키 영역에 터치입력이 발생되고 일정시간 이내에 상측방향의 드래그 입력이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에는 "ㅂ"에 제5 모음 군의 첫 번째 모음인 "ㅗ"가 적용된 문자"보"가 표시되 고, 이때 상기 키 영역에는 다시 터치 입력이 발생될 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인 "뵤 "가 표시된다. 따라서 이후 상기 키 영역에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ㅂ"에 상기 제4 모음 군의 두 번째 모음(ㅛ)부터 적용된 문자 "뵤 " -> "뵈"-> "봐"-> "봬"->"보"를 반복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며, 이때 상기 키 영역에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인 "뵈"-> "봐"-> "봬"->"보"-> "뵤 "가 반복적으로 표시된다.For example, if a touch input is generated in a key region in which "F" is disposed and drag input in the upward direction is determin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display unit displays " The applied character "beam" is displayed. At this time, when the touch input is again generated in the key area, the next character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Therefore, each time a touch input is generated in the key area, the character "뵤" -> "" "->" look "->" 봬 "applied from the second vowel of the fourth vowel group to the" "->" Bo "->" Bo "->" Bo "->" Bo "- is repeated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뵤" is repeatedly displayed.

또는 상기 일정시간 내 하측방향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키 영역으로 복귀하여 다시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2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해당 키 영역에 배치된 자음에 제5-1 모음 군 중 첫 번째 모음인 "ㅚ"가 적용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228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해당 키 영역에는 터치입력이 재 발생될 때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터치 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당 자음에 상기 제5-1 모음 군의 두 번 째 모음(ㅘ)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를 반복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229단계를 진행 한다.Alternatively, if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again after returning to the key area through the downward drag input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senses it in step 225 and informs the consonant arranged in the corresponding key area And then proceeds to step 228 to display the character to which the first vowel "" is applied on the display unit. At this time, the key area displays the next character that can be displayed when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again. Then, each time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repeatedly displays the characters sequentially applied from the second vowel of the fifth vowel group to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n step 229.

예를 들어,"ㅂ"이 배치된 키 영역에 터치입력 이후 일정시간 이내에 상측방향의 드래그 입력이 판단되고, 다시 일정시간 내 하측방향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키 영역으로 복귀하여 다시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표시부에는 "ㅂ"에 제5-1 모음 군의 첫 번째 모음인 "ㅚ"가 적용된 문자"뵈"가 표시된다. 이때 상기 키 영역에는 다시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인 "봐"가 표시된다. 따라서 이후 상기 키 영역에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ㅂ"에 상기 제5-1 모음 군의 두 번째 모음(ㅘ)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 "봐" -> "봬" -> "뵈"를 반복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며, 이때 상기 키 영역에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는 다음 문자 인 "봬" -> "뵈"-> "봐"가 반복적으로 표시된다.For example, if the dragging of the upper direction is determin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touch input in the key region in which "F" is disposed, the touch input is again generated by returning to the key region through the downward drag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letter "V " to which" F "is applied, which is the first vowel of the 5-1 vowel group. At this time, when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again in the key area, the next character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Therefore, each time a touch input is generated in the key area, the character "look" -> "봬" -> "see" applied sequentially from the second vowel (ㅘ) Quot; - "- " -" look "are repeatedly displayed in the key area at this time.

상기와 같이 해당 자음에 제5 모음 군의 일부로 구성된 제5-1 모음 군의 모음들을 적용하여 문자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제5 모음 군을 적용할 때는 적어도 세 번의 터치 입력을 통해 표시될 문자("뵈")가 한번의 터치 입력을 통해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5-1) vowel group composed of a part of the fifth vowel group is applied to the consonant as described above, and when the fifth vowel group is applied, a character (" ) Can display characters through a single touch input.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 키 입력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touch screen including a touch key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FIG. 2A and FIG. 2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process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터치 키 입력부를 통해 문자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S. 3A to 3E are diagrams for explaining character input through the touch key input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a-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터치 키 입력부를 통해 문자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A to 4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character input through a touch key input uni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터치 키 입력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에서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key input unit and a touch screen including a display unit, 상기 터치 키 입력부의 해당 키 영역에 터치 입력이 발생된 이후 일정시간 이내에 드래그 입력이 발생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a drag input is genera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a touch input is generated in a corresponding key region of the touch key input unit;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드래그 입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해당 키 영역에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키 영역에 배치된 자음에 해당 모음들이 순차적 으로 적용된 문자 및 상기 자음을 반복적으로 표시하는 과정과,Repeatedly displaying characters and consonants sequentially applied to the consonants arranged in the key region whenever a touch input is generated in the corresponding key region if no drag input is gener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상기 일정시간이내에 드래그 입력이 발생 되면, 상기 키 영역에 배치된 자음에 상기 드래그 방향에 대응되는 해당 모음들 중 특정 모음이 적용된 문자를 표시하고, 이후 상기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자음에 상기 해당 모음들 중 상기 특정 모음의 다음 모음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를 반복적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Wherein when a drag input is gener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a character to which a specific vow is applied among the vowels corresponding to the drag direction is displayed on a consonant arranged in the key region, and then, And repeatedly displaying characters sequentially applied from a next vowel of the specific vowel among the vowel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입력의 발생에 따른 문자입력 과정이,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step of inputting characters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drag input comprises: 상기 드래그 입력이 발생 되면,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드래그 입력과 반대 방향의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해당 키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재 발생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a touch input is generated again in the corresponding key region through a drag inpu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rag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drag input is generated; 상기 해당 키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재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키 영역에 배치 된 자음에 상기 드래그 방향에 대응되는 해당 모음들 중 첫 번째 모음이 적용된 문자를 표시하고, 이후 상기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자음에 상기 해당 모 음들 중 두 번째 모음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를 반복적으로 표시하는 과정과,Wherein when a touch input is not generated again in the corresponding key region, a character to which a first vowel is applied among corresponding vowels corresponding to the drag direction is displayed on consonants arranged in the key region, Repeatedly displaying characters sequentially applied to the consonants starting from a second vowel of the corresponding vowels; 상기 해당 키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재 발생되면, 상기 키 영역에 배치된 자음에 상기 드래그 방향에 대응되는 해당 모음들 중 일부로 구성된 모음들에서 첫 번째 모음이 적용된 문자를 표시하고, 이후 상기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자음에 상기 일부로 구성된 모음들에서 두 번째 모음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를 반복적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Wherein when the touch input is re-generated in the corresponding key region, a character to which a first vowel is applied is displayed in a vowel composed of some of the vowels corresponding to the drag direction to a consonant arranged in the key region, And repeatedly displaying the characters sequentially applied from the second vowel in the vowels configured as a part of the consonant every time the vowel is generated. 제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해당 모음들은, [ㅣ, ㅡ, ㅢ ]로 구성된 제1 모음 군이며;The corresponding vowels are a first vowel group composed of [?,?,?]; 상기 드래그 방향에 대응되는 해당 모음들은, [ㅏ,ㅑ, ㅐ, ㅒ]로 구성된 제2 모음 군과, [ㅜ, ㅠ, ㅟ, ㅝ, ㅞ]로 구성된 제3 모음 군과, [ㅓ, ㅕ, ㅔ, ㅖ]로 구성된 제4 모음 군과, [ㅗ, ㅛ, ㅚ, ㅘ, ㅙ]로 구성된 제5 모음 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The corresponding vowels corresponding to the drag direction are a second vowel group consisting of [a, ㅑ, ㅐ, ㅒ], a third vowel group composed of [ㅜ, ㅠ, ㅟ, ㅝ, ㅞ] , ㅔ, ㅖ], and a fifth vowel group composed of [ㅗ, ㅛ, ㅚ, ㅘ, ㅙ]. 제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해당 모음들 중 일부로 구성된 모음들은, [ㅐ, ㅒ]로 구성된 제2-1 모음 군과, [ㅟ, ㅝ, ㅞ]로 구성된 제3-1 모음 군과, [ㅔ, ㅖ]로 구성된 제4-1 모음 군과, [ㅚ, ㅘ, ㅙ]로 구성된 제5-1 모음 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The vowels constituted by some of the above vowels are composed of a 2-1 vowel group consisting of [ㅐ, ㅒ], a 3-1 vowel group composed of [ㅟ, ㅝ, ㅞ], and a group consisting of [ㅔ, ㅖ] A 4-1 vowel group, and a 5-1 vowel group composed of [ㅚ, ㅘ, ㅙ]. 제2 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2 모음 군은 상기 드래그 입력이 우측방향일 때 적용되며, 상기 제3 모음 군은 상기 드래그 입력이 하측방향일 때 적용되며, 상기 제4 모음 군은 상기 드래그 입력이 좌측방향일 때 적용되며, 상기 제5 모음 군은 상기 드래그 입력이 상측방향일 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The second vowel group is applied when the drag input is in the right direction, the third vowel group is applied when the drag input is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fourth vowel group is applied when the drag input is in the leftward direction , And the fifth vowel group is applied when the drag input is in an upward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터치 키 입력부에서 문자입력을 위한 각각의 키 영역에는 자음만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Wherein only the consonants are arranged in the respective key regions for inputting characters in the touch key input unit. 제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자음에 상기 해당 모음들이 적용된 문자가 상기 표시부 및 상기 해당 키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And a character to which the corresponding vowel is appli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corresponding key region in the consonant. 제7 항에 있어서, 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표시부에서 터치입력 발생에 따라 상기 자음에 상기 해당 모음이 적용된 문자가 표시될 때, 상기 해당 키 영역에서는 터치 입력이 재 발생될 때 입력될 수 있는 다음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Wherein when a character to which the corresponding vowel is applied is displayed on the consonant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a touch input on the display unit, a next character that can be input when the touch input is re-generated is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key region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키 입력부에서 문장입력을 위한 각각의 키 영역에 자음을 배치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ㅣ, ㅡ, ㅢ]로 구성된 제1 모음 군, [ㅏ,ㅑ, ㅐ, ㅒ]로 구성된 제2 모음 군, [ㅜ, ㅠ, ㅟ, ㅝ, ㅞ]로 구성된 제3 모음 군, [ㅓ, ㅕ, ㅔ, ㅖ]로 구성된 제4 모음 군 및 [ㅗ, ㅛ, ㅚ, ㅘ, ㅙ]로 구성된 제5 모음 군을 포함 할 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rranging consonants in respective key areas for inputting a sentence in the touch key input part,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generates a first vowel group consisting of [?,?, ㅓ, ㅛ, ㅔ, ㅒ), the third vowel group consisting of [ㅜ, ㅠ, ㅟ, ㅝ, ㅞ] ㅘ, ㅙ] in the second vowel group, 상기 해당 키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해당 키 영역에 해당 자음을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a corresponding consonant in the corresponding key region when a touch input is generated in the corresponding key region; 일정시간 내에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터치 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제1 모음 군 의 [ㅣ, ㅡ, ㅢ ]이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와 상기 해당 자음을 반복적으로 표시하는 과정과,When a touch input is genera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repeatedly displaying a character to which the [ㅣ, ㅡ, ㅢ] sequentially applied to the first vowel group and the corresponding consonant are repeated each time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상기 일정시간 내에 드래그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드래그 입력의 방향을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a direction of the drag input when the drag input is gener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상기 드래그 입력이 우측방향이면, 상기 해당 자음에 상기 제2 모음군의 첫 번째 모음인 [ㅏ]가 적용된 문자를 표시하고, 이후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제2 모음 군의 두 번째 모음인 [ㅑ]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를 반복적으로 표시하는 과정과,If the drag input is the right direction, a character to which the first vowel of the second vowel group is applied is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consonant, and each time a touch input is generated, the second vowel of the second vowel group A process of repeatedly displaying the characters sequentially applied from [[phi]], 상기 드래그 입력이 하측방향이면, 상기 해당 자음에 상기 제3 모음군의 첫 번째 모음인 [ㅜ]가 적용된 문자를 표시하고, 이후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제3 모음 군의 두 번째 모음인 [ㅠ]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를 반복적으로 표시하는 과정과,If the drag input is a downward direction, a character to which [t] is applied as the first vowel of the third vowel group is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consonant, and each time a touch input is generated, the second vowel of the third vowel group A step of repeatedly displaying characters sequentially applied from [t] 상기 드래그 입력이 좌측방향이면, 상기 해당 자음에 상기 제4 모음군의 첫 번째 모음인 [ㅓ]가 적용된 문자를 표시하고, 이후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제4 모음 군의 두 번째 모음인 [ㅕ]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를 반복적으로 표시하는 과정과,If the drag input is a left direction, a character to which [ㅓ], which is a first vowel of the fourth vowel group, is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consonant, and each time a touch input is generated, the second vowel of the fourth vowel group A process of repeatedly displaying the characters sequentially applied from [[phi]], 상기 드래그 입력이 상측방향이면, 상기 해당 자음에 상기 제5 모음군의 첫 번째 모음인 [ㅗ]가 적용된 문자를 표시하고, 이후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제5 모음 군의 두 번째 모음인 [ㅛ]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를 반복적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If the drag input is an upward direction, a character to which [ㅗ], which is a first vowel of the fifth vowel group, is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consonant, and each time a touch input is generated, the second vowel of the fifth vowel group And repeatedly displaying the characters sequentially applied from the first character to the second characte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ㅐ, ㅒ]로 구성된 제2-1 모음 군, [ㅟ, ㅝ, ㅞ]로 구성된 제3-1 모음 군, [ㅔ, ㅖ]로 구성된 제4-1 모음 군 및 [ㅚ, ㅘ, ㅙ]로 구성된 제5-1 모음 군을 포함할 때,10.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9, wherein in the portable terminal, a second-first vowel group consisting of [?,?], A third-first vowel group consisting of [?,?, -1 vowel group and a 5-1 vowel group composed of [ㅚ, ㅘ, ㅙ] 상기 드래그 입력이 우측방향으로 판단 이후, 일정시간 내에 좌측 방향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해당 키 영역의 터치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해당 자음에 상기 제2-1 모음군의 첫 번째 모음인 [ㅐ]가 적용된 문자를 표시하고, 이후 터치 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제2 모음 군의 두 번째 모음인 [ㅒ]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를 반복적으로 표시하는 과정과,If the touch input of the corresponding key region is generated through the leftward drag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drag input is determined to be the right direction, the first vowel of the second-first vowel group [ㅐ] Displaying the applied character, and repeatedly displaying the characters sequentially applied from the second vowel of the second vowel group [tau] every time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상기 드래그 입력이 하측방향으로 판단 이후, 일정시간 내에 상측 방향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해당 키 영역의 터치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해당 자음에 상기 제3-1 모음군의 첫 번째 모음인 [ㅟ]가 적용된 문자를 표시하고, 이후 터치 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제3-1 모음 군의 두 번째 모음인 [ㅝ]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를 반복적으로 표시하는 과정과,When the touch input of the corresponding key region is generated through the upward direction dragging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drag input is determined to be the downward direction, the first vowel [3] of the 3-1 vowel group is added to the corresponding consonant Displaying the applied character, and repeatedly displaying the characters sequentially applied from the second vowel [ㅝ] of the third-vowel group every time a touch input is generated, 상기 드래그 입력이 좌측방향으로 판단 이후, 일정시간 내에 우측 방향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해당 키 영역의 터치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해당 자음에 상기 제4-1 모음군의 첫 번째 모음인 [ㅔ]가 적용된 문자를 표시하고, 이후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제4-1 모음 군의 두 번째 모음인 [ㅖ]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를 반복적으로 표시하는 과정과,When the touch input of the corresponding key region is generated through the rightward drag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drag input is determined to be the left direction, the first vowel [4] of the 4-1 vowel group is added to the corresponding consonant Displaying the applied character, and repeatedly displaying the characters sequentially applied from the second vowel [ㅖ] of the 4-1 vowel group every time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상기 드래그 입력이 상측방향으로 판단 이후, 일정시간 내에 하측 방향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해당 키 영역의 터치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해당 자음에 상기 제5 모음군의 첫 번째 모음인 [ㅚ]가 적용된 문자를 표시하고, 이후 터치입력이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제5-1 모음 군의 두 번째 모음인 [ㅘ]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된 문자를 반복적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If the touch input of the corresponding key region is generated through a downward drag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drag input is determined to be the upward direction, a character to which the first vowel [ㅚ] of the fifth vowel group is applied And repeatedly displaying the characters sequentially applied from the second vowel of the fifth vowel group each time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KR1020080105821A 2008-10-28 2008-10-28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wireless terminal KR1015676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821A KR101567602B1 (en) 2008-10-28 2008-10-28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821A KR101567602B1 (en) 2008-10-28 2008-10-28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wireless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801A KR20100046801A (en) 2010-05-07
KR101567602B1 true KR101567602B1 (en) 2015-11-09

Family

ID=42274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821A KR101567602B1 (en) 2008-10-28 2008-10-28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wireless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60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162B1 (en) * 2020-11-18 2022-05-19 (주)성진하이텍 Speed touch moving key pa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161B1 (en) 2007-02-26 2008-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and apparatus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161B1 (en) 2007-02-26 2008-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and apparatu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801A (en) 201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6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in terminal
JP4981701B2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touch screen of terminal
KR1011673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TWI401578B (en)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word recommendations
JP6000385B2 (en) Multilingual key input device and method
KR10110272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JP2000035857A (en) Screen display type key input device
EP2491704B1 (en) Text input method in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201302498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Keyboard
WO2009074278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ombined characters
CN102713797B (en) Use the method for touch-screen inputting korean characters
KR20100003831A (en) Chinese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EP2660692A1 (en) Configurable touchscreen keyboard
KR101567602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wireless terminal
US20140215397A1 (en) Apparatus and Method Pertaining to Predicted-Text Derivatives
US9250728B2 (en) Apparatus and method pertaining to predicted-text entry
KR20100045617A (en) Korean alphabet input method utilizing a multi-touch sensing touch screen
JP2012059010A (en) Handwritten information recognition device and handwritten information recognition program
KR20100013234A (en)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on-screen direction key
KR1013476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KR20170075904A (en) A software keyboard for mobile devices for comprising additional service
KR10112912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 in portable terminal
JP5270729B2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JP2011076405A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EP2759912A1 (en) Apparatus and method pertaining to predicted-text en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