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690B1 - Wireless access poi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ng the wireless access poi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Wireless access poi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ng the wireless access poi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690B1
KR101566690B1 KR1020140057635A KR20140057635A KR101566690B1 KR 101566690 B1 KR101566690 B1 KR 101566690B1 KR 1020140057635 A KR1020140057635 A KR 1020140057635A KR 20140057635 A KR20140057635 A KR 20140057635A KR 101566690 B1 KR101566690 B1 KR 101566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access
access point
communication
data
sleep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6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영호
윤수정
조지현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주)다보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보링크 filed Critical (주)다보링크
Priority to KR1020140057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6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6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36/28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invol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access poi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o a communications terminal in communications with the wireless access poi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to a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s.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to individually establish communications sessions therefor; transmitting a communications signal including sleep mode entry information to a first access point, and converting a main communications object into a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among the wireless access points when a predetermined first time has passed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or a problem has occurred with communications quality of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after setting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as the main communications object among the wireless access points; and transmitting a communications signal including sleep mode cancelling information to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and receiving all the pre-buffered communications data from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Description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그 제어방법과, 그 무선 액세스 포인트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WIRELESS ACCESS POI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NG THE WIRELESS ACCESS POI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access poi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access point,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s.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POI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그 제어방법과, 그 무선 액세스 포인트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데이터를 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버퍼링해 두다가 추후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그 제어방법과, 그 무선 액세스 포인트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access poi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access point,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s is recorde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access point,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s .

종래에는 802.11 표준에 근거하여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기는 하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만 접속되어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Conventionally, on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figured to operate by being connected to only one wireless access point (AP) based on the 802.11 standard.

무선 통신 단말기는 AP의 beacon을 감지하여 beacon내의 TIM 정보요소(information element)를 통해 broadcast 메시지 및 unicast 메시지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AP가 송신하는 broadcast 및 unicast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단말기는 반드시 beacon을 주기적으로 수신하여야 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tect the beacon of the AP and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broadcast message or a unicast message through a TIM information element in the beacon. Therefo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ust periodically receive the beacon in order to receive the broadcast and unicast messages transmitted by the AP.

특히, broadcast, multicast 메시지에 대해서는 무선 통신 단말기는 AP의 beacon 메시지의 TIM 정보요소를 주기적으로 감시해야만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것이고, 만일 AP의 beacon 신호를 주기적으로 감시하지 않고, 다른 AP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AP가 전송하는 broadcast, multicast 메시지는 소실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for broadcast and multicast messag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ust periodically monitor the TIM information element of the beacon message of the AP to be able to receive normally. If the beacon signal of the AP is periodically not monito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roadcast and multicast messages transmitted by the existing AP are lost.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단말기가 제1 AP와 통신하다가 제2 AP로 전환하여 통신하는 경우, 제1 AP는 해당 무선 통신 단말기로 향하는 broadcast, multicast 메시지를 그 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지 못하므로 삭제하게 되고, 추후 무선 통신 단말기가 다시 제1 AP와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하여도 이미 삭제된 메시지를 복구할 방법은 없고, 결국 분실된 메시지로 인해 또 다른 통신 장애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first AP and switches to the second AP, the first AP can not transmit a broadcast or multicast message destined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There is no way to recover the already deleted message even i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first AP again in the future. As a result, another communication failure may occur due to the lost message.

공개특허 제10-2008-0067252Published Patent No. 10-2008-006725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무선 통신 단말기로 향하는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메시지들이 소실되지 않고 추후에라도 해당하는 무선 통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그 제어방법과, 그 무선 액세스 포인트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access point capable of transmitting broadcast and multicast messages destined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a wireless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access point,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복수 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여 각각의 통신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 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중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주 통신 대상으로 설정한 후,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중에 기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 품질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슬립 모드 진입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주 통신 대상을 상기 복수 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중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슬립 모드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기 버퍼링되어 있던 통신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session by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After a first wireless access point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is set as a main communication target, a predetermined first time elapses during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or a communication quality with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sleep mode entry information to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and switching a main communication target to a second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when a problem occurs; And transmit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the sleep mode release information to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and receiving all of the communication data buffered from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방법은,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신호에 슬립 모드 진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단말기의 통신 신호에 슬립 모드 진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통신 단말기로 향하는 통신 데이터를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지 않고 버퍼링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신호에 슬립 모드 해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버퍼링되어 있던 통신 데이터를 모두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wireless access point,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from a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sleep mode entry information; Buffering the communication data destined for th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transmitting the communication data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communication signal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the sleep mode entry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buffered communication data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the sleep mode release information.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복수 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여 각각의 통신 세션을 수립하는 통신 연결 수립부와; 상기 복수 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중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주 통신 대상으로 설정한 후,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중에 기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 품질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주 통신 대상을 상기 복수 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중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 전환하는 통신 대상 선정부와;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주 통신 대상으로 선정하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슬립 모드 진입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슬립 모드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기 버퍼링되어 있던 통신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establishing unit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sessions by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After a first wireless access point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is set as a main communication target, a predetermined first time elapses during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or a communication quality with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A communication object selection unit for switching a main communication object to a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when a problem occurs; When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is selected as the main communication target, transmits a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the sleep mode entry information to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and transmits a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the sleep mode release information to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And a dat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signals and receiving all of the communication data buffered from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신호에 슬립 모드 진입 정보 또는 슬립 모드 해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통신 단말기의 통신 신호에 슬립 모드 진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통신 단말기로 향하는 통신 데이터를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대신에 버퍼링하는 버퍼링부와;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신호에 슬립 모드 해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버퍼링되어 있던 통신 데이터를 모두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ireless access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from a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sleep mode entry information or sleep mode release information; A buffering unit for buffering the communication data destin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stead of transmitting the communication data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communication signal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the sleep mode entry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buffered communication data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the sleep mode release informa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에서 복수 개의 가상 무선랜 어댑터를 생성하는 경우 신속한 로밍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또한 로밍이 이루어지는 경우라도 액세스 포인트에서는 전송되지 못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멀티캐스트 메시지를 버퍼링하고 있으므로, 통신 단말기는 추후 버퍼링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어서 메시지 손실에 따른 통신 장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virtual wireless LAN adapters are create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perform rapid roaming processing, and even when roaming is performed, a broadcast message or a multicast messag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receive the buffered message at a later time, thereby preventing a communication failure due to message lo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와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통신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4는 통신 단말기와 무선 액세스 포인트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와 무선 액세스 포인트간의 신호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ntir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wireless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1,
Figure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wireless access point of Figure 1,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ata structur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wireless access point,
5 is a signal flow diagram between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wireless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trol flow diagram of a wireless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by combining at least any one of individual components, individual functions, or individual steps included in each embodi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와,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a wireless access poin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도 1에서는 편의상 두 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를 도시하였지만,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의 숫자는 셋 이상일 수도 있다.Although FIG. 1 illustrates two wireless access points 200 for convenience, the number of wireless access points 200 may be more than three.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개인 휴대용 통신 단말기(100)는 물론이고, 가정에 구비되는 개인용 컴퓨터일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access point 200.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not only a personal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nd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Lt; / RTI >

이러한 통신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A specific functional block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as shown in FIG.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100)는 통신 연결 수립부(110), 통신 대상 선정부(120), 데이터 통신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connection establishing unit 110, a communication object selecting unit 120, a data communication unit 130, and a user interface unit 140, as shown in the figur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명령을 입력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터치패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키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unit 1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keypad including a touch pad or at least one key button.

통신 연결 수립부(110)는 복수 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와 통신하여 각각의 통신 세션을 수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connection establishing unit 110 communicates with a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200 and establishes a respective communication session.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연결 수립부(110)는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 및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와 각각 통신하여 통신 세션을 수립한다. 여기서 통신 연결 수립부(110)는 복수 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 각각과 통신 세션을 수립하고 그 통신 세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establishing unit 110 establishes a communication session by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201 and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202, respectively. Her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establishing unit 110 may establish a communication session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200 and store the communication session information.

예를 들어 통신 연결 수립부(110)는 2개의 무선 가상 인터페이스(주 인터페이스/부 인터페이스)(미 도시함)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가상 인터페이스는 일명 deep-sleep 기능을 통해 하나의 물리적인 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는 것인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establishing unit 110 may use two wireless virtual interfaces (main interface / sub interface) (not shown). This virtual interface is connected to a physical wireless interface through a deep-sleep function,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통신 대상 선정부(120)는 복수 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 중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를 주 통신 대상으로 설정한 후,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와 통신하는 중에 기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하거나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와의 통신 품질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주 통신 대상을 상기 복수 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 중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로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target selection unit 120 sets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201 among the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200 as a main communication target and then transmits the first Performs a function of switching the main communication object to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202 among the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200 when the time elapses or a problem occurs in the communication quality with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201 .

즉, 통신 대상 선정부(120)는 복수 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 중에서 주 통신 대상을 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That is, the communication object selecting unit 120 performs a function of selecting a main communication object among a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200. [

통신 대상 선정부(120)는 주 통신 대상을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로 전환한 이후 기 설정된 제2 시간이 경과하거나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와의 통신 품질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주 통신 대상을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로 다시 전환할 수도 있다.If the second target time elapses after switching the main communication target to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202 or a problem arises in the communication quality with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202 Similarly, the main communication target may be switched back to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201. [

특히, 통신 대상 선정부(120)는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의 신호 세기와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의 신호 세기를 기초로 소정의 제1 시간과 소정의 제2 시간을 설정하고, 시분할 방식으로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 및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 중 어느 하나를 주 통신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target selection unit 120 sets a predetermined first time and a predetermined second time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201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202 , One of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201 and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202 can be selected as a main communication object in a time division manner.

여기서 통신 대상 선정부(120)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와의 통신 품질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주 통신 대상을 전환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사용자의 원터치 동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수신한 경우에 통신 대상을 전환할 수도 있다.Here, the communication target selection unit 120 switches the main communication object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or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communication quality with the wireless access point 200.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one- The communication object can be switched when receiving through the interface unit 140. [

상술한 바와 같이 주 인터페이스와 부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경우, 통신 대상 선정부(120)는 주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에 연결하여 통신하는 동안에는 부 인터페이스는 대기 상태로 두고, 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에 연결하여 통신하는 동안에는 주 인터페이스는 대기 상태로 두면 된다.In the case where the main interface and the sub-interface ar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communication target selection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201 through the main interface and is in communication, the sub- The main interface may be left in a standby state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202 via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즉, 통신 대상 선정부(120)는 시분할 방식을 이용하여 주 인터페이스와 부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를 현재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로 선정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communication object selecting unit 120 can select either the main interface or the sub interface a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for the current communication by using the time division method.

데이터 통신부(130)는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를 주 통신 대상으로 선정하는 경우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에 슬립 모드 진입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에 슬립 모드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송하고,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로부터 기 버퍼링되어 있던 통신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ata communication unit 130 transmits a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sleep mode entry information to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201 when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202 is selected as the main communication target, And transmits the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the sleep mode release information to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202 and receives all of the communication data buffered from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202.

다른 예로써, 데이터 통신부(130)는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가 주 통신 대상으로 다시 선정된 경우,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에 슬립 모드 진입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에 슬립 모드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송하고,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로부터 기 버퍼링되어 있던 통신 데이터를 모두 수신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201 is selected again as the main communication target, the data communication unit 130 transmits a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the sleep mode entering information to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202 In addition, a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sleep mode releas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201 and all communication data previously buffered from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201 may be received.

각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에 소정의 메시지가 버퍼링 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토록 한다.The process of buffering a predetermined message in each wireless access point 20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는 통신 단말기(100)와 무선 구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인터넷 등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의 기능을 기 공지된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the wireless access point 200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a wireless section to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or the like. Since the function of the wireless access point 200 is well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의 기능 블록을 설명한다.Hereinafter, functional blocks of the wireless access poin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는 판단부(210), 버퍼링부(220), 데이터 전송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wireless access point 200 includes a determination unit 210, a buffering unit 220,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230.

판단부(210)는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신호에 슬립 모드 진입 정보 또는 슬립 모드 해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determination unit 210 determines whether the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the sleep mode entry information or the sleep mode release information.

버퍼링부(220)는 판단부(210)의 판단 결과 통신 단말기(100)의 통신 신호에 슬립 모드 진입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통신 단말기(100)로 향하는 통신 데이터를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대신에 버퍼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buffering unit 220 transmits the communication data destined for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hen the determination unit 210 determines that the communication signal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the sleep mode entry information Instead of buffering.

여기서 버퍼링한다는 것은 소정의 저장 영역에 누적 저장함을 의미한다.Here, buffering means cumulative storage in a predetermined storage area.

데이터 전송부(230)는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신호에 슬립 모드 해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기 버퍼링되어 있던 통신 데이터를 모두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the sleep mode release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data transmission unit 230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ll of the previously buffered communication data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여기서, 버퍼링되는 통신 데이터는 브로드캐스트와 멀티캐스트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Here, the buffered communication data may b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message and a multicast message.

상술한 예에서 슬립 모드 진입 정보 또는 슬립 모드 해제 정보는 특정한 데이터 엘리먼트를 정의하여 특정 플래그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생성할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the sleep mode entry information or the sleep mode releas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defining a specific data element and changing a specific flag.

도 4는 이러한 특정한 데이터 엘리먼트, 일명 deepsleep information element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도 4는 802.11 표준에 정의된 vendor specific information element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FIG. 4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is specific data element, a so-called deepsleep information element. Particularly, FIG. 4 shows an example using a vendor specific information element defined in the 802.11 standard.

즉, 도 4(a)의 vendor-specific contents에 본 발명에서 필요한 deep-sleep mode를 포함시키는 것이다.That is, the vendor-specific contents of FIG. 4A include the deep-sleep mode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deep-sleep mode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Length-DS_Mode로 구성될 수 있는데, 추후 메시지추가를 위해 Type-Length-Value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The deep-sleep mode can be configured with an ID-Length-DS_Mode as shown in FIG. 4B, and has a Type-Length-Value structure for adding a message later.

실제 deep-sleep 과 관련한 메시지의 정의는 도 4(c)에 도시되어 있다.The definition of the actual deep-sleep related message is shown in FIG. 4 (c).

도 4(c)에서 Deep-Sleep supported 필드는 Deep-Sleep 모드를 지원함을 나타낸다. Deep-Sleep 모드를 제공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는 supported 비트를 1로 설정한 IE를 beacon에 추가하여 접속한 통신 단말기(100)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의 Deep-Sleep 모드 제공 여부를 미리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Deep-Sleep 모드를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100)는 소정의 신호, 예를 들어 assoc-request에 이 비트를 1로 설정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통신 단말기(100)가 Deep-Sleep 모드를 제공하는지 여부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가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In FIG. 4 (c), the Deep-Sleep supported field indicates that Deep-Sleep mode is supported. The wireless access point 200 providing the Deep-Sleep mode adds an IE having a supported bit set to 1 to the beac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nnected communication terminal 100 provides the Deep-Sleep mode of the wireless access point 200 in advance So that it can be judged.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providing the Deep-Sleep mode sets the bit to 1 in a predetermined signal, for example, assoc-request, and transmits the bit to the wireless access point 200 so that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s a Deep- Mode so that the wireless access point 200 can determine whether the wireless access point 200 provides the mode.

도 4(c)에서 Deep-Sleep request 필드는 Deep-Sleep 모드 활성화 여부를 나타낸다. 통신 단말기(100)는 Deep-Sleep mode로 진입하기 전 이 비트를 1로 설정한 소정의 정보인 Information element를 소정의 신호, 예를 들어 Action 프레임에 포함시켜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로 전송할 수 있다.In Figure 4 (c), the Deep-Sleep request field indicates whether the Deep-Sleep mode is activated.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transmit an information element, which is predetermined information in which the bit is set to 1, to a predetermined signal, for example, an Action frame before entering the Deep-Sleep mode, to the wireless access point 200 .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는 이 Action프레임을 받는 즉시 해당 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Deep-sleep동작, 즉 broadcast/multicast까지 queueing 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해당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명시적으로 request bit가 0인 Action 프레임이 오거나, 암시적으로 해당 단말이 PS(파워 세이빙)모드에서 깨어날 때까지 deep-sleep 모드를 유지한다.Upon receiving the Action frame, the wireless access point 200 queues up to the Deep-sleep operation, i.e., broadcast / multicast, of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terminal 100, 0 ", or implicitly maintains the deep-sleep mode until the terminal awakes from the PS (power saving) mode.

도 4(c)에서 Reserved 필드는 추후 활용을 위한 필드이며 0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FIG. 4C, the 'Reserved' field is a field for future use and may be set to '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100)와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 및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 간의 신호 흐름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signal flow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201 and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2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 및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와 통신 세션을 수립하여 있고, 그 중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와 802.11 방식의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는 상태라 가정한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establishes a communication session with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201 and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202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201 through 802.11 communication It is assumed that data is being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통신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와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하던 중(단계 S1), AP 전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단계 S3),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 기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와의 통신 품질이 기 설정된 기준 품질 이하에 도달한 경우, 또는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강도가 기 설정된 세기 이하에 도달한 경우에 통신 단말기(100)는 AP 전환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AP switching condition is satisfied (step S3) while communicating communication data with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201 (step S1).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 When the predetermined first time has elapsed, when the communication quality with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201) has reached the predetermined reference quality or below, or when the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201)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an determine that the AP switching condition is satisfied.

AP 전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100)는 Deep-Sleep request 값에 1을 할당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에 전송한다(단계 S5).If the AP switching condition is satisfied,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s a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data assigned a Deep-Sleep request value of 1 to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201 (step S5).

이에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는 이후 통신 단말기(100)로 향하는 메시지에 대한 버퍼링을 수행한다(단계 S7).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201 then buffers a message destined for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tep S7).

또한 통신 단말기(100)는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에는 Deep-Sleep request 값에 0을 할당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9).Als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s a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data to which a Deep-Sleep request value is assigned to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202 (step S9).

이에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는 통신 단말기(100)에 대해서 전송하지 않고 버퍼링되고 있던 메시지들을 모두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단계 S11).Then,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202 transmits all the messages that have been buffer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tep S11).

이후 통신 단말기(100)와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는 상호 통신을 수행하여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단계 S13).Thereafter,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20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transmit / receive communication data (step S13).

이후, 통신 단말기(100)는 다시 AP 전환 조건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는 경우(단계 S15),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제2 시간이 경과한 경우, Deep-Sleep request 값에 1을 할당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에 전송하고(단계 S17), 이에 따라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202)는 통신 단말기(100)로 향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멀티캐스트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버퍼링 수행한다(단계 S19).I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etermines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again in the AP switching condition (step S15), for example, if the predetermined second time has elapsed,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202 transmits a communication signal to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202 (step S17), and accordingly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202 performs buffering without transmitting a broadcast message or multicast message destined for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tep S19).

도 5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통신 단말기(100)는 단계 S19 이후에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에 Deep-Sleep request 값에 0을 할당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이때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201)는 버퍼링을 통해 누적 저장하였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또는 멀티캐스트 메시지를 통신 단말기(100)에 모두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not shown in FIG. 5,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transmit a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data in which a Deep-Sleep request value is assigned to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201 after step S19, The wireless access point 201 can transmit the broadcast message or the multicast message accumulated through the buffering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한편, 도 6은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에서 수행되는 제어과정을 나타내고 있다.Meanwhile, FIG. 6 shows a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a wireless access point 200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rminals 100.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는 멀티캐스트 메시지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와 같은 무선 전송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단계 S21), Deep-Sleep 중인 통신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3).When wireless transmission data such as a multicast message or a broadcast message is generated (step S21), the wireless access point 2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 Deep-Sleep state (step S23).

여기서 Deep-Sleep 중인 통신 단말기란 그 이전에 Deep-Sleep request 값에 1을 할당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송하였던 통신 단말기(100)를 의미한다.He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 Deep-Sleep refers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at has transmitted the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the data in which 1 is assigned to the Deep-Sleep request value before.

여기서 Deep-Sleep 중인 통신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는 종래의 802.11 방식으로 각 통신 단말기(100)에 데이터를 전송한다(단계 S27).If there is no communication terminal in Deep-Sleep state, the wireless access point 200 transmits data to each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the conventional 802.11 system (step S27).

한편, Deep-Sleep 중인 통신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무선 액세스 포인트(200)는 Deep-Sleep 중인 모든 통신 단말기에 대해 데이터를 복사하여 큐잉(queueing)을 수행하는데(단계 S25), 이는 일종의 데이터 버퍼링 또는 데이터 저장을 의미한다.Meanwhile, when there is a communication terminal in Deep-Sleep, the wireless access point 200 copies data to all communication terminals in Deep-Sleep mode and performs queuing (step S25). This is a kind of data buffering or data Means storage.

이처럼 버퍼링된 데이터는 추후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Deep-Sleep request 값에 0을 할당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수신한 이후 일괄 해당 통신 단말기(100)로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buffered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a unicast manner after receiving a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data in which a Deep-Sleep request value is assigned 0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the future.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Needless to say, the process of performing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performed by a program stored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medium (for example, a computer readable medium).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통신 단말기 200 : 무선 액세스 포인트
201 :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 202 :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
110 : 통신 연결 수립부 120 : 통신 대상 선정부
130 :데이터 통신부 14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10 : 판단부 220 : 버퍼링부
230 : 데이터 전송부
100: communication terminal 200: wireless access point
201: first wireless access point 202: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110: communication connection establishing unit 120: communication object selecting unit
130: Data communication unit 140: User interface unit
210: determination unit 220: buffering unit
230: Data transfer unit

Claims (11)

(a) 복수 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여 각각의 통신 세션을 수립하는 단계와;
(b) 상기 복수 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중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주 통신 대상으로 설정한 후,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중에 기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통신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고 통신 데이터 버퍼링의 수행을 요청하는 슬립 모드 진입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주 통신 대상을 상기 복수 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중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 전환하는 단계와;
(c)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데이터의 전송 개시를 요청하는 슬립 모드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기 버퍼링되어 있던 통신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는 단계와;
(d)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중에 기 설정된 제2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통신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고 통신 데이터 버퍼링의 수행을 요청하는 슬립 모드 진입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주 통신 대상을 상기 복수 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중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 전환하고,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는 슬립 모드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송하여 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데이터의 전송 개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a)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to establish respective communication sessions;
(b) setting a first wireless access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as a main communication target, and when a first predetermined time elapses during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sleep mode entry information for stopping transmission of communication data and requesting to perform communication data buffering and switching a main communication object to a second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
(c)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sleep mode release information requesting initiation of transmission of communication data including data buffered in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and transmit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the buffered communication Receiving all of the data;
(d) if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elapses during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includes sleep mode entry information for stopping transmission of the communication data and requesting to perform communication data buffering And transmits the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the sleep mode release information to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and transmits the communication signal to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And requesting start of transmission of the communication data including the dat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와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기초로 상기 제1 시간과 상기 제2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시분할 방식으로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주 통신 대상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setting the first time and the second time based on a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and a signal strength of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Wherein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and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are selected as a main communication target in a time division mann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3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claim 1 or claim 3. 복수 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여 각각의 통신 세션을 수립하는 통신 연결 수립부와;
상기 복수 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중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주 통신 대상으로 설정한 후,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중에 기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경우, 주 통신 대상을 상기 복수 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중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 전환하는 통신 대상 선정부와;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주 통신 대상으로 선정하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통신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고 통신 데이터 버퍼링의 수행을 요청하는 슬립 모드 진입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버퍼링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데이터의 전송 개시를 요청하는 슬립 모드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기 버퍼링되어 있던 통신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대상 선정부는 상기 주 통신 대상을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 전환한 이후 기 설정된 제2 시간이 경과한 경우, 주 통신 대상을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 다시 전환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주 통신 대상으로 다시 선정된 경우,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통신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고 통신 데이터 버퍼링의 수행을 요청하는 슬립 모드 진입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버퍼링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데이터의 전송 개시를 요청하는 슬립 모드 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기 버퍼링되어 있던 통신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A communication connection establishing unit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session by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And setting a first radio access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radio access points as a main communication target, and when a predetermined first time elapses during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radio access point, Point to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When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is selected as the main communication target,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transmits a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the sleep mode entry information for stopping the transmission of the communication data and requesting the execution of buffering of the communication data,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transmits a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sleep mode release information for requesting transmission of communication data including data buffered in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and transmits all communication data previously buffered from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And a data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communication object selecting unit switches the main communication object to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when a second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switching the main communication object to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Wherein the data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sleep mode entry information requesting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to suspend the transmission of the communication data and request the execution of buffering of the communication data when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is selected again as the main communication target, And transmits a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sleep mode release information for requesting transmission of communication data including data buffered in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to be started, and is buffered from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communication data.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대상 선정부는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와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기초로 상기 제1 시간과 상기 제2 시간을 설정하고, 시분할 방식으로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포인트 중 어느 하나를 주 통신 대상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mmunication object selecting unit sets the first time and the second time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and sets the first wireless access point and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 in a time- And selects one of the second wireless access points as a main communication targe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57635A 2014-05-14 2014-05-14 Wireless access poi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ng the wireless access poi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KR1015666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635A KR101566690B1 (en) 2014-05-14 2014-05-14 Wireless access poi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ng the wireless access poi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635A KR101566690B1 (en) 2014-05-14 2014-05-14 Wireless access poi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ng the wireless access poi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6690B1 true KR101566690B1 (en) 2015-11-09

Family

ID=54605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635A KR101566690B1 (en) 2014-05-14 2014-05-14 Wireless access poi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ng the wireless access poi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69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438B1 (en) * 2000-07-11 2006-04-04 클라리온 가부시키가이샤 High-speed roaming method of wireless lan
US20080174403A1 (en) * 2006-02-09 2008-07-24 Michael Wolpert Multiple wireless access points for wireless lockse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438B1 (en) * 2000-07-11 2006-04-04 클라리온 가부시키가이샤 High-speed roaming method of wireless lan
US20080174403A1 (en) * 2006-02-09 2008-07-24 Michael Wolpert Multiple wireless access points for wireless lockse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85130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establishing session
US11317451B2 (en) Session activ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US90662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ed interruption time in mobile communications
US933881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 and computer readable media
RU2625165C1 (en) Cell changing method, f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928882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ommunication systems, method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a for selectively establishing different types of connections
KR20140118990A (en)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CN107182113B (en) Network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multi-mod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WO2022156736A1 (en) Voice fallback method and apparatus, and user equipment
CN111294823B (en) Measuring method and device in DC operation
US921566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gram
EP3197210B1 (en) Quick transmission point handover method and handover device
WO2017054168A1 (en) Method for acquiring context information of user equipment, and related device and system
US9755724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determining re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08476441B (en) Cell switching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WO2022095759A1 (en) Electronic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543286B1 (en) Method for state transition and network equipment
CN114375045A (en) Resource pool switching method and device, terminal and network side equipment
KR101566690B1 (en) Wireless access poi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ng the wireless access poi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EP4033853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changing bearer configuration of direct communication interface
CN115915295A (en)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terminal and network side equipment
EP3873137A1 (en) Network parameter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24108602A1 (en) Configur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6936873B (en) Internet of things equipment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WO2023011595A1 (en)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