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413B1 - Remote unit of relay system for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Remote unit of relay system for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413B1
KR101566413B1 KR1020130112710A KR20130112710A KR101566413B1 KR 101566413 B1 KR101566413 B1 KR 101566413B1 KR 1020130112710 A KR1020130112710 A KR 1020130112710A KR 20130112710 A KR20130112710 A KR 20130112710A KR 101566413 B1 KR101566413 B1 KR 101566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unit
data
user terminal
h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7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33120A (en
Inventor
김옥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to KR1020130112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413B1/en
Publication of KR20150033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1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4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8Network planning tools
    • H04W16/20Network planning tools for indoor coverage or short range network deploy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62Arrangements for Wireless System Synchronisation
    • H04B7/2671Arrangements for Wireless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System Synchronisation
    • H04B7/2678Time synchronisation
    • H04B7/2687Inter base stations synchronisation
    • H04B7/269Master/slave synchr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중 대역 이동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호스트 유닛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통신을 중계하는 리모트 유닛으로서, 상기 호스트 유닛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프레임 동기화를 수행하는 RU 프레임 처리부; 상기 프레임 동기화가 수행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 송신하거나,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RU 프레임 송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RF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서비스 종류를 감지하는 RU 서비스 감지 수단과, 상기 RU 서비스 감지 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서비스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호스트 유닛에 전송하는 RU 서비스 종류 보고수단을 포함하는 RU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모트 유닛이 제공된다.A remote unit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a host unit capable of a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at least one or more user terminals, the RU frame processing unit performing frame synchronization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host units; An RU frame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transmitting the frame synchronized data to the host unit 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host unit; A short range communication RF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And RU service type reporting means for collecting data on the service type detected by the RU service detecting means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data to the host unit A remote unit including an RU control unit is provided.

Description

다중 대역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에서의 리모트 유닛{REMOTE UNIT OF RELAY SYSTEM FOR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unit in a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본 발명은 리모트 유닛 상에서의 제공 서비스 분석에 따른 다중 대역통신이 가능한 다중 대역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의 리모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unit of a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capable of multiband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service analysis on a remote unit.

중계기는 기지국의 서비스 제공범위가 미치지 못하는 장소 등에서 신호를 증폭하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동통신의 기술 발달로 다양한 대역 및 종류의 서비스가 시장에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시장에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에 대하여 통신을 중계하기 위해서는 전송용량의 증가가 불가피하며 또한 중계 장치가 커지게 되며, 커진 중계 장치는 장비 가격 상승과 소비전력의 증가로 유지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The repeater is a device that enables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terminal and a base station by amplifying a signal at a place where the servic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is insufficient.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various bands and types of services are being provided to the market. In order to relay the communication to all the services provided to the market, the transmission capacity is inevitably increased and the relay device is enlarged, and the increased relay device increases the maintenance cost due to the increase of the equipment price and the power consumption .

또한 다수의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한정된 전송 선로 내에서 많은 종류와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므로 여러 개의 전송 선로를 추가 설치 및 운용해야 하는 경제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In addition, since a large number of types of data must be processed within a limited transmission line in order to perform a large number of services, there is an economical problem that a plurality of transmission lines must be additionally installed and operated.

본 발명은 한정된 전송 선로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통신의 중계가 가능하도록 리모트 유닛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 및 전송량의 분석이 가능한 중계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lay system capable of analyzing the type and amount of service provided by a remote unit so that communication can be efficiently relayed using a limited transmission line.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서비스의 데이터 및 대역폭을 활용할 수 있도록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한정된 서비스에도 효율적으로 이용 가능한 중계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relay system that can be efficiently used for limited services provided by a remote unit so as to utilize data and bandwidth of other services.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가 없는 곳과 같이 서비스의 제공이 불필요한 장소에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는 중계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relay system in which a service is not provided in a place where a service is not required, such as a place where a user terminal is not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중계장치와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 등)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한, 다중 대역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의 리모트 유닛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te unit of a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capable of communication us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Bluetooth) between a relay apparatus and a user terminal so that miniaturization can be realiz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중 대역 이동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호스트 유닛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통신을 중계하는 리모트 유닛으로서,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mote unit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a host unit capable of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at least one or more user terminals,

상기 호스트 유닛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프레임 동기화를 수행하는 RU 프레임 처리부; 상기 프레임 동기화가 수행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 송신하거나,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RU 프레임 송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RF부; 및An RU frame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frame synchronization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host units; An RU frame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transmitting the frame synchronized data to the host unit 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host unit; A short range communication RF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And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서비스 종류를 감지하는 RU 서비스 감지 수단과, 상기 RU 서비스 감지 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서비스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호스트 유닛에 전송하는 RU 서비스 종류 보고수단을 포함하는 RU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모트 유닛이 제공된다.
An RU service typ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service type of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an RU service type reporting means for collecting data on a service type detected by the RU service detecting means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data to the host unit A remote unit including an RU control unit is provi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스트 유닛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전송되는 특정 서비스를 통한 데이터를 분리하고, 분리된 데이터를 변환 대상 서비스를 통하여 전송가능하도록 변환하는 RU 가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RU proces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RU processing unit for separating data through a specific service transmitted between the host unit and the user terminal, and converting the separated data to be transmittable through the service to be conver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RU 서비스 감지 수단은,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로부터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목적 서비스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RU 가공부가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로부터 목적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분리하도록 제어하고,In one embodiment, the RU service sens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from data transmitted from the host unit, the destination service of data transmitted from the host unit, Control to separate data,

상기 분리된 데이터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RF부를 제어하는 RU 서비스 변환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RU service conversion means for controlling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RF unit such that the separat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일 실시예에서, 상기 RU 서비스 감지 수단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 서비스 종류를 확인하고,In one embodiment, the RU service sensing means may check the type of service used by the user terminal from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상기 RU 서비스 변환 수단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확인된 서비스 종류에 따른 서비스 신호로 변환하도록 상기 RU 가공부를 제어할 수 있다.
The RU service conversion unit may control the RU processing unit to convert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into a service signal according to the confirmed service type.

일 실시예에서, 상기 RU 서비스 감지 수단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 서비스 종류를 확인하고,In one embodiment, the RU service sensing means may check the type of service used by the user terminal from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상기 RU 서비스 변환 수단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확인된 서비스 종류에 관한 서비스 ID와 함께 프레임화되도록 상기 RU 가공부를 제어하며,The RU service conversion unit controls the RU processing unit to frame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gether with the service ID related to the confirmed service type,

상기 RU 프레임 송수신부는, 상기 서비스 ID와 함께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RU frame transceiver may transmit the framed data together with the service ID to the host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리모트 유닛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 및 전송량을 분석하여 이를 중계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한정된 선로에서 더 많은 서비스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and amount of service provided in the remote unit are analyzed and applied to the relay system, thereby providing more services on a limited li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한정된 서비스에도 불구하고 다른 서비스의 데이터 및 대역폭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ata and bandwidth of other services can be utilized despite the limited service provided by the remote un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 및 전송량에 따라 최적화된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중계기의 전송 선로 용량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timized service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type and amount of service provided by the remote unit, the transmission line capacity of the repeater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가 없는 곳과 같이 서비스의 제공이 불필요한 장소에 서비스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자원 낭비를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rvice in a place where a service is unnecessary, such as a place where a user terminal is not provided, thus wasting resources is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중계장치와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을 일관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중계장치가 소량화될 수 있고 전력 소비도 작아 지는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local communication (for example, Bluetooth) consistently between the relay apparatus and the user terminal, the relay apparatus can be reduced in size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유닛의 블록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유닛에 구비되는 제어부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유닛의 블록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유닛에 구비되는 RU 제어부의 블록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re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host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host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n RU control unit included in a remot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A re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은 호스트 유닛(MHU) 및 리모트 유닛(RU)들을 포함한다. 호스트 유닛(MHU)은 다양한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과 다수의 리모트 유닛 사이에 연결되어 다수의 서비스를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중계하는 구성부이다.The re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host unit (MHU) and a remote unit (RU). The host unit (MHU) is a unit that is connected between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various wireless services and a plurality of remote units, and relays the communication so that communication using a plurality of services is possible.

리모트 유닛(RU)들은 사용자 단말기(UM)들이 무선 통신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영역(SA)을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UM)들은 리모트 유닛(RU)에 접속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무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The remote units (RUs) provide a service providing area (SA) for the user terminals (UM) to access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he user terminals UM can use various kinds of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by connecting to the remote unit RU.

한편, 호스트 유닛(HMU)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로는 CDMA 800, LTE700, LTE 1800, LTE 2600, WCDMA 2100 및 WIFI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Examples of services provided by the host unit (HMU) include CDMA 800, LTE700, LTE 1800, LTE 2600, WCDMA 2100, and WIFI.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유닛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유닛의 블록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유닛에 구비되는 제어부의 블록도이다.The host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hos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ler included in the hos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유닛(100)은 서비스 인터페이스부(110), 데이터 가공부(120), 프레임 처리부(130), 프레임 송수신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The host unit 100 includes a service interface unit 110, a data processing unit 120, a frame processing unit 130, a fram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40, and a control unit 150.

서비스 인터페이스부(110)는 기지국(미도시)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하여 서비스별로 접속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들을 구비한다. The service interface unit 110 includes interfaces that can be accessed on a service-by-service basis in order to access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a base station (not shown).

데이터 가공부(120)는 전송되는 프레임으로부터 데이터 부분을 분리하고, 서비스의 종류를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가공부(120)는 기지국(미도시)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나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로부터 헤더 등을 분리하여 프레임에 포함된 전송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거나, 데이터를 새로운 서비스의 종류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ata processing unit 120 separates the data portion from the transmitted frame and converts the type of the service. Specifically, the data processor 120 separates a header or the like from data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not shown) or data transmitted from a remote unit to acquire information related to transmission included in the frame, As shown in FIG.

프레임 처리부(130)는 데이터 가공부(120)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와 리모트 유닛(RU)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프레임 동기화를 수행한다. 프레임 동기화는 데이터 연결 프로토콜에서 특수 비트 조합을 사용하여 프레임의 시작 및 종료를 표시하고 이 방식으로 송수신기 간에 동기를 맞추는 것을 의미한다.The frame processing unit 130 performs frame synchronization on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processing unit 120 and data transmitted from the remote unit RU. Frame synchronization refers to the use of special bit combinations in the data connection protocol to indicate the beginning and end of a frame and to synchronize the transceivers in this manner.

프레임 송수신부(140)는 특정 서비스 종류로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리모트 유닛(RU)을 전송하거나, 리모트 유닛(RU)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The fram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40 transmits data framed in a specific service type to a remote unit (RU) or receives data transmitted from a remote unit (RU).

제어부(150)는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RU 서비스들의 종류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리모트 유닛의 식별번호에 대응하도록 RU 데이터 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하고, 동시에 앞서 설명한 각 구성부들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에 관여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감지수단(151), 서비스 변환 수단(153), 서비스 선택 수단(155) 및 모니터링 수단(157)을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150 receives data related to the type of RU services transmitted from the remote unit and stores the received data in an RU databas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each remote unit. At the same time, each of the above- To control the operation. 3, the control unit 150 includes a service sensing unit 151, a service conversion unit 153, a service selection unit 155, and a monitoring unit 157. [

서비스 감지 수단(151)은 상술한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서비스의 종류를 감지한다. 서비스 감지 수단(151)은 데이터가 수신되는 인터페이스로부터 신호를 받아 서비스의 종류를 감지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The service sensing unit 151 senses the type of data service received from the interface unit 110 described above. The service sensing unit 151 may receive a signal from the interface through which data is received and may detect the type of the service.

서비스 변환 수단(153)은 데이터 가공부(120)를 제어하여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의 서비스 종류를 특정 서비스 종류로 변환하도록 한다. 서비스 변환 수단(153)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와 해당 데이터가 목적으로 하는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 중의 하나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는 앞서 설명한 RU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참조한다. 이어서, 서비스 변환 수단(153)은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서비스들에 수신된 데이터의 서비스 종류가 없는 경우에는 전송된 데이터의 서비스 종류를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 중의 하나로 변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service conversion unit 153 controls the data processing unit 120 to convert the service type of data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10 into a specific service type. The service conversion unit 153 determines whether the type of data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10 matches one of the types of services provided by the target remote unit. At this time, the type of the service provided by the remote unit is referred to from the RU database described above. If there is no service type of the received data in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remote unit, the service conversion unit 153 can control to convert the service type of the transmitted data into one of the service types provided by the remote unit.

모니터링 수단(157)은 각 서비스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송수신될 통신량을 모니터링 한다.The monitoring unit 157 monitors the amount of traffic to be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each service interface unit 110.

서비스 선택 수단(155)은 변환 대상 서비스, 즉 데이터 가공부(120)에 의하여 변환될 서비스 종류 중 선택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모니터링 수단(157)에 의하여 특정 서비스 종류에 대한 통신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서비스 변환 수단(153)이 다수의 변환 대상 서비스 중 특정 서비스 종류를 피하여 통신량에 여유가 있는 타 서비스 종류로 변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타 서비스 종류로 선택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통신량의 문턱치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rvice selecting means 155 can determine the priority of selection among the service types to be converted, that is, the types of services to be convert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120.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communication for a specific service type is relatively large by the monitoring means 157, the service conversion means 153 may avoid a specific service type among a plurality of conversion target services, Service type.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set a threshold value of the communication amount for controlling to select another service type.

이외에도, 제어부(150)는 모니터링 수단(157)에 의하여 모니터링 된 통신량을 확인하여 특정 서비스 종류에 통신량이 집중되는 경우 리모트 유닛까지 연결되는 전송선로의 대역폭 중 해당 서비스 종류에 할당된 대역폭을 증가시킴으로써 통신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checks the amount of traffic monitored by the monitoring unit 157, and increases the bandwidth allocated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type among the bandwidths of the transmission lines connected to the remote unit,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stagnating.

한편, 특정 리모트 유닛에 대응하는 제공 서비스 종류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해당 리모트 유닛이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영역에 서비스가 제공될 사용자 단말기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데이터의 변환을 하지 않거나 데이터를 리모트 유닛으로 전송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stored service typ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remote unit, or that there is no user terminal to be provided with a service 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provided by the remote unit, data is not converted or the data is transmitted to a remote unit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not to transmit.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유닛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유닛의 블록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유닛에 구비되는 RU 제어부의 블록도이다.A remot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n RU control unit included in a remot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리모트 유닛(200b)은 근거리 통신 RF부(210b), RU 가공부(220), RU 프레임 처리부(230), RU 프레임 송수신부(240) 및 RU 제어부(250)를 포함한다.The remote unit 200b include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RF unit 210b, an RU processing unit 220, an RU frame processing unit 230, an RU fram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40, and an RU control unit 250. [

RU 프레임 송수신부(240)는 프레임 동기화가 수행된 데이터를 호스트 유닛(MHU)으로 송신하거나, 호스트 유닛(MHU)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The RU fram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40 transmits the frame synchronized data to the host unit (MHU) or receive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host unit (MHU).

RU 프레임 처리부(230)는 RU 가공부(220)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와 호스트 유닛(MHU)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프레임 동기화를 수행한다. The RU frame processing unit 230 performs frame synchronization on th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RU processing unit 220 and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host unit (MHU).

RU 가공부(220)는 호스트 유닛(MHU)과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전송되는 특정 서비스를 통한 데이터를 분리하고, 분리된 데이터를 변환 대상 서비스 종류로 변환한다. 즉, RU 가공부(220)는 앞서 설명한 호스트 유닛(MHU)의 데이터 가공부(120)와 유사하게 전송될 데이터의 서비스 종류를 목적으로 하는 서비스 종류로 변환시킨다.The RU processing unit 220 separates data through a specific service transmitted between the host unit (MHU) and the user terminal, and converts the separated data into a conversion target service type. That is, the RU processing unit 220 converts the service type of data to be transmitted into a target service type, similar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20 of the host unit (MHU) described above.

근거리 통신 RF부(210b)는 사용자 단말기가 통신 네트워크, 즉 중계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연결지점으로 기능하며, WIFI나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 표준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리모트 유닛(200b)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게 된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RF unit 210b functions as a connection point for connecting a user terminal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a relay system, and is implemented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tandard such as WIFI or Bluetooth.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unit 200b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RU 제어부(2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 서비스 감지 수단(251), RU 서비스 종류 보고 수단(253) 및 RU 서비스 선택 수단(255)을 포함한다.The RU control unit 250 includes an RU service sensing unit 251, an RU service type reporting unit 253 and an RU service selection unit 255 as shown in FIG.

RU 서비스 감지 수단(251)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서비스 종류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RU 서비스 감지 수단(251)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가 수신되는 특정 서비스 인터페이스로부터 신호를 감지하는 방법으로 데이터의 서비스 종류를 감지할 수 있다.The RU service detecting means 251 detects the service type of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the RU service detecting unit 251 may detect a service type of data by detecting a signal from a specific service interface through which data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is received.

RU 서비스 종류 보고수단(253)은 RU 서비스 감지 수단(251)에 의하여 감지된 서비스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취합하여 호스트 유닛(MHU)에 전송한다. 이 때 서비스의 종류는 특정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신호가 감지될 때마다 호스트 유닛(MHU)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고, 일정 주기마다 감지되는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하여 호스트 유닛(MHU)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RU service type reporting means 253 collects data on the service type detected by the RU service detecting means 251 and transmits it to the host unit (MHU). At this time, the type of service can be transmitted to the host unit (MHU) every time a signal from a specific user terminal is detected, and th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s detected every predetermined period is detected and transmitted to the host unit It is also possible to do.

또한 RU 서비스 종류 보고수단(253)은 RU 서비스 감지 수단(251)에 의하여 감지된 서비스 종류와 호스트 유닛(MHU)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서비스 종류가 상이한 경우만 RU 서비스 감지수단(251)에 의하여 감지된 서비스 종류를 호스트 유닛(MHU)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Also, the RU service type reporting means 253 can detect the RU service type by the RU service detecting means 251 only when the type of service detected by the RU service detecting means 251 and the type of data transmitted from the host unit (MHU)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the service type to the host unit (MHU).

한편, RU 서비스 종류 보고수단(253)은 RU 서비스 감지수단(251)이 사용자 단말기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영역에 사용자 단말기가 없다는 의미의 신호 또는 제공될 서비스 종류가 없다는 의미의 신호를 호스트 유닛에 전송할 수 있다. 호스트 유닛은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해당 리모트 유닛에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전송선로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U service detecting means 251 does not detect the user terminal, the RU service type reporting means 253 output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re is no user terminal 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or a signal indicating that there is no service type to be provided, Lt; / RTI > The host unit does not transmit data to the remote unit on the basis of such information,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waste of the transmission line.

RU 서비스 변환 수단(255)은 호스트 유닛(MHU)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근거리 통신 RF부(210b)를 제어하거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확인된 서비스 종류에 따른 서비스 신호로 변환하도록 RU 가공부(220)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RU 서비스 변환 수단(255)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확인된 서비스 종류에 관한 서비스 ID와 함께 프레임화되도록 RU 가공부(2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RU service conversion unit 255 controls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RF unit 210b so that the data received from the host unit (MHU)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by the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r transmit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s the RU processing unit 220 to convert the service signal into a service signal according to the service type. The RU service conversion unit 255 may control the RU processing unit 220 to frame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gether with the service ID related to the confirmed service type. This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리모트 유닛(200b)은, 앞서 간략히 설명한 바와 같이 다중 대역 이동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호스트 유닛(MHU)와 통신 연동되어 사용자 단말기와의 관계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방식은 예를 들어 크게 다음의 2가지 방식에 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mote unit 200b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perform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relation to a user terminal in communication with a host unit (MHU) capable of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or example, the following two schemes can be used.

첫 번째 방식으로, 리모트 유닛(200b)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RU 제어부(250)에 의해 감지된(확인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종류(즉,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 및 통신 프로토콜의 서비스)에 따른 서비스 신호로 직접 변환(이는 RU 가공부(2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하여 RU 프레임 송수신부(240)를 통해서 호스트 유닛(MHU)으로 전송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첫 번째 방식은 리모트 유닛(200b) 자체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종류에 맞는 서비스 신호로 변환한 후, 이와 같이 변환된 서비스 신호에 관한 프레임을 호스트 유닛(MHU)로 전송하는 방식이다.In the first method, the remote unit 200b transmits the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o the service type (i.e., the used frequency band) of the user terminal detected (confirmed) by the RU controller 250 (Which may be performed by the RU processing unit 220) to a service signal according to the service protocol (for example, the service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 and transmits the service signal to the host unit (MHU) through the RU frame transceiver 240 . That is, the first method is a method of converting a serv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type of the user terminal in the remote unit 200b itself, and then transmitting a frame related to the converted service signal to the host unit (MHU).

두 번째 방식으로는 리모트 유닛(200b)과 호스트 유닛(MHU) 간에 서비스 별 ID를 이용하여 데이터만을 쌍방향으로 송수신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즉, 리모트 유닛(200b)으로부터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종류가 분석되어 이에 상응하는 서비스 ID가 호스트 유닛(MHU)으로 전송되면, 이후 호스트 유닛(MHU)과 리모트 유닛(200b)은 해당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종류를 나타내는 서비스 ID에 근거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상호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종류를 나타내는 서비스 ID는 실제 전송할 데이터와 함께 프레임화되어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이에 의할 때, 호스트 유닛(MHU)은 데이터 전송의 목적지인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종류에 관한 서비스 ID를 전송 데이터와 함께 프레임화하여 리모트 유닛(200b)으로 전송하게 되고, 리모트 유닛(200b)은 그 중 데이터만을 분리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위와 반대 방향(즉, 리모트 -> 호스트 방향)의 데이터 전송의 경우에는, 호스트 유닛(MHU)은 리모트 유닛(200b)으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에서 해당 서비스 ID를 확인함으로써, 전송 데이터를 그 서비스 ID에 맞는 서비스 종류의 신호로 변환(이는 호스트 유닛(MHU)의 서비스 변환 수단(153)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하여 기지국(미도시)으로 전송할 수 있다.
In the second method,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ly in two directions using a service-specific ID may be used between the remote unit 200b and the host unit (MHU). That is, when the service type of the user terminal is analyzed from the remote unit 200b and the corresponding service ID is transmitted to the host unit (MHU), the host unit (MHU) and the remote unit (200b)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n be performed mutually based on the service ID indicating the service ID. In this case, the service ID indicating the service type of the user terminal may be framed and transmitted or received together with the data to be actually transmitted. In this case, the host unit (MHU) frames the service ID related to the service type of the user terminal, which is the destination of the data transfer, together with the transmission data and transmits the frame to the remote unit 200b, Only data can be sepa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i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the case of the data transmiss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i.e. remote- > host direction), the host unit (MHU) checks the corresponding service ID in the frame transmitted from the remote unit 200b, (Which can be performed by the service conversion means 153 of the host unit (MHU)) to the base station (not show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호스트 유닛
110: 서비스 인터페이스부
120: 데이터 가공부
130: 프레임 처리부
140: 프레임 송수신부
150: 제어부
200b: 리모트 유닛(RU)
210b: 근거리 통신 RF부
220: RU 가공부
230: RU 프레임 처리부
240: RU 프레임 송수신부
250: RU 제어부
100: Host unit
110: service interface unit
120: Data processing unit
130:
140: frame transmission /
150:
200b: remote unit (RU)
210b: RF communication unit
220: RU processing section
230: RU frame processing section
240: RU frame transmission /
250: RU control unit

Claims (5)

다중 대역 이동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호스트 유닛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통신을 중계하는 리모트 유닛으로서,
상기 호스트 유닛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프레임 동기화를 수행하는 RU 프레임 처리부; 상기 프레임 동기화가 수행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 송신하거나,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RU 프레임 송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RF부;
상기 호스트 유닛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전송되는 특정 서비스를 통한 데이터를 분리하고, 분리된 데이터를 변환 대상 서비스를 통하여 전송가능하도록 변환하는 RU 가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서비스 종류를 감지하고,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목적 서비스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RU 가공부가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로부터 목적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분리하도록 제어하는 RU 서비스 감지 수단; 및
상기 분리된 데이터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RF부를 제어하는 RU 서비스 변환 수단
을 포함하는 리모트 유닛.
A remote unit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a host unit capable of a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at least one or more user terminals,
An RU frame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frame synchronization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host units; An RU frame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transmitting the frame synchronized data to the host unit 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host unit; A short range communication RF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An RU processing unit for separating data through a specific service transmitted between the host unit and the user terminal and converting the separated data to be transmittable through the service to be converted;
The RU processing unit controls the RU processing unit to separate the data on the destination service from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host unit in order to detect the service type of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o confirm the destination service of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host unit RU service detection means; And
And an RU service conversion unit for controlling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RF unit such that the separated data is transmitted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shor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U 서비스 감지 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서비스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호스트 유닛에 전송하는 RU 서비스 종류 보고수단을 더 포함하는, 리모트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RU service type reporting means for collecting data on the service type detected by the RU service detecting means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data to the host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U 서비스 감지 수단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 서비스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RU 서비스 변환 수단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확인된 서비스 종류에 따른 서비스 신호로 변환하도록 상기 RU 가공부를 제어하는, 리모트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U service sensing means checks the type of service used by the user terminal from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RU service conversion unit controls the RU processing unit to convert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into a service signal according to the identified service ty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U 서비스 감지 수단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 서비스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RU 서비스 변환 수단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확인된 서비스 종류에 관한 서비스 ID와 함께 프레임화되도록 상기 RU 가공부를 제어하며,
상기 RU 프레임 송수신부는, 상기 서비스 ID와 함께 프레임화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 전송하는, 리모트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U service sensing means checks the type of service used by the user terminal from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RU service conversion unit controls the RU processing unit to frame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gether with the service ID related to the confirmed service type,
And the RU frame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transmits the framed data together with the service ID to the host unit.
KR1020130112710A 2013-09-23 2013-09-23 Remote unit of relay system for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KR1015664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710A KR101566413B1 (en) 2013-09-23 2013-09-23 Remote unit of relay system for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710A KR101566413B1 (en) 2013-09-23 2013-09-23 Remote unit of relay system for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120A KR20150033120A (en) 2015-04-01
KR101566413B1 true KR101566413B1 (en) 2015-11-05

Family

ID=53030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710A KR101566413B1 (en) 2013-09-23 2013-09-23 Remote unit of relay system for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413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120A (en)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0161B2 (en) Proximity based wireless security system
US9332559B2 (en) Method and channel selector for selecting an operation channel, and wireless network connecting apparatus including the channel selector
US20180054231A1 (en) Iot automation and data collection system
US8831520B2 (en) Information sharing method i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system
RU2566358C2 (en) Repeater, repeating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ic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90109981A1 (en) Out-of-band management for broadband over powerline network
CN101588588A (en) Wireless base system, control appliance and wireless device
US9125142B2 (en) Node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hannel selection method
RU2013136833A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MOBILE DEVICE CONTROL NODE AND SERVICE GATEWAY DEVICE
KR20140111486A (en) Base station, master device, and slave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based on cooperation of devices for single _user and method thereof
KR20180027426A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566414B1 (en) Relay system for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JP2018142929A (en) Frame capture system, frame capture device, frame capture method and program
KR101566413B1 (en) Remote unit of relay system for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EP2709420A1 (en) Mobile router
KR100710648B1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separated network architecture
JP6721958B2 (en) Centralized monitoring system
US20230254751A1 (en) Server device, monitor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JP4367150B2 (en) Mobile phone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acquisition and state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17954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1970657B1 (en) Multi-hop IoT repeating device and its method
KR2011011331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repeater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08702227B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signal quality of a radio connection
US20150163071A1 (en)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communication line selection method
KR20150056947A (en) Repeater capable of automatic operation setting according to service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