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654B1 -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654B1
KR101564654B1 KR1020130050989A KR20130050989A KR101564654B1 KR 101564654 B1 KR101564654 B1 KR 101564654B1 KR 1020130050989 A KR1020130050989 A KR 1020130050989A KR 20130050989 A KR20130050989 A KR 20130050989A KR 101564654 B1 KR101564654 B1 KR 101564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icon
management application
sub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2037A (ko
Inventor
남기원
정은영
박길주
Original Assignee
남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원 filed Critical 남기원
Priority to KR1020130050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654B1/ko
Publication of KR20140132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15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providing single-sign-on or fed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이종 통신수단과 인터넷 식별수단을 모두 묶어서 연결할 수 있는 단일의 고유한 식별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고유 식별정보의 하위에 다수의 통신수단과 인터넷 식별정보들을 아이콘의 형태로 교환이나 유통 가능하게 제공하며, 고유 식별정보의 표시나 하위 아이콘의 표시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실제 식별정보가 노출되지 않으면서 편리한 통신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SIMPLE CONNECTING SYSTEM USING OF A SMART ID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다수의 이종 통신수단과 인터넷 식별수단을 모두 묶어서 연결할 수 있는 단일의 고유한 식별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고유 식별정보의 하위에 다수의 통신수단과 인터넷 식별정보들을 아이콘의 형태로 교환이나 유통 가능하게 제공하며, 고유 식별정보의 표시나 하위 아이콘의 표시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실제 식별정보가 노출되지 않으면서 편리한 통신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원거리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하여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이상의 호스트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가입자측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정보제공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최근에는 가입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캐쉬메모리 확장기술 등 주변기술과 가입자의 취향 및 선호도에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 선별기술 및 압축기술이 개발중이며, 이를 통한 각종 콘텐츠 및 그 솔루션의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통신 환경이 발달함에 따라 개인 유저는 자신이 기억해야할 수많은 식별정보(예컨대, 아이디) 및 인증정보(예컨대, 패스워드)를 기억해야 하거나 또는 통신 식별정보(예컨대, 핸드폰 번호, 직장 전화번호, 집 전화번호, 직장 팩스번호 등)를 기억해야 하며, 또한 인터넷 식별번호(예컨대, 홈페이지 주소, 소셜 네트워크 아이디나 URL 주소, 이메일 아이디 등)를 기억해야 하므로 불편함이 많았다.
또한, 이러한 이종 통신기기들이 난무한 환경에서는 자신의 식별정보뿐만 아니라 타인의 다양한 식별정보(아이디나 전화번호)도 역시 기억해야 하고, 심지어 휴대폰의 경우 지인의 전화번호를 잊은 경우, 자주 연락하지 못한 사이 전화번호가 변경되어 연락이 두절되는 경우도 발생된다.
또, 통신 환경의 변화로 지인과 연락이 두절되는 경우도 있었다. 예컨대, “삐삐”라고 불리우는 무선 통신단말기인 비퍼(Beeper)를 사용했었던 시대를 거쳐, 휴대폰의 시대가 도래함으로 인해 비퍼를 사용하지 않게 되자 연락이 두절된 관계들이 무수하다.
결과적으로, 미래에 신규 통신수단이 개발되어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게 되면 또 많은 지인들과 연락이 두절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다수의 이종 통신수단과 인터넷 식별수단을 모두 묶어서 연결할 수 있는 단일의 고유한 식별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고유 식별정보의 하위에 다수의 통신수단과 인터넷 식별정보들을 아이콘의 형태로 교환이나 유통 가능하게 제공하며, 고유 식별정보의 표시나 하위 아이콘의 표시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실제 식별정보가 노출되지 않으면서 편리한 통신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유 식별정보를 기업과 개인분으로 구분하여 유통시키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고유 식별정보를 검색 가능하게 한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유 식별정보를 중심으로 연결된 하위 아이콘들의 실제 식별정보를 서버가 아닌 개인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관리하도록 하고 개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아이콘을 유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 정보 유출 가능성을 낮춘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 이종 통신수단이나 식별수단을 고유의 단일 아이디를 기준으로 연결할 수 있게 부여된 스마트 아이디에 대한 등록과, 표시 및 하위 아이콘 선택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유저 단말기와; 유저의 스마트 아이디 연결 정보 및 제 3자로부터 전송받은 각 스마트 아이디의 하위 아이콘을 선택 가능하게 저장할 수 있게 상기 유저 단말기내에 구비된 스마트 아이디 연결 정보 저장부와; 상기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하여 특정 스마트 아이디에 대한 등록 가능성을 기등록한 스마트 아이디 정보와 비교하여 판별하고 등록처리를 수행하는 스마트 아이디 등록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아이디는 문자, 숫자, 이미지, 화상 데이터, 음향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수단이나 식별수단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팩스번호, 유선전화, 홈페이지 주소, 이메일 정보, 웹폰 전화번호, 메신저 ID, 소셜 커머스 I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저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유선 전화단말기, 개인 컴퓨터 단말기를 포함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저 단말기는 그 내부에 전화번호가 등록된 지인별 및 미등록 전화번호에 대해 자신의 스마트 아이디로 연결 가능한 어떤 하위 아이콘을 공개할 것인지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설정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위 아이콘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콘, 팩스 아이콘, 유선전화 아이콘, 홈페이지 아이콘, 이메일 아이콘, 웹폰 아이콘, 메신저 아이콘, 소셜 커머스 아이콘을 포함한 다수의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아이디 등록서버는, 각 유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스마트 ID 등록신청 정보를 수신하여 중복 여부를 판별하고 등록 처리하는 스마트 ID 등록부와; 특정 스마트 아이디에 대한 검색 요청신호를 접수하여 검색처리하는 ID 검색 처리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ID 등록부는 개인의 스마트 ID를 등록하는 개인 스마트 ID 등록부와; 기업의 스마트 ID를 등록하는 기업 스마트 ID 등록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아이디 등록서버는 등록받은 각 스마트 아이디의 인증을 표시하여 불특정 제 3자가 유저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스마트 아이디별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등록정보 인증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저 단말기간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통신으로 상대방의 공개 아이콘을 요청하고, 상대방의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공개 하고자 하는 하위 아이콘을 전송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ID 연결정보 저장부는 개인 스마트 ID 리스트에 기록된 다수 스마트 아이디와 연동하여 하위 아이콘 공개 정보를 해당 유저가 열람 가능하게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저 단말기간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통신으로 상대방에 공개한 아이콘의 일부를 비공개로 변경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과의 통신으로 상대방에 공개한 아이콘의 식별정보를 변경 제어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저 단말기는 그 내부에 특정 스마트 ID 또는 스마트 ID의 하위 아이콘과 매칭된 실제 식별정보를 히든값으로 저장하고, 아이콘의 선택시 히든값으로 식별정보를 접속 가능하게 변환하며, 발신자 번호표시도 히든 아이콘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스마트 ID 변환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스마트 ID의 하위 아이콘과 매칭된 실제 식별정보를 히든값으로 저장하고, 비밀번호 입력시 해당 식별정보를 열람 가능하게 표시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ID는 유저의 선택에 따라 어느 한 하위 아이콘과 매칭되어 대표 아이콘으로 공개되어 제 3자로부터 접속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아이디 등록서버는 특정 스마트 ID에 대해 검색 가능하게 각 스마트 ID와, 접속 가능한 대표 아이콘이 매칭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간 통신으로 특정 스마트 ID를 등록한 유저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도록 유저 단말기에는 ID 검색처리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ID는 유저 단말기에 저장되고,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는 질의 방식으로 특정 스마트 ID를 등록한 유저 단말기를 검색할 수도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는 스마트 ID의 하위 아이콘 공개 개수 및 공인 인증서의 인증여부 및 사진 공개 여부에 따라 각 스마트 ID에 대해 서로 다른 인증 등급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저단말기는 유저의 선택에 따라 개인 전화번호부에 기등록된 지인 한정 또는 일정 등급 이상의 개인이나, 개인 전화번호부의 특정 그룹에 대해서 착신을 제한하는 착신 제어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저단말기는 유저의 선택에 따라 각 시간대별로 개인 전화번호부에 기등록된 지인 또는 일정 등급 이상의 개인이나 기업 또는, 전화번호부의 가족 그룹에 대해서만 착신을 허용하도록 제어하는 착신 제어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저단말기는 특정 스마트 ID에 대한 접속 시도중 부재시 자동으로 다른 하위 아이콘으로의 접속을 시도하도록 제어하는 발신 제어부가 더 포함되고, 각 스마트 ID별 접속을 시도하는 하위 아이콘의 배열이 특정하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ID 변환부는 착신 유저의 설정에 따라 특정 발신자에 한하여, 음성 통화를 위한 휴대폰 발신을 착신한 경우에도 이메일 아이콘이 통화목록에 표시되게 아이콘 표시를 변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유저 단말기에 설치되는 제 1과정과; 어느 한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스마트 ID에 대한 하위 아이콘 공개 요청신호를 발생하는 제 2과정과; 특정 스마트 ID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공개할 아이콘 선택정보가 입력되는 제 3과정과; 선택된 아이콘이 상대방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는 제 4과정과; 해당 아이콘을 저장하는 제 5과정과;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특정 스마트 ID를 선택하는 제 6과정과; 해당 스마트 ID의 하위 아이콘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7과정과; 해당 아이콘의 실제 식별정보로 변환되는 제 8과정과; 해당 식별정보로 접속이 이루어지는 제 9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과정의 하위 아이콘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콘, 팩스 아이콘, 유선전화 아이콘, 홈페이지 아이콘, 이메일 아이콘, 웹폰 아이콘, 메신저 아이콘, 소셜 커머스 아이콘을 포함한 다수의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과정의 하위 아이콘은 실제 식별정보가 히든값으로 매칭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4과정은 아이콘이 전송된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식별번호를 저장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9과정의 다음으로, 아이콘에 매칭된 식별정보의 변경신호가 선택되는 제 10과정과;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아이콘을 다운로드한 특정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식별번호를 추출하는 제 11과정과; 해당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아이콘에 매칭된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갱신시키는 제 12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3과정은 미등록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시 해당 상대방에게 어떤 하위 아이콘을 공개할 것인지가 미리 설정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9과정의 다음으로, 스마트 ID 등록서버가 등록된 스마트 ID에 대해 검색 가능하게 리스트 관리하는 과정과; 어느 한 유저단말기로부터의 특정 스마트 ID에 대한 검색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해당 스마트 ID에 매칭된 대표 아이콘을 제공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과정과 2과정의 사이에, 스마트 ID 등록서버가 유저단말기로부터 특정 스마트 ID에 대한 등록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기등록 스마트 ID와 해당 스마트 ID를 비교하는 과정과; 해당 스마트 ID의 중복 여부에 따라 등록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는 특정 스마트 ID의 등록 처리시, 하위 아이콘의 공개 개수 또는 공인 인증서의 인증여부 및 사진 공개 여부에 따라 각 스마트 ID에 대해 서로 다른 인증 등급을 부여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은 고유의 단일 스마트 아이디가 다수의 통신수단 식별정보나 인터넷 접속 식별정보, 데이터 접속 식별정보를 모두 접속 가능하게 부여되어 등록되게 되므로 해당 식별정보가 변경되거나 잊거나 하여도 쉽게 상대방의 식별정보에 접속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해당 식별정보들의 노출이 방지되며, 해당 식별정보를 유저가 직접 선택적으로 공개 대상에게만 제한하여 유통시킬 수 있으므로 개인정보 유출이 방지되고, 발신과 착신에 대한 편의성과 안전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을 통해 상대방에 대한 스마트 아이디의 하위 아이콘 공개 설정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을 통한 기저장 개인 스마트 아이디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을 통한 스마트 아이디의 하위 아이콘 공개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을 통한 스마트 아이디의 하위 아이콘 갱신 처리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을 통한 스마트 아이디 대응 실제 식별정보 노출 방지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의 스마트 아이디와 개인 전화번호부와의 연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개인 스마트 아이디의 검색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기업 스마트 아이디의 검색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을 통해 각 유저 단말기에 저장된 하위 아이콘의 유통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을 통한 스마트 아이디의 인증 등급 분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을 통한 착신 승인 등급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을 통한 시간대별 착신 대상 제한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부재시 자동 호출 통신수단 변경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을 통해 상대방에 대한 스마트 아이디의 하위 아이콘 공개 설정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을 통한 기저장 개인 스마트 아이디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을 통한 스마트 아이디의 하위 아이콘 공개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은 다수의 이종 통신수단과 인터넷 식별수단을 모두 묶어서 연결할 수 있는 단일의 고유한 식별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고유 식별정보의 하위에 다수의 통신수단과 인터넷 식별정보들을 아이콘의 형태로 교환이나 유통 가능하게 제공하며, 고유 식별정보의 표시나 하위 아이콘의 표시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실제 식별정보가 노출되지 않으면서 편리한 통신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시스템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은 다수의 통신수단 식별정보나 인터넷 식별정보를 대표할 수 있는 단 하나의 고유 식별정보인 스마트 ID를 등록시켜 사용하고, 차후 어느 한 통신수단 식별정보나 인터넷 식별정보가 변경되어도 고유한 스마트 ID는 변치 않으므로 변경된 식별정보를 지인들에게 따로 알릴 필요가 없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은 각 유저가 소유한 다수의 통신수단 식별정보나 인터넷 식별정보를 상기 스마트 ID의 하위 아이콘의 형태로 관리하는 바, 아이콘을 타인에게 제공함으로써 해당 유저에 대해 아이콘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게 식별정보를 개방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ID의 하위 아이콘은 중복해서 지인들에게 제공되어 자신의 식별정보 자체를 노출하지는 않지만, 해당 식별정보에 대해 지인들이 접속할 수 있게 되며, 각 지인별로 공개된 아이콘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더 친한 사람에게는 더 많은 아이콘을 제공할 것이고, 덜 친하거나 직무관련 거래처 지인에게는 한, 두가지 주요 통신수단의 식별정보 아이콘(핸드폰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은 다수의 이종 통신수단이나 식별수단을 고유의 단일 아이디를 기준으로 연결할 수 있게 부여된 스마트 아이디(10A)에 대한 등록과, 표시 및 하위 아이콘(10B~10G)의 선택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A)이 탑재된 유저 단말기(2)와; 유저의 스마트 아이디 연결 정보 및 제 3자로부터 전송받은 각 스마트 아이디(10A)의 하위 아이콘(10B~10G)을 선택 가능하게 저장할 수 있게 상기 유저 단말기내에 구비된 스마트 아이디 연결 정보 저장부(8)와; 상기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A)과 통신하여 특정 스마트 아이디(10A)에 대한 등록 가능성을 기등록한 스마트 아이디 정보와 비교하여 판별하고 등록처리를 수행하는 스마트 아이디 등록서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마트 아이디(10A)는 문자, 숫자, 이미지, 화상 데이터, 음향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바,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아이디(10A)는 한번 등록하고 지인들에게 해당 스마트 아이디(10A)를 알린 다음에는 평생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자신의 별명이나 이름을 조속하게 등록하여 선점하는 것이 좋겠다.
한편, 고유의 상기 스마트 아이디(10A)를 이용하여 접속 가능한 상기 통신수단이나 식별수단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팩스번호, 유선전화, 홈페이지 주소, 이메일 정보, 웹폰 전화번호, 메신저 ID, 소셜 커머스 ID가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유저 단말기도 역시 이동통신 단말기, 유선 전화단말기, 개인 컴퓨터 단말기를 포함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은 다수의 지인 및 지인이 아닌 접속 대상에 대해, 서로 다르게 아이콘(10B~10G)을 제공하여 상대방으로 하여금 접속 가능하게 하는 바, 지인이 아닌 접속 대상이 접속할 수 있게 특정 아이콘(10B~10G)을 제공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전화번호가 등록된 지인별 및 미등록 전화번호에 대해 자신의 스마트 아이디(10A)로 연결 가능한 어떤 하위 아이콘을 공개할 것인지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설정부(12)가 상기 유저 단말기(2)에 더 포함되고, 데이터의 화면 출력을 위한 공지의 브라우저(6)가 포함되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하위 아이콘(10B~10G)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콘(10B), 팩스 아이콘, 유선전화(직장) 아이콘(10C), 유선전화(집) 아이콘(10D), 홈페이지 주소 아이콘(10E), 이메일 아이디 아이콘(10F), 웹폰 아이콘, 메신저 아이콘, 소셜 커머스 아이콘 등 기타 식별정보를 포함한 다수의 아이콘이고, 상기 하위 이콘(10B~10G)의 상위 개념인 스마트 ID(10A)만을 알고 있어도 해당 유저가 소유한 다양한 통신수단이나 또는 인터넷 식별정보에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스마트 아이디 등록서버(20)는 그 내부에, 각 유저 단말기(2)로부터 전송된 스마트 ID 등록신청 정보를 수신하여 중복 여부를 판별하고 등록 처리하는 스마트 ID 등록부(22,26)와; 특정 스마트 아이디(10A)에 대한 검색 요청신호를 접수하여 검색처리하는 ID 검색 처리부(28)를 포함한다.
즉, 상기 스마트 아이디 등록서버(20)는 각 유저가 등록을 소망하는 스마트 ID(10A)에 대해 기등록 스마트 ID에 대해 검색 및 비교하여 등록 처리를 수행하는 바, 스마트 ID(10A)는 고유하므로 동일 스마트 ID가 등록되지 않게 처리하고, 등록된 각 스마트 ID에 대해 각 유저가 설정한 대표 아이콘(어느 한 통신수단 식별부호 또는 인터넷 식별정보임)을 매칭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ID(10A)는 개인용과 기업용으로 구분되는 것이 좋으며, 동일한 스마트 ID라고 할지라도 개인용과 기업용으로 분류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 아이디 등록서버(20)에서 각각의 등록을 허용해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아이디 등록서버(20)는 개인 스마트 ID 등록부(22) 및 기업 스마트 ID 등록부(26)로 구분하여 포함한다.
영업사원이 상기 스마트 ID(10A)를 등록하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마트 ID(10A)에 대해 매칭되는 대표 아이콘이 한 개가 아닌 여러개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스마트 ID(10A)에 대해 매칭되는 아이콘의 개수는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스마트 아이디 등록서버(20)는 등록받은 각 스마트 아이디(10A)의 인증을 표시하여 불특정 제 3자가 유저단말기(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스마트 아이디별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등록정보 인증부(24)가 더 포함된다. 등록정보 인증부(24)는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은 다수의 지인 및 지인이 아닌 접속 대상에 대해, 서로 다르게 아이콘(10B~10G)을 제공하여 상대방으로 하여금 접속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인 바,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을 유저 단말기(2)에 다운로드한 유저는 지인의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에 접속하여 아이콘 공개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한 유저는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의 브라우저(30)에 특정 발신자(개인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지인인 경우)의 성명(32)과 전화번호(34)가 발신자 정보표시(CID)방식을 통해 출력되면서, 아이콘 공개 요청신호를 접수한다.
그로인해, 유저는 해당 지인에게 어떤 아이콘을 제공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체크할 수 있으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의 브라우저(30)에 구비된 공개버튼(36)을 조작하여 체크박스에 체크된 아이콘을 해당 지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폰 전화번호 아이콘과, 이메일 주소 아이콘을 공개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휴대폰 전화번호 아이콘과, 이메일 주소 아이콘이 상대방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으로는 특정 스마트 ID의 하위 아이콘의 형태로 전송되지만, 그 휴대폰 전화번호 아이콘과, 이메일 주소 아이콘에는 실제 식별정보(예컨대, 휴대폰 전화번호 및 이메일 주소)가 히든값으로 포함되어져 있으며, 해당 상대방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이 어느 한 아이콘의 선택시 히든상태의 실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유저의 통신기기나 인터넷 식별정보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유저도 제 3자들이 전송해준 아이콘을 저장하여 관리하는 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을 구동시키면 해당 유저의 개인 스마트 ID 리스트(40)가 출력되고 해당 개인 스마트 ID 리스트(40)에 포함된 어느 한 지인을 선택하여 해당 유저가 미리 전송해준 아이콘이 어떤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고, 설정변경 버튼(46)을 조작해서 아이콘 공개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은 어느 한 제 3자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으로 자신의 아이콘을 전송해줄 때 어떤 아이콘을 전송하였는 지를 자동으로 기록하고, 차후 해당 제 3자에 대한 아이콘 공개설정을 시도하는 경우 해당 유저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과 제 3자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이 통신하여 아이콘의 공개를 취소할 수도 있고, 아이콘과 매칭된 식별정보를 변경할 수도 있다.
참조부호 38은 공개목록이고, 42는 내 아이콘의 공개목록 열람버튼이며, 44는 내 아이콘 공개목록 확인 대상자 입력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짱구”라는 스마트 ID를 갖는 유저는 “개나리”라는 스마트 ID를 갖는 유저에게, 휴대폰 아이콘과, 직장 유선전화 아이콘과, 집 유선전화 아이콘과, 이메일 주소를 공개할 수 있고, 반면 “개나리”라는 스마트 ID를 갖는 유저는 “짱구”라는 스마트 ID를 갖는 유저에게, 휴대폰 아이콘만 공개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을 통한 스마트 아이디의 하위 아이콘 갱신 처리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어느 한 유저가 소유한 다수의 통신수단 식별정보나 인터넷 식별정보를 대표할 수 있는 단 하나의 고유 식별정보인 스마트 ID를 등록시켜 사용할 수 있는 바, 차후 어느 한 통신수단 식별정보나 인터넷 식별정보가 변경되어도 고유한 스마트 ID는 변치 않으므로 변경된 식별정보를 지인들에게 따로 알릴 필요가 없다.
다만, 지인이 제공받아 저장한 하위 아이콘중 변경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아이콘은 그 매칭된 식별정보를 갱신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은 두가지 방식으로 특정 하위 아이콘과 매칭된 식별정보를 갱신할 수 있는 바, 그 중 하나는 특정 유저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이 제 3자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으로 특정 하위 아이콘을 제공하여 해당 제 3자에 한하여 공개하는 경우, 해당 유저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이 제 3자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의 고유정보와, 제공한 특정 하위 아이콘 정보를 저장하고, 차후 해당 아이콘에 매칭된 식별정보의 갱신이 필요한 경우 그 기록을 이용하여 해당 제 3자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과 통신하여 해당 아이콘의 식별정보를 갱신해주는 방식이다.
두 번째 방식은 유저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과 제 3자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이 통신하여 하위 아이콘을 다운로드하여 저장한 상태에서, 해당 하위 아이콘의 식별정보 갱신이 필요하면 해당 유저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이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에 해당 하위 아이콘의 식별정보 갱신을 요청한다.
그러면, 질의 방식으로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는 각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로 해당 하위 아이콘의 존재 여부를 질의하고, 이에 대응하여 해당 하위 아이콘이 존재한다고 응답한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으로 해당 갱신정보를 전송하여 갱신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스마트 ID 및 그 하위 아이콘은 고유번호가 존재하는 바, 그 고유번호는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이 특정 하위 아이콘의 존재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유저가 해당 고유번호를 인지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는 특정 스마트 ID(예컨대, 대머리)의 특정 아이콘(예컨대, 코드번호 0001)이 존재하는 지를 여부를 불특정 다수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에 질의하고, 이에 응답하는 다수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에 자동으로 해당 아이콘과 매칭된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갱신시킨다.
그러면, 유저는 해당 식별정보의 갱신여부를 판단하지 못한 상태에서 매우 편리하게 해당 식별정보가 갱신되게 되므로 편의성이 높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은 플랫폼 어플리케이션(4)이 구비되어 각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간 통신 또는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에 대해 어느 한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저 단말기(2)는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을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유저가 상기 유저 단말기(2)에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다음,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을 구동시키고,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로 특정 스마트 ID에 대한 등록 요청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로인해,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가 해당 유저단말기(2)로부터 특정 스마트 ID(10A)에 대한 등록 요청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는 미리 저장된 기등록 스마트 ID와 해당 유저단말기(2)로부터 등록을 요청하기 위해 전송된 해당 스마트 ID를 비교한다.
만약,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가 스캔한 결과, 해당 유저 단말기(2)로부터 전송된 특정 스마트 ID가 기등록 스마트 ID에 존재하지 않다면,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는 해당 스마트 ID를 등록 처리한다.
스마트 ID는 고유한 ID이므로 중복되게 등록되지 않는다.
그 상태에서, 유저는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을 이용하여 해당 스마트 ID에 연결되는 하위 아이콘들을 식별정보들과 매칭시킬 수 있는 바, 예컨대 휴대폰 아이콘에 010-000-0000이라는 식별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에 등록한다.
이렇게 등록된 식별정보는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에 저장되지 않고, 해당 유저 단말기(2)에 각각 개별적으로 등록함으로써 정보 유출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어느 한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은 특정 스마트 ID로부터 하위 아이콘 공개 요청신호를 접수할 수 있다. 즉, “짱구”라는 스마트 ID를 보유한 유저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이 “대머리”라는 스마트 ID를 보유한 유저로부터 하위 아이콘 공개 요청신호를 접수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짱구”라는 스마트 ID를 갖는 유저는 “대머리”라는 스마트 ID를 보유한 유저에게 어떤 하위 아이콘을 제공할 것인지를 판단한 후,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에 구비된 체크박스를 체크하여 해당 하위 아이콘을 공개한다.
즉, “짱구”라는 스마트 ID를 갖는 유저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은 “대머리”라는 스마트 ID를 보유한 유저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으로 휴대폰 아이콘 및 직장 유선전화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에는 미등록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시 어떤 하위 아이콘을 공개할 것인지가 미리 설정되어져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상대방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은 해당 아이콘을 저장한다.
그런 다음, 유저가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을 구동시키고 특정 스마트 ID를 선택한 다음, 해당 스마트 ID의 하위 아이콘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은 해당 아이콘의 실제 식별정보로 변환한 다음, 해당 식별정보로 접속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위 아이콘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콘, 팩스 아이콘, 유선전화 아이콘, 홈페이지 아이콘, 이메일 아이콘, 웹폰 아이콘, 메신저 아이콘, 소셜 커머스 아이콘을 포함한 다수의 아이콘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하위 아이콘은 실제 식별정보가 히든값으로 매칭된다.
한편,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은 해당 아이콘이 전송된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의 식별번호를 저장하여, 어느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으로부터 전송된 아이콘을 저장하였는 지, 착신 유저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이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하위 아이콘 마다 실제 식별정보가 매칭된 바, 어느 한 하위 아이콘의 식별정보가 변경된 경우, 유저는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을 구동시켜 자신의 하위 아이콘을 제공받은 다른 유저의 식별정보를 갱신한다.
즉,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은 특정 아이콘에 매칭된 식별정보의 변경신호가 선택되는 지를 판단한다. 예컨대, 휴대폰 번호가 변경된 경우 해당 유저의 휴대폰 아이콘을 다운로드한 특정 유저에게 해당 휴대폰 아이콘에 매칭된 휴대폰 번호를 변경하여 준다.
이를 위한 방식은 두가지 임을 앞서 설명한 바, 설명의 편의상 그중 한가지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은 해당 아이콘을 다운로드한 특정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식별번호를 추출하고, 해당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으로 갱신하고자 하는 아이콘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갱신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을 통한 스마트 아이디 대응 실제 식별정보 노출 방지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의 스마트 아이디와 개인 전화번호부와의 연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은 상대방 유저가 제공해줌으로 인해 다운로드한 하위 아이콘에 대해 매칭된 식별정보 또는 스마트 ID의 실제 식별정보는 상대방 단말기의 브라우저상에 노출되어도 무관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프라이버시를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유저 단말기(2)는 내부에 특정 스마트 ID 또는 스마트 ID의 하위 아이콘과 매칭된 실제 식별정보를 히든값으로 저장하고, 아이콘의 선택시 히든값으로 식별정보를 접속 가능하게 변환하며, 발신자 번호표시도 히든 아이콘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스마트 ID 변환부(16)가 더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대머리”라는 스마트 ID를 보유한 유저가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에 접속하고자 하는 특정 스마트 ID(예컨대, “짱구”)를 입력하고 발신하게 되면, 상기 유저 단말기(2)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스마트 ID 변환부(16)가 해당 스마트 ID(예컨대, “짱구”)와 매칭된 히든상태의 식별정보(예컨대, 전화번호)로 변환하여 이동통신사 중계기(1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동통신사 중계기(100)는 해당 착신측 스마트 ID(예컨대, “짱구”)와 매칭된 식별정보를 통해 호접속을 시도한다.
그로인해, 착신측 단말기이며, 해당 스마트 ID(예컨대, “짱구”)를 갖는 유저 단말기(2)의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은 발신자 식별정보 제공서비스(일명, CID 서비스)를 통해 발신측 전화번호를 인지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은 발신측 전화번호를 그대로 노출하지 않고 내부에 구비된 상기 스마트 ID 변환부(16)를 통해 변환하여 발신자의 스마트 ID(예컨대, “대머리”)를 브라우저에 노출시킨다.
더불어, 착신 유저는 특정 발신자에 한하여, 음성 통화를 위한 휴대폰 발신을 착신한 경우에도 상기 스마트 ID 변환부(16)를 통해 이메일 아이콘이 통화목록에 표시되게 변환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은 해당 유저의 단말기(2)에 저장된 개인 전화번호부(62)와, 해당 유저가 지인에게 수신받아 저장하는 스마트 ID 리스트(40)를 연동시켜 구동 가능한 바, 상기 스마트 ID 리스트(40)는 각 하위 아이콘(예컨대, 휴대폰 아이콘, 직장 유선전화 아이콘 등)의 실제 식별정보가 히든상태의 히든데이터(64)로 연동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별도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이 상기 스마트 ID 리스트(40)에 대응하는 히든데이터(64)의 실제 식별정보가 브라우저에 노출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ID(10A)는 유저의 선택에 따라 어느 한 하위 아이콘과 매칭되어 대표 아이콘(예컨대, 휴대폰 아이콘 등)으로 공개되어 제 3자로부터 접속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아이디 등록서버(20)는 특정 스마트 ID(10A)에 대해 검색 가능하게 각 스마트 ID(10A)와, 접속 가능한 대표 아이콘(예컨대, 휴대폰 아이콘)만이 매칭되게 등록하고, 어느 한 유저가 특정 스마트 ID를 검색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가 해당 스마트 ID와 매칭된 대표 아이콘을 해당 유저 단말기(2)로 전송해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개인 스마트 아이디의 검색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기업 스마트 아이디의 검색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을 통해 각 유저 단말기에 저장된 하위 아이콘의 유통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을 통해 고유 식별정보를 기업과 개인분으로 구분하여 유통시키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고유 식별정보를 검색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개인 스마트 ID에 대한 검색은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을 통한 개인 검색창(70)을 출력시키고, 스마트 ID 입력창(71)에 검색하고자 하는 스마트 ID를 입력하고 검색버튼(72)을 조작하면 해당 유저가 찾고자 하는 스마트 ID의 소유자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간략 정보(74)를 노출시킨다.
해당 간략정보(74)는 대표 아이콘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사진이나 성명(76a) 또는 성씨로만 이루어질 수 있고, 일부 자릿수에 한정되어 노출되는 휴대폰 번호(76b)일 수도 있으며, 해당 간략정보(74)를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에 저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A)간 통신으로 특정 스마트 ID를 등록한 유저 단말기(2)에 접속할 수 있도록 유저 단말기(2)에는 ID 검색처리부(18)가 더 포함되어져 있고, 그 ID 검색처리부(18)는 서로 다른 유저단말기(2)의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과 통신하여 해당 간략정보(74)를 획득하여 브라우저에 노출시킬 수도 있고,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와 통신하여 해당 간략정보(74)를 획득하여 브라우저에 노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ID 검색처리부(18)는 검색 결과중 유사 스마트 ID에 대한 정보(78)도 브라우저에 열람 가능하게 노출시켜 신속한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기업 스마트 ID에 대한 검색은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을 통한 기업 검색창(80)을 출력시키고, 스마트 ID 입력창(71)에 검색하고자 하는 스마트 ID를 입력하고 검색버튼(72)을 조작하면 상기 ID 검색처리부(18)가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와 통신하여 해당 검색결과에 대한 정보(78)를 노출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은 고유 식별정보를 중심으로 연결된 하위 아이콘들의 실제 식별정보를 서버(20)가 아닌 개인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A)에서 관리하도록 하고 개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아이콘을 유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 정보 유출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ID는 유저 단말기(2)에 저장되고,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는 질의 방식으로 특정 스마트 ID를 등록한 유저 단말기를 검색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에 다수의 등록 스마트 ID(10A)와 또는 해당 스마트 ID(10A)와 매칭된 대표 식별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지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ID(10A)를 직접 유저 단말기(2)에 저장하고,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에 의해 관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는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과 통신하여 미리 등록된 스마트 ID와 비교하여 등록 가부 정보를 해당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으로 제공하지만, 해당 스마트 ID와 매칭된 식별정보는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가 저장하고 있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이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이 직접 해당 스마트 ID와 연결된 다수의 하위 아이콘을 직접 저장하고 관리하면서,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를 매개하여 어느 한 유저의 공개 요청에 의해 해당 하위 아이콘을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이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을 통한 스마트 아이디의 인증 등급 분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가 스마트 ID의 하위 아이콘 공개 개수 및 공인 인증서의 인증여부 및 사진 공개 여부에 따라 각 스마트 ID에 대해 서로 다른 인증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
인증 등급이 높은 경우에는 특정 유저 단말기(2)에 대한 발신시, 통화 상대방이 스팸으로 해당 호를 인식하지 않고 호접속에 보다 긍정적으로 임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인증 등급이 높은 경우 자신의 많은 정보를 우선 노출시키게 되므로 비록 광고 목적이라고 할지라도 착신자가 호접속 승인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업체의 경우, 업체별 인증상태 정보(82)를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에 저장하고 인증 등급을 관리하는 바, 예컨대 더 많은 정보를 공개할수록 인증 등급이 높은 것은 마땅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ID 등록서버(20)는 다이아몬드 등급(D)은 스마트 ID 아이콘 4개 이상 공개, 공인 인증서 인증, 사진 정보 공개가 모두 수행된 스마트 ID로 제한할 수 있으며, 골드 등급(G)은 스마트 ID 아이콘 4개 이상 공개, 공인 인증서 인증이 수행된 스마트 ID로 제한할 수 있고, 실버 등급(S)은 스마트 ID 아이콘 4개 이상 공개가 이루어진 스마트 ID로 제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을 통한 착신 승인 등급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인을 제외한 전화번호에 대해 선택적으로 착신을 수행할 수 있게 각 스마트 ID에 등급을 부여할 수 있는 바, 동 도면은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을 통해 착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에는 착신 제어부(50)가 구비된 바, 그 착신 제어부(50)를 구동시키면 착신 승인 등급제한 설정창(84)이 브라우저에 출력되어 착신 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착신 승인 등급제한 설정창(84)에서 지인(해당 유저의 개인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을 한정하여 착신을 제어할 수도 있고(86a), 골드 등급이상의 개인에 한정하여 착신을 제어할 수도 있고(86b), 다이아몬드 등급 이상의 그룹에 한정하여 착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86c). 만약, 착신 대상을 벗어난 발신자가 호접속을 시도한 경우라면 상기 착신 제어부(50)는 호접속 요청을 나타내는 링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을 통한 시간대별 착신 대상 제한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은 상기 착신 제어부(50)의 기능을 더 확장하여 시간대별 착신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착신 제어부(50)는 그 설정에 따라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는 모든 다이아몬드, 골드, 실버 등급의 착신콜을 승인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오후 6시부터 오후 10시까지는 지인 전화번호에 제한하여 착신콜을 승인하게 설정할 수 있고, 오후 10시부터 오전 8시까지는 가족 그룹에 한하여 착신콜을 승인하게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체크박스(90)를 통해 오후 10시부터 오전 8시까지의 착신 제한을 설정하지 않으면, 그 전단계의 착신 제한설정 예컨대, 오후 6시부터 오후 10시까지는 지인 전화번호에 제한하여 착신콜을 승인하게 설정한 설정값이 그대로 자동 적용되도록 상기 착신 제어부(50)가 작동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부재시 자동 호출 통신수단 변경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유저단말기(2)는 특정 스마트 ID에 대한 접속 시도중 부재시 자동으로 다른 하위 아이콘(동 도면에서는 통신수단으로 한정함)으로의 접속을 시도하도록 제어하는 발신 제어부(60)가 더 포함되고, 각 스마트 ID별 접속을 시도하는 하위 아이콘의 배열이 특정하게 설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신 제어부(60)가 구동되는 상기 스마트 ID 관리 어플리케이션(A)은 부재시 자동 호출대상 변환 설정창(92)을 통해 통신 수단 자동스위칭이 이루어지는 바, 즉 일정한 순서로 정렬된 하위 아이콘에 대한 발신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예컨대, 호출대상(94)이 아내인 경우, 아내에 대한 호출 부재시 집전화, 핸드폰, 직장전화의 순서대로 발신하게 설정한 경우라면, 상기 발신 제어부(60)는 일정 주기간격으로 호접속 요청신호를 발생하고 호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설정된 순서(96)대로 다른 통신수단으로 호접속을 시도하게 발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신 제어부(60)는 통신수단 스위칭을 수행하기 위한 링신호의 횟수정보(98)가 설정되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2:유저단말기, A:스마트 ID 관리어플리케이션,
4:플랫폼 어플리케이션, 6:브라우저,
8:스마트 ID 연결정보 저장부, 10:스마트 ID 연결정보,
20:스마트 ID 등록서버.

Claims (33)

  1. 다수 이종 통신수단의 식별정보를 고유의 단일 아이디를 기준으로 연결할 수 있게 부여된 스마트 아이디에 대한 등록과, 표시 및 하위 아이콘 선택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유저 단말기와;
    유저의 스마트 아이디 연결 정보 및 제 3자로부터 전송받은 각 스마트 아이디의 하위 아이콘을 선택 가능하게 저장할 수 있게 상기 유저 단말기내에 구비된 스마트 아이디 연결 정보 저장부와;
    상기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하여 특정 스마트 아이디에 대한 등록 가능성을 기등록한 스마트 아이디 정보와 비교하여 판별하고 등록처리를 수행하는 스마트 아이디 등록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 아이디 등록서버는 각 유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스마트 아이디 등록신청 정보를 수신하여 중복 여부를 판별하고 등록 처리하는 스마트 아이디 등록부와; 특정 스마트 아이디에 대한 검색 요청신호를 접수하여 검색처리하는 아이디 검색 처리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아이디는 문자, 숫자, 이미지, 화상 데이터, 음향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팩스번호, 유선전화, 홈페이지 주소, 이메일 정보, 웹폰 전화번호, 메신저 ID, 소셜 커머스 I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유선 전화단말기, 개인 컴퓨터 단말기를 포함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기는 그 내부에 전화번호가 등록된 지인별 및 미등록 전화번호에 대해 자신의 스마트 아이디로 연결 가능한 어떤 하위 아이콘을 공개할 것인지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설정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아이콘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콘, 팩스 아이콘, 유선전화 아이콘, 홈페이지 아이콘, 이메일 아이콘, 웹폰 아이콘, 메신저 아이콘, 소셜 커머스 아이콘을 포함한 다수의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아이디 등록부는 개인의 스마트 아이디를 등록하는 개인 스마트 아이디 등록부와;
    기업의 스마트 아이디를 등록하는 기업 스마트 아이디 등록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아이디 등록서버는 등록받은 각 스마트 아이디의 인증을 표시하여 불특정 제 3자가 유저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스마트 아이디별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등록정보 인증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기간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통신으로 상대방의 공개 아이콘을 요청하고, 상대방의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공개 하고자 하는 하위 아이콘을 전송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아이디 연결정보 저장부는 개인 스마트 아이디 리스트에 기록된 다수 스마트 아이디와 연동하여 하위 아이콘 공개 정보를 해당 유저가 열람 가능하게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기간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통신으로 상대방에 공개한 아이콘의 일부를 비공개로 변경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과의 통신으로 상대방에 공개한 아이콘의 식별정보를 변경 제어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기는 그 내부에 특정 스마트 아이디 또는 스마트 아이디의 하위 아이콘과 매칭된 실제 식별정보를 히든값으로 저장하고, 아이콘의 선택시 히든값으로 식별정보를 접속 가능하게 변환하며, 발신자 번호표시도 히든 아이콘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스마트 아이디 변환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스마트 아이디의 하위 아이콘과 매칭된 실제 식별정보를 히든값으로 저장하고, 비밀번호 입력시 해당 식별정보를 열람 가능하게 표시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아이디는 유저의 선택에 따라 어느 한 하위 아이콘과 매칭되어 대표 아이콘으로 공개되어 제 3자로부터 접속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아이디 등록서버는 특정 스마트 아이디에 대해 검색 가능하게 각 스마트 아이디와, 접속 가능한 대표 아이콘이 매칭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간 통신으로 특정 스마트 아이디를 등록한 유저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도록 유저 단말기에는 아이디 검색처리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아이디는 유저 단말기에 저장되고, 상기 스마트 아이디 등록서버는 질의 방식으로 특정 스마트 아이디를 등록한 유저 단말기를 검색할 수도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아이디 등록서버는 스마트 아이디의 하위 아이콘 공개 개수 및 공인 인증서의 인증여부 및 사진 공개 여부에 따라 각 스마트 아이디에 대해 서로 다른 인증 등급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단말기는 유저의 선택에 따라 개인 전화번호부에 기등록된 지인 한정 또는 일정 등급 이상의 개인이나, 개인 전화번호부의 특정 그룹에 대해서 착신을 제한하는 착신 제어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단말기는 유저의 선택에 따라 각 시간대별로 개인 전화번호부에 기등록된 지인 또는 일정 등급 이상의 개인이나 기업 또는, 전화번호부의 가족 그룹에 대해서만 착신을 허용하도록 제어하는 착신 제어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단말기는 특정 스마트 아이디에 대한 접속 시도중 부재시 자동으로 다른 하위 아이콘으로의 접속을 시도하도록 제어하는 발신 제어부가 더 포함되고, 각 스마트 아이디별 접속을 시도하는 하위 아이콘의 배열이 특정하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24.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아이디 변환부는 착신 유저의 설정에 따라 특정 발신자에 한하여, 음성 통화를 위한 휴대폰 발신을 착신한 경우에도 이메일 아이콘이 통화목록에 표시되게 아이콘 표시를 변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25.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유저 단말기에 설치되는 제 1과정과;
    어느 한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스마트 아이디에 대한 하위 아이콘 공개 요청신호를 발생하는 제 2과정과;
    특정 스마트 아이디의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공개할 아이콘 선택정보가 입력되는 제 3과정과;
    선택된 아이콘이 상대방의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고, 아이콘이 전송된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식별번호를 저장하는 제 4과정과;
    전송된 특정 아이콘을 저장하는 제 5과정과;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특정 스마트 아이디를 선택하는 제 6과정과;
    선택된 특정 스마트 아이디의 하위 아이콘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7과정과;
    선택된 특정 아이콘의 실제 식별정보로 변환되는 제 8과정과;
    변환된 특정 식별정보로 접속이 이루어지는 제 9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과정의 하위 아이콘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콘, 팩스 아이콘, 유선전화 아이콘, 홈페이지 아이콘, 이메일 아이콘, 웹폰 아이콘, 메신저 아이콘, 소셜 커머스 아이콘을 포함한 다수의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방법.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과정의 하위 아이콘은 실제 식별정보가 히든값으로 매칭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방법.
  28. 삭제
  2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9과정의 다음으로,
    특정 아이콘에 매칭된 식별정보의 변경신호가 선택되는 제 10과정과;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그 특정 아이콘을 다운로드한 특정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제 11과정과;
    그 스마트 아이디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추출된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갱신시키는 제 12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방법.
  30.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과정은 미등록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시 발신자인 상대방에게 어떤 하위 아이콘을 공개할 것인지가 미리 설정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방법.
  31.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9과정의 다음으로,
    스마트 아이디 등록서버가 등록된 스마트 아이디에 대해 검색 가능하게 리스트 관리하는 과정과;
    어느 한 유저단말기로부터의 특정 스마트 아이디에 대한 검색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검색된 특정 스마트 아이디에 매칭된 대표 아이콘을 제공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방법.
  32.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과정과 2과정의 사이에,
    스마트 아이디 등록서버가 유저단말기로부터 특정 스마트 아이디에 대한 등록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기등록 스마트 아이디들과 등록을 요청한 스마트 아이디를 비교하는 과정과;
    등록을 요청한 스마트 아이디의 미등록시 신규 등록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아이디 등록서버는 특정 스마트 아이디의 등록 처리시, 하위 아이콘의 공개 개수 또는 공인 인증서의 인증여부 또는 사진 공개 여부에 따라 각 스마트 아이디에 대해 서로 다른 인증 등급을 부여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방법.
KR1020130050989A 2013-05-07 2013-05-07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64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989A KR101564654B1 (ko) 2013-05-07 2013-05-07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989A KR101564654B1 (ko) 2013-05-07 2013-05-07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037A KR20140132037A (ko) 2014-11-17
KR101564654B1 true KR101564654B1 (ko) 2015-11-04

Family

ID=5245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989A KR101564654B1 (ko) 2013-05-07 2013-05-07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6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102B1 (ko) * 2019-03-25 2020-10-20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11606533B2 (en) 2021-04-16 2023-03-14 Hyperconnect Inc. Methods and devices for visually displaying countdown time on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867B1 (ko) * 2014-09-01 2016-11-17 티더블유모바일 주식회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통신 접속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33775A (ko) * 2015-05-13 2016-11-23 이세용 통신정보 표시 및 접속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장치 및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214640B1 (ko) * 2019-11-26 2021-02-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종 IoT 플랫폼 식별체계 상호연동을 위한 관리체계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102B1 (ko) * 2019-03-25 2020-10-20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영상 통화 중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11196777B2 (en) 2019-03-25 2021-12-07 Hyperconnect, Inc. Video call mediat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11606533B2 (en) 2021-04-16 2023-03-14 Hyperconnect Inc. Methods and devices for visually displaying countdown time on graphical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037A (ko) 201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6307B2 (en) Method for providing multi number service
US1116558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personal information
KR101564654B1 (ko)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
CA2782005C (en) System and method for a global directory service
US20190347441A1 (en) Patient privacy de-identification in firewall switches forming VLAN segregation
CN110622495A (zh) 用于集成标识符及用户界面的终端设备、服务方法及集成标识符管理系统
JP2016516314A (ja) 電話番号連動基盤の電子名刺伝送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0683618B1 (ko) 정보 등록 방법, 정보 관리 장치 및 광고 표시 시스템
KR102214177B1 (ko) 전자명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47705A (ko) 통합 통신 아이디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60114B1 (ko) 통합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5391700A (zh) 个人用户的组织身份信息的认证处理方法
KR102008450B1 (ko) 명함 정보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08728B1 (ko) 명함정보의 등록 및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0176473Y1 (ko) 전화번호를 e-메일 id로 발급하는 e-메일 시스템
KR101278521B1 (ko) 상대방에 의한 내 전자명함첩 관리 방법, 명함 서버 및 명함 관리 시스템
KR101841652B1 (ko) 만남 주선 방법
KR101700301B1 (ko)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08763A (ko) Rfid를 이용한 추억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JP7422428B1 (ja) 来訪者情報共有装置、来訪者情報共有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880817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 user equipment
KR101195741B1 (ko) 명칭을 이용한 전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7165340B1 (ja) インターホン呼出制御装置、インターホン呼出制御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247200B1 (ko) 개인번호를 이용한 발신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12223B1 (ko) 소셜 네트워크 자동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