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429B1 - 휴대 단말기용 장비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429B1
KR101564429B1 KR1020157002534A KR20157002534A KR101564429B1 KR 101564429 B1 KR101564429 B1 KR 101564429B1 KR 1020157002534 A KR1020157002534 A KR 1020157002534A KR 20157002534 A KR20157002534 A KR 20157002534A KR 101564429 B1 KR101564429 B1 KR 101564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cover
lid
temporary fix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2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0725A (ko
Inventor
도시코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도시코 고바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코 고바야시 filed Critical 도시코 고바야시
Publication of KR20150020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7Hygienic or sanitary devices on telephone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장비는, 휴대 단말기용 커버의 내면의 절곡부의 중앙부에 매직 테이프(등록상표)의 일부가 봉합되어 있고,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우측 또는 좌측에 매직 테이프(등록상표)가 장착된 접착체와 상기 휴대 단말기용 커버의 매직 테이프(등록상표)가 서로 밀착 계지(係止)되어, 휴대 단말기용 커버에 휴대 단말기 본체부가 수용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용 커버의 덮개를 외측으로 절곡하여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정면 및 배면을 노출시킬 수 있고, 카메라 촬영 기능의 사용을 실현할 수 있으며, 또한 통화 또는 메일 작성, 송신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 본체의 배면에 접착체를 포함하여, 두께 등 사이즈가 다른 휴대 단말기를 커버에 수용할 수 있으며, 폭 넓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버튼 조작을 원활하고 확실하게 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장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장비{IMPLEMENT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사이즈가 다른 기종에 대응 가능하고, 수납한 휴대 단말기를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버튼 조작을 원활하고 확실하게 진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장비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면 소비자들에게 편의성을 가져다주므로, 현재 어린이로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모두 휴대하고 있어, 휴대 단말기가 개인 기본 소지품의 하나로 되었다.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층이 증가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 본체의 기능을 나날이 강화하는 것은 물론, 케이스 설계 영역에도 폭 넓게 침투하여, 독창적으로 미관성과 가치관을 구비한 커버를 제조하여, 대중적인 구매를 유발하고 있다.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커버를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사용자는 기분이나 패션에 맞춰 다른 커버에 장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즐거움을 높이고 있다.
종래, 휴대 단말기의 사이즈는 기종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기종에 따라 그 기종의 전용 커버를 준비하는 것은 필연적이다. 근래, 다종 다양함을 추구하여 항상 휴대 단말기용 커버를 기종에 대응하는 다른 커버로 준비하는 것은 불가피하다. 그 다종 다양성에 대응하는 구성에 대한 고려가 결여되어, 소정 치수 이외의 휴대 단말기용 커버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는 두 부분으로 접히는 형식의 휴대 단말기와 접히지 않는 형식의 휴대 단말기가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것은 접히지 않는 형식의 휴대 단말기이다. 접히지 않는 휴대 단말기는 표시 화면 및 버튼이 정면에 노출된 상태이다.
이러한 접히지 않는 휴대 단말기는 노출된 채로 운반되는 것은 물론, 전용 커버에 넣어서 운반되는 경우도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1999-274742 호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000329 호
종래, 휴대 단말기의 사이즈는 기종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기종이 다름에 따라 그 기종의 전용커버가 아니면 사용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다른 기종의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때 반드시 상기 다른 기종에 대응되는 커버를 준비해야 했다. 때문에 미관성과 가치관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커버라 하여도, 그 기종의 전용이 아니면 구입할 수 없어 사용자의 구매 선택 폭이 좁아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없었다.
이를 생산자의 입장에서 보면, 현재 시장에는 다종 다양한 휴대 단말기가 출회되어 있어서, 각 종류에 대응하여 사이즈가 다른 휴대 단말기용 커버를 제조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신제품 등이 잇달아 판매되기 때문에 그때마다 사이즈가 다른 커버를 제조하게 되어, 비용면, 재고면에 있어서 생산자에게 부담이 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사이즈가 다르면 그 다른 기종의 전용 커버를 준비하여야 하는 난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보다 합리적인 구조에 의해 사이즈 및 형태가 각각인 각 메이커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고, 또한 휴대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원활하게 버튼 조작을 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많은 선택 폭을 증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장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장비는,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표면 및 배면을 덮는 제1 덮개와 제2 덮개 사이에 절곡부를 가지고, 상기 절곡부의 중앙부에 가요성 일시고정부재의 일부를 봉합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카메라 촬영 기능 렌즈를 제외한 배면 중앙부의 우측 또는 좌측에 접착체(接着體)를 붙이고, 상기 일시고정부재의 다른 부분과 상기 접착체가 탈착 가능하게 고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가요성 일시고정부재의 다른 부분은, 상기 제1 덮개의 내면에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덮개의 내면에 접하는 부분까지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덮개 또는 제2 덮개가 탈착 가능한 라이너를 가지고, 절곡부에 위치하는 상기 라이너의 일부에 가요성 일시고정부재를 봉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술안에 기재된 휴대 단말기용 장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사이즈가 다른 기종에 대응하고, 기종의 전용 커버를 준비하는 수고를 줄이고, 휴대 단말기 본체의 치수가 다종 다양해도 사용에 아무런 지장이 없다. 또한, 휴대 단말기 본체의 배면에 접착체를 가짐으로써, 두께 등 사이즈가 다른 휴대 단말기를 커버에 수용 가능하여, 폭 넓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버튼 조작을 원활하고 확실하게 진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장비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커버 내면에 일시고정용 장비를 접합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커버 내면에 일시고정용 장비를 접합한 배면도이다.
도 3은 일시고정용 장비를 접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내면에서 본 좌반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일시고정용 장비를 접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내면에서 본 우반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배면에 매직 테이프(등록상표)를 장착한 사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본체부를 정면에서 본 사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를 휴대 단말기용 커버에 수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면도이다.
도 10은 휴대 단말기를 가로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의 통화 스피커 기능을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용 커버의 덮개부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사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용 커버의 덮개부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사면도이다.
도 15는 라이너(일면)에 일시고정용 장비를 접합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라이너(일면)를 휴대 단말기용 커버 내면에 장착한 정면도이다.
도 17은 라이너(양면)에 일시고정 장비를 접합한 정면도이다.
도 18은 라이너(양면)를 휴대용 단말기 커버 내면에 장착한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휴대 단말기용 장비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2)의 중앙부의 봉합부(13)에 가요성 제1 일시고정용 고착체(1)의 일부가 봉합되어 있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덮개 내면(6)과 제2 덮개 내면(7)을 좌우로 자유자재로 접힐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곡부(2)는 덮개가 절곡될 때 절곡되는 부분으로서, 예를 들면 폭 0.5mm 내지 1cm 정도의 절곡형상의 부분에 상응하다.
또는, 휴대 단말기용 커버에 직접 가요성 제1 일시고정용 고착체(1)를 봉합하지 않고, 착탈 가능한 라이너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 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중앙부의 봉합부(13)에 가요성 제1 일시고정용 고착체(1)의 일부를 봉합하여,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용 커버 내면의 내부 포켓(16b)에 라이너(14a)를 밀어넣어 안착시키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방식의 착탈 가능한 라이너(14b)를 사용할 수도 있는 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14b)는 라이너 절곡부(15) 중앙부의 봉합부(13)에 가요성 제1 일시고정용 고착체(1)의 일부를 봉합하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용 커버 내부 포켓(16a 및 16b)에 라이너(14b)의 양단부를 밀어넣어 안착시키도록 고정한다. 또한, 라이너(14b)는 라이너 절곡부(15)에 절곡 공정이 실시된 것을 사용한다.
또한 내부 포켓(16a 및 16b)은, 라이너(14a 및 14b)가 우발적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통상적인 폭보다 넓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구성은 라이너(14a 및 14b)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덮개 내면(6)과 제2 덮개 내면(7)을 좌우로 자유자재로 접을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라이너(14a 및 14b)에 봉합되는 가요성 제1 일시고정용 고착체(1)는 거의 절곡부(2) 부근에 위치하는 곳에 봉합되어 있다(폭 0.5mm 내지 1cm를 가지는 범위 부분 전체). 또한, 착탈 가능한 라이너(14a 또는 14b)는 예를 들면 0.8mm 내지 1mm 두께의 경질 합성 수지 혹은 발포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재를 사용한다. 이는 재봉틀로 봉합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라이너(14a 및 14b)는, 덮개에 사용되는 재질의 특징에 대응되는 것으로, 주로 견직물이나 실리콘 소재 등 연질 유형을 사용할 수 있다. 라이너(14a 및 14b)를 구분하여 사용할 때, 휴대 단말기용 커버의 덮개에 사용되는 재질 특징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구분하여 사용한다.
다음에,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 본체부에 일시고정용 접착체를 장착하는 요령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배면(21)의 우측 또는 좌측(도면에서는 우측)의 중앙부에 제2 일시고정용 접착체(20)를 장착한다. 예를 들면, 제2 일시고정용 접착체(20)의 접착 사이즈 폭을 증가하여 장착하는 것이 강도적으로 상응할 것으로 여겨지지만, 휴대 단말기는 다종 다양하고 기능장치가 많으며 특히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배면(21)에 카메라 촬영 기능 렌즈(23)가 상부를 중심으로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가 많고 기종에 따라 기능부재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배면(21)에 폭 넓은 범위의 제2 일시고정용 접착체(20)를 장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배면(21)의 우측 또는 좌측의 중앙부는, 단말기 기능장치가 거의 없는 상태이므로 가장 방해되지 않는 장착 부위로서 적합하다. 또한 휴대 단말기용 커버, 휴대 단말기의 제1 일시고정용 고착체(1)와 제2 일시고정용 접착체(20)를 서로의 중앙부에 위치시킴으로써, 휴대 단말기용 커버에 장착할 때 균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표시가 되어 미관성을 보장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 본체부를 휴대 단말기용 커버에 장착하는 요령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 본체부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배면(21)의 우측 또는 좌측(도 5에서는 우측)의 중앙부에 제2 일시고정용 접착체(20)를 장착하고,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배면(21)을 휴대 단말기용 커버의 제1 일시고정용 고착체(1)에 대향시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계합하여, 휴대 단말기용 커버의 우측 또는 좌측의 덮개(도면에서는 우측)에 휴대 단말기 본체부를 수용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를 원활하게 조작하여 통화 혹은 전자 휴대 단말기용 메일 작성, 송신을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사용되는 제1 일시고정용 고착체(1), 제2 일시고정용 접착체(20)의 소재로서는 매직 테이프(등록상표)를 사용한다. 견고한 소재의 후크부와 유연한 소재의 환형부를 서로의 대향면으로 미는 것을 통하여 열쇠형으로 걸리도록 구성되어 탈착 가능하게 고착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용 커버 내의 절곡부(2)의 중앙부에 봉합되는 제1 일시고정용 고착체(1)는 양면이 견고한 유형의 후크부로 이루어지는 매직 테이프(등록 상표)이고,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배면(21)에 장착되는 제2 일시고정용 접착체(20)는 매직 테이프(등록 상표)의 내면에 양면 테이프 공정이 실시된 유연한 유형의 환형부를 사용하며,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배면(21)에 엄지(30)나 식지(31)를 사용하여 제2 일시고정용 접착체(20)를 눌러 압착하여 압력을 가하는 것을 통하여 접착력을 발현한다. (접착 후에는 1~2일에 최대 접착력으로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커버의 사이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종 다양한 휴대 단말기는 종횡의 사이즈가 다른 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커버는 이를 휴대 단말기의 평균값을 숙지하고 고려하면서 대응하고 있다. 또한 차후 판매되는 다른 휴대 단말기의 사이즈 등에 관해서는 판단하면서 상응하게 결정하면 된다.
다음에,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 기능을 사용하는 요령을 설명하기로 한다. 휴대 단말기용 커버의 제2 덮개 내면(7)은 이에 대향하는 제1 덮개 배면(24)으로 접힌 상태로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정면(22)과 배면(21)을 노출하게 하여,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촬영 기능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정면(22)과 배면(21)이 노출된 상태에서도 제1 일시고정용 고착체(1)와 제2 일시고정용 접착체(20)가 밀착 계지(係止)되어 있는 것을 통하여, 우발적으로 휴대 단말기용 커버에서 휴대 단말기 본체부를 낙하시키지 않도록 하며 버튼을 원활하고 확실하게 눌러 가볍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은 그 일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휴대 단말기용 커버와 휴대 단말기 본체부를 밀착되게 고정하고 절곡부(2)를 축으로 접힐 수 있게 형성되는 제1 덮개 내면(6)과 제2 덮개 내면(7)은, 사용 목적에 따라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정면(22)과 배면(21)을 노출시키고, 휴대 단말기용 커버를 엄지 외의 네개 손가락으로 감싸쥐고, 엄지(30)는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정면(22)을 누른 상태에서, 노출된 휴대 단말기 본체를 우발적으로 낙하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한쪽 손(도 8, 도 9, 도 10에서는 오른손)의 식지(31)로 카메라 촬영 버튼(32)을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상태의 제1 덮개 배면(24)과 제2 덮개 배면(25) 사이에 한쪽 손(도 9에서는 왼손)의 식지를 끼우고, 엄지로 절곡부(2)를 누르는 것을 통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안정적으로 카메라 촬영을 실현할 수 있다.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커버와 같이 휴대 단말기 본체부를 탈착하지 않고 원활하고 정확하게 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의 통화 및 전자 메일 작성 및 송신을 진행하는 사용 요령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덮개 내면(6)이 제2 덮개 배면(25)으로 접힌 상태에서, 엄지(30)는 덮개(8)를 따르면서 엄지(30) 외의 네개의 손가락으로 덮개 전체를 감싸쥠으로써,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정면(22)을 귓바퀴(33)에 안정적으로 갖다 대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것은 오른손이지만, 왼손을 사용할 경우, 식지(31)는 (미도시) 제3 덮개 내면(8)을 따르면서 귓바퀴(33)에 갖다 대어 통화를 진행한다. 혹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덮개 내면(6)과 제2 덮개 내면(7)을 개방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기능을 사용하여 통화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메일 작성, 송신도 진행할 수 있다.
다음에,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완료되었을 때, 제1 덮개 내면(6)과 제2 덮개 배면(24)에 자석을 사용한 흡착체(吸着體)(4)가 내부에 매입되어 있어, 도 13,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정면(22)과 배면(21)에 제1 덮개 내면(6)과 제2 덮개 내면(7)이 피복된 상태에서 흡착체(4)가 제3 덮개 내면(8)의 일단에 있는 접착체(5)에 폐지(閉止)되어 잠김으로써,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정면(22)과 배면(21)을 기스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우발적으로 낙하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휴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용 커버에 휴대 단말기를 수용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정면(22)을 손바닥 상에 재치(載置)하고, 엄지(30)를 제외한 네개의 손가락으로 감싸쥐고, 엄지(30)는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배면(21) 하부를 누르면서 지지하고, 한쪽 손(도 5에서는 오른손) 엄지(30)와 식지(31)로 제2 일시고정용 접착체(20)의 접착면의 박리지를 박리하고,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배면(21)의 우측 또는 좌측의 중앙부(첨부 도면에서는 우측)에 제2 일시고정용 접착체(20)를 장착한다. 또한, 동작에 있어서, 오른손 또는 왼손 중의 어느 한쪽 손을 사용한다(첨부 도면에서 보면 오른손).
다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배면(21)을 손바닥 상에 재치(載置)하고, 엄지(30)를 제외한 네개의 손가락으로 감싸쥐고, 엄지(30)로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정면(22)의 하부를 눌러 지지한다. 여기서, 다른 한쪽 손(도 6에서는 오른손)의 엄지(30)를 제외한 네개의 손가락으로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배면(21)을 감싸쥐고, 엄지(30)로 휴대 본체부의 정면(22)의 중앙부를 눌러 지지한다 . 이것을 양쪽 손으로,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배면(21)의 우측 또는 좌측의 중앙부에 장착된 제2 일시고정용 접착체(20)와 휴대 단말기용 커버에 설치된 제1 일시고정용 고착체(1) 중의 어느 하나의 면의 후크부에 밀착 계합 체결시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 본체를 휴대 단말기용 커버에 고착(첨부 도면에서는 우측)하는 것을 통하여 수용시킬 수 있다.
다음, 사용 목적에 따라 휴대 단말기용 커버의 제1 덮개 내면(6)과 제2 덮개 내면(7)은 좌우로 자유자재로 절곡부(2)를 중심으로 접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덮개 내면(7)과 대향하는 제1 덮개 배면(24)으로 절곡부(2)를 축을 따라 접은 상태에서, 엄지(30) 외의 네개의 손가락으로 덮개 전체를 감싸쥐고, 엄지(30)는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정면(22)의 하부를 누르면서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정면(22)과 배면(21)을 노출시키고, 한쪽 손(도 8,도 9에서는 오른손) 식지(3)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촬영 버튼(32)을 원활하게 누를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덮개(6)가 제2 덮개 배면(25)으로 접힌 상태에서, 대향하는 제1 덮개 배면(24)과 제2 덮개 배면(25) 사이에 한쪽 손(도 9에서는 왼손)의 식지(31)를 끼워서 지지 및 고정함으로써, 보다 자유로운 상태로 유지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휴대 단말기용 커버를 지지 이동하면서, 카메라 촬영 버튼(32)을 원활하고 정확하게 누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할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용 커버를 엄지 외의 네개의 손가락으로 덮개 전체를 감싸쥐고, 엄지(30)는 제3 덮개 내면(8)을 따르고, 휴대 단말기용 커버와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정면(22)과 배면(21)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또한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정면(22)을 귓바퀴(33)에 갖다 대어 확실하게 지지하면서 통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것은 오른손이나 왼손을 사용할 경우, 식지(31) 외의 네개의 손가락으로 덮개 전체를 감싸쥐고, 식지(31)는 (미도시) 제3 덮개 내면(8)을 따르면서 휴대 단말기 본체부를 귓바퀴(33)에 갖다 대어 확실하게 지지하면서 통화할 수 있다. 혹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덮개 내면(6)과 제2 덮개 내면(7)을 개방한 상태로 양쪽 손의 엄지(30)를 제외한 네개의 손가락으로 휴대 단말기 커버의 배면을 감싸쥐고, 엄지는 휴대 단말기 커버 내면의 하부와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정면(22)의 하부를 눌러 지지하면서,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기능을 사용하여 통화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메일 작성, 송신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용 커버는, 한쪽 손으로 책을 읽는 동작과 같은 요령으로, 엄지(30) 외의 네개의 손가락으로 감싸쥐고 엄지(30)는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정면(22)의 하부를 눌러 지지함으로써 한쪽 손(도 12에서는 양쪽 손)으로도 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 요령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장비는, 휴대 단말기용 커버의 내면의 절곡부 중앙부에 매직 테이프(등록상표)의 일부를 봉합하고, 휴대 단말 본체부의 배면의 우측 또는 좌측의 중앙부에 매직 테이프(등록상표)를 장착한 접착체와 상기 휴대 단말기용 커버의 매직 테이프(등록상표)가 서로 밀착 계지(係止)되어, 휴대 단말기용 커버에 휴대 단말기 본체부를 우측 또는 좌측에 수용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용 커버의 덮개를 외측으로 절곡하여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정면 및 배면을 노출시킬 수 있고, 카메라 촬영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통화 혹은 메일을 작성, 송신도 진행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휴대 단말기 본체의 운반에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용 커버에 사용할 수 있다.
1 : 제1 일시고정용 고착체 2 : 제1 절곡부
3 : 제2 절곡부 4 : 흡착체
5 : 접착체 6 : 제1 덮개 내면
7 : 제2 덮개 내면 8 : 제3 덮개 내면
9 : 스트랩 홀 10 : 스트랩
11 : 카드 포켓 12 : 카드 포켓
13 : 봉합부 14a : 라이너(일면)
14b : 라이너(양면) 15 : 라이너 절곡부
16a : 내부 포켓(우) 16b : 내부 포켓(좌)
20 : 제2 일시고정용 접착체 21 : 휴대 단말기 배면
22 : 휴대 단말기 정면 23 : 카메라 촬영 기능 렌즈
24 : 제1 덮개 배면 25 : 제2 덮개 배면
26 : 제3 덮개 배면 30 : 엄지
31 : 식지 32 : 카메라 촬영 버튼
33 : 귓바퀴

Claims (2)

  1.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표면 및 배면을 덮는 제1 덮개와 제2 덮개 사이에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의 중앙부에 가요성 일시고정부재의 일부가 봉합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 본체부의 카메라 촬영 기능 렌즈를 제외한 배면 중앙부의 우측 또는 좌측에 접착체가 붙여져 있고, 상기 일시고정부재의 다른 부분과 상기 접착체가 탈착 가능하게 고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가요성 일시고정부재의 다른 부분은, 상기 제1 덮개의 내면에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덮개의 내면에 접하는 부분까지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덮개 또는 제2 덮개는 탈착 가능한 라이너를 포함하고, 절곡부에 위치하는 상기 라이너의 일부에 가요성 일시고정부재를 봉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장비.
KR1020157002534A 2013-05-02 2014-04-28 휴대 단말기용 장비 KR101564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96734A JP5416299B1 (ja) 2013-05-02 2013-05-02 携帯端末用装具
JPJP-P-2013-096734 2013-05-02
PCT/JP2014/061879 WO2014178377A1 (ja) 2013-05-02 2014-04-28 携帯端末用装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725A KR20150020725A (ko) 2015-02-26
KR101564429B1 true KR101564429B1 (ko) 2015-10-30

Family

ID=50202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2534A KR101564429B1 (ko) 2013-05-02 2014-04-28 휴대 단말기용 장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16299B1 (ko)
KR (1) KR101564429B1 (ko)
CN (1) CN204291116U (ko)
WO (1) WO2014178377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4742A (ja) * 1998-03-23 1999-10-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用電子機器のケース構造
JP2002000329A (ja) * 2000-06-21 2002-01-08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ケース
JP3178403U (ja) * 2012-07-03 2012-09-13 株式会社レイメイ藤井 システム手帳用携帯端末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78377A1 (ja) 2014-11-06
KR20150020725A (ko) 2015-02-26
CN204291116U (zh) 2015-04-22
JP5416299B1 (ja) 2014-02-12
JP2015046649A (ja)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8395B1 (en) Three part foldable housing supporting multiple use positions in an electronic device
US11272769B2 (en) Portable terminal cover for surrounding a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case or other retainer in an integrated manner
KR200440358Y1 (ko) 이동 정보 단말기용 케이스
JP2014023141A (ja) 携帯情報端末機携行保持具
KR20110027951A (ko) 바-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1280783B1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101605403B1 (ko) 휴대기기 케이스
KR101564429B1 (ko) 휴대 단말기용 장비
KR20130007167U (ko) 휴대폰용 접이식 받침구
KR100774333B1 (ko) 휴대 단말기용 접착식 케이스
KR20130007270U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463606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373747B1 (ko) 핸드폰 거치대로도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핸드폰케이스
CN205212896U (zh) 手机滑套运动臂带
JP3197881U (ja) 携帯型情報端末用ケース
KR20140137491A (ko)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135207B1 (ko)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
CN205385934U (zh) 手机保护套
KR200423620Y1 (ko) 휴대 단말기용 접착식 케이스
KR200479258Y1 (ko)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130005525U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TWM455396U (zh) 手持部品之保護套
JP3206248U (ja) スマートフォン用ケース
KR20140097623A (ko) 투명덮개형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