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238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closeness between people based on photo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closeness between people based on photo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238B1
KR101563238B1 KR1020130108321A KR20130108321A KR101563238B1 KR 101563238 B1 KR101563238 B1 KR 101563238B1 KR 1020130108321 A KR1020130108321 A KR 1020130108321A KR 20130108321 A KR20130108321 A KR 20130108321A KR 101563238 B1 KR101563238 B1 KR 101563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hoto
photograph
person
photograph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3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29313A (en
Inventor
채흥석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08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238B1/en
Publication of KR20150029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3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2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진의 촬영된 인물, 촬영 시간, 촬영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 연관 그래프를 구축하고, 다시 이를 통해 인물 친밀도 연관 그래프를 새롭게 정의하여 인물 기반 사진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효과적인 사진 그룹핑을 위한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말기로부터 사진 정보를 입력받는 사진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사진을 분석 및 서술(description)하여, 사진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진서술(photo description) 정보 및 사진의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사진서술정보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다양한 사진 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사진의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촬영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그룹핑하기 위해 사진 간의 연관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인물 친밀도를 정의하여 인물 기반 사진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클러스터링부와, 상기 클러스터링부의 출력을 기반으로 사진 간의 연관성 및 인물 간의 친밀도를 이용하여 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하는 사진 그룹정보 생성부와, 상기 사진 서술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사진서술 정보 및 사진 그룹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그룹 서술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결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하는 사진 앨범정보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hotograph-related graph is constructed using photographed persons, photographing time, and photographing place information, and then a person-based close-up graph is newly defined through the same to thereby perform character-based photo clustering, A device and method for establishing person familiarity, comprising: a photo input unit for inputting photo information from a terminal; and an input unit for analyzing and describing the inputted photo to provide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including a photo identifier, A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s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s including the generated various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You can build associations between photos to more efficiently search and group A photo group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ssociation between photographs and the intimacy between the people based on the output of the clustering unit; And a photo album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photo album information by matching the photographic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eneration unit and the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hoto group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o each other to combine them.

Figure R1020130108321
Figure R1020130108321

Description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closeness between people based on photo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진의 촬영된 인물, 촬영 장소, 촬영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 간의 연관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개인 간의 신뢰도 높은 연관을 구축하여 검색, 표출,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personality of a person based on a photograph,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relationship between photographs using photographed characters, a photographing place and photographing time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isplaying and managing information.

최근 디지털 카메라의 수요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특히 메모리 기술의 발전으로 고집적/초소형 메모리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고, 화질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는 디지털 영상 압축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한 개의 메모리 장치에 많게는 수백 장에서 수천 장의 사진을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많은 사진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장치와 도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효율적인 디지털 사진 앨범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Recently, the demand of digital cameras is increasing more and more. In particular, with the development of memory technology, the use of highly integrated / miniature memory is becoming common, and as digital image compression technology which does not impair image quality is developed, users can store hundreds to thousands of pictures in one memory device . Accordingly, a device and a tool for managing many pictures more effectively have become necessary. 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of users for efficient digital photo albums.

일반적인 디지털 사진 앨범은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을 디지털 카메라나 메모리 카드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로컬 저장 장치로 옮겨오고, 사진 등을 컴퓨터에서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들은 사진 앨범을 이용하여 여러 사진들을 시간 별로, 인물 별로, 혹은 특정한 카테고리 별로 클러스터링하고 인덱싱한다. 이렇게 구성된 사진 앨범은 나중에 사용자가 사진 데이터를 브라우징하거나 다른 사용자들과 사진을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A typical digital photo album is for transferring photographs taken by a user from a digital camera or a memory card to a user's local storage device, and managing pictures and the like on a computer. Users use photo albums to cluster and index multiple photos by time, by person, or by specific categories. The resulting photo album allows the user to later browse the photo data or easily share the photo with other users.

David Frohlich는 Requirement for photoware (ACM CSCW, 2002)에서 많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하여 사람들이 요구하는 사진 앨범의 기능을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디지털 사진 앨범의 필요성에는 동감하였으나, 많은 사진을 일일이 그룹핑하거나 라벨링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크게 불편해했으며, 다른 사람들과 사진을 공유하는 데에도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였다.David Frohlich investigated the features of photo albums that people demand from a survey of many users in Requirement for photoware (ACM CSCW, 2002). Most people agree with the need for digital photo albums, but they have been inconvenienced by the time and effort involved in grouping and labeling many photos, and they have had a lot of trouble sharing pictures with others.

지금까지, 사진 데이터를 클러스터링하는 방법을 제안한 많은 연구들이 있었다. 기본적으로는 사진이 찍힌 시간에 따라 클러스터링하는 방법, 사진의 내용 기반 특징 정보를 사용하여 클러스터링하는 방법들 등이 있었다. 이에 더 나아가 사진의 이벤트에 기반하여 클러스터링하는 방법 및 사진에 찍힌 인물에 기반하여 사진을 클러스터링하는 방법들 등이 연구되었다.So far,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suggesting clustering of photographic data. Basically, there were methods of clustering according to the time of photographing, and methods of clustering using content-based feature information of photographs. Furthermore, clustering based on photo events and methods for clustering photos based on photographed characters were studied.

이 가운데 사용자들이 가장 유용하게, 그리고 자주 사용할 수 있는 앨범화 방법들 가운데 하나가 사진 데이터를 인물별로 클러스터링하는 것이다. 대용량의 사진 데이터를 사진에 찍힌 인물별로 사진을 자동으로 클러스터링하는 것은 사용자가 다른 사람들과 사진 데이터를 공유하거나, 추후에 사진 데이터를 브라우징하는 것을 쉽게 해준다.Among them, one of the most useful and frequently used methods of clustering is clustering photo data by person. Automatically clustering photos by a large number of photographic data on a photo makes it easy for users to share photo data with others or browse photo data at a later date.

사진 데이터를 인물별로 클러스터링하는 과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술은 얼굴인식 기술이다. 얼굴인식은 사람마다 다른 얼굴을 모아서 얼굴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놓고, 입력되는 얼굴영상을 이미 만들어 놓은 데이터베이스의 얼굴 영상들과 비교해서 그것이 누구인지 판별해내는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Face recognition technology is the most important technique in clustering photo data by person. Face recognition can be described as a process of collecting different faces for each person to create a face database, and comparing the inputted face images with the face images of the database that have already been created.

즉, 사진 데이터에서 얼굴 영상을 검출(detection)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의 얼굴 영상들과 매칭하여 해당 얼굴을 인식(recognition)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서 영상 처리 방법에서 패턴인식을 수행할 때와 거의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영상 획득, 전 처리, 얼굴추출, 얼굴인식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That is, a face image is detected from the photographic data, and the detected face is recognized by matching with the face images of the database. For this purpose, the process is almost the same as the pattern recognition in th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t goes through processes such as image acquisition, preprocessing, face extraction, and face recognition.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검출하거나 얼굴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매우 많이 이루어졌다. 얼굴인식 분야는 보안 시스템을 위주로 발전하였다. 예를 들어, 지능형 무인 감시 시스템이나 출입자 통제 시스템, 그리고 범죄 용의자 검색 등의 시스템을 위한 얼굴추출 및 인식에 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응용 분야에서는 인물의 얼굴을 보다 정확하게 추출하고, 외부 조명이나, 인물의 표정 및 포즈에 대한 강인한 얼굴 인식 방법을 개발하는데 연구의 초점이 맞춰져 있다.There have been so many researches on methods of detecting faces or recognizing faces from images. The face recognition field developed mainly in the security system. For example, research on face extraction and recognition for intelligent unmanned surveillance systems, access control systems, and criminal suspect search systems was conducted. In this application area, research focuses on extracting face of person more accurately and developing robust face recognition method for external illumination, face expression and pose of person.

이에 반하여, 사진 데이터에서 얼굴을 인식하는 연구는 매우 초기 단계이다. 사진 데이터에서 얼굴을 추출하거나 인식하는 과정은 보안 시스템에서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추출하거나 인식하는 과정보다 훨씬 더 어렵다. 보안 시스템에서는 고정된 공간에 설치된 고정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영상을 획득하기 때문에,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얼굴 영상은 비교적 정형화된 배경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하여 사진 데이터는 사용자가 카메라를 가지고 다니면서 찍은 영상이기 때문에, 사진 속의 배경은 일반적으로 매우 자주 변하고 다양하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카메라를 조작하는 방법(예를 들어, 카메라 줌의 사용이나 플래쉬의 사용 등) 또는 사진을 찍을 당시의 카메라의 방향에 따라 고정된 공간에서도 다양한 배경을 가질 수 있으며, 외부 조명이나 조도의 변화가 훨씬 크다.On the other hand, research on recognizing faces in photographic data is very early. The process of extracting or recognizing a face from photographic data is much more difficult than the process of extracting or recognizing a face from a captured image in a security system. In the security system, since the image is acquired using the fixed camera installed in the fixed space, the face image extracted from the image has a relatively standardized backgroun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icture data is taken by the user carrying the camera, the background in the picture generally varies and varies very often. In addition, the user can have various backgrounds in a fixed space depending on how the camera is operated (for example, using the camera zoom or using the flash) or the direction of the camera at the time of taking the picture, The change in illumination is much greater.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사진 데이터를 인물별로 클러스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보안 시스템에서의 응용 방법처럼 얼굴 영상만 사용하면 매우 낮은 성능이 발생된다. 사진 데이터를 인물별로 보다 잘 클러스터링하기 위해서는 사진으로부터 추출된 얼굴영상 정보뿐만 아니라 사진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그 외의 다양한 부가 정보를 함께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요구된다.Due to the above-described reasons, in the method of clustering photographic data by persons, very low performance is generated when only face images are used as in an existing security system application method. In order to better cluster the photograph data by the person, a method and system for using together with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hotograph as well as facial imag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photograph are requir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써, 다음의 연구들이 대표적이다. As a precedent study to solve these problems, the following studies are representative.

첫째로, Face Recognition-Matching System Effective to Images Obtained in Different Imaging Conditions(US 6,345,109 B1, 2002/02)에서는 조명 등으로부터 비교적 간섭이 적은 정면의 얼굴영상으로 잡음이 심한 얼굴 영상을 인식해내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 시스템은 사용자가 잡음이 덜한 얼굴 영상들을 미리 준비해 두어야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ce recognition system which recognizes face images with relatively no interference from light sources. Respectively. However, this system has a problem that the user has to prepare less noisy facial images in advance.

둘째로, Automatic Cataloging of People in Digital Photographs (US 6,606,398 B2, 2003/08)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얼굴 영상들과 관계된 식별 매개 변수(identification parameter)를 정의하고, 이를 얼굴기반 사진 클러스터링에 이용하였다. 식별 매개 변수로는 이름, 관계, 성별, 나이 등이 있다. 새로 들어오는 이미지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식별매개 변수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찾아서 클러스터링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식별 매개 변수를 직접 입력해야하도록 하기 때문에, 식별 매개 변수의 입력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실용적이지 못하다.Second, in Automatic Cataloging of People in Digital Photographs (US 6,606,398 B2, 2003/08), an identification parameter related to each facial image stored in the database is defined and used for clustering of face-based photographs Respectively. Identification parameters include name, relationship, gender, and age. New incoming images are searched and clustered in the database using the identification parameters entered by the user. However, since the user has to input the identification parameters directly, it takes a long time to input the identification parameters, which is not practical.

셋째로, Automatic Face-based Image Grouping for Albuming (IEEE, 2003)에서는 각 얼굴의 나이와 성별을 자동으로 검출해내고, 이를 이용하여 사진 모음을 얼굴 기반으로 클러스터링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사진의 얼굴 정보 외에 인물의 나이와 성별 정보를 함께 이용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진의 다양한 부가 정보를 함께 이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사진 그룹핑이 될 수 있을 것이다.Third, automatic Face-based Image Grouping for Albuming (IEEE, 2003) automatically detects the age and gender of each face, and proposes a method of clustering a collection of faces using faces.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of using age information and gender information of a person in addition to the face information of a photograph, but it can be a more effective grouping of pictures if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 are used together.

이와 같이, 기존의 인물기반 디지털 사진 클러스터링 방법은 사진 데이터로부터 얻을 수 있는 다양한 부가 정보들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진 영상에서 발생될 수 있는 외부 밝기 변화, 포즈 변화, 표정 변화, 시간 변화 등의 요소들을 고려하고 있지만, 사진에 저장된 정보 또는 사진을 분석하여 추출해낸 정보만을 이용하여 인물 기반 사진 클러스터링하고 있어, 사진을 소유한 개인끼리의 신뢰도(친밀도(personal closeness))를 함께 고려하여 인물 기반 사진 클러스터링을 수행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사진 그룹핑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In this way, the existing person-based digital photograph clustering method appropriately combines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hotographic data, thereby obtaining the factors such as external brightness change, pose change, facial expression change, time change, Based clustering of photographs using only th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or photographs stored in the photographs, and considering the reliability (personal closeness) among the individuals who own the photograph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more effective grouping of photographs.

국내등록번호 10-0601997 : 인물기반 디지털 사진 클러스터링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물기반 디지털 사진 앨버밍 방법 및 장치 10-0601997: METHOD AND APPARATUS FOR CLUSTERING PHOTO-BASED DIGITAL PHOTOGRAPH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PHOTO ALPHABETING USING THE SAME

국내등록번호 10-0624465 : 디지털 사진의 상황변환 검출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사진 앨범의 상황 기반 클러스터링 방법 및 장치10-0624465: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CONTEXT CHANGE OF DIGITAL PHOTOGRAPH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LUSTERING STATUS BASED ON DIGITAL PHOTO ALBUM

국내공개번호 2013-0126529 : 촬영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간 연관성 분석방법 및 시스템Korean Publication No. 2013-0126529: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ssociation among users using photographing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사진의 촬영된 인물, 촬영 시간, 촬영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 연관 그래프를 구축하고, 다시 이를 통해 인물 친밀도 연관 그래프를 새롭게 정의하여 인물 기반 사진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효과적인 사진 그룹핑을 위한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struct a photograph-related graph using a photographed person, a photographing time, Based photos clustering, and to provide a devic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photo-based person familiarity for effective grouping of photo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래프를 형성하는 각 사진들을 로컬에 저장된 사진뿐 아니라 소셜 네트워크상에 업로드 한 사진들도 사용하여, 해당 사진들의 주소만 저장되는 가상앨범을 생성할 수 있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based person familiarity building method capable of generating a virtual album in which only the addresses of corresponding photographs are stored by using not only photographs stored locally but also photos uploaded on a social network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의 특징은 단말기로부터 사진 정보를 입력받는 사진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사진을 분석 및 서술(description)하여, 사진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진서술(photo description) 정보 및 사진의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사진서술정보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사진 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사진의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촬영장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진을 검색하고 그룹핑하기 위한 사진 간의 연관을 구축하는 사진기반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사진기반 클러스터링부와, 상기 사진기반 클러스터링부의 출력을 기반으로 사진 간의 연관성을 이용하여 소정의 사진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하는 사진 그룹정보 생성부와, 상기 사진 서술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사진서술 정보 및 사진 그룹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사진그룹 서술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결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하는 사진 앨범정보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ice for establishing a person relationship with a person based on photographs, the device comprising: a photo input unit for inputting photo information from a terminal; a display unit for analyzing and describing the input photo, A photographic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photographic description information and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ed image, a photographed person, a photographing place, a photographing time, Based clustering unit for performing photo-based clustering for associating photographs for searching and grouping of photographs using at least one of photographing location information, A picture group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picture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of the picture description information May combine to each other, matching the picture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icture descriptive information and picture group information generator generating in part is composed by including a photo album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a photo album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의 다른 특징은 단말기로부터 사진 정보를 입력받는 사진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사진을 분석 및 서술(description)하여, 사진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진서술(photo description) 정보 및 사진의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사진서술정보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사진 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사진의 인물적 연관성, 장소적 연관성, 시간적 연관성을 통한 인물 간의 친밀도를 연관 구축하는 인물 친밀도 기반 클러스터링부와, 상기 인물 친밀도 기반 클러스터링부에서 출력되는 인물 간의 친밀도를 이용하여 소정의 인물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하는 사진 그룹정보 생성부와, 상기 사진 서술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사진서술 정보 및 사진 그룹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인물그룹 서술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결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하는 사진 앨범정보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ice for establish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a person based on photographs, the device comprising: a photo input unit for inputting photo information from a terminal; and an input unit for analyzing and describing the input photo, A photographic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photographic description information and photographic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ic subject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ic image including the generated photographic description information; Based clustering unit for associating the intimacy between the persons with each other through association; a photo group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predetermined person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using the intimacy between the person output from the person familiarity-based clustering unit; The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and the image group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hoto group information generation unit Combine with each other to match the character group consists of descriptive information is to include a photo album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a photo album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단말기로부터 사진 정보를 입력받는 사진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사진을 분석 및 서술(description)하여, 사진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진서술(photo description) 정보 및 사진의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사진서술정보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다양한 사진 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사진의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촬영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그룹핑하기 위해 사진 간의 연관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인물 친밀도를 정의하여 인물 기반 사진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클러스터링부와, 상기 클러스터링부의 출력을 기반으로 사진 간의 연관성 및 인물 간의 친밀도를 이용하여 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하는 사진 그룹정보 생성부와, 상기 사진 서술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사진서술 정보 및 사진 그룹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그룹 서술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결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하는 사진 앨범정보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ice for establishing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a photographer and a person, the device comprising: a photo input unit for inputting photo information from a terminal; an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and describing the input photo, A photographic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photographic description information and analysis information of a photograph including the generated photographic description information; and a photographed person, a photographing place, A clustering unit configured to associate photographs to search and group the pictures more efficiently using photographing time and photographing place information, and to perform character-based photo clustering by defining personality intimacy; The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the association between photographs and the intimacy between people And a photo album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photo album information by matching and combining the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and the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hoto group information generation unit, .

바람직하게 상기 사진앨범 정보를 저장하는 앨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앨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여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수한 사진 물리적/의미적 연관 그래프 및 인물 친밀도 그래프를 통합 관리하여 사진 간의 연관성과 보다 많은 인물간의 친밀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ystem further includes an album database for storing the photo album information. The photo physical / semantic association graph and the person familiarity graph obtained from various user terminals are integratedly managed through the album database, And analyzing the intimacy.

바람직하게 상기 클러스터링부는 사진에 직접적으로 저장된 정보 또는 사진을 분석하여 추출해낸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 간의 연관성을 표현하는 사진 연관 그래프를 생성하는 사진기반 클러스터링부와, 상기 사진기반 클러스터링부에서 생성한 사진 연관 그래프를 통해 추출한 사진 연관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을 소유한 개인끼리의 신뢰도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물 친밀도 연관 그래프를 생성하는 인물 친밀도 기반 클러스터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lustering unit includes: a photo-based clustering unit for generating a photo-related graph that expresses association between photos by using information extracted or analyzed from information stored directly in a photograph; And a personality affinity-based clustering unit for generating a person affinity association graph indicating the degree of reliability among individuals who own the photograph by using the photo-related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e graph.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방법의 특징은 (A) 단말기로부터 사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B) 상기 입력된 사진을 분석 및 서술(description)하여, 사진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진서술(photo description) 정보 및 사진의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생성된 다양한 사진 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사진의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촬영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그룹핑하기 위해 사진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단계와, (D) 상기 클러스터링부의 출력을 기반으로 사진 간의 연관성 및 인물 간의 친밀도를 이용하여 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E) 상기 생성된 사진서술 정보 및 그룹 서술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결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establishing a personality based on photographs, the method comprising: (A) receiving photo information from a terminal; (B) analyzing and describing the input photo,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generating photographic description information including a photographic identifier and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ic image; (C) capturing a photographed person of the photographed image based on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ed photographed description information A method of clustering a group of photographs, comprising the steps of: (a) clustering photographs to search and group the photographs more efficiently by using the location, photographing time, and photographing location information; (D) (E) combining the generated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and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o combine the photo album information And storing the generated data.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상기 생성된 사진 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사진의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촬영장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진을 검색하고 그룹핑하기 위한 사진 간의 연관을 구축하는 사진기반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C) searches the photographs using at least one of the photographed person, the photographing place, the photographing time, and the photographing place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 including the generated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And performing photo-based clustering for establishing an association between the photograph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방법의 다른 특징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보유한 사진이 서버로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사진을 분석하여 사진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촬영장소 정보를 분류하여 사진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그룹핑하기 위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사진서술 정보 및 클러스터링의 수행을 통해 생성된 그룹 서술정보를 서로 매칭되도록 결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establishing a familiarity with a person based on photographs, the method comprising: inputting a user's photograph through a user terminal to a server; analyzing the input photograph to include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A step of classifying the photographed person, the photographing place, the photographing time, and the photographing place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photograph to perform clustering for more efficiently searching and grouping the photographs And generating and storing photo album information by combining the generated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and the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clustering so as to be matched with each oth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사용자 단말기 내에 미리 포함되어 있는 사진 분석 프로그램(Apps.)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진이 분석되어 추출된 사진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가 서버로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촬영장소 정보를 분류하여 사진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그룹핑하기 위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사진서술 정보 및 클러스터링의 수행을 통해 생성된 그룹 서술정보를 서로 매칭되도록 결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establishing a familiarity with a person based on a photograph, comprising the steps of: analyzing a picture held by a user using a picture analysis program (Apps) A step of inputting analysis information of a photograph including the photographic descrip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a step of classifying the photographed person, the photographing place, the photographing time, and the photographing place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of the inputted photograph, Generating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by performing clustering for searching and grouping, combining the generated description description information and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clustering so as to match each other, and generating and storing photo album information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사용자 단말기 내에 미리 포함되어 있는 그래프 구축 프로그램(Apps.)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진을 분석하여 사진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가 추출되고, 추출된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촬영장소 정보를 분류하여 사진을 검색하고 그룹핑하기 위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생성된 사진 연관성 그래프 또는/및 인물 친밀도 그래프가 서버로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사진 연관성 그래프 또는/및 인물 친밀도 그래프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되는 각 그래프들과 비교 및 매칭을 통해 사진 연관성 그래프 또는/및 인물 친밀도 그래프를 확장하여 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사진서술 정보 및 클러스터링의 수행을 통해 생성된 그룹 서술정보를 서로 매칭되도록 결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familiarity to a person based on photographs, comprising: analyzing a photograph held by a user using a graph construction program (Apps) Analysis information of photographs including descriptive information is extracted and clustering is performed to search for photographs and group them by classifying the photographed persons, photographing place, photographing time, and photographing place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photographs And a person affinity graph are input to a server, and a comparison is made between the graphs input from a plurality of users using the input photo correlation graph and / or the person familiarity graph, Generate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by extending association graph or / and person affinity graph The steps an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to match the generated picture information and describing the generated group descriptive information through the execution of clustering it may makin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the information to create a photo album.

바람직하게 상기 사진기반 클러스터링 방법은 사진에 직접적으로 저장된 정보 또는 사진을 분석하여 추출해낸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 간의 연관성을 표현하는 사진 연관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사진 연관 그래프를 통한 사진 간의 연관성을 이용하여 소정의 사진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hoto-based clustering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s of: generating a photo-related graph expressing relevance between photographs using information extracted or analyzed from information or photographs directly stored in the photo; And generating predetermined picture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using the association.

바람직하게 상기 인물 친밀도 클러스터링 방법은 상기 생성된 사진 서술 정보를 기반으로 사진의 인물적 연관성, 장소적 연관성, 시간적 연관성을 통한 인물 간의 친밀도를 정의하여 사진을 소유한 개인끼리의 신뢰도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물 친밀도 연관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인물 친밀도 연관 그래프를 통한 인물 간의 친밀도를 이용하여 소정의 인물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erson affinity clustering method is a method of clustering a person, which defines an intimacy between the persons based on the generated photographic description information, such as a personality association, a place relation, and a temporal association, Generating an affinity association graph; and generating a predetermined person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using the affinity between the persons through the generated person affinity association graph.

바람직하게 상기 인물 친밀도 연관 그래프는 사진기반 클러스터링 방법을 통해 생성된 사진 연관 그래프를 통해 추출한 사진 연관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erson affinity association graph is generated by using the photo association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e photo association graph generated through the photo-based clustering method.

바람직하게 상기 사진 연관 그래프 또는 인물 친밀도 그래프의 내용을 암호화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ent of the photo-related graph or the person affinity graph is encrypted and process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photo-based person familiar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고정된 범위의 값으로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의미적으로 유사하다고 생각되는 범위에 맞는 가변적인 범위의 값으로 분류가 가능하다.First,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 values into a range of values that is suitable for a range in which a person is considered to be semantically similar, instead of classifying them into a fixed range of values.

둘째, 기존 특허들과 달리 앨범에 포함되는 사진이 실제 물리적인 데이터가 아닌 주소로 이뤄져 있어, 이를 통하여 가상앨범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한 사진이 많은 앨범에 중복해서 포함될 수 있다.Second, unlike the existing patents, the photos included in the album are not actual physical data, and thus, a virtual album can be created, so that one photo can be duplicated in many albums.

셋째, 기존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 서비스는 사용자들의 텍스트 정보에 의존하였으나 본 발명은 사진 정보를 이용하여 친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Third, the existing social network analysis service depends on the text information of the users,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intimacy using the photo information.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에서 물리적 사진 연관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에서 인물 친밀도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FIG. 1A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hotograph-based person affinity bui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hotograph-based person affinity bui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C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hotograph-based person affinity bui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physical photograph-related graph in a photograph-based person affinity bui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graph showing a person affinity graph in a photograph-based person affinity bui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structing a photograph based personality intima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Preferred embodiments of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personality based on photograph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hotograph-based person affinity bui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와 같이,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는 사진 입력부(100)와, 사진서술정보 생성부(200)와, 사진기반 클러스터링부(310)와, 사진 그룹정보 생성부(400)와, 사진 앨범정보 생성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는 앨범 데이터베이스(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1A, a photograph-based person familiarity building apparatus includes a photo input unit 100, a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00, a photo-based clustering unit 310, a photo group information generating unit 400, And a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00. The photograph-based person familiarity build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album database 600.

상기 사진 입력부(100)는 디지털 카메라의 내부 메모리 장치나 휴대용 메모리 장치로부터 사진을 입력받는다. 이때, 입력되는 사진은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저장된 사진 정보를 포함하며, 아울러,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인터넷 상의 소셜 네트워크에 포함된 사진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photograph input unit 100 receives photographs from an internal memory device or a portable memory device of a digital camera. At this time, the input photograph includes photograph information stored in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and may also include a photograph included in a social network on the Internet accessible to a smart device user.

상기 사진 서술정보 생성부(200)는 사진 입력부(100)에서 입력된 사진을 분석 및 서술(description)하여, 사진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진서술(photo description) 정보 및 사진의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사진 서술정보 생성부(200)는 입력된 각각의 사진들로부터 사진 파일 내에 저장된 카메라 정보 및 촬영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고, 만일 해당 정보가 사진 파일 내에 존재한다면 정보를 추출하여 사진 서술 구조에 따라 표현된다. 그리고 상기 사진서술 정보는 사진을 그룹핑하기 위한 클러스터링부(300)로 입력된다. 이때, 사진 서술정보는 사진 간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고유 명칭(ID)으로 촬영날짜, 시간 등으로 설정된다.The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00 analyzes and describes a photograph input from the photograph input unit 100 to generate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including photograph IDs and analysis information of photographs. More specifically, the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00 checks whether the camera information and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photo file are present from the respective photographs, and extracts information if the information exists in the photo file It is expressed according to the photo description structure. The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is input to a clustering unit 300 for grouping photographs. At this time, the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is set as a photographing date, a time, etc. in a unique name (ID) for distinguishing between photographs.

상기 사진기반 클러스터링부(310)는 상기 생성된 다양한 사진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사진의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촬영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그룹핑하기 위해 사진 간의 연관을 구축하는 사진기반 클러스터링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사진기반 클러스터링부(310)는 사진에 직접적으로 저장된 정보 또는 사진을 분석하여 추출해낸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 간의 연관성을 표현하는 사진 연관 그래프를 생성한다. 상기 사진 연관 그래프는 아래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사진 간의 연관성은 사진 촬영 시간, 촬영 장소, 사진 속 인물 정보에 따른 두 사진 간의 연관된 정도이다. 그리고 상기 사진 연관 그래프는 시간, 장소, 인물에 대한 물리적 정보만을 바탕으로 한 사진 물리적 연관 그래프와, 시간, 장소, 인물에 대한 의미적 해석을 부여한 사진 의미적 연관 그래프로 분류한다.The photo-based clustering unit 310 may search the photographs more efficiently by using the photographed person, the photographing place, the photographing time, and the photographing place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 including the various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And perform photo-based clustering to build associations between photos to group them. At this time, the photo-based clustering unit 310 generates a photo-related graph expressing relevance between photographs by analyzing information extracted directly from photographs or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photographs. The photographic association grap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gai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otographs is related to the photographing time, the photographing place, and the photographs according to the person information in the photograph. The photographic association graph is classified into a photographic physical association graph based solely on the physical information of time, place and person, and a photographic semantic association graph imparting semantic analysis on time, place and person.

상기 사진 그룹정보 생성부(400)는 사진기반 클러스터링부(310)의 출력을 기반으로 사진 간의 연관성을 이용하여 소정의 사진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사진그룹 서술정보는 사진 간의 연관성을 갖는 사진그룹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 명칭(ID)을 말한다.The photo group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00 generates predetermined photo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otos based on the output of the photo-based clustering unit 310. [ At this time, the photograph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is a unique name (ID) for identifying a group of photographs having a relation between photographs.

상기 사진 앨범정보 생성부(500)는 사진 서술정보 생성부(200)에서 생성된 사진서술 정보 및 사진 그룹정보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사진그룹 서술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결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사진앨범 정보는 앨범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앨범 데이터베이스(600)에는 사진앨범 정보와 함께 사진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받은 사진정보도 함께 저장될 수도 있다.
The photo album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00 may combine the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00 and the photo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hoto group information generating unit 400 to combine the photo album information, . The generated photo album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album database 600. At this time, the album database 600 may store the photo album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photo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photo input unit 100.

도 1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B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hotograph-based person affinity bui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와 같이,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는 사진 입력부(100)와, 사진서술정보 생성부(200)와, 인물 친밀도 클러스터링부(320)와, 사진 그룹정보 생성부(400)와, 사진 앨범정보 생성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는 앨범 데이터베이스(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1B, the photograph-based person familiarity building apparatus includes a photo input unit 100, a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00, a person familiarity clustering unit 320, a photo group information generating unit 400, And a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00. The photograph-based person familiarity build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album database 600.

상기 사진 입력부(100)는 디지털 카메라의 내부 메모리 장치나 휴대용 메모리 장치로부터 사진을 입력받는다. 이때, 입력되는 사진은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저장된 사진 정보를 포함하며, 아울러,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인터넷 상의 소셜 네트워크에 포함된 사진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photograph input unit 100 receives photographs from an internal memory device or a portable memory device of a digital camera. At this time, the input photograph includes photograph information stored in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and may also include a photograph included in a social network on the Internet accessible to a smart device user.

상기 사진 서술정보 생성부(200)는 사진 입력부(100)에서 입력된 사진을 분석 및 서술(description)하여, 사진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진서술(photo description) 정보 및 사진의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사진 서술정보 생성부(200)는 입력된 각각의 사진들로부터 사진 파일 내에 저장된 카메라 정보 및 촬영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고, 만일 해당 정보가 사진 파일 내에 존재한다면 정보를 추출하여 사진 서술 구조에 따라 표현된다. 그리고 상기 사진서술 정보는 사진을 그룹핑하기 위한 클러스터링부(300)로 입력된다.The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00 analyzes and describes a photograph input from the photograph input unit 100 to generate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including photograph IDs and analysis information of photographs. More specifically, the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00 checks whether the camera information and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photo file are present from the respective photographs, and extracts information if the information exists in the photo file It is expressed according to the photo description structure. The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is input to a clustering unit 300 for grouping photographs.

상기 인물 친밀도 클러스터링부(320)는 상기 생성된 다양한 사진 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사진의 인물적 연관성, 장소적 연관성, 시간적 연관성을 통한 인물 간의 친밀도를 연관 구축하는 인물 친밀도 기반 클러스터링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인물 친밀도 기반 클러스터링부(320)는 사진을 소유한 개인끼리의 신뢰도가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인물 친밀도 연관 그래프를 생성한다. 즉, 인물적 연관성, 장소적 연관성, 시간적 연관성을 통해 사진에 빈번히 등장하는 인물 간에 서로 친밀도가 높다고 정의된다. 상기 인물 친밀도 연관 그래프는 아래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person affinity clustering unit 320 is a person affinity clustering unit based on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s including the generated various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a person familiarity degree based on the personality association, Clustering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person affinity-based clustering unit 320 generates a person affinity association graph indicating how high the reliability of the individual who owns the photograph is. That is, it is defined that people who are frequently appearing in photographs have high intimacy with each other through personality relation, place relation, and temporal relation. The person affinity association grap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gain.

상기 사진 그룹정보 생성부(400)는 인물 친밀도 클러스터링부(320)에서 출력되는 인물 간의 친밀도를 이용하여 소정의 인물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인물그룹 서술정보는 인물 간의 친밀도를 갖는 인물그룹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 명칭(ID)을 말한다.The photo group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00 generates predetermined person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using the intimacy between the characters output from the person familiarity clustering unit 320. [ At this time, the person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is a unique name (ID) for distinguishing a person group having intimacy between the persons.

상기 사진 앨범정보 생성부(500)는 사진 서술정보 생성부(200)에서 생성된 사진서술 정보 및 사진 그룹정보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인물그룹 서술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결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사진앨범 정보는 앨범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앨범 데이터베이스(600)에는 사진앨범 정보와 함께 사진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받은 사진정보도 함께 저장될 수도 있다.
The photo album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00 may combine the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00 and the person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hoto group information generating unit 400 to provide photo album information . The generated photo album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album database 600. At this time, the album database 600 may store the photo album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photo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photo input unit 100.

도 1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C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hotograph-based person affinity bui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c와 같이,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는 사진 입력부(100)와, 사진서술정보 생성부(200)와, 클러스터링부(300)와, 사진 그룹정보 생성부(400)와, 사진 앨범정보 생성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는 앨범 데이터베이스(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1C, the photograph-based person familiarity building apparatus includes a photo input unit 100, a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00, a clustering unit 300, a photo group information generation unit 400, (500). The photograph-based person familiarity build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album database 600.

상기 사진 입력부(100)는 디지털 카메라의 내부 메모리 장치나 휴대용 메모리 장치로부터 사진을 입력받는다. 이때, 입력되는 사진은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저장된 사진 정보를 포함하며, 아울러,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인터넷 상의 소셜 네트워크에 포함된 사진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photograph input unit 100 receives photographs from an internal memory device or a portable memory device of a digital camera. At this time, the input photograph includes photograph information stored in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and may also include a photograph included in a social network on the Internet accessible to a smart device user.

상기 사진 서술정보 생성부(200)는 사진 입력부(100)에서 입력된 사진을 분석 및 서술(description)하여, 사진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진서술(photo description) 정보 및 사진의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사진 서술정보 생성부(200)는 입력된 각각의 사진들로부터 사진 파일 내에 저장된 카메라 정보 및 촬영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고, 만일 해당 정보가 사진 파일 내에 존재한다면 정보를 추출하여 사진 서술 구조에 따라 표현된다. 그리고 상기 사진서술 정보는 사진을 그룹핑하기 위한 클러스터링부(300)로 입력된다.The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00 analyzes and describes a photograph input from the photograph input unit 100 to generate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including photograph IDs and analysis information of photographs. More specifically, the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00 checks whether the camera information and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photo file are present from the respective photographs, and extracts information if the information exists in the photo file It is expressed according to the photo description structure. The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is input to a clustering unit 300 for grouping photographs.

상기 클러스터링부(300)는 상기 생성된 다양한 사진 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사진의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촬영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그룹핑하기 위해 사진 간의 연관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인물 친밀도를 정의하여 인물 기반 사진 클러스터링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클러스터링부(300)는 사진기반 클러스터링부(310)와, 인물 친밀도 기반 클러스터링부(320)로 구성된다.The clustering unit 300 searches the photographs more efficiently by using the photographed persons, the photographing place, the photographing time, and the photographing place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 including the various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In order to construct the association between photographs, personality based clustering is performed by defining personality intimacy. For this, the clustering unit 300 includes a photo-based clustering unit 310 and a personality-based clustering unit 320.

이때, 상기 사진기반 클러스터링부(310)는 사진에 직접적으로 저장된 정보 또는 사진을 분석하여 추출해낸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 간의 연관성을 표현하는 사진 연관 그래프를 생성한다. 상기 사진 연관 그래프는 아래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사진 간의 연관성은 사진 촬영 시간, 촬영 장소, 사진 속 인물 정보에 따른 두 사진 간의 연관된 정도이다. 그리고 상기 사진 연관 그래프는 시간, 장소, 인물에 대한 물리적 정보만을 바탕으로 한 사진 물리적 연관 그래프와, 시간, 장소, 인물에 대한 의미적 해석을 부여한 사진 의미적 연관 그래프로 분류한다.At this time, the photo-based clustering unit 310 generates a photo-related graph expressing relevance between photographs by analyzing information extracted directly from photographs or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photographs. The photographic association grap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gai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otographs is related to the photographing time, the photographing place, and the photographs according to the person information in the photograph. The photographic association graph is classified into a photographic physical association graph based solely on the physical information of time, place and person, and a photographic semantic association graph imparting semantic analysis on time, place and person.

그리고 상기 인물 친밀도 기반 클러스터링부(320)는 사진기반 클러스터링부(310)에서 생성한 사진 연관 그래프를 통해 추출한 사진 연관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을 소유한 개인끼리의 신뢰도가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인물 친밀도 연관 그래프를 생성한다. 즉, 사진 연관 그래프에서 연관성은 인물적 연관성, 장소적 연관성, 시간적 연관성을 포함하며, 이러한 연관성이 높은 사진에 빈번히 등장하는 인물 간의 친밀도는 높다고 간주된다. 따라서 사진 연관 그래프에서 연관성이 높은 사진을 소유한 개인 간의 친밀도는 높게 설정된다. 상기 인물 친밀도 연관 그래프는 아래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Based on the photo-related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e photo-related graph generated by the photo-based clustering unit 310, the person affinity-based clustering unit 320 calculates a person-affinity-related graph indicating how high the reliability of the individual possessing the photograph is . That is, in the photographic association graph, the association includes personality association, place association, and temporal association, and the intimacy among the persons frequently appearing on the high association photograph is considered to be high. Therefore, the intimacy between individuals who have high-related photos in the photographic association graph is set high. The person affinity association grap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gain.

상기 사진 그룹정보 생성부(400)는 클러스터링부(300)의 출력을 기반으로 사진 간의 연관성 및 인물 간의 친밀도를 이용하여 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그룹 서술정보는 사진 간의 연관성을 갖는 사진그룹 및 인물 간의 친밀도를 갖는 인물그룹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 명칭(ID)을 말한다.The photo group information generator 400 generates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output of the clustering unit 300 using the associations between photographs and the intimacy between the people. At this time, the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refers to a unique name (ID) for identifying a group of photographs having an association between photographs and a group of persons having an intimacy between the persons.

상기 사진 앨범정보 생성부(500)는 사진 서술정보 생성부(200)에서 생성된 사진서술 정보 및 사진 그룹정보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그룹 서술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결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사진앨범 정보는 앨범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앨범 데이터베이스(600)에는 사진앨범 정보와 함께 사진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받은 사진정보도 함께 저장될 수도 있다.
The photo album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00 combines the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00 and the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hoto group information generating unit 400 to generate photo album information do. The generated photo album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album database 600. At this time, the album database 600 may store the photo album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photo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photo input unit 100.

한편, 상기 사진기반 클러스터링부(310)에서 생성되는 사진 연관 그래프는 사진에 직접적으로 저장된 정보 또는 사진을 분석하여 추출해 낸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의 연관성을 표현하는 그래프이다. 사진 연관 그래프는 사용되는 사진 정보가 물리적인 정보일 때 물리적 사진 연관 그래프로 분류하고, 사람이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적인 정보일 때 의미적 사진 연관 그래프로 분류한다. Meanwhile, the photo-related graph generated by the photo-based clustering unit 310 is a graph expressing the relevance of photographs using information extracted from analyzing information or photographs directly stored in photographs. Photographic associative graphs are classified into physical photographic associative graphs when used photograph information is physical information, and semantic photographic associative graphs when semantic information is generally understood by humans.

먼저, 물리적 사진 연관 그래프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일반적인 그래프와 동일하게 그래프의 노드와 에지로 구성된다. 도 2와 같이, 그래프의 노드는 각각의 사진들(P1~P10)이고, 그래프의 에지는 사진들의 촬영 시간(T), 사진 촬영 장소(L), 사진 속의 인물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한 사진 간의 인물 연관성(H)이다. 참고로 물리적 시간 연관도(PTA)인 사진 촬영 시간(T)은 두 사진이 촬영된 시간의 차이에 따른 연관도로서, 기준 사진과의 시간 차이에 따라 각 사진에 서로 다른 연관도를 부여한다. 그리고 물리적 장소 연관도(PLA)인 사진 촬영 장소(L)는 두 사진이 촬영된 장소에 따른 연관도로서, 사진의 EXIF 정보에 저장되어 있는 GPS 좌표 간의 물리적 거리를 계산하여 거리 차이에 따라 각 사진에 서로 다른 연관도를 부여한다. 그리고 물리적 인물 연관도(PPA)인 인물 연관도(H)는 두 사진에 등장하는 인물에 따른 연관도로서, 두 사진에 등장하는 전체 인물 중 대비 두 사진에 공통으로 등장하는 인물의 비중으로 계산된다. 즉, 기준 사진에 포함된 인물들을 이용하여 각 사진에 대한 연관도를 부여한다. 이때, 촬영된 인물은 얼굴 인식 등과 같은 사진 인식 기술을 통하여 각 인물을 구분하고 다른 사진에서 동일한 인물들을 찾아 낼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2, the physical photographic association graph is composed of nodes and edges of a graph in the same manner as a general graph. As shown in Fig. 2, the nodes of the graph are the respective photographs P1 to P10, and the edges of the graph are the photographing time T of the photographs, the photographing place L, Personality relevance (H). As a reference, the photographing time (T), which is a physical time correlation (PTA), is an associ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ime between two photographs, and gives a different degree of association to each photograph according to the time difference from the reference photograph. The photographing location (L), which is a physical location association (PLA), is an association diagram according to the place where the two photographs were taken.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the GPS coordinates stored in the EXIF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 is calculated, To each other. The figure of association (H), which is the physical figure of association (PPA), is the degree of associ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s appearing in the two photographs, and is calculated as the proportion of the characters commonly appearing in the two photographs of the two photographs . That is, the degree of association is given to each photograph using the persons included in the reference photograph. At this time, the photographed person can distinguish each person through a photo recognition technique such as face recognition or the like and find the same person in another photograph.

도 2를 참조하여 사진 P1과 P2 간의 물리적 연관도(Physical Association : PA)는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hysical association (PA) between the photographs P1 and P2 can be defined as the following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PA(p1,p1) = w1*PTA(p1,p2) + w2*PLA(p1,p2) + w3*PPA(p1,p2)PPA (p1, p2) + w2 * PLA (p1, p2) + w3 * PPA (p1,

이때, w는 가중치로서, w1 + w2 + w3 = 1 이다.
At this time, w is a weight, and w1 + w2 + w3 = 1.

다음으로 의미적 사진 연관 그래프는 그래프의 노드와 에지로 구성되고, 그래프의 노드는 각각의 사진들이고, 그래프의 에지는 물리적인 사진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한 두 사진 간의 의미적 관점에서의 연관도로서, 의미적 시간 연관도, 의미적 장소 연관도, 그리고 의미적 인물 연관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참고로 의미적 시간 연관도(STA)는 사진 촬영 시간에 따라 초, 분, 시간, 일, 월, 해와 같은 시간 단위 또는 사람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아침, 점심, 저녁과 같은 의미적인 단계로 사진을 분류하고 기준 사진과의 시간차에 따라 각 사진에 서로 다른 두 사진 간의 의미적 시간 연관도를 부여한다. 그리고 의미적 장소 연관도(SLA)는 사진의 EXIF 정보에 저장되어 있는 GPS 좌표를 이용하여 건물, 행정구역, 특정지역과 같은 단위로 사진을 분류하고 기준 사진과의 거리 차이에 따라 각 두 사진 간의 서로 다른 의미적 거리에 따른 연관도를 부여한다. 그리고 의미적 인물 연관도(SPA)는 물리적 인물 연관도, 즉, 두 사진에서 공통으로 등장하는 인물의 비율뿐만 아니라 인물의 표정, 사진에서 인물간의 거리 등을 바탕으로 의미적인 인물간의 거리에 따른 연관도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사진 속의 인물의 표정을 인식하여 웃고 있는 표정과 같이 기분 좋은 표정에서는 사람간의 연관도를 더 높게 부여할 수 있으며, 사진 속 인물간의 물리적 거리가 가까울수록 연관도를 높게 부여할 수 있다.Next, the semantic photographic association graph consists of the nodes and edges of the graph, the nodes of the graph are the individual photographs, and the edges of the graph are the associations in terms of semantics between the two photographs , Semantic temporal associations, semantic place associations, and semantic personality associations. For reference, a semantic time association (STA) is a time-based unit such as seconds, minutes, hours, days, months, years, or a semantic step such as breakfast, lunch, And assigns semantic temporal associations between two different photographs to each photograph according to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m. In addition, the Semantic Locality Association (SLA) classifies photographs into units such as buildings,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specific areas using GPS coordinates stored in the EXIF information of photographs, And gives a degree of association according to different semantic distances. In addition, the semantic associativity (SPA) is related to the physical personality, that is, the ratio of the characters that appear in common in both photographs, .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assign a higher degree of association to a person in a pleasant expression, such as a smiling expression recognizing a person's facial expression in a photograph, and the closer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the persons in the photograph is, the higher the degree of association can be given.

마찬가지로 사진 P1과 P2 간의 의미적 연관도(Semantic Association : SA)는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Similarly, the semantic association (SA) between the pictures P1 and P2 can be defined as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 2]&Quot; (2) "

SA(p1,p1) = w1*STA(p1,p2) + w2*SLA(p1,p2) + w3*SPA(p1,p2)SPA (p1, p2) + w2 * SLA (p1, p2) + w3 * SA (p1, p1) = w1 * STA

이때, w는 가중치로서, w1 + w2 + w3 = 1 이다.
At this time, w is a weight, and w1 + w2 + w3 = 1.

그리고 상기 인물 친밀도 기반 클러스터링부(320)에서 생성되는 인물 친밀도 연관 그래프는 사진 물리적/의미적 연관 그래프를 바탕으로 사진에 등장한 인물들 간의 친밀도를 표현하는 그래프이다. 예를 들어 사진 연관 그래프에서 연관성이 높은 사진에 빈번히 등장하는 인물간의 친밀도는 높다고 간주될 수 있다.The person affinity association graph generated by the person affinity-based clustering unit 320 is a graph expressing intimacy between the characters based on the photographic physical / semantic association graph. For example, the familiarity among the people frequently appearing in high-related photographs in the photographic association graph can be considered high.

인물 친밀도 그래프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일반적인 그래프와 동일하게 그래프의 노드와 에지로 구성된다. 이때, 그래프 노드는 사진 물리적/의미적 연관 그래프에 등장한 인물(H1~H7)이고, 그래프 에지는 노드에 지시되는 두 인물간의 친밀도를 표시한다. 이때, 사진 물리적/의미적 연관 그래프를 바탕으로 두 인물간의 친밀도를 결정한다.As shown in FIG. 3, the person affinity graph is composed of nodes and edges of a graph in the same manner as a general graph. At this time, the graph nodes are figures (H1 to H7) appearing in the photographic physical / semantic association graph, and the graph edges indicate the intimacy between the two persons indicated in the node. At this time, based on the photographic physical / semantic association graph, the intimacy between the two persons is determined.

일 실시예로 두 인물 P1, P2에 대한 인물 친밀도(Personal Closeness)를 PC(p1,p2)라고 할 때, PC(p1,p2)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통해서 계산될 수 있다. 이때 인물 p1과 인물 p2가 등장하는 사진을 각각 photo1, photo2라고 하면, In one embodiment, when the personal closeness of two persons P1 and P2 is referred to as PC (p1, p2), PC (p1, p2)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rule. At this time, if the photographs in which the person p1 and the person p2 appear are photo1 and photo2 respectively,

인물적 연관성(PPC)은 photo1과 photo2 간에 존재하는 경로의 수가 많을수록 p1과 p2의 친밀도가 높으며, photo1과 photo2 간의 거리에 의해서 결정된다. 예를 들어 동일 사진에서 p1과 p2가 등장하는 경우가 사진 물리적/의미적 연관 그래프 상에서 다른 사진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연관된 경우보다 친밀도가 크다. 그리고 photo1과 photo2 간의 경로에서 의미적 인물 연관도가 클수록 p1과 p2의 친밀도가 높다.The higher the number of paths between photo1 and photo2, the higher the intimacy of p1 and p2, and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between photo1 and photo2. For example, when p1 and p2 appear in the same photograph, they are more intimate than when they are indirectly related through other photographs on the photographic physical / semantic graph. And, the larger the degree of semantic personality in the path between photo1 and photo2, the higher the affinity between p1 and p2.

또한 장소적 연관성(PLC)은 photo1과 photo2 간의 경로에서 의미적 장소 연관성이 클수록 p1과 p2의 친밀도는 높으며, photo1과 photo2 간의 경로에서 관광지 등과 같은 사적인 장소에 의한 장소 연관도가 회의장 같은 공식적인 장소에 의한 연관도보다 p1과 p2의 친밀도가 높다.In addition, the place relation (PLC)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1 and p2 is high in rela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oto1 and the photo2,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ce1 and the photo2 in the public place The affinity of p1 and p2 are higher than those of p1 and p2.

그리고 시간적 연관성(PTC)은 photo1과 photo2 간의 경로에서 의미적 시간 연관성이 클수록 p1과 p2의 친밀도는 높으며, photo1과 photo2 간의 경로에서 사적인 시간(휴일, 비일과 시간 등)에 의한 시간 연관도가 공적인 시간(일과시간 등)에 의한 시간 연관도보다 p1과 p2의 친밀도가 높다.And the temporal correlation (PTC) shows that the greater the semantic temporal relationship in the path between photo1 and photo2, the higher the affinity between p1 and p2, and the more the temporal associativity due to private time (holiday, The familiarity of p1 and p2 is higher than that of time (day, time, etc.).

따라서 인물 p1과 p2 간의 인물 친밀도(Personal Closeness : PC)는 다음 수학식 3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Therefore, the personal closeness (PC) between the person p1 and the person p2 can be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수학식 3]&Quot; (3) "

PC(p1,p1) = w1*PPC(p1,p2) + w2*PLC(p1,p2) + w3*PTC(p1,p2)PC (p1, p2) + w3 * PTC (p1, p2) + w2 *

이때, w는 가중치로서, w1 + w2 + w3 = 1 이다.
At this time, w is a weight, and w1 + w2 + w3 = 1.

이처럼, 각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생성한 사진 물리적/의미적 연관 그래프 및 인물 친밀도 그래프를 이용하여 생성된 사진그룹 서술정보를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의 앨범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하여 통합함으로써, 여러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입수한 사진 물리적/의미적 연관 그래프 및 인물 친밀도 그래프를 통합 관리할 수 있어, 보다 많은 사진 간의 연관성과 보다 많은 인물간의 친밀도를 분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hoto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using the photo physical / semantic association graph and the person familiarity graph generated by the smart device of each user is stored and integrated in the album database 600 of the photo-based person familiarity building apparatus, The photo / semantic association graph and the person affinity graph obtained from the smart device can be managed in an integrated manner, so that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ore photographs and more peopl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를 이용하여 각각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사진 정보 또는 사진 연관성 그래프 및 인물 친밀도 그래프를 바탕으로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를 구축하는 방법은 다음 3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The method for constructing the photograph-based person familiarity based on the photograph information, the photograph relevance graph and the person familiarity graph existing in each smart device using the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personality close to the fig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ree methods Can be used.

첫 번째 방법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사진을 전송하는 과정만 처리하고,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이하 ‘서버’라 칭함)에서 업로드된 사진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클러스터링을 통해 생성된 사진 연관 그래프 또는/및 인물 친밀도 그래프를 이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하고, 앨범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하는 방법이다. 이때, 서버는 아마존 웹 서비스와 같은 클라우드 서버, 개인 서버, 호스팅 서버 등을 포함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를 포함하는 사진/인물 연관성 관리 서버를 말한다.In the first method, only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photographs from the user's terminal is performed, and the photographs are analyzed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photos uploaded from the photograph-based person familiarity build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rver') and clustering And / or a person-affinity graph, and stores the generated photo album information in the album database 600. [0064] FIG. At this time, the server refers to a photo / person relation management server including a photo-based person familiarity building device including a cloud server, a personal server, a hosting server, etc., such as Amazon Web Services.

첫 번째 방법인 사전 전송을 통한 그래프 생성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자신이 보유한 사진을 사진 입력부(100)를 통해 서버로 업로드한다(S10). 이때, 사진은 단말기에 보유한 사진에 한정되지 않으며, 페이스북, 카카오 스토리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 같은 인터넷 상의 사진을 모두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a user creates a graph through advance transmission, which is a first method, in step S10. The user uploads his or her own photograph to the server through the photo input unit 100 in step S10. At this time, the picture is not limited to the picture held in the terminal, and includes all pictures on the internet such as social network such as Facebook and Cacao Story.

그러면 서버는 사진 서술정보 생성부(200)를 통해 입력된 사진을 분석하여 사진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를 생성하고, 클러스터링부(300)를 통해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촬영장소 정보를 분류하여 사진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그룹핑하기 위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한다(S11). 이때 상기 사진의 분석정보는 사진의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촬영장소 정보를 포함한다. Then, the server analyzes the photograph inputted through the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00 to generat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 including the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analysis information to the person The photographing place, the photographing time, and the photographing place information, and performs clustering for searching and grouping the photographs more efficiently (S11). At this time, 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 includes the photographed person, the photographing place, the photographing time, and the photographing place information.

상기 클러스터링의 수행방법은 사진기반 클러스터링 및 인물 친밀도 기반 클러스터링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이용하여 클러스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The method of performing the clustering can be divided into a photo-based clustering and a person-based clustering, and clustering can be performed using one or both of them.

먼저 사진기반 클러스터링 방법은 사진에 직접적으로 저장된 정보 또는 사진을 분석하여 추출해낸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 간의 연관성을 표현하는 사진 연관 그래프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사진 간의 연관성은 사진 촬영 시간, 촬영 장소, 사진 속 인물 정보에 따른 두 사진 간의 연관된 정도이다. 그리고 상기 사진 연관 그래프는 시간, 장소, 인물에 대한 물리적 정보만을 바탕으로 한 사진 물리적 연관 그래프와, 시간, 장소, 인물에 대한 의미적 해석을 부여한 사진 의미적 연관 그래프로 분류한다. 사진 연관 그래프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위에서 기재하고 있으므로 생략한다.First, the photo-based clustering method generates a photo-associative graph that expresses associations between photos using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or photos directly stored in the photographs. At this tim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otographs is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two photographs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time, the photographing place, and the person information in the photograph. The photographic association graph is classified into a photographic physical association graph based solely on the physical information of time, place and person, and a photographic semantic association graph imparting semantic analysis on time, place and person. The detailed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photographic association graph is omitted above because it is described above.

그리고 상기 생성된 사진 연관 그래프를 통한 사진 간의 연관성을 이용하여 소정의 사진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사진그룹 서술정보는 사진 간의 연관성을 갖는 사진그룹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 명칭(ID)을 말한다.Then, the predetermined photograph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hotographs through the generated photograph association graph. At this time, the photograph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is a unique name (ID) for identifying a group of photographs having a relation between photographs.

다음으로 인물 친밀도 클러스터링 방법은 상기 생성된 사진 서술 정보를 기반으로 사진의 인물적 연관성, 장소적 연관성, 시간적 연관성을 통한 인물 간의 친밀도를 정의하여 사진을 소유한 개인끼리의 신뢰도가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인물 친밀도 연관 그래프를 생성한다. 즉, 인물적 연관성, 장소적 연관성, 시간적 연관성을 통해 사진에 빈번히 등장하는 인물 간에 서로 친밀도가 높다고 정의된다. 이때, 인물 친밀도 연관 그래프는 연관성이 높은 사진을 소유한 개인 간의 신뢰도는 높게 설정된다. 상기 인물 친밀도 연관 그래프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위에서 기재하고 있으므로 생략한다.Next, the person affinity clustering method defines the intimacy between the persons based on the generated photographic description information, such as the personality association, the site association, and the temporal association, Generate an affinity graph. That is, it is defined that people who are frequently appearing in photographs have high intimacy with each other through personality relation, place relation, and temporal relation. At this time, the affinity affinity graph is set to have a high reliability among individuals who have high relevance photographs. The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person affinity association graph is omitted above because it is described above.

한편, 인물 친밀도 클러스터링 방법에서 인물 친밀도 연관 그래프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사진기반 클러스터링 방법을 통해 생성된 사진 연관 그래프를 통해 추출한 사진 연관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을 소유한 개인끼리의 신뢰도가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인물 친밀도 연관 그래프를 생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person-affinity association graph in the affinity clustering method, a person who shows how high the reliability of the individual possessing the photograph is by using the photo-related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e photo- You can also create an affinity graph.

그리고 상기 생성된 인물 친밀도 연관 그래프를 통한 인물 간의 친밀도를 이용하여 소정의 인물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사진그룹 서술정보는 인물 간의 친밀도를 갖는 인물그룹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 명칭(ID)을 말한다.Then, predetermined person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the intimacy between the persons through the generated person affinity association graph. At this time, the photograph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is a unique name (ID) for identifying a person group having intimacy between the persons.

이처럼, 상기 클러스터링의 수행방법은 사진기반 클러스터링 및 인물 친밀도 기반 클러스터링을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그룹핑하기 위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사진기반 클러스터링 및 인물 친밀도 기반 클러스터링을 서로 연계하여 순차적(순서에 제한이 없음)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그룹핑하기 위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음을 주의하여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lustering method may perform clustering for performing grouping by independently performing photo-based clustering and person-based clustering, but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clustering in which the photo-based clustering and the person- No clustering may be performed to perform clustering for grouping.

이어 사진 앨범정보 생성부(500)를 통해 생성된 사진서술 정보 및 클러스터링부(300)를 통한 클러스터링의 수행을 통해 생성된 사진그룹 서술정보 또는 인물그룹 서술정보(이하 ‘그룹 서술정보’라 칭함)를 서로 매칭되도록 결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사진앨범 정보는 앨범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된다(S12).
The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photo album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00 and the photo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or the character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clustering through the clustering unit 300, To match each other to generate photo album information. The generated photo album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album database 600 (S12).

두 번째 방법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사진을 전송할 때, 단말기 내에 미리 포함되어 있는 사진 분석 프로그램(Apps.)을 통해 보유하고 있는 사진을 미리 분석하여 사진의 분석정보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사진의 분석정보들을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서버로 전송한다. 그러면, 서버는 전송 받은 사진 분석정보들을 통한 클러스터링을 통해 생성된 사진 연관 그래프 또는/및 인물 친밀도 그래프를 이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하고, 앨범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하는 방법이다. 이때, 사용자가 전송하는 분석정보들은 암호화되어 전송되고, 정보의 종류는 EXIF와 같은 사진의 메타정보, 색상정보 및 특징값 같은 분석정보, 촬영된 인물의 정보를 포함한다.In the second method, when a photograph is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analysis information of photographs is extracted by analyzing the photographs stored in advance through a photo analysis program (Apps.) Included in the terminal, and the analysis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user's terminal to the server. Then, the server generates the photo album information by using the photo-related graph and / or the person-familiarity graph generated through the clustering through the transmitted photo analysis information,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album database 600. At this time, the analysis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user is encrypted and transmitted, and the type of information includes meta information such as EXIF, analysis information such as color information and feature value, and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ed person.

두 번째 방법으로 사진의 기존 정보 전송을 통한 그래프 생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단말기 내에 미리 포함되어 있는 사진 분석 프로그램(Apps.)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진을 분석하여 사진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를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된 분석정보를 사진 입력부(100)를 통해 서버로 업로드한다(S20). 이때, 사진은 단말기에 보유한 사진에 한정되지 않으며, 페이스북, 카카오 스토리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 같은 인터넷 상의 사진을 모두 포함하며, 또한 상기 사진의 분석정보는 사진의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촬영장소 정보를 포함한다. 5, a user analyzes a photograph held by a user using a photo analysis program (Apps) included in the terminal. Then, Extracts 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 including the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and uploads the extracted analysis information to the server through the photo input unit 100 (S20). At this time, the photograph is not limited to the photographs held on the terminal, and includes all the images on the Internet such as social networks such as Facebook and Cacao Story. 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 includes the photographed person, And includes shooting location information.

이어 서버는 클러스터링부(300)를 통해 입력된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촬영장소 정보를 분류하여 사진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그룹핑하기 위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한다(S21). Then, the server classifies the photographed person, the photographing place, the photographing time, and the photographing place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 inputted through the clustering unit 300, and performs clustering for searching and grouping the photographs more efficiently S21).

이때, 상기 클러스터링의 수행방법은 사진기반 클러스터링 및 인물 친밀도 기반 클러스터링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이용하여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한다. 참고로 상기 클러스터링 수행방법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위에서 기재하고 있으므로 생략한다.At this time, the method of performing the clustering can be divided into a photo-based clustering and a person-based clustering, and clustering is performed using one or both of them to generate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lustering method will be omitted because it is described above.

이어 사진 앨범정보 생성부(500)를 통해 생성된 사진서술 정보 및 클러스터링부(300)를 통한 클러스터링의 수행을 통해 생성된 그룹 서술정보를 서로 매칭되도록 결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사진앨범 정보는 앨범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된다(S22).
The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photo album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00 and the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clustering through the clustering unit 300 are combined to be matched with each other to generate photo album information. The generated photo album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album database 600 (S22).

세 번째 방법으로 각 단말기에 미리 포함되어 있는 그래프 구축 프로그램(Apps.)을 통해 보유하고 있는 사진을 미리 분석하고, 분석된 사진 분석정보들을 기반으로 클러스터링을 통해 생성된 사진 연관성 그래프 또는/및 인물 친밀도 그래프를 구축한다. 그리고 이렇게 구축된 사진 연관성 그래프 또는/및 인물 친밀도 그래프를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에서는 전송받은 사진 연관성 그래프 또는/및 인물 친밀도 그래프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 상에 이에 따른 그래프를 이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하고 앨범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한다.The third method is to analyze in advance the pictures that are held through the graph building program (Apps.) Included in each terminal in advance, and then, based on the analyzed image analysis information, the photo correlation graph generated by clustering and / Build the graph. Then, when the constructed photographic association graph or / and person affinity graph are transmitted to the server, the server generates the photographic album information using the corresponding graph on the server using the received photographic association graph or / and person affinity graph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album database 600.

세 번째 방법으로 그래프 정보 전송을 통한 그래프 생성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단말기 내에 미리 포함되어 있는 그래프 구축 프로그램(Apps.)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진을 분석하여 사진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이렇게 추출된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촬영장소 정보를 분류하여 사진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그룹핑하기 위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고, 클러스터링을 통해 생성된 사진 연관성 그래프 또는/및 인물 친밀도 그래프를 서버로 업로드한다(S30). 6, the user analyzes a photograph held by a user using a graph construction program (Apps) included in the terminal, and displays the photo description Extracts analysis information of photographs containing information. Then, clustering is performed to search and group the photographs more efficiently by classifying the photographed person, the photographing place, the photographing time, and the photographing place information based on the extracted analysis information, and the photograph correlation graph or / And the person affinity graph are uploaded to the server (S30).

이때, 사진은 단말기에 보유한 사진에 한정되지 않으며, 페이스북, 카카오 스토리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 같은 인터넷 상의 사진을 모두 포함하며, 또한 상기 사진의 분석정보는 사진의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촬영장소 정보를 포함한다. 참고로 상기 클러스터링 수행방법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위에서 기재하고 있으므로 생략한다.At this time, the photograph is not limited to the photographs held on the terminal, and includes all the images on the Internet such as social networks such as Facebook and Cacao Story. 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 includes the photographed person, And includes shooting location inform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lustering method will be omitted because it is described above.

이어 서버는 입력된 사진 연관성 그래프 또는/및 인물 친밀도 그래프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되는 각 그래프들과 비교 및 매칭을 통해 사진 연관성 그래프 또는/및 인물 친밀도 그래프를 확장하여 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한다(S31).The server then generates a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by expanding the photo correlation graph and / or the person familiarity graph through comparison and matching with the respective graphs input from a plurality of users by using the inputted photograph relevance graph or / and person affinity graph. (S31).

그리고 사진 앨범정보 생성부(500)를 통해 입력된 사진서술 정보 및 생성된 그룹 서술정보를 서로 매칭되도록 결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사진앨범 정보는 앨범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된다(S32).
The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photo album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00 and the generated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are combined to be matched with each other to generate photo album information. The generated photo album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album database 600 (S32).

한편, 상기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를 구축하는 방법에서 사진 연관 그래프 및 인물 친밀도 그래프의 내용을 악의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막기 위해 연관 연산에 사용되는 정보의 내용을 암호화하여 처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Meanwhile,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photograph-based person familiarity, it is necessary to encrypt and process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used in the association operation to prevent the contents of the photo-related graph and the person-affinity graph from being used maliciously.

따라서 사진 정보 중에서 시간정보와 장소정보는 각각 사진의 EXIF 정보에 포함된 사진 촬영시간 정보와 촬영장소 정보(GPS)를 암호화하여 처리한다. 그리고 인물정보는 얼굴 인식 시스템과 같이 인물의 고유한 정보들을 종합하여 암호화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사진 촬영시간, 촬영장소, 인물정보는 암호화 수행 후에 각각의 고유한 값으로 구분 가능하다. Therefore,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place information in the picture information encode the picture taking time information and the picture taking place information (GPS) contained in the EXIF information of the picture, respectively. And the person information uses a method of synthesizing and encrypting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person like the face recognition system. At this time, the photographing time, the photographing place, and the person information can be divided into respective unique values after encryption is performed.

그리고 사진 촬영시간은 암호화 후에도 두 시간 차이를 계산할 수 있는 형태로 암호화되며, 사진 촬영장소는 암호화 후에도 두 장소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형태로 암호화된다. 그리고 서로 다른 사진 속 인물이 동일 인물이라면 암호화 후에 두 인물에 대한 값을 동일한 값을 가진다.
And the picture taking time is encrypted in such a way that two hours difference can be calculated even after encryption, and the picture taking place is encrypted in such a form that the distance of two places can be calculated even after encryption. If the characters in the different photos are the same person, the values for the two characters after encoding are the sam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포함된 여러 단계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매체(예: CD-ROM, DVD), 디지털 저장매체(예: USB 메모리, 메모리 카드(SD, CF, MS, XD)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into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in a computer. That is, the various steps involved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medium may be a magnetic storage medium such as a ROM, a floppy disk, a hard disk, etc., an optical reading medium such as CD-ROM or DVD, a digital storage medium such as a USB memory, XD), etc.) and carrier waves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44)

단말기로부터 사진 정보를 입력받는 사진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사진을 분석 및 서술(description)하여, 사진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진서술(photo description) 정보 및 사진의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사진서술정보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사진 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사진의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촬영장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진을 검색하고 그룹핑하기 위한 사진 간의 연관을 구축하는 사진기반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사진기반 클러스터링부와,
상기 사진기반 클러스터링부의 출력을 기반으로 사진 간의 연관성을 이용하여 소정의 사진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하는 사진 그룹정보 생성부와,
상기 사진 서술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사진서술 정보 및 사진 그룹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사진그룹 서술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결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하는 사진 앨범정보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때, 상기 사진기반 클러스터링부는 사진에 직접적으로 저장된 정보 또는 사진을 분석하여 추출해낸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 간의 연관성을 표현하는 사진 연관 그래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A photo input unit for receiving photo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A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analyzing and inputting the input photograph to generate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including a photo identifier and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
Based on 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 including the generated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constructs an association between the photographs for searching and grouping the photographs using at least one of the photographed person, the photographing place, the photographing time, and the photographing place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 A photo-based clustering unit for performing photo-based clustering,
Based on the output of the photo-based clustering unit, a picture group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predetermined picture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by using a correlation between pictures,
And a photo album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photo album information by matching the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and the photo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hoto group information generation unit,
Wherein the photo-based clustering unit generates a photo-related graph that expresses associations between the pictures by using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or photographs directly stored in the photographs.
단말기로부터 사진 정보를 입력받는 사진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사진을 분석 및 서술(description)하여, 사진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진서술(photo description) 정보 및 사진의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사진서술정보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사진 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사진의 인물적 연관성, 장소적 연관성, 시간적 연관성을 통한 인물 간의 친밀도를 연관 구축하는 인물 친밀도 기반 클러스터링부와,
상기 인물 친밀도 기반 클러스터링부에서 출력되는 인물 간의 친밀도를 이용하여 소정의 인물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하는 사진 그룹정보 생성부와,
상기 사진 서술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사진서술 정보 및 사진 그룹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인물그룹 서술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결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하는 사진 앨범정보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A photo input unit for receiving photo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A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analyzing and inputting the input photograph to generate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including a photo identifier and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
An affinity affinity-based clustering unit for associating the intimacy between the persons based on 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s including the generated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A photograph group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predetermined person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by using an intimacy between the persons output from the person affinity-based clustering unit;
And a photo album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photo album information by matching the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or and the person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hoto group information generator with each other to generate photo album information A device for constructing familiarity with a photograph based person.
단말기로부터 사진 정보를 입력받는 사진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사진을 분석 및 서술(description)하여, 사진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진서술(photo description) 정보 및 사진의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사진서술정보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다양한 사진 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사진의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촬영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을 검색하고 그룹핑하기 위해 사진 간의 연관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인물 친밀도를 정의하여 인물 기반 사진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클러스터링부와,
상기 클러스터링부의 출력을 기반으로 사진 간의 연관성 및 인물 간의 친밀도를 이용하여 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하는 사진 그룹정보 생성부와,
상기 사진 서술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사진서술 정보 및 사진 그룹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그룹 서술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결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하는 사진 앨범정보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때, 상기 클러스터링부는
사진에 직접적으로 저장된 정보 또는 사진을 분석하여 추출해낸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 간의 연관성을 표현하는 사진 연관 그래프를 생성하는 사진기반 클러스터링부와,
상기 사진기반 클러스터링부에서 생성한 사진 연관 그래프를 통해 추출한 사진 연관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을 소유한 개인끼리의 신뢰도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물 친밀도 연관 그래프를 생성하는 인물 친밀도 기반 클러스터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A photo input unit for receiving photo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A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analyzing and inputting the input photograph to generate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including a photo identifier and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
Based on 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s including the generated various description informatio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hotographs is constructed to search and group the pictures by using the photographed persons, the photographing place, the photographing time, and the photographing place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s A clustering unit for defining personality intimacy to perform person-based photo clustering,
A photograph group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using the associations between photographs and the intimacy between figures based on the output of the clustering unit;
And a photo album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photo album information by matching and combining the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or and the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hoto group information generator,
At this time, the clustering unit
A photo-based clustering unit for generating a photo-related graph expressing associativity between photographs by using information extracted or analyzed by directly storing information or photographs stored in the photographs,
And a personality affinity-based clustering unit for generating a person affinity association graph indicating the degree of reliability among individuals who own the photograph by using the photo-related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e photo-related graph generated by the photo-based clustering unit Based photo intimacy devic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정보는 사용자 개인용 단말기에 저장된 사진 및 상기 개인용 단말기를 통해 접근 가능한 인터넷 상의 소셜 네트워크에 포함된 사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hoto information includes a photograph stored in a user's personal terminal and a photograph included in a social network on the Internet accessible through the personal terminal.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서술정보는 사진 간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고유 명칭(ID)으로 촬영날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is set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photographing date and a time in a unique name (ID) for distinguishing between photograph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연관 그래프는
시간, 장소, 인물에 대한 물리적 정보만을 바탕으로 한 사진 물리적 연관 그래프와,
시간, 장소, 인물에 대한 의미적 해석을 부여한 사진 의미적 연관 그래프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2. The method of claim 1,
A photographic physical association graph based solely on physical information about time, place, and person,
Wherein the image is classified into a photograph semantic association graph to which a semantic analysis of time, place, and person is giv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간의 연관성은 사진 촬영 시간, 촬영 장소, 사진 속 인물 정보에 따른 두 사진 간의 연관된 정도를 미리 정의되어 있는 수치로 나타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hotographs is represented by a predefined number of degrees of association between the two photographs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time, the photographing place, and the person information in the photograp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그룹 서술정보는 사진 간의 연관성을 갖는 사진그룹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 명칭(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hotograph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is a unique name (ID) for identifying a group of photographs having a relation between photograph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앨범 정보를 저장하는 앨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앨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여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수한 사진 물리적 그리고 의미적 연관 그래프 및 인물 친밀도 그래프를 통합 관리하여 사진 간의 연관성과 인물간의 친밀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n album database for storing the photo album information,
Wherein the photograph database is used to collectively manage photographic physical and semantic association graphs and person familiarity graphs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through the album database to analyze associations between photographs and intimacy between the persons.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물 친밀도 기반 클러스터링부는 사진을 소유한 개인끼리의 신뢰도가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인물 친밀도 연관 그래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erson affinity-based clustering unit generates a person affinity association graph indicating how high the reliability of the person who owns the photograph i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물 간의 친밀도는 인물적 연관성, 장소적 연관성, 시간적 연관성을 통해 사진에 등장하는 횟수가 많을수록 인물 간에 서로 친밀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ntimacy degree of the person is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s the number of appearances in the photograph is high due to the personality relation, the place relation, and the temporal rel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물그룹 서술정보는 인물 간의 친밀도를 갖는 인물그룹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 명칭(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erson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is a unique name (ID) for identifying a person group having an intimacy between the persons.
삭제dele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연관 그래프에서 연관성이 높은 사진을 소유한 개인 간의 친밀도는 그렇지 않은 개인 간의 친밀도 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timacy between the individuals having the high-related photographs in the photo-related graph is set higher than the intimacy between the individuals having the high-related photographs in the photo-related graph.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연관 그래프는 사진에 직접적으로 저장된 정보 또는 사진을 분석하여 추출해 낸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의 연관성을 표현하는 그래프로서, 사용되는 사진 정보가 물리적인 정보일 때 물리적 사진 연관 그래프로 분류하고, 사람이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적인 정보일 때 의미적 사진 연관 그래프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hotograph-related graph is a graph expressing the relevance of photographs using information extracted from analyzing information or photographs directly stored in photographs. When the used photograph information is physical information, it is classified into a physical photograph- Wherein the semantic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a semantic photographic association graph when the semantic information is generally understood.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사진 연관 그래프는
그래프의 노드와 에지로 구성되고,
그래프의 노드는 각각의 사진들이고, 그래프의 에지는 사진들의 촬영 시간, 사진 촬영 장소, 사진 속의 인물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한 사진 간의 인물 연관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physical photo-
It consists of nodes and edges of the graph,
Wherein the nodes of the graph are respective photographs and the edge of the graph is composed of photographing time of the photographs, location of photographing, and personality correlation between the photographs calculated using the person information in the photographs.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촬영 시간(T)은 두 사진이 촬영된 시간의 차이에 따른 인물 연관성을 구성하는 물리적 시간 연관도(PTA)로서, 기준 사진과의 시간 차이에 따라 각 사진에 서로 다른 연관도를 부여하고,
상기 사진 촬영 장소(L)는 두 사진이 촬영된 장소에 따른 인물 연관성을 구성하는 물리적 장소 연관도(PLA)로서, 사진의 EXIF 정보에 저장되어 있는 GPS 좌표 간의 물리적 거리를 계산하여 거리 차이에 따라 각 사진에 서로 다른 연관도를 부여하고,
상기 사진 속의 인물 정보(H)는 두 사진에 등장하는 인물에 따른 인물 연관성을 구성하는 물리적 인물 연관도(PPA)로서, 두 사진에 등장하는 전체 인물 중 대비 두 사진에 공통으로 등장하는 인물의 비중으로 계산된, 즉, 기준 사진에 포함된 인물들을 이용하여 각 사진에 대한 연관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photographing time (T) is a physical time correlation (PTA) that constitutes a personality relationship according to a difference in time of photographing two photographs, and gives a different degree of association to each photograph according to a time difference from the reference photograph ,
The photographing location L is a physical location association (PLA) that constitutes personality association according to the place where the two photographs are photographed, and calculates a physical distance between GPS coordinates stored in the EXIF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 Each picture is assigned a different degree of association,
The person information (H) in the photograph is a physical personality association (PPA) constituting a personality association according to a person appearing in two photographs. The proportion of a person Wherein the degree of association of each of the photographs is calculated by using figures included in the reference photograph, that is, the figures included in the reference photograph.
제 18 항에 있어서,
사진 P1과 P2 간의 물리적 연관도(Physical Association : PA)는 다음 수식 PA(p1,p1) = w1*PTA(p1,p2) + w2*PLA(p1,p2) + w3*PPA(p1,p2)로 산출되며, 이때, w는 가중치로서, w1 + w2 + w3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physical association (PA) between the pictures P1 and P2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PA (p1, p1) = w1 * PTA (p1, p2) + w2 * PLA (p1, p2) + w3 * Wherein w is a weight, and w1 + w2 + w3 = 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적 사진 연관 그래프는
그래프의 노드와 에지로 구성되고,
그래프의 노드는 각각의 사진들이고, 그래프의 에지는 물리적인 사진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한 두 사진 간의 의미적 관점에서의 연관도로서, 의미적 시간 연관도, 의미적 장소 연관도, 그리고 의미적 인물 연관도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emantic photographic association graph
It consists of nodes and edges of the graph,
The nodes of the graph are each photographs, and the edge of the graph is a relation in terms of semantics between two photographs calculated using physical photograph information, and the semantic time relation, the semantic place association degree, And the degree of association is determined by the degree of association.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적 시간 연관도는 사진 촬영 시간에 따라 초, 분, 시간, 일, 월, 해와 같은 시간 단위 또는 사람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아침, 점심, 저녁과 같은 의미적인 단계로 사진을 분류하고 기준 사진과의 시간차에 따라 각 사진에 서로 다른 두 사진 간의 의미적 시간 연관도를 부여하고,
상기 의미적 장소 연관도는 사진의 EXIF 정보에 저장되어 있는 GPS 좌표를 이용하여 건물, 행정구역, 특정지역과 같은 단위로 사진을 분류하고 기준 사진과의 거리 차이에 따라 각 두 사진 간의 서로 다른 의미적 거리에 따른 연관도를 부여하고,
상기 의미적 인물 연관도는 물리적 인물 연관도, 즉, 두 사진에서 공통으로 등장하는 인물의 비율뿐만 아니라 인물의 표정, 사진에서 인물간의 거리를 바탕으로 의미적인 인물간의 거리에 따른 연관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semantic temporal relationship may be classified into a time unit such as seconds, minutes, hours, days, months, and sun, or a semantic step such as breakfast, lunch, And the semantic temporal associations between two different photographs are given to each photograph,
The semantic locality association classifies photographs into units such as buildings,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specific areas using GPS coordinates stored in the EXIF information of photographs, The degree of associa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is given,
The above-mentioned semantic personality degree is a relation of physical personality, that is, not only the ratio of the characters appearing commonly in the two photographs but also the degree of associa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emantic figures based on the distances between the persons in the photographs and photographs Wherein said means for establishing a person-friendly relationship with a photographer comprises: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적 인물 연관도는 사진 속의 인물의 표정을 인식하여 웃고 있는 표정과 같이 기분 좋은 표정에서는 사람간의 연관도를 더 높게 부여하고, 사진 속 인물간의 물리적 거리가 가까울수록 연관도를 높게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above-mentioned semantic personality association is to recognize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person in the photograph and give a higher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person and the person in a pleasant expression such as a laughing expression and give a higher degree of association as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the persons in the photograph is closer Feature-based photo intimacy builder.
제 21 항에 있어서,
사진 P1과 P2 간의 의미적 연관도(Semantic Association : SA)는 다음 수식 SA(p1,p1) = w1*STA(p1,p2) + w2*SLA(p1,p2) + w3*SPA(p1,p2)로 산출되며, 이때, w는 가중치로서, w1 + w2 + w3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semantic association (SA) between the pictures P1 and P2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SA (p1, p1) = w1 * STA (p1, p2) + w2 * SLA ), Wherein w is a weight, and w1 + w2 + w3 = 1.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물 친밀도 연관 그래프는
그래프의 노드와 에지로 구성되고,
그래프 노드는 사진 연관 그래프에 등장한 인물이고, 그래프 에지는 노드에 지시되는 두 인물간의 친밀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person affinity association graph
It consists of nodes and edges of the graph,
Wherein the graph node is a person appearing in a photo-related graph, and the graph edge is composed of an intimacy between two persons pointed to a node.
제 24 항에 있어서,
두 인물 P1, P2에 대한 인물 친밀도(Personal Closeness)를 PC(p1,p2)라고 하고, 인물 p1과 인물 p2가 등장하는 사진을 각각 photo1, photo2라고 하면,
인물적 연관성(PPC)은 photo1과 photo2 간에 존재하는 경로의 수가 많을수록 p1과 p2의 친밀도가 높으며, photo1과 photo2 간의 거리에 의해서 결정되고, photo1과 photo2 간의 경로에서 의미적 인물 연관도가 클수록 p1과 p2의 친밀도를 높게 설정하고,
장소적 연관성(PLC)은 photo1과 photo2 간의 경로에서 의미적 장소 연관성이 클수록 p1과 p2의 친밀도는 높으며, photo1과 photo2 간의 경로에서 관광지를 포함하는 사적인 장소에 의한 장소 연관도가 회의장을 포함하는 공식적인 장소에 의한 연관도보다 p1과 p2의 친밀도를 높게 설정하고,
시간적 연관성(PTC)은 photo1과 photo2 간의 경로에서 의미적 시간 연관성이 클수록 p1과 p2의 친밀도는 높으며, photo1과 photo2 간의 경로에서 사적인 시간에 의한 시간 연관도가 공적인 시간에 의한 시간 연관도보다 p1과 p2의 친밀도를 높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25. The method of claim 24,
Letting PC1 (p1, p2) be the personal closeness of two persons P1 and P2 and photo1 and photo2 photographs of the person p1 and p2, respectively,
As the number of paths between photo1 and photo2 increases, the affinity between p1 and p2 is high, and the distance between photo1 and photo2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between photo1 and photo2. the affinity of p2 is set high,
The place-associativity (PLC) shows that the more in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1 and p2 in the path between photo1 and photo2, the higher the affinity between p1 and p2, and the more the place- The affinity of p1 and p2 is set higher than that of place,
The temporal associations (PTC) show that the closer the semantic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hoto1 and the photo2, the higher the intimacy of p1 and p2, and the temporal associations by the private time in the path between photo1 and photo2 are greater than the temporal associations by p1 and the intimacy degree of the person p2 is set high.
제 25 항에 있어서,
인물 p1과 p2 간의 인물 친밀도(Personal Closeness : PC)는 다음 수식 PC(p1,p1) = w1*PPC(p1,p2) + w2*PLC(p1,p2) + w3*PTC(p1,p2)로 산출되며, 이때, w는 가중치로서, w1 + w2 + w3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장치.
26. The method of claim 25,
The personal closeness (PC) between the person p1 and the person p2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PC (p1, p1) = w1 * PPC (p1, p2) + w2 * Wherein w is a weight, and w1 + w2 + w3 = 1.
(A) 단말기로부터 사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B) 상기 입력된 사진을 분석 및 서술(description)하여, 사진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진서술(photo description) 정보 및 사진의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생성된 사진 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사진의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촬영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을 검색하고 그룹핑하기 위해 사진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단계와,
(D) 상기 사진 클러스터링의 수행 결과를 기반으로 사진 간의 연관성 및 인물 간의 친밀도를 이용하여 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E) 상기 생성된 사진서술 정보 및 그룹 서술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결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C) 단계는
상기 생성된 사진 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사진의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촬영장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진을 검색하고 그룹핑하기 위한 사진 간의 연관을 구축하는 사진기반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방법.
(A) receiving photo information from a terminal,
(B) analyzing and describing the input photograph, generating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photo identifier and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
(C) performing photo clustering to search for and group photos using photographing person, photographing place, photographing time and photographing place information based on analysis information of photographs including the generated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Wow,
(D) generating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using association between photographs and intimacy between figur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photo clustering;
(E) generating and storing photo album information by matching and combining the generated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and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step (C)
Based on 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 including the generated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constructs an association between the photographs for searching and grouping the photographs using at least one of the photographed person, the photographing place, the photographing time, and the photographing place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 And performing photo-based clustering on the photo-based image.
삭제delete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생성된 사진 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사진의 인물적 연관성, 장소적 연관성, 시간적 연관성을 통한 인물 간의 친밀도를 연관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방법.
28. 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step (C)
Based on 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 including the generated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associating the intimacy of the person with the person based on the personality relation, the place relation, and the temporal relation of the photograph, How to build.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생성된 사진 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사진의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을 검색하고 그룹핑하기 위해 사진 간의 연관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인물 친밀도를 정의하여 인물 기반 사진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방법.
28. 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step (C)
Based on 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s including the generated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an associ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photographs to search and group the photographs using the photographed person, the photographing place, and the photographing time information, And performing a person-based photo clustering on the basis of the feature information.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보유한 사진이 서버로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사진을 분석하여 사진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촬영장소 정보를 분류하여 사진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그룹핑하기 위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사진서술 정보 및 클러스터링의 수행을 통해 생성된 그룹 서술정보를 서로 매칭되도록 결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클러스터링의 수행방법은 사진기반 클러스터링 및 인물 친밀도 기반 클러스터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수행되며,
상기 클러스터링의 수행방법은
사진에 직접적으로 저장된 정보 또는 사진을 분석하여 추출해낸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 간의 연관성을 표현하는 사진 연관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사진 연관 그래프를 통한 사진 간의 연관성을 이용하여 소정의 사진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방법.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inputting, by the user terminal,
Analyzing the input photograph to generat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 including the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A step of classifying the photographed person, the photographing place, the photographing time, and the photographing place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photograph to perform clustering for more efficiently searching and grouping the photographs to generate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And generating and storing the photo album information by combining the generated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and the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clustering so as to matc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clustering method is performed by at least one of photo-based clustering and person-based clustering,
The method of performing clustering
Comprising the steps of: generating a photo-associative graph expressing associativity between photos using information extracted or analyzed from information stored directly in the photo;
And generating a predetermined photo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hotos through the generated photo association graph.
사용자 단말기 내에 미리 포함되어 있는 사진 분석 프로그램(Apps.)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진이 분석되어 추출된 사진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가 서버로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정보를 분류하여 사진을 검색하고 그룹핑하기 위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사진서술 정보 및 클러스터링의 수행을 통해 생성된 그룹 서술정보를 서로 매칭되도록 결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클러스터링의 수행방법은 사진기반 클러스터링 및 인물 친밀도 기반 클러스터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수행되며,
상기 클러스터링의 수행방법은
사진에 직접적으로 저장된 정보 또는 사진을 분석하여 추출해낸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 간의 연관성을 표현하는 사진 연관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사진 연관 그래프를 통한 사진 간의 연관성을 이용하여 소정의 사진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방법.
A step of analyzing a picture held by a user using a picture analysis program (Apps) included in a user terminal and inputting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icture including the extracted picture description information to a server,
Generating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by performing clustering for searching and grouping photographs by classifying the photographed persons, photographing locations, and photographing time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of the inputted photographs;
And generating and storing the photo album information by combining the generated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and the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clustering so as to matc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clustering method is performed by at least one of photo-based clustering and person-based clustering,
The method of performing clustering
Comprising the steps of: generating a photo-associative graph expressing associativity between photos using information extracted or analyzed from information stored directly in the photo;
And generating a predetermined photo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hotos through the generated photo association graph.
사용자 단말기 내에 미리 포함되어 있는 그래프 구축 프로그램(Apps.)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진을 분석하여 사진서술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분석정보가 추출되고, 추출된 사진의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정보를 분류하여 사진을 검색하고 그룹핑하기 위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생성된 사진 연관성 그래프 및 인물 친밀도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가 서버로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사진 연관성 그래프 및 인물 친밀도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되는 각 그래프들과 비교 및 매칭을 통해 사진 연관성 그래프 및 인물 친밀도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를 확장하여 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사진서술 정보 및 클러스터링의 수행을 통해 생성된 그룹 서술정보를 서로 매칭되도록 결합하여 사진앨범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방법.
The analysis of the photographs held by the user using the graph construction program (Apps.)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is performed to extract 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 including the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photograph, A step of inputting at least one of a photo correlation graph and a person familiarity graph generated by performing clustering for searching and grouping pictures by classifying a person, a photographing place, and a photographing time information,
And generating at least one of a photo correlation graph and a person familiarity graph by comparing and matching with each graph input from a plurality of users using at least one of the input photo correlation graph and the person familiarity graph, , ≪ / RTI &
And generating and storing photo album information by combining the generated photo description information and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clustering to match each other.
제 3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은 단말기에 보유한 사진 및 소셜 네트워크 같은 인터넷 상의 사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방법.
3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1 to 33,
Wherein the photograph includes a photograph on the terminal and a photograph on the Internet such as a social network.
제 3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의 분석정보는 사진의 촬영된 인물, 촬영장소, 촬영시간, 촬영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방법.
3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1 to 33,
Wherein 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 includes a photographed person, a photographing place, a photographing time, and a photographing place information.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링의 수행방법은 사진기반 클러스터링 및 인물 친밀도 기반 클러스터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방법.
34. 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the clustering is performed by at least one of photo-based clustering and person-based clustering.
삭제delete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간의 연관성은 사진 촬영 시간, 촬영 장소, 사진 속 인물 정보에 따른 두 사진 간의 연관된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방법.
3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1 or 32,
Wherei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hotographs is a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wo photographs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time, the photographing place, and the person information in the photograph.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물 친밀도 클러스터링 방법은
상기 생성된 사진 서술 정보를 기반으로 사진의 인물적 연관성, 장소적 연관성, 시간적 연관성을 통한 인물 간의 친밀도를 정의하여 사진을 소유한 개인끼리의 신뢰도의 정도를 나타내는 인물 친밀도 연관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인물 친밀도 연관 그래프를 통한 인물 간의 친밀도를 이용하여 소정의 인물그룹 서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방법.
The method of claim 31 or 32, wherein the person familiarity clustering method
A step of generating a person affinity association graph indicating the degree of reliability among the individuals who own the photograph by defining the intimacy between the persons through the personality association, the place association, and the temporal association based on the generated photograph description information; ,
And generating a predetermined person group description information by using an intimacy between the persons through the generated person affinity association graph.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인물 친밀도 연관 그래프는 사진기반 클러스터링 방법을 통해 생성된 사진 연관 그래프를 통해 추출한 사진 연관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방법.
40. The method of claim 39,
Wherein the person affinity association graph is generated using the photo association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e photo association graph generated through the photo-based clustering method.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연관 그래프는
시간, 장소, 인물에 대한 물리적 정보만을 바탕으로 한 사진 물리적 연관 그래프와,
시간, 장소, 인물에 대한 의미적 해석을 부여한 사진 의미적 연관 그래프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방법.
33. The method of claim 31 or 32, wherein the photo-
A photographic physical association graph based solely on physical information about time, place, and person,
And a photograph semantic association graph to which a semantic analysis of time, place, and person is given.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연관 그래프 및 인물 친밀도 그래프의 내용을 암호화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방법.
34. 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the contents of the photo-related graph and the person affinity graph are encrypted and processed.
제 3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의 분석정보 중에서 시간정보와 장소정보는 각각 사진의 EXIF 정보에 포함된 사진 촬영시간 정보와 촬영장소 정보(GPS)를 암호화하여 처리되고,
상기 인물정보는 얼굴 인식 시스템과 같이 인물의 고유한 정보들을 종합하여 암호화하여 처리되고,
상기 촬영시간 정보는 암호화 후에도 두 시간 차이를 계산할 수 있는 형태로 암호화하여 처리되고,
상기 촬영장소 정보는 암호화 후에도 두 장소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형태로 암호화하여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방법.
3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1 to 33,
Among th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place information are respectively processed by encrypting the photographing time information and the photographing place information (GPS) included in the EXIF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
The person information is synthesized by encrypting unique information of a person, such as a face recognition system,
The photographing time information is encrypted and processed in such a form that two time differences can be calculated even after encryption,
Wherein the photographing location information is encrypted and processed in such a form that the distance between two places can be calculated even after encryption.
제 27 항, 제 31 항, 제 32 항 및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사진 기반 인물 친밀도 구축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each step of a method for establishing a personality of a photograph based on any one of claims 27, 31, 32 and 33.
KR1020130108321A 2013-09-10 2013-09-10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closeness between people based on photo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KR1015632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321A KR101563238B1 (en) 2013-09-10 2013-09-10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closeness between people based on photo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321A KR101563238B1 (en) 2013-09-10 2013-09-10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closeness between people based on photo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313A KR20150029313A (en) 2015-03-18
KR101563238B1 true KR101563238B1 (en) 2015-11-06

Family

ID=53023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321A KR101563238B1 (en) 2013-09-10 2013-09-10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closeness between people based on photo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23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1120B2 (en) 2017-11-14 2021-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plurality of undirected graph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708B1 (en) * 2015-12-07 2017-03-14 주식회사 즐라이몬스터 Automated System for Providing Relation Related Tag Using Image Analysis and Method Using Same
KR102269408B1 (en) * 2019-12-20 2021-06-25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Cluster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contents of geo-tagged photo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465B1 (en) 2004-04-21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ituation change of digital photo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situataion-based photo clustering in digital photo album using it
JP2011197877A (en) 2010-03-18 2011-10-06 Panasonic Corp Image classifica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465B1 (en) 2004-04-21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ituation change of digital photo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situataion-based photo clustering in digital photo album using it
JP2011197877A (en) 2010-03-18 2011-10-06 Panasonic Corp Image classification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1120B2 (en) 2017-11-14 2021-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plurality of undirected graph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313A (en)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69415B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system for image procossing
JP5801395B2 (en) Automatic media sharing via shutter click
CN102687146B (en) For generating and the method and system of the event of mark collection of photographs
JP5318115B2 (en) Image classification by location
WO2012064532A1 (en) Aligning and summarizing different photo streams
KR101832680B1 (en) Searching for events by attendants
KR101479260B1 (en) Method for searching closeness between people based on photos
KR101782590B1 (en) Method for Providing and Recommending Related Tag Using Image Analysis
Shoshitaishvili et al. Portrait of a privacy invasion
KR10156323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closeness between people based on photo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JP5289211B2 (en) Image search system, image search program, and server device
CN107038090A (en) Selection includes the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f the content of audio-visual data
Lee et al. A scalable service for photo annotation, sharing, and search
JP2014042170A (en) Photographing system, photographing support method, photograph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manage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