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917B1 -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917B1
KR101561917B1 KR1020140043051A KR20140043051A KR101561917B1 KR 101561917 B1 KR101561917 B1 KR 101561917B1 KR 1020140043051 A KR1020140043051 A KR 1020140043051A KR 20140043051 A KR20140043051 A KR 20140043051A KR 101561917 B1 KR101561917 B1 KR 101561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ser
sensing
input
sens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유현선
한민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3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917B1/ko
Priority to US14/681,640 priority patent/US9481246B2/en
Priority to EP15000997.5A priority patent/EP2933130B1/en
Priority to CN201510170383.1A priority patent/CN105182803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1Multiprocess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60K35/654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the user being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02Locking of control actuating or transmitting means
    • B60R25/003Locking of control actuating or transmitting means locking of control actuating means
    • B60R25/007Locking of control actuating or transmitting means locking of control actuating means of hand actuated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8Recognition of hand or arm movements, e.g. recognition of deaf sign langu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6Instrument input by ges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 B60K2360/782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on the steering whe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2Plural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in which a plurality of input device of the same type are in communication with a P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차량의 외관을 이루는 외부 프레임과 사용자가 탑승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감지 영역으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감지 영역의 위치 및 상기 감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차량 제어 기술은 종래와 달리 많은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현재의 차량의 제어 장치는, 차량의 도난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의 키 방식이 아닌 지문 인증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door)가 열리거나 차량의 시동이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차량의 제어 장치는 운전자의 요구에 맞추어 운전석의 시트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거나, 시트의 등받이의 각도 등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쾌적하고 편안한 운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활용하여, 보다 쉽고 편하게, 사용자가 차량을 구동 및, 사용자가 선호하는 운전 환경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현재 활발하게 진행 중인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하게 자신이 선호하는 운전 환경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장치는, 차량의 외관을 이루는 외부 프레임과 사용자가 탑승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내에 장착되고, 중앙축에 의하여 회전가능 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영역으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감지 영역의 위치 및 상기 감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영역의 위치 및 특성에 따라 각각 기 설정된 비활성화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영역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각이 기 설정된 임계각보다 큰 경우, 상기 스티어링 휠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감지 영역들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은 사용자의 양손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부를 중심을 둘러싸는 원형의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에 형성되는 감지 영역들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회전부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 영역들은 각각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복수의 두드림 또는 사용자의 터치 앤드 드로잉(drawing)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터치 센서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알림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영역의 의 비활성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알림정보의 출력을 변경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영역이 비활성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시각 정보의 출력을 제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영역은, 상기 차량에서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들과 관련된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에 각각 대응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영역 중,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감지 영역에 대응되는 메뉴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은, 상기 차량의 물리적 환경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과 관련된 항목을 포함하거나, 상기 차량의 소프트웨어적 환경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과 관련된 항목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감지 영역에서 동시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 앤드 드래그 입력들이 형성하는 궤적들의 방향 및 길이에 근거하여 상기 시각 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크기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앤드 드래그 입력들의 궤적들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궤적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시각 정보의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터치 앤드 드래그 입력들의 궤적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궤적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길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시각 정보의 크기를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차량의 윈드 쉴드 글래스(Wind Shield Glass)의 적어도 일부에 투명 디스플레이(Glass display)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주행 상태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차량의 주행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감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주행 상태 판단부는, 현재 차량에서 발생하는 진동, 현재의 차량의 위치, 현재의 차량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영역에 대해 가해지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 또는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영역에 대해 사용자가 가하는 복수의 탭이 이루는 패턴을 인식한 정보 또는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기 저장된 인증정보와 매칭(matching)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차량의 외부 프레임과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바디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감지 영역으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감지 영역의 위치 및 상기 감지 영역에 대해 인가된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영역 중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영역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화된 감지 영역의 위치 또는 대응되는 상기 차량의 기능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비활성화 조건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비활성화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활성화된 감지 영역을 비활성화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 시키는 단계는, 상기 비활성화된 감지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영역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주행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활성화된 감지 영역의 감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 고유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된 사용자만이 차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키를 소지하고 다닐 필요가 없으며, 또한 차량의 도난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가벼운 터치 입력만으로 차량의 각종 환경 설정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하게 차량의 각종 환경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보인 과정 중,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기 설정된 영역의 활성화 상태가 결정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보인 과정 중, 차량의 주행 상태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감도를 결정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기 설정된 영역들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랑 제어 장치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영역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제어 메뉴가 표시되는 예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표시되는 화상 정보가 변경되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에서, 기 설정된 감지 영역들을 통해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받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에서, 기 설정된 감지 영역들을 통해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하는 예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에서, 기 설정된 입력 영역에 대한 패턴 입력에 근거하여 특정 기능이 수행되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에서, 특정 감지 영역이 활성화된 예를 보이고 있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에서, 특정 비활성화 조건에 근거하여, 활성화된 감지 영역이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는 예를 보이고 있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우선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는, 제어부(110) 및, 제어부(110)와 연결되는 감지부(130), 차량 구동부(120), 메모리(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출력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 제어 장치(100)는, 차량의 외관을 이루는 외부 프레임과 윈도우 및 사용자가 탑승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량의 바디(body)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차량 제어 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감지부(130)는 차량 제어 장치(100) 내 정보, 차량 제어 장치(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3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차량 제어 장치(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감지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영역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지 영역은 상기 차량의 외부 프레임과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량의 바디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 영역은, 터치 패드(Touch pad)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 영역은 차량의 다양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 영역은, 차량의 윈드 쉴드 글래스(Wind Shield Glass)의 전체 또는 일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운전석 옆면의 윈도우나 보조석 옆면의 윈도우 또는 차량 뒷좌석의 윈도우의 외부면(차량의 외부에 노출되는 면) 또는 내부면(차량의 내부를 향하는 면)에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감지 영역은 차량의 사이드 미러나, 차량의 썬루프(sunroof)에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기 감지 영역은, 차량의 윈도우나 썬루프와 같은 글래스(galss) 재질로 형성되는 부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스크린은 A-필라(Pillar), B-필라, C-필라와 같이, 윈드 쉴드 글래스와 윈도우 사이, 또는 윈도우나 윈도우 사이와 같은 차량의 외부 프레임의 표면에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차량 도어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차량 도어의 손잡이 부분 근처)에 구현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스크린은, 적어도 하나 이상, 차량의 서로 다른 부분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감지 영역은, 차량의 조향 핸들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거나, 운전석 근처의 다양한 영역, 예를 들어 기어 박스(gear box) 상단부 표면 또는 콘솔 박스(console box)의 상단부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감지부(130)는 근거리 통신 모듈(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차량 제어 장치(100)와 특정한 외부 기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120)는 차량의 각종 설정을 변경하거나 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구동부(120)는, 차량의 각 구성부, 예를 들어 앞좌석의 운전석이나 보조석의 윈도우(Window)가 열린 정도, 또는 사이드 미러(Side Mirror)의 각도 등을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제어할 수 있으며, 운전석 또는 보조석 및 뒷자석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시트 높이 또는 시트의 수평 위치(예를 들어 시트 사이의 간격)가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 구동부(120)는 운전석의 핸들의 설정, 즉 핸들의 높이나 핸들의 감도등이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구동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기어(gear)가 자동 변속 모드 또는 수동 변속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hybrid) 차량의 경우, 내연 기관 엔진을 사용하는 모드 또는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우선적으로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구동부(120)는 이러한 차량의 물리적인 설정 상태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인 설정 역시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 구동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음악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기 설정된 리스트 상의 음악 중 어느 하나가 자동으로 재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차량 구동부(120)는 기 설정된 특정 목적지를 자동으로 설정하고, 구비된 네비게이션(navigation)을 통해 상기 특정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차량 구동부(120)는 차량의 크루즈 컨트롤(Cruise control) 시에,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차량간 거리 또는 차량 속도가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차량 구동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하부 구동부들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하부 구동부들은 각각 차량의 물리적인 설정 상태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설정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 차량의 물리적인 설정 상태를 변경하는 하부 구동부를 제1 구동부(121)라고 칭하기로 하고, 차량의 소프트웨어적인 설정 상태를 변경하는 하부 구동부를 제2 구동부(122)라고 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구동부(121)는 차량의 물리적인 설정을 변경하기 위하여, 차량의 외부 프레임이나 내부 프레임을 변경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구동부(121)는 시트의 높이나 등받이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물리적인 구동부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핸들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기 위한 코일이나 스프링등의 탄성부재나 압력부재를 포함하는 핸들 높이 조정부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구동부(12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구동부(122)는 네비게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 또는 기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예를 들어 MP3 등)등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은 차량의 구동 제어를 위한 것들 중 어느 하나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구동부(120)는, 차량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거나 또는 차량의 상태를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잠금 상태라는 것은, 차량의 기능이 전체 또는 일부의 기능이 제한되거나 또는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상태라는 것은, 차량의 운전석 또는 보조석의 도어(door)나, 뒷좌석의 도어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트렁크(trunk)가 열리도록 하거나, 상기 차량의 모든 기능, 즉 시동이 걸릴 수 있도록 하거나 네비게이션 기능이나 환기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들이 사용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종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차량 제어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 제어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차량의 다양한 부분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차량의 윈드 쉴드 글래스(Wind Shield Glass)의 전체 또는 일부 또는 상기 운전석 옆면의 윈도우나 보조석 옆면의 윈도우 또는 차량 뒷좌석의 윈도우 등에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나, 차량의 썬루프에도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차량 제어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차량 제어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차량 제어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차량 제어 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시동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등)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차량 제어 장치(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차량 제어 장치(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10)에 의하여 상기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메모리(140)는 적어도 한 명이상의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관련 정보라는 것은, 해당 사용자의 인증 정보 및 해당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근거하여 적합하게 설정된 각종 차량의 설정 상태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차량의 내부 온도나 습도, 또는 사용자의 운전 습관에 따른 설정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해당 사용자의 주행 경로 기록 등이 이러한 정보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인증 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패스워드(password)나, 패턴(pattern)에 관한 정보일 수도 있으며, 또는 지문이나 홍채 인식 정보와 같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근거한 정보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에 관련된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제어부(1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 정보, 운전 환경 설정 정보)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상기 기 설정된 감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 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차량 제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차량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차량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된 인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지문이나, 기 설정된 패턴의 인식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홍채 인식 정보 또는 사용자의 특정한 제스처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기 설정된 감지 영역에 가해지는 복수의 두드림(예를 들어 탭(Tab) 또는 노크(Knock))의 패턴을 인식한 정보, 또는 지문 인식 정보등을 상기 인증 정보로서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감지부(130)에 구비된 포토 센서나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홍채 정보를 인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인증된 사용자에 한하여 차량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가 키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차량의 도어를 오픈하거나, 트렁크 등을 열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기 설정된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이 걸리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차량의 상태를 잠금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10)는 인증된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인증된 사용자의 인증 정보가 다시 입력될 때까지 차량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차량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차량의 외부를 통해 사용자의 인증 정보가 입력되면, 이에 근거하여 차량의 상태를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이 잠금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다시 한번 동일한 인증 정보가 입력되면 차량을 다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 기 설정된 감지 영역을 통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입력받거나 패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또는 기 설정된 패스워드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상기 기 설정된 감지 영역 상에서 행해지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기 설정된 감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고, 그에 근거하여 각종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핸들의 파워 스티어링(Power steering) 장치의 동작 모드를 노말(normal) 모드 또는 스포츠(sports)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수동 변속 방식 또는 자동 변속 방식 중 어느 하나로 기어의 변속 방식이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물리적인 설정 변경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인 설정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특정 음악 또는 특정 음악 리스트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특정 라디오 방송국의 채널이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특정 목적지가 바로 선택 및, 선택된 목적지에 대한 경로가 네비게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서 각종 화상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인증 결과 또는 현재 인증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등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영역 중 현재 활성화된 감지 영역 및/또는 상기 감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차량 제어 장치(100)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선택되고, 선택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100) 상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은, 차량 제어 장치(100)에서 실행되거나 구동되는 것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행 가능한 기능 중 하나는, 차량 제어 장치(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그리고 '임의의 기능이 실행된다'고 함은, '임의의 응용 프로그램이 상기 차량 제어 장치(100)에서 실행 또는 구동'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콘솔 박스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복수의 탭에 근거하여 음악 파일을 재생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네비게이션을 제어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차량 제어 장치(100)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은, 차량 제어 장치(100)의 기본적인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적인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기능은, 차량에 구비된 에어컨이나 온풍기를 온/오프하는 기능일 수 있고, 차량에 시동을 걸거나, 차량을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상태에서 전환하거나, 반대로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기능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차량의 크루즈 컨트롤 기능을 온(on) 시키거나 또는 오프(off)하는 기능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인증된 사용자의 경우, 해당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설정 상태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제1 구동부(121)를 제어하여,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정보에 근거하여 운전석 등의 시트 높이나 등받이의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차량 내부의 온도나 습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운전석 및 보조석 윈도우의 열림 정도, 또는 사이드 미러의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또는 핸들의 높이 등을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근거하여서도 상기한 물리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설정 상태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나 포토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나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보조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 또는 보조자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특정 기능이 수행되거나 현재 설정된 상태가 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일예로 만약 보조석에 앉은 탑승자가, 보조석 윈도우 근처에서 손을 위에서 아래로 내리는 제스처를 취하는 경우, 상기 보조석 윈도우는 탑승자의 상기 제스처에 근거하여 그 열림 정도가 조정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운전석 또는 탑승자의 제스처에 근거하여 특정 제스처(예를 들어 손가락을 튕기거나 박수를 치는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특정 음악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 장치(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차량 제어 장치(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차량 제어 장치(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감지부(130)는 차량 제어 장치 내 정보, 차량 제어 장치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1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 장치(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차량 제어 장치(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감지부(13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3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31)는 차량 내부 또는 외부의 각 영역 또는 상기 감지 영역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3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13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사용자의 신체 또는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 영역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감지 영역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감지 영역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감지 영역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감지 영역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감지 영역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3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3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0)는, 어느 하나의 감지 영역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차량 제어 장치(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감지 영역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 입력)를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감지 영역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감지 영역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10)는 감지 영역 상의 어느 지점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1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1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 감지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차량 제어 장치(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감지 영역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광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감지부(13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기 위해,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영역에 근접한 감지 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다양한 화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제어 장치(100)에서 수행 가능한 각종 차량의 제어 기능과 관련된 화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 인증 결과 및 현재 인증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차량 제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는, 차량 제어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화상 정보들은 차량의 윈드 쉴드 글래스의 적어도 일부나 운전석 또는 보조석의 윈도우 등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가 구비되는 차량의 윈도우 또는 윈드 쉴드 글래스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 디스플레이(Glass displ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차량 제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 확인음, 사용자 인증 안내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의 출력부(150)는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을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차량의 외부 프레임이나 내부 프레임 또는 글래스 형태의 윈도우등에 구현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햅틱 모듈(153)을 이용하여 촉각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촉각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터치 입력을 제어부(110)가 인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차량 제어 장치(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의 감지부(130)는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사용자 신체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지는 본체 및,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tab) 또는 탭 제스처(tab gesture)를 감지하기 위한 탭 감지부(1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100)의 탭 감지부(132)에서 감지되는 탭은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또는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차량 제어 장치(100)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탭은, 손가락 등의 탭 대상체로 차량 제어 장치(100) 본체 또는 물체를 가볍게 치는 동작, 또는 탭 대상체를 차량 제어 장치(100) 본체 또는 물체에 가볍게 접촉시키는 동작으로 이해되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130)의 본체는, 차량의 외부 프레임과 내부 프레임 및 윈도우나 윈드 쉴드 글래스를 포함하는 차량의 바디(body)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탭을 인가하는 탭 대상체는, 차량 제어 장치(100) 본체 또는 물체에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사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펜(pen), 포인터, 주먹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탭 대상체는, 반드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에 터치입력을 가할 수 있는 사물에 제한되지 않고, 차량 제어 장치(100) 본체 또는 물체에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사물이기만 하면 그 종류가 무관하다.
한편, 상기 탭 제스처가 가해지는 물체는, 차량 제어 장치(100) 본체 및 차량 제어 장치(100) 위에 놓여진 물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탭 또는 탭 제스처는 탭 감지부(132)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속도 센서는, 차량 제어 장치(100) 본체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센서이다.
즉, 가속도 센서는 탭 제스처에 의해 발생하는 차량 제어 장치(100) 본체의 진동(또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물체에 대하여 탭이 가해졌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속도 센서는, 차량 제어 장치(100) 본체에 대한 탭을 감지하거나, 차량 제어 장치(100) 본체에 움직임 또는 진동이 발생했는지를 감지할 수 있을 만큼 차량 제어 장치(100) 본체와 가깝게 위치하는 물체가 탭 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속도 센서는 차량 제어 장치(100) 본체에 움직임 또는 진동이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기만 하면, 상기 탭이 차량 제어 장치(100) 본체에 인가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를 벗어난 지점에 인가되는 경우에도 상기 탭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100) 본체에 대한 탭을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거나,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를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탭을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만을 사용하는 모드는, 제1 모드, 터치 센서를 사용하는 모드는 제2 모드로 명명될 수 있고,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를 모두 활용(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 가능)하는 모드는 제3 모드 또는 하이브리드(hybrid) 모드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서를 통해 탭을 감지하는 경우, 탭이 감지되는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에서는, 가속도 센서 또는 터치 센서를 통해 상기 탭을 감지하기 위하여, 차량 제어 장치(100)의 기 설정된 영역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최소한의 전류 또는 전력이 소모되는 특정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모드는 '도즈 모드(또는 Doze mode)'라고 명명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즈 모드는, 차량의 내부, 즉 조향 핸들의 적어도 일부분 등에 기 형성된 감지 영역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가속도 센서가 온 된 상태를 유지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도즈 모드는 상기 형성된 감지 영역이 비활성된 상태에서도 상기 터치 센서 및 가속도 센서가 모두 온 된 상태를 유지하는 모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즈 모드 상태, 즉, 상기 형성된 감지 영역이 비활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감지 영역 상의 적어도 일 지점 또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100) 본체의 특정 지점에 상기 탭을 가하는 경우, 온(on) 되어 있는 터치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탭이 가해졌음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탭 또는 차량 제어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탭과, 단순하게 외부의 임의의 물체가 충돌한 것을 구분하기 위해, 상기 형성된 감지 영역에 적어도 두 번 이상의 탭이 기준 시간 이내에 가해지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의 인증 정보의 입력 또는 차량 제어 장치(100)의 제어를 목적으로 하는 "탭"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탭 감지부(132)의 감지 결과, 상기 형성된 감지 영역에 한 번의 탭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한 번의 탭을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외부의 임의의 물체 또는 인체가 충돌한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탭 감지부(132)에 의해, 기준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가해지는 적어도 두 번 이상(또는 복수 번)의 탭이 감지된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 또는 차량 제어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탭'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탭 제스처들은 적어도 두 번 이상의 탭 제스처가 기준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탭"이 감지되었다고 함은, 실질적으로 복수 회 차량 제어 장치(100)의 본체에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펜등의 물체가 두드려지는 것이 감지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0)는 상기 탭이, 상기 기준시간 이내에 감지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상기 탭들이 복수의 감지 영역에서 각각 감지되는 경우에도 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탭이 감지된 감지 영역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탭 감지부(132)에 구비된 터치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형성된 감지 영역 상에서 상기 탭들이 감지된 위치 또는 상기 탭들로 인해 발생된 가속도를 인식하여, 어느 하나의 감지 영역에서 복수의 탭이 가해진 경우에 그 탭들이 하나의 손가락을 통해 이루어진 것인지 또는 각각 다른 손가락을 통해 이루어진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탭이 가해진 각도 및 거리, 또는 상기 지문이 인식된 방향등을 더 고려하여, 사용자가 상기 탭들을 한 손 또는 한 손가락을 통해 입력한 것인지 또는 양손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을 통해 입력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탭들은 기준시간 내에서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복수 회의 두드림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시간은 매우 짧은 시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0ms 내지 2s 이내의 시간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탭 감지부(132)에 위해 차량 제어 장치(100) 본체가 처음 두드려진 것이 감지되면, 탭 감지부(132)는 상기 처음 두드림이 감지된 시간으로부터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처음 두드림에 이어 다음번 두드림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다음 번 두드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탭 감지부(132) 또는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인증 정보의 입력 또는 차량 제어 장치(100)의 특정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탭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10)는, 제1 탭이 감지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제2 탭이 감지된 경우에만, '유효한 탭'으로 인식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또는 차량 제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하여 탭을 가한 것인지, 아니면 단지 사용자의 실수 또는 의도되지 않은 물체가 차량 외부 또는 내부에 충돌한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유효한 탭'이 인식되도록 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제1 기준 횟수만큼 또는 제1 기준 횟수 이상 두드리는 제1 탭이 감지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본체를 제2 기준 횟수만큼 또는 제2 기준 횟수 이상 두드리는 제2 탭이 감지되는 것을 상기 '유효한 탭'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기준 횟수와 상기 제2 기준 횟수의 수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준 횟수는 1회일 수 있고, 상기 제2 기준 횟수는 2회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 기준 횟수 및 제2 기준 횟수는 모두 1회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탭이 "소정의 영역" 내에서 가하진 경우에 한하여, 상기 "탭"들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차량 제어 장치(100) 본체가 처음 두드려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처음 두드림이 감지된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영역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처음 두드림이 감지된 시간으로부터 상기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소정의 영역"에 상기 처음 두드림에 이어 상기 제1 또는 제2 기준 횟수만큼, 또는 제1 또는 제2 기준 횟수 이상 두드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탭 또는 제2 탭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준시간 및 소정의 영역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1 탭 및 제 2 탭은 기준 시간 및 소정의 영역 뿐만 아니라, 각 탭이 감지된 위치에 따라 별개의 탭으로 감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어부(110)는 제1 탭이 감지된 위치에서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위치에서 제 2 탭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감지된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은 동시에 감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이 복수의 터치, 즉 복수의 두드림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을 각각 구성하는 복수의 터치들 역시 동시에 감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탭을 구성하는 최초의 터치가 감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탭의 최초의 터치가 감지된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2 탭을 구성하는 최초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을 구성하는 최초의 터치를 각각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각 위치에서 감지되는 추가적인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각 위치에서 제1 기준 횟수 또는 제2 기준 횟수 이상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제어 장치(100) 본체에 대한 탭이 탭 감지부(132)로부터 복수 회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복수 회 감지된 탭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인증 뿐만 아니라 차량 제어 장치(100)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이러한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기 설정된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다(S200). 여기서 상기 감지 영역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 영역은, 터치 패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의 장소에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감지 영역은 조향 핸들,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Steering Wheal)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영역에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감지 영역은, 상기 터치 패드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스티어링 휠의 기 설정된 일부분, 또는 콘솔 박스나 기어 박스의 상단부 덮개 등으로부터 복수의 노크(knocks, 또는 탭(tab))가 가해지는 경우, 탭 감지부(130)의 가속도 센서등과 같은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200 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영역 및 감지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S202).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조향 핸들의 스티어링 휠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조향 핸들에 관련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조향 핸들의 설정 또는 조작에 관한 기능들을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선택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조향 핸들의 일부(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에서 감지되는 경우라면,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핸들의 높이 또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지점에 대한 부가적인 탭 또는 다른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가 이러한 기능들을 선택 및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들과 관련된 화상 정보가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차량의 윈드 쉴드 글래스 또는 운선석, 보조석의 윈도우 등의 적어도 일부에 일시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또는 차량의 콘솔 박스와 같은 내부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기 지정된 특정 영역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메뉴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메뉴 화면은, 상기 차량의 각종 환경 설정의 제어 기능과 관련된 항목들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제어 기능 항목들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뉴 화면은, 차량의 물리적인 환경 설정을 제어하는 기능들과 관련된 항목들 또는 차량의 소프트웨어적인 환경 설정을 제어하는 기능들과 관련된 항목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차량의 물리적인 환경 설정을 제어하는 기능들과 관련된 메뉴 화면과, 상기 소프트웨어적인 환경 설정을 제어하는 기능들과 관련된 메뉴 화면에 대응되는 감지 영역은 서로 다른 지점에 위치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뉴 화면에 포함된 항목들 중 사용자는 원하는 제어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 특정 감지 영역에 복수의 탭 또는 롱 프레스(long press)입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복수의 탭 또는 롱 프레스(long press)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메뉴 화면에서 특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 메뉴 화면이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제어 기능이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탭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인식하고, 인식된 패턴에 대응되는 특정 제어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상기 기 설정된 감지 영역에서 터치 앤드 드로잉(touch and drawing) 입력을 인식하고, 상기 터치 앤드 드로잉 입력에 대응되는 특정 제어 기능을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복수의 탭으로 이루어지는 패턴 또는 상기 터치 앤드 드로잉에 의해 선택되어지는 특정 제어 기능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S202 단계에서 현재 선택된 기능을 수행한다(S204). 여기서 제어부(110)는 상기 메뉴 화면을 통해 선택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하나의 기능 뿐만 아니라 복수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차량의 내부에 형성된 통풍구의 근처에서 복수의 탭이 감지되는 경우, 차량의 냉방 또는 난방 수준이 상기 복수의 탭에 근거하여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상기 복수의 탭이 홀수일 경우 냉방 또는 난방의 세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복수의 탭의 짝수일 경우 냉방 또는 난방의 세기가 약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상기 복수의 탭이 상기 통풍구의 윗부분에서 감지되는 경우 바람의 방향을 위쪽으로 향하게 조정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복수의 탭이 상기 통풍구의 아래 부분에서 감지되는 경우 바람의 방향이 아래 방향으로 향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어부(110)는 운전석 또는 보조석의 윈도우들 역시 상기 복수의 탭에 근거하여 그 열림 정도가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복수의 탭이 감지된 위치 및 상기 복수의 탭이 가해진 횟수나 강도에 근거하여 상기 윈도우들의 열림 정도가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에 의하면, 상기 감지 영역들은 차량 내의 다수 지점에 복수 개 구비될 수도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감지 영역들이 모두 활성화되면, 상기 영역들에서 모두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보다 다양한 곳에 터치 입력(탭 또는 노크)을 가하여 차량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많은 영역들이 모두 활성화되면, 차량의 진동 또는 충격등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지 않은 터치 입력이 상기 영역들에 가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제어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감지 영역만을 활성화시키고, 또는 특정 비활성화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비활성화 조건이 충족된 특정 감지 영역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이처럼,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기 설정된 영역의 활성화 상태가 결정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어부(110)는 차량의 각 부분에 형성된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S300).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차량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기 형성된 복수 개의 감지 영역들을 상술한 도즈(doze) 모드 상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도즈 모드로 동작하는 감지 영역들은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감지 영역들이 될 수 있으며,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감지 영역들이라는 것은,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을 뿐, 감지된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지는 않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도즈 모드로 동작하는 감지 영역들 중 활성화를 원하는 감지 영역들만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활성화 시킬 감지 영역들에 대해, 기 설정된 패턴을 이루는 복수의 탭을 가하거나, 또는 특정 터치 앤드 드로잉 패턴을 입력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는 자신의 지문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감지 영역들 중,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들만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영역이 '활성화 상태'가 된다는 것은, 상기 감지 영역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특정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된 다수의 감지 영역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만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활성화된 영역을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서만 차량의 특정 기능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적어도 일부의 감지 영역들만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 경우에도, 특정 비활성화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충족된 비활성화 조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영역을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활성화 조건은, 상기 비활성 상태에 있는 감지 영역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다시 한번 입력되는 것이 될 수 있으며, 또는 비활성 상태로의 상태 전환을 위해 기 설정된 패턴의 복수의 탭 또는 터치 앤드 드로잉 입력일 수 있다. 또는 차량의 안전 운행 및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기 설정된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차량이 급격하게 커브(curve)를 돌거나, 또는 일정 수준 이상의 속력으로 주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운전 집중도를 높이고 차량의 오(誤)제어를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특정 부위에 위치한 감지 영역들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10)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를 통해 차량이 일정 수준이상의 각도로 커브를 도는 경우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스티어링 휠에 형성된 감지 영역들의 적어도 일부가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기어 박스 또는 콘솔 박스에 형성된 감지 영역들의 적어도 일부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S300 단계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감지 영역이 활성화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활성화된 영역들 중 비활성화 조건을 충족하는 감지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2). 여기서 상기 비활성화 조건은 각 감지 영역들의 위치 및/또는 상기 감지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 근처에 형성된 감지 영역들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의 각도 또는 차량의 속도가 상기 비활성화 조건이 될 수 있으며, 차량의 썬루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썬루프 근처에 형성되는 감지 영역은, 현재의 시각 정보 또는 날씨 정보가 상기 비활성화 조건이 될 수 있다. 또는 차량의 전조등(Head light)을 온 시키기 위한 감지 영역은 현재의 시각 정보가 상기 비활성화 조건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302 단계의 판단 결과, 비활성화 조건을 충족하는 감지 영역이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S304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감지 영역의 활성화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다시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가 선택(예를 들어 활성화를 위해 기 설정된 패턴의 복수의 탭 또는 터치 앤드 드로잉이 입력된 경우)될 때까지 해당 감지 영역의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302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활성화된 영역들 중 비활성화 조건을 충족하는 감지 영역이 없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활성화된 감지 영역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6). 그리고 상기 S306 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 활성화된 영역들 중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영역이 없는 경우, 제어부(110)는 다시 S302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활성화된 감지 영역들 중 비활성화 조건을 충족하는 영역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한편, 상기 S306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활성화된 감지 영역들 중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영역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S202 단계로 진행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입력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감지 영역에 따라 차량 제어 장치(100)가 수행 가능한 각종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한다. 그리고 S204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만약 차량의 진동, 떨림 등이 심하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비록 복수의 탭 또는 터치 앤드 드로잉 입력을 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진동으로 인해 상기 감지 영역은 상기 복수의 탭이나 또는 터치 입력이 있는 것으로 오작동 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탭을 감지함에 있어, 제어부(110)는 강한 진동 또는 떨림 등으로 인해, 사용자가 가한 탭의 수보다 적거나 더 많은 수의 탭이 가해진 것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다른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오작동을 막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는 상기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감도를 차량의 주행 상태에 근거하여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에서, 차량의 주행 상태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감도를 결정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기 설정된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함에 있어서, 먼저 차량의 주행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S400).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감지부(130)에 구비된 각종 센서들을 이용하여 현재 차량의 진동 상태를 직접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근거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네비게이션이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이용한 위치 측정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가 비포장 도로 상에 있는지 또는 산악 지역이나 규정되지 않은 도로 상에 있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S400 단계에서, 상기 감지부(130)의 감지 결과 기 설정된 수준 이하의 진동이 감지, 및/또는 현재 차량의 위치가 포장 도로 상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주행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S400 단계에서, 상기 감지부(130)의 감지 결과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진동이 감지, 및/또는 현재 차량의 위치가 비포장 도로 등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주행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S400 단계에서 판단된 차량의 주행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감도가 결정되도록 한다(S402). 그리고 결정된 감도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다(S404). 따라서 만약 상기 S400 단계의 판단 결과 차량의 주행 상태가 양호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감지 영역의 감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감지 영역은 민감하게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가볍게 복수회의 탭을 가하거나 터치 앤드 드로잉 입력을 가하는 경우에도 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S400 단계의 판단 결과, 차량의 주행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감지 영역의 감도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감지 영역은 사용자의 입력에 대해 감도가 낮으므로, 사용자가 더 세게 탭을 가하거나 더 강한 힘으로 터치 앤드 드로잉 입력을 가하여야 이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함에 있어, 현재 차량의 속도를 더 고려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차량의 속도가 느린 경우, 제어부(110)는 비록 비포장 도로 상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차량의 주행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차량의 속도가 빠른 경우 비록 포장 도로 상에 위치한 경우에도 차량의 주행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또는 차량의 위치가 변경(예를 들어 포장 도로에서 비포장 도로로, 또는 비포장 도로에서 포장 도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S400 단계 및 S404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감지 영역의 감도가 다시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들을, 예시도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기 설정된 영역들의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랑 제어 장치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영역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제어 메뉴가 표시되는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우선 도 5a 및 도 5b는 본 두 개의 감지 영역(500a, 500b)들이 스티어링 휠에 형성되는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스티어링 휠에 형성되는 감지 영역들(500a, 500b)은 도 5a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스티어링 휠의 일부 영역에 상기 감지 영역들(500a, 500b)이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스티어링 휠에서 손을 떼지 않은 상태에서도, 특정한 손가락(예를 들어 양손의 엄지손가락들)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 영역에 터치 입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운전중에도 자신이 원하는 제어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 영역들(500a, 500b)은 터치 패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감지 영역들(500a, 500b)이 반드시 터치 패드 형태로 구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상기 감지 영역들(500a, 500b)이 터치 패드 형태로 구현된 것이 아니라고 할지라도, 상기 탭 감지부(130)는 가속도 센서등을 이용하여 얼마든지 상기 감지 영역에서 가해지는 사용자의 복수의 노크(탭)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탭이 이루는 패턴 등에 근거하여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감지 영역들(500a, 500b)이 터치 패드 형태로 구현되는 것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지 설명의 편의상 상기 감지 영역들(500a, 500b)이 터치 패드 형태로 구현된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한편 제어부(110)는, 이러한 감지 영역들(500a, 500b)에 대해 가해지는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복수의 탭 또는 터치 앤드 드로잉 등)에 대응되는 화상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차량의 내부 프레임에 기 실장된 것일 수 있으며,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형태로 윈도우 또는 윈드 쉴드 글래스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5a 및 도 5b는 이러한 예들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도 5a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차량의 내부 프레임에 기 실장된 예를, 도 5b는 윈드 쉴드 글래스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형성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도 5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가 차량의 내부 프레임(510)에 실장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감지 영역들(500a, 500b)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다양한 화상 정보(512)는 상기 내부 프레임(510)에 실장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차량의 윈드 쉴드 글래스(550)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도 5b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화상 정보(552)는 차량의 윈드 쉴드 글래스(550)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윈드 쉴드 글래스(550)는 적어도 일부가 전극화 형태로 설계될 수 있으며, 나아가 터치 센서와 일체화된 터치스크린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5b에서는 비록 윈드 쉴드 글래스(550)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운전석 또는 보조석의 윈도우나 룸미러(room mirror) 또는 썬루프(sunroof)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현되어, 화상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윈드 쉴드 글래스(550)에서만 화상 정보가 표시되는 것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지 설명의 편의상 상기 윈드 쉴드 글래스(550)에서 화상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감지 영역 및,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어 기능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화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그리고 상기 메뉴 화면은, 차량의 물리적 환경 설정을 제어하는 기능들 또는 소프트웨어적 환경 설정을 제어하는 기능들에 대응되는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리적 환경 설정을 제어하는 기능들에 관련된 메뉴 화면과, 상기 소프트웨어적 환경 설정을 제어하는 기능들에 관련된 메뉴 화면은, 각각 서로 다른 감지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도 6은 이러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6의 (a)는 스티어링 휠의 왼쪽에 구비된 제1 감지 영역(500a)이 상기 메뉴 화면들 중 물리적 환경 설정을 제어하는 기능들에 관련된 메뉴 화면에 대응되는 예를 가정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도 6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상기 제1 감지 영역(500a)에서 사용자의 입력, 예를 들어 복수의 탭 또는 기 설정된 터치 앤드 드로잉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물리적 환경 설정을 제어하는 기능들에 관련된 항목들(600)이 윈드 쉴드 글래스(550)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리적 환경 설정을 제어하는 기능들은,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시트(Sheet), 핸들(Handle), 윈도우(Window), 주행 모드(Driving mode), 기어(Gear), 온도(Temperature)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각 항목의 기능들은 대응되는 차량 내부의 각 환경 상태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시트(Sheet)' 항목의 경우, 상기 항목에는 시트의 제어와 관련된 다양한 제어 기능들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1. 시트(Sheet)' 항목에서는 운전석 또는 보조석의 시트 높이, 또는 시트의 수평 위치(시트의 간격)가 설정되도록 하는 기능이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복수의 탭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감지 영역(500a)을 선택한 후, 상기 제1 감지 영역(500a) 및/또는 제2 감지 영역(500b)에 추가적인 터치 입력(예를 들어 터치 앤드 드래그 입력 또는 터치 앤드 스와이프(swipe) 입력)을 가하여, '1. 시트(Sheet)' 항목에서 특정 기능을 선택할 수 있고, 또한 그 설정(예를 들어 시트의 높이나 수평 위치 등)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
이와 유사하게 '2. 핸들(Handle)' 항목의 경우, 상기 항목에는 핸들과 관련된 각종 제어 기능들이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향 핸들과 연결된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동작 모드의 변경 또는 상기 핸들의 높이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들이 대응될 수 있다. 또한 '3. 윈도우(Window)'항목의 경우, 상기 항목에는 운전석 또는 보조석의 윈도우의 열림 정도 등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대응될 수 있고, '4. 주행 모드(Driving mode)'항목의 경우, 상기 항목에는 차량의 주행 모드, 예를 들어 통상 모드 또는 오토 크루즈(Auto Cruise)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들이 대응될 수 있다. 또는 '5. 기어(Gear)'항목에서는, 기어의 변속 방식, 즉 수동 변속 방식 또는 자동 변속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대응될 수 있으며, '6. 온도(Temperature)'항목에서는, 차량의 내부 온도나 습도 또는 통풍 상태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들이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b)는 제2 감지 영역(500b)이 소프트웨어적 환경 설정을 제어하는 기능들에 관련된 메뉴 화면에 대응되는 예를 가정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도 6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상기 제2 감지 영역(500b)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소프트웨어적 환경 설정을 제어하는 기능들에 관련된 항목들(650)이 윈드 쉴드 글래스(550)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의 (b)는 이러한 소프트웨어적 환경 설정을 제어하는 기능들로, 목적지를 자동 설정하는 기능(1, Destination), 라디오 채널을 설정하는 기능(2. Radio), 음악을 선곡하는 기능(3. Music)들이 있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1. 목적지(Destination)' 항목에서는 사용자가 네비게이션을 통해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현재의 시각 및 사용자의 주행 습관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목적지가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목적지들 중 어느 하나의 경로가 상기 윈드 쉴드 글래스(550)에 구현된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2. 라디오(Radio)' 및 '3. 음악(Music)' 항목들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채널 또는 미디어 데이터(예를 들어 MP3와 같은 음악 파일)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하거나 또는 특정한 라디오 채널 또는 미디어 데이터가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2. 라디오(Radio)' 및 '3. 음악(Music)' 항목들이 선택되는 경우, 현재의 시각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현재 시각에 주로 청취하는 라디오 채널 또는 음악 파일이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감지 영역들(500a, 500b)에 대한 터치 앤드 드래그 입력 또는 스와이프 입력에 근거하여 표시되는 화상 정보의 크기를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감지 영역들(500a, 500b)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기 드래그 입력 또는 스와이프 입력을 가함으로써, 마치 이동 단말기 등에서 핀치-인(Pinch-In), 또는 핀치-아웃(Pinch-Out)을 입력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이러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a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가 감지 영역들(500a, 500b)에 대해, 각각 최초의 터치가 입력된 각 터치 지점들(700, 710)에서, 상기 각 터치 지점들(700, 710)의 사이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을 가하는 경우(702, 712), 최초의 터치 입력이 가해진 지점들(700, 710) 사이의 거리보다 드래그 입력이 완료된 지점들(702, 712) 사이의 거리가 더 멀어지게 된다.
이처럼 최초의 터치 입력이 감지된 지점들 사이의 거리보다, 드래그 등의 입력이 완료된 지점들 사이의 거리가 더 멀어진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핀치-아웃 입력을 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더 멀어진 거리에 근거하여 화상 정보(730)의 크기가 커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a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최초에 표시된 화상 정보(730)는, 화상 정보(740)에서 보이고 있는 크기로 그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만약 도 7b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가 감지 영역들(500a, 500b)에 대해, 각각 최초의 터치가 입력된 각 터치 지점들(750, 760)에서, 상기 각 터치 지점들(750, 760)의 사이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을 가하는 경우(752, 762), 최초의 터치 입력이 가해진 지점들(750, 760) 사이의 거리보다 드래그 입력이 완료된 지점들(752, 762) 사이의 거리는 더 근접하게 된다.
이처럼 최초의 터치 입력이 감지된 지점들 사이의 거리보다, 드래그 등의 입력이 완료된 지점들 사이의 거리가 더 가까워진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핀치-인 입력을 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더 가까워진 거리에 근거하여 화상 정보(780)의 크기가 작아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b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최초에 표시된 화상 정보(780)는, 화상 정보(770)에서 보이고 있는 크기로 그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는 이처럼 상기 감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 외에도, 사용자의 인증을 통해 차량의 상태를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또는 차량의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에서, 기 설정된 감지 영역들을 통해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받는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사용자는, 도 8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제1 감지 영역(500a) 및 제2 감지 영역(500b)에 모두 자신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감지 영역을 통해서만 인증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 영역들(500a, 500b)은 각각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각 영역들마다 고유한 번호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각 감지 영역들(500a, 500b)을 분할한 분면들에 대해 차례대로 탭을 인가함으로서 인증 정보를 입력하여, 차량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도 8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제1 분면(810)의 제1 지점(800)에서 상기 제1 지점(800)과 다른 분면(제3 분면 : 814)의 제2 지점(802)으로 향하는 경로를 그리는 터치가 사용자로부터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제1 분면(810) 및 제3 분면(814)의 선택 순서 또는 상기 제1 지점(800)에서 제2 지점(802)으로 향하는 경로를 그리는 터치는 상기 제1 감지 영역(500a)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 일 수 있다.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감지 영역(500b)의 제1 지점(820)에서 제2 지점(822)에 이르는 경로를 그리는 터치 또는 상기 제1 지점(820)에 대응되는 제1 분면(830)과 제2 분면(832)의 선택 순서는 상기 제2 감지 영역(500b)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 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감지 영역(500a) 및 제2 감지 영역(500b)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정보들을 입력한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상기 제1 감지 영역(500a) 및 제2 감지 영역(500b)에 각각 인가된 인증 정보들 뿐만 아니라, 상기 인증 정보들이 상기 제1 감지 영역(500a) 및 제2 감지 영역(500b)에 각각 인가된 순서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비록 제1 감지 영역(500a) 및 제2 감지 영역(500b)에 각각 인가된 인증 정보가 올바르다 할지라도, 제1 감지 영역(500a) 또는 제2 감지 영역(500b) 중 먼저 인증 정보가 입력되는 영역이 다른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해당 사용자를 인증된 사용자로 판단하지 않거나, 또는 다른 사용자로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8의 (b)는 이러한 인증 정보로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이용하는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는 도 8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의 지문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제1 감지 영역(500a) 및 제2 감지 영역(500b)에 각각 설정된 제1 입력 영역(850) 및 제2 입력 영역(852)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지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된 지문 및/또는 상기 지문이 입력된 순서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인증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내부 프레임에 실장될 수 있고, 또는 운전석, 보조석의 윈도우나 윈드 쉴드 글래스 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투명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현재 인증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가, 현재 인증된 사용자가 자신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현재 인증된 사용자의 인증 정보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제어부(110)는 차량의 상태를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상태가 잠금 상태라는 것은, 차량의 도어등이 잠긴 상태 및/또는 상기 차량의 시동 등 차량의 기능들이 제한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상태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된 상태라는 것은, 차량의 도어가 오픈되는 상태 및/또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릴 수 있도록 하거나, 음악 재생이나 냉난방 가동 등 차량의 다양한 기능들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동될 수 있도록 활성화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감지 영역(500a) 및 제2 감지 영역(500b)은 차량의 상태가 잠금 상태인 경우에, 자동으로 상기 도 8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인증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상태(복수개의 분면으로 구획된 상태 또는 지문 정보를 입력 영역이 형성된 상태)로 진입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차량의 상태가 잠금 상태인 경우에, 사용자의 선택(예를 들어 기 설정된 활성화 패턴 입력)에 따라 활성화된 후에 상기 인증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상태로 진입할 수도 있다.
또한 만약 차량이 잠금 상태가 아닌 경우(즉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인증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인증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의 상태를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인증 정보가 입력되면, 차량의 움직임이 정지한 상태이고, 차량이 시동이 오프(off)된 상태일 경우, 차안의 탑승자가 하차하면, 자동으로 차량의 상태를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감지 영역들(500a, 500b)은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 영역들(500a, 500b)은 특정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9는 이러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는 윈드 쉴드 글래스(5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화상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차량 제어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각종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과 관련된 정보들을 상기 윈드 쉴드 글래스(55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a) 및 (b)는, 전화 기능에 관련된 화상 정보(900)가 윈드 쉴드 글래스(550) 상에 표시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에게 상기 현재 착신된 호를 수신할 것인지(accept), 또는 거절할 것인지(reject)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상기 제1 감지 영역(500a) 또는 제2 감지 영역(500b)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상 정보(900)에 포함된 선택 항목들(accept : 910, reject : 920)은 각각 제1 감지 영역(500a)과 제2 감지 영역(500b)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만약 사용자가 도 9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제1 감지 영역(500a)에서 복수의 탭 또는 터치 입력을 인가한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선택 항목들 중 'accept(910)'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현재 착신된 호를 연결하고 사용자와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만약 사용자가, 도 9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제2 감지 영역(500b)에서 복수의 탭 또는 터치 입력을 인가한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선택 항목들 중 'reject(920)'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현재 착신된 호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 9에서는, 단지 사용자가 특정 감지 영역을 선택하는 것 만으로 특정 항목이 선택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더 많은 선택 항목들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각 감지 영역들(500a, 500b)에 대하여 인가되는 사용자의 복수의 탭 및, 터치 앤드 드래그 입력, 또는 스와이프 입력 등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 항목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커서(Cursor)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커서의 위치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선택 항목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도 9에서는 비록 두 개의 감지 영역들(500a, 500b)만이 스티어링 휠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나, 상기 감지 영역들의 수는 더 많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각 감지 영역들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 항목들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항목을, 대응되는 감지 영역에 대한 복수의 탭 또는 터치 입력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특정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감지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메뉴 화면이 화상 정보로 표시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에서, 기 설정된 입력 영역에 대한 패턴 입력에 근거하여 특정 기능이 수행되는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감지 영역들(500a, 500b) 중 어느 하나에 대해 기 설정된 터치 앤드 드로잉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 앤드 드로잉 궤적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인식된 궤적에 대응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a는 이러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도 10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제1 지점(1000)에서 제2 지점(1002)으로 이동하면서, 드로잉 궤적(1004)을 형성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형성된 드로잉 궤적(1004)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상기 드로잉 궤적(1004)을 문자로 인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드로인 궤적(1004)으로부터 인식된 문자 'M'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식된 문자 'M'에 대응되는 기능은, '메뉴'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 설정된 메뉴 화면이 윈드 쉴드 글래스(55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0a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드로잉 궤적(1004)으로부터 인식된 문자 'M'에 대응되는 기능으로 '물리적 환경 설정 메뉴(Physical Control) 화면(1010)'가 윈드 쉴드 글래스(55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메뉴 화면(10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특정 항목을 상기 감지 영역들(500a, 500b)에 대한 다양한 입력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특정 항목에 대응되는 복수의 탭 패턴이 상기 감지 영역들(500a, 500b) 중 어느 하나에 인가되거나, 상기 특정 항목에 대응되는 드로잉 궤적(예를 들어 특정 항목의 번호에 해당되는 드로잉 궤적)을 입력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항목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상기 감지 영역들(500a, 500b)중 어느 하나에 인가한 사용자의 터치 앤드 드래그 입력의 방향 및 궤적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항목이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b는 이러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0b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가 제1 감지 영역(500a)에서 제1 지점(1050)에서 제2 지점(1052)에 이르는 터치 앤드 드래그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지점(1050)에서 제2 지점(1052)에 이르는 드래그 궤적의 길이 및 방향을 인식하고, 인식된 궤적의 길이 및 방향에 근거하여 상기 메뉴 화면(1010)에서 특정 항목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b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현재 선택되어 있는 항목을 표시하기 위한 가이드라인(1060)은 상기 인식된 궤적의 길이 및 방향에 따라 차례로 아래로 이동하여 상기 메뉴 화면(1010)의 '6. 온도(Temperature)'가 표시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복수의 탭 또는 터치 입력을 현재 선택된 항목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 10a에서는 제1 감지 영역(500a)에서만 터치 앤드 드로잉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제2 감지 영역(500b)에서도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제2 감지 영역(500b)에서 상기 도 10a에서 보인 바와 유사한 터치 앤드 드로잉 궤적이 인가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화상 정보, 즉 메뉴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상기 윈드 쉴드 글래스(550) 상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은, 상기 제2 감지 영역(500b)에 대응되는 메뉴 화면인, '소프트웨어적 환경 설정 메뉴(Software Control) 화면'이 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10)는 제1 및 제2 감지 영역(500a, 500b)에서 모두 문자 'M'으로 인식 가능한 상기 터치 앤드 드로잉 궤적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물리적 환경 설정 메뉴(Physical Control) 화면' 및, '소프트웨어적 환경 설정 메뉴(Software Control) 화면'이 모두 윈드 쉴드 글래스(550)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영역(500a, 500b)에 각각 복수의 탭 또는 터치 앤드 드래그, 또는 스와이프 입력을 가하여 각각의 메뉴 화면에서 자신이 원하는 항목들을 선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만약 다른 상기 터치 앤드 드로잉 궤적으로부터 인식되는 문자가 다른 문자인 경우, 제어부(110)는 인식된 다른 문자에 대응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제1 감지 영역(500a)에 인가되는 터치 앤드 드로잉 궤적으로부터 인식되는 문자가 'L'인 경우, 이를 차량의 상태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차량의 상태를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앤드 드로잉 궤적으로부터 인식되는 문자가 'L'인 경우, 상기 제1 감지 영역(500a) 및, 제2 감지 영역(500b)에는 각각 서로 다른 잠금 기능이 대응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제1 감지 영역(500a)로부터 인가된 터치 앤드 드로잉 궤적이 문자'L'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해당되는 도어들(예를 들어 운전석이 왼쪽에 있는 경우, 운전석 도어 및 운전석 뒷좌석의 도어) 중 적어도 하나가 잠겨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2 감지 영역(500b)로부터 인가된 터치 앤드 드로잉 궤적이 문자'L'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전면을 기준으로 우측에 해당되는 도어들(예를 들어 운전석이 왼쪽에 있는 경우, 보조석 도어 및 보조석 뒷좌석의 도어) 중 적어도 하나가 잠겨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터치 앤드 드로잉 궤적에 대응되는 기능은 얼마든지 다양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앤드 드로잉 궤적이 입력되는 감지 영역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기능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차량의 특정 기능에 대응되는 특정 터치 앤드 드로잉 궤적을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감지 영역만 활성화 되도록 하거나 또는 비활성화 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현재 활성화된 감지 입력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에서, 특정 감지 영역이 활성화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예를 들어 도 11a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제1 감지 영역(500a)에 복수의 탭을 가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복수의 탭을 상기 제1 감지 영역(500a)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도 11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별도의 LED(Light Emitted Display)(110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감지 영역(500a)이 활성화된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즉, 상기 LED(1100)는 상기 제1 감지 영역(500a)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감지 영역(500a)이 활성화된 상태이면 온(on) 되고, 상기 제1 감지 영역(500a)이 비활성된 상태이면 오프(off)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제1 감지 영역(500a)의 활성 상태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 영역이 특정 메뉴 화면과 대응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현재 활성화된 감지 영역을 표시하기 위해, 현재 활성화된 감지 영역에 대응되는 메뉴 화면이 상기 윈드 쉴드 글래스(550)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활성화 여부를 알리기 위하여 표시되는 메뉴 화면은 일정 시간이 지나도록 대응되는 감지 영역에 사용자의 입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오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처럼 활성화된 감지 영역은 다양한 비활성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비활성 상태로 전환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비활성 상태로 전환된 감지 영역들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음향 출력부(152)를 통해 사용자에게 현재 비활성화된 감지 영역에 대한 청각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으며, 또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현재 비활성화된 감지 영역에 대한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2는,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에서, 특정 비활성화 조건에 근거하여, 활성화된 감지 영역이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는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2의 (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특정 감지 영역이 활성화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도 11의 (b)에서 보인 바와 같이 활성화된 감지 영역에 대응되는 메뉴 화면을, 상기 감지 영역이 활성 상태임을 알리기 위해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만약 현재 활성된 감지 영역에 대한 비활성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는, 상기 활성된 감지 영역은 비활성 상태로 다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 부근에 형성된 감지 영역들의 비활성 조건은, 차량이 급커브 도로를 주행하고 있는 경우 또는 차량의 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는 급커브 도로 또는 고속 주행 시에 사용자가 보다 운전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차량의 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거나, 또는 도 12의 (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상기 스티어링 휠이 회전된 각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상기 스티어링 휠에 구비된 감지 영역들은 비활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음향 출력부(152) 또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청각 정보 및/또는 시각 정보로 사용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감지 영역이 비활성화 되면, 도 12의 (c)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윈드 쉴드 글래스(550) 상에 표시되는 화상 정보가 오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상 정보의 오프 여부에 따라 현재 특정 감지 영역이 비활성화된 상태임을 인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다시 감지 영역에 기 설정된 복수의 탭 또는 터치 앤드 드로잉 입력등을 인가하여 다시 상기 비활성된 감지 영역을 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차량의 외관을 이루는 외부 프레임과 사용자가 탑승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내에 장착되고, 중앙축에 의하여 회전가능 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상기 스티어링 휠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감지 영역으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감지 영역의 위치 및 상기 감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두 개의 상기 감지 영역에서 동시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 앤드 드래그 입력들이 형성하는 궤적들의 방향 및 길이에 근거하여, 상기 시각 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크기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영역의 위치 및 특성에 따라 각각 기 설정된 비활성화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영역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각이 기 설정된 임계각보다 큰 경우, 상기 스티어링 휠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감지 영역들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은 사용자의 양손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축을 중심을 둘러싸는 원형의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에 형성되는 감지 영역들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회전부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영역들은 각각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복수의 두드림 또는 사용자의 터치 앤드 드로잉(drawing)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터치 센서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알림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영역의 의 비활성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알림정보의 출력을 변경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영역이 비활성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시각 정보의 출력을 제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영역은,
    상기 차량에서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들과 관련된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에 각각 대응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영역 중,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감지 영역에 대응되는 메뉴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은,
    상기 차량의 물리적 환경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과 관련된 항목을 포함하거나, 상기 차량의 소프트웨어적 환경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과 관련된 항목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앤드 드래그 입력들의 궤적들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궤적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시각 정보의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터치 앤드 드래그 입력들의 궤적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궤적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길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시각 정보의 크기를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차량의 윈드 쉴드 글래스(Wind Shield Glass)의 적어도 일부에 투명 디스플레이(Glass display)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주행 상태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차량의 주행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감지 영역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감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상태 판단부는,
    현재 차량에서 발생하는 진동, 현재의 차량의 위치, 현재의 차량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영역에 대해 가해지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 또는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영역에 대해 사용자가 가하는 복수의 탭이 이루는 패턴을 인식한 정보 또는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기 저장된 인증정보와 매칭(matching)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7. 차량의 외부 프레임과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바디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감지 영역으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감지 영역의 위치 및 상기 감지 영역에 대해 인가된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영역에 대해 가해지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인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영역 중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영역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된 감지 영역의 위치 또는 대응되는 상기 차량의 기능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비활성화 조건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비활성화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활성화된 감지 영역을 비활성화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 시키는 단계는,
    상기 비활성화된 감지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영역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현재 주행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주행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활성화된 감지 영역의 감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KR1020140043051A 2014-04-10 2014-04-10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61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051A KR101561917B1 (ko) 2014-04-10 2014-04-10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4/681,640 US9481246B2 (en) 2014-04-10 2015-04-08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EP15000997.5A EP2933130B1 (en) 2014-04-10 2015-04-08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201510170383.1A CN105182803B (zh) 2014-04-10 2015-04-10 车辆控制装置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051A KR101561917B1 (ko) 2014-04-10 2014-04-10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917B1 true KR101561917B1 (ko) 2015-11-20

Family

ID=53175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051A KR101561917B1 (ko) 2014-04-10 2014-04-10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81246B2 (ko)
EP (1) EP2933130B1 (ko)
KR (1) KR101561917B1 (ko)
CN (1) CN10518280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107A (ko) * 2017-07-21 2019-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WO2020111308A1 (ko) * 2018-11-28 2020-06-04 전자부품연구원 차량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를 위한 직관적 상호작용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4256B2 (en) * 2013-11-21 2018-08-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ctivation of vehicle lighting
US20150158434A1 (en) * 2013-12-10 2015-06-11 Hyundai Motor Company Remot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device
US9810906B2 (en) * 2014-06-17 2017-11-07 Osterhout Group, Inc. External user interface for head worn computing
JP6310787B2 (ja) * 2014-06-24 2018-04-1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入力装置および車両用コックピットモジュール
TWI633027B (zh) * 2014-09-19 2018-08-2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汽車防盜系統
US10120567B2 (en) * 2015-04-02 2018-11-06 Inpris Innovative Products From Israel Ltd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command and control
JP6402684B2 (ja) * 2015-06-10 2018-10-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表示装置
WO2017001994A1 (en) * 2015-06-29 2017-01-05 Universita' Degli Studi Di Brescia Gear shift device of a steering wheel group
DE102015214685B4 (de) * 2015-07-31 2017-04-2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ystem zum Darstellen von Fahrmodi eines Fahrzeugs
US20170060245A1 (en) * 2015-08-31 2017-03-02 Fujitsu Ten Limited Input device, integrated input system, input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9971348B1 (en) 2015-09-29 2018-05-15 Amazon Technologies, Inc. Passenger profiles for autonomous vehicles
US9958870B1 (en) * 2015-09-29 2018-05-01 Amazon Technologies, Inc. Environmental condition identification assistance for autonomous vehicles
JP6359507B2 (ja) * 2015-12-10 2018-07-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振動呈示装置
DE102016200030A1 (de) * 2016-01-05 2017-07-06 Zf Friedrichshafen Ag Berührungsgetriebewählhebel
KR20170089328A (ko) * 2016-01-26 2017-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차 제어 시스템과 그의 운영 방법
CN107031697A (zh) * 2016-02-03 2017-08-11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的控制系统
US10682911B2 (en) * 2016-02-18 2020-06-16 Sony Corporation Active window for vehicle infomatics and virtual reality
KR101796991B1 (ko) * 2016-03-04 2017-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0082877B2 (en) * 2016-03-15 2018-09-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rientation-independent air gesture detection service for in-vehicle environments
GB201604403D0 (en) * 2016-03-15 2016-04-27 Jaguar Land Rover Ltd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a vehicle
KR102509067B1 (ko) 2016-04-08 2023-03-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사용자 인증장치, 그것의 입력 센싱 모듈 및 사용자 인증방법
CN105882627A (zh) * 2016-04-26 2016-08-24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车辆、车辆控制方法和装置
US11400997B2 (en) * 2016-05-23 2022-08-02 Indian Motorcycle International, LLC Display systems and methods for a recreational vehicle
US10007264B2 (en) * 2016-07-14 2018-06-26 Baidu Usa Llc Autonomous vehicle human driver takeover mechanism using electrodes
RU2638725C1 (ru) * 2016-08-15 2017-12-1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ИРФ" (ООО "ПИРФ")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с помощью радиального графического интерфейса пользователя
CN107783687A (zh) * 2016-08-26 2018-03-09 法乐第(北京)网络科技有限公司 控制智能后视镜的方法、装置、可触控操作的智能后视镜
JP2018043535A (ja) * 2016-09-12 2018-03-2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操作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DE102016119845A1 (de) * 2016-10-18 2018-04-19 Preh Gmbh Eingabevorrichtung mit Fingerabdrucksensor und dem Fingerabdrucksensor zugeordnetem Kraftsensor
DE102016119846A1 (de) * 2016-10-18 2018-04-19 Preh Gmbh Mensch-Maschine-Schnittstelle aufweisend ein Lenkrad und einen daran befestigten Fingerabdrucksensor
DE102016121561A1 (de) * 2016-11-10 2018-05-17 Volkswage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ediensystems und Bediensystem
JP6857728B2 (ja) 2016-11-22 2021-04-14 アマゾ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制御されていない交差点及び制御されている交差点を自律的に走行する方法
KR101922244B1 (ko) * 2016-12-07 2018-1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0281990B2 (en) * 2016-12-07 2019-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user input control system and method
CN206287941U (zh) * 2016-12-13 2017-06-30 宁波普瑞均胜汽车电子有限公司 带振动反馈的压力传感的多点触控方向盘控制器
KR20180087921A (ko) * 2017-01-25 2018-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DE102017201635A1 (de) * 2017-02-01 2018-08-02 Audi Ag Situationsabhängige Steuerung von Fahrzeugsystemen
CN108509023A (zh) 2017-02-27 2018-09-07 华为技术有限公司 车载系统的控制方法和装置
US10208514B2 (en) * 2017-03-22 2019-02-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 lock transition method and assembly
EP3631574B1 (en) * 2017-06-02 2021-11-24 Gentex Corporation Vehicle display assembly
US10625567B2 (en) * 2017-06-20 2020-04-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ambient air temperature measurement using a wireless network
WO2019002937A2 (en) 2017-06-26 2019-01-03 Inpris Innovative Products Form Israel, Ltd SYSTEMS USING DUAL TOUCH CONTROL AND SOUND AND METHODS THEREOF
FR3070636B1 (fr) * 2017-09-05 2019-08-23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alette tactile a effet optique sur volant de conduite pour detection de doigt
DE102017222167A1 (de) * 2017-12-07 2019-06-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zeigeeinrichtung für ein Fahrsystem zum automatisierten Fahren zur Anzeige des aktiven automatisierten Fahrmodus
US11301087B2 (en) * 2018-03-14 2022-04-12 Maxell, Ltd.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10960949B2 (en) * 2018-10-24 2021-03-30 Honda Motor Co., Ltd. Vibration sensor on motorcycle for providing reactionary function
KR20200067539A (ko) * 2018-12-04 2020-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EP3670228B1 (en) * 2018-12-17 2022-04-13 Audi Ag A display device and a vehicle comprising the display device
JP7042931B2 (ja) * 2019-01-28 2022-03-28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US11110798B2 (en) 2019-01-31 2021-09-0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ulti-function vehicle input apparatuses with operational buttons for vehicle systems control and methods incorporating the same
US11130471B2 (en) * 2019-04-15 2021-09-28 Hyundai Motor Company Fingerprint recognition vehicl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20210016718A (ko) * 2019-08-05 2021-0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US11474530B1 (en) 2019-08-15 2022-10-18 Amazon Technologies, Inc. Semantic navigation of autonomous ground vehicles
KR20210025767A (ko) * 2019-08-27 2021-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군집 주행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1075157A (ja) 2019-11-08 2021-05-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入力装置
EP4069536A1 (fr) * 2019-12-02 2022-10-12 Hutchinson Element d'encadrement de vitre pour un vehicule automobile
CN115362097A (zh) * 2020-04-15 2022-11-18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车辆内部部件
US11518242B2 (en) * 2020-09-29 2022-12-06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locking an input area associated with detected touch location in a force-based touch display
USD977513S1 (en) * 2020-12-08 2023-02-07 Lg Electronics Inc. Display panel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DE102022207408A1 (de) 2022-07-20 2024-01-2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Fahrzeugs und Fahrzeug
CN115790819A (zh) * 2022-08-24 2023-03-14 宁波普瑞均胜汽车电子有限公司 车载触摸设备敲击检测方法、装置、触摸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7013A (ja) * 2007-09-03 2009-03-19 Tokai Rika Co Ltd 車両用タッチ検出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JP2012150714A (ja) 2011-01-20 2012-08-09 Denso Corp 情報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915A (ko) 1996-12-24 1998-09-25 양재신 자동차의 도어록 해제 및 엔진 시동장치
US8032264B2 (en) * 1999-12-15 2011-10-04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Vehicular heads-up display system
JP4062974B2 (ja) * 2002-05-30 2008-03-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信号入出力装置
US8164573B2 (en) * 2003-11-26 2012-04-24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interpretation of input from a touch-sensitive input device
US7295904B2 (en) * 2004-08-31 2007-11-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uch gesture based interface for motor vehicle
US20100188343A1 (en) * 2009-01-29 2010-07-29 Edward William Bach Vehicular control system comprising touch pad and vehicles and methods
DE102010005483A1 (de) * 2009-02-03 2010-08-05 Volkswagen Ag Kraftfahrzeug
US8406961B2 (en) * 2009-04-16 2013-03-26 Panasonic Corporation Reconfigurable vehicle user interface system
DE102009021280A1 (de) * 2009-05-14 2010-11-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Kraftfahrzeug mit einem Touchpad im Lenkrad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des Touchpads
DE102009038333A1 (de) * 2009-08-20 2011-02-24 Volkswagen Ag Kraftfahrzeug
KR20110080985A (ko) 2010-01-07 2011-07-13 쓰리에이치비젼주식회사 차량용 다시점 룸미러
US20110169750A1 (en) * 2010-01-14 2011-07-14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Multi-touchpad multi-touch user interface
DE102010035731A1 (de) * 2010-08-28 2012-03-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Ges.D. Staates Delaware) Fahrzeuglenkvorrichtung mit Fahrzeuglenkrad
US20120232751A1 (en) * 2011-03-07 2012-09-13 Jorge Guspan Pressure-Sensitive Steering Wheel Controls
DE102011111123A1 (de) * 2011-08-20 2013-02-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Vorrichtung zur Steuerung von Funktionen elektronischer Ein-richtungen eines Fahrzeugs und Fahrzeug mit der Vorrichtung
JP5452566B2 (ja) * 2011-10-31 2014-03-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入力装置
DE102012111130B4 (de) * 2011-11-29 2022-08-04 U-Shin Ltd. Berührungssensor
KR20130063911A (ko) * 2011-12-07 2013-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행중 운전자의 시선 이탈 방지 시스템
KR20130067110A (ko) * 2011-12-13 2013-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되는 메뉴 실행 장치 및 방법
CN102806852A (zh) * 2012-07-26 2012-12-05 广东好帮手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仪表系统及其实现方法
US20140281964A1 (en) * 2013-03-14 2014-09-18 Maung Ha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guidance of gesture input on a touch pad
US9358887B2 (en) * 2013-12-09 2016-06-07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User interface
WO2015134639A1 (en) * 2014-03-04 2015-09-11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Configurable touch screen lcd steering wheel contro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7013A (ja) * 2007-09-03 2009-03-19 Tokai Rika Co Ltd 車両用タッチ検出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JP2012150714A (ja) 2011-01-20 2012-08-09 Denso Corp 情報入力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107A (ko) * 2017-07-21 2019-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333631B1 (ko) * 2017-07-21 2021-1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WO2020111308A1 (ko) * 2018-11-28 2020-06-04 전자부품연구원 차량용 증강현실 디스플레이를 위한 직관적 상호작용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33130A2 (en) 2015-10-21
EP2933130B1 (en) 2020-08-12
EP2933130A3 (en) 2016-06-15
US20150291032A1 (en) 2015-10-15
CN105182803B (zh) 2019-01-18
CN105182803A (zh) 2015-12-23
US9481246B2 (en)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917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77648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460575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05898089B (zh) 移动终端、移动终端的控制方法、车辆的控制系统及车辆
JP6337199B2 (ja) 対話式移動体制御システムのための一体化ウェアラブル用品
JP6113281B2 (ja) 情報処理装置
US9104243B2 (en) Vehicle operation device
CN108430819B (zh) 车载装置
WO2016132876A1 (ja) 情報処理装置
KR101575650B1 (ko) 단말기,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5172485B2 (ja) 入力装置及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US10209832B2 (en) Detecting user interactions with a computing system of a vehicle
KR102504746B1 (ko) 신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와 함께 차량 내 카메라를 사용한 무결절 운전자 인증
KR101542502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93091A (ko) 단말기,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8102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57874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31174A (ko) 제스처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US201401844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an optical scanning
KR2016002375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30054A (ko) 제스처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130055A (ko) 제스처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