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782B1 - Separated type docking speaker - Google Patents

Separated type docking sp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782B1
KR101561782B1 KR1020140124805A KR20140124805A KR101561782B1 KR 101561782 B1 KR101561782 B1 KR 101561782B1 KR 1020140124805 A KR1020140124805 A KR 1020140124805A KR 20140124805 A KR20140124805 A KR 20140124805A KR 101561782 B1 KR101561782 B1 KR 101561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ocking
sound
output unit
sound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8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장석
윤은총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24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7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7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ble docking speaker which outputs a sound by playing a digital sound source from a main body through an attachable and detachable speaker, and provides a customized sound quality according to a sound source and a property inside a space. The docking speaker comprises: a docking unit (120) formed to detach a sound output unit (200) towar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an input unit (130)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a first communications unit (140) for performing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a first power unit (150) for supplying power; an interface unit (160) for receiving a control operation signal from a user, and outputting a control result; and a first control unit (170) for controlling the first communications unit (140) and the interface unit (160) by supplying the power from the first power unit (150), and transmitting the sound signal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130) to the first communications unit (140).

Description

분리형 도킹 스피커 {SEPARATED TYPE DOCKING SPEAKER}[0001] SEPARATED TYPE DOCKING SPEAKER [0002]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디지털 음원 재생에 의한 음향을 본체로부터 결합과 분리 가능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되 음원 및 공간 내 특성에 따른 맞춤형 음질을 제공할 수 있는 분리형 도킹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tachable docking speaker capable of outputting sound from a digital sound source reproduction through a speaker capable of being detached from a main body and capable of providing customized sound quality according to sound sourc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MP3를 비롯한 다양한 포멧의 디지털 음원은 CD 음원에 가까운 음질을 유지하면서 컴퓨터를 비롯하여 MP3 플레이어, 휴대전화, 스마트 단말기 등의 다양한 휴대 단말기를 통해 재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최근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 수단의 발달로 각종 디지털 음원 유통이 더욱 활발해짐에 따라 음원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Digital music sources of various formats including MP3s can be reproduced through various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computer, an MP3 player, a mobile phone, and a smart terminal while maintaining sound quality close to that of a CD sound source. Recently, As the distribution of digital sound sources becomes more active, it accounts for most of the sound source market.

특히 최근 보급이 확대되는 스마트 단말기의 경우 디지털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음향 청취를 위한 상대적으로 낮은 출력의 내장형 스피커를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의 출력수단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smart terminal, which has recently been popularized, a function of reproducing a digital sound source is basically provided, and a built-in speaker with a relatively low output for listening to sound is provided and an output means such as an earphone or a headphone is connected So that it can be used.

만약, 이어폰이나 헤드폰 없이 특정 공간 내에서 음원을 청취하고자 할 경우 스마트 단말기에 내장된 스피커의 경우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출력이 매우 낮으므로, 적절한 출력을 갖는 별도의 외장형 스피커를 연결하여 사용해야 한다.If you want to listen to a sound source in a specific space without an earphone or headphone, the output built up in the smart terminal is very low due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device, so you need to connect a separate external speaker with appropriate output.

하지만, 이와 같은 외장형 스피커는 일반적으로 유선연결방식이므로 공간 내 스피커의 설치 범위에 제약을 받을 뿐 아니라 케이블의 처리에 불편함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최근 무선방식을 이용하여 음원 재생장치로부터 음향신호를 전달받아 볼륨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스피커가 시판되고 있으나, 음원 재생장치로부터의 능동적인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고 설치 공간의 다양한 변화에도 단순하게 일괄적인 음향출력만 이루어져 편안하게 설치 장소에 최적화된 음향을 청취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기대에 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such an external speaker is generally a wired connection type, it is limited in the installation range of the speaker in the space,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processing the cabl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cently, a speaker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from a sound source reproducing apparatus by using a wireless system and outputting the sound signal by adjusting the volume is commercially available. However, since the sound source reproducing apparatus is not actively controll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meet the expectation of the user who wants to listen to the sound optimally settled in a comfortable place because only a single acoustic output is made.

한국 등록특허 제10-0974524호(2010.08.02)Korean Patent No. 10-0974524 (Aug. 2, 20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방식을 이용하여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스피커에 음향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되 설치된 공간에 맞춰 스피커의 위치 및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분리형 도킹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eaker apparatus and a speaker apparatus which can transmit sound signals to a speaker separated from a main body using a wireless system, And to provide a detachable docking speak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음향출력부의 탈착이 가능한 본체로 이루어지는 도킹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측으로 상기 음향출력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도킹부와,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무선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부와, 사용자로부터 제어동작신호를 입력받고 제어 결과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1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1통신부와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되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음향신호를 상기 제1통신부로 전송하는 제1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향출력부는 외측으로 상기 도킹부에 탈착을 위해 구성된 결합부와, 상기 제1통신부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와,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출력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부와, 상기 제2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향신호를 상기 메인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2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cking speaker comprising a main body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n audio output unit, the main body including a docking unit configured to detachably attach the sound output unit to the outside, An interface unit which receives a control operation signal from a user and outputs a control result; and an interface unit which receives power from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nd receive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ransmitting the acoustic signal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acoustic output unit includes a coupling unit configured to attach and detach the docking unit to the outside, A mai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 second power supply and receives power from the second power supply section for supplying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econd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o the main output the sound signals received over.

상기 본체는 상기 도킹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고 제1제어부를 통해 전달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보조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output unit which is formed inside the docking unit and outputs an acoustic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nd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control unit.

상기 음향출력부는 상기 메인출력부의 후면 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중량체가 내장된 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킹부는 상기 지지체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도킹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und out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body protruding from a rear side of the main output unit and having a built-in weight, and the dock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ocking hole into which the support body can be inserted and supported.

상기 도킹부는 외측으로 상기 제1전원부의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전류를 방출하고 상기 제1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접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출력부는 상기 제1접속부를 통해 방출되는 충전전류를 통해 상기 제2전원부를 충전하고 인가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2제어부로 전달하는 제2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docking unit further includes a first connection unit for discharging a charging current by using the power of the first power supply unit to the outside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control unit,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charging the second power unit through a charging current and transmitting the applied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control unit.

상기 음향출력부는 상기 도킹부와 접촉하는 측으로 형성된 체결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킹부는 상기 체결홈에 결합됨으로 음향출력부와의 체결상태를 유지하는 체결돌기를 구비하되 상기 제1제어부를 통해 상기 체결돌기를 체결홈에 결합 또는 해체하도록 제어하는 로킹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ound output unit further includes a coupling groove formed on a side contacting the docking unit, and the docking unit has a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to maintain the coupling state with the sound output unit, And lock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engaging projection to engage or disengage from the engaging groove.

상기 음향출력부의 외측에는 상기 제2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2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작동하되, 외측 전면으로 빛을 방출하는 LED 램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n LED lamp unit which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and is operated by a signal of the second control unit and emits light to the outer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acoustic output unit.

본 발명은 본체로부터 분리된 음향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간에 최적화된 음향을 제공하며, 특히 본체와 각 음향출력부 간에 무선방식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케이블로 인한 불편함을 없애면서 동시에 심미감을 나타낼 수 있는 디자인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ce-optimized sound to a user through an audio output unit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In particular,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main body and each of the audio output units,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cable, Provide a design that can be.

또한, 본체에 하나 이상의 음향출력부가 결합되는 구조로 인해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보관공간을 줄일 수 있고, 이동시 음향출력부의 손상이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one or more sound output units are coupled to the main body, the storage space can be easily saved and the damage or loss of the sound output unit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또한, 다양한 공간 내 자유로운 음향출력부의 배치가 가능하고, 공간에 적합한 최적의 음향을 제공하게 된다.Further,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free acoustic output portions in various spaces, and to provide an optimal sound suitable for the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체와 음향출력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음향출력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도킹부와 음향출력부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shap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ain body and an audio output unit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n acoustic outpu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docking unit and an acoustic output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분리형 도킹 스피커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separate docking sp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체와 음향출력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음향출력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분리형 도킹 스피커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탈착 가능한 음향출력부(200)로 주요 구성이 이루어진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shap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body and an audio output unit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e docking sp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n acoustic output unit 200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100, .

이때 음향출력부(200)느 최소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되 사양에 따라 필요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스테레오 기능의 지원과 디자인적 균형을 위해 본체(100)의 양측으로 각각 총 2개의 음향출력부(200)가 구비되는 모습을 실시예로 하고 있다.In this case, the sound output unit 20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r more sound output units 200, but may be provided in the required number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sound output units 200 is provided.

먼저, 상기 본체(100)에는 도킹부(120)와, 입력부(130)와, 제1통신부(140)와, 인터페이스부(160)와, 제1전원부(150)와, 제1제어부(170)가 기본 구성으로 구비된다.The main body 100 includes a docking unit 120, an input unit 130, a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an interface unit 160, a first power unit 150, a first control unit 170, As shown in Fig.

상기 도킹부(120)는 본체(100) 외측으로 상기 음향출력부(200)를 탈착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돌출구조를 갖는 음향출력부(200)의 케이스 일부를 수용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홈 형태로 구성되며, 구비되는 음향출력부(20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도킹부(120)가 구비된다.The docking unit 120 is configured to attach and detach the sound output unit 200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docking unit 120 can support a part of the case of the sound output unit 200 having a protruding structure The number of the docking units 120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sound output units 200 provided.

상기 입력부(130)는 특정 장치로부터 음향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 특정 장치란 컴퓨터, MP3 플레이어, 휴대전화, 스마트 단말기(T)를 비롯하여 디지털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음향장치를 통칭하며, 이러한 음향장치의 음원 재생에 따른 음향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방식을 통해 입력받게 된다.The input unit 130 is configured to receive a sound signal from a specific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device includes a computer, an MP3 player, a mobile phone, a smart terminal T, and various sound devices capable of reproducing digital sound sources And an acoustic signal according to sound source reproduction of the sound device is input through a wired or wireless system.

이때 음향신호를 인가하는 음향장치가 MP3 플레이어, 휴대전화, 스마트 단말기(T)와 같은 소형의 휴대용 디지털 기기의 경우 상기 본체(100)에 수용하여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 상측에 음향장치의 삽입 및 수납을 위한 삽입부(1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case of a small portable digital device such as an MP3 player, a mobile phone, and a smart terminal (T), a sound device for applying a sound signal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00, And an insertion unit 110 for insertion and storage of the apparatus.

상기 제1통신부(140)는 선택되는 장치와 무선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모듈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나, 상용화율이 높은 Wi-fi나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저전력(100㎽)으로 구현할 수 있는 블루투스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블루투스는 주파수 대역을 나누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을 여러 주파수에 걸쳐서 분할해 보낼 수 있고, 실내에서 얇은 벽이나 기타 가구 등을 통과해서 전송될 수 있으므로 배선의 배치나 연결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데이터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corresponds to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a selected devic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However,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may be implemented using Wi- (100 mW) can be used. In particular, because Bluetooth divides the frequency band, data transmission can be divided over several frequencies, and it can be transmitted through a thin wall or other furniture in the room, so data signals can be transmitted Can receive.

또한, 주파수 특성도 전 방향으로 신호가 전송되므로 각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필요가 없어 복수의 음향출력부(200)가 분리된 상태로 어떻게 배치되더라도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지며, 전 세계 수많은 국가가 블루투스 표준 규격을 준수하기 때문에 세계 어느 곳에서나 같은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are transmitted in all directions, it is not necessary to maintain a constant angle in order to connect each device, so that communica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regardless of how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200 are arranged in a separated state, Because the country is compliant with the Bluetooth standar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the same technology anywhere in the world.

상기 제1통신부(140)는 주로 음향출력부(200)에 음향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나, 경우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T)(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 무선통신기능을 탑재한 컴퓨터 등 다양한 기기와도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mainly transmits sound signals to the sound output unit 200 and may be connected to various devices such as a smart terminal T (smart phone, smart pad, etc.) and a computer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Data can be exchanged with the user.

상기 제1전원부(150)는 본체(100)의 각 구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도록 하되, 본 발명이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케이블이 필요치 않도록 디자인되는 취지에 맞게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전원부(150)는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을 통해 충전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하게 되며, 외부 전원은 가정용 AC 전원을 정류하는 어댑터 또는 USB 케이블을 통해서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first power supply unit 150 may be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in body 100.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o use a battery. At this time, the first power source unit 150 uses a chargeable rechargeable battery through external power supply, and the external power source can be supplied through an adapter for rectifying the AC power for home use or a USB cable.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동작신호를 입력받고 제어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간단히 기계식 버튼과 액정 디스플레이를 통해서도 구현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터치스크린을 통해 구현하게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사용자는 전원의 On/Off나, 볼륨조절, 전원설정 등의 제어동작신호를 입력하게 되며, 음향신호의 입/출력여부, 전원 및 볼륨상태를 비롯한 각종 동작설정정보와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receives a control operation signal from a user and outputs a control result. The interface unit 160 may be realized through a mechanical button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hrough a touch screen suitable for a digital environment . The user inputs control operation signals such as power on / off, volume control, power setting, and the like through the interface unit 160. Various operation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input / output of sound signals, And the operation status can be confirmed.

상기 제1제어부(170)는 본체(100)의 각 구성들을 제어하는 CPU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전원부(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1통신부(140)와 인터페이스부(160)를 제어하게 되며, 특히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음향신호를 상기 제1통신부(140)를 통해 송출하게 된다.The first controller 170 controls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main body 100. The first controller 170 receives power from the first power source 150 and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and the interface unit 160, And transmits the sound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3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이때 제1통신부(140)를 통해 송출되는 음향신호는 이후 음향출력부(200)를 통해 사용자가 들을수 있도록 출력되며, 사용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음향출력부(200)로 출력될 음향의 볼륨 레벨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제어부(17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입력된 동작제어신호에 따른 볼륨 레벨을 음향신호에 포함하여 송출하게 된다.The sound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is then output to the user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00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the sound to be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 2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60. [ The first controller 170 transmits a volume leve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interface unit 160 as an acoustic signal.

또한, 상기 본체(100)의 도킹부(120) 내부에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보조출력부(124)의 구성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음향출력부(200)가 본체(100)로부터 분리된 후에도, 본체(100)를 통해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고 제1제어부(170)를 통해 전달되는 음향신호를 상기 보조출력부(124)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output unit 124 for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to the inside of the docking unit 120 of the main body 100. This is because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configured to output sound that can be heard by the user through the main body 100 even after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 Through the auxiliary output unit (124).

상기 보조출력부(124)의 경우 상기 음향출력부(200)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음향출력부(200)에 의해 가려져 원활한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없으므로, 음향출력부(2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상기 음향출력부(200)가 본체(1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만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도킹부(120)에 음향출력부(200)가 결합된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In the case of the auxiliary output unit 124, since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hidden by the sound output unit 200 in a state where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the sound output unit 200 can not output a smooth sound signal. And it is detected that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coupled to the docking unit 120 so that the sound output unit 200 can operate only when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It is necessary to include means that can be used.

또한, 상기 보조출력부(124)에 대하여 상기 음향출력부(200)와는 다른 음역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저음출력을 위한 우퍼 역할을 수행하는 등 음향출력부(200)의 기능과 차별화할 수도 있다.The auxiliary output unit 124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sound field different from that of the sound output unit 200 or to perform a function as a woofer for bass sound output, It is possible.

상기 음향출력부(200)는 상기 본체(100)에 결합 또는 분리된 상태로 사용자가 음향신호를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결합부(210)와, 제2통신부(220)와, 메인출력부(230)와, 제2전원부(240)와, 제2제어부(250)가 구비된다.The sound output unit 200 includes a coupling unit 210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is connected to the sound output unit 200, A main power output unit 230, a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and a second control unit 250. [

상기 결합부(210)는 상기 도킹부(120)와의 탈착을 위해 구조로, 상기 도킹부(120)가 오목한 홈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도킹부(120)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coupling part 210 has a protruding structur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docking part 120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cessed docking part 120 having a recessed structure in order to attach and detach the docking part 120 .

상기 제2통신부(220)는 상기 제1통신부(14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1통신부(140)와 동일한 무선통신모듈로 이루어지며, 주로 상기 제1통신부(140)를 통해 송출된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is configured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and is composed of the sam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mainly transmits And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the transmitted sound signa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음향출력부(200)가 복수로 구비될 경우 각 음향출력부(200)의 제2통신부(220)에는 고유식별코드가 부여되어, 제1통신부(140)와의 통신 중 각 음향출력부(200)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제1제어부(170)는 이를 통해 각각의 제2통신부(220)에 차등하게 음향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When a plurality of the sound output units 200 are provided a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given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of each sound output unit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trol unit 17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identify each sound output unit 200 during communication and the first control unit 170 is configured to transmit sound signals differently to the respective second communication units 220 do.

상기 메인출력부(230)는 상기 제2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음향신호를 사용자가 소리로 청취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성이다.The main output unit 230 converts the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so that the user can hear the sound signal.

상기 제2전원부(240)는 음향출력부(200)의 모든 구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음향출력부(200)가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어 무선방식으로 동작함에 따라 사용 중 외부 전원연결이 필요 없는 충전식 배터리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충전식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제2전원부(24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하여 전원 소진시 사용자가 단자에 전원공급 케이블을 연결하여 제2전원부(240)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음향출력부(200)가 상기 본체(100)에 결합함으로 본체(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제2전원부(240)가 충전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necessary for all the configurations of the sound output unit 200. Since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00 and operates in a wireless manner, And a rechargeable battery that does not require a power connection.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is a rechargeable battery.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includes a terminal that can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When the power is exhausted, the user can connect the power supply cable to the terminal to charge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It is preferable that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is charged through the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body 100.

상기 제2제어부(250)는 음향출력부(200)의 구성들을 제어하는 CPU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제2전원부(2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2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음향신호를 상기 메인출력부(230)를 통해 해당 볼륨 레벨로 출력시키게 된다.The second control unit 250 is configured t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PU that controls the configurations of the sound output unit 200. The second control unit 250 receives power from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and receives sound signals Is output through the main output unit 230 at a corresponding volume level.

이때 음향출력부(200)가 본체로부터 이탈될 경우 소정의 각도로 세워져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음향출력부(200)는 상기 메인출력부(230)의 후면 측으로 중량체(211)가 내장된 지지체(212)가 돌출 형성된다.In this case, when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the sound output unit 200 may include a weight 211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output unit 230 so that the sound output unit 200 can be set up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support 212 is protruded.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음향출력부(200)의 형상이 원형일 경우 중량체(211)가 내장된 상기 지지체(212)를 일측면으로 편향되도록 형성함으로 굴러다니는 것을 방지하고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Particularly, a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hape of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circular, the supporting body 212 having the weight 211 embedded therein is formed to be deflected to one side,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도킹부(120)는 음향출력부(200) 결합시 상기 지지체(212)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도킹홀(121)을 더 포함하게 되며, 도킹홀(121) 내부 및 지지체(212)에 각각 자력을 갖는 자성체(213)와 이와 반응하는 금속 또는 자성체를 삽입하여 상호간에 형성되는 자력에 의해 음향출력부(200)가 도킹부(1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docking unit 120 further includes a docking hole 121 through which the support body 212 can be inserted when the acoustic output unit 200 is coupled. A magnetic body 213 having a magnetic force and a metal or magnetic body reacting with the magnetic body 213 may be inserted into the docking unit 120 so that the sound output unit 200 can be fixed to the docking unit 120 by a magnetic force.

또한, 상기 지지체(212)에 내장된 중량체(211)를 자력을 갖는 자성체(213)로 구성하고, 상기 도킹홀(121) 내에 자성체(213)의 자력를 통해 On/Off 되는 마그네틱스위치(122)를 구성하여, 상기 마그네틱스위치(122)를 통해 음향출력부(200)의 도킹부(120) 결합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The magnetic body 213 having the magnetic force and the magnetic switch 122 that is turned on and off in the docking hole 121 through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body 213,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docking unit 120 of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coupled through the magnetic switch 122.

또한, 음향출력부(200)가 상기 도킹부(120)에 결합하는 동안 제2전원부(240)가 자동으로 충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is automatically charged while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coupled to the docking unit 120.

이를 위해 상기 도킹부(120)는 외측으로는 상기 제1전원부(150)의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전류를 방출하고 상기 제1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접속부(123)가 구비되고, 상기 음향출력부(200)는 상기 제1접속부(123)를 통해 방출되는 충전전류를 통해 상기 제2전원부(240)를 충전하고 인가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2제어부(250)로 전달하는 제2접속부(214)를 구비한다.To this end, the docking unit 12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unit 123 for discharging a charging current using the power of the first power source unit 150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control unit 170 The sound output unit 200 charges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through a charging current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123 and transmits the applied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control unit 250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214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이때 상기 제1접속부(123)와 제2접속부(214) 상호 간에 접촉되는 접점이나 단자를 충전용도와 신호전달 용도로 구분하여 2 이상으로 구비하여 상기 제1접속부(123)와 제2접속부(21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전원부(122)가 충전되면서, 음향신호나 볼륨설정과 같은 제어신호를 동시에 전달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음향출력부(200)가 도킹부(12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통신부(140)와 제2통신부(220)를 통하지 않더라도 직접 상기 제1접속부(123)와 제2접속부(214)를 통해 음향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At this time, two or more contacts and terminals for contact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123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4 are provided for charging purpose and signal transmission purpose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part 123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4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22 is charged to transmit control signals such as acoustic signals and volume settings at the same time. The first connection unit 123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120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docking unit 120 withou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 214, respectively.

도 5는 본 발명에서 도킹부와 음향출력부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음향출력부(200)가 본체(100)의 도킹부(120)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즉 상기 음향출력부(200)는 필요시 사용자가 본체(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사용되지 않은 상태로 본체(100)의 보관 또는 운반시 의도치않게 음향출력부(200)가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음향출력부(200)r가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docking unit and an acoustic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sound output unit 200 can be fixed to the docking unit 120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the sound output unit 200 can be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00 if necessary. However, when the main body 100 is not used,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the sound output unit 200 so that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not separated as necessary to prevent the sound output unit 200 from being separated and lost.

이를 위해 상기 음향출력부(200)에는 상기 도킹부(120)와 접촉하는 측으로 형성된 복수의 체결홈(215)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도킹부(120)에는 상기 체결홈(215)에 결합됨으로 음향출력부(200)와의 체결상태를 유지, 즉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체결돌기(12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체결돌기(126)는 상기 제1제어부(170)의 제어신호를 통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체결돌기(126)를 체결홈(215)에 결합 또는 해체하도록 제어하는 로킹수단(125)을 포함하게 된다.The sound output unit 2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215 formed on a side contacting the docking unit 120 and the coupling groove 215 is formed in the docking unit 120 of the main body 100, A locking protrusion 126 is provided which is coupled to the sound output unit 200 so as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with the sound output unit 200, that is, not to be arbitrarily separated. The locking protrusion 126 is configured to be movabl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through a control signal of the first controller 170 to lock or unlock the locking protrusion 126 to / (125).

일례로 상기 체결돌기(126)를 금속으로 구성하고 상기 로킹수단(125)은 상기 체결돌기(126)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석 및 전자석이 당기는 반대방향으로 체결돌기(126)를 당겨주는 스프링으로 구성함으로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원을 On/Off함으로 상기 체결돌기(126)가 체결홈(215)에 결합 또는 해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astening protrusion 126 is made of metal, and the locking means 125 is a spring for pulling the fastening protrusion 126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magnet and the electromagnet are pulled, which can adjust the angl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126 The engaging protrusion 126 can be engaged or disengaged from the engaging groove 215 by turning on /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바람직하게는 본체(100) 전원이 ON 상태에서는 상기 로킹수단(125)이 해체되어 음향출력부(200)를 본체(100)로부터 자유롭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본체(100) 전원이 OFF 상태에서는 상기 로킹수단(125)이 결합되어 음향출력부(200)가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 음향출력부(200)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main body 100 is powered on, the locking means 125 is disengaged to freely separate the sound output unit 200 from the main body 100. When the main body 100 is powered off,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loss of the sound output unit 200 by configuring the sound output unit 200 so that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not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by coupling the locking unit 125.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음향출력부(200)의 경우 본체와는 달리 동작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가 형성되지 않음으로, 음향출력부(200)의 동작여부 및 상기 제2전원부(240)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음향출력부(200)의 외측에는 LED 램프부(26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LED 램프부(260)는 상기 제2전원부(2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2제어부(250)의 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외측 전면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하되, 상기 제2전원부(240)의 전원 잔량을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전원 잔량을 측정하고 이에 따라 빛의 색이 변하도록 2 이상의 색상으로 이루어진 LED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main body,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not provided with an interface for visually confirming whether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operated or not. Thus, the operation of the sound output unit 200 and the state of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The LED lamp unit 260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ound output unit 200. The LED lamp unit 260 receives power from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and operates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second control unit 250 to emit light to the outer side of the LED lamp unit 260.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The LED module may be provided with two or more colors so that the remaining power of the power source is measured so that the color of the light changes.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 but is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100: 본체 110: 삽입부
120: 도킹부 121: 도킹홀
122: 마그네틱스위치 123: 제1접속부
124: 보조출력부 125: 로킹수단
126: 체결돌기 130: 입력부
140: 제1통신부 150: 제1전원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제1제어부
200: 음향출력부 210: 결합부
211: 중량체 212: 지지체
213: 자성체 214: 제2접속부
215: 체결홈 220: 제2통신부
230: 메인출력부 240: 제2전원부
250: 제2제어부 260: 램프부
T: 단말기
100: main body 110:
120: docking portion 121: docking hole
122: magnetic switch 123: first connection
124: auxiliary output unit 125: locking means
126: fastening protrusion 130: input part
140: first communication unit 150: first power source unit
160: interface unit 170: first control unit
200: sound output unit 210:
211: weight body 212: support
213: magnetic body 214: second connection portion
215: fastening groove 220: second communication section
230: main output unit 240: second power supply unit
250: second control unit 260:
T: terminal

Claims (6)

음향출력부(200)의 탈착이 가능한 본체(100)로 이루어지는 도킹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외측으로 상기 음향출력부(200)가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도킹부(120)와,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130)와, 무선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부(14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부(150)와, 사용자로부터 제어동작신호를 입력받고 제어 결과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160)와, 상기 제1전원부(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1통신부(140)와 인터페이스부(160)를 제어하되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음향신호를 상기 제1통신부(140)로 전송하는 제1제어부(170)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향출력부(200)는 외측으로 상기 도킹부(120)에 탈착을 위해 구성된 결합부(210)와, 상기 제1통신부(14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220)와, 상기 제2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출력부(23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부(240)와, 상기 제2전원부(2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2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음향신호를 상기 메인출력부(230)를 통해 출력하는 제2제어부(250)로 이루어지되,
상기 음향출력부(200)는 상기 메인출력부(230)의 후면 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중량체(211)가 내장된 지지체(2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킹부(120)는 상기 지지체(212)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도킹홀(1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도킹 스피커.
A docking speaker comprising a main body (100) capable of attaching / detaching a sound output unit (200)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docking unit 120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sound output unit 200, an input unit 130 receiving a sound signal, a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perform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n interface unit 160 receiving a control operation signal from a user and outputting a control result, and a control unit 160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50, And a first controller 170 for controlling the speaker 140 and the interface unit 160 and transmitting the sound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30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The sound output unit 200 includes a coupling unit 210 configured to attach and detach the docking unit 120 to the outside,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tha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A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240 and a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for receiving the second signal from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And a second controller 250 for outputting the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0 through the main output unit 230,
The sound output unit 200 further includes a support body 212 protruding from the rear side of the main output unit 230 and having a weight 211 therein,
Wherein the docking unit (120) further comprises a docking hole (121) into which the support body (212) can be inserted and suppo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도킹부(12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고 제1제어부(170)를 통해 전달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보조출력부(1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도킹 스피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output unit 124 formed in the docking unit 120 and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30 and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control unit 170 And a plurality of docking speaker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120)는 외측으로 상기 제1전원부(150)의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전류를 방출하고 상기 제1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접속부(1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출력부(200)는 상기 제1접속부(123)를 통해 방출되는 충전전류를 통해 상기 제2전원부(240)를 충전하고 인가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2제어부(250)로 전달하는 제2접속부(2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도킹 스피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ocking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nection unit 123 for discharging a charging current using the power of the first power source unit 150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control unit 170 ,
The sound output unit 200 charges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through a charging current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123 and transmits a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control unit 250,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2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부(200)는 상기 도킹부(120)와 접촉하는 측으로 형성된 체결홈(2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킹부(120)는 상기 체결홈(215)에 결합됨으로 음향출력부(200)와의 체결상태를 유지하는 체결돌기(126)를 구비하되 상기 제1제어부(170)를 통해 상기 체결돌기(126)를 체결홈(215)에 결합 또는 해체하도록 제어하는 로킹수단(1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도킹 스피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und output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groove 215 formed to contact the docking unit 120,
The docking unit 120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126 that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15 to maintain a coupling state with the acoustical output unit 200. The coupling protrusion 126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means (125) for controlling the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the coupling member (215) with the engagement groove (2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부(200)의 외측에는 상기 제2전원부(2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2제어부(250)의 신호에 의해 작동하되, 외측 전면으로 빛을 방출하는 LED 램프부(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도킹 스피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LED lamp unit 260 receives power from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and operates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250 and emits light to the outer front surface of the sound output unit 200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docking loudspeakers.
KR1020140124805A 2014-09-19 2014-09-19 Separated type docking speaker KR1015617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805A KR101561782B1 (en) 2014-09-19 2014-09-19 Separated type docking sp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805A KR101561782B1 (en) 2014-09-19 2014-09-19 Separated type docking spe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782B1 true KR101561782B1 (en) 2015-10-20

Family

ID=5439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805A KR101561782B1 (en) 2014-09-19 2014-09-19 Separated type docking sp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78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734B1 (en) * 2017-11-20 2018-09-10 주식회사 아론 A case including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using earphon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116B1 (en) 2012-08-24 2013-09-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media player with beam proj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116B1 (en) 2012-08-24 2013-09-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media player with beam proj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734B1 (en) * 2017-11-20 2018-09-10 주식회사 아론 A case including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using earphones
US10129626B1 (en) 2017-11-20 2018-11-13 Alon Inc. Case including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using earphon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4569B2 (en) Adaptable audio devices and systems
US10129626B1 (en) Case including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using earphones
US10506324B2 (en) Wireless headset carrying case with digital audio output port
US10440460B2 (en) Wireless in-ear headphones
US20150070835A1 (en) Modular docking station
US7825626B2 (en) Integrated charger and holder for one or more wireless devices
EP338924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asy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headset with convenient charging
KR100659506B1 (en) Speaker system of portable electric equipment and wireless receiving pack for the same
US20120300962A1 (en) Solar Powered Wireless Bluetooth Stereo Speaker With connectivity To MP3 Player
US20030125075A1 (en) Desktop stand and mobile phone
US20060046656A1 (en) Bluetooth headset and bluetooth device connectable to audio equipment
TWM550006U (en) Wireless earphone set
US9832560B1 (en) Headset providing private and detachable loudspeaker audio and external device charging
US20180109864A1 (en) Bluetooth Headphone With Charging and Analog Pass Through Connector
KR101912899B1 (en) Portable speaker device with charger for wireless earphone
CN103533141A (en) Hands-free communication devices for cord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CN210112225U (en) Bluetooth wireless sharing system and Bluetooth wireless sharing earphone thereof
US10645477B2 (en) Audio systems
US20200196055A1 (en) System and method of use of connecting wireless speakers
CN212115613U (en) Earphone system
KR101561782B1 (en) Separated type docking speaker
KR101914539B1 (en) Earphon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KR20180002878U (en) Earphone device
US7881456B1 (en) Music phone, station, and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20057929A (en) Multi-power source wireless ear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ear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