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537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mergency Alert Message on Active Standby Mod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mergency Alert Message on Active Standby M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537B1
KR101561537B1 KR1020130005888A KR20130005888A KR101561537B1 KR 101561537 B1 KR101561537 B1 KR 101561537B1 KR 1020130005888 A KR1020130005888 A KR 1020130005888A KR 20130005888 A KR20130005888 A KR 20130005888A KR 101561537 B1 KR101561537 B1 KR 101561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criptor
mode
standby mode
broadcast
dis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8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93473A (en
Inventor
윤정미
이상학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05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537B1/en
Publication of KR20140093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4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5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수신 장치에서 전력 절감을 위한 대기 모드 운영이 가능하면서도 능동대기 모드에서 재난방송 경보 메시지의 처리 및 재난 방송 내용을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대기 모드 운영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송수신장치의 대기모드 관리방법은 방송수신장치가 능동대기모드에서 수신가능한 재난 경보 디스크립터(emergency_alert_descriptor)를 생성하는 단계 및 재난 경보 디스크립터를 방송수신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방송수신장치가 능동대기 모드에서 온모드로 전환하여 긴급 경고 메시지 처리 및 긴급 경고 방송 내용을 출력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by mode operation management method capable of operating in a stand-by mode for power saving in 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capable of processing a disaster broadcast alarm message and outputting disaster broadcast contents in an active standby mode. The standby mode management method of 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enerating a emergency alert descriptor (emergency_alert_descriptor) capable of receiving 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n an active standby mode and transmitting the emergency alert descriptor to 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he device is switched from the active standby mode to the on mode so that the emergency alert message processing and emergency alert broadcast contents are output.

Description

능동대기모드에서 재난 경보 메시지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mergency Alert Message on Active Standby Mod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disaster alarm message in an active standby mode,

본 발명은 방송수신 장치에서 전력 절감을 위한 대기 모드 운영이 가능하면서도 능동대기 모드에서 재난 경보 메시지의 처리 및 재난 방송 내용을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대기 모드 운영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by mode operation management method capable of operating in a standby mode for power saving in 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capable of processing a disaster alarm message and outputting contents of a disaster broadcast in an active standby mode.

셋톱박스는 방송신호를 지상파, 위성, 케이블, 인터넷을 통해 수신하고 이를 AV 컨텐츠로 분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셋톱박스는 모든 동작을 수행하는 정상모드, 일부 기능만 수행하는 대기모드 및 전원이 꺼져 있어 모든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오프모드를 가지고 있다. 전력소비는 정상모드, 대기모드 및 오프모드 순으로 작아진다. 상기 셋톱박스는 정상모드에 있으면 전력소비가 커지고 오프모드로 있으면 부팅소요시간이 길어져 사용에 불편한 단점이 있기 때문에, 주로 대기모드 상태에서 동작 신호를 입력받을 때까지 대기한다. The set-top box receives broadcasting signals through terrestrial, satellite, cable and internet, separates them into AV contents, and outputs them to a display device. The set-top box has a normal mode in which all operations are performed, a standby mode in which only some functions are performed, and an off mode in which all operations can not be performed because the power is off. The power consumption decreases in the order of the normal mode, the standby mode and the off mode. When the set-top box is in the normal mode, the power consumption increases. When the set-top box is in the off mode, the boot time becomes long and it is inconvenient to use.

상기 셋톱박스는 대기모드에서는 정상모드의 소비전력의 70~80%만을 소비하고 있지만, 정상모드 및 대기모드에서 모두 전력을 소비하고 있다. 또한, 전 세계는 에너지 절약 및 환경 보호라는 초국가적인 깃발아래 소비전력 규제들을 강화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각국은 상기 셋톱박스의 대기모드를 의무화하여 전력 낭비를 막을 수 있는 기술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The set-top box consumes only 70 to 80%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normal mode in the standby mode, but consumes power in both the normal mode and the standby mode. In addition, the world has shown a tendency to tighten power consumption regulations under the transnational banner of energy conservation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Accordingly, each country is required to develop a technology capable of preventing power waste by imposing a standby mode of the set-top box.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셋톱박스가 대기모드에서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여 전력소비를 감소시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KR 2012-0116727A의 외부 시그널링에 의한 방송수신장치 대기모드 관리방법은 방송사와의 사전 정보교환을 통해 방송정보 업데이트 등의 관리정보 수신시간을 사전에 인지한 후 수동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관리정보 수신시간에 자동적으로 수동대기모드에서 능동대기모드로 복귀하여 상기 관리정보를 수신하도록 하였다. 본 특허는 정상모드, 능동대기모드 및 수동대기모드인지 판단하고 백그라운드 기능 즉, 상기 관리정보 수신시간인지 판단하는 단계(S180)를 거침으로써, 셋톱박스가 대기모드에서도 특정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in which the set-top box performs its function in the standby mod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standby mode management method using external signaling according to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KR 2012-0116727A is a method of managing standby mode by exchanging advance information with a broadcasting company and recognizing the reception time of management information such as broadcasting information update in advance and then switching to a passive standby mode , And automatically returns from the passive standby mode to the active standby mode at the management information reception time to receive the management information. The present patent determines whether it is a normal mode, an active standby mode, or a passive standby mode,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a background function, that is, the management information reception time (S180) I am suggesting.

한편,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지상파 방송 시스템에서는 지진, 홍수 등의 자연 재해나, 테러 또는 방화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긴급 상황을 알리는 재난 경보 메시지(Emergency Alert Message: EAM)를 전송한다. 방송 수신기는 상기 재난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여 긴급 경고 방송 채널(details channel)로의 변경 및/또는 텍스트, 음성 형태의 재난 방송에 관련된 내용을 출력하여야 한다. 즉, 긴급 경고 메시지를 처리하고 이에 대한 방송의 내용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방송수신기는 대기모드에서 온모드로 전환하여야 한다. Meanwhile, in a cable broadcasting system and a terrestrial broadcasting system, an emergency alert message (Emergency Alert Message: EAM) is transmitted to notify an emergency when a natural disaster such as an earthquake or a flood, or an emergency such as terrorism or arson occurs. The broadcast receiver must receive and process the emergency alert message to change the emergency alert channel to an emergency alert channel and / or output content related to a disaster broadcast in the form of text or voice. That is, in order to process the emergency alert message and output the contents of the broadcast, the broadcast receiver must switch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on mode.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KR 2012-0116727A에서는 능동대기 모드에서 A/V 디코더 및 출력부의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바 능동 대기 모드에서조차 재난 경보 메시지에 대한 대처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However,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KR 2012-0116727A has a problem that the function of the A / V decoder and the output unit is not performed in the active standby mode, but the emergency alarm message can not be coped even in the active standby mode.

본 발명의 목적은 능동대기모드에서도 긴급 경고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하는 셋톱박스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t-top box and a method for processing an emergency warning message even in an active standby mo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능동대기모드에서의 긴급 경고 메시지 처리를 위해 온모드 전환을 위한 외부 시그널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external signaling for on-mode switching for processing an emergency alert message in active standby mode.

본 발명의 실시의 일 측면에서 방송수신장치가 능동대기모드에서 수신가능한 재난 경보 디스크립터(emergency_alert_descriptor)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디스크립터를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대기모드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generating an emergency alert descriptor (emergency_alert_descriptor) capable of receiving 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n an active standby mode; And transmitting the descriptor generated in the generating step to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크립터는 현재 재난방송 관련 정보가 방송사업자의 헤드엔드로부터 송신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대기모드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Preferably, the descriptor indicates that current disaster-rel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a head end of a broadcasting company.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크립터는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능동대기모드상태에서 수신시 온모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대기모드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Preferably, the descriptor controls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o return from the active standby mode to the on-mode upon recep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크립터는 방송 데이터 서비스 규격의 NIT(Network Information Table)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대기모드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Preferably, the descriptor is included in an NIT (Network Information Table) of a broadcast data service standard.

본 발명의 실시의 다른 측면에서 능동대기모드에서 수신되는 스트림 신호 중 재난 경보 디스크립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검사결과 재난 경보 디스크립터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기의 전원 상태를 온모드로 복귀시키는 단계; 정상모드 복귀 후 재난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etecting a disaster alert descriptor, the method comprising: checking whether a disaster alert descriptor exists among stream signals received in an active standby mode; Returning the power state of the receiver to the on mode when the disaster alert descriptor is received as a result of the check; And receiving and processing a disaster alarm message after returning to the normal mode.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크립터는 현재 재난방송 관련 정보가 방송사업자의 헤드엔드로부터 송신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Preferably, the descriptor indicates that current disaster-rel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a head end of a broadcasting company.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크립터는 방송 데이터 서비스 규격의 NIT(Network Information Table)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Preferably, the descriptor is included in an NIT (Network Information Table) of a broadcast data service standard.

본 발명의 실시의 또다른 측면에서 방송신호를 선국하는 튜너; 상기 튜너를 통해 선국된 방송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 능동대기모드에서 수신되는 스트림 신호 중 재난 경보 디스크립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방송수신장치를 온 모드로 전환시켜 재난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uner for tuning a broadcast signal; A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a broadcast signal selected through the tuner; And a processor for converting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nto an on mode when receiving a disaster alert descriptor among the stream signals received in the active standby mode, and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disaster alert message.

본 발명은 방송수신기가 능동대기모드에서 재난 경보 메시지가 있는 경우 온모드로 전환하여 긴급 방송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broadcast receiver has an emergency alert message in an active standby mode, the broadcast receiver switches to an on mode and provides urgent broadcasting to a user.

본 발명은 방송수신기가 대기모드의 운영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면서도 재난 경보 메시지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broadcast receiver to cope with a disaster alarm message while effectively managing the operation of the standby mode.

도 1은 종래의 셋톱박스 모드 전환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셋톱박스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외부 시그널링 디스크립터들을 나열한 도면이다.
도 5는 전력 관리 디스크립터(power_management_descriptor)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단말 전력 모드(terminal_power_mode)에 수록되는 정보의 설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서비스 모드(service_mode)에 수록되는 정보의 설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펌웨어 업데이트 디스크립터(fw_update_descriptor)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EIT 업데이트 디스크립터(EIT_update_descriptor)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EIT 타입(EIT_type)에 수록되는 정보의 설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단말 관리 디스크립터(terminal_management_descriptor)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재난 경보 디스크립터(emergency_alert_descriptor)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외부 시그널링 및 내부 타이머에 따라 능동대기모드와 수동대기모드 간 모드 전환과 외부 시그널링에 의한 능동대기모드에서의 온모드로의 전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flowchart showing a conventional method of switching a set-top box mod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roadcast service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3 is a block diagram of the set-top box shown in FIG.
Figure 4 is a diagram listing external signaling descriptors.
5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power management descriptor (power_management_descriptor).
6 is a diagram showing a description of information stored in a terminal power mode (terminal_power_mode).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rvice mode (service_mode).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firmware update descriptor (fw_update_descriptor).
9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n EIT update descriptor (EIT_update_descriptor).
10 is a diagram showing a description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IT type (EIT_type).
11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terminal management descriptor (terminal_management_descriptor).
12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emergency alert descriptor (emergency_alert_descriptor).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switching between an active standby mode and a passive standby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s external signaling and an internal timer, and switching to an on mode in an active standby mode by external signalin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n order to facilitat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means regardless of the number of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방송 시스템은 방송 사업자 헤드-엔드(10), 셋톱박스(100), TV(200) 및 리모콘(300)을 포함하여 구축된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roadcast service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he broadcasting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includes a broadcasting company head-end 10, a set-top box 100, a TV 200, and a remote controller 300.

도 2를 참조하면, 셋톱박스(100)은 인터넷, 케이블, 위성 등을 통해 방송 사업자 헤드엔드(1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디코딩하여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복원하고, 각 신호를 TV(200)로 제공한다. 2, the set-top box 100 decodes a broadcast signal received from the broadcasting company head end 10 through the Internet, a cable, a satellite, etc. to restore a video signal and a voice signal, ).

TV(200)는 셋톱박스(1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AV 출력장치의 일종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TV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 외에도 모니터 등과 같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AV 출력장치 기기를 모두 포함하여 적용될 수 있다. The TV 200 is a type of AV output device that outputs a video signal and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the set top box 100 through a display and a speaker. Although the TV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AV output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images such as a monitor.

리모콘(30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해당기기로 전달하는 사용자 입력장치로서, 리모콘(300)은 셋톱박스(100) 뿐만 아니라 TV(200)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도 이용된다.
The remote controller 300 is a user input device for receiving a command of a user and delivering it to the corresponding device. The remote controller 300 is used not only for the set-top box 100 but also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for the TV 200. [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셋톱박스를 참조부호 "100"으로 대표하여 도시한 블럭도이다. 셋톱박스(100)는 방송수신장치의 일종으로, 실시간 방송 서비스와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et-top box shown in Fig. 2 as a reference numeral "100 ". The set-top box 100 is a type of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can provide a real-time broadcasting service and a content providing servic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톱박스(100)는, 튜너(110), 복조부(115),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RTC(135), 전면패널(140), AV 출력부(145), 이더넷 인터페이스(150), IR 수신부(155), USB 인터페이스(160), 전원 제공부(170) 및 전원 제어부(175)를 구비한다. 3, the set-top box 100 includes a tuner 110, a demodulator 115, a memory 120, a processor 130, an RTC 135, a front panel 140, An Ethernet interface 150, an IR receiving unit 155, a USB interface 160, a power supply unit 170, and a power control unit 175.

튜너(110)는 지상파 안테나, 케이블, 위성 안테나, 인터넷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채널의 방송신호를 선국하고, 복조부(115)는 튜너(110)에서 선국된 방송신호를 복조한다.The tuner 110 selects a broadcast signal of a broadcast channel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broadcast signals received from a terrestrial antenna, a cable, a satellite antenna, the Internet, etc., and the demodulator 115 demodulates the broadcast signal selected by the tuner 110 Demodulate.

프로세서(130)는 복조부(115)에서 복조된 방송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SI(Service Information) 신호로 분리한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비디오 신호에 대해 비디오 디코딩과 신호처리를 수행하고, 오디오 신호에 대해 오디오 디코딩과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The processor 130 demultiplexes the demodulated broadcast signal into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SI (Service Information) signal in the demodulator 115.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performs video decoding and signal processing on the video signal, and performs audio decoding and signal processing on the audio signal.

또한, 프로세서(130)는 셋톱박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셋톱박스(100)의 동작 모드 전환을 제어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t-top box 100. In particular, the processor 130 controls switching of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top box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30)에 의한 디코딩과 신호처리에 필요한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RTC(Real Time Clock)(135)는 타이머로 기능한다.The memory 120 provides storage space required for decoding and signal processing by the processor 130. The RTC (Real Time Clock) 135 functions as a timer.

전면패널(140)은 셋톱박스(100)의 전면에 마련되는 패널로, 현재시간과 셋톱박스(10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명령을 직접 입력받기 위한 버튼들이 마련된다.The front panel 140 is a panel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set-top box 100 and includes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current time and an operation state of the set-top box 100, and buttons for directly inputting a user command.

뿐만 아니라, 전면패널(140)에는 후술할 IR 수신부(155)와 USB 인터페이스(160)가 위치한다.In addition, the front panel 140 is provided with an IR receiving unit 155 and a USB interface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V 출력부(145)는 프로세서(130)에서 디코딩 및 신호처리된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연결된 TV로 전달한다. AV 출력부(145)에 의한 AV 출력 방식은, Composite, Component, HDMI 및 DVI 등에 의할 수 있다.The AV output unit 145 transfers the audio signal decoded and signal-processed by the processor 130 and the video signal to the connected TV. The AV output method by the AV output unit 145 may be Composite, Component, HDMI, DVI, or the like.

이더넷 인터페이스(150)는 외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The Ethernet interface 150 provides a network interface for accessing an external network.

IR 수신부(155)는 리모컨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적외선으로 수신받아 프로세서(130)로 전달한다. USB 인터페이스(160)는 USB 규격에 따라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The IR receiving unit 155 receives the user command inputte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and transmits the user command to the processor 130. The USB interface 160 is connect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USB standard.

전원 제공부(170)는 셋톱박스(100)에 마련된 블럭들(110, 115, 120, 130, 135, 140, 145, 150, 155 및 160)에 필요한 전원을 인가한다.The power supply unit 170 applies power to the blocks 110, 115, 120, 130, 135, 140, 145, 150, 155 and 160 provided in the set top box 100.

전원 제어부(175)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결정되는 셋톱박스(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전원 제공부(170)의 전원 인가 동작을 제어한다. 전원 인가 동작 제어는, 전원 제공부(170)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는 블럭들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75 controls the power supply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17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 top box 100 determined by the processor 130. The power supply operation control is performed by a method of limiting the blocks to which the power supply is applied by the power supply controller 170.

상기 셋톱박스의 동작모드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셋톱박스(100)은 전력소비 절감을 위해 4가지 동작모드를 가지는데, 정상모드, 능동대기모드, 수동대기모드 및 오프모드이다.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top box will be described below. The set-top box 100 has four operation mode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a normal mode, an active standby mode, a passive standby mode, and an off mode.

상기 셋톱박스(100)의 동작모드를 살펴보기에 앞서, 상기 각각의 동작모드에 따라 수행하는 기능이 달라지는데, 그 기능에 대해서 먼저 정의하고 동작모드를 살펴본다. Prior to examin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 top box 100, function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spective operation modes are different. First, the functions are defined and the operation modes are examined.

상기 셋톱박스(100)의 기능은 주기능 및 백그라운드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주기능은 사용자를 위한 기능으로서, 방송제공, VOD제공, 녹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백그라운드기능은 상기 셋톱박스(100)을 위한 기능으로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EIT(Event Information Table) 업데이트, 셋톱박스 관리 등을 포함한다. The functions of the set-top box 100 include a main function and a background function. The main function is a function for a user and includes broadcasting, VOD, recording, user application execution, and user application downloading. The background function is a function for the set-top box 100 and includes software update, EIT (Event Information Table) update, set-top box management, and the like.

상기 온모드(Active mode)는 상기 셋톱박스(100)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고 주기능과 백그라운드기능 모두를 수행할 수 있는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이다. 온모드에서,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를 오프하면 상기 셋톱박스(100)은 오프모드로 전환하고, 사용자가 OFF버튼을 입력하면 후술할 능동대기모드로 전환한다.The active mode is a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set-top box 100 and normal service can be performed to perform both the main function and the background function. In the on mode, when the user turns off the power switch, the set-top box 100 switches to the off mode, and when the user inputs the OFF button, the set-top box 100 switches to the active standby mode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능동대기모드(Active standby mode)는 상기 셋톱박스(100)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으며, 주기능은 수행할 수 없고 백그라운드기능만 수행할 수 있는 모드로서 APD(Auto Power Down) 정책이 수행되는 상태로서 리모콘이나 내부/외부 시그널링에 의해 다른 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 상태이다. 능동 대기 모드에서는 APD 정책이나 타임아웃(Timeout) 기법에 의해 수동 대기 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진다.In the active standby mode, power is supplied to the set-top box 100, the main function can not be performed, and only the background function can be performed. The APD (Auto Power Down) And can be switched to another mode by remote control or internal / external signaling. In the active standby mode, the switchover to the passive standby mode is performed by the APD policy or the timeout technique.

상기 수동대기모드(Passive standby mode)는 상기 셋톱박스(100)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으며, 주기능 및 백그라운드기능 모두 수행할 수 없는 모드이며, 리모콘 입력이나 내부 시그널링을 통해 다른 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 상태이다. 상기 셋톱박스(100)은 전면패널을 통해 현재시간과 동작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지 감지하는 기능 정도만 수행가능하다.The passive standby mode is a mode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set-top box 100 and both the main function and the background function can not be performed, and the mode can be switched to another mode through a remote control input or internal signaling State. The set-top box 100 can only perform a function of displaying the current time and the operation state through the front panel and detecting whether a user command is input.

상기 오프모드(Off mode)는 상기 셋톱박스(1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어떠한 기능도 수행할 수 없는 모드이다. 즉, 수동대기모드에서 수행되는 표시 기능 및 감지 기능도 전혀 수행되지 않는다.The off mode is a mode in which the set-top box 100 is not supplied with power and can not perform any function. That is, neither the display function nor the detection function performed in the passive standby mode is performed at all.

다음으로, 방송사업자의 헤드-엔드(10)가 제공하는 외부 시그널링의 규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시그널링 규격을 디지털 케이블방송의 데이터 서비스 규격은 디지털 유선방송 데이터 방송 잠정 표준의 확장규격 형태로, 디지털 위성방송 및 IPTV 데이터 서비스 규격은 DVB-SI 표준규격의 확장규격 형태로 제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제시된 표준규격 이외의 다른 표준규격에도 적용될 수 있음에 유념하여야 한다.
Next, the specification of the external signaling provided by the head end 10 of the broadcas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the data service standard of the digital cable broadcasting is an extension standard of the digital cable broadcasting data broadcasting provisional standard, the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and the IPTV data service standard is the extension standard of the DVB-SI standard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may be applied to other standard specifications other than the standard specification.

(1) 셋톱박스 대기모드용 외부 시그널링 디스크립터(1) External signaling descriptor for set-top box standby mode

도 4에는 셋톱박스(100)가 능동대기모드와 수동대기모드 간 모드 전환 조건 및 능동대기모드에서의 온모드 전환을 설정하기 참고하는 외부 시그널링 디스크립터들을 제시하였다. 이 디스크립터들은 방송 사업자의 헤드-엔드(10)에 의해 생성되어 셋톱박스(100)에 전송된다.FIG. 4 shows external signaling descriptors for setting the mode switching condition between the active standby mode and the passive standby mode and the on mode switching in the active standby mode. These descriptors are generated by the head-end 10 of the broadcaster and transmitted to the set-top box 1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시그널링 디스크립터들에는,As shown in Figure 4, in the external signaling descriptors,

1) 전력 관리 디스크립터(power_management descriptor),1) a power management descriptor,

2) 펌웨어 업데이트 디스크립터(fw_update_descriptor),2) a firmware update descriptor (fw_update_descriptor),

3) EIT 업데이트 디스크립터(EIT_update_descriptor),3) EIT update descriptor (EIT_update_descriptor),

4) 단말 관리 디스크립터(terminal_management_descriptor)4) Terminal management descriptor (terminal_management_descriptor)

5) 재난 경보 디스크립터(emergency_alert_descriptor) 5) Disaster alert descriptor (emergency_alert_descriptor)

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Is included.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외부 시그널링 디스크립터들에 대한 태그(Tag)들과 수록 위치(Position)들을 확인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4, tags and storage positions for external signaling descriptors can be confirmed.

이하에서, 외부 시그널링 디스크립터들 각각에 대해, 하나씩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of the external signaling descriptor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one by one.

(1-1) 전력 관리 디스크립터(power_management_descriptor) (1-1) Power Management Descriptor (power_management_descriptor)

도 5에는 전력 관리 디스크립터(power_management_descriptor)의 구조를 도시하였다. 전력 관리 디스크립터(power_management_descriptor)는, 셋톱박스(100)가 대기모드를 운용함에 있어 참고할 정보들이 수록된 디스크립터로서 방송 송수신 단말에서 지원하는 전력관리 모드와 해당 방송 사업자가 대기모드 관련 지원하는 외부 시그널링 목록을 나타낸다.FIG. 5 shows a structure of a power management descriptor (power_management_descriptor). The power management descriptor (power_management_descriptor) is a descriptor containing information to be referred to when the set-top box 100 operates in the standby mode, and represents a power management mode supported by the broadcast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and an external signaling list supported by the corresponding broadcasting company .

구체적으로, 전력 관리 디스크립터(power_management_descriptor)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립터 태그(descriptor_tag), 디스크립터 길이(descriptor_length), 단말 전력관리 모드(terminal_power_mode) 및 서비스 모드(service_mode)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information on a descriptor tag (descriptor_tag), a descriptor length (descriptor_length), a terminal power management mode (terminal_power_mode) and a service mode (service_mode) is stored in the power management descriptor (power_management_descriptor) have.

디스크립터 태그(descriptor_tag)는 전력 관리 디스크립터(power_management_descriptor)를 식별하기 위한 태그로, 도 4를 참조하면 '0x80' 임을 알 수 있다.The descriptor tag (descriptor_tag) is a tag for identifying the power management descriptor (power_management_descriptor), and it can be seen that it is '0x80' with reference to FIG.

디스크립터 길이(descriptor_length)는 전력 관리 디스크립터(power_management_descriptor)의 길이에 대한 정보이다.The descriptor length (descriptor_length) is information on the length of the power management descriptor (power_management_descriptor).

단말 전력 모드(terminal_power_mode)에는, 셋톱박스(100)에서 지원해야 하는 대기모드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다. 구체적으로, 단말 전력 모드(terminal_power_mode)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0', '1' 또는 '2' 가 수록되는데,In the terminal power mode (terminal_power_mode), information about a standby mode to be supported by the set top box 100 is stored. Specifically, '0', '1' or '2' is recorded in the terminal power mode (terminal_power_mode) as shown in FIG. 6,

1) '0'은 셋톱박스(100)가 항상 온모드로 동작하여야 하는 경우(즉, 셋톱박스(100)가 대기모드를 지원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1) '0' indicates that the set-top box 100 should always be in the on-mode (that is, when the set-top box 100 does not need to support the standby mode)

2) '1'은 셋톱박스(100)가 대기모드로 수동-대기모드를 지원해야 하는 경우,2) '1' indicates that when the set-top box 100 is to be in the standby mode and supports the manual-standby mode,

3) '2'는 셋톱박스(100)가 대기모드로 수동-대기모드 외에 능동-대기모드도 지원해야 하는 경우를 나타낸다.3) '2' indicates that the set-top box 100 should support the active-standby mode in addition to the passive-standby mode in the standby mode.

서비스 모드(service_mode)에는 방송 사업자의 헤드-엔드(10)가 제공하는 외부 시그널링 디스크립터들을 안내하기 위한 목록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다. 즉, 서비스 모드(service_mode)에 수록되는 정보는, 셋톱박스(100)가 능동-대기모드에서 수행가능한 백그라운드-기능들 및 재난방송정보 수신을 위한 온모드 전환에 대한 정보라 할 수 있다.The service mode (service_mode) contains information about a list for guiding external signaling descriptors provided by the headend 10 of the broadcaster. In other words,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rvice mode (service_mode) may be information on the background-functions that the set-top box 100 can perform in the active-standby mode and on-mode switching for receiving disaster broadcasting information.

서비스 모드(service_mode)에 수록되는 정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서비스 모드(service_mode)에 'F' 는 펌웨어 업데이트 디스크립터(fw_update_descriptor)를, E는 EIT 업데이트 디스크립터(EIT_update_descriptor)를, M은 단말 관리 디스크립터(terminal_management_descriptor)를 D는 재난 경보 디스크립터(emergency_alert_descriptor)로 외부 시그널링이 제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ice mode (service_mode) is as shown in FIG. In the service mode, 'F' is a firmware update descriptor (fw_update_descriptor), E is an EIT update descriptor (EIT_update_descriptor), M is a terminal management descriptor (terminal_management_descriptor), and D is an external emergency signaling descriptor (emergency_alert_descriptor) .

(1-2) 펌웨어 업데이트 디스크립터(fw_update_descriptor)(1-2) Firmware update descriptor (fw_update_descriptor)

도 8에는 펌웨어 업데이트 디스크립터(fw_update_descriptor)의 구조를 도시하였다. 펌웨어 업데이트 디스크립터(fw_update_descriptor)는, 셋톱박스(100)가 능동대기모드에서 수행할 펌웨어 업데이트에 대한 관련 정보가 수록된 디스크립터이다.FIG. 8 shows the structure of the firmware update descriptor (fw_update_descriptor). The firmware update descriptor (fw_update_descriptor) is a descriptor containing related information about firmware update to be performed in the active standby mode by the set top box 100.

구체적으로, 펌웨어 업데이트 디스크립터(fw_update_descriptor)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립터 태그(descriptor_tag), 디스크립터 길이(descriptor_length), 시작 시간(start_time), 유효 기간(duration)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firmware update descriptor fw_update_descriptor includes information on a descriptor tag (descriptor_tag), a descriptor length (descriptor_length), a start time (start_time), and a duration as shown in FIG.

디스크립터 태그(descriptor_tag)는 펌웨어 업데이트 디스크립터(fw_update_descriptor)를 식별하기 위한 태그로, 도 4를 참조하면 '0x81' 임을 알 수 있다.The descriptor tag (descriptor_tag) is a tag for identifying the firmware update descriptor (fw_update_descriptor), and it can be seen that it is '0x81' with reference to FIG.

디스크립터 길이(descriptor_length)는 펌웨어 업데이트 디스크립터(fw_update_descriptor)의 길이에 대한 정보이다.The descriptor length (descriptor_length) is information on the length of the firmware update descriptor (fw_update_descriptor).

시작 시간(start_time)에는 셋톱박스(100)의 펌웨어 업데이트 시작 시간, 즉, 방송 사업자의 헤드-엔드(10)가 셋톱박스(100)에 업데이트된 펌웨어를 제공하기 시작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다. 시작 시간(start_time)의 포맷은 UTC(Universal Time, CO-ordinated)와 MJD(Modified Julian Date)의 조합을 사용한다.The start time (start_time) stores information on the firmware update start time of the set-top box 100, that is, the time when the head-end 10 of the broadcaster starts to provide the updated firmware to the set-top box 100 . The format of the start time (start_time) uses a combination of UTC (Universal Time, CO-ordinated) and MJD (Modified Julian Date).

유효 기간(duration)에는 셋톱박스(100)의 펌웨어 업데이트 유효 기간, 즉, 방송 사업자의 헤드-엔드(10)가 셋톱박스(100)에 업데이트된 펌웨어를 제공하는 기간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다. 유효 기간(duration)은 시간, 분, 초를 나열한 코드로(예를 들어, 01:45:30를 0x014530로) 나타낼 수 있다.
The valid dur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firmware update valid period of the set-top box 100, that is, the period during which the head-end 10 of the broadcaster provides the updated firmware to the set-top box 100. The duration can be expressed as a code listing hours, minutes, and seconds (for example, 01:45:30 to 0x014530).

(1-3) EIT 업데이트 디스크립터(EIT_update_descriptor)(1-3) EIT update descriptor (EIT_update_descriptor)

도 9에는 EIT 업데이트 디스크립터(EIT_update_descriptor)의 구조를 도시하였다. EIT 업데이트 디스크립터(EIT_update_descriptor)는, 셋톱박스(100)가 능동-대기모드에서 수행할 EIT 업데이트에 대한 관련 정보가 수록된 디스크립터이다.FIG. 9 shows a structure of an EIT update descriptor (EIT_update_descriptor). The EIT update descriptor (EIT_update_descriptor) is a descriptor in which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EIT update to be performed by the set top box 100 in the active-standby mode is stored.

구체적으로, EIT 업데이트 디스크립터(EIT_update_descriptor)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립터 태그(descriptor_tag), 디스크립터 길이(descriptor_length), EIT 타입(EIT_type), 이전 디스크립터 번호(last_descriptor_number), 시작 시간(start_time), 유효 기간(duration)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15, the EIT update descriptor EIT_update_descriptor includes a descriptor tag descriptor_length, an EIT type EIT_type, a previous descriptor number last_descriptor_number, a start_time, Information on the duration is included.

디스크립터 태그(descriptor_tag)는 EIT 업데이트 디스크립터(EIT_update_descriptor)를 식별하기 위한 태그로, 도 4를 참조하면 '0x82' 임을 알 수 있다.The descriptor tag (descriptor_tag) is a tag for identifying the EIT update descriptor (EIT_update_descriptor), which is '0x82' referring to FIG.

디스크립터 길이(descriptor_length)는 EIT 업데이트 디스크립터(EIT_update_descriptor)의 길이에 대한 정보이다.The descriptor length (descriptor_length) is information on the length of the EIT update descriptor (EIT_update_descriptor).

EIT 타입(EIT_type)에는 송출할 EIT의 타입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EIT 타입(EIT_type)에 '1'이 수록된 경우는 EIT가 EIT p/f 타입인 경우이고, 2) EIT 타입(EIT_type)에 '0'이 수록된 경우는 EIT가 EIT sch 타입인 경우이다.The EIT type (EIT_type)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EIT to be transmitted.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0, 1) EIT type (EIT_type) includes '1' in the case where EIT is EIT p / f type and 2) EIT type In this case, the EIT is the EIT sch type.

이전 디스크립터 번호(last_descriptor_number)에는 마지막으로 송출된 EIT의 버전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다.In the previous descriptor number (last_descriptor_number), information on the version of the last transmitted EIT is recorded.

시작 시간(start_time)에는 셋톱박스(100)의 EIT 업데이트 시작 시간, 즉, 방송 사업자의 헤드-엔드(10)가 셋톱박스(100)에 업데이트된 EIT를 제공하기 시작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다. 시작 시간(start_time)의 포맷은 UTC(Universal Time, CO-ordinated)와 MJD(Modified Julian Date)의 조합을 사용한다.In the start time (start_time), information on the EIT update start time of the set top box 100, that is, the time when the head end 10 of the broadcasting company starts providing the updated EIT to the set top box 100 is recorded . The format of the start time (start_time) uses a combination of UTC (Universal Time, CO-ordinated) and MJD (Modified Julian Date).

유효 기간(duration)에는 셋톱박스(100)의 EIT 업데이트 유효 기간, 즉, 방송 사업자의 헤드-엔드(10)가 셋톱박스(100)에 업데이트된 EIT를 제공하는 기간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다. 유효 기간(duration)은 시간, 분, 초를 나열한 코드로(예를 들어, 01:45:30를 0x014530로) 나타낼 수 있다.
The valid dur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EIT update valid period of the set top box 100, that is, the period during which the head end 10 of the broadcasting company provides the updated EIT to the set top box 100. The duration can be expressed as a code listing hours, minutes, and seconds (for example, 01:45:30 to 0x014530).

(1-4) 단말 관리 디스크립터(terminal_management_descriptor)(1-4) Terminal management descriptor (terminal_management_descriptor)

도 11에는 단말 관리 디스크립터(terminal_management_descriptor)의 구조를 도시하였다. 단말 관리 디스크립터(terminal_management_descriptor)는, 셋톱박스(100)가 능동-대기모드에서 수행할 셋톱박스(100) 관리를 위한 관련 정보가 수록된 디스크립터이다.FIG. 11 shows a structure of a terminal management descriptor (terminal_management_descriptor). The terminal management descriptor (terminal_management_descriptor) is a descriptor containing related information for management of the set top box 100 to be performed by the set top box 100 in the active-standby mode.

구체적으로, 단말 관리 디스크립터(terminal_management_descriptor)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립터 태그(descriptor_tag), 디스크립터 길이(descriptor_length), 가입자 ID(subscriber_id), 개별 데이터(private_data_byte) 가 수록되어 있다.Specifically, a terminal descriptor_tag, a descriptor_length, a subscriber_id, and individual data (private_data_byte) are stored in the terminal management descriptor (terminal_management_descriptor) as shown in FIG.

디스크립터 태그(descriptor_tag)는 단말 관리 디스크립터(terminal_management_descriptor)를 식별하기 위한 태그로, 도 4를 참조하면 '0x84' 임을 알 수 있다.The descriptor tag (descriptor_tag) is a tag for identifying the terminal management descriptor (terminal_management_descriptor), and it can be seen that it is '0x84' with reference to FIG.

디스크립터 길이(descriptor_length)는 단말 관리 디스크립터(terminal_management_descriptor)의 길이에 대한 정보이다.The descriptor length (descriptor_length) is information on the length of the terminal management descriptor (terminal_management_descriptor).

가입자 ID(subscriber_id)는 가입자 단말기 식별 아이디이다.The subscriber_id is a subscriber terminal identification ID.

개별 데이터(private_data_byte)에는 셋톱박스(100)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정보로, 구체적인 내용은 방송 사업자에 의해 정의된다.
The individual data (private_data_byte) is information necessary for managing the set-top box 100, and the specific contents are defined by the broadcasting company.

(1-5) 재난 경보 디스크립터(emergency_alert_descriptor)(1-5) Disaster alert descriptor (emergency_alert_descriptor)

도 12에는 재난 경보 디스크립터(emergency_alert_descriptor)의 구조를 도시하였다. 재난 경보 디스크립터(emergency_alert_descriptor)는, 셋톱박스(100)가 재난방송정보 수신을 위한 온모드 전환을 위한 시그널링을 위한 디스크립터이다. 현재 재난방송 관련 정보가 방송사업자의 헤드엔드로부터 송신됨을 나타내고 있어 방송수신장치가 능동대기모드상태에서 수신시 온모드로 복귀하여 재난 관련 메시지를 수신처리하여 이에 대한 방송의 내용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IG. 12 shows the structure of the emergency_alert_descriptor. The emergency alert descriptor (emergency_alert_descriptor) is a descriptor for signaling for the on-mode switching for the set-top box 100 to receive disaster broadcas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urrent disaster-rel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head end of the broadcasting company, the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returns from the active standby mode to the receiving-on mode, receives the disaster related message, and outputs the content of the broadcast The purpose.

구체적으로, 재난 경보 디스크립터(emergency_alert_descriptor)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립터 태그(descriptor_tag), 디스크립터 길이(descriptor_length)가 수록되어 있다.Specifically, a descriptor tag (descriptor_tag) and a descriptor length (descriptor_length) are recorded in the emergency alert descriptor (emergency_alert_descriptor) as shown in FIG.

디스크립터 태그(descriptor_tag)는 재난 경보 디스크립터(emergency_alert_descriptor)를 식별하기 위한 태그로, 도 4를 참조하면 '0x85' 임을 알 수 있다.The descriptor tag (descriptor_tag) is a tag for identifying the emergency alert descriptor (emergency_alert_descriptor). Referring to FIG. 4, the tag is '0x85'.

디스크립터 길이(descriptor_length)는 재난 경보 디스크립터(emergency_alert_descriptor)의 길이에 대한 정보이다.
The descriptor length (descriptor_length) is information on the length of the emergency alert descriptor (emergency_alert_descriptor).

셋톱박스 모드 전환에서는, 방송과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사업자의 헤드-엔드(10)의 외부 시그널링 및 내부 타이머에 따라 능동대기모드와 수동대기모드 간 모드 전환과 외부 시그널링에 의한 능동대기모드에서의 온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데, 이하에서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set-top box mode switching, mode switching between the active standby mode and the passive standby mode according to the external signaling of the head-end 10 of the broadcasting company providing the broadcasting and contents and the internal timer, Mode,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 모드 전환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FIG. 13 is a flowchart provided in a description of a method for switching a set-top box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톱박스(100)가 온모드로 동작하는 중에(S410), 사용자에 의해 리모콘 또는 셋톱박스의 판넬의 OFF 버튼이 입력되면(S420-Y), 프로세서(130)는 셋톱박스(100)의 동작 모드를 온모드에서 능동대기모드로 전환시킨다(S430).As shown in FIG. 13, when the set-top box 100 is operated in the ON mode (S410), when the OFF button of the panel of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set-top box is inputted by the user (S420-Y)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 top box 100 is switched from the on mode to the active standby mode (S430).

S430단계에 의해 능동대기모드로 전환된 셋톱박스(100)는 주-기능 수행이 불가능하고, 백그라운드-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t-top box 100, which has been switched to the active standby mode in step S430, can not perform the main function and can perform only the background function.

백그라운드-기능에는, 셋톱박스 S/W 업데이트, EIT 업데이트 및 셋톱박스 관리가 포함된다고 전술한 바 있는데, 방송 사업자의 헤드-엔드(10)는 외부 시그널링으로 셋톱박스(100)에 셋톱박스 S/W 업데이트 시간, EIT 업데이트 시간 및 셋톱박스 관리 시간을 안내한다.The background func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o include set-top box S / W update, EIT update, and set-top box management. The head-end 10 of the broadcaster has external set- Update time, EIT update time, and set-top box management time.

따라서, 셋톱박스(100)가 능동-대기모드로 전환되면, 프로세서(130)는 APD(Auto Power Down) 데몬을 실행시켜 방송 사업자의 헤드-엔드(10)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시그널링을 참고하여 백그라운드-기능 수행시간을 결정한다.Accordingly, when the set-top box 100 is switched to the active-standby mode, the processor 130 executes the APD (Auto Power Down) daemon to refer to the external signaling received from the head-end 10 of the broadcaster, And determines the function execution time.

한편, 능동대기모드에서 재난 경보 디스크립터를 수신하면(S440-Y), 프로세서(130)는 셋톱박스(100)의 동작 모드를 온모드로 전환시켜(S310), 현재 방송사업자의 헤드엔드로부터 송출되고 있는 재난방송 관련 메시지를 수신할 뿐만 아니라, 긴급 경고 방송 채널(details channel)로의 변경 및/또는 긴급 경고 방송 관련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 및 디코딩하여 긴급 경고에 관련된 내용을 출력하도록 한다. 반면, 능동대기모드에서 재난경보 디스크립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사용자의 ON 버튼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450).On the other hand, when receiving the emergency alert descriptor in the active standby mode (S440-Y), the processor 130 changes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top box 100 to the on mode (S310) Not only receives the emergency broadcast related message, but also receives and decodes at least one of audio data, video data, and character data related to the change to the emergency alert channel and / or the emergency alert broadcast, . On the other hand, if the emergency alert descriptor is not received in the active standby mod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ON button input by the user (S450).

S450단계에서 능동대기모드 중 사용자 ON 버튼이 입력되면(S450-Y), 프로세서(130)는 셋톱박스(100)의 동작 모드를 온모드로 전환시킨다(S410). 반면, 능동-대기모드에서 사용자 ON 버튼이 입력되지 않으면(S440-N), 프로세서(130)는 셋톱박스(100)에서 백그라운드-기능이 수행중인지 판단한다(S460).If the user ON button is input during the active standby mode (S450-Y), the processor 130 changes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top box 100 to the ON mode (S410). If the user ON button is not input in the active-standby mode (S440-N), the processor 130 determines whether the background-function is being performed in the set-top box 100 (S460).

S460단계에서 백그라운드-기능이 수행중인 것으로 판단되면(S460-Y), 프로세서(130)는 셋톱박스(100)의 동작모드를 능동-대기모드로 유지시킨다(S43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60 that the background-function is being performed (S460-Y), the processor 130 maintains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top box 100 in the active-standby mode (S430).

반면, S460단계에서 백그라운드-기능 수행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S460-N), 프로세서(130)는 셋톱박스(100)의 동작모드를 수동 대기모드로 전환시킨다(S47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60 that the background function is not being performed (S460-N), the processor 130 switches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top box 100 to the passive standby mode (S470).

셋톱박스(100)가 수동 대기모드로 전환되면, 프로세서(130)는 다음 백그라운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동 대기 모드에서 능동대기로 상태 천이하기 위한 타이머를 동작시킨다.When the set top box 100 is switched to the passive standby mode, the processor 130 operates a timer for transitioning from the passive standby mode to the active standby mode to perform the next background function.

S470단계에 의해 수동-대기모드로 전환된 셋톱박스(100)는 주-기능은 물론 백그라운드-기능도 수행할 수 없다.The set-top box 100 switched to the passive-standby mode by step S470 can not perform the main function as well as the background function.

한편, 수동-대기모드에서 사용자의 ON 버튼이 입력되면(S480-Y), 프로세서(130)는 셋톱박스(100)의 동작 모드를 온모드로 전환시킨다(S410).Meanwhile, when the ON button of the user is input in the passive-standby mode (S480-Y), the processor 130 changes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top box 100 to the ON mode (S410).

반면, 수동-대기모드에서 사용자의 ON 버튼이 이 입력되지 않으면(S480-N), 프로세서(130)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백그라운드-기능 수행시간이 도래하였는지 판단한다(S490).If the ON button of the user is not input in the passive-standby mode (S480-N), the processor 130 determines whether the background-function execution time has arrived by using the timer (S490).

S490단계에서 백그라운드-기능 수행시간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S490-Y), 프로세서(130)는 셋톱박스(100)의 동작 모드를 능동-대기모드로 전환시킨다(S430).If it is determined in S490 that the background-function execution time has arrived (S490-Y), the processor 130 switches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top box 100 to the active-standby mode (S430).

반면, S490단계에서 백그라운드-기능 수행시간이 도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490-N), 프로세서(130)는 셋톱박스(100)의 동작 모드를 수동-대기모드로 유지시킨다(S47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90 that the background-function execution time has not arrived (S490-N), the processor 130 maintains the operation mode of the set-top box 100 in the passive-standby mode (S47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10: 방송 사업자 헤드엔드 100: 셋톱박스
110: 튜너 115: 복조부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135: RTC 140: 전면패널
145: A/V 출력부 150: 이더넷 인터페이스
155: IR 수신부 160: USB 인터페이스
170: 전원 제공부 175: 전원 제어부
200: TV 300: 리모콘
10: Broadcaster headend 100: Set-top box
110: Tuner 115: Demodulator
120: memory 130: processor
135: RTC 140: Front panel
145: A / V output unit 150: Ethernet interface
155: IR receiver 160: USB interface
170: Power supply unit 175: Power supply control unit
200: TV 300: Remote control

Claims (8)

방송수신장치가 능동대기모드에서 수신가능한 재난 경보 디스크립터(emergency_alert_descriptor)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디스크립터를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립터는,
현재 재난방송 관련 정보가 방송사업자의 헤드엔드로부터 송신됨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능동대기모드상태에서 수신시 온모드로 복귀하여 재난 관련 메시지를 수신처리하고 재난방송의 내용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디스크립터는 방송 데이터 서비스 규격의 NIT(Network Information Table)에 포함되고,
상기 방송수신장치는,
수동대기모드상태에서 백그라운드 기능 수행시간이 도래하면, 동작 모드를 능동대기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디스크립터가 수신되었는지 확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대기모드 관리방법.
Generating a emergency alert descriptor (emergency_alert_descriptor) capable of receiving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n the active standby mode;
And transmitting the descriptor generated in the generating step to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he above-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returns from the active standby mode to the on-mode when receiving the disaster-related information, receives the disaster-related message, and outputs the contents of the disaster broadcast ,
The descriptor is included in an NIT (Network Information Table) of the broadcast data service standard,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includes:
When the background function execution time arrives in the passive standby mode, the active mode is switched to the active standby mode to confirm whether the descriptor has been received
Wherein the standby mode management method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능동대기모드에서 수신되는 스트림 신호 중 재난 경보 디스크립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검사결과 재난 경보 디스크립터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기의 전원 상태를 온모드로 복귀시키는 단계;
정상모드 복귀 후 재난방송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립터는,
현재 재난방송 관련 정보가 방송사업자의 헤드엔드로부터 송신됨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수신기가 능동대기모드상태에서 수신시 온모드로 복귀하여 재난 관련 메시지를 수신처리하고 재난방송의 내용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디스크립터는 방송 데이터 서비스 규격의 NIT(Network Information Table)에 포함되고,
수동대기모드상태에서 백그라운드 기능 수행시간이 도래하면, 동작 모드를 능동대기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디스크립터가 수신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처리 방법.
Checking whether a disaster warning descriptor among the stream signals received in the active standby mode exists;
Returning the power state of the receiver to the on mode when the disaster alert descriptor is received as a result of the check;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emergency broadcast alarm message after returning to the normal mode
Lt; / RTI >
The above-
Rel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head end of the broadcasting company, the receiver returns from the active standby mode to the on-mode upon receipt, receives the disaster related message, and outputs the content of the disaster broadcast,
The descriptor is included in an NIT (Network Information Table) of the broadcast data service standard,
And if the background function execution time arrives in the passive standby mode,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active standby mode to confirm whether the descriptor has been received
Wherein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방송신호를 선국하는 튜너;
상기 튜너를 통해 선국된 방송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
능동대기모드에서 수신되는 스트림 신호 중 재난 경보 디스크립터를 수신하는 경우 방송수신장치를 온 모드로 전환시켜 재난방송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립터는,
현재 재난방송 관련 정보가 방송사업자의 헤드엔드로부터 송신됨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능동대기모드상태에서 수신시 온모드로 복귀하여 재난 관련 메시지를 수신처리하고 재난방송의 내용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디스크립터는 방송 데이터 서비스 규격의 NIT(Network Information Table)에 포함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수동대기모드상태에서 백그라운드 기능 수행시간이 도래하면, 동작 모드를 능동대기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디스크립터가 수신되었는지 확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A tuner for tuning a broadcast signal;
A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a broadcast signal selected through the tuner;
And a processor for receiving a disaster alarm message from a stream signal received in an active standby mode and switching the broadcast receiver apparatus to an on mode to receive and process a disaster broadcast alarm message,
The above-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returns from the active standby mode to the on-mode when receiving the disaster-related information, receives the disaster-related message, and outputs the contents of the disaster broadcast ,
The descriptor is included in an NIT (Network Information Table) of the broadcast data service standard,
The processor comprising:
When the background function execution time arrives in the passive standby mode, the active mode is switched to the active standby mode to confirm whether the descriptor has been received
And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KR1020130005888A 2013-01-18 2013-01-18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mergency Alert Message on Active Standby Mode KR1015615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888A KR101561537B1 (en) 2013-01-18 2013-01-18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mergency Alert Message on Active Standby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888A KR101561537B1 (en) 2013-01-18 2013-01-18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mergency Alert Message on Active Standby M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473A KR20140093473A (en) 2014-07-28
KR101561537B1 true KR101561537B1 (en) 2015-10-20

Family

ID=51739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888A KR101561537B1 (en) 2013-01-18 2013-01-18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mergency Alert Message on Active Standby M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537B1 (e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방송기술표준화 기구(ARIB) 방송관련 표준문서(ARIB STD-B10 Version 4.4, 2007.3.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473A (en) 201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595B1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digital broadcast signal processing method
US201002119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emergency alert message
JP5271599B2 (en) Broadcast distribution apparatus, broadcast receiver, broadcast system, broadcast distribution method, broadcast reception method, and broadcast control method
US83360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bypassing an emergency alert break-in
KR100363544B1 (en) Digital broadcasting method and receiver therefor
JP2007020132A (en) Television receiver, and initiation method
KR1015615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mergency Alert Message on Active Standby Mode
JP2009177686A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device and software download method
KR101220286B1 (en) Method for Managing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Standby Mode according external signaling
JP2007228386A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JP2004023591A (en) Emergency broadcasting receiving system, and television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to be used for the same
US20050223405A1 (en) Program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program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and program information receiving program
JP2008147985A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digital broadcasting system, control program and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264155B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with Multiple Standby Mode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KR20030080141A (en) auto alarming method using a TV set
KR101264157B1 (en) Method for managing update in condition of multiple standby mode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4082927B2 (en) Broadcast receiver
KR101220288B1 (en) Auto Mode Conversion Method according to TV Power State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220292B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with Multiple Standby Mode and Mode Conversion Method thereof
KR100579626B1 (en) Method for providing time information management in digital tv receiver
KR101942541B1 (en) Method for processing electronic program guide and video device thereof
WO2009157140A1 (en) Teletext decode device
JP2009232363A (en) Television receiver and broadcasting transmitter
JP2006253919A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JP2009159190A (en) Television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