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687B1 -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call record managing program recored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call record managing program recor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687B1
KR101560687B1 KR1020140018707A KR20140018707A KR101560687B1 KR 101560687 B1 KR101560687 B1 KR 101560687B1 KR 1020140018707 A KR1020140018707 A KR 1020140018707A KR 20140018707 A KR20140018707 A KR 20140018707A KR 101560687 B1 KR101560687 B1 KR 101560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apparatus
record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7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97328A (en
Inventor
이택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8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687B1/en
Publication of KR20150097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3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6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장치에서 통화속성에 따른 통화기록에 있어서, 상대방 단말장치와 수행된 통화에 대하여 수신 또는 발신 성공된 통화와 수신 또는 발신 실패된 통화 등으로 통화속성에 따라 구분하여 관리하고, 통화기록의 제공 시 통화속성에 따라 성공 통화와 실패 통화로 구분하여 표시시킴으로써 통신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부재중 통화와 함께 발신 연결에 실패한 통화에 대한 정보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의미 있는 통화기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all recording according to a call attribute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he call is divided and managed according to a call attribute, such as a call that has been successfully received or originated, When a call log is provided, a successful call and a failed call are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the call attribute, thereby enabling a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o easily identify information on a call that has failed to make a call connection with a missed call, .

Description

통신 단말장치 및 통화기록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CALL RECORD MANAGING PROGRAM RECORED}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a call record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통화기록 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단말장치에서 통화속성에 따른 통화기록에 있어서, 상대방 단말장치와 수행된 통화에 대하여 수신 또는 발신 성공된 통화와 수신 또는 발신 실패된 통화 등으로 통화속성에 따라 구분하여 관리하고, 통화기록의 제공 시 통화속성에 따라 성공 통화와 실패 통화로 구분하여 표시시킴으로써 통신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부재중 통화와 함께 발신 연결에 실패한 통화에 대한 정보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의미있는 통화기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단말장치 및 통화 속성에 따른 통화기록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record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ll record management method and a call record management method in a call record according to a call attribute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by dividing the successful call and the missed call according to the call attribute when the call log is provided, the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an easily confirm the information on the call that has failed in the call connection with the missed c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 more meaningful call record and a call record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call attributes.

근래에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의 통신 단말장치는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으로서 남녀 노소를 막론하고 사용하고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 및 단말장치 제조자는 다른 업체와의 차별화를 위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smart phones have been used indispensably for modern people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male or female. Service providers and terminal device manufacturers use products or services Are developing competitively.

예를 들어, 통신 단말장치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MP3(MPEG Layer 3), 디지털 카메라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 등의 다양한 편의 기능이 탑재되어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고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may be a phone book, a game, a short message, an email, a morning call, an MPEG Layer 3 (MP3) Etc., are being developed as multimedia devices.

한편, 이러한 편의 기능 중의 하나로서 통신 단말장치에 저장된 상대방 단말장치의 전화번호를 관리하거나 상대방 단말장치와의 통화기록을 관리하는 전화번호부 관리 기능이 있다.On the other hand, as one of the convenience functions, there is a phone book management function for managing the phone number of the counterpart terminal device stor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or managing the call record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device.

이러한 전화번호부 관리기능은 상대방 단말기와 수행된 수신, 발신 통화 기록과 부재중 통화 기록 등을 다양한 분류 기준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통신 단말장치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한 기능 중 하나이다.This phonebook management function is one of functions very useful for a user of a communication terminal since it provides a function of allowing the other party terminal to easily confirm the performed reception, outgoing call record, and missed call record by various classification criteria.

그러나, 종래 전화번호부 관리 기능에서 수신통화, 발신통화, 부재중통화만으로 통화기록을 관리하고 있을 뿐, 통화의 성공 또는 실패 등과 같은 통화속성에 따라 관리하고 있지는 않기 때문에 보다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lephone directory management function, only the call record is managed by the incoming call, the outgoing call, and the missed call, and the management is not performed according to the call attributes such a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call. there was.

즉, 예를 들어 통신 단말장치의 사용자에게는 상대방 단말장치와 통화가 성공적으로 연결된 통화기록보다 통화를 시도했으나 연결되지 않았던 통화기록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할 수 있다. That is, for example, a user of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may be relatively more important than a call record in which a call was successfully connected to the other party's terminal device but was not connected.

그러나, 종래 전화번호부 관리 기능에서는 부재중통화에 대해서는 통화기록에 별도의 항목으로 표시하여 주고 있으나, 통신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상대방 단말장치로 발신하였으나 연결되지 않은 발신 실패 통화에 대해서는 별도의 항목으로 표시하고 있지 않아 사용자가 실패된 통화 기록을 쉽게 확인하는데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lephone directory management function, the missed call is displayed as a separate item in the call log, but the call originating missed call that the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ent to the counterpart terminal device but is not connected is displayed as a separate ite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is inconvenient to easily check the failed call log.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07-0092554호(공개일자 2007년 09월 13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92554 (Published on September 13, 2007)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통신 단말장치에서 통화속성에 따른 통화기록에 있어서, 상대방 단말장치와 수행된 통화에 대하여 수신 또는 발신 성공된 통화와 수신 또는 발신 실패된 통화 등으로 통화속성에 따라 구분하여 관리하고, 통화기록의 제공 시 통화속성에 따라 성공 통화와 실패 통화로 구분하여 표시시킴으로써 통신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부재중 통화와 함께 발신 연결에 실패한 통화에 대한 정보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의미있는 통화기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단말장치 및 통화 속성에 따른 통화기록 관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mmunication recording according to the call attribute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he call is managed by distinguishing the call that has been received or origina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device and the call that has been received or failed, , When the call log is provided,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displays a list of the successful call and the unsuccessful call according to the call property, thereby enabling the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o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on the call that has failed in the call connection with the absence call. And a call hist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call attributes.

본 발명의 일 관점으로서 통신 단말장치로서, 통신 단말장치에서 상대방 단말장치로 발신하거나 상기 상대방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화 이벤트를 검출하는 통화 이벤트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통화 이벤트가 통화 성공인지, 통화 실패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통화 분석부와, 상기 통화 이벤트에 따른 상기 통신 단말장치의 통화기록을 관리하며, 상기 통화 분석부에서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 단말장치의 통화기록을 상기 통화 성공 또는 통화 실패의 통화속성으로 분류하여 그룹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ll event detecting unit that detects a call event that is originated from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o a counterpart terminal apparatus or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apparatus; And a control unit for managing the call recor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the call event, and controlling the call recor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o be the call success or the call failure And a group of the call attributes.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통신 단말장치에서 상대방 단말장치로 발신하거나 상기 상대방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화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이벤트가 통화성공인지 통화실패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 단말장치의 통화기록을 상기 통화 성공 또는 통화 실패의 통화속성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기록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detecting a call event from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o a counterpart terminal apparatus or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apparatus; checking whether the call event is a call success or a call failure; And classifying and storing the call history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s a call attribute of the call success or the call failur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 and storing the classified call history in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장치에서 통화속성에 따른 통화기록에 있어서, 상대방 단말장치와 수행된 통화에 대하여 수신 또는 발신 성공된 통화와 수신 또는 발신 실패된 통화 등으로 통화속성에 따라 구분하여 관리하고, 통화기록의 제공 시 통화속성에 따라 성공 통화와 실패 통화로 구분하여 표시시킴으로써 통신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부재중 통화와 함께 발신 연결에 실패한 통화에 대한 정보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의미 있는 통화기록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mmunication recording according to the call attribute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he call is managed by distinguishing the call that has been received or originated from the call made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device and the call that has been received or failed, , When the call log is provided,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displays a list of the successful call and the unsuccessful call according to the call property, thereby enabling the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o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on the call that has failed in the call connection with the absence call.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장치의 통화속성에 기반한 통화기록 표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장치에서 통화 속성에 기반하여 통화기록을 저장하는 동작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장치에서 통화 속성에 기반하여 통화기록을 제공하는 동작 제어 흐름도.
1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3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ll history display based on a call attribut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storing a call log based on call attributes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control for providing a call record based on call attributes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통신 단말장치는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단말장치가 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통신 단말장치 각 블록에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1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may be, for example, a terminal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smart phone. Hereinafter, the operation in each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block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RF부(100)는 고주파 처리부와 중간주파수 처리부 및 기저대역 처리부의 포괄적 구성부를 의미하며,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무선 통신망으로부터의 음성 및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무선통신 대역 주파수에서 1차적으로 처리하고, 이를 다시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는 중간주파수 처리와, 이를 다시 제어부(112)에서 처리 가능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처리한다. First, the RF unit 100 refers to a comprehensive configuration of a high-frequency processing unit, an intermediate frequency processing unit, and a baseband processing unit. The RF unit 100 receives voice and various multimedia data from an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n processes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into a signal of a frequency band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12 again.

키입력부(102)는 통신 단말장치의 다양한 동작 요청을 위한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12)로 출력한다. 위와 같은 키입력부(102)는 제조사별, 국가별로 문자 배열의 차이가 있다. 또한, 키입력부(102)는 스마트폰(smart phone), 테블릿 PC 등에서는 물리적인 키패드(keypad) 대신,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필요시마다 표시부(106)상에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형식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The key input unit 102 may include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for requesting various operation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When the user presses a predetermined key, corresponding key data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control unit 112. The key input unit 102 as described above has a character arrangement difference by manufacturer and country.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102 may be displayed in a touch screen format on the display unit 106 whenever necessary in place of a physical keypad in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have.

오디오부(104)는 제어부(112)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K)에 음성신호로서 송출한다. 또한, 오디오부(104)는 음성통화 시 제어부(112)에 의해 설정되는 다양한 음성품질로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코덱부(codec)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dio unit 104 modulates a voice signal inputted through a microphone (MIC) into a radio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2, demodulates the received radio signal, and transmits the demodulated radio signal as a voice signal to the speaker SPK. The audio unit 104 may further include a codec for processing a voice signal with various voice qualities set by the controller 112 during a voice call.

표시부(106)는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 통신 단말장치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키입력부(102)에서 발생되는 키데이터 및 제어부(112)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장치의 통화속성에 따라 관리되는 통화기록을 디스플레이한다.The display unit 106 display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2 and receives and displays key data generated by the key input unit 102 and various information signals of the control unit 112. [ Also, a call record managed according to the call attribut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통화 이벤트 검출부(108)는 통신 단말장치에서 상대방 단말장치로 발신하거나 또는 상대방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이벤트를 검출한다. 한편, 상대방 단말장치와의 사이에서 실제 발생한 통화에 따른 통화 이벤트 외에도 예약통화와 같이 미래의 특정 시각에 발생하게 될 통화를 예약하는 예약통화 설정에 따른 통화 이벤트도 있을 수 있다. 이때, 통화 이벤트 검출부(108)는 통신 단말장치와 상대방 단말장치와의 사이에 실제 발생하는 수신 또는 발신에 따른 통화 이벤트 외에 위와 같은 예약통화에 대해서도 통화 이벤트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The call event detection unit 108 detects a call event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pparatus or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apparatus. There may be a call event according to a reserved call setting for reserving a call to be generated at a specific time in the future, such as a scheduled call, in addition to a call event based on a real-generated call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device. At this time, the call event detection unit 108 can detect a call event actually occurring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apparatus, in addition to the call event due to reception or transmission, as a call event.

통화 분석부(110)는 통화 이벤트 검출부(108)로부터 검출된 통화 이벤트를 분석하여 해당 통화 이벤트가 수신통화인지 발신통화인지 여부 등을 검사하고, 또한 해당 수신통화 또는 발신통화가 성공하였는지 실패하였는지 여부 등을 검사한다. 이때,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제어부(112)로 제공될 수 있다.The call analyzing unit 110 analyzes a call event detected by the call event detecting unit 108 to check whether the call event is an incoming call or an outgoing call, and also determines whether the incoming call or the outgoing call is successful or failed And so on. At this time, the analysis result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ler 112.

제어부(112)는 메모리부(114)에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통신 단말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위와 같은 동작 프로그램은 통신 단말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기본적인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뿐만 아니라, 표시부(106)와 키입력부(102)를 연결하고, 데이터의 입/출력을 관리하거나, 통신 단말장치의 내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동작시키도록 제조 시 미리 프로그램밍(programing)되는 소프트웨어(software)를 통칭한다.The control unit 112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n oper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unit 114. [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program connects the display unit 106 and the key input unit 102 as well as a basic operating system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o manage the input / output of data, Software that is pre-programm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o operate an application or the like.

또한, 제어부(1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통신 단말장치에서 상대방 단말장치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통화에 대하여 통화기록을 통화의 성공 또는 실패 등과 같은 통화속성에 따라 관리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2 manages the call history of a call generated between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call attribute such a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ca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통화 이벤트에는 상대방 단말장치로 발신되는 발신 통화와 상대방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통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발신 통화에는 발신이 성공된 통화와 발신이 실패된 통화가 있을 수 있고, 수신 통화에도 수신이 성공된 통화와 수신이 실패된 통화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통화 기록 관리에 있어서 종래에는 발신이 실패된 통화에 대해 통화 기록상 구별되도록 표시하지 않고 있어 사용자가 발신이 실패되었던 통화를 쉽게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음을 전술한 바와 같다. At this time, in the call event, there may be an outgoing call origina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device and a received call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device. In an outgoing call, there may be a call that has been successfully dialed and a call that has failed to be dialed. In an incoming call, there may be a call that has been successfully received and a call that has failed to receive. As described above, in the call log managemen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a call in which the call failed because the call failed to be distinguished on the call log.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어부(112)에서는 상대방 단말장치와의 통화기록을 관리함에 있어서, 통화 속성에 따라 수신 또는 발신이 성공한 성공 통화와 수신 또는 발신이 실패한 실패 통화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성공통화는 수신 성공 통화와 발신 성공 통화로 세분화하여 관리하며, 실패 통화는 부재중 통화를 의미할 수 있는 수신 실패 통화와 발신 실패 통화로 세분화하여 관리한다.Accordingly, in the control unit 112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managing the call record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apparatus, the control unit 112 divides and manages a successful call in which reception or transmission is successful and a failed call in which reception or transmission fails, The call is managed by subdividing into a successful call received and a successful call. The missed call is classified into a missed call and a missed call, which may mean a missed call.

또한, 위와 같이 통화 기록을 관리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통신 단말장치의 통화기록 표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도 2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실패된 수신 통화인 부재중 통화(256, 258)와 함께 발신 실패된 발신 통화인 발신실패 통화(254)에 대한 정보도 구분하여 표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부재중 통화(256, 258)와 더불어 발신 실패 통화(254)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call log display reques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is received from the user by managing the call log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2 (b), the missed calls 256 and 258 Also, information on the call failure call 254, which is an outgoing call failed together with the call, is also displayed separatel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call failure 254 and the missed call 256, 258.

즉,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도 2의 (a)에서와 같이 수신통화(200, 202), 발신통화(204, 205), 부재중 통화(206) 등과 같은 항목으로 통화 기록이 구분되어 표시되고 있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도 2의 (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수신 또는 발신 성공된 통화에 대해서는 성공 통화(250, 252)로 통합하여 표시시키며, 수신 실패된 통화는 부재중 통화(256, 258)로, 발신 실패된 통화는 발신실패 통화(254)로 구분하여 표시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통화속성에 따라 구분되는 통화기록은 통화속성을 구별하기 위한 서로 다른 색깔로 표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성공 통화(250, 252)는 "녹색", 부재중 통화(256, 258)는 "빨간색", 발신실패 통화(254)는 "회색" 등으로 표기할 수도 있다.2, call records are classified into items such as incoming calls 200 and 202, outgoing calls 204 and 205, and missed calls 206 as shown in FIG. 2 (a)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b), the call received or originated successfully is integrated into the successful call 250 and 252, and the failed call is displayed as the missed call 256, 258 ), And the failed call is divided into the calling failure call (254). In this way, the call record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all attributes can b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to distinguish the call attributes. For example, the successful calls 250 and 252 are "green" and the missed calls 256, 258 are " Red ", and the missed call 254 may be marked "gray ".

또한, 동일한 전화번호의 상대방 단말장치로부터 연속하여 발생한 수신 또는 발신 성공된 통화이거나 연속하여 발생한 부재중 통화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나의 항목에 묶어서 표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항목에 묶어서 표시된 연속된 성공 통화(300) 또는 연속된 부재중 통화(302)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해당 통화에 대한 리스트(350, 352)가 보여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통화 내역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all that has been successively received or originated from the other party terminal device of the same telephone number or that has been continuously generated can be grouped into one item as shown in FIG. When successive successful calls 300 or consecutive missed calls 302 are selected by the user, the lists 350 and 352 for the calls are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ake the call history Can be confirmed.

한편, 제어부(112)는 통화 이벤트가 상대방 단말장치와의 사이에 실제 발생한 통화에 의한 것이 아니고, 예약통화의 설정에 따라 발생한 통화 이벤트에 대해서는 해당 상대방 단말장치와 실제로 수행된 통화에 따른 성공 통화 기록 또는 실패 통화 기록과 구별되도록 예약통화 기록으로 저장하여 별도로 관리하며, 통신 단말장치의 통화기록에 대한 표시 요청 수신 시 상대방 단말장치와의 사이에 실제 발생한 통화기록과 구분하여 표시부(106)에 표시시킨다. 이러한 예약통화(260)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중에 통화" 또는 미리 약속된 특수기호 등으로 표기되어 사용자가 예약통화임을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12 determines that the call event is not caused by a call actually occurring between the counterpart terminal unit and the call event, Or a failure call log, and separately displays the call log as a reservation call log. When receiving the display request for the call log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he call log is distinguished from the actual call log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apparatus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6 . Such a reserved call 260 may be indicated as "call later " or a promised special symbol or the like as shown in FIG. 2 (b) so that the user can know that it is a reserved call.

위와 같은 예약통화는 사용자가 설정한 미래의 특정 시각이 되는 경우 사용자의 통신 단말장치 또는 상대방 단말장치 상에 예약통화를 알리는 문구 등이 표시되도록 하는 서비스로, 사용자의 통신 단말장치에서 상대방 단말장치로 미래의 특정 시각에 통화를 수행할 것을 예약하는 발신예약통화와 상대방 단말장치에서 사용자의 통신 단말장치로 통화를 수행할 것을 예약하는 수신예약통화가 있을 수 있다. Such a reserved call is a service for displaying a message for notifying a reservation call 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or the counterpart terminal apparatus of the user when a specific time of the future is set by the user, and is a service from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pparatus There may be an outgoing reservation call for reserving a call to be performed at a specific time in the future and a receive reservation call for reserving a call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at the counterpart terminal device.

이에 따라, 제어부(112)는 이러한 예약통화의 해당 특정 시각이 되는 경우 사용자의 통신 단말장치 상에 예약통화를 알리는 문구 등이 표시되도록 하며, 통신 단말장치의 통화기록에 대한 표시 요청 수신시에는 예약통화 또한 상대방 단말장치와의 통화기록으로 표시되도록 하되, 상대방 단말장치와의 사이에 실제로 발생한 통화기록과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12 displays a phrase indicating a scheduled call 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of the user when the specific time of the reserved call arrives. When receiving the display request for the call log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he call can also be displayed as a call record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device, but can be displayed separately from the call record actually generated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devic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장치에서 통화 속성에 기반하여 통화기록을 저장하는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FIG. 4 illustrates an operation control flow for storing a call record based on call attributes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4. FIG.

먼저, 사용자의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상대방 단말장치로 발신이 수행되거나 상대방 단말장치로부터 사용자의 통신 단말장치로 발신이 수행되어 통화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First, a call is made from a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o a counterpart terminal apparatus, or a call is made from a counterpart terminal apparatus to a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hereby generating a call event.

위와 같이 통신 단말장치상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S400), 통화 이벤트 검출부(108)에 의해 통화 이벤트가 검출되며, 통화 분석부(110)는 검출된 통화 이벤트에 대해 분석을 수행한다(S402).When a call event occurs 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S400), a call event is detected by the call event detector 108, and the call analyzer 110 analyzes the detected call event (S402) .

이때, 통화 이벤트에는 상대방 단말장치로 발신되는 발신 통화와 상대방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통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발신 통화에는 발신이 성공된 통화와 발신이 실패된 통화가 있을 수 있고, 수신 통화에도 수신이 성공된 통화와 수신이 실패된 통화가 있을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call event, there may be an outgoing call origina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device and a received call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device. In an outgoing call, there may be a call that has been successfully dialed and a call that has failed to be dialed. In an incoming call, there may be a call that has been successfully received and a call that has failed to receive.

즉 통화 분석부(110)는 검출된 통화 이벤트를 분석하여 해당 통화 이벤트가 수신통화인지 발신통화인지 여부를 검사하고, 또한 해당 수신통화 또는 발신통화가 성공하였는지 실패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와 같은 통화 이벤트에 대한 분석 결과는 통신 단말장치의 제어부(112)로 인가될 수 있다.That is, the call analyzing unit 110 analyzes the detected call event to check whether the call event is an incoming call or an outgoing call, and also checks whether the incoming call or the outgoing call is successful or failed. The analysis result of the call event can be applied to the control unit 112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그러면, 제어부(112)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통화 이벤트가 상대방 단말장치로부터 발신 요청된 수신통화인지 상대방 단말장치로 발신된 발신 통화인지 여부를 확인한다.Then, the control unit 112 refers to the analysis result to check whether the call event is an incoming call origina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unit or an outgoing call origina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unit.

이때 만일, 통화 이벤트가 상대방 단말장치로부터 발신 요청된 수신통화인 경우(S404), 제어부(112)는 다시 해당 수신통화의 성공 또는 실패 여부에 대한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해당 수신통화가 성공된 통화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성공된 통화인 경우 성공 통화 기록으로 저장하여 관리한다(S406). At this time, if the call event is an incoming call requested to be origina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device (S404), the control unit 112 refers to the analysis result of success or failure of the incoming call to determine whether the incoming call is a successful call (S406). If the received call is a successful call, it is stored as a successful call record (S406).

이와 달리, 해당 수신통화가 실패된 통화인 경우 실패 통화 기록으로 저장하여 관리한다(S408). 이때 위와 같은 수신 실패된 통화는 실패 통화 기록상 수신 실패 통화 즉, 부재중 통화로 세분화되어 기록될 수 있다.Otherwise, if the received call is a failed call, the failed call record is stored and managed (S408). At this time, the above failed reception call can be subdivided into a missed call on the missed call record, that is, a missed call.

한편, 통화 이벤트가 상대방 단말장치로 발신한 발신통화인 경우(S410), 제어부(112)는 다시 해당 발신통화의 성공 또는 실패 여부에 대한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해당 발신통화가 성공된 통화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성공된 통화인 경우 성공 통화 기록으로 저장하여 관리한다(S412). On the other hand, when the call event is an outgoing call origina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device (S410), the control unit 112 refers to the analysis result of success or failure of the outgoing call again to determine whether the outgoing call is a successful call If it is a successful call, it is stored as a successful call record and managed (S412).

이와 달리, 해당 발신통화가 실패된 통화인 경우 실패 통화 기록으로 저장하여 관리한다(S414). 이때 위와 같은 발신 실패된 통화는 실패 통화 기록상 발신 실패 통화로 세분화되어 기록될 수 있다.Alternatively, if the outgoing call is a failed call, the failed call record is stored and managed (S414). At this time, the call failed in the above-mentioned call can be subdivided into the call failed call on the call record of the missed call.

위와 같이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상대방 단말장치에 대해 성공 통화 기록과 실패 통화 기록으로 구분하여 통화 기록을 관리하고, 성공 통화 기록 또는 실패 통화 기록에는 다시 수신 실패 통화 정보와 발신 실패 통화 정보를 세분화하여 기록하여, 통화 기록 표시 요청 시 이를 표시부(106)상 표시하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수신 실패 통화와 더불어 발신 실패 통화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The call record is divided into a successful call record and a missed call record for the other party terminal device in which the call event has occur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missed call information and the missed call information are subdivided and recorded in the successful call record or the missed call record And displays the call log display request on the display unit 106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call missed call as well as the missed call.

또한, 통화 이벤트가 상대방 단말장치와의 사이에 실제 발생한 수신통화 또는 발신통화에 의한 것이 아니라, 예약통화 설정에 따른 통화 이벤트인 경우(S416), 제어부(112)는 성공 통화 기록 또는 실패 통화 기록과 구별되도록 예약통화 기록으로 저장하여 별도로 관리한다.In addition, when the call event is a call event based on the scheduled call setting instead of the actual incoming call or outgoing call actually made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device (S416), the control unit 112 stores the successful call record or the missed call record It is stored as a reservation call record so as to be distinguished and managed separately.

이때, 위와 같은 예약통화는 사용자의 통신 단말장치에서 상대방 단말장치로 미래의 특정 시각에 통화를 수행할 것을 예약하는 발신예약통화와 상대방 단말장치에서 사용자의 통신 단말장치로 통화를 수행할 것을 예약 요청하는 수신예약통화가 있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bove-mentioned scheduled call is a call reservation call from a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o a counterpart terminal device for reserving a call at a specific time in the future, and a reservation request for making a call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device to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here may be an incoming call reservation call.

즉, 제어부(112)는 예약통화가 사용자의 통신 단말장치에서 상대방 단말장치로 미래의 특정 시각에 통화를 수행할 것을 예약하는 것인 경우 예약통화 기록상 발신예약통화로 기록하고(S418), 상대방 단말장치에서 사용자의 통신 단말장치로 통화를 수행할 것을 예약 요청하는 것인 경우 예약통화 기록상 수신예약통화로 기록한다(S420).That is, if the reserved call is scheduled to perform a call at a specific time in the future from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unit to the counterpart terminal unit, the control unit 112 records the outgoing call on the reserved call record (S418) If the device requests to make a call to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he device records the call in the reserved call on the reserved call record (S42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장치에서 통화 속성에 기반하여 통화기록을 표시하는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FIG. 5 illustrates an operation control flow for displaying a call record based on call attributes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5. FIG.

먼저, 통신 단말장치의 사용자는 통화 기록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통신 단말장치의 키입력부(102)상 기설정된 특정 키 또는 통신 단말장치의 표시부(106)에 구현되는 터치 스크린 상 기설정된 특정 터치키 등을 입력하여 통화 기록을 요청하게 된다.First, when the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wants to check the call log, the user can select a specific key set on the key input unit 102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or a predetermined specific touch key implemented on the display unit 106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o request a call log.

위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통신 단말장치의 통화 기록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S500), 제어부(112)는 통신 단말장치와 상대방 단말장치간 발생되어 기록된 통화 기록을 가져온다. 이때, 이러한 통화 기록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실제 통화의 경우 통화의 성공 또는 실패에 따라 성공 통화 기록 또는 실패 통화 기록으로 구분되어 저장되며, 예약통화의 경우 예약통화 기록으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또한, 이러한 통화 기록은 통신 단말장치의 메모리부(114)상 할당된 일정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When the call recording reques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is received from the user (S500), the controller 112 fetches the recorded call log generated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apparatus.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 record is divided into a successful call record or a missed call record in accordance with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call in the actual call. Such a call record may be stored in a predetermined area allocated on the memory unit 114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즉, 제어부(112)는 사용자로부터 통화 기록이 요청되는 경우, 사용자의 통신 단말장치와 상대방 단말장치간 발생된 성공 통화 기록, 실패 통화 기록, 예약 통화 기록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메모리부로부터 읽어온다(S502∼S506).That is, when the call recording is requested from the user, the control unit 112 reads the success call record, the failure call record, and the reservation call record generated between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apparatus from the memory unit in a predetermined order (S502 to S506).

이어, 제어부(112)는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시각 정보에 따라 상대방 단말장치의 식별번호를 정렬시키고(S508), 각각의 상대방 단말장치와의 통화 기록을 예를 들어 도 2의 (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성공 통화 기록, 실패 통화 기록 등으로 구분하여 표시시킨다(S510). 이때, 예를 들어 성공 통화 기록에는 성공된 수신통화와 발신통화를 함께 묶어서 표시시킬 수 있으며, 실패 통화 기록은 수신 실패 통화인 부재중 통화와 발신 실패 통화로 구분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식별번호 즉, 동일한 전화번호인 상대방 단말장치와의 통화 기록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묶어서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112 align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counterpart terminal unit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call event occurred (S508), and records the call record with each counterpart terminal unit, for example, As well as a successful call record, a missed call record, and the like (S510). At this time, for example, the successful call record can display the received call and the outgoing call together, and the failed call record can be displayed separately from the missed call as the missed call and the missed call. In addition,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that is, the call record with the other party terminal device, which is the same telephone number, can be grouped together as shown in FIG.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장치에서 통화속성에 따른 통화기록에 있어서, 상대방 단말장치와 수행된 통화에 대하여 수신 또는 발신 성공된 통화와 수신 또는 발신 실패된 통화 등으로 통화속성에 따라 구분하여 관리하고, 통화기록의 제공 시 통화속성에 따라 성공 통화와 실패 통화로 구분하여 표시시킴으로써 통신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부재중 통화와 함께 발신 연결에 실패한 통화에 대한 정보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의미 있는 통화기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ll recording in accordance with the call attribute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he call having been received or originated from the call made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apparatus, And distinguishes the successful call and the unsuccessful call according to the call attribute according to the call attribute when providing the call log, thereby allowing the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o easily identify the call with the missed call as well as the call failed to make the call connection, Provide a record of your calls.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장치에서 통화속성에 따른 통화기록에 있어서, 상대방 단말장치와 수행된 통화에 대하여 수신 또는 발신 성공된 통화와 수신 또는 발신 실패된 통화 등으로 통화속성에 따라 구분하여 관리하고, 통화기록의 제공 시 통화속성에 따라 성공 통화와 실패 통화로 구분하여 표시시킨다. 이에 따라 통신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부재중 통화와 함께 발신 연결에 실패한 통화에 대한 정보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휴대폰, 스마트 등의 통신 단말장치에서 사용상 편의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all recording according to a call attribute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he call is divided and managed according to a call attribute, such as a call that has been successfully received or originated, When a call log is provided, it is divided into a successful call and a failed call according to the call attribute. Accordingly, the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an easily confirm the information about the call which has failed to make the outgoing call together with the missed call, and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greatly improve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smart phone.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장치 및 통화기록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 장치는 물론이고 유선망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유선통신 단말 장치에도 이용할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for execut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the call record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rded is not limi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computer, And can be used for an incoming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 RF부 102 : 키입력부
104 : 오디오부 106 : 표시부
108 : 통화이벤트 검출부 110 : 통화 분석부
112 : 제어부 114 : 메모리부
100: RF section 102: key input section
104: Audio part 106: Display part
108: call event detection unit 110: call analysis unit
112: control unit 114: memory unit

Claims (6)

통신 단말장치에서 상대방 단말장치로 발신하거나 상기 상대방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화 이벤트를 검출하는 통화 이벤트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통화 이벤트가 통화 성공인지, 통화 실패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통화 분석부와,
상기 통화 이벤트에 따른 상기 통신 단말장치의 통화기록을 관리하며, 상기 통화 분석부에서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 단말장치의 통화기록을 상기 통화 성공 또는 통화 실패의 통화속성으로 분류하여 그룹화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장치.
A call event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call event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pparatus or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apparatus;
A call analyzing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detected call event is a call success or a call failure;
A control unit for managing the call recor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call event and classifying the call recor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into call attributes of the call success or call failur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n the call analysis unit,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속성에 따른 분류에 따라, 상기 통화 성공에 대한 통화 기록과 상기 통화 실패에 대한 통화 기록을 구분하여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displays the call record for the success of the call and the call record for the call failure separately in accordance with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all attribut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실패로 분류된 통화는 상기 상대방 단말장치로부터 발신된 통화 중 통화 연결이 되지 않은 부재중 통화이거나 또는 상기 상대방 단말장치로 발신한 통화 중 통화 연결이 되지 않은 통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ll classified as the call failure is a missed call that is not a call connection during a call origina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device, or a call that is not a call connection during a call origina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이벤트가 예약통화인 경우 상기 통화 이벤트를 해당 상대방 단말장치와의 예약통화 기록으로 관리하고, 상기 통화기록 요청 수신 시 상기 상대방 단말장치와의 사이에 실제 발생한 통화기록과 구분하여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call event is a reserved call, managing the call event as a reservation call record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the call event separately from the actual call record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device upon receipt of the call record reques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통신 단말장치에서 상대방 단말장치로 발신하거나 상기 상대방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화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이벤트가 통화성공인지 통화실패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 단말장치의 통화기록을 상기 통화 성공 또는 통화 실패의 통화속성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기록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Detecting a call event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pparatus or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apparatus;
Checking whether the call event is a call success or a call failure;
Categorizing and storing the call history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s a call attribute of the call success or call failur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call recording management metho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의 분류 결과에 따라,
상기 통화 성공으로 분류된 통화 기록과 상기 통화 실패로 분류된 통화기록을 구분하여 표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기록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6. The method of claim 5,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result of the storing step,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eparately displaying a call record classified as the call success and a call record classified as the call failure, and displaying the distinguished call record.
KR1020140018707A 2014-02-18 2014-02-18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call record managing program recored KR1015606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707A KR101560687B1 (en) 2014-02-18 2014-02-18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call record managing program recor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707A KR101560687B1 (en) 2014-02-18 2014-02-18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call record managing program recor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328A KR20150097328A (en) 2015-08-26
KR101560687B1 true KR101560687B1 (en) 2015-10-15

Family

ID=5405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707A KR101560687B1 (en) 2014-02-18 2014-02-18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call record managing program recor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68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328A (en)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0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call service of mobile terminal
TWI445384B (en) Method, communication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CN102548043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access points in portable terminal
US20080059627A1 (en) Unified contact database
EP3542522B1 (en) Incoming call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US20160328408A1 (en) Intelligent phone book
CN104683568A (en) Information remin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minding device
US9179270B2 (en) Intercommunication methods and devices based on digital networks
JP2017504287A (en) Reply method, apparatus, terminal, serv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incoming call
US20210282149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KR102003740B1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phone number in terminal
CA2894937C (en) Intercommunication methods and devices based on digital networks
US201700640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telephone numbers in a portable terminal
KR20140119917A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Terminal thereof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KR101560687B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call record managing program recored
US86124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act specific delivery reports
WO2022247404A1 (en) Call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all system, wearable device, and readable medium
KR10177982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ring content data in portable terminal
US20150312391A1 (en) Automatic call control method for selection of call approaches
KR2008003750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lephone number regista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JP6644543B2 (en) Telephon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telephone control method
US9456077B2 (en) Communication serv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communication
JP2008177727A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ng func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ng method
KR1006404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missing call and message
JP2013223059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