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296B1 - 무장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무장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296B1
KR101560296B1 KR1020130147432A KR20130147432A KR101560296B1 KR 101560296 B1 KR101560296 B1 KR 101560296B1 KR 1020130147432 A KR1020130147432 A KR 1020130147432A KR 20130147432 A KR20130147432 A KR 20130147432A KR 101560296 B1 KR101560296 B1 KR 101560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ing
simulation
armed
data
simul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2608A (ko
Inventor
유재성
Original Assignee
한화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7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296B1/ko
Publication of KR20150062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7/0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 F41G7/2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based on continuous observation of target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7/0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 F41G7/2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based on continuous observation of target position
    • F41G7/24Beam riding guidance systems
    • F41G7/28Radio guidanc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장 관리 장치로서, 무장과의 무장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무장을 관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표적 발사 및 표적 추적을 제어하는 무장 데이터를 생성하는 무장 관리 컴퓨터; 가상의 무장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무장 시뮬레이션 시험부; 미리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따라서, 무장 관리 모드로 동작 시에는 상기 무장 데이터가 무장에 전송되도록 스위칭하며, 무장 시뮬레이션 모드로 동작 시에는 상기 무장 시뮬레이션 데이터가 상기 무장에 전송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상기 무장 데이터 또는 무장 시뮬레이션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파이버 채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장 관리 장치{Apparatus for store Management}
본 발명은 무장 관리 장치로서, 무장과의 무장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무장을 관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장은 표적 또는 목표에 도달할 때까지 특정 방법에 의해 유도되는 장치를 구비한 무기를 말한다. 무장은 유도 장치에 의해 비행체의 비행 방향, 속도 등을 제어함으로써 정밀한 표적의 타격을 가능하게 한다.
무장의 유도 방식은 크게 지령 유도(command guidance), 호밍 유도(homing guidance), 및 항법 유도(navigational guidance)로 구분된다. 지령 유도는 무장의 외부에서 유도 신호를 산출하여 무장에 전달하는 방식으로서 유선 지령, 무선 지령 및 레이더 지령 등이 이에 해당한다. 호밍 유도는 미사일에 내장된 탐색기(seeker)에 의해 표적을 탐색하고 포착하여 추적하는 유도 방식으로 탐색기의 작동 방식에 따라 능동, 반능동 및 수동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항법 유도는 무장 자체에서 속도와 방향 또는 위성, 지형사진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표적으로 유도되는 방식으로서, 관성, 지측, 천측 유도 등의 방식이 있다.
특히, 호밍 유도 방식에는 영상 호밍 유도 방식이 있다. 영상 호밍은 표적에 대한 영상을 취득하여 표적의 고유한 형상 또는 스펙트럼 특성을 이용하여 표적을 추적하는 유도 방식이다. 사용되는 영상은 일반적인 영상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야간의 경우에는 적외선 영상을 이용할 수도 있다.
기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장 관리 컴퓨터(200;SMC;Store Management Computer)와 무장 간에 MIL-STD-1760 군용 통신 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주고받고 있다. MIL-STD-1760은 미국 국방부가 제정한 군용 통신 규격으로서, 미국 군용 통신 시스템의 신호 열화 허용치, 변조 방식, 하드웨어 조작, 전기적 특성 등의 기술적 설계 기준을 규정한다.
이러한 기존의 군용 통신 규격은 전선을 통해 무장 관리 컴퓨터(200;SMC)와 무장 간에 파이버 채널(300)을 통하여 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이 송수신된다.
그런데, 무장 관리 컴퓨터(200;SMC)와 무장(100)이 동시에 개발이 진행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장치에 결함 발생 시에 결함이 발생된 장치의 격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개발중인 무장 관리 컴퓨터(200;SMC)에 결함이 발생되는 경우 무장 관리 컴퓨터(200;SMC)만을 격리하여 결함을 처리하거나, 개발중인 무장(100)에 결함이 발생되는 경우 무장(100)만을 격리하여 결함을 처리하는 것이 개발 현장에서 어렵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072316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무장 관리 컴퓨터와 무장을 동시에 개발 시에 결함에 대처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무장 관리 컴퓨터와 무장을 연관시키지 않고 개별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무장과 연동될 수 있는 무장 시뮬레이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표적 발사 및 표적 추적을 제어하는 무장 데이터를 생성하는 무장 관리 컴퓨터; 가상의 무장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무장 시뮬레이션 시험부; 미리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따라서, 무장 관리 모드로 동작 시에는 상기 무장 데이터가 무장에 전송되도록 스위칭하며, 무장 시뮬레이션 모드로 동작 시에는 상기 무장 시뮬레이션 데이터가 상기 무장에 전송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상기 무장 데이터 또는 무장 시뮬레이션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파이버 채널;를 포함한다.
상기 파이버 채널은, 상기 무장 관리 컴퓨터와 스위칭부를 연결하는 제1파이버 채널; 상기 무장 시뮬레이션부와 스위칭부를 연결하는 제2파이버 채널; 상기 스위칭부와 무장을 연결하는 제3파이버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무장 관리 모드로 동작 시에는 상기 제1파이버 채널과 제3파이버 채널이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며, 상기 무장 시뮬레이션 모드로 동작 시에는 상기 제2파이버 채널과 제3파이버 채널이 연결되도록 스위칭한다.
상기 무장 시뮬레이션 데이터는, 영상 시뮬레이션 데이터, 오디오 시뮬레이션 데이터, 무장 상태 및 제어 시뮬레이션 데이터, 무장 투하 시뮬레이션 데이터, 전원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MIL-STD-1760 인터페이스이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MIL-STD-1760 인터페이스에 따라서, 상기 무장 데이터 또는 무장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상기 무장으로 스위칭한다.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영상 시뮬레이션 데이터, 오디오 시뮬레이션 데이터, 무장 상태 및 제어 시뮬레이션 데이터, 무장 투하 시뮬레이션 데이터, 전원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상기 MIL-STD-1760 인터페이스에 따른 각 라인에 할당하여 전송한다.
상기 MIL-STD-1760 인터페이스는, 영상, 오디오 및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신호 라인과, 무장의 분리 여부를 검출하는 디스크리트 라인과, 무장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영상 시뮬레이션 데이터, 오디오 시뮬레이션 데이터, 상기 무장 상태 및 제어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상기 신호 라인에 할당하며, 상기 무장 투하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상기 디스크리트 라인에 할당하며, 상기 전원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상기 전원 라인에 할당한다.
상기 무장 시뮬레이션 시험부는, 상기 영상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고대역 시뮬레이션 모듈; 상기 오디오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저대역 시뮬레이션 모듈; 상기 무장 상태 및 제어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버스 시뮬레이션 모듈; 상기 무장 투하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스크리트 I/O 시뮬레이션 모듈; 상기 전원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전원 시뮬레이션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무장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어, 무장의 실전 배치 전에 무장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무장 관리 컴퓨터와 무장 시뮬레이션 시험부간에 스위칭 조작을 통하여 무장의 실제 제어 또는 무장의 시뮬레이션 제어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어, 무장의 성능 개발 연구에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무장과 무장 관리 장치 간에 MIL-STD-1760E 군용 통신 인터페이스에 따라 데이터를 교환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2는 무장과 무장 관리 컴퓨터 간에 파이버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 모듈이 내장된 무장 관리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IL-STD-1760 인터페이스 신호 라인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장 시뮬레이션 시험부의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장 관리 모드로 동작 시에 제1파이버 채널과 제3파이버 채널이 연결되도록 스위칭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장 시뮬레이션 모드로 동작 시에 제2파이버 채널과 제3파이버 채널이 연결되도록 스위칭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시험 모듈이 내장된 무장 관리 장치의 설명에 앞서 무장 비행체와 무장 간의 인터페이스 통신 방식의 예를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무장과 무장 관리 컴퓨터 간에 파이버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무장(100)은 유도 미사일(guided missile)과 같이 로켓, 제트엔진 등으로 추진되어 무기 장치로서 표적에 도달할 때까지 표적에 유도되는 무기를 말한다. 미사일 머리 부분의 시커(seeker)로부터 영상 정보를 무장 관리 컴퓨터(200)에 전송하면, 무장 관리 컴퓨터(200)는 표적을 지정하여 유도하는 방식의 미사일이다. 이와 같이 표적에 도달하도록 유도하는 호밍 유도 방식의 경우, 표적에 대한 영상을 취득하여 표적의 고유한 형상 또는 스펙트럼 특성을 이용하여 표적을 추적한다. 통상적으로 표적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표적을 추적하는 장치를 전자광학 추적기(EOTS;Electro Optical Tracking System)라고 한다. 전자광학 추적기는 영상을 획득하는 모듈과, 획득된 영상을 처리하는 모듈과, 처리된 영상을 바탕으로 유도 방향과 표적과의 오차를 산출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처리되는 정보는 무장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무장 관리 컴퓨터(200;SMC;Store Management Computer)로 전달되고, 무장 관리 컴퓨터(200;SMC)는 무장(100)의 비행을 제어하는 데이터를 전달하여, 무장(100)이 표적을 향하도록 한다.
무장 관리 컴퓨터(200;SMC)는 파이버 채널(300;fiber channel)을 통하여 무장(100)과 데이터를 교환하는데, 무장 비행체에서 발사된 무장(100)은 획득한 정보들을 파이버 채널(300)을 통하여 무장 비행체 내의 무장 관리 컴퓨터(200;SMC)에 전송하며, 무장 관리 컴퓨터(200)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파이버 채널(300)을 통하여 무장(100)에 전송한다. 무장 비행체와 무장(100)은 일정 거리 이상의 파이버로 연결되어 있어, 무장(100)이 무장 비행체에서 발사되어 멀어져가도 일정 거리까지는 파이버를 통해 무장 관리 컴퓨터(200)에 유도 정보들을 전송할 수 있다.
무장 관리 컴퓨터(200)와 무장(100)은 파이버 채널(300)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데, 미리 설정된 군용 통신 규격인 MIL-STD-1760 군용 통신 인터페이스 규격을 준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 모듈이 내장된 무장 관리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무장(10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도 미사일(guided missile)과 같이 로켓, 제트엔진 등으로 추진되어 무기 장치로서 표적에 도달할 때까지 표적에 유도되는 무기를 말한다. 무장(100)은 스위칭부(500)의 스위칭에 의하여 무장 관리 컴퓨터(200)로부터 무장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무장 시뮬레이션 시험부(400)로부터 무장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장 관리 컴퓨터(200;SMC;Store Management Computer)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장 비행체에서 발사된 무장(100)에서 획득한 정보들을 파이버 채널(300)을 통하여 수신하며, 무장 관리 컴퓨터(200)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파이버 채널(300)을 통하여 무장(100)에 송신한다.
무장(100)과 무장 관리 컴퓨터(200)의 개발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각 장착 무장(100)의 특성에 맞게 무장 관리 컴퓨터(200)가 셋팅되어야 한다. 그런데, 개발 도중에 무장(100) 또는 무장 관리 컴퓨터(200)에 결함이 발생한 경우, 결함이 발생된 대상물을 격리시켜 교체하고 개발을 계속 진행해야 한다. 그러나 무장(100)과 무장 관리 컴퓨터(200)의 격리 교체가 개발 현장에서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상의 무장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무장 시뮬레이션 시험부(400)를 구비한다. 무장 시뮬레이션 시험부(400)와 무장(100)간에 무장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스위칭을 한 상태에서 개발을 진행하고, 개발이 완료되면 무장 시뮬레이션 시험부(400)를 제거하고 무장(100)과 무장 관리 컴퓨터(200)를 연결하는 스위칭을 함으로써 실전에서 무장(100)을 사용할 수 있다.
무장 시뮬레이션 시험부(400)는 가상의 무장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무장(100)을 테스트하는데 필요한 테스트값들을 생성한다. 무장 시뮬레이션 데이터는 군용 통신 인터페이스인 MIL-STD-1760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영상에 관련된 영상 시뮬레이션 데이터, 오디오와 관련된 오디오 시뮬레이션 데이터, 무장(100)의 상태 및 무장(100)을 제어하는데 관련된 무장 상태 및 제어 시뮬레이션 데이터, 무장(100)을 비행체에서 발사하였는지와 관련된 무장 투하 시뮬레이션 데이터, 무장(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데이터와 관련된 전원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무장 관리 컴퓨터(200)와 무장(100)은 파이버 채널(300)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데, 미리 설정된 군용 통신 규격인 MIL-STD-1760 군용 통신 인터페이스 규격을 준수한다. MIL-STD-1760 군용 통신 인터페이스는 미국 무장(100)의 표준 신호 규격으로서 다양한 신호(signal, discrete, power)의 집합체이다. MIL-STD-1760 인터페이스는 1980년대 초에 표준이 제정되었으나, 1990년 후반이 되어서야 정부 획득 과정에 완전히 반영되었다. 개방형 인터페이스로 비행체와 외부의 무장(100) 사이에 동작하는 전기적 신호 정의를 포함한다. 비행체 전원을 외부 무장(100)에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제어를 위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가 있다. 그러나 비전기적으로 동작하는 연료, 유압, 냉각 등은 포함하지 않는다.
MIL-STD-1760 인터페이스는, 신호의 전기적 특성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신호의 모든 커넥터 및 핀 할당을 정의하고 있다. 커넥터는 비행체에서 무장(100)의 신속하고 안정적인 투하를 위해 설계되어 있다. 예컨대, 비행체가 생성된 신호의 명령에 따라, 대상을 공격할 때 무장(100) 저장소는 해제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하여, MIL-STD-1760 인터페이스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오디오 및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신호 라인(signal lines)과, 무장(100)의 분리 여부를 검출하는 디스크리트 라인(discrete lines)과, 무장(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라인(power lines)을 필요로 한다.
신호 라인(signal lines)에는 고대역(high bandwidth) 및 저대역(low band width), 데이터 버스(MUX) 등이 마련되며, 디스크리트 라인(discrete lines)에는 다섯개의 주소 라인(A0~A4) 등이 마련되며, 전원 라인(power lines)에는 DC 28[V], three-phase 400Hz, AC 115/200[V]를 가지는 무장 비행체에 연결되는 전력 커넥션이 마련된다.
한편, 무장 시뮬레이션 시험부(4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고대역 시뮬레이션 모듈(410;high bandwidth simulation module)과, 오디오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저대역 시뮬레이션 모듈(420;low bandwidth simulation module)과, 무장 상태 및 제어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버스 시뮬레이션 모듈(430;data bus simulation module)과, 무장 투하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스크리트 I/O 시뮬레이션 모듈(440;discrete I/O simulation module)과, 전원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전원 시뮬레이션 모듈(450;power simulation module)을 포함한다. 이밖에 예비 채널(reserved chanel)인 파이버 광 시뮬레이션 모듈(460;fiber optic simulation modul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대역 시뮬레이션 모듈(410)은 화면 동기화, 클럭, Blanking 신호, 모노크롬 Rester 형식의 영상을 모사한 가상 신호를 생성한다. 저대역 시뮬레이션 모듈(420)은 음성/톤의 형식의 신호를 모사한 가상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데이터 버스 시뮬레이션 모듈(430)은 MIL-STD-1553의 프로토콜에 맞는 무장의 제어 및 상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디스크리트 I/O 시뮬레이션 모듈(440)은 무장 투하 동의, 무장 투하 interlock와 관련된 신호를 모사한 가상 신호를 생성한다. 전원 시뮬레이션 모듈(450)은 무장 전원 공급, 무장 투하 관련 시스템 전원 공급과 관련된 신호를 모사한 가상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무장 시뮬레이션 시험부(400)에서 생성되는 각각의 시뮬레이션 데이터들은, 무장(100)을 테스트하는데 사용하기 위하여 파이버 채널(300)을 통하여 MIL-STD-1760 인터페이스에 따라 도 5과 같이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표준 무장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어떠한 무장도 관련 신호 규격만 있으면 시뮬레이션(모사)가 가능하다.
파이버 채널(300)은 파이버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유선 통신 채널로서, 무장 관리 컴퓨터(200)에서 생성되는 무장 데이터 또는 무장 시뮬레이션 시험부(400)에서 생성되는 무장 시뮬레이션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유선 통신 채널이다. 파이버 채널(300)은 I/O 채널의 단순성, 주변기기와 양방향 통신을 통하여 망의 유연성과 상호 연결성의 장점을 가진다. 파이버 채널(300)의 파이버 재질은 광섬유 케이블(fiber-optic cable) 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파이버 채널(300)은 기가비트 속도(gigabit speed)의 전송이 가능한 고속 인터페이스로서, 링크당 2개의 광채널에 의한 전이중 링크(양방향성), 단일 링크 상에서 100~800Mbps 성능(초고속), 10km거리까지 지원(장거리), 커넥터 소형화(I/O채널 단순성), 기존의 다중분기 채널보다 더 높은 연결성, 기존 채널 및 망 프로토콜에 관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명령어 제공 등의 장점을 가진다.
파이버 채널(300)은 무장 관리 컴퓨터(200)와 스위칭부(500)를 연결하는 제1파이버 채널(310)과, 무장 시뮬레이션 시험부(400)와 스위칭부(500)를 연결하는 제2파이버 채널(320)과, 스위칭부(500)와 무장(100)을 연결하는 제3파이버 채널(330)을 포함한다. 스위칭부(500)의 스위칭에 의하여 제1파이버 채널(310)과 제3파이버 채널(330)이 연결되거나, 제2파이버 채널(320)과 제3파이버 채널(330)이 연결되어 통신 채널이 전환될 수 있다.
스위칭부(500)는 미리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따라서, 무장 관리 모드로 동작 시에는 무장 데이터가 무장(100)에 전송되도록 스위칭하며, 무장 시뮬레이션 모드로 동작 시에는 무장 시뮬레이션 데이터가 무장(100)에 전송되도록 스위칭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칭부(500)는, 무장 관리 모드로 동작 시에는 제1파이버 채널(310)과 제3파이버 채널(330)이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장 시뮬레이션 모드로 동작 시에는 제2파이버 채널(320)과 제3파이버 채널(330)이 연결되도록 스위칭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MIL-STD-1760 인터페이스를 따르며, 이때, 상기 스위칭부(500)는, MIL-STD-1760 인터페이스에 따라서 무장 데이터 또는 무장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무장(100)으로 스위칭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시뮬레이션 데이터, 오디오 시뮬레이션 데이터, 무장 상태 및 제어 시뮬레이션 데이터, 무장 투하 시뮬레이션 데이터, 전원 시뮬레이션 데이터들이 MIL-STD-1760 인터페이스에 따른 각 라인에 할당되어 전송된다. 예를 들어, 스위칭부(500)는 영상 시뮬레이션 데이터, 오디오 시뮬레이션 데이터, 무장 상태 및 제어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신호 라인에 할당하며, 무장 투하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디스크리트 라인에 할당하며, 전원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전원 라인에 할당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무장 관리 장치(10) 내에 무장 시뮬레이션 시험부(400)를 구비함으로써, 무장(100)과 무장 관리 컴퓨터(200)를 동시에 개발할 때, 무장 시뮬레이션 시험부(400)와 무장 간에 무장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스위칭을 한 상태에서 개발을 진행하고, 개발이 완료되면 무장 시뮬레이션 시험부(400)를 제거하고 무장(100)과 무장 관리 컴퓨터(200)를 연결하는 스위칭을 함으로써 실전에서 무장(100)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무장 200:무장 관리 컴퓨터
300:파이버 채널 400:무장 시뮬레이션 시험부
500:스위칭부

Claims (9)

  1. 표적 발사 및 표적 추적을 제어하는 무장 데이터를 생성하는 무장 관리 컴퓨터;
    가상의 무장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무장 시뮬레이션 시험부;
    미리 설정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따라서, 무장 관리 모드로 동작 시에는 상기 무장 데이터가 무장에 전송되도록 스위칭하며, 무장 시뮬레이션 모드로 동작 시에는 상기 무장 시뮬레이션 데이터가 상기 무장에 전송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무장 데이터 또는 무장 시뮬레이션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파이버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파이버 채널은,
    상기 무장 관리 컴퓨터와 스위칭부를 연결하는 제1파이버 채널;
    상기 무장 시뮬레이션 시험부와 스위칭부를 연결하는 제2파이버 채널; 및
    상기 스위칭부와 무장을 연결하는 제3파이버 채널;을 포함하는 시험 모듈이 내장된 무장 관리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무장 관리 모드로 동작 시에는 상기 제1파이버 채널과 제3파이버 채널이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며, 상기 무장 시뮬레이션 모드로 동작 시에는 상기 제2파이버 채널과 제3파이버 채널이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시험 모듈이 내장된 무장 관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장 시뮬레이션 데이터는,
    영상 시뮬레이션 데이터, 오디오 시뮬레이션 데이터, 무장 상태 및 제어 시뮬레이션 데이터, 무장 투하 시뮬레이션 데이터, 전원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시험 모듈이 내장된 무장 관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MIL-STD-1760 인터페이스이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MIL-STD-1760 인터페이스에 따라서, 상기 무장 데이터 또는 무장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상기 무장으로 스위칭하는 시험 모듈이 내장된 무장 관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영상 시뮬레이션 데이터, 오디오 시뮬레이션 데이터, 무장 상태 및 제어 시뮬레이션 데이터, 무장 투하 시뮬레이션 데이터, 전원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상기 MIL-STD-1760 인터페이스에 따른 각 라인에 할당하여 전송하는 시험 모듈이 내장된 무장 관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MIL-STD-1760 인터페이스는,
    영상, 오디오 및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신호 라인과, 무장의 분리 여부를 검출하는 디스크리트 라인과, 무장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라인을 포함하는 시험 모듈이 내장된 무장 관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영상 시뮬레이션 데이터, 오디오 시뮬레이션 데이터, 상기 무장 상태 및 제어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상기 신호 라인에 할당하며, 상기 무장 투하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상기 디스크리트 라인에 할당하며, 상기 전원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상기 전원 라인에 할당하는 시험 모듈이 내장된 무장 관리 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무장 시뮬레이션 시험부는,
    상기 영상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고대역 시뮬레이션 모듈;
    상기 오디오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저대역 시뮬레이션 모듈;
    상기 무장 상태 및 제어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버스 시뮬레이션 모듈;
    상기 무장 투하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스크리트 I/O 시뮬레이션 모듈;
    상기 전원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전원 시뮬레이션 모듈;
    을 포함하는 시험 모듈이 내장된 무장 관리 장치.


KR1020130147432A 2013-11-29 2013-11-29 무장 관리 장치 KR101560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432A KR101560296B1 (ko) 2013-11-29 2013-11-29 무장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432A KR101560296B1 (ko) 2013-11-29 2013-11-29 무장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608A KR20150062608A (ko) 2015-06-08
KR101560296B1 true KR101560296B1 (ko) 2015-10-14

Family

ID=53500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432A KR101560296B1 (ko) 2013-11-29 2013-11-29 무장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2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819A (ko) * 2016-10-28 2018-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함정의 무장발사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402B1 (ko) * 2017-12-29 2018-06-2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무장 제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162B1 (ko) * 2012-04-09 2012-12-31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무장 무인기 유도 무장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162B1 (ko) * 2012-04-09 2012-12-31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무장 무인기 유도 무장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819A (ko) * 2016-10-28 2018-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함정의 무장발사 제어 시스템
KR102590599B1 (ko) 2016-10-28 2023-10-16 한화오션 주식회사 함정의 무장발사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608A (ko) 201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25099C (en) Autonomous weapons system simulation system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virtual scenarios on board and in flight
EP1001242B1 (en) Store interface apparatus
US7802048B2 (en) Smart translator box for AGM-65 aircraft “Maverick” analog interface to MIL-STD-1760 store digital interface
KR101445669B1 (ko) 함정 지휘무장통제체계와 장비체계간 연동자료 성능검증을 위한 연동분석장비, 이에 적용되는 신호분배장치 및 신호변환장치
US20120150365A1 (en) Wireless Precision Avionics Kit
KR101560296B1 (ko) 무장 관리 장치
JP7035252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96054B2 (ja) ストア通信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372364B2 (en) Storage enclosure with daisy-chained sideband signal routing and distributed logic devices
US3469260A (en) Remotely monitored and controlled airborne television system
KR101396292B1 (ko) 전장 상황과 동일한 비행 환경을 구현하는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
KR101482910B1 (ko) 항공기용 항공정보 저장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US8967032B2 (en) Smart-store emulation unit
KR101269235B1 (ko) 공대공 미사일 유도 장치
KR101392262B1 (ko) 조종사 훈련을 위한 모듈 기반 탑재 모의훈련 시스템
KR102662231B1 (ko) 지대공 무기체계 통합 연동을 위한 시험평가 시스템 및 방법
Collinson Avionics systems integration
CN116773937A (zh) 一种机载武器系统无线检测系统及其无线检测方法
KR101531968B1 (ko) 무장관리 컴퓨터 검증용 무장 모의 및 데이터 모니터링 시험장치
CN211855066U (zh) 一种直升机实兵交战系统武器吊舱
KR101297254B1 (ko) 다수의 피시험체 비교 시험 장치, 다수의 피시험체 비교 시험 시스템 및 다수의 피시험체 비교 시험 방법
KR101560299B1 (ko) 무장 제어 장치
KR101872402B1 (ko) 무장 제어 장치
CN211237270U (zh) 基于混合现实的挂弹车模拟培训系统
KR20190068864A (ko) 편대 항공기 간 데이터 공유 기능을 갖는 탑재 훈련 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