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252B1 - Marker array for recording of nystagmus - Google Patents

Marker array for recording of nystagm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252B1
KR101559252B1 KR1020140097183A KR20140097183A KR101559252B1 KR 101559252 B1 KR101559252 B1 KR 101559252B1 KR 1020140097183 A KR1020140097183 A KR 1020140097183A KR 20140097183 A KR20140097183 A KR 20140097183A KR 101559252 B1 KR101559252 B1 KR 101559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 array
marker
nystagmus
present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1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규철
김미주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길의료재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97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2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2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or recording eye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98Electrooculography [EOG], e.g. detecting nystagmus; Electroretinography [ER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rker array which has marker in a small and simple shap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nystagmus measurement and accuracy of a 3D analysis. The marker array includes a first side, a second side, and a third side all of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other two sides and can be attached to an eyeball.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efficient and precise nystagmus measurement. The marker array comes in a size which can be applied to a small animal having small eyeballs to be effectively utilized in an experiment involving a mouse having an advantage in the nystagmus measurement.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effective data collection for obtaining a research result, enables precise and real-time measurement of horizontality, verticality, tilt through locating, and is easily manufactured to be economical. The present invention also can easily reduce the size when being manufactured in order not to disturb the eyeball movement, thereby obtaining a more precise data result.

Description

안진측정을 위한 마커 어레이{Marker array for recording of nystagmus}[0002] Marker arrays for recording nystagmus [0003]

본 발명은 안진측정에 사용되는 마커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마커의 크기가 작고 단순한 모양을 가짐으로써 안진의 측정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3차원 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마커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rker array for use in nystagmus measur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rker array having a small size and simple shape to improve the measurement efficiency of nystagmus and improve the accuracy of three-dimensional analysis .

일반적으로 안진은 '안구진탕(nystagmus)'이라고 불리는 것으로서, 크게 생리적인 현상과 병적인 현상으로 나뉜다. 생리적인 현상으로서는 건강한 사람에게서도 특수한 조건 밑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것이며, 병적인 현상으로는 보통 안구 ·신경 ·뇌 등의 선천성 또는 후천성의 병변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양쪽 안구의 움직임을 관찰함으로써 진단이 가능하다. In general, nystagmus is called 'nystagmus', and it is divided into physiological phenomenon and pathological phenomenon. As a physiological phenomenon, it can happen in a healthy person under special conditions. Pathological phenomenon usually occurs as a congenital or acquired lesion of the eye, nerve, brain, etc., and diagnosis can be made by observing the movement of both eyes.

안구의 움직임과 방향 등에 있어서 안진은 율동성 ·진자(흔들이) ·수평 ·수직 ·회전 ·집산(集散:양쪽 동공이 접근했다가는 멀어지는 것)·잠복(양쪽 눈을 뜨고 있을 때는 일어나지 않으나 한쪽 눈을 감으면 나타나는 것) 등의 현상들을 포함한다. 후천성으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그 원인을 제거하면 경감하거나 소실되지만, 선천성인 것은 별다른 치료법이 없는 실정이다. In the movement and direction of the eyeball, the nystagmus is a rhythm, a pendulum (rocking), a horizontal, a vertical, a rotation, a collecting (both pupils approaches or distances away), a latency (when both eyes are open, And the like). If this phenomenon appears to be acquired, it can be alleviated or eliminated by eliminating the cause, but there is no other treatment that is congenital.

그러나 이러한 안진에 대한 관찰 평가는 어떤 기관 장애 (예를 들면 평형감각을 감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전정계)의 임상 조사에 있어서 중요한 진단 수단이므로, 수십 년 전부터 안진 기록, 관찰, 검사 등에 대한 많은 연구와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However, since the observation evaluation of such nystagmus is an important diagnostic tool in the clinical investigation of an organ disorder (for example, the electroencephalogram used to sense equilibrium sensation), many studies on nystagmus recording, observation, And efforts have been made.

특히 안진은 평형감각을 감지하여 수용하는 기능을 하는 전정과 근접해 있는 전정계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전정계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 즉각적이며 일정한 패턴을 띠는 전정안반사에 의하여 안진을 관찰함으로써 진단이 가능하다. 전정안반사는 즉각적이며 일정한 패턴을 가짐으로써 안구운동의 정확한 측정으로 전정계에 관한 연구가 가능하다.Especially, nystagmus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lectrophysiological system which is close to the vestibule which functions to sense and accept the equilibrium sensation. If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prefrontal cortex, it is possible to diagnose it by observing the nystagmus by the vestibular reflex which has an instantaneous and constant pattern. The vestibular reflexes have an immediate and constant pattern, so that precise measurement of ocular movements is possible by precise measurement of eye movements.

안진에 대한 관찰 평가를 더욱 정확하게 이루기 위하여 여러 가지 수단들이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이를 위한 연구를 더욱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들도 다양하게 발달했다. 그 중의 한 예로서는 실험동물의 전정계에 변화를 주면서 안진 측정을 하는 과정을 통한 연구가 있다.Various methods have been used to more accurately perform observation evaluation of nystagmus, and various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make the study more efficient. One example of this is through the process of nystagmus measurement while changing the animal's motor system.

일반적으로 동물을 활용하는 실험에서는 실험 쥐와 같은 동물들이 실험의 대상이 되는데, 이와 같은 비영장류 실험동물은 안구의 크기가 작고 인간과 달리 홍채, 공막 등의 명도 대비가 매우 작아서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별도의 측정 방법이 필요하다. In general, in animal experiments, animals such as laboratory mice are subjected to experiments. Such non-primate animal animals have small eyeballs and unlike humans, the brightness of iris and sclera is very small, Is required.

통상적으로 이러한 3차원적인 안구운동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 측정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다. 한 가지는 공막 수색코일 기술(sclera search coil technique)이 있다. 공막 수색코일 기술은 이식수술을 통해 안구에 코일을 삽입하여 이를 추적함으로써 안구운동을 측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 이식수술로 인한 흉터 또는 이에 따라 염증이 발생하는 부작용이 있어 안구 움직임을 제한하여 정확하고 정밀한 측정 결과를 얻는 데에 한계가 있다.In general, two measurement methods have been used to measure such three-dimensional eye movements. One is the sclera search coil technique. The technique of scleral search coil technology is to measure eye movements by inserting a coil into the eye through transplantation and tracking it. However, in such a method, there are limitations in obtaining accurate and precise measurement results by restricting eye movements due to scarring due to a transplant operation or side effects resulting from inflammation.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것으로는 비디오 안진계(video-nystagmography)가 제안되었다. 비디오 안진계는 따로 이식수술을 요구하지 않으며, 카메라를 통하여 동공을 추적하거나 각막 반사를 사용하여 안구의 수평적, 수직적 위치를 측정하는 방식이다(Zoccolan D, Graham BJ and Cox DD (2010) A self-calibrating, camera-based eye tracker for the recording of rodent eye movements. Front. Neurosci. 4:193. doi: 10.3389/fnins.2010.00193). 그러나 이런 방식의 단점으로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안구가 건조해서는 안 된다는 조건이 가정되어야 한다. 또한, 비디오 안진계로 안진을 측정할 경우에는 안구의 비틀림은 측정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Video-nystagmography has been propos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e video nystagmus does not require transplant surgery, and it can be used to track the pupil through the camera or to measur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 of the eyeball using corneal reflections (Zoccolan D, Graham BJ and Cox DD (2010) -calibrating, camera-based eye tracker for the recording of rodent eye movements, Front Neurosci 4: 193, doi: 10.3389 / fnins.2010.00193). However, the disadvantage of this method is that the condition must be assumed that the eye should not be dried for accurate measurements. In addition, there is a limitation that when the nystagmus is measured by the video nystagmus, the twist of the eye can not be measured.

또 다른 안진 측정 방법으로는, 안구에 마커를 부착하여 회전축(axis of rotation)에 대한 벡터(vector)값의 변화량을 추적함으로써 안구회전 운동까지도 측정이 가능케 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마커를 사용함으로써 안구가 건조할 경우에도 안진 측정이 가능하며, 안구의 비틀림 또한 측정이 가능하다.Another method of measuring nystagmus is to attach a marker to the eyeball to track the amount of change in the vector value to the axis of rotation, thereby allowing measurement of the eyeball rotation. By using the marker, the nystagmus can be measured even when the eyeball is dry, and the torsion of the eyeball can also be measured.

종래의 마커는 다수 개의 정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이를 카메라를 통해 추적하는 방식으로 실험에 사용되었다(Migliaccio AA, MagDougall HG, Minor LB, Santina CCD. Inexpensive system for real-time 3-dimensional video-oculography using a fluorescent marker array. J. Neurosci. Methods 2005;143:141-150). 이러한 마커는 또끼, 기니픽, 친칠라와 같은 실험동물들에 적용 가능하지만 마커의 크기를 감소시키는데에는 한계가 있음으로, 마우스와 같은 소형 동물에는 적용하기 실질적으로 어렵다.Conventional markers have been used in experiments in the form of a number of squares that are tracked through a camera (Migliaccio AA, MagDougall HG, Minor LB, and Santina CCD). Inexpensive systems for real-time 3-dimensional video-oculography using a fluorescent marker array, J. Neurosci. Methods 2005; 143: 141-150). These markers are applicable to experimental animals such as bull, guinea pig and chinchilla but they are practically difficult to apply to small animals such as mice since they have limitations in reducing the size of the markers.

그러나 실험동물 중에서는 내이 기능의 연구목적으로 사용되는데에는 마우스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데, 이는 사육관리 및 다수의 동물을 통한 통계적 데이터 집계가 유리하며 이를 통해 실험 결론을 얻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However, it is advantageous to use a mouse for the purpose of studying the inner ear function in experimental animals because it is advantageous to carry out the management of breeding and statistical data aggregation through a large number of animals, and it is easy to obtain experiment conclusions through this.

마우스는 실험동물 중에서도 안구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매우 작기 때문에 마커의 크기에 따라 실험 결과의 정밀도가 떨어질 수 있다. 특히 종래의 마커 어레이와 같이 다수 개의 정사각형을 배열한 마커는 그 크기를 줄이기가 어렵고, 제작이 가능하더라도 기술적으로 이러한 마커를 마우스와 같은 소형 동물에 적용하여 카메라 영상으로 정밀하게 추적하며 측정하기가 어렵다.Since the size of the eyeballs is relatively small among mouse animals, the precision of the test results may be deteriorat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arkers.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size of a marker in which a plurality of squares are arranged like a conventional marker array, and it is technically difficult to accurately track and measure the camera image by applying such a marker to a small animal such as a mouse .

또한, 이러한 마우스의 안구에 마커를 부착하면 일단 마커의 크기가 클수록 안구의 운동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에 대한 벡터값의 변화량은 줄어들며, 변화량이 작을수록 추적함에도 어려움이 따르기 나름이다. 정사각형의 크기를 줄이더라도 정사각형들 사이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러한 마커 어레이의 크기는 줄이는 데에 한계가 있다. 정사각형이 작아질수록 그만큼 고화질의 영상이 필요하여 실험 비용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Also, once the marker is attached to the eyeball of such a mouse, the larger the size of the marker, the more restricted the movement of the eyeball. As a resul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vector valu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axis decreases, and the smaller the amount of change, the more difficult it is to track. Even if the size of the square is reduced, there is a limit in reducing the size of such a marker array because the spaces between the squares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maller the square, the higher the quality of the image is required, which can lead to an increase in the experiment cost.

따라서, 현 시점에서는 효율적이며 정확하고 경제적인 안진 측정을 위한 마커가 필요한 실정이며, 통상적인 마커로는 정밀도에 있어서 한계가 있으며, 그 크기를 줄이는 것도 기술적으로 어려워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Therefore, at present, there is a need for an efficient, accurate, and economical marker for nystagmus measurement. Conventional markers have limitations in precision, and it is technically difficult to reduce the size thereof, which is uneconomical.

Zoccolan D, Graham BJ and Cox DD. A self-calibrating, camera-based eye tracker for the recording of rodent eye movements. Front. Neurosci. 4:193. doi: 10.3389/fnins.2010.00193Zoccolan D, Graham BJ and Cox DD. A self-calibrating, camera-based eye tracker for the recording of rodent eye movements. Front. Neurosci. 4: 193. doi: 10.3389 / fnins.2010.00193 Migliaccio AA, MagDougall HG, Minor LB, Santina CCD. Inexpensive system for real-time 3-dimensional video-oculography using a fluorescent marker array. J. Neurosci. Methods 2005;143:141-150Migliaccio AA, MagDougall HG, Minor LB, Santina CCD. Inexpensive system for real-time 3-dimensional video-oculography using a fluorescent marker array. J. Neurosci. Methods 2005; 143: 141-150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이며 정확한 안진 측정을 허용하는 형태의 마커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rker array that allows efficient and accurate measurement of nystagmus.

또한, 크기가 큰 안구는 물론이며, 마우스와 같이 안구의 크기가 작은 소형 동물에도 적용가능한 마커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arker array applicable to a small animal having a small eyeball as well as a large-sized eyeball.

또한, 실시간의 삼차원적인 정밀한 측정이 가능한 마커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rker array capable of accurate real-time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또한, 안구의 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마커 어레이의 크기를 더 용이하게 감소시켜 제작할 수 있는 형태의 마커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rker array in which the size of the marker array can be easily reduc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eyeball.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 1 변(110), 제 2 변(120), 및 제 3 변(130)을 포함하며, 상기 세 개의 변(110, 120, 및 130)은 각각 다른 두 개의 변과 접촉하는 삼각형을 형성하며, 안구(400) 상에 부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 어레이를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such problems includes a first side 110, a second side 120, and a third side 130, and the three sides 110, 120, And 130 form a triangle in contact with the other two sides, respectively, and are attachable on the eye 400.

또한, 상기 세 개의 변(110, 120 및 130)이 삼각형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ee sides 110, 120 and 130 form a triangle.

또한, 상기 각각 다른 두 변이 접촉하여 다수 개의 꼭지점을 형성하며, 상기 꼭지점의 위치가 소정의 방법에 의하여 추적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 different sides contact each other to form a plurality of vertices, and the position of the vertex can be tracked by a predetermined method.

또한, 상기 제 2 변(120) 및 제 3 변(130)의 길이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s of the second side 120 and the third side 130 are the same.

또한, 상기 세 개의 변(110, 120, 및 130) 중 적어도 어느 한 변은 0㎛보다 길고 600㎛보다 짧거나 같은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also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three sides 110, 120, and 130 has a length longer than 0 탆 and shorter than or equal to 600 탆.

또한, 상기 제 1 변(110)의 길이가 상기 제 2 변(120) 및 상기 제 3 변(130)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The length of the first side 110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side 120 and the third side 130.

또한, 상기 제 1 변(110)의 추적에 의하여 상기 안구의 움직임이 추적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otion of the eyeball can be tracked by tracking the first side 1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마커 어레이; 및 상기 마커 어레이의 단위시간당 위치를 추적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안진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A marker ar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ans for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marker array per unit time.

또한, 상기 수단은 녹화용 비디오 카메라(2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eans preferably includes a video camera 200 for recording.

또한, 상기 수단은 상기 카메라(200)로부터 받는 입력값을 분석하는 장치(3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pparatus 300 for analyzing an input value received from the camera 200.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 개의 지점들 및 다수 개의 서로 연결된 변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안구 운동의 추적이 용이하여 안진 측정이 효율적이며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form including a plurality of points and a plurality of mutually connected sides, so that eye movement can be easily tracked, so that nystagmus measurement can be efficiently and accurately performed.

또한, 안구의 크기가 작은 소형 동물에도 적용가능한 크기 및 형태를 가짐으로써 마우스와 같이 안진 측정에 유리한 동물을 실험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서 연구 결과를 얻기 위한 데이터 집계에 유리하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and shape applicable to small animals having small eyeballs can be utilized effectively for animals that are advantageous for nystagmus measurement such as a mouse, it is advantageous to collect data for obtaining research results.

또한, 마커 어레이는 다수 개의 지점들과 다수 개의 변들의 위치의 추적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되어 이러한 위치를 통한 실시간의 수평, 수직 및 비틀림 정도의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marker array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ositions of a plurality of points and a plurality of sides can be easily tracked, and accurate measurement of horizontal, vertical, and twist degrees in real time can be performed through such positions.

또한, 마커 어레이는 이등변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경우에 마커 어레이의 제작이 편리하여 경제적이며, 이의 크기를 용이하게 감소시켜 제작할 수가 있어서 안구의 운동에 방해가 되지 않아 더 정확한 데이터 결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marker array is preferably formed of an isosceles triangle. In this case, the marker array can be manufactured easily and economically, and the size of the marker array can be easily reduced. Therefore,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커 어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커 어레이의 적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3a는 마커 어레이가 적용되지 않은 안구 운동의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b 및 도 3c는 안구에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마커 어레이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안구 운동의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front view for explaining a marker ar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side view for explaining application of the marker ar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range of eye movements to which a marker array is not applied.
FIGS. 3B and 3C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range of eye movement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arker ar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eyeball.

본 발명의 마커 어레이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동일한 원리가 마커 어레이 이외의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안진 측정을 위한 마커 어레이 이외의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 다른 장치에도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The marker arra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same principles can be applied to devices other than the marker array. Accordingly,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encompass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appended claims, to other apparatuses to which the same principles are applied other than the marker array for nystagmus measurement.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가능하다.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tegrally or individually as needed. In addition, some components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usage form.

본 발명에 따른 마커 어레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marker ar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C.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described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커 어레이(100)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marker arra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마커 어레이(100)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First,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marker array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커 어레이(100)는 제 1 변(110), 제 2 변(120), 및 제 3 변(130)을 포함하며, 세 개의 변(110, 120, 및 130)은 각각 다른 두 개의 변과 접촉하는 형태를 가지며 이는 안구(400) 상에 부착가능하다.The marker arra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ide 110, a second side 120 and a third side 130 and includes three sides 110, 120, and 130, Are in contact with two different sides, which are attachable on the eye 400.

이때 세 개의 변(110, 120, 및 130)은 삼각형을 형성하여 제 1 변(110), 제 2 변(120) 및 제 3 변(130) 각각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꼭지점들을 꼭지점(A), 꼭지점(B), 및 꼭지점(C)로 규정할 수 있다.The three sides 110, 120 and 130 form a triangle so that the vertexes located at opposite sides of the first side 110, the second side 120 and the third side 130 are vertexes A, , A vertex (B), and a vertex (C).

한편으로, 이렇게 형성된 마커 어레는 각각 다른 두 변이 접촉하여 꼭지점(A, B, 및 C)를 포함하는 삼각형을 그 내부에 포함하며 세 개의 변(110, 120, 및 130) 각각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하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변형예들이 도출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hus-formed marker array has two different sid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cluding a triangle including vertexes A, B, and C therein, and a part of each of the three sides 110, 120, And thus variou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커 어레이(100)는 이등변 삼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정사각형의 마커를 대각선으로 위치하는 두 꼭지점을 기준으로 반으로 나눔으로써 제작가능한 바와 같이 제작이 매우 편리하며, 복잡한 형태의 마커를 형성하는 것보다 더 신속하고 경제적인 생산이 가능하다.However, the marker arra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n isosceles triangle. By dividing one square marker in half with respect to two vertices positioned diagonally, it is very convenient to manufacture as can be made, and it is possible to produce more quickly and economically than to form a complex marker.

이와 같이 마커 어레이(100)가 이등변 삼각형으로 형성될 경우에 제 1 변(110)이 다른 변들에 비하여 길이가 길고 나머지 제 2 및 3 변(120 및 130)은 서로 길이가 같다. 이러한 마커 어레이(100)를 도 1과 같은 형태로 안구(400) 상에 부착함으로써, 이를 기준으로 안구(400)의 좌측, 우측 및 상측, 하측이 용이하게 구별되어 안구(400)의 수직 및 수평운동이 용이하게 측정될 수 있다. When the marker array 100 is formed in an isosceles triangle, the length of the first side 11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other side, and the lengths of the second and third sides 120 and 130 are equal to each other. The marker array 100 is attached to the eyeball 400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1 so that the left, right,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yeball 400 are easi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e motion can be easily measured.

또한, 제 1 변(110)의 길이 측정에 의하여 안구(400)의 운동 중 비틀림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마커 어레이(100)가 적용된 안진 측정 시스템은 마커 어레이(100)의 단위시간당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며, 수단으로써는 안구(400)의 운동을 녹화할 수 있는 카메라(200)와 녹화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 받아 분석하는 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lso, by measuring the length of the first side 110,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degree of twisting during movement of the eyeball 400. The nystagmus measuring system to which the marker array 100 is applied includes means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marker array 100 per unit time and includes a camera 200 capable of recording the motion of the eyeball 400, And an apparatus 300 for receiving and analyzing the recorded image data.

이때 실험용 소형 동물의 안구(400) 상에 마커 어레이(100)를 부착할 시에, 제 1 변(110)이 소형 동물의 동공(410)의 중심 상에 위치하도록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커 어레이(100)가 고정된 후, 동공(410)의 중심과 카메라(200)가 같은 축(X)선상에 위치하도록 정확하게 배열되는 것이 실험 결과의 오차를 감소시킴으로써 바람직하다.At this time, when attaching the marker array 100 on the eye 400 of the laboratory animal,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ide 110 is fixed on the center of the pupil 410 of the small animal.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of the pupil 410 and the camera 200 are accurately arranged on the same axis X after the marker array 100 is fixed by reducing the error of the experimental result.

카메라(200)가 안구(400)의 운동을 기록할 시에 안구(400)가 좌우 및 상하로 움직일 때 수평 및 수직 운동은 물론이며, 안구(400) 상에 고정된 꼭지점(A, B, 및 C)들의 위치 변화를 컴퓨터와 같은 장치(300)를 통하여 분석하면 안구(400)의 비틀림 정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When the camera 200 records the motion of the eyeball 400, when the eyeball 400 moves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as well a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the vertexes A, B, C are analyzed through a device 300 such as a computer,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twist of the eye 400 can be obtained.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마커 어레이(10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안구 운동의 범위를 설명한다.3A to 3C, the range of eye movement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arker array 100 will be described.

마커에 포함되는 추적 가능한 지점의 개수는 회전체의 움직인 각도나 위치를 결정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일반적인 마커는 최소 두 점 이상의 지점들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지점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지만, 이로 인하여 마커 자체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Since the number of trackable points included in the marker is an essential factor in determining the angle or position of movement of the rotating body, a general marker requires at least two points. As the number of such points increases, accurate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However,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marker itself increases.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커 어레이(100)는 세 개의 변(110, 120, 및 130)들의 위치와 이에 따라 형성된 꼭지점(A, B, 및 C)들에 의하여 추가적인 지점들이 필요하지 않아 더 작은 크기로 더 정확한 측정을 가능케 한다. 여기서 작은 크기라 함은, 제 2 변(120) 및/또는 제 3 변(130)의 길이가 600㎛와 같거나 짧고 0㎛ 보다는 긴 길이를 갖는 마커 어레이(100)의 크기로 규정한다.However, the marker array 10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dditional points by the positions of the three sides 110, 120, and 130 and thus formed vertices A, B, and C Smaller size allows more accurate measurements. Here, the small size is defined as the size of the marker array 100 in which the length of the second side 120 and / or the third side 130 is equal to or shorter than 600 mu m and longer than 0 mu m.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구운동은 정해진 범위인 각(α)에서 움직인다. 이는 안구(400) 상에 아무것도 부착되지 않은 원상태로, 안구(40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A, the eye movement moves at a predetermined angle [alpha]. This allows the eye 400 to move freely, with nothing on the eye 400 being undone.

도 3b에 도시된 마커 어레이(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 중에서 크기가 큰 경우를 나타낸다. 이러한 마커 어레이(100')가 동공(410) 상에 위치되면 안구(400)의 운동범위는 도 3a의 각(α)보다 작은 각(β)로 감소하게 된다. The marker array 100 'shown in FIG. 3B represents a case where the size of the marker array 100' is larger than tha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rker array 100 'is positioned on the pupil 410, the range of motion of the eyeball 400 is reduced to an angle? Smaller than the angle? Of FIG. 3A.

그러나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b의 마커 어레이(100')보다 작은 크기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마커 어레이(100")를 적용한 경우에는 안구(400)의 운동범위가 도 3b의 각(β)보다 큰 각(γ)로 증가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마커 어레이(100)의 크기가 작을수록 운동범위가 각(α)에 더 근접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C, when the marker array 100 ", which is another embodiment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marker array 100 'of FIG. 3B, is used, the motion range of the eye 400 is changed to the angle β The smaller the size of the marker array 100, the closer the motion range is to the angle alpha.

즉, 안구(400) 상에 마커를 적용한 후 변하는 운동범위(예를 들면 각(β) 또는 각(γ))가 각(α)와 차이가 클수록, 이는 상기 차이에 상응하는 정도로 운동범위가 제한됨으로써 안진 측정 과정에서 측정 오차의 증가가 초래된다. 따라서 마커의 크기가 작을수록 측정 오차가 감소하며, 본 발명에 따른 마커 어레이(100, 100', 100")는 이의 형태 및 측정 원리에 의하여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용이함으로써, 안진 측정 시스템에 활용되는 안구(400)의 크기에 따라, 또는 각 상황 및 필요성에 따라 경제적이며 적절한 크기의 마커가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That is, the great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gle (?) And the range of motion (e.g., angle? Or angle?) That varies after application of the marker on eye 400, This leads to an increase in the measurement error in the nystagmus measurement process. Therefore, the smaller the size of the marker, the smaller the measurement error. The marker array 100, 100 ',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reduced in size by its shape and measurement principl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eye 400, or depending on each situation and need, economical and suitably sized markers can be preferably applied.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00, 100', 100": 마커 어레이
110: 제 1 변
120: 제 2 변
130: 제 3 변
200: 카메라
300: 장치
400: 안구
410: 동공
X: 축
A, B, C: 꼭지점
100, 100 ', 100 ": marker array
110: 1st side
120: second side
130: The third side
200: camera
300: Device
400: eyeball
410: pupil
X: Axis
A, B, C: Vertex

Claims (9)

제 1 변(110), 제 2 변(120), 및 제 3 변(130)을 포함하며,
상기 세 개의 변(110, 120, 및 130)은 각각 다른 두 개의 변과 접촉하여 삼각형을 형성하며,
안구(400) 상에 부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커 어레이.
Includes a first side 110, a second side 120, and a third side 130,
The three sides 110, 120, and 130 contact each other two sides to form a triang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ttachable on the eye (400)
Marker arr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 다른 두 변이 접촉하여 다수 개의 꼭지점을 형성하며,
상기 꼭지점의 위치가 소정의 방법에 의하여 추적 가능한,
마커 어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wo different sides contact each other to form a plurality of vertexes,
Wherein the position of the vertex is trackable by a predetermined method,
Marker arr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120) 및 제 3 변(130)의 길이가 동일한,
마커 어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of the second side 120 and the side length of the third side 130 are the same,
Marker arr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 개의 변(110, 120, 및 130) 중 적어도 어느 한 변은 0㎛보다 길고 600㎛보다 짧거나 같은 길이를 갖는,
마커 어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three sides 110, 120, and 130 has a length greater than 0 占 퐉 and less than or equal to 600 占 퐉,
Marker arr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110)의 길이가 상기 제 2 변(120) 및 상기 제 3 변(130)보다 긴,
마커 어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of the first side 11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side 120 and the third side 130,
Marker arra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110)의 추적에 의하여 상기 안구의 움직임이 추적 가능한,
마커 어레이.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racking of the first side (110)
Marker array.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마커 어레이; 및 상기 마커 어레이의 단위시간당 위치를 추적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안진 측정 시스템.
A marker arra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d means for tracking a position per unit time of the marker array.
Nystagmus measuring system.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카메라(200)를 포함하는,
안진 측정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Said means comprising a camera (200)
Nystagmus measuring system.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카메라(200)로부터 받는 입력값을 분석하는 장치(300)를 더 포함하는,
안진 측정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eans further comprises an apparatus (300) for analyzing input values received from the camera (200)
Nystagmus measuring system.
KR1020140097183A 2014-07-30 2014-07-30 Marker array for recording of nystagmus KR1015592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183A KR101559252B1 (en) 2014-07-30 2014-07-30 Marker array for recording of nystagm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183A KR101559252B1 (en) 2014-07-30 2014-07-30 Marker array for recording of nystagm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252B1 true KR101559252B1 (en) 2015-10-13

Family

ID=54348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183A KR101559252B1 (en) 2014-07-30 2014-07-30 Marker array for recording of nystagm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252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61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ease and accuracy of gaze tracking
US11723582B2 (en) Non-invasive and non-contact measurement in early therapeutic intervention
JP2019503774A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neurological diseases
KR101711093B1 (en) Virtual reality system based on eye movement and perceptual function for self diagnosis and training of dementia
Chen et al. Development of method for quantifying essential tremor using a small optical device
CN107595250A (en) The blood flow imaging method and system of contrast is mixed with figure based on motion
JP2024016094A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neurological disorders and for measuring general cognitive performance
US20140371600A1 (en) Apparatus For Meausring In-Vivo Mechanical Properties of Biological Tissues
JP2022536100A (en) Alignment of ultrasound images
CN110335235A (en) Processing unit, processing system and the medium of cardiologic medical image
CA2435710A1 (en) Dynamic ocular visual monitoring system
RU2442533C2 (en) Hardware system for complex registration, analasys and modeling of structural motor apparatus of a person
KR101559252B1 (en) Marker array for recording of nystagmus
US202400655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neurological disorders and for measuring general cognitive performance
RU2497451C1 (en) Method of diagnosing functional impairment of locomotor system
RU2445920C1 (en) Method for evaluating individual's ability for target control of body balance displacement
Hanuka et al. A novel eyelid motion monitor
Kutilek et al. Methods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eye, head and shoulders position in neurological practice
CN112120733B (en) Method for acquiring cerebral blood flow velocity, storage medium and terminal device
EP4166065A1 (en) Ophthalmic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ophthalmic device, and program
EP4316350A1 (en) Image based detection of characteristic eye movements
ROVINI Study and development of novel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roaches for Parkinson's disease based on ICT and machine learning
WO20230811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dementia and other conditions
Hao et al. Can Laser Speckle Contrast Imaging be a quantitative measurement using machine learning?
Chiappedi et al. Easy quantitative methodology to assess visual-motor ski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