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814B1 - Apparatus of active emergemcy deceleration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active emergemcy deceleration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814B1
KR101558814B1 KR1020140130366A KR20140130366A KR101558814B1 KR 101558814 B1 KR101558814 B1 KR 101558814B1 KR 1020140130366 A KR1020140130366 A KR 1020140130366A KR 20140130366 A KR20140130366 A KR 20140130366A KR 101558814 B1 KR101558814 B1 KR 101558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mergency
driver
control step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3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원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0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8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8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ive emergency deceleration device and a method to accomplish the same. The active emergency decel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determining step (S100) of determining whether a passenger operates an emergency button; a first control step (S200) of controlling a vehicle if the emergency button is determined to be operated in the first determining step (S100); a second determining step (S300) of determining whether a driver operates a reset button within a predetermined reset time after the first control step (S200); and a second control step (S400) of operating a retarder at maximum performance if the driver does not operate the reset button within the predetermined reset time in the second determining step (S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ssenger can reduce the speed of the vehicle by actively operating a specific button in an emergency situation. Furthermore, the operation is easily realized in the vehicle since some components are added on the basis of a basic layout of the vehicle.

Description

능동적 비상감속장치 및 방법{APPARATUS OF ACTIVE EMERGEMCY DECELERATION AND METHOD THEREOF}[0001] APPARATUS OF ACTIVE EMERGEMCY DECELERATION AND METHOD THEREOF [0002]

본 기술은 능동적 비상감속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이상상태 등 비상상황에서 탑승객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능동적 비상감속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ive emergency decelera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tive emergency decel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a passenger to actively cop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n abnormal condition of a driver.

리타더(RETARDER)는 대형 자동차에 있어서 긴 언덕길이나 고속 주행중에 브레이크를 걸 때 생기는 페이드(Fade) 현상을 완화하기 위하여 기계적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하는 보조 브레이크 장치이다. 리타더는 일반적으로 변속기와 일체형이며, 형상은 제작사마다 차이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타더는 크게 유체식 리타더, 자석식 리타더 등으로 구분된다. 유체식 리타더는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의 오일이 로터의 회전을 방해하여 구동력을 저하시킴으로서 제동 효과를 발생시킨다. 자석식 리타더는 자기장내에서 로터가 회전하면 전류가 발생하고, 전류에 의해 로터의 회전저항이 발생하므로 제동효과를 발생시킨다. RETARDER is an auxiliary braking device that absorbs some of the mechanical energy to mitigate the fade that occurs when braking on long hills or high speeds in large vehicles. The retarder is generally integrated with the transmission, and the shape varies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As shown in FIG. 1, the retarder is roughly divided into a fluid type retarder, a magnetic type retarder, and the like. The fluid type retarder causes the oil between the rotor and the stator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or, thereby lowering the driving force and generating a braking effect. The magnetic retarder generates a current when the rotor rotates in the magnetic field, and generates a braking effect because the rotor rotates due to the current.

리타더(RETARDER)는 국토교통부의 대형 버스 및 트럭의 보조제동장치 성능 기준 강화 법규에 따라, 2017년 이후 생산된 대형 차량에 기본적으로 장착되게 된다. 따라서, 대형 버스 및 트럭의 안전성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단, 종래의 리타더는 운전자에 의해서만 작동되었고, 탑승객의 제동방법은 전무하였다. 이에 2014년 3월 19일 서울에서 발생한 버스 사고(이하, 송파사고)와 같이,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1차 추돌 사고 이후 탑승객들이 운전자의 이상징후를 발견하고도 운전자의 이상행동으로 2차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이상상태 등 비상상황에서 탑승객이 특정 버튼을 이용해 차량의 속도를 감소시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The RETARDER will be installed in large vehicles produced after 2017, in accordance with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Traffic Law's strengthened performance standards for auxiliary braking devices for large buses and trucks. Therefore, the safety of large buses and trucks is expected to be strengthened. However, the conventional retarder was operated only by the driver, and the braking method of the passenger was not performed. Therefore, after a first-round collision caused by a driver's carelessness, such as a bus accident occurred on March 19, 2014 in Seoul, passengers find the driver's anomaly, Lt; / RTI >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passenger to reduce the speed of the vehicle by using a specific button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n abnormal condition of the driver, thereby preventing an accident in advance.

등록특허공보 제10-0158160호(1998.08.03)Patent Registration No. 10-0158160 (Aug. 3, 199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의 이상상태 등 비상상황에서 탑승객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제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parate braking method for a passenger to actively cop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n abnormal condition of a driv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능동적 비상감속방법은 탑승객이 비상 버튼을 작동시켰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단계(S100); 상기 제 1 판단단계(S100)에서 비상버튼이 작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을 제어하는 제 1 제어단계(S200); 상기 제 1 제어단계(S200) 후, 기 설정된 리셋 시간 내에 운전자가 리셋 버튼을 작동시켰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단계(S300); 및 상기 제 2 판단단계(S300)에서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운전자가 리셋 버튼을 작동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리타더를 최대 성능으로 작동시키는 제 2 제어단계(S400);를 포함한다. The active emergency decel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etermination step (SlOO) for determining whether a passenger has activated an emergency button; A first control step (S200) of controlling the vehic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button is activated in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SlOO); A second determination step (S300) of determining whether the driver has operated the reset button within a predetermined reset time after the first control step (S200); And a second control step (S400) of operating the retarder at maximum performance when the driver does not operate the reset butt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S300).

상기 능동적 비상감속방법은 상기 제 2 제어단계(S400) 후, 운전자가 리셋 버튼을 작동시켰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판단단계(S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ctive emergency deceler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third determination step (S500) of determining whether the driver has operated the reset button after the second control step (S400).

상기 능동적 비상감속방법은 상기 제 3 판단단계(S600)에서 운전자가 리셋 버튼을 작동시킨 경우에는 상기 제 1 제어단계(S200) 및 상기 제 2 제어단계(S400)의 차량 제어를 초기화하는 제 3 제어단계(S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ctive emergency deceleration method includes a third control for initializing the vehicl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step S200 and the second control step S400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reset button in the third determination step S600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 S600.

상기 능동적 비상감속방법은 상기 제 2 판단단계(S300)에서 운전자가 리셋 버튼을 작동시킨 경우에는 비상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차량을 제어하는 제 4 제어단계(S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ctive emergency deceler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control step (S700) for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is not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controlling the vehicle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reset button in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S300) .

상기 제 4 제어단계(S700)는 상기 제 1 제어단계(S200)의 차량 제어를 초기화하는 초기화 단계(S7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urth control step (S700) includes an initializing step (S710) of initializing the vehicl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step (S200).

상기 제 4 제어단계(S700)는 기 설정된 불능시간 동안 탑승자가 비상버튼을 작동시킬 수 없게 하는 비상버튼 작동불능 단계(S7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urth control step (S700) includes an emergency button disable step (S720) for preventing the occupant from operating the emergency button for a predetermined disable time.

상기 제 1 제어단계(S200)는 리타더를 작동시켜 차량을 감속시키고,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비상등을 작동시키는 감속단계(S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ntrol step S200 includes a deceleration step S210 for decelerating the vehicle by operating the retarder and operating an emergency lamp dispos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vehicle.

상기 제 1 제어단계(S200)는 운전석에 설치된 스피커에서 부저가 울리는 운전자 경고단계(S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ntrol step S200 includes a driver warning step S220 in which a buzzer sounds from a speaker installed in a driver's seat.

상기 제 1 제어단계(S200)는 운전자의 가속페달을 밟더라도 차량이 가속되지 않는 가속 불능단계(S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ntrol step S200 includes the step S230 in which the vehicle is not accelerated even if the driver depresses the accelerator ped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능동적 비상감속장치는 운전자가 이상상태인 경우에 탑승객이 작동시킬 수 있는 비상 버튼부(100); 상기 비상 버튼부(100)가 오작동한 경우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상태를 초기화시킬 수 있는 리셋 버튼부(200); 상기 비상 버튼부(100) 또는 상기 리셋 버튼부(200)의 작동에 의해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300)의 신호에 따라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차량을 정지시킬 수 있는 리타더부(400); 및 상기 제어부(300)의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울려 운전자에 경고하는 경고부(500);를 포함한다.The active emergency decel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ergency button unit 100 that a passenger can operate when the driver is in an abnormal state; A reset button unit 200 for allowing the driver to initialize the state of the vehicle when the emergency button unit 100 malfunctions; A control unit 300 for controlling the vehicle by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unit 100 or the reset button unit 200; A retarder unit 400 capable of decelerating the vehicle speed or stopping the vehicle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control unit 300; And a warning unit 500 for alerting the driver of an alarm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controller 300. [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상황에서 탑승객이 능동적으로 특정 버튼을 작동시켜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고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기본적인 레이아웃을 바탕으로 일부 부품을 추가 장착하므로, 차량에서의 실현이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ssenger can actively activate a specific button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reby reducing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minimizing accidents. In addition, since some parts ar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basis of the basic layout of the vehicle, realization in a vehicle is easy.

도 1은 종래의 리타더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비상감속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비상감속장치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비상감속장치의 개요도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retarder;
2 is a flowchart of an active emergency decel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n active emergency decel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ctive emergency decel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word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비상감속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능동적 비상감속방법은 제 1 판단단계(S100), 제 1 제어단계(S200), 제 2 판단단계(S300) 및 제 2 제어단계(S400);를 포함한다. 2 is a flowchart of an active emergency decel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an active emergency decel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etermining step S100, a first controlling step S200, a second determining step S300, and a second controlling step S400. .

제 1 판단단계(S100)에서는 탑승객이 비상 버튼을 작동시켰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탑승객이 운전자의 이상상태 등 비상 상황을 인지하면, 상기 비상 버튼을 이용해 차량을 제동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비상 버튼은 소화전 버튼 컨셉과 유사한 구조로서, 안전 캡을 구비하여 탑승객이 오작동할 수 없도록 커버가 씌워져 있다. 단, 비상시에는 안전 캡을 깨고, 비상 버튼을 눌러 작동시킬 수 있다. 안전 캡은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In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SlOO),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ssenger has activated the emergency button. When the passenger recognizes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n abnormal condition of the driver, the emergency button is used to braking the vehicle. The emergency button has a structure similar to a fire hydrant button concept and has a safety cap to cover the passenger so that the passenger can not malfunction. However, in case of emergency, the safety cap can be broken and the emergency button can be operated. The safety cap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제 1 제어단계(S200)에서는 상기 제 1 판단단계(S100)에서 비상버튼이 작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을 제어한다. 상기 제 1 제어단계(S200)는 감속단계(S210), 운전자 경고단계(S220), 가속 불능단계(S230)를 포함한다. 감속단계(S210)에서는 리타더를 작동시켜 차량을 감속시키고,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비상등을 작동시킨다. 즉, 탑승객이 운전자의 이상상태 등 비상 상황을 인지하고 비상 버튼을 작동시킨 경우, 리타더를 작동시켜 차량을 감속시킨다. 예를 들어, 총 4단으로 구성된 리타더의 경우에는 2단으로 리타더를 작동시켜 리타더가 33%의 성능을 발휘하여 차량을 감속시키도록 한다. 또한, 차량의 감속에 따른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비상등을 점멸시켜 주변 차량에 이상상황 및 이에 따른 감속을 인지시킨다.In the first control step S20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button is activated in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S100, the vehicle is controlled. The first control step S200 includes a deceleration step S210, a driver warning step S220, and an acceleration disabled step S230. In the deceleration step S210, the retarder is operated to decelerate the vehicle, and the emergency lights dispos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vehicle are operated. That is, when a passenger recognizes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driver's abnormality and activates the emergency button, the retarder is operated to decelerate the vehicl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our-stage retarder, the retarder is operated in two stages to allow the retarder to decelerate the vehicle by 33%.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a secondary accident caused by deceleration of the vehicle, emergency lights dispos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vehicle are blinked to recognize an abnormal situation and a corresponding deceleration in the surrounding vehicle.

운전자 경고단계(S220)는 운전석에 설치된 스피커에서 부저가 울려 운전자에 경고하는 단계이다. 운전자는 운전도중 탑승객의 비상 버튼 작동을 인지하기 어려우므로, 스피커에서 부저를 울려 비상 버튼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차량의 감속을 운전자에 인지시키기 위함이다.The driver warning step S220 is a step in which the buzzer sounds from the speaker installed in the driver's seat to warn the driver. It is difficult for the driver to recognize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of the passenger while driving, so that the buzzer sounds in the speaker to inform the driver of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and the deceleration of the vehicle accordingly.

가속 불능단계(S230)는 운전자의 가속페달을 밟더라도 차량이 가속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리타더가 장착된 차량의 경우에는 리타더가 작동된 후 가속페달의 작동시 리타더가 자동으로 해제되나, 탑승객이 비상 버튼을 작동시킨 경우에는 운전자의 이상상태 등 비상 상황이므로,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밟아 엔진에 가속 신호를 보내더라도 이를 무시하고 차량을 감속시켜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step of impossibility of acceleration (S230) is a step of preventing the vehicle from being accelerated even if the driver depresses the accelerator pedal. Generally, in the case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retarder, the retarder is automatically released when the accelerator pedal is operated after the retarder is operated. However, when the passenger operates the emergency button, Even if the accelerator pedal is depressed and sends an acceleration signal to the engine, the vehicle is decelerated to ignore the accident, thereby preventing a secondary accident in advance.

제 2 판단단계(S300)는 상기 제 1 제어단계(S200) 후, 기 설정된 리셋 시간 내에 운전자가 리셋 버튼을 작동시켰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탑승객의 장난 또는 실수로 비상 버튼이 작동된 경우에, 운전자는 비상 상황이 아님을 인지하고 정상 운행을 하기 위해, 비상 버튼의 작동을 해제하기 위함이다. 기 설정된 리셋 시간은 운전자 또는 정비사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초 내지 3초로 설정될 수 있다. After the first control step S200, the second determining step S300 determines whether the driver has operated the reset button within a predetermined reset time. For example, in the event that the emergency button is activated by a passenger's accident or mistake, the driver recognizes that the emergency is not an emergency situation and releases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in order to perform normal operation. The predetermined reset time can be set by the driver or mechanic, and can be set to, for example, 1 second to 3 seconds.

제 2 제어단계(S400)는 상기 제 2 판단단계(S300)에서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운전자가 리셋 버튼을 작동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리타더를 최대 성능으로 작동시킨다.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운전자가 리셋 버튼을 작동시키지 않은 경우는 운전자의 이상상태 등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이므로, 상기 제 1 제어단계(S200)에서의 리타더 작동보다 높은 단수로 리타더를 작동시켜 최대 성능을 발휘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총 4단으로 구성된 리타더의 경우에는 4단으로 리타더를 작동시켜 리타더가 100%의 성능을 발휘하여 차량을 감속시키도록 한다. 이때, 수동변속기(MTM)의 경우로서 고단인 경우에는 시동이 꺼질 수 있으며, 저단인 경우 또는 자동변속기(ATM)의 경우에는 저속(10km/h이하)으로 운행된다. In the second control step S400, if the driver does not operate the reset button within the preset time in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S300, the retarder is operated at the maximum performance. If the driver does not operate the reset butt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n abnormal condition of the driver has occurred. Therefore, the retarder is operated at a higher number of times than the retarder operation in the first control step (S200) .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our-stage retarder, the retarder is operated in four stages to allow the retarder to decelerate the vehicle with 100% performance. At this time, as the case of the manual transmission (MTM), the starting can be turned off when the engine is at a high speed, and the engine is operated at low speed (10 km / h or less)

제 3 판단단계(S500)는 상기 제 2 제어단계(S400) 후, 운전자가 리셋 버튼을 작동시켰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 3 제어단계(S600)는 상기 제 3 판단단계(S600)에서 운전자가 리셋 버튼을 작동시킨 경우에는 상기 제 1 제어단계(S200) 및 상기 제 2 제어단계(S400)의 차량 제어를 초기화한다. 상기 제 2 제어단계(S400)에서 리타더를 최대 성능으로 작동시켜 차량을 감속시킨 후, 운전자가 이상상태에서 회복하는 등 비상 상황이 해제된 경우에는 운전자가 리셋 버튼을 작동시켜 제 1 제어단계(S200) 및 상기 제 2 제어단계(S400)의 차량 제어를 초기화하고, 다시 정상 운행을 하기 위함이다.The third determination step S5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river has operated the reset button after the second control step S400, and the third control step S600 determines whether the driver has operated the reset button in the third determination step S600 And initializes the vehicl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step S200 and the second control step S400 when the reset button is operated. If the emergency situation is released such that the driver is recovering from the abnormal state after decelerating the vehicle by operating the retarder at the maximum performance in the second control step (S400), the driver operates the reset button to perform the first control step S200) and the second control step (S400), so as to perform normal operation again.

제 4 제어단계(S700)는 상기 제 2 판단단계(S300)에서 운전자가 리셋 버튼을 작동시킨 경우에는 비상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차량을 제어한다. 제 4 제어단계(S700)는 초기화 단계(S710), 비상버튼 작동불능 단계(S720)를 포함한다. If the driver operates the reset button in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S300), the fourth control step (S70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not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controls the vehicle. The fourth control step S700 includes an initialization step S710, and an emergency button disablement step S720.

초기화 단계(S710)는 상기 제 1 제어단계(S200)의 차량 제어를 초기화한다. 예를 들어, 탑승객의 장난 또는 실수로 비상 버튼이 작동된 경우에, 운전자는 비상 상황이 아님을 인지하고 정상 운행을 하기 위해, 비상 버튼의 작동을 해제하기 위함이다. 비상버튼 작동불능 단계(S720)는 기 설정된 불능시간 동안 탑승자가 비상버튼을 작동시킬 수 없게 한다. 상기와 같이, 탑승객의 장난 또는 실수로 비상 버튼이 작동된 경우에, 일정 시간 동안 비상버튼을 작동불능상태로 하여 비상 버튼의 오작동 및 이에 따른 운전자의 주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기 설정된 불능시간은 운전자 또는 정비사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분 내지 3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The initializing step (S710) initializes the vehicl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step (S200). For example, in the event that the emergency button is activated by a passenger's accident or mistake, the driver recognizes that the emergency is not an emergency situation and releases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in order to perform normal operation. The emergency button disable step (S720) prevents the occupant from operating the emergency button for a predetermined disable tim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activated due to mischief or accident of the passenger, the emergency button is disabl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emergency button and distraction of the driver due to the emergency button. The predetermined inactivity time may be set by a driver or a mechanic, and may be set to, for example, one minute to three minute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비상감속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비상감속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능동적 비상감속장치는 비상 버튼부(100), 리셋 버튼부(200), 제어부(300), 리타더부(400), 경고부(500)를 포함한다.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n active emergency decel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ctive emergency decel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n active emergency decel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ergency button unit 100, a reset button unit 200, a control unit 300, a retarder unit 400, (500).

비상 버튼부(100)는 운전자가 이상상태인 경우에 탑승객이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비상 버튼부(100)는 소화전 버튼 컨셉과 유사한 구조로서, 안전 캡을 구비하여 탑승객이 오작동할 수 없도록 커버가 씌워져 있다. 단, 비상시에는 안전 캡을 깨고, 비상 버튼을 눌러 작동시킬 수 있다. 안전 캡은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The emergency button unit 100 can be operated by a passenger when the driver is in an abnormal state. The emergency button unit 100 has a structure similar to a fire hydrant button concept, and has a safety cap to cover the cover so that the passenger can not malfunction. However, in case of emergency, the safety cap can be broken and the emergency button can be operated. The safety cap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리셋 버튼부(200)는 상기 비상 버튼부(100)가 오작동한 경우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상태를 초기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비상 버튼의 작동을 해제하는 것이 목적으로서, 차량의 크래쉬 패드 또는 운전석의 왼쪽 벽면에 상기 리셋 버튼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reset button unit 200 allows the driver to reset the state of the vehicle when the emergency button unit 100 malfunctions. That is, for the purpose of canceling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the reset button unit 200 may be disposed on the left wall surface of the crash pad or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제어부(300)는 상기 비상 버튼부(100) 또는 상기 리셋 버튼부(200)의 작동에 의해 차량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기존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이 사용되며, 상기 비상 버튼부(100), 상기 리셋 버튼부(200), 상기 리타더부(400), 상기 경고부(500)와 CAN(Controller Area Network) 등에 의해 연결되어 차량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vehicle by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unit 100 or the reset button unit 200. The emergency stop button unit 200, the retarder unit 400, the alarm unit 500 and the CAN (emergency stop) unit 500 are connected to the emergency button unit 100, Controller Area Network) to control the vehicle.

리타더부(400)는 상기 제어부(300)의 신호에 따라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차량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리타더부(400)는 보조 브레이크의 역할을 하고, 차량의 감속을 목적으로 장착되며, 현재 옵션에 의해서면 장착되나 향후(2017년 이후) 모든 대형 버스 및 트럭에 장착이 의무화되므로 추가 부품의 장착 없이도 본 발명의 실현이 용이하다.The retarder 400 may decelerate the vehicle or stop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300. [ The retarder unit 400 serves as an auxiliary brake and is mounted for the purpose of decelerating the vehicle. However, since it is mounted on all large buses and trucks in the future (after 2017), mounting of additional components It is easy to realize the present invention.

경고부(500)는 상기 제어부(300)의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울려 운전자에 경고한다. 운전자는 운전도중 탑승객의 비상 버튼 작동을 인지하기 어려우므로, 스피커에서 부저를 울려 비상 버튼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차량의 감속을 운전자에 인지시키기 위함이다.The alarm unit 500 alerts the driver by sounding an alarm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300. [ It is difficult for the driver to recognize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of the passenger while driving, so that the buzzer sounds in the speaker to inform the driver of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and the deceleration of the vehicle accordingly.

차속Vehicle speed 30km/h30 km / h 40km/h40 km / h 50km/h50 km / h 60km/h60 km / h 제동거리
Braking distance
자연감속Natural deceleration 60m60m 110m110m 170m170m 270m270m
리타더
4단 사용
Retarder
Four-stage use
25m25m 33m33m 75m75m 85m85m

상기 표 1은 실 차의 제동거리를 측정한 시험을 표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시험에서는 초저상 자동변속기(ATM) 차량을 이용하여 30 내지 60km/h의 속도로 주행중 가속페달에서 발을 뗀 후 10km/h 이하로 감속될 때까지의 주행 거리를 측정하였다. 상기 표 1에 따르면 리타더 4단의 사용만으로 60km/h의 차속에서도 100m 이내에서 10km/h로 감속이 가능하다. 참고로, 상기 송파사고의 경우에는 1차 사고 이후 1138m를 주행한 후 2차 사고가 발생하였다.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시 비상상황에 대한 예방기능이 탁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리타더의 경우 구동축의 회전 저항을 이용하여 제동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풋브레이크의 순간적인 제동과 달리, 서서히 제동하므로 비상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제동할 수 있다. Table 1 shows the test results of the braking distance of the actual vehicle. In the above test, the travel distance from the accelerator pedal to the deceleration to 10 km / h or less was measured using an ultra-low automatic transmission (ATM) vehicle at a speed of 30 to 60 km / h. According to Table 1 above, it is possible to decelerate to 10 km / h within 100 m even within 60 km / h of vehicle only by using 4 stages of retarder. For reference,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transmission accident, after the first accident, the car ran at 1138 m and then a second accident occurred. As shown in Table 1,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can be seen that the prevention function against an emergency situation is excellent. In the case of retarder, braking is performed by using the rotational resistance of the drive shaft. Therefore, unlike ordinary momentary braking of the foot brake, it gradually brakes, so that it can be stably braked even in an emergency situation.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as claimed, and will be fu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obvious that those parts easily changea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비상 버튼부
200 리셋 버튼부
300 제어부
400 리타더부
500 경고부
S100 제 1 판단단계
S200 제 1 제어단계
S300 제 2 판단단계
S400 제 2 제어단계
S500 제 3 판단단계
S600 제 3 제어단계
S700 제 4 제어단계
100 emergency button section
200 Reset button section
300 control unit
400 Retarder
500 warning section
S100 < tb >
S200 First control step
S300 Second judgment step
S400 Second control step
S500 Third judgment step
S600 Third control step
S700 fourth control step

Claims (10)

탑승객이 비상 버튼을 작동시켰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단계(S100);
상기 제 1 판단단계(S100)에서 비상버튼이 작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을 제어하는 제 1 제어단계(S200);
상기 제 1 제어단계(S200) 후, 기 설정된 리셋 시간 내에 운전자가 리셋 버튼을 작동시켰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단계(S300); 및
상기 제 2 판단단계(S300)에서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운전자가 리셋 버튼을 작동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리타더를 최대 성능으로 작동시키는 제 2 제어단계(S400);
를 포함하는 능동적 비상감속방법.
A first determination step (S100) of determining whether the passenger has activated the emergency button;
A first control step (S200) of controlling the vehic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button is activated in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SlOO);
A second determination step (S300) of determining whether the driver has operated the reset button within a predetermined reset time after the first control step (S200); And
A second control step (S400) of operating the retarder at maximum performance when the driver does not operate the reset button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in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S300);
Wherein the active emergency deceleration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단계(S400) 후, 운전자가 리셋 버튼을 작동시켰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판단단계(S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비상감속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hird determining step (S500) of determining whether the driver has operated the reset button after the second control step (S40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판단단계(S600)에서 운전자가 리셋 버튼을 작동시킨 경우에는 상기 제 1 제어단계(S200) 및 상기 제 2 제어단계(S400)의 차량 제어를 초기화하는 제 3 제어단계(S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비상감속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If the driver operates the reset button in the third determination step (S600), a third control step (S600) for initializing the vehicl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step (S200) and the second control step (S400) Wherein the active emergency deceleration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단단계(S300)에서 운전자가 리셋 버튼을 작동시킨 경우에는 비상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차량을 제어하는 제 4 제어단계(S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비상감속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ourth control step (S700) of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is not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controlling the vehicle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reset button in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S30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제어단계(S700)는 상기 제 1 제어단계(S200)의 차량 제어를 초기화하는 초기화 단계(S7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비상감속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ourth control step (S700) comprises an initializing step (S710) of initializing the vehicl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step (S20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제어단계(S700)는 기 설정된 불능시간 동안 탑승자가 비상버튼을 작동시킬 수 없게 하는 비상버튼 작동불능 단계(S7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비상감속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ourth control step (S700) includes an emergency button disablement step (S720) for preventing an occupant from operating the emergency button for a predetermined disable ti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단계(S200)는 리타더를 작동시켜 차량을 감속시키고,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비상등을 작동시키는 감속단계(S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비상감속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trol step (S200) includes a deceleration step (S210) of operating the retarder to decelerate the vehicle and to operate an emergency lamp dispos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단계(S200)는 운전석에 설치된 스피커에서 부저가 울리는 운전자 경고단계(S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비상감속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trol step (S200) includes a driver warning step (S220) in which a buzzer sounds from a speaker installed in a driver's se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단계(S200)는 운전자의 가속페달을 밟더라도 차량이 가속되지 않는 가속 불능단계(S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적 비상감속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trol step (S200) includes an inability to accelerate (S230) in which the vehicle is not accelerated even if the driver depresses the accelerator pedal.
운전자가 이상상태인 경우에 탑승객이 작동시킬 수 있는 비상 버튼부(100);
상기 비상 버튼부(100)가 오작동한 경우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상태를 초기화시킬 수 있는 리셋 버튼부(200);
상기 비상 버튼부(100) 또는 상기 리셋 버튼부(200)의 작동에 의해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300)의 신호에 따라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차량을 정지시킬 수 있는 리타더부(400); 및
상기 제어부(300)의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울려 운전자에 경고하는 경고부(500);
를 포함하는 능동적 비상감속장치.
An emergency button unit 100 that can be operated by a passenger when the driver is in an abnormal condition;
A reset button unit 200 for allowing the driver to initialize the state of the vehicle when the emergency button unit 100 malfunctions;
A control unit 300 for controlling the vehicle by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unit 100 or the reset button unit 200;
A retarder unit 400 capable of decelerating the vehicle speed or stopping the vehicle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control unit 300; And
A warning unit 500 for alerting the driver by sounding an alarm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300;
And an active emergency decelerator.
KR1020140130366A 2014-09-29 2014-09-29 Apparatus of active emergemcy deceler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5588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366A KR101558814B1 (en) 2014-09-29 2014-09-29 Apparatus of active emergemcy deceleratio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366A KR101558814B1 (en) 2014-09-29 2014-09-29 Apparatus of active emergemcy deceleration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814B1 true KR101558814B1 (en) 2015-10-07

Family

ID=5434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366A KR101558814B1 (en) 2014-09-29 2014-09-29 Apparatus of active emergemcy deceleration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81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0864B1 (en) 1996-06-15 1999-06-01 정몽규 Multi-function switch structure including retarder switch capacity
JP5569602B2 (en) 2011-02-03 2014-08-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Vehicle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0864B1 (en) 1996-06-15 1999-06-01 정몽규 Multi-function switch structure including retarder switch capacity
JP5569602B2 (en) 2011-02-03 2014-08-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Vehicle contro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47828C1 (en) Emergency brake control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control unit and car
US10220840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470592B2 (en) Parking auxiliary control device
EP1924476B1 (en) Method for warning the driver of a motor vehicle which is equipped with a cruise control system
US20090234543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Direction of Travel in a Motor Vehicle
US76449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arking brake release
US200500968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vehicle collision using radio communication
JP2013238182A (en) Emergency stop device of vehicle
CN105667475A (en) Automatic brake system for vehicle
GB2471940A (en)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ng at least one vehicle component
KR20140091333A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2015089725A (en) Emergency run-away prevention device
KR20120051531A (en) Control method of automatic emergency brake system based on antilock brake system for vehicle
KR101558814B1 (en) Apparatus of active emergemcy deceleration and method thereof
CN114728650A (en) Air pressure control device, air pressure control method, and air pressure control program for brake
KR20140050992A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hibiting from locking in electric vehicle
KR200487346Y1 (en) Apparatus for indicating vehicle information
US11958478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avoiding or mitigating collision, and control system, storage medium and motor vehicle
CA2701440A1 (en) Pedestrian warning system
JP2005343249A (en) Parking assisting control device, parking assisting control system, and parking assisting program
KR101563613B1 (en) Vehicle Control Using TPMS
JP2008114764A (en) Obstruction detection device for vehicle
CN105752015A (en) Automobile safety airbag control system
JP6469513B2 (en) Braking device for vehicle
US20240166175A1 (en) Emergency driving and stop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