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273B1 -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장을 이용한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장을 이용한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273B1
KR101554273B1 KR1020090010072A KR20090010072A KR101554273B1 KR 101554273 B1 KR101554273 B1 KR 101554273B1 KR 1020090010072 A KR1020090010072 A KR 1020090010072A KR 20090010072 A KR20090010072 A KR 20090010072A KR 101554273 B1 KR101554273 B1 KR 101554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tence
function
portable terminal
predicat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0865A (ko
Inventor
정희석
이종창
심현식
김광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0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273B1/ko
Publication of KR20100090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장을 이용한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문장 작성 규칙을 지키는 문장을 입력받는 과정과, 입력된 문장의 서술어와 목적어를 이용하여 실행할 기능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문장에서 상기 서술어와 목적어를 제외한 나머지 단어들을 기 설정된 문장 해석 규칙으로 해석하여 상기 결정된 기능의 실행 조건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기능을 상기 분석된 실행 조건에 따라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각 기능별로 입력 가능한 문장을 미리 저장하고, 기 설정된 규칙에 따른 자연어 형태의 문장을 입력받아 그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명령, 자연어, 문장, 문장 분석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장을 이용한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USING SENTENCE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장을 이용한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연어 형태의 문장을 이용하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밀도집적회로(VLSI; Very Large Scale Integration), 컴퓨팅 기술의 발전과 함께 모든 제품이 소형 경박화되는 추세에 맞추어 여러 형태의 작은 크기의 휴대용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 경박화로 인해 휴대의 편리성이 증가되어 사용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기 위해 더욱 편리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제공되는 대부분의 휴대용 단말기는 게임(game), 스케쥴러(Scheduler), 폰북(phone book), 메시지 서비스(message Service), 인터넷 서비스(internet Service),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MP 3(MPEG Layer 3),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를 통해 원하는 기능에 접근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가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구성이 매우 복잡해지게 되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어떤 메뉴를 통해 접근해야하는지 알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미리 지정된 단축 키를 통해 원하는 기능을 실행하거나 미리 정의된 명령어 입력을 통해 원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방식이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전화번호부 메뉴 실행을 위해 'ph'라는 명령어를 미리 설정한 후, 사용자에 의해 상기 'ph'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부 메뉴를 실행시키는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단축 키 혹은 명령어를 통해 원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방식 역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어떤 단축 키에 매핑되어 있는지 혹은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가 무엇인지 정확히 인지하고 있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식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이 많아질 수록 상기 단축 키 혹은 명령어가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단축 키 혹은 명령어를 인지하고 있어야 하는 사용자의 부담이 증가하게 되고, 상기 단축 키 혹은 명령어를 인지하지 못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원하는 기능을 실행하기까지 입력 오류가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축 키 혹은 명령어를 이용하는 방식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연어 형태의 문장을 이용하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하나의 서술어와 목적어가 존재하는 문장을 입력받아 그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각 기능별로 입력 가능한 문장을 미리 저장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장과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장을 이용한 기능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문장 작성 규칙을 지키는 문장을 입력받는 과정과, 입력된 문장의 서술어와 목적어를 이용하여 실행할 기능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문장에서 상기 서술어와 목적어를 제외한 나머지 단어들을 기 설정된 문장 해석 규칙으로 해석하여 상기 결정된 기능의 실행 조건을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기능을 상기 분석된 실행 조건에 따라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장을 이용한 기능 제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문장 작성 규칙을 지키는 문장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입력된 문장의 서술어와 목적어를 이용하여 실행할 기능을 결정하고, 상기 입력된 문장에서 상기 서술어와 목적어를 제외한 나머지 단어들을 기 설정된 문장 해석 규칙으로 해석하여 상기 결정된 기능의 실행 조건을 분석한 후, 상기 결정된 기능을 상기 분석된 실행 조건에 따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각 기능별로 입력 가능한 문장을 미리 저장하고, 기 설정된 규칙에 따른 자연어 형태의 문장을 입력받아 그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차별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연어 형태의 문장을 이용하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전화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휴대 멀티미디어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모듈(100), 입력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출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신모듈(100)은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안테나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키패드, 터치패드, 마이크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12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자연어 형태의 문장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상기 자연어 형태의 문장은 상기 키패드 혹은 터치패드를 통해 텍스트로 입력되거나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음성 신호로 입력될 수 있으며, 혹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로 입력될 수 도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문장 명령 실행부(122)를 포함함으로써 자연어 형태의 문 장을 입력받아 상기 문장을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분석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문장 명령 실행부(122)는 자연어 형태의 문장이 음성 신호로 입력되거나 영상으로 입력되는 경우, 음성 인식 알고리즘 혹은 영상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텍스트 형식을 갖는 자연어 형태의 문장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문장 명령 실행부(122)의 동작을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문장 명령 실행부(122)는 상기 입력부(110)로부터 제공되는 문장이 기 설정된 문장 작성 규칙을 지키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하기 표 1은 상기 문장 작성 규칙을 예를 들어 나타낸다.
작성 규칙
1 1개 이상의 문장으로 구성된다.
2 1개의 문장에는 반드시 1개의 (서)술어가 존재한다.
3 1개의 문장에는 반드시 1개의 목적어가 존재한다.
4 (서)술어는 모든 문장의 마지막 어절에 위치한다.
5 목적어는 (서)술어의 앞쪽 어절에 위치한다.
6 목적어는 목적격 조사(을/를)을 반드시 포함한다.
7 입력 조건은 목적어 앞쪽 어절에 위치한다.
8 입력 조건에서 숫자를 나타내는 단어는 단위를 나타내는 조사나 어미와 분리된 어절로 작성한다.
9 숫자를 나타내는 단어는 아라비아 숫자로 작성한다.
상기 표 1은 입력되는 자연어 형태의 문장이 반드시 하나의 서술어와 하나의 목적어를 가져야 하며, 상기 서술어는 문장의 마지막 어절에 존재해야하고, 상기 목적어는 목적격 조사를 가져야함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문장 명령 실행부(122)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SMS를 읽어줘"라는 문장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 문장의 마지막 어절에 하나의 서술어가 존재하고, 목적격 조사를 포함하는 하나의 목적어가 존재하므로, 입력된 문장이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문장 작성 규칙을 지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문장 명령 실행부(122)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내일 읽어줘"라는 문장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 문장에는 마지막 어절에 하나의 서술어가 있으나, 목적격 조사(을/를)을 포함하는 목적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입력된 문장이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문장 작성 규칙을 지키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문장 명령 실행부(122)는 입력된 문장이 상기 기 설정된 문장 작성 규칙에 부합되지 않을 시, 상기 출력부(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입력 문장이 규칙에 어긋났음을 알리고 재입력을 요구하기 위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반면, 상기 문장 명령 실행부(122)는 상기 입력된 문장이 기 설정된 문장 작성 규칙에 부합될 시, 상기 입력 문장에서 서술어와 목적어를 설정하여 실행할 기능을 결정한 후, 기 설정된 문장-조건 관계를 바탕으로 상기 결정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조건을 확인한다. 즉, 상기 문장 명령 실행부(122)는 하기 표 2와 같이 각 서술어와 목적어에 필요한 조건의 수를 확인한다.
하기 표 2는 상기 서술어와 목적어, 그리고 조건의 관계를 예를 들어 나타낸다.
서술어 목적어 조건1 조건 2 조건 3 조건 4 조건 5
읽어줘





SMS를

"가장 최근에 받은"
"가장 먼저 받은"
"n번째 받은"
문자열을 사용자 입력 문자열 -> mSrtSpeech
일정을

"오늘"
"내일"
"월/일"
->mMonth
"월/일"선택시에만 활성화 ->mDay
등록해줘 일정을 "n"월
->mMonth
"n"일
->mDay
"n"시
->
mHour
"n"분에
->
mMinute
사용자 입력 문자열
->mStrContent
(약속내용)
찍어줘

사진을
"n"초 후에
->mSec
"기본"
"스마일샷"
동영상 "n"초 후부터
->mSec
"n"초 동안
->mDurationSec
상기 표 2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서술어 및 목적어와 상기 각 기능들이 필요로하는 실행 조건의 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사진을 찍어줘" 혹은 "동영상을 찍어줘"와 같은 기본적인 문장 형태들이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사진 혹은 동영상을 찍기 위해 입력될 수 있는 조건들을 고려하여 상기 표 2와 같은 테이블로 나타낼 수 있다. 즉, 메시지 읽기 기능의 실행을 위해서는 어떤 메시지를 읽을 것인지 나타내는 하나의 실행 조건이 필요하며, 사진 촬영 기능의 실행을 위해서는 어떤 사진을 언제 촬영할 것인지 나타내는 두 개의 실행 조건이 필요함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문장-조건 관계는 서술어와 목적어에 따라 어떤 실행 조건이 필요한지와 몇 개의 실행 조건이 필요한지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문장 명령 실행부(122)는 상기 서술어와 목적어에 따라 필요로하는 실행 조건이 판단되면, 기 설정된 조건 해석 규칙을 바탕으로 상기 입력된 문장에서 서술어와 목적어 이외의 나머지 단어들을 분석하여 실행 조건을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문장 명령 실행부(122)는 상기 입력 문장에 실행 조건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즉, 하나의 목적어와 서술어만이 존재할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조건 입력을 요청할 수도 있다.
하기 표 3은 상기 조건 해석 규칙을 예를 들어 나타낸다.
조건 해석 규칙
1 시간의 단위를 나타내는 단어 앞의 단어는 해당 시간 단위를 표현하는 숫자이다.
2 횟수의 단위를 나타내는 단어 앞의 단어는 해당 횟수 단위를 표현하는 숫자이다.
3 순서를 나타내는 "번째" 앞의 단어는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이다.
4 "지금부터"는 "후에"라는 단어와 함꼐 쓰이고 타이머를 통한 시작시점 조정이 필요하다.
5 ""내부에 들어있는 문자열은 그대로 문자열 자료형으로 처리한다.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년, 월, 일, 시, 분, 초"와 같이 시간을 나타내는 단어의 앞에 있는 단어는 해당 단위의 시간을 나타내는 숫자로 해석하며, "번"과 같은 횟수를 나타내는 단어의 앞에 있는 단어는 해당 횟수를 나타내는 숫자로 해석한다. 예를 들어, 입력 문장에 "10 월"이라는 단어들이 있다면, 여기서 "10"은 몇 월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숫자로 해석하고, 상기 입력 문장에 " 10 번"이라는 단어들이 있다면, 여기서 "10"은 횟수를 나타내기 위한 숫자로 해석한다.
상기 문장 명령 실행부(122)는 상기 실행 조건이 획득되면, 상기 입력 문장에서 획득된 서술어와 목적어 그리고 실행 조건에 대응되는 실행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실행 코드를 통해 해당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며, 폰북 데이터, 송수신 메시지,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130)는 본 발명에 따라 문장 작성 규칙 저장부(132), 문장-조건 관계 저장부(134), 조건 해석 규칙 저장부(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문장 작성 규칙 저장부(13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문장이 지켜야할 규칙, 즉,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문장 작성 규칙을 저장한다. 상기 문장-조건 관계 저장부(134)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각 기능별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장의 형태, 즉,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서술어와 목적어 그리고 조건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저장한다. 또한, 상기 조건 해석 규칙 저장부(136)는 입력된 문장에서 서술어와 목적어를 제외한 나머지 단어들이 나타내는 조건을 해석하기 위한 규칙, 즉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건 해석 규칙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표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문장 작성 규칙, 조건 해석 규칙, 및 문장-조건 관계는 사용자에 의해 추가 및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40)는 LCD 화면, 스피커 및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특히, 상기 출력부(140)는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입력된 문장이 기 설정된 문장 작성 규칙에 어긋남을 알리고 재입력을 요구하기 위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혹은 출력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140)는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 문장에 대응되는 기능이 실행될 시, 해당 기능 실행에 따른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력 문장을 분석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1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자연어 형태의 문장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상기 자연어 형태의 문장은 키패드 혹은 터치패드를 통해 텍스트 형식으로 입력되거나 마이크를 통해 음성 신호 형식으로 입력될 수도 있으며, 혹은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 형식으로 입력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자연어 형태의 문장이 음성 신호 형식으로 입력되거나 이미지 형식으로 입력되는 경우, 음성 인식 알고리즘 혹은 영상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3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문장의 수를 확인한 후, 2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표 1과 같이 기 설정된 문장 작성 규칙을 만족하는 문장이 1개 이상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기 설정된 문장 작성 규칙을 만족하는 문장이 1개 이상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21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게 입력 문장이 문장 작성 규칙에 어긋났음을 알리고 재입력을 요구한 후, 상기 201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기 설정된 문장 작성 규칙을 만족하는 문장이 1개 이상 존재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7단계에서 1개의 문장을 선택한 후, 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문장에서 서술어와 목적어를 설정하여 실행할 기능을 결정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1단계에서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능-조건 관계를 참조하여 상기 결정된 기능에 필요한 실행 조건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 실행에 필요한 조건의 수와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 등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필요한 실행 조건과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 설정된 조건 해석 규칙을 바탕으로 상기 선택된 문장에서 서술어와 목적어를 제외한 나머지 단어들이 나타내는 기능 실행 조건을 해석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5단계에서 상기 문장-조건의 관계 즉, 서술어와 목적어 및 조건 간의 관계를 구성하여 어떤 기능을 어떤 조건으로 실행해야하는지 나타내는 기능 실행 코드를 생성하고, 217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실행 코드를 통해 해당 기능을 실행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9단계에서 입력된 모든 문장에 대해 상기 207 단계 내지 217단계의 절차가 수행되었는지 검사하고, 상기 모든 문장에 대해 상기 절차라 수행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207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하고, 상기 모든 문장에 대해 상기 절차가 수행되었을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그러면, 상술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자연어 형태의 문장을 입력받아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로부터 "지금부터 3 초 후에 기본 사진을 찍어줘" 라는 텍스트 형식의 문장을 입력받은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문장 작성 규칙을 참조하여 상기 문장에서 마지막 단어인 "찍어줘"를 서술어로 설정하고, 상기 서술어 앞의 단어 중 목적격 조사를 가지는 "사진을"을 목적어로 설정하여 상기 서술어와 목적어를 통해 상기 문장이 사진 촬영 기능에 관한 것임을 확인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문장-조건 관계를 참조하여 상기 사진 촬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두 가지 실행 조건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문장에서 상기 서술어와 목적어를 제외한 나머지 단어들인 "지금부터 3 초 후에 기본사진을"에서 실행 조건을 분석한다. 여기서, 상기 시간 단위를 나타내는 단어 "초"의 앞에 있는 "3"과 시점 관련 단어인 "지금부터", "후에"를 함께 고려하여 사진 촬영 시작 시점이 "현재 시간 + 3초" 후 임을 판단할 수 있고, 상기 "기본"이라는 단어를 통해 사진 촬영 옵션이 "기본 사진"인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현재 시간에서 3초가 지난 후에 기본 사진을 촬영함을 나타내는 실행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해당 기능을 실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력 문장을 분석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8)

  1.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장을 이용한 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장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문장의 서술어와 목적어에 기반하여 실행할 기능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문장에서 상기 서술어와 목적어를 제외한 나머지 단어들에 기반하여 상기 결정된 기능의 실행 조건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기능을 상기 결정된 실행 조건에 기반하여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을 수신하는 과정은, 문장 작성 규칙에 기반하여 작성된 문장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문장 작성 규칙은, 상기 문장의 서술어와 목적어의 존재 유무, 상기 문장의 서술어의 위치 및 상기 문장의 목적격 조사를 갖는 목적어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이 상기 문장 작성 규칙에 기반하여 작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문장이 상기 문장 작성 규칙에 어긋남을 알리는 재 입력 요구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기능을 결정한 후, 각 기능과 조건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 설정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결정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실행 조건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장을 이용하여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문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상기 문장의 서술어와 목적어에 기반하여 실행할 기능을 결정하고, 상기 문장에서 상기 서술어와 목적어를 제외한 나머지 단어들에 기반하여 상기 결정된 기능의 실행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기능을 상기 결정된 실행 조건에 기반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문장 작성 규칙에 기반하여 작성된 문장을 수신하며,
    상기 문장 작성 규칙은, 상기 문장의 서술어와 목적어의 존재 유무, 상기 문장의 서술어의 위치 및 상기 문장의 목적격 조사를 갖는 목적어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문장이 상기 문장 작성 규칙에 기반하여 작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된 문장이 상기 문장 작성 규칙에 어긋남을 알리는 재 입력 요구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 기능을 결정한 후, 각 기능과 조건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 설정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결정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실행 조건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90010072A 2009-02-09 2009-02-09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장을 이용한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54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072A KR101554273B1 (ko) 2009-02-09 2009-02-09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장을 이용한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072A KR101554273B1 (ko) 2009-02-09 2009-02-09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장을 이용한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865A KR20100090865A (ko) 2010-08-18
KR101554273B1 true KR101554273B1 (ko) 2015-09-21

Family

ID=42756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072A KR101554273B1 (ko) 2009-02-09 2009-02-09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장을 이용한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2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196B1 (ko) * 2012-09-20 2020-0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865A (ko)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8604B2 (en) Typing assistance for editing
US11508383B2 (en) Method for operat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US9942690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formation push
KR2018007421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성 인식 방법
EP3584787A1 (en) Headless task completion within digital personal assistants
JP6918181B2 (ja) 機械翻訳モデルのトレーニング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08536669B (zh) 文字信息处理方法、装置及终端
KR20130135410A (ko)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4361021B (zh) 网页编码识别方法及装置
US10269347B2 (en) Method for detecting vo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7025393A (zh) 一种资源调用的方法及装置
CN113761888A (zh) 文本翻译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7116088B2 (ja) 音声情報処理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1414772B (zh) 一种机器翻译方法、装置及介质
EP3547310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user voice
KR20180087608A (ko)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55427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장을 이용한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062747A (ko) 전자 장치에서 표시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7509418A (ja) 手書き認識をパーソナル化するシステムと方法
US10055406B2 (en) Server,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rver and user terminal
US20170116174A1 (en) Electronic word identification techniques based on input context
RU2737112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а также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CN101788849A (zh) 一种用于移动通讯设备系统的光学字符识别输入方法
CN111324214B (zh) 一种语句纠错方法和装置
CN111832316B (zh) 语义识别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