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990B1 - Apparatus and Method of Visualizing Data using Mapping between Data and Visual Chart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of Visualizing Data using Mapping between Data and Visual Ch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990B1
KR101553990B1 KR1020130148871A KR20130148871A KR101553990B1 KR 101553990 B1 KR101553990 B1 KR 101553990B1 KR 1020130148871 A KR1020130148871 A KR 1020130148871A KR 20130148871 A KR20130148871 A KR 20130148871A KR 101553990 B1 KR101553990 B1 KR 101553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isualization
chart
mapping
visualization ch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8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64312A (en
Inventor
안동혁
이진우
김상수
김현희
Original Assignee
(주)위세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세아이텍 filed Critical (주)위세아이텍
Priority to KR1020130148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990B1/en
Publication of KR20150064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3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9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와 시각화 차트간 매핑을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집합에서 선택된 선택데이터와 시각화 차트의 구성요소를 매핑시켜 그에 따른 자동적인 쿼리 실행과 실행된 쿼리 결과인 데이터를 시각화차트로 표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각화 차트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 구현되어 데이터 개방, 통계 포털 등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data using mapping between data and visualization char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a selection data selected from a data set and a component of a visualization chart, And displaying the resulting data in a visualization ch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oftware system that can easily use a visualization chart can be implemented and widely used for data opening, statistical portal, and the like.

Figure R1020130148871
Figure R1020130148871

Description

데이터와 시각화차트간 매핑을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Visualizing Data using Mapping between Data and ㅍVisual Char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data using mapping between data and visualization charts,

본 발명은 데이터와 시각화 차트간 매핑을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집합에서 선택된 선택데이터와 시각화 차트의 구성요소를 매핑시켜 그에 따른 자동적인 쿼리 실행과 실행된 쿼리 결과인 데이터를 시각화차트로 표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data using mapping between data and visualization char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a selection data selected from a data set and a component of a visualization chart, And displaying the resulting data in a visualization chart.

전 세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나 스프레드시트에 포함된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다양한 차트가 나와 있다. There are many charts around the world that visualize the data contained in a database or spreadsheet.

도 1은 시각화 차트를 위한 프로그램을 예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gram for a visualization chart.

도 1에서처럼, 시각화 차트는 프로그램 개발자가 직접 프로그램 코드를 다루어야만 이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visualization chart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used only when the program developer directly handles the program code.

시각화는 빅데이터의 전체적인 의미를 직관적으로 인지시키기 위한 분석 기법으로 점차 주목받고 있으며, 다양한 시각화 차트가 공개되고 있으나 프로그램 개발자가 아니면 활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Visualization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n analytical technique for intuitively recognizing the overall meaning of big data, and various visualization charts have been disclosed, but it is difficult to utilize it unless it is a program developer.

이에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데이터들의 전체적인 의미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시각화차트를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69565를 참조하면, 엑셀을 이용하여 다양한 차트를 생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처럼 다양한 시각화차트를 드래그앤드랍으로 선택하고, 데이터와 시각화차트의 구성요소를 매핑시키는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that can conveniently acquire various visualization charts that intuitively grasp the overall meaning of the data contained in the databas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969565 discloses a technique for generating various charts using Excel. Howev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visualization charts are selected by drag and drop, and data and visualization chart elements are mapped The technique is not disclos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6956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96956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데이터집합에서 선택된 선택데이터와 시각화 차트의 구성요소를 매핑시켜 그에 따른 자동적인 쿼리 실행과 실행된 쿼리 결과인 데이터를 시각화차트로 표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mapping selection data selected from a data set to components of a visualization chart, thereby automatically executing queries and displaying data as query results as visualization charts.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정보, 컬럼정보, 조건정보 및 정렬정보를 시각화하고, 시각화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에 의해 시각화 대상인 대상데이터를 선택받는 데이터선택부; 상기 선택된 대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쿼리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쿼리생성부; 시각화차트 라이브러리에서 원하는 종류의 시각화차트를 선택받는 차트선택부; 선택된 대상데이터와 선택된 시각화차트의 각 구성요소를 시각화하고, 선택된 대상데이터의 각 컬럼과 선택된 시각화차트의 각 구성요소를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에 의해 매핑하는 데이터매핑부; 및 상기 쿼리생성부에서 생성된 쿼리문에 따라 출력된 결과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매핑부의 매핑에 따라 시각화하여 최종 시각화차트를 생성하는 차트생성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와 시각화차트간 매핑을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processing method for visualizing table information, column information, condition information, and sorting information in a database and selecting target data to be visualized by drag and drop of the user in a visualized database A receiving data selection unit; A query generating unit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query statement for outputting the selected target data; A chart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visualization chart of a desired kind in the visualization chart library; A data mapping unit for visualizing the selected object data and each component of the selected visualization chart and for mapping each column of the selected object data and each component of the selected visualization chart by drag and drop of the user; And a chart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final visualized chart by visualizing the resultant data output according to the mapping of the data mapping unit according to the query statement generated by the query generating unit, .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시각화 장치는, 상기 선택된 대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업로드하고, 상기 쿼리생성부에서 생성된 쿼리문이 메모리상에서 실행되도록 관리하는 인메모리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visualiz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memory management unit that uploads the selected object data to a memory and manages the query statement generated by the query generation unit to be executed in a memory.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시각화 장치는, 상기 최종 시각화차트를 브라우저에서 접근가능하도록 웹 화면으로 구현하는 데이터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data visualization apparatus may further comprise a data converter for implementing the final visualization chart as a web screen so as to be accessible in a browser.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정보, 컬럼정보, 조건정보 및 정렬정보를 시각화하고, 시각화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에 의해 시각화 대상인 대상데이터를 선택받는 단계; (b) 상기 선택된 대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쿼리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c) 시각화차트 라이브러리에서 원하는 종류의 시각화차트를 선택받는 단계; (d) 선택된 대상데이터와 선택된 시각화차트의 각 구성요소를 시각화하고, 선택된 대상데이터의 각 컬럼과 선택된 시각화차트의 각 구성요소를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에 의해 매핑하는 단계; 및 (e) 상기 쿼리생성부에서 생성된 쿼리문에 따라 출력된 결과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매핑부의 매핑에 따라 시각화하여 최종 시각화차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와 시각화차트간 매핑을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visualizing table information, column information, condition information, and sorting information of a database, and visualizing the information by drag and drop of the user in a visualized database; Receiving target data as an object; (b) automatically generating a query statement for outputting the selected target data; (c) receiving visualization charts of a desired kind from a visualization chart library; (d) visualizing the selected object data and each component of the selected visualization chart, and mapping each column of the selected object data and each component of the selected visualization chart by drag and drop of the user; And (e) visualizing the result data outputted according to the query statement generated by the query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the mapping of the data mapping unit to generate a final visualization chart, wherein the data visualization using the mapping between the data and the visualization char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realizing the data visualization method.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각화 차트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 구현되어 데이터 개방, 통계 포털 등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oftware system that can easily use a visualization chart can be implemented and widely used for data opening, statistical portal, and the like.

도 1은 시각화 차트를 위한 프로그램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와 시각화차트간 매핑을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데이터선택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쿼리생성부(120)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된 쿼리문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차트선택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데이터매핑부와 차트생성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와 시각화차트간 매핑을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gram for a visualization chart.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ata visualization apparatus using mapping between data and visualization ch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selector.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query statement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query generation unit 120.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rt selection uni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mapping unit and a chart generating unit.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visualization method using mapping between data and visualization ch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ing" or "having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와 시각화차트간 매핑을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ata visualization apparatus using mapping between data and visualization ch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와 시각화차트간 매핑을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 장치(100)는 데이터선택부(110), 쿼리생성부(120), 차트선택부(130), 데이터매핑부(140), 차트생성부(150), 데이터베이스(180), 및 시각화차트 라이브러리(190)를 포함하며, 추가로 인메모리 관리부(160) 및 데이터 컨버터(170)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a data visualization apparatus 100 using mapping between data and a visualization ch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selection unit 110, a query generation unit 120, a chart selection unit 130, a data mapping unit And a visualization chart library 190. The visualization chart library 19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memory management unit 160 and a data converter 170. The in-

데이터선택부(110)는 데이터베이스(180)의 테이블정보, 컬럼정보, 조건정보 및 정렬정보를 시각화하여 출력하고, 시각화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에 의해 시각화 대상인 대상데이터를 선택받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data selection unit 110 visualizes and outputs the table information, the column information, the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sorting information of the database 180 and displays the target data to be visualized by drag and drop in the visualized database Performs the role that is selected.

도 3은 데이터선택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selector.

도 3을 참조하면, 좌측에는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테이블정보, 컬럼정보, 조건정보 및 정렬정보들이 시각화하여 출력되며, 우측에는 좌측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된 대상데이터가 시각화하여 출력되고 있다. 사용자는 좌측의 테이블, 컬럼, 조건 및 정렬을 나타내는 아이콘 중에서 원하는 것을 드래그한 후 우측의 각 영역에 드랍함으로써 대상데이터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다.3, table information, column information, condition information, and sor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base are visualized and output on the left side, and target data selected in the database on the left side is visualized and output. The user can easily select the target data by dragging the desired one of the icons representing the table, column, condition, and alignment on the left side, and dropping it on the right side of each area.

도 3에서는 대상데이터의 컬럼(필드)으로서 제품대분류, 제품중분류, 판매지역그룹, 인터넷주문수량, 인터넷판매금액이 선택되었으며, 대상데이터의 조건(필터)으로서 년도가 선택되었다.In FIG. 3, the product major category, the product sub category, the sales area group, the Internet order quantity, and the Internet sales amount are selected as columns (fields) of the target data, and the year is selected as the condition (filter) of the target data.

데이터선택부(110)에 의해 대상데이터가 선택되면, 쿼리생성부(120)는 선택된 대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쿼리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쿼리생성부(120)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된 쿼리문을 예시하는 도면이다.When the target data is selected by the data selection unit 110, the query generation unit 120 automatically generates a query statement for outputting the selected target data.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query statement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query generation unit 120. FIG.

차트선택부(130)는 시각화차트 라이브러리(190)에서 사용자가 시각화하길 원하는 종류의 시각화차트를 선택받는다.The chart selection unit 130 selects a visualization chart of a kind desired to be visualized by the user in the visualization chart library 190.

시각화차트 라이브러리(190)는 다양한 시각화차트들의 샘플과 각 시각화차트들의 메타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소이다. The visualization chart library 190 is a repository for storing samples of various visualization charts and meta information of each visualization chart.

도 5는 차트선택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rt selection unit.

도 5를 참조하면, 좌측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상데이터가 시각화하여 출력되며, 우측에는 시각화차트 라이브러리(190)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화차트가 시각화하여 출력된다. Referring to FIG. 5, on the left side, target data selected by the user is visualized and outputted. On the right side, visualization charts of various kinds included in the visualization chart library 190 are visualized and output.

사용자는 우측의 다양한 시각화차트 중에서 자신이 선택한 좌측의 대상데이터로 표현하고자 하는 시각화차트를 선택할 수 있다.The user can select a visualization chart to be represented by the left-side target data among the various visualization charts on the right side.

데이터매핑부(140)는 선택된 대상데이터와 선택된 시각화차트의 각 구성요소를 시각화하여 출력하고, 선택된 대상데이터의 각 컬럼과 선택된 시각화차트의 각 구성요소를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에 의해 매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data mapping unit 140 visualizes and outputs the selected object data and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selected visualization chart, and drag and drop each column of the selected object data and each component of the selected visualization chart to the user It performs the role of mapping by.

차트생성부(150)는 쿼리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쿼리문에 따라 출력된 결과데이터를 데이터매핑부(140)의 매핑에 따라 시각화함으로써 최종 시각화차트(10)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hart generating unit 150 generates a final visualization chart 10 by visualizing the output data according to the mapping of the data mapping unit 140 according to the query statement generated by the query generating unit 120 .

도 6은 데이터매핑부와 차트생성부를 예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mapping unit and a chart generating unit.

도 6의 좌측에는 대상데이터가 시각화하여 출력되고 있으며, 가운데에는 선택된 시각화차트의 구성요소가 시각화하여 출력되고 있다.In the left part of FIG. 6, the object data is visualized and outputted, and in the center, the components of the selected visualization chart are visualized and outputted.

사용자는 좌측에 출력되고 있는 대상데이터에서 각 컬럼을 드래그한 후 시각화차트에서의 각 구성요소 부분에 드랍함으로써, 대상데이터의 각 컬럼과 시각화차트에서의 각 구성요소가 매핑되게 할 수 있다.The user can drag each column from the object data output on the left side and drop it on each component part in the visualization chart so that each column of the object data and each component in the visualization chart are mapped.

대상데이터의 컬럼과 시각화차트의 구성요소와의 매핑이 완료되면, 차트생성부(150)는 최종 시각화차트(10)를 생성하여 화면으로 출력한다.When the mapping of the column of the object data and the components of the visualization chart is completed, the chart generating unit 150 generates the final visualization chart 10 and outputs it to the screen.

인메모리 관리부(160)는 선택된 대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업로드하고, 쿼리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쿼리문이 메모리상에서 실행되도록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in-memory management unit 160 uploads the selected target data to the memory, and manages the query generated by the query generation unit 120 to be executed on the memory.

데이터 컨버터(170)는 최종 시각화차트를 브라우저에서 접근가능하도록 웹 화면으로 구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데이터 컨버터(170)는 HTML5를 이용하여 최종 시각화차트를 변환함으로써, 스마트폰, 태블릿컴퓨터, 일반컴퓨터, 랩탑컴퓨터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기기에서 볼 수 있다.The data converter 170 implements the final visualization chart as a web screen so as to be accessible in a browser. The data converter 170 can be viewed on most devices, including smartphones, tablet computers, general computers, laptop computers and the like, by transforming the final visualization chart using HTML5.

이하에서는 데이터와 시각화차트간 매핑을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와 시각화차트간 매핑을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와 시각화차트간 매핑을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 장치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 및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ata visualization method using mapping between data and a visualization chart will be described. The data visualization method using mapping between data and visualization ch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ssentially the same as the data visualization apparatus using mapping between data and visualization ch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and duplic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와 시각화차트간 매핑을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visualization method using mapping between data and visualization ch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데이터선택부(110)는 데이터베이스(180)의 테이블정보, 컬럼정보, 조건정보 및 정렬정보를 시각화하여 화면으로 출력하고(S10), 시각화된 데이터베이스(180)에서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에 의해 시각화 대상인 대상데이터를 선택받는다(S20).The data selection unit 110 visualizes the table information, the column information, the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sorting information of the database 180 and outputs the visualized information to the screen (S10). Then, in the visualized database 180, drop target data to be visualized (S20).

그리고 나서, 쿼리생성부(120)는 선택된 대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쿼리문을 자동으로 생성한다(S30).Then, the query generator 120 automatically generates a query statement that outputs the selected target data (S30).

차트선택부(130)는 시각화차트 라이브러리(19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시각화차트를 선택받는다(S40).The chart selection unit 130 selects a visualization chart of the kind desired by the user in the visualization chart library 190 (S40).

데이터매핑부(140)는 선택된 대상데이터와 선택된 시각화차트의 각 구성요소를 시각화하고, 선택된 대상데이터의 각 컬럼과 선택된 시각화차트의 각 구성요소를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에 의해 매핑한다(S50).The data mapping unit 140 visualizes the selected target data and each component of the selected visualization chart and maps each column of the selected target data and each component of the selected visualization chart by drag and drop of the user (S50).

차트생성부(150)는 쿼리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쿼리문에 따라 출력된 결과데이터를 데이터매핑부(140)의 매핑에 따라 시각화하여 출력하고, 최종 시각화차트를 생성한다(S60).The chart generating unit 150 visualizes and outputs the output data according to the mapping of the data mapping unit 140 according to the query statement generated by the query generating unit 120, and generates a final visualization chart at step S60.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데이터시각화방법은, 선택된 대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업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쿼리생성부에서 생성된 쿼리문이 메모리상에서 실행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7, the method of data visualization includes the steps of: uploading selected object data to memory; And managing the query generated by the query generator to be executed on the memory.

또한 데이터시각화방법은, 최종 시각화차트를 브라우저에서 접근가능하도록 웹 화면으로 구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data visualization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of implementing the final visualization chart as a web screen so as to be accessible in a browser.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via the Internet)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 및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and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covered 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데이터선택부 120, 쿼리생성부
130, 차트선택부 140, 데이터매핑부
150, 차트생성부 160, 인메모리 관리부
170, 데이터 컨버터 180, 데이터베이스
190, 시각화차트 라이브러리
110, a data selection unit 120, a query generation unit
130, a chart selection unit 140, a data mapping unit
150, a chart generating unit 160, an in-
170, a data converter 180, a database
190, visualization chart library

Claims (7)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정보, 컬럼정보, 조건정보 및 정렬정보를 시각화하고, 시각화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에 의해 시각화 대상인 대상데이터를 선택받는 데이터선택부;
상기 선택된 대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쿼리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쿼리생성부;
다양한 시각화차트들의 샘플과 각 시각화차트들의 메타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라이브러리에서 원하는 종류의 시각화차트를 선택받는 차트선택부;
선택된 대상데이터와 선택된 시각화차트의 각 구성요소를 시각화하고, 선택된 대상데이터의 각 컬럼과 선택된 시각화차트의 각 구성요소를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에 의해 매핑하는 데이터매핑부;
상기 쿼리생성부에서 생성된 쿼리문이 수행되어 출력된 결과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매핑부의 매핑에 따라 시각화하여 최종 시각화차트를 생성하는 차트생성부;
상기 최종 시각화차트를 브라우저에서 접근가능하도록 웹 화면으로 구현하는 데이터 컨버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와 시각화차트간 매핑을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 장치.
A data selection unit for visualizing table information, column information, condition information, and sorting information of a database and selecting target data to be visualized by drag and drop of the user in the visualized database;
A query generating unit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query statement for outputting the selected target data;
A chart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desired kind of visualization chart from a library storing samples of various visualization charts and meta information of each visualization chart;
A data mapping unit for visualizing the selected object data and each component of the selected visualization chart and for mapping each column of the selected object data and each component of the selected visualization chart by drag and drop of the user;
A chart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final visualization chart by visualizing the output data obtained by executing the query generated by the query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mapping of the data mapping unit;
And a data converter that implements the final visualization chart as a web screen so that it can be accessed from a brow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시각화 장치는,
상기 선택된 대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업로드하고, 상기 쿼리생성부에서 생성된 쿼리문이 메모리상에서 실행되도록 관리하는 인메모리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와 시각화차트간 매핑을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 장치.
2. The data visua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memory manager for uploading the selected target data to a memory and managing the query generated by the query generator to be executed in a memory.
삭제delete (a)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정보, 컬럼정보, 조건정보 및 정렬정보를 시각화하고, 시각화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에 의해 시각화 대상인 대상데이터를 선택받는 단계;
(b) 상기 선택된 대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쿼리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c) 다양한 시각화차트들의 샘플과 각 시각화차트들의 메타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시각화차트 라이브러리에서 원하는 종류의 시각화차트를 선택받는 단계;
(d) 선택된 대상데이터와 선택된 시각화차트의 각 구성요소를 시각화하고, 선택된 대상데이터의 각 컬럼과 선택된 시각화차트의 각 구성요소를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에 의해 매핑하는 단계;
(e) 상기 자동으로 생성된 쿼리문에 따라 출력된 결과데이터를 상기 (d) 단계의 매핑 결과에 따라 시각화하여 최종 시각화차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최종 시각화차트를 브라우저에서 접근가능하도록 웹 화면으로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와 시각화차트간 매핑을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 방법.
(a) visualizing table information, column information, condition information, and sorting information of a database, and selecting target data to be visualized by drag and drop of a user in a visualized database;
(b) automatically generating a query statement for outputting the selected target data;
(c) receiving a visualization chart of a desired kind from a visualization chart library storing samples of various visualization charts and meta information of each visualization chart;
(d) visualizing the selected object data and each component of the selected visualization chart, and mapping each column of the selected object data and each component of the selected visualization chart by drag and drop of the user;
(e) visualizing the result data output according to the automatically generated query statement according to the mapping result of step (d) to generate a final visualization chart; And
(f) implementing the final visualization chart as a web screen accessible from a brows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시각화 방법은,
상기 선택된 대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업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으로 생성된 쿼리문이 메모리상에서 실행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와 시각화차트간 매핑을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Uploading the selected target data to a memory; And
Further comprising: managing the automatically generated query statement to be executed on a memory.
삭제delete 제4항 또는 제5항에 따른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is recorded.
KR1020130148871A 2013-12-03 2013-12-03 Apparatus and Method of Visualizing Data using Mapping between Data and Visual Chart KR1015539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871A KR101553990B1 (en) 2013-12-03 2013-12-03 Apparatus and Method of Visualizing Data using Mapping between Data and Visual Ch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871A KR101553990B1 (en) 2013-12-03 2013-12-03 Apparatus and Method of Visualizing Data using Mapping between Data and Visual Cha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312A KR20150064312A (en) 2015-06-11
KR101553990B1 true KR101553990B1 (en) 2015-09-30

Family

ID=53502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871A KR101553990B1 (en) 2013-12-03 2013-12-03 Apparatus and Method of Visualizing Data using Mapping between Data and Visual Ch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99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250B1 (en) * 2016-03-16 2017-10-20 주식회사 에이치비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visualiz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742B1 (en) * 2015-08-26 2017-02-07 (주)재플 zapping advertisement analyzing and supplying system based on user
KR101752575B1 (en) * 2015-12-24 2017-06-3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big data in learning analytics
KR101798149B1 (en) * 2017-04-17 2017-11-16 주식회사 뉴스젤리 Chart visualization method by selecting some areas of the data table
KR101985014B1 (en) 2017-10-20 2019-05-31 주식회사 뉴스젤리 System and method for exploratory data visualiz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3473A (en) * 2004-12-02 2008-07-03 タブリュー ソフトウェア エルエルシー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data using mark generation
KR100969656B1 (en) * 2009-10-30 2010-07-14 (주)비아이매트릭스 An excel-based composing system for analyzing reports or views and the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3473A (en) * 2004-12-02 2008-07-03 タブリュー ソフトウェア エルエルシー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data using mark generation
KR100969656B1 (en) * 2009-10-30 2010-07-14 (주)비아이매트릭스 An excel-based composing system for analyzing reports or views and the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250B1 (en) * 2016-03-16 2017-10-20 주식회사 에이치비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visual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312A (en)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0058B2 (en) Generating an insight view while maintaining report context
US1196049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rendering data lineage
US8195706B2 (en) Configuration management visualization
US10354002B2 (en) Interaction relationship building and explorer for dashboard
CN111221526A (en) Data visual editing display platform based on data lake server
KR101553990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Visualizing Data using Mapping between Data and Visual Chart
US20140215405A1 (en) Assistive overlay for report generation
KR101752575B1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big data in learning analytics
KR20170098854A (en) Building reports
US20140324518A1 (en) Autotagging business processes
US20140379734A1 (en) Recommendation engine
US9015591B2 (en) Dynamic visualization generation and implementation
US10552423B2 (en) Semantic tagging of nodes
Yalcinkaya et al. Exploring the use of Gestalt’s principles in improving the visualization, user experience and comprehension of COBie data extension
US20140130008A1 (en) Generating information models
JP6883664B2 (en) A system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available in large databases according to the similarities in chemical structures discussed within large databases.
Chen The development and empirical study of a literature review aiding system
Kim et al. Computing research in the academy: insights from theses and dissertations
Panda Usefulness and impact of big data in libraries: An opportunity to implement embedded librarianship
Omitola et al. Capturing interactive data transformation operations using provenance workflows
KR101490697B1 (en) Visualiz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menu based on simulation data
US10990255B1 (en) Hierarchical data display
US11270483B1 (en) Unified multi-view data visualization
Berre et al. Big Data and AI Pipeline Framework: Technology Analysis from a Benchmarking Perspective
US11449513B2 (en) Data analysi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