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834B1 - Portable terminal rear touch pad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rear touch 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834B1
KR101552834B1 KR1020080002173A KR20080002173A KR101552834B1 KR 101552834 B1 KR101552834 B1 KR 101552834B1 KR 1020080002173 A KR1020080002173 A KR 1020080002173A KR 20080002173 A KR20080002173 A KR 20080002173A KR 101552834 B1 KR101552834 B1 KR 101552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display device
rear case
wiring pattern
patter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1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76303A (en
Inventor
곽규섭
이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2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834B1/en
Publication of KR20090076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3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8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면 터치 패드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터치로 인한 표시 장치의 오염이나 스크레치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고, 표시 장치를 직접 터치하지 않더라도 표시 장치를 직접 터치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는 후면 터치 패드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가 설치되는 전면 케이스와, 상기 전면 케이스에 대면하여 결합되는 후면 케이스와, 상기 표시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후면 케이스의 외측면을 통하여 터치를 입력받는 배선 패턴층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때 배선 패턴층과, 배선 패턴층 아래의 후면 케이스 부분이 후면 터치 패드를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ear touch pad, which prevents contamination or scratching of a display device caused by a touch and prevents the display device from touching the display device direct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ear touch pa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ront case on which a display device is installed, a rear case coupled to the front case, and a rear cas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rear cas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evice, A wireless terminal including a wiring pattern layer for receiving input is provided. At this time, the wiring pattern layer and the rear case portion below the wiring pattern layer constitute the rear touch pad.

터치, 후면, 케이스, 터치 스크린, 휴대 단말기 Touch, Rear, Case, Touch Screen, Mobile Phone

Description

후면 터치 패드를 갖는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rear touch pa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rear touch pad,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면 케이스의 후면을 통하여 터치를 입력받는 후면 터치 패드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ear touch pad receiving a touch through a rear surface of a rear case.

휴대 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음성만을 전달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설치하고, 그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 데이터 범위도 일정관리, SMS(Short Message Service) 송수신 내역 등의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는 개인 정보, 최근 대부분의 휴대 단말기에 탑재되는 카메라를 이용해서 생성할 수 있는 사진, 동영상 등과 같은 자가 생성 데이터,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에서 다운로드 받은 전자책, 그림친구, 벨소리, MP3(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 3), 게임 등의 콘텐츠 및 프로그램 등으로 다양하다.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the portable terminal has been able to install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suitable for the users' needs and to use data related thereto, beyond the step of transmitting only the voice. The data range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portable terminals such as schedule management and SMS (Short Message Service) transmission / reception history, self-generated data such as photographs and moving images that can be generated using cameras mounted in most portable terminals, Such as electronic books, picture buddies, ring tones, MP3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 3), games, etc., downloaded from a server of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에는 표시 장치와 입력 장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의 장착이 확대되고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이나 터치 기구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의 터치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필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아이콘 이나 메뉴바의 터치를 통하여 응용프로그램의 기능을 실행한다. 따라서 통상적인 키패드 방식에 비해서 터치 스크린 방식은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Particularly, in recent mobile terminals, mounting of a touch screen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a display device and an input device function is increasing. The user executes the application program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touch of the touch screen using a finger or a touch mechanism and performs necessary functions. That is, after executing the application program, the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through the ic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r the touch of the menu bar. Accordingly, the touch screen method provides convenience to the user in executing the application program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keypad method.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장치 위에 아이티오(ITO; Indium-Tin Oxide)와 같은 투명한 전극을 갖는 터치 패드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Such a touch screen has a structure in which a touch pad having a transparent electrode such as ITO (Indium-Tin Oxide) is provided on a display device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그런데 종래의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지문과 같은 터치 자국이 남게 되어 사용 중 또는 사용 전후에 터치 스크린의 표면을 자주 닦아주어야 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ouch screen, a touch mark such as a fingerprint is left on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so that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must be frequently wiped during use or before and after use.

그리고 터치에 따른 터치 패드에 스크레치가 발생될 수 있고, 휴대 단말기의 사용 기간이 길수록 스크레치의 수는 증가하기 때문에, 스크레치로 인해 터치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가 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scratches may be generated on the touch pad due to the touch and the number of scratches increases as the use period of the portable terminal is longer, the resolution of the image displayed through the touch screen may be lowered due to the scratch.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터치로 인한 표시 장치의 오염이나 스크레치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Therefore,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contamination or scratching of a display device due to a touch.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표시 장치를 직접 터치하지 않더라도 표시 장치를 직접 터치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rate the portable terminal in such a manner that the display device is directly touched even without directly touching the display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 케이스, 후면 케이스 및 배선 패턴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전면 케이스에는 표시 장치가 설치된다. 후면 케이스는 상기 전면 케이스에 대면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배선 패턴층은 상기 표시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후면 케이스의 외측면을 통하여 터치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상기 배선 패턴층과, 상기 배선 패턴층 아래의 상기 후면 케이스 부분이 후면 터치 패드를 구성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front case, a rear case, and a wiring pattern layer. A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 the front case. The rear case is coupled to the front case. The wiring pattern layer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rear cas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evice, and receives a touch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case. Here, the wiring pattern layer and the rear case portion below the wiring pattern layer constitute a rear touch pad.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배선 패턴층은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내측면에 엠아이디(MID; Metal Interconnect molding) 또는 전자 잉크(electronic-ink; e-ink)로 형성된다.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ing pattern layer may be formed of a metal inter-connection molding (MID) or an electronic ink (e-ink)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ase.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배선 패턴층과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베이스 필름이 개재될 수 있다.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film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wiring pattern lay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as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후면 케이 스가 형성하는 설치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배선 패턴층을 통한 상기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and the rear case, and processing the touch input through the wiring pattern layer.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 케이스에 설치된 표시 장치에 대응되는 후면 케이스에 설치된 후면 터치 패드의 터치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터치로 인한 표시 장치의 오염이나 스크레치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operated through the touch of the rear touch pad provided on the rear cas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front cas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contamination or scratching of the display device due to the touch have.

후면 터치 패드는 전면 케이스에서 후면 케이스로 프로젝션된 표시 장치의 영역에 설치되기 때문에, 표시 장치를 직접 터치 않더라도 표시 장치를 직접 터치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다.Since the rear touch pad is installed in the area of the display device projected from the front case to the rear case,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same manner as directly touching the display device without touching the display device directly.

그리고 후면 케이스의 내측면에 후면 터치 패드의 배선 패턴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터치로 인한 배선 패턴층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후면 터치 패드는 후면 케이스의 내측면에 배선 패턴층이 형성되고, 배선 패턴층 아래의 플라스틱 소재의 후면 케이스는 유전체로 사용되기 때문에, 종래의 ITO에 비해 낮은 가격으로 후면 터치 패드를 구현할 수 있다.Since the wiring pattern layer of the rear touch pa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ase, the damage of the wiring pattern layer due to the touch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since the rear surface touch pad has a wiring pattern lay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as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plastic material below the wiring pattern layer is used as a dielectric, the rear touch pad can be realized at a lower price than the conventional ITO .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케이스(50)와 후면 케이스(60)를 포함하며, 전면 케이스(50)와 후면 케이스(60)가 형성하는 설치 공간(70)에 설치된 제어부(10), 메모리부(20), 표시 장치(30) 및 후면 터치 패드(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case 50 and a rear case 60, and includes a front case 50 and a rear case 60, A memory unit 20, a display device 30, and a rear touch pad 40. The control unit 10 includes a control unit 10, a memory unit 20, a display device 30,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전면에 표시 장치(30)를 갖는 단말기로서,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의 이동방송 수신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어 등이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having a display device 30 on its front surface and includes a mobile broadcasting receiver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MP3 flare.

제어부(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제어부(10)는 후면 터치 패드(40)를 통한 터치 입력을 처리한다.The control unit 10 is a microprocessor that performs an overall contro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control unit 10 processes the touch input through the rear touch pad 40.

메모리부(2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다. 메모리부(20)는 후면 터치 패드(40)를 통하여 입력되는 터치를 처리하기 위한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한다.The memory unit 20 stores a program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and is made up of one or more volatile memory elements and a nonvolatile memory element. The memory unit 20 stores an execution program for processing a touch inputted through the rear touch pad 40. [

표시 장치(30)는 전면 케이스(50)의 전면으로 표시 패널이 노출되게 설치된다. 표시 장치(30)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메뉴를 비롯하여 메모리부(20)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 장치(30)는 영상 위에 커서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30)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30 is installed such that the display panel is expos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50. The display device 30 display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20 as well as various function menus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display device 30 can display a cursor on the image. As the display unit 30,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may be used.

그리고 후면 터치 패드(40)는 후면 케이스(60)에 설치되며, 후면 케이스(60)의 내측면에 형성된 배선 패턴층(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선 패턴층(45)은 표시 장치(30) 아래의 후면 케이스(60)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후면 케이스(60)의 외측면을 통하여 터치를 입력받아 제어부(10)로 전달한다.The rear touch pad 40 is disposed on the rear case 60 and includes a wiring pattern layer 45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ase 60. The wiring pattern layer 45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ase 60 under the display device 30 and receives the touch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case 60 and transmits the touch to the control unit 10.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전면 케이스(50)에 설치된 표시 장 치(30)에 대응되는 위치의 후면 케이스(60)에 설치된 후면 터치 패드(40)의 터치를 통하여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터치로 인한 표시 장치(30)의 오염이나 스크레치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표시 장치(30)와 후면 터치 패드(40)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터치 스크린과 같이 표시 장치를 직접 터치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by touching the rear touch pad 40 provided on the rear case 6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evice 30 installed in the front case 50 ,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contamination or scratching of the display device 30 due to the touch. That is, since the display device 30 and the rear touch pad 4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ress problems caused by directly touching the display device like a conventional touch screen.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도 2, 도 4 및 도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disclosed in FIGS. 2, 4 and 5.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패턴층(145)이 후면 케이스(160)의 내측면에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The portabl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iring pattern layer 145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ase 160 as shown in FIG.

후면 케이스(160)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되며, 내측면과, 내측면에 반대되는 외측면을 갖는다. 후면 케이스(160)는 전면 케이스(150)에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200)의 외형을 형성한다.The rear case 160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has an inner side and an outer side opposite to the inner side. The rear case 160 is coupled to the front case 150 to form the outer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배선 패턴층(145)은 전면 케이스(150)에서 후면 케이스(160)로 프로젝션된 표시 장치(130)의 영역에 형성된다. 후면 케이스(160)의 외측면에 터치가 발생되면, 제어부는 터치된 지점에서 표시 장치(130)로 프로젝션된 위치를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여 터치된 지점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한다. 즉 후면 터치 패드(140)는 표시 장치(130)를 직접 터치 않더라도 표시 장치(130)를 직접 터치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2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The wiring pattern layer 145 is formed in the area of the display device 130 projected from the front case 150 to the rear case 160. [ When a touch occur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case 160, the controller recognizes the position projected on the display device 130 at the touched point as a touched point, and performs a function assigned to the touched point. That is, the rear touch pad 140 allows the user to operate the portable terminal 200 in the same manner as directly touching the display device 130 without touching the display device 130 directly.

배선 패턴층(145)은 후면 케이스(160)의 내측면에 엠아이디(MID; Metal Interconnect molding) 또는 전자 잉크(electronic-ink; e-ink)로 직접 형성된다.The wiring pattern layer 145 is formed direct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ase 160 by metal interconnection molding or electronic ink.

따라서 후면 터치 패드(140)는 배선 패턴층(145)과, 배선 패턴층(145)이 형성되는 후면 케이스(160)로 구성된다. 이때 후면 케이스(160)는 플라스틱 소재로 유전체로서, 배선 패턴층(145)과 터치에 의해 커패시터(capacitor)를 형성한다.The rear touch pad 140 is composed of the wiring pattern layer 145 and the rear case 160 on which the wiring pattern layer 145 is formed. At this time, the rear case 160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forms a capacitor by touching the wiring pattern layer 145 as a dielectric.

이와 같이 후면 케이스(160)의 내측면에 배선 패턴층(145)이 형성되기 때문에, 터치로 인한 배선 패턴층(145)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후면 터치 패드(140)는 후면 케이스(160)의 내측면에 배선 패턴층(145)이 형성되고, 배선 패턴층(145) 아래의 플라스틱 소재의 후면 케이스(160)는 유전체로 사용되기 때문에, 종래의 ITO에 비해 낮은 가격으로 후면 터치 패드(140)를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iring pattern layer 145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ase 160, the damage to the wiring pattern layer 145 due to the touch can be minimized. The rear touch pad 140 has the wiring pattern layer 145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ase 160 and the rear case 160 made of the plastic material below the wiring pattern layer 145 is used as a dielectric, The rear touch pad 140 can be implemented at a lower cost than the conventional ITO.

이와 같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의 사용예를,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시 장치(130)에 커서(131)가 표시된 상태에서 후면 케이스(160)에 터치가 발생되면, 제어부는 터치가 발생되는 지점에 대응되게 커서(131)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케이스(160)에 최초 터치가 발생되면, 제어부는 터치가 발생된 지점에 대응되는 지점으로 커서(131)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이어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터치된 지점에서 후면 케이스(160)에 접촉된 상태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면, 제어부는 손가락이 이동하는 왼쪽 방향으로 커서(131)를 이동시킨다.An example of use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When a touch is generated in the rear case 160 in a state that the cursor 13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30, the control unit moves the cursor 131 to correspond to the point where the touch is generated. 3A, when the first touch is generated in the rear case 160, the controller moves the cursor 131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int where the touch is generated, and displays the moved cursor. Then, as shown in FIG. 3B, when the user touches the rear case 160 at the first touched point and moves to the left, the control unit moves the cursor 131 to the left direction in which the finger moves.

한편 도 3a 및 도 3b에서는 후면 터치 패드(140)의 터치를 통하여 커서(131)를 이동시키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표시 장치(130)에 표시된 기능 아이콘을 후면 터치 패드(140)의 터치를 통하여 선택하거나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 는 후면 터치 패드(140)를 통하여 표시 장치(130)를 직접 터치 않더라도 표시 장치(130)를 직접 터치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00)를 조작할 수 있다.3A and 3B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e cursor 131 is moved through the touch of the rear touch pad 140. However, when the function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30 is selected through the touch of the rear touch pad 140 Or perform a function. That is, the user can operate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such a manner that the user directly touches the display device 130 without directly touching the display device 130 through the rear touchpad 140.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패턴층(245)이 후면 케이스(260)의 내측면에 베이스 필름(243)이 개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선 패턴층(245)이 형성된 베이스 필름(243)을 후면 케이스의 내측면에 부착하여 후면 터치 패드(240)를 구현하며, 그 외 구조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와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4, the wiring pattern layer 245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ase 260 with a base film 243 interposed therebetween, as shown in FIG. 4, in the portable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at is, the base film 243 on which the wiring pattern layer 245 is formed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ase to implement the rear touch pad 240.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tructu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배선 패턴층(245)은 베이스 필름(243) 위에 엠아이디(MID) 또는 전자 잉크(e-ink)로 형성된다. 베이스 필름(243)으로는 폴리이미드 소재의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The wiring pattern layer 245 is formed on the base film 243 by MID or electronic ink (e-ink). As the base film 243, a polyimide film may be used.

제 3 실시예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터치 패드(340)가 후면 케이스(360)에 조립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후면 케이스(360)는 표시 장치(330)에 대응되는 부분에 개방부(361)가 형성되어 있다. 후면 터치 패드(340)는 개방부(361)에 설치되며, 후면 케이스(360)의 외측면을 통하여 터치를 입력받는다.5, the portable terminal 4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ar touch pad 340 mounted on the rear case 360 in a prefabricated manner. In the rear case 360, an opening 361 is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evice 330. The rear touch pad 340 is installed in the opening 361 and receives a touch through an outer surface of the rear case 360.

후면 터치 패드(340)는 전면 케이스(350)에서 후면 케이스(360)로 프로젝션된 표시 장치(330)의 영역에 설치된다. 후면 터치 패드(340)는 유전판(341)과 배선 패턴층(3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전판(341)은 플라스틱 소재로 후면 케이스(360)의 개방부(361)에 결합되어 개방부(361)를 막는다. 배선 패턴층(345)은 유전판(341)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유전판(341)의 외측면을 통하여 터치를 입력받는다. 배선 패턴층(345)은 유전판(341)의 내측면에 엠아이디(MID) 또는 전자 잉크(e-ink)로 형성된다.The rear touch pad 340 is installed in a region of the display device 330 that is projected from the front case 350 to the rear case 360. The rear touch pad 340 includes a dielectric plate 341 and a wiring pattern layer 345. The dielectric plate 341 is joined to the opening 361 of the rear case 360 by a plastic material to block the opening 361. The wiring pattern layer 345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electric plate 341 and receives a touch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plate 341. The wiring pattern layer 345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electric plate 341 by MID or electronic ink (e-ink).

제 1 실시예에 따른 후면 터치 패드(140)와 제 3 실시예에 따른 후면 터치 패드(340)를 비교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후면 터치 패드(140)는 후면 케이스(16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라면, 제 3 실시예에 따른 후면 터치 패드(340)는 후면 케이스(360)에 분리형으로 설치된 경우에 해당된다.The rear touch pad 14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rear touch pad 34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re integrated into the rear case 160 The rear touch pad 34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corresponds to a case where the rear touch pad 34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rear case 360. [

제 3 실시예에 따른 후면 터치 패드(340)에 있어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후면 터치 패드(24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유전판(341)과 배선 패턴층(345) 사이에 베이스 필름이 개재될 수도 있다.In the rear touch pad 34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 base film is interposed between the dielectric plate 341 and the wiring pattern layer 345 as disclosed in the rear touch pad 2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t is possible.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specific example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면 터치 패드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rear touch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사용 상태도이다.FIG. 3A and FIG.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state of us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2. FIG.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 제어부 20 : 메모리부10: control unit 20: memory unit

30, 130, 230, 330 : 표시 장치 40, 140, 240, 340 : 후면 터치 패드30, 130, 230, 330: display device 40, 140, 240, 340: rear touch pad

100, 200, 300, 400 : 휴대 단말기 131 : 커서100, 200, 300, 400: portable terminal 131: cursor

45, 145, 245, 345 : 배선 패턴층 150, 250, 350 : 전면 케이스45, 145, 245, 345: wiring pattern layer 150, 250, 350:

160, 260, 360 : 후면 케이스 361 : 개방부160, 260, 360: rear case 361:

Claims (14)

전면 케이스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표시 장치와;A display device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상기 전면 케이스와 결합되는 후면 케이스와;A rear case coupled to the front case; 상기 후면 케이스의 외측면을 통해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된 배선 패턴층과;A wiring pattern layer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rear case so as to allow a touch input through an outer surface of the rear case; 터치 입력 지점과 대응되는 표시장치의 지점에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출력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또는 터치 입력 지점과 대응되는 표시장치의 지점에 위치한 기능 아이콘을 실행시키도록 제어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At least one of an operation of controlling to display an output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at a point of the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point or an operation of controlling to execute a function icon located at a point of the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point And a control unit, 상기 배선 패턴층과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베이스 필름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base film interposed between the wiring pattern lay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as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배선 패턴층은 상기 표시 장치와 대응되는 후면 케이스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wiring pattern layer is formed in a rear cas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evice.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배선 패턴층은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내측면에 엠아이디(MID; Metal Interconnect molding) 또는 전자 잉크(electronic-ink; e-ink)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wiring pattern layer is formed of a metal inter-connection molding (MID) or an electronic ink (e-ink) on an inner surface of the rear case. 삭제delet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apparatus of claim 3,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후면 케이스가 형성하는 설치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배선 패턴층을 통한 상기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touch panel is installed in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and the rear case, and processes the touch input through the wiring pattern lay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6. The apparatus of claim 5, 상기 표시 장치에 커서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후면 케이스에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터치가 발생되는 지점을 따라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cursor is moved along a point where the touch is generated when a touch is generated in the rear case when a curso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전면 케이스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표시 장치와;A display device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상기 전면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표시 장치에 대응되는 부분에 개방부가 형성된 후면 케이스와;A rear case coupled to the front case and having an opening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evice; 상기 개방부에 결합되며, 상기 후면 케이스의 외측면을 통하여 터치를 입력받는 후면 터치 패드와;A rear touch pad coupled to the opening and receiving a touch through an outer surface of the rear case; 터치 입력 지점과 대응되는 표시장치의 지점에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출력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또는 터치 입력 지점과 대응되는 표시장치의 지점에 위치한 기능 아이콘을 실행시키도록 제어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At least one of an operation of controlling to display an output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at a point of the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point or an operation of controlling to execute a function icon located at a point of the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point And a controller 상기 후면 터치 패드는,The rear touch pad includes: 상기 후면 케이스의 개방부에 설치되는 유전판과;A dielectric plate installed at an opening of the rear case; 상기 유전판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전판의 외측면을 통하여 터치를 입력받는 배선 패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wiring pattern layer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dielectric plate and receiving a touch through an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plate. 삭제delete 제 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배선 패턴층은 상기 표시 장치와 대응되는 후면 케이스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wiring pattern layer is formed in a rear cas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evice. 제 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배선 패턴층은 상기 유전판의 내측면에 엠아이디(MID; Metal Interconnect molding) 또는 전자 잉크(electronic-ink; e-ink)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wiring pattern layer is formed by metal inter-connection molding (MID) or electronic-ink (e-ink)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electric plat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터치 패드는,The touch panel of claim 10, 상기 배선 패턴층과 상기 유전판의 내측면 사이에 개재된 베이스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base film interposed between the wiring pattern lay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ielectric plate.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1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or 11,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후면 케이스가 형성하는 설치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후면 터치 패드를 통한 상기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is installed in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and the rear case, and processes the touch input through the rear touch pad.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1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표시 장치에 커서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후면 터치 패드에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터치가 발생되는 지점을 따라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cursor is moved along a point where the touch is generated when a touch is generated in the rear touch pad when a curso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케이스는,8.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7, wherein the rear case comprises: 플라스틱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KR1020080002173A 2008-01-08 2008-01-08 Portable terminal rear touch pad KR1015528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173A KR101552834B1 (en) 2008-01-08 2008-01-08 Portable terminal rear touch 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173A KR101552834B1 (en) 2008-01-08 2008-01-08 Portable terminal rear touch p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303A KR20090076303A (en) 2009-07-13
KR101552834B1 true KR101552834B1 (en) 2015-09-14

Family

ID=41333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173A KR101552834B1 (en) 2008-01-08 2008-01-08 Portable terminal rear touch 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83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3380B2 (en) 2021-12-09 2024-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747B1 (en) * 2009-10-07 2016-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a plurality of touch sensor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110291946A1 (en) * 2010-05-26 2011-12-01 T-Mobile Usa, Inc. Touchpad interaction
KR101397084B1 (en) 2012-07-02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101398141B1 (en) 2013-02-08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3380B2 (en) 2021-12-09 2024-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303A (en)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847B1 (en) Protective film, protective glass and communication method of mobile phone
US9170659B2 (en) Mobile terminal
EP2315109B1 (en) Mobile terminal
US9383959B2 (en) Rotatable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soft key input method
EP2346232B1 (en) Mobile terminal having an input device
US8271907B2 (en) User interface method for mobile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913962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inputting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5743847B2 (en) Mobile terminal and low sensitivity area setting program
US812165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66274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080068780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ouch screen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4185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10068666A (en) Mobile terminal having a side touch input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functions of thereof
KR101552834B1 (en) Portable terminal rear touch pad
JP5371712B2 (en) Key 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US20210176382A1 (en) Camera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KR201100224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font size of portab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20190008949A (en) A touch response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 touch panel and a terminal thereof
CN103597430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ct panel
JP2014006799A (en) Electronic device
CN107329523A (en) Multi-surface touch sensitive device and method
US20090167695A1 (en) Embedded navigation assembly and method on handheld device
US876039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switching method of icon
WO2011058733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put control program and input control method
US8643604B2 (en) Seamless button array panels for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