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449B1 - Rolled steel bar or wire for hot forging - Google Patents

Rolled steel bar or wire for hot forg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449B1
KR101552449B1 KR1020147008500A KR20147008500A KR101552449B1 KR 101552449 B1 KR101552449 B1 KR 101552449B1 KR 1020147008500 A KR1020147008500 A KR 1020147008500A KR 20147008500 A KR20147008500 A KR 20147008500A KR 101552449 B1 KR101552449 B1 KR 101552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steel
ferrite
less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85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56378A (en
Inventor
아키라 시가
마사유키 호리모토
요시히로 다이토
히데키 이마타카
유스케 우스이
데츠야 오하시
Original Assignee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6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3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4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06Surface hard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6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9Pearl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열간 단조 후에 있어서도 우수한 굽힘 피로 강도, 면피로 강도, 내마모성 및 피삭성을 가지는, 열간 단조용 압연 봉강 또는 선재를 제공한다.
발명에 의한 열간 단조용 압연 봉강 또는 선재는, 그 화학 조성이, C, Si, Mn, S, Cr, Mo(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Al, N을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화학 조성은 또한, 식 (1)에서 정의되는 fn1이 1.60~2.10이다. 상기 서술한 열간 단조용 압연 봉강 또는 선재의 조직은, 페라이트·펄라이트 조직, 페라이트·펄라이트·베이나이트 조직, 또는 페라이트·베이나이트 조직으로 이루어진다. 횡단면에 있어서, 1 시야당 면적 62500μm2로 랜덤으로 15 시야 관찰 측정했을 때의, 페라이트 평균 입경의 최대치/최소치가 2.0 이하이다.
fn1=Cr+2×Mo (1)
여기서, 식 (1) 중의 각 원소 기호에는, 대응하는 원소의 함유량(질량%)이 대입된다.
Provided is a hot rolled steel bar or wire rod having excellent bending fatigue strength, strength in cotton, abrasion resistance and machinability even after hot forging.
The rolling bar steel or wire rod for hot forg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ntains C, Si, Mn, S, Cr, Mo (may not contain), Al and N, and the balance of Fe and impurities. The chemical composition is also defined as fn1 of 1.60-2.10 as defined in equation (1). The structure of the hot rolled steel bar or wire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ferrite-pearlite structure, a ferrite-pearlite-bainite structure, or a ferrite-bainite structure. The maximum value / minimum value of the average ferrite mean particle size is 2.0 or less when observed at 15 fields of view at random at an area of 62500 mu m 2 per field of view in the cross section.
fn1 = Cr + 2 占 Mo (1)
Here, the content (mass%) of the corresponding element is substituted into each symbol of the element in the formula (1).

Description

열간 단조용 압연 봉강 또는 선재{ROLLED STEEL BAR OR WIRE FOR HOT FORGING}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 rolled steel strip,

본 발명은 봉강 또는 선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기는, 열간 단조용 압연 봉강 또는 선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 or a wire r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t rolled steel bar or wire rod.

톱니바퀴, 풀리 등의 기계 부품은, 자동차 또는 산업 기계에 이용된다. 이러한 기계 부품의 상당수는,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기계 구조용 합금강으로 이루어지는 소재를 준비한다. 소재는 예를 들어, JIS 규격의 SCr420, SCM420 또는 SNCM420에 상당하는 화학 조성을 가진다. 소재는 예를 들어, 열간 압연 봉강 또는 선재이다. 소재에 대해 열간 단조를 실시하여, 중간제품을 제조한다. 중간제품에 대해 필요에 따라 불림을 실시한다. 또한, 중간제품에 대해 절삭 가공을 실시한다. 절삭된 중간제품에 대해 표면 경화 처리를 실시한다. 표면 경화 처리는 예를 들어, 침탄 담금질, 침탄 질화 담금질, 또는 고주파 담금질이다. 표면 경화 처리된 중간제품에 대해 200℃ 이하의 뜨임 온도로 뜨임을 실시한다. 뜨임 후의 중간제품에 대해, 필요에 따라 숏 피닝 처리를 실시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기계 부품이 제조된다. Machine parts such as gears, pulleys and the like are used in automobiles or industrial machines. Many of these mechanical parts are manufactured in the following manner. Prepare materials made of alloy steel for machine structural use. The material has a chemical composition corresponding to, for example, JIS standard SCr420, SCM420 or SNCM420. The material is, for example, a hot-rolled steel bar or wire rod. The material is subjected to hot forging to produce an intermediate product. The intermediate product shall be called as necessary. Further, the intermediate product is subjected to cutting processing. The intermediate product to be cut is subjected to surface hardening treatment. The surface hardening treatment is, for example, carburizing quenching, carburizing nitriding, or high frequency quenching. Tempering the surface-hardened intermediate product to a tempering temperature of 200 ° C or less. The intermediate product after tempering is subjected to shot peening as necessary. The mechanical parts are manufactured by the above process.

최근, 자동차의 연비 향상이나 엔진의 고출력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계 부품이 경량화되고, 소형화되고 있다. 기계 부품에 걸리는 부하는 종래와 비교해 증가하고 있다. 그 때문에, 기계 부품에는, 우수한 굽힘 피로 강도, 면피로 강도(접촉 피로 강도) 및 내마모성이 요구되고 있다. BACKGROUND ART [0002] In recent years, in order to cope with improvement in fuel efficiency of automobiles and increase in output of engines, mechanical parts have become lightweight and downsized. The load on machine parts is increasing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For this reason, mechanical parts are required to have excellent bending fatigue strength, strength (contact fatigue strength) and wear resistance.

한편, 기계 부품의 제조 비용의 저감도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조 비용의 저감을 위해, 숏 피닝 등의 부가적인 공정의 생략이 요구되고 있다. 또, 제조 비용에 있어서의 절삭 가공 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은 크다. 그 때문에, 제조 비용의 저감을 위해, 기계 부품의 소재가 되는 열간 단조용 압연 봉강 또는 선재에 대해, 높은 피삭성이 요구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require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mechanical parts. Concretely, in order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it is required to omit additional steps such as shot peening.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machining cost to the manufacturing cost is large. For this reason, in order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 high machinability is demanded for a hot rolled steel bar or a wire rod to be a material for mechanical parts.

따라서, 기계 부품의 소재가 되는 열간 단조용 압연 봉강 또는 선재에는, 우수한 굽힘 피로 강도, 면피로 강도 및 내마모성에 더하여, 우수한 피삭성도 요구된다. Therefore, the hot rolled steel strip or wire rod to be the material of the mechanical parts is required to have superior bending fatigue strength, strength and wear resistance as well as excellent machinability.

기계 부품의 소재가 되는 강의 특성을 개선하는 기술은, 일본국 특허공개 소60-21359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7-242994호 공보, 및, 일본국 특허공개 평7-126803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Techniques for improving the characteristics of steel as a material of mechanical parts are prop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60-21359, 7-242994, and 7-126803 .

일본국 특허공개 소60-21359호 공보에 개시된 톱니바퀴용 강에서는, Si:0.1% 이하, P:0.01% 이하로 규정한다. 이러한 규정에 의해, 톱니바퀴용 강은 높은 강도를 가지며, 강인하고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일본국 특허공개 소60-21359호 공보에는 기재되어 있다. In the gear steel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0-21359, it is specified that Si is 0.1% or less and P is 0.01% or less. With this provision, the steel for the gear wheels has high strength, is strong and has high reliability, and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0-21359.

일본국 특허공개 평7-242994호 공보에 개시된 톱니바퀴용 강은, Cr:1.50~5.0%를 함유하고, 더 필요에 따라, 7.5%>2.2×Si(%)+2.5×Mn(%)+Cr(%)+5.7×Mo(%)를 만족하며, Si:0.40~1.0%를 함유한다. 이러한 화학 조성을 가짐으로써, 톱니바퀴용 강은 우수한 치면 강도를 가지는 것으로 일본국 특허공개 평7-242994호 공보에는 기재되어 있다. The steel for a cogwheel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242994 contains 1.50 to 5.0% of Cr, more preferably 7.5% to 2.2 x Si (%) + 2.5 x Mn (%) + Cr (%) + 5.7 x Mo (%), and Si: 0.40 to 1.0%. By having such a chemical composition, the steel for a gear wheel has excellent tooth surface strength and is described in JP-A-7-242994.

일본국 특허공개 평7-126803호 공보에 개시된 침탄 톱니바퀴용 강은, Si:0.35~3.0% 이하, V:0.05~0.5% 등을 함유한다. 이러한 화학 조성을 가짐으로써, 톱니바퀴용 강은, 높은 굽힘 피로 강도와, 높은 면피로 강도를 가지는 것으로 일본국 특허공개 평7-126803호 공보에는 기재되어 있다. The steel for a carburizing gear wheel disclosed in JP-A-7-126803 contains 0.35 to 3.0% of Si, 0.05 to 0.5% of V, and the like. By having such a chemical composition, the steel for a cog wheel i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126803, which has a high bending fatigue strength and a high surface strength.

그러나, 일본국 특허공개 소60-21359호 공보에서는, 면피로 강도에 대해서 검토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일본국 특허공개 소60-21359호 공보에 개시된 톱니바퀴용 강의 면피로 강도가 낮은 경우가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평7-242994호 공보에서는, 굽힘 피로 강도에 대해서 검토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일본국 특허공개 평7-242994호 공보에 개시된 톱니바퀴용 강의 굽힘 피로 강도가 낮은 경우가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평7-126803호 공보에 개시된 톱니바퀴용 강은 V를 함유한다. V는 열간 단조 후의 강의 경도를 높인다. 그 때문에, 열간 단조 후의 강의 피삭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요컨데, 일본국 특허공개 소60-21359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7-242994호 공보, 및, 일본국 특허공개 평7-126803호 공보에는, 우수한 굽힘 피로 강도, 면피로 강도 및 내마모성을 가지며, 또한, 우수한 피삭성을 가지는 강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However,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60-21359 does not consider the strength of cotton fibers. Therefore, the strength of the gear steel for a gear wheel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0-21359 may be low.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7-242994 does not consider bending fatigue strength. For this reason,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of the gear for a gear wheel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242994 may be low. The steel for a gear wheel disclosed in JP-A-7-126803 contains V. V increases the hardness of the steel after hot forging. Therefore, the machinability of steel after hot forging may be lowered. In particular,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60-21359, 7-242994, and 7-126803 have excellent bending fatigue strength, surface strength and wear resistance , And no steel having excellent machinability is disclosed.

본 발명의 목적은, 열간 단조 후에 있어서도 우수한 굽힘 피로 강도, 면피로 강도, 내마모성 및 피삭성을 가지는, 열간 단조용 압연 봉강 또는 선재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t rolled steel bar or wire rod having excellent bending fatigue strength, surface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and machinability even after hot forging.

본 발명에 의한 열간 단조용 압연 봉강 또는 선재는, 그 화학 조성이, 질량%로, C:0.1~0.25%, Si:0.30~0.60%, Mn:0.50~1.0%, S:0.003~0.05%, Cr:1.50~2.00%, Mo:0.10% 이하(0%를 포함한다), Al:0.025~0.05%, N:0.010~0.025%를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불순물 중의 P, Ti 및 O가 각각, P:0.025% 이하, Ti:0.003% 이하, O(산소):0.002% 이하이며, 식 (1)에서 정의되는 fn1이 1.60~2.10이다. 상기 서술한 열간 단조용 압연 봉강 또는 선재의 조직은, 페라이트·펄라이트 조직, 페라이트·펄라이트·베이나이트 조직, 또는, 페라이트·베이나이트 조직으로 이루어진다. 횡단면에 있어서 1 시야당 면적 62500μm2로 15 시야를 측정하여 얻어진 페라이트 평균 입경의 최대치/최소치는 2.0 이하이다. The hot rolled steel strip or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emical composition of 0.1 to 0.25% of C, 0.30 to 0.60% of Si, 0.50 to 1.0% of Mn, 0.003 to 0.05% of S, The balance of Fe and impurities, and the content of P, Cr, and Mo in the impurities is in the range of 1.50 to 2.00% Cr, 0.10% or less (including 0%) of Mo, 0.025 to 0.05% Ti and O are 0.025% or less of P, 0.003% or less of Ti and 0.002% or less of O (oxygen), respectively, and fn1 defined in formula (1) is 1.60 to 2.10.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hot rolled steel bar or wire rod is composed of a ferrite-pearlite structure, a ferrite-pearlite-bainite structure, or a ferrite-bainite structure. The maximum value / minimum value of the ferrite average particle diameter obtained by measuring the field of view at an area of 62500 mu m 2 per field of view in the cross section is 2.0 or less.

fn1=Cr+2×Mo (1) fn1 = Cr + 2 占 Mo (1)

여기서, 식 (1) 중의 각 원소 기호에는, 대응하는 원소의 함유량(질량%)이 대입된다. Here, the content (mass%) of the corresponding element is substituted into each symbol of the element in the formula (1).

본 발명에 의한 열간 단조용 봉강 또는 선재는, 우수한 굽힘 피로 강도, 면피로 강도, 내마모성 및 피삭성을 가진다. The steel strip or wire rod for hot for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bending fatigue strength, surface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and machinability.

본 발명에 의한 열간 단조용 압연 봉강 또는 선재는, Fe의 일부 대신에, 질량%로, Nb:0.08% 이하를 함유해도 된다. The rolled steel bar or wire rod for hot for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0.08% or less of Nb by mass% instead of a part of Fe.

본 발명은, 열간 단조 후에 있어서도 우수한 굽힘 피로 강도, 면피로 강도, 내마모성 및 피삭성을 가지는, 열간 단조용 압연 봉강 또는 선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t rolled steel bar or wire rod having excellent bending fatigue strength, strength in cotton, wear resistance and machinability even after hot forging.

도 1은, 실시예에서 제작한 롤러 피칭 시험용의 소롤러 시험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 제작한 절결을 갖는 오노식 회전 굽힘 피로 시험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침탄 담금질 조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롤러 피칭 시험용의 대롤러의 정면도이다.
Fig. 1 is a side view of a small roller test piece for roller pitching test produced in the example. Fig.
Fig. 2 is a side view of the Ono type rotary bending fatigue test piece having the notch produced in the embodiment. Fig.
Fig. 3 is a chart showing the carburization quenching conditions in the examples. Fig.
4 is a front view of a roller for a roller pitching test in the embodiment.

본 발명자들은, 열간 단조용 압연 봉강 또는 선재(이하, 간단히 봉강 또는 선재라고 한다)의 굽힘 피로 강도, 면피로 강도, 내마모성 및 피삭성에 관해서 조사 및 연구했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이하의 지견을 얻었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studied and studied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the strength, the abrasion resistance and the machinability of a hot rolled steel bar or a wire rod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bar steel or a wire rod).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ors have obtained the following findings.

(a) Si함유량이 높으면, 강의 면피로 강도 및 내마모성이 높아진다. 또한, Cr함유량 및 Mo함유량이 높으면, 강의 굽힘 피로 강도, 면피로 강도 및 내마모성이 높아진다. (a) When the Si content is high, strength and abrasion resistance are enhanced by the surface of the steel. When the Cr content and the Mo content are high,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of the steel, the strength and the wear resistance are improved by the cotton.

(b) 한편, Mo함유량이 너무 높으면, 열간 단조 후의 강, 및, 열간 단조하고 또한 불림한 후의 강에 있어서, 베이나이트의 생성이 촉진된다. 동일하게, Mo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여도 Cr함유량이 너무 높으면, 베이나이트의 생성이 촉진된다. 베이나이트는 강의 피삭성을 저하시킨다. 그 때문에, 베이나이트의 생성을 억제하고, 강의 피삭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b) On the other hand, if the Mo content is too high, generation of bainite is promoted in the steel after hot forging and in the steel after hot forging and soaking. Similarly, when Mo is not contained, if the Cr content is too high, the production of bainite is promoted. Bainite reduces the machinability of the steel.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generation of bainite is suppressed and the lowering of the machinability of the steel can be suppressed.

(c) 이상으로부터, 우수한 굽힘 피로 강도, 면피로 강도 및 내마모성과, 우수한 피삭성을 얻기 위해서는, Si함유량, Mo함유량 및 Cr함유량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굽힘 피로 강도, 면피로 강도 및 내마모성을 높이면서, 피삭성도 높이기 위해서는, Cr함유량과 Mo함유량의 총량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강의 화학 조성이 식 (2)를 만족하면, 우수한 굽힘 피로 강도, 면피로 강도, 내마모성 및 피삭성을 얻을 수 있다. (c) From the above,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Si content, the Mo content and the Cr content in order to obtain excellent bending fatigue strength, strength and abrasion resistance in cotton, and excellent machinability. Particularly, in order to increas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the strength and the abrasion resistance with the cotton, and the machinability,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total amount of the Cr content and the Mo content. Specifically, whe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teel satisfies the formula (2), excellent bending fatigue strength, surface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and machinability can be obtained.

1.60≤Cr+2×Mo≤2.10 (2) 1.60? Cr + 2 占 Mo? 2.10 (2)

여기서, 식 (2) 중의 각 원소 기호에는, 대응하는 원소의 함유량(질량%)이 대입된다. Here, the content (mass%) of the corresponding element is substituted into each symbol of the element in the formula (2).

(d) 봉강 또는 선재 중의 결정 입경의 편차가 크면, 굽힘 피로 강도가 저하된다. 결정 입경의 편차가 크면 또한, 면피로 강도도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결정 입경의 편차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봉강 또는 선재의 횡단면 중, 표층의 탈탄층을 제거할 영역으로부터, 각 시야의 면적이 62500μm2인 15 시야를 선택한다. 선택된 15 시야의 각각에 대해서 화상 해석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시야에 있어서 페라이트 평균 입경을 측정한다. 각 시야의 페라이트 평균 입경은 JIS G0551(2005)에 규정된 절단법에 준거하여 측정한다. (d) If the deviation of the crystal grain size in the bar or wire is larg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is lowered. If the deviation of the crystal grain size is large, the strength may also be lowered by the cotton fiber. As an index showing the degree of deviation of the crystal grain size, the average ferrite ratio of ferrite is defined as follows. From the cross-sectional surface of the bar or wire, the 15 field of view with an area of 62500 mu m 2 is selected from the area where the decarbonization layer of the surface layer is to be removed. Image analysis is performed for each of the 15 fields selected. Specifically,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ferrite is measured in each field of view. The ferrite average grain size of each field of view i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cutting method specified in JIS G0551 (2005).

15 시야의 각각에서 결정된 페라이트 평균 입경 중, 최대치와 최소치를 선택한다. 그리고, 최대치/최소치를 구한다. 구한 값을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로 정의한다. 즉,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는, 이하의 식 (3)으로 정의된다.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ferrite average particle diameters determined in each of the 15 fields of view are selected. Then, the maximum value / minimum value is obtained. The value obtained is defined as the average ferrite opening ratio. That is, the average ferrite ratio of ferrite is def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15 시야에서 얻어진 페라이트 평균 입경 중 최대치/15 시야에서 얻어진 페라이트 평균 입경 중 최소치 (3) The average value of the ferrite average particle size = the maximum value among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s of ferrite obtained in the field of view of 15 / the minimum value o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s of ferrite particles obtained in the field of view of 15 (3)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 이하인 경우, 강 중의 결정립의 편차가 작다. 그 때문에, 강의 굽힘 피로 강도 및 면피로 강도가 높다. When the ferrite average grain size ratio is 2.0 or less, the deviation of crystal grains in the steel is small. Therefore, the strength is high due to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nd surface tension of the steel.

본 발명에 의한 열간 단조용 압연 봉강 또는 선재는, 상기 서술한 지견에 의거하여 완성되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열간 단조용 압연 봉강 또는 선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화학 조성을 구성하는 원소의 함유량의 「%」는 「질량%」를 의미한다. The hot rolled steel bar or wire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on the basis of the above-described findings. Hereinafter, the hot rolled steel bar or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inafter, "%" of the content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chemical composition means "% by mass".

[화학 조성][Chemical Composition]

본 발명에 의한 봉강 또는 선재의 화학 조성은, 이하의 원소를 함유한다.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teel strip or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the following elements.

C:0.1~0.25% C: 0.1 to 0.25%

탄소(C)는, 침탄 담금질, 또는 침탄 질화 담금질성을 높인다. 그 때문에, C는, 강의 강도를 높인다. 특히, C는, 침탄 담금질 또는 침탄 질화 담금질 후의 기계 부품의 심부의 강도를 높인다. 한편, C가 과잉하게 함유되면, 침탄 담금질 또는 침탄 질화 담금질 후의 기계 부품의 변형량이 현저하게 증가한다. 따라서, C함유량은 0.1~0.25%이다. 바람직한 C함유량의 하한은 0.1%보다 높고, 더 바람직하게는 0.15%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18% 이상이다. 바람직한 C함유량의 상한은 0.25% 미만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23%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20% 이하이다. Carbon (C) improves carburization, quenching, or carburizing. Therefore, C improves the strength of the steel. Particularly, C improves the strength of the deep portion of the mechanical parts after carburizing quenching or carburizing and nitriding quenching. On the other hand, if C is contained excessively, the deformation amount of the mechanical parts after the carburizing quenching or carbo-nitriding quenching is remarkably increased. Therefore, the C content is 0.1 to 0.25%. The lower limit of the preferable C content is higher than 0.1%, more preferably higher than or equal to 0.15%, and still more preferably higher than or equal to 0.18%. The upper limit of the preferable C content is less than 0.25%,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0.23%, and still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0.20%.

Si:0.30~0.60% Si: 0.30 to 0.60%

규소(Si)는, 강의 담금질성을 높인다. Si는 또한, 강의 뜨임 연화 저항을 높인다. 따라서, Si는, 강의 면피로 강도 및 내마모성을 높인다. 한편, Si가 과잉하게 함유되면, 강의 열간 단조 후의 강도가 과잉하게 높아진다. 그 결과, 강의 피삭성이 저하된다. Si가 과잉하게 함유되면 또한, 굽힘 피로 강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Si함유량은 0.30~0.60%이다. 바람직한 Si함유량의 하한은 0.30%보다 높고, 더 바람직하게는 0.40%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45% 이상이다. 바람직한 Si함유량의 상한은 0.60% 미만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57%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55% 이하이다. Silicon (Si) improves the hardenability of steel. Si also increases the temper softening resistance of the steel. Therefore, Si increases the strength and wear resistance at the surface of steel. On the other hand, if Si is contained excessively, the strength of the steel after hot forging becomes excessively high. As a result, the machinability of the steel decreases. If Si is contained excessively,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lso decreases. Therefore, the Si content is 0.30 to 0.60%. The lower limit of the Si content is preferably higher than 0.30%, more preferably 0.40% or higher, and still more preferably 0.45% or higher. The upper limit of the preferable Si content is less than 0.60%,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0.57%, still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0.55%.

Mn:0.50~1.0% Mn: 0.50 to 1.0%

망간(Mn)은, 강의 담금질성을 높여, 강의 강도를 높인다. 따라서, Mn은, 침탄 담금질 또는 침탄 질화 담금질된 기계 부품의 심부의 강도를 높인다. 한편, Mn이 과잉하게 함유되면, 열간 단조 후의 강의 피삭성이 저하된다. 또한, Mn이 과잉하게 함유되면, 강의 표면에 Mn산화물이 생성된다. 그 결과, 침탄 담금질 또는 침탄 질화 담금질 후의 침탄 이상층의 깊이가 커진다. 침탄 이상층은 예를 들어, 입계 산화층 및 불완전 담금질층이다. 침탄 이상층의 깊이가 커지면, 강의 굽힘 피로 강도 및 피칭 강도가 저하된다. 피칭은, 면피로의 파괴 형태의 하나이다. 따라서, 피칭 강도가 낮으면, 면피로 강도도 낮아진다. 따라서, Mn함유량은, 0.50~1.0%이다. 바람직한 Mn함유량의 하한은 0.50%보다 높고, 더 바람직하게는 0.55%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60% 이상이다. Mn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1.0% 미만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95%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9% 이하이다. Manganese (Mn) improves the hardenability of steel and increases the strength of steel. Therefore, Mn enhances the strength of the deep portion of the carburizing quenched or carburized nitrided machine parts. On the other hand, when Mn is contained excessively, the machinability of steel after hot forging is lowered. Further, when Mn is contained excessively, Mn oxide i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As a result, the depth of the carburization abnormal layer after carburization quenching or carburizing nitriding becomes large. The abnormal carburization layer is, for example, a grain boundary oxide layer and an incomplete quench-hardened layer. When the depth of the carburization abnormal layer is increased,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nd the pitching strength of the steel decrease. Pitching is one of the forms of failure of surface fatigue. Therefore, if the pitching strength is low, the strength is also lowered by cotton. Therefore, the Mn content is 0.50 to 1.0%. The lower limit of the preferable Mn content is higher than 0.50%, more preferably 0.55% or higher, and still more preferably 0.60% or higher. The upper limit of the Mn content is preferably less than 1.0%, more preferably 0.95%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0.9% or less.

S:0.003~0.05% S: 0.003 to 0.05%

유황(S)은 Mn과 결합하여 MnS를 형성한다. MnS는 강의 피삭성을 높인다. 한편, S가 과잉하게 함유되면, 조대한 MnS가 형성된다. 조대한 MnS는 강의 굽힘 피로 강도 및 면피로 강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S함유량은, 0.003~0.05%이다. 바람직한 S함유량의 하한은 0.003%보다 높고, 더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이다. 바람직한 S함유량의 상한은 0.05% 미만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03%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02% 이하이다. Sulfur (S) combines with Mn to form MnS. MnS increases machinability of steel. On the other hand, when S is excessively contained, coarse MnS is formed. Coarse MnS reduces the strength by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nd the surface tension of the steel. Therefore, the S content is 0.003 to 0.05%. The lower limit of the preferable S content is higher than 0.003%, more preferably 0.005% or higher, and still more preferably 0.01% or higher. The upper limit of the preferable S content is less than 0.05%, more preferably 0.03%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0.02% or less.

Cr:1.50~2.00% Cr: 1.50 to 2.00%

크롬(Cr)은, 강의 담금질성, 및, 강의 뜨임 연화 저항을 높인다. 그 때문에, Cr은 강의 굽힘 피로 강도, 면피로 강도 및 내마모성을 높인다. 한편, Cr이 과잉하게 함유되면, 열간 단조 후, 또는, 불림 후의 강에서 베이나이트의 생성이 촉진된다. 그 때문에, 강의 피삭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Cr함유량은 1.50~2.00%이다. 바람직한 Cr함유량의 하한은 1.50%보다 높고, 더 바람직하게는 1.70%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80% 이상이다. 바람직한 Cr함유량의 상한은 2.00% 미만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95%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90% 이하이다. Chromium (Cr) improves the hardenability of the steel and the softening resistance of the steel. Therefore, Cr improves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of the steel, the strength and the wear resistance of the steel. On the other hand, if Cr is contained excessively, generation of bainite is promoted in the steel after hot forging or after quenching. As a result, the machinability of the steel decreases. Therefore, the Cr content is 1.50 to 2.00%. The lower limit of the preferable Cr content is higher than 1.50%, more preferably 1.70% or higher, and still more preferably 1.80% or higher. The upper limit of the preferable Cr content is less than 2.00%,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1.95%, and further preferably not more than 1.90%.

Mo:0.10% 이하 (0%를 포함한다) Mo: 0.10% or less (including 0%)

몰리브덴(Mo)은,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Mo는 강의 담금질성 및 뜨임 연화 저항을 높인다. 그 때문에, Mo는 강의 굽힘 피로 강도, 면피로 강도 및 내마모성을 높인다. 한편, Mo가 과잉하게 함유되면, 열간 단조 후, 또는, 불림 후의 강에서 베이나이트 생성이 촉진된다. 그 때문에, 강의 피삭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Mo함유량은 0.10% 이하(0%를 포함한다)이다. 바람직한 Mo함유량의 하한은 0.02% 이상이다. 바람직한 Mo함유량의 상한은 0.10% 미만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08%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Molybdenum (Mo) may or may not be contained. Mo improves the hardenability of the steel and the softening resistance of the steel. Therefore, Mo improves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of the steel, the strength and the wear resistance by the cotton. On the other hand, when Mo is contained excessively, bainite formation is promoted in the steel after hot forging, or after quenching. As a result, the machinability of the steel decreases. Therefore, the Mo content is 0.10% or less (including 0%). The lower limit of the preferable Mo content is 0.02%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preferable Mo content is less than 0.10%,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0.08%, still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0.05%.

Al:0.025~0.05% Al: 0.025 to 0.05%

알루미늄(Al)은 강을 탈산시킨다. Al은 또한, N과 결합하여 AlN을 형성한다. AlN은, 침탄 가열에 의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조대화를 억제한다. 한편, Al이 과잉하게 함유되면, 조대한 Al산화물을 형성한다. 조대한 Al산화물은, 강의 굽힘 피로 강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Al함유량은 0.025~0.05%이다. 바람직한 Al함유량의 하한은 0.025%보다 높고, 더 바람직하게는 0.027%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030% 이상이다. 바람직한 Al함유량의 상한은 0.05% 미만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045%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04% 이하이다. Aluminum (Al) deoxidizes the steel. Al also combines with N to form AlN. AlN suppresses coarsening of austenite grains by carburizing heating. On the other hand, if Al is contained excessively, a coarse Al oxide is formed. The coarse Al oxide lowers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of the steel. Therefore, the Al content is 0.025 to 0.05%. The lower limit of the preferable Al content is higher than 0.025%, more preferably 0.027% or higher, and still more preferably 0.030% or higher. The upper limit of the preferable Al content is less than 0.05%, more preferably 0.045% or less, and further preferably 0.04% or less.

N:0.010~0.025% N: 0.010 to 0.025%

질소(N)는, Al 또는 Nb와 결합하여, AlN 또는 NbN을 형성한다. AlN 또는 NbN은, 침탄 가열에 의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조대화를 억제한다. 한편, N이 과잉하게 함유되면, 제강 공정에 있어서 안정되게 제조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N함유량은 0.010~0.025%이다. 바람직한 N함유량의 하한은 0.010%보다 높고, 더 바람직하게는 0.012%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013% 이상이다. 바람직한 N함유량의 상한은 0.025% 미만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020%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018% 이하이다. Nitrogen (N) combines with Al or Nb to form AlN or NbN. AlN or NbN suppresses the coarsening of austenite grains by carburization heating. On the other hand, if N is contained excessively, it becomes difficult to stably produce steel in the steelmaking process. Therefore, the N content is 0.010 to 0.025%. The lower limit of the preferable N content is higher than 0.010%, more preferably 0.012% or higher, and still more preferably 0.013% or higher. The upper limit of the preferable N content is less than 0.025%, more preferably 0.020%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018% or less.

본 발명에 의한 봉강 또는 선재의 화학 조성의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불순물은, 강의 원료로서 이용되는 광석이나 스크랩, 또는 제조 공정의 환경 등으로부터 혼입되는 원소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불순물로서의 P, Ti 및 O(산소)의 함유량은, 다음과 같이 제한된다. The balance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bar or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Fe and impurities. The impuritie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 elements incorporated from ore or scrap used as a raw material for steel or from the environmen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P, Ti and O (oxygen) as impurities is limited as follows.

P:0.025% 이하P: not more than 0.025%

인(P)은 입계에 편석되어 입계를 취화한다. 그 때문에, P는 강의 피로 강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P함유량은 가능한 한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P함유량은 0.025% 이하이다. 바람직한 P함유량은 0.025% 미만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020% 이하이다. Phosphorus (P) segregates at grain boundaries and brittle grain boundaries. Therefore, P lowers the fatigue strength of the steel.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 content is as low as possible. The P content is 0.025% or less. The preferable P content is less than 0.025%, more preferably 0.020% or less.

Ti:0.003% 이하 Ti: not more than 0.003%

티탄(Ti)은, N과 결합하여 조대한 TiN을 형성한다. 조대한 TiN은, 강의 피로 강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Ti함유량은 가능한 한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Ti함유량은 0.003% 이하이다. 바람직한 Ti함유량은 0.003% 미만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002% 이하이다. Titanium (Ti) combines with N to form a coarse TiN. Coarse TiN reduces the fatigue strength of steel.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i content is as low as possible. The Ti content is 0.003% or less. The Ti content is preferably less than 0.003%, more preferably 0.002% or less.

O(산소):0.002% 이하 O (oxygen): not more than 0.002%

산소(O)는, Al와 결합하여 산화물계 개재물을 형성한다. 산화물계 개재물은, 강의 굽힘 피로 강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O함유량은 가능한 한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O함유량은 0.002% 이하이다. 바람직한 O함유량은 0.002% 미만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001% 이하이다. Oxygen (O) combines with Al to form oxide inclusions. The oxide inclusions lower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of the steel. Therefore, the O content is preferably as low as possible. O content is 0.002% or less. The preferred O content is less than 0.002%, more preferably 0.001% or less.

본 발명에 의한 봉강 또는 선재의 화학 조성은 또한, 식 (2)를 만족한다.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bar or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satisfies the formula (2).

1.60≤Cr+2×Mo≤2.10 (2) 1.60? Cr + 2 占 Mo? 2.10 (2)

여기서, 식 (2) 중의 원소 기호에는, 대응하는 원소의 함유량(질량%)이 대입된다. Here, the content (mass%) of the corresponding element is substituted into the symbol of the element in the formula (2).

상기 서술한 대로, Cr 및 Mo는 함께, 강의 담금질성 및 뜨임 연화 저항을 높인다. 그 때문에, Cr 및 Mo는, 강의 굽힘 피로 강도, 면피로 강도 및 내마모성을 높인다. Mo와 Cr을 비교하여, Mo는 Cr의 절반의 함유량으로, Cr과 동일한 정도의 효과(굽힘 피로 강도, 면피로 강도 및 내마모성의 향상)를 나타낸다. 따라서, fn1=Cr+2Mo로 정의한다. fn1 중의 각 원소 기호에는, 대응하는 원소(Cr 또는 Mo)의 함유량(질량%)이 대입된다. As described above, Cr and Mo together increase the hardenability of the steel and the softening resistance of the steel. Therefore, Cr and Mo increas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the strength and the wear resistance of the steel. Comparing Mo and Cr, Mo shows an effect equivalent to that of Cr (improvement in bending fatigue strength, strength in strength and wear resistance) in a content of half of Cr. Therefore, fn1 = Cr + 2Mo is defined. The content (mass%) of the corresponding element (Cr or Mo) is substituted for each element symbol in fn1.

fn1이 1.60 미만이면, 강의 굽힘 피로 강도, 면피로 강도 및 내마모성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낮아진다. 한편, fn1이 2.10을 넘으면, 열간 단조 후 또는 불림 후의 강 중에서 베이나이트의 생성이 촉진된다. 그 때문에, 강의 피삭성이 저하된다. fn1이 1.60~2.10이면, 강의 피삭성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강의 굽힘 피로 강도, 면피로 강도 및 내마모성을 높일 수 있다. fn1의 바람직한 하한은 1.80 이상이다. fn1의 바람직한 상한은 2.00 미만이다. If fn1 is less than 1.60, at least one or more of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of the steel, the strength and the wear resistance of the steel are lowered. On the other hand, if fn1 exceeds 2.10, the generation of bainite is promoted in the steel after hot forging or after hot rolling. As a result, the machinability of the steel decreases. When fn1 is in the range of 1.60 to 2.10,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of the steel, the strength and the wear resistance of the steel can be increased while suppressing the lowering of the machinability of the steel. The preferable lower limit of fn1 is 1.80 or more. The preferable upper limit of fn1 is less than 2.00.

본 발명에 의한 열간 단조용 압연 봉강 또는 선재의 화학 조성은, Fe의 일부 대신에, Nb를 함유해도 된다.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hot rolled steel bar or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Nb instead of a part of Fe.

Nb:0.08% 이하 Nb: not more than 0.08%

니오브(Nb)는 선택 원소이다. Nb는, C, N과 결합하여 Nb탄화물, Nb질화물 또는 Nb탄질화물을 형성한다. Nb탄화물, Nb질화물 및 Nb탄질화물은, Al질화물과 마찬가지로, 침탄 가열 시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조대화되는 것을 억제한다. Nb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Nb가 과잉하게 함유되면, Nb탄질화물, Nb질화물 및 Nb탄질화물이 조대화된다. 그 때문에, 침탄 가열 시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조대화를 억제할 수 없다. 따라서, Nb함유량은, 0.08% 이하이다. 바람직한 Nb함유량의 하한은 0.01% 이상이다. 바람직한 Nb함유량의 상한은, 0.08% 미만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Niobium (Nb) is a selective element. Nb combines with C, N to form Nb carbide, Nb nitride or Nb carbonitride. Nb carbide, Nb nitride and Nb carbonitride suppress the coarsening of the austenite grains during the carburization heating, like Al nitride. When a small amount of Nb is contained, the above effect can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when Nb is contained excessively, Nb carbonitride, Nb nitride and Nb carbonitride are coarsened. Therefore, coarsening of the austenite grains can not be suppressed at the time of carburization heating. Therefore, the Nb content is 0.08% or less. The lower limit of the preferable Nb content is 0.01%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preferable Nb content is less than 0.08%,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0.05%.

[미크로 조직][Micro-organization]

본 발명에 의한 봉강 또는 선재의 미크로 조직은, 페라이트·펄라이트 조직, 페라이트·펄라이트·베이나이트 조직, 또는, 페라이트·베이나이트 조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페라이트·펄라이트 조직」이란, 매트릭스(모상)가, 페라이트와 펄라이트로 이루어지는 2상 조직을 의미한다. 「페라이트·펄라이트·베이나이트 조직」은, 매트릭스가, 페라이트와, 펄라이트와, 베이나이트로 이루어지는 3상 조직을 의미한다. 「페라이트·베이나이트 조직」은, 매트릭스가,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로 이루어지는 2상 조직을 의미한다. The microstructure of the bar or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errite-pearlite structure, a ferrite-pearlite-bainite structure, or a ferrite-bainite structure. Here, the "ferrite / pearlite structure" means a two-phase structure in which the matrix (parent phase) is composed of ferrite and pearlite. "Ferrite / pearlite bainite structure" means a three-phase structure in which the matrix is composed of ferrite, pearlite and bainite. "Ferrite bainite structure" means a two-phase structure in which the matrix is composed of ferrite and bainite.

요컨데, 본 발명에 의한 봉강 또는 선재의 미크로 조직은, 마르텐사이트를 함유하지 않는다. 마르텐사이트는 경질이며, 강의 연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마르텐사이트를 함유하는 봉강 또는 선재를 반송할 때, 또는, 교정할 때, 봉강 또는 선재에 깨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의한 봉강 또는 선재의 미크로 조직은 마르텐사이트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교정 시 또는 반송 시에 깨짐이 발생하기 어렵다. In short, the microstructure of the bar or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ontain martensite. Martensite is hard and lowers the ductility of steel. Therefore, when the bar or wire containing martensite is conveyed or when it is calibrated, cracks tend to occur in the bar or wire. Since the microstructure of the bar steel or wire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ontain martensite, cracking is less likely to occur at the time of calibration or transportation.

상기 서술한 각 상은, 다음의 방법으로 동정(同定)된다. 봉강 또는 선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횡단면)의 중심부를 포함하는 샘플을 잘라낸다. 잘라낸 샘플의 표면(중심부를 포함한다)을 경면 연마한다. 연마된 표면을 나이탈로 부식시킨다. 부식된 표면을, 배율 400배의 광학 현미경으로 미크로 조직 관찰한다. 구체적으로는, 부식된 표면 중, 봉강 또는 선재의 표층의 탈탄층을 제거할 영역으로부터 임의로 15 시야를 선택한다. 그리고, 각 시야를 관찰하여, 미크로 조직을 동정한다. 15 시야 중 어느 하나에 베이나이트가 포함되면, 그 강의 미크로 조직에는 베이나이트가 포함된다고 판단한다.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판단한다. 각 시야의 크기는 250미크론(μm)×250미크론(μm)=62500μm2이다.Each of the images described above is identified by the following method. A sample containing the center of a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r or wire (cross section) is cut out. The surface (including the center portion) of the cut sample is mirror-polished. The polished surface is etched away. The corroded surface is observed under a microscope with an optical microscope at a magnification of 400 times. Specifically, the 15 field of view is arbitrarily selected from the area where the decarburized layer of the surface layer of the bar or wire rod is to be removed from the corroded surface. Then, each view is observed to identify a microstructure. If any one of the 15 field of view includes bainite, it is determined that bainite is included in the microstructure of the steel. The ferrite and pearlite are similarly judged. The size of each field of view is 250 microns (μm) × 250 microns (μm) = 62500 μm 2 .

상기 미크로 조직에서는 또한, 횡단면에 있어서, 식 (3)에 의해 정의된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 이하이다. In the microstructure, on the cross section, the average ferrite ratio of ferrite defined by formula (3) is 2.0 or less.

상기 서술한 15 시야의 각각에 대해서 화상 해석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시야에 있어서 페라이트상을 동정한다. 동정된 페라이트상 내의 페라이트 입경을 측정한다. 각 시야의 페라이트 평균 입경은 JIS G0551(2005)에 규정된 절단법에 준거하여 측정한다. Image analysis is carried out for each of the 15 field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ferrite phase is identified in each field of view. The ferrite grain size in the identified ferrite phase is measured. The ferrite average grain size of each field of view i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cutting method specified in JIS G0551 (2005).

15 시야 각각에서 결정된 페라이트 평균 입경(합계 15개) 중, 최대치와 최소치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식 (3)에 의거하여,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페라이트 평균 입경의 최대치/페라이트 평균 입경의 최소치)를 구한다. 15 Select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among the ferrite average particle diameters determined in each of the fields of view (15 in total). Then, based on the above formula (3), the ferrite average particle size ratio is calculated as (maximum value of ferrite average particle size / minimum value of ferrite average particle size).

열간 압연 후의 강재(즉, 열간 압연 상태재)에 있어서 결정 입경이 불균일한 경우, 후속 공정인 열간 단조 후, 또는 침탄 담금질 후에 있어서도, 결정 입경은 불균일한 상태이다. 결정 입경이 불균일하면, 굽힘 피로 강도 및 면피로 강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열간 압연 상태재에 있어서의 결정 입경은 가능한 한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 입경의 균일 정도를 평가하려면,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를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라이트 입경은, 펄라이트나 베이나이트와 비교하여, 에칭에 의해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페라이트 평균 입경의 균일 정도(즉,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를 조사하면, 조직 내의 결정 입경의 균일 정도를 평가하기 쉽다. 또한, 피로 파괴는 가장 강도가 낮은 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발생한다. 그 때문에, 페라이트 평균 입경의 표준 편차를 지표로 하는 것보다도, 페라이트 평균 입경의 최대치/최소치를 지표로 하는 것이, 굽힘 피로 강도 및 면피로 강도의 평가에 적절하다. In the case where the crystal grain size is uneven in the steel material after hot rolling (that is, hot rolled material), the crystal grain size remains uneven even after the hot forging or carburizing quenching in the subsequent step. If the crystal grain size is uneven, the strength is lowered by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nd the surface textur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rystal grain size in the hot-rolled material be as uniform as possible. In order to evaluate the uniformity of the crystal grain size, it is preferable to evaluate the ferrite average grain size ratio. The ferrite grain size can be easily observed by etching as compared with pearlite or bainite. Therefore, it is easy to evaluate the degree of uniformity of the crystal grain size in the structure by examining the degree of uniformity of the ferrite mean grain size (i.e., the ferrite mean grain size ratio). Also, fatigue failure occurs with the portion having the lowest strength as a starting point.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use the maximum value / minimum value of the average ferrite mean particle size as indexes to evaluat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nd the strength by the surface texture, rather than using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ferrite average particle size as an index.

미크로 조직이 상기 서술한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각종 혼합 조직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 이하이면, 봉강 또는 선재 내의 결정 입경의 편차가 작다. 그 때문에, 열간 단조 후 또는 담금질 후에 있어서의 강의 굽힘 피로 강도 및 면피로 강도가 높아진다.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는, 바람직하게는, 1.6 이하이다. When the microstructure is composed of various mixed structures including the ferrite described above and the ferrite average grain size ratio is 2.0 or less, the deviation of crystal grain size in the bar or wire is small. Therefore, the strength is increased by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nd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steel after hot forging or quenching. The ferrite average particle size ratio is preferably 1.6 or less.

한편,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을 넘으면, 강의 굽힘 피로 강도 및 면피로 강도 중 1종 이상이 낮아진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verage ferrite ratio exceeds 2.0,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nd the strength of the steel are lowered by at least one of the strengths.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의 봉강 또는 선재의 제조 방법의 일례, 및, 톱니바퀴 및 풀리로 대표되는 기계 부품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또한, 제조 방법은 하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r or a wire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achine part represented by a toothed wheel and a pulley will be described. The production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상기 서술한 화학 조성을 가지며, 또한, 식 (2)를 만족하는 용강을 제조한다. 용강을 이용하여 연속 주조법에 의해 주편(슬래브 또는 블룸)을 제조한다. 연속 주조법에서는, 응고 도중의 주편에 압하를 가한다. 다음에, 주편을 가열한다. 이 때의 가열 온도는 1250~1300℃이며, 가열 시간은 10시간 이상이다. 가열된 주편을 분괴 압연기로 분괴 압연하여, 강편(빌릿)을 제조한다. Molten steel having the above-described chemical composition and satisfying the formula (2) is produced. A cast (slab or bloom) is produced by continuous casting using molten steel. In the continuous casting method, the cast steel is subjected to a pressure drop during solidification. Next, the cast steel is heated. The heating temperature at this time is 1250 to 1300 占 폚, and the heating time is 10 hours or more. The heated cast slab is crushed by a crushing mill to produce billets.

강편을 열간 압연하여 열간 단조용 봉강 또는 선재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강편을 가열한다. 이 때의 가열 온도는 1150~1200℃이며, 가열 시간은 1.5시간 이상이다. 가열된 강편을 열간 압연하여 봉강 또는 선재를 제조한다. 열간 압연에 있어서의 마무리 온도를 900~1000℃로 한다. 마무리 압연 전에는 수냉을 실시하지 않는다. 마무리 압연 후, 봉강 또는 선재를 대기 중에서의 방냉(이하, 간단히 방냉이라고 한다) 이하의 냉각 속도로, 표면 온도가 600℃ 이하가 될 때까지 냉각한다. 열간 압연에 있어서, 식 (4)에서 정의되는 단면 감소율(%)을 87.5% 이상으로 한다. The steel strip is hot-rolled to produce hot-forged steel bars or wire rods. Specifically, the steel strip is heated. The heating temperature at this time is 1150 to 1200 占 폚 and the heating time is 1.5 hours or more. Hot rolled steel strip is heated to produce bars or wire rods. The finishing temperature in hot rolling is 900 to 1000 占 폚. Water cooling is not performed before finish rolling. After the finish rolling, the bar or the wire rod is cooled at a cooling rate equal to or lower than the air cooling in the atmospher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 air cooling ") until the surface temperature becomes 600 deg. In the hot rolling, the section reduction ratio (%) defined by the formula (4) is set to 87.5% or more.

단면 감소율={1-(봉강, 선재의 단면적/강편의 단면적)}×100 (4) Section reduction rate = {1- (cross-sectional area of bar steel, wire rod / cross-sectional area of the billet)} 100 (4)

마무리 압연 후의 봉강 또는 선재를 방냉 이하의 냉각 속도로 실온까지 냉각하지 않아도 된다. 봉강 또는 선재의 표면 온도가 600℃ 이하가 된 후, 공냉, 미스트 냉각, 수냉 등, 방냉보다 높은 냉각 속도로 봉강 또는 선재를 냉각해도 된다. It is not necessary to cool the bar or wire after finish rolling to room temperature at a cooling rate equal to or lower than the cooling rate. After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bar or the wire becomes 600 캜 or less, the bar or the wire may be cooled at a higher cooling rate than air cooling such as air cooling, mist cooling, and water cooling.

상기 서술한 가열 온도는, 가열로의 로내 온도의 평균치를 의미한다. 상기 서술한 가열 시간은, 상기 서술한 가열 온도에서의 재로(在爐) 시간을 의미한다. 마무리 온도란, 마무리 압연 직후의 봉강, 선재의 표면 온도를 의미한다. 마무리 압연이란 예를 들어, 연속 밀에 있어서, 압연에 이용하는 복수의 스탠드 중, 말미의 스탠드에서의 압연을 의미한다. 마무리 가공 후의 냉각 속도는, 봉강, 선재의 표면 냉각 속도를 의미한다. The heating temperature described above means the average value of the furnace temperature of the furnace. The heating time described above means the time of the furnace at the heating temperature described above. Finishing temperature means the surface temperature of bars and rods immediately after finish rolling. Finishing rolling means, for example, rolling in the end of a plurality of stands used for rolling in a continuous mill. The cooling rate after finishing means the surface cooling rate of the bar and wire.

열간 단조용 압연 봉강 또는 선재를 이용하여 기계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는 다음과 같다.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echanical part using a hot rolled steel bar or wire rod is as follows.

열간 단조용 압연 봉강 또는 선재에 대해 열간 단조를 실시하여, 거친 형상의 중간제품을 제조한다. 중간제품에 대해 조질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조질 처리는 예를 들어, 불림이다. 중간제품을 기계 가공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한다. 기계 가공은 예를 들어, 절삭 또는 천공이다. The hot rolled strip steel or wire rod is hot-forged to produce a coarse intermediate product. The intermediate product may be subjected to a tempering treatment. The tempering treatment is, for example, the so-called. The intermediate product is machin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Machining is, for example, cutting or drilling.

기계 가공 후의 중간제품에 대해 표면 경화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표면 경화 처리는 예를 들어, 침탄 처리, 질화 처리 또는 고주파 담금질 처리 등이다. 표면 경화 처리가 실시된 중간제품에 대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하여, 기계 부품이 제조된다. The intermediate product after machining may be subjected to surface hardening treatment. The surface hardening treatment is, for example, carburizing treatment, nitriding treatment, or high frequency quenching treatment. The intermediate product subjected to the surface hardening treatment is subjected to finishing to produce a mechanical part.

이상의 공정으로 제조된 봉강 또는 선재는, 열간 단조 후에 있어서도 우수한 굽힘 피로 강도, 면피로 강도, 내마모성 및 우수한 피삭성을 가진다. The steel bars or rods produced by the above process have excellent bending fatigue strength, strength in the face, wear resistance and excellent machinability even after hot forging.

<실시예 1> &Lt; Example 1 >

표 1에 나타내는 화학 성분을 가지는 강 A~C를 70톤 전로(轉爐)로 용제했다. Strengths A to C having the chemical compositions shown in Table 1 were dissolved in a 70-ton converter furnace.

Figure 112014030709187-pct00001
Figure 112014030709187-pct00001

강 A~C의 용강을 이용하여 연속 주조법에 의해, 400mm×300mm의 주편(블룸)을 제조했다. 제조된 블룸을 600℃까지 대기 중에서 방냉했다. 또한, 연속 주조 공정에 있어서, 응고 도중의 주편을 압하했다. A cast steel (bloom) of 400 mm x 300 mm was produced by continuous casting using molten steel of A to C. The prepared bloom was allowed to stand in air to 600 캜. Further, in the continuous casting step, the cast steel during the solidification was pressed down.

다음에, 표 2에 나타내는 제조 조건을 설정했다. Next,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shown in Table 2 were set.

Figure 112014030709187-pct00002
Figure 112014030709187-pct00002

구체적으로는, 표 2의 「주편」란 내의 「가열 온도」란에는, 각 조건에 있어서의 주편의 가열 온도(℃)를 나타낸다. 표 2의 「주편」란 내의 「가열 시간」란에는, 각 조건에 있어서의 주편의 가열 시간(분)을 나타낸다. 동일하게, 표 2의 「강편」란 중의 「가열 온도」란에는, 각 조건에 있어서의 강편의 가열 온도(℃)를 나타낸다. 「강편」란 중의 「가열 시간」란에는, 각 조건에 있어서의 강편의 가열 시간(분)을 나타낸다. 「압연 조건」란 중의 「마무리 압연 전의 수냉」란에는, 각 조건에 있어서의 마무리 압연 전에 있어서의 강편의 수냉의 유무를 나타낸다. 란 중의 「있음」은, 수냉이 실시된 것을 나타낸다. 「없음」은 수냉이 실시되지 않았던 것을 나타낸다. 「압연 조건」란 중의 「마무리 온도」란에는, 각 조건에 있어서의 마무리 온도(℃)를 나타낸다. 「압연 조건」란 중의 「냉각 조건」란에는, 각 조건에 있어서의 마무리 압연 후의 냉각 조건을 나타낸다. Specifically, the "heating temperature" in the column of "cast steel" in Table 2 shows the heating temperature (° C.) of the cast steel under each condition. The "heating time" column in the "casting" column of Table 2 shows heating time (minutes) for casting in each condition. Similarly, the "heating temperature" column in the "billet" column of Table 2 shows the heating temperature (° C.) of the billet in each condition. The "heating time" column in the "piece" indicates the heating time (minutes) of the steel piece under each condition. The term &quot; water-cooling before finish rolling &quot; in the &quot; rolling conditions &quot; column indicat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cooling of the billet before finish rolling under each condition. &Quot; Present &quot; in the column indicates water-cooling. &Quot; No &quot; indicates that water cooling was not performed. The term "finishing temperature" in the "rolling conditions" column indicates the finishing temperature (° C.) in each condition. The "cooling conditions" column in the "rolling conditions" column shows cooling conditions after finish rolling in each condition.

표 1에 나타내는 강과, 표 2에 나타내는 제조 조건에 의거하여, 표 3에 나타내는 시험 번호 1~10의 봉강을 제조했다. Bars 1 to 10 shown in Table 3 were produced on the basis of the steel shown in Table 1 and the production conditions shown in Table 2.

Figure 112014030709187-pct00003
Figure 112014030709187-pct00003

구체적으로는, 각 시험 번호에 있어서, 표 3에 나타내는 강의 주편을, 표 3 중에 나타내는 제조 조건(주편의 가열 온도, 가열 시간)으로 가열했다. 가열된 주편을 분괴 압연하여, 180mm×180mm의 강편을 제조했다. 제조된 강편을 실온(25℃)까지 냉각했다. Specifically, for each test number, the steel slabs shown in Table 3 were heated under the production conditions shown in Table 3 (heating temperature and heating time for casting). The heated cast slab was crushed and rolled to prepare a 180 mm x 180 mm steel strip. The produced billet was cooled to room temperature (25 캜).

다음에, 강편을, 표 3 중에 나타내는 제조 조건(강편의 가열 온도, 가열 시간)으로 가열했다. 가열된 강편을 표 3 중에 나타내는 제조 조건(마무리 압연 전의 수냉, 마무리 온도, 냉각 조건)으로 열간 압연하여, 직경 50mm 및 직경 70mm의 봉강을 제조했다. 압연 후의 봉강은 그대로 대기 중에서 실온까지 방냉했다. 즉, 봉강은 열간 압연 상태재였다. Next, the slab was heated under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shown in Table 3 (heating temperature of the slab, heating time). The heated billet was hot-rolled under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shown in Table 3 (water-cooling, finishing temperature and cooling conditions before finish rolling) to produce bars having a diameter of 50 mm and a diameter of 70 mm. The bars after rolling were left to cool to room temperature in the air. That is, the bars were hot rolled.

[미크로 조직 관찰 시험][Microstructure observation test]

직경 50mm의 봉강을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절단했다. 절단면의 중심부를 포함하는 샘플을 잘라냈다. 샘플의 표면 중, 상기 서술한 중심부에 상당하는 표면을 경면으로 연마했다. 연마면을 나이탈로 부식시켰다. 부식면을 배율 400배의 광학 현미경으로, 15 시야 관찰했다. 15 시야는, 표층의 탈탄층을 제거할 영역으로부터 임의로 선택되었다. 각 시야의 크기는 250μm×250μm였다. 각 시야에 있어서 미크로 조직을 관찰했다. A bar having a diameter of 50 mm was cut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ample containing the center of the section was cut out. Of the surface of the sample,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described above was polished to a mirror surface. The abrasive surface was etched away. The corrosion surface was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at a magnification of 400 times at 15 o'clock. The 15 field of view was arbitrarily selected from the area from which the surface decarbonization layer was to be removed. The size of each field of view was 250 μm × 250 μm. Microstructures were observed in each field of view.

미크로 조직 관찰 시험의 결과, 어느 시험 번호의 미크로 조직도, 마르텐사이트를 포함하지 않았다. 각 시험 번호의 미크로 조직은, 페라이트·펄라이트 조직, 페라이트·펄라이트·베이나이트 조직, 페라이트·베이나이트 조직 중 어느 하나였다. 표 3 중의 「미크로 조직」란에, 미크로 조직 관찰 결과를 나타낸다. 표 중의 「F+P」는, 대응하는 시험 번호의 미크로 조직이 페라이트·펄라이트 조직인 것을 나타낸다. 「F+P+B」는, 페라이트·펄라이트·베이나이트 조직인 것을 나타낸다. 「F+B」는, 페라이트·베이나이트 조직인 것을 나타낸다. As a result of the microstructure observation test, no microstructure of any test number and martensite were included. The microstructure of each test number was either a ferrite / pearlite structure, a ferrite / pearlite / bainite structure, or a ferrite / bainite structure. &Quot; Microstructure &quot; column in Table 3 shows the result of microstructure observation. "F + P" in the table indicates that the microstructure of the corresponding test number is a ferrite / pearlite structure. &Quot; F + P + B &quot; indicates a ferrite / pearlite / bainite structure. &Quot; F + B &quot; indicates a ferrite-bainite structure.

[페라이트 평균 입경 측정][Measurement of Ferrite Average Particle Size]

상기 서술한 15 시야의 페라이트 평균 입경을, JIS G0551(2005)에 규정된 절단법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The ferrite mean grain size of the 15 field of view described above wa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cutting method specified in JIS G0551 (2005).

각 시야의 페라이트 평균 입경(합계 15개) 중, 최대치와 최소치를 특정했다. 그리고, 식 (3)에 의거하여,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최대치/최소치)를 구했다.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를 표 3에 나타낸다.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ferrite mean particle diameters (15 in total) of each field of view are specified. Then, based on the formula (3), the average ferrite ratio (= maximum value / minimum value) was obtained. Table 3 shows the average perforation ratio of ferrite.

[면피로 강도 시험편 및 굽힘 피로 강도 시험편의 제작][Preparation of Cotton Strength Specimen and Bending Fatigue Strength Specimen]

각 시험 번호의 봉강을, 1200℃로 30분 가열했다. 다음에, 마무리 온도를 950℃ 이상으로 하여 열간 단조하여, 직경 35mm의 환봉을 제조했다. 직경 35mm의 환봉을 기계 가공하여, 도 1에 나타내는 롤러 피칭 소롤러 시험편(이하, 간단히 소롤러 시험편이라고 한다)과, 도 2에 나타내는 절결을 갖는 오노식 회전 굽힘 피로 시험편(도 1 및 도 2 모두, 도면 중의 치수의 단위는 mm)을 제작했다. 도 1에 나타내는 소롤러 시험편은, 중앙에 시험부(직경 26mm, 폭 28mm의 원주부)를 구비했다. The bars of each test number were heated at 1200 ° C for 30 minutes. Next, a round bar having a diameter of 35 mm was produced by hot forging at a finishing temperature of 950 캜 or higher. A round bar having a diameter of 35 mm was machined to obtain a roller pitching small roller test piec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small roller test piece) shown in Fig. 1 and an Ono type rotational bending fatigue test piece having a notch shown in Fig. 2 , And the unit of dimension in the drawing is mm). The small roller test piece shown in Fig. 1 was provided with a test portion (a circumferential portion having a diameter of 26 mm and a width of 28 mm) in the center.

작성된 각 시험편에 대해, 가스 침탄로를 이용하여, 도 3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침탄 담금질을 실시했다. 담금질 후, 150℃로 1.5시간의 뜨임을 실시했다. 소롤러 시험편, 및, 오노식 회전 굽힘 피로 시험편에 대해, 열처리 변형을 제거할 목적으로, 그립부의 마무리 가공을 실시했다. For each of the prepared test specimens, the carburizing furnace was used to carry out carburization quenching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Fig. After quenching, tempering was carried out at 150 DEG C for 1.5 hours. The small roller test piece and the Ono type rotational bending fatigue test piece were subjected to finishing of the grip portion for the purpose of removing heat treatment deformation.

[면피로 강도 시험][Strength test with cotton]

롤러 피칭 시험에서는, 상기의 소롤러 시험편과, 도 4에 나타내는 형상의 대롤러(도면 중의 치수의 단위는 mm)를 조합시킨다. 도 4에 나타내는 대롤러는, JIS 규격 SCM420H의 규격을 만족하는 강으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인 제조 공정, 즉, 불림, 시험편 가공, 가스 침탄로에 의한 공석 침탄, 저온 뜨임 및 연마의 공정에 의해 제작되었다. In the roller pitching test, the small roller test piece described above is combined with a large roller (the unit of dimension in the drawing is mm) in the shape shown in Fig. The roller shown in Fig. 4 is made of steel satisfying the JIS standard SCM420H, and is manufactured by a general manufacturing process, that is, a step of vacancy carburization, low-temperature tempering and polishing, .

소롤러 시험편과 대롤러를 이용한 롤러 피칭 시험을 표 4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행했다. Roller pitching tests using a small roller test piece and a large roller were conducted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 4.

Figure 112014030709187-pct00004
Figure 112014030709187-pct00004

표 4에 나타내는 대로, 소롤러 시험편의 회전수를 1000rpm로 하고, 미끄럼율을 -40%, 시험 중의 대롤러와 소롤러 시험편의 접촉 면압을 4000MPa, 반복수를 2.0×107cycle로 했다. 대롤러의 회전 속도를 V1m/sec, 소롤러 시험편의 회전 속도를 V2m/sec로 했을 때, 미끄럼율(%)은, 이하의 식에 의해 구했다. As shown in Table 4,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small roller test piece was set to 1000 rpm, the sliding ratio was -40%, the contact surface pressure of the large roller and the small roller test piece during the test was 4000 MPa, and the number of repetitions was 2.0 x 10 7 cycles. The slip ratio (%) was obtain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when the rotating speed of the large roller was V1 m / sec and the rotating speed of the small roller test piece was V2 m / sec.

미끄럼율=(V2-V1)/V2×100 Sliding ratio = (V2 - V1) / V2 100

시험 중, 윤활제(시판의 오토매틱 트랜스미션용 오일)를 유온 90℃의 조건으로, 대롤러와 소롤러 시험편의 접촉 부분(시험부의 표면)에 회전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부터 뿜어냈다. 이상의 조건으로 롤러 피칭 시험을 실시하여, 면피로 강도를 평가했다. During the test, a lubricant (commercially available automatic transmission oil) was sprayed from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ng direction to the contact portion (the surface of the test portion) of the large roller and the small roller test piece under the condition of the oil temperature of 90 캜. The roller pitching test was carried out under the above conditions, and the strength was evaluated by cotton.

각 시험 번호에 대해서, 롤러 피칭 시험에 있어서의 시험수는 6으로 했다. 시험 후, 종축에 면압, 횡축에 피칭 발생까지의 반복수를 취한 S-N선도를 작성했다. 반복수 2.0×107회까지 피칭이 발생하지 않았던 것 중, 가장 높은 면압을, 그 시험 번호의 면피로 강도로 정의했다. 또한, 소롤러 시험편의 표면이 손상되어 있는 개소 중, 최대인 것의 면적이 1mm2 이상이 된 경우를 피칭 발생으로 정의했다. For each test number, the number of tests in the roller pitching test was 6. After the test, an SN diagram was drawn by taking the number of repetitions until the occurrence of pitching on the abscissa and the surface pressure on the ordinate. The highest surface pressure among those in which pitching did not occur until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2.0 x 10 7 was defined as the intensity in terms of the surface area of the test number. In addition, a case in which the surface area of the small roller test piece is 1 mm 2 or more among the damaged portions is defined as pitching occurrence.

표 3에, 시험에 의해 얻어진 면피로 강도를 나타낸다. 표 3 중의 면피로 강도에서는, 시험 번호 1의 면피로 강도를 기준치(100%)로 했다. 그리고, 각 시험 번호의 면피로 강도를, 기준치에 대한 비(%)로 나타냈다. 면피로 강도가 120% 이상이면, 우수한 면피로 강도가 얻어졌다고 판단했다. Table 3 shows the strength of the cotton fabric obtained by the test. In Table 3, the strength was determined as the reference value (100%) at the surface of Test No. 1 in terms of strength. The intensity of each test number was expressed by the ratio (%)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value. When the strength was 120% or more by cotton, it was judged that the strength was obtained with a good cotton texture.

[내마모성 평가][Abrasion Resistance Evaluation]

롤러 피칭 시험에 있어서, 반복수가 1.0×106회가 된 소롤러 시험편의 시험부의 마모량을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JIS B0601(2001)에 준거하여, 최대 높이 거칠기(Rz)를 구했다. Rz치가 작을 수록, 내마모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마모량의 측정에는, 조도계(粗度計)를 이용했다. 표 3에, 마모량을 나타낸다. 표 3 중의 마모량에서는, 시험 번호 1의 마모량을 기준치(100%)로 했다. 그리고, 각 시험 번호의 마모량을 기준치에 대한 비(%)로 나타냈다. 마모량이 80% 이하이면, 우수한 내마모성이 얻어졌다고 판단했다. In the roller pitching test, the wear amount of the test portion of the small roller test piece having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1.0 x 10 6 was measured. Specifically, the maximum height roughness (Rz) was obtained in accordance with JIS B0601 (2001). The smaller the Rz value, the higher the abrasion resistance. A roughness 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amount of wear. Table 3 shows the amount of wear. In the amount of wear in Table 3, the wear amount of test No. 1 was set as the reference value (100%). Then, the wear amount of each test number was expressed as a ratio (%) to the reference value. When the wear amount was 80% or less, it was judged that excellent abrasion resistance was obtained.

[굽힘 피로 강도 시험][Bending fatigue strength test]

굽힘 피로 강도는, 오노식 회전 굽힘 피로 시험에 의해 구했다. 오노식 회전 굽힘 피로 시험에서의 시험수는 각 시험 번호마다 8개로 했다. 시험 시의 회전수는 3000rpm로 하고, 그 외에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시험을 행했다. 반복수 1.0×104회, 및 1.0×107회까지 파단되지 않았던 것 중, 가장 높은 응력을 각각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 회전 굽힘 피로 강도로 정의했다.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was obtained by Ono type rotational bending fatigue test. The number of tests in the Ono type rotary bending fatigue test was 8 for each test number. The number of revolutions at the time of the test was 3000 rpm, and otherwise, the test was carried out by a usual method. The highest stress among those that did not break up to 1.0 x 10 4 times and 1.0 x 10 7 times of repetition number were defined as an internal jerk and a high cycle rotational bending fatigue strength, respectively.

표 3에,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의 굽힘 피로 강도를 나타낸다.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의 굽힘 피로 강도에서는, 시험 번호 1의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의 굽힘 피로 강도를 기준치(100%)로 했다. 그리고, 각 시험 번호의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의 굽힘 피로 강도를, 기준치에 대한 비(%)로 나타냈다.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 모두, 굽힘 피로 강도가 115% 이상이면, 우수한 굽힘 피로 강도가 얻어졌다고 판단했다. Table 3 shows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of the medium cycle and high cycl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of the intermediate cycle and the high cycle of Test No. 1 was defined as the reference value (100%) at the intermediate cyclic cycle and the high cycle bending fatigue strength. Then,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of the test cycle in the intermediate cycle and the high cycle was expressed as a ratio (%) to the reference value. It was judged that excellent bending fatigue strength was obtained when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was 115% or more in both the double-cycle and high cycle.

[절삭 시험][Cutting test]

절삭 시험을 실시하여, 피삭성을 평가했다.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절삭 시험편을 얻었다. 각 시험 번호의 직경 70mm의 봉강을 1250℃의 가열 온도로 30분 가열했다. 가열된 봉강을 950℃ 이상의 마무리 온도로 열간 단조하여, 직경 60mm의 환봉을 얻었다. 이 환봉으로부터 기계 가공에 의해, 직경 55mm, 길이 450mm의 절삭 시험편을 얻었다. 절삭 시험편을 이용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절삭 시험을 행했다. A cutting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achinability. A cutting test piece was obtained by the following method. Each bar having a diameter of 70 mm in each test number was heated at a heating temperature of 1250 캜 for 30 minutes. The heated bar steel was hot-forged at a finishing temperature of 950 占 폚 or higher to obtain a round bar having a diameter of 60 mm. A cutting test piece having a diameter of 55 mm and a length of 450 mm was obtained from the round bar by machining. Using a cutting test piece, a cutting test was carried out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절삭 시험(선삭) Cutting test (turning)

팁:모재 재질 초경 P20종 그레이드, 코팅 없음 Tip: Base Material Carbide P20 grade grade, no coating

조건:주속 200m/분, 이송 0.30mm/rev, 절입 1.5mm, 수용성 절삭유를 사용 Condition: Main speed 200m / min, feed 0.30mm / rev, infeed 1.5mm, use water-soluble coolant

측정 항목:절삭 시간 10분 후의 여유면의 주절삭날 마모량 Measurement item: Main cutting edge wear amount of clearance surface after 10 minutes of cutting time

표 3에, 얻어진 주절삭날 마모량을 나타낸다. 표 3에서는, 시험 번호 2(강 B 사용)의 주절삭날 마모량을 기준치(100%)로 했다. 그리고, 각 시험 번호의 주절삭날 마모량을, 기준치에 대한 비(%)로 나타냈다. 주절삭날 마모량이 80% 이하이면, 우수한 피삭성이 얻어졌다고 판단했다. Table 3 shows the obtained main cutting edge wear amount. In Table 3, the abrasion loss of the main cutting edge of Test No. 2 (using steel B) was set as a reference value (100%). The abrasion loss of the main cutting edge of each test number was expressed as a ratio (%) to the reference value. When the main cutting edge wear amount was 80% or less, it was judged that excellent machinability was obtained.

[평가 결과][Evaluation results]

표 3을 참조하여, 시험 번호 4 및 9의 봉강의 화학 조성(강 C)은 본 발명의 범위 내이며, 또한, fn1은, 식 (2)를 만족했다. 또한, 시험 번호 4 및 9의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는 모두 2.0 이하였다. 그 때문에, 시험 번호 4 및 9의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의 굽힘 피로 강도는 115% 이상이며, 면피로 강도는 120% 이상이었다. 또한, 마모량은 80% 이하였다. 또한, 주절삭날 마모량은 80% 이하였다. 따라서, 시험 번호 4 및 9의 봉강은, 우수한 굽힘 피로 강도, 면피로 강도, 내마모성 및 피삭성을 가졌다. Referring to Table 3, the chemical composition (steel C) of the bars of Test Nos. 4 and 9 wa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n1 satisfied the formula (2). The ferrite average particle size ratios of Test Nos. 4 and 9 were all 2.0 or less. Therefore, the flexural fatigue strength of the test cycles No. 4 and 9 was higher than 115%, and the strength was 120% or more. The amount of wear was 80% or less. The main cutting edge wear amount was 80% or less. Therefore, the bars of Test Nos. 4 and 9 had excellent bending fatigue strength, strength to cotton, abrasion resistance and machinability.

한편, 시험 번호 1의 봉강의 화학 조성(강 A)은, JIS 규격의 SCr420H에 상당했다. 그 때문에, 시험 번호 1의 Si함유량 및 Cr함유량은, 본 발명의 Si함유량 및 Cr함유량의 하한 미만이었다. 또한, 시험 번호 1의 fn1은 식 (2)의 하한 미만이었다. 그 때문에, 시험 번호 1의 굽힘 피로 강도, 면피로 강도 및 내마모성은 낮았다. On the other hand, the chemical composition (strength A) of the bar of Test No. 1 corresponded to SCr420H of JIS standard. Therefore, the Si content and the Cr content in Test No. 1 were lower than the lower limit of the Si content and Cr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fn1 in Test No. 1 was less than the lower limit of Formula (2).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the strength and the wear resistance of the test No. 1 were low.

시험 번호 2의 봉강의 화학 조성(강 B)은, JIS 규격의 SCM420H에 상당했다. 그 때문에, 시험 번호 2의 Si함유량 및 Cr함유량은 본 발명의 Si함유량 및 Cr함유량의 하한 미만이었다. 또한 시험 번호 2의 Mo함유량은 본 발명의 Mo함유량의 상한을 넘었다. 또한 시험 번호 2의 fn1은 식 (2)의 하한 미만이었다. 그 때문에, 시험 번호 2의 굽힘 피로 강도가 115% 미만으로 낮고, 피삭성도 낮았다. The chemical composition (steel B) of the bar of Test No. 2 corresponded to SCM420H of JIS standard. Therefore, the Si content and the Cr content in Test No. 2 were less than the lower limit of the Si content and Cr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 content of Test No. 2 exceeded the upper limit of the Mo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fn1 in Test No. 2 was less than the lower limit of Formula (2).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of Test No. 2 was as low as less than 115% and the workability was low.

시험 번호 3의 화학 조성(강 C)은, 본 발명의 화학 조성의 범위 내이었다. 또한, fn1도 식 (2)를 만족했다. 그러나, 주편의 가열 시간이 너무 짧았기 때문에(표 2 중의 제조 조건 1 참조),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을 넘었다. 그 때문에, 시험 번호 3의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의 굽힘 피로 강도는 115% 미만으로 낮았다. The chemical composition (steel C) of Test No. 3 was within the range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fn1 satisfies the expression (2). However, since the heating time of the cast steel was too short (see manufacturing condition 1 in Table 2), the average ferrite ratio exceeded 2.0.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of the test cycle No. 3 and the high cycle was as low as less than 115%.

시험 번호 5의 화학 조성은 본 발명의 화학 조성의 범위 내이며, fn1도 식 (2)를 만족했다. 그러나, 시험 번호 5에서는, 마무리 압연 전에 수냉을 실시했다(표 2 중의 제조 조건 3 참조). 그 때문에,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을 넘었다. 그 때문에, 시험 번호 5의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의 굽힘 피로 강도는 115% 미만으로 낮았다.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est No. 5 was within the range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n1 satisfied the formula (2). However, in Test No. 5, water cooling was carried out before finish rolling (see Production Condition 3 in Table 2). Therefore, the average ferrite opening ratio exceeded 2.0.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of the test cycle No. 5 in the intermediate cycle and the high cycle was as low as less than 115%.

시험 번호 6의 화학 조성은 본 발명의 화학 조성의 범위 내이며, fn1도 식 (2)를 만족했다. 그러나, 시험 번호 6에서는, 마무리 압연 후의 봉강을 800℃까지 수냉했다(표 2 중의 제조 조건 4 참조). 그 때문에,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을 넘었다. 그 때문에, 시험 번호 6의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의 굽힘 피로 강도는 모두 115% 미만으로 낮았다. 또한, 면피로 강도는 120% 미만으로 낮았다. 또한, 마모량은 80%를 넘어 내마모성이 낮았다.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est No. 6 was within the range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n1 satisfied the formula (2). However, in Test No. 6, the bars after finish rolling were water-cooled to 800 ° C (see Production Conditions 4 in Table 2). Therefore, the average ferrite opening ratio exceeded 2.0.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of the test cycle No. 6 and the high cycle was all less than 115%. In addition, the strength was as low as less than 120%. In addition, the abrasion resistance was lower than 80%.

시험 번호 7의 화학 조성은 본 발명의 화학 조성의 범위 내이며, fn1도 식 (2)를 만족했다. 그러나, 시험 번호 7에서는, 주편의 가열 시간이 너무 짧고, 강편의 가열 시간도 너무 짧았다(제조 조건 5 참조). 그 때문에,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을 넘었다. 그 때문에, 시험 번호 7의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의 굽힘 피로 강도는 모두 115% 미만으로 낮았다.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est No. 7 is within the range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n1 also satisfies Formula (2). However, in Test No. 7, the heating time of the cast steel was too short, and the heating time of the billet was too short (see Production Condition 5). Therefore, the average ferrite opening ratio exceeded 2.0.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of the test cycle No. 7 in the intermediate cycle and the high cycle was as low as less than 115%.

시험 번호 8의 화학 조성은 본 발명의 화학 조성의 범위 내이며, fn1도 식 (2)를 만족했다. 그러나, 시험 번호 8에서는, 강편의 가열 온도가 너무 높으며, 또한, 마무리 온도도 너무 높았다(제조 조건 6 참조). 그 때문에,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을 넘었다. 그 때문에, 시험 번호 8의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의 굽힘 피로 강도는 모두 115% 미만으로 낮았다. 또한, 면피로 강도는 120% 미만으로 낮았다. 또한, 마모량은 80%를 넘어, 내마모성이 낮았다.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est No. 8 was within the range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n1 satisfied the formula (2). However, in Test No. 8,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billet was too high and the finishing temperature was too high (see Production Condition 6). Therefore, the average ferrite opening ratio exceeded 2.0.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of the test cycle No. 8 in the intermediate cycle and the high cycle was as low as less than 115%. In addition, the strength was as low as less than 120%. In addition, the wear amount exceeded 80%, and the abrasion resistance was low.

시험 번호 10의 화학 조성은 본 발명의 화학 조성의 범위 내이며, fn1도 식 (2)를 만족했다. 그러나, 시험 번호 10은, 주편의 가열 온도가 너무 낮았다(제조 조건 8 참조). 그 때문에,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을 넘었다. 그 때문에, 중사이클의 굽힘 피로 강도가 115% 미만으로 낮았다.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est No. 10 was within the range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n1 satisfied the formula (2). However, in Test No. 10,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cast steel was too low (see Production Condition 8). Therefore, the average ferrite opening ratio exceeded 2.0. For this reason,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of the double-faced cycle was as low as less than 115%.

<실시예 2> &Lt; Example 2 >

표 5에 나타내는 D~S의 화학 조성을 가지는 용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했다. Molten steel having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D to S shown in Table 5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Figure 112014030709187-pct00005
Figure 112014030709187-pct00005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 조건으로, 표 6에 나타내는 시험 번호 11~42의 봉강을 제조했다. 봉강의 직경은 50mm 및 70mm였다. 제조된 봉강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시험을 실시했다. 그리고,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의 굽힘 피로 강도, 면피로 강도, 내마모성 및 주절삭날 마모량을 각각 구했다. Bars of Test Nos. 11 to 42 shown in Table 6 were produced under the same production conditions as in Example 1. The diameter of the bar was 50 mm and 70 mm. The same test as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using the produced steel bar. Then,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the strength, the abrasion resistance, and the main cutting edge wear amount of the medium cycle and high cycle were respectively determined.

Figure 112014030709187-pct00006
Figure 112014030709187-pct00006

구한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표 6을 참조하여, 시험 번호 17, 19, 21, 23, 31, 33, 41 및 42의 화학 조성은 본 발명의 화학 조성의 범위 내이며, fn1이 식 (2)를 만족했다. 또한, 이러한 시험 번호의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는 모두, 2.0 이하였다. 그 때문에, 이러한 시험 번호의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의 굽힘 피로 강도는 115% 이상이며, 면피로 강도는 120% 이상이었다. 또한, 마모량은 80% 이하였다. 또한, 주절삭날 마모량은 80% 이하였다. Table 6 shows the obtained results. Referring to Table 6,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Test Nos. 17, 19, 21, 23, 31, 33, 41 and 42 were within the range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n1 satisfied Formula (2). In addition, the average ferrite ratio of these test numbers was 2.0 or less. For this reason,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of the test cycle in the intermediate cycle and the high cycle was 115% or more, and the strength was 120% or more in cotton. The amount of wear was 80% or less. The main cutting edge wear amount was 80% or less.

한편, 시험 번호 11의 화학 조성(강 D)의 Si함유량 및 Cr함유량은, 본 발명의 Si함유량 및 Cr함유량의 하한 미만이었다. 그 때문에, 시험 번호 11의 면피로 강도는 120% 미만이며, 마모량은 80%보다 높았다. 시험 번호 12는 시험 번호 11과 동일한 강 D를 이용했다. 그 때문에, 면피로 강도 및 내마모성은 낮았다. 시험 번호 12에서는 또한, 주편의 가열 시간이 너무 짧았다(제조 조건 1). 그 때문에,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을 넘었다. 그 때문에,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에서의 굽힘 피로 강도는 115% 미만으로 낮았다. On the other hand, the Si content and Cr content of the chemical composition (steel D) of Test No. 11 were lower than the lower limit of the Si content and Cr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trength of the test piece No. 11 was less than 120%, and the wear amount was higher than 80%. Test No. 12 used the same steel D as Test No. 11. As a result, the strength and abrasion resistance of the cotton fabric were low. In Test No. 12, the heating time of the cast steel was too short (manufacturing condition 1). Therefore, the average ferrite opening ratio exceeded 2.0.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t the mid cycle and high cycle was as low as less than 115%.

시험 번호 13의 화학 조성(강 E)은 본 발명의 화학 조성의 범위 내이지만, fn1이 식 (2)의 하한 미만이었다. 그 때문에, 고사이클의 굽힘 피로 강도가 115% 미만으로 낮았다. 시험 번호 14는 시험 번호 13과 동일한 강 E를 이용했다. 그 때문에, 고사이클에서의 굽힘 피로 강도가 낮았다. 시험 번호 14에서는 또한, 마무리 압연 전에 수냉을 실시했다(제조 조건 3). 그 때문에,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을 넘었다. 그 때문에,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에서의 굽힘 피로 강도가, 시험 번호 13보다 낮아졌다. The chemical composition (steel E) of Test No. 13 was within the range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fn1 was less than the lower limit of the formula (2).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of the high cycle was as low as less than 115%. Test No. 14 used the same steel E as Test No. 13.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in the high cycle was low. In Test No. 14, water cooling was also performed before the finish rolling (manufacturing condition 3). Therefore, the average ferrite opening ratio exceeded 2.0.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t the intermediate cycle and high cycle was lower than that of Test No. 13.

시험 번호 15의 화학 조성(강 F)의 Si함유량은, 본 발명의 Si함유량의 상한을 넘었다. 그 때문에,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에서의 굽힘 피로 강도가 115% 미만으로 낮았다. 또한, 주절삭날 마모량이 80%보다 높아져, 피삭성이 낮았다. The Si content of the chemical composition (steel F) of Test No. 15 exceeded the upper limit of the Si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t the intermediate cycle and high cycle was as low as less than 115%. In addition, the main cutting edge wear amount was higher than 80%, and the machinability was low.

시험 번호 16은, 시험 번호 15와 동일한 강 F를 이용했다. 그 때문에, 굽힘 피로 강도 및 피삭성이 낮았다. 시험 번호 16에서는 또한, 마무리 압연 후의 봉강을 800℃까지 수냉했다(제조 조건 4). 그 때문에,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을 넘었다. 그 때문에, 굽힘 피로 강도는 시험 번호 15보다 낮았다. 또한, 면피로 강도는 120% 미만이며, 마모량은 80%보다 높았다. Test No. 16 used the same steel F as Test No. 15.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nd machinability were low. In Test No. 16, the bars after finish rolling were water-cooled to 800 ° C (Manufacturing Condition 4). Therefore, the average ferrite opening ratio exceeded 2.0.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was lower than that of Test No. 15. Also, the strength of cotton was less than 120%, and the amount of wear was higher than 80%.

시험 번호 18의 화학 조성(강 G)은 본 발명의 범위 내이며, 또한, fn1이 식 (2)를 만족했다. 그러나, 주편의 가열 시간이 너무 짧았다(제조 조건 1). 그 때문에,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을 넘었다. 그 때문에, 중사이클에서의 굽힘 피로 강도가 115% 미만으로 낮았다. 또한, 면피로 강도가 120% 미만으로 낮았다. The chemical composition (strength G) of Test No. 18 wa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n1 satisfied Formula (2). However, the heating time of the casting was too short (manufacturing condition 1). Therefore, the average ferrite opening ratio exceeded 2.0.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t the intermediate cycle was as low as less than 115%. Also, the strength was less than 120% in cotton fiber.

시험 번호 20의 화학 조성(강 H)은 본 발명의 범위 내이며, 또한, fn1이 식 (2)를 만족했다. 그러나, 마무리 압연 전에 수냉을 실시했다(제조 조건 3). 그 때문에,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을 넘었다. 그 때문에,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에서의 굽힘 피로 강도가 115% 미만으로 낮았다. The chemical composition (steel H) of Test No. 20 was within the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n1 satisfied the formula (2). However, water cooling was performed before finishing rolling (manufacturing condition 3). Therefore, the average ferrite opening ratio exceeded 2.0.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t the intermediate cycle and high cycle was as low as less than 115%.

시험 번호 22의 화학 조성(강 I)은 본 발명의 범위 내이며, 또한, fn1이 식 (2)를 만족했다. 그러나, 마무리 압연 후의 봉강을 800℃까지 수냉했다(제조 조건 4). 그 때문에,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을 넘었다. 그 때문에,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에서의 굽힘 피로 강도가 115% 미만으로 낮았다. The chemical composition (strength I) of Test No. 22 wa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n1 satisfied the formula (2). However, the bars after finishing rolling were water-cooled to 800 ° C (production condition 4). Therefore, the average ferrite opening ratio exceeded 2.0.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t the intermediate cycle and high cycle was as low as less than 115%.

시험 번호 24의 화학 조성(강 J)은 본 발명의 범위 내이며, 또한, fn1이 식 (2)를 만족했다. 그러나, 주편의 가열 시간 및 강편의 가열 시간이 너무 짧았다(제조 조건 5). 그 때문에,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을 넘었다. 그 때문에, 중사이클에서의 굽힘 피로 강도가 115% 미만으로 낮았다. The chemical composition (J) of Test No. 24 was within the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n1 satisfied the formula (2). However, the heating time of the cast steel and the heating time of the billet were too short (manufacturing condition 5). Therefore, the average ferrite opening ratio exceeded 2.0.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t the intermediate cycle was as low as less than 115%.

시험 번호 25의 화학 조성(강 K)의 Cr함유량은, 본 발명의 Cr함유량의 상한을 넘었다. 그 때문에, 주절삭날 마모량이 80%보다 높아 피삭성이 낮았다. Cr함유량이 너무 많아서 강 중에 베이나이트가 과잉하게 생성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The Cr content of the chemical composition (K) of Test No. 25 exceeded the upper limit of the Cr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main cutting edge wear amount was higher than 80% and the machinability was low. It is considered that the Cr content is too large and bainite is excessively generated in the steel.

시험 번호 26은, 시험 번호 25와 동일한 강 K를 이용했다. 그 때문에, 피삭성이 낮았다. 시험 번호 26에서는 또한, 주편의 가열 시간 및 강편의 가열 시간이 너무 짧았다(제조 조건 5). 그 때문에,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을 넘었다. 그 때문에,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에서의 굽힘 피로 강도가 115% 미만으로 낮았다. Test No. 26 used the same K as Test No. 25. Therefore, the machinability was low. In Test No. 26, the heating time of the cast steel and the heating time of the billet were too short (manufacturing condition 5). Therefore, the average ferrite opening ratio exceeded 2.0.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t the intermediate cycle and high cycle was as low as less than 115%.

시험 번호 27의 화학 조성(강 L)의 Cr함유량은, 본 발명의 Cr함유량의 하한 미만이었다. 그 때문에,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에서의 굽힘 피로 강도는 115% 미만으로 낮았다. 또한, 면피로 강도도 120% 미만으로 낮았다. The Cr content of the chemical composition (steel L) of Test No. 27 was less than the lower limit of the Cr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t the mid cycle and high cycle was as low as less than 115%. In addition, the strength was also low, less than 120%.

시험 번호 28은 시험 번호 27과 동일한 강 L을 이용했다. 그 때문에, 굽힘 피로 강도가 낮았다. 또한, 시험 번호 28에서는, 강편의 가열 온도가 너무 높으며, 또한, 마무리 온도도 너무 높았다(제조 조건 6). 그 때문에,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을 넘었다. 그 때문에,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에서의 굽힘 피로 강도가 115% 미만으로 낮았다. 또한, 면피로 강도도 120% 미만으로 낮았다. Test No. 28 used the same steel L as Test No. 27.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was low. In Test No. 28,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billet was too high and the finishing temperature was too high (Production Condition 6). Therefore, the average ferrite opening ratio exceeded 2.0.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t the intermediate cycle and high cycle was as low as less than 115%. In addition, the strength was also low, less than 120%.

시험 번호 29의 화학 조성(강 M)의 Mo함유량은, 본 발명의 Mo함유량의 상한을 넘었다. 그 때문에, 시험 번호 29의 주절삭날 마모량은 80%를 넘어, 피삭성이 낮았다. Mo함유량이 너무 많아, 강 중에 베이나이트가 과잉하게 생성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The Mo content of the chemical composition (steel M) of Test No. 29 exceeded the upper limit of the Mo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main cutting edge wear amount of Test No. 29 exceeded 80% and the machinability was low. The Mo content is so large that bainite is excessively formed in the steel.

시험 번호 30은, 시험 번호 29와 동일한 강 M을 이용했다. 그 때문에, 피삭성이 낮았다. 시험 번호 30에서는 또한, 주편의 가열 온도가 너무 낮았다(제조 조건 8). 그 때문에,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을 넘었다. 그 때문에,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에서의 굽힘 피로 강도가 115% 미만으로 낮았다. Test No. 30 used the same steel M as Test No. 29. Therefore, the machinability was low. In Test No. 30,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cast steel was too low (Production Condition 8). Therefore, the average ferrite opening ratio exceeded 2.0.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t the intermediate cycle and high cycle was as low as less than 115%.

시험 번호 32의 화학 조성(강 N)은, 본 발명의 범위 내이며, 또한, fn1이 식 (2)를 만족했다. 그러나, 강편의 가열 온도 및 마무리 온도가 너무 높았다(제조 조건 6). 그 때문에,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을 넘었다. 그 때문에, 중사이클에서의 굽힘 피로 강도가 115% 미만으로 낮았다. The chemical composition (steel N) of Test No. 32 was within the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n1 satisfied the formula (2). However, the heating temperature and finishing temperature of the billet were too high (manufacturing condition 6). Therefore, the average ferrite opening ratio exceeded 2.0.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t the intermediate cycle was as low as less than 115%.

시험 번호 34의 화학 조성(강 O)은, 본 발명의 범위 내이며, 또한, fn1이 식 (2)를 만족했다. 그러나, 주편의 가열 온도가 너무 낮았다(제조 조건 8). 그 때문에,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을 넘었다. 그 때문에, 중사이클에서의 굽힘 피로 강도가 115% 미만으로 낮았다. The chemical composition (steel O) of Test No. 34 was within the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n1 satisfied the formula (2). However,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cast steel was too low (production condition 8). Therefore, the average ferrite opening ratio exceeded 2.0.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t the intermediate cycle was as low as less than 115%.

시험 번호 35의 화학 조성(강 P)의 Mn함유량 및 Al함유량은 본 발명의 Mn함유량 및 Al함유량의 하한 미만이었다. 그 때문에, 중사이클에서의 굽힘 피로 강도가 115% 미만으로 낮았다. 또한 면피로 강도가 120% 미만으로 낮았다. The Mn content and the Al content of the chemical composition (steel P) of Test No. 35 were less than the lower limit of the Mn content and 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t the intermediate cycle was as low as less than 115%. In addition, the strength was lower than 120%.

시험 번호 36은, 시험 번호 35와 동일한 강 P를 이용했다. 그 때문에, 중사이클에서의 굽힘 피로 강도 및 면피로 강도가 낮았다. 시험 번호 35에서는 또한, 마무리 압연 후의 봉강을 800℃까지 수냉했다(제조 조건 4). 그 때문에,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을 넘었다. 그 때문에, 고사이클에서의 굽힘 피로 강도가 115% 미만으로 낮았다. 또한, 중사이클에서의 굽힘 피로 강도는, 시험 번호 35보다 낮았다. Test No. 36 used the same steel P as Test No. 35. Therefore, the strength was low due to the flexural fatigue strength and the surface roughness at the mid-cycle. In Test No. 35, the bars after finish rolling were water-cooled to 800 ° C (Manufacturing Condition 4). Therefore, the average ferrite opening ratio exceeded 2.0.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in the high cycle was as low as less than 115%. Also,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t the intermediate cycle was lower than that of Test No. 35.

시험 번호 37의 화학 조성(강 Q)의 Mn함유량 및 Al함유량은, 본 발명의 Mn함유량 및 Al함유량의 상한을 넘었다. 그 때문에, 고사이클에서의 굽힘 피로 강도가 115% 미만으로 낮았다. 또한, 주절삭날 마모량이 80%를 넘어. 피삭성이 낮았다. The Mn content and the Al content in the chemical composition (steel Q) of Test No. 37 exceeded the Mn content and the Al content upper lim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in the high cycle was as low as less than 115%. Also, the main cutting edge wear exceeds 80%. The machinability was low.

시험 번호 38은 시험 번호 37과 동일한 강 Q를 이용했다. 그 때문에, 고사이클에서의 굽힘 피로 강도가 낮고, 피삭성도 낮았다. 시험 번호 38에서는 또한, 강편의 가열 온도 및 마무리 온도가 너무 높았다. 그 때문에,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을 넘었다. 그 때문에, 중사이클에서의 굽힘 피로 강도가 115% 미만으로 낮았다. 또한, 고사이클의 굽힘 피로 강도는, 시험 번호 37보다 낮았다. Test No. 38 used the same steel Q as Test No. 37.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in the high cycle was low and the workability was low. In Test No. 38, the heating temperature and finishing temperature of the billet were also too high. Therefore, the average ferrite opening ratio exceeded 2.0.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t the intermediate cycle was as low as less than 115%.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of the high cycle was lower than that of Test No. 37.

시험 번호 39의 화학 조성(강 R)은 본 발명의 화학 조성의 범위 내이지만, fn1이 식 (2)의 상한을 넘었다. 그 때문에, 시험 번호 39의 강의 피삭성은 낮았다. 시험 번호 40은 시험 번호 39와 동일한 강 R을 이용했다. 그 때문에, 시험 번호 40의 강의 피삭성은 낮았다. 시험 번호 40에서는 또한, 압연 전에 수냉을 실시했다(제조 조건 3). 그 때문에, 페라이트 평균 입경비가 2.0을 넘었다. 그 때문에, 중사이클 및 고사이클에서의 굽힘 피로 강도가 시험 번호 39보다 낮았다. The chemical composition (steel R) of Test No. 39 is within the range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fn1 exceeds the upper limit of the formula (2). Therefore, the machinability of the steel of Test No. 39 was low. Test No. 40 used the same steel R as Test No. 39. For this reason, the machinability of the steel of Test No. 40 was low. In Test No. 40, water cooling was also performed before rolling (Manufacturing Condition 3). Therefore, the average ferrite opening ratio exceeded 2.0. Therefore,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at the intermediate cycle and high cycle was lower than that of Test No. 39.

이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 서술한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서술한 실시의 형태를 적절히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for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modify and carry o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화학 조성이, 질량%로,
C:0.1~0.25%,
Si:0.30~0.60%,
Mn:0.50~1.0%,
S:0.003~0.05%,
Cr:1.50~2.00%,
Mo:0.10% 이하(0%를 포함한다),
Al:0.025~0.05%,
N:0.010~0.025%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불순물 중의 P, Ti 및 O가 각각,
P:0.025% 이하,
Ti:0.003% 이하,
O(산소):0.002% 이하이며,
식(1)에서 정의되는 fn1이 1.80~2.10이고,
조직이, 페라이트·펄라이트 조직, 페라이트·펄라이트·베이나이트 조직, 또는 페라이트·베이나이트 조직으로 이루어지며,
횡단면에 있어서, 1 시야당 면적 62500μm2로 15 시야 관찰 측정하여 얻어진 페라이트 평균 입경의 최대치/최소치가 2.0 이하인, 열간 단조용 압연 봉강 또는 선재.
fn1=Cr+2×Mo (1)
여기서, 식(1) 중의 각 원소 기호에는, 대응하는 원소의 함유량(질량%)이 대입된다.
Chemical composition, in% by mass,
C: 0.1 to 0.25%
Si: 0.30 to 0.60%,
Mn: 0.50 to 1.0%
S: 0.003 to 0.05%
Cr: 1.50 to 2.00%
Mo: 0.10% or less (including 0%),
Al: 0.025 to 0.05%
N: 0.010 to 0.025%, the balance being Fe and impurities,
P, Ti, and O in the impurity are, respectively,
P: 0.025% or less,
Ti: 0.003% or less,
O (oxygen): 0.002% or less,
The fn1 defined in the formula (1) is 1.80 to 2.10,
The structure is composed of a ferrite-pearlite structure, a ferrite-pearlite-bainite structure, or a ferrite-bainite structure,
And the maximum value / minimum value of the average ferrite mean particle size obtained by observation and measurement at an area of 62500 mu m 2 per field of view in cross section is 2.0 or less.
fn1 = Cr + 2 占 Mo (1)
Here, the content (mass%) of the corresponding element is substituted into each symbol of the element in the formula (1).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Fe의 일부 대신에, 질량%로, Nb:0.08% 이하를 함유하는, 열간 단조용 압연 봉강 또는 선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teel strip or wire rod for hot forging containing, in mass%, 0.08% or less of Nb, instead of a part of Fe.
KR1020147008500A 2011-08-31 2012-08-22 Rolled steel bar or wire for hot forging KR10155244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89668 2011-08-31
JPJP-P-2011-189668 2011-08-31
PCT/JP2012/071118 WO2013031587A1 (en) 2011-08-31 2012-08-22 Rolled steel bar or wire for hot forg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378A KR20140056378A (en) 2014-05-09
KR101552449B1 true KR101552449B1 (en) 2015-09-10

Family

ID=47756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8500A KR101552449B1 (en) 2011-08-31 2012-08-22 Rolled steel bar or wire for hot forging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363329A1 (en)
JP (1) JP5561436B2 (en)
KR (1) KR101552449B1 (en)
CN (1) CN103797144B (en)
IN (1) IN2014DN02151A (en)
WO (1) WO201303158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0517B2 (en) * 2012-01-25 2015-10-0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Rolled steel bar or wire rod for hot forging
JP6558016B2 (en) * 2015-03-26 2019-08-14 日本製鉄株式会社 Carburized machine structural parts
KR102010684B1 (en) * 2015-03-31 2019-08-13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Hot Rolled Bar Seals, Part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Hot Rolled Bar Seals
JP6794012B2 (en) * 2015-12-10 2020-12-02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Mechanical structural steel with excellent grain coarsening resistance, bending fatigue resistance, and impact resistance
CN116209782A (en) * 2020-09-30 2023-06-02 日本制铁株式会社 Steel material
CN116234938A (en) * 2020-09-30 2023-06-06 日本制铁株式会社 Steel material
CN114574751B (en) * 2022-03-15 2022-08-30 建龙北满特殊钢有限责任公司 Production method of HRB400E earthquake-resistant steel bar for build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3174A (en) 2000-04-26 2001-10-31 Nippon Steel Corp Base shape stock for high temperature carburized parts excellent in crystal grain coarsening preventing characteristic and its producing method
JP2008189989A (en) 2007-02-05 2008-08-21 Sumitomo Metal Ind Ltd Steel material for high temperature carburizing
JP2009052062A (en) * 2007-08-24 2009-03-12 Sumitomo Metal Ind Ltd Hot rolled steel bar or wire ro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5666B2 (en) * 1997-08-05 2005-12-1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carburized shaft parts
JP4445561B2 (en) * 2008-07-15 2010-04-0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Continuous casting slab of stee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2597290A (en) * 2009-11-05 2012-07-18 住友金属工业株式会社 Hot-rolled steel bar or wire rod
JP5521970B2 (en) * 2010-10-20 2014-06-1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Cold forging and nitriding steel, cold forging and nitriding steel and cold forging and nitriding parts
JP5597563B2 (en) * 2011-02-01 2014-10-0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Nitriding steel and nitride parts
JP5656908B2 (en) * 2012-04-18 2015-01-21 Dowaサーモテック株式会社 Nitride steel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3174A (en) 2000-04-26 2001-10-31 Nippon Steel Corp Base shape stock for high temperature carburized parts excellent in crystal grain coarsening preventing characteristic and its producing method
JP2008189989A (en) 2007-02-05 2008-08-21 Sumitomo Metal Ind Ltd Steel material for high temperature carburizing
JP2009052062A (en) * 2007-08-24 2009-03-12 Sumitomo Metal Ind Ltd Hot rolled steel bar or wire r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97144A (en) 2014-05-14
IN2014DN02151A (en) 2015-05-15
JP5561436B2 (en) 2014-07-30
WO2013031587A1 (en) 2013-03-07
JPWO2013031587A1 (en) 2015-03-23
KR20140056378A (en) 2014-05-09
US20140363329A1 (en) 2014-12-11
CN103797144B (en)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2801B2 (en) Hot rolled steel bar or wire rod
KR101552449B1 (en) Rolled steel bar or wire for hot forging
US9200354B2 (en) Rolled steel bar or wire for hot forging
JP5790517B2 (en) Rolled steel bar or wire rod for hot forging
JP6652019B2 (en) Machine structural steel and induction hardened steel parts for induction hardening
KR20190028492A (en) High frequency quenching steel
KR20190028757A (en) High frequency quenching steel
JP7099553B2 (en) Steel materials and parts
KR20150013258A (en) Seamless steel pipe for hollow spring
JP6465206B2 (en) Hot-rolled bar wire, parts and method for producing hot-rolled bar wire
JP5737154B2 (en) Rolled steel bar or wire rod for hot forging
JP7099549B2 (en) Steel material
JP7139692B2 (en) Steel for induction hardening, materials for induction hardening parts, and induction hardening parts
JP7417059B2 (en) Induction hardened nitrided steel and induction hardened nitrided parts
JP7323850B2 (en) Steel and carburized steel parts
CN113646448B (en) Steel shaft component
JP7368724B2 (en) Steel materials for carburized steel parts
JP7417058B2 (en) Induction hardened ropes and induction hardened parts
JP7269522B2 (en) steel
JP7368723B2 (en) Steel materials for carburized steel parts
JP7156021B2 (en) Steel for carburized steel 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