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716B1 - Fire fight safety system for architecture using alalog address type sensor - Google Patents

Fire fight safety system for architecture using alalog address type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716B1
KR101551716B1 KR1020130167308A KR20130167308A KR101551716B1 KR 101551716 B1 KR101551716 B1 KR 101551716B1 KR 1020130167308 A KR1020130167308 A KR 1020130167308A KR 20130167308 A KR20130167308 A KR 20130167308A KR 101551716 B1 KR101551716 B1 KR 101551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information
spatial
buil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3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80128A (en
Inventor
이현태
이근우
이근영
김경우
김지연
Original Assignee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filed Critical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67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716B1/en
Publication of KR20150080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1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7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건축물의 내부 특정 지역에서 발생한 화재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예측된 화재의 크기 정도에 따라 신속히 사람들을 대피시킬 수 있는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부모 객체와 자식 객체간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화재 경보와 대피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으로서, 건축물의 3D 캐드 공간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3D 캐드 공간정보에 포함된 공간객체 정보마다 복수개의 공간 좌표 정보를 부모 객체로서 추출하는 공간객체 추출부; 상기 건축물의 공간객체마다 각 고유의 위치좌표 정보를 가지고 구비되며, 자식 객체로서 설정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화재 감지부; 자식 객체인 화재감지부의 고유 위치좌표가 어느 부모객체의 공간 좌표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부모 객체와 자식 객체를 매핑시켜 저장하는 객체 정보 매핑부; 및 상기 복수개의 화재 감지부중 해당하는 제1 화재 감지부가 작동될 경우 상기 제1 화재 감지부로부터 화재 경보 정보를 제공받아 화재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 감시부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은 건축물내의 공간 좌표 정보와 화재 감지기의 공간 좌표를 자동으로 매칭시켜 특정 공간안에서 발생한 화재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지함으로써 해당 공간안에서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게 알려주고 대피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A building fire safety system capable of accurately predicting a fire occurring in a specific inside area of a building and evacuating people according to a predicted degree of fire size is disclose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ilding fire safety system for providing a fire alarm and a evacuation route by utilizing spatial information between a parent object and a child object, and is a system for extracting 3D CAD space information of a building, A spatial object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 plurality of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for each spatial object information as a parent object;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units, each of which is provided with uniqu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for each spatial object of the building and is set as a child object to detect a fire; An object information mapping unit for determining which spatial coordinate of a parent object the uniqu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fire detection unit as a child object belongs to and mapping and storing the parent object and the child object; And a fire monitoring unit for receiving fire alarm information from the first fire sensing unit and generating a fire alarm when the corresponding first fire sensing unit is activated among the plurality of fire sensing unit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detect a fire occurring in a specific space by automatically matching the space coordinate information within the building with the space coordinates of the fire detector, thereby promptly notifying fire occurred in the space and providing a evacuation route.

Description

아날로그 주소형 감지기를 이용한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FIRE FIGHT SAFETY SYSTEM FOR ARCHITECTURE USING ALALOG ADDRESS TYPE SENSOR}FIELD FIRE FIGHT SAFETY SYSTEM FOR ARCHITECTURE USING ALARM ADDRESS TYPE SENSOR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부 특정 지역에서 발생한 화재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예측된 화재의 크기 정도에 따라 신속히 사람들을 대피시킬 수 있는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fire safety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ilding fire safety system capable of accurately predicting a fire occurring in a specific inside area of a building and evacuating people according to a predicted size of fire.

일반적으로, 소방안전 시스템은 화재가 발생한 지역을 신속하게 확인하여 이를 통해 경보를 발령함으로써 화재 진압을 신속히 진행하는데 도움을 주는 시스템을 일컫는다.Generally, a fire safety system refers to a system that helps to promptly identify the area where a fire has occurred, thereby promptly issuing an alarm, thereby promptly suppressing the fire.

그러나, 건축물, 예컨대 빌딩과 같이 거대한 건출물인 경우에는 어느 공간안에서 화재가 발행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에 초기 화재 진압이 어려워 대형 화재로 번지는 경우가 허다하다.However, in the case of a large building such as a building, for example, a building, it is difficult to confirm whether a fire was issued in a certain space.

이럴 경우, 건출물 훼손뿐만 아니라 많은 인명 피해를 가져다 줄 수 있다. 따라서, 복잡한 공간 구조를 갖는 건축물인 경우 어느 공간안에서 화재가 발생했는지를 즉시 식별하고 대피 경로를 알려줄 수 있는 메카니즘이 필요한 실정이다.In this case, it can damage not only the building but also many people. Therefore, in case of a building having a complicated spatial structure, there is a need for a mechanism capable of immediately identifying a fire in a certain space and informing the evacuation route.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복잡한 건축물에 있어서 대피 경로를 정확하게 자동으로 예측하기란 어려움이 따랐다. 단지, 종래에는 수동적으로 화재 감지기와 공간 위치를 매칭시켜 대피 경로를 예측하였다.From this point of view, it has been difficult to accurately and accurately predict evacuation routes in complex buildings. Conventionally, however, the evacuation path was predicted by manually matching the fire position with the fire detector.

아울러, 화재 발생시 화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화재의 위험 정도(위험 크기)를 예측할 필요성이 있다. 그 이유로는 화재 크기가 작은데도 불필요하게 대형 화재 장비를 동원하는 일이 허다하기 때문이다. In addition, in order to cope with the fire in case of fire,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degree of danger (risk size) of fire. The reason is that even though the size of the fire is small, it is not enough to mobilize large fire equipment unnecessarily.

1. 한국등록특허 : 제0632445호, 등록일자 : 2006년 09월 28일, 발명의 명칭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 지점 및 대피 경로 모니터링시스템.[0001]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point and evacuation route monitoring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2. 한국공개특허 : 제2011-0110450호, 공개일자 : 2011년 10월 07일, 발명의 명칭 : 화재 위치를 이용하여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방재방송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2. An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prevention broadcasting providing a evacuation route using a fire location.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공간 좌표와 건축물내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의 공간 좌표를 매칭시켜 어느 공간안에서 화재가 발생했는지를 신속히 파악하여 화재 경보를 발령하고, 공간 좌표를 활용하여 대피 경로를 알려줄 수 있는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re alarm system, And to provide a building fire safety system capable of informing the evacuation route through utilization.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이 발령된 화재 경보의 위험 정도를 구분하고, 이를 신속하게 경보 발령을 내려 건축물내에 있는 사람들(건축물 관리자 및 건축물내에 있는 방문자 등 재실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uilding fire safety system that can classify the degree of danger of a fire alarm issued as described above, promptly issue an alarm, and inform people in the building (such as a building manager or a visitor in a building) There is another purpos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performing the characteristic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re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부모 객체와 자식 객체간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화재 경보와 대피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으로서, 건축물의 3D 캐드 공간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3D 캐드 공간정보에 포함된 공간객체 정보마다 복수개의 공간 좌표 정보를 부모 객체로서 추출하는 공간객체 추출부; 상기 건축물의 공간객체마다 각 고유의 위치좌표 정보를 가지고 구비되며, 자식 객체로서 설정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화재 감지부; 자식 객체인 화재감지부의 고유 위치좌표가 어느 부모객체의 공간 좌표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부모 객체와 자식 객체를 매핑시켜 저장하는 객체 정보 매핑부; 및 상기 복수개의 화재 감지부중 해당하는 제1 화재 감지부가 작동될 경우 상기 제1 화재 감지부로부터 화재 경보 정보를 제공받아 화재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 감시부;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주소형 감지기를 이용한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ilding fire safety system for providing a fire alarm and a evacuation route by utilizing spatial information between a parent object and a child object, the system comprising: extracting 3D CAD space information of a building; A spatial object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 plurality of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for each spatial object information included as a parent object;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units, each of which is provided with uniqu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for each spatial object of the building and is set as a child object to detect a fire; An object information mapping unit for determining which spatial coordinate of a parent object the uniqu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fire detection unit as a child object belongs to and mapping and storing the parent object and the child object; And a fire monitoring unit for receiving fire alarm information from the first fire sensing unit when the first fire sens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e sensing units is activated to generate a fire alarm, A safety system is provided.

여기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은 상기 제1 화재 감지부는, 매핑된 상기 부모 객체의 공간 좌표 정보중 제1 공간 좌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화재 경보 정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 공간 좌표 정보와 함께 상기 화재 경보 정보를 상기 화재 감시부로 제공하고, 상기 화재 감시부는 상기 화재 경보와 함께 화재가 발생한 상기 제1 공간 좌표 정보와 함께 이웃하고 있는 공간 좌표 정보를 상기 3D 캐드 공간정보안에 있는 사람들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Here, in the building fire safety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re sensing unit generates the fire alarm information by checking the first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mapped parent object, And the fire alarm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space coordinat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fire monitoring unit, and the fire monitoring unit, together with the first space coordinate information in which a fire occurs together with the fire alarm, neighboring space coordinat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3D CAD space information To a portable terminal of a certain person.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제1 화재 감지부는 온도 감지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 및 휘도 감지 센서를 포함할 경우 이 감지 센서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화재 경보 정보에 대한 위험 정도를 3단계로 구분하여 발령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fire sensing uni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mperature sensing sensor, a smoke sensing sensor, and a luminance sensing sensor, the degree of danger with respect to the fire alarm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제1 화재 감지부는 상기 제1 공간 좌표 정보에서 화재 발생시, 상기 온도 감지센서가 동작될 경우 상기 화재 경보 정보에 대한 위험 정도를 1단계로 발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ire sensing uni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nnounce the degree of danger to the fire alarm information in one step when the temperature sensing sensor is operated when a fire occurs in the first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제1 화재 감지부는 상기 제1 공간 좌표 정보에서 화재 발생시, 상기 온도 감지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가 동작될 경우 상기 화재 경보 정보에 대한 위험 정도를 2단계로 발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ire sensing uni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degree of danger for the fire alarm information in two stages when a fire occurs in the first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when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smoke sensor are operated can do.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제1 화재 감지부는 상기 제1 공간 좌표 정보에서 화재 발생시, 상기 온도 감지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휘도 감지 센서가 동작될 경우 상기 화재 경보 정보에 대한 위험 정도를 3단계로 발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ire sensing uni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ct a degree of danger for the fire alarm information when the temperature sensing sensor, the smoke sensing sensor, and the luminance sensing sensor are operated when a fire occurs in the first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It can be issued in three stages.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화재 감시부는 상기 3단계의 위험 정도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더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e monitoring uni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transmit the danger level of the third step to the portable terminal.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내의 공간 좌표 정보와 화재 감지기의 공간 좌표를 자동으로 매칭시켜 특정 공간안에서 발생한 화재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지함으로써 해당 공간안에서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게 알려주고 대피 경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 사고를 조기 진압하고 인명 피해를 최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ace coordinates information in a building and space coordinates of a fire detector are automatically matched to recognize fires occurring in a specific space more quickly and accurately, so that fires occurring in the space can be quickly notified, So tha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ire accident early and to minimize the loss of lif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경보 정보에 대한 위험 정도를 구분하여 발령함으로써 그에 맞는 화재 진압을 실시할 수 있고, 대피자에게 위험 정도를 알려주어 경각심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ire the fire alarm by classifying the degree of danger for the fire alarm information, and to inform the danger level to the firefighter, thereby increasing the alertness.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위험 정도, 화재 발생 지역 좌표 및 화재 경보 정보를 건물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려줌으로써 화재를 피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bove all,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vacuating quickly from the fire by informing the people in the building of the danger level, the coordinates of the fire area, and the fire alarm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소방안전 시스템(100)의 공간객체 정보와 3D 캐드 공간정보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모 객체의 공간 좌표 정보(103a)와 자식 객체의 위치좌표 정보(122)간 관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화재 감지부(121)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공간객체 정보와 그 속성을 일례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상황을 전송받은 화재 감시부(140)의 모니터링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상황을 전송받은 휴대 단말기(200)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building fire safet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the space object information and the 3D CAD space information of the fire safety system 100. FIG.
4A and 4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103a of a parent object and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122 of a child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fire sensing unit 1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views showing spatial object information and its attributes as an example.
FIG. 9 is a view showing a monitoring screen of the fire monitoring unit 140 having received a fire sit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states of the mobile terminal 200 receiving a fire sit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의 예Examples of building fire safety syste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소방안전 시스템(100)의 공간객체 정보와 3D 캐드 공간정보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uilding fire safet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illustrate a state of the space object information and 3D CAD space information of the fire safety system 100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100)은 부모 객체와 자식 객체간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화재 경보와 대피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간객체 추출부(110), 화재 감지부(120), 객체 정보 매핑부(130) 및 화재 감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공간객체 추출부(110), 객체 정보 매핑부(130) 및 화재 감시부(140)를 소방안전 서버(100A)로 구성될 수 있다.1, the building fire safet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atial object extraction unit 110 (FIG. 1) for providing a fire alarm and an escape route using spatial information between a parent object and a child object, A fire detection unit 120, an object information mapping unit 130, and a fire monitoring unit 140. Here, the space object extraction unit 110, the object information mapping unit 130, and the fire monitoring unit 140 may be configured as a fire safety server 100A.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공간객체 추출부(110)는 실제 건축물의 내부 구조를 설계한 3D 캐드 도면(101)을 활용하게 되는데 즉 3D 캐드 도면(101)에서 건축물의 3D 캐드 공간정보(102)를 추출한다.First, the spatial object extracting uni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3D CAD drawing 101 that designes an internal structure of an actual building. In other words, the 3D CAD drawing 101 displays 3D CAD space information 102 of a building .

이때, 3D 캐드 공간정보(102)는 복수개의 공간객체 정보(103)를 포함한다. 이럴 경우 상기 공간객체 정보(10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임의의 사무실 공간을 비롯한 벽, 계단, 문, 기둥, 케이블과 같은 객체 속성을 포함한 협의의 공간 정보를 의미하고, 상기 3D 캐드 공간정보(102)는 위와 같은 공간 정보를 포함한 모든 공간을 총칭하는 광역의 의미로서 사용되었다. 이와 같이, 추출된 공간객체 정보(103)를 포함한 3D 캐드 공간정보(102)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됨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3D CAD space information 102 includes a plurality of spatial object information 103. In this case, the spatial object information 103 refers to narrow spatial information including object attributes such as a wall, a staircase, a door, a column, and a cable including an arbitrary office space as shown in FIG. 2, The spatial information 102 is used as a global meaning of all the spaces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spatial information. In this way,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3D CAD space information 102 including the extracted spatial object information 103 is stored in the database.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공간객체 추출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된 3D 캐드 공간정보(102)에 포함된 공간객체 정보(103)마다 복수개의 공간 좌표 정보(103a)를 부모 객체로서 추출한다.3, the spatial object extraction unit 110 extracts a plurality of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103a for each spatial object information 103 included in the 3D CAD spatial information 102 extracted as shown in FIG. 3, Extract as an object.

다시말해, 어느 하나의 공간객체 정보(103)안에는 복수개의 공간 좌표 정보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부모 객체로서 추출한 후 각 공간객체 정보(103)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In other words, a certain spatial object information 103 has a plurality of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which is extracted as a parent object, and each spatial object information 103 is stored in the databas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부(120)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하여 실제 건축물에 설치된 장치로서,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 감지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휘도 감지 센서를 포함한 감지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Next, the fire detection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actual building to detect a fire, and may be composed of detection sensors for detecting a fire. For example, a temperature sensor, a smoke sensor, and a luminance sensor.

이러한 센서들로 이루어진 화재 감지부(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캐드 공간정보(102)에 포함된 공간객체 내에 설치되어 각각 고유의 위치좌표 정보(122)를 가지고 구비되며, 이를 통해 자식 객체로서 설정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fire sensing unit 120 including the sensors is installed in a space object included in the 3D CAD space information 102 and has uniqu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122 , It is set as a child object to detect a fir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객체 정보 매핑부(130)는 자식 객체인 화재감지부의 고유 위치좌표가 어느 부모객체의 공간 좌표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부모 객체와 자식 객체를 매핑시키는 역할을 한다.Next, the object information mapping unit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ich of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parent object the uniqu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fire sensing unit, which is a child object, belongs, and maps the parent object and the child object.

다시 말해, 자식 객체에 해당하는 화재 감지부(120)의 위치좌표 정보(122)가 어느 부모 객체에 해당하는 공간 좌표 정보(103a)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이들을 서로 매핑시키게 된다. 매핑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됨은 물론이다.In other words, it is determined which of the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103a corresponding to which parent object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122 of the fire sensing unit 120 corresponding to the child object belongs and is mapped to each other. The mapped data is of course stored in the database.

위와 같이 매핑되기 까지의 과정을 도 4a 및 도 4b에서 일례로서 나타내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모 객체의 공간 좌표 정보(103a)와 자식 객체의 위치좌표 정보(122)간 관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The process up to mapping as above is shown as an example in Figs. 4A and 4B. 4A and 4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103a of a parent object and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122 of a child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3D 캐드 도면을 실행한후(S50), 3차원 모델파일을 연다(S60). 이후, 객체 데이터 추출후 플러그인을 실행한다.(S70), 이후, 부모 객체와 자식 객체를 지정한 후(S80), 모든 공간좌표값을 추출하여(S90).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95).As shown in the figure, first, the 3D CAD drawing is executed (S50), and then the 3D model file is opened (S60). Thereafter, the plug-in is executed after extracting the object data (S70). After the parent object and the child object are specified (S80), all the space coordinate values are extracted (S90).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S95).

이후, 부모 객체에 해당하는 공간 좌표 정보(103a)와 자식 객체에 해당하는 화재 감지부(120)의 위치좌표 정보(122)를 불러온(S100) 후 차례로 비교를 한다(S110). 이후, 자식 객체인 화재 감지부(120)의 위치좌표 정보(122)가 어느 부모 객체에 해당하는 공간 좌표 정보(103a)에 속에 속하는지를 검사(S120)하여 이에 해당되면 해당 부모 객체에 자식 객체를 등록시켜 저장하게된다(S130). 이어서, 모든 자식객체에 대한 검사가 끝났는지를 판단한다(S140).Then, the space coordinate information 103a corresponding to the parent object and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122 of the fire sensing unit 120 corresponding to the child object are loaded (S100), and then the comparison is performed (S110). Then, it is checked whether the location coordinate information 122 of the fire detection unit 120, which is a child object, belongs to the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103a corresponding to which parent object (S120). If so, (S130).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all child objects have been checked (S140).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부(140)는 복수개의 화재 감지부(120) 중 해당하는 제1 화재 감지부(121)가 작동될 경우 제1 화재 감지부(121, 화재를 인식한 센서들을 의미함)로부터 화재 경보 정보를 제공받아 화재 경보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fire monitor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fire sensor 121 when the corresponding first fire sensor 121 of the plurality of fire sensors 120 is activated, And a fire alarm is generated by receiving fire alarm information.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제1 화재 감지부(121)는 매핑된 부모 객체의 공간 좌표 정보(103a) 중 화재가 발생한 지역의 제1 공간 좌표 정보를 확인하여 화재 경보 정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 공간 좌표 정보와 함께 화재 경보 정보를 화재 감시부(140)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제1 화재 감지부(121)의 위치 좌표 정보(122)도 함께 화재 감시부(140)로 제공됨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first fire detection unit 121 generates fire alarm information by checking the first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area where the fire occurred, among the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103a of the mapped parent object, And provides the fire alarm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space coordinate information to the fire monitoring unit 140. In this case,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122 of the first fire sensing unit 121 is also provided to the fire monitoring unit 140.

따라서, 화재 감시부(140)를 확인하는 운영자는 데스크탑 컴퓨터를 통해 화재 경보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복잡한 건축물 내부 구조중 어느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했는지를 정확하고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화재 대응을 신속히 진행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or who confirms the fire monitoring unit 140 can confirm the fire alarm in the space of the complex structure easily by confirming the fire alarm information through the desktop computer, so that the fire response can be promptly performed hav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부(140)는 제1 화재 감지부(121)로부터 제공받은 화재 경보 및 화재가 발생한 제1 공간 좌표 정보와 함께 이웃하고 있는 부모객체의 공간 좌표 정보(103a)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불러와 3D 캐드 공간정보(102)안에 있는 사람들의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ire monitoring unit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space coordinate information 103a of the neighboring parent object together with the first spac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fire alarm and the fire provided from the first fire sensing unit 121 And transmits it to the portable terminal 200 of the persons in the 3D CAD space information 102.

따라서, 화재가 발생한 건축물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휴대 단말기(200)로 전송된 공간 좌표 정보(103a)상에 표시된 화재 경보를 확인함과 동시에 공간 좌표 정보(103a)를 보고 화재가 발생한 지역을 피해 대피 경로를 탐색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residents of the building where the fire has occurred confirm the fire alarm displayed on the space coordinate information 103a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at the same time, see the space coordinate information 103a, To search the evacuation route.

이때, 대피 경로의 탐색은 동일 출원인이 제출한 한국특허출원 10-2012-0111200호에서 보다 상세히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search for the evacuation route is described in more detail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111200 filed by the same applicant,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equally applied to this embodimen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소방안전 서버(100A)와 화재 감지부(120) 사이는 근거리 통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소방안전 서버(100A)와 휴대 단말기(200)의 사이에는 이동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e safety server 100A and the fire sensing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local area communicatio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fire safety server 100A and the portable terminal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화재 감지부(121)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fire sensing unit 1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화재 감지부(121)는 온도 감지센서(121a), 연기 감지 센서(121b) 휘도 감지 센서(121c) 및 위험 정도 발령부(121d)를 포함한다.5, the first fire sensing unit 121 includes a temperature sensing sensor 121a, a smoke sensing sensor 121b, a luminance sensing sensor 121c, 121d.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센서(121a)는 건축물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시 화재에 의한 높은 온도를 감지하고, 연기 감지 센서(121b)는 화재로 인하여 발생된 연기 상태를 감지는 역할을 하며, 휘도 감지 센서(121c)는 화재로 인하여 건축물 내부의 밝기 정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First, the temperature sensor 121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a high temperature due to a fire when a fire occurs in the building, the smoke sensor 121b detects a smoke state caused by a fire, The detection sensor 121c detects the brightness of the inside of the building due to fire.

이와 같은 센서들의 구비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정도 발령부(121d)는 감지 센서(121a~121c)들의 조합에 따라 화재 경보 정보에 대한 위험 정도를 3단계로 구분하여 발령하게 된다.Due to the provision of such sensors, the danger level notification section 121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the danger level of the fire alarm information into three level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detection sensors 121a to 121c.

예를 들면, 화재가 발생한 제1 공간 좌표 정보에서 화재가 발생시, 온도 감지센서(121a)가 동작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정도 발령부(121d)가 화재 경보 정보에 대한 위험 정도를 1단계(위험성이 가장 낮음)로 구분하여 발령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a fire occurs in the first space coordinate information in which a fire occurs, if the temperature sensor 121a is operated, the risk degree notification unit 121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degree of danger for the fire alarm information to one level ( The risk is lowest).

반면, 화재가 발생한 제1 공간 좌표 정보에서 화재가 발생시, 온도 감지센서 (121a) 및 연기 감지 센서(121b)가 동작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정도 발령부(121d)가 화재 경보 정보에 대한 위험 정도를 2단계(위험성이 중간 정도임)로 발령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fire occurs in the first space coordinate information in which a fire occurs, when the temperature sensor 121a and the smoke sensor 121b are operated, the risk level notification unit 121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risk (The risk is intermediate).

하지만, 화재가 발생한 제1 공간 좌표 정보에서 화재가 발생시, 온도 감지센서(121a), 연기 감지 센서(121b) 및 휘도 감지 센서(121c)가 동작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정도 발령부(121d)가 화재 경보 정보에 대한 위험 정도를 3단계(위험성이 가장 높음)로 발령하게 된다.However, when a fire occurs in the first space coordinate information in which a fire occurs, when the temperature sensor 121a, the smoke sensor 121b, and the luminance sensor 121c are operated, The risk level for the fire alarm information is set to the third level (the highest risk).

이와 같이, 발령된 화재 경보 정보에 대한 위험 정도는 앞서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화재 감시부(140)로 전송됨으로써 운영자는 화재 감시부(140)로부터 확인된 위험 정도를 확인하여 화재 대응 조취를 취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anger level of the issued fire alarm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e monitoring unit 140 described in FIGS. 1 to 4, so that the operator can check the danger level confirmed from the fire monitoring unit 140, You can take it.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부(140)는 확인된 위험 정도를 화재가 발생한 건축물 내부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건축물 내부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소유한 휴대 단말기(200)로 위와 같이 3단계로 구분된 위험 정도를 전송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ire monitoring unit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terminal 200 owned by people residing inside the building to inform the residents of the building where the fire has occurred, And the risk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따라서, 건축물 내부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화재의 위험 정도를 보고 긴급 대피를 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residents inside the building will be able to evacuate by looking at the degree of fire risk.

이하에서는 공간객체 정보와 그의 속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6 내지 도 8은 공간객체 정보와 그 속성을 일례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에서는 3D 캐드 공간정보안에 포함된 공간 정보중 하나인 공간객체 정보를 사각형으로 표시하였다. 이러한 공간객체 정보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케이블이라는 객체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의 객체 정보에는 도 8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케이블 속성들이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spatial object information and its attribut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6 to 8 are views showing spatial object information and its attributes as an example. First, in FIG. 6, the spatial object information, which is one of the spati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3D CAD spatial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rectangle. The spatial object information includes object information called a cable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8, a plurality of cable attributes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in the form of a table in the object information of the cabl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간객체 정보안에는 다양한 객체 정보들이 담겨져 있고 그 객체 정보에 포함된 속성들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objec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patial objec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attributes included in the object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database.

따라서, 제1 화재 감지부(121)가 화재를 감지할 경우 제1 화재 감지부(121)의 위치 좌표 정보에 매칭된 해당하는 공간객체 정보의 공간 좌표 정보를 화재 감시부(140)로 전송하게 되면, 상기 화재 감시부(140)는 위와 같은 공간 좌표 정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공간객체 정보를 불러와 휴대 단말기(200)로 대피 경로를 위한 자료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fire sensing unit 121 detects a fire, it transmits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patial object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first fire sensing unit 121 to the fire monitoring unit 140 The fire monitoring unit 140 can retrieve the space objec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through the space coordinate information and provide the space object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200 as data for the evacuation path.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상황을 전송받은 화재 감시부(140)의 모니터링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화재 감시부(140)의 모니터링 화면에는 화재 발생시 화재 경보 정보와 함께 공간객체의 공간 좌표 정보를 영상 형태로 화재 감지부(120)로부터 제공받는다. 따라서, 모니터링 운영자는 신속하게 화재에 대응 조취를 취할 수 있게 된다.FIG. 9 is a view showing a monitoring screen of the fire monitoring unit 140 having received a fire sit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nitoring screen of the fire monitoring unit 140 shown in FIG. 9, the fire detection unit 120 receives the fire alarm information and the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spatial object in the form of an image. Accordingly, the monitoring operator can quickly take a response to the fire.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상황을 전송받은 휴대 단말기(200)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0 to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states of the mobile terminal 200 receiving a fire sit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에서는 화재 발생시 화재 경보 정보와 함께 공간객체의 공간 좌표 정보를 영상 형태로 화재 감시부(140)로부터 제공받는다.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portabl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 monitoring unit 140 receives the fire alarm information and the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spatial object in a video form.

이와 같이 전송받은 영상에서는 화재가 발생한 건축물의 해당 공간 객체 정보뿐만 아니라 공간 좌표 정보에 기반한 대피 경로에 도움을 주는 대피 경로를 함께 제공받음으로써 휴대 단말기(200)의 소유자가 신속하게 대피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In the transmitted image, the evacuation route for providing the evacuation route based on the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as well as the spatial object information of the building where the fire occurred is provided together, thereby helping the own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to quickly evacuate It will be possible.

또한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의 화재감시부(140)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건축물 소방안전시스템 앱을 다운 받은 상기 3D 캐드 공간정보 안에 있는 사람들의 휴대단말기의 라이트 기능이 작동되도록하여 재실자가 대피시 조명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Also, when a fire occurs, the fire monitoring unit 140 of the building fire safety system operates the light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ersons in the 3D CAD space information downloaded from the building fire safety system app, So that it can be utilized.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r constructions. You can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herefo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0 :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 100A: 소방안전 서버
101 : 3D 캐드 도면 102 : 3D 캐드 공간정보
103 : 공간객체 정보 110 : 공간객체 추출부
120 : 화재 감지부 121 : 제1 화재 감지부
122 : 위치좌표 정보 130 : 객체 정보 매핑부
140 : 화재 감시부 s 121a: 온도 감지센서
121b: 연기 감지 센서 121c: 휘도 감지 센서
121d: 위험 정도 발령부 200 : 휴대 단말기
100: Building fire safety system 100A: Fire safety server
101: 3D CAD drawing 102: 3D CAD space information
103: Spatial object information 110: Spatial object extraction unit
120: fire detection unit 121: first fire detection unit
122: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130: Object information mapping unit
140: Fire monitoring section 121a: Temperature sensor
121b: smoke detection sensor 121c: luminance detection sensor
121d: danger degree notification section 200: portable terminal

Claims (7)

부모 객체와 자식 객체간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화재 경보와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으로서,
건축물의 3D 캐드 공간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3D 캐드 공간정보에 포함된 공간객체 정보마다 복수개의 공간 좌표 정보를 부모 객체로서 추출하는 공간객체 추출부;
상기 건축물의 공간객체마다 각 고유의 위치좌표 정보를 가지고 구비되며, 자식 객체로서 설정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화재 감지부;
자식 객체인 화재감지부의 고유 위치좌표가 어느 부모객체의 공간 좌표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부모 객체와 자식 객체를 매핑시켜 저장하는 객체 정보 매핑부; 및
상기 복수개의 화재 감지부중 해당하는 제1 화재 감지부가 작동될 경우 상기 제1 화재 감지부로부터 화재 경보 정보를 제공받아 화재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 감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화재 감지부는 매핑된 상기 부모 객체의 공간 좌표 정보중 제1 공간 좌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화재 경보 정보를 발생시키되 온도 감지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휘도 감지 센서의 조합에 따라 상기 화재 경보 정보에 대한 위험 정도를 3단계로 구분하여 발령하는 것으로써 온도감지센서가 동작될 경우 상기 화재 경보 정보에 대한 위험 정도를 1단계로하고, 온도감지센서 및 연기감지센서가 동작될 경우 상기 화재 경보 정보에 대한 위험 정도를 2단계로하며, 온도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및 휘도감지센서가 동작될 경우 상기 화재 경보 정보에 대한 위험 정도를 3단계로하여 상기 제1 공간 좌표 정보와 함께 상기 화재 경보 정보를 상기 화재 감시부로 제공하고,
상기 화재 감시부는 상기 화재 경보와 함께 화재가 발생한 상기 제1 공간 좌표 정보와 함께 이웃하고 있는 공간 좌표 정보를 상기 3D 캐드 공간정보안에 있는 사람들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주소형 감지기를 이용한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
A building fire safety system that provides fire alarms and evacuation routes using spatial information between parent objects and child objects,
A spatial object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3D CAD spati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nd extracting a plurality of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as a parent object for each spatial obje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xtracted 3D CAD spatial information;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units, each of which is provided with uniqu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for each spatial object of the building and is set as a child object to detect a fire;
An object information mapping unit for determining which spatial coordinate of a parent object the uniqu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fire detection unit as a child object belongs to and mapping and storing the parent object and the child object; And
And a fire monitoring unit for receiving fire alarm information from the first fire sensing unit and generating a fire alarm when the corresponding first fire sensing unit is activated among the plurality of fire sensing units,
The first fire sensing unit generates the fire alarm information by checking the first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mapped parent object, and generates the fire alarm information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smoke sensor and the luminance sensor The degree of danger for the fire alarm information when the temperature sensor is operated is set to one level, and when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smoke sensor are operated, the fire alarm information The fire alarm information and the fire alarm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patial coordinate information in three stages in the case of operating the smoke sensor and the luminance sensor, Provided to the fire monitoring department,
Wherein the fire monitoring unit transmits the space coordinate information neighboring to the fire alarm together with the first spac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fire to the portable terminals of the persons in the 3D CAD space information, Building fire safety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시부는,
상기 3단계의 위험 정도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주소형 감지기를 이용한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e monitoring unit,
And further transmits the risk level of the third step to the portable terminal.
KR1020130167308A 2013-12-30 2013-12-30 Fire fight safety system for architecture using alalog address type sensor KR1015517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308A KR101551716B1 (en) 2013-12-30 2013-12-30 Fire fight safety system for architecture using alalog address typ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308A KR101551716B1 (en) 2013-12-30 2013-12-30 Fire fight safety system for architecture using alalog address type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128A KR20150080128A (en) 2015-07-09
KR101551716B1 true KR101551716B1 (en) 2015-09-11

Family

ID=53791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308A KR101551716B1 (en) 2013-12-30 2013-12-30 Fire fight safety system for architecture using alalog address type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71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95862B (en) * 2018-09-13 2023-07-04 开利公司 Fire detection system-end-to-end solution for fire detection design framework
CN109481877A (en) * 2018-11-06 2019-03-19 浙江方大智控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fire-pretection system
CN109432678A (en) * 2018-11-06 2019-03-08 浙江方大智控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fire-pretection system based on Multistage Control
CN110349364A (en) * 2019-08-20 2019-10-18 重庆南帜科技有限公司 Low-voltage electrical fire monitoring system
CN113205655A (en) * 2021-04-28 2021-08-03 中消云(北京)物联网科技研究院有限公司 Alarm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606B1 (en) * 2006-10-23 2007-12-26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invader and fire by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KR101034387B1 (en) * 2010-09-28 2011-05-16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System for guiding escape direction in the event of fire and the method thereof
KR101214503B1 (en) * 2012-05-18 2012-12-21 (주)위니텍 Indoor measuring service system using beacon nod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606B1 (en) * 2006-10-23 2007-12-26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invader and fire by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KR101034387B1 (en) * 2010-09-28 2011-05-16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System for guiding escape direction in the event of fire and the method thereof
KR101214503B1 (en) * 2012-05-18 2012-12-21 (주)위니텍 Indoor measuring service system using beacon no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128A (en)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716B1 (en) Fire fight safety system for architecture using alalog address type sensor
CN112862153B (en) BIM-based fire rescue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device
CN105303755B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onfiguration of devices in a building information model
KR10155171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venting fire of bulding
KR102322427B1 (en) Bigdata based building fire prevention response system and method
US20120047083A1 (en) Fire Situation Awareness And Evacuation Support
US20170109981A1 (en) System and method of using a fire spread forecast and bim to guide occupants using smart signs
KR101638972B1 (en) Built-in structures smart for safe emergency evacuation and provide information
KR101631090B1 (en) The fire perception system and the fire fighting system using building modeling data
CN206058455U (en) A kind of Fire Images Recognition System for possessing three kinds of grade smog identifications
KR20160118515A (en) Fire monitoring system and the operating method
KR10170915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irefighting facilities
CN110519560B (en) Intelligent early warning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1513949B1 (en) Method of providing accident rescue navigation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CN105516659A (en) Intelligent safe-guard system and method based on face emotion recognition
JPWO2017073101A1 (en) Digital smart safety system, method and program
CN112288320A (en) Subway operation risk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CN110633652A (en) Unexpected situ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40124462A (en) A Fire Evacuees' Contex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A System therefor
KR101816905B1 (en) System for providing evacuation route using emergency lights
KR20150061289A (en) Fire pathway prediction system based USN
Safayet et al. Development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based real-time fire alert system to reduce fire impact in Bangladesh
CN216927797U (en) Emergency disaster prevention management system
KR20150061251A (en) Fire service system based USN
CN108714284B (en) Intelligent starting system and method for fire fight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