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742B1 -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742B1
KR101548742B1 KR1020080127050A KR20080127050A KR101548742B1 KR 101548742 B1 KR101548742 B1 KR 101548742B1 KR 1020080127050 A KR1020080127050 A KR 1020080127050A KR 20080127050 A KR20080127050 A KR 20080127050A KR 101548742 B1 KR101548742 B1 KR 101548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input source
access
request signal
network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8630A (ko
Inventor
곽동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7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742B1/ko
Priority to EP09833547A priority patent/EP2371132A4/en
Priority to CN200980153980.6A priority patent/CN102362506B/zh
Priority to PCT/KR2009/002106 priority patent/WO2010071269A1/en
Priority to US13/139,832 priority patent/US9401123B2/en
Publication of KR20100068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1Access control lists [AC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84Client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MAC address, socket 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5Content authoring for generating interactive appl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09G2370/027Arrangements and methods specific for the display of internet docu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0Use of a protocol of communication by packets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접근 권한이 부여된 이더넷 네트워크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제공되는 입력 소스 중 접근이 허용된 입력 소스의 정보를 전달받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접근이 허용된 입력 소스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소스에 대한 요청신호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네트워크, 입력 소스, 수신, 전송, 분산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having network function and conrt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기술이 개발되고 사용화되면서 기존의 전파 매체 외에도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방송 시청,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및 뉴스 등 등 다양한 콘텐츠를 시청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상기 IPTV란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정보 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및 방송을 텔레비전 수신기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상기 IPTV는 인터넷과 텔레비전의 융합이라는 점에서 디지털 컨버전스의 한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PTV가 기존의 인터넷 TV와 다른 점이라면 컴퓨터 모니터 대신 텔레비전 수상기를 이용하고, 마우스 대신 리모컨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상기 IPTV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텔레비전 수상기와 셋톱박스, 인터넷 회선만 연결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리모컨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인터넷 검색은 물론 영화 감상, 홈쇼핑, 홈뱅킹, 온라인 게임, MP3 등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IPTV는 콘텐츠 제공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가 방송망 등의 전파 전달 매체를 이용하여 이들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들만(제한된 채널 수) 이용가능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더넷(Ethernet) 네트워크 기능을 토대로 자신과 친구 등록된 타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접근 허용 인증을 수행하여, 상호 간의 TV 입력을 무제한으로 추가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처리되는 현재 작업량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현재 작업량이 미리 설정한 작업량 임계값을 초과하면, 유휴 상태의 타 디스플레이장치로 자신이 처리할 작업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접근 권한이 부여된 이더넷 네트워크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제공되는 입력 소스 중 접근이 허용된 입력 소스의 정보를 전달받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접근이 허용된 입력 소스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소스에 대한 요청신호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는 네 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 상기 방송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 가능토록 패킷화하는 패킷화부; 및,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접근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접근이 허용된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 가능한 입력 소스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상의 특정 디스플레이장치에 접근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접근 요청 신호에 따른 접근 허용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제공되는 입력 소스 중 접근이 허용된 입력 소스에 대한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접근 허용 입력 소스 리스트에서 특정 입력 소소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선택신호가 입력된 특정 입력 소스의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상의 특정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접근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 허용 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 가능한 입력 소스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결정된 입력 소스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소스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소스에 대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입력 소스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이더넷 연결 및 각 접근 허용 인증을 수행한 사용자 간의 TV 입력을 무제한으로 추가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함에 따른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 디스플레이장치 간의 유휴 상태의 공유 하드웨어 자원을 이용하여 과부하가 걸리는 작업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작업을 분산처리함으로써, 과도한 작업을 수행중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안정성(Fault-tolerance)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20)(30)(40)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상호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방송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영상기기로써,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영상기기일 수 있다. 예로써, 상기 영상기기는 TV나 모니터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TV나 모니터는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는 이더넷(Ethernet)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더넷은 미국의 제록스(Xerox Corporation), 미니컴퓨터 제조회사인 디지털이퀴프먼트와 반도체 제조회사인 인텔(Intel Corporation)에서 공동으로 개발되어 1980년에 상품화되었다. LAN은 LAN의 국제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 미국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의 표준방식의 하나로서 채용되고 있다.
이더넷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의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방식을 사용한다. 즉, 데이터를 보내려는 컴퓨터가 먼저 통신망이 사용 중인지 아닌지 검사한 후에 비어 있을 때에만 데이터를 보내게 된다. 또한 통신망이 사용 중이면 일정시간을 기다린 후 다시 검사하여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게 되며, 상기 통신망의 사용 여부는 전기적인 신호를 토대로 확인한다.
또한, 만약 두 대의 컴퓨터가 동시에 검사하여 통신망이 사용 중이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고 동시에 전송하게 되면 충돌이 발생한다. 이런 경우에 대비해서 데이 터를 전송한 컴퓨터는 자신의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았는지를 확인하여 손상이 있으면 다시 전송하게 된다. 이때 두 컴퓨터의 재전송이 동일한 시간 후에 일어나면 다시 충돌이 발생하므로 재전송 시간은 일정한 방법에 의해 변경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더넷 네트워크를 토대로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서로 연결되며, 그에 따라 상호 간의 방송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방송 데이터 요청 동작 및 전송 동작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100)와, 상기 방송 데이터 수신부(10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는 방송 데이터 처리부(110)와, 상기 방송 데이터 처리부(110)를 통해 신호처리된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20)와, 접근 권한이 부여된 이더넷 네트워크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와, 상기 방송 데이터 수신부(100)를 통해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 가능토록 패킷화하는 패킷화부(140)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제공되는 입력 소스 중 접근이 허용된 입력 소스의 정보를 전달받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접근이 허용된 입력 소스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소스에 대한 요청신호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고,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접근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접근이 허용된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 가능한 입력 소스를 결정하는 제어부(150)와, 기 설정된 작업량 임계값의 초과 여부에 따라 자신의 작업을 타 디스플레이장치로 분산시키는 작업 분산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작업 분산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작업량을 모니터링하여, 기설정된 작업량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작업량 판단부(162)와, 상기 현재 작업량이 기설정된 작업량 임계값을 초과하면, 유휴 상태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검색하는 검색부(164)와, 상기 검색부(164)를 통해 검색된 디스플레이장치로 자신의 일정 작업을 분산시키는 작업 분산 제어부(1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방송 데이터 수신부(100)는 외부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튜너,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아날로그 튜너,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디지털 외부 신호 입력단자 및 아날로그 외부 신호 입력 단자와, PVR(Personal Video Recorder), DVR(Digital Video Recorder) 같은 디지털 녹화기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방송 데이터 수신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로그램들 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디지털 외부 신호 입력 단자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신호용 입력 단자 또는 DVD 같은 디지털 외부 재생기일 수 있으며, 상기 아날로그 외부 신호 입력 단자는 VCR 신호 입력 단자 또는 아날로그 케이블 방송 신호용 입력 단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튜너는 디지털 방송용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인 전송 스트림(TS: Tarnsport Stream)들 중 사용자 선택에 의해 원하는 채널의 전송 스트림을 동조한다. 상기 아날로그 튜너는 아날로그 방송용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들인 영상 프로그램들 중 사용자 선택에 의해 원하는 채널의 영상 프로그램을 동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 데이터들은 실시간 방송중인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외부 재생기로부터 입력된 영상 프로그램 및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영상 프로그램은 디지털 신호인 경우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를 포함하며,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방송 데이터 수신부(100)를 통해 수신된 방송 데이터는 방송 데이터 처리부(110)를 통해 신호처리된 후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방송 데이터 처리부(110)는 MPEG-2 디코더와,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20)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LED(Light Emitting Diode lamp)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용 가능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이더넷 네트워크를 거쳐 타 디스플레이장치와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인터페이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패킷화부(140)(Packetizer)는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IP) 기반의 패킷 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에 전달함으로써, 해당 데이터가 네트워크상의 타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패킷화부(140)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변경 과정은 상기 방송 데이터의 포맷 변경과는 별도의 과정으로서 통상 표준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과정이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무선랜(WLAN), 이동 통신의 무선 인터넷(EV-D0),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는 상기 인터넷 엑세스를 제공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으로서 LAN, WAN, 인트라넷, 및 이와 유사한 네트워크들에 의해 서로 접속되며 상기 유사한 네트워크들이란 전용망, 공중 전화망(PSTN)을 포함하는 유선망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IMT-2000 같은 무선망들을 포함 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방송 데이터 요청 동작에서의 상기 제어부(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제공되는 입력 소스 중 접근이 허용된 입력 소스의 정보를 전달받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접근이 허용된 입력 소스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소스에 대한 요청신호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방송 데이터 전송 동작에서의 상기 제어부(150)는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접근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접근이 허용된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 가능한 입력 소스를 결정한다.
이하, 상기 방송 데이터 요청 동작에서의 제어부(150)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타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연결할 타 디스플레이장치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접근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할 타 디스플레이장치의 선택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특정 디스플레이장치에 대응되는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과, 기존에 연결한 디스플레이장치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장치 선택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첫 번째 타 디스플레이장치 선택 방법은, 먼저 사용자로부터 타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연결하고자 하는 타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정보 입력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보에는 IP 어드레스 정보와 MAC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란, 인터넷상에서 라우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네트워크 주소와 일치하는 개념으로 부여된 32 비트의 주소를 의미한다. 상기 IP 주소를 이용하면 네트워크상의 유일한 호스트를 식별하는 것뿐만 아니라, 호스트가 있는 네트워크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IP 주소는 클래스로 나뉘어 있으며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모든 호스트는 동일한 프리픽스(prefix)를 공유한다.
또한, 상기 MAC 어드레스(MACA, MAC address)란, 이더넷의 물리적인 주소를 의미한다. 즉, 이더넷 카드의 읽기용 기억 장치(ROM)에 기록된 것으로서 주소 크기는 48비트인데, 미국전기전자학회(IEEE)가 전반부 24비트를 벤더(Vendor)에 할당하면, 벤더측은 후반부 24비트에 대해 세부 할당을 한다. 통신망 운용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모니터 초기 화면에는 각 기계의 이름이 미리 망 관리 인터페이스 카드(NIC:network interface card)에 할당되어 MAC 주소(MACA)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것만으로는 기계 명을 분간하기 어려우므로 메뉴의 ‘캡처’로 ‘모든 이름의 검색’을 선택, MACA를 기계 명으로 변환해 둔다. 일반적으로 이는 48비트 길이이며, 통상 개인용 컴퓨터(PC)나 구내 정보 통신망(LAN) 기기의 LAN 접속구상의 ROM에 기입해 두고, MAC층 데이터 프레임의 앞쪽(머리부)에는 송신처와 주소를 지정해서 사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장치 선택 화면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두 번째 타 디스플레이장치 선택 방법은, 먼저 사용자로부터 타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기존에 연결된 적이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이력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디스플레이를 중점으로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연결 이력을 기록해두고, 그에 따라 상기 연결 이력을 토대로 사용자가 연결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 이력 화면에는 그동안 연결되었던 디스플레이장치의 어드레스 정보와, 디스플레이장치 정보 및 최종 연결 정보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정보는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의 이름 정보를 의미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어드레스 정보만으로는 사용자가 해당 디스플레이장치가 어느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인지를 파악할 수 없으므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장치로 접근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접근 요청 신호가 전송된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상기 접근 요청신호를 전송한 디스플레이장치를 확인한 후,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하게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을 허용하게 되면, 자신의 전체 입력 소스 중 접근을 허용할 입력 소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접근 요청 신호를 전송한 디스플레이장치로 제공하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접근 요청 신호 전송에 따라 수신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의 접근 허용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접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준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접근 불가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에게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접근 가능한 입력 소스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입력 소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상기 입력 소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입력 소스 정보 중 특정 입력 소스의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입력 소스의 요청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전송되는 상기 입력 소스에 따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입력 소스에 따른 채널 증가/감소 신호, 볼륨 증가/감소 신호, 녹화재생기 및 외부기기의 재생/멈춤 신 호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고, 그에 따라 상태가 변경된 입력 소스가 수신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중 접근이 허용된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특정 입력 소스에 대한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그에 따라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총 9개의 입력 소스가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입력 소스의 개수는 더 증가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네트워크 연결 및 접근 권한을 부여받은 상호 간의 입력 소스를 자신의 입력 소스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방송 데이터 전송 동작에서의 제어부(15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접근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접근 요청 신호가 전송된 타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외부의 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접근 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다음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접근 허용 요청 신호가 전송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접근 요청 신호를 전송한 디 스플레이장치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접근 요청 신호를 전송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 허용 여부를 선택한다.
즉, '접근을 허용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예'라는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을 허용하고, 사용자가 '아니오'라는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을 차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접근 허용 불가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이 허용되면, 자신의 전체 입력 소스 중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 가능한 입력 소스, 즉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을 허용할 자신의 입력 소스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상기 접근을 허용할 입력 소스의 결정 방법은 사용자의 선택신호에 따른 수동 선택 방법과, 미사용중인 입력 소스를 기준으로 선택하는 자동 선택 방법이 존재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접근 허용 입력 소스설정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이 허용됨에 따라 전체 입력 소스 중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을 허용할 입력 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메뉴화면상에는 자신의 전체 입력 소스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전체 입력 소스 리스트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을 허용할 입력 소스만 을 선택한다.
즉, 상기 전체 입력 소스 리스트 상에서 RF, HDMI2, AV1, AV2, HDD 입력 소스가 선택된 경우, 상기 타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상기 접근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친구로 등록된 세트의 RF, HDMI2, AV1, AV2, HDD 입력 소스를 자신의 입력 소스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전체 입력 소스 리스트 상에서 접근 허용 입력 소스가 선택되면, 상기 접근이 허용된 입력 소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접근 요청 신호를 전송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접근이 허용된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입력 소스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요청신호가 전송된 입력 소스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한 입력 소스의 현재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입력 소스의 전송 여부를 결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요청신호가 전송된 입력 소스가 현재 사용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이미 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입력 소스가 사용중일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입력 소스가 현재 사용상태인지, 아니면 대기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입력 소스 상태가 이미 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사용중이면, 상기 해당 입력 소스의 요청 신호를 전송한 디스플레이장치에 해당 입력 소소의 전송 불가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입력 소스 상태가 현재 미사용 상태이면, 상기 입력 소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스 전송 불가 신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요청 신호가 전송된 입력 소스가 이미 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사용중인 경우, '요청한 입력 소스는 이미 'A'사용자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시청을 원하시면 다른 입력 소스를 선택해주세요.'라는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접근이 허용된 입력 소스 중 상기 입력 소스를 제외한 어느 하나의 입력 소스 선택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요청한 입력 소스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시청하고자 하는 다른 입력 소스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분산부(160)는 기 설정된 작업량 임계값의 초과 여부에 따라 자신의 작업을 타 디스플레이장치로 분산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작업 분산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작업량을 모니터링하여, 기설정된 작업량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작업량 판단부(162)와, 상기 현재 작업량이 기설정된 작업량 임계값을 초과하면, 유휴 상태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검색하는 검색부(164)와, 상기 검색부(164)를 통해 검색된 디스플레이장치로 자신의 일정 작업을 분산시키는 작업 분산 제어부(1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 작업 분산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작업량 판단부(162)는 상기 제어부(150)의 현재 작업량 체크하고, 상기 체크한 현재 작업량이 기 설정된 작업량 임계치를 초과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상기 작업량의 판단 기준은 상기 제어부(150)의 프로세스 성능, 메모리(미도시)의 사이즈 및 상기 제어부(150)의 작업 부하량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량 판단부(162)를 통해 판단된 현재 작업량이 기 설정된 작업량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자신의 작업을 타 디스플레이장치에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분산시킬 타 디스플레이장치의 검색 동작을 수행한다.
즉, 검색부(164)는 상기 자신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수행중인 작업을 분산시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검색한다. 이때, 상기 검색부(164)는 현재 자신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외부로 전송되는 입력 소스와 동일한 입력 소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현재 자신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A소스의 제 1 방송 데이터, B 소스의 제 2 방송 데이터 및 C 소스의 제 3 방송 데이터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고 있으면, 상기 A소스의 제 1 방송 데이터, B 소스의 제 2 방송 데이터 및 C 소스의 제 3 방송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방송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검색한다.
이때, 상기 검색부(164)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검색시, 상기 타 디스플레이장치의 작업량을 기준으로 유휴 상태의 디스플레이장치만 선택적으로 검색한다.
결론적으로, 상기 검색부(164)는 유휴상태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현재 자신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와 동일한 방송 데이터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검색한다.
작업 분산 제어부(166)는 상기 검색부(164)의 검색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자신의 작업을 상기 검색된 디스플레이장치에 분산시켜, 자신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작업 부하량을 낮추도록 한다.
즉, 예를 들어 상기 A 소스의 제 1 방송 데이터가 제 1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고 있으며, 상기 검색결과 A 소스의 제 1 방송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 2 디스플레이장치가 검색된 경우, 상기 작업 분산 제어부(166)는 상기 A 소스의 제 1 방송 데이터에 대한 전송 작업을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장치에 인계한다.
결론적으로, 상기 작업 분산 제어부(166)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제공되는 A 소스의 제 1 방송 데이터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장치 간의 유휴 상태에 있는 공유 하드웨어 자원을 이용하여 과부하가 걸리는 작업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작업을 분산시킴으로써, 전체적인 하드웨어 자원의 낭비 없이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더넷 연결 및 각 접근 허용 인증을 수행한 사용자 간의 TV 입력을 무제한으로 추가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함에 따른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 디스플레이장치 간의 유휴 상태의 공유 하드웨어 자원을 이용하여 과부하가 걸리는 작업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작 업을 분산처리함으로써, 과도한 작업을 수행중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안정성(Fault-tolerance)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접근 요청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로부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연결할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를 선택한다(S10). 즉, 사용자가 직접 연결할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어드레스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기존에 연결된 적이 있는 연결 이력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그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연결할 외부 디스플레이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에 접근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20).
그리고, 상기 접근 요청 신호 전송에 따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 권한이 부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즉,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이 허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30) 상기 접근 권한이 부여되었으면, 접근이 허용된 입력 소스 목록을 수신한다(S40).
그리고, 상기 수신된 입력 소스 목록상에서 특정 입력 소스의 선택신호를 입력받는다(S50).
이어서, 상기 선택된 입력 소스의 요청 신호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한다(S60).
그리고, 상기 요청한 입력 소스의 전송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70).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70) 상기 요청한 입력 소스의 전송이 가능하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요청한 입력 소스를 수신한다(S80).
그리고, 상기 수신된 입력 소스를 디스플레이한다(S90).
또한, 상기 판단결과(S70) 상기 요청한 입력 소스의 전송이 불가능하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요청한 입력 소스의 전송 불가 신호를 수신한다(S100).
이어서, 상기 수신된 전송 불가 신호에 따른 상기 요청 신호의 전송 불가 메시지 및 다른 입력 소스의 선택을 위한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110).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수신 측의 디스플레이장치와 전송 측의 디스플레이장치 간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제 1 디스플레이장치(수신 측)에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연결에 따른 연결 디스플레이장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선택된 제 2 디스플레이장치에 접근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200).
제 2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접근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접근 요청 신호가 전송된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S210).
그리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이 허용되었으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에 접근을 허용한 입력 소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입력 소스의 목록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한다(S220).
이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전송되는 입력 소스 목록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입력 소스 목록상에서 특정 입력 소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입력 소스의 요청 신호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한다(S230).
그리고, 제 2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요청 신호가 전송된 특정 입력 소스의 현재 상태를 파악한다(S240). 즉, 상기 요청된 입력 소스가 현재 사용중인지, 아니면 미사용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특정 입력 소스의 현재 상태가 미사용중인 경우, 해당 입력 소스를 무선 전송 가능한 형태로 패킷화한 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한다(S250).
그리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입력 소스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입력 소스의 상태를 변경하거나, 상기 입력 소스의 변경을 위한 신호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한다(S260). 여기에서, 상기 입력 소스의 상태 변경 신호에는 채널 증가/감소 신호, 볼륨 증가/감소 신호, 녹화재생기 및 외부기기의 재생/멈춤 신호가 포함되며, 상기 입력 소스 변경 신호는 현재 수신되는 소스를 다른 소스로 변경하기 위한 신호이다.
이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소스의 상태 변경 신호 또는 입력 소스 변경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현재 전송되는 입력 소스의 상태 또는 입력 소스 종류를 변경하여 상기 제 1 디 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한다(S270).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소스 전송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접근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300).
이어서, 상기 접근 요청 신호가 전송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어드레스 정보를 확인한다(S310).
그리고, 상기 접근 요청신호가 전송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이 허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320)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이 허용되었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을 허용할 입력 소스를 선택한다(S330). 즉,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와 공유할 입력 소스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된 입력 소스에 대한 목록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한다(S340).
이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특정 입력 소스의 요청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50).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S350)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특정 입력 소소의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요청신호가 수신된 입력 소스의 현재상태를 확인한다(S360).
이어서, 상기 요청신호가 수신된 입력 소스가 현재 사용중인지 아니면, 미사 용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70).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S370) 상기 요청신호가 수신된 입력 소스가 현재 미사용중이면, 상기 입력 소스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한다(S380).
또한, 상기 판단결과(S370) 상기 요청신호가 수신된 입력 소스가 현재 사용중이면, 상기 입력 소스의 전송 불가 신호를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한다(S390).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작업 분산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작업 분산 방법은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자신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처리되는 현재 작업량을 계산한다(S400).
이어서, 상기 계산된 현재 작업량과 기설정된 작업량 임계값을 비교한다(S410).
그리고, 상기 계산된 현재 작업량이 기 설정된 작업량 임계값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420) 상기 계산된 현재 작업량이 기 설정된 작업량 임계값을 초과하면,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중 유휴 상태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검색한다(S430). 또한, 이때 상기 자신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는 입력 소스와 동일한 소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검색한다.
결론적으로, 상기 판단결과(S420) 상기 계산된 현재 작업량이 기 설정된 작 업량 임계값을 초과하면,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중 현재 자신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는 입력 소스와 동일한 입력 소스를 제공하는 유휴 상태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검색한다.
이어서, 상기 검색된 디스플레이장치 중 작업 분산 처리가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선정한다(S440).
그리고, 상기 선정된 디스플레이장치에 자신의 특정 작업을 인계한다(S45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은 이더넷 연결 및 각 접근 허용 인증을 수행한 사용자 간의 TV 입력을 무제한으로 추가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함에 따른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 디스플레이장치 간의 유휴 상태의 공유 하드웨어 자원을 이용하여 과부하가 걸리는 작업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작업을 분산처리함으로써, 과도한 작업을 수행중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안정성(Fault-tolerance)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분산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장치 선택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장치 선택 화면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접근 허용 입력 소스설정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스 전송 불가 신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접근 요청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수신 측 의 디스플레이장치와 전송 측의 디스플레이장치 간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소스 전송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작업 분산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데이터 수신부 110: 방송 데이터 처리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40: 패킷화부 150: 제어부
160: 작업 분산부

Claims (23)

  1. 접근 권한이 부여된 이더넷 네트워크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소스 중 접근이 허용된 입력 소스에 대한 접근 허용 입력 소스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접근 허용 입력 소스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소스 중 하나의 입력 소스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면, 상기 선택된 입력 소스에 대한 전송 요청 신호를 상기 선택된 입력 소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입력 소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선택된 입력 소스의 상태를 미사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선택된 입력 소스를 전송하면, 상기 선택된 입력 소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전송한 입력 소스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권한은 IP 어드레스 및 MAC 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의 정보에 의하여 부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는 방송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방송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신호 처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데이터를 소정 영역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소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에 포함된 디지털 방송용 튜너, 아날로그 방송용 튜너, 케이블 방송 입력단자, 녹화 재생기 및 외부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수단에 대한 입력 소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채널 증가/감소 신호, 볼륨 증가/감소 신호, 녹화재생기 및 외부기기의 재생/멈춤 신호를 상기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6.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
    상기 방송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 가능토록 패킷화하는 패킷화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접근 요청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소스에 대한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소스의 현재 사용 여부에 대한 현재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기초로 상기 접근이 허용된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소스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가능한 하나 이상의 입력 소스는 전체 입력 소스 중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전송된 전송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입력 소스인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입력 소스에 대한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송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입력 소스를 상기 전송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요청신호에 대응되는 입력 소스가 사용중이면, 상기 전송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 불가 신호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작업량 임계값의 초과 여부에 따라 동작 중인 작업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로 분산시키는 작업 분산부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분산부는
    상기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작업량을 모니터링하여, 기설정된 작업량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작업량 판단부와,
    상기 현재 작업량이 기설정된 작업량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유휴 상태인 디스플레이장치를 검색하는 검색부와,
    상기 검색부를 통해 검색된 상기 유휴 상태인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동작 중인 작업 중 일정 작업을 분산시키는 작업 분산 제어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소스와 동일한 입력 소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검색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13. 네트워크상의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접근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접근 요청 신호에 따른 접근 허용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 소스 중 접근이 허용된 입력 소스에 대한 접근 허용 입력 소스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접근 허용 입력 소스 리스트에서 하나의 입력 소스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선택된 입력 소스에 대한 전송 요청 신호를 상기 선택된 입력 소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입력 소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선택된 입력 소스의 상태를 미사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선택된 입력 소스를 전송하면, 상기 선택된 입력 소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전송한 입력 소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 소스 중 접근을 요청할 입력 소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근을 요청할 입력 소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접근을 요청할 입력 소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IP 어드레스 및 MAC 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입력 소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입력 소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중에 상기 수신된 입력 소스에 대한 채널 증가/감소, 볼륨 증가/감소, 녹화재생기 및 외부기기의 재생/멈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입력 소스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17. 네트워크상의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접근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접근 허용 여부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 가능한 입력 소스를 결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결정된 입력 소스에 대한 입력 소스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입력 소스 리스트에 포함된 입력 소스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소스에 대한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송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입력 소스의 현재 사용 여부에 대한 현재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기초로 상기 전송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전송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입력 소스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18. 삭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를 기초로 상기 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전송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입력 소스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 소스가 사용중이면, 상기 전송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 불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20. 삭제
  21. 제 17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작업량 임계값의 초과 여부에 따라 동작 중인 작업을 상기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작업량 임계값의 초과 여부에 따라 동작 중인 작업을 상기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분산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소스 전송에 따른 현재 작업량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작업량에 따른 작업 부하가 상기 기 설정된 작업량 임계값을 초과하면, 유휴상태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동작 중인 작업 중 일정 작업을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상태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되는 입력 소스와 동일한 입력 소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중인 작업 중 일정 작업을 분산시키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동일한 입력 소스의 전송 작업을 인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80127050A 2008-12-15 2008-12-15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548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050A KR101548742B1 (ko) 2008-12-15 2008-12-15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EP09833547A EP2371132A4 (en) 2008-12-15 2009-04-22 IMAGE PROGRAM REQUEST SIGNAL, ACCORDING SPECIFIC INPUT SOURCES BASED ON LIST RECEIVED, FOR EXTERNAL DISPLAY DEVICES
CN200980153980.6A CN102362506B (zh) 2008-12-15 2009-04-22 具有网络功能的显示装置和控制其的方法
PCT/KR2009/002106 WO2010071269A1 (en) 2008-12-15 2009-04-22 Request signal of an image program according to specific input sources based on the received list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s
US13/139,832 US9401123B2 (en) 2008-12-15 2009-04-22 Request signal of an image program according to specific input sources based on the received list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050A KR101548742B1 (ko) 2008-12-15 2008-12-15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630A KR20100068630A (ko) 2010-06-24
KR101548742B1 true KR101548742B1 (ko) 2015-09-11

Family

ID=4226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050A KR101548742B1 (ko) 2008-12-15 2008-12-15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01123B2 (ko)
EP (1) EP2371132A4 (ko)
KR (1) KR101548742B1 (ko)
CN (1) CN102362506B (ko)
WO (1) WO20100712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34001A1 (en) 2011-05-26 2020-04-08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2867001B (zh) * 2011-07-05 2019-12-24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获取信息的方法和装置
CN103049997B (zh) * 2011-10-11 2016-01-27 Lg电子株式会社 遥控器以及多媒体设备的控制方法
US9288517B2 (en) * 2012-03-08 2016-03-15 Telvu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based ordering of on-demand digital content
TWI533197B (zh) * 2012-06-19 2016-05-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影像輸出方法與電子裝置
KR20140012505A (ko) * 2012-07-20 2014-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를 공유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FI124940B (fi) 2012-08-31 2015-03-31 Gurulogic Microsystems Oy Laitteen ja näytön yhteistoiminta
EP2939419A1 (en) * 2012-12-31 2015-11-04 Arçelik Anonim Sirketi A video recording device
CN103648053A (zh) * 2013-12-23 2014-03-19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在智能电视中连接远程存储设备的方法和装置
KR102250090B1 (ko) * 2014-12-24 2021-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WO2019232487A1 (en) 2018-06-01 2019-12-05 Greenphire,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and data processing management for clinical trial administration systems
US20210335486A1 (en) * 2020-04-28 2021-10-28 Greenphire, Inc. System and method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management providing historical data-based forecasting for clinical trial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4145A1 (en) * 2003-03-27 2004-09-30 Sony Corporation Leveraging PC processing power to handle CPU intensive task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86425B2 (en) * 1998-07-17 2019-01-30 Rovi Guid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within a household
US6505348B1 (en) * 1998-07-29 2003-01-07 Starsight Telecast, Inc. Multiple interactive electronic program guide system and methods
US20040073707A1 (en) * 2001-05-23 2004-04-15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Generating a list of network addresses for pre-loading a network address cache via multicast
EP1436687A4 (en) 2001-09-20 2005-09-14 Ucentric Holdings Inc CENTRALIZED RESOURCE MANAGER WITH POWER SWITCHING SYSTEM
US8528015B2 (en) * 2003-11-06 2013-09-03 Aptiv Digital, Inc. Resource sharing system of set-top boxes
KR100810883B1 (ko) 2005-09-27 2008-03-07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방송과 연동한 iptv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KR101724975B1 (ko) 2005-12-23 2017-04-07 로비 가이드스, 인크. 다수의 장치를 갖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안내 시스템
US20070157266A1 (en) 2005-12-23 2007-07-0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media guidanc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US20090248794A1 (en) * 2008-03-26 2009-10-01 Time Warner Cabl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sharing
US7548547B2 (en) * 2006-03-31 2009-06-16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ing the transfer of terminal server data
US20070280293A1 (en) * 2006-06-06 2007-12-06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video streaming over IP networks
KR101234156B1 (ko) * 2006-06-14 2013-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항목 그룹화를 이용한 외부입력 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영상기기
KR100828368B1 (ko) 2006-09-01 2008-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과 전자프로그램 가이드 생성 방법
KR100899742B1 (ko) 2006-09-30 200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정보 이용 시스템 및 방법
US8739214B2 (en) * 2007-11-08 2014-05-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computer program products, and virtual servers for a virtual collaborative environment
US20090328117A1 (en) * 2008-06-25 2009-12-3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twork Based Management of Visual Ar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4145A1 (en) * 2003-03-27 2004-09-30 Sony Corporation Leveraging PC processing power to handle CPU intensive tas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62506B (zh) 2015-08-05
US20110265112A1 (en) 2011-10-27
WO2010071269A1 (en) 2010-06-24
EP2371132A1 (en) 2011-10-05
EP2371132A4 (en) 2012-09-19
CN102362506A (zh) 2012-02-22
US9401123B2 (en) 2016-07-26
KR20100068630A (ko)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742B1 (ko)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1888914B2 (en) Multiple flinging devices in a media fling system
JP6349356B2 (ja) マルチスクリーン・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及びシステム
EP2750470B1 (en) Method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television receivers
US8885552B2 (en) Remote control via local area network
RU2524164C2 (ru) Телевизионные сеансы совмест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US11019396B2 (en) Television chan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US8910220B2 (en) Multi-format distribution of content
US8321564B2 (en) Rendering device selection in a home network
US9032041B2 (en) RDMA based real-time video client playback architecture
KR20150115620A (ko) 알고리즘 미디어 스트림 선택
US20140359672A1 (en) Streaming multicast content to a television via a mobile device
CN112352438A (zh) 家长控制监视系统及方法
RU2572836C2 (ru) Пере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таблицы информации приложений (ait) и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280168B1 (ko) 콘텐츠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20080133545A1 (en) Terminal devices with function of distributing data and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multimedia data using the same
US20240179205A1 (en) Multiple Flinging Devices in a Media Fling System
US1139479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09225175A (ja) ルータ装置、受信端末、放送配信システム、配信方法、受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146754B1 (ko)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에서 서비스 신호 수신 장치
JP2003318978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サーバ、端末電子機器及びデータ転送方法
JP2006203727A (ja) 通信端末装置
WO20142092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uners in client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