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649B1 - Method for amending information of linear-bas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for amending information of linear-bas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649B1
KR101548649B1 KR1020140140494A KR20140140494A KR101548649B1 KR 101548649 B1 KR101548649 B1 KR 101548649B1 KR 1020140140494 A KR1020140140494 A KR 1020140140494A KR 20140140494 A KR20140140494 A KR 20140140494A KR 101548649 B1 KR101548649 B1 KR 101548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linear object
information
seq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4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창희
김종훈
이용환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40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6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6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near-bas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facility management part storing and managing various kinds of pieces of information on facilities of areas; a linear object managing part that stores and manages shapes and basic information of linear objects and information on their origin and destination; a control part calculating the position of each linear object-based facility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facility management part and the linear object managing part and correcting the position of each linear object-based facility when a linear object is renewed; and a storing part that stores inform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the facility and the linear object, a turn, a position, and information on a corrected position of each facility into each designated table. The linear-based facility managing system can further intuitionally express and manage information on events (e.g. a neighboring facility, an appendage or the like) in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managing system. Also, a function to automatically correct the position of the facility without a separated manual work when the linear object is renewed is achieved. In addition, the ambiguity of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and management information on the facility, which is caused by the frequent renewal of a map, is removed.

Description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보정방법 {METHOD FOR AMENDING INFORMATION OF LINEAR-BASED FACILITY MANAGEMENT SYSTE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rrecting information in a linea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GIS기반의 시설물 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형 네트워크 데이터와 이에 부속된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GIS-based facilities manag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linear network data and facility management systems attached thereto.

지리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은 자연물과 인공물의 공간상 위치와 속성정보를 컴퓨터로 가시화하고 이들 데이터를 입력하고 편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지리정보 시스템(GIS)은 지리적으로 참조 가능한 모든 형태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조정, 분석,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지리적 자료를 모아, 이들을 이용할 수 있다.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s a computer system that can visualize the spatial location and property information of natural objects and artifacts, input, edit and analyze these dat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can gather and use computer hardware, software, and geographic data that are designed to collect, store, update, coordinate, analyze, and represent all types of geographically referential information effectively.

GIS는 다양한 지구표면정보의 참조를 위하여 공간적으로 위치를 표현하는 지형정보와 그 형태와 기능을 설명·보완하는 비도형 속성정보를 그래픽과 데이터베이스의 관리기능 등과 연계하여 정보를 저장, 추출, 관리, 분석하는 정보체계 관련기술로, 지형정보의 특성(속성)정보를 부가하여 지도의 공간적인 관계를 표현하는 종합적인 분석수단이기도 하다. 공간상 위치를 점유하는 지리자료(geographic data)와 이에 관련된 속성자료(attribute data)를 통합하여 처리한다. GIS는 토지정보 관리, 시설물 관리, 교통, 도시계획 및 관리, 환경, 일기예보, 농업, 재해 및 재난, 교육, 인구예측 분야 등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GIS is a system for storing, extracting, managing, and managing information by linking geographical information that represents a spatial location for various earth surface information references and non-graphic attribute information that explains and complements its form and function with graphical and database management functions. It is an information system related technology to analyze, and it is a comprehensive analysis means that expresses the spatial relation of map by adding characteristic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Geographic data occupying spatial position and related attribute data are integrated and processed. GIS can be widely used in land information management, facility management, transportation, urban planning and management, environment, weather forecasting, agriculture, disaster and disaster, education and population prediction.

이용목적의 관점에서 보면, GIS는 시설물관리(FM: Facility Management) 시스템과 계획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으며, 또한, 토지정보시스템(LIS: land information system)과 도시정보시스템(UIS: urban information system)으로 구분될 수 있다.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urpose of use, GIS can be divided into Facility Management (FM) system an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planning support, Land Information System (LIS) (UIS: urban information system).

종래, GIS의 도시정보시스템은 시설물의 위치(공간) 정보만을 관리하며, 시설물과 상관 관계가 있는 선형정보는 배경지도 형태로 서비스 하였다. 시설물의 모체가 되는 선형공간 정보와 별개로 단순 시설물 정보만을 관리하여 개별 시설물 관리기능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Conventionally, the city information system of GIS manages only the location (space) information of the facilities, and the linear information correlated with the facilities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ackground map. In addition to the linear spatial information, which is the matrix of the facility, the system manages only the information of the simple facilities and focuses on the management of individual facilities.

이러한 종래 시스템의 경우, 개별 시설물 관리에는 부족함이 없지만, 시설물이 존재하는 이유인 선형형태의 부모 공간정보(예: 도로, 철도 등)와의 연관성이 없어 선형기반 관리기능 지원이 어렵고 효율적인 상관관계 분석을 지원하기 어렵다. 그리고, 단순한 위치식별방법으로 인한 활용성의 한계와 시설물들에 대한 분석 및 통계의 부정확성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system, there is no shortage in the management of individual facilities, but there is no relation with the linear form of parent spatial information (for example, roads, railways, etc.) It is difficult to support. Also, there have been pointed out problems such as limitation of usability due to simple location identification method, analysis of facilities and inaccuracy of statistics.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도로분야의 건설은 주로 도로를 새로 놓는데 치중해 온 경향이 있었다면, 이제는 이미 놓여진 도로들을 유지하고 보수하는데 대한 막대한 자금이 필요한 실정으로, 유지보수의 효율화를 위해 과감한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다.From the 1970s to the present, if the construction of the road sector tended to focus mainly on new roads, it is now necessary to have huge funds to maintain and repair the existing roads. It is a situation.

시설물 관리에 관한 종래 GIS시스템은 시설물의 위치(공간) 정보만을 관리하며, 시설물과 상관 관계가 있는 선형정보는 배경지도 형태로 서비스 하였다. 시설물의 모체가 되는 선형공간 정보와 별개로 단순 시설물 정보만을 관리하여 개별 시설물 관리기능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The conventional GIS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manages only the location (spac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and the linear information correlated with the facility is served in the form of a background map. In addition to the linear spatial information, which is the matrix of the facility, the system manages only the information of the simple facilities and focuses on the management of individual facilities.

이러한 종래 시스템의 경우, 개별 시설물 관리에는 부족함이 없지만, 시설물이 존재하는 이유인 선형형태의 부모 공간정보(예: 도로, 철도 등)와의 연관성이 없어 선형기반 관리기능 지원이 어렵고 효율적인 상관관계 분석을 지원하기 어렵다. 그리고, 단순한 위치식별방법으로 인한 활용성의 한계와 시설물들에 대한 분석 및 통계의 부정확성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system, there is no shortage in the management of individual facilities, but there is no relation with the linear form of parent spatial information (for example, roads, railways, etc.) It is difficult to support. Also, there have been pointed out problems such as limitation of usability due to simple location identification method, analysis of facilities and inaccuracy of statistics.

또한, 선형객체가 갱신되면 관리하는 시설물의 위치정보도 수동으로 수정해 주어야 하는 관리 상의 비효율성의 문제가 있으며, 선형객체의 정보나 공간 형상이 변경된 경우 이를 반영하기 위한 시설물 위치정보의 보정에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of management inefficiency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o be managed must be manually modified when the linear object is updated, and it is difficult to correct the facility location information to reflect the change in the information or spatial shape of the linear object .

본 발명의 목적은 GIS 기반과 연동하여, 도로와 같은 선형객체의 부속 시설물에 관한 정보를 선형객체의 속성과 상관관계를 갖도록 저장하고 관리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nea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that interoperates with a GIS base and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related to a linear object such as a road in correlation with a property of a linear object.

또한, 선형객체의 갱신 시 별도의 수작업없이 시설물 위치를 자동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nea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correct facility locations without manual operation when updating linear objects.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성 및 이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기재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상기 설명에 의해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행을 통해 숙지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표 및 다른 이점들은 특히 아래 기재된 설명 및 부가된 도면뿐만 아니라 청구항에서 지적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것이다.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set forth in the description which follows, and in part will b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r may be learned by practice of the invention. The objectiv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lized and attained by the structure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시스템은 선형 객체단위의 조회 연산 이외 다양한 GIS 공간정보 기반 분석기능과 어우러져 네트워크에 연결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스마트한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The linea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cted to provide a smart environment for facility management linked to a network in conjunction with various GIS spatial information based analysis functions other than linear object unit inquiry operations.

본 발명은 방향성을 가지는 선형(Line Segment)객체와 그 선형객체에 이벤트들(예: 주변 시설물, 부속물 등)을 연결하여 관리함으로써, 선형객체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그와 상관관계가 있는 이벤트들(예: 주변 시설물, 부속물 등)의 정보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 segment object having a direction and an event (e.g., peripheral facilities, ancillary items, etc.) linked to the linear object and managing the linear object, (For example, surrounding facilities, accessories, etc.) can be easily corrected.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시스템은 종래 고전적인 관리 시스템에 비해 훨씬 더 직관적으로 이벤트들(예: 주변 시설물, 부속물 등)의 정보를 표현하고 관리할 수 있다.The linea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resent and manage information of events (e.g., nearby facilities, appendages, etc.) more intuitively than the conventional management system.

또한, 선형객체의 갱신 시 별도의 수작업없이 시설물 위치가 자동 보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하였고, 지도의 잦은 갱신으로 인한 시설물의 상대적 위치정보 및 관리정보의 모호성을 제거하였다.In addition, when the linear object is updated, the function of automatically correcting the location of the facility is implemented without any manual work, and the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and the ambiguity of the management information due to frequent updating of the map are removed.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모형의 예시도.
도3은 법선을 가지지 않는 선형객체에 관한 시설물 관리 모형의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시설물에 순번을 지정하고 관리하는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여러 개의 단위 선형객체들로 이루어진 노선에 관한 관리모형의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도7은 선형객체의 형태가 변경된 경우에 관한 시설물 관리 모형의 예시도.
도8은 선형객체의 형태가 변경된 경우 시설물 관리방법의 동작 알고리즘.
도9는 선형객체의 길이가 변경된 경우에 관한 시설물 관리 모형의 예시도.
도10은 선형객체의 길이가 변경된 경우 시설물 관리방법의 동작 알고리즘.
도11은 선형객체가 병합된 경우에 관한 시설물 관리 모형의 예시도.
도12는 선형객체가 병합된 경우 시설물 관리방법의 동작 알고리즘.
도13은 선형객체가 분할된 경우에 관한 시설물 관리 모형의 예시도.
도14는 선형객체가 분할된 경우 시설물 관리방법의 동작 알고리즘.
1 is a block diagram of a linea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a linear infrastructure management mode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ample of a facility management model for a linear object having no normal.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assigning and managing a facility numb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n exemplary management model for a line of multiple unitary linear object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aging a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view of a facility management model when the shape of a linear object is changed. FIG.
8 is an operation algorithm of a facility management method when the shape of a linear object is changed.
FIG. 9 is an exemplary view of a facility management model when the length of a linear object is changed; FIG.
10 is an operation algorithm of a facility management method when the length of a linear object is changed.
Figure 11 is an example of a facility management model for the case where linear objects are merged;
12 is an operation algorithm of a facility management method when linear objects are merged;
Figure 13 is an example of a facility management model for a case where a linear object is divided;
14 is an operation algorithm of a facility management method when a linear object is divid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linea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지역별 시설물들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부와, 선형객체들의 형태와 기본 정보, 그리고 시종점에 관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선형객체 관리부와, 상기 시설물 관리부와 선형객체 관리부의 저장 정보를 참조하여, 선형객체 기반의 각 시설물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선형객체의 갱신 시 시설물들의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시설물과 선행객체간의 관계에 관한 정보와 각 시설물의 순번, 위치, 그리고 보정된 위치에 관한 정보를 각기 지정된 테이블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 linear object management unit for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on the shape, basic information, and time points of the linear objects,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torage information of the facilities management unit and the linear object management unit,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the position of each facility based on the linear object and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facilities upon updating the linear object, the information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 facility and the preceding object, the order of the facilities,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corrected position in each designated table.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설물 관리부와 선형객체 관리부의 저장 정보를 참조하여 시설물과 가장 인접한 선형객체를 탐색하고, 그 탐색된 선형객체와 시설물 사이의 법선과 교점(Mp)를 구하는 교점 검출부와, 상기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교점(Mp)까지의 거리(M)를 구하고, 상기 교점(Mp)과 시설물까지의 직선 거리(D)를 구하는 거리 산출부와, 상기 선형객체의 종점을 지향한 시계방위법 기준으로 선형객체상 시설물의 방향정보를 산출하는 방향 산출부와, 상기 선형객체의 형태 또는 길이가 변형되거나 선형객체들 간 병합 또는 분할이 발생한 경우, 상기 교점 검출부에서 검출한 법선과 교점(Mp)을 이용하여, 상기 선형객체 기반의 시설물 위치를 보정하는 위치 보정부와, 상기 거리(M)를 이용하여 각 시설물들에게 순번(SEQ)을 할당하는 순번 지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control unit searches for a linear object closest to the facility by referring to the storag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management unit and the linear object management unit, and obtains an intersection Mp and a normal line between the detected linear object and the facility, A distance calculation unit for obtaining a distance M from the viewpoint of the linear object to an intersection Mp and obtaining a straight line distance D from the intersection Mp to the facility, (Mp) between the normal detected by the intersection detecting unit and the intersection point (Mp) when the shape or the length of the linear object is deformed or the merging or division occurs between the linear objects, A location correcting unit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facilities based on the linear object, and an order assigning unit for assigning a sequence to each facility using the distance M And a second electrode.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 보정부는, 상기 선형객체의 형태가 변형된 경우, 우선, 순번(SEQ)을 기준으로 기존 선형객체에 연결된 모든 시설물들을 검색하며, 검출된 시설물들에 관한 리스트(List L)를 작성하고, 리스트(List L)상의 첫 번째 시설물부터 차례로 조회하여, 갱신 전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설물까지의 거리(M)를 확인하고, 갱신된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거리(M)만큼 떨어진 지점(X, Y)을 산출하고, 그 지점(X, Y)을 기준으로 상기 시설물의 위치(X', Y')를 검출하며, 상기 시설물의 연결위치 정보를 (X, Y)와 (X', Y')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 shape of the linear object is deformed, the position corrector preferably searches all the facilities connected to the existing linear object based on the sequence (SEQ), and searches the list (List L) about the detected facilities (M) from the viewpoint of the linear object before the update to the facilities in the order from the first facility on the list (List L), and determines the distance (M) from the viewpoint of the updated linear object (X, Y) of the facility is detected on the basis of the point (X, Y) and the connectio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is detected as (X, Y) and (X ', Y').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 보정부는, 상기 선형객체의 길이가 변형된 경우, 우선, 순번(SEQ)을 기준으로 기존의 선형객체에 연결된 모든 시설물들을 검색하고, 검출된 시설물들에 관한 리스트(List L)를 작성하며, 상기 리스트(List L)상의 첫 번째 시설물부터 차례로 조회하여, 갱신 전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설물까지의 거리(M)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거리(M)값에 변경된 길이(α)를 더하여 새로운 거리 정보(M')를 산출하고, 상기 시설물의 거리 정보(M)를 새로운 정보(M')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 length of the linear object is changed, the position corrector preferably searches all the facilities connected to the existing linear object based on the sequence (SEQ), and searches the list (List L) about the detected facilities, And checks the distance M from the viewpoint of the linear object before the update to the facility in the order from the first facility on the list L to sequentially check the changed length M ?) to calculate new distance information (M '), and updates the distance information (M) of the facility with new information (M').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 보정부는 선형객체들 간에 병합이 이루어진 경우, 우선, 순번(SEQ)을 기준으로 두번째 선형객체에 연결된 모든 시설물들을 검색하고, 검출된 시설물들에 관한 리스트(List L)를 작성하며, 상기 리스트(List L)상의 첫 번째 시설물부터 차례로 조회하여, 병합 전 첫번째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설물까지의 거리(M)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거리(M)값에, 병합 전 첫번째 선형객체의 길이를 더하여 새로운 거리 정보(M')를 산출하고, 상기 시설물의 순번(SEQ)에, 병합 전 첫번째 선형객체의 모든 시설물 순번(SEQ) 중 가장 큰 순번(SEQ) 값을 더하여 상기 시설물의 새로운 순번(SEQ')을 구하고, 상기 시설물의 연결 선형객체를 병합된 선형객체로 갱신하고, 상기 시설물의 거리 정보(M)와 순번(SEQ)을 새로운 값(M', SEQ')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 merging is performed between the linear objects, the position correcting unit searches all the facilities connected to the second linear object based on the sequence (SEQ), creates a list (List L) about the detected facilities (M) from the viewpoint of the first linear object before merging by sequentially inquiring from the first facility on the list (List L), and adding the first linear (M ') by adding the length of the object and adding the largest sequence number (SEQ) of all facility orders (SEQ) of the first linear object before merging to the sequence number (SEQ) of the facility, (M ') and the sequence (SEQ) of the facility are updated to new values (M', SEQ ') by obtaining a new sequence number (SEQ'), updating the linked linear object of the facility with the merged linear object Features It shall be.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 보정부는 상기 선형객체에 분할이 발생한 경우, 우선, 순번(SEQ)을 기준으로 기존 선형객체에 연결된 모든 시설물들을 검색하고, 검출된 시설물들에 관한 리스트(List L)를 작성하며, 상기 기존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시설물까지의 거리가 분할된 두번째 선행객체의 시점보다 먼 시설물의 순번(SEQ)을 도출하여 그 순번(SEQ)을 PIVOT의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리스트(List L)에서, 상기 도출된 순번(SEQ)의 시설물(이하, 시설물-n)부터 차례로 조회하여, 갱신 전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설물-n까지의 거리(M)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거리(M)값에서, 분할 후 첫번째 선형객체의 길이만큼을 빼서 새로운 거리 정보(M')를 산출하고, 상기 시설물-n의 순번(SEQ)에서 PIVOT값을 뺀 후 다시 1을 더하여 상기 시설물-n의 새로운 순번(SEQ')을 구하고, 상기 시설물-n의 연결 선형객체를 분할된 두번째 선행객체로 갱신하고, 상기 시설물-n의 거리 정보(M)와 순번(SEQ)을 새로운 값(M', SEQ')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 segmentation occurs in the linear object, the position correction unit searches all the facilities connected to the existing linear object based on the sequence (SEQ), creates a list (List L) about the detected facilities (SEQ) of a facility farther than the time of the second preceding object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viewpoint of the existing linear object to the facility is divided, sets the sequence SEQ as a value of PIVOT, (M) of the facility object (n) from the viewpoint of the linear object before the update in order from the facil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facility-n) of the derived order number (SEQ) ), The new distance information M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length of the first linear object after the division, the PIVOT value is subtracted from the sequence number (SEQ) of the facility-n, The sequence number (SEQ ') is obtained (M ') and a sequence (SEQ) of the facility-n are updated to new values (M', SEQ ') by updating the connection linear object of the facility- d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보정방법은,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rrecting information in a linea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시설물과 가장 인접한 선형객체를 탐색하는 과정과, 상기 탐색된 선형객체와 시설물 사이의 법선과 교점(Mp)를 구하는 과정과, 상기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교점(Mp)까지의 거리(M)를 구하는 과정과, 상기 교점(Mp)과 시설물까지의 직선 거리(D)를 구하는 과정과, 상기 선형객체의 종점을 지향한 시계방위법을 기준으로 선형객체상 시설물의 방향정보를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거리(M)를 이용하여 각 시설물들에게 순번(SEQ)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선형객체의 형태 또는 길이가 변형되거나 선형객체들 간 병합 또는 분할이 발생한 경우, 상기 교점 검출부에서 검출한 법선과 교점(Mp)을 이용하여, 상기 선형객체 기반의 시설물 위치를 보정하는 과정과, 상기 시설물이 연결된 선형객체의 식별정보(ID), 거리(M)정보, 순번(SEQ) 정보, 보정위치 정보, 시설물의 방향정보를 저장부의 소정 테이블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Mp) from a normal line between the searched linear object and a facility and a distance M from the viewpoint of the linear object to an intersection Mp Calculating a straight line distance D between the intersection Mp and the facility and calculating a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on the basis of the clockwise direction for the end point of the linear object; A step of assigning a sequence number to each facility using a plurality of linear objects, and a step of, when a shape or a length of the linear object is modified or a merge or division occurs between linear objects, (Mp), a sequence number (SEQ) information, a correction position information, and a facility information of a linear object to which the facility is connected, Room It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table storage portion.

본 발명의 착안점은 GIS시스템을 기반으로 선형객체의 공간 정보를 시설물 정보와 연동하여 관리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다. 또한, 선형객체의 갱신 시 별도의 수작업없이 시설물 위치가 자동 보정되도록 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linea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spatial information of a linear object in association with facility information based on a GIS system.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implement a linea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that automatically corrects facility location without manual operation when updating linear object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최근, 정부부처 및 각 지자체는 도로 포장, 교통, 시설물 등의 통합 관리를 위해 최신 정보기술(IT)을 적극 도입하려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특히, 도로 및 부대 시설물 관리업무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시 단위의 지자체에 정보기술(IT) 도입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기존에도 정보기술(IT)이 도로시설물 관리의 일부 분야에 사용되어 오긴 했지만, 본 발명은 도로관리 체계를 하나로 통합하고 정보의 재생산과 같은 중복적이고 비효율적인 업무를 제거하여 통합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꾀하기 위해, 기존 방식과는 다른 접근법으로서,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Recently, government ministries and municipalities are planning to actively introduce the latest information technology (IT)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road pavement, traffic, and facilities. In particular,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the municipalities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management of roads and auxiliary facilities. Although information technology (IT) has been used in some fields of road facility management in the pas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integrate the road management system into one and eliminate redundant and inefficient work such as reproduction of information, As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existing method, we proposed a linea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선형참조 기술 기반 GIS 시스템으로 확장하여 다양한 시설물 관리기능을 지원하고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시스템 성능향상 및 편의성 증대, 데이터의 신뢰성 및 안정성 확보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is extended to a GIS system based on a linear reference technology to provide a function of supporting and analyzing various facility management functions, thereby improving system performance and convenience, and ensuring data reliability and stability.

본 발명은 일종의 위치 참조 시스템으로, GIS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도로와 같은 선형 객체 상에 존재하는 이벤트들(예: 주변 시설물, 부속물 정보 등)의 위치를 상대적인 측정값을 기준으로 질의 및 식별하는 시스템이다. 즉, 본 발명은 GIS시스템을 기반으로 시설물의 모체가 되는 선형객체의 공간 정보를 시설물 정보와 연동하여 관리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on reference system, which is a system for querying and identifying the location of events (e.g., peripheral facilities, adjunct information, etc.) existing on a linear object such as a road based on a relative measurement based on a GIS system to b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linea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the spatial information of the linear object, which is the matrix of the facility, based on the GIS system in conjunction with the facility informa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linea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100)은 시설물 관리부(200), 선형객체 관리부(300), 제어부(400), 저장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linea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cility management unit 200, a linear object management unit 300, a control unit 400, and a storage unit 500.

상기 시설물 관리부(200)는 지역별 시설물들에 관한 각종 정보(예: 시설물 식별번호(ID), 타입정보, 위치정보 등)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시설물 관리부(200)는 시설물 연결부, 시설물 입력부, 시설물 수정부, 시설물 조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acility management unit 200 stores and manag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e.g., facility identification number (ID), typ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for each facility in each area. The facility management unit 200 includes a facility connection unit, a facility input unit, a facility management unit, and a facility inquiry unit.

상기 선형객체 관리부(300)는 선형(Line Segment)객체들의 형태와 기본 정보, 그리고 시종점에 관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선형객체 관리부(300)는 재연결부, 선형객체 조회부, 선형정보 관리부, 노드 조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linear object management unit 300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about the shape, basic information, and time points of linear segment objects. The linear object management unit 300 includes a re-combination unit, a linear object inquiry unit, a linea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nd a node inquiry unit.

상기 시설물 관리부(200)와 선형객체 관리부(300)는 사실상, 저장부(500)의 소정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들을 로드하여 관리하는 것이다.The facility management unit 200 and the linear object management unit 300 actually load and manage information stored in a predetermined table of the storage unit 500. [

여러 개의 선형객체들(단위 선형객체)이 모여 하나의 노선(예: 통일로, 테헤란로, 노들길 등)을 형성하고, 선형객체 관리부(300)는 또한, 이러한 노선들의 형태와 속성정보(예: 노선의 ID, 노선의 종류, 노선번호, 노선명, 방향성(상행/ 하행) 등)를 관리한다.A plurality of linear objects (unitary linear objects) are gathered to form one line (e.g., unified path, Teheran road, nodule path, etc.), and the linear object management part 300 also forms the line types and attribute information Route ID, route type, route number, route name, direction (up / down), etc.).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시설물 관리부(200)와 선형객체 관리부(300)의 저장 정보를 참조하여, 시설물과 가장 인접한 선형객체를 탐색하고 탐색된 선형객체와 시설물 간의 관계를 구하며, 시설물간의 순번을 구하고, 선형객체 기반의 각 시설물의 위치를 산출한다.The control unit 400 searches for a linear object closest to the facility by referring to the storag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management unit 200 and the linear object management unit 300 and obtains a relationship between the linear object and the facility, And calculates the position of each facility based on the linear object.

상기 저장부(500)는 상기 시설물과 선행객체간의 관계에 관한 정보와 각 시설물의 순번 및 위치에 관한 정보를 각기 지정된 테이블에 저장한다. 저장부(500)는 상기 선형객체의 식별정보(ID), 시설물까지의 거리(M)정보, 순번(SEQ) 정보, 보정위치 정보, 선형객체 상의 시설물 위치정보를 각기 지정된 테이블에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500 stores inform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the facility and the preceding object, information on the order and position of each facility, and the information on each facility in the designated table. The storage unit 500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f the linear object, the distance (M) information to the facility, the SEQ information, the correction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facility location information on the linear object.

상기 저장부(500)는 시설물 테이블, 범용 선형 테이블, 노드 테이블, 상호 참조정보 테이블, 선형정보 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torage unit 500 includes a facility table, a general-purpose linear table, a node table, a cross-reference information table, and a linear information table.

상기 시설물 테이블은 시설물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The facility table store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related to facilities.

상기 범용 선형 테이블은 단위 선형객체의 형태와 기본 정보를 저장한다.The general purpose linear table stores the type and basic information of the unit linear object.

상기 노드 테이블은 선형객체의 시종점에 관한 정보와 선형객체들 간의 상관관계를 표현한 정보들을 저장한다.The node table stores information express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formation about the linear point of the linear object and the linear objects.

상기 상호 참조정보 테이블은 선형객체와 시설물 간의 연결정보를 저장한다.The cross-reference information table stores connection information between the linear object and the facility.

상기 선형정보 테이블은 선형객체의 부가적인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The linear information table stores and manages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linear object.

도1의 블록 구성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에 관한 사항도 함께 나타내고 있다.The block diagram of FIG. 1 also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0)는 선형객체와 시설물 간의 관계를 구하고, 시설물간의 순번과 선형객체 기반의 각 시설물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해, 교점 검출부(410), 방향 산출부(420), 거리 산출부(430), 순번 지정부(440), 위치 보정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control unit 400 includes an intersection detecting unit 410, a direction calculating unit 420, and a direction calculating unit 420. The intersecting point detecting unit 410 and the direction calculating unit 420 calculate an intersection between the linear object and the facility, 420, a distance calculating unit 430, an order specification unit 440, and a position correction unit 450.

상기 교점 검출부(410)는 상기 시설물 관리부와 선형객체 관리부의 저장 정보를 참조하여 시설물과 가장 인접한 선형객체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선형객체와 시설물 사이의 법선과 교점(Mp)을 구한다. The intersection detecting unit 410 searches for a linear object closest to the facility by referring to the storag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management unit and the linear object management unit, and obtains a normal line and an intersection Mp between the detected linear object and the facility.

교점 검출부(4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물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가장 인접한 단위 선형객체에 대한 법선을 구하고, 그 법선과 단위 선형객체와의 연결점 즉, 교점(Mp)을 구한다.As shown in FIG. 2, the intersection detecting unit 410 obtains a normal to the nearest unit linear objec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and obtains a connection point, that is, an intersection Mp, between the normal line and the unit linear object.

상기 거리 산출부(430)는 상기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교점(Mp)까지의 거리(M)를 구하고, 상기 교점(Mp)과 시설물까지의 직선 거리(D)를 구한다. The distance calculating unit 430 obtains the distance M from the viewpoint of the linear object to the intersection Mp and obtains the straight line distance D to the intersection Mp and the facility.

상기 방향 산출부(420)는 상기 선형객체의 종점을 지향한 시계방위법 기준으로 선형객체상 시설물의 방향정보를 산출한다.The direction calculating unit 420 calculates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on the linear object based on a clockwise orientation method in which the end point of the linear object is oriented.

상기 순번 지정부(440)는 상기 거리(M)를 이용하여 각 시설물들에게 순번(SEQ)을 할당한다. 순번 지정부(440)는 차후, 상기 선형객체에 새로운 시설물이 추가되는 경우, 상기 거리(M)를 이용하여 상기 추가 시설물의 순번(SEQ)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순번(SEQ)을 기준으로 상기 선형객체에 연결된 다른 시설물 순번을 조정한다.The order number designation unit 440 allocates a SEQ to each facility using the distance M. [ When the new facility is added to the linear object, the order number designation unit 440 calculates the sequence number of the additional facility using the distance M, and based on the calculated sequence number (SEQ) And adjusts the order of other facilities connected to the linear object.

상기 위치 보정부(450)는 도7 내지 도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형객체의 형태 또는 길이가 변형되거나 선형객체들 간 병합 또는 분할이 발생한 경우, 상기 교점 검출부(410)에서 검출한 법선과 교점(Mp)을 이용하여, 상기 선형객체 기반의 시설물 보정위치를 산출한다. 7 to 14, when the shape or the length of the linear object is changed or the merge or division between linear objects occurs, the position correcting unit 450 corrects the position of the normal object detected by the intersection detecting unit 410, And the intersection point Mp to calculate the facilities correction position based on the linear object.

상기 구성요소들(410 내지 450)의 산출 정보(예: 선형객체의 식별정보(ID), 거리(M)정보, 순번(SEQ) 정보, 보정위치 정보, 시설물의 방향정보 등)는 이후, 상기 저장부(500)의 소정 테이블에 저장된다.
The calculation information (e.g., linear object ID, distance M information, SEQ information, correction position information, facility direc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of the components 410 to 450 are then And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table of the storage unit 500.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모형의 예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near infrastructure management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acilit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관리하고자 하는 선형객체(예: 선형객체A, 선형객체B)를 단위 선형객체라 하며, 단위 선형객체는 직선과 곡선의 반복으로 구성되고 시점에서 종점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linear object to be managed (for example, a linear object A and a linear object B) is referred to as a unit linear object, and a unit linear object is composed of a repetition of a straight line and a curve and has a direction from the viewpoint to the end point.

선형객체를 기준으로 시설물들을 등록하고자 할 때, 관리 시스템(10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시설물 관리부(200)와 선형객체 관리부(300)의 저장 정보를 참조하여, 시설물과 가장 인접한 선형객체를 탐색하고 탐색된 선형객체와 시설물 간의 법선과 교점(Mp)를 구한다. (S110)6, the management system 100 refers to the storag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management unit 200 and the linear object management unit 300 to register the facilities and the facilities Search for adjacent linear objects and find the normal and intersection points (Mp) between the detected linear objects and facilities. (S110)

그리고,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교점(Mp)까지의 거리(M)를 구하고, 상기 교점(Mp)과 시설물까지의 직선 거리(D)를 구한다. (S120~S130) 또한, 상기 선형객체의 종점을 지향한 시계방위법을 기준으로 선형객체 상 시설물의 방향정보를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거리(M)를 이용하여 각 시설물들에게 순번(SEQ)을 할당한다. (S140~S150)The management system 100 obtains the distance M from the viewpoint of the linear object to the intersection Mp and obtains the straight line distance D to the intersection Mp and the facility. (S120 to S130) In addition,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ies on the linear object is calculated based on the clockwise direction in which the end point of the linear object is oriented. Then, a sequence number (SEQ) is allocated to each facility using the distance M. (S140 to S150)

이후, 관리 시스템(100)은 새로운 시설물이 추가(등록)되는 경우, 상기 거리(M)를 이용하여 추가 시설물의 순번(SEQ)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순번(SEQ)을 기준으로 상기 선형객체에 연결된 다른 시설물(들)의 순번을 조정한다. (S160~S170)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거리(M)가 가까운 순으로 시설물들의 순번을 정하여 정렬하고 관리한다.Thereafter, when the new facility is added (registered), the management system 100 calculates the sequence number (SEQ) of the additional facility using the distance M and calculates the number of the additional facility based on the calculated sequence number SEQ Adjust the order of other connected facilities (s). (S160 to S170) The management system 100 arranges and manages the order of the facilities in the order of the closest distance M from the viewpoint of the linear object.

또한, 차후에 선형객체나 시설물의 위치나 형태가 변경되는 경우,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검출된 법선과 교점(Mp)을 이용하여, 상기 선형객체 기반의 시설물 보정위치를 산출한다. (S160~S170)If the position or shape of the linear object or the facility is changed in the future, the management system 100 calculates the linear object-based facility correction position using the detected normal line and the intersection Mp. (S160 to S170)

그리고, 이렇게 산출된 정보들(예: 선형객체의 식별정보(ID), 시설물간의 거리(M)정보, 순번(SEQ) 정보, 보정위치 정보, 시설물의 방향정보 등)은 상기 저장부(500)의 소정 테이블에 저장된다.The calculated information (e.g., linear object ID, distance between facilities M, SEQ information, correction position information, facility direction information, etc.) Lt; / RTI >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시스템(1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선형객체(예: 선형객체A, 선형객체B)가 하나의 노선을 형성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시설물 관리를 지원한다. 이때, 하나의 노선을 형성하는 선형객체 각각을 단위 선형객체라 하며, 단위 선형객체는 직선과 곡선의 반복으로 구성되며 시점과 종점을 갖는다.Th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efficient facility management by allowing a plurality of linear objects (e.g., linear object A, linear object B) to form one line,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each linear object forming one line is referred to as a unit linear object, and the unit linear object is composed of a repetition of a straight line and a curve, and has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선형객체들의 모임인 노선의 정보는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노선 관리 테이블에 정의된다. The information of the route, which is a group of linear objects, is defined in the route management table as shown in Table 1 below.

[표 1][Table 1]

Figure 112014098943833-pat00001
Figure 112014098943833-pat00001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표 1]의 시종점 TAG(필드항목)을 바탕으로 선형객체들의 연결 형태를 규정한다. 예를 들어, 선형객체A 다음에 선형객체B가 연결된 경우, 선형객체A의 ORD(필드항목)는 1로 할당되고 선형객체B의 ORD(필드 항목)는 2로 할당된다. 선형객체B의 시점이 선형객체A와 연결되었다면 선형객체 B의 시종점 TAG(필드항목)는 '시점'으로 설정된다.The management system 100 defines the connection type of the linear objects based on the TAG (field item) of the continuous point in the above [Table 1]. For example, if a linear object B is connected after the linear object A, the ORD (field item) of the linear object A is assigned 1 and the ORD (field item) of the linear object B is assigned 2. If the point of the linear object B is connected to the linear object A, the point TAG (field item) of the linear object B is set to the 'point of view'.

도3은 법선을 가지지 않는 선형객체에 관한 시설물 관리 모형의 예시도이다.Figure 3 is an illustration of a facility management model for a linear object having no normals.

시설물 등록을 위해, 관리 시스템(100)은 우선, 시설물과 가장 인접한 선형객체를 탐색하고 탐색된 선형객체와 시설물 간의 법선과 교점(Mp)를 구한다. For facility registration, the management system 100 first searches for a linear object closest to the facility, and finds the normal and intersection Mp between the linear object and the facility searched.

상기 탐색된 선형객체와 시설물 사이에 법선이 존재하지 않는 본 예시의 경우,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시설물로부터 최단거리 지점의 변곡점을 교점(Mp)으로 지정하고,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교점(Mp)까지의 거리(M)를 구하고, 상기 교점(Mp)과 시설물까지의 직선 거리(D)를 구한다.In this example where there is no normal line between the searched linear object and the facility, the management system 100 designates the inflection point of the shortest distance point from the facility as an intersection Mp, Mp), and obtains the straight line distance (D) from the intersection (Mp) to the facility.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시설물에 순번을 지정하고 관리하는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assigning and managing a facility numb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관리 시스템(100)은 선형객체와 시설물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각종 정보들(예: 법선, 교점(Mp), 거리(M), 직선 거리(D), 시설물의 방향정보 등)이 모두 구해지면,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시설물들(예: 시설물1, 시설물2)에게 순번(SEQ)을 할당한다. When the management system 100 obtains all kinds of information (e.g., normal line, intersection Mp, distance M, straight line distance D, direction information of facilities, etc.)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near object and the facility, (SEQ) to each facility (e.g., facility 1 and facility 2) as shown in FIG. 4A.

그리고, 새로운 시설물(예: 시설물3)이 추가되는 경우, 상기 거리(M)를 이용하여 추가 시설물3의 순번(SEQ=2)을 산출하고,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산출된 순번(SEQ=2)을 기준으로 상기 선형객체에 연결된 다른 시설물(들)의 순번을 조정한다. When a new facility (e.g., facility 3) is added, the sequence number (SEQ = 2) of the additional facility 3 is calculated using the distance M, and the calculated number And adjusts the order of the other facility (s) connected to the linear object based on the sequence number (SEQ = 2).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여러 개의 단위 선형객체들로 이루어진 노선에 관한 관리모형의 예시도이다.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management model for a line composed of several unit linear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선형객체B는 이웃 선형객체들(예: 단위 선형객체A, 단위 선형객체C)과 역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렇게, 일부 단위 선형객체가 역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순번(SEQ)을 역순으로 검색함으로써 시설물을 순서대로 조회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이 각 단위 선형객체에 개별 속성을 부여하고 관리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As shown in FIG. 5, the unit linear object B is connec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neighboring linear objects (e.g., the unit linear object A and the unit linear object C).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some unit linear objects are connec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facilities can be sequentially inquired by searching the sequence in reverse order.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present invention assigns and manages individual attributes to each unit linear object.

본 발명은 단위 선형객체의 속성과 연결된 시설물(이벤트)들의 속성을 비교 분석 또는 자동 할당하여 효율적인 시설물 관리 서비스를 지원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n efficient facility management service by comparatively analyzing or automatically assigning properties of facilities (events) connected with properties of a unit linear object.

도7은 선형객체의 형태가 변경된 경우에 관한 시설물관리모형의 예시도이다.FIG. 7 is an exemplary view of a facility management model when the shape of a linear object is changed. FIG.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객체의 형태(Shape)가 변경(변형)되었을 때, 본 발명은 기존 선형객체(예: 선형객체A) 상의 시설물들이 변경된 선형객체(선형 객체A')로 이동하는 단점을 개선하여 선형객체에 변경이 일어나도 발생 당시의 시설물의 고유한 위치가 그대로 존속되도록 한다. 개별 단위 선형객체가 변경된 경우 시설물의 위치를 거리(M)와 직선거리(D)를 통해 시설물(이벤트)의 위치가 사용자의 별도 입력없이 자동 조정되도록 한다.7, when the shape of a linear object is changed (modified),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facilities on the existing linear object (e.g., linear object A) to the changed linear object (linear object A ') So that even if a change occurs in the linear object, the unique position of the facility at the time of occurrence is maintained as it is. When the individual unit linear object is changed, the position of the facility (event) is automatically adjusted through the distance (M) and the straight line distance (D) without user's input.

도7의 시설물 관리모형의 경우, 관리 시스템(100)은 저장부(500)에 저장된 연결정보를 바탕으로 시설물1(예: 이정표)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7, the management system 100 may calculate the location of the facility 1 (e.g., a milestone) based on the connec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500. In this case,

도8은 선형객체의 형태가 변경된 경우 시설물관리방법의 동작 알고리즘이다.8 is an operation algorithm of the facility management method when the shape of the linear object is changed.

관리 시스템(100)은 우선, 순번(SEQ)을 기준으로 선형객체A에 연결된 모든 시설물들을 검색하고, 검출된 시설물들에 관한 리스트(List L)를 작성한다. (S210) 그리고, 리스트(List L)상의 첫 번째 시설물(예: N=1)부터 차례로 조회하여, 갱신 전 선형객체A의 시점으로부터 시설물(예: N=1)까지의 거리(M)를 확인한다. (S220 ~S240)The management system 100 first searches all the facilities connected to the linear object A on the basis of the sequence (SEQ), and creates a list (List L) about the detected facilities. (S210) Then, the system checks the distance M from the time point of the linear object A before updating to the facility (for example, N = 1) by sequentially inquiring from the first facility (for example, N = 1) do. (S220 to S240)

그리고, 갱신된 선형객체(예: 선행객체A')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거리(M)만큼 떨어진 지점(X, Y)을 산출하고, 그 지점(X, Y)을 기준으로 시설물(예: N=1)의 위치(X', Y')를 검출한다. (S250~S260)Then, a point (X, Y) separated by the distance M from the time point of the updated linear object (e.g., the preceding object A ') is calculated and the facilities (e.g., N = (X ', Y'). (S250 to S260)

그리고, 상기 시설물의 연결위치 정보를 (X, Y)와 (X', Y')로 갱신한다. (S270)Then, the connec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is updated to (X, Y) and (X ', Y'). (S270)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리스트(List L)상의 나머지 시설물들에 대해서도 이상의 절차를 반복 수행(S280~S290)하여, 리스트(List L)상의 모든 시설물들의 연결위치 정보를 갱신한다. The management system 100 repeats the above procedure for the remaining facilities on the list L (S280 to S290), and updates the connection location information of all the facilities on the list L (List L).

도9는 선형객체의 길이가 변경된 경우에 관한 시설물관리모형의 예시도이다. FIG. 9 is an exemplary view of a facility management model when the length of a linear object is changed. FIG.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시는 객체의 길이가 짧아진(혹은 길어진) 경우이며, 변경된 길이(α)를 각 시설물의 거리(M)에 더해 시설물의 위치정보를 보정한다.As shown in Fig. 9, this example is a case where the length of the object is shortened (or longer),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is corrected by adding the changed length alpha to the distance M of each facility.

도10은 선형객체의 길이가 변경된 경우 시설물관리방법의 동작알고리즘이다.10 is an operation algorithm of the facility management method when the length of the linear object is changed.

관리 시스템(100)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순번(SEQ)을 기준으로 선형객체A에 연결된 모든 시설물들을 검색하고, 검출된 시설물들에 관한 리스트(List L)를 작성한다. (S310) 그리고, 리스트(List L)상의 첫 번째 시설물(예: N=1)부터 차례로 조회하여, 갱신 전 선형객체A의 시점으로부터 시설물(예: N=1)까지의 거리(M)를 확인한다. (S320 ~S340)As shown in FIG. 10, the management system 100 searches all the facilities connected to the linear object A based on the sequence SEQ and creates a list (List L) about the detected facilities. (S310) Then, the system checks the distance M from the time point of the linear object A before updating to the facility (for example, N = 1) by sequentially inquiring from the first facility (for example, N = 1) do. (S320 to S340)

그리고, 상기 확인된 거리(M)값에 변경된 길이(α)를 더하여 새로운 거리 정보(M')를 산출하고(S350), 상기 시설물의 거리 정보(M)를 새로운 정보(M')로 갱신한다. (S360)The new distance information M 'is calculated by adding the changed length M to the confirmed distance M in step S350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M of the facility is updated with the new information M' . (S360)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리스트(List L)상의 나머지 시설물들에 대해서도 이상의 절차를 반복 수행(S370~S380)하여, 리스트(List L)상의 모든 시설물들의 거리 정보(M)를 갱신한다. The management system 100 repeats the above procedure for the rest of the facilities on the list L to update the distance information M of all the facilities on the list L through steps S370 to S380.

도11은 선형객체가 병합된 경우에 관한 시설물 관리 모형의 예시도이다.1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facility management model for a case where linear objects are merged.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시는 선형객체들(예: 선형객체A, 선형객체B)이 병합된 경우 그 병합된 선형객체의 신규 시점(예: 노드 B)으로부터 시설물까지의 거리(M)를 다시 산출하여 신규 시점(예: 노드 B)을 기준으로 시설물들을 재연결한다. 11, this example shows the distance from the new point of view (e.g., Node B) of the merged linear object (e.g., Linear Object A, Linear Object B) ) To reconnect the facilities based on the new time (eg, Node B).

선형객체들(예: 선형객체A, 선형객체B)이 병합된 시설물 관리 모형의 경우 관리 시스템(100)은 그 병합된 선형객체의 시점과 병합 이전 선형객체의 시점 사이의 거리(M')를 구한 후 기존 거리(M)에 더해 새로운 시점으로부터 거리(M+M')를 산출하여 관리한다.In the case of a facility management model in which linear objects (e.g., linear object A and linear object B) are merged, the management system 100 calculates the distance (M ') between the point of the merged linear object and the point of the linear object before merging And calculates and manages the distance (M + M ') from the new viewpoint in addition to the existing distance (M).

도12는 선형객체가 병합된 경우 시설물 관리방법의 동작 알고리즘이다.12 is an operation algorithm of the facility management method when the linear objects are merged.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시의 알고리즘은 선형객체A에 연결된 시설물들의 순번(SEQ) 중에 최대 순번(SEQ)값을 선형객체B에 연결된 시설물의 순번(SEQ) 값에 더하여, 선형객체B에 연결된 시설물들의 순번(SEQ)을 보정한다.12, the algorithm of the present example adds the maximum sequence number (SEQ) among the sequence numbers (SEQ) of the facilities connected to the linear object A to the sequence number (SEQ) value of the facilities connected to the linear object B, (SEQ) of the facilities connected to the facility.

관리 시스템(100)은 우선, 순번(SEQ)을 기준으로 선형객체B에 연결된 모든 시설물들을 검색하고, 검출된 시설물들에 관한 리스트(List L)를 작성한다. (S410) 그리고, 리스트(List L)상의 첫 번째 시설물(예: N=1)부터 차례로 조회하여, 갱신 전 선형객체A의 시점으로부터 시설물(예: N=1)까지의 거리(M)를 확인한다. (S420 ~S440)The management system 100 first searches all the facilities connected to the linear object B based on the sequence (SEQ), and creates a list (List L) about the detected facilities. (S410) Then, it inquires from the first facility (for example, N = 1) on the list (List L) sequentially and confirms the distance M from the viewpoint of the linear object A before the update to the facility do. (S420 to S440)

그리고, 상기 확인된 거리(M)값에 선행객체A의 길이를 더하여 새로운 거리 정보(M')를 산출한다. (S450)The new distance information M 'is calculated by adding the length of the preceding object A to the determined distance M. (S450)

이후,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시설물(예: N=1)의 순번(SEQ)에 선형객체A의 모든 시설물 순번(SEQ) 중 가장 큰 순번(SEQ) 값을 더하여 시설물(예: N=1)의 순번(SEQ)에 새로운 값(SEQ')을 할당한다. (S460)The management system 100 then adds the largest sequence number (SEQ) of all facility sequences (SEQ) of the linear object A to the sequence (SEQ) of the facility (for example, N = 1) (SEQ) < / RTI > (S460)

그리고, 시설물(예: N=1)의 연결 선형객체(예: 선형객체B)를 선형객체A'로 갱신한다.(S470) 또한, 상기 시설물(예: N=1)의 거리 정보(M)와 순번(SEQ)을 새로운 값(M', SEQ')으로 갱신한다. (S480)The distance information M of the facility (for example, N = 1) is updated with the linear object A '(S470) by updating the connected linear object (e.g., linear object B) And the sequence number (SEQ) to the new value (M ', SEQ'). (S480)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리스트(List L)상의 나머지 시설물들에 대해서도 이상의 절차를 반복 수행(S490~S500)하여, 리스트(List L)상의 모든 시설물들의 거리 정보(M)와 순번(SEQ)을 갱신한다. The management system 100 repeats the above procedure for the rest of the facilities on the list L at steps S490 to S500 so that the distance information M and the SEQ of all the facilities on the list L Update.

도13은 선형객체가 분할된 경우에 관한 시설물 관리 모형의 예시도이다.1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facility management model for a case where a linear object is divided.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시는 하나의 선형객체(예: 선형객체A)가 2개(예: 선형객체A', 선형객체B)로 분할된 경우 선형객체(예: 선형객체A)의 일부 시설물들이 분리된 선형객체(예: 선형객체B)에 연결되도록 처리한다.13, this example shows a linear object (e.g., linear object A) when one linear object (e.g., linear object A) is divided into two (e.g., linear object A ', linear object B) To be connected to a separate linear object (e.g., linear object B).

도14는 선형객체가 분할된 경우 시설물 관리방법의 동작 알고리즘이다.14 is an operation algorithm of a facility management method when a linear object is divided.

관리 시스템(100)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순번(SEQ)을 기준으로 선형객체A에 연결된 모든 시설물들을 검색하고, 검출된 시설물들에 관한 리스트(List L)를 작성한다. (S510) 그리고, 선형객체A의 시점으로부터 시설물까지의 거리가 Node B지점보다 먼 시설물의 순번(SEQ)을 도출하여 그 순번(SEQ)을 PIVOT의 값으로 설정한다. (S520) As shown in FIG. 14, the management system 100 searches all the facilities connected to the linear object A based on the sequence (SEQ) and creates a list (List L) about the detected facilities. (S510) Then, the sequence (SEQ) of the facilities distant from the viewpoint of the linear object A to the facility is distant from the Node B point is derived, and the sequence (SEQ) is set to the value of PIVOT. (S520)

그리고, 상기 리스트(List L)에서, 상기 도출된 순번(SEQ)의 시설물(예: N=PIVOT)부터 차례로 조회하여, 갱신 전 선형객체A의 시점으로부터 시설물(예: N=PIVOT)까지의 거리(M)를 확인한다. (S530 ~S550)(N = PIVOT) from the derived sequence (SEQ) in the list (List L), and calculates the distance from the time point of the linear object A before the update (e.g., N = PIVOT) (M). (S530 to S550)

그리고, 상기 확인된 거리(M)값에서, 분할된 선형객체(예: 선행객체A')의 길이만큼을 빼서 새로운 거리 정보(M')를 산출한다. (S560)The new distance information M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length of the segmented linear object (e.g., the preceding object A') from the identified distance M. (S560)

이후, 관리 시스템(100)은 하기 [수식]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시설물(예: N=PIVOT)의 순번(SEQ)에서 PIVOT값을 뺀 후 다시 1을 더하여 상기 시설물(예: N=PIVOT)의 새로운 순번(SEQ')을 구한다. (S570)
The management system 100 then subtracts the PIVOT value from the SEQ of the facility (e.g., N = PIVOT) and then adds 1 to the facility (e.g., N = PIVOT) (SEQ '). (S570)

[수식][Equation]

순번(SEQ') = 시설물의 순번(SEQ) - PIVOT + 1
Sequence (SEQ ') = Sequence of facility (SEQ) - PIVOT + 1

그리고, 시설물(예: N=PIVOT)의 연결 선형객체(예: 선형객체A)를 선형객체B로 갱신한다. (S580) 또한, 상기 시설물(예: N=PIVOT)의 거리 정보(M)와 순번(SEQ)을 새로운 값(M', SEQ')으로 갱신한다. (S590)Then, update the connected linear object (eg, linear object A) of the facility (eg, N = PIVOT) to linear object B. (S580) Further, the distance information M and the sequence number of the facility (for example, N = PIVOT) are updated to new values M 'and SEQ'. (S590)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리스트(List L)상의 나머지 시설물들에 대해서도 이상의 절차를 반복 수행(S600~S610)하여, 리스트(List L)상의 모든 시설물들의 거리 정보(M)와 순번(SEQ)을 갱신한다. The management system 100 repeats the above procedure for the remaining facilities on the list L in steps S600 to S610 so that the distance information M and the sequence number of all the facilities on the list L Update.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100)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linea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100)을 포함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The computer may include a linea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10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May be constructed by selectively or in combina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이상,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100)은 선형 객체단위의 조회 연산 이외 다양한 GIS 공간정보 기반 분석기능과 어우러져 선형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스마트한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As described above, the linea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cted to provide a smart environment for linear network management in combination with various GIS spatial information based analysis functions other than linear object-based inquiry operations .

본 발명은 방향성을 가지는 선형(Line Segment)객체와 그 선형객체에 이벤트들(예: 주변 시설물, 부속물 등)을 연결하여 관리함으로써, 선형객체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그와 상관관계가 있는 이벤트들(예: 주변 시설물, 부속물 등)의 정보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 segment object having a direction and an event (e.g., peripheral facilities, ancillary items, etc.) linked to the linear object and managing the linear object, (For example, surrounding facilities, accessories, etc.) can be easily corrected.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시스템은 종래 고전적인 관리 시스템에 비해 훨씬 더 직관적으로 이벤트들(예: 주변 시설물, 부속물 등)의 정보를 표현하고 관리할 수 있다.The linea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resent and manage information of events (e.g., nearby facilities, appendages, etc.) more intuitively than the conventional management system.

또한, 선형객체의 갱신 시 별도의 수작업없이 시설물 위치가 자동 보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하였고, 지도의 잦은 갱신으로 인한 시설물의 상대적 위치정보 및 관리정보의 모호성을 제거하였다.In addition, when the linear object is updated, the function of automatically correcting the location of the facility is implemented without any manual work, and the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and the ambiguity of the management information due to frequent updating of the map are removed.

100: 시설물 관리 시스템 200 : 시설물 관리부
300 : 선형객체 관리부 400 : 제어부
410 : 교점 검출부 420 : 방향 산출부
430 : 거리 산출부 440 : 순번 지정부
450 : 위치 보정부 500 : 저장부
100: Facility management system 200: Facility management unit
300: linear object management unit 400:
410: intersection detecting unit 420: direction calculating unit
430: distance calculating unit 440:
450: Position correcting unit 500: Storage unit

Claims (15)

지역별 시설물들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부와,
선형객체들의 형태와 기본 정보, 그리고 시종점에 관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선형객체 관리부와,
상기 시설물 관리부와 선형객체 관리부의 저장 정보를 참조하여, 선형객체 기반의 각 시설물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선형객체의 갱신 시 시설물들의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시설물과 선행객체간의 관계에 관한 정보와 각 시설물의 순번, 위치, 그리고 보정된 위치에 관한 정보를 각기 지정된 테이블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설물 관리부와 선형객체 관리부의 저장 정보를 참조하여 시설물과 가장 인접한 선형객체를 탐색하고, 그 탐색된 선형객체와 시설물 사이의 법선과 교점(Mp)를 구하는 교점 검출부(410)와,
상기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교점(Mp)까지의 거리(M)를 구하고, 상기 교점(Mp)과 시설물까지의 직선 거리(D)를 구하는 거리 산출부(430)와,
상기 선형객체의 종점을 지향한 시계방위법 기준으로 선형객체상 시설물의 방향정보를 산출하는 방향 산출부(420)와,
상기 선형객체의 형태 또는 길이가 변형되거나 선형객체들 간 병합 또는 분할이 발생한 경우, 상기 교점 검출부(410)에서 검출한 법선과 교점(Mp)을 이용하여, 상기 선형객체 기반의 시설물 위치를 보정하는 위치 보정부(450)와,
상기 거리(M)를 이용하여 각 시설물들에게 순번(SEQ)을 할당하는 순번 지정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위치 보정부(450)는,
상기 선형객체의 형태가 변형된 경우, 우선, 순번(SEQ)을 기준으로 기존 선형객체에 연결된 모든 시설물들을 검색하며, 검출된 시설물들에 관한 리스트(List L)를 작성하고,
리스트(List L)상의 첫 번째 시설물부터 차례로 조회하여, 갱신 전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설물까지의 거리(M)를 확인하고,
갱신된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거리(M)만큼 떨어진 지점(X, Y)을 산출하고, 그 지점(X, Y)을 기준으로 상기 시설물의 위치(X', Y')를 검출하며,
상기 시설물의 연결위치 정보를 (X, Y)와 (X', Y')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A facilities management unit for storing and manag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facilities in each region,
A linear object management unit for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on the type, basic information,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the position of each facility based on the linear object by referring to the storage information of the facilities management unit and the linear object management unit and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facilities upon updating the linear object,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the facility and the preceding object, information on the order, location, and corrected position of each facility in a designated table,
Wherein,
An intersection detection unit 410 for searching for a linear object closest to the facility by referring to the storag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management unit and the linear object management unit and obtaining a normal line between the detected linear object and the facility and an intersection point Mp,
A distance calculating unit 430 for obtaining a distance M from the viewpoint of the linear object to the intersection Mp and obtaining the straight line distance D from the intersection Mp to the facility,
A direction calculating unit 420 for calculating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linear object on the basis of the clockwise orientation method in which the end point of the linear object is oriented,
When the shape or length of the linear object is modified or merging or division occurs between the linear objects, the linear object-based facility location is corrected using the normal line detected by the intersection detecting unit 410 and the intersection Mp A position correcting unit 450,
And a sequence number designation unit 440 for assigning a sequence number (SEQ) to each facility using the distance M,

The position correcting unit 450,
When the shape of the linear object is deformed, all the facilities connected to the existing linear object are searched based on the sequence (SEQ), a list (List L) about the detected facilities is created,
(M) from the viewpoint of the linear object before the update to the facility by sequentially inquiring from the first facility on the list (List L)
Calculates a point (X, Y) separated by the distance (M) from the point of time of the updated linear object and detects the position (X ', Y') of the facility on the basis of the point (X, Y)
And the connec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is updated to (X, Y) and (X ', 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정부(450)는,
상기 선형객체의 길이가 변형된 경우, 우선, 순번(SEQ)을 기준으로 기존의 선형객체에 연결된 모든 시설물들을 검색하고, 검출된 시설물들에 관한 리스트(List L)를 작성하며,
상기 리스트(List L)상의 첫 번째 시설물부터 차례로 조회하여, 갱신 전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설물까지의 거리(M)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거리(M)값에 변경된 길이(α)를 더하여 새로운 거리 정보(M')를 산출하고,
상기 시설물의 거리 정보(M)를 새로운 정보(M')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correcting unit (450)
When the length of the linear object is changed, all facilities connected to the existing linear object are searched based on the sequence (SEQ), a list (List L) about the detected facilities is created,
(M) from the viewpoint of the linear object before the update to the facility by sequentially inquiring from the first facility on the list (List L)
The new distance information M 'is calculated by adding the changed length α to the confirmed distance M,
And updates the distance information (M) of the facility with new information (M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정부(450)는,
선형객체들 간에 병합이 이루어진 경우, 우선, 순번(SEQ)을 기준으로 두번째 선형객체에 연결된 모든 시설물들을 검색하고, 검출된 시설물들에 관한 리스트(List L)를 작성하며,
상기 리스트(List L)상의 첫 번째 시설물부터 차례로 조회하여, 병합 전 첫번째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설물까지의 거리(M)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거리(M)값에, 병합 전 첫번째 선형객체의 길이를 더하여 새로운 거리 정보(M')를 산출하고,
상기 시설물의 순번(SEQ)에, 병합 전 첫번째 선형객체의 모든 시설물 순번(SEQ) 중 가장 큰 순번(SEQ) 값을 더하여 상기 시설물의 새로운 순번(SEQ')을 구하고,
상기 시설물의 연결 선형객체를 병합된 선형객체로 갱신하고,
상기 시설물의 거리 정보(M)와 순번(SEQ)을 새로운 값(M', SEQ')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correcting unit (450)
When merging is performed between linear objects, first, all the facilities connected to the second linear object are searched based on the sequence (SEQ), a list (List L) about the detected facilities is created,
(M) from the viewpoint of the first linear object before the merging to the facility by sequentially inquiring from the first facility on the list (List L)
The new distance information M 'is calculated by adding the length of the first linear object before merging to the value of the determined distance M,
A new sequence number (SEQ ') of the facility is obtained by adding the largest sequence number (SEQ) of all facility sequences (SEQ) of the first linear object before merging to the sequence number (SEQ) of the facility,
Updating a connected linear object of the facility to a merged linear object,
And updates the distance information (M) and the sequence number (SEQ) of the facility to new values (M ', SEQ').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정부(450)는,
상기 선형객체에 분할이 발생한 경우, 우선, 순번(SEQ)을 기준으로 기존 선형객체에 연결된 모든 시설물들을 검색하고, 검출된 시설물들에 관한 리스트(List L)를 작성하며,
상기 기존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시설물까지의 거리가 분할된 두번째 선행객체의 시점보다 먼 시설물의 순번(SEQ)을 도출하여 그 순번(SEQ)을 PIVOT의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리스트(List L)에서, 상기 도출된 순번(SEQ)의 시설물(이하, 시설물-n)부터 차례로 조회하여, 갱신 전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설물-n까지의 거리(M)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거리(M)값에서, 분할 후 첫번째 선형객체의 길이만큼을 빼서 새로운 거리 정보(M')를 산출하고,
상기 시설물-n의 순번(SEQ)에서 PIVOT값을 뺀 후 다시 1을 더하여 상기 시설물-n의 새로운 순번(SEQ')을 구하고,
상기 시설물-n의 연결 선형객체를 분할된 두번째 선행객체로 갱신하고,
상기 시설물-n의 거리 정보(M)와 순번(SEQ)을 새로운 값(M', SEQ')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correcting unit (450)
When division occurs in the linear object, first, all the facilities connected to the existing linear object are searched based on the sequence (SEQ), a list (List L) about the detected facilities is created,
(SEQ) of a facility farther than the time of the second preceding object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viewpoint of the existing linear object to the facility is divided, sets the sequence SEQ as a value of PIVOT,
In the list (List L), the facil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facility-n) is searched in order from the facility of the derived order (SEQ) to check the distance M from the viewpoint of the linear object before the update to the facility-
The new distance information M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length of the first linear object after the division from the identified distance M,
A new sequence number (SEQ ') of the facility-n is obtained by subtracting the PIVOT value from the sequence number (SEQ) of the facility-n and then adding 1 again,
Updating the connected linear object of the facility -n to the second divided preceding object,
And updates the distance information (M) and the sequence number (SEQ) of the facility-n to new values (M ', SEQ').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번 지정부(440)는,
차후에 새로운 시설물이 추가되는 경우, 상기 거리(M)를 이용하여 상기 추가 시설물의 순번(SEQ)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순번(SEQ)을 기준으로 상기 선형객체에 연결된 다른 시설물 순번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rder specification unit (440)
When a new facility is added in the futur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SEQ of the additional facility using the distance M and adjust the order of other facilities connected to the linear object based on the calculated sequence SEQ Features a linea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시설물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시설물 테이블과,
단위 선형객체의 형태와 기본 정보를 저장하는 범용 선형 테이블과,
선형객체의 시종점에 관한 정보와 선형객체들 간의 상관관계를 표현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노드 테이블과,
선형객체와 시설물 간의 연결정보를 저장하는 상호 참조정보 테이블과,
선형객체의 부가적인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선형정보 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facility table for stor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related to facilities,
A general linear table storing the type and basic information of the unit linear object,
A node table for storing information expressing a correlation between information about the linear point of the linear object and linear objects,
A cross-reference information table storing connection information between the linear object and the facility,
And a linear information table for storing and manag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linear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객체는
시점과 종점을 정하여 방향성을 가지며, 다수개가 하나의 노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2.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lurality of lines form a single line.
시설물과 가장 인접한 선형객체를 탐색하는 과정과,
상기 탐색된 선형객체와 시설물 사이의 법선과 교점(Mp)를 구하는 과정과,
상기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교점(Mp)까지의 거리(M)를 구하는 과정과,
상기 교점(Mp)과 시설물까지의 직선 거리(D)를 구하는 과정과,
상기 선형객체의 종점을 지향한 시계방위법을 기준으로 선형객체상 시설물의 방향정보를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거리(M)를 이용하여 각 시설물들에게 순번(SEQ)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선형객체의 형태 또는 길이가 변형되거나 선형객체들 간 병합 또는 분할이 발생한 경우, 상기 교점 검출부(410)에서 검출한 법선과 교점(Mp)을 이용하여, 상기 선형객체 기반의 시설물 위치를 보정하는 과정과,
상기 시설물이 연결된 선형객체의 식별정보(ID), 거리(M)정보, 순번(SEQ) 정보, 보정위치 정보, 시설물의 방향정보를 저장부의 소정 테이블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시설물 위치를 보정하는 과정은,
상기 선형객체의 형태가 변형된 경우, 우선, 순번(SEQ)을 기준으로 기존 선형객체에 연결된 모든 시설물들을 검색하며, 검출된 시설물들에 관한 리스트(List L)를 작성하는 과정과,
리스트(List L)상의 첫 번째 시설물부터 차례로 조회하여, 갱신 전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설물까지의 거리(M)를 확인하는 과정과,
갱신된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거리(M)만큼 떨어진 지점(X, Y)을 산출하고, 그 지점(X, Y)을 기준으로 상기 시설물의 위치(X', Y')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시설물의 연결위치 정보를 (X, Y)와 (X', Y')로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보정방법.
Searching for a linear object closest to the facility,
Calculating a normal line and an intersection Mp between the searched linear object and the facility,
Calculating a distance M from the viewpoint of the linear object to an intersection Mp;
Calculating a straight line distance D between the intersection Mp and the facility,
Calculating orientation information of a facility on a linear object based on a clockwise orientation method for orienting an end point of the linear object;
Allocating a sequence (SEQ) to each facility using the distance M;
When the shape or length of the linear object is modified or merging or division occurs between the linear objects, the linear object-based facility location is corrected using the normal line detected by the intersection detecting unit 410 and the intersection Mp Process,
And sto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the distance (M) information, the sequence number (SEQ) information, the correction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facility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linear object to which the facility is connected in a predetermined table of the storage unit,
The step of correcting the facility location comprises:
When the shape of the linear object is transformed, a step of searching all the facilities connected to the existing linear object based on the sequence (SEQ) and creating a list (List L) about the detected facilities,
(M) from the viewpoint of the linear object before updating by sequentially inquiring from the first facility on the list (List L)
Calculating a point (X, Y) separated by the distance (M) from a point of time of the updated linear object and detecting the position (X ', Y') of the facility on the basis of the point (X, Y) ,
And updating the connec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o (X, Y) and (X ', Y').
제10항에 있어서,
차후에 새로운 시설물이 추가되는 경우, 상기 거리(M)를 이용하여 상기 추가 시설물의 순번(SEQ)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순번(SEQ)을 기준으로 상기 선형객체에 연결된 다른 시설물 순번을 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보정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Calculating a sequence number (SEQ) of the additional facility using the distance M when a new facility is added lat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djusting the order of other facilities connected to the linear object based on the calculated sequence number (SEQ).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위치를 보정하는 과정은,
상기 선형객체의 길이가 변형된 경우, 우선, 순번(SEQ)을 기준으로 기존의 선형객체에 연결된 모든 시설물들을 검색하고, 검출된 시설물들에 관한 리스트(List L)를 작성하는 과정과,
상기 리스트(List L)상의 첫 번째 시설물부터 차례로 조회하여, 갱신 전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설물까지의 거리(M)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거리(M)값에 변경된 길이(α)를 더하여 새로운 거리 정보(M')를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시설물의 거리 정보(M)를 새로운 정보(M')로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보정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step of correcting the facility location comprises:
If the length of the linear object is changed, searching all the facilities connected to the existing linear object based on the sequence (SEQ) and creating a list (List L) about the detected facilities,
(M) from the viewpoint of the linear object before updating by sequentially inquiring from the first facility on the list (List L)
Calculating new distance information M 'by adding the changed length M to the determined distance M;
And updating the distance information (M) of the facility with new information (M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위치를 보정하는 과정은,
선형객체들 간에 병합이 이루어진 경우, 우선, 순번(SEQ)을 기준으로 두번째 선형객체에 연결된 모든 시설물들을 검색하고, 검출된 시설물들에 관한 리스트(List L)를 작성하는 과정과,
상기 리스트(List L)상의 첫 번째 시설물부터 차례로 조회하여, 병합 전 첫번째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설물까지의 거리(M)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거리(M)값에, 병합 전 첫번째 선형객체의 길이를 더하여 새로운 거리 정보(M')를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시설물의 순번(SEQ)에, 병합 전 첫번째 선형객체의 모든 시설물 순번(SEQ) 중 가장 큰 순번(SEQ) 값을 더하여 상기 시설물의 새로운 순번(SEQ')을 구하는 과정과,
상기 시설물의 연결 선형객체를 병합된 선형객체로 갱신하는 과정과,
상기 시설물의 거리 정보(M)와 순번(SEQ)을 새로운 값(M', SEQ')으로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보정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step of correcting the facility location comprises:
When merging is performed between linear objects, first, all facilities connected to the second linear object are searched based on the sequence (SEQ), and a list (List L) about the detected facilities is created.
Determining a distance (M) from the viewpoint of the first linear object before merging to the facility by sequentially inquiring from the first facility on the list (List L)
Calculating new distance information M 'by adding the length of the first linear object before merging to the value of the distance M,
Obtaining a new sequence number (SEQ ') of the facility by adding the largest sequence number (SEQ) of all facility sequences (SEQ) of the first linear object before merging to the sequence number (SEQ) of the facility,
Updating a connected linear object of the facility to a merged linear object;
And updating the distance information (M) and the sequence number (SEQ) of the facility to new values (M ', SEQ').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위치를 보정하는 과정은,
상기 선형객체에 분할이 발생한 경우, 우선, 순번(SEQ)을 기준으로 기존 선형객체에 연결된 모든 시설물들을 검색하고, 검출된 시설물들에 관한 리스트(List L)를 작성하는 과정과,
상기 기존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시설물까지의 거리가 분할된 두번째 선행객체의 시점보다 먼 시설물의 순번(SEQ)을 도출하여 그 순번(SEQ)을 PIVOT의 값으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리스트(List L)에서, 상기 도출된 순번(SEQ)의 시설물(이하, 시설물-n)부터 차례로 조회하여, 갱신 전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설물-n까지의 거리(M)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거리(M)값에서, 분할 후 첫번째 선형객체의 길이만큼을 빼서 새로운 거리 정보(M')를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시설물-n의 순번(SEQ)에서 PIVOT값을 뺀 후 다시 1을 더하여 상기 시설물-n의 새로운 순번(SEQ')을 구하는 과정과,
상기 시설물-n의 연결 선형객체를 분할된 두번째 선행객체로 갱신하는 과정과,
상기 시설물-n의 거리 정보(M)와 순번(SEQ)을 새로운 값(M', SEQ')으로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보정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step of correcting the facility location comprises:
When division occurs in the linear object, first, all the facilities connected to the existing linear object are searched on the basis of the sequence (SEQ), and a list (List L) about the detected facilities is created.
Deriving a sequence number (SEQ) of a facility farther from a time point of a second preceding object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viewpoint of the existing linear object to the facility is divided and setting the sequence number as a value of PIVOT;
A step of checking the distance M from the time point of the linear object before the update to the facilities -n by sequentially inquiring from the facil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facility-n) of the derived order (SEQ) in the list (List L) and,
Calculating new distance information M 'by subtracting the length of the first linear object after division from the identified distance M,
Obtaining a new sequence number (SEQ ') of the facility-n by subtracting the PIVOT value from the sequence number (SEQ) of the facility-n and adding 1 again;
Updating a connected linear object of the facility-n to a second pre-segmented object;
And updating the distance information (M) and the sequence number (SEQ) of the facility-n to new values (M ', SEQ').
KR1020140140494A 2014-10-17 2014-10-17 Method for amending information of linear-bas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KR1015486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494A KR101548649B1 (en) 2014-10-17 2014-10-17 Method for amending information of linear-bas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494A KR101548649B1 (en) 2014-10-17 2014-10-17 Method for amending information of linear-bas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649B1 true KR101548649B1 (en) 2015-09-01

Family

ID=54246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494A KR101548649B1 (en) 2014-10-17 2014-10-17 Method for amending information of linear-bas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64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705B1 (en) * 2004-07-10 2004-10-08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Fabricating Method of a Digital Map by Curve Fitting of GPS Coordinat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705B1 (en) * 2004-07-10 2004-10-08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Fabricating Method of a Digital Map by Curve Fitting of GPS Coordinat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0326B2 (en) Driving route match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6032467B2 (en) Spatio-temporal data management system, spatio-temporal data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thereof
CN105466435B (en) Route planning method and device of navigation system
US9250075B2 (en) Generating travel time data
CN109271467B (en) Direction-aware road network moving object k neighbor query method
CN1049770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e navigation
CN111275383B (en) Distribution rang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3903712B2 (en) Regional search device
KR20170080315A (en) Map processing method based on multi-scale model for building object
CN111931077B (en)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3500278B (en) The similar Typhoon Analysis method in path based on shortest path first
JP2015132539A (en) Sunshine quantity calculating apparatus, route proposing apparatus, and sunshine quantity calculating method
CN108022006B (en) Data-driven accessibility probability and region generation method
Ghosh et al. Traj-cloud: a trajectory cloud for enabling efficient mobility services
CN109472416B (en) Indoor path plann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automatic road network data extraction, and client
CN111143289A (en) Tile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map
CN112307151B (en) Navigatio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101548649B1 (en) Method for amending information of linear-bas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KR10139442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p data maintenance
KR101557310B1 (en)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rough a cross-reference between a linear Network and its attached facilities
CN116383282A (en) Method and device for rapidly counting area of coverage area of fence
US20210140791A1 (en) Use of geospatial coordinate systems for modifying map and route information
KR20160135907A (en) An extended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nearest spatial entity based on tree index
JPWO2013084281A1 (en) Map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15138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proximity spatial o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