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400B1 - Apparatus for washing agricultural products using bubb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washing agricultural products using bub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400B1
KR101545400B1 KR1020130143237A KR20130143237A KR101545400B1 KR 101545400 B1 KR101545400 B1 KR 101545400B1 KR 1020130143237 A KR1020130143237 A KR 1020130143237A KR 20130143237 A KR20130143237 A KR 20130143237A KR 101545400 B1 KR101545400 B1 KR 101545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uit
washing
conveyor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2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59527A (en
Inventor
김종국
김찬식
문혜경
이수원
문재남
이슬
이선호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43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400B1/en
Publication of KR20150059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5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4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23N12/023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for wash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6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combined with subsequent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확된 농산물에 남아있는 농약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고, 농산물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포와 세척수를 통해 농산물을 세척하면서도, 과육이 떨어지거나 물러지면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는, 수확된 과실(10)을 산발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판 형태의 배치부(100); 상기 배치부(100)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과실(10)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30)가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부(200); 상기 세척부(200) 내부의 상기 세척수(30)에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공급부(300); 상기 세척부(200)에 연결형성되어 세척된 상기 과실(10)이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부(400); 및 상기 이송부(400)와 연결형성되어 상기 이송부(400)에서 이송된 상기 과실(10) 표면에 남은 물기를 건조하여 제거하는 건조부(500);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leaning agricultural products using bubb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cleaning agricultural products using bubbles and washing water in order to remove pesticides and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on harvested agricultural products and to secure safety from microorganisms existing on the surface of agricultural produc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product cleaning apparatus using bubbles capable of preventing the flesh from being damaged while being washed or being deteriorated while being washed.
The apparatus for cleaning agricultural products using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ate-like arrangement unit 100 capable of sporadically arranging harvested fruit 10; A cleaning unit 200 connected to the arrangement unit 100 to receive washing water 30 for washing the fruit 10; A bubble supplying unit 300 for supplying bubbles to the washing water 30 inside the washing unit 200; A transfer unit 400 connected to the cleaning unit 200 to transfer the cleaned fruit 10; And a drying unit 500 connected to the transfer unit 400 to dry and remove the moisture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fruit 10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unit 400.

Figure R1020130143237
Figure R1020130143237

Description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APPARATUS FOR WASHING AGRICULTURAL PRODUCTS USING BUBB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leaning agricultural products using air bubbles,

본 발명은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확된 농산물에 남아있는 농약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고, 농산물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포와 세척수를 통해 농산물을 세척하면서도, 과육이 떨어지거나 물러지면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leaning agricultural products using bubb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cleaning agricultural products using bubbles and washing water in order to remove pesticides and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on harvested agricultural products and to secure safety from microorganisms existing on the surface of agricultural produc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product cleaning apparatus using bubbles capable of preventing the flesh from being damaged while being washed or being deteriorated while being washed.

농산물은 농업에 의하여 생산된 물자, 곡식, 채소, 과일, 달걀, 특용 작물, 화훼 등을 말하고, 농작물은 논밭에 심어 가꾸는 곡식이나 채소 등을 말한다.Agricultural products refers to materials, crops, vegetables, fruits, eggs, special crops, flowers, etc. produced by agriculture, and crops refers to crops and vegetables planted in fields.

특히, 농산물을 재배하여 수확하기까지는 대부분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되고, 농산물을 재배하여 수확하여 출하하기 위해서 다양한 도구들이 사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it takes a lot of time to grow and harvest agricultural products, and various tools are used to grow, harvest and ship agricultural products.

이러한, 농산물을 수확하는 도구로는 바구니, 박스 등이 사용되고, 수확하여 바구니나 박스가 채워지면, 농산물은 큰 자루로 옮겨져 이동된 후, 농산물에 잔존하는 농약이나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세척되게 된다.As a means of harvesting agricultural products, baskets, boxes, etc. are used. When harvested and filled with baskets or boxes, agricultural products are transported to a large bag and then washed for removal of pesticides and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in the agricultural products.

이렇게, 농산물에 잔존하는 농약은 소비자가 그대로 섭취하게 될 경우, 인체에 상당한 해를 끼치게 되기 때문에, 농산물을 포장박스에 포장하기 전에 음용이 가능한 깨끗한 물로 여러차례 세척하게 된다.In this way, pesticides residing in agricultural products are often harmed to the human body when consumed intact, so agricultural products are washed several times with clean drinking water before being packed in a packaging box.

그러나, 농산물의 표면에 응고상태로 달라붙은 잔류 농약이나 각종 유해성 물질이 세척과정에서 깨끗하게 제거되지 않아, 그 유해성 잔류물질을 소비자가 섭취하면서 각종 질병이 유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residual pesticides and various harmful substances which stick to the surface of agricultural products in a solidified state are not cleanly removed during the washing proces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various diseases are caused by ingesting the harmful residual substances into the consumers.

이를 위해, 농산물을 유기 및 무기화합물로 이루어진 세제를 사용하여 세척하였는데, 세제를 통해 농산물에 달라붙은 농약이나 이물질이 상당부분 제거되었지만, 세제의 잔류물과 유해 성분이 오히려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o this end, the agricultural products were cleaned with detergents consisting of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lthough the pesticides and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agricultural products were largely removed through the detergents, the residues and harmful components of the detergents were rather harmful to the human body There was a problem.

그리고, 농산물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작업작가 수작업을 통하여 일일이 농산물을 이동 세척 및 건조 과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작업이 어렵고 소요되는 세척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clean the agricultural products, the agricultural products must be moved and washed and dried through the manual work of the artist, so that the operation is difficult and the washing time is long.

특허문헌 등록특허 10-0337773Patent Document Registration Patent No. 10-0337773 특허문헌 등록특허 10-0171561Patent Document Registration Patent No. 10-017156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는, 농산물의 표면에 응고상태로 달라붙은 잔류 농약이나 각종 유해성 물질을 깨끗하게 세척하고, 농산물 표면의 미생물을 제거하여 안전성을 높여 소비자가 깨끗하게 세정된 농산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gricultural product cleaning apparatus using bubbles, which cleans residual agricultural chemicals and various harmful substances,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device for cleaning agricultural products using bubbles which enables consumers to take clean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는, 인력의 소요와 시간의 소요를 최소화하여 농산물을 원활하게 세척할 수 있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agricultural product cleaning apparatus using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n agricultural product cleaning apparatus using bubbles capable of smoothly cleaning agricultural products by minimizing labor and time required for manpower.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는, 농산물을 대량으로 세척하면서도 단시간에 원활하게 세척이 가능하면서도 농산물 표면의 유해성 물질을 견고하게 세척할 수 있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agricultural product cleaning apparatus using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n agricultural product cleaning apparatus using bubbles capable of cleaning a large amount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cleaning the harmful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agricultural products smoothly in a short time, .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는, 수확된 과실(10)을 산발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판 형태의 배치부(100); 상기 배치부(100)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과실(10)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30)가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부(200); 상기 세척부(200) 내부의 상기 세척수(30)에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공급부(300); 상기 세척부(200)에 연결형성되어 세척된 상기 과실(10)이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부(400); 및 상기 이송부(400)와 연결형성되어 상기 이송부(400)에서 이송된 상기 과실(10) 표면에 남은 물기를 건조하여 제거하는 건조부(500); 및 상기 세척부(200)와 기포공급부(300), 이송부(400), 건조부(5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The apparatus for cleaning agricultural products using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ate-like arrangement unit 100 capable of sporadically arranging harvested fruit 10; A cleaning unit 200 connected to the arrangement unit 100 to receive washing water 30 for washing the fruit 10; A bubble supplying unit 300 for supplying bubbles to the washing water 30 inside the washing unit 200; A transfer unit 400 connected to the cleaning unit 200 to transfer the cleaned fruit 10; And a drying unit 500 connected to the transfer unit 400 to dry and remove residual water on the surface of the fruit 10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unit 400; And a control unit 600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cleaning unit 200, the bubble supplying unit 300, the transfer unit 400, and the drying unit 500.

상기 세척부(200)는, 이산화염소수를 발생하는 이산화염소수발생기(210)와, 상기 이산화염소수발생기(210)에서 발생 되는 이산화염소수를 상기 세척부(200)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30)에 공급하는 공급노즐(220)과, 상기 세척부(20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포공급부(300)의 기포에 의해 유동되는 상기 과실(10)의 유동 진행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판(230)을 포함한다.The washing unit 200 includes a chlorine dioxide generator 210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water and a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210 for supplying chlorine dioxide water generated i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or 210 to the washing water 30 And a guide plate 23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leaning unit 200 and guiding the flow of the bubble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fruit chamber 10 by the bubbles of the bubble supplying unit 300 ).

상기 공급노즐(220)은, 상기 세척부(200)의 상부에 세척부(20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400)에 진입되는 상기 과실(10)에 이산화염소수를 분사한다.The supply nozzle 220 is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leaning part 200 at the upper part of the cleaning part 200 and injects chlorine dioxide to the fruit 10 entering the transfer part 400.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세척수(30)가 상기 세척부(200) 내에서 기설정된 수위를 넘길 경우, 세척수(30)가 세척부(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세척부(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천공되는 배관홀(250)과, 상기 배관홀(250)에 연결되어 상기 배관홀(250)을 통해 세척부(2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세척수(30)의 배수를 안내하는 배관호스(260)를 포함한다.The washing unit 200 may be provided with a washing unit 200 so that the washing water 3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unit 200 when the washing water 30 passes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in the washing unit 200. [ And a drain port connected to the pipe hole 250 for discharging drain water from the wash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unit 200 through the pipe hole 250, (Not shown).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과실(10)이 20 내지 30ppm의 이산화염소수를 이루는 세척수(30)에서 60 내지 120초간 세척될 수 있도록 상기 과실(10)의 유동을 제어하는 유동제어기(270)를 포함한다.The washing unit 200 includes a flow controller 270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ruit 10 so that the fruit 10 can be washed for 60 to 120 seconds in the washing water 30 constituting 20 to 30 ppm of chlorine dioxide ).

상기 유동제어기(270)는, 상기 세척부(200)의 상부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272)과, 상기 회전축(272)에 연동회전되면서 상기 세척부(200)의 내부를 개폐하여 상기 과실(10)의 유동을 제어하는 판 형태의 개폐판(274)과, 상기 회전축(272)이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서브모터(276)와, 상기 개폐판(274)의 폐쇄시간과 개방시간을 외부에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판(278)과, 상기 개폐판(274)에 다수 개가 천공되어 상기 개폐판(274)이 폐쇄될 경우, 상기 세척수(30)는 유동가능하도록 하고 과실(10)의 유동은 차단하는 선별홀(275)을 포함한다.The flow controller 270 includes a rotating shaft 272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unit 200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rotating shaft 272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272 to open and close the inside of the washing unit 200, A sub-motor 276 for providing power to rotate the rotary shaft 272 in both directions and a control unit 260 for controlling the closing tim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274, The washing water 30 is allowed to flow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74 is closed and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74 so that the washing water 30 can flow, 10 comprises a screening hole 275 which blocks.

상기 기포공급부(300)는, 상기 세척부(2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면서 기포를 발생하는 기포발생기(310)와, 상기 기포발생기(310)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상기 세척부(200) 내부에 분사하는 다수 개의 분사홀(320)을 포함한다.The bubble supplying unit 300 includes a bubble generator 310 that generates bubbles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unit 200 and a bubble generator 310 that generates bubbles in the bubble generator 310, And a plurality of ejection holes 320 for ejecting droplets.

상기 분사홀(320)은, 상기 배치부(100)와 인접한 상기 세척부(200)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과실(10)이 이송부(400)로 유동 되도록 상기 세척부(200)의 길이방향으로 기포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전면분사홀(330)과, 상기 세척부(200)의 양측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부(200)의 폭 방향으로 기포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측면분사홀(340)을 포함한다.The spray hole 320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washing unit 200 adjacent to the arrangement unit 100 so that the fruit 10 flows into the transfer unit 4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shing unit 200 And a plurality of side injection holes 340 formed on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washing unit 200 to inject air bubbl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ashing unit 200 do.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세척부(200)의 과실(10)이 이송되도록 하면서 과실(10) 표면에 있는 잔존 세척수(30)가 하부로 낙하되도록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는 컨베이어(410)와, 상기 컨베이어(410)의 외면에 상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410)의 상면으로 올라온 과실(10)이 다시 세척부(200)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판(420)과, 상기 컨베이어(41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송회전축(430)과, 상기 이송회전축(430)에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440)와, 상기 컨베이어(410)에 감겨진 채로 상기 이송회전축(430)의 회전에 연동되면서 상기 컨베이어(410)가 회전되도록 하는 풀리(450)를 포함한다.The conveyance unit 400 includes a conveyor 410 formed in a net shape so that the residual wash water 30 on the surface of the fruit chamber 10 drops downward while the fruit chamber 10 of the washing unit 200 is conveyed, A blocking plate 42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yor 410 so as to prevent the fruit chamber 10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410 from entering the washing unit 200 again, A conveying motor 440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veying rotary shaft 430 and a conveying motor 440 for conveying the rotation of the conveying rotary shaft 430 while being wound around the conveying belt 410. [ And a pulley 450 for rotating the conveyor 410 while being interlocked.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컨베이어(410)의 경사배치 각도가 변경되도록 하는 높이조절판(460)과, 상기 높이조절판(460)에 상기 이송회전축(430)이 연결될 수 있도록 높이별 및 거리별로 다수 개가 천공되는 높이조절공(470)을 포함한다.The conveyance unit 400 includes a height regulating plate 460 for changing the inclined arrangement angle of the conveyor 410 and a plurality of conveying units 460 for conveying the conveying unit 460 to the height regulating plate 460, And a height adjustment hole 470 through which the dog is perforated.

상기 건조부(500)는, 상기 이송부(40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과실(10)이 이송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건조컨베이어(510)와, 상기 건조컨베이어(510) 상에서 건조컨베이어(510)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과실(10)에 바람을 분사하여 과실(10)이 건조되도록 하는 블로워(520)와, 상기 건조컨베이어(510)에서 건조된 과실(10)이 낙하된 후 수용될 수 있고, 상하로 공기가 통하도록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는 수용판(530)과, 상기 건조컨베이어(510)과 수용판(530)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과실(10)의 낙하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하향 경사각을 갖는 판 형태의 낙하보조판(540)을 포함한다.
The drying unit 500 includes a drying conveyor 510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convey the fruit 10 conveyed through the conveyance unit 400 and a drying conveyor 510 disposed on the drying conveyor 510, A blower 520 for blowing wind to the fruit 10 conveyed by the rotation so that the fruit 10 is dried and a blower 520 for receiving the dried fruit 10 from the drying conveyor 510, A receiving plate 530 formed in a net shape so as to allow air to pass up and down and a downward inclination angle formed between the drying conveyor 510 and the receiving plate 530 to prevent drop impact of the fruit 10 Shaped drop-assisting plate 540 having a plate-like shape.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는, 농산물 표면의 유해성 물질을 깨끗하게 세척하고, 농산물 표면의 미생물을 제거하여 안전성을 높여 소비자가 농산물의 섭취시 유해물질을 섭취하는 것을 최소화 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농산물을 안전하게 섭취하 수 있도록 하는 안전상의 효과가 있다.The apparatus for cleaning agricultural products using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lean the harmful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remove the microorganisms on the surface of agricultural products to enhance the safety, thereby minimizing the ingestion of harmful substances by consumers when consuming agricultural products. There is a safety effect that can safely be ingested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는, 농산물을 깨끗하게 세척하면서도 그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The apparatus for cleaning agricultural products using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conomical effect of minimizing manpower and time required for cleaning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는, 농산물을 대량으로 단시간에 원활하게 세척하면서도 농산물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생상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The apparatus for cleaning agricultural products using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technical effect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roduct and improving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product because the agricultural products can be cleanly cleaned while smoothly washing the agricultural products in a short time in a short ti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gricultural product cleaning apparatus using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plan view according to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agricultural product cleaning apparatus using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according to Fig. 3. Fig.
5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n agricultural product cleaning apparatus using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according to Fig.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length and area, thicknes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수확된 농산물에 남아있는 농약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기포와 세척수를 통해 농산물을 세척하면서도, 과육이 떨어지거나 물러지면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특히, 세척부, 기포공급부, 이송부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for example, an agricultural product washing apparatus using bubbles which can prevent the agricultural products from being damaged or fallen while being washed while washing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bubbles and washing water in order to remove pesticides or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in the harvested agricultural products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technical constructions of the washing section, the bubble supplying section, and the feeding section can be equally appli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agricultural product cleaning apparatus using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따른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plan view according to FIG. 1.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는, 과실(10)이 배치되는 판 형태의 배치부(100)와, 과실(10)을 세척하는 세척부(200)와, 세척부에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공급부(300)와, 과실(10)을 이송하는 이송부(400)와, 과실(10)을 건조하는 건조부(500)를 포함한다.
1 and 2, an agricultural product cleaning apparatus using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te-like arrangement unit 100 in which fruit cells 10 are arranged, a cleaning unit 200 for cleaning the fruit cells 10, A bubble supplying unit 300 for supplying bubbles to the cleaning unit, a transfer unit 400 for transferring the wafer 10, and a drying unit 500 for drying the wafer 10.

이때, 상기 세척부(200)와 기포공급부(300), 이송부(400), 건조부(500)의 동작은 제어부(600)를 통하여 제어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operations of the washing unit 200, the bubble supplying unit 300, the transfer unit 400, and the drying unit 500 ar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600.

즉, 사용자가 상기 세척부(200)와 기포공급부(300), 이송부(400), 건조부(500)의 원활한 동작을 제어하고, 과실(10)을 견고하게 세척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600)를 통하여 상기 세척부(200)와 기포공급부(300), 이송부(400), 건조부(500)에 지령을 전달하고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user controls the smooth operation of the washing unit 200, the bubble supplying unit 300, the feeding unit 400, and the drying unit 500, and controls the control unit 600 in order to firmly clean the fruit room 10 The bubble supplying unit 300, the transfer unit 400, and the drying unit 500 through the cleaning unit 200 and the drying unit 500, respectively.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600)에는 사용자가 지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패널(610)과 외부에서 상기 세척부(200)와 기포공급부(300), 이송부(400), 건조부(500)의 진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표시창(6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0 includes an input panel 610 through which a user can input a command and a control unit 6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unit 200, the bubble supplying unit 300, the feeding unit 400, And a display window 620 displayed to confirm the status.

특히, 상기 배치부(100), 세척부(200), 건조부(500)의 하부에는, 다수 개의 바퀴(50)가 포함된다.Particularly, a plurality of wheels 50 are included in the lower part of the arrangement unit 100, the cleaning unit 200, and the drying unit 500.

그렇기 때문에, 상기 배치부(100), 세척부(200), 건조부(5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활하게 이동된 후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refore, the arrangement unit 100, the cleaning unit 200, and the drying unit 500 can be smoothly mov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and fixed and used.

먼저, 상기 배치부(100)는, 수확된 과실(10)을 산발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판 형태로 형성된다.First, the arrangement unit 1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capable of arranging the harvested fruits 10 sporadically.

여기서, 상기 과실(10)은 오미자가 될 수 있다.Here, the fruit (10) can be an omija.

오미자는 일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과일과 열매를 포함한 농산물과 농작물을 세척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It is natural that the agricultural products and crops including various fruits and fruits can be washed through the agricultural product cleaning apparatus using the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기 배치부(100)는, 상기 배치부(100)에 배치되는 상기 과실(10)이 상기 세척부(200)로 진입될 수 있도록 세척부(200)가 형성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arrangement unit 10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leaning unit 200 is formed so that the fruit 10 disposed in the arrangement unit 100 may enter the cleaning unit 200 have.

또한, 상기 배치부(100)는, 상기 배치부(100)에 배치되는 상기 과실(10)이 배치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부(100)의 테두리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편(110)을 포함할 수 있다.The arrangement unit 100 may be formed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rim of the arrangement unit 100 in order to prevent the fruit cells 10 disposed in the arrangement unit 1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rrangement unit 100 As shown in FIG.

결과적으로, 상기 배치부(100)는, 수확된 과실(10)이 유실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과실(10)이 원활하게 상기 세척부(200)에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준비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placement unit 100 plays a role of preparing the fruit 10 so that the fruit 10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washing unit 200 while preventing the harvested fruit 10 from being lost .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배치부(100)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과실(10)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30)가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상기 세척수(30)를 통하여 과실(10)을 견고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washing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arrangement unit 100 and the washing water 30 for washing the fruit cells 10 is accommodated in the washing unit 200, So that it can be cleaned firmly.

즉, 상기 세척부(200)는, 과실(10)을 견고하게 세척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That is, the cleaning unit 200 functions to firmly clean the fruit 10.

그리고, 상기 세척부(200)에 수용되는 세척수(30)는, 이산화염소수(ClO₂)가 혼합되어 상기 과실(10)을 깨끗하게 세척하면서도 소비자가 과실(10)을 섭취했을때, 인체에 무해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The washing water 30 contained in the washing unit 200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when the fruit 10 is consumed while the fruit 10 is cleaned by mixing the chlorine dioxide (ClO 2) .

이를 위해, 상기 세척부(200)는, 이산화염소수를 발생하는 이산화염소수발생기(210)와, 상기 이산화염소수발생기(210)에서 발생 되는 이산화염소수를 상기 세척부(200)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30)에 공급하는 공급노즐(2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unit 200 includes a chlorine dioxide generator 210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water and a chlorine dioxide generator 210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water generated i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or 210, And a supply nozzle 220 for supplying the cleaning water 30.

상기 공급노즐(220)은, 상기 세척부(200)의 상부에 세척부(20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400)에 진입되는 상기 과실(10)의 상부에서 하 방향으로 이산화염소수를 분사한다.The supply nozzle 220 is disposed in the upper part of the cleaning part 20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leaning part 200 and is arrang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uit room 10, .

여기서, 상기 공급노즐(220)은, 상기 과실(10)에 이산화염소수를 분사할 수 있다면 관 형태나 박스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당연하다.Here, the supply nozzle 2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tube shape or a box shape as long as it can spray chlorine dioxide water to the fruit.

즉, 이산화염소수가 혼합된 상기 세척수(30)에 의해 세척된 상기 과실(10)은 상기 이송부(400)에 진입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급노즐(220)에서 분사되는 이산화염소수에 의해 다시한면 세척되게 된다.That is, the fruit 10, which has been washed by the washing water 30 mixed with chlorine dioxide water, flows into the feeding unit 400 and is transported again by the chlorine dioxide injected from the feeding nozzle 220 And then washed.

그리고, 상기 공급노즐(220)을 통하여 상기 이송부(400)에 진입된 과실(10)에 분사되는 이산화염소수는 상기 세척부(2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세척부(200) 내부의 세척수(30)와 혼합되게 된다.The chlorine dioxide water injected into the fruit chamber 10 entering the transfer unit 400 through the supply nozzle 220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washing unit 200 and flows into the washing unit 200 30).

여기서, 이산화염소수는 살균효과가 뛰어나고 호기성 세균과 곰팡이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되며,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상기 세척수(30)와 혼합하여 과실(10)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chlorine dioxide water has excellent germicidal effect, minimizes the number of aerobic bacteria and molds, and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so that the fruit 10 can be cleaned by mixing with the washing water 30.

그리고,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세척부(20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포공급부(300)의 기포에 의해 유동되는 상기 과실(10)의 유동 진행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판(2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unit 200 includes a guide plate 230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washing unit 200 and guiding the flow of the fruit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fruit 10, . ≪ / RTI >

이러한 상기 안내판(230)은 상기 기포공급부(300)에서 분사하는 기포에 의해 세척부(200) 내의 세척수(10)에서 유동되는 과실(10)이 원활하게 이송부(400)의 배치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The bubble supplying unit 300 may be configured to guide the guide plate 230 to the guide plate 230 so that the fruit cells 10 flowing from the washing water 10 in the washing unit 200 can be smoothly moved to the placing position of the transfer unit 400 .

이를 위해, 상기 안내판(230)은 세척부(200)의 내면에서 세척부(2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이송부(400)가 배치된 위치로 갈수록 상기 세척부(200)의 폭이 좁아지도록 하게 된다.The guide plate 23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shing unit 20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shing unit 200 and the width of the washing unit 200 is narrowed toward the position where the feeding unit 400 is disposed Respectively.

더불어,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세척수(30)가 상기 세척부(200) 내에서 기설정된 수위를 넘길 경우, 세척수(30)가 세척부(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세척부(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천공되는 배관홀(2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washing unit 200 for washing water 3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unit 200 when the washing water 30 exceeds a predetermined water level in the washing unit 200, And a pipe hole 250 that is pierc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pipe 200.

그리고,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배관홀(250)에 연결되어 상기 배관홀(250)을 통해 세척부(2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세척수(30)의 배수를 안내하는 배관호스(2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unit 200 includes a pipe hose 260 connected to the pipe hole 250 for guiding the drainage of the washing water 30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unit 200 through the pipe hole 250 ).

즉, 상기 세척부(20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세척수(30)는, 상기 이산화염소수발생기(210)에서 발생 되어 상기 공급노즐(220)을 통해 세척부(200)의 세척수(30)에 추가적으로 유입되는 이산화염소수에 의해 양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게 된다.That is, the washing water 30 contained in the washing unit 200 is generated i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or 210 and is further introduced into the washing water 30 of the washing unit 200 through the feeding nozzle 220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is continuously increased.

이때, 상기 세척부(200)의 설정된 수위를 넘는 세척수(30)는 사용자의 지정에 따라 상기 세척부(200)에 천공된 상기 배관홀(250)과 그 배관홀(250)에 연결되는 배관호스(260)를 통해 상기 세척부(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washing water (30) exceeding a set level of the washing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pipe hole (250) drilled in the washing unit (200) and the pipe hose So that it can be smoothly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washing unit 200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260.

결과적으로, 상기 배관홀(250)과 그 배관홀(250)에 연결되는 배관호스(260)에 의해 상기 세척부(200) 내부의 세척수(30)가 상기 세척부(200)에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piping hole 250 and the pipe hose 260 connected to the pipe hole 250 prevent the wash water 30 in the wash unit 200 from overflowing from the wash unit 200 It will be possible.

한편, 상기 기포공급부(300)는, 상기 세척부(200) 내부의 상기 세척수(30)에 기포를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The bubble supplying unit 300 serves to supply bubbles to the washing water 30 in the washing unit 200.

이를 위해, 상기 기포공급부(300)는, 상기 세척부(2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면서 기포를 발생하는 기포발생기(310)와, 상기 기포발생기(310)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상기 세척부(200) 내부에 분사하는 다수 개의 분사홀(3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bubble supplying unit 300 may include a bubble generator 310 for generating bubbles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unit 200, And a plurality of ejection holes 320 for ejecting the droplets into the unit 200.

이러한 상기 기포발생기(310)에서 생성된 기포는 상기 분사홀(320)을 통해 상기 세척부(200) 내의 세척수(30)에 분사되면서 과실(10) 표면의 이물질이나 미생물을 제거하게 된다.The bubbles generated in the bubble generator 310 are sprayed onto the washing water 30 in the washing unit 200 through the spray hole 32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r microorganisms on the surface of the fruit 10.

즉, 미세기포를 포함하는 기포는 과실(10)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과실(10) 표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이나 미생물이 기포에 달라붙도록하여 이물질이나 미생물을 과실(10)에서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bubbles containing minute bubbl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fruit (10), so that foreign substances or microorganism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fruit (10) adhere to the bubbles and separate foreign matters or microorganisms from the fruit (10).

특히, 상기 기포공급부(300)를 통해 상기 과실(10) 표면의 이물질이나 미생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면서 과실(10)이 이송부(400)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분사홀(320)은 상기 세척부(200) 내의 다양한 위치에 다수 개가 배치되게 된다.Particularly, in order that the fruit 10 can be smoothly transferred to the transfer unit 400 while efficientl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r microorganisms on the surface of the fruit 10 through the bubble supplying unit 300, A plurality of the cleaning units 200 are disposed at various positions within the cleaning unit 200.

상세하게는, 상기 분사홀(320)은, 상기 배치부(100)와 인접한 상기 세척부(200)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과실(10)이 이송부(400)로 유동 되도록 상기 세척부(200)의 길이방향으로 기포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전면분사홀(3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pray hole 32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shing unit 200 adjacent to the arrangement unit 100 so that the washing unit 200 can be rotated so that the fruit 10 flows into the transfer unit 400. [ And a plurality of front side injection holes 330 for injecting air bubb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그리고 상기 분사홀(320)은, 상기 세척부(200)의 양측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부(200)의 폭 방향으로 기포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측면분사홀(3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jection hole 3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ide injection holes 340 formed on inner surfaces of the washing unit 200 to inject air bubbl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ashing unit 200.

이때, 상기 기포공급부(300)에서 기포를 분사하는 분사압은, 상기 과실(10)이 상기 기포공급부(300)의 분사압으로 인해 훼손되지 않을 정도의 분사압으로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jection pressure for spraying the bubbles in the bubble supplying unit 300 is injected at an injection pressure not to be damaged by the injection pressure of the bubble supplying unit 300.

상기 분사홀(320)에서 상기 세척부(200) 내의 세척수(30)에 기포를 분사하게 되면, 기포에 의해 상기 과실(10)이 세척수(30)의 상부로 떠오르게 된다.When bubbles are injected into the washing water (30) in the washing unit (200) in the injection hole (320), the fruit (10) floats to the upper part of the washing water (30) by bubbles.

이상태에서, 상기 전면분사홀(330)은 상기 배치부(100)가 배치된 방향에서 상기 이송부(400)가 배치된 방향으로 기포를 분사하기 때문에 상기 과실(10)이 세척수(30)와 함께 이송부(400)로 이동되게 된다.Since the front spray holes 330 spray the air bubbl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nsfer unit 400 is dispo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rrangement unit 100 is disposed, the fruit cells 10, together with the washing water 30, (400).

그리고, 상기 측면분사홀(340)이 상기 세척부(200)의 폭방향으로 기포를 분사하기 때문에, 상기 과실(10)은 이송부(40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송되는 상태에서 기포와 접촉하게 되어, 상기 과실(10) 표면의 이물질이나 미생물이 과실(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Since the side injection holes 340 inject bubbl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ashing unit 200, the fruit cells 1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ubbles in a state of being convey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eeding unit 400 is disposed So that the foreign matter or microorganisms on the surface of the fruit 10 can be separated from the fruit 10.

여기서, 상기 측면분사홀(340)은, 상기 세척부(200)의 폭방향으로 기포를 분사하되, 상기 이송부(400)가 배치된 방향으로 경사각을 갖으며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injection holes 340 may be formed to inject air bubbl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ashing unit 200 and have inclination angl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eeding unit 400 is disposed.

그렇기 때문에, 상기 측면분사홀(340)에 의해 과실(10) 표면의 이물질이나 미생물이 제거됨과 동시에 과실(10)이 이송부(400)로 유동 되는 것을 보조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foreign matter or microorganisms on the surface of the fruit cell 10 can be removed by the side injection hole 340, and the flow of the fruit cell 10 to the transfer unit 400 can be assisted.

이렇게, 상기 세척수(30)에 이산화염소수를 혼합시켜 상기 과실(30) 표면을 살균하고, 호기성 세균과 곰팡이의 수를 최소화 하면서, 상기 기포공급부(300)를 통해 과실(10) 표면의 이물질이나 미생물이 제거하기 때문에 상기 과실(30)은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surface of the fruit 30 may be sterilized by mixing the chlorine dioxide water with the washing water 30 to minimize the number of aerobic bacteria and fungus and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from the surface of the fruit 10 through the bubble supplying unit 300 So that the fruit 30 can be washed cleanly because the microorganisms are removed.

한편,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세척부(200)에 연결형성되어 세척된 상기 과실(10)이 상기 건조부(500)로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The transfer unit 400 may be connected to the cleaning unit 200 to transfer the cleaned fruit 10 to the drying unit 500.

이를 위해,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세척부(200)의 과실(10)이 이송되도록 하면서 과실(10) 표면에 있는 잔존 세척수(30)가 하부로 낙하되도록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는 컨베이어(4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ying unit 400 may include a conveyor 410 formed in the form of a net so that the remaining wash water 30 on the surface of the fruit 10 is dropped down while the fruit 10 of the washing unit 200 is being conveyed, ).

이러한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세척부(200) 내의 세척수(30) 수중에 있는 과실(10)이 외부로 이송된 후 상기 건조부(500)로 이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세척부(200)에서 상기 건조부(500)가 배치된 방향으로 상방향 경사각을 갖으며 배치되게 된다.Since the fruit portion 10 in the washing water 30 in the washing portion 200 is transferred to the drying portion 500 after the fruit portion 10 is transferred to the drying portion 500, So that the drying unit 500 is disposed at an upward inclination angle.

상기 세척부(200) 내의 세척수(30) 수중에 있는 과실(10)이 상기 컨베이어(410) 상면에 부양된 상태로 상기 컨베이어(410)가 회전되면서 상기 세척부(200) 내의 세척수(30) 수중에 있는 과실(10)이 세척부(200)의 외부로 이동되어 상기 건조부(500)에 공급될 수 잇게 된다.The conveyor 410 is rotated while the fruit 10 in the washing water 30 in the washing unit 200 is flo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410 so that the washing water 30 in the washing unit 200 The fruit 10 in the cleaning unit 200 can be mov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ing unit 200 and supplied to the drying unit 500.

이를 위해, 상기 컨베이어(410)의 일단은 상기 세척부(200) 내의 세척수(30) 수중에 위치하고, 상기 컨베이어(410)의 타단은 상기 건조부(50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One end of the conveyor 410 is located in the washing water 30 in the washing unit 200 and the other end of the conveyor 410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drying unit 500.

이러한 상기 이송부(400)의 구성 및 동작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conveyance unit 4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한편, 상기 건조부(500)는, 상기 이송부(400)와 연결형성되어 상기 이송부(400)에서 이송된 상기 과실(10) 표면에 남은 물기를 건조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The drying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unit 400 to dry and remove residual water on the surface of the fruit 10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unit 400.

이를 위해, 상기 건조부(500)는, 상기 이송부(40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과실(10)이 이송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건조컨베이어(5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ying unit 500 may include a drying conveyor 510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convey the fruit 10 conveyed through the conveying unit 400.

그리고, 상기 건조부(500)는, 상기 건조컨베이어(510) 상에서 건조컨베이어(510)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과실(10)에 바람을 분사하여 과실(10)이 건조되도록 하는 블로워(5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ying unit 500 includes a blower 520 for blowing wind to the fruit 10 conveyed by the rotation of the drying conveyor 510 on the drying conveyor 510 to dry the fruit 10 .

여기서, 상기 건조컨베이어(510)는, 상기 과실(10)이 이송되면서 상기 블로워(520)에서 분사되는 바람에의해 건조될 수 있도록, 과실(10)의 상태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회전속도를 다양하게 변경시켜 사용될 수 있다.The drying conveyor 510 may vary the rotational speed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fruit 10 and the user's needs so that the fruit 10 can be dried by the wind blown by the blower 520 while being transported. .

즉, 상기 과실(10)의 표면에 세척수(30)의 잔존물이 많을 경우 잔존물이 적을 경우보다, 상기 건조컨베이어(510)를 천천히 회전시키고 상기 블로워(520)에서 분사되는 바람의 세기를 강하게 조절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residues of the washing water 30 are large on the surface of the fruit 10, the drying conveyor 510 is rotated slowly and the intensity of the air blown by the blower 520 is strongly controlled have.

이때, 상기 블로워(520)에서 분사되는 바람의 세기는 상기 과실(10)이 훼손되지 않을 정도의 세기로 과실(10)에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nsity of wind blown by the blower 520 is injected into the fruit 10 with an intensity that does not damage the fruit 10.

반대로, 상기 과실(10)의 표면에 세척수(30)의 잔존물이 적을 경우 잔존물이 많을 경우보다, 상기 건조컨베이어(510)를 빠르게 회전시키고 상기 블로워(520)에서 분사되는 바람의 세기를 약하게 조절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remnants of the washing water 30 are small on the surface of the fruit 10, the strength of the wind blown by the blower 520 can be controlled more rapidly than in the case where the remnants are large in the drying conveyor 510 have.

특히, 상기 건조부(500)는, 상기 건조컨베이어(510)에서 건조된 과실(10)이 낙하된 후 수용될 수 있고, 상하로 공기가 통하도록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는 수용판(530)을 포함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drying unit 500 includes a receiving plate 530 that can be received after the fruit 10 dried in the drying conveyor 510 is dropped,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net so as to allow air to pass up and down can do.

즉, 상기 건조컨베이어(510) 상에서 상기 블로워(520)에 의해 건조된 과실(10)은 상기 건조컨베이어(510)에서 상기 수용판(530)으로 낙하되어 모여지게 된다.That is, the fruit room 10 dried by the blower 520 on the drying conveyor 510 falls from the drying conveyor 510 to the receiving plate 530 and is collected.

특히, 상기 과실(10)이 상기 건조컨베이어(510)에서 상기 수용판(530)으로 낙하시, 낙하충격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건조컨베이어(510)과 수용판(530)의 사이에는 하향 경사각을 갖는 판 형태의 낙하보조판(540)이 배치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fruit 10 drops from the drying conveyor 510 to the receiving plate 530, there is a downward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drying conveyor 510 and the receiving plate 530 in order to minimize dropping impact A plate-shaped drop assist plate 540 can be disposed.

이러한 상기 낙하보조판(540)은, 상기 건조컨베이어(510)를 통과한 상기 과실(10)이 상기 낙하보조판(540)의 상면에 접촉된 채로 굴러서 상기 수용판(530)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과실(10)이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게된다.The dropping assistant plate 540 may be rolled so as to move to the receiving plate 530 while the fruit room 10 passing through the drying conveyor 51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ropping assistant plate 540, Thereby minimizing the damage of the battery 10.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510)와 상기 수용판(530)의 낙하거리는 상기 과실(10)이 낙하되면서 훼손되지 않을 정도의 낙하거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alling distance of the conveyor 510 and the receiving plate 530 forms a dropping distance to the extent that the fruit 10 falls and is not damaged.

더불어, 상기 수용판(530)은, 사방으로 바람이 유입되어 통풍 될 수 있도록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고 외부에 노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plate 530 is formed in the form of a net so that the wind can flow into the four sides and is ventilated, and is exposed and disposed outsid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agricultural product cleaning apparatus using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according to Fig. 3.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3 및 도 4를 살펴보면,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배치부(100)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과실(10)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30)가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상기 세척수(30)를 통하여 과실(10)을 견고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cleaning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arrangement unit 100 to clean the fruit 10,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washing water 30 can be firmly washed through the washing water 30 because the washing water 30 for the washing water 30 is received inside.

그리고, 상기 세척부(200)에 수용되는 세척수(30)는, 이산화염소수(ClO₂)가 혼합되어 상기 과실(10)을 깨끗하게 세척하면서도 소비자가 과실(10)을 섭취했을때, 인체에 무해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The washing water 30 contained in the washing unit 200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when the fruit 10 is consumed while the fruit 10 is cleaned by mixing the chlorine dioxide (ClO 2) .

이를 위해, 상기 세척부(200)는, 이산화염소수를 발생하는 이산화염소수발생기(210)와, 상기 이산화염소수발생기(210)에서 발생 되는 이산화염소수를 상기 세척부(200)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30)에 공급하는 공급노즐(2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unit 200 includes a chlorine dioxide generator 210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water and a chlorine dioxide generator 210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water generated i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or 210, And a supply nozzle 220 for supplying the cleaning water 30.

이러한, 이산화염소수는 살균효과가 뛰어나고 호기성 세균과 곰팡이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되며,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상기 세척수(30)와 혼합하여 과실(10)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The chlorine dioxide water has excellent germicidal effect, minimizes the number of aerobic bacteria and molds, and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Therefore, the fruit 10 can be cleaned by mixing with the washing water 30.

상기 세척수(30)의 온도는 이산화염소수가 원활하게 용해될 수 있도록 15 내지 25℃의 온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30 is preferably 15 to 25 占 폚 so that the chlorine dioxide water can be dissolved smoothly.

여기서, 이산화염소수 1000ppm 용액 1ℓ와 9ℓ의 물이 혼합되면 100ppm의 이산화염소수 10ℓ가 만들어진다.Here, when 1 liter of a 1000 ppm solution of chlorine dioxide and 9 liters of water are mixed, 10 liters of chlorine dioxide of 100 ppm is produced.

그리고, 이산화염소수 100ppm 용액 2ℓ와 8ℓ의 물이 혼합되면 20ppm의 이산화염소수 10ℓ가 만들어진다.Then, when 2 liters of a chlorine dioxide water solution of 100 ppm and 8 liters of water are mixed, 10 liters of chlorine dioxide of 20 ppm is produced.

이를 토대로 상기 세척수(30)에 이산화염소수가 혼합되어 상기 세척수(30)가 20 내지 30ppm의 이산화염소수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Based on this, it is preferable that chlorine dioxide water is mixed with the washing water 30 so that the washing water 30 forms chlorine dioxide water of 20 to 30 ppm.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과실(10)이 20 내지 30ppm의 이산화염소수를 이루는 세척수(30)에서 60 내지 120초간 세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the washing unit 200 preferably allows the fruit 10 to be washed for 60 to 120 seconds in the washing water 30 having 20 to 30 ppm of chlorine dioxide.

이렇게, 상기 세척수(30)가 20 내지 30ppm의 이산화염소수를 이루는 이유는, 이산화염소수가 20ppm 이상이 되는 세척수(30)에서 세균과 곰팡이를 포함하는 미생물의 균수가 현저하게 줄어들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washing water 30 forms the chlorine dioxide water of 20 to 30 ppm is because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including bacteria and fungi in the washing water 30 whose chlorine dioxide number is 20 ppm or more is remarkably reduced.

그리고, 이산화염소수가 30ppm을 초과할 경우, 이산화염소수를 발생하는데 소모되는 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미생물의 균수는 이산화염소수가 20ppm 이상이 되는 세척수(30)에서 최소화되기 때문에 세척수(30)가 이산화염소수 30ppm을 초과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If the chlorine dioxide count exceeds 30 ppm, the cost of producing chlorine dioxide water i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microbes is minimized in the wash water 30 having the chlorine dioxide content of 20 ppm or more. Therefore, It is unnecessary to exceed the number of 30 ppm.

더불어, 상기 과실(10)이 20 내지 30ppm의 이산화염소수를 이루는 세척수(30)에서 60 내지 120초간 세척되는 이유는, 상기 과실(10)이 60초 미만으로 세척될 경우, 미생물의 균수를 최소화하는데 소모되는 시간이 부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fruit 10 is washed for 60 to 120 seconds in the washing water 30 having 20 to 30 ppm of chlorine dioxide is that when the fruit 10 is washed for less than 60 seconds, And the time consumed to do so becomes insufficient.

또한, 상기 과실(10)이 120초를 초과할 경우 세척될 경우, 미생물의 균수를 최소화하는데 있어서 불필요한 동력자원이 소모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fruit 10 is washed for more than 120 seconds, unnecessary power resources are consumed in minimizing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결과적으로, 상기 과실(10)이 20 내지 30ppm의 이산화염소수를 이루는 세척수(30)에서 60 내지 120초간 세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a result, it is preferable that the fruit 10 is washed for 60 to 120 seconds in the washing water 30 having 20 to 30 ppm of chlorine dioxide water.

이때,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과실(10)이 20 내지 30ppm의 이산화염소수를 이루는 세척수(30)에서 60 내지 120초간 세척될 수 있도록 상기 과실(10)의 유동을 제어하는 유동제어기(2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unit 200 may include a flow controller 10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ruit 10 so that the fruit 10 may be washed in the washing water 30 having 20 to 30 ppm of chlorine dioxide for 60 to 120 seconds, (Not shown).

상기 유동제어기(270)는, 상기 세척부(200)의 상부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272)과, 상기 회전축(272)에 연동회전되면서 상기 세척부(200)의 내부를 개폐하여 상기 과실(10)의 유동을 제어하는 판 형태의 개폐판(274)을 포함할 수 있다.The flow controller 270 includes a rotating shaft 272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unit 200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rotating shaft 272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272 to open and close the inside of the washing unit 200, And an opening / closing plate 274 in the form of a plat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luid 10.

그리고, 상기 유동제어기(270)는, 상기 회전축(272)이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서브모터(276)와, 상기 개폐판(274)의 폐쇄시간과 개방시간을 외부에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판(278)을 포함할 수 있다.The flow controller 270 includes a sub motor 276 for providing power to rotate the rotary shaft 272 in both directions so that the closing time and the opening tim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74 can be set externally The operation panel 278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plate 278. Fig.

더불어, 상기 유동제어기(270)는, 상기 개폐판(274)에 다수 개가 천공되어 상기 개폐판(274)이 폐쇄될 경우, 상기 세척수(30)는 유동가능하도록 하고 과실(10)의 유동은 차단하는 선별홀(275)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74 is closed by a plurality of openings i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74, the flow controller 270 allows the washing water 30 to flow, and the flow of the fruit 10 is blocked (Not shown).

즉, 상기 유동제어기(270)는, 상기 세척부(200)의 중간 상부에서부터 상기 세척수(30)에 진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상세하게는, 상기 서브모터(276)와 회전축(272) 및 조작판(278)은 상기 세척부(200)의 상측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개폐판(274)은 상기 세척부(200) 내부의 세척수(30)에 진입되게 배치된다.That is, the flow controller 270 may be disposed to enter the wash water 30 from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washing unit 200. More specifically, the sub motor 276, the rotating shaft 272, The plate 278 is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unit 2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74 is disposed to enter the washing water 30 inside the washing unit 200.

그리고, 상기 개폐판(274)은 상기 세척부(20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과실(10)이 상기 세척부(200) 내부에서 유동 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74 may b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ashing unit 200 to block the flow of the fruit 10 in the washing unit 200.

여기서, 상기 개폐판(274)이 상기 세척부(200)의 내부를 폐쇄할 경우, 상기 개폐판(274)의 선별홈(275)을 통해 상기 과실(10)의 유동은 단속되고 세척수(30)는 자유롭게 유동가능하게 된다.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74 closes the inside of the washing unit 200, the flow of the fruit 10 is interrupted through the sorting groove 275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74, Is freely flowable.

이렇게, 상기 개폐판(274)이 상기 세척부(200)의 내부를 폐쇄하여 상기 과실(10)의 유동을 단속하는 이유는 상기 과실(10)이 20 내지 30ppm의 이산화염소수를 이루는 세척수(30)에서 60 내지 120초간 세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The reason why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74 closes the inside of the washing unit 200 and interrupts the flow of the fruit 10 is that the fruit 10 has washing water 30 (chlorine dioxide) forming 20 to 30 ppm of chlorine dioxide ) For 60 to 120 seconds.

이렇게, 상기 과실(10)이 개폐판(274)에 의해 단속되어 세척수(30)에서 60 내지 120초간 세척된 후에는, 상기 개폐판(274)이 개방되면서 상기 과실(10)이 이송부(400)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After the fruit room 10 is interrupt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74 and cleaned in the washing water 30 for 60 to 120 seconds, the fruit room 10 is opened to the feeding unit 400 while the opening / closing plate 274 is opened. .

여기서, 상기 세척부(200)의 세척수(30) 내에서 과실(10)이 유동되는 것은 상기에서 언급되었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since the fruit cell 10 flows in the washing water 30 of the washing unit 200 as described above,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때, 상기 개폐판(274)의 개방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양 방향 회전가능한 서브모터(276)이고, 상기 서브모터(276)의 동력에 의해 동작하는 것이 회전축(272)이며, 회전축(272)에 의해 개폐판(274)이 연동되는 것이다.The servomotor 276 is a rotary shaft 272 that operates by the power of the sub motor 276 and the rotary shaft 272 The opening / closing plate 274 is interlocked.

이러한, 상기 개폐판(274)이 개폐되는 동작은, 사용자가 상기 조작판(278)을 조작하여 원하는 설정대로 지령을 입력하여 이루어지게 된다.The opera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 closing plate 274 is performed by the user by operating the operating plate 278 and inputting a command according to a desired setting.

이렇게, 상기 유동제어기(270)를 통하여 상기 과실(10)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fruit chamber 10 can be cleaned through the flow controller 270.

상기 유동제어기(270)를 통하여 세척된 상기 과실(10)은 컨베이어(410)의 상면에 접촉된 채로 컨베이어(410)를 통해 이송되게 된다.
The fruit 10 washed through the flow controller 270 is conveyed through the conveyor 410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41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n agricultural product cleaning apparatus using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according to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5 및 도 6을 살펴보면,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세척부(200)에 연결형성되어 세척된 상기 과실(10)이 상기 건조부(500)로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referring to FIGS. 5 and 6, as described above, the transfer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cleaning unit 200, And is transferred to the drying unit 500.

이러한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세척부(200) 내의 세척수(30) 수중에 있는 과실(10)이 외부로 이송된 후 상기 건조부(500)로 이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세척부(200)에서 상기 건조부(500)가 배치된 방향으로 상방향 경사각을 갖으며 배치되게 된다.Since the fruit portion 10 in the washing water 30 in the washing portion 200 is transferred to the drying portion 500 after the fruit portion 10 is transferred to the drying portion 500, So that the drying unit 500 is disposed at an upward inclination angle.

이를 위해,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세척부(200)의 과실(10)이 이송되도록 하면서 과실(10) 표면에 있는 잔존 세척수(30)가 하부로 낙하되도록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는 컨베이어(4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ying unit 400 may include a conveyor 410 formed in the form of a net so that the remaining wash water 30 on the surface of the fruit 10 is dropped down while the fruit 10 of the washing unit 200 is being conveyed, ).

그리고,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컨베이어(410)의 외면에 상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410)의 상면으로 올라온 과실(10)이 다시 세척부(200)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판(4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yance unit 400 includes a conveyor 410 and a conveyor 410. The conveyance unit 400 includes a conveyor 410 and a conveyor 410. The conveyor 410 includes a conveyor 410, Plate 420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컨베이어(41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송회전축(430)과, 상기 이송회전축(430)에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440)와, 상기 컨베이어(410)에 감겨진 채로 상기 이송회전축(430)의 회전에 연동되면서 상기 컨베이어(410)가 회전되도록 하는 풀리(4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yance unit 400 includes a conveyance rotation shaft 430 for transmitting a rotation force to the conveyor 410, a conveyance motor 440 for providing power to the conveyance rotation shaft 430, And a pulley 450 for rotating the conveyor 410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feed rotary shaft 430 while being wound.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410)의 일단은 상기 세척부(200)의 세척수(30) 수중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수(30)에서 상기 기포공급부(300)에 의해 유동되는 상기 과실(10)이 상기 컨베이어(410)의 상면에 올라올수 있도록 한다.One end of the conveyor 410 is disposed in the water of the washing water 30 of the washing unit 200 so that the fruit 10 flows from the washing water 30 by the bubble supplying unit 300 to the conveyor 410).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410)의 타단은 상기 세척부(20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410)의 상면에 부양된 채로 이송되는 상기 과실(10)이 상기 건조부(5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건조부(500)의 건조컨베이어(51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게 된다.The other end of the conveyor 410 is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unit 200 and the fruit 10 transfer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410 while being floated is supplied to the drying unit 500 The drying conveyor 510 of the drying unit 50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drying conveyor 510.

그렇기 때문에, 상기 컨베이어(4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410)에 의해 이송되는 과실(10)이 상기 건조컨베이어(510)의 상면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veyor 410, the fruit chamber 10 conveyed by the conveyor 410 can be su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rying conveyor 510.

이때, 상기 차단판(420)은, 상기 컨베이어(410)가 상기 세척부(200)에서 상기 건조부(500)가 배치된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컨베이어(410) 상면에 부양된 상기 과실(10)이 중력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410) 상면 상에서 세척부(200) 방향으로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Since the conveyor 410 is inclined upwar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ying unit 500 is disposed in the washing unit 200, the blocking plate 42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410, And functions to prevent the fruit 10 from falling down toward the cleaning part 2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410 by gravity.

즉, 상기 컨베이어(410)가 상향 경사지개 배치된 상태로 회전된다 하더라도, 상기 차단판(420)에 의해 과실(10)이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상기 컨베이어(410) 상에서 유동되지 않고 상기 건조부(500)로 원활하게 공급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even if the conveyor 410 rotates in an upward slanting arrangement, the fruit chamber 10 is firmly supported by the blocking plate 420 and is not moved on the conveyor 410,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410)는, 상기 풀리(450)에 감겨져서 풀리(450)이 회전에 의해 연동되고, 상기 풀리(450)는 상기 이송회전축(430)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며, 상기 이송회전축(430)은 이송모터(440)를 통해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게 된다.The conveyor 410 is wound around the pulley 450 so that the pulley 450 is rotated by rotation and the pulley 450 is interlocked by the rotation of the conveying rotary shaft 430, (430) is rotated by receiving power through a feed motor (440).

이로써, 상기 컨베이어(410)는 회전되면서 상기 과실(10)을 상기 건조부(500)의 건조컨베이어(510)에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us, the conveyor 410 can be rotated to smoothly transfer the fruit 10 to the drying conveyor 510 of the drying unit 500.

한편,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컨베이어(410)의 경사배치 각도가 변경되도록 하는 높이조절판(460)과, 상기 높이조절판(460)에 상기 이송회전축(430)이 연결될 수 있도록 높이별 및 거리별로 다수 개가 천공되는 높이조절공(47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yance unit 400 includes a height regulating plate 460 for changing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conveyor 410 and a conveying unit 460 for conveying the conveying rotation axis 430 to the height regulating plate 460, And a height adjustment hole 470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perforated.

이때, 다수 개의 높이조절공(470)은, 상기 높이조절판(460) 상에서 다양한 높이에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높이조절판(460) 상에서 상기 세척부(200)에서 가까운 거리부터 먼거리까지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height adjusting holes 470 may be formed on the height adjusting plate 460 at various heights and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on the height adjusting plate 460 from a distance close to the washing portion 200 to a long distance .

여기서,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과실(10)이 상기 세척부(200)에서 건조부(500)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Here, the feeding unit 400 serves to smoothly transfer the fruit 10 from the washing unit 200 to the drying unit 500.

그렇기 때문에, 상기 이송부(400)의 컨베이어(410)는 상기 세척부(200)와 건조부(500) 사이의 거리 또는 높이차이에 따라 탄력있게 배치상태가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veyor 410 of the conveyance unit 400 is resiliently arranged according to a difference in distance or height between the cleaning unit 200 and the drying unit 500.

상세하게는, 상기 세척부(200)와 건조부(500) 사이의 거리가 상호 멀게 형성될 경우에는 상호 거리가 가깝게 형성된 경우보다 상기 이송부(400) 컨베이어(410)의 배치 경사각도가 작아질 수 있다.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leaning unit 200 and the drying unit 500 is relatively larg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veyor 410 of the conveyance unit 400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cleaning unit 200 and the drying unit 500 have.

즉, 상기 세척부(200)와 건조부(500) 사이의 거리가 멀 경우, 상기 이송부(400)의 컨베이어(410)가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세척부(200)와 건조부(5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 경우, 상기 컨베이어(410)가 상하방향으로 경사각을 갖고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leaning unit 200 and the drying unit 500 is long, the conveyor 410 of the conveyance unit 400 is arranged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leaning unit 200 and the drying unit 500 are close to each other, the conveyor 410 may be arranged with an inclination angle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건조부(500)의 건조컨베이어(510)의 높이가 상기 세척부(200)의 높이보다 높으면 높을수록 상기 컨베이어(410)의 상하 경사각은 커지게 된다.As the height of the drying conveyor 510 of the drying unit 500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washing unit 200, the vertical inclination angle of the conveyor 410 becomes larger.

그렇기 때문에, 상기 높이조절공(470)을 통하여 상기 컨베이어(410)의 배치상태를 원활하게 조절하여 상기 컨베이어(410)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거나, 상하 방향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배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conveyor 410 can be smoothly adjusted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hole 470, so that the conveyor 410 can b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in a vertical direction.

상세하게는, 상기 컨베이어(410)의 상기 건조부(500)에 인접한 부위에 형성된 이송회전축(430)이 상기 높이조절판(460)의 최 상부에 형성된 상기 높이조절공(470)에 연결될 경우, 상기 컨베이어(410)의 배치각도는 상방향으로 경사진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conveying rotary shaft 430 formed at a portion of the conveyor 410 adjacent to the drying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height adjusting hole 470 formed at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height adjusting plate 460,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conveyor 410 can form an angle inclined upward.

반대로, 상기 컨베이어(410)의 상기 건조부(500)에 인접한 부위에 형성된 이송회전축(430)이 상기 높이조절판(460)의 최 하부에 형성된 높이조절공(470)에 연결될 경우, 상기 컨베이어(410)의 배치각도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conveying rotary shaft 430 formed on the conveyer 410 adjacent to the drying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height adjusting hole 470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eight regulating plate 460, the conveyor 410 May form an angl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러한 상기 컨베이어(410)의 배치각에 따라 상기 세척부(200)와 건조부(500)의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컨베이어(410)의 수평거리가 변경가능하게 되고, 상기 컨베이어(410)의 배치각은 상기 높이조절공(470)에 상기 이송회전축(430)이 연결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가능하게 된다.The horizontal distance of the conveyor 410 connecting between the cleaning unit 200 and the drying unit 50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conveyor 410,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eed rotation axis 430 is connected to the height adjustment hole 470.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농산물 표면의 유해성 물질을 깨끗하게 세척하여 소비자가 농산물의 섭취시 유해물질을 섭취하는 것을 최소화 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농산물을 안전하게 섭취하 수 있도록 하는 안전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armful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are cleanly cleaned, minimizing the ingestion of harmful substances by the consumers when they consume the agricultural products, so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fety effect of safely ingesting agricultural products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그리고, 농산물을 깨끗하게 세척하면서도 그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conomical effect of minimizing manpower and time required for cleaning agricultural products while cleaning them cleanly.

더불어, 농산물을 대량으로 단시간에 원활하게 세척하면서도 농산물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생상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lean the agricultural products cleanly while smoothly washing agricultural products in a short time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roducts and improving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product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 과실 30 : 세척수
50 : 바퀴
100 : 배치부 110 : 이탈방지편
200 : 세척부 210 : 이산화염소수발생기
220 : 공급노즐 230 : 안내판
250 : 배관홀 260 : 배관호스
270 : 유동제어기 272 : 회전축
274 : 개폐판 275 : 선별홀
276 : 서브모터 278 : 조각모터
300 : 기포공급부 310 : 기포발생기
320 : 분사홀 330 : 전면분사홀
340 : 측면분사홀
400 : 이송부 410 : 컨베이어
420 : 이송회전축 430 : 이송회전축
440 : 이송모터 450 : 풀리
460 : 높이조절판 470 : 높이조절공
500 : 건조부 510 : 건조컨베이어
520 : 블로워 530 : 수용판
540 : 낙하조절판
600 : 제어부 610 : 입력패널
620 : 표시창
10: fruit 30: washing water
50: wheels
100: Arrangement section 110:
200: washing unit 210: chlorine dioxide generator
220: supply nozzle 230: guide plate
250: piping hole 260: piping hose
270: Flow controller 272:
274: opening and closing plate 275: selection hole
276: Sub motor 278: Engraving motor
300: bubble supplying unit 310: bubble generator
320: injection hole 330: front injection hole
340: side injection hole
400: conveying unit 410: conveyor
420: Feed rotary shaft 430: Feed rotary shaft
440: Feed motor 450: Pulley
460: height adjustment plate 470: height adjustment ball
500: Drying section 510: Drying conveyor
520: blower 530: receiving plate
540: Falling throttle
600: control unit 610: input panel
620: display window

Claims (11)

수확된 과실(10)을 배치할 수 있는 배치부(100);
상기 배치부(100)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과실(10)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30)가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부(200);
상기 세척부(200) 내부의 상기 세척수(30)에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공급부(300);
상기 세척부(200)에 연결형성되어 세척된 상기 과실(10)이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부(400);
상기 이송부(400)와 연결형성되어 상기 이송부(400)에서 이송된 상기 과실(10) 표면에 남은 물기를 건조하여 제거하는 건조부(500); 및
상기 세척부(200)와 기포공급부(300), 이송부(400), 건조부(5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200)는,
이산화염소수를 발생하는 이산화염소수발생기(210)와,
상기 이산화염소수발생기(210)에서 발생 되는 이산화염소수를 상기 세척부(200)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30)에 공급하는 공급노즐(220)과,
상기 세척부(20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포공급부(300)의 기포에 의해 유동되는 상기 과실(10)의 유동 진행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판(230)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과실(10)이 20 내지 30ppm의 이산화염소수를 이루는 세척수(30)에서 60 내지 120초간 세척될 수 있도록 상기 과실(10)의 유동을 제어하는 유동제어기(270)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제어기(270)는,
상기 세척부(200)의 상부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272)과,
상기 회전축(272)에 연동회전되면서 상기 세척부(200)의 내부를 개폐하여 상기 과실(10)의 유동을 제어하는 판 형태의 개폐판(274)과,
상기 회전축(272)이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서브모터(276)와,
상기 개폐판(274)의 폐쇄시간과 개방시간을 외부에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판(278)과,
상기 개폐판(274)에 다수 개가 천공되어 상기 개폐판(274)이 폐쇄될 경우, 상기 세척수(30)는 유동가능하도록 하고 과실(10)의 유동은 차단하는 선별홀(275)을 포함하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A placement section (100) capable of placing the harvested fruit (10);
A cleaning unit 200 connected to the arrangement unit 100 to receive washing water 30 for washing the fruit 10;
A bubble supplying unit 300 for supplying bubbles to the washing water 30 inside the washing unit 200;
A transfer unit 400 connected to the cleaning unit 200 to transfer the cleaned fruit 10;
A drying unit 500 connected to the transfer unit 400 to dry and remove residual water on the surface of the fruit 10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unit 400; And
And a control unit 600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cleaning unit 200, the bubble supplying unit 300, the transfer unit 400, and the drying unit 500,
The cleaning unit 200 may include:
A chlorine dioxide generator 210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water,
A supply nozzle 220 for supplying chlorine dioxide water generated i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or 210 to the washing water 30 contained in the washing unit 200,
And a guide plate (230)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leaning part (200) and guiding in a flow advancing direction of the fruit (10) flowing by bubbles of the bubble supplying part (300)
The cleaning unit 200 may include:
And a flow controller (270)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ruit (10) so that the fruit (10) can be washed for 60 to 120 seconds in the wash water (30) constituting 20 to 30 ppm of chlorine dioxide,
The flow controller (270)
A rotating shaft 272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unit 200,
An opening / closing plate 274 in the form of a plat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ruit chamber 10 by opening and closing the inside of the washing unit 200 while being rotated by the rotation shaft 272,
A sub motor 276 for providing power to rotate the rotary shaft 272 in both directions,
An operation plate 278 for externally setting the closing time and the opening tim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274,
A plurality of holes 275 are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74 so that the washing water 30 can flow and the flow of the fruit 10 is blocke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74 is closed, .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노즐(220)은,
상기 세척부(200)의 상부에 세척부(20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400)에 진입되는 상기 과실(10)에 이산화염소수를 분사하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ly nozzle (220)
And an air bubble for spraying chlorine dioxide water to the fruit chamber (10), which is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ashing unit (200) and enters the transfer unit (40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세척수(30)가 상기 세척부(200) 내에서 기설정된 수위를 넘길 경우, 세척수(30)가 세척부(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세척부(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천공되는 배관홀(250)과,
상기 배관홀(250)에 연결되어 상기 배관홀(250)을 통해 세척부(2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세척수(30)의 배수를 안내하는 배관호스(260)를 포함하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ing unit 200 may include:
When the washing water 30 exceeds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in the washing unit 200, the washing water is punctur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unit 200 so that the washing water 3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unit 200 A pipe hole 250,
And a pipe hose (260) connected to the pipe hole (250) and guiding the drainage of wash water (30)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unit (200) through the pipe hole (250) .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공급부(300)는,
상기 세척부(2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면서 기포를 발생하는 기포발생기(310)와,
상기 기포발생기(310)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상기 세척부(200) 내부에 분사하는 다수 개의 분사홀(320)을 포함하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bble supplying unit 300,
A bubble generator 310 which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unit 200 and generates bubbles,
And a plurality of spray holes (320) for spraying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bubbler (310) into the washing unit (20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홀(320)은,
상기 배치부(100)와 인접한 상기 세척부(200)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과실(10)이 이송부(400)로 유동 되도록 상기 세척부(200)의 길이방향으로 기포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전면분사홀(330)과,
상기 세척부(200)의 양측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부(200)의 폭 방향으로 기포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측면분사홀(340)을 포함하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jection hole (320)
A plurality of front-side nozzle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leaning unit 200 adjacent to the arrangement unit 100 to spray bubb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200 so that the fruit cells 10 flow to the transfer unit 400, A hole 330,
And a plurality of side spray holes (340) form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cleaning part (200) and spraying air bubbl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leaning part (20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세척부(200)의 과실(10)이 이송되도록 하면서 과실(10) 표면에 있는 잔존 세척수(30)가 하부로 낙하되도록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는 컨베이어(410)와,
상기 컨베이어(410)의 외면에 상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410)의 상면으로 올라온 과실(10)이 다시 세척부(200)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판(420)과,
상기 컨베이어(41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송회전축(430)과,
상기 이송회전축(430)에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440)와,
상기 컨베이어(410)에 감겨진 채로 상기 이송회전축(430)의 회전에 연동되면서 상기 컨베이어(410)가 회전되도록 하는 풀리(450)를 포함하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ying unit 400 includes:
A conveyor 410 formed in the form of a net so that the remaining washing water 30 on the surface of the fruit 10 is dropped down while the fruit 10 of the washing unit 200 is transferred,
A blocking plate 420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yor 410 so as to verticall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410 to block the fruit chamber 10 from entering the washing unit 200 again,
A conveying rotational shaft 430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conveyor 410,
A feed motor 440 for supplying power to the feed rotary shaft 430,
And a pulley (450) for rotating the conveyor (410)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feed rotary shaft (430) while being wound on the conveyor (4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컨베이어(410)의 경사배치 각도가 변경되도록 하는 높이조절판(460)과,
상기 높이조절판(460)에 상기 이송회전축(430)이 연결될 수 있도록 높이별 및 거리별로 다수 개가 천공되는 높이조절공(470)을 포함하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veying unit 400 includes:
A height regulating plate 460 for chang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veyor 410,
And a height adjustment hole (470) formed in the height adjustment plate (460) so that the feed rotation axis (430) can be connected to the height adjustment plate (46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500)는,
상기 이송부(40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과실(10)이 이송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건조컨베이어(510)와,
상기 건조컨베이어(510) 상에서 건조컨베이어(510)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과실(10)에 바람을 분사하여 과실(10)이 건조되도록 하는 블로워(520)와,
상기 건조컨베이어(510)에서 건조된 과실(10)이 낙하된 후 수용될 수 있고, 상하로 공기가 통하도록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는 수용판(530)과,
상기 건조컨베이어(510)과 수용판(530)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과실(10)의 낙하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하향 경사각을 갖는 판 형태의 낙하보조판(540)을 포함하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ying unit (500)
A drying conveyor 510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convey the fruit chamber 10 conveyed through the conveyance unit 400,
A blower 520 for blowing wind to the fruit chamber 10 to be dried by the rotation of the drying conveyor 510 on the drying conveyor 510 to dry the fruit chamber 10,
A receiving plate 530 that can be accommodated after the dried fruit 10 dried in the drying conveyor 510 is dropped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net so that air can pass vertically,
And a dropping assist plate 540 formed between the drying conveyor 510 and the receiving plate 530 and having a downward inclination angle for preventing a drop impact of the fruit 10, .
KR1020130143237A 2013-11-22 2013-11-22 Apparatus for washing agricultural products using bubble KR1015454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237A KR101545400B1 (en) 2013-11-22 2013-11-22 Apparatus for washing agricultural products using bub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237A KR101545400B1 (en) 2013-11-22 2013-11-22 Apparatus for washing agricultural products using bub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527A KR20150059527A (en) 2015-06-01
KR101545400B1 true KR101545400B1 (en) 2015-08-19

Family

ID=5349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237A KR101545400B1 (en) 2013-11-22 2013-11-22 Apparatus for washing agricultural products using bub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400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6940A (en) * 2016-06-30 2016-10-26 江门市新会陈皮村市场股份有限公司 Round-fruit washing and sorting assembly line
CN106376953A (en) * 2016-08-25 2017-02-08 安徽省唐骏重工机械有限责任公司 Soybean processing apparatus
CN108835673A (en) * 2018-08-01 2018-11-20 深圳市南硕明泰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otato cleaning device for preventing wash bowl from blocking
CN108970981A (en) * 2018-07-11 2018-12-11 山东中医药大学 A kind of additional processing equipment of Chinese medicine preparation
KR102052251B1 (en) * 2017-12-11 2019-12-17 김찬식 Bubble cleaning device for bSmall fruit
CN111387526A (en) * 2020-05-08 2020-07-10 宋亚丽 Rotation type potato surface cleaning device for agricultur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033B1 (en) * 2016-12-07 2018-07-23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Apparatus for cleaning roller and method thereof
CN108576869B (en) * 2018-04-26 2020-06-30 湖南味到舌足食品有限公司 Fruit and vegetable cleaning equipment
CN108405463A (en) * 2018-04-27 2018-08-17 江山海维科技有限公司 A kind of medicinal cleaning device of medium-height grass based on bubbling -cleaning technology
CN108618175A (en) * 2018-05-04 2018-10-09 芜湖市三山区绿色食品产业协会 It is a kind of to remove mud drying unit for garlic after harvesting
CN108783509A (en) * 2018-05-04 2018-11-13 芜湖市三山区绿色食品产业协会 It is a kind of to remove mud dryer suitable for garlic
CN108541972A (en) * 2018-06-21 2018-09-18 湖州览春酒业有限公司 A kind of device of drying fruit
CN109156841B (en) * 2018-09-14 2024-01-09 云南菜人家食品有限公司 Automatic cleaning and impurity removing machine for bamboo shoots
KR102313349B1 (en) * 2019-09-09 2021-10-15 주식회사 착하게푸드 System for crab washing
KR102459660B1 (en) * 2020-01-16 2022-10-27 김광기 A cultivation method for peanut sprout
CN112401265A (en) * 2020-11-11 2021-02-26 江西省富盛食品有限公司 Soybean processing removes native device
KR102268475B1 (en) * 2020-11-19 2021-06-22 김찬식 Device for air dehydration and bubble cleaning of fruits and vegetables
KR102344612B1 (en) * 2021-08-19 2021-12-28 이수균 Washing machine for Agricultural products
KR102592812B1 (en) * 2023-05-25 2023-10-2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명도식품 Smart factory-type agricultural products washing and transfer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437A (en) * 1998-11-06 2000-05-23 Matsumoto:Kk Hoisting machine and treating machine for welsh onion
KR100765957B1 (en) * 2005-06-13 2007-10-10 이현일 Sterilize system for fo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437A (en) * 1998-11-06 2000-05-23 Matsumoto:Kk Hoisting machine and treating machine for welsh onion
KR100765957B1 (en) * 2005-06-13 2007-10-10 이현일 Sterilize system for food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6940A (en) * 2016-06-30 2016-10-26 江门市新会陈皮村市场股份有限公司 Round-fruit washing and sorting assembly line
CN106376953A (en) * 2016-08-25 2017-02-08 安徽省唐骏重工机械有限责任公司 Soybean processing apparatus
KR102052251B1 (en) * 2017-12-11 2019-12-17 김찬식 Bubble cleaning device for bSmall fruit
CN108970981A (en) * 2018-07-11 2018-12-11 山东中医药大学 A kind of additional processing equipment of Chinese medicine preparation
CN108835673A (en) * 2018-08-01 2018-11-20 深圳市南硕明泰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otato cleaning device for preventing wash bowl from blocking
CN108835673B (en) * 2018-08-01 2020-07-17 嘉兴市瑞鑫塑业有限公司 Prevent potato cleaning machine of wash bowl jam
CN111387526A (en) * 2020-05-08 2020-07-10 宋亚丽 Rotation type potato surface cleaning device for agricultur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527A (en) 201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400B1 (en) Apparatus for washing agricultural products using bubble
US7520377B2 (en) Bean sprouts-like articles transfer conveyor device
KR101557047B1 (en) Air washing and drying machine for small fruits
KR101509626B1 (en) Air apparatus of eliminating sawdust in a mushroom bottle
KR20180010412A (en) Cleaning equipment for agricultural products
KR100937968B1 (en) Apparatus for cleaning sun-dried salt
JP5998539B2 (en) Cleaning and filling equipment
US9822043B2 (en) Liquid fertilizer system
JP4711047B2 (en) Vegetable cleaning equipment
KR100431665B1 (en) Device to strip garlic by wet process
KR101143669B1 (en) A precooling system for farm products
US952734A (en) Fruit-washing machine.
KR20160130582A (en) Cleaning device of vegetables having the floating foreign material removal function
CN109795757B (en) Canned device is used in canned orange processing convenient to select disinfection
US20090008300A1 (en) Bean sprouts-like articles refining method and refining device
JPH08239A (en) Microbicidal apparatus for food
CN207467605U (en) Cake conveying device
KR200302991Y1 (en) Apparatus for washing bulbs and fruit
JP5151796B2 (en) Hot water disinfection equipment
CN206659713U (en) A kind of beet washer
CN109221308A (en) Crab microwave processing equipment and processing method
CN210960245U (en) Bitter buckwheat tea automatic production equipment
CN207981788U (en) Mulberry leaf dust-extraction unit
CN216796433U (en) Chopped chili production system
CN107377372A (en) One kind automation knot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