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694B1 - Soda maker and Apparatus for water supply purposes - Google Patents

Soda maker and Apparatus for water supply purpos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694B1
KR101544694B1 KR1020130113033A KR20130113033A KR101544694B1 KR 101544694 B1 KR101544694 B1 KR 101544694B1 KR 1020130113033 A KR1020130113033 A KR 1020130113033A KR 20130113033 A KR20130113033 A KR 20130113033A KR 101544694 B1 KR101544694 B1 KR 101544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rbonic acid
carbonated water
spac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0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33263A (en
Inventor
손흥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30113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694B1/en
Publication of KR20150033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2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6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67D1/0069Details
    • B67D1/0071Carbonating by injecting CO2 in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67D1/0061Carbonators with cool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C02F2301/024Turbulent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를 용해한 음용수를 배출하는 과정 중에 사용되는 믹싱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물공급장치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압력이 유지되는 공간 내에 물과 탄산 가스를 주입하여 탄산수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물과 상기 탄산 가스를 내부 공간에 저장하는 압력용기와, 생성된 탄산수가 배출되는 상기 압력용기 내부의 유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탄산수의 흐름면적을 점차 증대시키는 확산공간과, 상기 확산공간을 통과한 탄산수가 수렴되어 배출되는 수렴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믹싱유닛을 포함하는 탄산믹서통을 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xing unit used during a process of discharging drinking water in which a gas is dissolved and a wat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generating carbonated water by injecting water and carbon dioxide gas into a space where pressure is maintained, the apparatus comprising: a pressure vessel storing the water and the carbon dioxide gas in an internal space; And a mixing unit provided on the flow path inside the vessel and including a diffusion space for gradually increasing the flow area of the carbonated water and a converging space for discharging carbon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diffusion space, do.

Description

탄산믹서통 및 이를 포함하는 물공급장치{Soda maker and Apparatus for water supply purpose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bonic acid mixer canister and a wat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탄산수를 생성하는 탄산믹서통과 이를 포함하는 물공급장치에 관련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device including a carbonic acid mixer and generating carbonated water.

산업 발전과 더불어 주변 환경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식생활에 직결되는 수자원의 오염이 가중되어 왔다. 근래에는 건강한 먹는 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물 시장의 추세에 따라 깨끗한 지하수로 생수를 제조하는 업체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심층수 영역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자연수는 공급량이 한정되어 있으며 수돗물에 비하여 고가이므로, 수돗물 등을 정수하는 정수기 산업 또한 발전되고 있다. As the environmental pollution became serious with industrial development, pollution of water resources directly connected to diet has been increased. In recent years, consumer interest in healthy drinking water is increasing.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the water market,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companies manufacturing bottled water with clean groundwater. Since the supply of natural water is limited and it is expensive compared to tap water, the water purifier industry that cleans tap water is also being developed.

물공급장치의 발전 양상 중 하나는 소비자의 기호에 따른 물 처리이다. 특히 계절의 변화에 따라 소비자는 차가운 물이나 따뜻한 물을 마시기를 원한다. 그에 따라 물의 온도를 조절하여 제공하는 냉온수기가 제공된다. 현재 냉온수기는 생수 공급 업체가 제공하는 디스펜서 장치에 부가적인 기능으로 내장되어 있으며, 수돗물을 정화하여 제공하는 정수기에도 부가적인 기능으로 내장되어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One of the development aspects of the water supply system is the 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consumer's preference. Consumers want to drink cold or warm water, especially as the season changes. Thereby providing a cold water heater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Currently, the cold and hot water dispenser is provided as an additional function to the dispenser device provided by the bottled water supplier, and it is a general tendency to be provided as an additional function in a water purifier that provides purified water for tap water.

소비자의 기호를 위한 물공급장치의 발전 방향 중 하나는 탄산수의 생성 및 제공 기능이다. 탄산수의 생성은 이산화탄소를 물에 용해시키는 방식으로 생성되는데, 이는 콜라나 사이다 등의 탄산 음료나 생맥주의 생성 방법과 거의 동일한 방식이다. 탄산수의 질은 물에 녹는 이산화탄소의 양 즉, 탄산 가스압에 따른 톡 쏘는 느낌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고 볼 수 있다.One of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the water supply device for consumers' taste is the function of generating and supplying carbonated water. The production of carbonated water is produced by dissolving carbon dioxide in water, which is almost the same as the method of producing carbonated beverages such as cola cider and draft beer. The quality of the carbonated water depends on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dissolved in the water, that is, the degree of detonation depending on the carbon dioxide gas pressure.

탄산의 가스압을 높이기 위한 조건을 알려진 바와 같이, 낮은 온도와 높은 압력이다. 그러나 대규모 음료 제조 공장이 아닌 다음에야 저온 및 고압 장치를 갖추기가 어렵다. 더구나 저렴한 제작비용과 장치의 전체 사이즈가 작을수록 유리한 가정용 탄산수 공급장치는 안전한 압력 범위 내에서 이산화탄소를 다뤄야 하므로 출수되는 탄산수의 가스압을 높게 하는 것이 쉽지 않다. The conditions for increasing the gas pressure of carbonic acid are known to be low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However, it is difficult to equip low-temperature and high-pressure equipment only next to large-scale beverage manufacturing plants. In addition, the low cost of production and the small size of the apparatus make it difficult to raise the gas pressure of the carbonated water coming out because the domestic carbonated water supply apparatus should handle carbon dioxide within a safe pressure rang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17917호 (2005.02.2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17917 (Feb. 23, 2005)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35911호 (2007.06.28)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35911 (June 28, 2007)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35913호 (2007.06.28)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35913 (June 28, 2007)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35914호 (2007.06.28)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35914 (June 28, 2007)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71616호 (2008.11.26)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71616 (November 26, 2008)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55991호 (2010.05.2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55991 (2010.05.27)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6682호 (2012.02.2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16682 (Feb. 27, 201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5952호 (2012.02.2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15952 (Feb. 22, 201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5951호 (2012.02.2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15951 (Feb. 22, 201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77499호 (2012.08.21)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77499 (Aug. 21, 201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44988호 (2013.05.0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44988 (2013.05.03)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14754호 (2003.05.15)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14754 (May 15, 2003)

본 발명은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에 따라 공급된 물을 처리한 후 제공하는 물공급장치와 그에 따른 부속품을 제공하려는 의도로 발명된 것이다.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제공되기 위해 필요한 물 처리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물공급장치의 보다 원활한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with the intention of providing a water supply device and accessories therefrom after processing the supplied water in accordance with various tastes of consumers. Ultimatel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water treatment process required to be provided to the consumer and making the water supply device operate more smoothly.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압력이 유지되는 공간 내에 물과 탄산 가스를 주입하여 탄산수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물과 상기 탄산 가스를 내부 공간에 저장하는 압력용기와, 생성된 탄산수가 배출되는 상기 압력용기 내부의 유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탄산수의 흐름면적을 점차 증대시키는 확산공간과, 상기 확산공간을 통과한 탄산수가 수렴되어 배출되는 수렴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믹싱유닛을 포함하는 탄산믹서통을 제시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generating carbonated water by injecting water and carbon dioxide gas into a space where pressure is maintained, comprising: a pressure vessel storing the water and the carbon dioxide gas in an internal space; And a mixing unit provided on the flow path inside the pressure vessel through which the carbonated water is discharged and having a diffusion space for gradually increasing the flow area of the carbonated water and a converging space for discharging carbon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diffusion space And a carbonic acid mixer.

여기서, 상기 수렴공간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하는 탄산수의 흐름을 난류로 발생시키는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pace may include a cavity connected to the converging space and generating a flow of moving carbonated water as a turbulent flow.

세부적으로 상기 확산공간은 원뿔대의 외주면을 따른 형상이고, 상기 확산공간의 벌어짐 각도는 28° 내지 34°일 수 있다. 여기서 나아가 상기 확산공간의 길이는 21 내지 33밀리미터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ffusion space has a shap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uncated cone, and the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ion space may be 28 to 34 degrees. Further, the length of the diffusion space may be 21 to 33 millimeters.

상기 압력용기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장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믹싱유닛의 후단부에는 상기 장착홀에 체결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의 끝단부에는 상기 압력용기의 외주면에 접하는 플랜지가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와 상기 압력용기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Wherein the pressure vessel is provided with a mounting hole having an inner peripheral surfac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d a screw threaded to the mounting hole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mixing unit and a flange contac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essure vessel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crew And a sealing member may be mounted between the flange and the pressure vessel.

여기서 상기 탄산가스와 상기 물은 상기 압력용기에 주입되기 전에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용기는 타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carbon dioxide gas and the water are mixed before being injected into the pressure vessel. The pressure vessel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cross section.

한편 탄산 가스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저장탱크,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탄산믹서통 및 상기 탄산믹서통에서 배출되는 탄산수를 배출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물공급장치를 제시한다. A carbon dioxide storage tank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gas; a carbonic acid mixer tan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a dispenser for discharging carbona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이때, 저장한 물을 냉각시켜 냉수를 생성하는 냉수통이 포함되고, 상기 탄산믹서통은 상기 냉수통에서 냉수를 공급받아 탄산수를 생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cold water tank for cooling the stored water to generate cold water is included, and the carbonic acid mixer can receive carbonated water by receiving cold water from the cold water tan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공급장치에서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탄산수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탄산 가스압에 따른 탄산수 맛을 개선시켜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또 탄산수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물공급 장치의 원활한 작동을 가능케 하며,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device improves the quality of the carbonated water to be provided to the consumer and improves the taste of the carbonated water according to the carbonated gas pressure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consumer. Further, smooth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for generating and supplying carbonated water is possible, and operational reliability is improved.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and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either through the specific details described below, or during the course of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장치의 주요 구성과 계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채용된 탄산믹서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산믹서통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실시예를 분해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 채용된 믹싱유닛의 분해도.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 채용된 믹싱유닛의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믹싱유닛의 주요부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한 믹싱유닛의 사용 상태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믹서통의 개략적인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and a system of a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carbonic acid mixer cylinder employed in the embodiment of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arbonic acid mixer troug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3;
FIG. 6 is an exploded view of a mixing unit employ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ixing unit employ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part of the mixing unit shown in FIG. 7; FIG.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mixing unit shown in Fig.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arbonic acid mixer troug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믹싱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물공급장치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실시예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functions, and functions of a mixing unit and a wat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m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embodiments.

본 명세서의 설명에 있어서, '액체', '냉수', '온수', '원수' 및 '탄산수'는 모두 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냉수', '온수', '원수' 및 '탄산수'는 '물'이나 '액체'로 호칭될 수 있다. '냉수'와 '온수'는 온도에 따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원수'는 온도의 증감 처리 또는 이산화탄소의 용해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처리 등 각종 처리 전의 물을 의미하거나, 어떤 용기에 주입되는 대상으로서의 물을 의미하거나, 어떠한 처리 단계를 거치기 전의 물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description, 'liquid', 'cold water', 'hot water', 'raw water' and 'carbonated water' all mean water. Therefore, 'cold water', 'hot water', 'enemy water' and 'carbonated water' can be called 'water' or 'liquid'. 'Cold water' and 'hot water' are used to distinguish according to temperature, 'raw water' means water before various treatments such as treatment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emperature or increasing the solubility of carbon dioxide, Means water, or water before any treatment step.

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by any of the details of the descrip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standpoi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at any or all of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not necessarily the shap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장치와 관련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shows a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물공급장치(100)는 탄산수를 생성하며 보관하는 탄산믹서통(40)을 포함한다. 또한 탄산믹서통(40)에 탄산 가스를 공급하는 탄산공급 부재를 포함한다. 탄산공급 부재는 고압의 이산화탄소를 제공하는 이산화탄소 저장탱크(30)와 가스압 레귤레이터 등의 부대장비를 포함한다. 나아가 추가적인 구성으로, 물공급장치(100)는 냉수통(10)과 냉수통(10)에 담긴 물을 적정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각수단(20)을 포함한다. 또한 온수를 제공하는 온수통(60), 공급된 물을 임시 저장하는 저수통(70),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냉수, 온수 또는 탄산수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디스펜서(50) 그리고 냉각수단(20), 디스펜서(50)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들은 물공급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범위를 늘리는 구성이다. The water supply device (100) includes a carbonic acid mixer tank (40) for generating and storing carbonated water. And a carbonic acid supplying member for supplying carbonic acid gas to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40). The carbonic acid supply member includes a carbon dioxide storage tank 30 for providing high-pressure carbon dioxide and auxiliary equipment such as a gas pressure regulator. Further, in a further configuration, the water supply apparatus 100 includes a cooling means 20 for cool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ld water tank 10 and the water tank 10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A water dispenser 50 for selectively discharging cold water, hot water or carbonated water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consumer's choice, and a cooling means 20 A dispenser 50, and the like. These configurations are configurations that increase the range of services provided by the water supply system.

또 이들 구성 요소들을 적절히 운영하기 위한 제어모듈(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그 외에도 물공급장치는 자가 살균 수단,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각종 감시수단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control module (not shown) for appropriately operating these components.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device may further include self-sterilizing means, various monitoring means for enhancing safety, and the like.

도시된 물공급장치(100)는 냉수, 온수 및 탄산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전술한 모든 구성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의 물공급장치는 온수통, 저수통, 냉수통 등 일부의 구성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물의 종류가 한정되어 서비스 범위가 축소되지만, 그 대가로 물공급장치를 소형 사이즈로 제작하기가 용이해지며 제어모듈의 설계가 용이해진다. The illustrated water supply device 100 includes all of the above-mentioned configurations for providing cold water, hot water and carbonated water. However, the water supply device of another embodiment may not have some configuration such as a hot water tank, a low water tank, and a cold water tank. Accordingly, the type of water to be provided to the consumer is limited and the service range is reduced. However, in return, the water supply device can be easily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and the design of the control module is facilitated.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물공급장치(100)는 이산화탄소 저장탱크(30) 등의 탄산공급 부재, 디스펜서(50) 및 탄산믹서통(40)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추가로 상기 물공급장치(100)는 냉각수단(20)과 냉수통(10)을 더 구비하거나, 이에 더하여 온수통(60)을 더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나아가 물공급장치는 전술한 모든 구성을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device 100 includes a carbonic acid supply member such as a carbon dioxide storage tank 30, a dispenser 50, and a carbonic acid mixer tank 40. Further, the water supply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means 20 and a cold water tank 10, and further include a hot water tank 60. Further, the water supply device may have all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도 1에 도시된 물공급장치(100)에서 저수통(70)은 냉수통(10)이나 온수통(60)에 공급할 물을 임시로 저장하는 부재이다. 특히 저수통(70)은 별도로 제공되는 생수통(도시 생략) 등에서 원수를 공급받을 때 유용한 것이다. 저수통(70)은 주로 거꾸로 장착되는 생수통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일정 분량의 물을 보유할 수 있다. 1, the water reservoir 70 is a member for temporarily storing th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cold water tank 10 or the hot water tank 60. In the water supply apparatus 100 shown in FIG. Particularly, the water reservoir 70 is useful when raw water is supplied from a separately provided water tank (not shown). The reservoir 70 is mainly supplied with raw water from a water tank installed upside down and can hold a certain amount of water.

별도의 생수통을 사용하지 않고 필터를 거친 수돗물을 직접 공급받는 경우에는 저수통(70)은 생략되거나, 여전히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filtered tap water is directly supplied without using a separate water bottle, the water reservoir 70 may be omitted or still be u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온수통(60), 냉수통(10) 그리고 탄산믹서통(40)은 기본적으로 밀폐된 용기로 제공된다. 처리된 냉수, 온수 또는 탄산수를 배출하기 위한 구조는, 각 통에서 배출관이 통의 저부까지 연장되어서 통의 내부로 원수가 주입되면 압력에 의해 저장된 물이 배출관으로 토출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The hot water tank 60, the cold water tank 10 and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40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ically provided as a closed container. The structure for discharging the treated cold water, hot water or carbonated water is such that the discharge pipe extends from the bottom of each barrel to the bottom of the barrel, and when the raw water is injected into the barrel, the stor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by pressure.

예를 들어, 저수통(70)에 담긴 물은 펌프(710)에 의해 가압되어 배관을 통해 이송되고, 분기된 배관이 온수통(60)과 냉수통(10)에 연결되어 있어, 원수는 온수통(60)이나 냉수통(10)으로 유입된다. 사용자가 디스펜서(50)를 조작하여 냉수를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냉수통(10)의 배출배관과 연결된 밸브(디스펜서 내에 장착될 수 있음)가 개방되어 냉수통(10)에서만 냉수가 빠져나가고, 온수통(60)의 배출배관과 연결된 밸브는 여전히 잠긴 상태가 유지되므로 온수통 내의 온수는 그대로 머물게 된다. For example,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storage tank 70 is pressurized by the pump 710 and is conveyed through the pipe, and the branched pipe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60 and the cold water tank 10, And flows into the cylinder (60) or the cold water cylinder (10). When the user operates the dispenser 50 to discharge the cold water, the valve (which may be mounted in the dispenser)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of the cold water tank 10 is opened, and the cold water exits only in the cold water tank 10, The valv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of the hot water tank 60 is still kept in the locked state, so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remains.

또한 디스펜서(50)의 조작에 따라 펌프(710)가 연동하여 저수통(70)의 물이 펌핑 이송된다. 이때, 펌프(710)의 유출구에 연결된 배관의 압력구배에 의해 밸브가 열려 있는 냉수통(10)으로만 펌핑된 원수가 유입된다. In addition, the pump 710 is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of the dispenser 50 so that the water in the reservoir 70 is pumped and transferred. At this time, the raw water pumped into the cold water tank 10 through which the valve is opened is introduced by the pressure gradient of the pipe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pump 710.

한편 저수통(70)에 연결되는 펌프(710)는, 저수통(70)의 설치 위치가 냉수통(10)이나 온수통(60)보다 높아서 저수통의 원수가 중력에 의해 냉수통이나 온수통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들어가도록 구성한 경우에 생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ump 710 connected to the low-water tub 7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ow-water tub 70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ld water tub 10 or the hot water tub 60 so that raw water of low water cis It can be omitted when it is configured to flow naturally.

한편 탄산믹서통(40)은 이산화탄소 저장탱크(30)와 연결되어 있다. 이산화탄소 저장탱크(30)는 고압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있으며, 저장한 이산화탄소를 소비한 후에 새로운 이산화탄소 저장탱크로 교체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산화탄소 저장탱크에서 토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압력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레귤레이터와, 이산화탄소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 등이 더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40 is connected to the carbon dioxide storage tank 30. The carbon dioxide storage tank 30 stores high-pressure carbon dioxide and can be replaced with a new carbon dioxide storage tank after consuming the stored carbon dioxide. A regulator for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carbon dioxide storage tank and a check valve for preventing the back flow of carbon dioxide are further provided.

탄산믹서통(40)의 내부에서 일정량의 물과 이산화탄소가 고압 상태에서 공존하게 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산화탄소는 물에 용해됨으로써 탄산믹서통(40)의 물은 높은 탄산 압력을 가지는 탄산수가 될 수 있다. 탄산수의 배출은 디스펜서(50)의 개방에 따라 대기압과 탄산믹서통(40) 내부의 압력 차이에 의해 탄산수가 자연히 배출되도록 하거나, 이에 더하여 탄산믹서통(40)에 새로운 물을 공급함으로써 전술한 냉수통(10)이나 온수통(60)과 같이 탄산수가 밀려나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A certain amount of water and carbon dioxide coexist in a high pressure state in the carbonic acid mixer cylinder 40. [ As time elapses, carbon dioxide is dissolved in water, so that the water in the carbonic acid mixer can be carbonated water having a high carbonic acid pressure. The carbonated water is discharged by allowing the carbonated water to be discharged naturally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inside of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40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dispenser 50 or additionally supplying new water to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40, The carbonated water can be pushed out and discharged as in the case 10 or the hot water tank 60.

도 1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라인은 냉수통(10)과 탄산믹서통(40)에 공급되는 냉매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냉각수단(20)은 알려진 바와 같은 냉동 사이클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물공급장치의 내부에는 냉매를 증발, 압축, 응축 및 팽창시키기 위한 장치들이 구비된다. 1, the line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indicates the movement path of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cold water tank 10 and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40. [ The cooling means 20 uses a refrigeration cycle as is known. Accordingly, devices for evaporating, compressing, condensing, and expanding the refrigerant are provided inside the water supply device.

다른 실시예에서 냉각수단(20)은 펠티에 효과를 이용한 열전소자 모듈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냉매 없이 흡열 측을 냉수통이나 후술하는 케이스에 바로 접촉시키거나, 흡열 측에 접하는 브래킷 등이 냉수통 등에 접촉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cooling means 20 may be a thermoelectric module utilizing the Peltier effect. In this case, the heat absorbing side may be direct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ld water tube or the case described later without the refrigerant, or a bracket or the like in contact with the heat absorbing side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ld water tube or the like.

냉각수단(20)은 냉수통(10)과 탄산믹서통(40)에 연결되어 있어, 냉수통(10)과 탄산믹서통(40)에 담긴 물(냉수, 탄산수)을 적절히 냉각시키고, 냉각된 온도를 유지시킨다. 이러한 냉각수단(20)에 의해 냉수통(10)은 소비자에게 냉수를 제공할 수 있는 본래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며, 탄산믹서통(40)에서는 이산화탄소의 용해도를 높여 탄산 압력을 증대시키고, 탄산 압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cooling means 20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10 and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40 so that water (cold water, carbonated water) contained in the cold water tank 10 and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40 is suitably cooled, Keep the temperature. The cold water tank 10 can exhibit the original function of providing cold water to the consumer by the cooling means 20. In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40, the solubility of carbon dioxide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carbonic acid pressure, The pressure can be maintained.

도 2에는 탄산믹서통의 구조를 보다 세부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2 shows the structure of the carbonic acid mixer container in more detail.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산믹서통(40)은 냉수에 탄산 가스가 용해되는 조건을 맞추어 줌으로써, 탄산수를 생성하는 장소를 제공한다. 탄산수로 공급되는 원수는 저수통에서 공급되는 물이거나, 냉수통에서 공급되는 냉수이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arbonic acid mixer cylinder 40 provides a place for generating carbonated water by match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carbonic acid gas is dissolved in the cold water. Raw water supplied with carbonated water is water supplied from a low water cistern or cold water supplied from a cold water cistern.

보다 신속히 탄산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온도가 낮은 냉수통의 냉수를 탄산믹서통(40)에 공급하여, 탄산믹서통(40) 내부의 온도 상승을 가능한 억제하는 것이 좋다.In order to generate carbonated water more quickly, it is preferable to supply cold water of a low-temperature cold water tank to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40 to suppress the temperature rise in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40 as much as possible.

탄산믹서통(40)의 내부는 저장된 물과 공급된 탄산 가스에 의해 고압의 상태가 된다. 또한 탄산믹서통(40)의 둘레를 감싸는 냉각수단(20)에 의해 내부의 온도가 적정 수준으로 내려가게 된다. 즉, 저온 고압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물과 탄산 가스가 공존하므로 탄산 가스는 물에 용해되어 탄산수가 생성된다. The interior of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40 is brought into a high-pressure state by the stored water and the supplied carbonic acid gas.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40 is lowered to an appropriate level by the cooling means 20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40. That is, since water and carbon dioxide coexist while maintaining the state of low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arbon dioxide gas is dissolved in water to generate carbonated water.

사용자가 디스펜서의 조작으로 탄산믹서통과 연결된 배출관(도 1의 410 참고)의 밸브를 개방하면, 탄산믹서통(40)의 내부압력에 의해 저장되었던 탄산수가 디스펜서를 통해 배출된다. When the user opens the valve of the discharge pipe (see 410 in FIG. 1) connected to the carbonic acid mixe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dispenser, the carbonated water stored b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arbonic acid mixer 4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penser.

동시에 제어모듈은 탄산믹서통 내의 수위센서(도 5의 15 참고)를 통해 탄산믹서통(40) 내의 수위가 하강함을 감지하고, 새로운 물을 공급받도록 냉수통이나 저수통에 연결된 펌프를 작동시킨다. 또 탄산믹서통 내부의 탄산 가스 압력 저하에 따라 이산화탄소 저장탱크에서 공급되는 탄산 가스가 탄산믹서통을 일정한 고압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module senses that the water level in the carbonic acid mixer cylinder 40 has dropped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see 15 in FIG. 5) in the carbonic acid mixer cylinder, and operates the pump connected to the cold water cylinder or the water reservoir to receive fresh water . Also, the carbonic acid gas supplied from the carbon dioxide storage tank keeps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at a constant high pressure in accordance with the decrease of the carbonic acid gas pressure in the carbonic acid mixer case.

탄산수가 빠져 나가는 배출관(410)은 탄산믹서통(40) 내의 탄산수 수위가 낮더라도 탄산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탄산믹서통(40)의 바닥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탄산믹서통의 내부로 연장된 배출관(410)에는 탄산수의 관로 상에 배치되는 믹싱유닛(2)이 장착되어 있다. The discharge pipe 410 through which the carbonated water flows out extends to the bottom of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40 so that carbonated water is discharged even if the carbonated water level in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40 is low. A mixing unit (2) disposed on a carbonic acid water channel is mounted on a discharge pipe (410) extending into the inside of the carbonic acid mixer container.

믹싱유닛(2)은 탄산믹서통(40)에서 배출되는 탄산수의 품질을 개선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믹싱유닛은 배출관을 통과하여 제공되는 탄산수의 탄산 가스압을 높임으로써, 고 탄산 가스압에 따른 탄산수의 쏘는 맛을 좋게 한다. The mixing unit 2 improves the quality of the carbona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40. Specifically, the mixing unit increases the carbonic acid gas pressure of the carbonated water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thereby improving the shooting taste of the carbonated water according to the high carbon dioxide gas pressure.

또한 믹싱유닛은 물공급장치의 원활한 운용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믹싱유닛은 탄산믹서통을 고압의 조건으로 운용할 수 있게 하여, 탄산믹서통의 운용 압력의 선택의 폭을 넓게 한다. 즉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탄산믹서통의 운영 압력을 고압으로 설정, 운용할 수 있게 한다. The mixing unit also enables smooth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The mixing unit allows the carbonic acid mixer can be operated under a high pressure condition, thereby widening the selection range of the operating pressure of the carbonic acid mixer can. That is, the operating pressure of the carbonic acid mixer can be set and operated at a high pressur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이러한 믹싱유닛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서는 추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such a mixing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믹싱유닛(2)은 탄산믹서통(4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믹싱유닛이 탄산믹서통의 내부에 장착됨으로써 믹싱유닛과, 이 믹싱유닛을 통과하는 탄산수는 탄산믹서통의 냉각 효과를 받는다. 즉 믹싱유닛 자체가 차갑게 유지되는 것이다. The mixing unit 2 is mounted inside the carbonic acid mixer cylinder 40. The mixing unit and the carbon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mixing unit are subjected to the cooling effect of the carbonic acid mixer container by being mounted inside the carbonic acid mixer container. That is, the mixing unit itself is kept cool.

믹싱유닛(2)이 탄산믹서통(40) 내에서 배출관(41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믹싱유닛(2)을 통과하는 탄산수의 흐름은 중력을 거슬러 올라가는 방향이 된다. Since the mixing unit 2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410 in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40, the flow of the carbon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mixing unit 2 becomes a direction going up the gravity.

또한 믹싱유닛의 유입구와 유출구는 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유입구와 유출구의 직선 배치는 탄산수의 흐름 방향이 전환되면서 발생하는 흐름 저항을 줄이는 것이다. The inlet and outlet of the mixing unit are also in a straight line. The linear arrangement of the inlet and outlet is to reduce the flow resistance caused by the flow direction of the carbonated water.

다른 실시예에서, 믹싱유닛은 탄산믹서통의 내부가 아닌 탄산믹서통의 배출관과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배출관의 중간에 설치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mixing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middle of a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dispenser to the discharge pipe of the carbonic acid mixer trough, not the inside of the carbonic acid mixer trough.

예를 들어 디스펜서에 연결되는 배출관의 끝단부나, 그 중간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믹싱유닛은 디스펜서 내에 부속품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이렇듯 믹싱유닛은 탄산수가 통과하는 관로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위치가 탄산믹서통의 내부로 한정되지 않는다. For example, at the end of th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dispenser or in the middle thereof. Alternatively, the mixing unit may be mounted as an accessory within the dispenser. Thus, the mixing unit is installed in a channel through which carbonated water passes, and its position is not limited to the inside of the carbonic acid mixer can.

이러한 경우에도, 믹싱유닛의 내부로 주입되는 탄산수의 방향과, 믹싱유닛을 통과한 후 배출되는 탄산수의 흐름 방향이 바뀌지 아니하므로, 물공급장치 내의 배관 설치에 용이하다.
Even in this case, since the direction of the carbonated water injected into the mixing unit and the flow direction of the carbonated water discharged after passing through the mixing unit are not changed, it is easy to install the pipe in the water supply device.

탄산믹서통(40)은 물과 탄산 가스를 내부 공간에 저장하는 압력용기(1)를 구비한다.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40) has a pressure vessel (1) for storing water and carbon dioxide gas in an internal space.

압력용기(1)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상이고,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타원형 단면을 가지는 통의 형태이다. The shape of the pressure vessel 1 may vary, but is cylindrical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and tubular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having an elliptical cross section.

압력용기(1)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바디(11)와, 내부 공간을 밀폐하며 각종 배관이나 센서 등이 장착되는 캡(12)을 포함한다. 이때, 바디(11)와 캡(12)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실링(13)이 개재된다. The pressure vessel (1) includes a body (11) forming an internal space, and a cap (12) sealing the internal space and equipped with various pipes and sensors. At this time, a seal 13 for hermetic seal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body 11 and the cap 12.

원통 또는 타원형 단면을 가지는 통인 압력용기(1)는 탄산믹서통(40)의 운용 압력을 견디기에 적합한 형태이다. The cylindrical pressure vessel 1 having a cylindrical or elliptical cross section is in a form suitable to withstand the operating pressure of the carbonic acid mixer cylinder 40.

특히 타원형 단면인 통으로 제작되는 압력용기(1)는 물공급장치를 소형으로 제작함에 따라 탄산믹서통(40)을 설치할 충분한 공간이 부족한 때에 적합하다. Particularly, the pressure vessel 1 made of a cylinder having an elliptical cross section is suitable when the water supply device is made compact and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carbonic acid mixer cylinder 40 is insufficient.

구체적으로 둘레를 곡면으로 형성하여 내부의 큰 압력을 견딜 수 있으면서도, 평면에서 바라 보았을 때에 타원 단면의 단축 방향에 따른 길이를 줄임으로써 다른 통 부재와 나란히 탄산믹서통을 배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단축의 길이와 같은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에 비하여 압력용기 안에 담긴 물과 탄산 가스의 접촉면적을 크게 얻으므로, 빠른 시간 내에 일정 수준의 탄산 가스압을 가지는 탄산수를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erimeter is formed into a curved surface to withstand a large internal pressure, and when viewed from the plane, the length along the minor axis direction of the elliptical cross section is reduced so that the carbonic acid mixer can be arranged side by side with other tubular members. In addition, sin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water and the carbonic acid gas contained in the pressure vessel is grea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ylindrical shape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length of the short axis, the carbonated water having a certain level of carbon dioxide gas pressure can be generated within a short time.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탄산믹서통(40)에는 적어도 두 종류의 배관이 설치된다. 하나는 탄산믹서통 내의 탄산수가 배출되는 배출관(410)이며, 다른 하나는 물과 탄산 가스를 주입하는 유입관이다. Referring again to FIG. 2, at least two kinds of pipes are installed in the carbonic acid mixer cylinder 40. One is a discharge pipe 410 for discharging carbonated water in the carbonic acid mixer trough, and the other is an inlet pipe for injecting water and carbon dioxide gas.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입관은 하나로 십자배관(17)을 사용하고 있다. 십자배관(17)의 분기 가지들 중 하나는 압력용기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나머지 분기 가지들 각각은 탄산 가스의 주입배관, 원수의 주입배관 그리고 안전밸브(SAFETY VALVE, S.V.)에 연결된다. 그리하여 압력용기(1)에 주입되는 물과 탄산 가스는 탄산믹서통(40) 내부로 들어오기 전에 십자배관(17)에서 먼저 섞일 수 있게 된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inlet pipe uses a single cross pipe 17. One of the branch branches of the crucible (17)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of the pressure vessel. Each of the remaining branch branches is connected to carbon dioxide gas injection piping, raw water injection piping and a safety valve (SAFETY VALVE, S.V.). Thus, the water and the carbon dioxide gas injected into the pressure vessel 1 can be mixed first in the crucible pipe 17 before entering the inside of the carbonic acid mixer vessel 40.

탄산 가스와 원수를 섞은 후 압력용기(1)에 주입함에 따라 탄산수의 생성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탄산믹서통 내부의 많은 탄산수가 짧은 시간 내에 배출되어 비워지면, 새로운 탄산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원수와 탄산 가스가 추가로 공급된다.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duction rate of carbonated water by mixing the carbonic acid gas with the raw water and injecting it into the pressure vessel 1. When a large amount of carbonic acid water in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is discharged and emptied in a short time, raw water and carbon dioxide gas are further supplied to generate new carbonated water.

일정 수준의 탄산 가스압을 가진 탄산수를 얼마나 빠른 시간 내에 생성할 수 있는지는 주로 원수와 탄산 가스의 접촉면적과 관련된다. 고압의 기밀 용기 내에서 물과 탄산 가스를 접촉시켜 탄산수를 생성하는 종래의 기술은, 물과 탄산 가스를 각기 다른 배관을 통해 용기 내로 주입하므로, 탄산수의 생성 속도는 오로지 용기 내에 저장된 물의 표면 면적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How quickly carbonated water with a certain level of carbon dioxide pressure can be generated is mainly related to the contact area between raw water and carbon dioxide gas. Conventional technique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by bringing water and carbon dioxide gas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high-pressure gas-tight container are such that water and carbon dioxide gas are injected into different vessels through different pipes, so that the production rate of carbonated water is limited only to the surface area of water Is determined accordingly.

본 발명에서는 탄산 가스와 원수를 미리 섞은 후에 탄산믹서통(40)으로 주입하므로 탄산 가스와 원수의 접촉 면적을 주입 초기에 크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탄산 가스가 원수에 빨리 용해되어 짧은 시간 내에 적정 탄산 가스압을 가진 탄산수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rbonic acid gas and the raw water are mixed in advance and then injected into the carbonic acid mixer cylinder 40,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arbonic acid gas and the raw water can be increased at the initial stage of injection. The carbonic acid gas is quickly dissolved in the raw water so that carbonated water having an appropriate carbonic acid gas pressure can be produced within a short time.

추가적인 구성으로, 압력용기(1)에 장착되는 십자배관(17)의 분기가지에는 십자배관(17)에서 원수와 섞여 압력 용기로 주입되는 탄산 가스를 잘게 쪼개는 분쇄부재(171)가 구비될 수 있다. The branched branch of the crucible pipe 17 mounted on the pressure vessel 1 may be provided with a crushing member 171 for finely dividing the carbonic gas injected into the pressure vessel mixed with the raw water in the crucible pipe 17 .

실시예로 분쇄부재(170)는 가스 방울이 충격되어 작은 방울로 쪼개는 그물망이 될 수 있다. 그물망은 스테인리스와 같은 부식에 강한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분쇄부재는 탄산 가스와 섞인 원수가 통과하는 관로에 돌출된 복수의 충돌돌기가 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rushing member 170 can be a mesh that breaks the gas bubbles into small droplets. The mesh can be made of corrosion resistant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In another embodiment, the crushing member may be a plurality of collision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 channel through which raw water mixed with carbon dioxide gas passes.

방울진 탄산 가스 혼합된 원수가 통과하는 유로 상에 분쇄부재(171)가 구비됨으로써 큰 탄산 가스 방울은 잘게 쪼개어진다. 그에 따라 압력용기() 내로 주입되는 원수와 탄산 가스의 접촉면적이 크게 증가되고, 더욱 신속히 탄산 가스가 원수에 용해된다. The crushing member 171 is provided on the 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raw carbonic acid gas mixed raw water passes, so that large carbonic acid gas droplets are finely divided. Accordingly,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raw water and the carbonic acid gas injected into the pressure vessel () is greatly increased, and the carbonic acid gas dissolves more quickly in the raw water.

또한 원수는 분쇄부재(171)를 통과하면서 잘게 나뉘어진 채 낙하하므로, 새로이 주입된 원수가 압력용기 내에 머무는 탄산수와 적게 섞이게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raw water falls while being finely divid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rushing member 171, the newly injected raw water is mixed with the carbonated water staying in the pressure vessel little.

만일 분쇄부재가 없다면 분기배관에서 낙하는 원수는 덩어리 상태로 낙하하여, 압력용기 내에 저장되었던 탄산수와 빨리 섞이게 된다. 그 결과 원수에 의한 탄산수의 탄산 가스압이 낮아지게 된다. If there is no crushing member, the falling water from the branch pipe falls into a lump state and quickly mixes with the carbonated water stored in the pressure vessel. As a result, the carbonic acid gas pressure of the carbonated water caused by the raw water becomes low.

본 발명에서 이미 생성된 탄산수는 길게 형성된 배출관(410)에 의해 압력용기(1)의 바닥에 가까이에서 배출된다. 분쇄부재는 새로이 주입되는 원수의 낙하 에너지를 줄임으로써, 한 번에 많은 양의 탄산수를 배출할 때에, 새로이 주입되는 원수가 기존의 탄산수와는 가능한 적게 섞이도록 한다. 이로써 새로 주입한 원수가 탄산수와 완전히 섞이기 전에 압력용기(1) 하부의 탄산수가 먼저 배출될 수 있다. The carbonated water already gene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harged close to the bottom of the pressure vessel 1 by the long discharge pipe 410. The crushing member reduces the drop energy of the newly injected raw water so that when the large amount of carbonated water is discharged at a time, the newly injected raw water is mixed with the existing carbonated water as much as possible. This allows the carbonated water beneath the pressure vessel (1) to be discharged before the freshly injected raw water is completely mixed with the carbonated water.

즉, 많은 양의 탄산수를 배출하려는 경우에, 사용자는 새로이 추가되는 원수의 영향이 적은, 탄산 가스압이 높은 탄산수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a large amount of carbonated water is to be discharged,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carbonated water with high carbon dioxide pressure, which is less influenced by the newly added raw water.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산믹서통이 도시되어 있다. 3 to 5 show a carbonic acid mix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탄산믹서통(40)의 압력용기(1)는 하단부가 볼록하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의 바디(11)와, 바디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하여 내부를 기밀하는 평탄한 캡(12)을 포함한다. The pressure vessel 1 of the illustrated carbonic acid mixer tank 40 has a cylindrical body 11 whose lower end is convex and whose upper portion is opened and a flat cap 12 which is coupled to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body to air- .

바디(11)와 캡(12)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바디(11)의 상단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홀이 형성된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와 접촉하는 캡의 하단면 둘레에는 실링(13)이 개재된다. A flange having a hole for fastening the bolt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11 to secure the coupling between the body 11 and the cap 12. [ A seal 13 is interposed arou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in contact with the flange.

바디(11)의 오목한 바닥에는 드레인 니플(14)이 결합되어 있다. 이 드레인 니플(14)은 압력용기(1) 내에 저장된 탄산수나 원수를 완전히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드레인 니플(14)은 도시를 생략한 배수 밸브에 연통되어 있다. 통상적인 물공급장치의 작동 상황에서 배수 밸브는 잠겨 있어, 탄산수 등이 압력용기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한다. A drain nipple 14 is coupled to the concave bottom of the body 11. The drain nipple 14 is for completely discharging carbonated water and raw water stored in the pressure vessel 1, and the drain nipple 14 is communicated with a drain valve (not shown). In the 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water supply device, the drain valve is locked, so that carbonated water or the like is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pressure vessel.

캡(12)에는 각종 배관들과 센서 등이 장착된다. 이때, 캡은 평탄하게 제작됨으로써 배관이나 센서 등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The cap 12 is equipped with various pipes and sensors. At this time, since the cap is made flat, it is easy to install pipes and sensors.

캡(12)에 장착되는 배관 종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탄산수의 배출관과 연결된 믹싱유닛(2)과, 탄산 가스와 혼합된 물이 주입되는 십자배관(17)이다. 한편 캡(12)에 장착되는 센서 종류는 압력용기 내의 탄산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5)와, 탄산믹서통 내부의 온도나 압력을 측정하는 온도계(16) 또는 압력계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type of piping to be mounted on the cap 12 is a mixing unit 2 connected to a carbonated water discharge pipe and a cross piping 17 into which water mixed with carbon dioxide gas is injected. On the other hand, the type of sensor mounted on the cap 12 is a water level sensor 15 for sensing the carbonated water level in the pressure vessel and a thermometer 16 or pressure gauge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r pressure inside the carbonic acid mixer.

여기서 수위센서(15)는 부력체에 연결된 자석의 상승 높이에 따라 감지되는 자력 세기를 통해 수위를 검출하는 것인데, 이러한 수위 센서는 이미 알려진 다른 공지된 구성의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온도계나 압력계 역시 널리 알려진 구성과 동일한 것이다. Here, the water level sensor 15 detects the water level through the magnetic force intensity sensed according to the ascending height of the magnet connected to the buoyant body, and this water level sensor can be replaced with another known structure already known. Thermometers and pressure gauges are also the same as well-known configurations.

믹싱유닛(2)을 캡(12)에 장착하기 위하여, 캡(12)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장착홀(121)이 형성되어 있다. 또 믹싱유닛(2)의 후단부에는 장착홀(121)에 체결되는 나사(214)가 형성되어 있어, 장착홀에 장착된 믹싱유닛의 대부분은 압력용기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In order to mount the mixing unit 2 to the cap 12, the cap 12 is provided with a mounting hole 121 formed with a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mixing unit 2 is provided at its rear end with a screw 214 to be fastened to the mounting hole 121. Most of the mixing unit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is located inside the pressure vessel.

믹싱유닛(2)의 후단부에 형성된 나사(214)에 이어서, 상기 나사(214)의 끝단부에는 믹싱유닛(2)과 캡(12)의 나사 체결 시에 캡의 상부 면에 접하는 플랜지(2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215)와 압력용기(1)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장착되어, 압력용기 내의 탄산 가스가 장착홀을 통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게 한다.
The screw 214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mixing unit 2 and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crew 214 with a flange 215 which abuts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upon screwing of the mixing unit 2 and the cap 12 Is formed. Further, a sealing member is mounted between the flange 215 and the pressure vessel 1 so that carbon dioxide gas in the pressure vessel does not leak out through the mounting hole.

믹싱유닛(2)은 압력용기(1) 내에서 생성된 탄산수가 배출되는 유로, 즉 배출관(410)에 연통되는 확산공간(S1)과 수렴공간(S2)을 내부에 구비한다. The mixing unit 2 has a diffusion space S1 and a converging space S2 communicating with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carbonated water generated in the pressure vessel 1 is discharged, that is, the discharge pipe 410.

여기서 확산공간(S1)은 탄산수의 흐름면적을 점차 증대시키는 구간이고, 수렴공간(S2)은 확산공간(S1)을 통과한 탄산수가 다시 모여 배출되도록 하는 공간이다.Here, the diffusion space S1 is a section for gradually increasing the flow area of the carbonated water, and the converging space S2 is a space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the carbon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diffusion space S1.

믹싱유닛(2)은 탄산수의 흐름면적을 점차 증대시키는 확산공간(S1)을 통하여 탄산수의 흐름 속도를 낮추고, 그에 대한 보상으로 해당 구간을 통과하는 탄산수의 압력을 크게 얻는다. 알려진 바와 같이, 탄산수의 압력이 증가할수록 탄산 가스의 용해도가 증가하므로 탄산 가스압을 증대시킬 수 있다. The mixing unit 2 lowers the flow rate of the carbonic acid water through the diffusion space S1 that gradually increases the flow area of the carbonic acid water and obtains a large pressure of the carbonic acid water pass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region as a compensation thereof. As known, as the pressure of carbonated water increases, the solubility of carbonic acid gas increases, so that the carbonic acid gas pressure can be increased.

즉, 믹싱유닛(2)을 거치면서 탄산수의 탄산 가스압은, 믹싱유닛을 거치지 아니한 경우에 비하여 증가하고, 이로써 사용자에게 높은 탄산 가스압을 가진 탄산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carbonic acid gas pressure of the carbonated water increases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mixing unit does not pass through the mixing unit 2, thereby providing the user with carbonated water having a high carbon dioxide gas pressure.

또 믹싱유닛(2)은 고압으로 운용되는 탄산믹서통과 대기압인 디스펜서 출구 사이에 압력 댐퍼의 기능을 담당한다. 만일 믹싱유닛이 없으면서 탄산믹서통의 내부 압력을 높게 운용한다면, 탄산믹서통의 높은 압력이 디스펜서에까지 그대로 전달되어, 디스펜서에서 탄산수가 고압으로 배출된다. 디스펜서의 배출구에 가져다 댄 컵에서 고압의 탄산수가 튀어 버리므로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야기하게 된다. The mixing unit 2 also functions as a pressure damper between the outlet of the dispenser which is atmospheric pressure of the carbonic acid mixer operated at a high pressure. I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is increased without the mixing unit, the high pressure of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dispenser, and the carbonic acid water is discharged to the high pressure from the dispenser. The high-pressure sparkling water spouts out from the cup which is brought to the outlet of the dispenser, which causes a great inconvenience to the user.

종래의 기술에 따른 탄산수 공급장치들은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탄산믹서통의 내부 압력을 크게 할 수 없었고, 그에 따라 탄산 가스압을 크게 얻지 못하는 한계가 있어 왔다. The conventional carbonic acid water supply devices have not been able to increas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arbonic acid mixer because of such a problem, and thus the carbonic acid gas pressure can not be increased.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믹싱유닛은 고압으로 터져 나오는 탄산수를 레귤레이터와 유사하게 일정 압력으로 낮추어 배출하는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탄산믹서통의 압력을 더욱 크게 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탄산믹서통을 설계할 때에 운용할 압력 조건을 다양하게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여유를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erts the effect of lowering the carbonated water discharged at a high pressure to a predetermined pressure similar to that of the regulator, so that the pressure of the carbonic acid mixer can be further increa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t various pressure conditions to be operated when designing a carbonic acid mixer can be set or changed.

확산공간(S1)과 수렴공간(S2)은 압력용기의 바닥에 가까이 연장된 배출관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탄산믹서통(40)에서 디스펜서(50)로 탄산수가 배출관을 따라 흐르는 방향(이하, '본류 반향'이라 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확산공간(S1)과 수렴공간(S2)이 이어진다. The diffusion space S1 and the converging space S2 are formed so as to be continuous with a discharge pipe extending close to the bottom of the pressure vessel. That is, the diffusion space S 1 and the converging space S 2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in which carbonated water flows from the carbonic acid mixer trough 40 to the dispenser 50 along the discharge pip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instream echoes).

확산공간(S1)은 본류 방향에 따라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구간으로, 배출관을 따라 고압으로 흐르던 탄산수는 확산공간(S1)에서 유속이 느려지면서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탄산수 내에 미처 용해되지 아니하는 탄산 가스가 더욱 높은 탄산 가스압으로 용해되도록 한다. 수렴공간(S2)은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확산공간(S1)을 통과한 탄산수가 한데 모여 다시 디스펜서와 연결된 배출관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 한다. In the diffusion space S1,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along the main flow direction. The carbonated water flowing at a high pressure along the discharge pipe flows in the diffusion space S1 as the pressure rises and the carbonic acid gas To dissolve at a higher carbon dioxide gas pressure. The converging space S2 allows the carbonat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iffusion space S1 having a wide cross-sectional area to gather together and to escape to th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dispenser again.

도 8에는 확산공간(S1)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확산공간(S1)의 형상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두께와 길이를 다소 과장하여 도시하고 있으며, 화살표는 탄산수의 흐름 방향을 나타낸다. The diffusion space S1 is shown in Fig. Here, the shape of the diffusion space S1 is shown by exaggerating the thickness and the length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nd arrows indicate the flow direction of the carbonated water.

확산공간(S1)의 단면적은 도넛의 형상이다. 입구(S11)로부터 출구(S12)에 이르기까지 도넛형의 단면적은 점진적으로 증가된다.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ffusion space S1 is a donut shap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oroidal shape from the inlet S11 to the outlet S12 is gradually increased.

확산공간(S1)을 통과하면서 탄산수의 유속이 느려지면서 대신 압력이 증가한다. 배출되는 탄산수의 탄산 가스압을 유의미한 수준으로 상승시키려면, 확산공간을 통과하는 과정 중에 충분한 압력이 증가되어야 하고, 상승한 압력이 유지되는 시간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 이는 확산공간의 입출구의 면적비 및 길이와 관련되어 있다. The flow rate of carbonated water is slowed while passing through the diffusion space S1, and the pressure is increased instead. To raise the carbonic acid gas pressure of the discharged carbonated water to a significant level, sufficient pressure must be increased during the passage through the diffusion space, and a certain amount of time is required to maintain the elevated pressure. This is related to the area ratio and length of the inlet and outlet of the diffusion space.

물공급장치는 가정용 또는 탁상용으로 사용되기 위하여, 소형 가전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물공급장치에 구비되는 믹싱유닛도 가능한 소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설계 여유를 확보하는 차원에서 유리하다. 믹싱유닛의 작용이 제대로 발현되면서, 가능한 소형으로 제작되기 위하여 확산공간을 최소 사이즈를 한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The water supply device can be made as a small household appliance, for use as a household or a desk.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mixing unit provided in such a water supply device is also made as small as possible in order to secure a design margin. With the mixing unit functioning properly, the minimum size of the diffusion space can be defined to be as compact as possibl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믹싱유닛(2)은 케이스(21)와 장착부(22)를 포함한다. The mixing unit 2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includes a case 21 and a mounting portion 22.

더하여 장착부(22)는 2 부분으로 나뉘어져 전방몸체(22a)와 후방몸체(22b)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장착부(22)는 하나의 일체화된 부품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전방몸체(22a)와 후방몸체(22b)로 나누어지는 장착부(22)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22 is divided into two parts and is composed of a front body 22a and a rear body 22b. In another embodiment, the mounting portion 22 may be made of one integral part. The mounting portion 22, which is divided into the front body 22a and the rear body 22b,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easily manufactured using synthetic resin.

케이스(21)는 장착부(22)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공간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부(211)는 케이스(21)에 형성된 유입구(213)와 연통된다. 케이스(21)는 믹싱유닛의 외형을 형성하는 부재로, 케이스(21)의 외부에는 물공급장치의 다른 구성 요소와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The case 21 is formed with a space portion 211 for receiving a part of the mounting portion 22. [ The space portion 211 communicates with the inlet 213 formed in the case 21. The case 21 is a member that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mixing unit, and the outside of the case 21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for engaging with other components of the water supply device.

도시된 케이스(21)의 외주면에는 캡(12)의 장착홀(121)에 나사 체결되기 위한 나사(2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나사의 끝단부에 연이어 플랜지(215)가 형성되어 있다.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llustrated case 21, a screw 214 is screwed into the mounting hole 121 of the cap 12. Further, a flange 215 is formed continuously to the end of the screw.

탄산수가 믹싱유닛의 내부로 들어오게 되는 유입구(213)는 케이스(21)의 전단부에 형성된다. 케이스(21) 후단부에 형성된 공간부(211)는 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공간부(211)의 내주면 둘레에는 장착부(22)와 결합하는 나사산(212)이 형성되어 있다. 공간부(211)는 유입구(213)와 이어지는 전방부터 나사산(212)이 형성된 후단에까지 점차 단면적이 증대되는 원뿔형이다.
An inlet 213 through which the carbonated water enters into the mixing unit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case 21. [ The space portion 211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case 21 is opened toward the rear. A screw thread 212 is formed a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ace 211 to engage with the mounting portion 22. The space portion 211 has a conical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ront leading from the inlet 213 to the rear end where the screw thread 212 is formed.

장착부(22)는 일단부가 케이스(21)의 공간부 내에 삽입되도록 케이스(21)와 결합된다. 케이스(21)의 내부로 삽입된 장착부(22)의 일부는 공간부(211) 내에서 케이스(21)의 내면 사이에 확산공간(S1)을 형성한다. The mounting portion 22 is engaged with the case 21 so that on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22 is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of the case 21. A part of the mounting portion 22 inserted into the case 21 forms a diffusion space S1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case 21 in the space portion 211. [

도시된 실시예의 장착부(22)에서, 원뿔대 형상의 확산공간(S1)은 전방몸체(22a)와 케이스(21)가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전방몸체(22a)의 사이즈는 케이스(21)에 형성된 공간부(211)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케이스(21)의 내면과 전방몸체(22a)의 외주면 사이에 간격을 두어, 확산공간이 형성된다. In the mounting portion 22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truncated cone-shaped diffusion space S1 is formed by the front body 22a and the case 21. Specifically, the size of the front body 22a is smaller than the space 211 formed in the case 21, so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2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body 22a, do.

전방몸체(22a)는 일정한 두께로 제작되어 내부는 비어 있다. 전방몸체(22a)의 개방된 후단부는 후방몸체(22b)의 전단부와 결합된다. The front body 22a is made to have a constant thickness and the inside is empty. The open rear end of the front body 22a is engaged with the front end of the rear body 22b.

후방몸체(22b)는 전방몸체(22a)를 고정하면서 케이스(21)에 결합되어, 케이스(21)의 내부에 전방몸체(22a)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후방몸체(22b)에는 확산공간(S1)을 통과한 탄산수가 모여 배출되는 수렴공간(S2)을 제공한다. The rear body 22b is coupled to the case 21 while fixing the front body 22a to fix the position of the front body 22a inside the case 21. [ Further, the rear body 22b is provided with a converging space S2 in which carbon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diffusion space S1 is collected and discharged.

후방몸체(22b)의 내부에는 전후 방향에 따라 관통된 홀(2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홀(222)은 후방몸체의 후방에서 유출구(223)를 형성하고 있다. In the interior of the rear body 22b, there is formed a hole 222 penetrat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hole 222 forms an outlet 223 at the rear of the rear body.

한편, 후방몸체(22b)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함몰되어 확산공간(S1)의 후단부와 연통되는 유동홈(224)이 형성되어 있다. 유동홈(224)의 함몰된 깊이는 전방몸체(22a)와 케이스(21) 사이의 폭, 즉 확산공간(S1)의 두께에 비하여 깊게 형성됨으로써, 유동홈(224)이 형성하는 공간의 체적은 확산공간(S1)의 후단부에 비하여 크게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body 22b is formed with a flow groove 224 that is recessed along the periphery and communicates with the rear end of the diffusion space S1. The recessed depth of the flow grooves 224 is formed deep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front body 22a and the case 21 or the thickness of the diffusion space S1 so that the volume of the space formed by the flow grooves 224 is Is formed larger than the rear end of the diffusion space S1.

유동홈(224)의 오목한 면에는 유출구(223)와 이어지는 연결 통로(225)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통로는 유동홈(224)을 관통하여 형성되는데, 복수의 연결통로(225)가 후방몸체(22b)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연결통로(225)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On the concave surface of the flow groove 224, an outlet 223 and a connecting passage 225 are formed. The connecting passages are formed through the flow grooves 224,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assages 225 are formed radially at the center of the rear body 22b.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air of connection passages 225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도 7에는 장착부(22)의 내부 공간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단면에서 유동홈(224), 연결통로(225) 및 유출구(223)와 이어지는 후방몸체(22b) 내의 유로는, 확산공간(S1)을 통과한 탄산수가 흐르는 수렴공간(S2)이다. 7 shows the inner space of the mounting portion 22. As shown in Fig. The flow path in the rear body 22b which is connected to the flow groove 224, the connection passage 225 and the outlet 223 in the section shown is a converging space S2 through which the carbonated water passed through the diffusion space S1 flows.

나아가, 장착부(22)의 내부에는 탄산수가 흐르는 유로와 연통되어 있으면서, 이 유로와 역방향으로 연장된 공동(221)이 형성된다. Further, a cavity 221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low path is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22 while communicating with a flow path for flowing carbonated water.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동(221)은 전방몸체(22a)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이다. 도 7에서 유출구(223)를 형성하는 홀(222)은 후방몸체(22b)를 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전방몸체(22a)와 후방몸체(22b)가 연결되면서, 후방몸체(22b)의 홀(222)과 전방몸체(22a) 내부의 공동(221)이 연통된다. 이로써 장착부(22)의 내부에는 탄산수가 흐를 것으로 기대되는 흐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빈 공간인 공동(221)이 존재하게 된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avity 221 is an empty space formed inside the front body 22a. In FIG. 7, the hole 222 forming the outlet 223 penetrates the rear body 22b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rawing. The front body 22a and the rear body 22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hole 222 of the rear body 22b communicates with the cavity 221 inside the front body 22a. Thereby, the cavity 221, which is an empty space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22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low direction in which carbonated water is expected to flow, is present.

도 9는 믹싱유닛(2)을 통과하는 탄산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믹싱유닛(2)은, 도 5에 도시된 탄산믹서통에 구비된 믹싱유닛과 같은 방향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면의 하부가 지면을 향하는 것으로 본다. Figure 9 schematically shows the carbonated water flow through the mixing unit 2. The illustrated mixing unit 2 is show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ixing unit provided in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shown in Fig. 5, and the lower part of the figure is seen as facing the ground.

확산공간(S1)을 통과하여 수렴공간(S2)의 내부로 들어온 탄산수는 유출구(223)를 통해 빠져나가는 메인 흐름을 형성한다. 장착부의 내부에 공동(221)이 형성됨에 따라, 공동(221)에서는 탄산수의 흐름이 엉키는 난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 난류는 탄산수를 골고루 섞어주는 작용을 하여 배출되는 탄산수의 탄산 가스압을 고르게 한다. The carbonat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iffusion space S1 and enters the interior of the converging space S2 forms a main flow exiting through the outlet 223. As the cavity 221 is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a turbulent flow of the carbonated water flows in the cavity 221. This turbulent flow mixes the carbonated water evenly, so that the carbonic acid gas pressure of the discharged carbonated water is made even.

또한 탄산수 배출 초기에 배출관 등에 머무는 기체나 액체 등에 의해 믹싱유닛으로 공급되는 탄산수의 초기 유량이 다소 일정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공동(221)이 범퍼로 기능하여 디스펜서(50)에서 탄산수가 연속적으로 고르게 배출되도록 한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initial flow rate of the carbonic acid water supplied to the mixing unit by the gas or the liquid staying in the discharge pipe at the initial stage of the discharge of the carbonic acid water is rather uneven, the cavity 221 functions as a bumper so that the carbonic acid water is continuously and uniformly discharged from the dispenser 50 .

이러한 공동(221)은 탄산수의 메인 흐름과 반대 방향에 형성되어 난류를 크게 발생시킨다. 도 7에서 연결통로(225)를 경유하여 후방몸체(22b)의 가운데로 모인 탄산수는 상부에 위치한 유출구(223)로 빠져나는 것이어서, 장착부(22) 내의 메인 흐름은 도면에서 양 연결통로(225)를 잇는 가운데 부분과, 이 가운데 부분에서 상부로 유출구(223)까지 이어지는 홀(222)의 상부에서 이루어진다. These cavities 221 are form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main flow of the carbonated water and generate a large turbulence. 7, the carbonated water collected at the center of the rear body 22b passes through the outlet 223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so that the main flow in the mounting portion 22 is connected to the both connecting passages 225 in the drawing, And an upper portion of the hole 222 extending from the middle portion to the outlet 223.

공동(221)은 양 연결통로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메인 흐름이 나타나는 부분보다 높이가 낮다. The cavity 221 is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both connecting passages, and is lower in height than the portion where the main flow appears.

탄산수의 주된 흐름 방향에 벗어나 위치하는 공동(221)은, 빠르게 흐르는 탄산수의 주된 흐름을 거스르는 난류를 쉽게 발생시킨다. The cavity 221, which is located out of the main flow direction of the carbonated water, easily generates turbulence against the main flow of the fast flowing carbonated water.

더하여 중력에 대한 믹싱유닛(2)의 설치 방향은 공동의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도 7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221)이 상부로 개방되어 중력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탄산수의 배출이 정지되면 믹싱유닛(2)을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 탄산수가 공동(221)에 고이게 된다. 공동 내에 고인 탄산수는 믹싱유닛 내에 새로운 탄산수의 흐름과 섞이면서 난류를 발생을 돕게 된다.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mixing unit 2 with respect to gravity affects the function of the cavity. 7 and 9, when the cavity 221 is opened upward and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gravity direction, when the discharge of the carbonated water stops, the carbonated water, which has not escaped from the mixing unit 2, Lt; RTI ID = 0.0 > 221 < / RTI > The carbonated water remaining in the cavity is mixed with the flow of new carbonated water in the mixing unit to help generate turbulence.

다시 도 6과 도 7을 참고하면, 장착부(22)는 케이스(21)에 대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확산공간(S1)의 단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S. 6 and 7, the mounting portion 22 is configured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case 21. This makes it possible to vary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ffusion space S1.

케이스(21)에 대한 장착부(22)의 이동은 후방몸체(22b)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226)와, 케이스(21) 공간부(21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12)의 나사 체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후방몸체(22b)의 회전에 따라 전방몸체(22a)가 케이스의 내부로 이동하거나 그와 반대로 이동함으로써 확산공간(S1)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movement of the mounting portion 22 with respect to the case 21 is performed by screwing the threaded portion 226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body 22b and the threaded portion 212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211 of the case 21 .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diffusion space S1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front body 22a to the inside of the case or vice versa as the rear body 22b rotates.

확산공간의 단면적을 가변시키기 위하여 케이스에 대한 장착부의 이동은 다양한 구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와 장착부는 끼움 결합되며 케이스에 대한 장착부의 삽입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확산공간의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케이스에 대한 장착부의 삽입 깊이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케이스에 복수의 단턱을 형성하고, 장착부에는 단턱에 걸리는 돌기가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듯 케이스에 대한 장착부의 삽입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체결 구조가 채택될 수 있다. Movement of the mounting portion relative to the case to vary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ffusion space can be accomplished through various configurations. For example, the case and the mounting portion are fitted together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ffusion spac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ase. Alternatively, the case may have a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so that the insertion depth of the mount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ase can be adjusted in a multistage manner, and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step portions protrude from the mounting portion. Various fastening structures for adjusting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to the case may be adopted as described above.

확산공간의 단면적이 변경됨으로써 확산공간을 흐르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확산공간의 입구의 면적을 유량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디스펜서에서 토출되는 탄산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flow rate flowing through the diffusion space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ffusion space.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rea of the inlet of the diffusion space to the flow rate. This makes it possible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carbona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penser.

탄산믹서통을 운용함에 있어, 탄산믹서통의 압력은 탄산믹서통에 공급하는 탄산 가스의 압력에 의해 결정된다. 탄산믹서통의 운용 압력을 높게 설정하여 두면, 디스펜서에서 밸브를 개방함에 따라 고압의 탄산수가 빠르게 믹싱유닛을 통과하게 된다. 믹싱유닛의 유입구에서 확산공간으로 진입하는 탄산수의 정체를 해소하려면, 유입구의 단면적과 확산공간의 입구의 단면적을 대등하게 맞출 필요가 있다. 이때, 케이스에 대한 장착부의 삽입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확산공간의 입구의 단면적을 적절히 조절하여 탄산수가 확산공간으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In operating the carbonic acid mixer cylinder, the pressure of the carbonic acid mixer cylinder is determined by the pressure of the carbonic acid gas supplied to the carbonic acid mixer cylinder. When the operating pressure of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is set high, the high-pressure carbonated water quickly passes through the mixing unit as the valve is opened in the dispenser. In order to eliminate the stagnation of the carbonated water entering the diffusion space at the inlet of the mixing unit, it is necessary to equaliz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of the diffusion space. At this time, by adjusting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as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of the diffusion spac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to allow the carbonated water to flow smoothly into the diffusion space.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믹싱유닛에서, 최종 배출되는 탄산수의 탄산 가스압을 증대시키는 사이즈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In the mix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6 to 7,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a size for increasing the carbonic acid gas pressure of the finally discharged carbonated water.

실험을 위해 케이스(21)의 공간부(211)와 전방몸체(22a)의 사이즈를 달리하는 여러 실험예들을 제작하였다. 실험예들의 형상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이면서, 실험예 마다 확산공간(S1)의 벌어짐 각도(A)를 달리하도록 하였다. 실험예들의 벌어짐 각도(A)는 24°부터 시작하여 2°씩 증가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모든 실험예에서 확산공간(S1)의 길이(L)는 25 밀리미터로 동일하게 하였다. For the experiment, various experimental examples were made in which the size of the space portion 211 of the case 21 and the size of the front body 22a were different. The shapes of the experimental examples are as shown in Figs. 6 to 7, and the flaring angles A of the diffusion spaces S1 are made different for each experimental example. The firing angle (A) of the experimental examples was set so as to increase by 2 degrees starting from 24 degrees. At this time, in all the experimental examples, the length L of the diffusion space S1 was made equal to 25 millimeters.

각 실험예들은 동일한 탄산믹서통에서 공급되는 탄산수가 통과하도록 하였다. 각 실험예에서 배출된 탄산수를 수 초 이내에 탄산 가스압 측정기에 넣어 가스압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탄산믹서통은 전술한 물공급장치에 장착되어, 온도는 섭씨 4도씨로 세팅하였으며, 탄산 가스의 압력은 4 kgf/cm2 로 세팅하여 실험예들 전체에 대하여 동일한 조건이다. 배출된 탄산수의 온도는 5 ℃ 내지 7 ℃이다. Each experimental example allowed the carbonated water supplied from the same carbonic acid mixer to pass through. In each experimental example, the carbonated water discharged was put into the carbonic acid gas pressure gauge within a few seconds to measure the gas pressure. Here, the carbonic acid mixer was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device described above, the temperature was set at 4 degrees Celsius, and the pressure of the carbonic acid gas was set to 4 kgf / cm < 2 >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carbonated water is 5 ° C to 7 ° C.

실험 결과에 따르면, 확산공간의 벌어짐 각도가 28°미만인 실험예들에서는 최종 배출된 탄산수의 탄산 가스압이 1 kg/cm2 대에 머무는 것이 확인된다. 확산공간의 벌어짐 각도가 28°전후로 측정된 탄산 가스압이 현격하게 차이나고(벌어짐 각도가 26° 인 때의 탄산 가스압은 1.9 kg/cm2 로 측정되고, 벌어짐 각도가 28° 인때의 탄산 가스압은 3.1 kg/cm2로 측정됨), 벌어짐 각도가 28°를 초과하는 실험예들에서는 벌어짐 각도의 증가에 따라 탄산 가스압이 서서히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bon dioxide pressure of the final discharged carbonated water stays at 1 kg / cm 2 in the experimental examples in which the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ion space is less than 28 °. The a flaring angle of the diffuser area measured before and after 28 ° carbonic acid gas pressure Nago significantly difference (flaring acid gas pressure is observed when the angle is 26 ° is measured in 1.9 kg / cm 2, carbonic acid gas pressure when the flaring angle is 28 ° is 3.1 kg / cm < 2 >). In the experimental examples in which the firing angle exceeded 28 degrees, it was observed that the carbon dioxide gas pressure gradually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as the flare angle increased.

믹싱유닛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 최종 배출되는 탄산수의 탄산 가스압이 1.5 kg/cm2 수준임을 고려하면, 확산공간의 벌어짐 각도가 적어도 28°이상인 경우에 탄산 가스압의 증가 효과가 발휘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확산공간(S1)의 벌어짐 각도(A)는 28°이상이 바람직하다. Considering that the carbonic acid gas pressure of the carbonated water finally discharged when the mixing unit is not provided is 1.5 kg / cm 2 ,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arbon dioxide gas pressure is exhibited when the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ion space is at least 28 °. Therefore, the spreading angle A of the diffusion space S1 is preferably 28 degrees or more.

한편, 확산공간(S1)의 벌어짐 각도(A)가 4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산수가 지나치게 널리 퍼지면서 확산공간을 흐르기 때문에, 탄산수가 모이는 수렴공간에서 탄산수의 흐름이 약하게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preading angle A of the diffusion space S1 exceeds 45 degrees, the carbonated water flows over the diffusion space while being excessively widespread,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ow of the carbonated water is weakly formed in the converging space where the carbonated water is collected.

위 실험 결과에 따르면 최종 배출되는 탄산수의 탄산 가스압은, 벌어진 각도가 34°인 실험예에서 최대가 되며, 이후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한다. 탄산 가스압의 증대와 원활한 탄산수의 흐름성을 고려할 때에, 확산공간(S1)의 벌어짐 각도(A)는 28° 내지 45°로 한다. According to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the carbonic acid gas pressure of the finally discharged carbonated water becomes maximum in the experiment example in which the angle of opening is 34 °, and then starts to decrease gradually. Considering the increase of the carbonic acid gas pressure and the flowability of the carbonated water, the flaring angle A of the diffusion space S1 is set to 28 to 45 degrees.

이와 달리, 배출되는 탄산수의 탄산 가스압을 높게 하기 위해서는, 확산공간(S1)의 벌어짐 각도(A)를 28° 내지 36°로 할 수 있다. Alternatively, in order to increase the carbonic acid gas pressure of the discharged carbonic acid water, the spreading angle A of the diffusion space S1 can be set to 28 to 36 degrees.

나아가 믹싱유닛은 소형으로 제작되는 물공급장치의 사이즈에 따라 가능한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소형으로 제작되는 믹싱유닛은 탄산믹서통의 내부에 장착하거나, 작은 사이즈의 디스펜서 등에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범용적인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믹싱유닛(2)을 가능한 소형 사이즈로 제작하려는 경우에서 확산공간(S1)의 벌어짐 각도(A)는 28° 내지 34°로 할 수 있다. 이는 믹싱유닛(2)의 둘레를 작게 하면서 탄산 가스압 증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Furthermore, the mixing unit can be made as small as possib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ater supply device which is made compact. The mixing unit, which is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can be mounted inside a carbonic acid mixer container, or can be mounted on a dispenser of a small size, so that the mixing unit can be used for general purposes. In the case where the mixing unit 2 is manufactured as small as possible, the spreading angle A of the diffusion space S1 can be set to 28 to 34 degrees. This makes it possible to increase the carbon dioxide pressure while reducing the circumference of the mixing unit 2.

다른 실험에서 확산공간(S1)의 길이(L)는 적어도 21 밀리미터 이상이 되어야 탄산 가스압의 증대 효과가 발휘됨을 알 수 있었다. 확산공간의 벌어짐 각도를 28°하면서, 확산공간(S1)의 길이(L)를 달리하는 복수의 실험예에 대한 성능 실험에서, 확산공간(S1)의 길이(L)가 20 밀리미터 이하인 경우에는 배출된 탄산수의 탄산 가스압이 1 kg/cm2 중후반 대에 머물러 실질적인 탄산 가스압 증가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In other experiments, it was found that the length L of the diffusion space S1 should be at least 21 millimeters or more to exert an effect of increasing the carbon dioxide gas pressure. In the performance test for a plurality of experimental examples in which the length L of the diffusion space S1 is different while the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ion space is 28 degrees, when the length L of the diffusion space S1 is 20 millimeters or less, The carbonic acid gas pressure of the carbonated water stayed at 1 kg / cm < 2 >

반면에 확산공간(S1)의 길이(L)가 21 밀리미터 이상인 실험예에서는 3 kg/cm2 대의 탄산 가스압이 측정되기 시작하고, 확산공간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3 kg/cm2 후반대의 탄산 가스압이 측정되었다.On the other hand, the diffusion space (S1) the length (L) is 21 mm or more experimental example carbonic acid gas pressure of 3 kg / cm 2 hubandae as starting to 3 kg / cm 2 single acid gas pressure is measured, and the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diffusion space Was measured.

결국 의도한 바에 따른 탄산 가스압의 증대 효과를 거두기 위한 확산공간(S1)의 길이(L)는 21 밀리미터 이상임을 알 수 있다. 추측하건대, 확산공간의 길이가 21 밀리미터 미만인 경우에는 탄산수가 확산공간을 빠르게 통과하면서 미처 상승된 압력으로 인한 탄산 가스의 용해도 증가의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As a resul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length L of the diffusion space S1 for achieving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arbon dioxide pressure according to the intended length is 21 millimeters or more. If the length of the diffusion space is less than 21 millimeters, it is presumed that the carbonated water quickly passes through the diffusion space and does not hav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olubility of carbon dioxide gas due to the increased pressure.

한편 믹싱유닛(2)을 소형으로 제작하는 경우에 확산공간(S1)의 길이(L)는 21 내지 33 밀리미터로 할 수 있다. 확산공간의 길이를 33 이하로 설계함으로써 탄산믹서통의 내부에 믹싱유닛을 장착하기가 용이해진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ixing unit 2 is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the length L of the diffusion space S1 may be 21 to 33 millimeters. By designing the length of the diffusion space to 33 or less, it is easy to mount the mixing unit inside the carbonic acid mixer can.

믹싱유닛은 반드시 소형으로 제작되는 것은 아니다. 탄산수를 제공하는 물공급장치의 사이즈는 대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량이 증대됨에 따라 믹싱유닛의 사이즈도 커진다. The mixing unit is not necessarily made compact. The size of the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the carbonated water can be made large, and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mixing unit increases as the flow rate increases.

100 : 물공급장치
10 : 냉수통 20 : 냉각수단 30 : 저장탱크 40 : 탄산믹서통
410 : 배출관 50 : 디스펜서 60 : 온수통 70 : 저수통 710 : 펌프
1 : 압력용기
11 : 바디 12 : 캡 121 : 장착홀 13 : 실링
14 : 드레인 니플 15 : 수위센서 16 : 온도계 17 : 십자배관
171 : 분쇄부재
2 : 믹싱유닛
S1 : 확산공간 S11 : 입구 S12 : 출구 S2 : 수렴공간
21 : 케이스 211 : 공간부 212 : 나사산 213 : 유입구
214 : 나사 215 : 플랜지 22 : 장착부
22a : 전방몸체 22b : 후방몸체
221 : 공동 222 : 홀 223 : 유출구 224 : 유동홈 225 : 연결통로
226 : 나사부 A : 벌어짐 각도 L : 길이
100: Water supply device
10: cold water tank 20: cooling means 30: storage tank 40: carbonic acid mixer tank
410: discharge pipe 50: dispenser 60: hot water tank 70: low water bottle 710: pump
1: Pressure vessel
11: Body 12: Cap 121: Mounting hole 13: Sealing
14: drain nipple 15: water level sensor 16: thermometer 17: cross pipe
171: Crushing member
2: Mixing unit
S1: diffusion space S11: entrance S12: exit S2: convergence space
21: case 211: space part 212: thread 213: inlet
214: screw 215: flange 22:
22a: front body 22b: rear body
221: cavity 222: hole 223: outlet 224: flow groove 225:
226: Thread portion A: Opening angle L: Length

Claims (10)

압력이 유지되는 공간 내에 물과 탄산 가스를 주입하여 탄산수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물과 상기 탄산 가스를 내부 공간에 저장하는 압력용기를 포함하며,
탄산수가 배출되는 상기 압력용기 내부의 유로 상에 설치되는 믹싱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믹싱유닛에는
상기 탄산수의 흐름면적을 점차 증대시키는 확산공간과,
상기 확산공간을 통과한 탄산수가 수렴되어 배출되는 수렴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력용기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장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믹싱유닛의 후단부에는 상기 장착홀에 체결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의 끝단부에는 상기 압력용기의 외주면에 접하는 플랜지가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와 상기 압력용기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장착되는 탄산믹서통.
Water and carbon dioxide gas are injected into the space where the pressure is maintained to generate carbonated water,
And a pressure vessel for storing the water and the carbon dioxide gas in an inner space,
And a mixing unit installed on the flow path inside the pressure vessel through which the carbonated water is discharged,

The mixing unit
A diffusion space for gradually increasing the flow area of the carbonated water,
A converging space in which carbon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diffusion space is converged and discharged is formed,

The pressure vessel is provided with a mounting hole having an inner peripheral surface formed with a thread,
A screw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mixing unit to be fastened to the mounting hole, and a flange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screw to contact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ure vessel,
And a sealing member is mounted between the flange and the pressure vessel.
제1항에서,
상기 탄산가스와 상기 물은 상기 압력용기에 주입되기 전에 혼합되는 것이며,
상기 물과 혼합된 상기 탄산가스의 방울을 작게 나누는 분쇄부재를 거친 후에 상기 압력용기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믹서통.
The method of claim 1,
The carbonic acid gas and the water are mixed before being injected into the pressure vessel,
Wherein the carbonic acid gas is injected into the pressure vessel after passing through a crushing member dividing the droplets of the carbonic acid gas mixed with the water into small pieces.
제1항에서,
상기 압력용기는 타원형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믹서통.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essure vessel is formed in an elliptical cross-s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수렴공간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하는 탄산수의 흐름을 난류로 발생시키는 공동을 포함하는 탄산믹서통.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avity connected to the converging space and generating a flow of moving carbonated water as a turbulent flow.
제1항에서,
상기 확산공간은 원뿔대의 외주면을 따른 형상이고, 상기 확산공간의 벌어짐 각도는 28° 내지 34° 인 탄산믹서통.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ffusion space is in the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uncated cone and the spreading angle of the diffusion space is 28 to 34 degrees.
제7항에서,
상기 확산공간의 길이는 21 내지 33밀리미터인 탄산믹서통.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iffusion space has a length of 21 to 33 millimeters.
탄산 가스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저장탱크,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탄산믹서통,
상기 탄산믹서통에서 배출되는 탄산수를 배출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물공급장치.
A carbon dioxide storage tank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gas,
The carbonic acid mixer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6 to 8,
And a dispenser for discharging carbona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제9항에서,
저장한 물을 냉각시켜 냉수를 생성하는 냉수통이 포함되고,
상기 탄산믹서통은 상기 냉수통에서 냉수를 공급받아 탄산수를 생성하는 물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9,
And a cold water tank for cooling the stored water to generate cold water,
Wherein the carbonic acid mixer tank receives cold water from the cold water tank to generate carbonated water.
KR1020130113033A 2013-09-24 2013-09-24 Soda maker and Apparatus for water supply purposes KR1015446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033A KR101544694B1 (en) 2013-09-24 2013-09-24 Soda maker and Apparatus for water supply purpo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033A KR101544694B1 (en) 2013-09-24 2013-09-24 Soda maker and Apparatus for water supply purpo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263A KR20150033263A (en) 2015-04-01
KR101544694B1 true KR101544694B1 (en) 2015-08-17

Family

ID=53030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033A KR101544694B1 (en) 2013-09-24 2013-09-24 Soda maker and Apparatus for water supply purpos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69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313B1 (en) * 1995-05-30 1999-06-15 다카노 야스아키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rbonated water
KR200288456Y1 (en) 2002-05-01 2002-09-10 주식회사 에이치엔티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Ozone Water Of Waterworks
KR101100648B1 (en) * 2008-11-18 2012-01-03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Water supply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313B1 (en) * 1995-05-30 1999-06-15 다카노 야스아키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rbonated water
KR200288456Y1 (en) 2002-05-01 2002-09-10 주식회사 에이치엔티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Ozone Water Of Waterworks
KR101100648B1 (en) * 2008-11-18 2012-01-03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Water supply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263A (en)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184B1 (en) Apparatus for suppling Water
US4022119A (en) Liquid carbon dioxide carbonation apparatus
EP1826171A2 (en) Carbonated water supplying apparatus
US20110215114A1 (en) Dispensing part for a water cooler, and water cooler comprising such a part
CN101193813A (en) Dispensing of carbonated liquids
KR101522820B1 (en) A carbonated water mixing apparatus
CN108928793A (en) soda water machine
CN206005820U (en) Water supply
EP2186772A1 (en) Water supply apparatus
CN206843048U (en) Soda water machine
US20150129607A1 (en) Energy saving hot tank for water cooler
KR20150016158A (en) Apparatus for supplying functional water
KR101544694B1 (en) Soda maker and Apparatus for water supply purposes
KR101565887B1 (en) Mixing unit and Apparatus for water supply purposes
CN103307736A (en) Ultrathin instant heating type heater
CN208814980U (en) A kind of wine fermentation and holding vessel
US9938127B2 (en) Beverage system ice maker and ice and water reservoir
KR101520379B1 (en) Container for cool water and Apparatus for water supply purposes
CN204049286U (en) Drinking equipment and gauge water feeding mechanism thereof
CN203088759U (en) Cold tank used for water dispensers, and water dispenser with cold tank
KR102457236B1 (en) Beverage maker
CN220735143U (en) Water outlet nozzle of water purifier
CN208481109U (en) A kind of instant heating type drinking machine cisten mechanism
KR101565901B1 (en) Regulator and and Apparatus for water supply purposes
US8001885B2 (en) Fill tube l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