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643B1 - Authorization system for wearable devices - Google Patents

Authorization system for wearable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643B1
KR101544643B1 KR1020130117710A KR20130117710A KR101544643B1 KR 101544643 B1 KR101544643 B1 KR 101544643B1 KR 1020130117710 A KR1020130117710 A KR 1020130117710A KR 20130117710 A KR20130117710 A KR 20130117710A KR 101544643 B1 KR101544643 B1 KR 101544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information
authentication
eye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77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39307A (en
Inventor
조창호
Original Assignee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17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643B1/en
Publication of KR20150039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3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6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7User reg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 안구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부의 인증 여부에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기기작동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안구 정보가 확인되는 경우에만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게 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취약한 보안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a user by checking user eye information; And a device operation initiation unit for activating the function of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whether the authentication unit is authenticated. With this configuration, the wearable device can be used only when the user's eye information is confirmed, and the vulnerable security performance of the wearable device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Authorization system for wearable devices}{Authorization system for wearable devices}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이용하여 기기의 사용 인증을 가능하게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arable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that enables use authentication of a device using eye information of a user.

착용형 컴퓨터 내지 착용형 시스템은 사용자가 움직이면서도 컴퓨팅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기존에 개발된 의복 형태의 착용형 컴퓨터를 예로 들 수 있다. A wearable computer or a wearable system is a technology in which a user can use a computing system while moving, and a wearable computer in the form of a clothes developed in the prior art can be exemplified.

최근에는 의복 형태 뿐만 아니라 안경, 시계, 액세서리 등과 같은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도 출시되고 있다. 특히, 구글에서는 구글 글래스(Google glass)라는 안경 형태의 착용형 컴퓨팅 시스템을 출시한 바 있다.In recent years wearable devices such as glasses, watches, and accessories have been released as well as clothes. In particular, Google launched a wearable computing system called glasses, called glasses.

착용형 컴퓨팅 시스템의 경우에는 크기가 작고 휴대가 편하기 때문에 분실의 우려가 많다고 할 수 있다. 분실되는 경우 습득자가 착용형 컴퓨팅 시스템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면, 진정한 사용자의 정보가 도용되는 등의 부작용이 심각해 질 수 있다.In the case of a wearable computing system, since it is small in size and easy to carry, it is likely to be lost. If the wearer is easily able to use the wearable computing system in the event of a loss, the side effects, such as the actual user information being stolen, can become serious.

또한, 착용형 컴퓨팅 시스템의 사용자를 제한하기 위해서 비밀번호 설정 등의 보안 조치를 하더라도 착용형 컴퓨팅 시스템을 사용하는 환경 상 해킹의 우려가 적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Also, in order to restrict the users of the wearable computing system, even if security measures such as password setting are performed, there is a concern about hacking environment using the wearable computing system.

따라서, 보다 안전하고 확실한 착용형 컴퓨팅 시스템의 인증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ore secure and reliable authentication technology of a wearable computing system.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34677호에는 “생체 인식 사용자 검증을 사용하는 사용자-착용가능 전자무선 거래 장치”에 관해서 개시되어 있다. 이 공개특허는 생체 인식을 위해서 사용자의 안구를 대상으로 하는 기술은 아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4-0034677 discloses a user-wearable electronic radio transaction device using biometric user verification. This patent is not a technique targeting the user's eye for biometric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을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wearable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capable of authenticating a user using ocular information of a user.

본 발명은 인증 과정에서 획득한 사용자 안구 정보를 인증 외에 활용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arable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capable of enhancing user convenience by utilizing user eye information obtained in an authentication process in addition to authentic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 안구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부의 인증 여부에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기기작동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earable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including an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a user by checking user eye information; And a device operation initiation unit for activating the function of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whether the authentication unit is authenticated.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안구 정보가 확인되는 경우에만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게 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취약한 보안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By configuring as described above, the wearable device can be used only when the user's eye information is confirmed, and the vulnerable security performance of the wearable device can be improved.

상기 인증부는 사용자의 각막 곡률 또는 각막 굴절률을 이용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unit may use the corneal curvature or corneal refractive index of the user.

사용자 안구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 사용자 안구에서 반사된 빛을 받아 들이는 반사광 포집부; 및 상기 조명부 및 상기 반사광 포집부의 광경로를 이용하여 사용자 안구의 각막 곡률 또는 굴절률을 계산하거나 각막 곡률 또는 굴절률을 포함한 사용자 안구 정보를 구하는 인증정보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정보계산부에서 계산된 각막 곡률 또는 굴절률은 상기 인증부로 보내져서 인증된 사용자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An illumination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 a user's eyeball; A reflected light collecting part for receiving light reflected from a user's eye; And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corneal curvature or refractive index of the user's eye using the optical path of the illumination unit and the reflected light collecting unit or the user's eye information including the corneal curvature or the refractive index, The corneal curvature or refractive index may be sent to the authentication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n authenticated user.

상기 인증정보계산부에서 얻은 사용자 안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구 상태에 맞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와 안구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응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an application unit for changing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of the device and the eyeball in accordance with the eyeball state of the user by using the user eyeball information obtained by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상기 인증정보계산부에서 얻은 사용자 안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구 상태에 맞춰 명시거리를 조절하는 응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an application unit for adjusting the clear distanc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eye condition using the user's ey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상기 인증부는, 상기 인증정보계산부에서 상기 사용자 안구 정보를 전달 받는 인증정보수신부; 사용자 안구정보 DB에 저장된 기준 사용자 안구 정보와 상기 인증정보수신부에서 받은 상기 사용자 안구 정보를 비교하는 인증정보확인부; 및 상기 인증정보확인부에서 사용자로 인증된 경우에 기기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기기작동승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authentication unit comprises: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user's eye information from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verifying unit for comparing the reference user eyeball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eyeball information DB with the user eyebal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And a device operation approval unit for activating the function of the device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unit authenticates the user.

상기 인증부는 상기 기기작동승인부에 의해서 기기의 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조명부의 전원을 차단하는 조명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unit may include a lighting control unit that turns off the power of the illumination unit when the function of the device is activated by the device operation approval unit.

상기 인증부는 상기 인증정보확인부에서 인증 확인된 사용자 안구 정보를 저장하는 인증정보저장부 및 상기 인증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안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시력 맞춤형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인증정보활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unit may include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user's eye information verified by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unit and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utilization unit for providing a user's sight customized display using the user's eye information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have.

상기 응용부는, 상기 인증정보저장부에서 사용자 안구 정보를 전달 받아 저장하는 사용자 안구정보 DB; 상기 사용자 안구정보 DB에 저장된 안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시거리를 판단하는 명시거리 판단부; 및 상기 명시거리에 맞춰서 사용자의 안구와 기기의 디스플레이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위치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unit may include a user eyeball information DB for receiving and storing user eyeball information i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An explicit distanc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n explicit distance of a user using ey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eye information DB; And a display position shif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eyeball and the display of the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ed distance.

상기 응용부는 상기 명시거리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 안구 정보를 갱신하는 사용자 안구정보 DB 갱신부 및 상기 사용자 안구정보 DB와 연동하는 사용자 안구정보 DB 활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user eyeball information DB update unit for updating the user eyeball information using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lear distance determination unit and a user eyeball information DB utilization unit linked with the user eyeball information DB.

상기 응용부는 상기 인증정보계산부에서 얻은 사용자 안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력 상태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시력 상태에 따라서 사용자의 명시거리에 맞게 기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unit may check the visual acuity state of the user using the user's ey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and change the display position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visual distance according to the visual acuity state of the user.

사용자의 명시거리에 따라서 상기 조명부 또는 상기 반사광 포집부와 안구 사이의 거리가 변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illuminating unit or the reflected light collecting unit and the eyeball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s specified distanc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 안구 정보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디바이스 사용자의 인증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wearable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a user wears a wearable device by using user's eye information, thereby enhancing the authentication reliability of a device user.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은 인증 과정에서 얻은 사용자 안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력에 맞는 명시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xplicit distance according to a user's visual acuity using the user's eye information obtained in the authentication process.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은 인증 과정에서 얻은 사용자 안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력 상태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information on the visual acuity state of the user using the user's eye information obtained in the authentication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인증 시스템의 인증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인증 시스템의 응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인증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각막 곡률 또는 굴절률을 계산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인증 시스템이 적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uthentication unit of th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FIG.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pplication part of th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calculating the corneal curvature or the refractive index of the user in th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FIG.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earable device to which th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FIG. 1 is applied.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인증 시스템의 인증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따른 인증 시스템의 응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따른 인증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각막 곡률 또는 굴절률을 계산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따른 인증 시스템이 적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n authentication unit of th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FIG. 1. FIG.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inciple of calculating a corneal curvature or a refractive index of a user in th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FIG. 1.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는 착용형 컴퓨터 내지 착용형 컴퓨팅 시스템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Hereinafter, a wearable device is a comprehensive concept including a wearable computer or a wearable computing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100)은, 사용자 안구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부(140) 및 인증부(140)의 인증 여부에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기기작동개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wearable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thentication unit 140 for authenticating a user by checking user eye information, and a wearable And a device operation initiation unit 150 for activating the function of the device.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안구 정보가 확인되는 경우에만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게 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취약한 보안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By configuring as described above, the wearable device can be used only when the user's eye information is confirmed, and the vulnerable security performance of the wearable device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안면부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한하여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earable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pplied to a wearable device worn on the user's face.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1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안구(눈)에 빛을 조사하고 안구에서 되돌아 오는(반사되는) 빛을 포집한 후, 입사광 및 반사광의 경로, 광 교차점, 광 교차점 사이의 거리, 광원 사이의 거리, 광원과 안구 사이의 거리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구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사용자 안구의 각막 곡률 또는 굴절률을 계산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증에 사용하게 된다.The wearable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rradiates light to the eye of a weare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and collects light reflected from the eyeball (reflected light), and then detects the path of the incident light and the reflected light,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intersections,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source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eyeball. More precisely, the corneal curvature or the refractive index of the user's eye is calculated and used for user authentication of the wearable device.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증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안구에 조사되는 빛(입사광)을 생성하는 조명부(110)와 사용자의 안구에서 반사되는 빛(반사광)을 포집하는 반사광 포집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For this, the authent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llumination unit 110 for generating light (incident light) irradiated to a user's eye, a reflected light collecting unit 120 for collecting light (reflected light) .

조명부(110)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는 2개의 조명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광 포집부(120)는 조명부(110)와 안구 사이의 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반사광 포집부(120)는 입사광과 반사광의 광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llumination unit 110 is preferably composed of two ligh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lected light collecting part 120 is located on the path between the illumination part 110 and the eyeball. That is, the reflected light collecting unit 120 is preferably located on the optical path of the incident light and the reflected light.

본 발명에 따른 인증 시스템(100)은 입사광 및 반사광의 광경로 등을 이용하여 안구 정보 즉, 각막 곡률 또는 굴절률을 계산하기 위한 인증정보계산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인증정보계산부(130)는 조명부(110) 및 반사광 포집부(120)의 광경로를 이용하여 사용자 안구의 각막 곡률 또는 굴절률을 계산하거나 각막 곡률 또는 굴절률을 포함한 사용자 안구 정보를 구한다.The authent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130 for calculating ocular information, that is, corneal curvature or refractive index, using an optical path of incident light and reflected light.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130 calculates the corneal curvature or the refractive index of the user's eye using the optical path of the illuminating unit 110 and the reflected light collecting unit 120 or obtains the user's eye information including the corneal curvature or the refractive index.

인증정보계산부(130)에서 사용자 안구 정보 즉, 각막 굴절률 또는 곡률을 구하는 원리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안구 즉, 각막(E)의 앞쪽에 빛을 보내는 조명부(110)가 형성된다. 조명부(110)는 일정 거리(a) 만큼 떨어져 있는 2개의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조명 사이의 거리를 가변될 수 있다. The principle of obtaining the user's eye information, that is, the corneal refractive index or the curvature, i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1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Referring to FIG. 4, an illumination unit 110 for emitting light to the user's eye, that is, the front of the cornea E, is formed. The illumination unit 110 may include two lights separated by a certain distance a. 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lights can be varied.

인증정보계산부(130)는 각막(E)의 곡률 또는 굴절률을 계산한다. 각막의 곡률 또는 굴절률은 사람 마다 다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면 개개의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130 calculates a curvature or a refractive index of the cornea E. Since the curvature or refractive index of the cornea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individual users.

우선 조명부(110)에서 각막(E)으로 입사되는 빛(입사광, 111)은 각막(E)의 반경 중심(c)을 향해 입사된다. 각막(E)의 반경 중심(c)을 향해 입사된 빛은 각막(E)과 수직으로 만나기 때문에, 입사광 경로를 따라 그대로 반사된다. 즉, 각막(E)의 반경 중심(c)을 향해 입사되는 빛은 입사광과 반사광의 경로가 동일하다. The light (incident light) 111 incident on the cornea E from the illumination unit 110 is incident toward the radial center c of the cornea E. Since the light incident toward the radial center c of the cornea E is perpendicular to the cornea E, it is reflected along the path of the incident light. That is, the light incident on the radial center c of the cornea E has the same path of the incident light and the reflected light.

한편, 초점(F)을 향해 각막(E)으로 입사되는 빛(112)은 각막(E)에서 반사된 후 광축(수평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반사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반사광 포집부(120)는 광선(111,112)의 반사광을 모두 포집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 112 incident on the cornea E toward the focal point F is reflected by the cornea E and then reflec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horizontal line). Although not shown, the reflected light collecting unit 120 should be formed at a position capable of collecting all the reflected light of the light beams 111 and 112. [

2개의 조명에서 각막(E)의 반경 중심(c)을 향해 입사된 빛은 반경 중심(c)에서 만난다. 즉, 각막(E)의 반경 중심이 광 교차점이 된다. 초점(F)을 향해 입사된 빛의 반사광 경로를 연장해 보면 반경 중심(c)을 향하는 광경로와 교차하게 되는데, 이 2개의 교차점에 상(121)이 맺히게 된다.The light incident from the two lights toward the radial center (c) of the cornea (E) meets at the radial center (c). That is, the center of the radius of the cornea E becomes a light intersection point. When the reflected light path of light incident toward the focal point F is extended, an image path toward the center of the radius c is formed. The image 121 is formed at the two intersections.

2개의 조명에서 초점(F)을 향해 입사된 빛을 연장해 보면 초점(F)에서 만난다. 즉, 초점(F)이 광 교차점이 된다.When we extend the light incident from the two lights toward the focus (F), they meet at the focus (F). That is, the focus F becomes a light intersection point.

조명부(110)에서 각막(E)까지의 거리를 s, 각막(E)에서 초점(F)까지의 거리를 f, 각막(E)에서 반경 중심(c)까지의 거리를 R, 2개의 상(121) 사이의 거리를 b라고 한다. 이 때, s+f를 높이, a를 밑변으로 하는 삼각형과, f를 높이 b를 밑변으로 하는 삼각형은 닮음꼴 삼각형이다. 이 2개의 닮음꼴 삼각형에서 수학식 a/(s+f) = b/f 이 유도된다. 상기 수학식을 정리하면, af=bs+bf가 되고, 이는 다시 f(a-b)=bs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각막(E)의 곡률 내지 반경(R)은 2f이다. 따라서, 각막(E)의 곡률 내지 반경(R)은 R=2bs/(a-b)가 된다. 각막(E)의 곡률을 제외한 나머지 값은 알고 있거나 정해진 값이므로 이러한 수식들을 통해서 사용자의 각막(E)에 대한 개인별 고유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인증정보계산부(130)는 이러한 수식들을 통해서 사용자의 각막(E) 곡률 또는 반경(R), 굴절률 등을 계산하게 된다.The distance from the illumination unit 110 to the cornea E is s, the distance from the cornea E to the focus F is f, the distance from the cornea E to the center of the radius c is R, 121 is referred to as b. In this case, a triangle having s + f as a height, a as a base, and a triangle having f as a base and a height b as a base are similar triangles. In these two resemblance triangles, the formula a / (s + f) = b / f is derived. In summary, af = bs + bf, which can again be expressed as f (a-b) = bs. Here, the curvature and radius R of the cornea E are 2f. Therefore, the curvature and radius R of the cornea E become R = 2bs / (a-b). Since the remaining values except for the curvature of the cornea E are known or predetermined values, individual unique information about the cornea E of the user can be obtained through these equations. That i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130 calculates the curvature, the radius R, the refractive index, and the like of the user's cornea through these equations.

인증정보계산부(130)에서 계산된 각막 곡률 또는 굴절률은 인증부(140)로 보내져서 인증된 사용자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증부(140)는 사용자의 각막 곡률 또는 각막 굴절률을 이용하여 허여된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The corneal curvature or the refractive index calculated by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130 may be sent to the authentication unit 140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n authenticated user. In this way, the authentication unit 14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who has been granted using the wearer's corneal curvature or corneal refractive index has worn the wearable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인증부(140)에서 사용자임을 인증하게 되면, 인증된 사용자에 한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작동하거나 기능이 활성화되게 하는 기기작동개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authentication unit 140 may include a device operation initiation unit 150 for activating the wearable device or activating the function only for the authenticated user.

인증정보계산부(130)에서 얻은 사용자 안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구 상태에 맞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와 안구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응용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And an application unit 160 for changing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of the device and the eyeball in accordance with the eyeball state of the user using the user eyeball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130. [

다시 말하면, 인증정보계산부(130)에서 얻은 사용자 안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구 상태에 맞춰 명시거리(明視距離)를 조절하는 응용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authentication unit may include an application unit 160 that adjusts the clear distance (bright distance) according to the user's eye condition using the user's ey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130. [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100)은 인증정보계산부(130)에서 얻은 사용자 안구 정보 즉, 각막의 곡률, 반경 또는 굴절률 등을 단순히 사용자의 인증에 사용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응용부(160)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wearable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uses the user's ey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130, i.e., the curvature, radius, or refractive index of the cornea, for authentication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who uses the device. The application unit 160 having such a func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인증부(14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이 허가된 사용자로 판별된 경우에는 기기작동개시부(150)에 의해서 디바이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되지만, 허가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로 판별된 경우에는 디바이스의 작동을 중단하게 된다. 또한, 비허가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한다는 사실에 대해서 경고하고 진정한 사용자에게 이러한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고통신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경고통신부(170)는 유무선 통신에 의해 진정한 사용자에게 비인가 사용자의 접근에 대해서 경고를 보낼 수 있다.When the authentication unit 14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permitted to use the wearable device, the device operation start unit 150 normally operates the device.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earable device is not an authorized user, . In addition, the warning communication unit 170 may be provided to warn the fact that the unauthorized user uses the wearable device and notify the real user of the situation. The warning communication unit 170 can send a warning to an authenticated user about unauthorized access by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각종 구성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9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various configurations.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인증부(140)는, 인증정보계산부(130)에서 상기 사용자 안구 정보를 전달 받는 인증정보수신부(141), 사용자 안구정보 DB(161)에 저장된 기준 사용자 안구 정보와 인증정보수신부(141)에서 받은 상기 사용자 안구 정보를 비교하는 인증정보확인부(142) 및 인증정보확인부(142)에서 사용자로 인증된 경우에 기기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기기작동승인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authentication unit 140 includes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41 receiving the user's eye information from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130, a reference user's ey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s eye information DB 161,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verifying unit 142 for comparing the user's ey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41 and a device operation accepting unit 143 for activating the device function when the user is authenticated by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verifying unit 142 ).

인증정보수신부(141)는 인증정보계산부(130)에서 계산된 사용자 각막의 곡률, 반경 또는 굴절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정보는 인증정보확인부(142)로 전송될 수 있다. 인증정보확인부(142)는 실시간으로 획득한 사용자의 안구 정보와 기존에 미리 알고 있는 사용자 안구 정보를 비교하여 진정한 사용자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 때, 미리 알고 있는 사용자 안구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소유자 또는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사용자 등록을 할 당시에 획득한 안구 정보로서, 별도의 사용자 안구정보 DB(데이터베이스)(161)에 저정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41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curvature, radius, or refractive index of the user's cornea calculated by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130. [ The receive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42.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42 compares the eyeball information of the user acquired in real time with the user eyeball information that is known in advance to confirm whether the user is a true user. At this time, the known eyeball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a separate eyeball information DB (database) 161 as eyeball information acquired at the time when the owner or the user of the wearable device registers the user of the device.

인증부(140)는 기기작동승인부(143)에 의해서 기기의 기능이 활성화되면 조명부(110)의 전원을 차단하는 조명제어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11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서만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 인증 과정이 종료되거나, 사용자 인증에 의해 기기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조명부(110)의 전원이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제어부(144)는 기기작동승인부(143)와 연동하여 사용자 인증 완료에 따라 조명부(11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unit 140 may include a lighting control unit 144 that turns off the power of the lighting unit 110 when the function of the device is activated by the device operation approval unit 143. [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ing unit 110 is supplied with power only for user authentication. Therefore,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is terminated or when the apparatus is operated by user authentication, the power of the illumination unit 110 is preferably shut off. The lighting control unit 144 can intercept the power supply to the lighting unit 110 in accordance with the completion of the user authentic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device operation approval unit 143. [

인증부(140)는 인증정보확인부(142)에서 인증 확인된 사용자 안구 정보를 저장하는 인증정보저장부(145) 및 인증정보저장부(145)에 저장된 사용자 안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시력 맞춤형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인증정보활용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unit 140 includes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45 for storing user eye information verified by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verifying unit 142 and a user vis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45 using the user eyeball information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45. [ And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utilization unit 146 for provid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여기서, 인증정보저장부(145)는 사용자 안구정보 DB(161)와 별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사용자 안구정보 DB(161)에 인증정보저장부(145)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인증정보저장부(145)가 별개로 구비된 경우에는, 인증정보확인부(142)에서 인증된 사용자의 안구 정보 또는 각막의 반경 등에 관한 정보가 인증정보저장부(145)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안구정보 DB(161)에 저장된 정보와 인증정보저장부(145)에 저장된 정보를 다소 다를 수도 있다.Her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45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user eyeball information DB 161 or may include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45 in the user eyeball information DB 161.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45 is separately provided, information on the eye information of the user authenticated by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142 or the radius of the cornea can be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45. [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s eye information DB 161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45 may be slightly different.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100)의 인증부(140)는 인증 과정에서 획득한 인증 사용자의 안구 정보 등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인증정보활용부(146)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unit 140 of the wearable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utilization unit 146 that can enhance the user's convenience to the wearable device by using the eye information of the authentication user acquired in the authentication process, As shown in FIG.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증 시스템(100)의 응용부(160)는, 인증정보저장부(145)에서 사용자 안구 정보를 전달 받아 저장하는 사용자 안구정보 DB(161), 사용자 안구정보 DB(161)에 저장된 안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시거리를 판단하는 명시거리 판단부(162) 및 명시거리에 맞춰서 사용자의 안구와 기기의 디스플레이스(미도시)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위치이동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application unit 160 of the authent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eyeball information DB 161 for receiving and storing user eyeball information i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45, An explicit distance determination unit 162 for determining the user's explicit distance using the ey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s eye information DB 161 and a distance between the user's eyes and the display (not shown) And a display position shifting portion 164 for shifting the display position.

응용부(160)는 인증 과정에서 사용된 사용자 안구정보 즉, 각막의 곡률, 반경 또는 굴절률 등이 저장된 사용자 안구정보 DB(161)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력에 맞는 시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unit 160 can provide vis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visual acuity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s eyeball information DB 161, which stores user eyeball information used in the authentication process, that is, the curvature, radius, have.

사용자 마다 시력의 정도가 다르고, 난시, 원시, 근시 등 안구의 상태가 동일하지 않다. 이와 같이, 사용자 마다 안구의 상태가 다르고 시력이 동일하지 않은데, 이러한 시력의 차이 또는 안구의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나오는 정보가 동일하다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나오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보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안구 상태 또는 시력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현되는 글씨체가 작거나 글씨체의 굵기가 가늘다면,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는 상당한 불편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100)은 인증 과정에 획득한 사용자 안구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안구 상태 또는 시력 상태를 알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시거리(사용자가 사물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거리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현된 정보를 가장 잘 인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안구 사이의 거리)를 찾고, 이 명시거리에 맞게 사용자의 안구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명시거리 판단부(162) 및 디스플레이 위치이동부(164)를 구비할 수 있다.The degree of visual acuity is different for each user, and astigmatic conditions such as astigmatism, primacy, and myopia are not the same. If the information on the display of the wearable device is the same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in visual acuity or the state of the eyeball, the user has difficulty in visually seeing the information on the display . ≪ / RTI > For example, if the font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wearable device is small or the thickness of the font is small without considering the eye condition or the difference in the visual acuity of the user, a user with a poor visual acuity may feel a considerable inconvenience. The wearable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e eye state or the visual state of the user from the user's eyeball information obtained in the authentication process and use it to determine the user's explicit distanc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and the eye that can best identify the information represented on the display of the wearable device) and automatical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eye and the display of the device to match the stated distance. For this, a clear distance determining unit 162 and a display position shifting unit 164 may be provided.

사용자 안구정보 DB(161)에 저장된 안구 정보를 활용하여 명시거리 판단부(162)에서 사용자에 맞는 명시거리를 찾고, 디스플레이 위치이동부(164)에 의해 이 명시거리에 맞도록 사용자의 안구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사이가 조절될 수 있다. The clear distance determining unit 162 finds the clear distance suitable for the user by using the eyeball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s eyeball information DB 161 and displays the clear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user's eyes and the device Display can be adjusted between.

또한, 응용부(160)는 명시거리 판단부(162)의 판단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 안구 정보를 갱신하는 사용자 안구정보 DB 갱신부(163) 및 사용자 안구정보 DB(161)와 연동하는 사용자 안구정보 DB 활용부(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간이 경과하거나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서 사용자의 안구 명시거리도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매번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얻은 안구 정보를 갱신하여 항상 최적의 명시거리에 맞춰서 디바이스 디스플레이를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안구정보 DB 갱신부(163)에서 안구 정보를 갱신하게 되고, 갱신된 정보는 사용자 안구정보 DB(161)에도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갱신된 명시거리는 사용자 안구정보 DB 활용부(165)에 전달될 수도 있다.The application unit 160 further includes a user eyeball information DB updating unit 163 for updating the user eyeball information using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lear distance determining unit 162 and user eyeball information And a DB utilization unit 165. Depending on the time elapsed or the health condition of the user, the user's eye clear distance may also chang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pdate the eye information obtained in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every time, so that the device display is always positioned at the optimum clear distance. The user's eyeball information DB updating unit 163 updates the eyeball information, and the updated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s eyeball information DB 161 as well. In addition, the updated clear distances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s eyeball information DB utilization unit 165.

응용부(160)는 인증정보계산부(130)에서 얻은 사용자 안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력 상태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시력 상태에 따라서 사용자의 명시거리에 맞게 기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unit 160 may check the visual acuity of the user using the user's eyeball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130 and may vary the display position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visual distance according to the visual acuity state of the user .

또한, 사용자의 명시거리에 따라서 조명부(110) 또는 반사광 포집부(120)와 안구 사이의 거리가 변할 수 있다.Fur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illuminating unit 110 or the reflected light collecting unit 120 and the eyeball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s specified distance.

응용부(160)는 인증정보계산부(130)에서 얻은 사용자 안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시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unit 160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user's explicit distance using the user's ey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130. [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인증 시스템(100)이 적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안경 형태이다. 이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360)은 안경 렌즈 부분이 될 수 있다. 다만,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360)는 렌즈 뿐만 아니라 홀로그램 등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다리 내측에는 디스플레이 위치이동부(164)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위치이동부(164)의 작동에 의해서 사용자의 안구(눈)과 디스플레이(360) 사이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위치이동부(164)는 사용자의 명시거리를 판단하고 이 명시거리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3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FIG. 5 is an exemplary illustration of a wearable device 300 to which an authent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wearable device 300 shown is in the form of glasses. The display 360 of the wearable device 300 may be a spectacle lens portion. However, the display 360 of the device 300 may be in the form of a hologram or the like as well as a lens. A display position shifting portion 164 is formed inside the wearable device 300.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eye (eye) and the display 360 can be varied by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position moving portion 164. The display position shifting portion 164 can determine the user's apparent distance and adjus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360 to be positioned at this specified distance.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의 안구 정보 즉, 각막의 굴절률, 반경 또는 곡률 등을 측정하고 이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때문에 기존 방법에 비해서 정확한 사용자 인증 결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earable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user's eye information, that is, the refractive index, radius or curvature of the cornea, and compares it with a reference value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Results can be obtained.

또한, 인증과정에서 얻은 사용자 안구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명시거리를 구하고 이에 맞추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안구 상태가 변하거나 시력이 나빠지더라도 사용자는 항상 디스플레이에 표현되는 정보를 잘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user's eye information obtained in the authentication process to obtain the clear distance of the user, and moving the display of the device in accordance therewith, even if the user's eye condition changes or the visual acuity deteriorates, the user always recognizes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
110: 조명부
120: 반사광 포집부
130: 인증정보계산부
140: 인증부
150: 기기작동개시부
160: 응용부
170: 경고통신부
190: 제어부
300: 웨어러블 디바이스
100: Wearable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110:
120:
130: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140:
150:
160:
170:
190:
300: wearable device

Claims (12)

사용자 안구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부의 인증 여부에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기기작동개시부;
상기 사용자 안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안구 상태에 맞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와 안구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응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응용부는,
상기 인증부를 통해 인증 확인한 사용자 안구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안구정보 DB;
상기 사용자 안구정보 DB에 저장된 안구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시력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시력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명시거리를 판단하는 명시거리 판단부; 및
상기 명시거리에 맞춰서 사용자의 안구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위치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
An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a user by checking user eye information; And
A device operation initiation unit for activating a function of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whether the authentication unit is authenticated;
And an application unit for changing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of the wearable device and the eyeball in accordance with the eyeball state by the user using the user eyeball information,
The application unit includes:
A user eyeball information DB for storing user eyeball information authenticated and confirm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unit;
An explicit distanc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visual acuity state of the user by using ey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eye information DB and determining a clear distanc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visual acuity state; And
And a display position shifting unit for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a user's eyeball and a display of the wearable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ed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사용자의 각막 곡률 또는 각막 굴절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thentication unit uses the corneal curvature or the corneal refractive index of the wearer.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 안구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
사용자 안구에서 반사된 빛을 받아 들이는 반사광 포집부; 및
상기 조명부 및 상기 반사광 포집부의 광경로를 이용하여 사용자 안구의 각막 곡률 또는 굴절률을 계산하거나 각막 곡률 또는 굴절률을 포함한 사용자 안구 정보를 구하는 인증정보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정보계산부에서 계산된 각막 곡률 또는 굴절률은 상기 인증부로 보내져서 인증된 사용자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n illumination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 a user's eyeball;
A reflected light collecting part for receiving light reflected from a user's eye; And
And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corneal curvature or refractive index of the user's eye using the optical path of the illumination unit and the reflected light collecting unit or obtaining user's eye information including the corneal curvature or the refractive index,
Wherein the corneal curvature or the refractive index calculated by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is sent to the authentication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the authenticated user.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계산부에서 얻은 사용자 안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구 상태에 맞춰 명시거리를 조절하는 응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And an application unit configured to adjust an explicit distance in accordance with a user's eye condition using the user's ey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인증정보계산부에서 상기 사용자 안구 정보를 전달 받는 인증정보수신부;
상기 인증정보수신부에서 전달 받은 상기 사용자 안구 정보와 기 저장된 기준 사용자 안구 정보를 비교하는 인증정보확인부; 및
상기 인증정보확인부에서 사용자로 인증된 경우에 기기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기기작동승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er for receiving the user's eye information from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or;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verifying unit comparing the user's ey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ceiver with previously stored reference user's eye information; And
And a device activation acknowledgment unit for activating a device function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authenticates the us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기기작동승인부에 의해서 기기의 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조명부의 전원을 차단하는 조명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uthentication unit includes a lighting control unit for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illumination unit when the function of the device is activated by the device operation approval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인증정보확인부에서 인증 확인된 사용자 안구 정보를 저장하는 인증정보저장부 및 상기 인증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안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시력 맞춤형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인증정보활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uthentication unit includes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user eye information verified by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hecking unit and an authentication information utilizing unit for providing a user's sight customized display using the user's eye information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A wearable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characterized by.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부는 상기 명시거리 판단부의 판단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 안구 정보를 갱신하는 사용자 안구정보 DB 갱신부 및 상기 사용자 안구정보 DB와 연동하는 사용자 안구정보 DB 활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pplication unit further comprises a user eyeball information DB updating unit for updating the user eyeball information using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lear distance determining unit and a user eyeball information DB utilizing unit interlocked with the user eyeball information DB. system.
제5, 6, 7, 8 또는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부는 상기 인증정보계산부에서 얻은 사용자 안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력 상태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시력 상태에 따라서 사용자의 명시거리에 맞게 기기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6, 7, 8, or 10,
Wherein the application unit verifies the visual acuity state of the user by using the user eyeball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lculation unit and changes the display position of the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visual distanc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visual acuity state of the user.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시거리에 따라서 상기 조명부 또는 상기 반사광 포집부와 안구 사이의 거리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illuminating unit or the reflected light collecting unit and the eyeball changes according to a user's specified distance.
KR1020130117710A 2013-10-02 2013-10-02 Authorization system for wearable devices KR1015446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710A KR101544643B1 (en) 2013-10-02 2013-10-02 Authorization system for wearable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710A KR101544643B1 (en) 2013-10-02 2013-10-02 Authorization system for wearable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307A KR20150039307A (en) 2015-04-10
KR101544643B1 true KR101544643B1 (en) 2015-08-17

Family

ID=53029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710A KR101544643B1 (en) 2013-10-02 2013-10-02 Authorization system for wearable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64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370B1 (en) 2015-10-14 2020-08-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ain terminal connecting with sub terminal, terminal authentication server authenticating use of sub terminal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 of sub terminal u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6393A (en) 2005-06-27 2007-01-11 Institute Of Physical & Chemical Research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JP2007003745A (en) 2005-06-23 2007-01-11 Aruze Corp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3745A (en) 2005-06-23 2007-01-11 Aruze Corp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system
JP2007006393A (en) 2005-06-27 2007-01-11 Institute Of Physical & Chemical Research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307A (en) 201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20584B (en) Method for being optimized to the position prism of ophthalmic len
US11941098B2 (en) Authentication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authentication method, and program
US11903674B2 (en) Mount, authentication device, authentication method, and program
CN106104364B (en) According to the method for given spectacle frame calculating optical system
CN112805659A (en) Selecting depth planes for a multi-depth plane display system by user classification
CN105205438A (en) Method of using infrared eyeball to track and control distance of eyes and screen and system thereof
US112691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head-mounted display system based on user identity
JP2023126207A (en) Display and vision correction system with removable lens
CN106407772A (en) Human-computer interaction and identity authentication device and method suitable for virtual reality equipment
JP6817703B2 (en) How to Adapt the Optical Functions of an Adaptive Ocular Lens System
US11625095B2 (en) Gaze sensors and display elements for detection of gaze vectors and user control at headset
KR101619661B1 (en) Detection method of face direction of driver
WO2020097149A2 (en) Inconspicuous near-eye electrical components
EP3430468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ophthalmic lens adapted to a locomotion parameter
CN112655204A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vertical alignment between left and right displays and user's eyes
KR101544643B1 (en) Authorization system for wearable devices
JP2008212718A (en) Visual field detection system
CN109716204A (en) Image for opposite optical system user shows the method being managed
CN104808354B (en) High definition contact lenses with antiultraviolet Yu diffraction light function
KR20140098364A (en) Iris authentication device with means to avoid reflections from glasses
CN104662467B (en) For the method improving the visual comfort of wearer and the active vision system being associated
KR20150118852A (en) Iris recognition and user identification method using iris recognition eyeglasses
US20230417627A1 (en) Prescription lens enrollment and switching for optical sensing systems
JP7220280B2 (en) Measurement method for measuring rotation characteristics of subject's eyeball and design method for progressive power lens
CN107430067B (en) Method for evaluating the exposure index of an eye to ultraviolet radiation and associate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