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342B1 - System for processing pot-hole data of road pavement using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cessing pot-hole data of road pavement using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342B1
KR101543342B1 KR1020150024981A KR20150024981A KR101543342B1 KR 101543342 B1 KR101543342 B1 KR 101543342B1 KR 1020150024981 A KR1020150024981 A KR 1020150024981A KR 20150024981 A KR20150024981 A KR 20150024981A KR 101543342 B1 KR101543342 B1 KR 101543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hole
vehicle
data
management server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9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기태
주봉철
김병철
김태헌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24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34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3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0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aising or levelling sunken paving; for filling voids under paving; for introducing material into substructure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cessing pothole data of a road pavement using a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which can collect an image of a pothole, and notify pothole data for porthole repair by using a pre-constructed vehicle to infrastructure (V2I) communication network of a taxi or a bus which can constantly cover a wide-range road. Additionally, while a pothole recognizing vehicle is driving on the road, the vehicle collects an image of a road surface of a road pavement to firstly recognize whether a pothole is present, and a pothole management server compares and analyzes the pothole data for an identical spot transmitted from the pothole recognizing vehicle to secondly recognize whether the pothole is present to determine whether the pothole should be repaired quickly and accurately.

Description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FOR PROCESSING POT-HOLE DATA OF ROAD PAVEMENT USING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hole data processing system for road pavement using a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도로포장의 포트홀(Pot-Hole) 영상을 수집하고, 광범위한 도로를 항시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택시 또는 버스의 기구축된 차량과 인프라간(Vehicle To Infrastructure: V2I) 통신 네트워크(Communication Network)를 이용하여 포트홀 보수를 위한 포트홀 데이터를 통보할 수 있는,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hole data process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hole data processing system for collecting pot-hole images of road pave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hole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road pavement using a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informing porthole data for port hole repair using a Vehicle To Infrastructure (V2I) communication network.

국내의 아스팔트 도로포장은 1990년대 이후 물동량의 급증과 차량하중의 중량화 및 대형화, 여름철 이상고온과 집중호우와 같은 대기환경의 변화 등으로 소성변형과 균열, 포트홀(Pot-Hole) 등 다양한 형태의 도로 파손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교통사고 유발은 물론 보수로 인한 막대한 비용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Domestic asphalt road pavement has been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plastic deformation, cracking, and pot-hole due to rapid increase of cargo volume and heavy weight of vehicle load since the 1990s and atmospheric environment changes such as high temperature and heavy rain during summer Since the road damage is rapidly increasing, it causes not only the traffic accident but also a great cost loss due to maintenance.

또한, 부적절한 포장재료의 사용과 품질관리체계 미비 등은 도로의 조기파손을 더욱 가속화시켜 도로수명을 현저히 저하시키고 있다.In addition, the use of inappropriate packaging materials and the lack of a quality control system accelerate the early breakage of roads,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road life.

도 1은 통상적인 아스팔트 도로 상에서 발생하는 포트홀을 예시하는 사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photograph illustrating a porthole occurring on a typical asphalt road.

포트홀(Pot-Hole)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스팔트 도로포장의 노면이 국부적으로 움푹 떨어져 나가 패어지는 항아리 모양의 노면 파손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포트홀은 여름 집중호우와 겨울철 폭설 시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교통안전과 도로 손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As shown in Fig. 1, a pot-hole has a road surface shape of a jar-shaped road surface in which the road surface of the asphalt road pavement is locally pitted out. These portholes are concentrated in summer heavy rains and winter heavy snow, and have a great impact on traffic safety and road damage.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에서는 형식적인 품질관리에서 탈피하여 체계적인 품질관리방안과 포트홀 저감 방안을 마련하여 교통사고 발생 예방 및 포장관리에 철저를 기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도로공사에서 1998년∼2009년 조사한 바에 따르면, 고속국도의 도로 파손에서 포트홀이 66%를 차지하며, 균열이 24%, 소성변형이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Accordingly,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has devoted itself to the prevention of traffic accidents and the management of pavement by establishing a systematic quality management plan and a reduction plan for portholes by breaking away from formal quality control. For example, in a survey conducted by Korea Highway Corporation between 1998 and 2009, it was found that potholes occupied 66% of the roads damaged by highways, cracks accounted for 24%, and plastic deformation accounts for 10%.

이러한 포트홀의 발생 메커니즘은 포장체 내부로 우수가 침투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의 결합력이 약해지고, 차량하중에 의해 발생한 내부 간극수압으로 취약한 부분을 중심으로 골재가 탈리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최근의 기후변화에 따라 오랜 집중호우기간 및 폭설 등으로 과다한 시간 동안 노면에 수분이 체류하여 아스팔트 포장의 포트홀 발생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This mechanism of porthole generation consists of penetration of rainwater into the inside of the pavement so that the binding force of the asphalt mixture is weakened and the aggregate is desorbed around the weak part due to the internal pore water pressure caused by the vehicle load. Especially, due to the recent climate change, moisture is retained on the road for a long time due to long periods of heavy rainfall and heavy snowfall, and the occurrence of potholes in asphalt pavement is increasing rapidly.

구체적으로, 계절별로 살펴보면, 여름에는 집중호우 및 장기적인 강우로 인해 아스팔트 포장 내부로 빗물이 스며들고, 수분으로 포화된 시간이 증가된다. 이에 따라 포장체 내부에서 차량이 통행할 때마다 높은 간극수압이 작용하며, 골재에서 아스팔트를 박리시켜서 발생된다.Specifically, seasonally, in summer, rainwater seeps into the asphalt pavement due to heavy rainfall and long-term rainfall, and the saturated time with moisture increases. Accordingly, a high pore water pressure acts on the inside of the pavement every time the vehicle passes, and the asphalt is peeled off from the aggregate.

또한, 겨울에는 폭설 시 도로에 살포한 제설제로 인해 눈이 녹게 되며, 제설제로 인해 녹은 눈은 쉽게 결빙되지 않으므로 수분이 포장에 침투하여 여름과 동일한 현상으로 포트홀이 발생한다. 또한, 낮은 대기 온도로 인해 아스팔트 포장의 취성이 증가하여 더욱 심각한 파손이 발생된다.In winter, the snow is melted by the snow remover applied on the road in winter, and because the snow is not easily frozen due to the snow remover, the moisture penetrates into the pavement, resulting in the same phenomenon as summer. In addition, the lower atmospheric temperature increases the brittleness of the asphalt pavement, resulting in more severe failure.

또한, 봄철에는 포장 내부에 침투한 수분으로 인하여 겨울에 노상 등이 동결하며 포장체가 융기되고, 봄철 융해로 인해 공동현상 후에 교통하중에 의해 포장 침하 및 포트홀이 발생된다.Also, due to the moisture penetrated into the inside of the pavement in spring, the pavement is frozen in winter and the pavement is raised.

한편, 기존에 포트홀 위치는 조사자가 육안으로 차량을 통해 조사하고, 이를 보수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조사자의 이동 범위에 국한되어 다양한 지역의 포트홀을 조사하기에는 인력, 장비적인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xisting position of the porthole was inspected by the investigator through the vehicle and the repair was performed. However, this method is limited to the range of the investigator 's movement,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terms of manpower and equip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rtholes in various regions.

한편,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로포장 포트홀 감지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이다.2 is a view illustrating a road pavement porthol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로포장 포트홀 감지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상의 포트홀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시내버스에 파손도로인 포트홀을 감지하는 포장파손 감지센서와 위성항법장치(GPS)를 장착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As shown in FIG. 2, a road pavement porthol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pavement damag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porthole on a city bus so that a porthole on the road can be detected at an early stage, ).

이에 따라 상기 포장파손 감지센서와 GPS 모듈은 포트홀을 지나갈 경우 충격을 자동으로 감지해 위험요소를 발견한다. 이때, 포트홀로 인해 버스가 덜컹거리면 포장파손 감지센서를 통해 포트홀을 찾아낼 수 있고, 기록된 데이터는 유지관리기관에 전송되면 즉시 응급보수를 시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ackaged damage detection sensor and the GPS module automatically detect a shock when a porthole passes and detect a risk factor. At this time, if the bus rattles due to the port hole, the port hole can be detected through the pavement damage detection sensor, and if the record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maintenance agency, the emergency repair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그러나 전술한 포장파손 감지센서를 구비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로포장 포트홀 감지 시스템은, 버스가 도로 상의 덜컹거리는 포트홀을 지나갈 경우에만 포트홀을 감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road pavement porthol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ving the above-described pavement damage detection sensor has a problem that the porthole can be detected only when the bus passes through the rattling porthole on the road.

한편, 관련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06064호에는 "차량의 주행 상황을 필터링한 노면 평탄성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06064 discloses an invention titled " System and method for road surface flatness measurement filtering the running situation of a vehicle ",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상황을 필터링한 노면 평탄성 측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road surface flatness measuring system for filtering a traveling state of a vehicl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ique.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상황을 필터링한 노면 평탄성 측정 시스템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10)에 장착되며 상기 차량(10)의 주행 중에 상기 차량(10)이 지나가는 노면의 평탄성에 의한 정보를 검출하는 기울기센서(21); 상기 차량(10)의 주행 정보를 검출하는 차속센서, 가속센서, 변속센서, 브레이크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센서(24); 상기 차량(1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GPS 모듈(22); 상기 기울기 센서(21)와 GPS 모듈(22)을 근거로 하여 일정 위치의 노면의 평탄성을 검출하되, 상기 차량센서(24)에서 검출한 값을 근거로 하여 차량(10)의 가속페달의 조작시, 제동시, 기어변속시 발생하는 노면의 평탄값을 삭제하여 노면의 평탄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컨트롤러(23)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23)는 관제센터(25)와 통신한다.Referring to FIG. 3, a road surface flatness measuring system for filtering the traveling stat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mounted on a vehicle 10 running on the road, and is mounted on the vehicle 10 while the vehicle 10 is running A tilt sensor 21 for detecting information by the flatness of the road surface; A vehicle sensor 24 including a vehicle speed sensor for detecting the runn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an acceleration sensor, a speed change sensor, and a brake sensor; A GPS module (22)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10) in real time; The control unit 20 detects the flatness of the road surfac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ased on the inclination sensor 21 and the GPS module 22 and detects the flatness of the road surface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of the vehicle 10 based on the value detected by the vehicle sensor 24 And a controller 23 for generating and storing the flatness data of the road surface by deleting the flatness value of the road surface generated during the gear shifting when braking, and the controller 23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center 25.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로포장 포트홀 감지 시스템에 따르면, 차량에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차속센서, 브레이크센서 등을 포함한 차량센서와 컨트롤러의 전기적 연결, 평탄센서 등을 이용하여 기존의 고가 장비를 대체하고 노면 평탄성을 용이하게 측정하여 평탄성 측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일정 경로를 주행하는 차량, 영업용 차량 등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지역을 지속적으로 실시간 측정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통해 부분적인 노면 단차구간 및 노면 파손구간의 신속한 파악 및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road pavement porthol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existing high-priced equipment by using the electric connection of the vehicle sensor including the vehicle speed sensor and the brake sensor basically installed in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easily measure the flatness to reduce the flatness measurement cost and to continuously measure the wide area continuously on a vehicle or a commercial vehicle traveling on a certain route and to measure the partial road level difference range and the road surface damage range Can be quickly identified and confirmed.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로포장 포트홀 감지 시스템의 경우, 전술한 포장파손 감지센서를 구비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로포장 포트홀 감지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차량이 도로 상의 덜컹거리는 포트홀을 지나갈 경우에만 포트홀을 감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road pavement porthol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in the case of the road pavement porthol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ving the above-described pavement damage detection sensor, only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rattling porthole on the road,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be done.

한편,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4-119471호에는 "차량내 장치 기반의 위험도로구간 정보 수집 및 주의안내 서비스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s another prior art,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4-119471 discloses an invention entitled " System for Providing Interval Information on Risk Based on In-Vehicle Devices and Providing Attention Guidance Service and Method thereof "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내 장치 기반의 위험도로구간 정보 실시간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내 장치 기반의 위험도로구간 정보 실시간 제공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FIG. 4A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al-time interv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based on the in-vehi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IG.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real- .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내 장치 기반의 위험도로구간 정보 실시간 제공 시스템은, 위험도로구간(30), 주차량(40), 중앙관제 서버(50) 및 타차량(7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4A and 4B, in the in-vehicle device based on-vehi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section information real-time providing system includes a section 30 as a risk factor, a main vehicle 40, a central control server 50, (70).

위험도로구간(30)으로는 터널내부 도로, 교량 위 도로, 곡선 도로, 안개지역 구간 등과 같이 운전자 시야가 제대로 확보되지 않는 곳에서의 포트홀, 블랙아이스, 상습 미끄럼 구간 등을 고려할 수 있다.The danger zone 30 may include portholes, black ice, slippery slopes, etc. in areas where the driver's field of view is not properly secured, such as in-tunnel roads, bridge roads, curved roads, and fog areas.

주차량(4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도로구간 정보 센싱 및 기록부(41)와 위험 도로구간 정보 전송부(42)를 포함하고, 중앙관제 서버(5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도로구간 정보 수집부(51), 위험도로구간 정보 처리부(52), 위험도로구간 정보 저장부(53) 및 위험도로구간 정보 제공부(54)를 포함하며, 그 외에 타차량(7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도로구간 정보 수신부(71)를 포함한다.4B, the main vehicle 40 includes an interval information sensing and recording unit 41 and a dangerous road sec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42 as a dangerous level, and the central control server 50 includes a dangerous- As shown in the figure, the system includes an interv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51, an interv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52, an interval information storing unit 53, and an interval information providing unit 54 at a risk level. The vehicle 70 includes an interval information receiving unit 71 as shown in Fig. 4B.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내 장치 기반의 위험도로구간 정보 실시간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차량 운전자의 시야에 직접적으로 확인되기 어려운 터널내부 도로, 교량 위 도로, 곡선 도로, 안개지역 구간 등과 같은 위험도로구간 또는 일반도로구간에서 포트홀, 블랙아이스, 상습 미끄럼 구간 등과 같은 도로의 위험정보, 도로 수리 여부, 노면상태 변동 등을 감지하고, 운전자가 그 도로에 진입하기 전에 위험도로 정보를 미리 알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안전운행을 보장하고, 차량내 장치를 활용하여 위험도로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정보를 차량내 장치를 장착한 타차량에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al-tim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rein the real-tim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s provided with a dangerous section such as a tunnel inner road, a bridge road, a curved road, It detects the risk information of roads such as portholes, black ice, slippery roads, road repair status, road surface condition, and so on in the general road section so that the driver can know the information in advance before entering the road, It is possible to guarantee the operation, collect information by the risk by utilizing the in-vehicle apparatus, and provide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another vehicle equipped with the in-vehicle apparatus in real time.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내 장치 기반의 위험도로구간 정보 실시간 제공 시스템의 경우, 무선통신에 의한 자율적인 형태의 차량 통신망 기술인 차량내 장치 기반의 차량간(Vehicle to Vehicle: V2V) 통신 네트워크(Communication network)를 통해 위험도로구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However, due to the risk of the in-vehicle device based o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n the case of the real-time interv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 vehicle-to-vehicle (Vehicle to Vehicle: V2V) communication network network) can be used to provide interval information in terms of risk.

한편,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5-12384호에는 "도로 표면상의 포트홀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s another prior art,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5-12384 discloses an invention named "Porthole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on road surface",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도 5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로 표면상의 포트홀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로 표면상의 포트홀 측정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FIG. 5A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orthole measurement system on a road surfac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ique, and FIG. 5B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easuring a porthole on a road surfac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ique.

도 5a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로 표면상의 포트홀 측정 시스템은, 각종 장치의 데이터를 취합하고 처리하는 PC 시스템(80), 포트홀의 크기를 인식하고 측정하는 비전 카메라(93), 도로면의 높낮이를 측정하여 포트홀의 깊이를 측정하는 레이저센서(92), 포트홀의 위치를 측정하는 GPS 모듈(91) 및 차량 이동에 의한 위치 보정을 위한 속도센서(9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A, a conventional porthole measurement system on a road surface includes a PC system 80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data of various apparatuses, a vision camera 93 for recognizing and measuring the size of the porthole, A GPS module 91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porthole, and a velocity sensor 94 for position correction by vehicle movement.

PC 시스템(80)은 연결된 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취합 및 처리하여 포트홀에 대한 측정 및 판단을 처리하고, 각 장치들(91, 92, 93, 94)을 제어한다. 상기 PC 시스템(80)은 비전 카메라(93)에서 취득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촬영된 화면에서 포트홀이 있는지 인식한다. 만약 포트홀로 의심되는 영상이 있는 경우, 영상처리를 통해 포트홀 유무를 판단하고, 포트홀로 판정될 경우에 포트홀의 크기를 측정한다. 또한, 레이저 센서(92)의 데이터를 받아 도로 표면의 높이를 측정하고, 정상 높이와 차이가 나는 경우에 포트홀로 판정한다. 또한, GPS 모듈(91)을 통해서 차량 이동 중에 위치값을 수신하여 해당 위치값을 기록한다. 이때, 차량 이동에 의한 위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속도센서(94)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위치값을 보정하여 최종 위치값을 도출한다.The PC system 80 collects and processes the data generated in the connected device to process measurements and judgments for the portholes, and controls each of the devices 91, 92, 93, 94. The PC system 80 analyzes the image captured by the vision camera 93 and recognizes whether there is a porthole on the photographed image. If there is an image suspected to be a port hol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ort hole is determined through image processing, and the size of the port hole is measured when the port hole is determined. Further, the height of the road surface is measured by receiving the data from the laser sensor 92, and when the height is different from the normal height, the port hole is determined. In addition, a position value is received during movement of the vehicle through the GPS module 91, and the corresponding position value is recorded. At this time, the data of the speed sensor 94 is received to correct the position error due to vehicle movement, and the position value is corrected to derive the final position value.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로 표면상의 포트홀 측정 방법은, 포트홀 인식 및 측정을 위해서 GPS 모듈(91), 레이저센서(92), 비전 카메라(93) 및 속도센서(94)의 네 가지 장치에 의한 측정과 종합적인 판단 로직이 적용된다.5A and 5B, a method of measuring a porthole on a road surfa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GPS module 91, a laser sensor 92, a vision camera 93, and a velocity sensor 94 ), And comprehensive judgment logic are applied.

구체적으로, 영상처리 로직(S10)에서는 비전 카메라(93)에서 취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포트홀을 인식하고 크기를 판단한다. 이후, 비전 카메라(93)에서 영상이 취득되면, 영상데이터는 PC 시스템(80)으로 전달되고, PC 시스템(80)에서는 영상의 전처리를 통해 영상처리 인식이 가능하도록 이미지를 변형하여 포트홀을 인식한다. 만약 포트홀로 인식될 경우, 포트홀의 크기를 측정하여 결과를 도출한다.Specifically, in the image processing logic S10, the porthole is recognized using the image acquired by the vision camera 93, and the size is determined. Thereafter, when the image is acquired by the vision camera 93, the image data is transferred to the PC system 80. In the PC system 80, the image is modified so that the image processing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preprocessing of the image, . If it is recognized as a port hole, the size of the port hole is measured and the result is obtained.

또한, 레이저 변위센서 로직(S20)에서는 차량에 설치된 레이저 센서(92)를 통해 도로면의 높이를 측정하고, 이후 측정값을 분석하여 도로면의 높이 및 깊이를 측정한다. 이에 따라 PC 시스템(80)은 영상처리 로직(S10)과 레이저 변위센서 로직(S20)에서 도출된 포트홀 크기 측정값과 도로면 높이값을 바탕으로 측정값을 판단하여(S50), 해당 지점이 포트홀인지 판단하고, 최종적으로 포트홀 유무, 포트홀 크기 및 포트홀 깊이 정보를 도출한다.In addition, in the laser displacement sensor logic S20, the height of the road surface is measured through the laser sensor 92 installed on the vehicle, and then the height and depth of the road surface are measured by analyzing the measured value. Accordingly, the PC system 80 determines the measurement value based on the porthole size measurement value and the road surface height value derived from the image processing logic S10 and the laser displacement sensor logic S20 (S50) And ultimately,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ort hole, the port hole size, and the port hole depth information are derived.

또한, GPS 신호처리 로직(S30)에서는 차량에 설치된 GPS 모듈(91)을 통해 GPS 신호를 수신하고, 현재 위치값을 PC 시스템(80)에 전달한다.Also, in the GPS signal processing logic S30, the GPS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GPS module 91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the current position value is transmitted to the PC system 80. [

또한, 차량 이동에 따른 위치 오차값을 보정하기 위해 속도센서 로직(S40)에서 주행속도를 측정한 후, 속도값을 산출하여 PC 시스템(80)에서 GPS 위치값과 속도측정값을 취합하여 최종적으로 위치를 보정한다(S60).Also, in order to correct the position error value due to the vehicle movement, the traveling speed is measured in the speed sensor logic S40, the speed value is calculated, the PC system 80 collects the GPS position value and the speed measurement value, The position is corrected (S60).

최종적으로, 각 4개의 처리 로직(S10, S20, S30, S40)에 의해 도출된 포트홀의 크기, 포트홀 깊이, 포트홀 위치정보는 최종 데이터 처리로직(S70)으로 전달되어 정해진 프로토콜에 의해 정보가 전달된다.Finally, the size of the porthole, the porthole depth, and the porthole location information derived by each of the four processing logic (S10, S20, S30, S40) are transferred to the final data processing logic S70 and the information is transferred by the determined protocol .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로 표면상의 포트홀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포트홀의 검사 및 측정에 있어서 육안이 아닌 객관적인 장치의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포트홀에 대해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검사 및 측정이 가능하며, 주행 중인 차량에 장치를 설치하여 포트홀 검사를 위한 별도의 차량 통제 및 시간소요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GPS 데이터와 연동하여 포트홀에 대한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rthole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on the road surfa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t is possible to perform more precise and accurate inspection and measurement of the porthole by using data of the objective device rather than the naked eye in the inspection and measurement of the porthole, It is not necessary to control the porthole and time for the vehicle inspec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ccurate positional information on the port hole in cooperation with the GPS data.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로 표면상의 포트홀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의 경우, 차량에 비전 카메라(93) 이외에 포트홀 표면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센서(92) 등을 별도로 장착해야 하고, 데이터 추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단지 하나의 차량에서 도로 표면상의 포트홀을 측정함으로써 도로 관리주체가 포트홀 데이터를 신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orthole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on the road surfa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mount the laser sensor 92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port hole surface in addition to the vision camera 93 in the vehic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road management subject to trust the porthole data by measuring the porthole on the road surface in only one vehicle.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5-12384호(공개일: 2015년 2월 4일), 발명의 명칭: "도로 표면상의 포트홀 측정 시스템 및 방법"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5-12384 (Published on Feb. 4, 2015), entitled "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4-119471호(공개일: 2014년 10월 10일), 발명의 명칭: "차량내 장치 기반의 위험도로구간 정보 수집 및 주의안내 서비스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4-119471 (Publication Date: October 10, 2014), title of the invention: "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06064호(출원일: 2012년 7월 13일), 발명의 명칭: "차량의 주행 상황을 필터링한 노면 평탄성 측정 시스템 및 방법"Korean Patent No. 10-1206064 filed on July 13, 2012, entitled " Road Surface Flatness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iltering Driving Conditions of Vehicles "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1-38628호(공개일: 2011년 4월 14일), 발명의 명칭: "도로-표면 특징들을 판별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기기 및 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38628 (Publication date: Apr. 14, 2011), entitled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oad-surface characteristics"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333781호(출원일: 2000년 1월 3일), 발명의 명칭: "노면 종·횡단 요철 자동 측정시스템"Korean Patent No. 10-333781 filed on Jan. 3, 2000, entitled "Automated Measuring System of Road Surface & Transverse Ribs"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330134호(출원일: 1999년 12월 29일), 발명의 명칭: 속도제한 경보 및 교통정보안내 시스템 및 방법""Korean Patent No. 10-330134 filed on December 29, 1999 Title of invention: Speed limit alarm and traffic information guidance system and method "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로포장의 포트홀 영상을 수집하고, 광범위한 도로를 항시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택시 또는 버스의 기구축된 차량과 인프라간(Vehicle To Infrastructure: V2I)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포트홀 보수를 위한 포트홀 데이터를 통보할 수 있는,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to-infrastructure (Vehicle To Infrastructure) system capable of collecting porthole images of road pavement and constantly covering a wide range of roads. : V2I) A porthole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road pavement using a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informing porthole data for porthole repair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포트홀 인식 차량이 도로 주행 중에 도로포장의 도로노면 영상을 수집하여 포트홀 여부를 1차적으로 인식하고, 포트홀 관리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으로부터 전송된 포트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포트홀 여부를 2차적으로 인식함으로써, 포트홀 보수 여부를 신속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hole recognition system comprising a porthole recognition server for collecting a road surface image of a road pavement while driving on a roa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hole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road pavement using a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which can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a porthole is to be repaired or not by secondarily recognizing whether or not a porthole exists.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도로포장의 포트홀(Pot-Hole)을 인식하기 위한 포트홀 인식 모듈이 각각 탑재된 제1 차량 내지 제N 차량으로서, 도로 주행 중에 도로포장의 도로노면 영상을 수집하여 포트홀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포트홀이 인식된 경우 포트홀 영상 및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 차량과 인프라간(Vehicle To Infrastructure: V2I)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에서 각각 전송된 포트홀 영상 및 위치정보를 취합하여 차량별 포트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 및 상기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차량별 포트홀 데이터를 수신하여, 포트홀 보수 여부를 결정하는 포트홀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object, a porthole data processing system for road pavement using a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processing pavement data of road pavement, comprising a pavement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a pot-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for collecting a road surface image of a road pavement during road running to recognize whether or not the porthole is recognized while generating the porthole image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when the porthole is recognized; Vehicl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for collecting port-hole images and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through a vehicle-to-infrastructure (V2I)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ting port-hall data for each vehicle; And a porthole management server for receiving vehicle-specific porthole data from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and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the porthole repair,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100)은 광범위한 도로를 항시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택시 또는 버스이고, 상기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는 상기 V2I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광범위한 도로를 항시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택시 또는 버스와 통신할 수 있도록 기구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is a taxi or bus that can constantly cover a wide range of roads.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constantly covers the wide road through the V2I communication network And is configured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a taxi or bus that can be used.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은 도로 주행 중에 도로포장의 도로노면 영상을 수집하여 포트홀 여부를 1차적으로 인식하고,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으로부터 전송된 동일 지점의 포트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포트홀 여부를 2차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collects a road surface image of a road pavement while driving on the road to primarily recognize whether the porthole is present, and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recognizes the portholes at the same point transmitted from the at least one porthol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ata,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presence of the port hole in a secondary manner.

여기서,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으로부터 전송된 동일 지점의 포트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상기 포트홀의 보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포트홀의 보수를 위해 포트홀 보수팀 단말에게 포트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porthole is comple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porthole data of the same point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and transmits the porthole data to the porthole repair team terminal for the repair of the porthole .

여기서, 상기 포트홀 인식 모듈은, 상기 포트홀 인식 차량에 탑재되어, 도로포장의 도로노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포트홀 인식 차량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포트홀 인식 차량에 탑재되는 GPS 모듈;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도로노면 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정지영상 내의 포트홀 여부를 1차적으로 인식하는 포트홀 인식부; 상기 포트홀 인식부에 의해 포트홀이 1차적으로 인식된 경우, 상기 GPS 모듈에 기반한 상기 포트홀 인식 차량의 위치정보에 따라 포트홀 영상 및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생성된 포트홀 영상 및 위치정보를 V2I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orthole recognition module may include: a camera mounted on 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for capturing a road surface image of road pavement; A GPS module mounted on 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to generat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A porthole recognition unit for extracting a still image from a road surfac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for primarily recognizing whether a porthole exists in the still image; A data processor for generating a porthole image and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based on the GPS module when the porthole is primarily recognized by the porthole recognition unit;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porthole image and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to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V2I communication network.

여기서,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는, 상기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차량별 포트홀 데이터를 수집하는 포트홀 데이터 수집부; 동일 지점에 대한 상기 차량별 포트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포트홀 여부를 2차적으로 인식하는 포트홀 데이터 비교 분석부; 상기 포트홀 데이터 비교 분석부에서 비교 분석된 포트홀을 상기 포트홀의 크기 및 깊이에 따라 보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포트홀 보수 결정부; 및 상기 포트홀 보수 결정부에서 포트홀 보수가 결정되면 상기 포트홀 데이터를 포트홀 보수팀 단말에게 전송하는 포트홀 보수정보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may include: a porthole dat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porthole data for each vehicle from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A porthole data comparison / analysis unit for comparing the porthole data for each vehicle with respect to the same point and comparing the analyzed porthole data with each other to recognize a porthole; A port hole compensation determiner for determining whether to repair the porthole comparatively analyzed by the porthole data comparison / analysis unit according to the size and depth of the porthole; And a porthole complemen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porthole data to the porthole repair team terminal when the porthole repair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at the porthole repair is determined.

여기서, 상기 포트홀 보수팀 단말은 포트홀 보수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포트홀 보수 차량은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포트홀 데이터에 따라 상기 포트홀을 보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orthole repair team terminal is provided in a porthole maintenance vehicle, and the porthole repair vehicle repairs the porthole according to the porthole data received from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방법은, a) 포트홀 인식 모듈이 각각 탑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들이 각각 도로를 주행하면서 도로 노면을 촬영하여 도로 노면 영상을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촬영된 도로 노면 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된 정지영상으로부터 포트홀을 인식하여 포트홀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d) GPS 모듈에 따른 포트홀 인식 차량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포트홀 영상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포트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e) 차량과 인프라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포트홀 데이터를 기구축된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가 포트홀 데이터를 포트홀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g)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가 동일 지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는 단계; h)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가 포트홀 보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i)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가 포트홀 보수정보를 포트홀 보수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cessing a porthole data of a road pavement using a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receiving at least one porthole- And photographing a road surface to collect road surface images; b) extracting a still image from the photographed road surface image; c) generating a porthole image by recognizing the porthole from the extracted still image; d) generating porthole data including the porthole image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PS module; e) transmitting the porthole data to the vehicle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the vehicle and the infrastructure; f) transmitting the porthole data to the port management server by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g)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comparing and analyzing at least one porthole data for the same point; h)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determining a porthole repair; And i)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transmitting the porthole maintenance information to the porthole maintenance team terminal,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100)은 광범위한 도로를 항시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택시 또는 버스이고, 상기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는 상기 V2I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택시 또는 버스와 통신할 수 있도록 기구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is a taxi or bus that can constantly cover a wide range of roads and the vehicle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can communicate with the taxi or bus through the V2I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it is constructed in advance.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포장의 포트홀 영상을 수집하고, 광범위한 도로를 항시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택시 또는 버스의 기구축된 차량과 인프라간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포트홀 보수를 위한 포트홀 데이터를 통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광범위한 도로를 항시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기존의 버스 또는 택시에 구축된 차량정보 네트워크를 활용함으로써 포트홀 정보를 간편하게 전송할 수 있고, 보다 신속한 포트홀 보수를 통하여 차량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orthole data for porthole repair can be notified using a built-in car and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network of a taxi or bus capable of collecting porthole images of road pavement and constantly covering a wide range of roads 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transmit porthole information by utilizing a car information network built on existing buses or taxis that can always cover a wide range of roads, have.

본 발명에 따르면, 포트홀 인식 차량이 도로 주행 중에 도로포장의 도로노면 영상을 수집하여 포트홀 여부를 1차적으로 인식하고, 포트홀 관리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으로부터 전송된 동일 지점의 포트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포트홀 여부를 2차적으로 인식함으로써, 포트홀 보수 여부를 신속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hole recognition server collects the road surface images of the road pavement while driving on the road so as to primarily recognize whether the portholes are present, and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compares the porthole data of the same point transmitted from the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By analyzing the portability by secondary analysis,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orthole can be repaired.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 중인 차량에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설치함으로써 포트홀 검사를 위한 별도의 차량 통제 및 시간소요가 필요하지 않고, 도로포장에서 발생한 포트홀에 대한 조기 확보를 통해서 신속한 보수가 가능하며, 포트홀 보수를 위한 인력 및 장비를 효율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porthole data processing system for a road pavement using a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in a running vehic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arly detection of a porthole generated in a road pavement, It is possible to repair quickly and it is possible to introduce manpower and equipments to repair portholes efficiently.

도 1은 통상적인 아스팔트 도로 상에서 발생하는 포트홀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로포장 포트홀 감지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상황을 필터링한 노면 평탄성 측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내 장치 기반의 위험도로구간 정보 실시간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내 장치 기반의 위험도로구간 정보 실시간 제공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5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로 표면상의 포트홀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로 표면상의 포트홀 측정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포트홀 인식 모듈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수집되는 포트홀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photograph illustrating a porthole occurring on a typical asphalt road.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oad pavement porthole sen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block diagram of a road surface flatness measuring system for filtering a traveling state of a vehicl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ique.
FIG. 4A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al-time interv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based on the in-vehic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IG.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real- .
FIG. 5A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orthole measurement system on a road surfac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ique, and FIG. 5B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easuring a porthole on a road surfac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ique.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rthole data processing system for road pavement using a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pecif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orthole recognition module shown in FIG.
8 is a view showing a porthole image collected in a porthole data processing system of a road pavement using a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cessing porthole data of road pavement using a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the term "part" or the like,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PORTHOLE DATA PROCESSING SYSTEM FOR ROAD PACKAGING USING CAR COMMUNICATION NETWORK]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포트홀 인식 모듈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FIG.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rthole data processing system for road pavement using a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pecif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orthole recognition module shown in FIG.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포트홀 인식 차량(100),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 포트홀 관리 서버(300) 및 포트홀 보수팀 단말(400)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는 포트홀 데이터 수집부(310), 포트홀 데이터 비교 분석부(320), 포트홀 보수 결정부(330) 및 포트홀 보수정보 전송부(3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트홀 인식 모듈(120) 각각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21), GPS 모듈(122), 포트홀 인식부(123), 데이터 처리부(124) 및 데이터 전송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6, a porthole data processing system for road pavement using a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a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a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And a porthole maintenance team terminal 400.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includes a porthole data collection unit 310, a porthole data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320, a porthole repair determination unit 330, (340). 7, each of the porthole recognition modules 120 includes a camera 121, a GPS module 122, a porthole recognition unit 123, a data processing unit 124, and a data transfer unit 125, . ≪ / RTI >

포트홀 인식 차량(100)은 제1 차량 내지 제N 차량(110a~110n) 및 포트홀 인식 모듈(120)을 포함하며, 상기 포트홀 인식 차량(100)은 도로포장의 포트홀(Pot-Hole)을 인식하기 위한 포트홀 인식 모듈(120)이 각각 탑재된 제1 차량 내지 제N 차량(110a~110n)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도로 주행 중에 도로포장의 도로노면 영상을 수집하여 포트홀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포트홀이 인식된 경우 포트홀 영상 및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100)이 도로 상의 동일 지점에 대해 포트홀을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includes first to Nth vehicles 110a to 110n and a porthole recognition module 120. 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recognizes a pot hole of a road pavement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Nth vehicles 110a to 110n in which the porthole recognition module 120 for receiving the road pavement recognition module 120 is installed, And generates the port-hole image and the positional information if it is recognized. In the case of the porthole data processing system for road pavement using the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recognizes the porthole at the same point on the road.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포트홀 인식 모듈(120)의 카메라(121)는 상기 포트홀 인식 차량(100)에 탑재되어, 도로포장의 도로노면 영상을 촬영한다.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121)는 포트홀 인식 차량(100)의 전방 또는 후방을 촬영하여 동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기존의 광범위한 도로를 항시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버스 또는 택시에 구비된 통상적인 차량용 블랙박스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7, the camera 121 of the porthole recognition module 120 is mounted on 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to photograph a road surface image of road pavement. For example, the camera 121 may acquire a moving picture by photographing the front or rear of 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and may be a bus or a taxi capable of constantly covering an existing wide-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 vehicle black box.

상기 포트홀 인식 모듈(120)의 GPS 모듈(122)은 상기 포트홀 인식 차량(100)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포트홀 인식 차량(100)에 탑재된다. 예를 들면, 상기 GPS 모듈(122)은 기존의 광범위한 도로를 항시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버스 또는 택시에 구비된 통상적인 차량용 내비게이션에 포함된 GPS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The GPS module 122 of the porthole recognition module 120 is mounted on 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to generat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For example, the GPS module 122 may use a GPS module included in a conventional vehicle navigation provided in a bus or a taxi that can consistently cover an existing wide range of roads.

상기 포트홀 인식 모듈(120)의 포트홀 인식부(123)는 상기 카메라(121)에서 촬영된 도로노면 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정지영상 내의 포트홀 여부를 1차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즉, 도로노면을 연속적으로 촬영하기 위해서는 도로노면 영상은 동영상으로 촬영되며, 상기 동영상은 포트홀 여부를 인식하기 위해서 정지영상으로 변환되어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지영상 내의 포트홀 여부 판단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포트홀 인식부(123)는 포트홀 여부를 1차적으로 인식하고, 후술하는 포트홀 관리 서버(300)에서 동일 지점에 대해 다수의 포트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2차적으로 포트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rthole recognition unit 123 of the porthole recognition module 120 extracts a still image from the road surfac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21 and primarily recognizes whether the port is present in the still image. That is, in order to photograph the road surface continuously, the road surface image is taken as a moving image, and the moving image is converted into a still image to be recognized as a port hole and extracted. In addition, since an error may occur when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porthole exists in the still image, the porthole recognizing unit 123 primarily recognizes whether the porthole is present, and when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 portholes are secondarily present.

상기 포트홀 인식 모듈(120)의 데이터 처리부(124)는 상기 포트홀 인식부(123)에 의해 포트홀이 1차적으로 인식된 경우, 상기 GPS 모듈(122)에 기반한 상기 포트홀 인식 차량(100)의 위치정보에 따라 포트홀 영상 및 위치정보를 생성한다.The data processing unit 124 of the porthole recognition module 120 determines whether the porthole recognition unit 123 recognizes the porthole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based on the GPS module 122, And generates the port-hole imag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상기 포트홀 인식 모듈(120)의 데이터 전송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4)에서 생성된 포트홀 영상 및 위치정보를 V2I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The data transfer unit 125 of the porthole recognition module 120 transfers the porthole image and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124 to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the V2I communication network.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는 차량과 인프라간(Vehicle To Infrastructure: V2I)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100)에서 각각 전송된 다수의 포트홀 영상 및 위치정보를 취합하여 차량별 포트홀 데이터를 전송한다.Referring again to FIG. 6,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receives a plurality of porthole images transmitted from the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through a vehicle-to-infrastructure (V2I) communication network, And collect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port-hall data for each vehicle.

포트홀 관리 서버(300)는 상기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로부터 차량별 포트홀 데이터를 수신하여, 포트홀 보수 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100)으로부터 전송된 동일지점의 포트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상기 포트홀의 보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포트홀의 보수를 위해 포트홀 보수팀 단말(400)에게 포트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는, 예를 들면, 도로포장 포트홀 관리주체인 관제센터 내에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receives vehicle-specific porthole data from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and determines whether to perform the porthole repair. At this time,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to repair the porthol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ame point porthole data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Lt; RTI ID = 0.0 > 400 < / RTI > Here,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is preferably implemented, for example, in a control center, which is the subject of road pavement porthole management.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경우, 광범위한 도로를 항시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택시 및/또는 버스의 실시간 위치 정보와, 택시 및/또는 버스에 저가형 카메라 및 상기 포트홀 인식 모듈(120)을 모두 장착하여 포트홀이 감지되면, 상기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로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포트홀 데이터는 일괄적으로 관리기관인 포트홀 관리 서버(300)로 통보되어 신속하게 포트홀을 보수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orthole data processing system for road pavement using a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a taxi and / or a bus that can always cover a wide range of roads, Alternatively, when a low-priced camera and the porthole recognition module 120 are mounted on the bus and the porthole is detecte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in real time, and the transmitted porthole data is collectively managed It is notified to the portholing management server 300 that the facility is in charge so that the porthole can be quickly repaired.

구체적으로,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의 포트홀 데이터 수집부(310)는 상기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로부터 차량별 포트홀 데이터를 수집한다.6, the porthole data collection unit 310 of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collects vehicle-specific porthole data from the vehicle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의 포트홀 데이터 비교 분석부(320)는 동일 지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별 포트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포트홀 여부를 2차적으로 인식한다.The porthole data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320 of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compares and analyzes at least one vehicle-specific porthole data with respect to the same point to secondarily recognize whether the porthole exists.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의 포트홀 보수 결정부(330)는 상기 포트홀 데이터 비교 분석부(320)에서 비교 분석된 포트홀을 상기 포트홀의 크기 및 깊이에 따라 보수할지 여부를 결정한다.The porthole repair determination unit 330 of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the porthole data analyzed and analyzed by the porthole data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320 is to be repaired according to the size and depth of the porthole.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의 포트홀 보수정보 전송부(340)는 상기 포트홀 보수 결정부(330)에서 포트홀 보수가 결정되면 상기 포트홀 데이터를 포트홀 보수팀 단말(400)에게 전송한다.The port hole maintenance information transmitter 340 of the port hall management server 300 transmits the port hole data to the port hall maintenance team terminal 400 when the port hall repair decision unit 330 determines that the port hall repair is determined.

또한, 포트홀 보수팀 단말(400)은 포트홀 보수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포트홀 보수 차량은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상기 포트홀 데이터에 따라 상기 포트홀을 보수할 수 있다.The port hall maintenance team terminal 400 is provided in the port hall maintenance vehicle, and the port hall maintenance vehicle can repair the port hall according to the port hall data received from the port hall management server 3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100)은 광범위한 도로를 항시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택시 또는 버스이고, 상기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는 상기 V2I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택시 또는 버스와 통신할 수 있도록 기구축되어 있어 매우 효율적이고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the porthole data processing system of a road pavement using a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 least one porthole-recognized vehicle 100 is a taxi or bus capable of constantly covering a wide range of roads, Th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is construct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taxi or bus through the V2I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it is very efficient and economical.

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100)은 도로 주행 중에 도로포장의 도로노면 영상을 수집하여 포트홀 여부를 1차적으로 인식하고,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100)으로부터 전송된 동일 지점에 대한 포트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포트홀 여부를 2차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may collect the road surface image of the road pavement during road running to primarily recognize the presence of the porthole, and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may recognize the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can compare the porthole data for the same point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recognize the porthole.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수집되는 포트홀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porthole image collected in a porthole data processing system of a road pavement using a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도로 상에서 제1 포트홀 인식 차량(100a)에 탑재된 카메라(121)가 도면부호 A로 도시된 포트홀 영상을 수집하고, 또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상에서 제2 포트홀 인식 차량(100b)에 탑재된 카메라(121)가 동일 지점에 대해 도면부호 B로 도시된 포트홀 영상을 수집할 수 있는데, 이때, 포트홀 인식 차량(100a, 100b)의 주행속도, 위치, 도로 상태 등에 따라 포트홀 영상들이 다소 상이하게 촬영될 수 있으므로,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는 상기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로부터 차량별 포트홀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포트홀 보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8A, a porthole data processing system for road paving using a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121 mounted on a first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a on a road The camera 121 mounted on the second porthole-recognition vehicle 100b on the road, as shown in Fig. 8 (b), collects the porthole images shown by the reference numeral A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can collect the porthole images according to the traveling speed, the location, the road condition, etc. of 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s 100a and 100b,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ort hole is to be repaired by receiving the port-hall data for each vehicle from the vehicle-operation-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at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따르면, 도로포장의 포트홀 영상을 수집하고, 광범위한 도로를 항시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택시 또는 버스의 기구축된 차량과 인프라간(Vehicle To Infrastructure: V2I)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포트홀 보수를 위한 포트홀 데이터를 통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rthole data processing system of the road pavement using the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 the porthole images of the road pavement, Porthole data for port hole maintenance can be notified using a Vehicle To Infrastructure (V2I)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따르면, 주행 중인 차량에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설치함으로써 포트홀 검사를 위한 별도의 차량 통제 및 시간소요가 필요하지 않고, 또한, 택시와 버스와 같이 광범위한 도로를 항시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포트홀 인식 차량이 도로 주행 중에 도로포장의 도로노면 영상을 수집하여 포트홀 여부를 1차적으로 인식하고, 포트홀 관리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들로부터 전송된 동일 지점의 포트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포트홀 여부를 2차적으로 인식함으로써 포트홀 보수 여부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rthole data processing system of the road pavement using the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vement data processing system of the road pavement using the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is installed in the running vehicle, A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that does not require control and time-consuming and can always cover a wide range of roads, such as taxis and buses, collects the road surface images of the road pavement while driving on the road, ,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can correctly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the porthole repair by secondarily recognizing the porthole statu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orthole data at the same point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or mor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s.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방법][PORTHOLE DATA PROCESSING METHOD FOR ROAD PACKAGING USING CAR COMMUNICATION NETWORK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cessing porthole data of road pavement using a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방법은, 먼저, 포트홀 인식 모듈(120)이 각각 탑재된 포트홀 인식 차량들(100)이 각각 도로를 주행하면서 도로 노면을 촬영하여 도로 노면 영상을 수집한다(S110).Referring to FIG. 9, in the method of processing porthole data of a road pavement using a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s 100 each equipped with the porthole recognition module 120 While driving, the road surface is photographed to collect road surface images (S110).

다음으로, 상기 촬영된 도로 노면 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추출한다(S120).Next, a still image is extracted from the photographed road surface image (S120).

다음으로, 상기 추출된 정지영상으로부터 포트홀을 인식하여 포트홀 영상을 생성한다(S130).Next, a porthole image is generated by recognizing the porthole from the extracted still image (S130).

다음으로, GPS 모듈(121)에 따른 포트홀 인식 차량(100)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포트홀 영상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포트홀 데이터를 생성한다(S140).Next, the porthole data including the porthole image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according to the GPS module 121 (S140).

다음으로, 차량과 인프라간(Vehicle To Infrastructure: V2I) 통신 네트워크(Communication Network)를 통해 포트홀 데이터를 기구축된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S150).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100)은 광범위한 도로를 항시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택시 또는 버스이고, 상기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는 상기 V2I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택시 또는 버스와 통신할 수 있도록 기구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Next, the porthole data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the vehicle-to-infrastructure (V2I) communication network (S150). Here, the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is a taxi or bus that can always cover a wide range of roads.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communicates with the taxi or bus through the V2I communication network It is constructed so that it can be constructed.

다음으로, 상기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가 포트홀 데이터를 포트홀 관리 서버(300)로 전달한다(S160). 즉,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의 포트홀 데이터 수집부(310)가 상기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로부터 다수의 차량별 포트홀 데이터를 수집한다.Next,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delivers the porthole data to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S160). That is, the porthole data collection unit 310 of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collects a plurality of vehicle-specific porthole data from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다음으로,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가 동일 지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한다(S170). 즉,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의 포트홀 데이터 비교 분석부(320)가 동일 지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포트홀 여부를 2차적으로 인식한다.Next,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compares and analyzes at least one or more porthole data for the same point (S170). That is, the porthole data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320 of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compares and analyzes at least one porthole data with respect to the same point to secondarily recognize whether the porthole exists.

다음으로,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가 포트홀 보수를 결정한다(S180). 즉,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의 포트홀 보수 결정부(330)가 포트홀 보수를 결정한다.Next,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determines a porthole repair (S180). That is, the port hole repair determination unit 330 of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determines the port hole repair.

다음으로,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의 포트홀 보수정보 전송부(340)가 포트홀 보수정보를 포트홀 보수팀 단말(400)로 전송한다(S190). 여기서, 상기 포트홀 보수팀 단말(400)은 포트홀 보수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포트홀 보수 차량은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상기 포트홀 데이터에 따라 상기 포트홀을 보수할 수 있다.Next, the port hall maintenance information transmitter 340 of the port hall management server 300 transmits the port hall maintenance information to the port hall maintenance team terminal 400 (S190). Here, the porthole repair team terminal 400 is provided in a porthole maintenance vehicle, and the porthole repair vehicle can repair the porthole according to the porthole data received from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100)은 도로 주행 중에 도로포장의 도로노면 영상을 수집하여 포트홀 여부를 1차적으로 인식하고,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100)으로부터 전송된 동일 지점의 포트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포트홀 여부를 2차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primarily recognizes the presence of a porthole by collecting a road surface image of road pavement while driving on the road, and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recognizes the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The portable terminal can recognize the portability of the por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orthole data of the same point.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광범위한 도로를 항시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실시간 버스 또는 택시 등에 장착되어 있는 차량 정보관리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하고, 버스 또는 택시에 저가형 영상 프로세싱 장치인 포트홀 인식 모듈을 장착시킴으로써, 실시간으로 도로를 노선별로 조사하고, 일정 크기 이상의 포트홀 영상이 인식되면, 해당 포트홀 위치를 관리주체에게 통보함으로써 관리주체가 정확한 포트홀 위치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포트홀 관련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tegrate a vehicl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mounted on a real-time bus or a taxi, which can consistently cover a wide range of existing roads, By installing the module, it is possible to investigate roads on a route basis in real time. When a porthole image of a predetermined size or larger is recognized, the management entity notifies the management entity of the porthole location so that the management entity can secure the porthole- .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포트홀 인식 차량(택시 또는 버스)
200: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
300: 포트홀 관리 서버
400: 포트홀 보수팀 단말
110a, 110b, 110n: 제1 차량 ~ 제N 차량
120: 포트홀 인식 모듈
121: 카메라
122: GPS 모듈
123: 포트홀 인식부
124: 데이터 처리부
125: 데이터 전송부
310: 포트홀 데이터 수집부
320: 포트홀 데이터 비교 분석부
330: 포트홀 보수 결정부
340: 포트홀 보수정보 전송부
100: PORTHALL RECOGNITION VEHICLE (TAXI OR BUS)
200: vehicle driving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300: Porthole management server
400: Porthole maintenance team terminal
110a, 110b, 110n: first to Nth vehicles
120: Porthole recognition module
121: camera
122: GPS module
123: Porthole recognition section
124:
125: Data transfer unit
310: Porthole data collection unit
320: Porthole data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330: Porthall repair decision section
340: Port hole maintenanc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Claims (11)

도로포장의 포트홀(Pot-Hole)을 인식하기 위한 포트홀 인식 모듈(120)이 각각 탑재된 제1 차량 내지 제N 차량(110a~110n)으로서, 도로 주행 중에 도로포장의 도로노면 영상을 수집하여 포트홀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포트홀이 인식된 경우 포트홀 영상 및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100);
차량과 인프라간(Vehicle To Infrastructure: V2I)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100)에서 각각 전송된 포트홀 영상 및 위치정보를 취합하여 차량별 포트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 및
상기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로부터 차량별 포트홀 데이터를 수신하여, 포트홀 보수 여부를 결정하는 포트홀 관리 서버(300)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100)은 광범위한 도로를 항시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택시 또는 버스이고, 상기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는 상기 V2I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택시 또는 버스와 통신할 수 있도록 기구축된 것을 이용하며,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는,
상기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로부터 차량별 포트홀 데이터를 수집하는 포트홀 데이터 수집부(310);
동일 지점에 대한 상기 차량별 포트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포트홀 여부를 2차적으로 인식하는 포트홀 데이터 비교 분석부(320);
상기 포트홀 데이터 비교 분석부(320)에서 비교 분석된 포트홀을 상기 포트홀의 크기 및 깊이에 따라 보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포트홀 보수 결정부(330); 및
상기 포트홀 보수 결정부(330)에서 포트홀 보수가 결정되면 상기 포트홀 데이터를 포트홀 보수팀 단말(400)에게 전송하는 포트홀 보수정보 전송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포트홀 보수팀 단말(400)은 포트홀 보수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포트홀 보수 차량은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상기 포트홀 데이터에 따라 상기 포트홀을 보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
First to Nth vehicles 110a to 110n each equipped with a porthole recognition module 120 for recognizing a pot-hole of a road pavement, collect road road surface images of road pavement during road driving,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for recognizing whether the porthole is recognized and generating a porthole image and position information when the porthole is recognized;
A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for collecting port-hole images and positio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through a vehicle-to-infrastructure (V2I)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ting port- 200); And
And a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for receiving vehicle-specific porthole data from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and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porthole maintenance,
The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is a taxi or bus that can constantly cover a wide range of roads and the vehicle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can communicate with the taxi or bus through the V2I communication network , Which is based on what has been constructed,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A porthole data collection unit 310 for collecting porthole data for each vehicle from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A porthole data comparison / analysis unit 320 for comparing the porthole data for each vehicle with respect to the same point and recognizing the porthole in a secondary manner;
A port hole compensation determiner 330 for determining whether to repair the porthole comparatively analyzed by the porthole data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320 according to the size and depth of the porthole; And
And a port hole complemen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340 for transmitting the porthole data to the porthole repair team terminal 400 when the porthole repair determining unit 330 determines that the porthole repair is determined,
Wherein the porthole repair team terminal (400) is provided in a porthole maintenance vehicle, and the porthole repair vehicle repairs the porthole according to the porthole data received from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PORTHOLE DATA PROCESSING SYSTEM FOR ROAD PACK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100)은 도로 주행 중에 도로포장의 도로노면 영상을 수집하여 포트홀 여부를 1차적으로 인식하고,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100)으로부터 전송된 동일 지점의 포트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포트홀 여부를 2차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collects a road surface image of road pavement during road running to primarily recognize whether a porthole exists, and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recognizes the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Wherein the port-hole data is secondarily recogniz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ort-hole data of the same point transmitted from the port-port data manag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100)으로부터 전송된 동일 지점의 포트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상기 포트홀의 보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포트홀의 보수를 위해 포트홀 보수팀 단말(400)에게 포트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to repair the porthol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ame point porthole data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And transmitting the porthole data to the porthole data process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홀 인식 모듈(120)은,
상기 포트홀 인식 차량(100)에 탑재되어, 도로포장의 도로노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21);
상기 포트홀 인식 차량(100)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포트홀 인식 차량(100)에 탑재되는 GPS 모듈(122);
상기 카메라(121)에서 촬영된 도로노면 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정지영상 내의 포트홀 여부를 1차적으로 인식하는 포트홀 인식부(123);
상기 포트홀 인식부(123)에 의해 포트홀이 1차적으로 인식된 경우, 상기 GPS 모듈(122)에 기반한 상기 포트홀 인식 차량(100)의 위치정보에 따라 포트홀 영상 및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124);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124)에서 생성된 포트홀 영상 및 위치정보를 V2I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125)
를 포함하는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시스템.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porthole recognition module (120)
A camera (121) mounted on 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for photographing a road surface image of road pavement;
A GPS module (122) mounted on 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to generat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A porthole recognizing unit 123 for extracting a still image from the road surfac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21 and primarily recognizing whether or not a port is present in the still image;
A data processor 124 for generating a porthole image and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based on the GPS module 122 when the porthole is primarily recognized by the porthole recognizer 123, );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125 for transmitting the port-hole image and the positiona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124 to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the V2I communication network,
A porthole data processing system for road pavement using a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삭제delete 삭제delete a) 포트홀 인식 모듈(120)이 각각 탑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들(100)이 각각 도로를 주행하면서 도로 노면을 촬영하여 도로 노면 영상을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촬영된 도로 노면 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된 정지영상으로부터 포트홀을 인식하여 포트홀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d) GPS 모듈(121)에 따른 포트홀 인식 차량(100)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포트홀 영상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포트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e) 차량과 인프라간(Vehicle To Infrastructure: V2I) 통신 네트워크(Communication Network)를 통해 포트홀 데이터를 기구축된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가 포트홀 데이터를 포트홀 관리 서버(300)로 전달하는 단계;
g)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가 동일 지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는 단계;
h)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가 포트홀 보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i)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가 포트홀 보수정보를 포트홀 보수팀 단말(40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100)은 광범위한 도로를 항시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택시 또는 버스이고, 상기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는 상기 V2I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택시 또는 버스와 통신할 수 있도록 기구축되며,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는,
상기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로부터 차량별 포트홀 데이터를 수집하는 포트홀 데이터 수집부(310);
동일 지점에 대한 상기 차량별 포트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포트홀 여부를 2차적으로 인식하는 포트홀 데이터 비교 분석부(320);
상기 포트홀 데이터 비교 분석부(320)에서 비교 분석된 포트홀을 상기 포트홀의 크기 및 깊이에 따라 보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포트홀 보수 결정부(330); 및
상기 포트홀 보수 결정부(330)에서 포트홀 보수가 결정되면 상기 포트홀 데이터를 포트홀 보수팀 단말(400)에게 전송하는 포트홀 보수정보 전송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i) 단계의 포트홀 보수팀 단말(400)은 포트홀 보수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포트홀 보수 차량은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상기 포트홀 데이터에 따라 상기 포트홀을 보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방법.
a) capturing a road surface image by photographing a road surface while each of the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s (100) on which the porthole recognition module (120) is mounted travels on the road;
b) extracting a still image from the photographed road surface image;
c) generating a porthole image by recognizing the porthole from the extracted still image;
d) generating porthole data including the porthole image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according to the GPS module 121;
e) transmitting the porthole data to the vehicle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the vehicle-to-infrastructure (V2I) communication network;
f) transmitting the porthole data to the port management server 300 by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g) comparing the at least one porthole data for the same point with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h) determining that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performs a porthole repair; And
i)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transmits porthole maintenance information to the porthole maintenance team terminal 400,
The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is a taxi or bus that can constantly cover a wide range of roads and the vehicle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can communicate with the taxi or bus through the V2I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A porthole data collection unit 310 for collecting porthole data for each vehicle from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A porthole data comparison / analysis unit 320 for comparing the porthole data for each vehicle with respect to the same point and recognizing the porthole in a secondary manner;
A port hole compensation determiner 330 for determining whether to repair the porthole comparatively analyzed by the porthole data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320 according to the size and depth of the porthole; And
And a port hole complemen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340 for transmitting the porthole data to the porthole repair team terminal 400 when the porthole repair determining unit 330 determines that the porthole repair is determined,
Wherein the porthole repair team terminal (400) of the step i) is provided in a porthole maintenance vehicle, and the porthole repair vehicle repairs the porthole according to the porthole data received from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METHOD OF PROCESSING PORTAL HOLE DATA IN ROAD PAVING USING COMMUNICATION NETWORK)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100)은 도로 주행 중에 도로포장의 도로노면 영상을 수집하여 포트홀 여부를 1차적으로 인식하고, 상기 포트홀 관리 서버(30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홀 인식 차량(100)으로부터 전송된 동일 지점의 포트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포트홀 여부를 2차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collects a road surface image of road pavement during road running to primarily recognize whether a porthole exists, and the porthole management server 300 recognizes the at least on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And comparing the porthole data of the same point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lephone network with the porthole data of the same loc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포트홀 인식 모듈(120)은,
상기 포트홀 인식 차량(100)에 탑재되어, 도로포장의 도로노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21);
상기 포트홀 인식 차량(100)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포트홀 인식 차량(100)에 탑재되는 GPS 모듈(122);
상기 카메라(121)에서 촬영된 도로노면 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정지영상 내의 포트홀 여부를 1차적으로 인식하는 포트홀 인식부(123);
상기 포트홀 인식부(123)에 의해 포트홀이 1차적으로 인식된 경우, 상기 GPS 모듈(122)에 기반한 상기 포트홀 인식 차량(100)의 위치정보에 따라 포트홀 영상 및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124);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124)에서 생성된 포트홀 영상 및 위치정보를 V2I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차량 운행정보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125)를 포함하는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도로포장의 포트홀 데이터 처리 방법.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porthole recognition module (120)
A camera (121) mounted on 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for photographing a road surface image of road pavement;
A GPS module (122) mounted on 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to generat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A porthole recognizing unit 123 for extracting a still image from the road surfac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21 and primarily recognizing whether or not a port is present in the still image;
A data processor 124 for generating a porthole image and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porthole recognition vehicle 100 based on the GPS module 122 when the porthole is primarily recognized by the porthole recognizer 123, ); And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125) for transmitting the porthole image and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124) to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200) via the V2I communication network Data processing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024981A 2015-02-23 2015-02-23 System for processing pot-hole data of road pavement using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5433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981A KR101543342B1 (en) 2015-02-23 2015-02-23 System for processing pot-hole data of road pavement using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981A KR101543342B1 (en) 2015-02-23 2015-02-23 System for processing pot-hole data of road pavement using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3342B1 true KR101543342B1 (en) 2015-08-11

Family

ID=5406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981A KR101543342B1 (en) 2015-02-23 2015-02-23 System for processing pot-hole data of road pavement using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342B1 (en)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233B1 (en) 2015-12-23 2017-06-27 한국도로공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road surface condition
CN107103775A (en) * 2017-05-18 2017-08-29 西安理工大学 A kind of road quality detection method calculated based on gunz
KR101883295B1 (en) 2017-11-14 2018-08-30 주식회사 한울씨앤비 Road condition sensing apparatus and road paveme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reof
CN108682152A (en) * 2018-05-31 2018-10-19 重庆大学 A kind of bus abnormal data restorative procedure based on preceding car data
KR20180136601A (en) * 2017-06-14 2018-12-26 사단법인 충남산학융합원 Pothole detector and Pothole management system
KR101999793B1 (en) * 2018-10-29 2019-07-12 (주)케이웍스 System for Measuring Pothole of Road and Method Thereof
KR102026686B1 (en) 2018-11-12 2019-11-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providing dangerous road information using connected car and server for generating deep-learning model
KR102026685B1 (en) 2018-11-12 2019-11-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server for providing dangerous road information using image data and vibration
KR102055585B1 (en) * 2018-10-29 2019-12-13 (주)케이웍스 System for Measuring Pothole of Road and Method Thereof
KR20200007165A (en) 2018-07-12 2020-01-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ot-hole detection system using vision sensor mounted on unmanned air vehicle,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084668B1 (en) * 2018-10-15 2020-03-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using pot hole
KR102094341B1 (en) 2018-10-02 2020-03-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for analyzing pot hole data of road pavement using AI and for the same
KR20200059505A (en) * 2018-11-21 2020-05-29 (주)아와소프트 WEB GIS-based Intelligent Road Risk Management System
KR102119033B1 (en) 2019-09-27 2020-06-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marking information using image data and vibration
KR102167292B1 (en) 2020-04-24 2020-10-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tatus information
KR102167291B1 (en) 2020-04-24 2020-10-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tatus information
KR102235232B1 (en) * 2019-11-15 2021-04-02 주식회사 아이티텔레콤 Pot hol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g data using v2x communication
KR102252369B1 (en) * 2019-11-27 2021-05-14 (주)아와소프트 CCTV linked Pothole real-time monitoring method
KR20210143465A (en) 2020-05-20 2021-11-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Deep learning based road crack detection device using black box image and road crack detec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KR20220132841A (en) 2021-03-24 2022-10-04 주식회사 에어플 Roa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KR20220135812A (en) 2021-03-31 2022-10-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manhole information
KR102613308B1 (en) * 2023-04-27 2023-12-13 노왕건 Road management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2667A (en) * 2005-09-06 2007-03-22 Denso Corp Road abnormality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road repair bidding system, and road management and repair system
JP2009266136A (en) 2008-04-29 2009-11-12 Mitsubishi Electric Corp Road structure abnormality detector
KR101066081B1 (en) * 2011-04-04 2011-09-20 (주)에코맥스 Smart information detection system mounted on the vehicle and smart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012123495A (en) 2010-12-07 2012-06-28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Traveling environment recogni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2667A (en) * 2005-09-06 2007-03-22 Denso Corp Road abnormality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road repair bidding system, and road management and repair system
JP2009266136A (en) 2008-04-29 2009-11-12 Mitsubishi Electric Corp Road structure abnormality detector
JP2012123495A (en) 2010-12-07 2012-06-28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Traveling environment recognition device
KR101066081B1 (en) * 2011-04-04 2011-09-20 (주)에코맥스 Smart information detection system mounted on the vehicle and smart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233B1 (en) 2015-12-23 2017-06-27 한국도로공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road surface condition
CN107103775A (en) * 2017-05-18 2017-08-29 西安理工大学 A kind of road quality detection method calculated based on gunz
KR102185769B1 (en) * 2017-06-14 2020-12-03 구경완 Pothole detector and Pothole management system
KR20180136601A (en) * 2017-06-14 2018-12-26 사단법인 충남산학융합원 Pothole detector and Pothole management system
KR101883295B1 (en) 2017-11-14 2018-08-30 주식회사 한울씨앤비 Road condition sensing apparatus and road paveme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reof
CN108682152A (en) * 2018-05-31 2018-10-19 重庆大学 A kind of bus abnormal data restorative procedure based on preceding car data
CN108682152B (en) * 2018-05-31 2021-01-15 重庆大学 Bus abnormal data restoration method based on preceding bus data
KR20200007165A (en) 2018-07-12 2020-01-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ot-hole detection system using vision sensor mounted on unmanned air vehicle,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094341B1 (en) 2018-10-02 2020-03-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for analyzing pot hole data of road pavement using AI and for the same
KR102084668B1 (en) * 2018-10-15 2020-03-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using pot hole
KR101999793B1 (en) * 2018-10-29 2019-07-12 (주)케이웍스 System for Measuring Pothole of Road and Method Thereof
KR102055585B1 (en) * 2018-10-29 2019-12-13 (주)케이웍스 System for Measuring Pothole of Road and Method Thereof
KR102026686B1 (en) 2018-11-12 2019-11-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providing dangerous road information using connected car and server for generating deep-learning model
KR102026685B1 (en) 2018-11-12 2019-11-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server for providing dangerous road information using image data and vibration
KR102171295B1 (en) * 2018-11-21 2020-10-28 (주)아와소프트 WEB GIS-based Intelligent Road Risk Management System
KR20200059505A (en) * 2018-11-21 2020-05-29 (주)아와소프트 WEB GIS-based Intelligent Road Risk Management System
KR102119033B1 (en) 2019-09-27 2020-06-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marking information using image data and vibration
KR102235232B1 (en) * 2019-11-15 2021-04-02 주식회사 아이티텔레콤 Pot hol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g data using v2x communication
KR102252369B1 (en) * 2019-11-27 2021-05-14 (주)아와소프트 CCTV linked Pothole real-time monitoring method
KR102167292B1 (en) 2020-04-24 2020-10-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tatus information
KR102167291B1 (en) 2020-04-24 2020-10-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tatus information
KR20210143465A (en) 2020-05-20 2021-11-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Deep learning based road crack detection device using black box image and road crack detec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KR20220132841A (en) 2021-03-24 2022-10-04 주식회사 에어플 Roa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KR20220135812A (en) 2021-03-31 2022-10-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manhole information
KR102613308B1 (en) * 2023-04-27 2023-12-13 노왕건 Road management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3342B1 (en) System for processing pot-hole data of road pavement using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the same
US10967869B2 (en) Road surface condition estimation apparatus and road surface condition estimation method
RU2686159C2 (en) Detection of water depth for planning and monitoring vehicle route
CN102141478B (en) Abnormality detection apparatus
JP6971020B2 (en) Anomaly detection device and anomaly detection method
KR1016968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lip condition of road surface using characteristics of moving vehicle
CN104925001A (en) Vehicle sensor diagnosis system and method and a vehicle comprising such a system
JP2022058543A (en) Optical fiber sensing for highway maintenance
CN102963361A (en)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safety system
JP2020013537A (en) Road surface condition estimation device and road surface condition estimation method
US7831348B2 (en) Failure detection device, failure detection system and failure detection method
JP2023153776A (en) Accident determination device
CN112289056A (en) Road side equipment, road side system, vehicle-mounted equipment and road prediction method
US11380142B2 (en) Method for measuring a driving event, server device, and system comprised of the server device and a plurality of motor vehicles
KR20140119471A (en) System for correcting and providing real-time dangerous road-section information based on device in the car and its method
KR20200007165A (en) Pot-hole detection system using vision sensor mounted on unmanned air vehicle,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750939B1 (en) System for predicting road surface condition using moving vehicle, and predicting method for the same
Urano et al. Road surface condition inspection using a laser scanner mounted on an autonomous driving car
Mercelis et al. Towards detection of road weather conditions using large-scale vehicle fleets
US11685373B2 (en) Method for sensing and processing the carriageway condition of a carriageway on which a vehicle is driven
KR20200048229A (en) System for providing slip information of road surface using vehicle sensor data,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327835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Pothole
KR102312382B1 (en) System for providing slip information of road surface using wheel speen sensor of vehicle and gravitational acceleration sensor,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768380B1 (en) Road diagnostics system
CN105575117A (en) Vehicle bottom det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