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688B1 - 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688B1
KR101542688B1 KR1020140029905A KR20140029905A KR101542688B1 KR 101542688 B1 KR101542688 B1 KR 101542688B1 KR 1020140029905 A KR1020140029905 A KR 1020140029905A KR 20140029905 A KR20140029905 A KR 20140029905A KR 101542688 B1 KR101542688 B1 KR 101542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ever
link
slo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9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한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9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68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6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invention related to a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The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key lever which is installed on a case to be rotatable; a locking lever which is installed on the case to be rotatable, and is formed to connect a locking slot and an unlocking slot; an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which is installed on a rotation shaft of the locking lever to be rotatable and has a movement slot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nlocking slot; a locking link unit which is installed on the case to be rotatable, is movably coupled to the unlocking slot and the movement slot, and has a key lever coupling groove in order for the key lever to be movably accommodated therein; a force transmission lever which is coupled to the case to be rotatable, and is movably coupled to the locking link unit; and an operating unit which allows the locking link unit to be moved to the unlocking slot or the locking slot as the force transmission lever is rotated.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외부에서 도어를 록킹 및 언록킹시킬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lock and unlock a door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가 설치된다. 운전자가 도어의 내부 손잡이 또는 외부 손잡이를 당기거나 선택 버튼을 누르면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가 도어를 록킹한다. 도어가 록킹되면, 내부 손잡이와 외부 손잡이를 당기더라도 도어가 록킹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는 차량의 외부에서 키를 키홈에 삽입한 후 키를 돌리더라도 도어의 록킹 상태가 풀리지 않는다.Generally, a vehicle door lock device is installed in the vehicle. When the driver pulls the inner handle or the outer handle of the door or presses the select button, the vehicle door lock locks the door. When the door is locked, the door remains locked even if the inner handle and the outer handle are pulled. Further, in a state where the door is locked, the locking state of the door is not released even if the key is turned after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종래에는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한 후 키를 이용하거나 또는 운전석에서 버튼을 눌러 도어의 록킹 및 언록킹시킨다. 따라서, 운전자가 도어를 록킹 및 언록킹시키기 불편함이 있었다.Conventionally, the driver locks and unlocks the door by using the key after approaching the vehicle or pressing the button in the driver's seat. Therefore, there has been an inconvenience for the driver to lock and unlock the door.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20776호(2008. 03. 06 공개, 발명의 명칭: 자동차 충돌시 자동 해제되는 도어 언록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8-0020776 (published on Mar. 06, 2008, entitled "Door unlocking device automatically canceled in the event of a car collis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외부에서 도어를 록킹 및 언록킹시킬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locking device for a vehicle which can lock and unlock a door from the outside of a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는: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 레버;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록킹 슬롯과 언록킹 슬롯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록킹 레버; 상기 록킹 레버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언록킹 슬롯에 대응되도록 이동 슬롯이 형성되는 외력 전달 레버;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언록킹 슬롯과 상기 이동 슬롯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키 레버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키 레버 결합홈이 형성되는 록킹 링크부;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록킹 링크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력 전달 레버; 및 상기 동력 전달 레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록킹 링크부가 상기 언록킹 슬롯 또는 상기 록킹 슬롯으로 이동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key lever rotatably installed in a case; A locking lev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se, the locking lever being formed to be connected to a locking slot and an unlocking slot; An external force transmitting lever rotatably installed on a rotating shaft of the locking lever and having a moving slot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nlocking slot; A locking link portion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se and movably coupled to the unlocking slot and the mobile slot, the locking lever having a key lever coupling groove formed therein for movably receiving the key lever; A power transmission lever rotatably coupled to the case and movably coupled to the locking link portion; And a driving unit for causing the locking link portion to be moved to the unlocking slot or the locking slot by rotating the power transmission lever.

상기 록킹 링크부는, 상기 언록킹 슬롯과 상기 이동 슬롯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링크에 링크 결합되는 제2 링크; 상기 제2 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키 레버 결합홈이 형성되는 키 레버 결합부; 및 상기 동력 전달 레버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2 링크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보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cking link portion includes a first link movably coupled to the unlocking slot and the mobile slot; A second link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se, the second link being linked to the first link; A key lever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and having the key lever coupling groove formed therein; And a boss protruding from the second link such that the power transmission lever is movably coupled to the boss.

상기 제2 링크는 굴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부에는 상기 제1 링크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키 레버 결합부가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link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so that the first link may be coupled to the first link and the key lever coupling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link.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언록킹 슬롯과 상기 이동 슬롯에 슬라이드핀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link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unlocking slot and the mobile slot by a slide pin.

상기 록킹 슬롯은 상기 록킹 레버의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언록킹 슬롯은 상기 록킹 레버에서 상기 록킹 링크부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locking slot may be form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locking lever, and the unlocking slot may extend from the locking lever toward the locking link portion.

상기 동력 전달 레버에는 상기 보스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도록 보스 이동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boss moving part may be formed on the power transmission lever so that the boss is movably coupled.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부가 구동됨에 따라 구동 레버가 록킹 슬롯과 언록킹 슬롯으로 이동되므로, 차량의 외부에서 도어를 록킹 및 언록킹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iving lever is moved to the locking slot and the unlocking slot as the driving portion is driven, the door can be locked and unlocked from outside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구동부의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구동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록킹 레버와 록킹 링크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구동부, 록킹 레버와 록킹 링크부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록킹 레버와 록킹 링크부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구동부의 록킹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구동부의 록킹 상태에서 외력 전달 레버가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구동부의 언록킹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키 록킹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키 언록킹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oor lock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ousing of a driving unit is removed from a door lock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riving unit is removed from a door lock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locking lever and a locking link portion in a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driving unit, a locking lever, and a locking link in a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locking lever and a locking link portion in a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locking state of a driving unit in a door lock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is rotated in a locked state of a driving unit in a door lock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unlocking state of a driving unit in a door lock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keylocking state in a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key unlocking state in a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course of describing the door locking device for a vehicle,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구동부의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구동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록킹 레버와 록킹 링크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구동부, 록킹 레버와 록킹 링크부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록킹 레버와 록킹 링크부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riving unit is removed from a door lock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locking lever and a locking link in the door lock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driving unit, a locking lever, and a locking link in a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locking lever and a locking link portion in a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는 키 레버(110), 록킹 레버(120), 외력 전달 레버(130), 록킹 링크부(140), 동력 전달 레버(150) 및 구동부(160)를 포함한다. 1 to 6, a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lever 110, a locking lever 120, an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30, a locking link portion 140, A lever 150 and a driving unit 160.

키 레버(110)는 케이스(10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케이스(101)에는 키 모듈(115)이 설치되고, 키 모듈(115)에는 키 레버(1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키 모듈(115)에는 키를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키 홈부(미도시)가 형성된다. 키 레버(110)에는 일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가압 리브(113)가 형성된다.The key lever 11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se 101. At this time, a key module 115 is installed in the case 101, and a key lever 11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key module 115. A key groove (not shown) is formed in the key module 115 so that the key can be inserted and rotated. The key lever 110 is formed with a pressurizing rib 113 which is curved to one side.

록킹 레버(120)는 케이스(10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를 오픈(개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록킹 레버(120)는 회전축(121)에 의해 케이스(101)에 설치되며, 회전축(121)과 함께 회전된다.The locking lever 12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se 101 and opens (opens) the door. More specifically, the locking lever 120 is installed in the case 101 by the rotating shaft 121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121.

록킹 레버(120)에는 록킹 슬롯(123)과 언록킹 슬롯(125)이 연결된다. 록킹 슬롯(123)은 록킹 레버(120)의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록킹 슬롯(123)은 록킹 레버(120)의 회전축(121)으로부터 일정 반경의 거리에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언록킹 슬롯(125)은 록킹 레버(120)에서 록킹 링크부(140)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록킹 슬롯(123)과 언록킹 슬롯(125)은 직각보다 큰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된다. A locking slot 123 and an unlocking slot 125 are connected to the locking lever 120. A locking slot 123 is form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locking lever 120. At this time, the locking slot 123 is formed in an arc shape at a distance of a certain radius from the rotation axis 121 of the locking lever 120. The unlocking slot 125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locking lever 120 to the locking link portion 140 side. The locking slot 123 and the unlocking slot 125 are connected to form an angle larger than a right angle.

외력 전달 레버(130)는 록킹 레버(120)의 회전축(1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외력 전달 레버(130)의 회전 중심은 록킹 레버(120)의 회전 중심과 동심원상에 배치된다. 록킹 레버(120)와 외력 전달 레버(130가 동일한 회전축(121)에 서로 개별적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므로, 레버들의 설치 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3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121 of the locking lever 120. At this time,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30 is disposed concentrically with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locking lever 120. Since the locking lever 120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30 are provided to rotate on the same rotation axis 121 individually,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levers can be reduced.

외력 전달 레버(130)에는 언록킹 슬롯(125)과 대응되도록 이동 슬롯(133)이 형성된다. 이때, 이동 슬롯(133)은 록킹 레버(120)의 언록킹 슬롯(125)과 서로 겹쳐져 하나의 슬롯처럼 보이게 된다.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30 is formed with a mobile slot 133 so as to correspond to the unlocking slot 125. At this time, the mobile slot 133 overlaps with the unlocking slot 125 of the locking lever 120 and looks like one slot.

록킹 링크부(140)는 케이스(101)에 회전축(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를 록킹 또는 언록킹한다. 록킹 링크부(140)의 회전축은 록킹 레버(120)의 회전축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록킹 링크부(140)는 언록킹 슬롯(125)과 이동 슬롯(133)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링크 결합된다. 록킹 링크부(140)에는 키 레버(110)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키 레버 결합홈(147)이 형성된다. 이러한 록킹 링크부(140)의 일 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locking link portion 14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case 101 by a rotation shaft (not shown), and locks or unlocks the door. The rotation axis of the locking link portion 140 is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locking lever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locking link portion 140 is linked to be movable along the unlocking slot 125 and the movable slot 133. The locking link portion 140 is formed with a key lever engaging groove 147 so that the key lever 110 is movably received. An example of the locking link portion 140 will be described.

록킹 링크부(140)는 제1 링크(141), 제2 링크(142), 키 레버 결합부(146) 및 보스(148)를 포함한다.The locking link portion 140 includes a first link 141, a second link 142, a key lever coupling portion 146, and a boss 148.

제1 링크(141)는 언록킹 슬롯(125)과 이동 슬롯(13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1 링크(141)의 단부가 언록킹 슬롯(125)에 슬라이드핀(144)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링크(141)가 이동됨에 따라 슬라이드핀(144)은 겹쳐진 언록킹 슬롯(125)과 이동 슬롯(133)을 따라 이동된다. The first link 141 is movably coupled to the unlocking slot 125 and the mobile slot 133. That is, the end of the first link 141 is movably coupled to the unlocking slot 125 by the slide pin 144. As the first link 141 is moved, the slide pin 144 is moved along the overlapping unlocking slot 125 and the movement slot 133.

제2 링크(142)는 케이스(101)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링크(141)에 링크 결합된다. 제2 링크(142)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 링크(141)가 언록킹 슬롯(125)과 이동 슬롯(133)을 따라 이동된다. 제1 링크(141)와 제2 링크(142)는 핀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second link 142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case 101 and is linked with the first link 141. The first link 141 is moved along the unlocking slot 125 and the movement slot 133 as the second link 142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The first link 141 and the second link 142 are rotatably provided to each other by a pin.

제2 링크(142)는 굴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2 링크(142)의 일단부에는 제1 링크(141)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키 레버 결합부(146)가 연결된다. 제2 링크(142)의 굴곡부는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축에는 제2 링크(142)를 윈위치로 회전시키도록 탄성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제1 링크(141)가 제2 링크(142)의 회전축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제2 링크(142)에 결합되므로, 제2 링크(142)가 조금 회전되더라도 제1 링크(141)의 이동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링크(141)가 제2 링크(142)의 회전축에서 멀리 위치될수록, 제2 링크(142)의 회전 각도에 대한 제1 링크(141)의 이동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링크(142)의 회전축과 제1 링크(141)와의 거리는 이동 슬롯(133)의 길이와 록킹 슬롯(123)의 길이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second link 142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e first link 141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link 142 and the key lever coupling portion 146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The bent portion of the second link 14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An elastic member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rotary shaft to rotate the second link 142 to the win position. The first link 141 is coupled to the second link 142 such that the first link 141 is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link 14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even if the second link 142 rotates a little, . The distance of movement of the first link 141 with respect to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second link 142 can be increased as the first link 141 is located farther from the rotational axis of the second link 142. [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link 142 and the first link 141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the mobile slot 133 and the length of the locking slot 123. [

키 레버 결합부(146)는 제2 링크(142)에 연결된다. 키 레버 결합부(146)에는 키 레버 결합홈(147)이 형성된다. 키 레버 결합부(146)는 대략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키 레버 결합홈(147)에는 키 레버(11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키 레버 결합부(146)는 제2 링크(142)에 일체로 형성된다.The key lever engaging portion 146 is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142. The key lever engaging portion 146 is formed with a key lever engaging groove 147. The key lever engaging portion 146 is approximately "?" . ≪ / RTI > The key lever 110 is movably installed in the key lever engaging groove 147. The key lever engaging portion 146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link 142.

보스(148)는 동력 전달 레버(15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2 링크(142)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보스(148)는 제2 링크(142)의 평면과 수직하게 돌출된다.The boss 148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link 142 so that the power transmission lever 150 is movably coupled. The boss 148 projects perpendicularly to the plane of the second link 142.

동력 전달 레버(150)는 케이스(1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동력 전달 레버(150)가 설치되는 회전축은 록킹 링크부(140)의 회전축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동력 전달 레버(150)는 록킹 링크부(14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동력 전달 레버(150)가 록킹 링크부(14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록킹 링크부(140)가 이동될 때에 보스(148)가 동력 전달 레버(150)와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power transmitting lever 15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ase 101. The rotation shaft o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lever 150 is installed is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locking link portion 140. The power transmission lever 150 is movably coupled to the locking link portion 140. Since the power transmission lever 150 is movably engaged with the locking link portion 140, the boss 148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power transmission lever 150 when the locking link portion 140 is moved.

동력 전달 레버(150)에는 보스(148)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도록 보스 이동부(153)가 형성된다. 보스 이동부(153)의 길이는 보스(148)가 이동되는 최대 거리만큼 형성된다. 즉, 보스 이동부(153)의 길이는 록킹 링크부(140)가 록킹 상태와 언록킹 상태로 이동될 때에 보스(148)가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록킹 링크부(140)가 록킹 상태와 언록킹 상태로 이동된 상태에서 동력 전달 레버(150)가 회전되더라도 보스(148)와 보스 이동부(153)가 간섭되지 않게 된다. A boss moving portion 153 is formed in the power transmission lever 150 so that the boss 148 is movably coupled. The length of the boss moving part 153 is formed by a maximum distance at which the boss 148 is moved. That is, the length of the boss moving part 153 is formed to be long enough to allow the boss 148 to freely move when the locking link part 140 is moved to the locked state and the unlocked state. Therefore, even if the power transmitting lever 150 is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link portion 140 is moved in the locked state and the unlocked state, the boss 148 and the boss moving portion 153 are not interfered.

구동부(160)는 동력 전달 레버(150)를 회전시킴에 따라 록킹 링크부(140)가 언록킹 슬롯(125) 또는 록킹 슬롯(123)으로 이동되게 한다. 구동부(160)가 동력 전달 레버(150)를 매개로 록킹 링크부(140)를 언록킹 슬롯(125)과 록킹 슬롯(123)으로 이동시키므로, 차량의 내부와 외부에서 도어 잠금 장치를 언록킹 및 록킹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The driving part 160 causes the locking link part 140 to move to the unlocking slot 125 or the locking slot 123 as the power transmitting lever 150 is rotated. The driving unit 160 moves the locking link unit 140 to the unlocking slot 125 and the locking slot 123 via the power transmission lever 150 so that the door lock unit is unlocked and unlocked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It can be controlled in a locked state.

구동부(160)는 하우징(105)의 내부에 배치된다. 하우징(105)은 동력 전달 레버(150)와 록킹 링크부(140)의 상측에 배치된다. 구동부(160)는 기어부(161), 샤프트 기어부(163) 및 모터부(165)를 포함한다. The driving unit 16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5. The housing 105 is disposed above the power transmission lever 150 and the locking link portion 140. The driving portion 160 includes a gear portion 161, a shaft gear portion 163, and a motor portion 165.

기어부(161)는 동력 전달 레버(150)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기어부(161)는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 둘레부에 톱니가 형성된다. 기어부(161)가 회전됨에 따라 동력 전달 레버(150)가 함께 회전된다.The gear portion 16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power transmission lever 150. The gear portion 161 is formed in a fan shape, and teeth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As the gear portion 161 rotates, the power transmission lever 150 rotates together.

샤프트 기어부(163)는 모터부(165)의 구동축과 동축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샤프트 기어부(163)의 외측면에는 기어부(161)의 톱니와 맞물리도록 나선형태의 기어가 형성된다.The shaft gear portion 163 is coaxial with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portion 165.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haft gear portion 163, a spiral gear is formed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teeth of the gear portion 161.

모터부(165)는 샤프트 기어부(163)의 회전 속도와 기어부(161)의 회전 각도를 고려하여 회전된다. 모터부(165)로는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스탭핑 모터를 적용할 수 있다.
The motor portion 165 is rotated in consideration o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haft gear portion 163 and the rotational angle of the gear portion 161. As the motor unit 165, a stepping motor capable of accurately controlling the rotation angle can be appli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는 구동부(160)에 의해 록킹 및 언록킹 상태가 되거나, 키 레버(110)를 조작함에 의해 록킹 및 언록킹 상태가 된다.The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is locked and unlocked by the driver 160 or locked and unlocked by operating the key lever 110. [

먼저,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가 구동부에 의해 록킹 상태로 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Firs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ase in which the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is locked by the driving portion.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구동부의 록킹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구동부의 록킹 상태에서 외력 전달 레버가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7 and 8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locking state of a driving unit in a door lock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is rotated.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차량의 외부에서 원격으로 차량키를 조작하거나 운전석에서 버튼을 조작하면, 모터부(165)가 구동된다. 7 to 9,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vehicle key remotely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or operates the button in the driver's seat, the motor unit 165 is driven.

모터부(165)가 구동됨에 따라 샤프트 기어부(16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샤프트 기어부(163)가 회전됨에 따라 기어부(161)가 일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도 7 참조). 기어부(161)가 회전됨에 따라 동력 전달 레버(150)가 일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And the shaft gear portion 163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s the motor portion 165 is driven. As the shaft gear portion 163 is rotated, the gear portion 16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counterclockwise direction) (see FIG. 7). As the gear portion 161 rotates, the power transmitting lever 15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counterclockwise).

록킹 링크부(140)의 보스(148)가 동력 전달 레버(150)의 보스 이동부(153)에 의해 일측(도 7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보스(148)가 이동됨에 따라 제2 링크(142)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링크(141)의 슬라이드핀(144)이 언록킹 슬롯(125)과 이동 슬롯(133)을 따라 이동되어 록킹 슬롯(123)으로 이동된다.The boss 148 of the locking link portion 140 is moved to one side (the upper side in Fig. 7) by the boss moving portion 153 of the power transmission lever 150. [ The second link 142 is rotated clockwise around the rotation axis as the boss 148 is moved and the slide pin 144 of the first link 141 is rotated in the unlocking slot 125 and the movement slot 133, And is then moved to the locking slot 123. [

슬라이드핀(144)이 록킹 슬롯(123)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외력 전달 레버(130)가 회전되더라도 슬라이드핀(144)이 록킹 슬롯(123)을 따라 이동된다. 즉, 외력 전달 레버(13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헛돌게 되고, 록킹 레버(120)는 회전되지 않는다(도 9 참조). 따라서, 외력 전달 레버(130)의 회전력이 록킹 레버(120)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록킹 레버(120)가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도어 잠금부가 도어를 구속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도어 록킹 상태가 유지된다.The slide pin 144 is moved along the locking slot 123 even i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30 is rotated while the slide pin 144 is moved to the locking slot 123. [ That is,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30 is idle about the rotation axis, and the locking lever 120 is not rotated (see FIG. 9). Therefore, sinc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lever 130 is not transmitted to the locking lever 120, the door locking portion maintains the state of restricting the door as the locking lever 120 is not rotated. Therefore, the door locking state is maintained.

다음으로,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가 구동부에 의해 언록킹 상태로 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case in which the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is brought into the unlocked state by the drive unit will be described.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구동부의 언록킹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10 and 11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unlocking state of a driving unit in a door lock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운전자가 차량의 외부에서 원격으로 차량키를 조작하거나 운전석에서 버튼을 조작하면, 모터부(165)가 록킹 상태의 반대로 구동된다. 10 and 11, when the driver manipulates the vehicle key remotely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or operates the button in the driver's seat, the motor unit 165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locked state.

모터부(165)가 구동됨에 따라 샤프트 기어부(163)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샤프트 기어부(163)가 회전됨에 따라 기어부(161)가 타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도 10 참조). 기어부(161)가 회전됨에 따라 동력 전달 레버(150)가 타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And the shaft gear portion 163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as the motor portion 165 is driven. As the shaft gear portion 163 is rotated, the gear portion 161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clockwise direction) (see FIG. 10). As the gear portion 161 rotates, the power transmitting lever 15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clockwise direction).

록킹 링크부(140)의 보스(148)가 동력 전달 레버(150)의 보스 이동부(153)에 의해 타측(도 10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보스(148)가 타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링크(142)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링크(141)의 슬라이드핀(144)이 록킹 슬롯(123)으로부터 언록킹 슬롯(125)과 이동 슬롯(133)의 단부까지 이동된다.The boss 148 of the locking link portion 140 is moved to the other side (the lower side in Fig. 10) by the boss moving portion 153 of the power transmission lever 150. [ The second link 142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bout the rotation axis as the boss 148 is moved to the other side and the slide pin 144 of the first link 141 is rotated from the locking slot 123 to the unlocking slot (125) and the end of the mobile slot (133).

슬라이드핀(144)이 언록킹 슬롯(125)과 이동 슬롯(133)의 단부로 이동되면, 외력 전달 레버(130)와 록킹 레버(120)가 슬라이드핀(144)에 의해 구속된다. 외력 전달 레버(130)가 회전되면, 슬라이드핀(144)이 외력 전달 레버(130)와 록킹 레버(120)를 구속하여 외력 전달 레버(130)와 록킹 레버(120)이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따라서, 외력 전달 레버(130)의 회전력이 록킹 레버(120)에 전달되므로, 도어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도어가 개방된다.When the slide pin 144 is moved to the end of the unlocking slot 125 and the movable slot 133,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lever 130 and the locking lever 120 are restrained by the slide pin 144. When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30 is rotated, the slide pin 144 restrains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30 and the locking lever 120 so that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30 and the locking lever 120 are rotated together. Therefore, sinc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30 is transmitted to the locking lever 120, the door is opened when the door handle is pulled.

다음으로,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가 키 록킹 상태로 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ase in which the vehicle door locking device is in the keylocking state.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키 록킹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12 and 13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keylocking state in a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운전자가 키홈에 키를 꼽고 키 레버(110)를 일측(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키 레버(110)의 가압 리브(113)가 키 레버(110)의 키 레버 결합부(146)를 일측(상측)으로 이동시킨다. 12 and 13, when the driver inserts the key into the key groove and rotates the key lever 110 to one side (counterclockwise), the pressing rib 113 of the key lever 110 pushes the key of the key lever 110 The lever coupling portion 146 is moved to one side (upper side).

키 레버 결합부(146)가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록킹 링크부(140)의 제2 링크(142)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측(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링크(141)의 슬라이드핀(144)이 언록킹 슬롯(125)과 이동 슬롯(133)을 따라 이동되어 록킹 슬롯(123)으로 이동된다.The second link 142 of the locking link part 140 is rotated on the other side (clockwise) about the rotation axis as the key lever engaging part 146 is moved to one side and the slide pin 144 are moved along the unlocking slot 125 and the mobile slot 133 and are moved to the locking slot 123.

슬라이드핀(144)이 록킹 슬롯(123)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외력 전달 레버(130)가 회전되더라도 슬라이드핀(144)이 록킹 슬롯(123)을 따라 이동된다. 즉, 외력 전달 레버(13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헛돌게 되고, 록킹 레버(120)는 회전되지 않는다(도 12 참조). 따라서, 외력 전달 레버(130)의 회전력이 록킹 레버(120)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록킹 레버(120)가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도어 잠금부가 도어를 구속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도어 록킹 상태가 유지된다.The slide pin 144 is moved along the locking slot 123 even i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30 is rotated while the slide pin 144 is moved to the locking slot 123. [ That is,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30 is idle about the rotation axis, and the locking lever 120 is not rotated (see FIG. 12). Therefore, sinc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lever 130 is not transmitted to the locking lever 120, the door locking portion maintains the state of restricting the door as the locking lever 120 is not rotated. Therefore, the door locking state is maintained.

다음으로,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가 키 언록킹 상태로 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case where the vehicle door lock device is in the key unlocking state will be described.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에서 키 언록킹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14 and 15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key unlocking state in a door lock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키홈에 키를 꼽고 키 레버(110)를 타측(시계방향)으로 돌리면, 키 레버(110)의 가압 리브(113)가 키 레버(110)의 키 레버 결합부(146)를 타측(하측)으로 이동시킨다.14 and 15, when the driver inserts the key into the key groove and turns the key lever 110 to the other side (clockwise direction), the pressing rib 113 of the key lever 110 presses the key lever 110 of the key lever 110 The engaging portion 146 is moved to the other side (lower side).

키 레버 결합부(146)가 타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록킹 링크부(140)의 제2 링크(142)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링크(141)의 슬라이드핀(144)이 록킹 슬롯(123)으로부터 언록킹 슬롯(125)과 이동 슬롯(133)의 단부로 이동된다.The second link 142 of the locking link portion 14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counterclockwise) about the rotational axis as the key lever engaging portion 146 is moved to the other side, The locking member 144 is moved from the locking slot 123 to the unlocking slot 125 and the end of the moving slot 133.

록킹 링크부(140)의 보스(148)가 동력 전달 레버(150)의 보스 이동부(153)에 의해 타측(도 14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보스(148)가 타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링크(142)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링크(141)의 슬라이드핀(144)이 록킹 슬롯(123)으로부터 언록킹 슬롯(125)과 이동 슬롯(133)의 단부까지 이동된다.The boss 148 of the locking link portion 140 is moved to the other side (the lower side in Fig. 14) by the boss moving portion 153 of the power transmission lever 150. [ The second link 142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bout the rotation axis as the boss 148 is moved to the other side and the slide pin 144 of the first link 141 is rotated from the locking slot 123 to the unlocking slot (125) and the end of the mobile slot (133).

슬라이드핀(144)이 언록킹 슬롯(125)과 이동 슬롯(133)의 단부로 이동되면, 외력 전달 레버(130)와 록킹 레버(120)가 슬라이드핀(144)에 의해 구속된다. 외력 전달 레버(130)가 회전되면, 슬라이드핀(144)이 외력 전달 레버(130)와 록킹 레버(120)를 구속하여 외력 전달 레버(130)와 록킹 레버(120)이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따라서, 외력 전달 레버(130)의 회전력이 록킹 레버(120)에 전달되므로, 도어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도어가 개방된다.
When the slide pin 144 is moved to the end of the unlocking slot 125 and the movable slot 133,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lever 130 and the locking lever 120 are restrained by the slide pin 144. When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30 is rotated, the slide pin 144 restrains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30 and the locking lever 120 to rotate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30 and the locking lever 120 together. Therefore, sinc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lever 130 is transmitted to the locking lever 120, the door is opened when the door handle is pulled.

상기와 같이, 록킹 링크부(140)가 구동부(160)에 의해 록킹 슬롯(123) 또는 언록킹 슬롯(125)으로 이동되므로, 도어가 록킹 상태 또는 언록킹 상태로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원격에서 도어를 록킹 상태 및 언록킹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ocking link portion 140 is moved to the locking slot 123 or the unlocking slot 125 by the driving portion 160, the door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to the locked state or the unlocked state. Therefore, the driver can remotely change the door into the locked state and the unlocked stat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1: 케이스 105: 하우징
110: 키 레버 113: 가압 리브
115: 키 모듈 120: 록킹 레버
121: 회전축 123: 록킹 슬롯
125: 언록킹 슬롯 130: 외력 전달 레버
133: 이동 슬롯 140: 록킹 링크부
141: 제1 링크 142: 제2 링크
144: 슬라이드핀 146: 키 레버 결합부
147: 키 레버 결합홈 148: 보스
150: 동력 전달 레버 153: 보스 이동부
160: 구동부 161: 기어부
163: 샤프트 기어부 165: 모터부
101: Case 105: Housing
110: key lever 113: pressure rib
115: Key module 120: Locking lever
121: rotating shaft 123: locking slot
125: unlocking slot 130: external force transmitting lever
133: mobile slot 140: locking link part
141: first link 142: second link
144: slide pin 146: key lever engaging portion
147: key lever coupling groove 148: boss
150: Power transmission lever 153: Boss moving part
160: Driving unit 161:
163: shaft gear portion 165: motor portion

Claims (6)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 레버;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록킹 슬롯과 언록킹 슬롯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록킹 레버;
상기 록킹 레버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언록킹 슬롯에 대응되도록 이동 슬롯이 형성되는 외력 전달 레버;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언록킹 슬롯과 상기 이동 슬롯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키 레버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키 레버 결합홈이 형성되는 록킹 링크부;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록킹 링크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력 전달 레버; 및
상기 동력 전달 레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록킹 링크부가 상기 언록킹 슬롯 또는 상기 록킹 슬롯으로 이동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A key lev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se;
A locking lev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se, the locking lever being formed to be connected to a locking slot and an unlocking slot;
An external force transmitting lever rotatably installed on a rotating shaft of the locking lever and having a moving slot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nlocking slot;
A locking link portion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se and movably coupled to the unlocking slot and the mobile slot, the locking lever having a key lever coupling groove formed therein for movably receiving the key lever;
A power transmission lever rotatably coupled to the case and movably coupled to the locking link portion; And
And a driving unit for causing the locking link portion to be moved to the unlocking slot or the locking slot by rotating the power transmission le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링크부는,
상기 언록킹 슬롯과 상기 이동 슬롯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링크에 링크 결합되는 제2 링크;
상기 제2 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키 레버 결합홈이 형성되는 키 레버 결합부; 및
상기 동력 전달 레버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2 링크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A first link movably coupled to the unlocking slot and the mobile slot;
A second link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se, the second link being linked to the first link;
A key lever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and having the key lever coupling groove formed therein; And
And a boss protruding from the second link such that the power transmitting lever is movably engaged with the bos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는 굴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부에는 상기 제1 링크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키 레버 결합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link is formed in a curved shape so that the first link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link and the key lever coupl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언록킹 슬롯과 상기 이동 슬롯에 슬라이드핀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link is movably coupled to the unlocking slot and the mobile slot by a slide pi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슬롯은 상기 록킹 레버의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언록킹 슬롯은 상기 록킹 레버에서 상기 록킹 링크부 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ocking slot is form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locking lever,
And the unlocking slot extends from the locking lever toward the locking link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레버에는 상기 보스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도록 보스 이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boss moving portion is formed on the power transmission lever such that the boss is movably engaged.
KR1020140029905A 2014-03-13 2014-03-13 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 KR1015426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905A KR101542688B1 (en) 2014-03-13 2014-03-13 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905A KR101542688B1 (en) 2014-03-13 2014-03-13 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688B1 true KR101542688B1 (en) 2015-08-06

Family

ID=53885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905A KR101542688B1 (en) 2014-03-13 2014-03-13 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688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6951B2 (en) Stepless opening operation unit
KR20180071434A (en) Switchger of tailgate for vehicle
JP4905716B2 (en) Door latch device for automobile
EP0995635B1 (en) Rotatably closing antitheft covering for car apparatus.
KR20180071435A (en) Switchger of tailgate for vehicle
KR102097056B1 (en) Motor vehicle door lock
KR101918367B1 (en) Trunk latch module for vehicle
JP6609481B2 (en) Vehicle door lock actuator
JP2016539836A (en) Device for locking the operating elements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vehicle, method for operating such a device and shifting device for shift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vehicle
KR102655160B1 (en) Door driving system and refrigerator for the same
WO2011114898A1 (en) Child lock mechanism
KR101542688B1 (en) 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
JP5421083B2 (en) Door lock device
EP3269908B1 (en) Door latch device
KR101732914B1 (en) Door latch for vehicle
US20150091309A1 (en) Actuator unit and door latch device provided with actuator unit
KR101912381B1 (en) Digital Door Lock
GB2453017A (en) Vehicle door latch with double locking
KR100851144B1 (en) Door locking apparatus with centralized control
KR102242272B1 (en) Digital doorlock including latchbolt auto loosening structure
KR101615823B1 (en) Latch device for door open prevention due to side collision
KR101732915B1 (en) Latch device for vehicle
EP3663491B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KR101818169B1 (en) Door latch for vehicle
KR100448080B1 (en) Door Locking System Having Dead Lock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