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436B1 -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436B1
KR101542436B1 KR1020090066710A KR20090066710A KR101542436B1 KR 101542436 B1 KR101542436 B1 KR 101542436B1 KR 1020090066710 A KR1020090066710 A KR 1020090066710A KR 20090066710 A KR20090066710 A KR 20090066710A KR 101542436 B1 KR101542436 B1 KR 101542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ene recognition
scene
information
shooting
hi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822A (ko
Inventor
마사히코 스기모토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2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7Upgrading or updating of programs or applications for camera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Abstract

[과제] 씬 인식 결과를 안정하게 얻는 것이 가능한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디지털 카메라(1)는 씬 인식 이력에 있어서의 인식 횟수(인식 빈도) 및 인식 결과의 새로움에 의거해서 현재 촬영 중의 씬(SR)의 판정을 행한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의 RAM(69) 상에는 단독 씬 인식 결과를 순번으로 격납하기 위한 격납 영역(A[0],A[1],A[2],…)이 제공된다. 씬 인식 이력이 갱신되면, 씬 인식 이력이 CPU(75)에 입력되어 씬마다의 인식 횟수(빈도)가 집계된다[도 3(d)]. 그리고, 인식 횟수가 최대의 씬이 현재 촬영 중의 씬(SR)으로 판정된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2」의 「풍경」과 「3」의 「야경」이 씬 인식 이력 중에 2회 등장하고(최대 빈도가 됨), 「2」의 값 쪽이 보다 새로운 측의 격납 영역에 격납되어 있기 때문에 토털 씬 인식 결과는 SR=2가 되고, 촬영 모드가 풍경 모드로 설정된다.
촬상 장치, 정보 취득 수단, 단독 씬 인식 수단, 이력 등록 수단, 토털 씬 인식 수단, 제어 수단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본 발명은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고정밀도로 촬영 씬의 인식이 가능한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1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 설정된 촬영 모드가 씬에 대하여 적절한 지의 여부를 디지털 화상 신호나 EV값에 의거해서 판정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는 얼굴 인식 수단과 상태 검출 수단의 출력 정보에 의거해서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촬영 모드 자동 설정 카메라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 기재된 카메라는 피사체의 움직임, 촬상 배율 또는 피사체 거리의 출력 정보에 의거해서 카메라 촬영 모드를 자동 설정하는 것이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 2003-244530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 공개 2003-344891호 공보
종래, 촬상 장치에 있어서, 화상 신호나 EV값에 의거해서 씬을 인식하는 것이 행해져 있다. 특허문헌1에 기재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S1온시의 화상 신호를 이용해서 촬영 모드의 설정이 적절한 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2에 기재된 카메라는 셔터 버튼의 제 1 스트로크가 온되었을 때의 화상 신호를 이용해서 촬영 모드의 설정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1 및 2에 기재된 기술은 모두 S1온시의 화상 신호로 촬영 모드의 판정을 1회 행하는 것뿐이기 때문에 화상 신호나 EV값에 의해서는 씬 인식 결과가 변화되기 쉬워져 안정한 씬 인식 결과를 출력하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씬 인식 결과를 안정하게 얻는 것이 가능한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는 촬영 씬의 정보인 촬영 정보를 취득하는 촬영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촬영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촬영 정보로부터 촬영 씬을 인식하는 단독 씬 인식을 행하는 단독 씬 인식 수단과, 상기 단독 씬 인식 수단에 의한 단독 씬 인식 결과를 최신의 소정 개수 씬 인식 이력으로서 등록하는 씬 인식 이력 등록 수단과, 상기 씬 인식 이력 등록 수단에 의해 등록된 씬 인식 이력에 의거해서 촬영 씬을 인식하는 토털 씬 인식(total scene recognition)을 행하는 토털 씬 인식 수단(total scene recognizing device)과, 상기 토털 씬 인식 수단에 의한 상기 토털 씬 인식 결과에 따라 표시 제어, 촬영 제어, 신호 처리 제어, 및 정보 기록 제어 중 하나 이상을 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는 촬영 씬의 정보인 촬영 정보를 취득하는 촬영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촬영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촬영 정보를 최신의 소정 개수 촬영 정보 이력으로서 등록하는 촬영 정보 이력 등록 수단과, 상기 촬영 정보 이력 등록 수단에 등록된 촬영 정보 이력에 의거해서 촬영 씬을 인식하는 토털 씬 인식을 행하는 토털 씬 인식 수단과, 상기 토털 씬 인식 수단에 의한 상기 토털 씬 인식 결과에 따라 표시 제어, 촬영 제어, 신호 처리 제어, 및 정보 기록 제어 중 하나 이상을 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토털 씬 인식 수단이 상기 씬 인식 이력 등록 수단에 등록된 상기 씬 인식 이력의 전부 또는 일부의 범위에 있어서 최대 빈도의 단독 씬 인식 결과가 나타내어지는 촬영 씬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촬영 씬을 상기 토털 씬 인식 결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는,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토털 씬 인식 수단이 상기 최대 빈도의 단독 씬 인식 결과가 나타내어지는 촬영 씬이 복수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최신측의 최대 빈도의 단독 씬 인식 결과가 나타내어지는 촬영 씬을 상기 토털 씬 인식 결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토털 씬 인식 수단이,
상기 씬 인식 이력 등록 수단에 등록된 상기 씬 인식 이력 중의 각 단독 씬 인식 결과에 대하여 최신 씬 인식 결과 만큼 웨이트가 커지는 웨이팅을 행하는 웨이팅 설정 수단과, 상기 웨이팅 설정 수단에 의한 웨이팅 후의 단독 씬 인식 결과별의 누적 스코어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갖고,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누적 스코어가 최대가 되는 단독 씬 인식 결과를 상기 토털 씬 인식 결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토털 씬 인식 수단이 상기 촬영 정보 이력 등록 수단에 등록된 상기 촬영 정보 이력으로부터 대표값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대표값에 의거해서 촬영 씬을 인식하는 인식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는, 상기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산출 수단이 상기 촬영 정보 이력 등록 수단에 등록된 상기 촬영 정보 이력의 평균값, 상기 촬영 정보 이력 중 최신의 정보일수록 커지는 웨이트를 부여한 웨이팅 평균값, 상기 촬영 정보 이력의 메디안 값, 및 상기 촬영 정보 이력 중 최대값측의 N(N: 0이상의 정수)개분, 최소값측의 M(M: 0이상의 정수이며, N=M, N≠M을 포함함)개분의 촬영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의 평균값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대표값으로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는, 상기 제 1 내지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촬영 정보 취득 수단이 촬영 씬 중에 인물의 얼굴이 있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피사체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 피사체의 밝기를 나타내는 정보, 및 보조광의 검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는, 상기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촬영 정보 취득 수단이 상기 피사체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상기 피사체에 포커싱되어 있을 때의 포커스 위치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는, 상기 제 1, 제 3 내지 제 5, 제 8, 또는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 셔터 반누름 시에 본 노광용의 측광 및 측거를 지시하고, 셔터 완전 누름 시에 본 노광을 지시하는 셔터 버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씬 인식 이력 등록 수단에 등록되는 상기 씬 인식 이력에는 상기 셔터 반누름 전의 단독 씬 인식 결과의 개수와, 상기 셔터 반누름 후의 단독 씬 인식 결과의 개수가 개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는, 상기 제 2, 또는 제 6 내지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 셔터 반누름 시에 본 노광용의 측광 및 측거를 지시하고, 셔터 완전 누름 시에 본 노광을 지시하는 셔터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촬영 정보 이력 등록 수단에 등록되는 상기 촬영 정보 이력은 상기 셔터 반누름 전의 촬영 정보의 개수와, 상기 셔터 반누름 후의 촬영 정보의 개수가 개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는, 제 1 내지 1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토털 씬 인식 수단에 의한 토털 씬 인식 결과에 따라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촬영 모드 설정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설정된 촬영 모드에 의거해서 상기 촬영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는, 상기 제 1 내지 제 12 실시형태에 있어서, 셔터 반누름 시에 본 노광용의 측광 및 측거를 지시하고, 셔터 완전 누름 시에 본 노광을 지시하는 셔터 버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촬영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셔터 반누름 후 본 노광용의 피사체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 및 본 노광용의 피사체의 밝기를 나타내는 정보만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4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방법은 촬영 씬의 정보인 촬영 정보를 취득하는 촬영 정보 취득 스텝과, 상기 정보 취득 스텝에 의해 취득된 상기 촬영 정보로부터 촬영 씬을 인식하는 단독 씬 인식 스텝과, 상기 단독 씬 인식 스텝에 있어서 인식된 단독 씬 인식 결과를 최신의 소정 개수 씬 인식 이력으로서 씬 인식 이력 등록 수단에 등록하는 씬 인식 이력 등록 스텝과, 상기 씬 인식 이력 등록 수단에 등록된 상기 씬 인식 이력에 의거해서 촬영 씬을 인식하는 토털 씬 인식 스텝과, 상기 토털 씬 인식 스텝의 상기 토털 씬 인식 결과에 따라 표시 제어, 촬영 제어, 신호 처리 제어, 및 정보 기록 제어 중 하나 이상을 행하는 제어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5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방법은 촬영 씬의 정보인 촬영 정보를 취득하는 촬영 정보 취득 스텝과, 상기 촬영 정보 취득 스텝에 있어서 취득된 상기 촬영 정보를 최신의 소정 개수분 촬영 정보 이력으로서 촬영 정보 이력 등록 수단에 등록하는 촬영 정보 이력 등록 스텝과, 상기 촬영 정보 이력 등록 수단에 등록된 상기 촬영 정보 이력에 의거해서 촬영 씬을 인식하는 토털 씬 인식 스텝과, 상기 토털 씬 인식 스텝의 상기 토털 씬 인식 결과에 따라 표시 제어, 촬영 제어, 신호 처리 제어, 및 정보 기록 제어 중 하나 이상을 행하는 제어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얼굴 검출의 결과, 포커스 렌즈 위치, 줌 렌즈 위치, 포커싱 상태 및 측광값을 포함하는 촬영 정보의 이력, 또는 상기 촬영 정보에 의거하여 씬 인식 결과(단독 씬 인식 결과)의 이력을 이용해서 씬 인식을 행함으로써 안정한 씬 인식 결과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는 촬영시에 피사체의 상황(촬영 씬, 또는 간단히 씬이라 함)을 인식하는 씬 인식을 실행하고, 촬영 모드를 설정한다. 인식되는 씬으로서, 예컨대 인물, 풍경, 야경, 접사, 스포츠, 불꽃, 저녁놀, 스노우, 비치, 수중 또는 문자가 열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촬상 장치는 촬영 씬의 정보인 촬영 정보에 의거해서 씬 인식을 복수회 실행하고(후술의 단독 씬 인식), 씬 인식을 실행할 때마다 그 씬 인식 결과의 이력을 등록한다. 그리고, 그 씬 인식 결과의 이력을 고려해서 촬영시의 씬의 인식(후술의 토털 씬 인식) 및 촬영 모드의 설정을 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디지털 카메라)를 나타내 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이하, 디지털 카메라(1)라 함.)는 촬영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를 Exif 형식의 화상 파일로 변환해서 본체에 착탈가능한 외부 기록 미디어 등의 기록부(70)에 기록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는 조작부(11)와, 유저에 의한 조작부(11)로의 조작 내용을 해석해서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74)를 갖고 있다.
조작부(11)는 화상을 촬영하는 촬영 모드와, 기록부(70)에 기록된 화상을 판독해서 표시부(71)에 표시하는 재생 모드 사이에서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는 동작 모드 스위치, 메뉴/OK 버튼, 줌/상하 화살표 레버, 좌우 화살표 버튼, Back(되돌림) 버튼, 표시 스위칭 버튼, 셔터 버튼,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 회로(74)는 정보 처리를 행하는 CPU(75), 정보 처리를 규정한 프로그램, 펌웨어, 프로그램에서의 각종 판정에 이용되는 역치 그 외의 정수 등을 기록한 ROM(68), 정보 처리에 필요한 변수나 데이터 등을 격납하는 RAM(69)을 구비하고 있다.
CPU(75)는 조작부(11)나 AF 처리부(62) 등의 각종 처리부에서의 신호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1)의 본체 각 부를 제어한다. ROM(68)은 디지털 카메라(1)에 있어서 설정되는 각종 정수, 및 CPU(75)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등을 격납한다. RAM(69)은 CPU(75)가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격납한다.
렌즈(20)는 포커스 렌즈 및 줌 렌즈를 갖고 있다. 렌즈(20)는 렌즈 구동 부(51)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렌즈 구동부(51)는 CPU(75)로부터 출력되는 포커스 구동량 데이터에 의거하여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제어한다. 또한, 렌즈 구동부(51)는 조작부(11)의 줌/상하 화살표 레버의 조작량 데이터에 의거해서 줌 렌즈의 위치를 제어한다.
또한, 조리개(54)는 모터와 모터 드라이버로 이루어지는 조리개 구동부(55)에 의해 구동된다. 조리개 구동부(55)는 CPU(75)로부터 출력되는 조리개 값 데이터에 의거해서 조리개 직경의 조정을 행한다.
렌즈(20), 조리개(54)를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의 후방에는 촬상 소자(CCD)(5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촬상 소자(58)로서는 CCD 대신에 CMOS 이미지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촬상 소자(58)는 다수의 수광 소자가 2차원적으로 배열된 광전면을 갖고 있다. 촬상 광학계를 통과한 피사체광은 이 광전면에 결상되어 광전 변환된다. 광전면의 전방에는 각 화소에 광을 집광하기 위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와, R,G,B 각 색의 필터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컬러 필터 어레이가 배치되어 있다. 촬상 소자(58)는 촬상 소자 제어부(59)로부터 공급되는 수직 전송 클록 및 수평 전송 클록에 동기되어 화소마다 축적된 전하를 1라인씩 시리얼된 아날로그 촬영 신호로서 출력한다. 각 화소에 있어서 전하를 축적하는 시간, 즉, 노출 시간은 촬상 소자 제어부(59)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셔터 구동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촬상 소자(58)는 미리 정해진 크기의 아날로그 촬상 신호가 얻어지도록 촬상 소자 제어부(59)에 의해 게인이 조정되어 있다.
촬상 소자(58)로부터 도입된 아날로그 촬영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60)에 입력된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60)는 아날로그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상관 2중 샘플링 회로(CDS)와, 아날로그 신호의 게인을 조절하는 오토 게인 컨트롤러(AGC)로 이루어진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60)에 있어서의 R,G,B 신호의 증폭 게인은 촬영 감도(ISO 감도)에 상당한다. CPU(75)는 이 증폭 게인을 조정함으로써 촬영 감도를 설정한다.
A/D 변환부(61)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60)에 의해 처리된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화상 데이터는 화소마다 R,G,B의 농도값을 갖는 CCD-RAW 데이터이다.
제어 회로(74)는 발진자(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발진 신호를 체배 또는 분주해서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켜 촬상 소자 제어부(59)에 입력함으로써 조작부(11)의 셔터 버튼의 조작 시에 있어서의 촬상 소자(58)로부터의 전하의 도입 및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60)의 처리의 타이밍을 조정하고 있다.
제어 회로(74)는 촬상 소자(58)에서 생성된 화상 신호의 휘도를 검출함으로써 측광을 행한다. 제어 회로(74)는 피사계 휘도가 낮을 경우 자동 초점 조절(AF) 시(셔터 버튼 반누름 시)(S1-on)에 보조광 제어부(25)에 지시해서 보조광 발광부(26)(예컨대, LED)로부터 보조 광을 조사시킨다.
A/D 변환부(61)로부터 출력된 R,G,B의 각 화상 데이터(CCD-RAW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65)에 의해 화이트 밸런스(WB) 조정, 감마 보정, 및 YC 처리가 실시된다.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는 메모리(66)에 기록된다.
메모리(66)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후술의 각종 디지털 화상 처리(신호 처리)를 행할 때에 사용하는 작업용 메모리이며, 예컨대 일정 주기의 버스 로크 신호에 동기해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이 사용된다.
표시부(71)는, 예컨대 액정 모니터를 포함하고 있고, 촬영 모드 설정 이후로부터 본 촬영 지시가 있을 때까지의 동안에 메모리(66)에 차례차례 격납된 화상 데이터를 라이브 뷰 화상(스루우 화상)으로서 액정 모니터에 표시시키거나, 재생 모드 시에 기록부(70)에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액정 모니터에 표시시킨다. 또한, 스루우 화상은 유저가 리얼 타임으로 촬영 화각이나 상황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촬영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동안 소정 시간 간격으로 촬상 소자(58)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를 나타내는 화상 신호에 의거해서 표시부(71)에 표시되는 화상을 말한다.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는 동작 모드가 촬영 모드로 설정되면, 화상의 촬상을 개시하고, 라이브 뷰 화상(스루우 화상)이 표시부(71)의 액정 모니터에 표시된다. 스루우 화상 표시 시에는 CPU(75)는 후술의 AF 처리부(62) 및 AE/AWB 처리부(63)에 의한 연산 결과에 의거해서 컨티뉴어스 AE(CAE) 및 컨티뉴어스 AF(CAF)를 실행한다. 여기서, 컨티뉴어스 AE는 스루우 화상 촬영의 계속 중에 반복하여 노출값의 연산을 행해서 연속적으로 촬상 소자(CCD)(58)의 전자 셔터 기능 및/또는 조리개(54)를 제어하는 기능이다. 컨티뉴어스 AF는 스루우 화상 촬영의 계속 중에 반복하여 AF 평가값의 연산을 행해서 연속적으로 포커스 렌즈 위치를 제어하는 기 능이다. 촬영 모드 시에 셔터 버튼이 반눌리면(S1온), 디지털 카메라(1)는 AE 처리(S1 AE) 및 AF 처리(S1 AF)를 실행하고, AE 로크 및 AF 로크를 실행한다.
이하, AE 처리 및 AF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촬상 소자(58)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는 A/D 변환 후에 버퍼 메모리(미도시)를 통해서 AF 처리부(62) 및 AE/AWB 처리부(63)에 입력된다.
AE/AWB 처리부(63)는 1화면을 복수의 분할 에리어(예컨대, 8×8또는 16×16)로 분할하고, 이 분할 에리어마다 R,G,B 신호를 적산하고, 그 적산값을 CPU(75)에 제공한다. CPU(75)는 AE/AWB 처리부(63)로부터 얻은 적산값에 의거해서 피사체의 밝기(피사체 휘도)를 검출하고, 촬영에 적합한 노출값(촬영 EV값)을 산출한다. CPU(75)는 상기 노출값과 소정 프로그램 선도에 따라 조리개 값과 셔터 스피드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촬상 소자(58)의 전자 셔터 기능 및 조리개(54)를 제어해서 적정한 노광량을 얻는다.
더욱이, CPU(75)는 플래시 발광 모드가 온으로 설정되었을 경우에 플래시 제어부(73)에 커맨드를 보내서 동작시킨다. 플래시 제어부(73)는 플래시 발광부(방전관)(24)를 발광시키기 위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 콘덴서를 포함하고 있고, CPU(75)로부터의 플래시 발광 지령에 따라 메인 콘덴서의 충전 제어, 플래시 발광부(24)로의 방전(발광)의 타이밍 및 방전 시간의 제어 등을 행한다. 또한, 플래시 발광 수단으로서는 방전관 대신에 발광 다이오드(LED)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AE/AWB 처리부(63)는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시에 분할 에리어마다 R,G,B 신호의 색별(色別)의 평균 적산값을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를 CPU(75)에 제 공한다. CPU(75)는 R의 적산값, B의 적산값, G의 적산값을 얻어서 분할 에리어마다 R/G 및 B/G의 비를 구하고, 이들 R/G, B/G의 값의 R/G, B/G 축좌표의 색 공간에 있어서의 분포 등에 의거해서 광원종 판별을 행하고, 판별된 광원종에 따라 화이트 밸런스 조정 회로의 R,G,B 신호에 대한 게인 값(화이트 밸런스 게인)을 제어하고, 각 색 채널의 신호에 보정을 가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1)에 있어서의 AF 제어는, 예컨대 화상 신호의 G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극대해지도록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콘트라스트 AF가 적용된다. 즉, AF 처리부(62)는 G 신호의 고주파 성분만을 통과시키는 하이 패스 필터 절대값화 처리부, 화면 내(예컨대, 화면 중앙부)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포커스 대상 에리어 내의 신호를 추출하는 AF 에리어 추출부 및 AF 에리어 내의 절대값 데이터를 적산하는 적산부로 구성된다.
AF 처리부(62)에 의해 구해진 적산값의 데이터는 CPU(75)에 통지된다. CPU(75)는 렌즈 구동부(51)를 제어해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복수의 AF 검출 포인트에서 초점 평가값(AF 평가값)을 연산하고, 연산된 초점 평가값이 극대가 되는 렌즈 위치를 포커싱 위치로서 결정한다. 그리고, CPU(75)는 렌즈 구동부(51)를 제어해서 상기 포커싱 위치에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킨다. 또한, 컨티뉴어스 AF(CAF) 시에는 S1 AF 시에 비해서 포커싱 위치의 서치 범위(AF 서치 시의 포커스 렌즈의 이동 범위)가 좁고, AF 검출 포인트의 수가 적어지게 된다. 또한, AF 평가값의 연산은 G 신호를 이용하는 실시형태에 한하지 않고, 휘도 신호(Y 신호)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노출 및 화이트 밸런스에 대해서는 촬영 모드가 매뉴얼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디지털 카메라(1)의 유저가 매뉴얼 조작에 의해 설정가능하다. 또한, 노출 및 화이트 밸런스가 자동으로 설정되었을 경우에도 유저가 메뉴/OK 버튼 등의 조작부(11)로부터 지시를 행함으로써 노출 및 화이트 밸런스를 매뉴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셔터 버튼이 반누름(S1온)된 후에 완전 누름(S2 온)되면, 촬상 소자(58)로부터 기록용의 본 화상 데이터가 도입된다. 본 화상 데이터는 셔터 버튼이 완전히 눌러짐으로써 실행되는 본 촬영 시에 촬상 소자(58)로부터 도입되고,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60), A/D 변환부(61), 디지털 신호 처리부(65)를 경유하여 메모리(66)에 격납된 화상 데이터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65)는 본 화상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감마 보정, 샤프니스(sharpness) 보정, 콘트라스트 보정 등의 화질 보정 처리, CCD-RAW 데이터를 휘도 신호인 Y 데이터와, 청색 색차 신호인 Cb 데이터 및 적색 색차 신호인 Cr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YC 데이터로 변환하는 YC 변환 처리를 행한다. 본 화상의 화소수의 상한은 촬상 소자(58)의 화소수에 의해 결정되지만, 예컨대, 파인, 노멀(normal) 등의 설정에 의해 기록 화소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스루우 화상 및 셔터 버튼 반누름 시에 표시되는 화상의 화상수는, 예컨대 본 화상보다 적은 화소수, 예컨대 본 화상의 1/16 정도의 화소수로 도입된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65)는 플래시 발광부(24)의 발광량이 통상의 촬영시보다 적게 되었을 경우에는 본 화상에 있어서의 얼굴 영역의 휘도를 구하고, 휘도가 소정 역치(Th1)보다 작을 경우에는 얼굴 영역의 휘도를 역치(Th1)로 조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압축 신장 처리부(67)는 보정ㆍ변환 처리가 행하여진 본 화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예컨대 소정 압축 형식으로 압축 처리를 행하여 화상 파일을 생성한다. 이 화상 파일은 기록부(70)에 기록된다. 이 화상 파일에는, 예컨대 Exif 포맷 등에 의거하여 촬영 일시 등의 부대 정보가 격납된 태그가 부가된다. 또한, 압축 신장 처리부(67)는 재생 모드의 경우에 기록부(70)로부터 판독된 화상 파일에 대하여 신장 처리를 행한다. 신장 후의 화상 데이터는 표시부(71)의 액정 모니터에 표시된다.
얼굴 검출 처리부(80)는 스루우 화상, 셔터 버튼 반누름 시에 표시되는 화상, 또는 본 화상으로부터 인물의 얼굴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얼굴에 포함되는 얼굴의 특징을 갖는 영역[예컨대, 피부색의 영역을 갖는 피부색 영역 중에 흑색 영역(눈)을 갖는 피부색 영역이 얼굴의 형상을 가짐 등]을 얼굴 영역으로서 검출한다.
[씬 인식 처리]
본 실시형태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1)[CPU(75)]는 얼굴 검출의 결과, 포커스 렌즈 위치, 줌 렌즈 위치, 포커싱 상태 및 측광값을 포함하는 촬영 정보(촬영 씬의 정보)를 이용해서 씬 인식(이하, 단독 씬 인식이라 함.)을 행하고, 「AUTO」, 「인물」, 「풍경」, 「야경」또는 「접사」등의 단독 씬 인식 결과가 RAM(69)에 기록된다. 이 단독 씬 인식은 촬영 모드 시에 소정 타이밍으로 반복 실행되고, 예컨대 최신의 단독 씬 인식의 결과가 소정 횟수분 씬 인식 이력으로서 기록된다. 또한, 씬 인식 이력은, 예컨대 디지털 카메라(1)의 전원 오프 시 또는 동작 모드의 스위칭 시, 얼굴 검출의 결과, 포커스 렌즈 위치, 줌 렌즈 위치, 포커싱 상태 및 측광값이 소정값 이상 변동해서 씬이 변동했다고 CPU(75)가 판정했을 경우에 삭제되도록 해도 좋다.
더욱이, 디지털 카메라(1)[CPU(75)]는 RAM(69)에 기록된 씬 인식 결과의 이력(씬 인식 이력)에 의거해서 현재의 씬(SR)을 판정(인식)하고, 각 씬을 촬영하는데 적합한 촬영 모드의 설정을 행한다. 이하, 씬 인식 이력에 의거하는 씬의 판정을 토털 씬 인식이라 한다.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는 토털 씬 인식에 있어서 씬 인식 이력에 있어서의 인식 횟수(인식 빈도) 및 인식 결과의 새로움에 의거해서 현재 촬영 중의 씬(SR)의 판정을 행한다. 도 2 및 도 3은 토털 씬 인식 처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의 RAM(69) 상에는 단독 씬 인식 결과를 순번으로 격납하기 위한 격납 영역(A[0],A[1],A[2], ㆍㆍㆍ)이 형성된다.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각 씬은 소정 숫자(이하, 씬 ID라 함.)로 표시되어 있다. 씬 「AUTO」의 경우에는 「0」, 「인물」의 경우에는 「1」, 「풍경」의 경우에는 「2」, 「야경」의 경우에는 「3」, 「접사」의 경우에는 「4」가 RAM(69)의 격납 영역{A[i](i=0,1,2,…)}에 기록된다. 단독 씬 인식 결과는 격납 영역(A[0])의 것이 최신이며, A[1],A[2],…의 순으로 오래된 것이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독 씬 인식이 실행되면, RAM(69) 위의 씬 인 식 이력의 격납 영역(A[0],A[1],A[2],…)이 슬라이딩되고, A[0]→A[1],A[1]→A[2],A[2]→A[3], …이 되고, 최신의 단독 씬 인식 결과의 격납 영역(A[0])이 미사용 영역이 된다. 그리고,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사용 영역(A[0])에 최신의 단독 씬 인식 결과가 기록된다.
다음에, 토털 씬 인식을 행할 때 씬 인식 이력이 CPU(75)에 입력되어 씬마다의 인식 횟수(빈도)가 집계된다[도 2(d)]. 그리고, 인식 횟수가 최대의 씬이 현재 촬영 중의 씬(SR)으로 판정된다.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씬 인식 이력 중에 3회 등장하는 「3」의 「야경」이 최대 빈도가 된다. CPU(75)는 토털 씬 인식 결과를 SR=3으로서 촬영 모드를 야경 모드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야경 모드의 촬영 조건 및 화상 처리의 조건에 따라 화상의 촬영, 기록이 실행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2」의 「풍경」과 「3」의 「야경」이 씬 인식 이력중에 2회 등장한다(최대 빈도가 됨). 이 경우, 단독 씬 인식 결과의 새로움에 의거해서 토털 씬 인식이 행하여진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2」의 값 쪽이 보다 새로운 측의 격납 영역에 격납되어 있기 때문에, CPU(75)는 토털 씬 인식 결과를 SR=2로 하고, 촬영 모드를 풍경 모드로 설정한다.
토털 씬 인식 처리가 종료되면,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71)의 액정 모니터에는 토털 씬 인식 결과(SR)를 나타내는 기호(C10)[예컨대, 「AUTO」, 「인물」, 「풍경」, 「야경」 및 「접사」등의 문자, 아이콘]가 스루우 화상 또는 셔터 버튼 완전 누름 후의 기록용 화상에 중첩되어 표시된다. 도 4(a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털 씬 인식에 의해 판정된 씬이 디지털 카메라(1)에 있어서 미리 정 의된 씬에 일치된 경우에는 해당 씬을 표시하는 기호(C10)가 표시부(71)의 액정 모니터에 표시된다. 한편, 도 4(a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털 씬 인식에 의해 판정된 씬이 디지털 카메라(1)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씬에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AUTO」가 표시부(71)의 액정 모니터에 표시된다. 또한, 토털 씬 인식 결과(SR)를 나타내는 기호(C10)는 도시되지 않은 OSD 회로에 의해 생성된다. 이에 따라, 유저는 촬영하려 하거나, 또는 촬영된 씬이 어느 씬이며, 촬영 모드가 어느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가 음성 처리 회로나 스피커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에는 토털 씬 인식 결과(SR)에 대응하는 보고 음을 출력하도록 CPU(75)가 제어되어도 좋다.
또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 씬 인식 오프」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토털 씬 인식 결과를 나타내는 기호는 표시되지 않는다.
디지털 카메라(1)는 상기 촬영 모드마다, 적절한 조리개 값, 셔터 속도, 포커스 렌즈 위치 및 줌 렌즈 위치 등의 촬영 조건, 및 화상 처리의 설정을 기록하고 있고, 토털 씬 인식 결과(SR)에 따라 촬영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촬영 조건 및 화상 처리의 설정에 따라 화상의 촬영, 기록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촬영 모드는, 예컨대 인물을 촬영하기 위한 인물 모드, 하루 중에 있어서의 원방(遠方)의 풍경을 촬영하기 위한 풍경 모드, 야간에 있어서의 원방의 풍경을 촬영하기 위한 야경 모드, 접사를 행하기 위한 접사 모드, 움직임이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스포츠 모드, 및 문자를 촬영하기 위한 텍스트 모드이다. 디지털 카메라(1)는 토털 씬 인식 결과(SR)가 야경이면, 촬영 모드를 야경 모드로 설정한다. 야경 모드에서는 포커싱 위치를 텔레 단측(예컨대, 무한원)에 설정해서 장시간 노광을 허가하는 설정이 된다(예컨대, ISO 감도가 400으로부터 800이상, 셔터 스피드가 1/1.6초이상 등에 설정됨). 또는, 토털 씬 인식 결과(SR)가 접사이면, 디지털 카메라(1)는 촬영 모드를 접사 모드로 설정해서 조리개 직경을 개방하고, 플래시 발광부(24)의 발광을 금지한다. 또한, 접사 모드의 경우에는 포커싱 위치의 검색은 가까운 위치(Near측)를 개시점으로서 먼 위치(INF측)를 향해서 행하면 좋다. 또는, 토털 씬 인식 결과(SR)가 풍경이면, 디지털 카메라(1)는 촬영 모드를 풍경 모드로 설정해서 측광 모드로서 「평균 측광」을 행하고, 분할 측광을 행하게 한다. 또한, 풍경 모드의 경우에는 디지털 카메라(1)는 포커싱 위치를 텔레 단측(예컨대, 무한원)에 설정해서 채도나 에지부를 강조하는 화상 처리를 행한다. 또는, 토털 씬 인식 결과(SR)가 인물이면, 디지털 카메라(1)는 촬영 모드를 인물 모드로 설정해서 AF 처리부(62)는 AF 평가값의 산출 영역을 얼굴 검출 처리부(80)가 검출한 얼굴 영역으로 한다. 또한, 인물 모드의 경우에는 디지털 카메라(1)는 피부색 부분을 매끈매끈하게 해서 명도를 올리는 화상 처리를 행한다. 토털 씬 인식 결과(SR)가 AUTO이면, AF, AE 및 AWB의 설정이 디폴트의 설정이 되고, 셔터 스피드, 조리개 값 등의 촬영 조건이 자동으로 설정된다. 스포츠 모드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는 피사체 흔들림을 회피하기 위해 셔터 속도를 고속화해서 감도를 올린다. 텍스트 모드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는 촬영 화상을 모노톤화하는 화상 처리를 행한다.
상기 촬영 모드의 설정은 화상 파일의 부가 정보(예컨대, Exif 태그 정보)로서 기록된다. 기록부(70)가 프린터에 세팅되면, 프린터는 기록부(70)로부터 화상 파일을 판독해서 상기 화상 파일로부터 촬영 모드의 설정을 취득한다. 이에 따라, 촬영시의 촬영 모드의 설정에 적합한 프린트 조건으로 화상을 프린트아웃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씬 인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CPU(75)에 의해 얼굴 검출의 결과, 포커스 렌즈 위치, 줌 렌즈 위치, 포커싱 상태 및 측광값과 같은 촬영 정보가 취득되고, 상기 정보를 이용해서 씬 인식(단독 씬 인식)이 행하여진다(스텝S10).
다음에, 메모리(RAM(69)) 상의 씬 인식 이력의 격납 영역이 슬라이딩되고, 단독 씬 인식 결과의 최신 값을 격납하는 빈 영역이 형성된다(스텝S12). 그리고, 이 최신 값의 격납 영역에 스텝S10에 있어서의 최신 씬 인식 결과가 기록된다(스텝S14).
다음에, 토털 씬 인식에 있어서 씬 인식 이력이 입력되고(스텝S16), 씬 인식 이력에 의거해서 현재의 씬(SR)이 판정된다(스텝S18). 그리고, 이 씬(SR)의 판정 결과에 따라 촬영 모드의 설정이 행하여진다. 스텝S18에서는, 예컨대 씬 인식 이력에 있어서의 인식 횟수(인식 빈도) 및 인식 결과의 새로움에 의거해서 현재 촬영 중의 씬(SR)이 판정된다.
도 6은 단독 씬 인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카메라(1) 의 CPU(75)에 의해 실행이 제어된다. 이 처리를 규정하는 프로그램은 ROM(68)에 기억되어 있다.
S71에서는 RAM(69)에 격납된 씬 의존 서치(스텝S80이후의 처리)를 실시하는 플래그(E_AUT0SR_SEARCH_TYPE)가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80, "아니오"의 경우는 S72로 진행된다. 또한, E_AUT0SR_SEARCH_TYPE의 값은 조작부(11)로부터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S72에서는 RAM(69)의 씬 인식 결과(SR)에 AUTO를 설정한다.
S73에서는 RAM(69)의 파라미터i에 ROM(68)에 미리 기억된 E_AUT0SR_M0DULE1을 대입한다. E_AUT0SR_M0DULE1은 0~4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그리고, module[i]에 상당하는 씬 판정(인식) 서브루틴을 실시한다. module[O]은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 module[1]은 후술의 인물 판정을 행한다. module[2]는 후술의 풍경 판정을 행한다. module[3]은 후술의 야경 판정을 행한다. module[4]는 후술의 접사 판정을 행한다.
S74에서는 S73에서의 module[i]의 실시 결과, RAM(69)의 씬 인식 결과(SR)가 AUTO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75로 진행되고, "아니오"의 경우는 메인 처리의 S10으로 되돌아간다.
S75에서는 RAM(69)의 파라미터i에 ROM(68)에 미리 기억된 E_AUT0SR_M0DULE2를 대입한다. E_AUT0SR_M0DULE2는 0~4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며, 또한 E_AUTOSR_MODULE1과 다르다. 그리고, module[i]에 상당하는 씬 판정 서브루틴을 실시한다.
S76에서는 S75에서의 module[i]의 실시 결과, RAM(69)의 씬 인식 결과(SR)가 AUTO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77로 진행되고, "아니오"의 경우는 메인 처리의 S10으로 되돌아간다.
S77에서는 RAM(69)의 파라미터i에 ROM(68)에 미리 기억된 E_AUTOSR_MODULE3을 대입한다. E_AUTOSR_MODULE3은 0~4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며, 또한 E_AUTOSR_MODULE1 및 E_AUTOSR_MODULE2와 다르다. 그리고, module[i]에 상당하는 씬 판정 서브루틴을 실시한다.
S78에서는 S77에서의 module[i]의 실시 결과, RAM(69)의 씬 인식 결과(SR)가 AUTO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79로 진행되고, "아니오"의 경우는 메인 처리의 S10으로 되돌아간다.
S79에서는 RAM(69)의 파라미터i에 ROM(68)에 미리 기억된 E_AUTOSR_MODULE4를 대입한다. E_AUTOSR_MODULE3은 0~4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며, 또한 E_AUTOSR_MODULE1 및 E_AUTOSR_MODULE2 및 E_AUTOSR_MODULE3과 다르다. 그리고, module[i]에 상당하는 씬 판정 서브루틴을 실시한다. E_AUTOSR_MODULEl, E_AUTOSR_MODULE2, E_AUTOSR_MODULE3, E_AUTOSR_MODULE4의 값은 어떻게 설정해도 좋지만, 우선적으로 씬 판정을 행하고 싶은 종류에는 이른 번호를 부여하면 좋다. 예컨대, 인물 판정>풍경 판정>야경 판정>접사 판정의 순서로 씬 판정을 행하고 싶을 경우는 E_AUTOSR_MODULE1=1, E_AUTOSR_MODULE2=2, E_AUTOSR_MODULE3=3, E_AUTOSR_MODULE4=4로 한다. 이들의 값을 조작부(11)로부터 임의로 설정해도 좋다.
S80에서는 현재의 RAM(69)의 씬 인식 결과(SR)가 AUTO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다. "예"의 경우는 S72로 진행되고, "아니오"의 경우는 S81로 진행된다.
S81에서는 RAM(69)의 파라미터SR_old로 현재의 RAM(69)의 씬 인식 결과(SR)를 설정한다. 즉, 현재의 RAM(69)의 씬 인식 결과(SR)가 AUTO이면 SR_old=0, 현재의 RAM(69)의 씬 인식 결과(SR)가 인물이면 SR_old=1, 현재의 RAM(69)의 씬 인식 결과(SR)가 풍경이면 SR_old=2, 현재의 RAM(69)의 씬 인식 결과(SR)가 야경이면 SR_old=3, 현재의 RAM(69)의 씬 인식 결과(SR)가 접사이면 SR_old=4로 한다.
S82에서는 RAM(69)의 파라미터i에 SR_old를 대입한다. 그리고, module[i]에 상당하는 씬 판정 서브루틴을 실시한다.
S83에서는 S82에서의 module[i]의 실시 결과, RAM(69)의 씬 인식 결과(SR)가 AUTO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84로 진행되고, "아니오"의 경우는 메인 처리의 S10으로 되돌아간다.
S84에서는, SR_old=E_AUTOSR_MODULE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87로 진행되고, "아니오"의 경우는 S85로 진행된다.
S85에서는 RAM(69)의 파라미터i에 ROM(68)에 미리 기억된 E_AUTOSR_MODULE1을 대입한다. 그리고, module[i]에 상당하는 씬 판정 서브루틴을 실시한다.
S86에서는 S85에서의 module[i]의 실시 결과, RAM(69)의 씬 인식 결과(SR)가 AUTO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87로 진행되고, "아니오"의 경우는 메인 처리의 S10으로 되돌아간다.
S87에서는 SR_old=E_AUTOSR_MODULE2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90으로 진행되고, "아니오"의 경우는 S88로 진행된다.
S88에서는 RAM(69)의 파라미터i에 ROM(68)에 미리 기억된 E_AUTOSR_MODULE2를 대입한다. 그리고, module[i]에 상당하는 씬 판정 서브루틴을 실시한다.
S89에서는 S88에서의 module[i]의 실시 결과, RAM(69)의 씬 인식 결과(SR)가 AUTO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90으로 진행되고, "아니오"의 경우는 메인 처리의 S10으로 되돌아간다.
S90에서는 SR_old=E_AUTOSR_MODULE3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93으로 진행되고, "아니오"의 경우는 S91로 진행된다.
S91에서는 RAM(69)의 파라미터i에 ROM(68)에 미리 기억된 E_AUTOSR_MODULE3을 대입한다. 그리고, module[i]에 상당하는 씬 판정 서브루틴을 실시한다.
S92에서는 S91에서의 module[i]의 실시 결과, RAM(69)의 씬 인식 결과(SR)가 AUTO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93으로 진행되고, "아니오"의 경우는 메인 처리의 S10으로 되돌아간다.
S93에서는 SR_old=E_AUTOSR_MODULE4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메인 처리의 S10으로 되돌아가고, "아니오"의 경우는 S94로 진행된다.
S94에서는 RAM(69)의 파라미터i에 ROM(68)에 미리 기억된 E_AUTOSR_MODULE4를 대입한다. 그리고, module[i]에 상당하는 씬 판정 서브루틴을 실시한다. 그 후, 메인 처리의 S10으로 되돌아간다.
이하, 단독 씬 인식 처리에 대해서 도 7 내지 도 11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씬 판정 서브루틴(인물 판정, module[1])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처리는 카메라(1)의 CPU(75)에 의해 실행이 제어된다. 이 처리를 규정하는 프로그램은 ROM(68)에 기억되어 있다.
S101에서는 얼굴 검출 처리부(80)가 얼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02, "아니오"의 경우는 S105로 진행된다.
S102에서는 RAM(69)의 얼굴 제한 플래그가 온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03, "아니오"의 경우는 S104로 진행된다.
S103에서는 AF 평가값의 산출 영역에 설정된 얼굴 영역에 대해서 얼굴의 크기가 소정 범위 내 또한 얼굴의 기울기가 소정 범위 내 또한 얼굴의 방향이 소정 범위 내 또한 얼굴의 확인의 스코어가 소정 범위 내 또한 얼굴의 위치가 소정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아니오"의 경우는 S103, "예"의 경우는 S104로 진행된다.
S104에서는 씬 인식 결과(SR)=인물에 설정한다. 그리고, module[1]의 뒤에 이어지는 처리, 즉 S73ㆍS75ㆍS77ㆍS79 중 어느 하나의 다음 처리, 또는 S85ㆍS88ㆍS91ㆍS94 중 어느 하나의 다음 처리로 진행된다.
S105에서는 씬 인식 결과(SR)=AUTO에 설정한다.
도 8은 씬 판정 서브루틴(풍경 판정, module[2])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카메라(1)의 CPU(75)에 의해 실행이 제어된다. 이 처리를 규정하는 프로그램은 ROM(68)에 기억되어 있다.
S111에서는 셔터 버튼의 반누름(S1)이 로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24, "아니오"의 경우는 S112로 진행된다.
S112에서는 설정 메뉴나 조작부(11)를 통해서 미리 컨티뉴어스 AF(이하 「CAF」로 표기)의 실행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13, "아니오"의 경우는 S129로 진행된다.
S113에서는 본 촬상 전 AF 처리부(81)의 산출된 AF 평가값이 ROM(68)에 기억된 소정 역치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14, "아니오"의 경우는 S119로 진행된다. 또한, 본 스텝S113을 생략해도 좋다. 이 경우, S112에서 "예"의 경우는 S114로 진행되고, 또한 S113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이어지는 모든 처리(S119, S120, S121, S122, S123)도 생략된다.
S114에서는 ROM(68)에 기억된 E_AUT0SR_CHECK_CAFSTATUS_HIGH=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15, "아니오"의 경우는 S116으로 진행된다.
S115에서는 CAF의 결과 정해진 포커싱 위치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초점 거리 역치보다 무한원(INF)측에 있는지, 즉 포커싱 피사체가 소정 거리보다 먼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25, "아니오"의 경우는 S129로 진행된다.
S116에서는 E_AUT0SR_CHECK_CAFSTATUS_HIGH=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17, "아니오"의 경우는 S118로 진행된다.
S117에서는 CAF의 결과, AF 평가값의 극대점이 검출되고, 또한 그 극대점에서 정해진 포커싱 위치에 대응하는 초점 거리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초점 거리 역치보다 무한원(INF)측에 있는지, 즉 소정 거리보다 먼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25, "아니오"의 경우는 S129로 진행된다.
S118에서는 CAF의 결과, AF 평가값의 극대점이 검출되는지 또는 AF 평가값이 그 극대점의 근방에 있을지(예컨대, 본 출원인에 의한 일본 특허 공개 2003-348426호 공보 단락0041의 「미동 조정」의 단계에 있을 경우), 또한 그 극대점에서 정해진 포커싱 위치에 대응하는 초점 거리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초점 거리 역치보다 무한원(INF)측에 있는지, 즉 소정 거리보다 먼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25, "아니오"의 경우는 S129로 진행된다.
S119에서는 ROM(68)에 기억된 E_AUT0SR_CHECK_CAFSTATUS_L0W=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20, "아니오"의 경우는 S121로 진행된다.
S120에서는 CAF의 결과 정해진 포커싱 위치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초점 거리 역치보다 무한원(INF)측에 있는지, 즉 소정 거리보다 먼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25, "아니오"의 경우는 S129로 진행된다.
S121에서는 E_AUT0SR_CHECK_CAFSTATUS_L0W=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22, "아니오"의 경우는 S123으로 진행된다.
S122에서는 CAF의 결과, AF 평가값의 극대점이 검출되고, 또한 그 극대점에서 정해진 포커싱 위치에 대응하는 초점 거리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초점 거리 역치보다 무한원(INF)측에 있는지, 즉 소정 거리보다 먼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25, "아니오"의 경우는 S129로 진행된다.
S123에서는 CAF의 결과, AF 평가값의 극대점이 검출되는지 또는 AF 평가값이 그 극대점의 근방에 있을지(예컨대, 본 출원인에 의한 일본 특허 공개 2003-348426호 공보 단락0041의 「미동 조정」의 단계에 있을 경우), 또한 그 극대점에서 정해진 포커싱 위치에 대응하는 초점 거리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초점 거리 역치보다 무한원(INF)측에 있는지, 즉 소정 거리보다 먼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25, "아니오"의 경우는 S129로 진행된다.
S124에서는 AF 처리부(62)의 AF 처리에 의해 포커싱 위치가 결정되고, 또한 그 포커싱 위치에 대응하는 초점 거리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초점 거리 역치보다 무한원(INF)측에 있는지, 즉 소정 거리보다 먼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25, "아니오"의 경우는 S129로 진행된다.
S125에서는 제어 회로(74)의 측광된 피사계 휘도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역치보다 낮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26, "아니오"의 경우는 S129로 진행된다.
S126에서는 ROM(68)의 설정 파라미터로서 또는 조작부(11)로부터, 미리 풍경 줌 정보 플래그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26, "아니오"의 경우는 S129로 진행된다.
S127에서는 줌 렌즈 위치가 소정 범위 내 예컨대 소정 위치보다 와이드측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28, "아니오"의 경우는 S129로 진행된다. 또한, 줌 위치가 소정 범위 내에 없다는 것은, 예컨대 줌 렌즈 위치가 텔레 단 또는 그 근방에 있을 경우이다. 이 경우, 전경을 화각에 받아들일 수 없고, 풍경 촬영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촬영 씬은 AUTO로 판단한다.
S128에서는 SR=풍경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module[2]의 뒤에 이어지는 처리로 진행된다.
S129에서는 SR=AUTO로 설정한다. 그리고, module[2]의 뒤에 이어지는 처리로 진행된다.
도 9는 씬 판정 서브루틴(야경 판정, module[3])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카메라(1)의 CPU(75)에 의해 실행이 제어된다. 이 처리를 규정하는 프로그램은 ROM(68)에 기억되어 있다.
S131에서는 제어 회로(74)의 측광된 피사계 휘도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역치보다 낮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32, "아니오"의 경우는 S152로 진행된다.
S132에서는 셔터 버튼의 반누름(S1)이 로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47, "아니오"의 경우는 S133으로 진행된다.
S133에서는 RAM(69)에 기억되어 있는 반누름(S1) 전의 야경 판정 플래그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34, "아니오"의 경우는 S152로 진행된다.
S134에서는 조작부(11)로부터의 입력 또는 ROM(68)에 기억된 파라미터에 의해 야경 판정으로 거리 정보를 이용하는지의 여부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야경 판정으로 거리 정보를 이용하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는 S135, 야경 판정으로 거리 정보를 이용하는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을 경우는 S149로 진행된다.
S135에서는 설정 메뉴나 조작부(11)를 통해서 미리 CAF의 실행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36, "아니오"의 경우는 S152로 진행된다.
S136에서는 본 촬상 전 AF 처리부(81)의 산출된 AF 평가값이 ROM(68)에 기억된 소정 역치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37, "아니오"의 경우는 S142로 진행된다. 또한, 본 스텝S136을 생략해도 좋다. 이 경우, S135에서 "예"의 경우는 S137로 진행되고, 또한 S136에서 "아니오"로 판단되었을 경우에 이어지는 모든 처리도 생략된다.
S137에서는 E_AUTOSR_CHECK_CAFSTATUS_HIGH=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38, "아니오"의 경우는 S139로 진행된다.
S138에서는 CAF의 결과 정해진 포커싱 위치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초점 거리 역치보다 무한원(INF)측에 있는지, 즉 소정 거리보다 먼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49, "아니오"의 경우는 S152로 진행된다.
S139에서는 E_AUTOSR_CHECK_CAFSTATUS_HIGH=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40, "아니오"의 경우는 S141로 진행된다.
S140에서는 CAF의 결과 AF 평가값의 극대점이 검출되고, 또한 그 극대점에서 정해진 포커싱 위치에 대응하는 초점 거리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초점 거리 역치보다 무한원(INF)측에 있는지, 즉 소정 거리보다 먼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49, "아니오"의 경우는 S152로 진행된다.
S141에서는 CAF의 결과 AF 평가값의 극대점이 검출될지 또는 AF 평가값이 그 극대점의 근방에 있을지(예컨대, 본 출원인에 의한 일본 특허 공개 2003-348426호 공보 단락0041의 「미동 조정」의 단계에 있을 경우), 또한 그 극대점에서 정해진 포커싱 위치에 대응하는 초점 거리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초점 거리 역치보다 무한원(INF)측에 있는지, 즉 소정 거리보다 먼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49, "아니오"의 경우는 S152로 진행된다.
S142에서는 E_AUTOSR_CHECK_CAFSTATUS_LOW=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43, "아니오"의 경우는 S144로 진행된다.
S143에서는 CAF의 결과 정해진 포커싱 위치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초점 거리 역치보다 무한원(INF)측에 있는지, 즉 소정 거리보다 먼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49, "아니오"의 경우는 S152로 진행된다.
S144에서는 E_AUTOSR_CHECK_CAFSTATUS_LOW=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45, "아니오"의 경우는 S146로 진행된다.
S145에서는 CAF의 결과 AF 평가값의 극대점이 검출되고, 또한 그 극대점에서 정해진 포커싱 위치에 대응하는 초점 거리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초점 거리 역치보다 무한원(INF)측에 있는지, 즉 소정 거리보다 먼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49, "아니오"의 경우는 S152로 진행된다.
S146에서는 CAF의 결과 AF 평가값의 극대점이 검출될지 또는 AF 평가값이 그 극대점의 근방에 있을지(예컨대, 본 출원인에 의한 일본 특허 공개 2003-348426호 공보 단락0041의 「미동 조정」의 단계에 있을 경우), 또한 그 극대점에서 정해진 포커싱 위치에 대응하는 초점 거리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초점 거리 역치보다 무한원(INF)측에 있는지, 즉 소정 거리보다 먼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49, "아니오"의 경우는 S152로 진행된다.
S147에서는 조작부(11)로부터의 입력 또는 ROM(68)에 기억된 파라미터에 의 해 야경 판정으로 거리 정보를 이용하는지의 여부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야경 판정으로 거리 정보를 이용하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는 S148, 야경 판정으로 거리 정보를 이용하는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을 경우는 S149로 진행된다.
S148에서는 AF 처리부(62)의 AF 처리에 의해 포커싱 위치가 결정되고, 또한 그 포커싱 위치에 대응하는 초점 거리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초점 거리 역치보다 무한원(INF)측에 있는지, 즉 소정 거리보다 먼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49, "아니오"의 경우는 S152로 진행된다.
S149에서는 ROM(68)의 설정 파라미터로서 또는 조작부(11)로부터 미리 야경 줌 정보 플래그가 온에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50, "아니오"의 경우는 S151로 진행된다.
S150에서는 줌 렌즈 위치가 소정 범위 내, 예컨대 소정 위치보다 와이드측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51, "아니오"의 경우는 S152로 진행된다. 또한, 줌 위치가 소정 범위 내에 없는 것은, 예컨대 줌 렌즈 위치가 텔레 단 또는 그 근방에 있을 경우이다. 이 경우, 입사 광량이 부족한 백 원경을 화각으로 받아들일 수 없고, 야경 촬영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AUTO로 판정한다.
S151에서는 SR=야경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module[3]의 뒤에 이어지는 처리로 진행된다.
S152에서는 SR=AUTO로 설정한다. 그리고, module[3]의 뒤에 이어지는 처리로 진행된다.
도 10은 씬 판정 서브루틴(야경 판정, module[3])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카메라(1)의 CPU(75)에 의해 실행이 제어된다. 이 처리를 규정하는 프로그램은 ROM(68)에 기억되어 있다. 야경 판정은 도 11 또는 도 12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하면 충분하다.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어도 좋다.
S161에서는 제어 회로(74)의 측광된 피사계 휘도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역치보다 낮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62, "아니오"의 경우는 S168로 진행된다. 또한, 이 역치는 보조광 제어부(25)에 발광을 지시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역치와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S162에서는 셔터 버튼의 반누름(S1)이 로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63, "아니오"의 경우는 S168로 진행된다.
S163에서는 보조광 제어부(25)에 보조광(26)의 발광을 지시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64, "아니오"의 경우는 S168로 진행된다.
S164에서는 보조광 제어부(25)가 보조광 발광부(26)를 발광시키기 직전과 직후에 각각 제어 회로(74)의 측광된 피사계 휘도의 차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역치를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68, "아니오"의 경우는 S165로 진행된다. 또한, 상기 차가 상기 역치를 초과하지 않고, 미소하면 보조 광조사에 의한 피사체 휘도의 증가의 기여가 거의 없고, 피사체가 가깝지 않다고 할 수 있다.
S165에서는 ROM(68)의 설정 파라미터로서 또는 조작부(11)로부터 미리 야경 줌 정보 플래그가 온에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66, "아니오"의 경우는 S167로 진행된다.
S166에서는 줌 렌즈 위치가 소정 범위 내, 예컨대 소정 위치보다 와이드측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67, "아니오"의 경우는 S168로 진행된다. 또한, 줌 위치가 소정 범위 내에 없는 것은, 예컨대 줌 렌즈 위치가 텔레 단 또는 그 근방에 있을 경우이다. 이 경우, 백 원경을 화각으로 받아들일 수 없고, 야경 촬영에 적합하지 않다.
S167에서는 SR=야경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module[3]의 뒤에 이어지는 처리로 진행된다.
S168에서는 SR-AUTO로 설정한다. 그리고, module[3]의 뒤에 이어지는 처리로 진행된다.
도 11은 씬 판정 서브루틴(접사 판정, module[4])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카메라(1)의 CPU(75)에 의해 실행이 제어된다. 이 처리를 규정하는 프로그램은 ROM(68)에 기억되어 있다.
S171에서는 셔터 버튼의 반누름(S1)이 로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84, "아니오"의 경우는 S172로 진행된다.
S172에서는 설정 메뉴나 조작부(11)를 통해서 미리 CAF의 실행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73, "아니오"의 경우는 S188로 진행된다.
S173에서는 본 촬상 전 AF 처리부(81)의 산출된 AF 평가값이 ROM(68)에 기억된 소정 역치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74, "아니오"의 경우는 S179로 진행된다. 또한, 본 스텝S173을 생략해도 좋다. 이 경우, S172에서 "예"의 경우는 S174로 진행되고, 또한 S173에서 "아니오"로 판단되었을 경우에 이어지는 모든 처리도 생략된다.
S174에서는 E_AUTOSR_CHECK_CAFSTATUS_HIGH=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75, "아니오"의 경우는 S176으로 진행된다.
S175에서는 CAF의 결과 정해진 포커싱 위치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초점 거리 역치보다 지근(NEAR)측에 있는지, 즉 소정 거리보다 가까운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85, "아니오"의 경우는 S188로 진행된다.
S176에서는, E_AUTOSR_CHECK_CAFSTATUS_HIGH=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77, "아니오"의 경우는 S178로 진행된다.
S177에서는 CAF의 결과 AF 평가값의 극대점이 검출되고, 또한 그 극대점에서 정해진 포커싱 위치에 대응하는 초점 거리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초점 거리 역치보다 지근(NEAR)측에 있는지, 즉 소정 거리보다 가까운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85, "아니오"의 경우는 S188로 진행된다.
S178에서는 CAF의 결과 AF 평가값의 극대점이 검출될지 또는 AF 평가값이 그 극대점의 근방에 있을지(예컨대, 본 출원인에 의한 일본 특허 공개 2003-348426호 공보 단락0041의 「미동 조정」의 단계에 있을 경우), 또한 그 극대점에서 정해진 포커싱 위치에 대응하는 초점 거리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초점 거리 역치보다 지근(NEAR)측에 있는지, 즉 소정 거리보다 가까운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85, "아니오"의 경우는 S188로 진행된다.
S179에서는 E_AUTOSR_CHECK_CAFSTATUS_L0W=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80, "아니오"의 경우는 S181로 진행된다.
S180에서는 CAF의 결과 정해진 포커싱 위치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초점 거리 역치보다 지근(NEAR)측에 있는지, 즉 소정 거리보다 가까운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85, "아니오"의 경우는 S188로 진행된다.
S181에서는 E_AUTOSR_CHECK_CAFSTATUS_L0W=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82, "아니오"의 경우는 S183으로 진행된다.
S182에서는 CAF의 결과 AF 평가값의 극대점이 검출되고, 또한 그 극대점에서 정해진 포커싱 위치에 대응하는 초점 거리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초점 거리 역치보다 지근(NEAR)측에 있는지, 즉 소정 거리보다 가까운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85, "아니오"의 경우는 S188로 진행된다.
S183에서는 CAF의 결과 AF 평가값의 극대점이 검출될지 또는 AF 평가값이 그 극대점의 근방에 있을지(예컨대, 본 출원인에 의한 일본 특허 공개 2003-348426호 공보 단락0041의 「미동 조정」의 단계에 있을 경우), 또한 그 극대점에서 정해진 포커싱 위치에 대응하는 초점 거리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초점 거리 역치보다 지근(NEAR)측에 있는지, 즉 소정 거리보다 가까운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85, "아니오"의 경우는 S188로 진행된다.
S184에서는 AF 처리부(62)의 AF 처리에 의해 포커싱 위치가 결정되고, 또한 그 포커싱 위치에 대응하는 초점 거리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초점 거리 역치보다 지근(NEAR)측에 있는지, 즉 소정 거리보다 가까운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85, "아니오"의 경우는 S188로 진행된다.
S185에서는 ROM(68)의 설정 파라미터로서 또는 조작부(11)로부터 미리 접사 줌 정보 플래그이 온에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86, "아니오"의 경우는 S187로 진행된다.
S186에서는 줌 렌즈 위치가 ROM(68)에 기억된 소정 범위 내, 예컨대 소정 위치보다 와이드측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의 경우는 S187, "아니오"의 경우는 S188로 진행된다. 또한, 줌 위치가 소정 범위 내에 없는 것은, 예컨대 줌 렌즈 위치가 와이드 단 또는 그 근방에 있는 경우 이외이다. 이 경우, 근접 피사체의 포커싱이 될 수 없고, 근접 촬영에 적합하지 않다.
S187에서는 SR=접사로 설정한다. 그리고, module[4]의 뒤에 이어지는 처리로 진행된다.
S188에서는 SR=AUTO로 설정한다. 그리고, module[4]의 뒤에 이어지는 처리로 진행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얼굴 검출의 결과, 포커스 렌즈 위치, 줌 렌즈 위치, 포커싱 상태 및 측광값의 정보에 의거해서 1회만의 씬 인식 결과(단독 씬 인식 결과)뿐만 아니라, 씬 인식 이력 정보를 사용해서 씬 인식(토털 씬 인식)을 행함으로써 안정한 씬 인식 결과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는 S1온시에 있어서의 토털 씬 인식에 있어서 씬(SR)의 판정에 이용되는 단독 씬 인식 결과의 수를 S1전(S1 오프 시, 스루우 화상 표시 시)보다 적게 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CPU(75)에 의해 얼굴 검출의 결과, 포커스 렌즈 위치, 줌 렌즈 위치, 포커싱 상태 및 측광값을 포함하는 촬영 정보가 취득되고, 상기 촬영 정보를 이용해서 씬 인식(단독 씬 인식)이 행하여진다(스텝S20).
다음에, 메모리[RAM(69)] 상의 씬 인식 이력의 격납 영역이 슬라이딩되고, 단독 씬 인식 결과의 최신 값을 격납하는 빈 영역이 제공된다(스텝S22). 그리고, 이 최신 값의 격납 영역에 스텝S1O에 있어서의 최신의 단독 씬 인식 결과가 기록된다(스텝S24).
다음에, S1전(스루우 화상 표시 시)에 있어서의 토털 씬 인식에 있어서 씬(SR)의 판정에 이용되는 단독 씬 인식 결과를 소정수(S1전용 참조수분)를 포함하는 씬 인식 이력이 입력되어(스텝S26) 씬 인식 이력에 의거해서 현재의 씬(SR)이 판정된다(스텝S28). 예컨대, S1전에 토털 씬 인식을 행할 때에 참조될 단독 씬 인식 결과의 수(a)(S1전용 참조수)가 a=5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5개의 단독 씬 인식 결과가 입력된다. 또한, 스텝S28에서는 상기 스텝S18과 마찬가지로, 토털 씬 인식에 있어서, 예컨대 씬 인식 이력에 있어서의 인식 횟수(인식 빈도) 및 인식 결과의 새로움에 의거해서 현재 촬영 중의 씬(SR)이 판정된다. 그리고, 이 씬(SR)의 판정 결과에 따라 촬영 모드의 설정이 행하여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씬 인식 처리(S1온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CPU(75)에 의해 얼굴 검출의 결과, 포커스 렌즈 위치, 줌 렌즈 위치, 포커싱 상태 및 측광값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정보를 이용해서 씬 인식(단독 씬 인식)이 행하여진다(스텝S30).
다음에, 씬 인식 이력을 참조할지가 판정된다(스텝S32). S1온시의 씬 인식에 있어서 씬 인식 이력을 참조하지 않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스텝S32의 아니오), 스텝S30에 있어서의 단독 씬 인식 결과가 현재의 씬(SR)에 설정된다(스텝S34).
다음에, S1온시의 씬 인식에 있어서 씬 인식 이력을 참조하는(토털 씬 인식을 행함)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스텝S32의 예) 메모리[RAM(69)] 상의 씬 인식 이력의 격납 영역이 슬라이딩되고, 단독 씬 인식 결과의 최신 값을 격납하는 빈 영역이 제공된다(스텝S36). 그리고, 이 최신 값의 격납 영역에 스텝S10에 있어서의 최신의 단독 씬 인식 결과가 기록된다(스텝S38).
다음에, S1전용 참조수보다 적은 S1 후용 참조수분의 단독 씬 인식 결과를 포함하는 씬 인식 이력이 입력되어(스텝S40) 씬 인식 이력에 의거해서 현재의 씬(SR)이 판정된다(스텝S42). 예컨대, S1전에 토털 씬 인식을 행할 때에 참조될 단독 씬 인식 결과의 수(a)(S1전용 참조수)가 a=5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S1후에 토털 씬 인식을 행할 때에 참조될 단독 씬 인식 결과의 수(b)(S1 후용 참조수)는 b=4로 설정되는 것으로도 좋다. 이 경우, 4개의 단독 씬 인식 결과가 입력된다. 또한, 스텝S42에서는 상기 스텝S18등과 마찬가지로, 토털 씬 인식에 있어서, 예컨대 씬 인식 이력에 있어서의 인식 횟수(인식 빈도) 및 인식 결과의 새로움에 의거해서 현재 촬영 중의 씬(SR)이 판정된다. 그리고, 이 씬(SR)의 판정 결과에 따라 촬영 모드의 설정이 행하여진다.
일반적으로, S1AE 및 S1AF(이하, S1AUT0이라 함.)에 의해 얻어지는 촬영 정보는 CAE 및 CAF(이하, CAUTO라 함.)에 의해 얻어지는 촬영 정보보다 정밀도가 높다. 이 때문에, S1AUTO시의 촬영 정보에 의거하는 단독 씬 인식 결과는 CAUTO에 의거하는 단독 씬 인식 결과보다 정밀도가 높다고 생각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S1온시에 있어서의 토털 씬 인식에 있어서 씬(SR)의 판정에 이용되는 단독 씬 인식 결과의 수를 S1전(스루우 화상 표시 시)보다 적게 함으로써 S1온시의 토털 씬 인식으로 참조하는 씬 인식 이력 중의 S1전의 단독 씬 인식 결과의 수를 적게 하고, 그 영향을 작게 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S1온시에 있어서의 토털 씬 인식에 있어서 씬(SR)의 판정에 이용되는 단독 씬 인식 결과의 이력의 수를 S1전(스루우 화상 표시 시)보다 적게 함으로써 S1전의 토털 씬 인식 결과의 안정성과 S1온시의 토털 씬 인식 결과의 정확성을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정밀도를 중시할 경우, S1온시의 토털 씬 인식에서는 S1전의 단독 씬 인식 결과의 이력 정보를 참조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는 토털 씬 인식에 있어서, 씬 인식 이력의 집계를 행할 때에 웨이트 부여를 하도록 한 것이며, 새로운 단독 씬 인식 결과 만큼 웨이트를 크게 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S1전의 스루우 화상 표시 시에는 RAM(69)의 소정 격납 영역(A[0],A[1],A[2], ㆍㆍㆍ)에 S1전의 단독 씬 인식 결과가 씬 인식 이력으로서 순번으로 격납된다.
씬 인식 이력이 갱신되면, CPU(75)는 씬 인식 이력으로부터 단독 씬 인식 결과를 판독해서 집계하고, 토털 씬 인식을 행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는 씬 인식 이력 중의 개별의 단독 씬 인식 결과에 곱하는 웨이트(w)[i](i=0,1,2, ㆍㆍㆍ)를 미리 RAM(69)에 기억하고 있다. 이 웨이트(w)[i]의 값은 씬 인식 결과의 오래된 측 만큼 작게 된다. CPU(75)는 단독 씬 인식 결과의 집계 시에 웨이트(w)[i]를 승산해서 씬마다의 스코어를 산출하고, 이 스코어가 최대의 것을 현재의 씬(SR)으로 판정한다.
도 14에 나타낸 예에서는 각 씬의 스코어는 하기와 같이 된다.
스코어(ID=1)=1×w[1]+1×w[2]+1×w[3]+1×w[4]
=3+2+1+1=7
스코어(ID=3)=1×w[0]
=5
따라서, 토털 씬 인식 결과를 나타내는 씬 ID는 SR=1이 되고, 촬영 모드가 「인물」모드로 설정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온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에 나타낸 예에서는 S1 후에 있어서의 단독 씬 인식 결과에 관한 웨이트가 최대로 되어 있고, 각 씬의 스코어는 하기와 같이 된다.
스코어(ID=0)=1×w[2]+1×w[3]+1×w[4]
=2+1+1=4
스코어(ID=1)=1×w[1]
=5
스코어(ID=3)=1×w[0]
=10
따라서, 토털 씬 인식 결과를 나타내는 씬ID는 SR=3이 되고, 촬영 모드가 「야경」모드로 설정된다.
또한, S1온시의 단독 씬 인식 결과에 곱하는 웨이트만 0보다 큰 값으로 하고, S1전의 웨이트를 모두 0로 함으로써 S1 후의 결과만 사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S1전과 S1온시(S1온 후)에서 웨이트의 값이 다르게 되어 있지만, 동일 값을 이용해도 좋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CPU(75)에 의해 얼굴 검출의 결과, 포커스 렌즈 위치, 줌 렌즈 위치, 포커싱 상태 및 측광값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정보를 이용해서 씬 인식(단독 씬 인식)이 행하여진다(스텝S50).
다음에, 메모리(RAM(69)) 상의 씬 인식 이력의 격납 영역이 슬라이딩되고, 단독 씬 인식 결과의 최신 값을 격납하는 빈 영역이 제공된다(스텝S52). 그리고, 이 최신 값의 격납 영역에 스텝S10에 있어서의 최신의 단독 씬 인식 결과가 기록된다(스텝S54).
다음에, S1전(스루우 화상 표시 시)에 있어서의 토털 씬 인식에 있어서 씬(SR)의 판정에 이용되는 단독 씬 인식 결과의 이력의 수개 분(S1전용 참조 이력 수개 분)의 씬 인식 이력이 입력되어(스텝S56) 웨이트 부여 연산이 실행된다(스텝S58). 그리고, 웨이트 부여 후의 씬 인식 이력에 의거해서 현재의 씬(SR)이 판정된다(스텝S60). 또한, 스텝S60에서는 상기 스텝S18등과 마찬가지로, 토털 씬 인식에 있어서, 예컨대 씬 인식 이력에 있어서의 인식 횟수(인식 빈도) 및 인식 결과의 새로움에 의거해서 현재 촬영 중의 씬(SR)이 판정된다. 그리고, 이 씬(SR)의 판정 결과에 따라 촬영 모드의 설정이 행하여진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온시)를 나타 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CPU(75)에 의해 얼굴 검출의 결과, 포커스 렌즈 위치, 줌 렌즈 위치, 포커싱 상태 및 측광값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정보를 이용해서 씬 인식(단독 씬 인식)이 행하여진다(스텝S70).
다음에, 씬 인식 이력을 참조할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S72). S1온시의 씬 인식에 있어서 씬 인식 이력을 참조하지 않는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스텝S72의 아니오) 스텝S70에 있어서의 단독 씬 인식 결과가 현재의 씬(SR)에 설정된다(스텝S74).
다음에, S1온시의 씬 인식에 있어서 씬 인식 이력을 참조하는(토털 씬 인식을 행함)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스텝S72의 예), 메모리[RAM(69)] 상의 씬 인식 이력의 격납 영역이 슬라이딩되고, 단독 씬 인식 결과의 최신 값을 격납하는 미사용 영역이 형성된다(스텝S76). 그리고, 이 최신 값의 격납 영역에 스텝S10에 있어서의 최신의 단독 씬 인식 결과가 기록된다(스텝S78).
다음에, S1전용 참조수보다 적은 S1 후용 참조수분의 단독 씬 인식 결과를 포함하는 씬 인식 이력이 입력되어(스텝S80) 웨이트 부여 연산이 실행된다(스텝S82). 그리고, 씬 인식 이력에 의거해서 현재의 씬(SR)이 판정된다(스텝S84). 또한, 스텝S84에서는 상기 스텝S18등과 마찬가지로, 토털 씬 인식에 있어서, 예컨대 씬 인식 이력에 있어서의 인식 횟수(인식 빈도) 및 인식 결과의 새로움에 의거해서 현재 촬영 중의 씬(SR)이 판정된다. 그리고, 이 씬(SR)의 판정 결과에 따라 촬영 모드의 설정이 행하여진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씬 인식 이력을 집계할 때에 새로운 단독 씬 인식 결과 만큼 웨이트를 크게 함으로써 씬 변동이 있었을 경우의 응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토털 씬 인식 결과의 안정성과 응답성을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S1 AUTO시의 촬영 정보에 의거해서 단독 씬 인식 결과는 정밀도가 높으므로 S1온시에 있어서의 단독 씬 인식 결과에 관한 웨이트를 크게 함으로써 씬의 인식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는 단독 씬 인식에 사용되는 촬영 정보(예컨대, 얼굴 검출의 결과, 포커스 렌즈 위치, 줌 렌즈 위치, 포커싱 상태 및 측광값 중 하나 이상)의 이력을 RAM(69)에 격납해 두고, 상기 촬영 정보 이력으로부터 각 촬영 정보의 대표값을 구하여 대표값에 의거해서 단독 씬 인식을 행하는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1)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촬영 모드 시에 컨티뉴어스 AE(CAE) 및 컨티뉴어스 AF(CAF)를 행한다. 또한, 셔터 버튼이 반눌려지면(S1온), S1AE 및 S1AF를 행한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CAE 및 CAF, S1AE 및 S1AF에 의해 얻어진 촬영 정보는 RAM(69)에 순차 격납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낸 예에서는 촬영 정보의 예로서 밝기(EV)[i](측광값, EV 값)와 피사체 거리(POS)[i](예컨대, 포커스 렌즈 위치)가 나타내어져 있지만, 상기 이외의 정보[예컨대, 얼굴 검출의 결과(얼굴의 유무, 개수), 줌 렌즈 위치 및 측광값]를 격납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CPU(75)는 소정 시간 간격마다[예컨대, CAE 및 CAF에 의해 RAM(69)에 새로운 촬영 정보가 격납되어 RAM(69)의 촬영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또는 촬영 이력이 소정 개수 격납될 때마다] 상기 촬영 정보 이력을 판독해서 각 촬영 정보의 대표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이 대표값에 의거해서 씬 인식을 행한다. 여기서, 촬영 정보의 대표값으로서는, 예컨대 평균값 또는 메디안값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대표값으로서는, 예컨대 촬영 정보의 값을 크기의 순서로 늘어 놓았을 경우에, 최대값측의 N개, 최소값측의 M개(N=M, N≠M 중 어느 하나도 좋음.)를 제외하고 나서 나머지의 촬영 정보에 대해서 산출된 평균값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른 촬영 정보와 극단으로 멀리 떨어진 값을 제외할 수 있으므로 씬의 변동이나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도 19의 처리는 촬영 모드 시에 있어서, 소정 시간 간격마다 실행된다. 처리를 행하는 타이밍으로서, 예컨대 CAE 및 CAF에 의해 RAM(69)에 새로운 촬영 정보가 격납되어 RAM(69)의 촬영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또는 소정 개수의 촬영 정보 이력이 격납될 때마다가 열거된다.
우선, RAM(69)으로부터 촬영 정보 이력(예컨대, 밝기 및 피사체 거리)이 판 독되어(스텝S90) 그 대표값(EVa, POSa)이 산출된다(스텝S92).
다음에, 상기 대표값(EVa, POSa)에 의거해서 토털 씬 인식이 행해져(스텝S94) 이 토털 씬 인식 결과에 따라 촬영 모드의 설정이 행하여진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AE 및 AF 시에 얻어지는 씬 인식용의 촬영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격납해 두고, 촬영 정보의 이력을 이용해서 토털 씬 인식을 행함으로써 안정한 씬 인식 결과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온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S1온시에 있어서의 토털 씬 인식에 이용되는 촬영 정보의 이력에 포함되는 촬영 정보의 수를 S1전(스루우 화상 표시 시)보다 적게 한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도 22의 처리는 촬영 모드 시에 있어서, 소정 시간 간격마다 실행된다. 처리는, 예컨대, CAE 및 CAF에 의해 RAM(69)에 새로운 촬영 정보가 격납되어RAM(69)의 촬영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또는 촬영 이력이 소정 개수 격납될 때마다 행해지는 것으로도 좋다.
우선, RAM(69)으로부터 소정수분의 촬영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 정보 이력(예컨대, 밝기 및 피사체 거리)이 (S1전용 참조수분) 판독되어(스텝S100) 그 대표값(EVa, POSa)이 산출된다(스텝S102).
다음에, 상기 대표값(EVa, POSa)에 의거해서 토털 씬 인식이 행해져(스텝S104), 이 토털 씬 인식 결과에 따라 촬영 모드의 설정이 행하여진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온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도 23의 처리는 S1온 후에 소정 시간 간격마다 실행된다. 처리는, 예컨대 CAE 및 CAF에 의해 RAM(69)에 새로운 촬영 정보가 격납되어 RAM(69)의 촬영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또는 촬영 이력이 소정 개수 격납될 때마다 행해지는 것으로도 좋다.
우선, RAM(69)으로부터 촬영 정보(예컨대, 밝기 및 피사체 거리)를 S1전용 참조보다 적은 S1 후용 참조수분 포함하는 촬영 정보 이력이 판독되어(스텝S110) 그 대표값(EVa, POSa)이 산출된다(스텝S112).
다음에, 상기 대표값(EVa, POSa)에 의거해서 토털 씬 인식이 행해져(스텝S114) 이 토털 씬 인식 결과에 따라 촬영 모드의 설정이 행하여진다.
일반적으로, S1AUTO시에 의해 얻어지는 촬영 정보는 CAUTO에 의해 얻어지는 촬영 정보보다 정밀도가 높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S1온시의 씬 인식에 이용되는 이력 중의 촬영 정보의 수를 S1전(스루우 화상 표시 시)의 토털 씬 인식에 이용되는 수보다 적게 함으로써 S1온시의 토털 씬 인식에서 참조하는 촬영 정보 이력 중의 S1전의 촬영 정보의 수를 적게 하고, 그 영향을 작게 한다. 이에 따라, S1전의 토털 씬 인식 결과의 안정성과 S1온시의 토털 씬 인식 결과의 정확성을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6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는 촬영 정보의 대표값을 산출할 때에 웨이트를 하도록 한 것이며, 새로운 촬영 정보에 관한 웨이트의 값을 크게 한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온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는 촬영 정보를 집계할 때에 관한 웨이트(w)[i](i=0,1,2, ㆍㆍㆍ)를 미리 RAM(69)에 기억하고 있다. 이 웨이트(w)[i]의 값은 촬영 정보 이력중에서 오래된 촬영 정보만큼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웨이트(w)[i]의 값은 S1전과 S1온시에 상이해도 좋고, 동일해도 좋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도 26의 처리는 촬영 모드 시에 있어서 소정 시간 간격마다 실행된다. 처리는, 예컨대 CAE 및 CAF에 의해 RAM(69)에 새로운 촬영 정보가 격납되어 RAM(69)의 촬영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또는 촬영 이력이 소정 개수 격납 될 때마다 행해지는 것으로도 좋다.
우선, RAM(69)으로부터 촬영 정보 이력(예컨대, 밝기 및 피사체 거리)이 소정 수 분(S1전용 참조 이력수분) 판독되어(스텝S120) 촬영 정보가 웨이트 부여되어(스텝S122) 그 대표값(웨이트 부여 평균값)(EVa 및 POSa)이 산출된다(스텝S124).
다음에, 상기 대표값(EVa, POSa)에 의거해서 토털 씬 인식이 행해져(스텝S126) 이 토털 씬 인식 결과에 따라 촬영 모드의 설정이 행하여진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온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도 27의 처리는 S1온 후에 소정 시간 간격마다 실행된다. 처리는, 예컨대 CAE 및 CAF에 의해 RAM(69)에 새로운 촬영 정보가 격납되어 RAM(69)의 촬영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또는 촬영 이력이 소정 개수 격납될 때마다 행해지는 것으로도 좋다.
우선, RAM(69)으로부터 촬영 정보 이력(예컨대, 밝기 및 피사체 거리)이 S1전용 참조 이력수보다 적은 S1 후용 참조 이력수분 포함하는 촬영 정보 이력이 판독되어(스텝S130), 촬영 정보가 웨이트 부여되어(스텝S132), 그 대표값(웨이트 부여 평균값)(EVa 및 POSa)이 산출된다(스텝S134).
다음에, 상기 대표값(EVa, POSa)에 의거해서 토털 씬 인식이 행해져(스텝S136) 이 토털 씬 인식 결과에 따라 촬영 모드의 설정이 행하여진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촬영 정보의 대표값을 산출할 때에 촬영 이력마다 웨이트 부여함으로써 씬 변동이 있었을 경우의 응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 고, 씬 인식 결과의 안정성과 응답성을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S1AUTO시에 얻어진 촬영 정보는 정밀도가 높으므로, S1온시에 있어서의 촬영 정보에 관한 웨이트를 크게 함으로써 씬의 인식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디지털 카메라)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토털 씬 인식 처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토털 씬 인식 처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씬 인식 결과의 표시의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씬 인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단독 씬 인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씬 인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씬 인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씬 인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씬 인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씬 인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온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온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온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온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온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온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토털 씬 인식 처리(S1온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부호의 설명]
1: 디지털 카메라 11: 조작부
20: 렌즈 24: 플래시 발광부
25: 보조광 제어부 26: 보조광 발광부
51: 렌즈 구동부 54: 조리개
55: 조리개 구동부 58: 촬상 소자(CCD)
59: 촬상 소자 제어부 60: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61: A/D변환부 62: AF 처리부
63: AE/AWB 처리부 65: 디지털 신호 처리부
66: 메모리 67: 압축 신장 처리부
68: ROM 69: RAM
70: 기록부 71: 표시부
73: 플래시 제어부 74: 제어 회로
75: CPU 80: 얼굴 검출 처리부

Claims (15)

  1. 촬영 씬의 정보인 촬영 정보를 취득하는 촬영 정보 취득 수단;
    상기 촬영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촬영 정보로부터 촬영 씬을 인식하는 단독 씬 인식을 행하는 단독 씬 인식 수단;
    상기 단독 씬 인식 수단에 의한 단독 씬 인식 결과를 최신의 소정 개수 씬 인식 이력으로서 등록하는 씬 인식 이력 등록 수단;
    상기 씬 인식 이력 등록 수단에 의해 등록된 씬 인식 이력에 의거해서 촬영 씬을 인식하는 토털 씬 인식을 행하는 토털 씬 인식 수단; 및
    상기 토털 씬 인식 수단에 의한 상기 토털 씬 인식 결과에 따라 표시 제어, 촬영 제어, 신호 처리 제어, 및 정보 기록 제어 중 하나 이상을 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촬영 씬의 정보인 촬영 정보를 취득하는 촬영 정보 취득 수단;
    상기 촬영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촬영 정보를 최신의 소정 개수 촬영 정보 이력으로서 등록하는 촬영 정보 이력 등록 수단;
    상기 촬영 정보 이력 등록 수단에 등록된 촬영 정보 이력에 의거해서 촬영 씬을 인식하는 토털 씬 인식을 행하는 토털 씬 인식 수단; 및
    상기 토털 씬 인식 수단에 의한 상기 토털 씬 인식 결과에 따라 표시 제어, 촬영 제어, 신호 처리 제어, 및 정보 기록 제어 중 하나 이상을 행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털 씬 인식 수단은 상기 씬 인식 이력 등록 수단에 등록된 상기 씬 인식 이력의 전부 또는 일부의 범위에 있어서 최대 빈도의 단독 씬 인식 결과가 나타내어지는 촬영 씬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촬영 씬을 상기 토털 씬 인식 결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토털 씬 인식 수단은 상기 최대 빈도의 단독 씬 인식 결과가 나타내어지는 촬영 씬이 복수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최신측의 최대 빈도의 단독 씬 인식 결과가 나타내어지는 촬영 씬을 상기 토털 씬 인식 결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털 씬 인식 수단은,
    상기 씬 인식 이력 등록 수단에 등록된 상기 씬 인식 이력 중의 각 단독 씬 인식 결과에 대하여 최신 씬 인식 결과 만큼 웨이트가 커지는 웨이팅을 행하는 웨이팅 설정 수단; 및
    상기 웨이팅 설정 수단에 의한 웨이팅 후의 단독 씬 인식 결과별의 누적 스 코어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갖고;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누적 스코어가 최대가 되는 단독 씬 인식 결과를 상기 토털 씬 인식 결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털 씬 인식 수단은,
    상기 촬영 정보 이력 등록 수단에 등록된 상기 촬영 정보 이력으로부터 대표값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 및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대표값에 의거해서 촬영 씬을 인식하는 인식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촬영 정보 이력 등록 수단에 등록된 상기 촬영 정보 이력의 평균값, 상기 촬영 정보 이력 중 최신의 정보일수록 커지는 웨이트를 부여한 웨이팅 평균값, 상기 촬영 정보 이력의 메디안 값, 및 상기 촬영 정보 이력 중 최대값측의 N(N: 0이상의 정수)개분, 최소값측의 M(M: 0이상의 정수이며, N=M, N≠M을 포함함)개분의 촬영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의 평균값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대표값으로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정보 취득 수단은 촬영 씬 중에 인물의 얼굴이 있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피사체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 피사체의 밝기를 나타내는 정보, 및 보조광의 검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피사체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상기 피사체에 포커싱되어 있을 때의 포커스 위치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0.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셔터 반누름 시에 본 노광용의 측광 및 측거를 지시하고, 셔터 완전 누름 시에 본 노광을 지시하는 셔터 버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씬 인식 이력 등록 수단에 등록되는 상기 씬 인식 이력에는 상기 셔터 반누름 전의 단독 씬 인식 결과의 개수와, 상기 셔터 반누름 후의 단독 씬 인식 결과의 개수가 개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1. 제 2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셔터 반누름 시에 본 노광용의 측광 및 측거를 지시하고, 셔터 완전 누름 시에 본 노광을 지시하는 셔터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촬영 정보 이력 등록 수단에 등록되는 상기 촬영 정보 이력은 상기 셔터 반누름 전의 촬영 정보의 개수와, 상기 셔터 반누름 후의 촬영 정보의 개수가 개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털 씬 인식 수단에 의한 토털 씬 인식 결과에 따라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촬영 모드 설정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설정된 촬영 모드에 의거해서 상기 촬영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셔터 반누름 시에 본 노광용의 측광 및 측거를 지시하고, 셔터 완전 누름 시에 본 노광을 지시하는 셔터 버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촬영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셔터 반누름 후 본 노광용의 피사체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 및 본 노광용의 피사체의 밝기를 나타내는 정보만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4. 촬영 씬의 정보인 촬영 정보인 촬영 정보를 취득하는 촬영 정보 취득 스텝;
    상기 촬영 정보 취득 스텝에 의해 취득된 상기 촬영 정보로부터 촬영 씬을 인식하는 단독 씬 인식 스텝;
    상기 단독 씬 인식 스텝에 있어서 인식된 단독 씬 인식 결과를 최신의 소정 개수 씬 인식 이력으로서 씬 인식 이력 등록 수단에 등록하는 씬 인식 이력 등록 스텝;
    상기 씬 인식 이력 등록 수단에 등록된 상기 씬 인식 이력에 의거해서 촬영 씬을 인식하는 토털 씬 인식 스텝; 및
    상기 토털 씬 인식 스텝의 상기 토털 씬 인식 결과에 따라 표시 제어, 촬영 제어, 신호 처리 제어, 및 정보 기록 제어 중 하나 이상을 행하는 제어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15. 촬영 씬의 정보인 촬영 정보를 취득하는 촬영 정보 취득 스텝;
    상기 촬영 정보 취득 스텝에 있어서 취득된 상기 촬영 정보를 최신의 소정 개수분 촬영 정보 이력으로서 촬영 정보 이력 등록 수단에 등록하는 촬영 정보 이력 등록 스텝;
    상기 촬영 정보 이력 등록 수단에 등록된 상기 촬영 정보 이력에 의거해서 촬영 씬을 인식하는 토털 씬 인식 스텝; 및
    상기 토털 씬 인식 스텝의 상기 토털 씬 인식 결과에 따라 표시 제어, 촬영 제어, 신호 처리 제어, 및 정보 기록 제어 중 하나 이상을 행하는 제어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KR1020090066710A 2008-07-29 2009-07-22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KR101542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95273 2008-07-29
JPJP-P-2008-195273 2008-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822A KR20100012822A (ko) 2010-02-08
KR101542436B1 true KR101542436B1 (ko) 2015-08-06

Family

ID=41615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710A KR101542436B1 (ko) 2008-07-29 2009-07-22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66370B2 (ko)
KR (1) KR101542436B1 (ko)
CN (1) CN1016407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3952B2 (ja) * 2010-11-04 2015-06-1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5729407B2 (ja) 2013-02-28 2015-06-0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994298B (zh) * 2015-07-14 2018-08-10 厦门美图之家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选择对焦模式的对焦触发方法和系统
CN106506939B (zh) * 2016-10-12 2020-02-04 成都西纬科技有限公司 一种图像采集装置及采集方法
CN108701439B (zh) * 2016-10-17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图像显示优化方法及装置
CN107977391B (zh) * 2017-03-09 2020-12-08 北京物灵智能科技有限公司 绘本识别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CN107977392B (zh) * 2017-03-09 2020-12-04 北京物灵智能科技有限公司 绘本识别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JP7260737B2 (ja) * 2018-11-15 2023-04-19 フリュー株式会社 画像撮影装置、画像撮影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5327562A (zh) * 2022-10-16 2022-11-11 常州海图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手持可视激光测距仪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2410A (ja) 2006-09-14 2008-03-27 Nec Saitama Ltd 撮像装置、携帯電話、撮像制御方法、撮像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4464B2 (ja) * 2001-09-17 2009-11-18 株式会社リコー デジタルカメラ撮像装置
JP2003244530A (ja) * 2002-02-21 2003-08-29 Konica Corp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及びプログラム
JP2003344891A (ja) * 2002-05-23 2003-12-03 Canon Inc 撮影モード自動設定カメラ
JP4577113B2 (ja) * 2005-06-22 2010-11-10 オムロン株式会社 対象決定装置、撮像装置および監視装置
DE602006009191D1 (de) * 2005-07-26 2009-10-29 Canon Kk Bildaufnahmegerät und -verfahren
JP4717539B2 (ja) * 2005-07-26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CN101137012B (zh) * 2006-07-25 2010-09-08 富士胶片株式会社 拍摄装置和方法
JP4819001B2 (ja) * 2006-07-25 2011-11-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8042616A (ja) * 2006-08-08 2008-02-21 Eastman Kodak Co 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2410A (ja) 2006-09-14 2008-03-27 Nec Saitama Ltd 撮像装置、携帯電話、撮像制御方法、撮像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57168A (ja) 2010-03-11
JP5166370B2 (ja) 2013-03-21
CN101640764B (zh) 2013-09-11
KR20100012822A (ko) 2010-02-08
CN101640764A (zh)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436B1 (ko)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US8199203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with face detection based on scene recognition results
JP4655054B2 (ja) 撮像装置
JP4518131B2 (ja) 撮像方法及び装置
US8248484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JP4588583B2 (ja) 撮影装置およびフォーカス制御方法
JP2010010729A (ja)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098351A (ja) 撮影方法及び装置
JP2007233113A (ja) 測距装置及び方法
JP5665512B2 (ja) 撮像装置及び主要被写体検出方法
JP5027580B2 (ja) 撮影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025559A (ja) 合焦位置検出方法及び装置
JP4565370B2 (ja) 電子カメラ及び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方法
JP2007279333A (ja) 合焦位置決定装置及び方法
JP2010062987A (ja) 撮像装置及び方法
JP4964992B2 (ja) 撮影装置及びその画像記録方法
JP2009169124A (ja) 電子カメラ
JP5421682B2 (ja) 撮像装置および方法
JP5324684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11182013A (ja) 撮像装置及び画像生成プログラム
JP5030883B2 (ja) ディジタル・スチル・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3185911A (ja) 光学系制御装置
JP2022188869A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039343A (ja) 撮像システムの自動合焦/露光量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10141781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장면 인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