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185B1 - Vacuum cleaner having detachable dust-separating dpparatus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having detachable dust-separating d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185B1
KR101542185B1 KR1020080135968A KR20080135968A KR101542185B1 KR 101542185 B1 KR101542185 B1 KR 101542185B1 KR 1020080135968 A KR1020080135968 A KR 1020080135968A KR 20080135968 A KR20080135968 A KR 20080135968A KR 101542185 B1 KR101542185 B1 KR 101542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yclone
cyclone unit
dirt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9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77893A (en
Inventor
한정균
오장근
차승룡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5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185B1/en
Priority to US12/590,260 priority patent/US20100162517A1/en
Priority to AU2009238258A priority patent/AU2009238258B2/en
Priority to EP09014244.9A priority patent/EP2201880B1/en
Priority to RU2009149157/12A priority patent/RU2520051C2/en
Publication of KR20100077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8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1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분리할 수 있는 집진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진공청소기는 제1면의 일부를 개방하는 제1개구와 제1개구에 인접한 제2면의 일부를 개방하는 제2개구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하는 집진장치; 및 청소기 본체에 형성되고, 집진장치를 청소기 본체에 분리할 수 있게 장착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며, 집진장치는 안착부에 장착될 때 청소기 본체의 제1개구 및 제2개구를 밀폐함과 함께 청소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isclosed is a vacuum cleaner having a dust collecting device.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vacuum cleaner body having a first opening for opening a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and a second opening for opening a portion of a second surface adjacent to the first opening;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separating dirt from the air; And a mounting part formed on the cleaner main body and detachably attaching the dust collecting device to the cleaner main body.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configured to seal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of the cleaner main body when mounted on the mount part, Thereby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base.

청소기, 집진장치, 분리, 장착, 일부, 돌출 Cleaner, dust collector, separation, mounting, part, protrusion

Description

분리할 수 있는 집진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having detachable dust-separating dpparatu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having a detachable dust-separating dpp apparatus,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나 오물(이하, 오물이라함)을 분리시키는 집진장치를 분리할 수 있게 장착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to which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separating dust or di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rt) contained in air by sucking outside air is detachably mounted.

진공청소기에 사용되는 집진장치, 예를들면,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를 회전시켜 공기 중에 포함된 오물을 분리하는 장치로서, 먼지봉투를 매번 교체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없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근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A dust collecting apparatus used in a vacuum cleaner, for example, a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is a device for separating dust contained in air by rotating air containing dust. There is no inconvenience that the dust bag must be replaced every time, And it is widely used in recent years.

일반적으로,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사이클론이 수직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사이클론의 몸체의 측면에는 공기흡입부가 구비되고 상면에는 공기배출부가 구비되며, 오물수거유닛은 사이클론의 하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외부공기가 사이클론의 몸체의 측면으로 유입되어 선회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공기로부터 분리된 오물은 낙하하여 오물수거유닛에 저장된다. 그러나, 이러한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통상 한 개의 단일 사이클론을 구비하여 오물을 한 번만 분리하므로, 오물분리효율이 떨어진 다. Generally, in the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 cyclone is installed long in a vertical direction, an air suction part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a cyclone body, an air discharge part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and a dirt collecting unit is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cyclone. Therefore,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side surface of the cyclone body, is lowered while turning, and the dirt separated from the air drops and is stored in the dirt collecting unit. However, such a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generally has only one single cyclone to separate the dirt only once, thereby reducing the efficiency of dirt separa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복수 개의 사이클론을 구비하는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복수 개의 사이클론을 사용하여 오물을 여러 번 분리함으로써 오물분리효율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복수 개의 사이클론을 구비하므로, 장치의 부피가 커지게 될 수 밖에 없고, 따라서, 청소기 본체에 설치시 오물수거유닛 등과 같은 일부 부품만 청소기 본체에 분리할 수 있게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 결과,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유지 및 보수시, 사용자는 분리할 수 있게 설치된 오물수거유닛 등과 같은 일부 부품만 청소기 본체로부터 제거한 후, 고정 설치된 나머지 부품들을 청소기 본체내의 좁은 공간에서 유지 및 보수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recent years, studies have been actively made on a multi-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cyclones. Such a multi-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is advantageous in that the dirt separation efficiency is improved by separating the dirt many times using a plurality of cyclones. However, since the multi-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has a plurality of cyclones, the volume of the apparatus must be increased. Therefore, only a part of the dust collecting unit or the like, such as a dust collecting unit, . As a result, when the user maintains and maintains the multi-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the user removes only some components, such as a dirt collecting unit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from the cleaner main body, There was.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와 같은 부피가 큰 집진장치를 분리할 수 있게 장착하여 유지 및 보수를 쉽게 할 수 있게 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a large size, such as a multi-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 vacuum cleaner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청소기의 전체 크기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와 같은 부피가 큰 집진장치를 분리할 수 있게 장착할 수 있게 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capable of detachably mounting a bulky dust collecting apparatus such as a multi-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without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overall size of the vacuum cleaner.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진공청소기는, 제1면의 일부를 개방하는 제1개구와 제1개구에 인접한 제2면의 일부를 개방하는 제2개구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하는 집진장치; 및 청소기 본체에 형성되고, 집진장치를 청소기 본체에 분리할 수 있게 장착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며, 집진장치는 안착부에 장착될 때 청소기 본체의 제1개구 및 제2개구를 밀폐함과 함께 청소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first opening for opening a part of the first surface and a second opening for opening a part of the second surface adjacent to the first opening A cleaner main body;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separating dirt from the air; And a mounting part formed on the cleaner main body and detachably attaching the dust collecting device to the cleaner main body.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configured to seal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of the cleaner main body when mounted on the mount part, Thereby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base.

여기서, 안착부는, 청소기 본체의 제1개구 및 제2개구와 연통되고 집진장치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수용공간을 구비한 요부일 수 있다. 이때, 수용공간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2개구 쪽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eat portion may be a recessed portion having a receiving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ust collecting device. At this time, the accommodation space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second opening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집진장치는 안착부에 장착할 때 일부가 제1개구 및 제2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dust collecting device may be formed such that a part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protruded out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when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mounted on the seating part.

집진장치는 공기를 유입하여 원심력에 의해 공기로부터 오물을 1차 분리하는 제1사이클론유닛, 및 원심력에 의해 제1사이클론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오물을 2차 분리하는 제2사이클론유닛을 포함하며, 제1사이클론유닛의 일부는 제2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제2사이클론유닛의 일부는 제1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사이클론유닛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cyclone unit for introducing air and primarily separating dirt from the air by centrifugal force, and a second cyclone unit for separating the dirt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by centrifugal force, A part of the first cyclone unit protrudes out through the second opening, and a part of the second cyclone unit can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first opening.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units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제1사이클론유닛은 하부에서는 공기를 유입하고, 상부에서는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The first cyclone unit is capable of introducing air in the lower portion and discharging air in the upper portion.

제1사이클론유닛은, 하부에 공기유입부를 구비하는 제1사이클론 챔버, 제1사 이클론 챔버의 중앙에 설치되고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중앙파이프, 제1사이클론 챔버 둘레에 설치되고 제1사이클론 챔버에서부터 원심 분리되는 오물이 저장되는 제1오물수거 챔버, 및 제1오물수거 챔버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사이클론유닛에 의해 원심분리되는 오물이 저장되는 제2오물수거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오물수거 챔버는 반원형 단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고, 제2오물수거 챔버는 장방형 단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오물수거 챔버는 집진장치가 안착부에 장착될 때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제2개구를 밀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yclone unit includes a first cyclone chamber having an air inflow portion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central pip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cyclone chamber and guiding rotation of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A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in which dirt to be centrifug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cyclone chamber is stored and a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 in which dir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and stored by centrifugal separation by the second cyclone unit is stored, . At this time, the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Further, the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may be formed such that at least a part of the side faces seal the second opening whe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is mounted on the seat portion.

또한, 제1사이클론유닛은 제1오물수거챔버에 형성된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있다. 이때, 손잡이는 적어도 일부가 청소기 본체의 제2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Further, the first cyclone unit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formed in the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At this time, at least a part of the handle may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second opening of the cleaner main body.

제2사이클론유닛은 제1사이클론유닛 위에 수평으로 나란히 설치된 적어도 두 개의 사이클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사이클론의 각각은 적어도 일부가 청소기 본체의 제1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The second cyclone unit may comprise at least two cyclones arranged horizontally above the first cyclone unit. At this time, each of the two cyclones can at least partially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first opening of the cleaner main body.

또한, 제2사이클론유닛은 제1사이클론유닛의 상부를 개폐하는 제1커버, 제1사이클론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오물을 걸러내는 그릴부재, 및 청소기 본체의 제1개구를 개폐하는 제2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yclone unit includes a first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yclone unit, a grill member for filtering the dirt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and a second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opening of the cleaner body .

이때, 제1커버는 제1사이클론유닛의 제1 및 제2오물수거 챔버를 동시에 개방하거나 밀폐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또, 그릴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제1사이클론유닛의 제1사이클론 챔버 내부로 돌출되어 제1사이클론유닛의 중앙파이프와 소정 거리를 두고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2커버는 집진장치가 안착부에 장착될 때 제1개구를 밀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ver may be formed so as to simultaneously open or close the first and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s of the first cyclone unit. Further, at least a part of the grill member may protrude into the first cyclone chamber of the first cyclone unit and be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pipe of the first cyclone unit. Further, the second cover may be formed to seal the first opening whe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is mounted on the seat por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복수 개, 즉, 제1 및 제2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와 같은 부피가 큰 집진장치 전체를 청소기 본체에 분리할 수 있게 장착한다. 따라서, 집진장치의 유지 및 보수시, 사용자는 집진장치 전체를 청소기 본체로부터 제거한 후 외부의 넓은 장소에서 집진장치를 유지 및 보수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진공청소기에서와 같이, 분리할 수 있게 설치된 오물수거유닛 등과 같은 일부 부품만 청소기 본체로부터 제거한 후, 고정 설치된 나머지 부품들을 청소기 본체내의 좁은 공간에서 유지 및 보수해야하는 불편함이 방지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achably mounts a large-sized dust collecting apparatus such as a multi-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first, second, and second cyclone units to the cleaner main body . Therefore, at the time of maintenance and maintenance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the user can remove the entire dust collecting apparatus from the cleaner main body and then maintain and repair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t a wide external plac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inconveniences such that, after the removal of some parts such as a dirt collecting unit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as in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from the cleaner main body, the remaining fixed parts are maintained and maintained in a narrow space in the cleaner main body .

또,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집진장치의 제1 및 제2사이클론 유닛이 서로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므로, 제1사이클론 유닛 및/또는 제2사이클론 유닛의 유지 및 보수가 쉽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units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first cyclone unit and / or the second cyclone unit can be facilitat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와 같은 부피가 큰 집진장치의 일부 부품, 즉, 제1사이클론유닛의 손잡이와 제2사이클론 유닛의 사이클론들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므로, 청소기 본체는 집진장치를 장착하는 안착부를 집진장치의 전체 폭 및 전체 높이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는 부피가 큰 집진장치를 분리할 수 있게 장착하면서도 청소기 본체의 크기를 단일 사이클론을 구비한 종래의 진공청소기와 거의 동일하게 설계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집진성능이 우수한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와 같은 부피가 큰 집진장치를 분리할 수 있게 장착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uch that some parts of a bulky dust collecting apparatus such as a multi-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cyclones of the first cyclone unit and the second cyclone unit protrude outward, It is not necessary that the cleaner main body has a sea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dust collecting devic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entire width and the overall height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ly,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igned to have almost the same size as that of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having a single cyclone, even when a bulky dust collecting apparatus is detachably mounted. As a result,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so that a large-sized dust collecting device such as a multi-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excellent dust collecting performance can be detached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cleaner main bod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할 수 있는 집진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vacuum cleaner having a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할 수 있는 집진장치(50)를 구비한 진공청소기(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1 and 2 schematically show a vacuum cleaner 1 having a separable dust collecting device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1)는 청소기 본체(10), 연장관(20), 흡입노즐 조립체(30), 및 분리할 수 있는 집진장치(50)를 포함한다.1 and 2, the vacuum clean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body 10, an extension pipe 20, a suction nozzle assembly 30, and a separable dust collecting device 50.

청소기 본체(10)는 전방 쪽에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를 분리하기 위한 집진장치(50)가 안착부(80)에 분리할 수 있게 설치되고, 안착부(80) 후방 내부에는 흡입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는 모터유닛(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된다. A dust collecting device 50 for separating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seat 80 on the front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0 and a suction motor A motor unit (not shown) is mounted.

청소기 본체(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싱(11)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싱(11)은 상면의 전방부에는 후술하는 제2사이클론유닛(65)의 제2커버(69; 도 3참조)와 대응하는 대략적으로 반원형 형태의 제1개구(11a)가 형성되고, 상면의 전방부에 인접한 전면 대부분에는 대략적으로 반원통 형태의 제2개구(11b)가 형성된다. The cleaner main body 10 includes an outer casing 11 which forms an outer appearance. 2, the outer casing 11 is provided at its front portion with a first semicircular opening (not shown) corresponding to a second cover 69 (see FIG. 3) of a second cyclone unit 65 And the second opening 11b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emi-cylindrical shape in the majority of the front surface adjacent to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안착부(80)는 집진장치(50)를 청소기 본체(10)내에 분리할 수 있게 장착하는 것으로, 제1개구(11a) 및 제2개구(11b)와 연통되게 외부 케이싱(11) 내에 형성된 요부(81)를 포함한다. 요부(81)는 집진장치(50)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반원통체 형태의 수용공간(83)을 구비한다. The seat portion 80 is detachably mountable to the dust collector 50 in the cleaner main body 10 and has a recessed portion formed in the outer casing 1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opening 11a and the second opening 11b. (81). The recessed portion 81 has a receiving space 83 in the form of a semicylindrical bod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ust collecting device 50.

수용공간(83)은 적어도 바닥면과 후면이 집진장치(50)의 장착을 쉽게 하기 위해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2개구(11b) 쪽을 향해 소정 각도, 예를들면, 5 도 내지 20 도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수용공간(83)의 높이와 전후 폭은 집진장치(50)를 장착할 때 후술하는 제1사이클론유닛(55)의 손잡이(62)와 제2사이클론유닛(65)의 제2커버(69) 위쪽에 설치된 사이클론들(71a, 71b)이 각각 제2개구(11b) 및 제1개구(11a)를 통해 외부로 돌출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10)의 전체 높이와 전체 전후 폭은 제1 사이클론유닛(55)의 손잡이(62)의 돌출 폭과 제2사이클론유닛(65)의 사이클론들(71a, 71b)의 돌출 높이 만큼 감소 될 수 있다. 그 결과, 청소기 본체(10)는 제1 및 제2사이클론유닛(55, 65)을 구비한 집진장치(50)를 장착하면서도 전체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At least the bottom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83 are inclined at an angle of, for example, 5 to 20 degrees upward toward the second opening 11b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so as to facilitate mounting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50 As shown in FIG. The height and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accommodating space 83 are set such that the handle 62 of the first cyclone unit 55 and the second cover 69 of the second cyclone unit 65 The cyclones 71a and 71b provided above the first opening 11b may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second opening 11b and the first opening 11a, respectively. The total height and overall front and rear width of the cleaner main body 10 are equal to the protruding width of the grip 62 of the first cyclone unit 55 and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cyclones 71a and 71b of the second cyclone unit 65 Can be reduced. As a result, the overall size of the cleaner main body 10 can be reduced while mounting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50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units 55, 65.

또, 청소기 본체(10)의 양측 및 바닥면에는 청소시 청소기 본체(10)를 피 청소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각각 한 쌍의 측면 바퀴(13)와 바닥 바퀴(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된다. A pair of side wheels 13 and a bottom wheel (not shown) for moving the cleaner main body 10 along the surface to be cleaned are disposed on both side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body 10, respectively.

연장관(20)의 상부에는 조작핸들(21)이 형성되고, 조작핸들(21) 아래에는 청소기 본체(10)와 연결된 흡입호스(15)가 연결되어 있다. 연장관(20)의 하부에는 피 청소면으로부터 공기와 함께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노즐 조립체(30)가 연결된다. An operation handle 21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pipe 20 and a suction hose 15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10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handle 21. A suction nozzle assembly (30) for sucking dirt together with air from a surface to be cleaned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nsion pipe (20).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50)를 도시한다.3 to 5 show a dust collecting apparatus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장치(50)는 복수 개의 사이클론을 구비한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로서, 제1사이클론유닛(55) 및 제2사이클론유닛(65)을 포함한다. 3 to 5,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50 is a multi-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cyclones, and includes a first cyclone unit 55 and a second cyclone unit 65.

제1사이클론유닛(55)은 피 청소면에서부터 흡입노즐 조립체(30), 연장관(20) 및 흡입호스(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유입하여 원심력에 의해 공기로부터 오물을 1차 분리하는 것으로, 하부에서 공기를 유입하여 상부에서 공기를 배출한다. 이를 위해, 제1사이클론유닛(55)은 하부 일측에 제1공기유입부(56)를 형성한 원통형태의 제1사이클론 챔버(59)를 구비한다. 제1공기유입부(56)는 흡입호스(15)와 연결된 연결소켓(81a)과 연통하도록 외부 케이싱(11)의 전방 하부의 내부에 형성된 흡입유로(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다. The first cyclone unit 55 primarily receives the air sucked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assembly 30, the extension pipe 20 and the suction hose 15 and separates the dirt from the air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upper part. To this end, the first cyclone unit 55 has a first cyclone chamber 59 in the form of a cylinder having a first air inflow section 56 formed at a lower side thereof. The first air inflow portion 56 is connected to a suction passage (not shown) formed inside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outer casing 1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on socket 81a connected to the suction hose 15.

제1사이클론 챔버(59)의 중앙에는 공기유입부(56)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중앙 파이프(57)가 설치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파이프(57)의 외주면에는 공기가 중앙파이프(57)를 따라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나선 가이드(58)가 형성된다. The center of the first cyclone chamber 59 is provided with a central pipe 57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56. 6, a spiral guide 58 for guiding the air to rotate along the central pipe 57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pipe 57. As shown in Fig.

제1사이클론 챔버(59) 둘레에는 제1사이클론 챔버(59)에서부터 원심 분리되는 오물이 수거 저장되는 제1오물수거 챔버(60)가 배치된다. 제1오물수거 챔버(60)는 제1사이클론 챔버(59)에서 회전되는 공기로부터 오물을 유입시키도록 제1사이클론 챔버(59)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된 반원형 단면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오물수거 챔버(60)는 제1사이클론유닛(55)의 외관을 형성하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장치(50)가 안착부(80)에 장착될 때 전면이 제2개구(11b)를 밀폐한다. 제1오물수거 챔버(60)의 전면은 외부에서 오물의 수거 정도를 알 수 있 도록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60 is disposed around the first cyclone chamber 59 for collecting and storing dirt to be centrifug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cyclone chamber 59. The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6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cyclone chamber 59 so as to introduce the dirt from the air to be rotated in the first cyclone chamber 59. 1, the first dust collecting chamber 60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first cyclone unit 55, and whe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50 is mounted on the seat portion 80, Seal the two openings (11b).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6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so that the degree of collection of the dirt can be known from the outside.

제1오물수거 챔버(60)의 후방측에는 제2사이클론유닛(65)에 의해 원심 분리되는 오물이 수거 저장되는 제2오물수거 챔버(61)가 배치된다. 제2오물수거 챔버(61)는 격벽(61a)에 의해 제1오물수거 챔버(60)와 분리된 장방형 단면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제2오물수거 챔버(61)는 집진장치(50)가 안착부(80)에 장착될 때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외부 케이싱(11) 내부에 위치한 요부(81)의 수용공간(83)에 위치한다. 또한, 제2오물수거 챔버(61)의 후면은 외부에서 오물의 수거 정도를 알 수 있도록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60, there is disposed a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 61 in which dirt to be centrifuged by the second cyclone unit 65 is collected and stored. The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 61 may be formed into a tubular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separated from the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60 by the partition wall 61a. The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 61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83 of the recess 81 located inside the outer casing 11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50 is mounted on the receiving unit 80 Located. 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 61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so that the degree of collecting dirt on the outside can be known.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오물수거 챔버(60)와 제2오물수거 챔버(61)의 전체 전후 폭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10)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요부(81)의 수용공간(83)의 전후 폭과 일치하는 크기, 즉, 집진장치(50)가 요부(81)의 수용공간(83)에 장착될 때 제1사이클론유닛(55)의 손잡이(62)가 제2개구(11b)를 통해 외부로 돌출하는 크기로 형성된다(도 1참조). The entir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60 and the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 61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are arranged in the space 83 of the recess 81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cleaner body 10, The handle 62 of the first cyclone unit 55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11b when the dust collecting device 50 is mounted in the receiving space 83 of the recess 81 (See Fig. 1).

제2오물수거 챔버(61)의 반대쪽의 제1오물수거 챔버(60)에는 손잡이(61)가 형성된다. 손잡이(62)는 제1오물수거 챔버(60)와 제2오물수거 챔버(61)의 전체 전후 폭이 요부(81)의 수용공간(83)과 일치하는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 케이싱(11)의 제2개구(11b)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A handle 61 is formed in the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6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 61. The handle 62 is formed so that the entir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60 and the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 61 are equal to the receiving space 83 of the recess 81, Through the second opening (11b) of the frame (11).

제2사이클론유닛(65)은 원심력에 의해, 제1사이클론유닛(55)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오물을 2차 분리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사이클론유닛(55) 위에서 제1사이클론유닛(55)과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2사이클론유닛(65)은 제1사이클론유닛(55)의 제1 및 제2오물수거 챔버(60, 61)의 상부를 개폐하는 제1커버(66)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커버(66)의 하면에는 제1오물수거 챔버(60) 및 제2오물수거 챔버(61)의 상단 가장자리에 대응하게 요홈부(66a)가 형성된다. 요홈부(66a)는 제1오물수거 챔버(60) 및 제2오물수거 챔버(61)의 상단 가장자리가 삽입되거나 분리되며, 이에 따라, 제1커버(66)는 제1오물수거 챔버(60) 및 제2오물수거 챔버(61)의 상부를 동시에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The second cyclone unit 65 separates the dirt secondarily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55 by centrifugal force.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cyclone unit 65 is provided on the first cyclone unit 55, Unit 55 to be detachable from each other. To this end, the second cyclone unit 65 has a first cover 6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s 60 and 61 of the first cyclone unit 55. 4, a recessed portion 66a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66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per edges of the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60 and the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 61. As shown in Fig. The first groove 66a is inserted or separated from the upper edges of the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60 and the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 61 so that the first cover 66 is inserted into the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6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 61 can be closed or opened at the same time.

제1커버(66)의 하면 중앙에는 제1사이클론 챔버(59)에서 오물이 1차 분리된 후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파이프(67)가 형성되며, 흡입 파이프(67)의 하부에는 배출공기로부터 미세오물을 걸러내는 복수 개의 공기구멍을 구비한 그릴부재(68)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에서, 그릴부재(68)는 흡입 파이프(67)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흡입 파이프(67)와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릴부재(68)는 제1사이클론 챔버(59) 내부로 돌출되어 중앙파이프(57)와 소정거리를 두고 유지된다. A suction pipe 67 for sucking in air to be discharged after the dust is firstly separated from the first cyclone chamber 59 is form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first cover 66, A grill member 68 having a plurality of air holes for filtering out fine dust is 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grill member 68 is illustrated as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ction pipe 67, but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suction pipe 67. [ The grill member 68 protrudes into the first cyclone chamber 59 and is hel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pipe 57.

제1커버(66)의 내부에는 가이드 격벽(66b)이 형성된다. 가이드 격벽(66b)은 그릴부재(68)를 통해 흡입 파이프(67)로 유입되는 공기를 후술하는 수평으로 배치된 두 개의 사이클론(71a, 71b)의 제2공기유입부(70)로 분기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로(75)를 형성한다. A guide partition 66b is formed inside the first cover 66. [ The guide partition 66b divides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ipe 67 through the grill member 68 into a second air inflow part 70 of two laterally arranged cyclones 71a and 71b, The guide passage 75 is formed.

가이드유로(75)를 구비한 제1커버(66)의 두께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10)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제1사이클론유닛(55)의 높이와 합해진 전체 높이가 요부(81)의 수용공간(83)의 높이와 일치하는 크기, 즉, 집진장치(50)가 요부(81)의 수용공간(83)에 장착될 때 제2커버(69) 위쪽에 설치된 사이클론들(71a, 71b)이 제1개구(11a)를 통해 외부로 돌출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ver 66 having the guide flow path 75 is set such that the total height combined with the height of the first cyclone unit 55 to reduce the size of the cleaner main body 10, The cyclones 71a and 71b provided above the second cover 69 when the dust collecting device 50 is mounted in the receiving space 83 of the recess 81, Is formed so as to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first opening 11a.

제1커버(66) 위에는 제2커버(69)가 배치된다. 제2커버(69)는 하부에 형성된 돌기부(69a)에 의해 제1커버(66)의 상단 가장자리와 가이드 격벽(66b)의 상부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된다. 선택적으로, 도 7에 도시한 변형예의 제2사이클로유닛(65')에서와 같이, 제2커버(69)는 제1커버(66)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cover (69) is disposed on the first cover (66). The second cover 69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dge of the first cover 66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artition 66b by a protrusion 69a formed at the lower portion. Alternatively, the second cover 69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cover 66, as in the second cycle unit 65 'of the modification shown in Fig.

제2커버(69)는 집진장치(50)가 안착부(80)에 장착되거나 안착부(80)로부터 분리될 때 외부 케이싱(11)의 제1개구(11a)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도록 제1개구(11a)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즉, 반원형 형태)으로 형성된다.The second cover 69 is configured to seal or open the first opening 11a of the outer casing 11 when the dust collecting device 50 is mounted on the seating portion 80 or separated from the seating portion 80. [ (I.e., in a semi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11a.

제2커버(69) 위에는 원심력에 의해 공기로부터 오물을 2차 분리하는 복수 개, 예를들면, 두 개의 사이클론(71a, 71b)이 설치된다. 두 개의 제2사이클론(71a, 71b)은 인접하여 병렬 및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두 개의 사이클론(71a, 71b)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커버(66)의 두께와 제1사이클론유닛(55)의 높이가 합해진 높이가 요부(81)의 수용공간(83)의 높이와 일치하는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집진장치(50)가 안착부(80)에 장착될 때 외부 케이싱(11)의 제1개구(11a)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또한, 사이클론(71a, 71b)의 각각은 제1사이클론유닛(55)으로부터 제1커버(66)의 가이드 유로(75)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선회운동에 의해 수평상태로 유동하여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그 중심축선이 제1사이클론 챔버(59)내의 선회기류의 중심축선과 직각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On the second cover 69, a plurality of, for example, two cyclones 71a and 71b for secondly separating the dirt from the air by centrifugal force are provided. The two second cyclones 71a and 71b are arranged adjacently in parallel and symmetrically. The two cyclones 71a and 71b have the same height as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ver 66 and the height of the first cyclone unit 55 as the height of the accommodating space 83 of the recess 81 as described above The dust collecting device 50 is protrud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pening 11a of the outer casing 11 when the dust collecting device 50 is mounted on the seating part 80. [ Each of the cyclones 71a and 71b is configured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guide path 75 of the first cover 66 from the first cyclone unit 55 flows horizontally And the center axis thereof is positioned at a right angle to the center axis of the swirling airflow in the first cyclone chamber 59.

각각의 사이클론(71a, 또는 71b)은 제2공기흡입부(70), 제2사이클론 챔버(72), 가이드 파이프(73), 배출 파이프(77), 및 오물배출부(74)를 포함한다. 각 사이클론(71a, 또는 71b)은 동일한 구성요소 및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하나의 사이클론(71a)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Each of the cyclones 71a and 71b includes a second air intake portion 70, a second cyclone chamber 72, a guide pipe 73, a discharge pipe 77, and a dirt discharge portion 74. Since each cyclone 71a or 71b has the same components and functions, only one cyclone 71a will be described.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공기흡입부(70)는 하단부는 가이드 유로(75)와 연결되고 상단부는 제2사이클론 챔버(72)의 전방(도 4의 좌측) 일측에 접선형태로 연결된다. 제2사이클론 챔버(72)는 제2 공기흡입부(7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선회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사이클론 챔버(72)는 볼록한 원통형태 또는 절두원추형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제2사이클론 챔버(72)는 투명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5, the lower end of the second air intake part 70 is connected to the guide path 75,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air intake part 70 is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cyclone chamber 72 do. The second cyclone chamber 72 provides a space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air intake part 70 can be pivoted, and can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lternatively, the second cyclone chamber 72 may also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nvex cylindrical or truncated conical shape. The second cyclone chamber 72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가이드 파이프(73)와 배출 파이프(77)는 제2사이클론 챔버(72)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원활하게 선회기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2사이클론 챔버(72)의 전방 및 후방에 동일 중심축을 가지고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The guide pipe 73 and the discharge pipe 77 have the same central axis in front and in the rear of the second cyclone chamber 72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cyclone chamber 72 can smoothly form a swirl flow Respectively.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파이프(77)는 전방단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미세오물을 걸러주는 그릴(77a)이 배치된다. 설계에 따라, 도 7에 도시한 변형예의 제2사이클론유닛(65')에서 같이, 그릴(77a)은 생략될 수 있다. 배출 파이프(77)는 후방(도 4의 우측) 단부에서 제2사이클론 챔버(72)를 관통하여 미소하게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집진장치(50)가 안착부(80)에 장착될 때, 배출 파이프(77)의 후방 단부는 흡입모터와 연통하도록 안착부(80)에 형성된 배출유로(도시하지 않음)의 입구와 연결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사이클론(71a, 또는 71b)의 제2사이클 론 챔버(72)내에서 오물이 분리된 공기는 배출유로에서 하나로 합쳐져 흡입모터쪽로 배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discharge pipe 77 is provided with a grille 77a for filtering fine particles from the air discharged at the front end. Depending on the design, like in the second cyclone unit 65 'of the modification shown in Fig. 7, the grille 77a can be omitted. The discharge pipe 77 slightly protrudes through the second cyclone chamber 72 at the rear end (the right end in FIG. 4).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pipe 77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a discharge passage (not shown) formed in the seat portion 8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motor, So that the air separated from the dirt in the second cyclone chamber 72 of each cyclone 71a or 71b can be merged into the discharge passage and discharged to the suction motor.

오물배출부(74)는 제2사이클론 챔버(72)의 후방단부 아래에 설치되어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된 미세오물을 제1커버(66)의 오물배출통로(76)를 통해 제1사이클론유닛(55)의 제2오물수거 챔버(61)로 보내게 된다.The dirt discharge unit 74 is installed below the rear end of the second cyclone chamber 72 and discharges fine dust that is centrifugally separated from the air through the dirt discharge passage 76 of the first cover 66 to the first cyclone unit 55 To the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 (61).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1)는 집진장치(50)가 수평으로 배치된 두 개의 사이클론(71a, 71b)을 구비한 제2사이클론유닛(22)을 포함하는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인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집진장치(50)는 제1사이클론유닛 위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사이클론을 구비한 제2사이클론유닛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including a second cyclone unit 22 having two cyclones 71a and 71b horizontally arranged in a dust collecting apparatus 50 Although illustrated and described, the invention is not so limited. For example, the dust collecting device 50 may be formed to include a second cyclone unit having a plurality of cyclones arranged radially on the first cyclone un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1)는 복수 개의 사이클론, 즉, 제1 및 제2사이클론유닛(55, 65)을 구비한 집진장치(50) 전체를 청소기 본체(10)에 분리할 수 있게 장착한다. 따라서, 집진장치(50)의 유지 및 보수시, 사용자는 집진장치(50) 전체를 청소기 본체(10)로부터 제거한 후 외부의 넓은 장소에서 집진장치(50)를 유지 및 보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1)는 집진장치(50)의 제1 및 제2사이클론유닛(55, 65)이 서로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므로, 제1사이클론유닛(55) 및/또는 제2사이클론유닛(65)의 유지 및 보수가 쉽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50 having a plurality of cyclones,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units 55 and 65, Detachably mountable. Therefore, at the time of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50, the user can remove the entire dust collecting apparatus 50 from the cleaner main body 10, and then maintain and repair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50 at a wide external place. Since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units 55 and 65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50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yclone unit 55 and / The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two cyclone unit 65 is facilitat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1)는 집진장치(50)의 일부 부품, 즉, 제1사이클론유닛(55)의 손잡이(62)와 제2사이클론유닛(65)의 사이클론들(71a, 71b)이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므로, 청소기 본체(10)는 집진장치(50)를 장착하는 안착부(80)를 집진장치(50)의 전체 폭 및 전체 높이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1)는 청소기 본체(10)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집진성능이 우수한 복수 개의 사이클론을 구비한 집진장치(50)를 분리할 수 있게 장착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cuum cleaner 1 in which some parts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50, that is, the handle 62 of the first cyclone unit 55 and the cyclones 71a and 71b of the second cyclone unit 65 It is not necessary for the cleaner main body 10 to form the seating portion 80 for mounting the dust collecting device 50 equal to or larger than the entire width and the overall height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50. [ Therefore, the vacuum clean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achably attach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50 having a plurality of cyclones excellent in the dust collecting performance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cleaner main body 1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할 수 있는 집진장치(50)을 구비한 진공청소기(1)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1 having the separable dust collecting device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

먼저, 진공청소기(1)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흡입모터가 동작하면, 피 청소면의 오물이 포함된 공기는 흡입노즐 조립체(30), 연장관(20), 및 흡입호스(15)를 통해 집진장치(50)의 제1공흡입부(56)로 유입된다. First, when the suction motor is operated as power is applied to the vacuum cleaner 1, air containing dir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assembly 30, the extension pipe 20, and the suction hose 15, (56) of the suction port (50).

제1공기흡입부(56)로 유입된 공기는 중앙파이프(57)의 나선 가이드(58)에 가이드되어 선회기류로 변하면서 제1사이클론 챔버(59)로 유입된다. 제1사이클론 챔버(59)로 유입된 공기는 흡입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상승하는 선회기류의 원심작용에 의해 비교적 큰 오물이 1차로 분리되고, 분리된 오물은 제1오물수거 챔버(60)로 쪽으로 이동하여 수거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intake part 56 is guided by the spiral guide 58 of the central pipe 57 and flows into the first cyclone chamber 59 while turning into a swirling air flow. Relatively large dirt is firstly separated by centrifugal action of the swirling airflow that is rais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and the separated dirt is directed toward the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60 Moving and collecting.

오물이 1차로 분리된 공기는 그릴부재(68)를 통해 미세오물이 다시 걸러 진후 흡입 파이프(67)와 가이드 유로(75)를 거쳐 제2사이클론유닛(65)의 두 개의 사이클론(71a, 71b)의 제2공기흡입부(70)로 진입한다. The air separated primarily by the dirt is re-filtered by the grill member 68 and then passed through the suction pipe 67 and the guide passage 75 to the two cyclones 71a and 71b of the second cyclone unit 65, And then enters the second air intake part 70 of the second air intake part 70.

제2공기흡입부(70)로 진입된 공기는 제2사이클론 챔버(72)의 내주면과 부딪 히면서 가이드 파이프(73)와 배출 파이프(77)에 의해 선회기류로 유도되어 원심력에 의해 오물이 2차로 분리된다. 제2사이클론 챔버(72)에서 분리된 오물은 오물배출부(74)와 오물배출통로(76)을 통해 제2오물수거 챔버(61)로 수거된다. The air that has entered the second air intake part 70 is guided to the swirling airflow by the guide pipe 73 and the exhaust pipe 77 while colliding agains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yclone chamber 72, Separated by car. The dirt separated in the second cyclone chamber 72 is collected into the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 61 through the dirt discharge section 74 and the dirt discharge passage 76.

그리고, 오물이 2차로 분리된 공기는 다시 그릴(77a)을 통해 미세오물이 걸러진후 배출 파이프(77)를 통해 안착부(80)에 형성된 배출유로로 배출된다. 배출된 공기는 배출유로에서 하나로 합쳐져 흡입모터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The air separated from the dirt is filtered again through the grille 77a,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77 into the discharge passage formed in the seating part 80. The exhausted air is merged into the exhaust flow path and passed through the suction motor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청소가 완료된 후, 제1 및 제2오물수거 챔버(60, 61)에 수거된 오물을 버리고자 할 경우, 오물제거 동작은 다음과 같다. After the cleaning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and second dirt collection chambers 60 and 61 desorb the collected dirt, the dirt removing operation is as follows.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잡이(62)를 잡고 집진장치(50) 전체를 안착부(80)로부터 외부로 빼낸다. 그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잡이(62)를 잡은 상태에서 제2사이클론유닛(65)을 위로 당기면, 제1 및 제2오물수거 챔버(60, 61)의 상단 가장자리가 제1커버(66)의 요홈부(66a)로부터 분리됨과 함께 제1사이클론유닛(55)의 제1 및 제2오물수거 챔버(60, 61)의 상부는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제1 및 제2오물수거 챔버(60, 61)에 수거된 오물을 쓰레기통에 버리면, 오물제거 동작은 완료된다.First, as shown in Fig. 2, the user holds the handle 62 and pulls out the entire dust collecting device 50 from the seat part 80 to the outside. 3, when the user pulls up the second cyclone unit 65 while holding the handle 62, the upper edge of the first and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s 60,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s 60 and 61 of the first cyclone unit 55 is opened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recessed portion 66a of the cover 66. [ In this state, if the dirt collected in the first and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s 60 and 61 is discarded in the trash can, the dirt removing operation is completed.

그후, 다시 집진장치(50)를 안착부(80)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 장착동작은 다음과 같다. Then, when the dust collecting device 50 is to be mounted on the seat part 80 again, the mounting operation is as follows.

먼저, 사용자는 제2사이클론유닛(65)을 제1사이클론유닛(55) 위에 위치시킨 다음, 제1 및 제2오물수거 챔버(60, 61)의 상단 가장자리를 제1커버(66)의 요홈부(66a)에 삽입시켜 제2사이클론유닛(65)을 제1사이클론유닛(55)과 결합시킨다. 그 다음, 사용자는 손잡이(62)를 잡고 집진장치(50)를 안착부(80)의 요부(81)에 밀어넣어 안착부(80)에 장착한다. 이때, 제2커버(69)는 외부 케이싱(11)의 제1개구(11a)를 밀폐하고, 제1오물수거 챔버(60)의 전면은 외부 케이싱(11)의 제2개구(11b)를 밀폐한다. 또, 제1공기흡입부(56)는 흡입호스(15)와 연결된 연결소켓(81a)과 연통하는 흡입유로와 연결되고, 두 개의 사이클론(71a, 71b)의 배출 파이프(77)의 후방 단부는 배출유로의 입구와 연결된다. 또한, 두 개의 사이클론(71a, 71b)과 손잡이(62)는 각각 외부 케이싱(11)의 제1 및 제2개구(11a, 11b)를 통해 외부 케이싱(11)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 결과, 장착동작은 완료된다. First, the user places the second cyclone unit 65 on the first cyclone unit 55 and then moves the upper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s 60, And the second cyclone unit 65 is engaged with the first cyclone unit 55 by inserting it into the first cyclone unit 66a. The user then grips the handle 62 and pushes the dust collecting device 50 into the concave portion 81 of the seat portion 80 and mounts it on the seat portion 80. [ At this time, the second cover 69 seals the first opening 11a of the outer casing 11,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60 seals the second opening 11b of the outer casing 11, do. The first air intake part 56 is connected to a suction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socket 81a connected to the suction hose 15 and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pipe 77 of the two cyclones 71a and 71b And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The two cyclones 71a and 71b and the handle 62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asing 11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11a and 11b of the outer casing 11,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mounting operation is complet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 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들에게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all reasonable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to the present invention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가능한 집진장치를 장착한 진공청소기의 개략 사시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 detachabl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집진장치를 청소기 본체에서부터 분리하는 동작을 예시하는 부분 사시도,FIG.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rom the cleaner main body,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집진장치의 분해 사시도,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shown in FIG. 2,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집진장치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shown in Fig. 2,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집진장치의 정면도,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shown in FIG. 2;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집진장치의 제1사이클론유닛의 평면 사시도, 및Fig. 6 is a planar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yclone unit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shown in Fig. 3, and Fig.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집진장치의 제2사이클론유닛의 변형예의 부분 단면도이다.Fig.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cyclone unit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shown in Fig. 4;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 진공청소기 11a, 11b: 개구 1: Vacuum cleaner 11a, 11b:

50: 집진장치 55: 제1사이클론유닛50: dust collecting device 55: first cyclone unit

57: 중앙파이프 59: 제1사이클론 챔버57: central pipe 59: first cyclone chamber

60: 제1오물수거 챔버 61: 제2오물수거 챔버60: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61: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

65: 제2사이클론유닛 66: 제1커버65: second cyclone unit 66: first cover

68: 그릴부재 69: 제2커버68: grill member 69: second cover

71a, 71b: 사이클론 80: 안착부71a, 71b: Cyclone 80:

81: 요부 83: 수용공간 81: lumbar 83: accommodation space

Claims (20)

제1면의 일부를 개방하는 제1개구와 상기 제1개구에 인접한 제2면의 일부를 개방하는 제2개구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A cleaner body having a first opening for opening a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and a second opening for opening a portion of a second surface adjacent to the first opening; 공기를 유입하여 원심력에 의해 공기로부터 오물을 1차 분리하는 제1사이클론유닛 및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1사이클론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오물을 2차 분리하는 제2사이클론유닛을 구비하는 집진장치; 및 A first cyclone unit for introducing air and primarily separating dirt from the air by centrifugal force, and a second cyclone unit for separating the dirt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by centrifugal force; And 청소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집진장치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할 수 있게 장착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며, And a seating part formed on the cleaner main body and detachably attaching the dust collecting device to the cleaner main body,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안착부에 장착될 때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기 제1개구 및 상기 제2개구를 밀폐함과 함께 상기 청소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며,Wherein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configured to enclose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of the cleaner body when the dust collector is mounted on the seat portion and to form an appearance of the cleaner body, 상기 제2사이클론유닛의 일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기 제2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사이클론유닛의 일부는 상기 제1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Wherein a part of the second cyclone unit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second opening of the cleaner body, and a part of the second cyclone unit protrudes through the first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기 제1개구 및 상기 제2개구와 연통되고 상기 집진장치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수용공간을 구비한 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t portion includes a recessed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ust collecting device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개구 쪽을 향해 상향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vacuum cleaner of claim 2, wherein the accommodation space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second opening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사이클론유닛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vacuum cleaner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yclone units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클론유닛은 하부에서는 공기를 유입하고, 상부에서는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yclone unit inflows air at a lower portion and discharges air at an upper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클론유닛은,       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cyclone unit comprises: 하부에 공기유입부를 구비하는 제1사이클론 챔버;       A first cyclone chamber having an air inlet at a lower portion thereof; 상기 제1사이클론 챔버의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중앙파이프;      A central pip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cyclone chamber and guiding rotation of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상기 제1사이클론 챔버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제1사이클론 챔버에서부터 원심 분리되는 오물이 저장되는 제1오물수거챔버; 및      A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installed around the first cyclone chamber and storing dirt to be centrifug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cyclone chamber; And 상기 제1오물수거 챔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사이클론유닛에 의해 원심분리되는 오물이 저장되는 제2오물수거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And a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and storing dirt to be centrifugally separated by the second cyclone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물수거 챔버는 반원형 단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오물수거 챔버는 장방형 단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vacuum cleaner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물수거 챔버는 상기 집진장치가 상기 안착부에 장착될 때 적어도 일부가 제2개구를 밀폐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9. The vacuum cleaner as claimed in claim 8, wherein the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is formed such that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seals the second opening whe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is mounted on the seating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클론유닛은 상기 제1오물수거 챔버에 형성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The vacuum cleaner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cyclone unit further comprises a handle formed in the first dirt collecting chamb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기 제2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2. The vacuum cleaner of claim 11,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handle protrudes through the second opening of the cleaner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이클론유닛은 상기 제1사이클론유닛 위에 수평으로 나란히 설치된 적어도 두 개의 사이클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vacuum cleaner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cyclone unit includes at least two cyclones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first cyclone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사이클론의 각각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기 제1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14. The vacuum cleaner of claim 13,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two cyclones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first opening of the cleaner bod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이클론유닛은 상기 제1사이클론유닛의 상부를 개폐하는 제1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14. The vacuum cleaner of claim 13, wherein the second cyclone unit further comprises a first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yclone uni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1사이클론유닛의 제1 및 제2오물수거 챔버를 동시에 개방하거나 밀폐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16. The vacuum cleaner of claim 15, wherein the first cover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open or close the first and second dirt collecting chambers of the first cyclone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이클론유닛은 상기 제1사이클론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오물을 걸러내는 그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14. The vacuum cleaner of claim 13, wherein the second cyclone unit further comprises a grill member for filtering the dirt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사이클론유닛의 제1사이클론 챔버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사이클론유닛의 중앙파이프와 소정거리 를 두고 유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18. The vacuum cleaner of claim 17,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grill member protrudes into the first cyclone chamber of the first cyclone unit and is hel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pipe of the first cyclone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이클론유닛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기 제1개구를 개폐하는 제2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14. The vacuum cleaner of claim 13, wherein the second cyclone un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opening of the cleaner body.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집진장치가 상기 안착부에 장착될 때 제1개구를 밀폐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0. The vacuum cleaner of claim 19, wherein the second cover is formed to seal the first opening when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mounted on the seating portion.
KR1020080135968A 2008-12-29 2008-12-29 Vacuum cleaner having detachable dust-separating dpparatus KR1015421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968A KR101542185B1 (en) 2008-12-29 2008-12-29 Vacuum cleaner having detachable dust-separating dpparatus
US12/590,260 US20100162517A1 (en) 2008-12-29 2009-11-05 Vacuum cleaner having detachable dust separating unit
AU2009238258A AU2009238258B2 (en) 2008-12-29 2009-11-13 Vacuum cleaner having detachable dust separating unit
EP09014244.9A EP2201880B1 (en) 2008-12-29 2009-11-13 Vacuum cleaner having detachable dust separating unit
RU2009149157/12A RU2520051C2 (en) 2008-12-29 2009-12-28 Vacuum cleaner and detachable device for dust sepa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968A KR101542185B1 (en) 2008-12-29 2008-12-29 Vacuum cleaner having detachable dust-separating d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893A KR20100077893A (en) 2010-07-08
KR101542185B1 true KR101542185B1 (en) 2015-08-07

Family

ID=41612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968A KR101542185B1 (en) 2008-12-29 2008-12-29 Vacuum cleaner having detachable dust-separating dpparatu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162517A1 (en)
EP (1) EP2201880B1 (en)
KR (1) KR101542185B1 (en)
AU (1) AU2009238258B2 (en)
RU (1) RU2520051C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36308A (en) * 2006-03-23 2007-09-26 Adrian Christopher Arnold Particle separator
GB2455535A (en) * 2007-12-12 2009-06-17 Prime Sourcing Ltd Cyclone chamber with vortex shield
US8152877B2 (en) * 2010-03-12 2012-04-10 Euro-Pro Operating Llc Shroud for a cleaning service apparatus
US8728186B2 (en) 2011-09-02 2014-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ng apparatus thereof
GB2503252B (en) 2012-06-20 2014-12-17 Dyson Technology Ltd A self righting cleaning appliance
GB2503254B (en) * 2012-06-20 2014-12-17 Dyson Technology Ltd A cleaning appliance
GB2503253B (en) * 2012-06-20 2014-10-15 Dyson Technology Ltd A cleaning appliance
GB2503251C (en) * 2012-06-20 2015-07-15 Dyson Technology Ltd A self righting cleaning appliance
GB2503255B (en) * 2012-06-20 2014-10-15 Dyson Technology Ltd A cleaning appliance
GB2503671B (en) 2012-07-03 2014-12-17 Dyson Technology Ltd Control of a brushless motor
GB2503670B (en) 2012-07-03 2014-12-10 Dyson Technology Ltd Method of preheating a brushless motor
JP5333633B1 (en) * 2012-08-02 2013-11-06 三菱電機株式会社 Electric vacuum cleaner
JP5472417B1 (en) * 2012-09-28 2014-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Centrifuge
KR102049860B1 (en) * 2013-03-27 2020-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DE102013217211A1 (en) * 2013-08-28 2015-03-0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wirl tube separator with coarse dirt discharge opening
KR102180680B1 (en) * 2014-02-10 2020-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us And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5123538A1 (en) 2014-02-14 2015-08-20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Vacuum cleaner with a separator received within the dirt collection chamber
KR101622724B1 (en) * 2014-09-29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or for a vacuum cleaner
KR101641256B1 (en) 2014-10-07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or for a vacuum cleaner
EP3209175B1 (en) 2014-10-22 2023-01-04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Handheld vacuum cleaner
EP3209184A2 (en) 2014-10-22 2017-08-30 Techtronic Industries Company Limited Vacuum cleaner having cyclonic separator
CN107205603B (en) 2014-10-22 2020-10-13 创科实业有限公司 Vacuum cleaner with cyclone separator
JP6041023B1 (en) * 2015-08-05 2016-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Electric vacuum cleaner
US11432693B2 (en) 2020-03-12 2022-09-06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871B1 (en) 2005-05-19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KR100776402B1 (en) 2007-02-05 2007-11-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Multi cyclone separating apparatus having filt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2295C2 (en) * 1999-04-08 2000-02-28 Electrolux Ab Drainage system for a cyclone vacuum cleaner
GB2404887A (en) * 2003-08-13 2005-02-16 Dyson Ltd Grooved outlet for cyclonic separating apparatus
KR100697429B1 (en) * 2004-12-27 200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KR100633605B1 (en) * 2004-12-27 2006-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ing unit of vacuum cleaner
KR100560967B1 (en) * 2005-01-14 2006-03-1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A cyclone dust-separating apparatus
KR100611026B1 (en) * 2005-03-29 2006-08-1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Multi-cyclone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US20070144116A1 (en) * 2005-12-23 2007-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yclonic cleaner
KR101250077B1 (en) * 2006-04-04 2013-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ing unit of vacuum cleaner
KR100776403B1 (en) * 2007-02-14 2007-11-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Cyclone dust separa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KR101309780B1 (en) * 2007-04-17 2013-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cyclone dust-separating dpparatus of vacuum cleaner
KR101340423B1 (en) * 2007-08-28 2013-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A Stick Type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871B1 (en) 2005-05-19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KR100776402B1 (en) 2007-02-05 2007-11-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Multi cyclone separating apparatus having filt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893A (en) 2010-07-08
AU2009238258A1 (en) 2010-07-15
EP2201880A2 (en) 2010-06-30
RU2520051C2 (en) 2014-06-20
EP2201880A3 (en) 2012-09-26
EP2201880B1 (en) 2013-09-25
US20100162517A1 (en) 2010-07-01
RU2009149157A (en) 2011-07-10
AU2009238258B2 (en) 2015-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185B1 (en) Vacuum cleaner having detachable dust-separating dpparatus
JP3926321B2 (en) Cyclone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RU2328961C1 (en) Vacuum cleaner (option)
RU2325836C2 (en) Dust control unit for vacuum-cleaner (options)
KR100706622B1 (en) A compact &amp; dual cyclone separating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US7488363B2 (en)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US7086119B2 (en) Dust collecting unit of vacuum cleaner
US20060090428A1 (en)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US20130232724A1 (en)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system
JP2004344642A (en) Double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AU2009202180A1 (en) Cyclonic vacuum cleaner with improved collection chamber
KR20030072059A (en) Vacuum cleaner
CA2470957A1 (en) Cyclone separa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the same
KR20040105501A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having two cyclones
AU2006249267B8 (en) Vacuum cleaner
KR100546629B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GB2406066A (en) Cyclonic dust-separating apparatus
KR20130025794A (en)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ng apparatus thereof
RU2400124C2 (en) Vacuum cleaner with rotary centrifugal separator
KR100645951B1 (en) Multi-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KR100640831B1 (en) Vacuum cleaner
AU2015100048A4 (en) Cyclonic vacuum cleaner with improved collection chamber
KR100593093B1 (en) Dust removing unit in vacuum cleaner
KR100556444B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JP2004008378A (en)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