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099B1 - User interaction-type video display system - Google Patents

User interaction-type video displa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099B1
KR101540099B1 KR1020130127417A KR20130127417A KR101540099B1 KR 101540099 B1 KR101540099 B1 KR 101540099B1 KR 1020130127417 A KR1020130127417 A KR 1020130127417A KR 20130127417 A KR20130127417 A KR 20130127417A KR 101540099 B1 KR101540099 B1 KR 101540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ar screen
user
sensing
pro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4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47392A (en
Inventor
홍주희
Original Assignee
(주)리안씨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안씨앤에스 filed Critical (주)리안씨앤에스
Priority to KR1020130127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099B1/en
Publication of KR20150047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3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0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실제 크기의 인물 영상의 일부 또는 전부가 프로젝션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제1 지지수단을 통해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리어 스크린부; 상기 리어 스크린부의 후방에 설치되며, 투사한 영상이 반사 수단을 거쳐 상기 리어 스크린부의 후면에 프로젝션 되도록 설치되는 프로젝터; 상기 리어 스크린부에 투사하는 영상과 동기된 음성 출력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음성 출력 수단; 상기 리어 스크린부의 전방 측 소정의 감지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 관련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센싱 수단; 및 상기 센싱 수단의 감지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감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젝터에서 투사하는 인물 영상에 대한 제어와 음성 출력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컴퓨팅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개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rear screen unit formed to be able to maintain an upright state through a first supporting unit, A projector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rear screen unit and configured to project a projected image onto a rear surface of the rear screen unit through a reflecting unit; Audio output means provided to enable audio output synchronized with an image projected on the rear screen portion; Sensing means for sensing a user-related state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sensing region on the front side of the rear screen portion; And a computing means for receiving input of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means and performing control of a person image projected by the projector and control of sound output based on the sensed information, .

Description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User interaction-type video display system}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interaction-type video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광고나 홍보 영상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리어 스크린을 이용한 프로젝션 방식의 영상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되, 반사 수단을 이용한 반사형 프로젝션 구조를 통해 좁은 설치 공간에서도 실제 크기의 인물 영상을 사실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리어 스크린의 전방 측 소정의 감지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 관련 상태를 감지하고, 제공되는 영상을 감지 정보에 따라 사용자 인터랙션형으로 제어함으로써, 광고나 홍보 메시지의 전달력을 극대화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using a rear screen in displaying advertisement or publicity image to a user, The user can detect the user related state of the predetermined sensing area on the front side of the rear screen and control the provided image in a user interaction type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To a use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configured to maximize the transfer power of the user.

광고나 홍보 영상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for displaying advertisements or publicity images to users.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6838호(2009년11월06일 등록)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영상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LCD, LED, 프로젝터, 아날로그 필름, 홀로그램 필름 등의 다양한 영상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특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된 유리에 반사되어 영상이 공중에 떠 있는 상태에서 허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여 영상광고나 사인물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영상광고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26838 (registered on Nov. 06, 2009) is related to a video advertising system using a hologram, and it is widely used in various image sources such as LCD, LED, projector, analog film, A video advertisement system using a hologram that can be used for a video advertisement or a sign is provided so that the output image can be displayed in a virtual image while being hovered in the air while being reflected by a glass installed at a specific angle.

또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66397호(2005년06월30일 공개)는, 소비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품 광고를 출력하는 진열대광고 장치 및 진열대 광고 장치가 구비된 상품 진열대에 관한 것으로서, 진열대에 센서를 장착하고,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소비자의 접근을 감지해서, 소비자의 접근 감지시 자동으로 진열되어 있는 상품에 대한 광고를 음성 또는 화상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 진열대 광고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As anothe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66397 (published on Jun. 30, 2005) discloses a display stand advertising system for detecting a consumer approach and outputting a product advertisement and a product display stand provided with a display stand advertising apparatus A display panel advertisement device having a function of mounting a sensor on a display panel and detecting a consumer's approach using the installed sensor and providing advertisement of a product automatically displayed when a consumer approaches the display, Have proposed.

이외에 프로젝션 스크린이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다중 이용 시설의 안내 장치 등, 다양한 공지 기술이 제안되었다. In addition, a variety of known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such as a projection screen or a guide device for multi-use facilities using a touch screen.

그런데, 상기 예시된 종래의 기술들은 사용자 시각의 관점에 최적화된 영상을 제공하지 못하고, 스크린이나 모니터를 이용한 통상의 영상 제공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여, 사용자(고객 또는 관람객)에게 광고나 홍보 메시지의 전달력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fail to provide an optimized image in view of the user's viewpoint, and can not be largely deviated from a conventional image providing method using a screen or a monitor, so that a user (a customer or an audience) There was a limit to heightening the calendar.

즉, 예시된 종래의 기술들은, 영상을 관람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볼 때, 일반 스크린이나 모니터를 통해 영상을 보는 것과 큰 차이가 없으므로, 평면적이고 단조로운 영상 인식만이 이뤄진다는 한계가 있었다.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arts described above have a limitation in that only a flat and monotonous image recognition is performed because there is no great difference in view of a user viewing an image through a normal screen or a monito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6838호(2009년11월06일 등록)Korean Patent No. 10-0926838 (Registered on November 06, 2009)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66397호(2005년06월30일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66397 (published on June 30, 2005)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광고나 홍보 영상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리어 스크린을 이용한 프로젝션 방식의 영상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되, 반사 수단을 이용한 반사형 프로젝션 구조를 통해 좁은 설치 공간에서도 실제 크기의 인물 영상을 사실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리어 스크린의 전방 측 소정의 감지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 관련 상태를 감지하고, 제공되는 영상을 감지 정보에 따라 사용자 인터랙션형으로 제어함으로써, 광고나 홍보 메시지의 전달력을 극대화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display of a projection type using a rear screen in displaying an advertisement or a publicity image to a user, It is possible to realistically realize a portrait image of an actual size even in a narrow installation space, to detect a user related state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sensing area on the front side of a rear screen, and to control a provided image with a user interaction type according to sensing information, And to provide a use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configured to maximize the power of the public relations messag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실제 크기의 인물 영상의 일부 또는 전부가 프로젝션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제1 지지수단을 통해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리어 스크린부; 상기 리어 스크린부의 후방에 설치되며, 투사한 영상이 반사 수단을 거쳐 상기 리어 스크린부의 후면에 프로젝션 되도록 설치되는 프로젝터; 상기 리어 스크린부에 투사하는 영상과 동기된 음성 출력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음성 출력 수단; 상기 리어 스크린부의 전방 측 소정의 감지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 관련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센싱 수단; 및 상기 센싱 수단의 감지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감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젝터에서 투사하는 인물 영상에 대한 제어와 음성 출력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컴퓨팅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개시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rear screen unit formed to have a size capable of projecting a part or all of a portrait image of an actual size and to maintain an upright state through a first supporting unit; A projector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rear screen unit and configured to project a projected image onto a rear surface of the rear screen unit through a reflecting unit; Audio output means provided to enable audio output synchronized with an image projected on the rear screen portion; Sensing means for sensing a user-related state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sensing region on the front side of the rear screen portion; And a computing means for receiving input of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means and performing control of a person image projected by the projector and control of sound output based on the sensed information, .

바람직하게,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리어 스크린부의 전방 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로서, 센서의 감지 영역 내에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컴퓨팅 수단은, 상기 초음파 센서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존재 여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젝터에서 투사하는 영상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sensing means is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installed to face the front side of the rear screen portion, wherein the sensing means sens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in a sensing area of the sensor, and the computing means sens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sensed by the ultrasonic sensor And to perform control on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based on presence information.

바람직하게,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리어 스크린부의 전방 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깊이 카메라로서, 깊이 카메라의 감지 영역 내에 사용자의 존재 여부와 사용자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며, 상기 컴퓨팅 수단은, 상기 깊이 카메라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존재 여부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젝터에서 투사하는 영상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sensing means is at least one depth camera install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rear screen port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resence of the user and the position of the user is detected in the sensing area of the depth camera, The information abou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 sensed by the depth camera,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바람직하게, 상기 컴퓨팅 수단은,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위치 영역 중 어느 위치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구분하여 인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위치 영역별로 프로젝터에서 투사할 영역별 매칭 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깊이 카메라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상기 복수의 위치 영역 중 어느 위치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해당 위치 영역에 대하여 저장된 영역별 매칭 영상을 프로젝터에서 투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mputing means is configured to recognize a position of a user in which the position corresponds to which of a plurality of preset position regions, and to store a matching image for each region to be projected by the projecto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region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sensed by the depth camera corresponds to the position area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areas, and the matching image for each area stored in the position area is projected by the projector.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위치 영역은, 상기 리어 스크린부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위치 방향에 따라 구분되며, 상기 영역별 매칭 영상은 하나의 인물을 상기 위치 방향에 대응하는 촬영 방향에서 동시에 촬영한 복수의 영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plurality of position areas are divid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user's center with respect to the rear screen part, and the area-by-area matching images include a plurality of images captured simultaneously in the photographing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direction .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위치 영역은, 상기 리어 스크린부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위치 거리에 따라 구분되며, 상기 영역별 매칭 영상은 하나의 인물을 상기 위치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에서 동시에 촬영한 복수의 영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plurality of position area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positional distance of the user around the rear screen part, and the area-specific matching images include a plurality of images simultaneously captured at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distance Lt; / RTI >

바람직하게, 상기 컴퓨팅 수단은,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위치 영역 중 어느 위치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구분하여 인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위치 영역은, 상기 리어 스크린부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위치 거리에 따라 구분되며, 상기 복수의 위치 영역별로 대응하여 하나의 인물 촬영 영상을 프로젝터에서 줌인 또는 줌아웃 처리하여 투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mputing means is configured to recognize which of the plurality of preset positional regions the user's position corresponds to, and the plurality of positional regions include a positional distance of the user centered on the rear screen portion , And one portrait photographing ima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areas may be processed by zooming in or zooming out in the projector.

바람직하게, 상기 리어 스크린부의 전방 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카메라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컴퓨팅 수단은, 상기 영상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입력받으며, 상기 촬영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얼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젝터에서 투사하는 영상에 대한 제어를 더욱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image camera installed to face the rear side of the rear screen unit. The computing means receives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mera, and based on the face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So as to further control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바람직하게, 상기 컴퓨팅 수단은, 상기 촬영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얼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의 성별 또는 연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용자의 성별 또는 연령별로 프로젝터에서 투사할 성별 또는 연령별 매칭 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영상 카메라의 촬영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얼굴에 근거하여 판단되는 사용자의 성별 또는 연령 정보에 근거하여 성별 또는 연령별 매칭 영상을 프로젝터에서 투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mputing means is configured to be able to determine at least one of gender and age of the user based on the face of the user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The matching image for each gender or age may be stored and the matching image for each gender or age may b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based on the gender or age information of the user determined based on the face of the user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image camera.

바람직하게, 소정 면적을 갖는 베이스부가 더욱 구비되며, 상기 리어 스크린부는 실제 인물 크기로 이뤄진 판상의 스크린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전면부 측에 제1 지지수단을 통해 직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리어 스크린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후면부 측에 제2 지지수단을 통해 설치된 상기 반사 수단을 향해 영상을 투사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리어 스크린부의 전방 측 소정의 감지 영역을 향하도록 상기 리어 스크린부의 후면부 또는 측면부 위치에 제3 지지수단을 통해 설치되며, 상기 음성 출력 수단과 컴퓨팅 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rear screen portion is formed of a plate-shaped screen having a real person size, and is fixed to the upper front side portion of the base portion through the first supporting means to maintain an upright state, , The projector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is installed to project an image toward the reflection means install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base portion through the second support means so as to face the rear screen portion, Wherein the sound output means and the computing means ar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through third supporting means at a rear portion or a side portion position of the rear screen portion so as to face the predetermined sensing region on the front side of the rear screen portion, As shown in FIG.

바람직하게, 상기 리어 스크린부는 직립 상태의 실제 인물 크기가 포함되도록 형성되되, 인물 영상의 하체에 해당하는 영역은 인물 영상의 하체를 인쇄물 형태로 마련한 부착물을 리어 스크린부의 하부 측 표면에 부착하는 형태로 구현되며, 인물 영상의 상체에 해당하는 영역은 상기 프로젝터에서 투사하는 영상을 이용하여 구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rear screen portion is formed so as to include an actual portrait size in an upright state, and an area corresponding to a lower body of the portrait image is formed by attaching an attachment on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rear screen portion, And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upper body of the portrait image may be configured to be implemented using an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바람직하게, 상기 컴퓨팅 수단은, 상기 센싱 수단의 감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젝터에서 투사하는 인물 영상의 동작 및 크기, 위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mputing means may control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a size, a position and a direction of a person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means.

바람직하게, 상기 리어 스크린부는 직립 상태의 실제 인물 크기가 포함되도록 형성되되, 인물 영상의 하체에 해당하는 영역은 인물 영상의 하체를 인쇄물 형태로 마련한 부착물을 리어 스크린부의 하부 측 표면에 부착하는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부착물보다 더 큰 영역을 가지도록 확장된 미러반사부를 구비하여 상기 부착물의 배경 영역이 깊이감을 표현하도록 구성되며, 인물 영상의 상체에 해당하는 영역은 상기 프로젝터에서 투사하는 영상을 이용하여 구현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미러반사부는, 상기 부착물이 부착된 반투광성의 리어 스크린부 전면 패널과, 상기 전면 패널과 소정 간극을 두고 설치된 후면 미러 패널과, 상기 전면 패널과 후면 미러 패널 사이의 간극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Preferably, the rear screen portion is formed so as to include an actual portrait size in an upright state, and an area corresponding to a lower body of the portrait image is formed by attaching an attachment on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rear screen portion, And a mirror reflector extend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attachment, so that the background area of the attachment is configured to express a sense of depth, and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upper body of the portrait image is imaged using an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Wherein the mirror reflector comprises a semi-transmissive rear screen front panel having the attachment thereon, a rear mirror panel having a predetermined gap from the front panel, and a gap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rear mirror panel And a light emitting means installed in a surrounding form.

삭제delet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광고나 홍보 영상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리어 스크린을 이용한 프로젝션 방식의 영상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되, 반사 수단을 이용한 반사형 프로젝션 구조를 통해 좁은 설치 공간에서도 실제 크기의 인물 영상을 사실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using a rear screen in displaying an advertisement or a publicity image to a user, wherein a reflection type projection structure using reflection means allows a person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realized realistically.

특히 본 발명은, 리어 스크린의 전방 측 소정의 감지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 관련 상태를 감지하고, 제공되는 영상을 감지 정보에 따라 사용자 인터랙션형으로 제어함으로써, 광고나 홍보 메시지의 전달력을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다.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delivery power of an advertisement or a publicity message by sensing a user-related state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sensing area on the front side of the rear screen and controlling the provided image with a user interaction type according to sensing information have.

특히, 사용자 관련 상태로서, 사용자의 존재 여부 또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방향 또는 거리), 사용자의 얼굴 정보 등 다양한 사용자 상태 정보를 이용하고, 이에 따라 다양하고 동적인 영상 제어를 행함으로써, 광고나 홍보 메시지의 전달력을 더욱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as user-related states, various user state information such as the presence of a user, location information (direction or distance) of a user, face information of a user, and the like are used, It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delivery of messages.

또한 본 발명은, 리어 스크린부의 구성을 인쇄물 형태의 부착물과 프로젝터의 투사 영상 간의 적절한 조화가 이뤄지게 구성하여, 좁은 설치 공간에서도 실제 크기의 인물 영상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a configuration of the rear screen unit is configured so as to make a proper match between the adherence in the form of printed matter and the projected image of the projector, thereby realizing a portrait image of an actual size even in a narrow installation space.

또한 본 발명은 직립 상태의 실제 인물 크기가 포함되도록 형성된 리어스크린부의 구성에 있어서, 인물의 하체가 표현된 리어 스크린부의 하부 배경 영역을 깊이감을 표현할 수 있는 미러반사부로 구성하여, 인물 영상의 묘사에 있어서 3차원적인 입체감을 더욱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rear screen unit configured to include an actual portrait size in an upright state, a lower background area of a rear screen unit in which a lower body of a person is expressed is constituted by a mirror reflection unit capable of expressing a depth sense, So that the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effect can be expressed mor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기구적 설치 구조를 나타낸 측면 모식도,
도 3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위치 영역 중 위치 방향에 따른 영역 설정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모식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위치 영역 중 위치 거리에 따른 영역 설정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영상 제어 관점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컴퓨팅 수단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리어 스크린부의 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use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echanical installation structure of a use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a concept of setting an area according to a location direction among a user's location area in a use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B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a concept of setting an area according to a location distance in a user's location area in a use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control view of a user interaction-type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puting means of a use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use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bottom view of a rear screen portion of a use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기구적 설치 구조를 나타낸 측면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영상 제어 관점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컴퓨팅 수단의 구성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use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mechanical installation structure of a use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control view of a use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computing means of a use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실시예의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사용되는 리어 스크린부(100)의 화면을 사용자 인터랙션 방식으로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전시장, 박물관 등에서 사용되는 고객 안내 및 홍보용 사이니지, 또는 행사장이나 다중 이용시설에서 사용되는 광고용 사이니지 등에 응용될 수 있다. The use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display system for controlling a screen of the rear screen unit 100 used as a display means in a user interaction manner. For example, Or advertising signage used at a venue or a multipurpose facility.

특히, 본 발명의 리어 스크린부(100)의 화면에는 실제 크기의 인물 영상의 일부 또는 전부가 영상으로 구현되어, 홍보나 광고 메시지를 영상으로 구현된 인물이 직접 음성으로 안내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위치(방향 또는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이 구현됨으로써, 사용자와 시선을 맞추면서 실제 안내원이 광고나 홍보 멘트를 설명하는 것과 같은 실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Particularly, a part or the whole of an actual-size portrait image is implemented as an image on the screen of the rear screen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directing a person, In particular, since the image is im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direction or distance)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alistic effect such that the actual guidance source explains the advertisement or the promotional event while gazing at the user.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에는, 실제 크기의 인물 영상의 일부 또는 전부가 프로젝션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제1 지지수단(120)을 통해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리어 스크린부(100)가 구비된다. For this, the use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ear screen portion formed to be able to maintain a standing state through the first supporting means 120, (100).

또한, 상기 리어 스크린부(100)의 후방에 설치되며, 투사한 영상이 반사 수단(220)을 거쳐 상기 리어 스크린부(100)의 후면에 프로젝션 되도록 설치되는 프로젝터(510)가 구비된다. 반사 수단(220)으로서는 투사한 영상의 반사 시에 영상 왜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지의 정반사 거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ojector 510 is disposed behind the rear screen unit 100 and is installed to project the projected image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screen unit 100 through the reflecting unit 220. As the reflecting means 220, it is preferable to use a known regular reflection mirror so that image distortion does not occur when the projected image is reflected.

또한, 상기 리어 스크린부(100)에 투사하는 영상과 동기된 음성 출력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음성 출력 수단(520)이 구비된다. 음성 출력 수단(520)으로서는 공지의 스피커가 적용될 수 있다. Further, the rear screen unit 100 is provided with audio output means 520 provided to enable audio output synchronized with the image projected on the rear screen unit 100. As the sound output means 520, a known speaker can be applied.

또한, 상기 리어 스크린부(100)의 전방 측 소정의 감지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 관련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센싱 수단(300, 400 또는 600)이 구비된다. In addition, sensing means (300, 400 or 600) provided to detect a user-related state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sensing region on the front side of the rear screen unit 100 are provided.

또한, 상기 센싱 수단(300, 400 또는 600)의 감지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감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젝터(510)에서 투사하는 인물 영상에 대한 제어와 음성 출력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컴퓨팅 수단(500)이 구비된다. 컴퓨팅 수단(500)은 예를 들어, 상기 센싱 수단(300, 400 또는 600)과 공지의 제어용 통신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공지의 영상 출력 신호선을 통해 프로젝터(510)와 연결되며, 중앙처리유닛, 시스템 DB, 시스템 메모리, 인터페이스 등의 컴퓨팅 요소를 구비한 통상의 임베디드 컴퓨팅 시스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And computing means for receiving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means (300, 400 or 600) and controlling the image of the person to be projected by the projector (510) based on the sensed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sound output 500 are provided. The computing means 5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means 300, 400 or 600 via a known control communication line, connected to the projector 510 through a known video output signal line, , A system DB, a system memory, an interface, and the like.

본 실시예의 컴퓨팅 수단(500)은 상기 센싱 수단(300, 400 또는 600)의 감지 정보를 입력받아 제어 처리를 위한 정보 데이터로 변환 처리하는 감지 정보 처리 모듈(502)과, 미리 설정된 제어 로직에 근거하여 프로젝터(510)를 통해 투사되는 영상을 제어(예, 영상 선택, 위치, 영상 효과, 크기 조절 등)하는 영상 제어 모듈(504)과, 미리 설정된 제어 로직에 근거하여 음성 출력 수단(520)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을 제어(예, 음성 선택, 크기 조절, 음성 효과 등)하는 음성 출력 제어 모듈(506)과, 전반적인 시스템의 설정 조작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 모듈(508)이 구비되며, 원격지의 컴퓨팅 수단과 연동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모듈(510)이 선택적으로 더욱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510)를 통해 투사되는 다양한 영상(예, 인물 동영상) 파일을 보관하는 영상 DB(512)와, 영상과 동기 출력되는 다양한 음성 파일을 보관하는 음성 DB(514)가 구비된다. The computing means 5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ensing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502 for receiving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means 300, 400 or 600 and converting the sensed information into information data for control processing, An image control module 504 for controlling an image projected through the projector 510 (for example, image selection, position, image effect, size adjustment, etc.), and audio output means 520 based on preset control logic A sound output control module 506 for controlling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control module 506 (e.g., voice selection, size adjustment, sound effect, etc.), and a management module 508 for performing a setting operation function of the overall system, And a communication module 510 for enabling remote control in cooperation with the means. In addition, an image DB 512 for storing various images (for example, a moving image) file projected through the projector 510 and an audio DB 514 for storing various audio files synchronized with the image are provid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300, 400 또는 600)으로서 초음파 센서(400), 깊이 카메라(300), 영상 카메라(600)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각 센서별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ltrasonic sensor 400, the depth camera 300, and the image camera 600 may be used as the sensing means 300, 400 or 600, and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given later for each sensor.

또한, 상기 리어 스크린부(100)의 전방 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카메라(600)가 더욱 구비될 수 있으며, 영상 카메라(6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In addition, at least one video camera 600 install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rear screen unit 100 may be further provid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video camera 600 will be described later.

본 실시예의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기구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of this embodiment can be configured as follows from a mechanical viewpoint.

소정 면적을 갖는 베이스부(200)가 구비된다. 베이스부(200)는 예를 들어,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의 판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시스템의 설치 현장의 바닥면 상에 적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200)는 제1 지지수단(120)을 통해 리어 스크린부(100)가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면, 반드시 도 1 또는 도 2와 같은 사각의 판재 형상이 아닌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구성될 수도 있다. A base portion 200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s provided. The base portion 20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metal or synthetic resin sheet, and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ite of the present system. If the rear screen unit 100 can maintain the upright state of the rear screen unit 100 through the first supporting unit 120, the base unit 200 may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other than rectangular plate shapes as shown in FIG. 1 or FIG. It is possible.

상기 리어 스크린부(100)는 실제 인물 크기로 이뤄진 판상의 스크린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200)의 상부 전면부 측에 제1 지지수단(120)을 통해 직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된다. 여기서, 실제 인물 크기는, 반드시 사용자 또는 영상 속 인물의 실제 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시각에서 볼 때, 실제 인물과 동일 내지 유사한 크기 및 눈높이를 갖도록 구현된 크기를 의미한다. The rear screen unit 100 is formed of a plate-shaped screen having a real person size and is fixed to the upper front side of the base unit 200 through the first supporting means 120 to maintain an upright state. Here, the actual person siz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ctual size of the user or the person in the image, but refers to a size implemented with the same or similar size and eye level as the actual person when viewed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제1 지지수단(120)은 상기 리어 스크린부(100)가 설치 공간의 바닥 위에서 대략 직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지해주기 위한 지지대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그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제 인물 크기로 이뤄진 판상의 스크린의 후면부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지지수단(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200)의 상부 전면부 측에 설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설치 공간의 바닥 위에 독립적인 지지대 형태로 형성되거나 벽면이나 천정에 고정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동일한 관점에서, 후술하는 제2 지지수단(210)이나 제3 지지수단(302,402,602)도 반드시 베이스부(200)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제1 또는 제2, 제3 지지수단이 베이스부 상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컴팩트한 설치 구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개별 설치 시에 비해 장점이 있다. The first supporting means 120 functions as a support for maintaining the rear screen unit 100 in a substantially upright state on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spac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its shape, And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shaped screen having the actual person size. The first supporting means 120 is not only provid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base 200 as described above but also formed in the form of an independent support on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space or in a form fixed to a wall surface or a ceiling . From the same viewpoint, the second supporting means 210 and the third supporting means 302, 402 and 60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not necessarily provided on the base portion 200. However, whe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 means are provided on the base portion, they are advantageous over individual installation because they provide a compact installation structure as a whole.

리어 스크린은 사용자에게 제공할 영상을 사용자의 반대측면(스크린의 후면)에서 투사받아 이를 사용자가 위치한 스크린 전면 측으로 투과하여 보여지도록 사용되는 공지의 스크린이다. 리어 스크린부(100)는 투사된 영상이 전면측으로 선명하게 보여질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광투과성을 갖는 아크릴 수지 패널(110)의 후면(직접 투사 영상을 받는 면)에 공지의 리어 스크린용 코팅재(111)를 부착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rear screen is a known screen which is used to project an image to be provided to the use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ser (rear side of the screen) and to be seen through the front side of the screen where the user is located. The rear screen unit 10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acrylic resin panel 110 having the light transmitting property so that the projected image can be clearly seen on the front side, And may be constructed by attaching a coating material 111 thereto.

상기 프로젝터(510)는 상기 베이스부(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리어 스크린부(100)와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200)의 상부 후면부 측에 제2 지지수단(210)을 통해 설치된 상기 반사 수단(220)을 향해 영상을 투사하도록 설치된다. The projector 51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rt 200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base part 200 so as to face the rear screen part 100, And is configured to project an image toward the reflecting means 220.

제2 지지수단(210)은 상기 반사 수단(220)을 영상 투사 위치로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부(200)를 근간으로 지지해주기 위한 지지대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그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supporting means 210 functions a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base unit 200 to keep the reflecting means 220 at the image projection position, and the shape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센싱 수단(300, 400 또는 600)은 상기 베이스부(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리어 스크린부(100)의 전방 측 소정의 감지 영역을 향하도록 상기 리어 스크린부(100)의 후면부 또는 측면부 위치에 제3 지지수단(302, 402 또는 602)을 통해 설치된다. 제3 지지수단(302, 402 또는 602)은 상기 센싱 수단(300, 400 또는 600)을 소정 높이 및 위치로 지지해주기 위한 지지대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그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nsing means 300, 400 or 60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200 and may be dispos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rear screen portion 100 to face the predetermined sensing region on the front side of the rear screen portion 100, Is installed through the third support means (302, 402 or 602) at the side portion position. The third supporting means 302, 402 or 602 functions a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nsing means 300, 400 or 600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position, and the shape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음성 출력 수단(520)과 컴퓨팅 수단(500)은 상기 베이스부(2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음성 출력이 전달될 수 있다면 그 설치 위치나 구조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voice output means 520 and the computing means 50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200 and the location and structure of the voice output means 520 and the computing means 500 are not necessarily limited as long as the voice output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상기 리어 스크린부(100)는 바람직하게는 직립 상태의 실제 인물 크기가 포함되도록,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더욱 바람직하게 직립 상태의 실제 인물 크기로 형성되되, 인물 영상의 하체에 해당하는 영역은 인물 영상의 하체를 인쇄물 형태로 마련한 부착물(151)을 리어 스크린부(100)의 하부(150) 측 표면(바람직하게는 전방 측 표면)에 부착하는 형태로 구현되며, 인물 영상의 상체에 해당하는 영역은 상기 프로젝터(510)에서 투사하는 영상을 이용하여 구현되도록 구성된다. The rear screen unit 10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n actual person size in an upright state so that the actual person size in an upright state is included.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ar screen unit 100 is preferably formed with an actual person size in an upright state, (Preferably the front side surface) of the rear screen portion 100, and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body of the portrait image is formed in a shape And is implemented using an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510.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이유는, 사용자들은 타인과의 대화 시에 타인의 얼굴이나 손동작 위주로 관심을 갖고 보는 경향이 있으므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한 인물의 상체 영역은 투사 영상을 통해 실감 영상을 구현하고 특별한 변화가 이뤄지지 않는 하체 영역은 투사 영상을 반드시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The reason for adopting this configuration is that users tend to take an interest mainly in the face or hand motion of another person in conversation with another person, so that the upper body region of the person who can make various changes realizes real image through the projection imag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projected image necessarily.

이러한 구성을 취하게 되면, 상기 프로젝터(510)는 상기 반사 수단(220)을 거쳐 실제 인물 크기 영상 중에서 상체에 해당하는 영역만 투사하면 되므로, 실제 인물 크기 영상의 전신을 투사하는 경우에 비해 더욱 짧은 투사 거리만을 확보해도 되며, 이로 인해 반사 수단(220)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예, 프로젝터와 반사 수단 간의 거리, 또는 반사 수단과 리어 스크린부 간의 거리)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체적인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콤팩트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projector 510 needs to project only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upper body of the actual person-size image through the reflecting unit 220, the projector 510 may be shorter than the case of projecting the whole body of the person- It is possible to secure only the projection distance, thereby minimizing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reflecting means 220 (e.g., the distance between the projector and the reflecting means, or the distance between the reflecting means and the rear screen portion), and the overall display system becomes compac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한편, 상기 컴퓨팅 수단(500)은, 상기 센싱 수단(300, 400 또는 600)의 감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젝터(510)에서 투사하는 인물 영상의 동작 및 크기, 위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Meanwhile, the computing means 500 may calculate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a size, a position, and a direction of a person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510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means 300, 400 or 600 Control is performed.

이를 위한 센싱 수단으로서, 상기 리어 스크린부(100)의 전방 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400)가 적용될 수 있으며, 초음파 센서(400)는 센서의 감지 영역 내에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At least one ultrasonic sensor 400 installed to face the front of the rear screen unit 100 may be used as the sensing means for sen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in the sensing area of the sensor. can do.

이때, 상기 컴퓨팅 수단(500)은, 상기 초음파 센서(400)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존재 여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젝터(510)에서 투사하는 영상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computing means 50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510 based on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user sensed by the ultrasonic sensor 400.

예를 들어, 센서의 감지 영역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컴퓨팅 수단(500)은 일반적인 대기 상태의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며, 사용자가 센서의 감지 영역 내로 진입한 것으로 감지한 경우에는 사용자를 응대하기 위한 인사말 및 전달하고자 하는 광고나 홍보용 멘트를 음성 출력하면서, 이에 최적화된 인물의 대화 영상이나 제스쳐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does not exist in the sensing area of the sensor, the computing means 500 outputs the image and voice in the normal standby state. If the sensing device 500 detects that the user has entered the sensing area of the sensor A conversation image or a gesture image of a person optimized for the greeting for responding to the user and the advertisement or the promotional message to be transmitted is outputted.

다른 예로서,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리어 스크린부(100)의 전방 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깊이 카메라(300)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깊이 카메라로서는, 공지의 키넥트(Kinect) 깊이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키넥트 깊이 카메라는 연속적으로 사상되는 적외선 구조광으로부터 3차원 장면의 거리 정보를 분석 및 획득하는 카메라로서, 예를 들어, 프라임센스(PrimeSense) 사 등에서 상용 제품이 출시된 바 있다. 상용 제품을 예로 들면, 640*480의 깊이 해상도, 30 fps, 유효거리 3.5m 정도의 제품이 비교적 높은 정밀도로 대상물의 깊이 또는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sensing means may be at least one depth camera 300 install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rear screen unit 100. As the depth camera used in this embodiment, a known Kinect depth camera can be used. The Kinect depth camera is a camera that analyzes and acquires distance information of a three-dimensional scene from continuously illuminated infrared light. For example, commercial products such as PrimeSense have been commercially available. For example, in a commercial product, a product with a depth resolution of 640 * 480, 30 fps, and an effective distance of 3.5 meters can sense the depth or position of the object with relatively high precision.

상기 깊이 카메라(300)는 감지 영역 내에 사용자의 존재 여부와 사용자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수단(500)은, 상기 깊이 카메라(300)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존재 여부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젝터(510)에서 투사하는 영상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The depth camera 300 may sense at least one of the presence of the user and the position of the user in the sensing area. The computing means 500 performs control on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510 based on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presence of the user sensed by the depth camera 300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

상기 컴퓨팅 수단(500)이 상기 깊이 카메라(300)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존재 여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젝터(510)에서 투사하는 영상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초음파 센서(400)를 통한 영상 제어와 유사한 제어가 이뤄질 수 있다. When the computing means 500 controls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510 based on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user sensed by the depth camera 300, Control similar to control can be achieved.

상기 컴퓨팅 수단(500)이 상기 깊이 카메라(300)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젝터(510)에서 투사하는 영상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더욱 다양한 영상 제어가 가능하다. In the case where the computing means 500 controls the image projected by the projector 510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sensed by the depth camera 300, more various image control is possible.

이러한 경우, 상기 컴퓨팅 수단(500)은,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위치 영역 중 어느 위치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구분하여 인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위치 영역별로 프로젝터(510)에서 투사할 영역별 매칭 영상을 저장한다. In this case, the computing means 500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which of a plurality of positional regions the user's position corresponds to, and distinguish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al regions, And stores the matching image.

이를 통해, 상기 깊이 카메라(300)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상기 복수의 위치 영역 중 어느 위치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해당 위치 영역에 대하여 저장된 영역별 매칭 영상을 프로젝터(510)에서 투사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in real time which location area of the plurality of location areas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pth camera 300 corresponds to, and to provide a matching image for each area stored in the corresponding location area to the projector 510 Respectively.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위치 영역 중 위치 방향에 따른 영역 설정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모식도이다. FIG. 3A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a concept of setting an area according to a location direction among a user's location area in a use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위치 영역(A,B,C,D)은, 상기 리어 스크린부(100)를 중심으로 도 3a와 같이 사용자의 위치 방향에 따라 구분되며, 상기 영역별 매칭 영상은 하나의 인물을 상기 위치 방향에 대응하는 각 촬영 방향에서 동시에 촬영하여 저장된 복수의 영상으로 구성된다. The predetermined plurality of position areas A, B, C, and D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positional direction of the user around the rear screen unit 100 as shown in FIG. 3A, And a plurality of images captured at the same time in each photographing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direction.

예를 들어, 도 3a와 같이 복수의 위치 영역 A,B,C,D가 미리 설정된 경우, 상기 컴퓨팅 수단(500)은,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위치 영역 A,B,C,D 중 어느 위치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구분하여 인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위치 영역 A,B,C,D 별로 프로젝터(510)에서 투사할 영역별 매칭 영상을 저장 및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매칭 영상은 예를 들어, 영상에 등장하는 인물이 광고나 홍보 멘트를 안내하는 영상을 A,B,C,D 의 각 영역별 방향에서 동시에 촬영한 영상이 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position areas A, B, C, and D are previously set as shown in FIG. 3A, the computing means 500 includes a plurality of position areas A, B, C, and D And a matching image for each region to be projected by the projector 510 may be stored and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areas A, B, C, and D. For example, the matching image may be an image of a person who appears in the image and simultaneously images the advertisement or the announcement of the advertisement in the directions of the areas A, B, C, and D.

이러한 구성을 취하게 되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감지 영역 밖에 위치하다가 D -> C -> B -> A 방향을 걸어가면서 리어 스크린부의 영상을 관람하는 경우,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영상의 촬영 방향이 지속적으로 매칭되고, 결과적으로 영상 인물의 시선과 사용자의 시선이 지속적으로 매칭되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으므로, 더욱 실감있고 역동적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such a configura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located outside the sensing area and views the image of the rear screen portion while walking in the direction of D -> C -> B -> A, Is continuously matched. As a result, the effect of continuously matching the line of sight of the video person and the line of sight of the user can be obtained, thereby providing a more realistic and dynamic image.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위치 영역 중 위치 거리에 따른 영역 설정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모식도이다. FIG. 3B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a concept of setting an area according to a location distance among a user's location area in a use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위치 영역(a,b,c,d)은, 상기 리어 스크린부(100)를 중심으로 도 3b와 같이 사용자의 위치 거리에 따라 구분되며, 상기 영역별 매칭 영상은 하나의 인물을 상기 위치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에서 동시에 촬영한 복수의 영상으로 구성된다. The predetermined plurality of position areas (a, b, c, and d)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positional distance of the user around the rear screen unit 100 as shown in FIG. 3B, At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distance.

예를 들어, 도 3b와 같이 복수의 위치 영역 a,b,c,d가 미리 설정된 경우, 상기 컴퓨팅 수단(500)은,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위치 영역 a,b,c,d 중 어느 위치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구분하여 인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위치 영역 a,b,c,d 별로 프로젝터(510)에서 투사할 영역별 매칭 영상을 저장 및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매칭 영상은 예를 들어, 영상에 등장하는 인물이 광고나 홍보 멘트를 안내하는 영상을 a,b,c,d 의 각 영역별 위치에서 동시에 촬영한 영상이 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location areas a, b, c, and d are set as shown in FIG. 3B, the computing means 500 may store a plurality of location areas a, b, c, and d And a matching image for each region to be projected by the projector 510 can be stored and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areas a, b, c, and d. For example, the matching image may be an image of a person who appears in the image and simultaneously images the advertisement or the announcement of the advertisement in the positions of the areas a, b, c, and d.

이러한 구성을 취하게 되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감지 영역 밖에 위치하다가 d -> c -> b -> a 방향을 걸어가면서 리어 스크린부의 영상을 관람하는 경우, 사용자의 실제 위치뿐만이 아니라 영상 인물의 가상의 위치가 상호 인터랙션하게 변화되므로, 결과적으로 영상 인물과 사용자 간의 거리가 더욱 실감있고 역동적으로 변화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such a configura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located outside the sensing area and views the image of the rear screen portion while walking in the direction d -> c -> b -> a, not only the actual position of the user, 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the video person and the user can be more real and dynamic, and the video can be provided dynamically.

한편, 사용자의 위치 거리에 따라 영상을 제어하는 다른 예로서, 상기 컴퓨팅 수단(500)은,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위치 영역 중 어느 위치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구분하여 인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위치 영역(a,b,c,d)은, 상기 리어 스크린부(100)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위치 거리에 따라 구분되며, 상기 복수의 위치 영역별로 대응하여 하나의 인물 촬영 영상을 프로젝터(510)에서 줌인 또는 줌아웃 처리하여 투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as another example of controlling the image according to the position distance of the user, the computing means 500 is configured to recognize and recognize which position area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areas the user's position corresponds to, The position areas a, b, c, and d of the rear screen unit 100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position distance of the user around the rear screen unit 100, ) Or zoom-in or zoom-out processing to project the image.

이러한 경우, 영상에 등장하는 인물이 광고나 홍보 멘트를 안내하는 영상을 a,b,c,d 의 각 영역별 위치에서 동시에 촬영하지 않고도,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형태로 실감있고 역동적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such a case, a person who appears in the image can obtain a realistic and dynamic image in a form similar to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thout simultaneously photographing the image guiding the advertisement or the promotional message at the positions of the respective regions a, b, c,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provide.

상기와 같은 위치 방향이나 거리에 따른 영상의 제어는 반드시 독립적으로 이뤄지는 것은 아니며, 위치 방향이나 거리를 동시에 고려한 제어가 이뤄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ontrol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position direction or the distance as described above is not necessarily performed independently, and the control considering the position direction and the distance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한편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리어 스크린부(100)의 전방 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카메라(600)가 더욱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팅 수단(500)은, 상기 영상 카메라(600)의 촬영 영상을 입력받으며, 상기 촬영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얼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젝터(510)에서 투사하는 영상에 대한 제어를 더욱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computing unit 5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image camera 600 install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rear screen unit 100, And further control the image projected by the projector 510 based on the face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이를 위해, 상기 컴퓨팅 수단(500)은, 상기 촬영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얼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의 성별 또는 연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용자의 성별 또는 연령별로 프로젝터(510)에서 투사할 성별 또는 연령별 매칭 영상을 저장한다. For this purpose, the computing means 50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determine at least one of the gender or age of the user based on the face of the user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The matching image for each gender or age to be projected is stored in the memory 510.

또한, 상기 컴퓨팅 수단(500)은, 상기 영상 카메라(600)의 촬영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얼굴에 근거하여 판단되는 사용자의 성별 또는 연령 정보에 근거하여 성별 또는 연령별 매칭 영상을 프로젝터(510)에서 투사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computing means 500 may further include a sex or age matching image on the basis of the sex or age information of the user determined based on the face of the user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image camera 600, Respectively.

성별 또는 연령별 매칭 영상은 예를 들어,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여 인물 영상의 표정이나 제스쳐를 구분하여 매칭하거나, 연령대별로 광고나 홍보 멘트 전달에 유리한 다양한 표정이나 제스쳐를 구분하여 매칭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영상과 동기되어 제공되는 음성 출력의 경우에도,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여 어투나 사용 표현을 달리 적용하거나, 연령대별로 존칭어의 사용 유무 등을 달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의 얼굴 인식이나 성별, 연령 판단에는 다양한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matching image for sex or age is provided in such a manner that a male or female is classified to match a facial expression or a gesture of a character image or a variety of facial expressions or gestures that are advantageous for delivery of an advertisement or a promotion message for each age group are matched . In the case of the audio output provided in synchronism with the image, it is also possible to differentiate between male and female, apply different expressions or expressions of use, and apply different uses such as the use of synonyms for each age group. Various known techniques can be applied to the face recognition, the sex, and the age determination of the us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와 같은 초음파 센서나 깊이 카메라, 영상 카메라를 통한 영상의 제어는 반드시 독립적으로 이뤄지는 것은 아니며, 초음파 센서나 깊이 카메라, 영상 카메라의 감지 정보를 동시에 고려한 제어가 이뤄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the control of the image through the ultrasonic sensor, the depth camera, and the image camera is not necessarily performed independently,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ultrasonic sensor, the depth camera, and the image camera at the same time.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리어 스크린부의 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use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use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실시예의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직립 상태의 실제 인물 크기가 포함되도록 형성된 리어스크린부(100)의 구성에 있어서, 인물의 하체가 표현된 리어 스크린부(100)의 하부 배경 영역을 깊이감을 표현할 수 있는 미러반사부(1000)로 구성하여, 인물 영상의 묘사에 있어서 3차원적인 입체감을 더욱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use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background region of the rear screen unit 100 in which the lower body of the person is represented is defined as the depth of the rear screen unit 100, And a mirror reflector 1000 capable of expressing a feeling, thereby being able to express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effect in the depiction of a portrait image.

이를 위하여, 상기 리어 스크린부(100)는 직립 상태의 실제 인물 크기가 포함되도록 형성되되, 인물 영상의 하체에 해당하는 영역은 인물 영상의 하체를 인쇄물 형태로 마련한 부착물(151')을 리어 스크린부(100)의 하부 측 표면(바람직하게는 후방 측 표면)에 부착하는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부착물(151')보다 더 큰 영역을 가지도록 확장된 미러반사부(1000)를 구비하여 상기 부착물(151')의 배경 영역이 깊이감을 표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인물 영상의 상체에 해당하는 영역은 상기 프로젝터(510)에서 투사하는 영상을 이용하여 구현되도록 구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rear screen unit 100 is formed to include an actual portrait size in the upright state, and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lower body of the portrait image is divided into an area 151 ' (Preferably a rear side surface) of the object 100 and has an enlarged mirror reflector 1000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object 151 ' 151 'are configured to express a sense of depth. In addi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body of the portrait image is configured to be implemented using the image projected by the projector 510.

보다 상세하게, 상기 미러반사부(1000)는, 상기 부착물(151')이 부착된 반투광성의 리어 스크린부 전면 패널(150')과, 상기 전면 패널(150')과 소정 간극을 두고 설치된 후면 미러 패널(160)과, 상기 전면 패널(150')과 후면 미러 패널(160) 사이의 간극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발광 수단(1100)을 포함하여 이뤄진다. More specifically, the mirror reflector 1000 includes a semi-transmissive rear screen part front panel 150 'having the attachment 151' attached thereto, and a back surface 150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gap from the front panel 150' A mirror panel 160 and a light emitting means 1100 installed to surround the gap between the front panel 150 'and the rear mirror panel 160.

상기 반투광성의 리어 스크린부 전면 패널(150')은 예를 들어, 가시광선 투과율이 60~80% 정도로 조절된 아크릴 수지 패널 또는 유리 패널로 형성되며, 리어 스크린부의 상하부 영역은 하나의 단일 패널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두 개의 패널이 결합 형성될 수도 있으며, 실제 인물 크기로 형성된 하나의 패널과 사각형으로 형성된 또 다른 패널을 면접착 형태로 결합한 패널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emi-transmissive rear screen part front panel 150 'is formed of, for example, an acrylic resin panel or a glass panel having a visible light transmittance of about 60 to 80%, and the upper and lower areas of the rear screen part are formed as a single panel Or two panels may be formed as necessary. Alternatively, the panel may be formed of a panel formed of a real person size and another panel formed of a square in a face-to-face manner.

상기 발광 수단(1100)은 예를 들어, 다수개의 LED 칩(1102)이 선형으로 배열된 공지의 LED 띠 또는 LED 리본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전기적 연결이 불필요하도록 선형으로 배열 형성된 발광물질을 적용할 수도 있다. LED 띠 또는 LED 리본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전원공급수단(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발광제어를 위해서 상술한 컴퓨팅 수단과 전원공급수단이 제어적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미설명된 부호 1200은 상기 전면 패널(150')과 후면 미러 패널(160) 사이의 간극을 둘러싸는 테두리 부재를 나타내며, 상기 발광 수단(1100)은 예를 들어, 테두리 부재(1200)의 내측에 상하좌우면에 부착 설치된다. 테두리 부재는 예를 들어, 3cm 정도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a known LED strip or LED ribbon in which a plurality of LED chips 1102 are linearly arranged may be used as the light emitting means 1100, and a light emitting material that is linearly arranged so that a separate electrical connection is unnecessary may be applied You may. When the LED strip or the LED ribbon is applied,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parate power supply means (not shown), and the computing means and the power supply means may be controllably linked to control the light emission. Reference numeral 1200 denotes a frame member surrounding a gap between the front panel 150 'and the rear mirror panel 160. The light emitting unit 110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ame member 1200, for example, And is attached to the upper, lower, right, and left sides. The frame member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width of about 3 cm, for exampl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발광 수단(1100)에 발광이 이뤄지면, 리어 스크린부(100)의 전방 측에 위치한 사용자의 시각에서 볼 때, 상기 전면 패널(150')과 후면 미러 패널(160) 사이에서 발광체의 상이 무한 반사를 하면서 실제 테두리 부재(1200)의 폭보다 훨씬 더 큰 깊이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미설명된 부호 1102a는 상기 전면 패널(150')과 후면 미러 패널(160) 간의 무한 반사를 통해 구현된 발광체의 허상을 나타낸다. When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1100 is illuminated in the above-described state, the light emitted from the front panel 150 'and the rear mirror panel 160 is reflected by the front panel 150' An image of the phosphor is infinitely reflected, and a depth feeling muc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actual frame member 1200 can be felt. Reference numeral 1102a denotes a virtual image of a light emitter realized through infinite reflection between the front panel 150 'and the rear mirror panel 160. [

한편, 상기 발광 수단(1100)은 미러반사부(1000)의 테두리 이외의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물의 하체의 외곽선을 따라 테두리 부재와 동일한 폭을 갖는 별도의 내측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내측 지지 부재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미러반사부(1000)의 테두리 측의 발광 수단과 함께 그 내측에도 인물의 하체의 외곽선을 따라 발광 수단이 설치되므로, 더욱 효과적으로 깊이감을 표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light emitting unit 110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edge of the mirror reflector 1000. For example, a separate inner support member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edge member may be provided along the outline of the lower body of the person and attached to the inner support member. In this case, since the light emitting means is provided along the outline of the lower body of the person on the inner side of the light emitting means on the edge side of the mirror reflector 1000, the depth feeling can be expressed more eff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 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computer readable media includ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 implemented operations.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thos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ROMs,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the same program instructions. The medium may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n optical or metal line, a wave guide, or the like,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designating a program command, a data structure, or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100: 리어 스크린부 220: 반사 수단
300: 깊이 카메라 400: 초음파 센서
510: 프로젝터 520: 음성 출력 수단
600: 영상 카메라
100: rear screen unit 220: reflection means
300: depth camera 400: ultrasonic sensor
510: projector 520: audio output means
600: Video camera

Claims (14)

실제 크기의 인물 영상의 일부 또는 전부가 프로젝션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제1 지지수단을 통해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리어 스크린부;
상기 리어 스크린부의 후방에 설치되며, 투사한 영상이 반사 수단을 거쳐 상기 리어 스크린부의 후면에 프로젝션 되도록 설치되는 프로젝터;
상기 리어 스크린부에 투사하는 영상과 동기된 음성 출력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음성 출력 수단;
상기 리어 스크린부의 전방 측 소정의 감지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 관련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센싱 수단; 및
상기 센싱 수단의 감지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감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젝터에서 투사하는 인물 영상에 대한 제어와 음성 출력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컴퓨팅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리어 스크린부의 전방 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깊이 카메라로서, 깊이 카메라의 감지 영역 내에 사용자의 존재 여부와 사용자의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며,
상기 컴퓨팅 수단은, 상기 깊이 카메라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존재 여부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젝터에서 투사하는 영상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컴퓨팅 수단은,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위치 영역 중 어느 위치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구분하여 인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위치 영역은, 상기 리어 스크린부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위치 거리에 따라 구분되며,
상기 복수의 위치 영역별로 대응하여 하나의 인물 촬영 영상을 프로젝터에서 줌인 또는 줌아웃 처리하여 투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A rear screen unit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part or the whole of the portrait image of an actual size is of a projectable size and is maintained in an upright state through the first supporting means;
A projector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rear screen unit and configured to project a projected image onto a rear surface of the rear screen unit through a reflecting unit;
Audio output means provided to enable audio output synchronized with an image projected on the rear screen portion;
Sensing means for sensing a user-related state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sensing region on the front side of the rear screen portion; And
And computing means for receiving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means and performing control on the image of the person to be projected by the projector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and control on the sound output,
Wherein the sensing means is at least one depth camera installed to face the front side of the rear screen portion and detects at least one of presence of a user and a position of a user in a sensing area of a depth camera,
Wherein the computing means is configured to perform control on an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based on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presence of a user sensed by the depth camera and position information of a user,
Wherein the computing means is configured to distinguish and recognize which position area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areas the user's position corresponds to,
The plurality of position area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position distance of the user around the rear screen part,
Wherein the projecting unit is configured to perform zooming in or zooming-out processing of one portrait photographing ima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areas and projecting the sa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수단은,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위치 영역 중 어느 위치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구분하여 인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위치 영역별로 프로젝터에서 투사할 영역별 매칭 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깊이 카메라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상기 복수의 위치 영역 중 어느 위치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해당 위치 영역에 대하여 저장된 영역별 매칭 영상을 프로젝터에서 투사하도록 더욱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uting means is configured to recognize which of a plurality of position regions the user's position corresponds to and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regions corresponds to, and stores a matching image for each region to be projected by the projecto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regions,
Wherein the depth camera is further configured to determine in real time which position area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areas the user's posi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pth camera corresponds to and project the matching image for each area stored in the position area on the projector. Interaction type image display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위치 영역은, 상기 리어 스크린부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위치 방향에 따라 구분되며,
상기 영역별 매칭 영상은 하나의 인물을 상기 위치 방향에 대응하는 촬영 방향에서 동시에 촬영한 복수의 영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lurality of position areas are divided according to a position direction of the user about the rear screen part,
Wherein the area-specific matching imag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images obtained by simultaneously photographing one person in the photographing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위치 영역은, 상기 리어 스크린부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위치 거리에 따라 구분되며,
상기 영역별 매칭 영상은 하나의 인물을 상기 위치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에서 동시에 촬영한 복수의 영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lurality of position area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position distance of the user around the rear screen part,
Wherein the area-by-area matching image comprises a plurality of images obtained by simultaneously photographing one person at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distan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스크린부의 전방 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카메라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컴퓨팅 수단은, 상기 영상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입력받으며, 상기 촬영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얼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젝터에서 투사하는 영상에 대한 제어를 더욱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video camera installed to face the front side of the rear screen unit,
Wherein the computing means is further configured to receive the captured image of the image camera and further control the image to b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based on the face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Display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수단은, 상기 촬영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얼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의 성별 또는 연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용자의 성별 또는 연령별로 프로젝터에서 투사할 성별 또는 연령별 매칭 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영상 카메라의 촬영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얼굴에 근거하여 판단되는 사용자의 성별 또는 연령 정보에 근거하여 성별 또는 연령별 매칭 영상을 프로젝터에서 투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mputing means is configured to be able to determine at least one of the sex or age of the user based on the face of the user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The computing means is configured to determine at least one of gender and age A matching image is stored,
And projecting the matching image for each sex or age on the projector based on the sex or age information of the user determined based on the face of the user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image camera.
실제 크기의 인물 영상의 일부 또는 전부가 프로젝션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제1 지지수단을 통해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리어 스크린부;
상기 리어 스크린부의 후방에 설치되며, 투사한 영상이 반사 수단을 거쳐 상기 리어 스크린부의 후면에 프로젝션 되도록 설치되는 프로젝터;
상기 리어 스크린부에 투사하는 영상과 동기된 음성 출력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음성 출력 수단;
상기 리어 스크린부의 전방 측 소정의 감지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 관련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센싱 수단; 및
상기 센싱 수단의 감지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감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젝터에서 투사하는 인물 영상에 대한 제어와 음성 출력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컴퓨팅 수단;을 포함하되,
소정 면적을 갖는 베이스부가 더욱 구비되며,
상기 리어 스크린부는 실제 인물 크기로 이뤄진 판상의 스크린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전면부 측에 제1 지지수단을 통해 직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리어 스크린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후면부 측에 제2 지지수단을 통해 설치된 상기 반사 수단을 향해 영상을 투사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센싱 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리어 스크린부의 전방 측 소정의 감지 영역을 향하도록 상기 리어 스크린부의 후면부 또는 측면부 위치에 제3 지지수단을 통해 설치되며,
상기 음성 출력 수단과 컴퓨팅 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A rear screen unit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part or the whole of the portrait image of an actual size is of a projectable size and is maintained in an upright state through the first supporting means;
A projector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rear screen unit and configured to project a projected image onto a rear surface of the rear screen unit through a reflecting unit;
Audio output means provided to enable audio output synchronized with an image projected on the rear screen portion;
Sensing means for sensing a user-related state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sensing region on the front side of the rear screen portion; And
And computing means for receiving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means and performing control on the image of the person to be projected by the projector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and control on the sound output,
Further comprising a bas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he rear screen unit is formed of a plate-shaped screen having a real person size and fixed to the upper front side of the base unit through the first supporting unit to maintain the upright state,
The projector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is installed to project an image toward the reflection means install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base portion through the second support means so as to face the rear screen portion,
The sensing means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is installed through the third supporting means at the rear portion or the side portion of the rear screen portion so as to face the predetermined sensing region on the front side of the rear screen portion,
Wherein the audio output means and the computing means are configured to be installed above the base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스크린부는 직립 상태의 실제 인물 크기가 포함되도록 형성되되,
인물 영상의 하체에 해당하는 영역은 인물 영상의 하체를 인쇄물 형태로 마련한 부착물을 리어 스크린부의 하부 측 표면에 부착하는 형태로 구현되며,
인물 영상의 상체에 해당하는 영역은 상기 프로젝터에서 투사하는 영상을 이용하여 구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rear screen portion is formed to include an actual portrait size in an upright state,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lower body of the portrait image is implemented in such a manner that an attachment provided in the form of a print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rear screen unit,
Where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body of the portrait image is configured to be implemented using an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스크린부는 직립 상태의 실제 인물 크기가 포함되도록 형성되되,
인물 영상의 하체에 해당하는 영역은 인물 영상의 하체를 인쇄물 형태로 마련한 부착물을 리어 스크린부의 하부 측 표면에 부착하는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부착물보다 더 큰 영역을 가지도록 확장된 미러반사부를 구비하여 상기 부착물의 배경 영역이 깊이감을 표현하도록 구성되며,
인물 영상의 상체에 해당하는 영역은 상기 프로젝터에서 투사하는 영상을 이용하여 구현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미러반사부는,
상기 부착물이 부착된 반투광성의 리어 스크린부 전면 패널과,
상기 전면 패널과 소정 간극을 두고 설치된 후면 미러 패널과,
상기 전면 패널과 후면 미러 패널 사이의 간극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여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랙션형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rear screen portion is formed to include an actual portrait size in an upright state,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lower body of the portrait image is formed by attaching the attachment of the lower body of the portrait image in the form of a printed material to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rear screen part and has the mirror reflection part extend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attachment Wherein the background area of the attachment is configured to express a sense of depth,
A region corresponding to an upper body of the portrait image is configured to be implemented using an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The mirror reflector includes:
A semi-transmissive rear screen part front panel to which the attachment is attached,
A rear mirror panel having a predetermined gap from the front panel,
And a light emitting unit installed to surround the gap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rear mirror panel.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127417A 2013-10-24 2013-10-24 User interaction-type video display system KR1015400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417A KR101540099B1 (en) 2013-10-24 2013-10-24 User interaction-type video displ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417A KR101540099B1 (en) 2013-10-24 2013-10-24 User interaction-type video displa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392A KR20150047392A (en) 2015-05-04
KR101540099B1 true KR101540099B1 (en) 2015-07-29

Family

ID=5338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417A KR101540099B1 (en) 2013-10-24 2013-10-24 User interaction-type video displa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09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4177A (en) * 2008-12-04 2010-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KR20110059498A (en) * 2009-11-27 2011-06-02 (주)디스트릭트홀딩스 Gesture interactive hologram display appatus and method
KR20120063211A (en) * 2010-12-07 2012-06-15 (주)리안씨앤에스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by using hologra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4177A (en) * 2008-12-04 2010-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KR20110059498A (en) * 2009-11-27 2011-06-02 (주)디스트릭트홀딩스 Gesture interactive hologram display appatus and method
KR20120063211A (en) * 2010-12-07 2012-06-15 (주)리안씨앤에스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by using hol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392A (en)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001B1 (en) Digital signage apparatus using smart window an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thereof
JP5621678B2 (en) Acoustic system
US20100020254A1 (en) Multi-panel virtual image display
KR102187848B1 (en) Method for displaying visual media using projector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ES2629697T3 (en) Gesture-controlled rear projection system
KR20150108571A (en)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of a mirror display for advertisement and shopping by recognizing the reflected images on the mirror and method thereof
US20120306817A1 (en) Floating virtual image touch sensing apparatus
TW201533475A (en) Projection system and projection method thereof
CN103309136A (en) Displaying device
KR20150108570A (en)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apparatus for a mirror display by recognizing the reflected images on the mirror and method thereof
WO2022138297A1 (en) Mid-air image display device
US20240036634A1 (en) Air floating video display apparatus
JP3196837U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127863B1 (en) Method for adjusting image on cylindrical screen device
KR20090071851A (en) Development of annotaion system based on spatial augmented reality
KR101540099B1 (en) User interaction-type video display system
KR20170100215A (en) Auto stereoscopic Display device with which transparent display is coupled
JP6149904B2 (en) Display device
JP2014032600A (en) Display input device
KR101671373B1 (en) Virtual Graffiti System And Interface Apparatus Thereof
US10928912B2 (en) Visual sense and tactile sense integrated presentation device
WO2023243181A1 (en) Aerial floating video information display system
WO2023112463A1 (en) Aerial image information display system
JP2006004330A (en) Video display system
KR101801062B1 (en) Pedestrian-based screen proje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creen projection syste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