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660B1 - Stereoscopic device - Google Patents

Stereoscop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660B1
KR101538660B1 KR1020140117514A KR20140117514A KR101538660B1 KR 101538660 B1 KR101538660 B1 KR 101538660B1 KR 1020140117514 A KR1020140117514 A KR 1020140117514A KR 20140117514 A KR20140117514 A KR 20140117514A KR 101538660 B1 KR101538660 B1 KR 101538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video
stereoscopic
stereoscopic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5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재성
김혜선
Original Assignee
황재성
김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성, 김혜선 filed Critical 황재성
Priority to KR1020140117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66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6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device which projects a stereoscopic image onto a background to increase reality to excite curiosity in a child and improve imaginative power to increase brain development and educational usage, and is easy to use and carry. More specifically, the stereoscopic device comprises: a body unit disposed on a lower portion thereof; a background member installed on an upper or a rear portion of the body unit; a pair of variable frame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unit; an imaging unit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variable frames; and a reflective unit to rotate on a lower portion of the imaging unit at an angle. By converting a two dimensional image into a stereoscopic image to project the stereoscopic image onto the background member, reading or business work can be carried out. A story can be created, stored, and played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using images.

Description

입체영상장치{Stereoscopic device}[0001] Stereoscopic device [0002]

본 발명은 영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경에 입체영상을 투영함으로써 실제감을 증대시켜 아동이나 어린이의 교육적인 호기심 유발과 상상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 및 휴대가 간편한 입체영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im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reoscopic image device that can enhance educational sense of curiosity and imagination of a child or a child by projecting a stereoscopic image in the background, and can easily use and carry.

일반적으로, 인터넷, 시디롬(CD-ROM) 등과 같은 디지털 매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가상 박물관, 디지털 백과사전 및 전자 카타로그의 이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the use of e-commerce, virtual museums, digital encyclopedias, and electronic catalogs using digital media such as the Internet and CD-ROMs is increasing.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가상 현실을 통한 물체를 접하게 될 때 좀 더 시각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사진과 같은 평면 이미지뿐 아니라 마치 눈앞에 실제 대상물이 있는 것과 같은 양안 입체시에 의한 충분한 입체감과 사용자가 대상물을 보는 방향이나 자세 등을 자유로이 선택 가능하게 하기 위해 3차원 이미지를 함께 제공할 필요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have a more visual effect when a user touches an object through a virtual reality, a sufficient stereoscopic effect by a binocular stereoscopic effect such as an actual object in front of the eye as well as a plane image such as a photograph,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image in order to freely select a direction and an attitude to view.

이와 같이, 교육 효과, 제품에 대한 실제적 정보 제공 등의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3D 콘텐츠의 이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 of 3D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to achieve various purposes such as educational effects and providing practical information on products.

일반적으로 입체 영상(또는 3D 영상)을 구현하는 기술에서는 상술한 생리적 요인으로서 인간의 두 눈 사이의 양안 시차(binocularparallax)를 이용하게 된다.Generally, in a technique of implementing a stereoscopic image (or a 3D image), binocular parallax between two eyes of a human being is used as a physiological factor described above.

즉, 인간의 두 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조명함으로써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로는 인간의 두 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조명하기 위하여 별도의 안경착용이 필요한지 여부에 따라 크게 안경식 입체영상 표시 장치와 비안경식 (나안방식) 입체영상 표시 장치로 구분된다.In other words, a stereoscopic image can be realized by illuminating different images on two eyes of a human. As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for realizing such stereoscopic images, there is a need to wear separate spectacles Depending on whether it is necessary or not, it can be divided into a spectacular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a non-anisotropic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이러한, 안경식 입체영상 표시 장치에는 인간의 양안에 각각 청색 및 적색의 색안경을 쓰는 방식인 애너그리프(anaglyph) 방식, 양안에 각각 서로 수직하는 편광각을 가지는 편광 안경을 쓰는 방식인 편광 방식 및 시분할 된 화면을 주기적으로 반복시키고, 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화면에 동기된 전자 셔터가 설치된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인 시분할 방식 등이 있으며, 비안경식 인체영상 표시 장치에는 원통형 렌즈 어레이를 수직으로 배열한 렌티큘러 (lenticular) 렌즈판을 영상패널 전방에 설치한 방식인 렌티큘러 방식과, 좌/우 두 눈에 해당하는 영상 앞에 세로 형태의 차단막(barrier)을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차단막을 통해 합성된 좌우 2개의 영상이 분리 관측되어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방식인 패럴랙스-배리어 (parallax-barrier) 방식 등이 있다.Such a spectacular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n anaglyph system in which blue and red sunglasses are respectively used for both human eyes, a polarizing system in which polarizing glasses having polarizing angle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re used, And a time-division system in which a screen is periodically repeated and glasses equipped with electronic shutters synchronized with the periodically repeated screen are worn. In the non-anisotropic human body image display apparatus, a cylindrical lens array is arranged in a lenticular ) A lenticular system in which a lens plate is installed in front of an image panel and a vertical barrier in front of an image corresponding to both left and right eyes allow two left and right images, And a parallax-barrier method, which is a method of making a three-dimensional sensation feel.

그리고, 편광 안경을 이용하는 방식은 입체 영상 관람을 위해 별도의 안경을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편광 안경을 착용한 관람자의 움직임에 따라 편광각이 달라짐으로써, 관람하는 입체 영상의 입체감이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ethod using polarizing glasses, it is not only inconvenient to wear separate spectacles for stereoscopic viewing, but also because the angle of polarization vari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spectators wearing polarizing glasses, Three-dimensional feeling can be changed.

일반적인 편광 안경 방식 입체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1인용 관람 장치와 같은 제한된 공간을 가지는 장치에서도 해상도의 저하 없이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에 대해 명확히 제시하고 있지 않다.The general polarizing glasses typ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does not clearly show a method of displaying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without degradation of resolution even in a device having a limited space such as a viewing device for a single person.

비안경 방식의 경우, 안경을 착용 및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상기 편광 안경 방식에 비해 시야각이 좁고, 입체 영상의 품질이 저하된다는 단점을 가진다.In the case of the non-eyeglass system, it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of wearing and managing the glasses, but has a disadvantage that the viewing angle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polarizing glasses system and the quality of the stereoscopic image is deteriorated.

이러한, 종래 기술로는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288559호에는 CD, DVD 또는 동영상파일 형식으로 제작된 입체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수단 및 인터레이스 방식외의 입체 영상 제작방식으로 제작된 입체 영상을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 1 변환수단을 구비한 영상재생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입체 영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입체 영상 신호가 상기 인터레이스 방식 외의 방식으로 제작된 경우 상기 입체 영상을 상기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 2 변환수단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제공부; 상기 입체 영상 제공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입체 영상 신호를 좌우측 신호로 분리시켜 출력하는 영상 분리부; 및 상기 영상 분리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입체 영상 신호를 입체 영상으로 투영하기 위한 2개의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상영장치를 차량에 탑재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288559 discloses a reproducing means for reproducing a stereoscopic image produced in the form of a CD, a DVD or a moving picture file, and a stereoscopic image produced by a stereoscopic image producing method other than the interlace method, And a first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the video signal into an interlaced video signal and outputting the video signal;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tereoscopic image signal through a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econd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the stereoscopic image into the interlace method and outputting the stereoscopic image when the stereoscopic image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is manufactured by a method other than the interlace method. An image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the stereoscopic image signal input from the stereoscopic image providing unit into left and right signals and outputting the stereoscopic image signal; And a stereoscopic image displaying apparatus including two projectors for projecting the stereoscopic image signal inputted from the image separating unit into a stereoscopic image.

그리고,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58028호에는 상영자는 이미지상에 서서 설명하면, 영상자료는 스테이지 위에 배열된다. 본 장치는 이미지나 필름을 스테이지의 플로어 상의 반사면에 투영하고, 상기 반사면의 후방에는 투명하고 평평한 호일이 45。 각도로 천정에서 플로어까지 걸쳐있고, 관객은 호일 뒤에 비춰지는 상기 영상자료에 의한 이미지의 허상을 보게 되며, 상영자는 호일 뒤에 비춰지는 이미지의 중앙에 위치하는 상영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e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58028, when a viewer stands on an image, the image data is arranged on the stage. The apparatus projects an image or film onto a reflecting surface on the floor of the stage, a transparent, flat foil at the back of the stage extends from the ceiling to the floor at an angle of 45 degrees, A virtual image of the image is displayed, and the player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image displayed behind the foil.

또한, 공보 등록번호 제10-926692호에는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 각각을 디스플레이하는 2개의 디스플레이 모듈, 이와 같은 2개의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각각 디스플레이 되는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 중 어느 하나는 투과시키고, 다른 어느 하나는 반사시키는 하프 미러, 및 이 하프 미러로 부터 투과 또는 반사된 좌측 영상을 사용자의 좌안으로, 우측 영상을 사용자의 우안으로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접안부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관람 장치가 알려져 있다.In addition, in Publication No. 10-926692, two display modules for displaying the left and right images, one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respectively displayed from the two display modules, And a eyepiece unit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a left image transmitted or reflected from the half mirror to the left eye of the user and a right image selectively transmitted to the user's right eye.

아울러, 공보 등록번호 제 10-847282호에는 디스플레이 픽셀 모듈은 측벽과, 모듈의 전면에 탑재된 픽셀 어레이와, 입력 및 출력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202-204)의 적어도 일부가 안쪽으로 테이퍼 처리되어 전면과의 사이에 각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디스플레이 픽셀 모듈에, 그 모듈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탑재면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탑재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In addition, in Publication No. 10-847282, a display pixel module includes a side wall, a pixel array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odule, and an input and output connector,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wall 202-204 is tapered inward And a mounting means for fixing the module on the mounting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is provided in the display pixel module.

더불어,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4-70224호에는 광을 방출하는 조명 소스, 시야 영역에 조명 소스를 결상하는 결상 시스템, 2차원 이미지로 조명 소스로부터의 광을 변조하는 공간 광 변조기 및 결상시스템에 관련된 "활성" 조명 소스의 상대적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으로 구성된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70224 discloses a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an imaging system for imaging an illumination source in a viewing area, a spatial light modulator for modulating light from an illumination source in a two- It will be appreciated that a stereoscopic display device is disclosed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ctive" illumination sources associated with the imaging system.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영상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으로 표현되도록 하는 단적인 기능만을 구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ique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it implements only a simple function of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using an image.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장치의 구성이 크게 제작되어 휴대성이 간편성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is largely made and the function of portability and simplicity is degraded.

아울러,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영상과 소리만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만을 구현하여 단조로운 스토리 전개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chnique as described above has a disadvantage in that only a stereoscopic image is implemented using only images and sounds, resulting in a monotonous story development.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팝업북과 같은 책을 입체 영상으로 독서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아동이나 어린이로 하여금 교육의 흥미도를 향상시키고, 독기 기능뿐만 아니라 기타 영상제작이나 편집 업무처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휴대성과 사용성이 편리한 입체영상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reading of a book such as a pop-up book as a stereoscopic image, thereby enhancing the interest of a child or a child in education, making it possible to utilize the book in addition to a reading function, A stereoscopic image device which is easy to use is desperately required.

1. 공개번호 특 제2001-0099225호 (공개일자 2001년11월09일)1. Publication No. 2001-0099225 (published on November 09, 2001) 2. 등록번호 제10-1008938호 (등록일자 2011년01월11일)2. Registration No. 10-1008938 (Registration date January 11, 2011) 3. 공개번호 제10-2013-0022345호 (공개일자 2013년03월06일)3. Publication No. 10-2013-0022345 (published on March 06, 201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2D영상을 입체영상으로 변화시켜 배경부재에 조사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교육적인 독서나 각종 업무를 진행할 수 있으며 스토리를 만들거나 저장 및 재생시킬 수 있는 입체영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reading / And to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device capable of being reproduced.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 형태로 접은 상태에서 직립 형태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어 휴대성이 증대되며 사용을 위한 설치 취급이 간편하도록 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be used in a folded state in an upright state in a case shape, thereby increasing portability and simplifying installation and handling for use.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인터넷이나 외부기기로부터 영상을 다운받아 재생시킬 수 있어 업데이트가 편리하도록 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download and reproduce images from the Internet or an external device using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thereby making the update convenient.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을 가변형태로 제작하여 영상부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정하며, 프레임과 영상부가 각각 회전됨으로써 사용에 따른 방향전환이 편리하도록 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ke the frame easily adjustable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image part by making the frame variable in shape, and rotating the frame and the image part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녹화장치를 이용하여 촬영 영상을 저장, 재생할 수 있으며 촬영과 동시에 영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ording apparatus that can store and reproduce a photographed image and display the same at the same time as a photographed imag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부 및 반사부에 보호필름을 부착하여 파손에 의한 비산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ttach a protective film to the image portion and the reflection portion to prevent scattering due to breakage.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배경부재를 이용하여 평면적 입체적인 배경, 입체영상배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lize a planar stereoscopic background and stereoscopic image background using various background members.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방식으로 조작됨으로써 조작이 편리하며 어플을 이용하여 영상 및 자료를 업로드, 다운로드, 편집이 편리하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easy to upload, download and edit images and data by using an application by being operated by a touch metho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D영상을 3D영상으로 표현하는 입체영상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위치되는 몸체부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측이나 후방측에 설치되는 배경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부의 상부 일측에서 회전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변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가변프레임의 사이에 회전되게 연결 설치되는 영상부를 형성하며, 상기 영상부의 하부에서 경사지게 회전되며 반투명경이나 하프미러로 이루어지는 반사부로 형성하여, 상기 영상부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반사부에 조사되면 수직으로 방향 전환 굴절되어 배경부재 쪽으로 반사하고, 상기 배경부재로부터의 이미지를 투과하여 직립상태의 허상으로 표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for displaying a 2D image as a 3D image, 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comprising: a body portion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a background member provided at an upper side or a rear side of the body portion; A pair of variable frames mounted on one side of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form an image portion rotatably connected between the variable frames, and an image portion rotatably incli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mage portion, And when the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portion is irradiated on the reflection portion, the image is refra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reflected to the background member, and the image is transmitted through the background member to be expressed as a virtual image in an upright state. To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devic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2D영상을 입체영상으로 변화시켜 배경부재에 조사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독서나 비지니스 관련 업무를 진행할 수 있으며 스토리를 만들거나 저장 및 재생시킬 수 있어 교육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2D image can be transformed into a stereoscopic image, and a background member can be inspected to perform a reading or business related work, and a story can be created, stored and reproduced, It is effective.

그리고, 케이스 형태로 접은 상태에서 직립 형태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어 휴대성이 증대되며 사용을 위한 설치 취급이 간편하도록 하여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use because it is easy to install and handle for use because it can be used in a folded state in a case form and spread in an upright form.

더불어, 다양한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인터넷이나 외부기기로부터 영상을 다운받아 재생시킬 수 있어 업데이트가 편리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ownload and reproduce images from the Internet or external devices using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thereby making the update convenient.

아울러, 프레임을 가변형태로 제작하여 영상부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정하며, 프레임과 영상부가 각각 회전됨으로써 사용에 따른 방향전환이 편리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rame is formed in a variable shap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image portion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frame and the image portion are respectively rotated, thereby making it easy to change the direction of use.

또한, 녹화장치를 이용하여 촬영 영상을 저장, 재생할 수 있으며 촬영과 동시에 영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ore and reproduce a photographed image by using a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to display an image simultaneously with the photographing.

그리고, 영상부 및 반사부에 보호필름을 부착하여 파손에 의한 비산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protective film is adhered to the image portion and the reflection portion to prevent scattering due to breakage.

더불어, 다양한 배경부재를 이용하여 평면적 입체적인 배경, 입체영상배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planar stereoscopic background and stereoscopic image background using various background members.

아울러, 터치방식으로 조작됨으로써 조작이 편리하며 어플을 이용하여 영상 및 자료를 업로드, 다운로드, 편집이 편리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operate by operating in a touch manner, and there is an effect that uploading, downloading, and editing of images and data are convenient using an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장치의 직립설치함의 작동을 나타낸 후방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장치를 나타낸 작동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장치를 나타낸 작동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 7은 바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로 도면 a는 팝업북, 도면 b는 팝업카드, 도면 c는 테블릿PC, 도면 d는 입체판,
도 8a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에 연결된 가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8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방식의 가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8c는 도 8b의 가변프레임에 의한 영상부의 작동 상태도,
도 9는 도 4의 A부분으로 도면 a는 가변프레임과 제1스톱퍼의 분해사시도, 도면 b는 제1스톱퍼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4의 A부분으로 제1스톱퍼의 작동으로 가변프레임의 비 작동 상태에서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11에서 도면 a는 가변프레임과 제2스톱퍼, 위치고정판의 연결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면 b는 제2스톱퍼의 분해사시도,
도 12에서 도면 a는 영상부가 가변프레임의 제2스톱퍼와 위치고정판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상태도, 도면 b는 영상부가 가변프레임에서 회전될 때 제2스톱퍼와 위치고정판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
도 13은 영상부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반사부의 사시도,
도 15는 영상부에서 반사판이 작동되는 확대 부분단면도,
도 16은 영상부의 영상장치 일 예의 영상이 나타나는 예시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장치에 팝업북을 몸체부에 안치시켜 도 16의 영상이 입체 영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사용상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장치에 팝업북을 직립시켜 도 16의 영상이 입체 영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사용상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장치를 입체영상을 구현하지 않고 일반적 업무로 활용하는 활용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operation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an upright installation box of a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pera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al side view showing a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e member. Fig. 7 is a pop-up book, Fig. 7 is a pop-up card, Fig. 7 is a tablet PC,
8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frame connected to a body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ctuator type variable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8C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image portion by the variable frame of Fig. 8B,
Fig. 9 is a sectional view of Fig. 4, Fig. 6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frame and the first stopper, Fig.
Fig. 10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state in a non-operation state of the variable frame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stopper at A portion in Fig. 4,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variable frame and the second stopper and the position fixing plate,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stopper,
12 is a view showing the state where the image is fixed by the second stopper and the position fixing plate of the variable frame, Fig. B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topper and the position fixing plate when the image is rotated in the variable fram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the image por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flection portion,
15 is an enlarged partial sectional view in which a reflector is operated in the image portion,
1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mage of an example of a video apparatus of a video unit,
FIGS. 17 and 18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respectively, of a stereoscopic im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op-up book is placed on a body of the stereoscopic image device,
FIG. 19 and FIG. 20 are perspective views and side views of a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op-up book is erected to realize a stereoscopic image of FIG. 16,
21 and 22 illustrate an application of 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general task without implementing a stereoscopic image.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체영상장치는 2D영상을 3D영상으로 표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몸체부(10)와 회전되게 설치되는 가변프레임(30)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10)에 눕혀지거나 직립 설치되는 배경부재(20), 상기 가변프레임(30)에서 회전되게 설치되는 영상부(40), 상기 영상부(40)의 영상을 반사시켜 입체 영상으로 표현하기 위한 반사부(50)로 구성하는 입체영상장치(100)를 구성한다.As shown in FIGS. 1 to 20, 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displaying a 2D image as a 3D image. 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includes a body 10 and a rotatable variable frame 30, A background member 20 lying on the body 10 or erected upright, an image unit 40 installed to be rotated on the variable frame 30, a display unit 40 for reflecting the image of the image unit 40, And a reflecting portion 50 for reflecting the light.

우선,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는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사각형태로 형성되며 상부면에 배경부재(20)가 설치되는 바닥설치홈(11)이 구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S. 1 to 6, the body 10 is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a floor installation groove 11 in which a background member 20 is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is formed .

이때, 상기 바닥설치홈(11)은 배경부재(20)가 눕혀져 설치될 수 있도록 사각홈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경부재(20)를 보관하거나 보관한 상태로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installation groove 11 is formed as a square groove so that the background member 20 can be laid down, and the background member 20 can be carried or carried while being stored or stored.

그리고, 상기 몸체부(10)는 상부 후방측에는 배경부재(20)가 꽂아지도록 직립설치함(12)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삽입되게 구성한다.The body part 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right installation compartment 12 is drawn / inserted in a sliding manner so that the background member 20 is inserted in the upper rear side.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직립설치함(12)의 후방면에는 눕혀진 상태에서 회전작동으로 직립되어 배경부재(20)를 지지하는 지지대(12a)를 한 쌍으로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pair of support rods 12a supporting the background member 20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pright installation box 12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12 is laid up in a rotating operation.

즉, 상기 직립설치함(12)의 후방면에는 인출홈(12a) 형성되어 손가락을 삽입하여 인출시킬 수 있으며 지지대(12a)는 후방면 양 끝단에 설치되는 회동축(12c)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후방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직립되어 배경부재(20)를 지지하도록 구성한다.That is, the upright installation box 12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12a formed on the rear surface thereof to allow a user to insert his or her fingers into the support platform 12a. The support base 12a is installed to be rotated by a rotation shaft 12c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rear surface And is configured to stand upright and support the background member 20 when it is rotated in a state where it is positioned on the rear face in a state of facing each other.

아울러, 상기 몸체부(10)는 케이스(13)의 외부 일측에 DC전원부(13a), 케이스(13)의 내부에는 무선송수신부(13b), 베터리(13c), 구동제어부(13d), 저장부(13e)를 내장 설치하고, 케이스(13)의 외부 타측면에는 유선송수신부(13f), 외부기기연결잭(13g), 이동식저장슬롯(13h), 스피커(13i)를 형성하며, 케이스(13)의 다른 일측면에는 조작부(14)를 형성하여 영상부(40)와 배경부재(20)와 연동되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the body 10 includes a DC power source 13a on one side of the case 13, a wireless transceiver 13b, a battery 13c, a drive controller 13d, A portable storage slot 13h and a speaker 13i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3 at the outer side of the case 13 and the case 13 is provided with a wired transmitter / receiver 13f,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jack 13g, The operation unit 14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cklight unit 20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image unit 40 and the background member 20.

여기서, 상기 DC전원부(13a)는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회사에서 사용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전용 전원선을 이용하여 베터리(13c)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무선송수신부(13b)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인터넷이나 외부기기와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고, 구동제어부(13d)는 회로적인 것으로 연산제어를 위한 구성이며, 저장부(13e)는 각종 영상데이터 및 자료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고, 유선송수신부(13f)는 랜선을 이용하여 컴퓨터에 연결하여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며, 외부기기연결잭(13g)은 컴퓨터, 스마트폰, 테블릿PC 와 같은 외부기기와 연동할 수 있도록 전용선이 연결되는 구성이고, 이동식저장슬롯(13h)은 SD카드나 USB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구성이다.Here, the DC power supply 13a is configured to charge the battery 13c using a power supply line commonly used by a home or a company, and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3b uses a wireless communication The storage unit 13e is configured to store various types of image data and data. The storage unit 13e is configured to store various image data and data, and the wired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3d is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Internet or an external device. The drive control unit 13d is a circuit-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jack 13g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dedicated lin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such as a computer, a smart phone, and a tablet PC so that the external device can be connected to a computer And the removable storage slot 13h is a configuration capable of connecting an SD card or a USB device.

이때, 상기 베터리(13c)는 건전지, 충전지 중 하나 또는 두 개를 조합하여 사용 여건이나 제조 여건에 따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battery 13c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one or two of a battery and a rechargeable battery depending on conditions of use and manufacturing conditions.

그리고, 상기 몸체부(10)나 몸체부(10)와 연동되는 영상부(40) 중 외부로 노출되는 각각의 일측면에는 솔라셀(15)을 구성하여, 상기 솔라셀(15)에 의해 충전지가 충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A solar cell 15 is formed on each side of the image portion 40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0 or the body portion 10, Can be configured to be charged.

아울러, 상기 몸체부(10)의 외부면과 코일형태의 연결줄(16a)로 연결하는 스타일러스(16)를 형성하여 배경부재(20)나 영상부(40)를 터치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상기 연결줄(16a)은 코일형태로 형성되어 잡아당길 경우 길이가 신장된 후 잡아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코일형태의 복원력에 의해 수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stylus 16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by a coil-shaped connecting line 16a so that the background member 20 or the image unit 40 can be touched. The connection line 16a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il so that when it is pulled out, its length is elongated, and when the pulling force is removed, the connection line 16a is contrac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il shape.

더불어, 상기 몸체부(10)의 케이스(13) 일측에는 손잡이(13j)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의 케이스(13) 전방 양 코너(13k)에는 멜빵이 걸림되는 걸이홀(13l)을 구성하여 휴대시 손잡이(13j)를 이용하거나 장거리 이동시 멜빵을 이용하여 휴대할 수 있어 이동성을 향상시킨 구성이다.A handle 13j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13 of the body 10 and a hook hole 13l is formed on both front corners 13k of the case 13 of the body 10. [ So that it can be carried with the use of the handle 13j when carrying or with a suspenders when moving over a long distance, thereby improving mobility.

그리고, 상기 조작부(14)는 전원제어기능, 저장기능, 삭제기능, 편집기능, 화면조절기능, 볼륨조절기능, 단축키조작 기능, 녹화기능, 재생기능을 수행 및 제어하도록 구성한다.The operation unit 14 is configured to perform and control a power control function, a storage function, a deletion function, an editing function, a screen control function, a volume control function, a shortcut key operation function, a recording function, and a playback function.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기능은 몸체부(10) 및 영상부(40)에 전원을 인가/차단하기 위한 전원버튼(14a)이 형성된 구성이며, 상기 저장기능은 각종 영상이나 자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버튼(14b)이 형성된 구성이고, 삭제기능은 저장된 영상이나 자료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버튼(14c)이 형성된 구성이며, 편집기능은 저장된 영상이나 자료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버튼(14d)이 형성된 구성이고, 화면조절기능은 영상부(40)의 화면의 명암이나 선명도, 채도, 위치조정 등을 위한 화면조절버튼(14e)이 형성된 구성이며, 볼륨조절기능은 스피커(13i)를 통해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버튼(14f)이 형성된 구성이고, 상기 단축키조작 기능은 많이 이용하는 영상이나 자료에 단축번호 예를 들어 '0~100' 번까지를 설정하여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단축버튼(14g)이 형성된 구성이며, 녹화기능은 영상부(40)에 형성된 영상이나 자료를 재생 및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녹화버튼(14h)이 형성된 구성이고, 재생기능은 영상을 재생시키기 위해 형성된 재생버튼(14i)이 형성된 구성으로 구동제어부(13d)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이다.The power control function includes a power button 14a for turning on / off power to the body 10 and the video unit 40. The storage function includes a storage button for storing various images and data, And a delete button 14c for deleting stored images or data is formed. The edit function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n edit button 14d for editing a stored image or data is formed, The screen adjustment function includes a screen adjustment button 14e for adjusting the contrast, sharpness, saturation, and position of the screen of the video unit 40. The volume adjustment function includes a volume for adjusting the volume through the speaker 13i Button 14f is formed, and the shortcut key operation function includes a shortcut key 14g for setting a shortcut number, for example, '0 to 100' to a frequently used image or material, And a recording button 14h for reproducing and browsing images or data formed on the video unit 40. The playback function includ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ayback button 14i formed for playing back an image is formed And is controlled by the drive control section 13d.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상부측이나 후방측에 설치되는 배경부재(20)를 형성한다.7, the background member 2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body 10.

이러한, 상기 배경부재(20)는 팝업북(21), 팝업카드(22), 테블릿PC(23), 보는 방향에 따라 입체적으로 나타나는 입체판(24) 중 하나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책이나 카드, 영상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background member 20 may be configured as one of a pop-up book 21, a pop-up card 22, a tablet PC 23, and a stereoscopic plate 24 that appears three-dimensionally according to a viewing direction. Card, and video device.

여기서, 상기 팝업북(21)이나 팝업카드(22)는 펼쳤을 때 영상부(40)의 영상 내용에 맞는 팝업배경(B)이 입체적으로 펼쳐지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책의 내용에 맞도록 나무나 동물, 공룡, 집, 각종 형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pop-up background 21 and the pop-up card 22 constitute a pop-up background B that is adapted to the video content of the video unit 40 when it is expanded. The pop- Dinosaurs, houses, and various forms.

아울러, 상기 테블릿PC(23)는 영상 배경을 제공하는 구성이며, 테블릿PC(23)를 통해 만들어지는 자체 제작 스토리는 연결선이나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몸체부(10)의 저장부(13e)로 전송, 저장된 후 영상부(40)를 통해 재생하거나 영상부(40)로 실시간으로 전달되어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ablet PC 23 provides a background image. A self-built story created through the tablet PC 23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e of the body part 10 using a connection line or Bluetooth And then reproduced through the video unit 40 or transmitted to the video unit 40 in real time so as to be reproduced.

한편,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상부 일측에서 회전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변프레임(30)을 형성하는데, 상기 가변프레임(30)은 몸체부(10)를 기준으로 하여 0~180°로 회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8A to 8C, a pair of variable frames 30 ar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0 so as to be rotatable. The variable frame 30 includes a body 10, As shown in FIG.

이러한, 상기 가변프레임(30)은 몸체부(10)의 힌지(17)와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고정프레임(31)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삽입하는 가동프레임(32)을 형성하는 것으로, 무게를 경량화하기 위하여 강화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variable frame 30 has a movable frame 32 which is slidably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fixed frame 31 connected to rotate with the hinge 17 of the body 10, It may be made of reinforced plastic or aluminum material for light weight.

아울러, 상기 가동프레임(32)의 내측면에는 연결돌기(32a)가 형성되어 영상부(40)가 회전하게 연결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가동프레임(32)과 영상부(40)는 관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연결돌기(32a)를 영상부(40)에서 이탈시켜 해체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connection protrusion 32a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ovable frame 32 so that the video unit 40 is rotated and connected to the movable frame 32. The movable frame 32 and the video unit 40 have a management aspect So that the connection protrusion 32a can be detached from the video unit 40 and can be disassembled and separated.

여기서, 상기 가동프레임(32)과 연결돌기(32a)는 내부가 중공되어 몸체부(10)에서 전원 및 제어를 위해 전원 연결선이 통과된 후 영상부(40)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The movable frame 32 and the connection protrusion 32a are connected to the video unit 40 after the power supply connection line is passed through the body 10 for power and control.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가변프레임(30)은 몸체부(10)의 힌지(17)와 회전되게 설치하는 실린더(36)에서 인출/삽입 작동하며 영상부(40)가 회전되게 설치되는 실린더로드(37)로 에어(Air) 숏업쇼바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variable frame 30 is connected to a cylinder rod (not shown) that is installed to rotate the image unit 40 by being pulled out / inserted from a cylinder 36 installed to rotate with the hinge 17 of the body 10 37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an air short shot type.

즉, 상기 실린더로드(37)의 일 끝단 내측면에는 연결돌기(32a)가 형성되어 영상부(40)가 회전하게 연결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가동프레임(32)과 영상부(40)는 관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연결돌기(32a)를 영상부(40)에서 이탈시켜 해체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movable frame 32 and the video unit 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management side surface 32a of the cylinder rod 37. In other words, a connection protrusion 32a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cylinder rod 37, The connection protrusion 32a may be detached from the video unit 40 and disassembled and separated.

이러한, 상기 가변프레임(30)은 영상부(40)를 상부로 잡아당길 경우 실린더(36)가 힌지(17)에서 회전되는 동시에 실린더로드(37)가 실린더(36)에서 인출 동작하여 영상부(40)가 상승하도록 구성된다.When the image portion 40 is pulled upward, the cylinder 36 is rotated by the hinge 17 and the cylinder rod 37 is drawn out from the cylinder 36 to move the image portion 40 are raised.

이때, 상기 가변프레임(30)의 작동은 영상부(40)와 몸체부(10)가 수평을 이루며 알맞은 위치가 되도록 임으로 조절할 수 있고 실린더(36)와 힌지(17)의 회전 및 실린더로드(37)의 인출 삽입 작동은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 회전하거나 인출 삽입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frame 30 can be arbitrarily adjusted so that the image portion 40 and the body portion 10 are in a horizontal position and the rotation of the cylinder 36 and the hinge 17 and the rotation of the cylinder rod 37 May be rotated or pulled ou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31)에는 일단을 가압시 가동프레임(32)과 결합이 해제되며 가압 해제시 복귀하면서 결합되는 제1스톱퍼(33)가 일측면에 형성한다.9 and 10, a first stopper 33, which is engaged with the movable frame 32 when the one end is pressed and released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is coupled to the fixed frame 31, .

이러한, 상기 가동프레임(32)에는 제1스톱퍼(33)의 위치돌기(33a)가 삽입되는 위치홀(32b)이 길이를 따라 다수 개로 구성하며, 가동프레임(32)의 위치돌기(33a)가 형성되는 면은 제1스톱퍼(33)의 고정프레임(31)과 결합을 위하여 내측으로 함몰되어 구성된다.The movable frame 32 includes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32b through which the positioning protrusions 33a of the first stopper 33 are inserted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s 33a of the movable frame 32 And the surface to be formed is recessed inward to engage with the stationary frame 31 of the first stopper 33.

여기서, 상기 제1스톱퍼(33)는 고정프레임(31)의 끼움홀(31a)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몸체(33f)의 후방으로 개방된 끼움홈(33g)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33g)에 삽입되는 끼움돌기(33b)가 중앙에서 가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가동프레임(32)을 향하는 내측면 일 끝단에 위치돌기(33a)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위치돌기(33a)가 형성된 반대편 끝단에는 제1탄성부재(33c)가 설치되는 설치돌기(33d)가 형성되는 제1몸체(33e)를 형성한다.The first stopper 33 is formed with a fitting groove 33g which is opened to the rear of the fitting body 33f fitted to the fitting hole 31a of the fixed frame 31. The fitting groove 33g, A protrusion 33a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ovable frame 32 toward the movable frame 32 and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protrusion 33a, A first body 33e having a mounting protrusion 33d on which the first elastic member 33c is mounted is formed.

즉, 상기 제1스톱퍼(33)는 제1탄성부재(33c)가 설치된 제1몸체(33e)의 끝단을 가압하면 끼움홈(33g)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위치돌기(33a)가 가동프레임(32)의 위치홀(32b)에서 이탈되고, 가압을 해제하면 제1탄성부재(33c)의 탄성력으로 원위치하며 가동프레임(32)의 위치홀(32b)에 삽입되어 가변 위치를 고정하도록 시소운동방식으로 작동하게 구성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irst stopper 33 presses the end of the first body 33e provided with the first elastic member 33c, the position projection 33a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ovable frame 32 And is released from the position hole 32b of the movable frame 32.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the movable member 32 is retrac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33c and inserted into the position hole 32b of the movable frame 32 to fix the variable position. To operate.

더불어, 상기 고정프레임(31)에는 배경부재(20)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수단(34a)과 슬라이드방식으로 작동하는 조도조절부(34b)로 이루어지는 조명부(34)를 구성하는데, 소비전력량을 고려하여 발열이 적고 수명이 긴 LED발광체를 이용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the fixing frame 31 is provided with an illuminating unit 34 including an illuminating unit 34a for illuminating the background member 20 and an illuminance adjusting unit 34b operating in a sliding manner. It is preferable to use an LED light source having a low heat generation and a long life.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프레임(32)의 연결돌기(32a)가 형성된 부분에는 영상부(40)의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제2스톱퍼(35)를 구성한다.11 and 12, a second stopper 35 for fixing the rotated state of the imaging unit 40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protrusion 32a of the movable frame 32 is formed .

이때, 상기 제2스톱퍼(35)는 가동프레임(32)에 형성된 설치홀(35a)에 끼워지는 제2몸체(35b)의 내부로 제2탄성부재(35c)가 삽입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35c)에 결합되는 접촉구(35d)가 일부분 노출되며 이탈 방지를 위한 제2스톱퍼커버(35e)를 제2몸체(35b)에 결합 구성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stopper 35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35b fit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35a formed in the movable frame 32,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35c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35b, And the second stopper cover 35e for preventing the detachment is coupled to the second body 35b.

즉, 상기 제2스톱퍼(35)는 영상부(40)가 회전할 때 제2탄성부재(35c)의 탄성력에 의해 접촉구(35d)가 제2스톱퍼커버(35e)의 커버홀(35e')을 통해 노출되며 영상부(40)의 측면을 가압하며 접촉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That is, when the image portion 40 rotates, the second stopper 35 urges the contact hole 35d in the cover hole 35e 'of the second stopper cover 35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35c, And presses the side surface of the image portion 40 so as to be in contact.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프레임(30)의 사이에 회전되게 연결 설치되는 영상부(40)를 형성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영상부(40)는 가변프레임(30)에서 몸체부(10)를 기준으로 후방측으로 360°까지 회전하도록 구성된다.12 and 13, the video unit 4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variable frame 3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unit 40 includes the variable frame 30, To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10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이러한, 상기 영상부(40)는 영상을 조사는 영상장치(41)가 영상커버(4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영상커버(42)의 양 측면에는 연결홀(42c)을 형성하여 가변프레임(30)의 연결돌기(32a)가 삽입 연결된 상태로 회전시 위치고정을 위한 고정홀(43a)이 다수개로 형성되고 연결홀(42c)과 연통하는 관통홀(43b)이 중앙에 형성된 된 위치고정판(43)을 설치 구성한다.The imaging unit 40 is installed inside the image cover 42 and the connection hole 42c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mage cover 42 to form a variable frame And a through hole 43b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hole 42c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xing hole 43a for fixing the position when the connection protrusion 32a of the fixing plate 30 is inserted and fixed. (43).

이때, 상기 위치고정판(43)은 가변프레임(30)의 제2스톱퍼(35)의 접촉구(35d)가 항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영상부(40)가 회전할 때 고정홀(43a)에 위치하면 제2탄성부재(35c)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져 고정홀(43a)에 삽입되어 영상부(40)의 회전을 억제할 수 하며, 영상부(40)를 강제로 회전시킬 경우 접촉구(35d)가 고정홀(43a)에서 이탈하면서 제2탄성부재(35c)를 가압한 후 고정홀(43a)에 위치되면 삽입되는 반복하는 구성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position fixing plate 43 keeps the contact hole 35d of the second stopper 35 of the variable frame 30 constantly in contact with the fixing hole 43a when the image portion 40 rotates, The rotation of the image portion 40 can be suppressed by being push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35c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43a. When the image portion 40 is forcibly rotated, The second elastic member 35c is inser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43a after the second elastic member 35d is released from the fixing hole 43a.

이러한, 상기 영상부(40)의 영상장치(41)는 영상과 한국어나 외국어 자막이 나타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영상부(40)에는 다국어를 지원하는 기능이 내장되어 해당국가의 자막을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video unit 41 of the video unit 40 can be configured to display an image and Korean or foreign language subtitles. The video unit 40 has a built-in function for supporting multiple languages,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영상부(40)의 영상장치(41)에는 몸체부(10)의 조작부(14)의 기능을 수행하는 아이콘이 나타나도록 구성하여, 몸체부(10)의 조작부(14)를 이용하지 않고 화면의 아이콘을 이용하여 전원제어기능, 저장기능, 삭제기능, 편집기능, 화면조절기능, 볼륨조절기능, 단축키조작 기능, 녹화기능, 재생기능을 수행 및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n icon for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operation unit 14 of the body 10 is displayed on the image device 41 of the image unit 40 so that the operation unit 14 of the body 10 is not used A power control function, a storage function, a deletion function, an editing function, a screen control function, a volume control function, a shortcut key operation function, a recording function, and a playback function using the icon of the screen.

아울러, 상기 영상부(40)는 영상커버(42)의 전면 끝단에는 카메라(44a)와 마이크(44b)로 이루어지는 녹화장치(44)를 형성하여, 카메라(44a)와 마이크(44b)를 통해 촬영된 영상과 소리는 몸체부(10)의 저장부(13e)에 저장된 후 영상장치(41)에서 선택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video unit 40 includes a video recording unit 44 including a camera 44a and a microphone 44b at the front end of the video cover 42 and is connected to a camera 44a and a microphone 44b, The image and sound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e of the body part 10 and then selected and reproduced by the image device 41. [

이러한, 상기 녹화장치(44)를 구성한 것은 사용자가 특색있는 영상을 만들어 직접 입체영상으로 재생시켜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recording device 44 is configured such that a user can create a characteristic image and reproduce the image directly as a stereoscopic image and use the image in various forms.

더불어, 상기 영상부(40)는 녹화장치(44)의 카메라(44a)와 마이크(44b)를 통해 촬영된 영상과 소리는 영상장치(41)를 통해 실시간으로 나타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실시간으로 촬영을 하면서 영상부(40)를 통해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동시 불필요한 저장과정을 거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In addition, the video unit 4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images and sounds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44a and the microphone 44b of the video recording apparatus 44 are displayed in real time through the video apparatus 41, So that they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image unit 40 while shooting at the same time.

또한, 상기 영상부(40)는 녹화장치(44)의 카메라(44a)와 마이크(44b)를 통해 촬영된 영상과 소리는 영상장치(41)를 통해 실시간으로 나타나는 동시에 몸체부(10)의 저장부(13e)에 실시간으로 저장되도록 구성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즐기면서 저장부(13e)에 저장하여 선택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In addition, the video unit 40 displays images and sounds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44a and the microphone 44b of the video recording apparatus 44 through the video apparatus 41 in real time, And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e in real time so that the user can enjoy the image in real time while storing the image in the storage unit 13e.

아울러, 상기 영상부(40)의 영상장치(41)는 몸체부(10)의 저장부(13e)에 저장된 영상이나 소리가 포함된 영상을 조작부(14)의 작동을 이용하지 않고 터치조작 방식으로 저장 목록을 선택,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video apparatus 41 of the video unit 4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touch operation on the video including the video or sou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e of the body unit 10 without us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4. [ The storage list can be selected and reproduced.

이때, 상기 영상부(40)의 영상장치(41)는 터치패널로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터치패널은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광학 방식, 초음파 방식, 음향파 방식, 적외선 방식, 전자기 유도 방식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video device 41 of the video unit 40 is constituted by a touch panel, and the touch panel may be a resistive type, a capacitive type, an optical type, an ultrasonic type, an acoustic wave type, an infrared type, As shown in FIG.

즉, 상기 영상부(40)의 영상장치(41)를 터치패널로 구성하여 몸체부(10)의 조작부(14)를 별도로 이용하지 않더라도 영상장치(41)를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는 편리성을 증대시킨 구성이다.That is, the video device 41 of the video unit 4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panel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video device 41 without using the operation unit 14 of the body 10 separately .

이때, 상기 영상장치(41)의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은 표면에 손가락을 접촉해 앞으로 전극 간의 저항값이 변하는 원리를 이용한 방식이며, 정전용량 방식은 터치패널에 손가락 등이 접촉 시 발생하는 정전용량 변화를 이용한 방식이고, 초음파 방식은 유리 표면을 전파가 터치패널을 만진 손가락에 흡수되는 것을 이용해 터치된 위치를 검색하는 것으로 전기나 과학적인 가공을 사용하지 않고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의 유리를 그대로 터치스크린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방식이며, 적외선 방식은 터치패널 주위에 부착된 발광 소자와 감광 소자를 이용해 표면에 따라 움직이는 빛의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이고, 전자기 유도 방식은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용 스타일러스를 이용해 전자파가 터치패널에 부착된 센서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사용상에 알맞은 패널방식을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resistance film type touch panel of the image device 41 uses the principle that the resistance value between the electrodes is changed by touching the finger on the surface, and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type is a method in which the touch panel, The ultrasonic method searches for the touched position by using the absorption of the radio waves on the finger touching the touch panel, so that the glass on the front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an be directly touched without using electricity or scientific processing The infrared method is a method of detecting the change of light moving along the surface by using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ight sensitive element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a touch panel. In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a dedicated stylus , The electromagnetic wave senses the sensor attached to the touch panel, To be configured to apply the panel type suitable for the use thereof.

아울러, 상기 영상부(40)는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인터넷을 이용하여 몸체부(10)의 저장부(13e)에 저장된 영상을 다른 영상장치나 컴퓨터, 스마트폰, 테블릿PC로 영상을 전송하거나 다운로드하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the video unit 40 may transmit video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e of the body unit 10 to another video apparatus, a computer,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using Wi-Fi, Bluetooth, or the Internet .

또한, 상기 영상부(40)는 녹화장치(44)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영상이나 소리가 포함된 영상을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인터넷을 이용하여 다른 영상장치나 컴퓨터, 스마트폰, 테블릿PC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the video unit 40 can transmit a video including a video or a sound to be shot using the video recording device 44 to another video device, a computer, a smartphone, or a tablet PC in real time using Wi-Fi, Bluetooth, or the Internet .

아울러, 상기 영상부(40)의 영상장치(41)는 몸체부(10)의 외부기기연결잭(13g)에 다른 영상장치나 컴퓨터, 스마트폰, 테블릿PC 중 하나의 외부기기와 연결하여 연결된 외부기기의 화면을 실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video device 41 of the video unit 40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jack 13g of the body unit 10 through another video device or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omputer, It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screen of the device in real time.

즉, 상기 영상부(40)를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인터넷을 이용하여 웹상에서 자료를 다운받거나 외부기기와 연동하도록 구성한 것은 사용 환경에 따라 필요한 방식을 이용하여 장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업데이트나 호환성이 증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In other words, if the video unit 40 is configured to download data on the web using Wi-Fi, Bluetooth, or the Internet or to link with an external device, the update or compatibility can be increased .

이러한, 상기 영상부(40)의 영상장치(41)에는 패널을 보호하기 위해 터치작동에 영향이 없는 보호필름(45)을 접착 구성하여, 충격에 의한 충격 흡수 및 파손이 발생되더라도 패널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In order to protect the panel, the protective film 45, which has no influence on the touch operation, is adhered to the display device 41 of the video unit 40, so that even if shock absorption or breakage occurs due to impact, .

아울러, 상기 영상부(40)의 영상장치(41)는 몸체부(10)의 유/무선송수신부(13f)(13b)를 통한 인터넷을 이용하여 영상의 편집이나, 음향 편집, 저장기능을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구동제어부(13d)의 구동에 의해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video apparatus 41 of the video unit 40 performs editing, sound editing, and storage of images using the Internet through the U / W transceivers 13f and 13b of the body unit 10. [ The application can be downloaded and executed by driving the drive control unit 13d.

또한, 상기 영상부(40)의 영상커버(42) 전면에는 촬영 화각이 서로 달라 촬영시 입체 영상을 만드는 제1,2입체카메라(42d)(42e)를 구성하여, 상기 제1,2입체카메라(42d)(42e)를 이용하여 사물이나 인물을 촬영하면 영상장치(41)에 입체 영상이 나타나며 반사부(50)를 통해 바탕부재(20)에 선명한 입체 영상을 구현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first and second stereoscopic cameras 42d and 42e form a stereoscopic image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because the angle of view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image cover 42 of the video unit 40, A stereoscopic image is displayed on the imaging device 41 and a clear stereoscopic image is displayed on the base member 20 through the reflection unit 50 when the object or the person is photographed using the images 42d and 42e.

한편, 도 14 및 도 15에 상기 영상부(40)의 하부에서 경사지게 회전되며 반투명경이나 하프미러로 이루어지는 반사부(50)를 구성한다.On the other hand, in FIGS. 14 and 15, a reflection portion 50 composed of a translucent mirror or a half mirror is formed by rotating at a lower portion of the image portion 40 in an inclined manner.

이러한, 상기 반사부(50)는 영상부(40)가 가변프레임(30)에서 회전되는 전방으로 45°로 경사지도록 펼쳐지게 구성하여, 영상부(40)에서 나타나는 영상이 반사부(50)를 통해 배경부재(20)에 입체 영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The reflection unit 5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image unit 40 is inclined at an angle of 45 ° forward of the rotation of the variable frame 30 so that the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unit 40 is reflected by the reflection unit 50 Dimensional image on the background member 20.

아울러, 상기 반사부(50)는 반사유리(51)의 사방을 보호틀(52)로 감싸며 형성되고, 상기 보호틀(52)에는 영상부(40)의 영상커버(42)에 형성되는 회전축(42a)에 설치되는 홀더(52a)가 일체로 구성한다.The reflective part 50 is formed by wrapping the reflective glass 51 with a protective frame 52. The protective frame 52 is provided with a rotation axis formed on the image cover 42 of the image part 40 And a holder 52a provided in the housing 42a.

이때, 상기 회전축(42a)은 주변으로 홀더(52a)가 삽입될 수 있는 회전공간(42a')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52a)는 'C'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부를 통해 회전축(42a)에 강제 끼움되어 반사부(50)를 쉽게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At this time, a rotation space 42a 'into which the holder 52a can be inserted is formed around the rotation shaft 42a, and the holder 52a is formed in the shape of' C ' So that the reflector 50 can be easily dismounted.

그리고, 상기 홀더(52a)의 후방에는 반사부(50)가 영상부(40)에서 회전되었을 때 45°를 유지하도록 제3스톱퍼(53)를 구성하며, 상기 제3스톱퍼(53)는 영상부(40)의 영상커버(42)에 접촉하는 접촉면(53a)에 충격완화를 위한 제2댐퍼(53b)를 부착 구성하여, 반사부(50)의 보호틀(52)과 영상부(40)의 영상커버(42)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충격을 완화하고 반사부(50)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외력을 분산하는 것으로 압축스펀지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third stopper 53 constitutes a third stopper 53 at the rear of the holder 52a so as to maintain the angle of 45 ° when the reflector 50 is rotated by the imaging unit 40, A second damper 53b for relieving the impact is attached to the contact surface 53a contacting the image cover 42 of the image pickup unit 40 so that the protective frame 52 of the reflection unit 50 and the second damper 53b It is preferable that the image cover 42 is formed in a compressed sponge shape by preventing the direct contact of the image cover 42 to mitigate the impact and to disperse the external force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reflecting portion 50.

더불어, 상기 반사부(50)는 영상부(40)를 가변프레임(30)에서 펼쳤을 때 자중에 의해 영상부(40)의 회전축(42a)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동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영상부(40)와 반사부(50)가 별도로 체결되지 않고 회전축(42a)과 홀더(52a)로 연결된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eflector 50 is manually configured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42a of the image unit 40 due to its own weight when the image unit 40 is spread on the variable frame 30. In this case, The image portion 40 and the reflection portion 50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but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42a and the holder 52a.

아울러, 상기 보호틀(52)의 전방측에는 영상커버(42)에 형성되는 걸림홈(42b)에 걸림되는 걸림후크(52b)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후크(52b)를 걸림홈(42b)에서 이탈시키면 자중에 의해 영상부(40)의 회전축(42a)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한다.A hook 52b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protective frame 52 to hook the hook 42b formed in the image cover 42 so that the hook 52b can be separated from the hook 42b So that it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42a of the image portion 40 by its own weight.

이때, 상기 걸림후크(52b)를 구성하여 영상부(40)에 반사부(50)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걸림후크(52b)의 끝단을 회전시켜 걸림홈(42b)에서 이탈시키면 반사부(5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At this time, the retaining hook 52b is formed so that the reflective portion 50 is stably coupled to the image portion 40. When the end of the retaining hook 52b is rotated to be detached from the retaining groove 42b So that the reflector 50 can be rotated.

그리고, 상기 걸림후크(52b)가 형성된 보호틀(52)의 반대편에는 몸체부(10)와 접촉시 충격을 완화하는 제1댐퍼(52c)를 구성하여, 반사부(50)가 회전할 때 몸체부(10)에 부딪쳐 소리가 발생하거나 상호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압축스펀지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A first damper 52c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otective frame 52 on which the hooking hook 52b is formed to reduce the impact upon contact with the body 10. When the reflective portion 50 rotates,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compression sponge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ound or mutual breakage due to the collision with the part 10.

이러한, 상기 반사부(50)의 반사유리(51)는 영상부(40)의 영상을 수직으로 굴절시켜 반사하는 유리로 구성하며, 상기 반사유리(51)에는 영상부(40)의 영상을 수직으로 굴절시켜 반사하는 반사보호필름(54)을 부착하여 반사유리(51)의 파손을 방지하고 파손시 유리 조작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반사유리(51)는 일 예로 조사되는 영상부(40)의 영상이 수직으로 굴절조사하기 위하여 하프미러나 광학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영상부(40)의 영상이 조사되면 조사되는 방향과 일직선으로 투과되는 것이 아니라 유리의 특성에 따라 수직으로 굴절시켜 90°로 방향전환시킨 후 조사된 거리와 동일한 거리지점에 허상으로 표현되는 것이다.
즉, 상기 영상부(4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반사부(50)에 조사되면 수직으로 방향 전환 굴절되어 배경부재(20) 쪽으로 반사하고, 상기 배경부재(20)로부터의 이미지를 투과하여 직립상태의 허상으로 표현되도록 입체영상장치(100)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reflective glass 51 of the reflective unit 50 is formed of a glass that vertically refracts and reflects the image of the image unit 40. In the reflective glass 51, So as to prevent breakage of the reflecting glass 51 and ensure stability for preventing scattering of the glass during the breakage.
In this case, the reflection glass 51 may be configured by using a half mirror or an optical element for vertically refracting the image of the irradiated image portion 40. For example, when the image of the image portion 40 is irradiated Is reflected not in a straight line with the direction to be irradiated but is refracted vertical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lass and turned to 90 ° and then expressed as a virtual image at the same distance as the irradiated distance.
That is, when the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unit 40 is irradiated to the reflection unit 50, the image is vertically refracted and reflected to the background member 20, and the image from the background member 20 is transmitted to the upright state 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100 is configured to be represented by a virtual image of the stereoscopic image.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삭제delete

도 16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체영상장치(100)는 사용하기 위해서는 영상부(40)의 끝단을 잡고 상부로 잡아당기면 가변프레임(30)의 고정프레임(31)은 몸체부(10)의 힌지(17)에 연결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몸체부(10)에서 영상부(40)와 가변프레임(30)이 펼쳐지는데 측면에서 투영시 역 'Z'형태가 되도록 한 번의 작용으로 간단하게 사용을 위해 배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16 to 20, in order to use 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100, when 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100 is held at the upper end of the image unit 40 and the upper end of 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100 is pulled upward, the fixed frame 31 of the variable frame 30 is rotated 10, the image portion 40 and the variable frame 30 are unfolded from the body portion 10 while being rotated in a state of 'Z' There are features that can be deployed for use.

이때, 상기 몸체부(10)와 영상부(40)는 수평을 이루도록 하며 가변프레임(30)은 몸체부(10)를 기준으로 약 45°를 이루도록 배치한다.At this time, the body 10 and the image unit 40 are horizontal, and the variable frame 30 is disposed at abou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ody 10.

이후, 상기 반사부(50)는 걸림후크(52b)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영상부(40)의 배치가 완료된 후 걸림후크(52b)의 끝단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영상부(40)의 영상커버(42)에 형성된 걸림홈(42b)에서 이탈시키면 자중에 의해 회전되고, 걸림후크(52b)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영상부(40)를 상부로 잡아당겨 배치시킬 때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사용상의 간편성을 증대시키는 특징이 있다.When the hooking hook 52b is formed, the reflecting portion 50 presses the end of the hooking hook 52b inward after the placement of the video unit 40 is completed, If the engaging hook 52b is not formed, the image portion 40 is rotated by its own weight when the image portion 40 is pulled up, There is a feature that the simplicity is increased.

이때, 상기 반사부(50)의 회전 동작을 살펴보면 반사부(50)의 반사유리(51)를 감싸고 있는 보호틀(52)의 후방측에 설치된 홀더(52a)에 영상부(40)의 영상장치(41)를 감싸는 영상커버(42)에 형성된 회전축(42a)이 삽입되도록 강제 끼움하면서 회전공간(42a')의 내부로 홀더(52a)가 위치되도록 한다.The holder 52a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protective frame 52 surrounding the reflective glass 51 of the reflector 50 is connected to the video device 40 of the video unit 40, The holder 52a is positioned inside the rotary space 42a 'while the rotary shaft 42a formed in the image cover 42 surrounding the rotary shaft 41 is inserted.

즉, 상기 반사부(50)는 회전축(42a)을 기준으로 홀더(52a)가 회전축(42a)과 미끄럼 회전되면서 반사부(50)의 전방 끝단은 하부로 내려가고 후방 끝단은 홀더(52a)와 회전축(42a)이 연결된 상태로 기준점의 기능을 함으로써 회전이 완료된 반사부(50)는 전방 끝단은 몸체부(10)에 접촉하거나 근접하게 위치하고 후방 끝단은 영상부(40)와 연결된 상태로 유지하여 몸체부(10)를 기준으로 약 45°를 이루며 간단히 배치하게 된다.That is, the holder 52a of the reflector 50 slides on the rotary shaft 42a with respect to the rotary shaft 42a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reflector 50 is lowered and the rear end thereof is supported by the holder 52a The front end of the reflecting part 50, which is rotated by the function of the reference point in a state where the rotating shaft 42a is connected, is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body 10 and the rear end of the reflecting part 50 is kept connected to the image part 40 Which is abou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ody 10, is simply disposed.

아울러, 상기 반사부(50)가 회전될 때 약 45°를 이루도록 회전각도를 유지하는 것은 제3스톱퍼(53)가 영상커버(42)에 접촉하여 더 이상의 회전을 억제하며, 상기 제3스톱퍼(53)에 부착된 제2댐퍼(53b)에 의해 영상커버(42)와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며 회전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1단계 완충동작과 더불어 보호틀(52)에 부착된 제1댐퍼(52c)에 의해 몸체부(10)와 직접 접촉을 방지하며 회전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2단계 완충동작에 의해 상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third stopper 53 abuts on the image cover 42 to inhibit the further rotation of the third stopper 53 and the third stopper 53 to rotate about the second stopper 50. [ And a first damper (53) attached to the protection frame (52) in addition to the one-step buffering operation for preventing direct contact with the image cover (42) by a second damper (53b) 52c to prevent direct damage to the body 10 and to prevent mutual breakage by a two-step buffering operation for mitigating impact generated during rotation.

다음으로, 상기 배경부재(20)는 팝업북(21), 팝업카드(22), 테블릿PC(23), 보는 방향에 따라 입체적으로 나타나는 입체판(24) 중 하나로 선택이 완료되면, 배경부재(20)를 몸체부(10)의 바닥설치홈(11)에 설치할 것인지 직립설치함(12)에 설치할 것인지를 배경부재(20)의 특성과 영상부(40)의 영상에 알맞게 결정한다.Next, when the background member 20 is selected as one of the pop-up book 21, the pop-up card 22, the tablet PC 23, and the stereoscopic plate 24 which appears three-dimensionally according to the viewing direction, 20 to be installed in the floor installation groove 11 of the body portion 10 or the upright installation box 12 i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ckground member 20 and the image of the image portion 40. [

즉, 상기 배경부재(20)를 바닥설치홈(11)에 설치할 경우에는 입체배경이나 입체배경 영상이 하부에서 상부로 돌출 및 나타나도록 되고, 직립설치함(12)를 이용하여 직립 설치할 경우에는 후방에서 반사부(50)를 향해 입체배경이나 입체배경 영상이 돌출 및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background member 20 is installed in the floor installation groove 11, a three-dimensional background image or a three-dimensional background image protrud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when the upright installation box 12 is installed upright, So that a three-dimensional background or a three-dimensional background image protrudes and appears toward the reflective portion 50. [

이때, 상기 배경부재(20)를 바닥설치홈(11)에 설치할 경우에는 팝업북(21)과 팝업카드(22)는 펼친 상태로 올려놓고, 테블릿PC(23)와 입체판(24)은 각각 영상과 입체면이 상부로 보여지도록 올려놓는다.In this case, when the background member 20 is installed in the floor installation groove 11, the pop-up book 21 and the pop-up card 22 are put in an unfolded state, and the tablet PC 23 and the stereo- Place the image and the surface so that they are shown at the top.

아울러, 상기 배경부재(20)를 직립설치하기 위해 직립설치함(12)을 이용할 경우에는 인출홈(12b)을 이용하여 당켜서 몸체부(10)의 내부에서 직립설치함(12)을 알맞은 면적이 되도록 인출시킨 다음, 배경부재(20)가 팝업북(21)과 팝업카드(22)일 경우에는 펼쳐서 직립시켜 설치하고, 테블릿PC(23)와 입체판(24)은 각각 영상과 입체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한다.In addition, when the upright installation box 12 is used for uprighting the background member 20, the upright installation box 12 is inserted into the body 10 by using the draw- And the tablet PC 23 and the stereoscopic panel 24 are set up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when the background member 20 is the pop-up book 21 and the pop-up card 22, Install it facing forward.

그리고, 상기 배경부재(20)의 크기가 커서 직립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지지대(12a)를 직립설치함(12)의 후방에서 직립되도록 회전시켜 배경부재(20)의 후방면을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설치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When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upright state of the background member 20, the support base 12a is rotated upright at the rear of the upright box 12 to support the back surface of the background member 20, As shown in FIG.

이렇게, 상기 배경부재(20)의 설치가 완료되면 몸체부(10)의 DC전원부(13a)에 전원선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베터리(13c)의 충전전원을 이용하여 전원버튼(14a)을 조작하여 몸체부(10)와 영상부(40)에 전원을 공급되도록 작동시킨다.When the background member 20 is installed, the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DC power source 13a of the body 10 to supply power, or the power button 14a is operated using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13c.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body 10 and the video unit 40. [

이때, 상기 몸체부(10)의 조작부(14)를 이용하여 저장부(13e)에 저장된 영상을 실행시키는 것으로, 단축버튼(14g)를 조작하여 영상을 실행시킬 수도 있으며, 재생버튼(14i)을 이용하여 영상을 선택하여 재생한다.At this time, the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e is executed using the operation unit 14 of the body part 10, so that the image can be executed by operating the quick button 14g, To select and play back the image.

아울러, 상기 조작부(14)를 이용하지 않고 영상부(40)의 영상장치(41)의 패널을 터치하여 어플리케이션이나 영상장치(41)의 화면에 나타나는 조작부(14)의 기능 실행을 위한 아이콘을 통해 영상을 선택 재생하면, 몸체부(10)의 스피커(13i)를 통해 영상에 알맞게 미리 저장된 음향이 들리게 된다.The user can touch the panel of the video device 41 of the video unit 40 without using the manipulation unit 14 to display an application or an icon for executing the func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14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video device 41 When an image is selected and reproduced, the sound stored in advance in accordance with the image can be heard through the speaker 13i of the body 10.

이렇게, 상기 영상부(40)의 영상장치(41)를 통해 영상이 나타나면 영상이 반사부(50)의 반사유리(51)와 45°로 입사된 후 반사유리(51)를 45°를 이루며 굴절됨으로서, 영상이 영상부(40)에서 조사되어 반사유리(51)를 90°를 이루면서 통과하여 눕혀졌던 영상이 배경부재(20)의 입체 배경이나 배경 영상의 전방에서 직립된 상태로 허상상태인 입체 영상으로 표현되어 입체영상장치(100)의 전면에서 사용자가 반사부(50)를 투영할 경우 배경부재(20)와 영상부(40)의 영상이 입체적으로 어우러져 홀로그램을 보는 듯한 신비감을 갖게 되는 특징이 있다.
부연설명하자면, 상기 반사유리(51)는 영상부(40)의 영상이 조사되면 영상을 90°로 방향전환하는 동시에 배경부재(20)의 전방에 눕혀졌던 영상부(40)의 영상을 직립시킨 상태로 허상으로 표현되는데, 영상부(40)와 반사유리(51)의 거리와 반사유리(51)와 배경부재(20)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여 반사유리(51)에 조사된 영상은 영상부(40)와 반사유리(51)의 거리와 대응하는 거리만큼 배경부재(20)의 전방에서 허상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When an image is displayed through the imaging device 41 of the imaging unit 40, the image is incident on the reflection glass 51 of the reflection unit 50 at an angle of 45 °, The image that has been illuminated by the image unit 40 and passed through the reflecting glass 51 at an angle of 90 ° is projected in a virtual state in a state of being erected in front of the stereoscopic background of the background member 20 or the background image, When the user projects the reflection unit 50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100, the images of the background member 20 and the image unit 40 are stereoscopically combined to have the mysterious feeling of seeing the hologram .
The reflective glass 51 may be configured to turn the image 90 ° when the image of the image unit 40 is irradiated and at the same time to elevate the image of the image unit 40 that has been laid down in front of the background member 20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portion 40 and the reflecting glass 5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eflecting glass 51 and the background member 20 are equal to each other, 40 and the reflecting glass 51. The background member 20 is formed as a mirror image.

즉, 상기 영상부(40)의 영상장치(41)를 통해 영상이 나타나면 제1지점(200)에 나타나는 제1영상(201)은 배경부재(20)의 상부측에 입체 영상으로 나타나고, 제2지점(300)에 나타나는 제2영상(301)은 배경부재(20)의 하부측에 입체 영상으로 나타나게 되어 공간적인 위치활용을 위해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at is, when an image is displayed through the image device 41 of the image unit 40, the first image 201 appearing at the first point 200 appears as a stereoscopic image at the upper side of the background member 20, The second image 301 appearing on the point 300 appears as a stereoscopic image on the lower side of the background member 20 and can be appropriately arranged for spatial position utilization.

아울러, 상기 반사부(50)의 반사유리(51)는 영상부(40)의 영상을 수직으로 굴절 반사시킴으로써 배경부재(20)에 나타나는 입체 영상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특징이 있다.The reflective glass 51 of the reflection unit 5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ed on the background member 20 is clearly displayed by vertically refracting and reflecting the image of the image unit 40.

이렇게, 상기 입체영상장치(100)는 영상부(40)의 2D영상을 반사부(50)에 투과시켜 배경부재(20)에 3D 입체영상으로 표현되게 함으로써, 아동이나 어린이에게 음향과 함께 영상 독서를 할 수 있어 호기심을 유발하고 흥미를 증진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this way, 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100 allows the 2D image of the image unit 40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reflection unit 50 to be displayed as a 3D stereoscopic image on the background member 20, It is possible to induce curiosity and enhance the interest.

그리고, 상기 영상부(40)의 녹화장치(44)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영상이나 육성을 녹화영상으로 만들어 실시간으로 영상부(40)를 통해 나타내어 배경부재(20)에 입체 영상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정해진 스토리를 영상하는 단적인 기능을 벗어날 수 있으며, 실시간 영상으로 나타내는 것은 물론 실시간 영상을 저장하여 필요할 때 재생하여 반복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Since the user's image or upbringing of the user can be recorded using the recording unit 44 of the image unit 40 and displayed on the image unit 40 in real time to be displayed on the background member 20 as a stereoscopic image, It can escape a simple function of displaying a story, and it can display real-time video as well as real-time video and reproduce it repeatedly when necessary.

아울러, 상기 몸체부(10)나 영상부(40) 형성된 솔라셀(15)을 이용하여 베터리(13c)의 충전지를 충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rechargeable battery of the battery 13c can be charged by using the solar cell 15 formed with the body 10 or the imaging unit 40. FIG.

또한, 상기 영상부(40)가 무선송수신부(13b)나 유선송수신부(13f)를 이용한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인터넷을 이용하여 웹상의 영상이나 자료를 다운받을 수 있으며, 외부기기연결잭(13g)에 외부기기를 연결하거나 이동식저장슬롯(13h)에 SD카드나 USB장치를 연결하여 자료를 전송, 다운받을 수 있어 다양한 호환성을 갖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video unit 40 can download images or data on the web using Wi-Fi, Bluetooth, or the Internet using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3b or the wired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3f. It is possible to connect an external device or connect an SD card or a USB device to the removable storage slot 13h so that data can be transferred and downloaded, thereby providing various compatibility.

즉, 본 발명의 입체영상장치(100)는 영상부(40)의 영상을 반사부(50)를 투과시켜 배경부재(20)에 입체적 영상으로 표현시키면서 배경부재(20)의 팝업북(21)이나 팝업카드(22), 입체판(24)을 이용할 경우 내용에 맞게 페이지를 넘기거나 교체하여 독서가 가능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That is, 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image of the image unit 40 through the reflection unit 50 to be displayed as a three-dimensional image on the background member 20, When the pop-up card 22 and the stereoscopic plate 24 are used, there is a feature that a page can be turned over or replaced in accordance with contents to enable reading.

이러한, 본 발명의 입체영상장치(100)의 다른 사용상태 예시를 살펴보면 배경부재(20)로 사용되는 테블릿PC(23)에서 별도의 스토리를 제작 편집하여 몸체부(10)의 저장부(13e)에 저장시켜 영상부(40)에서 재생하거나, 영상부(40)로 전달하여 제작된 스토리를 영상으로 재생함으로써 다양한 활용성을 갖는 특징이 있다.Another example of the use state of 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A tablet PC 23 used as a background member 20 creates and edits a separate story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13e ) And reproduced in the video unit 40 or transferred to the video unit 40 to reproduce the produced story as an image.

그리고, 본 발명의 입체영상장치(100)는 독서의 용도로 활용하지 않고 영상부(40)에 반사부(50)를 겹쳐지게 배치시킨 상태에서 영상부(40)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켜 인터넷을 이용하거나 각종 사무용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Internet by rotating the image unit 40 at various angles while the reflection unit 50 is placed on the image unit 40 in a superimposed manner, And can execute various office programs and use them.

이때, 상기 영상부(40)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가변프레임(30)의 제1스톱퍼(33)의 제1몸체(33e)의 끝단을 가압하면 끼움홈(33g)에 끼워진 끼움돌기(33b)가 함께 회전되면서 위치돌기(33a)를 가동프레임(32)의 위치홀(32b)에서 이탈시킨 후 가동프레임(32)의 높낮이를 조정한 후 제1몸체(33e)의 가압을 해제하면 제1탄성부재(33c)의 탄성력으로 원위치하며 가동프레임(32)의 위치홀(32b)에 삽입되어 가동프레임(32)의 가변 위치를 고정하여 영상부(40)의 높낮이 위치를 간단히 조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When the end of the first body 33e of the first stopper 33 of the variable frame 30 is press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image portion 40, the fitting protrusion 33b fitted in the fitting groove 33g is formed, The first protrusion 33a is released from the position hole 32b of the movable frame 32 and the height of the movable frame 32 is adjusted so that the pressing of the first body 33e is released. And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 hole 32b of the movable frame 32 to fix the variable position of the movable frame 32 so that the height position of the image portion 40 can be simply adjusted .

그리고, 상기 가변프레임(30)과 영상부(40)는 각각 몸체부(10)와 가변프레임(30)에서 회전함으로서 사용 위치에 따라 영상부(40)의 위치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어 상용상의 편리성을 증대시킨 특징이 있다.Since the variable frame 30 and the image portion 40 are rotated by the body 10 and the variable frame 30, the position of the image portion 40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 position, Is increased.

아울러, 상기 영상부(40)의 영상장치(41)와 반사부(50)의 반사유리(51)에는 각각 보호필름(45)과 반사보호필름(54)을 부착함으로써 외력에 대한 충격완충 기능을 갖는 동시에 파손을 예방하며 파손현상이 발생되더라도 파편이 비산되지 않아 안정성을 갖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The protective film 45 and the reflective protective film 54 are attached to the reflective film 51 of the reflective film 50 and the imaging device 41 of the image unit 40 to provide a shock buffer function for external force.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breakage, and even if a breakage phenomenon occurs, the fragments are not scattered and have stability.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0 : 몸체부 11 : 바닥설치홈
12 : 직립설치함 12a : 지지대
12b : 인출홈 12c : 회동축
13 : 케이스 13a : DC전원부
13b : 무선송수신부 13c : 베터리
13d : 구동제어부 13e : 저장부
13f : 유선송수신부 13g : 외부기기연결잭
13h : 이동식저장슬롯 13i : 스피커
13j : 손잡이 13k : 코너
13l : 걸이홀 14 : 조작부
14a : 전원버튼 14b : 저장버튼
14c : 삭제버튼 14d : 편집버튼
14e : 화면조절버튼 14f : 볼륨버튼
14h : 녹화버튼 14i : 재생버튼
15 : 솔라쎌 16 : 스타일러스
16a : 연결줄 17 : 힌지
20 : 배경부재 21 : 팝업북
22 : 팝업카드 23 : 테블릿PC
24 : 입체판 30 : 가변프레임
31 : 고정프레임 31a : 끼움홀
32 : 가동프레임 32a : 연결돌기
32b : 위치홀 33 : 제1스톱퍼
33a : 위치돌기 33b : 끼움돌기
33c : 제1탄성부재 33d : 설치돌기
33e : 제1몸체 33f : 끼움몸체
33g : 끼움홀 34 : 조명부
34a : 조명수단 34b : 조도조절부
35 : 제2스톱퍼 35a : 설치홈
35b : 제2몸체 35c : 제2탄성부재
35d : 접촉구 35e : 제2스톱커커버
36 : 실린더 37 : 실린더로드
40 : 영상부 41 : 영상장치
42 : 영상커버
42a : 회전축 42a' : 회전공간
42b : 걸림홈 42c ; 연결홀
42d : 제1입체카메라 42e : 제2입체카메라
43 : 위치고정판 43a : 고정홀
43b : 관통홀 44 : 녹화장치
44a : 카메라 44b : 마이크
45 : 보호필름 50: 반사부
51 : 반사유리 52 : 보호틀
52a : 홀더 52b : 걸림후크
52c : 제1댐퍼 53 : 제3스톱퍼
53a : 접촉면 53b : 제2댐퍼
54 : 반사보호필름 100 : 입체영상장치
B : 팝업배경
10: Body part 11: Floor mounting groove
12: stand upright 12a: support
12b: draw-out groove 12c:
13: Case 13a: DC power source
13b: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3c:
13d: drive control section 13e:
13f: Wired transceiver 13g: External device connection jack
13h: Removable storage slot 13i: Speaker
13j: Handle 13k: Corner
13l: Hook hole 14:
14a: Power button 14b: Save button
14c: Delete button 14d: Edit button
14e: Screen control button 14f: Volume button
14h: Record button 14i: Play button
15: Solar Cell 16: Stylus
16a: connecting line 17: hinge
20: background member 21: pop-up book
22: Pop-up card 23: Tablet PC
24: stereoscopic plate 30: variable frame
31: fixed frame 31a: fitting hole
32: movable frame 32a: connecting projection
32b: Position hole 33: First stopper
33a: Position projection 33b:
33c: first elastic member 33d: mounting projection
33e: first body 33f: fitting body
33g: insertion hole 34: lighting part
34a: Lighting means 34b:
35: second stopper 35a: installation groove
35b: second body 35c: second elastic member
35d: contact hole 35e: second stopper cover
36: cylinder 37: cylinder rod
40: video part 41: video device
42: Video cover
42a: rotating shaft 42a ': rotating space
42b: an engagement groove 42c; Connection hole
42d: first stereoscopic camera 42e: second stereoscopic camera
43: Position fixing plate 43a: Fixing hole
43b: Through hole 44: Recording apparatus
44a: camera 44b: microphone
45: protective film 50: reflective part
51: reflective glass 52: protective frame
52a: Holder 52b: Retaining hook
52c: first damper 53: third stopper
53a: contact surface 53b: second damper
54: reflection protective film 100: stereoscopic image device
B: Popup Background

Claims (43)

2D영상을 3D영상으로 표현하는 입체영상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위치되는 몸체부(10)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10)의 상부측이나 후방측에 설치되는 배경부재(20)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부(10)의 상부 일측에서 회전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변프레임(30)을 형성하고,
상기 가변프레임(30)의 사이에 회전되게 연결 설치되는 영상부(40)를 형성하며,
상기 영상부(40)의 하부에서 경사지게 회전되며 반투명경이나 하프미러로 이루어지는 반사부(50)로 형성하여,
상기 영상부(4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반사부(50)에 조사되면 수직으로 방향 전환 굴절되어 배경부재(20) 쪽으로 반사하고, 상기 배경부재(20)로부터의 이미지를 투과하여 직립상태의 허상으로 표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
A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for displaying a 2D image as a 3D image,
A body portion 10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is formed,
A background member 2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body portion 10 is formed,
A pair of variable frames (30) rotatab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are formed,
And an image portion (40) rotatably connected to the variable frame (30) is formed,
A reflection part 50 formed of a semi-transparent mirror or a half mirror, which is inclinedly rotated from the bottom of the image part 40,
When the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unit 40 is irradiated to the reflection unit 50, the image is refracted vertically to be reflected toward the background member 20 and transmitted through the image from the background member 20, Is expressed by: < EMI ID = 17.0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상부면에 배경부재(20)가 설치되는 바닥설치홈(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art (10) has a floor installation groove (11) in which a background member (20) is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상부 후방측에는 배경부재(20)가 꽂아지도록 직립설치함(12)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삽입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art (10) is configured such that an upright installation compartment (12) is drawn / inserted in a sliding manner so that a background member (20) is inserted in an upper rear sid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설치함(12)의 후방면에는 눕혀진 상태에서 회전작동으로 직립되어 배경부재(20)를 지지하는 지지대(12a)가 한 쌍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4.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pair of support rods (12a) supporting the background member (20) are erec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pright installation box (12) Device. 제 1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케이스(13)의 외부 일측에 DC전원부(13a), 케이스(13)의 내부에는 무선송수신부(13b), 베터리(13c), 구동제어부(13d), 저장부(13e)를 내장 설치하고, 케이스(13)의 외부 타측면에는 유선송수신부(13f), 외부기기연결잭(13g), 이동식저장슬롯(13h), 스피커(13i)를 형성하며, 케이스(13)의 다른 일측면에는 조작부(14)를 형성하여 영상부(40)와 배경부재(20)와 연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body part (10) comprises a DC power source part (13a) on one side of the case (13), a wireless transceiver part (13b) A drive control unit 13d and a storage unit 13e are built in the other side of the casing 13. A wired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3f,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jack 13g, a removable storage slot 13h, And the operation unit 14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case 13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image unit 40 and the background member 20. 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터리(13c)는 건전지, 충전지 중 하나 또는 두 개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battery (13c) is formed by combining one or both of a battery and a rechargeable battery. 제 1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나 몸체부(10)와 연동되는 영상부(40) 중 외부로 노출되는 각각의 일측면에는 솔라셀(15)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solar cel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one side of the image portion (40) interlocked with the body portion (10) or the body portion (10) And the stereoscopic image is displayed. 제 1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외부면과 코일형태의 연결줄(16a)로 연결하는 스타일러스(16)를 형성하여 배경부재(20)나 영상부(40)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stylus (16)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 by a coil-shaped connecting line (16a)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제 1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케이스(13) 일측에는 손잡이(13j)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의 케이스(13) 전방 양 코너(13k)에는 멜빵이 걸림되는 걸이홀(13l)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handle (13j)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13) of the body part (10)
Characterized in that a hooking hole (13l)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corners (13k) of the case (13) of the body part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14)는 전원제어기능, 재생기능, 저장기능, 삭제기능, 편집기능, 화면조절기능, 볼륨조절기능, 단축키조작 기능, 녹화기능을 수행 및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operation unit (14) is configured to perform and control a power control function, a playback function, a storage function, a deletion function, an editing function, a screen control function, a volume control function, a shortcut key operation function, And a stereoscopic image devic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부재(20)는 팝업북(21), 팝업카드(22), 테블릿PC(23), 보는 방향에 따라 입체적으로 나타나는 입체판(24) 중 하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background member (2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background member (20) comprises a pop-up book (21), a pop-up card (22), a tablet PC (23), a stereoscopic plate ) Of the stereoscopic imag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북(21)이나 팝업카드(22)는 펼쳤을 때 영상부(40)의 영상 내용에 맞는 팝업배경(B)이 입체적으로 펼쳐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12. 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pop-up card (21) or the pop-up card (22) is configured to unfold a pop-up background (B) corresponding to the video content of the video unit (4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테블릿PC(23)를 통해 만들어지는 스토리는 연결선이나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몸체부(10)의 저장부(13e)로 전송, 저장된 후 영상부(40)를 통해 재생하거나 영상부(40)로 전달되어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1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story generated through the tablet PC (23) is transmitted to the storage unit (13e) of the body part (10) using a connection line or Bluetooth, And is transmitted to and reproduced from the image unit (4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프레임(30)은 몸체부(10)의 힌지(17)와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고정프레임(31)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삽입하는 가동프레임(32)을 형성하며,
상기 가동프레임(32)의 내측면에는 연결돌기(32a)가 형성되어 영상부(40)가 회전하게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
The movable frame (32)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variable frame (30) comprises a movable frame (32) slidingly inserted and inserted into a fixed frame (31) connected to rotate with a hinge (17) of the body ,
And a connection protrusion (32a)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ovable frame (32) to connect the video unit (40) to rotat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31)에는 일단을 가압시 가동프레임(32)과 결합이 해제되며 가압 해제시 복귀하면서 결합되는 제1스톱퍼(33)가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동프레임(32)에는 제1스톱퍼(33)의 위치돌기(33a)가 삽입되는 위치홀(32b)이 길이를 따라 다수 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
1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fixed frame (31) has a first stopper (33) formed on one side thereof, the first stopper being engaged with the movable frame (32)
Wherein the movable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in which the position projections of the first stopper are inserted.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톱퍼(33)는 고정프레임(31)의 끼움홀(31a)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몸체(33f)의 후방으로 개방된 끼움홈(33g)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33g)에 삽입되는 끼움돌기(33b)가 중앙에서 가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가동프레임(32)을 향하는 내측면 일 끝단에 위치돌기(33a)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위치돌기(33a)가 형성된 반대편 끝단에는 제1탄성부재(33c)가 설치되는 설치돌기(33d)가 형성되는 제1몸체(33e)를 형성하여,
상기 제1탄성부재(33c)가 설치된 제1몸체(33e)의 끝단을 가압하면 끼움홈(33g)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위치돌기(33a)가 가동프레임(32)의 위치홀(32b)에서 이탈되고, 가압을 해제하면 제1탄성부재(33c)의 탄성력으로 원위치하며 가동프레임(32)의 위치홀(32b)에 삽입되어 가변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first stopper (33) is formed with a fitting groove (33g) which is opened rearwardly of a fitting body (33f) fitted to the fitting hole (31a) of the fixed frame (31) A fitting protrusion 33b inserted into the groove 33g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lateral direction at the center and a position protrusion 33a is formed at one end of the inner side facing the movable frame 32, A first body 33e having a mounting protrusion 33d provided with a first elastic member 33c is form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first body 33e,
When the end of the first body 33e provided with the first elastic member 33c is pressed, the position projection 33a is rotated away from the position hole 32b of the movable frame 32 while being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tting groove 33g And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the movable member is retrac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33c) and inserted into the position hole (32b) of the movable frame (32) to fix the variable position.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31)에는 배경부재(20)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수단(34a)과 조도조절부(34b)로 이루어지는 조명부(34)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fixed frame (31) is provided with an illumination unit (34) comprising an illuminating unit (34a) for illuminating the background member (20) Imaging devic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프레임(32)의 연결돌기(32a)가 형성된 부분에는 영상부(40)의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제2스톱퍼(35)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a second stopper (35) for fixing the rotated state of the image portion (40)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movable frame (32) Device. 제 18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톱퍼(35)는 가동프레임(32)에 형성된 설치홀(35a)에 끼워지는 제2몸체(35b)의 내부로 제2탄성부재(35c)가 삽입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35c)에 결합되는 접촉구(35d)가 일부분 노출되며 이탈 방지를 위한 제2스톱퍼커버(35e)를 제2몸체(35b)에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second stopper 35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35b fit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35a formed in the movable frame 32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35c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35b, Wherein a contact hole (35d) coupled to the second elastic member (35c) is partially exposed and a second stopper cover (35e) for preventing separation is coupled to the second body (35b).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프레임(30)은 몸체부(10)의 힌지(17)와 회전되게 설치하는 실린더(36)에서 인출/삽입되되 끝단에 영상부(40)가 회전되게 설치되는 실린더로드(37)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variable fram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ariable frame (30) comprises a cylinder (36) which is pulled / inserted from a cylinder (36) installed to rotate with a hinge (17) of the body part (10) And a rod (3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40)는 영상을 조사는 영상장치(41)가 영상커버(4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영상커버(42)의 양 측면에는 가변프레임(30)의 연결돌기(32a)에 연결된 상태로 회전시 위치고정을 위한 고정홀(43a)이 다수개로 형성된 위치고정판(43)을 설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e unit (40) is installed inside the image cover (42), and the image frame (42) And a position fixing plate (43)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holes (43a) for fixing the position thereof when rotate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rotrusion (32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40)의 영상장치(41)는 영상과 한국어나 외국어 자막이 나타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ideo device (41) of the video unit (40) is configured to display an image and Korean or foreign language subtitles. 제 1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40)는 영상커버(42)의 전면 끝단에는 카메라(44a)와 마이크(44b)로 이루어지는 녹화장치(44)를 형성하여, 카메라(44a)와 마이크(44b)를 통해 촬영된 영상과 소리는 몸체부(10)의 저장부(13e)에 저장된 후 영상장치(41)에서 선택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video camera according to claim 1 or 21, wherein the video unit includes a video recording unit including a camera 44a and a microphone 44b at a front end of the video cover, And the sound image captured through the microphone 44b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e of the body part 10 and is selectively reproduced in the image device 41. [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40)는 녹화장치(44)의 카메라(44a)와 마이크(44b)를 통해 촬영된 영상과 소리는 영상장치(41)를 통해 실시간으로 나타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23, wherein the video unit (40) is configured to display video and sound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44a) and the microphone (44b) of the video recording device (44) And a stereoscopic image device.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40)의 영상커버(42) 전면에는 촬영 화각이 서로 달라 촬영시 입체 영상을 만드는 제1,2입체카메라(42d)(42e)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stereoscopic camera according to claim 21,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stereoscopic cameras (42d, 42e) forming stereoscopic images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are formed on the front face of the image cover (42) Stereoscopic imaging device.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40)는 녹화장치(44)의 카메라(44a)와 마이크(44b)를 통해 촬영된 영상과 소리는 영상장치(41)를 통해 실시간으로 나타나는 동시에 몸체부(10)의 저장부(13e)에 실시간으로 저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24.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23, wherein the video unit (40) displays the video and sound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44a) and the microphone (44b) of the video recording apparatus (44) 10) in real time in a storage unit (13e) of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10).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40)의 영상장치(41)는 몸체부(10)의 저장부(13e)에 저장된 영상이나 소리가 포함된 영상을 조작부(14)의 작동을 이용하지 않고 터치조작 방식으로 저장 목록을 선택,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video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2, wherein the video apparatus (41) of the video unit (40) is configured to perform an operation of not using an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4) And the storage list is selected and reproduced in a touch operation manner.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40)의 영상장치(41)는 터치패널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2, wherein the imaging device (41) of the imaging unit (40) comprises a touch panel.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41)는 터치패널은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광학 방식, 초음파 방식, 음향파 방식, 적외선 방식, 전자기 유도 방식 중 하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29.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28, wherein the image device (41) comprises one of a resistive film type, a capacitive type, an optical type, an ultrasonic type, an acoustic wave type, an infrared type, Device.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40)는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인터넷을 이용하여 몸체부(10)의 저장부(13e)에 저장된 영상을 다른 영상장치나 컴퓨터, 스마트폰, 테블릿PC로 영상을 전송하거나 다운로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mobile terminal of claim 22, wherein the image unit (40)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e) of the body part (10) to another image device, a computer,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using Wi- And transmits or downloads the stereoscopic image.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40)는 녹화장치(44)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영상이나 소리가 포함된 영상을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인터넷을 이용하여 다른 영상장치나 컴퓨터, 스마트폰, 테블릿PC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30, wherein the video unit (40) comprises a video recording device (44), and the video recording device (44) Wherein the stereoscopic image is transmitted in real time to a PC.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40)의 영상장치(41)는 몸체부(10)의 외부기기연결잭(13g)에 다른 영상장치나 컴퓨터, 스마트폰, 테블릿PC 중 하나의 외부기기와 연결하여 연결된 외부기기의 화면을 실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30, wherein the video device (41) of the video unit (4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jack (13g) of the body part (10) And displays the screen of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in real time.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40)의 영상장치(41)에는 패널을 보호하기 위해 터치작동에 영향이 없는 보호필름(45)을 접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2, wherein a protective film (45) having no influence on a touch operation is adhered to the image device (41) of the image part (40) in order to protect the panel.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40)의 영상장치(41)는 몸체부(10)의 유/무선송수신부(13f)(13b)를 통한 인터넷을 이용하여 영상의 편집이나, 음향 편집, 저장기능을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구동제어부(13d)의 구동에 의해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video device (41) of the video unit (40) is configured to perform video editing, audio editing, and video editing using the Internet through the U / W transceiver (13f) (13d) so as to be able to be executed by downloading an application having a storage function and driving the drive control section (13d).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40)의 영상장치(41)에는 몸체부(10)의 조작부(14)의 기능을 수행하는 아이콘이 나타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2, wherein an icon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operation unit (14) of the body part (10) is displayed on the image device (41) of the image part (4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50)는 영상부(40)가 가변프레임(30)에서 회전되는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펼쳐지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stereoscopic imag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lection unit (50) is configured so that the image unit (40) is tilted forward to be rotated in the variable frame (30).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50)는 반사유리(51)의 사방을 보호틀(52)로 감싸며 형성되고, 상기 보호틀(52)에는 영상부(40)의 영상커버(42)에 형성되는 회전축(42a)에 설치되는 홀더(52a)가 일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6, wherein the reflection part (50) is formed by wrapping the reflection glass (51) in four directions with a protection frame (52) And a holder (52a) provided on a rotating shaft (42a) to be formed are integrally formed.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50)는 영상부(40)를 가변프레임(30)에서 펼쳤을 때 자중에 의해 영상부(40)의 회전축(42a)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method of claim 36, wherein the reflection unit (50) is configured to rotate based on the rotation axis (42a) of the image unit (40) by self weight when the image unit (40) .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틀(52)의 전방측에는 영상커버(42)에 형성되는 걸림홈(42b)에 걸림되는 걸림후크(52b)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후크(52b)를 걸림홈(42b)에서 이탈시키면 자중에 의해 영상부(40)의 회전축(42a)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image cover according to claim 37, wherein a hooking hook (52b) for hooking the hooking groove (42b) formed in the image cover (42)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protective frame (52), and the hooking hook (52b) (42a) of the image portion (40) by its own weight when it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42a, 42b).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후크(52b)가 형성된 보호틀(52)의 반대편에는 몸체부(10)와 접촉시 충격을 완화하는 제1댐퍼(52c)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stereoscopic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9, wherein a first damper (52c)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otective frame (52) on which the hooking hook (52b) .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52a)의 후방에는 반사부(50)가 영상부(40)에서 회전되었을 때 45°를 유지하도록 제3스톱퍼(53)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37, wherein a third stopper (53) is arranged behind the holder (52a) to maintain the angle of 45 ° when the reflector (50) .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톱퍼(53)는 영상부(40)의 영상커버(42)에 접촉하는 접촉면(53a)에 충격완화를 위한 제2댐퍼(53b)를 부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1, wherein the third stopper (53) is configured to attach a second damper (53b) for impact relief to a contact surface (53a) .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50)의 반사유리(51)는 영상부(40)의 영상을 수직으로 굴절시켜 반사하는 유리로 구성하며,
상기 반사유리(51)에는 영상부(40)의 영상을 수직으로 굴절시켜 반사하는 반사보호필름(54)을 부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장치.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41, wherein the reflective glass (51) of the reflector (50) comprises a glass that reflects the image of the image unit (40)
Wherein a reflective protective film (54) for vertically refracting and reflecting the image of the image portion (40) is attached to the reflective glass (51).
KR1020140117514A 2014-09-04 2014-09-04 Stereoscopic device KR1015386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514A KR101538660B1 (en) 2014-09-04 2014-09-04 Stereoscop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514A KR101538660B1 (en) 2014-09-04 2014-09-04 Stereoscopic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660B1 true KR101538660B1 (en) 2015-07-22

Family

ID=53874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514A KR101538660B1 (en) 2014-09-04 2014-09-04 Stereoscop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660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6426A1 (en) * 2015-12-30 2017-07-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tachable electronic device
KR20180042791A (en) * 2017-08-04 2018-04-26 주식회사 센즈온 Blended displaying apparatus
KR20190009661A (en) * 2017-07-19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Floating hologram display device and speaker comprising the same
KR102222903B1 (en) * 2019-12-12 2021-03-0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Augmented Reality-Based Interface
KR20210133397A (en) *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딜루션 Hologram lecture
KR20220143411A (en) * 2021-04-16 2022-10-25 권정열 Hologram foldable device for smartpho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950B1 (en) * 1999-05-17 200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alf Mirror Of Three-Dimentions Display Device
KR101239878B1 (en) * 2012-05-24 2013-03-06 (주)브이알코리아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for portab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950B1 (en) * 1999-05-17 200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alf Mirror Of Three-Dimentions Display Device
KR101239878B1 (en) * 2012-05-24 2013-03-06 (주)브이알코리아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for portabl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6426A1 (en) * 2015-12-30 2017-07-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tachable electronic device
KR20190009661A (en) * 2017-07-19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Floating hologram display device and speaker comprising the same
KR101983450B1 (en) * 2017-07-19 2019-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Floating hologram display device and speaker comprising the same
KR20180042791A (en) * 2017-08-04 2018-04-26 주식회사 센즈온 Blended displaying apparatus
KR101884197B1 (en) * 2017-08-04 2018-08-29 윤두석 Blended displaying apparatus
KR102222903B1 (en) * 2019-12-12 2021-03-0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Augmented Reality-Based Interface
KR20210133397A (en) *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딜루션 Hologram lecture
KR102342693B1 (en) 2020-04-29 2021-12-24 주식회사딜루션 Hologram lecture
KR20220143411A (en) * 2021-04-16 2022-10-25 권정열 Hologram foldable device for smartphone
KR102531912B1 (en) * 2021-04-16 2023-05-11 권정열 Hologram foldable device for smart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31329U (en) Multipurpose mobile device case / cover integrated with camera system for 3D and / or 2D high quality video recording, photography, selfie recording and non-electric 3D / multi-video and static frame viewers
KR101538660B1 (en) Stereoscopic device
JP6573593B2 (en) Wearable device having input / output structure
US89080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images for stereoscopic viewing
US11792311B2 (en) Portable terminal accessory device for holographic projection and user interface
KR101728845B1 (en) Display device, packaging box, and packaging device
CN104995583A (en) Direct interaction system for mixed reality environments
CN102884471A (en) An attachment for 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KR20140116880A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system
CN109814719A (en) A kind of method and apparatus of the display information based on wearing glasses
US9753293B2 (en) Three-dimensional (3D)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comprising a two-dimensional (2D) display terminal, light-splitting device, and transflective device
JP6173272B2 (en) Augmented reality display device and augmented reality display device
US10762812B1 (en) Compact and stand alone holographic device using mobile phone, tablet, or computer screen
JP6613429B2 (en) Audiovisual playback device
KR101983450B1 (en) Floating hologram display device and speaker comprising the same
CA3132983A1 (en) Portable terminal accessory device for holographic projection and user interface
CN111025650A (en) Wearable laser micro-projection device
CN205142493U (en) Wearable audiovisual device
JP2020025275A (en) Video and audio reproduction device and method
KR20160080901A (en)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Image
KR101483605B1 (en) Tablet personal computer having beam projector
JP5341162B2 (en) 3D image display device
KR101966825B1 (en) Touch panel and virtual reality comprising touch panel
CN209542972U (en) Children's stereopsis playback equipment
KR1016497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isplay device using packing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