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063B1 - 휴대용 의료기기의 코인형 배터리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의료기기의 코인형 배터리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063B1
KR101538063B1 KR1020140054088A KR20140054088A KR101538063B1 KR 101538063 B1 KR101538063 B1 KR 101538063B1 KR 1020140054088 A KR1020140054088 A KR 1020140054088A KR 20140054088 A KR20140054088 A KR 20140054088A KR 101538063 B1 KR101538063 B1 KR 101538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type battery
contact
medical device
portable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원
류창우
차근식
남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to KR1020140054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063B1/ko
Priority to PCT/KR2015/004557 priority patent/WO2015170893A1/ko
Priority to EP15789135.9A priority patent/EP3141917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7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determining the ability of a battery to perform a critical function, e.g. crank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4Testing for continu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01R31/67Testing the correctness of wire connections in electric apparatu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8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specially adapted for the type of battery or accum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6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button or coin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3The load being a medical device, a medical implant, or a life supporting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의료기기의 코인형 배터리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코인형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의료기기에서 다수의 코인형 배터리가 모두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코인형 배터리가 모두 정상적으로 장착된 경우에만 동작하여 혈당 등 생체 수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의료기기의 코인형 배터리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의료기기의 코인형 배터리 감지 장치{Battery detecting apparatus for portable medical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의료기기의 코인형 배터리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코인형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의료기기에서 다수의 코인형 배터리가 모두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코인형 배터리가 모두 정상적으로 장착된 경우에만 동작하여 혈당 등 생체 수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의료기기의 코인형 배터리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인형 배터리는 CR 타입 배터리 또는 버튼(Button)형 배터리라고 불리는데, 코인(동전) 또는 버튼 모양으로 생겨 양극과 음극의 접점을 가지는 배터리이다. 자가 혈당측정기 등의 휴대용 의료기기는 휴대의 편의성을 위해 작고 가벼운 코인형 배터리를 사용하는데, 통상적으로 코인형 배터리가 장착되는 장착 하우징에는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과 양극을 각각 접점하는 음극 단자와 양극 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휴대용 의료기기에 형성되어 있는 종래 코인형 배터리의 장착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코인형 배터리 장착 하우징(10)은, 휴대용 의료기기(1)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춘 장착 하우징 홈부(13), 장착 하우징 홈부(13)의 내측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15), 인쇄회로기판(15)상에 실장되는 양극(+) 단자(16)와 음극(-) 단자(17) 및 장착된 코인형 배터리를 덮는 배터리 커버(19)를 포함한다. 장착 하우징 홈부(13)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양극 단자(16)와 음극 단자(17)가 노출되어 코인형 배터리(20, 21)가 안착될 때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인쇄회로기판(15)에는 양극 단자(16)와 음극 단자(17)가 하우징 홈부(13)의 개구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양극 단자(16)와 음극 단자(17)는 납땜 등의 방법으로 인쇄회로기판(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양극 단자(16)와 음극 단자(17)는 코인형 배터리(20)가 안착되는 수납홈을 형성하며, 양극 단자(16)은 코인형 배터리(20)의 양(+)극과 접하도록 수납홈의 측면을 형성하며, 음극 단자(17)은 코인형 배터리(20)의 음(-)극과 접하도록 수납홈의 저면을 형성한다. 양극 단자(16)의 외형은 코인형 배터리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종래 코인형 배터리의 장착 하우징의 경우 휴대용 의료기기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흔들림에 의해 코인형 배터리와 양극 단자 또는 음극 단자와의 접점이 불안정하게 될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자가 혈당측정기와 같은 휴대용 의료기기의 경우 사용자의 혈당 측정 이력 등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어 사용자의 혈당 측정 이력 등을 안전하게 보호할 필요가 있으며, 혈당 측정시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되어야 정확하게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다수 코인형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의료기기의 경우, 모든 코인형 배터리가 휴대용 의료기기에 정상적으로 장착되어야 하며, 다수의 코인형 배터리 중 일부가 정상적으로 장착되지 않은 경우 휴대용 의료기기는 동작하지만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받지 못해 정확하게 생체 수치를 측정하기 곤란하며 다수의 배터리 중 일부의 배터리 전원만을 편중하여 소비하기 때문에 코인형 배터리의 전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그러나 실제 사용자가 다수의 코인형 배터리가 휴대용 의료기기에 모두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지를 유관으로 확인하기란 매우 힘들며, 코인형 배터리와 음극 단자 또는 양극 단자의 접촉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확인하기 곤란하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코인형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의료기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다수의 코인형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의료기기에서 다수의 코인형 배터리가 모두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휴대용 의료기기의 코인형 배터리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다수의 코인형 배터리가 모두 정상적으로 장착된 경우에만 동작하여 혈당 등 생체 수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의료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료기기의 코인형 배터리의 감지 장치는 제1 코인형 배터리와 제2 코인형 배터리가 장착되는 장착 하우징과,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 또는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과 접점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음극 단자와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 또는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양극과 접점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양극 단자를 구비하는 단자부와, 제1 코인형 배터리가 장착 하우징에 장착시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과 접점되는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와 제2 코인형 배터리가 장착 하우징에 장착시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과 접점되는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를 구비하는 접점 감지부와,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와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이 접점되며 동시에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와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이 접점시 제1 코인형 배터리와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전원을 휴대용 의료기기로 공급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와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이 접점시 온 제어되어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휴대용 의료기기로 공급하는 제1 스위치와,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와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이 접점시 온 제어되어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전원을 휴대용 의료기기로 공급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며, 제2 스위치는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와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이 접점되고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와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이 접점되지 않는 경우 제1 코인형 배터리로부터 휴대용 의료기기로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제1 스위치는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와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이 접점되고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와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이 접점되지 않는 경우 제2 코인형 배터리로부터 상기 휴대용 의료기기로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는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접점 감지부가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에 접점시 온 제어되거나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접점 감지부가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에 접점시 온 제어되는 스위치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 스위치 또는 제2 스위치는 MOSFET(Metal Oxide Silicon Field Effect Transister),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또는 FET(Field Effect Transister)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접점 감지부는 장착 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코인형 배터리가 장착 하우징에 장착시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에 접점하는 둘레 범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접점 감지부는 장착 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 코인형 배터리가 장착 하우징에 장착시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에 접점하는 둘레 범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코인형 배터리의 감지 장치는 제1 코인형 배터리가 장착 하우징에 장착시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이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에 접점되도록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와, 제2 코인형 배터리가 장착 하우징에 장착시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이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에 접점되도록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인형 배터리의 감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인형 배터리의 감지 장치는 다수의 코인형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의료기기에서 다수의 코인형 배터리가 모두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지를 감지함으로써, 휴대용 의료기기의 양극 단자 또는 음극 단자의 접점 불량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인형 배터리의 감지 장치는 다수의 코인형 배터리가 모두 정상적으로 장착된 경우에만 동작함으로써, 휴대용 의료기기로 정상 작동 전원을 공급하여 혈당 등 생체 수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휴대용 의료기기에 형성되어 있는 종래 코인형 배터리의 장착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료기기의 코인형 배터리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 하우징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구체적인 회로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 하우징에 코인형 배터리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료기기의 코인형 배터리 감지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료기기의 코인형 배터리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 하우징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참고로 살펴보면, 자가 혈당측정기와 같은 휴대용 의료기기(100)에는 복수의, 예를 들어 2개의 코인형 배터리(101, 103)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하우징(110)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 하우징(110)은 덮개(120)에 의해 개폐되는데, 장착 하우징(110)의 하면에는 휴대용 의료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소자가 실장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170)이 배치되어 있다. 특히 인쇄회로기판에는 제1 코인형 배터리(101)와 제2 코인형 배터리(103)가 정상적으로 장착된 경우에만 휴대용 의료기기로 필요한 전원을 공급 제어하는 제어부가 실장되어 있다.
장착 하우징(110)에는 2개의 코인형 배터리(101, 103)가 장착 배치되는 안착홈(111, 113)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데, 안착홈(111, 113) 사이에는 2개의 코인형 배터리를 지지하는 지지대(115)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코인형 배터리 중 제1 코인형 배터리(101)는 안착홈(111)에 지지대(115)로 지지되어 장착되며, 제2 코인형 배터리(103)는 안착홈(113)에 지지대(115)로 지지되어 각각 장착된다.
인쇄회로기판(170)에는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1)와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3)가 실장되는데,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1)는 관통된 안착홈(111)으로 상향 돌출되어 있으며,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3)는 관통된 안착홈(113)으로 상향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1)는 제1 코인형 배터리(101)를 장착 하우징(110)에 장착시 제1 코인형 배터리(101)의 음극과 접점되며, 제2 코인형 배터리 감지부(143)는 제2 코인형 배터리(103)를 장착 하우징(110)에 장착시 제2 코인형 배터리(103)의 음극과 접점된다.
한편, 장착 하우징(110)의 상면 일단에는 휴대용 의료기기 하우징(60)이 장착 하우징(110)의 상면 일단과 일정 이격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장착 하우징(110)과 휴대용 의료기기 하우징(60)의 사이 공간에 제1 코인형 배터리(101) 또는 제2 코인형 배터리(103)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130a, 130b)을 형성한다. 삽입 공간(130a)에는 제1 코인형 배터리(101)의 양극 부분과 밀착되는 제1 코인형 배터리(101)의 양극 단자(12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 공간(130b)에는 제2 코인형 배터리(103)의 양극 부분과 밀착되는 제2 코인형 배터리(103)의 양극 단자(123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코인형 배터리(101)가 삽입 공간(130a)에 삽입 배치시 휴대용 의료기기 하우징(60)은 제1 코인형 배터리(101)를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단자(121a) 또는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1)에 밀착 고정되도록 지지하며, 이와 동일하게 제2 코인형 배터리(103)가 삽입 공간(130b)에 삽입 배치시 휴대용 의료기기 하우징(60)은 제2 코인형 배터리(103)를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단자(121b) 또는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3)에 밀착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장착 하우징에 코인형 배터리를 장착한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지대(115)의 하면에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실장되어 안착홈(111)으로 돌출하는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 단자(121a)와 안착홈(113)으로 돌출하는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 단자(121b)가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 단자(121a)와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 단자(121b)는 탄성 재질로 일체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안착홈(111, 113)으로 상향 돌출되며 제1 코인형 배터리(101) 또는 제2 코인형 배터리(103)가 안착홈(111, 113)에 안착시 제1 코인형 배터리(101) 또는 제2 코인형 배터리(103)의 하단에 형성된 음극에 밀착 접점된다.
한편, 삽입공간(130a)에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있는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양극 단자(12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공간(130b)에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있는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양극 단자(123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코인형 배터리(101)의 옆면은 양극인데 제1 코인형 배터리(101)가 안착홈(111)에 장착시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양극은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양극 단자(123a)에 접점되고, 제2 코인형 배터리(103)의 옆면은 양극인데 제2 코인형 배터리(103)가 안착홈(113)에 장착시 제2 코인형 배터리(103)의 양극은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양극 단자(123b)에 접점된다.
제1 코인형 배터리(101)가 삽입 공간(130a)에 삽입 배치시 휴대용 의료기기 하우징(60)은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단자(121a)의 탄성에 의해 상향 이동하는 제1 코인형 배터리(101)를 하향 가압하여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단자(121a) 또는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1)에 밀착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역활을 수행하며, 이와 동일하게 제2 코인형 배터리(103)가 삽입 공간(130b)에 삽입 배치시 휴대용 의료기기 하우징(60)은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단자(121b)의 탄성에 의해 상향 이동하는 제2 코인형 배터리(103)를 하향 가압하여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단자(121b) 또는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3)에 밀착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인쇄회로기판에는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1)와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3)가 실장되어 있는데,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1)는 안착홈(111)로 상향 돌출되어 제1 코인형 배터리(101)를 장착 하우징(110)에 장착시 제1 코인형 배터리(101)의 음극에 접점하는 범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3)는 안착홈(113)으로 상향 돌출되어 제2 코인형 배터리(103)를 장착 하우징(110)에 장착시 제2 코인형 배터리(103)의 음극에 접점하는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장착 하우징(110)의 상단에는 제1 코인형 배터리(101)를 장착시 제1 코인형 배터리(101)를 장착 하우징(110)의 하단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제1 고정부(151)와 제2 코인형 배터리(103)를 장착시 제2 코인형 배터리(103)를 장착 하우징(110)의 하단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제2 고정부(153)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51)는 삽입공간(130a)의 휴대용 의료기기 하우징(60)과 함께 제1 코인형 배터리(101)를 장착 하우징(110)에 장착시 제1 코인형 배터리(101)의 음극을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1)에 밀착 접점시키며, 제2 고정부(153)는 삽입공간(130b)의 휴대용 의료기기 하우징(60)과 함께 제2 코인형 배터리(103)를 장착 하우징(110)에 장착시 제2 코인형 배터리(103)의 음극을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3)에 밀착 접점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200)는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1)와 제1 코인형 배터리(101)의 음극이 접점되며 동시에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3)와 제2 코인형 배터리(103)의 음극이 접점시 제1 코인형 배터리(101)와 제2 코인형 배터리(103)의 전원을 휴대용 의료기기로 공급 제어하는데, 제어부(200)는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1)와 제1 코인형 배터리(101)의 음극이 접점시 온 제어되어 제1 코인형 배터리(10)의 전원을 휴대용 의료기기의 전자 소자로 공급하는 제1 스위치(210)와,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3)와 제2 코인형 배터리(103)의 음극이 접점시 온 제어되어 제2 코인형 배터리(103)의 전원을 휴대용 의료기기의 전자 소자로 공급하는 제2 스위치(220)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치(210)는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3)와 제2 코인형 배터리(103)의 음극이 서로 접점되고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1)와 제1 코인형 배터리(101)의 음극이 서로 접점되지 않는 경우 휴대용 의료기기의 전자 소자로 전원 공급을 차단 제어하며, 제2 스위치(220)는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1)와 제1 코인형 배터리(101)의 음극이 서로 접점되고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3)와 제2 코인형 배터리(103)의 음극이 서로 접점되지 않는 경우 휴대용 의료기기의 전자 소자로 전원 공급을 차단 제어한다.
즉, 제2 코인형 배터리(103)만이 정상으로 장착되고 제1 코인형 배터리(101)가 장착되지 않았거나 정상적으로 장착되지 않은 경우,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3)와 제2 코인형 배터리(103)의 음극은 서로 접점되고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1)와 제1 코인형 배터리(101)의 음극은 서로 접점되지 않아 제1 스위치(210)는 오프되고 제2 스위치(220)은 온되어 휴대용 의료기기의 전자 소자로 전원 공급을 차단 제어한다. 또한, 제1 코인형 배터리(101)만이 정상으로 장착되고 제2 코인형 배터리(103)가 장착되지 않았거나 정상적으로 장착되지 않은 경우,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1)와 제1 코인형 배터리(101)의 음극은 서로 접점되고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3)와 제2 코인형 배터리(103)의 음극은 서로 접점되지 않아 제1 스위치(210)는 온되고 제2 스위치(220)은 오프되어 휴대용 의료기기의 전자 소자로 전원 공급을 차단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구체적인 회로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로 살펴보면, 제1 스위치(210)는 FET(Field Effective Transister)로 게이트 단자는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1)에 접속되어 있어, 제1 코인형 배터리(101)의 음극이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1)에 접점시 제1 스위치(210)의 게이트는 로우(low)로 떨어져 제1 스위치(210)는 온된다. 한편, 제2 스위치(220)는 FET(Field Effective Transister)로 게이트 단자는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3)에 접속되어 있어, 제2 코인형 배터리(103)의 음극이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3)에 접점시 제2 스위치(220)의 게이트는 로우(low)로 떨어져 제1 스위치(210)는 온된다. 따라서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1)와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143)에서 제1 코인형 배터리(101)와 제2 코인형 배터리(103)가 모두 정상적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만, 제1 스위치(210)와 제2 스위치(220)가 모두 온되어 제1 코인형 배터리(101)와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전원을 휴대용 의료기기의 전자 소자로 공급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 제1 코인형 배터리 103: 제2 코인형 배터리
110: 안착 하우징 120: 덮개
121: 음극단자 123: 양극단자
130: 삽입공간
141: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 143: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
151: 제1 고정부 153: 제2 고정부
210: 제1 스위치 220: 제2 스위치

Claims (5)

  1. 휴대용 의료기기에 장착되는 코인형 배터리의 감지 장치에 있어서,
    제1 코인형 배터리와 제2 코인형 배터리가 장착되는 장착 하우징;
    상기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 또는 상기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이 접점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음극 단자와, 상기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양극 또는 상기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양극이 접점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양극 단자를 구비하는 단자부;
    상기 제1 코인형 배터리를 상기 장착 하우징에 장착시 상기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과 접점되는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와 상기 제2 코인형 배터리를 상기 장착 하우징에 장착시 상기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과 접점되는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를 구비하는 접점 감지부; 및
    상기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와 상기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이 접점되며 동시에 상기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와 상기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이 접점시 상기 제1 코인형 배터리와 상기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휴대용 의료기기로 공급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와 상기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이 접점시 온 제어되어 상기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휴대용 의료기기로 공급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와 상기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이 접점시 온 제어되어 상기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휴대용 의료기기로 공급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와 상기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이 접점되고 상기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와 상기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이 접점되지 않는 경우 상기 휴대용 의료기기로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와 상기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이 접점되고 상기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와 상기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이 접점되지 않는 경우 상기 휴대용 의료기기로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배터리의 감지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는 상기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접점 감지부가 상기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에 접점시 온 제어되거나 상기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접점 감지부가 상기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에 접점시 온 제어되는 F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배터리의 감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접점 감지부는 상기 장착 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코인형 배터리를 상기 장착 하우징에 장착시 상기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에 접점하는 범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접점 감지부는 상기 장착 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코인형 배터리를 상기 장착 하우징에 장착시 상기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에 접점하는 범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배터리의 감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인형 배터리의 감지 장치는
    상기 제1 코인형 배터리를 상기 장착 하우징에 장착시 상기 제1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을 상기 제1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에 접점되도록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코인형 배터리를 상기 장착 하우징에 장착시 상기 제2 코인형 배터리의 음극을 상기 제2 코인형 배터리 접점 감지부에 접점되도록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배터리의 감지 장치.
KR1020140054088A 2014-05-07 2014-05-07 휴대용 의료기기의 코인형 배터리 감지 장치 KR101538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088A KR101538063B1 (ko) 2014-05-07 2014-05-07 휴대용 의료기기의 코인형 배터리 감지 장치
PCT/KR2015/004557 WO2015170893A1 (ko) 2014-05-07 2015-05-07 휴대용 의료기기의 코인형 배터리 감지 장치
EP15789135.9A EP3141917A4 (en) 2014-05-07 2015-05-07 Apparatus for sensing coin type batteries of portable medic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088A KR101538063B1 (ko) 2014-05-07 2014-05-07 휴대용 의료기기의 코인형 배터리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063B1 true KR101538063B1 (ko) 2015-07-22

Family

ID=53874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088A KR101538063B1 (ko) 2014-05-07 2014-05-07 휴대용 의료기기의 코인형 배터리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141917A4 (ko)
KR (1) KR101538063B1 (ko)
WO (1) WO201517089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2561U (ko) * 1990-02-02 1991-10-24
JP3102561B1 (ja) * 1999-06-22 2000-10-23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車両用支持部材取付装置
JP2013191582A (ja) * 2013-06-07 2013-09-26 Panasonic Corp 携帯型医療機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9550A (ja) * 1990-08-30 1992-04-10 Sharp Corp 電池取り付け装置
JP2500088B2 (ja) * 1992-10-29 1996-05-29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池有無検出装置
JP3102561U (ja) * 2003-12-26 2004-07-08 株式会社ドウシシャ コイン形・ボタン形電池用電池検査器
JP2006310083A (ja) * 2005-04-28 2006-11-09 Gunze Ltd ボタン電池取り付け構造、電子機器、及び血糖値計測表示器
WO2013066873A1 (en) * 2011-10-31 2013-05-10 Abbott Diabetes Car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integrated reset systems and methods thereof
US9300129B2 (en) * 2013-03-12 2016-03-29 Ascensia Diabetes Care Holding Ag Reverse battery protection for battery-powered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2561U (ko) * 1990-02-02 1991-10-24
JP3102561B1 (ja) * 1999-06-22 2000-10-23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車両用支持部材取付装置
JP2013191582A (ja) * 2013-06-07 2013-09-26 Panasonic Corp 携帯型医療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41917A4 (en) 2017-05-31
EP3141917A1 (en) 2017-03-15
WO2015170893A1 (ko) 2015-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8746B1 (ko) 배터리팩
US20100065426A1 (en) Strip Connectors For Measurement Devices
RU2686463C2 (ru) Цифровое обнаружение образца в измерителе аналита
US20140318987A1 (en) Analyte meter test strip detection
CN102971626A (zh) 具有深度节能模式的手持式测试仪
US20150293568A1 (en) Electronic Devices Having Integrated Reset Systems and Methods Thereof
US9652710B2 (en) Method for recording the number of sterilizations of a piece for a medical device
US6781921B2 (en) Wristwatch with measuring function
KR101538063B1 (ko) 휴대용 의료기기의 코인형 배터리 감지 장치
JP2010122100A (ja) 防水型ガスセンサ
US9929444B2 (en) Battery pack and method of indicating remaining capacity thereof
US5221457A (en) System for analyzing ion levels in fluids
CN111918160B (zh) 可充电耳机以及可穿戴设备
CN102869955A (zh) 无线传感器单元和用于无线传感器的维护方法
KR20140147730A (ko) 배향 독립형 측정기
US9948124B2 (en) Battery charging with dynamic current limiting
JP2010057694A (ja) 生体情報測定装置
JP5011915B2 (ja) 充電台
JPH11297289A (ja) 電池収納装置
CN103403535A (zh) 经由直接的或生成的信号应用而具有深度节能模式的电子装置以及使用此类电子装置的方法
US9406459B2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JP5114284B2 (ja) 電気化学センサ及び携帯用電気化学センサセット
RU2015134753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силовой цепи,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силовой цепью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контроля силовой цепи
KR20180056095A (ko) 중력을 이용한 전기적 수평센서
JP2024504676A (ja) ベースユニット、送信機ユニット、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及び連続的な分析物監視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