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651B1 - System for supplying virtual menu conneted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supplying virtual menu conneted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651B1
KR101537651B1 KR1020130052489A KR20130052489A KR101537651B1 KR 101537651 B1 KR101537651 B1 KR 101537651B1 KR 1020130052489 A KR1020130052489 A KR 1020130052489A KR 20130052489 A KR20130052489 A KR 20130052489A KR 101537651 B1 KR101537651 B1 KR 101537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virtual menu
objects
camera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4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33010A (en
Inventor
조수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임페이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임페이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임페이퍼
Priority to KR1020130052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651B1/en
Publication of KR20140133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0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6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관의 비주얼 마커가 동일한 전자기기가 복수개 있는 상황에서 카메라폰으로 비춘 전자기기만 조작하여 기능 수행 명령을 내릴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식별정보 추출부, 식별정보 수신부, 오브젝트 인식부 및 가상 메뉴 증강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정보와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식별정보 추출부는 카메라의 촬영을 통해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식별정보 수신부는 상기 추출된 제1 식별정보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오브젝트 인식부는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한다. 상기 가상 메뉴 증강부는 상기 인식된 제1 오브젝트에 대한 가상 메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 menu,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capable of operating a function-executing command by operating only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phone in a situation where a visual marker of an external appearance has a plurality of identical electronic devices .
To this end, the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an object recognizing unit, and a virtual menu enhancing unit. The database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bject and information about a virtual menu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extract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object from the image received through the camera.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receive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extracted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object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virtual menu enhancement unit provides a virtual menu for the recognized first object.

Description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 및 방법 {SYSTEM FOR SUPPLYING VIRTUAL MENU CONNETED AND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관의 비주얼 마커가 동일한 전자기기가 복수개 있는 상황에서 카메라폰으로 비춘 전자기기만 조작하여 기능 수행 명령을 내릴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 menu,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capable of operating a function-executing command by operating only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phone in a situation where a visual marker of an external appearance has a plurality of identical electronic devices .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3D 및 스마트TV 경쟁력강화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I2904-12-1003, 과제명: AR 기술을 응용한 3D 컨텐츠 기반 감성적 커뮤니케이션 앱 및 스마트 오브젝트 개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rived from research carried out by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Promotion Agency as part of the 3D and Smart TV Competitiveness Enhancement Project [Project Number: I2904-12-1003, Title: 3D content based on AR technology Emotional Communication App and Smart Object Development].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은 사용자가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영상을 겹쳐 보여주는 기술로서, 현실세계에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증강현실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과 대비된다. 즉, 가상현실기술은 일반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의 환경에 몰입하게 하므로 사용자는 실제 환경을 볼 수 없는 반면, 증강현실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실제 환경을 볼 수 있으며, 실제 환경과 가상의 객체가 혼합된 형태를 띤다.Augmented Reality (AR) is a technique for superimposing virtual images on the real world that a user sees. It is also referred to as a mixed reality (MR) because a virtual world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is combined into a single image . Such augmented reality contrasts with virtual reality. In other words, the virtual reality technology generally allows the user to immerse in the virtual environment, so that the user can not see the actual environment, whereas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llows the user to see the real environment, .

이와 같은 증강현실 기술은 연산처리량이 많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고성능 사양의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였지만, 최근 출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를 기본 사양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계산량이 많은 연산도 처리할 수 있는 높은 사양을 구비하고 있어, 3D 렌더링, 또는 카메라 영상 처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나아가 고성능 데스크톱에서 가능했던 가상현실 기술이나 증강현실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Suc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has been generally used in a high performance specification system because of its large amount of computation processing. However,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equipped with a camera as a basic specification, It is equipped with high specification and provides various services such as 3D rendering or camera image processing to users and furthermore provides virtual reality technology or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which was possible on high performance desktop.

현재 단말기에 증강현실 기술이 적용되는 사례로 "핫코드"와 "비주얼코드 인식 시스템"이 있다. 먼저, "핫코드"란 종래의 바코드를 이용하는 기술로, 사용자가 카메라가 구비된 단말기(일명, 카메라폰)로 바코드를 비추기만 하면, 카메라폰의 카메라가 상기 바코드를 포착하여 해당 컨텐츠가 있는 인터넷 상의 공간으로 이동하는 증강현실 기술을 말한다. 그리고 "비주얼코드 인식 시스템"란 바코드를 인식하여 단말기의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정보(즉, 텍스트, 또는 음성, 또는 이미지 등과 같은 가상 오브젝트)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증강 해주는 증강현실 기술이다.Currently, there are "hot code" and "visual code recognition systems" wher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applied to handsets. First, "hot code" is a technique using a conventional bar code. When a user simply illuminates a bar code with a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aka a camera phone), the camera of the camera phone captures the bar cod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at moves to a space on the screen. The "visual code recognition system" is a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at recognizes bar codes and pre-stores information (i.e., virtual objects such as text, voice, or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terminal on the display of the terminal.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32336호 "이동단말기 및 그의 증강현실 정보의 표시 방법"에서는 단말기의 카메라로 촬영된 프리뷰 영상에서, 각 대상물의 AR 정보 아이콘이 그 대상물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경우, 원거리에 있는 대상물의 AR 정보 아이콘이 상기 프리뷰 영상의 앞에 표시되는 AR 정보 화면을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32336 entitled " Mobi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of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 when an AR information icon of each object is superimposed on the object in a preview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of a terminal, Discloses a technique for providing an AR information screen in which an AR information icon of an object in a preview image is displayed in front of the preview image.

한편, 사용자가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카메라폰으로 비춰 증강된 메뉴를 통해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카메라폰으로 비춘 전자기기 근처(카메라폰과 무선통신이 가능한 거리 이내)에 상기 전자기기의 외관, 구체적으로 외관에 있는 이미지 등의 비주얼 마커가 동일하면, 카메라폰은 가상 메뉴의 조작에 따른 제어를 어느 전자기기에서 실시해야 판단하기 어렵다. 즉, 전자기기의 외관을 담은 실사 영상 정보만으로는 어느 전자기기에 제어 메시지를 전송해야 할 것인지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동일한 전자기기가 복수개 있는 상황에서 카메라폰으로 비춘 전자기기만 조작하여 기능 수행 명령을 내릴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a user may control an electronic device through an enhanced menu by illuminating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s a camera phone. At this time, if the visual markers such as the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device, specifically the image on the external appearance are the same in the neighborhood of the electronic device which is represented by the camera phone (within a distance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amera phon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ich electronic device should be controlled.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o which electronic device the control message should be transmitted only with the real image information containing the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devic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capable of operating a function-executing command by operating only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phone in a situation where there are a plurality of the same electronic devices.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8689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 및 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138689 "Management Server and Method Providing Cloud Computing Service"

본 발명은 카메라폰으로 비춘 전자기기 근처(카메라폰과 무선통신이 가능한 거리 이내)에 상기 전자기기의 외관, 구체적으로 외관에 있는 이미지 등의 비주얼 마커가 동일하면, 카메라폰은 가상 메뉴의 조작에 따른 제어를 어느 전자기기에서 실시해야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isual markers such as the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device, specifically the image on the external appearance are the same in the vicinity of the electronic device which is represented by the camera phone (within a distance within whic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amera phone is possible) Which is difficult to judge which electronic device should perform th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외관의 비주얼 마커가 동일한 전자기기가 여러 개 있는 상황에서 카메라폰으로 비춘 전자기기만 조작하여 기능 수행 명령을 내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urpose is to operate only the electronic device that has been displayed as a camera phone and to issue a function execution command in a situation where there are a plurality of visual devices having the same visual marker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식별정보 추출부, 식별정보 수신부, 오브젝트 인식부 및 가상 메뉴 증강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정보와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식별정보 추출부는 카메라의 촬영을 통해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식별정보 수신부는 상기 추출된 제1 식별정보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오브젝트 인식부는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한다. 상기 가상 메뉴 증강부는 상기 인식된 제1 오브젝트에 대한 가상 메뉴를 제공한다.
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a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includes a database,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an object recognizing unit, and a virtual menu enhancing unit. The database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bject and information about a virtual menu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extract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object from the image received through the camera.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receive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extracted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object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virtual menu enhancement unit provides a virtual menu for the recognized first objec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로 비춘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비주얼 마커)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가 존재하더라도 상기 인식된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제2 식별정보(추가적인 마커)를 기초로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함으로써, 비주얼 마커가 동일한 오브젝트들을 구별하여 카메라로 비춘 오브젝트에만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re is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visual marker) of the first object exposed by the camera, (Additional markers), the visual marker can distinguish the same objects and issue a control command only to the objects rendered by the camera.

또한, 카메라로 비춘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비주얼 마커)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가 존재하더라도 오브젝트들 각각에 서로 다른 제2 식별정보를 지정해주고, 통신이나 화면을 통해 제1 오브젝트로부터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지정된 제2 식별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할 수 있다. 특히, 화면을 통해 인식된 제2 식별정보와 지정된 제2 식별정보를 비교하는 방식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오브젝트로 단방향 통신만 가능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Further, even if there is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visual marker) of the first object exposed by the camera, different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ssigned to each of the objects, The first object can be recognized by receiv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object and comparing it with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signated. Particularly, the method of compar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screen with the designat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only one-way communication with the object is possibl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 카메라로 비춘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비주얼 마커)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가 존재하더라도 이동통신단말기가 각 오브젝트로부터 제2 식별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화면을 통해 인식된 제1 오브젝트의 제2 식별정보와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 동일한 경우 제1 오브젝트와 이후 조작을 위한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동일한 전자기기가 있는 상황에서도 카메라로 촬영하고 있는 오브젝트에만 가상 메뉴의 조작에 따른 기능 수행 명령을 내릴 수 있다.Also, even if there is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visual marker) of the first object exposed by the camer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s and receive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each object,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object recognized through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object recognized through the second object, A function execution comm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irtual menu can be issued.

또, 카메라로 비춘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비주얼 마커)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가 존재하더라도 이동통신단말기가 '오브젝트를 tap 하세요' 혹은 '오브젝트를 살짝 기울여주세요', '오브젝트를 들었다 놓아주세요'와 같은 안내 문구를 표시하며, 상기 안내 문구에 따라 사용자가 액션을 취하면 흔들림 정보를 전송한 제1 오브젝트와 기능 조작을 위한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동일한 전자기기가 있는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오브젝트에만 가상 메뉴의 조작에 따른 기능 수행 명령을 내릴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방식은 제2 식별정보로 흔들림 정보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가 오브젝트를 비추고 있지 않아도 가능하다.
Also, even if there is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visual marker) of the first object exposed by the camer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perform a 'tap object' or ' And if the user takes an 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guidance message,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for a function operation with the first object that transmitted the shake information, The user can issue a function execu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irtual menu only to the object desired by the user. Particularly, since this method uses the shaking information a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illuminate the obj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화면상의 오브젝트 A에 가상 메뉴가 증강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동일한 외관을 가지는 오브젝트들에서 추가적인 비주얼 마커를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에 제2 식별정보를 지정해주는 방식이 사용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구현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로 제2 식별정보를 요청하는 방식이 사용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구현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의 흔들림 정보가 사용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구현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메뉴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에 제2 식별정보를 지정해주는 방식이 사용된 가상 메뉴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로 제2 식별정보를 요청하는 방식이 사용된 가상 메뉴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의 흔들림 정보가 사용된 가상 메뉴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virtual menu is enhanced on an object A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 additional visual marker displayed on objects having the same appear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using a method of assigning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n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the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implemented in FIG.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using a method of requesting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n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the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implemented in FIG.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using shaking information of an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the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implemented in FIG.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menu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menu using a method of assigning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n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menu using a method of requesting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n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menu using shaking information of an obj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위하여 실제와는 달리 과장된 수치가 제시되었을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Further,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values are merely examples, and exaggerated values may be presented for convenience an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시스템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이 적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통신단말기(20)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 PMP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and a PMP.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110), 영상 수신부(120), 식별정보 추출부(130), 식별정보 수신부(140), 오브젝트 인식부(150), 가상 메뉴 증강부(160), 제어부(170)를 포함한다.1, a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110, an image receiving unit 120,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40, an object recognizing unit 150, A virtual menu enhancement unit 160, and a control unit 170. [

데이터베이스(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정보와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메뉴에 대한 정보를 서버(1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상기 가상 메뉴에 대한 정보는 식별정보마다 가상 메뉴가 연계되도록 정의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오브젝트는 영상으로 식별되는 실생활의 물체, 오브젝트의 식별정보는 오브젝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마커정보, 또는 특징점정보와 같은 비마커정보)를 의미한다. 또, 상기 가상 메뉴는 도 2와 같이, 오브젝트 상에 증강되는 메뉴(버튼)로, 오브젝트 대상 본연의 기능 혹은 그와 연계된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UI 컴포넌트(User Interface Component)이다.The database 110 receives and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bject and information about a virtual menu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10. The information on the virtual menu means information defined such that a virtual menu is associated with ea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object is an actual object identified by an imag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s information (e.g., marker information or non-marker information such as minutia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bject. 2, the virtual menu is a menu (button) to be augmented on an object, and is a UI component (User Interface Component) capable of manipulating the function of the object object or a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object.

영상 수신부(120)는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실물 오브젝트의 실사 영상을 카메라(21)로 촬영하면, 카메라(21)로부터 촬영된 실사 영상을 수신한다.The image receiving unit 120 receives the real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21 when the real image of the real object to be viewed by the user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21. [

식별정보 추출부(130)는 카메라(21)의 촬영을 통해 수신된 실사 영상으로부터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제1 식별정보는 오브젝트의 외관에 있는 비주얼 마커 정보를 의미한다. 비주얼 마커는 증강현실 Toolkit에서 사용되는 검정 사각테두리 또는 QRCode에서 사용되는 겹쳐진 사각형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 형태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 extract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object from the real image received through the photographing of the camera 21. [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visual marker information in the appearance of the object. The visual markers may be black rectangular frames used in the Augmented Reality Toolkit or overlapping rectangles used in the QRCod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a configuration.

식별정보 수신부(140)는 상기 추출된 제1 식별정보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는 이동통신단말기(20)와 블루투스 등으로 페어링(pairing)되어 있어 무선 통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식별정보는 제1 식별정보가 동일한 오브젝트들을 인식할 수 있는 추가적인 마커에 관한 정보로, 이동통신단말기(20)와 오브젝트들 간 상호 정해진 프로토콜 방식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일예로, 전자기기에 이용 가능한 디스플레이가 있는 경우 전자기기는 식별 가능한 이미지 등을 표시하여 제2 식별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도 3과 같이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는 없고 LED가 있는 경우 LED의 깜박임(모스 부호와 같이 깜박임의 주기 등을 변경하여 식별할 수 있는 coded signal 생성)을 표시하여 제2 식별정보를 나타낼 수도 있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40 receive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extracted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at least one object is pair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by Bluetooth or the like, and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additional markers that can recogniz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fers to information related to protocol methods mutually determin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objects. For example, when there is a display available for an electronic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n identifiable image or the like to indicate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another example, if there is no display in the electronic device and an LED is present as shown in FIG. 3, the LED indicates flickering (coded signal generation that can be identified by changing the flickering period such as Morse code) to indicate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오브젝트 인식부(150)는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정보를 기초로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한다.The object recognition unit 150 recognizes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가상 메뉴 증강부(160)는 상기 인식된 제1 오브젝트에 대한 가상 메뉴를 도 2와 같이 UI 컴포넌트의 형태로 전자기기 상에 제공한다. 예를 들면, 스피커 표면에 볼륨 컨트롤, 플레이 컨트롤 등 음악을 듣기 위한 조작 버튼을 가상으로 증강하여 표시한다. 기본적으로 가상 메뉴에 적용될 수 있는 UI 컴포넌트는 일반적인 PC나 스마트폰 등에서 사용되는 UI 컴포넌트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virtual menu enhancement unit 160 provides a virtual menu for the recognized first object on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form of a UI component as shown in FIG. For example, an operation button for listening to music such as volume control and play control is virtually augmented and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speaker. Basically, the UI components that can be applied to the virtual menu may be all UI components used in a general PC or a smart phon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170)는 제1 오브젝트 상에 증강된 가상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기능이 제1 오브젝트에서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20)가 오브젝트 A를 계속 비추고 있는 동안 실사 영상 내의 오브젝트 A 위치에 미리 정의된 가상 메뉴를 증강하여 표시하며, 사용자의 가상 메뉴 조작 명령은 오브젝트 A로 전송된다. 오브젝트 A가 카메라 영상에서 사라지면 전자기기 상에서의 LED 깜박임과 같은 추가적인 비주얼 마커 표시는 계속될 필요가 없다.The controller 170 processe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menu on the first object when the virtual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For example,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keeps illuminating the object A, the virtual menu defined in advance is augmented and displayed at the object A position in the real image, and the virtual menu operation command of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object A. If object A disappears from the camera image, additional visual marker display such as LED blinking on the electronic device need not be continued.

이와 같이, 카메라(21)로 비춘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비주얼 마커)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가 존재하더라도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인식된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제2 식별정보(추가적인 마커)를 기초로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함으로써, 비주얼 마커가 동일한 오브젝트들을 구별하여 카메라(21)로 비춘 오브젝트에만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다.In this way, even if there is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visual marker) of the first object exposed by the camera 21, (Additional markers), the visual markers can distinguish the same objects and can issue control commands only to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camera 21.

이러한 본 발명은 카메라(21)로 비춘 오브젝트의 통신이 꺼진 상태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식별정보가 동일한 오브젝트가 여러 개 인식된 경우나, 오브젝트와 이동통신단말기(20) 간의 통신이 양방향 또는 단방향인 경우뿐 아니라, 제2 식별정보가 화면을 통해 인식된 정보가 아닌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에 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st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of the object displayed by the camera 21 is turned off.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recognized, or whe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bjec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is bidirectional or unidirectional,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응용예 1 - 이동통신단말기가 오브젝트별로 제2 식별정보를 지정해주는 경우)(APPLICATION EXAMPLE 1 - Cas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ignate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object)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구현된 따른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the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implemented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200)은 데이터베이스(210), 영상 수신부(220), 식별정보 추출부(230), 식별정보 전송부(240), 식별정보 수신부(250), 오브젝트 인식부(260), 가상 메뉴 증강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구성과 유사한 구성에 관해서는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4, a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210, an image receiving unit 220,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230,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240,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250 An object recognition unit 260, a virtual menu enhancement unit 270, and a control unit 280. [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데이터베이스(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정보와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The database 210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bject and information about a virtual menu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영상 수신부(220)는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실물 오브젝트의 실사 영상을 카메라(21)로 촬영하면, 카메라(21)로부터 촬영된 실사 영상을 수신한다.The image receiving unit 220 receives the real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21 when the real image of the real object to be viewed by the user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21. [

식별정보 추출부(230)는 카메라(21)의 촬영을 통해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를 추출한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230 extract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object from the image received through the photographing of the camera 21. [

식별정보 전송부(240)는 상기 추출된 제1 식별정보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서로 다른 제2 식별정보를 지정하여 전송한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240 specifies different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extracted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제2 식별정보를 체크하는 방법은 페어링되어 있는 오브젝트가 하나인지 다수인지에 따라 다르다. 1개일 경우, 그냥 상호 약속된 방법으로 제2 식별정보가 정확히 식별되면 오브젝트 인식이 이루어진다. 2개 이상이면, 이 중에 제어할 오브젝트가 무엇인지 알아야 하므로, 이때는 제2 식별번호가 오브젝트마다 다르게 지정되어야 식별이 가능하다. The method of check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one or more objects are paired. In case of one, object recognition is performed only whe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rrectly identified in mutually agreed manner. If there are two or more objects, it is necessary to know what object to control. In this case, the second identification number must be specified differently for each object so that identification is possible.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제2 식별정보를 다르게 하는 방법으로 사전에 이동통신단말기(20)가 오브젝트마다 다른 방식을 지정해주고, 실제 수신된 제2 식별정보가 어떤 방식인지를 체크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도 5의 (a)와 같이 오브젝트 A를 카메라(21)로 비추고 있고, 오브젝트 A의 제1 식별정보가 동일한 오브젝트 B가 존재하는 경우, (b)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20)는 오브젝트 A, B에 각각 LED의 깜박임 주기를 1초, 2초로 지정한다. 이 예에서 깜박임 주기는 제2 식별정보를 나타낸다. 그러면, 상기 지정에 따라 (c)와 같이 오브젝트 A는 1초 주기로 깜박이고, 오브젝트 B는 2초 주기로 깜박이게 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may designate a different method for each object in advance by check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heck what type of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tually received. For example, when the object A is illuminated by the camera 21 as shown in FIG. 5A and the object B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A exists, as shown in FIG. 5B, Designates the flicker period of the LEDs on the objects A and B as 1 second and 2 seconds, respectively. In this example, the flicker cycle represent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n, according to the above designation, as shown in (c), the object A flickers every one second, and the object B flickers every two seconds.

식별정보 수신부(250)는 상기 추출된 제1 식별정보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은 통신망이나 카메라(21)의 촬영으로 생성된 화면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250 receive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extracted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reception is based on a screen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camera 21 Lt; / RTI &gt;

오브젝트 인식부(260)는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카메라(21)의 촬영을 통해 인식된 제2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한다. 즉, 도 5에서 살펴본 예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20)가 오브젝트 A, B의 깜박임 주기를 각각 1, 2초로 지정하고, 상기 지정대로 오브젝트들이 깜박이면 이를 카메라(21)의 화면을 통해 인식하여 오브젝트 A에 지정해준 깜박임 주기와 동일한지 비교하는 것이다. 또는 상기 지정대로 오브젝트들이 깜박이는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20)로 전송하면, 이동통신단말기(20)는 1초 주기라는 정보를 전송한 오브젝트 A를 기능 조작할 대상으로 인식한다.The object recognition unit 260 recognizes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shooting of the camera 21. [ That is, as shown in FIG. 5,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designates flicker periods of the objects A and B as 1 second and 2 seconds, respectively, when the objects blink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It is equal to the flicker period specified for object A. Alternatively, if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objects are blinking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recognizes the object A that transmitted the information of one second cycle as an object to be operated.

가상 메뉴 증강부(270)는 상기 인식된 제1 오브젝트에 대한 가상 메뉴를 제공한다(도 5의 (d) 참조).The virtual menu enhancement unit 270 provides a virtual menu for the recognized first object (see (d) of FIG. 5).

제어부(280)는 제1 오브젝트 상에 증강된 가상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기능이 제1 오브젝트에서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The control unit 280 processe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menu selected on the first object by the user so that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performed on the first object.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21)로 비춘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비주얼 마커)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가 존재하더라도 이동통신단말기가 오브젝트들 각각에 서로 다른 제2 식별정보를 지정해주고, 통신이나 화면을 통해 제1 오브젝트로부터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지정된 제2 식별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할 수 있다. 특히, 화면을 통해 인식된 제2 식별정보를 지정된 제2 식별정보와 비교하는 방식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오브젝트로 단방향 통신만 가능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re is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visual marker) of the first object exposed by the camera 21, The first object can be recognized by specifying the information, receiv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object through the communication or the screen, and comparing the receiv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designat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method of compar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screen with the designat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only one-way communication with the object is possibl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응용예 2 - 이동통신단말기가 오브젝트에 제2 식별정보를 요청하는 경우)(Application Example 2 -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object)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구현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the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implemented in FIG.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300)은 데이터베이스(310), 영상 수신부(320), 식별정보 추출부(330), 식별정보 요청부(340), 식별정보 수신부(350), 오브젝트 인식부(360), 가상 메뉴 증강부(370), 제어부(38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구성과 유사한 구성에 관해서는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6, a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310, an image receiving unit 320,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330,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questing unit 340,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350 An object recognition unit 360, a virtual menu enhancement unit 370, and a control unit 380.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데이터베이스(3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정보와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The database 310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bject and information about a virtual menu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영상 수신부(320)는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실물 오브젝트의 실사 영상을 카메라(21)로 촬영하면, 카메라(21)로부터 촬영된 실사 영상을 수신한다.The image receiving unit 320 receives the real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21 when the real image of the real object to be viewed by the user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21. [

식별정보 추출부(330)는 카메라(21)의 촬영을 통해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330 extract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object from the image received through the photographing of the camera 21.

식별정보 요청부(340)는 상기 추출된 제1 식별정보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통신망을 통해 제2 식별정보를 요청한다. 일예로, 도 7의 (a)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20)가 오브젝트 A, B와 페어링되어 있고, 오브젝트 A를 비추는 경우, 식별정보 요청부(340)는 (b)와 같이 오브젝트 A, B에 제2 식별정보, 이 실시예에서는 LED의 깜박임 정보를 요청한다. 여기서, 오브젝트들의 깜박임 주기는 미리 설정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가능하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quest unit 340 request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extracted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is paired with the objects A and B and illuminates the object A as shown in FIG. 7A,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questing unit 340 requests the objects A and B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is embodiment, the flicker information of the LED. Here, it is possible that the flicker period of the objects is set in advance.

식별정보 수신부(350)는 상기 요청에 따라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c)와 같이, 각 오브젝트는 이동통신단말기(20)로 깜박임 주기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설정된 주기대로 LED를 깜박이게 된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350 receives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objects according to the request. (c), each object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blink perio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blinks the LED according to the set period.

오브젝트 인식부(360)는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20)는 오브젝트 A, B로부터 수신된 깜박임 정보를 카메라(21)의 화면을 통해 인식된 오브젝트 A의 깜박임 주기와 동일한지 비교하는 것이다.The object recognition unit 360 recognizes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compares the flick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bjects A and B with the flicker period of the object A recognized through the screen of the camera 21.

가상 메뉴 증강부(370)는 상기 인식된 제1 오브젝트에 대한 가상 메뉴를 제공한다(도 7의 (d) 참조).The virtual menu enhancement unit 370 provides a virtual menu for the recognized first object (see (d) of FIG. 7).

제어부(380)는 제1 오브젝트 상에 증강된 가상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기능이 제1 오브젝트에서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The controller 380 processe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menu selected on the first object by the user so that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performed on the first object.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21)로 비춘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비주얼 마커)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가 존재하더라도 이동통신단말기가 각 오브젝트로부터 제2 식별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화면을 통해 인식된 제1 오브젝트의 제2 식별정보와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 동일한 경우 제1 오브젝트와 이후 조작을 위한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동일한 전자기기가 있는 상황에서도 카메라(21)로 촬영하고 있는 오브젝트에만 가상 메뉴의 조작에 따른 기능 수행 명령을 내릴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re is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visual marker) of the first object exposed by the camera 2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par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object recognized through the screen, and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the first object and the subsequent operation if the comparison result is identical, The function execution comm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irtual menu can be issued only to the object photographed by the camera 21. [

한편, 이동통신단말기(20)로 수신된 오브젝트들의 제2 식별정보는 동일할 수도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제2 식별정보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제2 식별정보로 구성된다. 그리고 식별정보 요청부(340)는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정보가 동일한 경우,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상기 동일한 제2 식별정보와 다른 제2 식별정보를 재요청하도록 구현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오브젝트가 각 제2 식별정보(예를 들면, LED 깜박임과 같은 비주얼 마커 + 깜박임 주기 1초와 같은 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20)로 전송하는 과정에 있어서, 우연히 동일한 제2 식별정보를 전송하게 될 경우 이동통신단말기(20)는 각 오브젝트에게 제2 식별정보를 재요청하고, 재요청을 받은 오브젝트가 다시 제2 식별정보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여 처리하면 된다. 여기서, 제2 식별정보는 사전에 정의되어 복수의 pre-defined set을 이동통신단말기(20)나 오브젝트가 알고 있다고 할 수 있다. Since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s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may be the same,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fferent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f the receiv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dentical,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questing unit 340 requests the one or more objects to re-request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sam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in a process in which two objects transmit each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 message such as a visual marker + flashing period and a flashing period of one secon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ransmit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request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gain for each object, and when the object that has been requested again transmit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receives and processe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re,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defined in advance, and a plurality of pre-defined sets may be know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or the object.

이와 같이, 제2 식별정보가 복수개로 구성되고, 이동통신단말기(20)로 수신된 오브젝트들의 제2 식별정보가 동일하면 제2 식별정보를 재요청함으로써, 문제없이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f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s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is the same,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quested again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without any problem.

또, 본 발명에서 각 오브젝트는 이동통신단말기(20)로부터 제2 식별정보를 재요청하는 메시지를 받을 때, 식별정보 수신부(350)는 상기 재요청에 따라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랜덤하게 선택된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each object receives a message requesting re-request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350 extracts a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이에 따라, 각 오브젝트로부터 전송받는 제2 식별정보가 동일할 확률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오브젝트에서 제2 식별정보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이동통신단말기(20)로 전송할 때, 서로 동일한 것을 선택하게 될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pre-defined set이 클수록 바람직하다.Thu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robability that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object is the same is reduced.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andomly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objects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defined set is large so as to minimize the probability of selecting the same one.

(응용예 3 - 오브젝트에 내장된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Application Example 3 - When using a sensor embedded in an object)

이하에서는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추가적인 비주얼 마커를 사용하지 않고도 카메라(21)로 비추는 오브젝트에만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only to an object illuminated by the camera 21 without using an additional visual marker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에서 구현된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operation procedure of the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implemented in FIG.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400)은 데이터베이스(410), 영상 수신부(420), 식별정보 추출부(430), 조작 명령 출력부(440), 식별정보 수신부(450), 오브젝트 인식부(460), 가상 메뉴 증강부(470), 제어부(48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구성과 유사한 구성에 관해서는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8, a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410, an image receiving unit 420,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430, an operation command outputting unit 440,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450 An object recognition unit 460, a virtual menu enhancement unit 470, and a control unit 480. [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데이터베이스(4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정보와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The database 410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bject and information about a virtual menu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영상 수신부(420)는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실물 오브젝트의 실사 영상을 카메라(21)로 촬영하면, 카메라(21)로부터 촬영된 실사 영상을 수신한다.The image receiving unit 420 receives the real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21 when the real image of the real object to be viewed by the user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21. [

식별정보 추출부(430)는 카메라의 촬영을 통해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를 추출한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430 extract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object from the image received through the photographing of the camera.

조작 명령 출력부(440)는 카메라(21)의 촬영을 통해 인식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명령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9의 (a)와 같이 오브젝트 A를 카메라(21)로 비추고 있고, 오브젝트 A의 제1 식별정보가 동일한 오브젝트 B가 존재하는 경우, 조작 명령 출력부(440)는 (b)와 같이 '오브젝트를 tap 하세요' 혹은 '오브젝트를 살짝 기울여주세요', '오브젝트를 들었다 놓아주세요'와 같은 안내 문구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안내 문구에 대응하는 액션을 취하여 (c)와 같이 오브젝트 A를 살짝 건드리면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이러한 액션에 따라 오브젝트 A의 센서 신호에 변동이 발생하면, 오브젝트 A는 이동통신단말기(20)로 흔들림이 있었다는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오브젝트의 흔들림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오브젝트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와 같이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내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ration command output unit 440 outputs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recognized object through the shooting of the camera 21. [ For example, when the object A is illuminated by the camera 21 as shown in Fig. 9A and the object B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A exists, the operation command output unit 440 outputs (b) Such as 'tap the object' or 'please tilt the object slightly' or 'let the object be heard and released'. As a result, the user can take an ac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ance phrase and lightly touch the object A as shown in (c). When the sensor signal of the object A changes according to the action of the user, the object A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has shake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bject includes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vibration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or a gyro sensor so as to easily grasp the shaking of the object.

식별정보 수신부(450)는 상기 출력된 조작 명령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여부에 관한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20)가 (b)와 같은 안내 문구를 표시한 후 일정시간 이내에 (c)와 같이 사용자가 오브젝트 A를 살짝 건드리면, 오브젝트 A는 흔들림이 있었다는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20)로 전송한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450 receive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the user has operated according to the output operation command. For example, if the user touches the object A lightly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displays the guidance message as shown in (b),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object A has shaken is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20).

오브젝트 인식부(460)는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한다. 즉, (c)와 같이 흔들림 정보를 출력한 오브젝트 A를 인식하고, 이 오브젝트 A와 기능 조작을 위한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The object recognition unit 460 recognizes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is, as shown in (c), the object A outputting the shake information is recogniz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for the object A and the function operation.

가상 메뉴 증강부(470)는 상기 인식된 제1 오브젝트에 대한 가상 메뉴를 제공한다(도 9의 (d) 참조).The virtual menu enhancement unit 470 provides a virtual menu for the recognized first object (see (d) of FIG. 9).

제어부(480)는 제1 오브젝트 상에 증강된 가상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기능이 제1 오브젝트에서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The controller 480 processe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menu on the first object when the virtual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21)로 비춘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비주얼 마커)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가 존재하더라도 이동통신단말기가 '오브젝트를 tap 하세요' 혹은 '오브젝트를 살짝 기울여주세요', '오브젝트를 들었다 놓아주세요'와 같은 안내 문구를 표시하며, 상기 안내 문구에 따라 사용자가 액션을 취하면 흔들림 정보를 전송한 제1 오브젝트와 기능 조작을 위한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동일한 전자기기가 있는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오브젝트에만 가상 메뉴의 조작에 따른 기능 수행 명령을 내릴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방식은 제2 식별정보로 흔들림 정보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20)가 오브젝트를 비추고 있지 않아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re is one or more objects having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cal to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visual marker) of the first object exposed by the camera 21, Quot ;, &quot; Please listen to the object &quot;, and &quot; Please release the object &quot;, and if the user takes an action according to the guidance message,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for the function operation with the first object that transmitted the shake information , It is possible to issue a function execution comm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irtual menu only to the object desired by the user even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the same electronic apparatuses. Particularly, this method uses shaking information a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does not illuminate the object.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오브젝트들이 존재한다는 전제 하에,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동시에 복수개의 오브젝트에서 흔들림이 있었다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다시 '오브젝트를 tap 하세요' 혹은 '오브젝트를 살짝 기울여주세요'와 같은 안내 문구를 표시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전제 하에서도, 오브젝트가 영상에서 사라지고 잠시 후 다시 오브젝트가 인식되는 경우에도 상기 안내 문구를 표시하면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shaken at a plurality of objects simultaneously is receiv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same objects exist, a guidance message such as 'tap object' or 'tilt the object slightly' . Even if the object disappears from the image and the object is recognized again after a while even under the above-mentioned premise, the guiding phrase may be displayed.

<방법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etho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메뉴 제공방법에 대해서 도 10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A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flowchart shown in FIG. 10, for convenience.

1.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가상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01>1.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n object and information on a corresponding virtual menu < S101 >

데이터베이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정보와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가상 메뉴에 대한 정보는 식별정보 마다 가상 메뉴가 연계되도록 정의한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오브젝트는 영상으로 식별되는 실생활의 물체, 오브젝트의 식별정보는 오브젝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마커정보, 또는 특징점정보와 같은 비마커정보)를 의미한다. 가상 메뉴는 오브젝트 상에 증강되는 메뉴로, 오브젝트 대상 본연의 기능 혹은 그와 연계된 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And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bject in the database and information on a virtual menu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n the virtual menu means information defined such that a virtual menu is associated with ea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object is a real-life object identified by an imag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s information (e.g., non-marker information such as marker information or minutia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bject. The virtual menu is a menu that is augmented on the object, and can manipulate the function of the object object or the function associated with it.

2.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실사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S102>2. Receiving a real image shot from a camera < S102 >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실물 오브젝트의 실사 영상을 카메라로 촬영하면,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실사 영상을 수신한다.When a real image of a physical object that the user wants to view is photographed by a camera, the real image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is received.

3.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103>3. Extract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object < S103 >

상기 단계 S102에서 카메라의 촬영을 통해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제1 식별정보는 오브젝트의 외관에 있는 비주얼 마커 정보를 의미한다.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object is extracted from the image received through the photographing of the camera in step S102.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visual marker information in the appearance of the object.

4. 제1 식별정보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4>4. Receiv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104>

상기 단계 S103에서 추출된 제1 식별정보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오브젝트로부터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등으로 페어링되어 있어 무선 통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식별정보는 제1 식별정보가 동일한 오브젝트들을 인식할 수 있는 추가적인 마커 정보로, 이동통신단말기와 오브젝트들 간 상호 정해진 프로토콜 방식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일예로, 전자기기에 이용 가능한 디스플레이가 있는 경우 전자기기는 식별 가능한 이미지 등을 표시하여 제2 식별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도 3과 같이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는 없고 LED가 있는 경우 LED의 깜박임(모스 부호와 같이 깜박임의 주기 등을 변경하여 식별할 수 있는 coded signal 생성)을 표시하여 제2 식별정보를 나타낼 수도 있다.And receive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object hav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cal to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ed in step S103. The at least one object is pair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Bluetooth or the like, and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dditional marker information that can recogniz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fers to information related to protocol methods mutually determin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bjects. For example, when there is a display available for an electronic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n identifiable image or the like to indicate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another example, if there is no display in the electronic device and an LED is present as shown in FIG. 3, the LED indicates flickering (coded signal generation that can be identified by changing the flickering period such as Morse code) to indicate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5. 제2 식별정보를 기초로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단계<S105>5. Recognizing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105>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정보를 기초로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한다.And recognizes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6. 제1 오브젝트 상에 가상 메뉴를 증강하는 단계<S106>6. Augmenting the virtual menu on the first object < S106 >

상기 단계 S105에서 인식된 제1 오브젝트에 대한 가상 메뉴를 도 2와 같이 UI 컴포넌트의 형태로 전자기기 상에 제공한다. 일예로, 스피커 표면에 볼륨 컨트롤, 플레이 컨트롤 등 음악을 듣기 위한 조작 버튼을 가상으로 증강하여 표시한다. The virtual menu for the first object recognized in step S105 is provided on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form of a UI component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operation buttons for listening to music such as volume control and play control are virtually displayed on the speaker surface.

7. 가상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1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S107>7. When the virtual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ommand controlling the first object < S107 >

제1 오브젝트 상에 증강된 가상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기능이 제1 오브젝트에서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20)가 오브젝트 A를 계속 비추고 있는 동안 실사 영상 내의 오브젝트 A 위치에 미리 정의된 가상 메뉴를 증강하여 표시하며, 사용자의 가상 메뉴 조작 명령은 오브젝트 A로 전송된다. 오브젝트 A가 카메라 영상에서 사라지면 전자기기 상에서의 LED 깜박임과 같은 추가적인 비주얼 마커 표시는 계속될 필요가 없다.When a virtual menu enhanced on the first object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processed in the first object. For example,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keeps illuminating the object A, the virtual menu defined in advance is augmented and displayed at the object A position in the real image, and the virtual menu operation command of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object A. If object A disappears from the camera image, additional visual marker display such as LED blinking on the electronic device need not be continued.

이와 같이, 카메라로 비춘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비주얼 마커)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가 존재하더라도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인식된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제2 식별정보(추가적인 마커)를 기초로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함으로써, 비주얼 마커가 동일한 오브젝트들을 구별하여 카메라로 비춘 오브젝트에만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다.In this way, even if there is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visual marker) of the first object exposed by the camer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extract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visual marker can distinguish the same objects and output control commands only to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camera.

이러한 본 발명은 카메라로 비춘 오브젝트의 통신이 꺼진 상태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식별정보가 동일한 오브젝트가 여러 개 인식된 경우나, 오브젝트와 이동통신단말기기 간의 통신이 양방향 또는 단방향인 경우뿐 아니라, 제2 식별정보가 화면을 통해 인식된 정보가 아닌 경우, 이하에서는 이에 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st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of an object displayed by a camera is turned off.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recognized, or whe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bjec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idirectional or unidirectional,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information recognized on the screen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응용예 1 - 이동통신단말기가 오브젝트별로 제2 식별정보를 지정해주는 경우)(APPLICATION EXAMPLE 1 - Cas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ignate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object)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메뉴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단계와 유사한 단계에 관해서는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menu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s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briefly described.

1.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가상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201>1. Step S201 of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n object and information on a virtual menu corresponding thereto,

데이터베이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정보와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And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bject in the database and information on a virtual menu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2.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실사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S202>2. Step S202 of receiving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 RTI ID = 0.0 >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실물 오브젝트의 실사 영상을 카메라로 촬영하면,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실사 영상을 수신한다.When a real image of a physical object that the user wants to view is photographed by a camera, the real image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is received.

3.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03>3. Extract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object < S203 >

상기 단계 S202에서 카메라의 촬영을 통해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In step S202,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object is extracted from the image received through the camera.

4. 제1 식별정보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오브젝트에 서로 다른 제2 식별정보를 지정하여 전송하는 단계<S204>4. Step S204 of assigning different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n object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ame,

상기 단계 S203에서 추출된 제1 식별정보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서로 다른 제2 식별정보를 지정하여 전송한다.Different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ssigned to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ed in step S203 and transmitted.

제2 식별정보를 체크하는 방법은 페어링되어 있는 오브젝트가 하나인지 다수인지에 따라 다르다. 1개일 경우, 그냥 상호 약속된 방법으로 제2 식별정보가 정확히 식별되면 오브젝트 인식이 이루어진다. 2개 이상이면, 이 중에 제어할 오브젝트가 무엇인지 알아야 하므로, 이때는 제2 식별번호가 오브젝트마다 다르게 지정되어야 식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제2 식별정보를 다르게 하는 방법으로 사전에 이동통신단말기가 오브젝트마다 다른 방식을 지정해주고, 실제 수신된 제2 식별정보가 어떤 방식인지를 체크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도 5의 (a)와 같이 오브젝트 A를 카메라로 비추고 있고, 오브젝트 A의 제1 식별정보가 동일한 오브젝트 B가 존재하는 경우, (b)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는 오브젝트 A, B에 각각 LED의 깜박임 주기를 1초, 2초로 지정한다. 상기 예에서 깜박임 주기는 제2 식별정보를 나타낸다. 그러면, 상기 지정에 따라 (c)와 같이 오브젝트 A는 1초 주기로 깜박이고, 오브젝트 B는 2초 주기로 깜박이게 된다.The method of check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one or more objects are paired. In case of one, object recognition is performed only whe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rrectly identified in mutually agreed manner. If there are two or more objects, it is necessary to know what object to control. In this case, the second identification number must be specified differently for each object so that identific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ignates a different method for each object in advance by check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t is checked how the actually receiv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For example, when the object A is illuminated by a camera and the object B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A is present as shown in FIG. 5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the objects A and B Specify the blink period of each LED as 1 second and 2 seconds. In this example, the flicker period indicate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n, according to the above designation, as shown in (c), the object A flickers every one second, and the object B flickers every two seconds.

5. 제1 식별정보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05>5. Receiv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205>

상기 추출된 제1 식별정보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은 통신망이나 카메라의 촬영으로 생성된 화면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And receives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bject having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cal to the extracted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recep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 screen generated by shooting a communication network or a camera.

6. 제2 식별정보를 기초로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단계<S206>6. Recognizing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 S206 >

상기 단계 S205에서 수신된 제2 식별정보와 카메라의 촬영을 통해 인식된 제2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한다. 즉, 도 5에서 살펴본 예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가 오브젝트 A, B의 깜박임 주기를 각각 1, 2초로 지정하고, 상기 지정대로 오브젝트들이 깜박이면 이를 카메라의 화면을 통해 인식하여 오브젝트 A에 지정해준 깜박임 주기와 동일한지 비교하는 것이다. 또는 상기 지정대로 오브젝트들이 깜박이는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1초 주기라는 정보를 전송한 오브젝트 A를 기능 조작할 대상으로 인식한다.The first object is recognized based o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205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photographing of the camera. That is, as shown in FIG. 5,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ignates the flicker periods of the objects A and B as 1 and 2 seconds, respectively, and when the objects are blinking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Cycle. Alternatively, if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objects are blinking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ognizes the object A that transmitted the information of one second cycle as a target for the function operation.

7. 제1 오브젝트 상에 가상 메뉴를 증강하는 단계<S207>7. Augmenting the virtual menu on the first object < S207 >

상기 단계 S206에서 인식된 제1 오브젝트에 대한 가상 메뉴를 UI 컴포넌트의 형태로 전자기기 상에 제공한다(도 5의 (d) 참조). The virtual menu for the first object recognized in step S206 is provided on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form of a UI component (see FIG. 5 (d)).

8. 가상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1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S208>8. When the virtual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ommand controlling the first object < S208 >

제1 오브젝트 상에 증강된 가상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기능이 제1 오브젝트에서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When a virtual menu enhanced on the first object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processed in the first object.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로 비춘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비주얼 마커)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가 존재하더라도 이동통신단말기가 오브젝트들 각각에 서로 다른 제2 식별정보를 지정해주고, 통신이나 화면을 통해 제1 오브젝트로부터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지정된 제2 식별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할 수 있다. 특히, 화면을 통해 인식된 제2 식별정보를 지정된 제2 식별정보와 비교하는 방식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오브젝트로 단방향 통신만 가능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even if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visual marker) of the first object exposed by the camera exi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signs different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each of the objects The first object can be recognized by receiving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object through communication or a screen and compar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method of compar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screen with the designat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only one-way communication with the object is possibl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응용예 2 - 이동통신단말기가 오브젝트에 제2 식별정보를 요청하는 경우)(Application Example 2 -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object)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메뉴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단계와 유사한 단계에 관해서는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menu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s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briefly described.

1.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가상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301>1. Step S301 of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n object and information on a virtual menu corresponding thereto,

데이터베이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정보와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And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bject in the database and information on a virtual menu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2.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실사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S302>2. Receiving a real image shot from a camera < S302 >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실물 오브젝트의 실사 영상을 카메라로 촬영하면,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실사 영상을 수신한다.When a real image of a physical object that the user wants to view is photographed by a camera, the real image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is received.

3.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303>3. Extract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object < S303 >

상기 단계 S302에서 카메라의 촬영을 통해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In step S302,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object is extracted from the image received through the camera.

4. 통신망을 통해 오브젝트에 제2 식별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304>4. Request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object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S304>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계 S303에서 추출된 제1 식별정보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통신망을 통해 제2 식별정보를 요청한다. 일예로, 도 7의 (a)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가 오브젝트 A, B와 페어링되어 있고, 오브젝트 A를 비추는 경우, (b)와 같이 오브젝트 A, B에 제2 식별정보, 이 실시예에서는 LED의 깜박임 정보를 요청한다. 여기서, 오브젝트들의 깜박임 주기는 미리 설정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가능하다.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ques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ed in step S303. For examp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aired with the objects A and B and illuminates the object A as shown in FIG. 7A,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objects A and B as shown in (b) Of the flicker information. Here, it is possible that the flicker period of the objects is set in advance.

5. 제1 식별정보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05>5. Receiv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305>

상기 단계 S304의 요청에 따라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c)와 같이, 각 오브젝트는 이동통신단말기로 깜박임 주기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설정된 주기대로 LED를 깜박이게 된다.And receives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objects according to the request of step S304. (c), each object transmits information about a flicker perio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blinks the LED according to the set period.

6. 제2 식별정보를 기초로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단계<S306>6. Recognizing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 S306 >

상기 단계 S305에서 수신된 제2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는 오브젝트 A, B로부터 수신된 깜박임 정보를 카메라의 화면을 통해 인식된 오브젝트 A의 깜박임 주기와 동일한지 비교하는 것이다.And recognizes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305.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ares the flick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bjects A and B with the flicker period of the object A recognized through the camera screen.

7. 제1 오브젝트 상에 가상 메뉴를 증강하는 단계<S307>7. Augmenting the virtual menu on the first object < S307 >

상기 단계 S306에서 인식된 제1 오브젝트에 대한 가상 메뉴를 UI 컴포넌트의 형태로 전자기기 상에 제공한다(도 7의 (d) 참조).The virtual menu for the first object recognized in step S306 is provided on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form of a UI component (see FIG. 7 (d)).

8. 가상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1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S208>8. When the virtual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ommand controlling the first object < S208 >

제1 오브젝트 상에 증강된 가상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기능이 제1 오브젝트에서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When a virtual menu enhanced on the first object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processed in the first object.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로 비춘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비주얼 마커)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가 존재하더라도 이동통신단말기가 각 오브젝트로부터 제2 식별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화면을 통해 인식된 제1 오브젝트의 제2 식별정보와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 동일한 경우 제1 오브젝트와 이후 조작을 위한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동일한 전자기기가 있는 상황에서도 카메라로 촬영하고 있는 오브젝트에만 가상 메뉴의 조작에 따른 기능 수행 명령을 내릴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re is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visual marker) of the first object exposed by the camer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s and receive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each object , And compare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object recognized through the screen. If the comparison result is identical,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for the first object and subsequent operations, A function execution command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virtual menu can be issued only to the object that is being manipulated.

한편, 이동통신단말기로 수신된 오브젝트들의 제2 식별정보는 동일할 수도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제2 식별정보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제2 식별정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 S304에서는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정보가 동일한 경우,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상기 동일한 제2 식별정보와 다른 제2 식별정보를 재요청하도록 구현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오브젝트가 각 제2 식별정보(예를 들면, LED 깜박임과 같은 비주얼 마커 + 깜박임 주기 1초와 같은 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에 있어서, 우연히 동일한 제2 식별정보를 전송하게 될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각 오브젝트에게 제2 식별정보를 재요청하고, 재요청을 받은 오브젝트가 다시 제2 식별정보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여 처리하면 된다. 여기서, 제2 식별정보는 사전에 정의되어 복수의 pre-defined set을 이동통신단말기나 오브젝트가 알고 있다고 할 수 있다. Meanwhile, since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s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the same,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fferent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step S304, if the receiv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he same,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sam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quested again to one or more objects. For example, in a process in which two objects transmit each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a message such as a visual marker + flashing period and a flashing period of one secon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requests each object with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f the object that has been re-requested transmit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ga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and processe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re,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defined in advance, and a plurality of pre-defined sets may be know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object.

이와 같이, 제2 식별정보가 복수개로 구성되고, 이동통신단말기로 수신된 오브젝트들의 제2 식별정보가 동일하면 제2 식별정보를 재요청함으로써, 문제없이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f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s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same,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quested again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without any problem.

또, 본 발명에서 각 오브젝트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제2 식별정보를 재요청하는 메시지를 받을 때, 상기 단계 S304에서는 상기 재요청에 따라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랜덤하게 선택된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each object receives a message requesting re-request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tep S304 receive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andomly selected from one or more objects in response to the re-request.

이에 따라, 각 오브젝트로부터 전송받는 제2 식별정보가 동일할 확률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오브젝트에서 제2 식별정보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이동통신단말기(20)로 전송할 때, 서로 동일한 것을 선택하게 될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pre-defined set이 클수록 바람직하다.Thu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robability that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object is the same is reduced.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andomly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objects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defined set is large so as to minimize the probability of selecting the same one.

(응용예 3 - 오브젝트에 내장된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Application Example 3 - When using a sensor embedded in an object)

이하에서는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추가적인 비주얼 마커를 사용하지 않고도 카메라로 비추는 오브젝트에만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only to an object illuminated by a camera without using an additional visual marker will be described.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메뉴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단계와 유사한 단계에 관해서는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menu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s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briefly described.

1.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가상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401>1. Step S401 of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n object and information on a corresponding virtual menu,

데이터베이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정보와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And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bject in the database and information on a virtual menu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2.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실사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S402>2. Step (S402) of receiving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실물 오브젝트의 실사 영상을 카메라로 촬영하면,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실사 영상을 수신한다.When a real image of a physical object that the user wants to view is photographed by a camera, the real image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is received.

3.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403>3. Extract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object < S403 >

상기 단계 S402에서 카메라의 촬영을 통해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를 작동시켜 오브젝트 A를 비추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오브젝트 A의 제1 식별정보를 인식한 후, 현재 근거리 내에서 오브젝트 A와 동일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In step S402,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object is extracted from the image received through the camera. When the user operates the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lluminate the object 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ognize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A, and searches for the same object as the object A in the current proximity.

4. 카메라의 촬영을 통해 인식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S404>4. Step S404 of outputting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recognized object through camera shooting,

카메라의 촬영을 통해 인식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명령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9의 (a)와 같이 오브젝트 A를 카메라로 비추고 있고, 오브젝트 A의 제1 식별정보가 동일한 오브젝트 B가 존재하는 경우, (b)와 같이 '오브젝트를 tap 하세요' 혹은 '오브젝트를 살짝 기울여주세요', '오브젝트를 들었다 놓아주세요'와 같은 안내 문구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안내 문구에 대응하는 액션을 취하여 (c)와 같이 오브젝트 A를 살짝 건드리면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이러한 액션에 따라 오브젝트 A의 센서 신호에 변동이 발생하면, 오브젝트 A는 이동통신단말기로 흔들림이 있었다는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오브젝트의 흔들림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오브젝트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와 같이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내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outputs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recognized object through shooting of the camera. For example, when an object A is illuminated by a camera as shown in FIG. 9A and an object B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A exists, 'attach object' or 'object' , 'Please listen to the object and release it'. As a result, the user can take an ac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ance phrase and lightly touch the object A as shown in (c). When the sensor signal of the object A changes according to the action of the user, the object A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shake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bject includes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vibration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or a gyro sensor so as to easily grasp the shaking of the object.

5. 제1 식별정보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405>5. Receiv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405>

상기 단계 S404에서 출력된 조작 명령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여부에 관한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가 (b)와 같은 안내 문구를 표시한 후 일정시간 이내에 (c)와 같이 사용자가 오브젝트 A를 살짝 건드리면, 오브젝트 A는 흔들림이 있었다는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20)로 전송한다.And receives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arding whether or not the user has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output in step S404. For example, if the user touches the object A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the guidance message (b) is display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object A has been shake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Lt; / RTI &gt;

6. 제2 식별정보를 기초로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단계<S406>6. Recognizing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 S406 >

상기 단계 S405에서 수신된 제2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한다. 즉, (c)와 같이 흔들림 정보를 출력한 오브젝트 A를 인식하고, 이 오브젝트 A와 기능 조작을 위한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And recognizes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405. That is, as shown in (c), the object A outputting the shake information is recogniz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for the object A and the function operation.

7. 제1 오브젝트 상에 가상 메뉴를 증강하는 단계<S407>7. Augmenting the virtual menu on the first object < S407 >

상기 단계 S406에서 인식된 제1 오브젝트에 대한 가상 메뉴를 UI 컴포넌트의 형태로 전자기기 상에 제공한다(도 9의 (d) 참조).The virtual menu for the first object recognized in step S406 is provided on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form of a UI component (see (d) of FIG. 9).

8. 가상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1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S408>8. When the virtual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step S408 of transmitting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first object

제1 오브젝트 상에 증강된 가상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기능이 제1 오브젝트에서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When a virtual menu enhanced on the first object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processed in the first object.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로 비춘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비주얼 마커)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가 존재하더라도 이동통신단말기가 '오브젝트를 tap 하세요' 혹은 '오브젝트를 살짝 기울여주세요', '오브젝트를 들었다 놓아주세요'와 같은 안내 문구를 표시하며, 상기 안내 문구에 따라 사용자가 액션을 취하면 흔들림 정보를 전송한 제1 오브젝트와 기능 조작을 위한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동일한 전자기기가 있는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오브젝트에만 가상 메뉴의 조작에 따른 기능 수행 명령을 내릴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방식은 제2 식별정보로 흔들림 정보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가 오브젝트를 비추고 있지 않아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re is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visual marker) of the first object exposed by the camer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tap the object' or ' Quot ;, &quot; Please listen to the object &quot;, and if the user takes an action according to the announcement phrase,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for function operation with the first object that transmitted the shak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ssue a function execution comm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irtual menu only to the object desired by the user even in the case of the same electronic apparatus. Particularly, since this method uses the shaking information a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illuminate the object.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오브젝트들이 존재한다는 전제 하에,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동시에 복수개의 오브젝트에서 흔들림이 있었다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다시 '오브젝트를 tap 하세요' 혹은 '오브젝트를 살짝 기울여주세요'와 같은 안내 문구를 표시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전제 하에서도, 오브젝트가 영상에서 사라지고 잠시 후 다시 오브젝트가 인식되는 경우에도 상기 안내 문구를 표시하면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shaken at a plurality of objects simultaneously is receiv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same objects exist, a guidance message such as 'tap object' or 'tilt the object slightly' . Even if the object disappears from the image and the object is recognized again after a while even under the above-mentioned premise, the guiding phrase may be displaye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메뉴 제공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Meanwhile, the virtual menu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300, 400: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 100, 200, 300, 400: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Claims (15)

삭제delete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정보와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카메라의 촬영을 통해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식별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제1 식별정보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서로 다른 제2 식별정보를 지정하여 전송하는 식별정보 전송부;
상기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상기 지정된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을 통해 인식된 제2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오브젝트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제1 오브젝트에 대한 가상 메뉴를 제공하는 가상 메뉴 증강부
를 포함하는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
A database fo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bject and information about a virtual menu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first object from an image received through camera shooting;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for assigning different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extracted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r for receiving the designat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one or more objects;
An object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shooting of the camera; And
A virtual menu enhancement unit for providing a virtual menu for the recognized first object,
The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comprising: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정보와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카메라의 촬영을 통해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식별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제1 식별정보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통신망을 통해 제2 식별정보를 요청하는 식별정보 요청부;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상기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을 통해 인식된 제2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오브젝트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제1 오브젝트에 대한 가상 메뉴를 제공하는 가상 메뉴 증강부
를 포함하는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
A database fo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bject and information about a virtual menu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first object from an image received through camera shooting;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quest unit for requesting at least one object having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cal to the extracted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r for receiv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one or more objects according to the request;
An object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shooting of the camera; And
A virtual menu enhancement unit for providing a virtual menu for the recognized first object,
The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compri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정보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제2 식별정보로 구성되며,
상기 식별정보 요청부는 상기 제1 오브젝트로부터 수신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수신된 제2 식별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상기 동일한 제2 식별정보와 다른 제2 식별정보를 재요청하는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different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questing unit requests the one or more objects to transmit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one or more objects whe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object is identical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ne or more objects Re-requesting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 수신부는 상기 재요청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랜덤하게 선택된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receive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andomly selected from the one or more objects in response to the re-request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을 통해 인식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명령을 출력하는 조작 명령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식별정보 수신부는 상기 출력된 조작 명령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여부에 관한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comma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operation command for an object recognized through shooting of the camera,
Where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receive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o whether or not the user has operated according to the output operation command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가상 메뉴 제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t least one object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or a gyro sensor
Virtual menu providing system.
삭제delete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정보와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메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카메라의 촬영을 통해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된 제1 식별정보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서로 다른 제2 식별정보를 지정하여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상기 지정된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을 통해 인식된 제2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단계; 및
(f) 상기 인식된 제1 오브젝트에 대한 가상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메뉴 제공방법.
(a)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bject and information about a virtual menu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database;
(b) extracting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object from the image received through the photographing of the camera;
(c) assigning different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one or more objects having the sam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extracted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d) receiving the designat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one or more objects;
(e) recognizing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shooting of the camera; And
(f) providing a virtual menu for the recognized first object
/ RTI &gt;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대한 식별정보와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메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카메라의 촬영을 통해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제1 오브젝트의 제1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된 제1 식별정보와 동일한 제1 식별정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통신망을 통해 제2 식별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상기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수신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을 통해 인식된 제2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단계; 및
(f) 상기 인식된 제1 오브젝트에 대한 가상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메뉴 제공방법.
(a)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bject and information about a virtual menu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database;
(b) extracting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object from the image received through the photographing of the camera;
(c) requesting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one or more objects having a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cal to the extracted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d) receiv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one or more objects according to the request;
(e) recognizing the first object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shooting of the camera; And
(f) providing a virtual menu for the recognized first object
/ RTI &g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정보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제2 식별정보로 구성되며,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오브젝트로부터 수신된 제2 식별정보와 상기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수신된 제2 식별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에 상기 동일한 제2 식별정보와 다른 제2 식별정보를 재요청하는
가상 메뉴 제공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different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f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object is identical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object in the step (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re-request
How to provide a virtual menu.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재요청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로부터 랜덤하게 선택된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가상 메뉴 제공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step (d), in response to the re-request,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lected randomly from the one or more objects is received
How to provide a virtual menu.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을 통해 인식된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출력된 조작 명령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여부에 관한 제2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가상 메뉴 제공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recognized object through the shooting of the camera,
In the step (d), in response to the output operation comman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user operates is received
How to provide a virtual menu.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가상 메뉴 제공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at least one object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or a gyro sensor
How to provide a virtual menu.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4.
KR1020130052489A 2013-05-09 2013-05-09 System for supplying virtual menu conneted and method thereof KR1015376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489A KR101537651B1 (en) 2013-05-09 2013-05-09 System for supplying virtual menu conneted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489A KR101537651B1 (en) 2013-05-09 2013-05-09 System for supplying virtual menu conneted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010A KR20140133010A (en) 2014-11-19
KR101537651B1 true KR101537651B1 (en) 2015-07-17

Family

ID=5245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489A KR101537651B1 (en) 2013-05-09 2013-05-09 System for supplying virtual menu conneted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65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1773B2 (en) 2016-12-30 2020-04-14 Google Llc Rendering content in a 3D environ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8490A (en) * 2009-05-28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20105340A (en) * 2011-03-15 2012-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a electronic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8490A (en) * 2009-05-28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20105340A (en) * 2011-03-15 2012-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a electronic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010A (en)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3085B2 (en) Intelligent scene deletion metho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63740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smart device plug-ins
CN106060378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photographing module
JP7125834B2 (en) Image acquisi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6062763B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pplication and picture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160028741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verification using verification code
CN110851213A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terminal
EP3276910A1 (en) Bluetooth-based identity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KR102206060B1 (en) Effect display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paratus thereof
CN112044065B (en) Virtual resource display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62837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mpting device connection
WO2022188305A1 (en)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EP2985979A1 (en) Method and device for backing up data and electronic device
KR20200066745A (en) Explore media collections using opt-out interstitial
KR10227494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 object
KR20140036532A (en)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application,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CN111125601A (en) File transmission method, device, terminal, server and storage medium
CN111459466A (en) Code gener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6462251B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5700669A (en) Terminal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wearable device and user terminal
KR102140294B1 (en) Advertising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CN111079119B (en) Verific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19117483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537651B1 (en) System for supplying virtual menu conneted and method thereof
KR20190065386A (en) Method, system and medium for pairing devices to complete a task using an application requ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