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617B1 -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617B1
KR101537617B1 KR1020090067849A KR20090067849A KR101537617B1 KR 101537617 B1 KR101537617 B1 KR 101537617B1 KR 1020090067849 A KR1020090067849 A KR 1020090067849A KR 20090067849 A KR20090067849 A KR 20090067849A KR 101537617 B1 KR101537617 B1 KR 101537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frame
type
subframes
fram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8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10707A (en
Inventor
임동국
문성호
조한규
권영현
곽진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2/752,594 priority Critical patent/US8514830B2/en
Priority to CN201010159433.3A priority patent/CN101902269B/en
Publication of KR20100110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7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6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73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synchronisation parameters
    • H04L27/2676Blind, i.e. without using known symbols
    • H04L27/2678Blind, i.e. without using known symbols using cyclostationarities, e.g. cyclic prefix or postfi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소정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단말은 유효 심볼 길이의 1/4에 해당하는 CP길이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호 공존할 수 있도록 설계된 유효 심볼 길이의 1/4에 해당하는 CP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다른 CP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와 충돌 및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프레임 구조의 채널 대역폭은 8.75MHz이다.A method for transmitting a signal using a predetermined frame struct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disclosed. The UE can transmit / receive a signal using a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corresponding to 1/4 of the effective symbol length. Also, a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corresponding to 1/4 of the effective symbol length designed to coexist with each other can be used to transmit / receive signals without causing collision or interference with a frame structure having a different CP length. At this time, the channel bandwidth of the predetermined frame structure is 8.75 MHz.

프레임 구조, CP 길이 Frame structure, CP length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신호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소정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transmitting a signal using a predetermined frame struct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EEE 802.16m 시스템은 H-FDD(Half- Frequency Division Duplex) 단말 동작을 포함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 및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IEEE 802.16m 시스템은 하향링크(하향링크: DownLink) 및 상향링크(상향링크: UpLink)에서 다중 접속 방식으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을 이용한다. 이러한 OFDMA 파라미터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 표 1과 같다.The IEEE 802.16m system can support both a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scheme and a Time Division Duplex (TDD) scheme including an operation of an H-FDD (Half-Frequency Division Duplex) terminal. The IEEE 802.16m system uses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OFDMA) as a multiple access method in a downlink and an uplink. The contents of the OFDMA parameters are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112009045424226-pat00001
Figure 112009045424226-pat00001

Figure 112009045424226-pat00002
Figure 112009045424226-pat00002

이하에서 IEEE 802.16m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에 대해 간략히 살펴본다.Hereinafter, a frame structure of the IEEE 802.16m system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1은 IEEE 802.16m 시스템에서의 기본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basic frame structure in an IEEE 802.16m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각각의 20ms 수퍼프레임은 4개의 같은 크기의 5ms 무선 프레임으로 나누어지며, 수퍼프레임은 수퍼프레임 헤더(SFH: super프레임 header)로 시작된다. 5MHz, 10MHz 및 20MHz 중 어느 하나의 채널 대역폭을 가지고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동일한 OFDMA 파라미터들을 이용하는 경우, 각 5ms의 무선 프레임은 8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될 수 있다. 제 1 타입은 6개의 OFDMA 심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이고,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7개의 OFDMA 심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은 6개의 OFDMA 심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으로 정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each 20 ms superframe is divided into four equal-sized 5 ms radio frames, and the superframe starts with a super frame header (SFH). When using the same OFDMA parameters as shown in Table 1 with either channel bandwidth of 5 MHz, 10 MHz or 20 MHz, each 5 ms radio frame is composed of 8 subframes. One subframe may be allocated for downlink or uplink transmission. The first type is a subframe composed of six OFDMA symbols, the second type subframe is a subframe consisting of seven OFDMA symbols, and the third type subframe is a subframe composed of six OFDMA symbols.

기본 프레임 구조는 H-FDD 단말 동작을 포함하여 FDD 방식 및 TDD 방식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TDD 시스템에서 각 무선 프레임에서의 전환점(switching points) 수는 2개이다. 전환점(switching points)은 하향링크로부터 상향링크로 또는 상향링크로부터 하향링크로의 방향성의 변화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The basic frame structure can be applied to both the FDD method and the TDD method including the operation of the H-FDD terminal. In the TDD system, the number of switching points in each radio frame is two. The switching points may be defin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direction from the downlink to the uplink or from the uplink to the downlink.

H-FDD 단말은 FDD 시스템에서 포함될 수 있고, H-FDD 단말의 관점에서의 프레임 구조는 TDD 프레임 구조와 유사하다. 그러나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전송은 2개의 개별 주파수 대역에서 일어난다.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간의 전송 간격(transmission gaps)(또한 그 반대)은 전송 및 수신 회로를 전환하도록 요구된다.The H-FDD terminal can be included in the FDD system, and the frame structure in terms of the H-FDD terminal is similar to the TDD frame structure. However, the downlink and uplink transmissions occur in two separate frequency bands. The transmission gaps between the downlink and the uplink (and vice versa) are required to switch the transmit and receive circuits.

도 2는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비율이 5:3인 TDD 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DD frame having a downlink and uplink ratio of 5: 3.

도 2를 참조하면, OFDMA 심볼 주기가(symbol duration) 102.857μs 이고 유효 심볼 길이(Tu)의 1/8에 해당하는 길이를 CP(Cyclic Prefix) 길이로 가진다고 가정하면,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각각 0.617ms 및 0.514ms이다. 마지막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SF4는 제 3 타입의 서브프레임이다. 전송전이간격(TTG: Transmit Transition Gaps) 및 수신전이간격(RTG: Receive Transition Gaps)은 각각 105.714μs 및 60μs 이다. 다른 뉴머러로지(numerology)에서는 프레임 별 서브프레임의 수 및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수는 다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ssuming that the OFDMA symbol period has a symbol duration of 102.857 μs and a length corresponding to 1/8 of an effective symbol length (Tu) as a CP (Cyclic Prefix) length, The lengths of the 3 type sub-frames are 0.617 ms and 0.514 ms, respectively. And the last downlink subframe SF4 is a third type subframe. The Transition Transition Gaps (TTG) and the Receive Transition Gaps (RTG) are 105.714 μs and 60 μs, respectively. In other numerology, the number of subframes per frame and the number of symbols in a subframe may be different.

도 3은 FDD 방식에서의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frame structure in the FDD scheme.

도 3을 참조하면, FDD 방식을 지원하는 기지국은 동일한 RF 반송파로 동작하는 반-듀플렉스(half-duplex) 및 전체-듀플렉스(full-duplex) 단말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FDD 방식을 지원하는 단말은 H-FDD 또는 FDD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야 한다.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모두의 전송을 위해 모든 서브프레임이 이용 가능하다.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전송은 주파수 영역에서 구분될 수 있다. 하나의 수퍼프레임은 4개의 프레임으로 나누어지고, 하나의 프레임은 8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a base station supporting the FDD scheme can simultaneously support half-duplex and full-duplex terminals operating on the same RF carrier. A terminal supporting the FDD scheme should use either the H-FDD scheme or the FDD scheme. All subframes are available for transmission in both the downlink and the uplink. The downlink and uplink transmissions may be separated in the frequency domain. One superframe is divided into four frames, and one frame consists of eight subframes.

도 4는 유효 심볼 길이(Tu)의 1/16에 해당하는 CP 길이를 갖는 TDD 및 FDD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DD and FDD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corresponding to 1/16 of an effective symbol length Tu.

도 4를 참조하면, 5MHz, 10MHz, 20MHz의 채널 대역폭에 대하여, 유효 심볼 길이(Tu)의 1/16에 해당하는 CP 길이를 갖는 IEEE 802.16m 시스템의 프레임은 FDD 방식에서 5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3개의 제 2 서브프레임을 가지며, TDD 방식에서 6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2개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을 가진다. Referring to FIG. 4, for a channel bandwidth of 5 MHz, 10 MHz, and 20 MHz, a frame of an IEEE 802.16m system having a CP length corresponding to 1/16 of an effective symbol length Tu is divided into five first type sub- Frame and three second subframes, and has six first type subframes and two second type subframes in the TDD scheme.

OFDMA 심볼 주기(symbol duration)가 97.143μs 이고 유효 심볼 길이(Tu)의 1/16에 해당하는 CP(Cyclic Prefix) 길이를 가진다고 가정하면,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각각 0.583ms 및 0.680ms이다. TTG 및 RTG는 각각 82.853μs 및 60μs이다. 다른 뉴머러로지(numerology)에서는 프레임 별 서브프레임의 수 및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수가 다를 수 있다.Assuming that the OFDMA symbol duration is 97.143 mu s and the CP length is 1/16 of the effective symbol length Tu, the lengths of the first type subframe and the second type subframe are 0.583 ms and 0.680 ms. TTG and RTG are 82.853 μs and 60 μs, respectively. In other numerology, the number of subframes per frame and the number of symbols in a subframe may be different.

살펴본 바와 같이, IEEE 802.16m 시스템에서는 5MHz, 10MHz, 20MHz의 채널대역폭에 대하여 CP 길이가 1/8 Tb인 경우와 1/16 Tb인 경우에 대한 OFDMA 파라미터들과 프레임 구조만을 정의하고 있다. 즉, 지금까지 CP 길이가 1/4 Tb에 대한 프레임 구조는 제안된 바가 없다.As described above, the IEEE 802.16m system defines only the OFDMA parameters and the frame structure for the case where the CP length is 1/8 Tb and 1/16 Tb for the 5 MHz, 10 MHz, and 20 MHz channel bandwidths. That is, the frame structure for the CP length of 1/4 Tb has not been proposed so far.

또한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의 경우 기존의 1/8 Tb 또는 1/16 Tb의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와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간의 전환점(switching points)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상호 공존이 가능한 새로운 프레임 구조에 대하여 제안된 바가 없었다.Also, in the case of a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a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8 Tb or 1/16 Tb and a problem in which interference occurs at switching points between downlink and uplink There is a problem that can occur. However, there has been no proposal for a new frame structure capable of solving these problems and mutual coexistence.

또한, IEEE 802.16m 시스템에는 8.75 MHz 대역에 대해서 1/8 Tb, 1/16 Tb의 OFDMA 파라미터들과 프레임 구조만 정의되어 있고 아직 1/4 Tb에 대한 정의는 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할 경우 기존과 같이 TTG/RTG를 위한 유휴(idle)구간을 설정할 경우, 이 구간이 다른 CP 길이(1/8 Tb 와 1/16 Tb의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보다 설정된 TTG/RTG 보다 작아지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해결이 필요하다.Also, in the IEEE 802.16m system, only OFDMA parameters and frame structure of 1/8 Tb and 1/16 Tb are defined for the 8.75 MHz band, and 1/4 Tb is not defined yet. In case of using a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if the idle period for the TTG / RTG is set as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CP length (1/8 Tb and 1/16 Tb CP Length) than that of the frame structure having the TTG / RTG,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gnal transmission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프레임 구조에서 하나의 프레임은 6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고, 각 서브프레임은 6개의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로 이루어진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또는 7개의 OFDMA 심볼로 이루어진 제 2 타입의 서브프레임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ignal transmission method including: receiving a signal from a base station using a predetermined frame structure;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base station using the predetermined frame structure. In the predetermined frame structure, one frame is composed of six subframes, and each subframe includes six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mbol or a second type subframe consisting of 7 OFDMA symbols.

그리고, 상기 소정의 프레임은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프레임 또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프레임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frame may be a Time Division Duplex (TDD) frame or a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frame.

또한, 상기 TTD 프레임은 하향링크 구간 및 상기 하향링크 구간에 후속하는 상향링크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하향링크 구간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 및 상기 상 향링크 구간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는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TDD 프레임에서 상기 하향링크 구간의 두 번째 서브프레임 및 상기 상향링크 구간의 두 번째 서브프레임에는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한다.In addition, the TTD frame includes a downlink interval and an uplink interval subsequent to the downlink interval. In a first subframe of the downlink interval and a first subframe of the uplink interval, . In the TDD frame, a second type subframe is located in a second subframe of the downlink interval and a second subframe of the uplink interval.

또한, 상기 TTD 프레임에서 상기 하향링크 구간 및 상기 상향링크 구간 사이에는 전송전이간격(TTG: Transmit Transition Gaps)이 위치하며, 상기 상향링크 구간의 마지막 서브프레임 뒤에 수신전이간격(RTG: Receive Transition Gaps)이 위치하고, 상기 TTD 프레임은 4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2개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in the TTD frame, a transmission transition gap (TTG) is located between the downlink section and the uplink section and a receive transition gap (RTG) after the last subframe of the uplink section. And the TTD frame is composed of four first type subframes and two second type subframes.

상기 TTD 프레임 내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은 5:1, 4:2, 3:3 및 2:4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n the TTD frame is any one of 5: 1, 4: 2, 3: 3, and 2: 4.

상기 FDD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상기 TDD 프레임에서의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이 위치한 순서와 동일한 순서에 위치하고, 상기 FDD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네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한다.In the FDD frame, the second type subframe is located in the same order as the last subframe of the downlink in the TDD frame, and the second type subframe is located in the fourth subframe in the FDD frame .

또한, 상기 FDD 프레임은 3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3개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FDD 프레임 내 마지막 서브프레임 뒤에는 유휴 시간(idle time)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DD frame is composed of three first type subframes and three second type subframes, and an idle time is preferably located after the last subframe in the FDD frame.

또한, 상기 소정 프레임의 CP 길이는 유효 심볼 길이의 1/4이고, 상기 소정의 프레임 구조는 8.75MHz의 채널 대역폭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CP length of the predetermined frame is 1/4 of the effective symbol length, and the predetermined frame structure has a channel bandwidth of 8.75 MHz.

본 발명에 의하면, 유효 심볼 길이의 1/4에 해당하는 CP 길이를 갖는 TDD 프 레임 구조 및 상기 TDD 프레임 구조와 공통성을 가지는 FDD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gnal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using a TDD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corresponding to 1/4 of an effective symbol length and an FDD frame structure having a commonality with the TDD frame structure.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CP 길이를 가지는 TDD 프레임 구조와 상호 공존할 수 있는 TDD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gnal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using a TDD frame structure having a different CP length and a TDD frame structure capable of mutually coexisting.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하의 설명에서 일정 용어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들 용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임의의 용어로서 지칭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ppended drawings is intended to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cludes specific detail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For examp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ertain terms are mainly described, but they need not be limited to these terms, and they may have the same meaning when they are referred to as arbitrary terms. Further,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에 개시되는 기술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기술은 하향링크(Downlink) 또는 상향링크(Uplink)에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Base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BS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MS: Mobile Station)은 UE(User Equipment), SS(Subscriber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AMS 또는 Mobile Terminal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The techniques described below may be used in various communication systems, which may provide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voice, packet data, and so on. The technology of the communication system can be used for a downlink or an uplink. The base station may be replaced by terms such as a fixed station, a base station, a Node B, an eNode B (eNB), an access point, an ABS, and the like. In addition, a mobile station (MS) can be replaced with terms such as a UE (User Equipment), a Subscriber Station (SS), a Mobile Subscriber Station (MSS), an AMS or a Mobile Terminal.

또한, 송신단은 데이터 또는 음성 서비스를 전송하는 노드를 말하고, 수신단은 데이터 또는 음성 서비스를 수신하는 노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향링크에서는 단말이 송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수신단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향링크에서는 단말이 수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송신단이 될 수 있다.Also, the transmitting end refers to a node that transmits data or voice service, and the receiving end refers to a node that receives data or voice service. Therefore, in the uplink, the terminal may be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base station may be the receiving end. Similarly, in the downlink, the terminal may be the receiving end and the base station may be the transmitting end.

한편, 본 발명의 단말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cellular phone, a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a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phone, a WCDMA (Wideband CDMA) Can be us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EEE 802.16 시스템의 표준 문서인 P802.16-2004, P802.16e-2005 및 P802.16Rev2 등의 문서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standard documents disclosed in at least one of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 systems, 3GPP systems,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3GPP LTE) systems and 3GPP2 systems It can be backed up. That is, the steps or por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pported by the documents. In addition, all term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described by the standard document. In particula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pported by documents such as P802.16-2004, P802.16e-2005 and P802.16Rev2, which are standard documents of the IEEE 802.16 system.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The specific terminology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 of such specific terminology may be changed into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반송파 변조방식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의 기본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basic principle of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which is a multicarrier modulation sche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OFDM 시스템에서 고속 전송률(high-rate)을 갖는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을 낮은 전송률(slow-rate)을 갖는 많은 수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나누는데, 이는 다수의 반송파를 사용하여 동시에 전송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다수의 반송파 각각을 부반송파(subcarrier)라 한다. OFDM 시스템에서 다수의 반송파 간에 직교성(orthogonality)이 존재하기 때문에, 반송파의 주파수 성분은 상호 중첩되어도 수신단에서의 검출이 가능하다. 고속 전송률을 갖는 데이터 스트림은 직/병렬 변환부(Serial to Parallel converter)를 통해 다수의 낮은 전송률의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로 변환되고, 병렬로 변환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에 각각의 부반송파가 곱해진 후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이 합해져서 수신단으로 전송될 수 있다. In an OFDM system, a data stream having a high-rate is divided into a large number of data streams having a slow-rate, which is transmitted simultaneously using a plurality of carriers. Each of the plurality of carriers is referred to as a subcarrier. Since orthogonality exists among a plurality of carriers in an OFDM system, even if frequency components of carriers overlap each other, detection at the receiving end is possible. A data stream having a high-speed data rate is converted into a data stream having a plurality of low data rates through a serial-to-parallel (S / P) converter, and a plurality of data streams, And then the data streams may be combined and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end.

직/병렬 변환부에 의해 생성된 다수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은, 역 이산 푸리 에 변환(IDFT: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에 의하여 다수의 부반송파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IDFT는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낮은 전송률을 갖는 부반송파의 심볼 주기(symbol duration)가 증가하게 되므로 다중경로 지연확산에 의해 발생하는 시간상에서의 상대적인 신호 분산(dispersion)이 감소한다. The plurality of parallel data streams generated by the serial-to-parallel conversion unit may be transmitted on a plurality of subcarriers by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At this time, the IDFT can be efficiently implemented using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Since the symbol duration of a sub-carrier having a low data rate is increased, the relative signal dispersion in time caused by multipath delay spreading is reduced.

이러한 OFDM 방식을 이용한 무선 통신에서, 심볼 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을 줄이기 위하여 심볼 사이에 채널의 지연 확산보다 긴 보호구간(guard interval)을 삽입할 수 있다. 즉, 각 심볼이 다중경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동안, 연속된 심볼 사이에 채널의 최대 지연확산(Delay Spread)보다 긴 보호구간(Guard Interval)을 삽입한다. 이때, 부반송파 간의 직교성(Orthogonality)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유효 심볼 구간의 마지막 구간(즉, 보호구간)의 신호를 복사하여 심볼의 앞 부분에 삽입한다. 이를 순환 전치부(CP: cyclic prefix, 이하 CP라고 칭한다)라 부른다. In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OFDM scheme, a guard interval longer than a delay spread of a channel between symbols may be inserted to reduce inter-symbol interference. That is, while each symbol is transmitted through the multipath channel, a guard interval longer than the maximum delay spread of the channel is inserted between consecutive symbols.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orthogonality destruction between the subcarriers, the signal of the last interval (i.e., guard interval) of the valid symbol interval is copied and inserted in the front part of the symbol. This is referred to as a cyclic prefix (CP).

도 5는 CP(cyclic prefix)를 포함하는 심볼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ymbol structure including a CP (cyclic prefix).

도 5를 참조하면, 심볼 주기(Ts)는 실제 데이터가 전송되는 유효 심볼 구간(Tb)과 보호구간(Tg)의 합이 된다. 수신단에서는 보호구간을 제거한 후 유효 심볼 구간 동안의 데이터를 취하여 복조를 수행하게 된다. 송신단 및 수신단은 순환전치 부호를 사용하여 서로 동기화를 이룰 수 있으며, 데이터 심볼간 직교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심볼은 OFDMA 심볼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symbol period Ts is the sum of the effective symbol period Tb and the guard period Tg at which the actual data is transmitted. At the receiving end, demodulation is performed by taking the data during the effective symbol interval after removing the guard interval.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receiving end can b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using the cyclic prefix, and orthogonality between the data symbols can be maintained. The symbol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OFDMA symbol.

이하에서 8.75MHz의 채널 대역폭에서 유효 심볼 길이의 1/4에 해당하는 CP 길이(이하에서는 1/4 Tb의 CP 길이라고 칭할 수 있다)를 가지는 802.16m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TDD 프레임 및 FDD 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또한, 동일한 8.75MHz의 채널 대역폭에 대하여 1/8 Tb의 CP 길이 또는 1/16 Tb의 CP 길이를 가지는 TDD 프레임 구조와 상호 공존할 수 있는 TDD 프레임 구조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TDD 프레임 구조와 많은 공통성을 지니는 FDD 프레임 구조도 함께 설명할 것이다. A frame structure in an 802.16m system having a CP length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P length of 1/4 Tb) corresponding to 1/4 of an effective symbol length in a channel bandwidth of 8.75 MHz (a TDD frame and an FDD frame Will be described. A TDD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8 Tb or a CP length of 1/16 Tb and a TDD frame structure capable of mutually coexisting with respect to the same channel bandwidth of 8.75 MHz will be described. The FDD frame structure having many similarities with the TDD frame structur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described.

IEEE 802.16m 시스템에는 4가지 형태의 서브프레임이 존재한다. 제 1 타입은 6개의 OFDMA 심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이고,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7개의 OFDMA 심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은 6개의 OFDMA 심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 제 4 타입 서브프레임은 9개의 OFDMA 심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제 4 타입 서브프레임은 8.75MHz 채널 대역폭에서의 프레임 구조에서 이용될 수 있다.There are four types of subframes in the IEEE 802.16m system. The first type is a subframe consisting of six OFDMA symbols, the second type subframe is a subframe consisting of seven OFDMA symbols, the third type subframe is a subframe consisting of six OFDMA symbols, the fourth type subframe is It can be defined as a subframe consisting of nine OFDMA symbols. At this time, the fourth type subframe can be used in a frame structure in a channel bandwidth of 8.75 MHz.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8.75MHz 채널 대역폭에서 1/4 Tb의 CP 길이를 이용할 경우 정의되는 OFDMA 파라미터들은 기존의 1/8 Tb의 CP 길이 또는 1/16 Tb의 CP 길이의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다. 1/4 Tb의 CP 길이를 가지는 경우에 OFDM의 심볼 주기는 128μs이고, 상대적인 전송전이간격(TTG: Transmit Transition Gaps) 및 수신전이간격(RTG: Receive Transition Gaps)은 각각 61.6μs 및 74.4μs 이다. 정의된 OFDMA 파라미터를 고려하면 1/4 Tb의 CP 길이를 이용할 경우 한 프레임에 존재하는 심볼의 수는 39개이다. 기존의 프레임 구조에서 서브프레임을 정의 하기 위해 사용된 심볼 수에 따라 제 1 타입 내지 제 3 타입 서브프레임 타입을 이용하여 1/4 Tb의 CP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를 만들 수 있다. 1/4 Tb의 CP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 내의 심볼의 수는 39개이다.As shown in Table 1, when the CP length of 1/4 Tb is used in the channel bandwidth of 8.75 MHz, the OFDMA parameters defined are defi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ventional CP length of 1/8 Tb or 1/16 Tb of CP length . The symbol period of OFDM is 128 μs and the relative transmission gap (TTG) and receive transition gap (RTG) are 61.6 μs and 74.4 μs, respectively, when the CP length is 1/4 Tb. Considering the defined OFDMA parameters, the number of symbols in one frame is 39 when a CP length of 1/4 Tb is used. A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may be formed using the first to third type subframe typ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ymbols used to define the subframe in the existing frame structure. The number of symbols in a fram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is 39.

기존의 1/8 Tb의 CP 길이 와 1/16 Tb의 CP 길이의 경우와 동일하게 7개의 서브프레임으로 프레임이 구성될 경우, TDD 프레임 구조에서 TTG 및 RTG 구간으로 한 심볼을 할당할 수 있고, 나머지 38개의 OFDMA 심볼을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 할당할 수 있다. 이때, TDD 프레임은 3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4개의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If a frame is composed of seven subframes as in the conventional CP length of 1/8 Tb and the CP length of 1/16 Tb, one symbol can be allocated to the TTG and RTG periods in the TDD frame structure, And the remaining 38 OFDMA symbols can be allocated to the downlink and uplink. At this time, the TDD frame may be composed of three first type subframes and four third type subframes.

도 6 내지 도 10은 다른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와 공존할 수 있는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를 각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비율에 따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to 10 show an example of a TDD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that can coexist with a TDD frame structure having a different CP length according to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and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Fig.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은 각각 (2:5), (3:4), (4:3), (5:2), (6:1)일 수 있다.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이 (2:5), (3:4), (4:3), (5:2), (6:1)일 때, 본 발명에서 제안한 8.75MHz 채널 대역폭에서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기존의 1/8 Tb의 CP 길이, 1/16 Tb의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과 하향링크/상향링크 전환점에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서로 다른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가 상호 공존할 수 있다. 6 to 10,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s 2: 5, 3: 4, 4: 3, 5: 2, : 1). When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s (2: 5), (3: 4), (4: 3), (5: 2) When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a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in a channel bandwidth of 8.75 MHz, a frame having a CP length of 1/8 Tb and a CP length of 1/16 Tb and a downlink / Interference does not occur. Therefore, frame structures having different CP lengths can coexist.

3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중에서 2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은 각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에 있어야 하므로, 하나의 TDD 프레임 내에서 하향링크 첫 번째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모든 경우에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이렇게 위치하는 것은 아니다. 하향링크, 상향링크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은 6개의 심볼로 구성된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어, 하향링크, 상향링크가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시작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을 고려하여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내 혹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그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Two first type subframes among three first type subframes must be located at positions which are not affected by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and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Th < / RTI > subframe and the last subframe in the uplink.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in all cases the first type subframe is not located in this way. The first subframe of the downlink and uplink may be configured as a first type subframe including six symbols, and the downlink and uplink may be configured to start with the first type subframe. The remaining one type 1 sub-frame can be located in the downlink subframe or the uplink subframe considering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전환되는 구간에 위치한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은 유휴(idle) 구간을 포함해서 6개의 심볼로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통상적으로 TTG 구간으로 필요한 시간차(또는 지연)를 만들기 위해서 한 개의 심볼을 유휴구간으로 5개의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할 수 있다. TDD 프레임에서는 TTG/RTG의 유휴(idle) 구간으로 하나의 심볼이 할당될 수 있다.The last subframe of the downlink, which is located in the downlink to uplink subframe, is generally composed of six symbols including an idle period. However, the time difference (or delay) required for the TTG period is usually To make it, one symbol can be composed of five symbols with idle intervals. This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n the TDD frame, one symbol may be allocated as an idle period of the TTG / RTG.

또한, 하향링크 영역에 2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하는 경우, 1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은 6개의 심볼로 구성된 수퍼프레임 헤더(SFH: superframe header)를 이용하기 위하여 하향링크 프레임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배치될 경 우,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은 유휴구간을 포함해서 7개의 심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이나 TTG 구간으로 필요한 시간차를 만들기 위해서 한 개의 심볼을 유휴구간으로 할당하여 6개의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이 (4:3), (5:2), (6:1)일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다른 CP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와 간섭 없이 공존하기 위하여 하향링크 영역 내에 2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TDD 프레임 구조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였다. In addition, when two first type subframes are located in the downlink region, one first type subframe is divided into a first subframe of the first subframe and a second subframe of the second subframe in order to use a superframe header (SFH) Frame. If the first type subframe is located in the last subframe of the downlink, the last subframe of the downlink includes one symbol May be allocated to an idle period and may be configured with six symbols. This configuration is applicable when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s (4: 3), (5: 2), and (6: 1). In this case, two first type subframes may be located in the downlink region to coexist with a frame structure having a different CP length without interference. Such a TDD frame structure is shown in FIGS. 8 to 10. FIG.

또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할 경우, 상술한 내용 외에 다른 하나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영역 내에서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Also, when the first type subframe is located in the first subframe of the downlink subframe, the first type subframe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content may be located in any subframe in the downlink region.

상술한 모든 프레임 구성 예에 있어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구간에 1개씩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을 TDD 프레임의 하향링크 첫 번째 서브프레임 및 상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위치시키거나, 하향링크, 상향링크 영역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각각 위치시키면 앞서 설명한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의 전환 구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In all the above-described frame configuration examples, one type 1 sub-frame in the downlink and uplink sections is located in the first sub-frame of the downlink and the last sub-frame of the uplink in the TDD fram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terference problem that may occur in the switching period from the downlink to the uplink as described above.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TDD 프레임의 하향링크 첫 번째 서브프레임 및 상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하거나, 혹은 하향링크, 상향링크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하는 것은 기존의 다른 CP길이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와 공존하기 위한 일 예일 뿐이다. 즉, 6개의 심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혹은 상향링크 각각의 영역 안에 서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10에서 기존의 1/16 Tb의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에서 하향링크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두 번째 서브프레임에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한다고 하더라도 도 6 내지 도 10에서 제안한 본 발명의 TDD 프레임 구조는 기존의 1/8 Tb, 1/16 Tb의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와 상호 공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6 to 10, a first type subframe is located in the first subframe of the downlink and the last subframe of the uplink in the TDD frame, or a first type subframe is located in the first subframe of the downlink and the uplink. The location of the type sub-frame is merely an example for coexistence with a conventional frame structure having a different CP length. That is, a subframe including six symbols may be located in an arbitrary subframe in an area of a downlink or an uplink. 6 to 10, even if the first type sub-frame is located in the first sub-frame of the downlink and the second type sub-frame is located in the second sub-frame in the frame structure having the conventional 1/16 Tb CP length, The TDD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in FIG. 10 can coexist with the conventional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8 Tb and 1/16 Tb.

도 11은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FDD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도 11에 도시된 FDD 프레임 구조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TDD 프레임구조에 대응하는 프레임 구조로서, 이 TDD 프레임 구조와 공통성을 가질 수 있다. TDD 프레임 구조와 공통성을 갖도록 설계하면, 시스템 설계 시에 고려되는 물리 계층 설계에서 필수 제어 정보나 추가적인 제어 정보를 위한 채널의 설계 등을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FDD 프레임 구조는 TDD 프레임 구조를 계승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FDD 프레임에는 39개의 심볼이 할당될 수 있다.The FDD frame structure shown in FIG. 11 is a fram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TDD frame structure shown in FIGS. 6 to 10, and may have a commonality with this TDD frame structure. Designing to have commonality with the TDD frame structure has the advantage of reusing essential control information in the physical layer design considered in system design, and channel design for additional control informa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DD frame structure is constructed by inheriting the TDD frame structure. 39 symbols may be allocated to the FDD frame.

FDD 프레임의 기본 구조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TDD 프레임 구조와 동일하게 7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39개의 심볼이 할당될 수 있다. FDD 프레임 내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과 마지막 서브프레임에는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하는 공통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TDD 프레임 구조에서 하향링크, 상향링크 영역에서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각 영역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의 위치할 경우, 기존 구조와 동일하게 6개의 심볼을 할당하는 공통성을 유 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각 영역에 추가로 배치되는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은 각 영역 내에서 위치에 제한 없이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11에서 두 번째 서브프레임에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하는 것은 FDD 프레임 구조에 대한 일 예일 뿐이기 때문에, 하향링크, 상향링크 영역에서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의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The basic structure of the FDD frame may be composed of 7 subframes as in the TDD frame structure shown in FIG. 6 to FIG. 10, and 39 symbols may be allocated. It may be desirable to maintain the commonality that the first type subframe is located in the first subframe and the last subframe in the FDD frame. In the TDD frame structure, when the first type subframe is located in the downlink and uplink areas and the first subframe of each area is located, 6 symbols can be alloc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xisting structure. In this case, the first type sub-frame further disposed in each area may be located in any sub-frame without limitation in position within each area. That is, since the first type subframe is located in the second subframe in FIG. 11, it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type subframe in the downlink and uplink regions .

FDD 프레임 구조에서는 TDD 프레임 구조에서와 같은 TTG/RTG가 필요 없기 때문에 하나의 심볼을 더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남은 하나의 심볼을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혹은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에 추가하여 각각 제 2 타입 서브프레임 혹은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하나의 심볼이 추가적으로 할당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위치는 도 11의 case 1, 2, 3, 4에 도시된 FDD 프레임 내에서 세 번째 서브프레임, 네 번째 서브프레임 또는 다섯 번째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이는 H-FDD 프레임 구조를 고려한 것으로, H-FDD 프레임 구조 고려 시 그룹간에 추가적인 유휴구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혹은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이러한 추가적인 구간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고려되는 일 예의 위치일 뿐, 한 심볼이 추가되는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혹은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의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In the FDD frame structure, since a TTG / RTG like the TDD frame structure is not necessary, one symbol can be further utilized. Therefore, it is conceivable to construct a second type sub-frame or a first type sub-frame by adding one remaining symbol to the first type sub-frame or the third type sub-frame. A position for a subframe to which one symbol can be additionally allocated may be a third subframe, a fourth subframe or a fifth subframe in the FDD frame shown in cases 1, 2, 3 and 4 in FIG. 11 . Considering the H-FDD frame structure, additional idle intervals are required between groups when considering the H-FDD frame structure. To this end, it is possible to construct such additional sections using a first type sub-frame or a second type sub-frame. However, this is only one example of the position to be considered,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position of the first type sub frame or the second type sub frame to which one symbol is added.

또 다른 방법으로서, 하나의 남는 심볼을 개별적으로 할당하는 방법이 있다. 도 11에서 Case 5와 같이, FDD 프레임 내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의 하나의 추가 심볼을 추가시킬 수 있다. 이는 프리앰블이나 프레임 제어 헤더(FCH: Frame Control Header)와 같이 심볼 단위의 필수 제어 정보들이 프레임의 앞 부분에서 전송되므 로, 이러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하나의 심볼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1의 case 8과 같이 하나의 심볼을 FDD 프레임의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할당하여 사운딩과 같은 추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As another method, there is a method of individually allocating one remaining symbol. As shown in Case 5 in FIG. 11, one additional symbol of the first subframe in the FDD frame may be added. This is because the essential control information for each symbol unit such as a preamble or a frame control header (FCH) is transmitted in the front part of the frame, so that the control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a first type Subframes can be used. Alternatively, as shown in case 8 of FIG. 11, one symbol can be allocated to the last subframe of the FDD frame and used to transmit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sounding.

또한, 하나의 심볼 위치는 H-FDD 프레임 구조를 고려하는 경우, 네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앞 부분이나 혹은 뒷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바람직한 위치의 일 예일 뿐, 본 발명에서는 추가되는 한 심볼의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when considering the H-FDD frame structure, it is preferable that one symbol position is located in the front part or the rear part in the fourth sub-frame. However, this is only one example of a preferable position, and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position of one symbol to be ad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을 7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2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은 프레임 내 첫 번째 서브프레임 및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나머지 1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은 두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하거나 혹은 하향링크 구간 내에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위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one frame is composed of seven subframes, two first type subframes may be located in the first subframe and the last subframe in the frame. The remaining one first type subframe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subframe or may be located in any subframe in the downlink interval.

도 12 내지 도 16은 다른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와 공존 가능한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를 각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비율에 따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2 to 16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TDD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that can coexist with a frame structure having a different CP length according to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and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respectively to be.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의 비율은 (2:5), (2:4), (3:4), (3:3), (4:3), (5:2), (4:2), (6:1), (5:1)일 수 있다. 도 12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의 비율이 (2:5), (2:4)일 때,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총 심볼 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총 심볼 수의 (12:26)이다. 도 13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의 비율이 (3:4), (3:3)일 때,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총 심볼 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총 심볼 수의 비율은 (17:21)이다. 그리고 도 14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의 비율이 (4:3), (3:3)일 때, 이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총 심볼 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총 심볼 수의 비율은 각각 (22:16), (21:17)이다. 도 15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의 비율이 (5:2), (4:2)일 때, 이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총 심볼 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총 심볼 수의 비율은 각각 (27:11), (26,12)이다. 또한, 도 16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의 비율이 (6:1)일 때,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총 심볼 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총 심볼 수의 비율은 (32:6)이고,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의 비율이 (5:1)일 때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총 심볼 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총 심볼 수의 비율은 (31:7) 또는 (32:6)이다.12 to 16,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s (2: 5), (2: 4), (3: 4) 4: 3), (5: 2), (4: 2), (6: 1), and (5: 1). 12, when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s (2: 5) and (2: 4), the total number of symbols allocated to the downlink subframes and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12:26) of the total number of symbols assigned to the base station. 13, when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s (3: 4) and (3: 3), the total number of symbols allocated to the downlink subframes and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The ratio of the total number of symbols allocated to the base station is 17:21. 14, when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s (4: 3) and (3: 3), the total number of symbols allocated to the corresponding downlink subframes The ratio of the total number of symbols allocated to the UL subframes is (22:16) and (21:17), respectively. 15, when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s (5: 2) and (4: 2), the total number of symbols allocated to the corresponding downlink subframes and the uplink The ratios of the total number of symbols allocated to the subframes are (27:11) and (26,12), respectively. 16, when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s (6: 1), the total number of symbols allocated to the downlink subframes and the total number When the ratio of the number of symbols to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is (32: 6) and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s (5: 1), the total number of symbols allocated to the downlink subframes, The ratio of the total number of symbols assigned to the frames is (31: 7) or (32: 6).

기존에 정의된 1/16 Tb의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와 간섭 없이 공존하기 위하여, 하향링크/상향링크 전환점(switching point)이 중첩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를 6개의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TDD 프레임에서 TTG/RTG 구간을 위해서 한 심볼을 할당할 수 있고, 남은 38개의 심볼을 이용하여 다음 두 가지 경우와 같이 6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된 TDD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In order to coexist with a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16 Tb as defined above, it is necessary to prevent overlapping of downlink / uplink switching points. To this end, a CP length of 1/4 Tb Can be considered to constitute six subframes. In the TDD frame, one symbol can be allocated for the TTG / RTG interval, and the remaining 38 symbols can constitute a TDD frame composed of 6 subframes as shown in the following two cases.

첫 번째 경우로서, 4개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 및 2개의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TDD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두 번째 경우로서, 4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2개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TDD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As a first case, a TDD frame can be composed of four second type subframes and two third type subframes. In the second case, the TDD frame can be composed of four first type subframes and two second type subframes.

TDD 프레임 구조에서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의 전환 구간인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에는 유휴구간을 고려하여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또는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할 수 있다. 만약,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하는 경우, 유휴 구간을 포함한 8개의 심볼로 구성된 새로운 타입의 서브프레임이 생성되고, 이는 기존에 정의된 서브프레임의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새로운 타입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In the TDD frame structure, the first type subframe or the second type subframe may be located in the last subframe of the downlink, which is a transition period from the DL to the UL, considering the idle period. If the second type subframe is located in the last subframe of the downlink, a new type subframe consisting of 8 symbols including the idle period is generated, which is out of the range of the previously defined subframe. Therefore, a definition of a new type of subframe is needed.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의 전환되는 구간에 위치한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유휴구간 구간을 고려한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이 할당되는 경우에는 TTG 구간에 필요한 지연을 위하여 한 개의 심볼을 유휴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6개의 심볼로 구성된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영역 내에서 프레임 내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 및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다. If a second type subframe considering an idle interval period is allocated to the last subframe of the downlink located in the downlink to uplink subframe, one symbol may be set as the idle period for the delay required for the TTG interval . Accordingly, a first type subframe including six symbols may be located in the last subframe of the downlink. Here, the first type subframe may be located in the first subframe and the last subframe in the frame in the downlink area. This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기존에 정의된 1/16 Tb의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와 간섭 없이 공존하기 위하여 상기 위의 첫 번째 경우와 같이 6개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경우에,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의 전환 구간을 고려하여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에 상관없이,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에는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이 (3:3)인 경우에는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에는 8개의 심볼로 구성된 새로운 타입의 서브프레임이 위치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constructing one frame using six subframes as in the first case above in order to coexist with a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16 Tb as defined above, The third type subframe may be located in the last subframe of the downlink regardless of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14, when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s (3: 3), a new type subframe consisting of 8 symbols is located in the last subframe of the downlink .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프레임을 구성하는 두 번째의 경우,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각각 하향링크, 상향링크 영역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하는 경우에,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의 전환 구간인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에는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또는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전환 구간의 유휴시간(idle time)을 위해 할당된 1개의 심볼을 고려하면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에는 7개 또는 8개의 심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TDD 프레임을 구성하는 2개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기존에 정의된 1/16 Tb의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와 간섭 없이 공존하기 위하여 하향링크, 상향링크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일 예는 도 12, 도 15, 도 16에 도시하였다. 여기서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의 위치는 일 예를 나타낸 것이며, 하향링크, 상향링크 영역 내에서 각 타입의 서브프레임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In a second case where a frame is composed of a first type subframe and a second type subframe, when a first type subframe is located in a first subframe of a downlink and an uplink region, The first type subframe or the second type subframe may be located in the last subframe of the downlink, which is a switching period for the first type subframe or the second type subframe. If one symbol allocated for the idle time of the switching period is considered, a subframe consisting of seven or eight symbols may be located in the last subframe of the downlink. Here, the two second type subframes constituting the TDD frame may be located in the downlink and uplink areas in order to coexist with the previously-defined frame structure having the CP length of 1/16 Tb, without interference. An example is shown in Figs. 12, 15 and 16. Fig. Here, the positions of the first type subframe and the second type subframe are examples,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position of each type of subframe in the downlink and uplink areas.

도 12 내지 도 16에는 기존에 정의된 7개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는 1/16 Tb의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와 서로 간섭 없이 공존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가 도시되었다. 도 12 내지 도 16에서, 하나의 프레임이 6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을 프레임 내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 및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또는 하향링크, 상향링크 구간 내에 배치하는 것은 일 예일 뿐, 7개의 심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각각의 영역 안에서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12 to 16 show a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16 Tb using seven previously defined subframes and a frame structure for coexistence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In Fig. 12 to Fig. 16, when one frame is composed of six subframes, placing the second type subframe in the first subframe and the last subframe in the frame, or in the downlink and uplink sections, A subframe consisting of seven symbols may be located in any subframe within the respective areas of the downlink or uplink.

도 17은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FDD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도 17에 도시된 FDD 프레임 구조는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TDD 프레임 구조에 대응하는 프레임 구조이다. FDD에 대한 프레임 구조는 TDD 구조를 계승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에서 살펴본 각 case 별 FDD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여 적절하게 FDD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TDD 프레임 구조와 동일하게 7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의 두 번째 서브프레임에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하는 경우에 대한 FDD 구조는 도 11에서 FDD-case 4 내지 9와 같은 프레임 구조를 고려할 수 있다.The FDD frame structure shown in FIG. 17 is a fram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TDD frame structure shown in FIG. 12 to FIG. The frame structure for the FDD is preferably constructed by inheriting the TDD structure, and the FDD frame structure can be appropriately constructed by applying the FDD frame structure for each case described above. 12 to 16, and the FDD structure for the case where the first type subframe is located in the second subframe of the frame is the same as that of the TDD frame structure shown in FIG. 11 Frame structures such as FDD-cases 4 to 9 may be considered.

또한 하나의 프레임을 6개의 서브프레임으로 FDD 프레임을 구성하는 경우,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TDD 프레임 구조와 동일하게 6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 및 마지막 서브프레임, 그리고 두 번째 서브프레임 및 다섯 번째 서브프레임에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하여 대칭적인(symmetric)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Also, when one frame is composed of six subframes, as shown in FIGS. 12 to 16, the FDD frame may be composed of six subframes as in the conventional TDD frame structure, The second type subframe may be located in the subframe and the last subframe, and the second type subframe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and fifth subframes to maintain a symmetric structure.

도 17에 도시된 FDD 프레임에는 39개의 심볼이 할당될 수 있다. 이때 FDD 프레임 구조에서는 TDD 프레임 구조와는 달리 TTG/RTG가 필요 없기 때문에, 추가적으 로 하나의 심볼을 더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남은 심볼을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에 추가하여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렇게 하나의 심볼이 추가되는 서브프레임은 도 17의 case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내에서 세 번째 서브프레임 또는 네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39 symbols may be allocated to the FDD frame shown in FIG. Since the TTG / RTG is not required in the FDD frame structure, unlike the TDD frame structure, an additional symbol can be further used.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o configure the first type subframe by adding the remaining symbols to the third type subframe. A subframe in which one symbol is added may be located in a third subframe or a fourth subframe in a frame as shown in cases 1 through 4 of FIG.

그러나, 이것은 H-FDD 프레임 구조를 고려한 것으로, H-FDD 구조 고려하는 경우 그룹간에 추가적인 유휴구간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혹은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이러한 추가적인 그룹간의 유휴구간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하나의 심볼이 추가되는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혹은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의 위치에 제한이 있지는 않다. 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H-FDD frame structure, when considering the H-FDD structure, an additional idle period is required between the groups. To this end, the first type subframe or the second type subframe is used, . ≪ / RTI >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first type sub frame or the second type sub frame to which one symbol is added is not limited.

추가적인 하나의 심볼을 할당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개별적으로 할당하는 방법이 있다. 이 심볼의 위치는 H-FDD에 대한 고려하여 상술한 도 17의 case 1 내지 4에서 도시되었고, 이때 이 심볼은 세 번째 서브프레임 및 네 번째 서브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는 바람직한 위치일 뿐 본 발명에서는 추가되는 한 심볼의 위치에 제한이 있지는 않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FDD 프레임 구조에서와 같이 하나의 심볼이 개별적으로 프레임 내에서 첫 번째 서브프레임이나 또는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할당될 수 있다. As another method of allocating an additional symbol, there is a method of individually allocating the symbols. The position of this symbol is shown in cases 1 to 4 of FIG. 17 described above for H-FDD, where it is preferably located between the third subframe and the fourth subframe. However, this is a preferable position, but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position of one symbol ad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as in the FDD frame structure described above, one symbol can be individually assigned to the first sub-frame or the last sub-frame within the frame.

도 18은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TDD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도 18을 참조하면, 하나의 TDD 프레임이 6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6개의 심볼로 구성된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을 많이 할당하여 프레임을 구성 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TTD 프레임은 4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2개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각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하향링크 첫 번째 서브프레임, 상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 첫 번째 서브프레임, 상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위치하는 것은 일 예일 뿐,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의 위치에 제한이 있지는 않다. Referring to FIG. 18, when one TDD frame is composed of six subframes, a first type subframe consisting of six symbols can be allocated to form a frame. At this time, one TTD frame may be composed of four first type subframes and two second type subframe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 second type subframes are located at positions which are not influenced by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and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respectively. Therefore, in one frame, And may be located in the last subfram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type subframe is located in the first subframe of the downlink and the last subframe of the uplink,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position of the second type subframe.

따라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최소 2개 이상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을 고려할 경우에,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이 프레임 내의 두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하향링크, 상향링크 영역에서 첫 번째 서브프레임의 위치에 각각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을 배치하여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6개의 심볼을 가지는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프레임 내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함으로써 기존에 6개의 심볼로 정의된 수퍼프레임 헤더 구조를 서브프레임 구조의 변경 없이 계승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considering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having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of at least two, the second type subframe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subframe in the fram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ype subframe may be arranged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subframe in the downlink and uplink areas to form a frame. Since the first type subframe having six symbols is located in the first subframe in the frame, the superframe header structure defined by six symbols can be inherited without changing the subframe structure.

그리고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의 전환 구간에 위치한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은 유휴구간을 포함해서 7개의 심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이지만, 일반적으로 TTG 구간으로 필요한 시간차를 만들기 위해서 한 개의 심볼을을 유휴구간으로 할당하여 6개의 심볼로 서브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할 수 있다. The last subframe of the downlink located in the downlink to uplink transition period is a subframe consisting of 7 symbols including the idle period. Generally, in order to make a time difference necessary for the TTG period, one symbol is used as an idle period And the subframe can be composed of six symbols. This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도 18에서, 프레임 내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 및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하는 프레임 구조와 하향링크, 상향링크 각 영역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위치하는 프레임 구조가 도시되었다. 도 18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는 일 예일 뿐,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제 1 타입 서브프레임과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의 위치는 제한이 없다. 18, a frame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type subframe is located in the first subframe and the last subframe in the frame, and a fram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type subframe is located in the first subframe of the downlink and uplink angular regions, . The frame structure shown in Fig. 18 is only an example, and the positions of the first type sub frame and the second type sub frame for constituting one frame are not limited.

도 19는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FDD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도 19의 FDD 프레임 구조는 도 18에 도시된 TTD 프레임 구조에 대응하는 프레임 구조에 해당한다. FDD 프레임 구조는 TDD 프레임 구조를 계승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제안한 각 case 별 FDD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여 적절한 FDD 프레임 구조를 고려할 수 있다. 도 18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프레임 내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 두 번째 서브프레임 또는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은 각 하향링크, 상향링크 영역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배치할 수 있다. The FDD frame structure of FIG. 19 corresponds to the fram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TTD frame structure shown in FIG. The FDD frame structure is preferably constructed by inheriting the TDD fram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onsider an appropriate FDD frame structure by applying the FDD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each case. As shown in FIG. 18, the second type subframe may be located in the first subframe, the second subframe, or the last subframe within the frame. In addition, the first type subframe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subframe of each downlink and uplink area.

이때 FDD 프레임 구조에서는 TDD 프레임 구조와는 달리 TTG/RTG 구간이 필요 없기 때문에, 하나의 심볼을 추가적으로 더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남는 심볼을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에 추가하여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 추가되는 심볼에 이 위치하는 서브프레임은 도 19의 case 1 및 2와 같이 프레임 내 세 번째 또는 네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H-FDD 프 레임 구조를 고려한 것으로, H-FDD 프레임 구조 고려 시 그룹간에 추가적인 유휴구간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추가적인 구간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고려되는 위치일 뿐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심볼이 추가되는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의 위치에 제한은 없다. In this case, unlike the TDD frame structure in the FDD frame structure, since a TTG / RTG section is not necessary, one symbol can be additionally utilized. Therefore, it may be considered to configure the second type subframe by adding the remaining symbols to the first type subframe. The subframe located in the added symbol may be located in the third or fourth subframe in the frame as in cases 1 and 2 in Fig. Considering the H-FDD frame structure, an additional idle period is required between the groups in consideration of the H-FDD frame structure. To this end, an additional interval required by the second type sub-frame can be configured. However, this is a position to be consider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second type subframe in which one symbol is added is not limited.

추가 심볼을 할당하는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하나의 남는 심볼을 개별적으로 배치하는 방법이 있다. 도 19의 case 3과 같이 프레임 내 첫 번째 서브프레임의 앞에 심볼을 추가하는 것은 프리앰블이나 프레임 제어 헤더(FCH)와 같이 심볼 단위의 필수 제어 정보들이 프레임의 앞 부분에서 전송되는 이러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함이다. As another method of allocating additional symbols, there is a method of individually allocating one remaining symbol. As shown in case 3 of FIG. 19, adding a symbol before the first subframe in a frame may be performed by transmitting the control information, such as a preamble or a frame control header (FCH) It is for this reason.

이와 달리, case 5와 같이 심볼을 프레임 내 마지막 서브프레임 뒤에 할당함으로써 사운딩과 같은 추가 정보를 전송하는데 하나의 심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심볼 위치는 H-FDD 프레임 구조를 고려하여 세 번째 서브프레임 및 네 번째 서브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는 바람직한 위치의 일 예일 뿐, 본 발명에서는 추가되는 한 심볼의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Alternatively, one symbol can be used to transmit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sounding, by assigning the symbol after the last subframe in the frame as in case 5. Also, one symbol position is preferably located between the third sub-frame and the fourth sub-frame in consideration of the H-FDD frame structure. However, this is only one example of a preferable position, and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position of one symbol to be ad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내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한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프레임 내 두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은 프레임 내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FDD 프레임 구조에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내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한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두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하는 구조로 나타낼 수 있다. 6개의 심볼로 구성된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을 프레임 내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시킴으로써 기존에 정의된 6개의 심볼로 구성된 수퍼프레임 헤더 구조를 변경 없이 사용할 수 있다. Also,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type subframe located in the first subframe in the frame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subframe in the frame, and the first type subframe may be located in the first subframe in the frame .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9 in the FDD frame structure, the second type subframe located in the first subframe in the frame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subframe. By placing the first type subframe consisting of six symbols in the first subframe in the frame, the superframe header structure composed of six previously defined symbols can be used without modific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한 8.75MHz에서의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 및 상기 TTD 프레임 구조와 공통성을 가지는 FDD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기존에 정의된 다른 CP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호 공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using the TDD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at 8.75 MHz and the FDD structure having a commonality with the TTD frame structur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rame can coexist with each other.

이하에서는 IEEE 802.16m 시스템에서 8.75MHz 대역에서 1/4 Tb의 CP 길이를 가지는 TDD 프레임 구조와 상기 TDD 구조와 공통성을 가지는 FDD 프레임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TDD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in the 8.75 MHz band and an FDD frame structure having the commonality with the TD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the IEEE 802.16m system.

본 발명에 따른 8.75MHz 대역에서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 및 FDD 프레임 구조는 기존에 정의된 다른 CP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와 공통성을 가진다. 기존의 다른 CP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와 서로 공존하기 위해서 TDD 프레임에서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의 전환점이 서로 중첩되지 않아 상호 간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프레임 구조이다.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8.75MHz에서 1/4 Tb의 CP길이를 이용할 경우, 정의되는 OFDMA 파라미터들은 기존의 1/8 Tb의 CP 길이와 1/16 Tb의 CP 길이의 경우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정의될 수 있다. 1/4 Tb의 CP 길이를 가지는 경우에 OFDM의 심볼 주기는 128 μs 이고 이때 한 프레임에 존재하는 OFDMA 심볼의 수는 39개이다. The TDD frame structure and the FDD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in the 8.75 MHz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commonality with a frame structure having different CP lengths as previously defined. In order to coexist with the existing frame structure having a different CP length, the TDD frame is a frame structure in which the switching points from the downlink to the uplink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interference does not occur between them. As shown in Table 1, when the CP length of 1/4 Tb at 8.75 MHz is used, the defined OFDMA parameter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1/8 Tb CP length and 1/16 Tb CP length . ≪ / RTI > In the case of having a CP length of 1/4 Tb, the symbol period of OFDM is 128 μs, and the number of OFDMA symbols existing in one frame is 39.

기존 프레임 구조에서 서브프레임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 심볼 수에 따른 제 1 타입 내지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1/4 Tb 의 CP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TDD 프레임 구조에서 TTG/RTG 구간으로 한 심볼을 할당할 수 있고, 남은 38개의 심볼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영역을 할당할 경우에 상대적인 TTG와 RTG는 각각 61.6 μs 와 74.4 μs 이다. 이는 표 1에 나타난 기존의 1/8 Tb의 CP 길이, 1/16 Tb의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에서의 TTG/RTG 보다 작은 값을 갖는다. 따라서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의 전환하는 경우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by using first to third type subfram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ymbols used for defining a subframe in an existing frame structure. In the TDD frame structure, one symbol can be allocated to the TTG / RTG section, and the relative TTG and RTG are 61.6 μs and 74.4 μs when the remaining 38 symbols are allocated to the downlink and uplink regions, respectively. This is smaller than the TTG / RTG in the frame structure having the conventional 1/8 Tb CP length and 1/16 Tb CP length shown in Table 1.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switching from downlink to uplink.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기존에 정의된 다른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의 TTG/RTG와 비슷한 구간을 프레임 내에 생성하기 위하여 TDD 프레임 구조에서 TTG와 RTG 구간으로 2개 심볼을 할당하고 남은 37개의 심볼로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generate an interval similar to the TTG / RTG of a frame having a different CP length as defined in the prior art, two symbols are allocated to the TTG and RTG sections in the TDD frame structure, Can be configured.

도 20은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TDD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도 20을 참조하면, TDD 프레임은 기존 서브프레임 타입인 6개의 심볼로 구성된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을 많이 사용하기 위하여 6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프레임은 5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1개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38개의 심볼을 할당하여 프레임을 구성할 경우, 구성된 2개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 중에서 하나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에 한 심볼을 TTG/RTG를 위해 할당함으로써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이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변경될 수 있고, 그 결과 기존에 한 심볼을 할당하였을 경우에 비해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의 수가 하나 줄어든 프레임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즉, TTD 프레임 구조에 서는 TTG/RTG용 유휴구간으로 한 심볼이 할당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a TDD frame may be composed of 6 subframes in order to use a first type subframe consisting of 6 symbols, which is a conventional subframe type, and one frame includes 5 first type subframes And one second type sub-frame. That is, when a frame is formed by allocating 38 symbols, one symbol is allocated to one TTG / RTG in one second type subframe among two configured second type subframes, so that the second type subframe is divided into a first type Subframes can be changed, and as a result, a frame structure in which the number of second type subframes is reduced by one compared to a case where a symbol is allocated in advance can be constituted. That is, in the TTD frame structure, one symbol can be allocated as the idle period for the TTG / RTG.

도 20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의 비율이 (5:1), (4:2), (3:3), (2:4)일 때, 이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총 심볼 수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총 심볼 수는 각각 (31:6), (25:12), (19:18), (13:24)일 수 있다.In FIG. 20, when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s (5: 1), (4: 2), (3: 3), (2: 4) The total number of symbols allocated to the subframes and the total number of symbols allocated to the uplink subframes may be (31: 6), (25:12), (19:18), (13:24).

TDD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하나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혹은 상향링크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의 경우 프레임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는 프리앰블, 수퍼프레임 헤더를 전송하기 위하여 기존에 정의된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프레임 내의 두 번째 서브프레임부터 위치하는 것이 적당하다. 따라서 6개의 심볼을 가지는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프레임 내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함에 따라 기존 6개의 심볼로 정의된 수퍼프레임 헤더 구조를 서브프레임 구조의 변경 없이 계승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은 일 예일 뿐,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프레임 내에서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도 있다. One second type subframe in the TDD frame may be located in the downlink or uplink. In this case, since 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type subframe defined in order to transmit a preamble and a superframe header is located in a first subframe of a frame in the case of a downlink, It is appropriate to start from the frame. Accordingly, since the first type subframe having six symbols is located in the first subframe in the frame, the superframe header structure defined by the existing six symbols can be used without changing the subframe structure. The construction of such a frame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second type sub frame may be located in any sub frame within the frame.

그리고,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의 전환 구간에 위치한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은 유휴구간을 포함해서 7개의 심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이나 일반적으로 TTG 구간으로 필요한 시간차를 만들기 위해서 한 개의 심볼을 유휴구간으로 할당하여 6개의 심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의 비율이 (2:4)인 경우에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서는 마지막 서브프레임이 7개의 심 볼로 구성되게 된다. 이 경우를 제외한 구성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의 비율에 관계없이 6개의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의 한 심볼을 TTG를 위하여 더 할당하여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생성하여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0에서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프레임 내의 두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한 프레임 구조가 도시되었다.The last subframe of the downlink located in the downlink to uplink transition period is divided into seven subframes including the idle period or one symbol is allocated to the idle period in order to make the time difference necessary for the TTG period in general So that it can be composed of six symbols. However, when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s (2: 4), the second type subframe may be located in the last subframe of the downlink. In this case, the last subframe consists of seven symbols. The configuration except for this case can be composed of six symbols irrespective of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Further, one symbol of the second type sub-frame may be further allocated to the TTG to generate a first type sub-frame to form a frame. In FIG. 20, the frame structure of the second type subframe is shown in the second subframe within the frame.

도 21은 도 20의 TDD 프레임 구조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의 비율이 4:2인 경우에 대한 TDD 프레임 구조 및 이에 대응하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2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DD frame structure and a corresponding FDD frame structure when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s 4: 2 in the TDD frame structure of FIG. 20 .

도 21을 참조하면, FDD 프레임 구조에서는 TTG/RTG를 위한 추가적인 유휴구간을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39개의 OFDMA 심볼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FDD 프레임이 TDD 프레임과 같이 6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경우, FDD 프레임은 3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3개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6개의 심볼로 구성된 수퍼프레임 헤더를 전송하기 위해 프레임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는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21, since there is no need to set an additional idle period for the TTG / RTG in the FDD frame structure, a frame can be configured using 39 OFDMA symbols. When an FDD frame is composed of six subframes like a TDD frame, the FDD frame may be composed of three first type subframes and three second type subframes. In this case, in order to transmit a superframe header composed of six symbol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ype subframe is located in the first subframe of the frame.

또한, H-FDD 프레임 구조나 프레임 내의 미드앰블을 고려하여 독립적으로 추가적인 한 심볼을 세 번째 서브프레임, 네 번째 서브프레임 뒤에 할당하거나, 한 심볼을 프레임의 마지막 서브프레임 뒤에 배치하여 사용하여, 사운딩(sounding)과 같이 추가적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구조를 변환하지 않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an additional symbol may be allocated after the third subframe or the fourth subframe independently in consideration of the H-FDD frame structure or the midamble in the frame, or one symbol may be placed after the last subframe of the frame, and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sounding can be transmitted. By doing so, the signal can be transmitted without converting the subframe structure for existing data transmission.

도 22는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TDD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도 22의 TDD 프레임 구조는 도 20에 도시된 TDD 프레임 구조에서 하향링크 구간에 위치시킨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을 상향링크에 위치시켜 나타낸 구성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상향링크 내에서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의 위치는 제한이 없다. 이 경우도 도 20에서와 같이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의 전환을 위하여 2개 심볼을 TTG/RTG 구간으로 할당하는 경우이다. 이때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은 7개의 심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이나 일반적으로 TTG 구간으로 필요한 시간차를 만들기 위해서 한 개의 심볼을 유휴구간으로 할당하여 6개의 심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의 비율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심볼은 프레임 내 존재하는 다른 제 2 타입 서브프레임 중에서 하나의 심볼을 유휴 구간으로 할당하여 6개의 심볼로 구성된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을 구성하여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하향링크 모든 서브프레임은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배치하여, 하향링크/상향링크 간의 구분을 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TDD frame structure of FIG. 22 i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type subframe located in the downlink section in the TDD frame structure shown in FIG. 20 is located on the uplink.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second type subframe in the uplink is not limited. In this case as well, as shown in FIG. 20, two symbols are allocated to a TTG / RTG period for switching from downlink to uplink. At this time, the last subframe of the downlink may be composed of six symbols by allocating one symbol as an idle period to make a necessary time difference in a TTG period or a subframe consisting of seven symbols. This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The other symbol may constitute a frame by constructing a first type subframe including six symbols by assigning one symbol among other second type subframes existing in the frame to the idle period. Accordingly, all downlink subframes may be configured as a first type subframe, and a second type subframe may be allocated to the first subframe of the uplink for use in downlink / uplink separation.

도 22의 TDD 프레임 구조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의 비율이 (5:1), (4:2), (3:3), (2:4)일 때, 이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총 심볼 수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총 심볼 수는 각각 (30:7), (24:13), (18:19), (12:25)일 수 있다. When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s (5: 1), (4: 2), (3: 3), (2: 4) The total number of symbols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downlink subframes and the total number of symbols allocated to the uplink subframes are (30: 7), (24:13), (18:19), (12:25 ).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TDD 프레임 구조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의 비율이 (4:2)인 경우에 대한 TDD 프레임 구조 및 이에 대응하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DD frame structure and a corresponding FDD frame structure in a case where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n the TDD frame structure shown in FIG. 22 is (4: 2) Fig.

도 23을 참조하면, 도 22에 나타난 TDD의 특정 비율에 대한 TDD 프레임 구조와 FDD 프레임 구조가 도시되었다. 도 23에 도시된 TDD 프레임 구조에서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영역에만 위치할 수 있으며, 이때,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중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하향링크/상향링크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에서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의 위치에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Referring to FIG. 23, a TDD frame structure and an FDD frame structure for a specific ratio of TDD shown in FIG. 22 are shown. In the TDD frame structure shown in FIG. 23, the second type subframe may be located only in the uplink area, and the second type subframe may be located in the first subframe of the uplink subframe. In this case, the downlink / uplink can be divided using the second type sub-frame.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second type subframe in the uplink is not limited.

도 20 내지 도 23에서 설명한 프레임 구성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의 비율이 (6:0)인 경우에 대하여, TDD 프레임의 경우 FDD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하향링크/상향링크 전환을 유휴구간을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에는 TDD 프레임 구조도 FDD 프레임 구조와 같은 구성을 나타내며, 이때 프레임 내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는 6개의 심볼로 구성된 수퍼프레임 헤더를 전송하기 위하여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새로운 서브프레임 구조를 설계할 필요없이 6개의 심볼로 정의된 수퍼프레임 구조 및 제어 채널 구조를 계승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the frame configur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3, when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s (6: 0), in the case of the TDD frame, the downlink / There is no need to set the idle interval for switching separately. In this case, the TDD frame structure also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DD frame structure. In this case, the first type subframe may be located in the first subframe in the frame to transmit a superframe header composed of six symbols. In this case, the superframe structure and the control channel structure defined by six symbols can be successively used without designing a new subframe structur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를 설계하면 기존의 TTG/RTG 구간이 다른 CP 길이(1/8 Tb의 CP 길이, 1/16 Tb의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에서 설정된 TTG/RTG 구간보다 작아질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f a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he conventional TTG / RTG section has a different CP length (CP length of 1/8 Tb, CP length of 1/16 Tb) The problem that the TTG / RTG section set in the frame structure can be reduced can be solved.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hose in which the elemen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in a predetermined form. Each component or feature shall be considered optional unless otherwise expressly stated. Each component or feature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is not combined with other components or features.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some of the elements and / or features. The order of the oper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Some configurations or features of certain embodiments may be included in other embodiments, or may be replaced with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or features of other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claims that are not expressly cited in the claims may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be included in a new claim by an amendment after the applica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means, for example,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case of hardware implementa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a processor, a controller, a microcontroller, a microprocessor, or the like.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 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In the case of an implementation by firmware or softwa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a procedure, a function, and the like which perform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The software code can be stored in a memory unit and driven by the processor. The memory unit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and may exchange data with the processor by various well-known means.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도 1은 IEEE 802.16m 시스템에서의 기본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 basic frame structure in an IEEE 802.16m system,

도 2는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비율이 5:3인 TDD 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DD frame having a downlink and uplink ratio of 5: 3,

도 3은 FDD 방식에서의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frame structure in the FDD scheme,

도 4는 유효 심볼 길이(Tu)의 1/16에 해당하는 CP 길이를 갖는 TDD 및 FDD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DD and FDD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corresponding to 1/16 of an effective symbol length Tu; FIG.

도 5는 CP(cyclic prefix)를 포함하는 심볼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ymbol structure including a CP (cyclic prefix)

도 6 내지 도 10은 다른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와 공존할 수 있는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를 각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비율에 따라 일 예를 도시한 도면,FIGS. 6 to 10 illustrate an example of a TDD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that can coexist with a TDD frame structure having a different CP length according to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and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respectively The drawings,

도 11은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FDD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도 12 내지 도 16은 다른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와 공존 가능한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를 각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비율에 따라 일 예를 도시한 도면,12 to 16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DD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capable of coexisting with a frame structure having a different CP length according to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and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respectively ,

도 17은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1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FDD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도 18은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1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TDD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도 19는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1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FDD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도 20은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2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DD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도 21은 도 20의 TDD 프레임 구조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의 비율이 4:2인 경우에 대하여 TDD 프레임 구조와 이에 대응하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FIG. 2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DD frame structure and a corresponding FDD frame structure when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s 4: 2 in the TDD frame structure of FIG. 20;

도 22는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2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TDD frame structure having a CP length of 1/4 Tb,

도 23은 도 20의 TDD 프레임 구조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의 비율이 4:2인 경우에 대하여 TDD 프레임 구조와 이에 대응하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DD frame structure and a corresponding FDD frame structure when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n the TDD frame structure of FIG. 20 is 4: 2 .

Claims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using a frame struct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기 프레임 구조에 따라서 전체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들의 개수가 37 또는 39인 프레임을 통해 상기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ignal through a frame having a total number of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symbols of 37 or 39 according to the frame structure, 상기 프레임은 6개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상기 6개의 서브프레임들은 상기 전체 OFDMA 심볼들 중 6개의 OFDMA 심볼들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전체 OFDMA 심볼들 중 7개의 OFDMA 심볼들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제 2 타입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Wherein the frame includes six subframes, wherein the six subframes comprise at least one first type subframe comprising six OFDMA symbols of the total OFDMA symbols and seven OFDMA symbols of the total OFDMA symbols At least one second type of sub-frame,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전체 OFDMA 심볼들 각각의 CP(Cyclic Prefix) 길이는 유효 심볼 길이의 1/4로 설정되고, The CP (Cyclic Prefix) length of each OFDMA symbol in the frame is set to 1/4 of the effective symbol length, 상기 프레임의 채널 대역폭은 8.75MHz로 설정되고,The channel bandwidth of the frame is set to 8.75 MHz, 상기 프레임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은 상기 6개의 OFDMA 심볼을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타입 서브프레임 중 하나이고, 두 번째 서브프레임은 상기 7개의 OFDMA 심볼을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타입 서브프레임 중 하나이고, Wherein the first subframe of the frame is one of the at least one first type subframe having the six OFDMA symbols and the second subframe is one of the at least one second type subframe having the seven OFDMA symbols One,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타입 서브프레임 각각의 길이는 0.768ms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타입 서브프레임 각각의 길이는 0.896ms인, 방법. Wherein the length of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type subframe is 0.768 ms and the length of each of the at least one second type subframe is 0.896 m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프레임은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프레임 또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프레임인, 방법.Wherein the frame is a Time Division Duplex (TDD) frame or a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frame.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TDD 프레임은 하향링크 구간 및 상기 하향링크 구간에 후속하는 상향링크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상향링크 구간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중 하나가 위치하는, 방법.Wherein the TDD frame includes a downlink interval and an uplink interval following the downlink interval, wherein one of the at least one first type subframe is located in a first subframe of the uplink interval.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TDD 프레임에서 상기 하향링크 구간 및 상기 상향링크 구간 사이에는 전송전이간격(TTG: Transmit Transition Gaps)이 위치하며, 상기 상향링크 구간의 마지막 서브프레임 뒤에 수신전이간격(RTG: Receive Transition Gaps)이 위치하는, 방법.In the TDD frame, a transmission transition gap (TTG) is located between the downlink interval and the uplink interval, and a reception transition gap (RTG) is located after the last subframe of the uplink interval. How to.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TDD 프레임은 4개의 상기 제 1 타입 서브프레임들 및 2개의 상기 제 2 타입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방법.Wherein the TDD frame comprises four of the first type subframes and two of the second type subframes.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TDD 프레임 내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은 5:1, 4:2, 3:3 및 2:4 중 어느 하나인, 방법.Wherein the ratio of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to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n the TDD frame is one of 5: 1, 4: 2, 3: 3, and 2: 4.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FDD 프레임 내에서 네 번째 또는 여섯 번째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인, 방법.Wherein the fourth or sixth subframe in the FDD frame is the second type subframe.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FDD 프레임은 3개의 상기 제 1 타입 서브프레임들 및 3개의 상기 제 2 타입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방법. Wherein the FDD frame comprises three of the first type subframes and three of the second type subframes.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FDD 프레임 내 마지막 서브프레임 뒤에는 유휴 시간(idle time)이 위치하는, 방법.Wherein an idle time is located after the last subframe in the FDD fram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FDD 프레임의 세 번째 또는 다섯 번째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1 타입 서브프레임인,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hird or fifth subframe of the FDD frame is the first type subframe.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using a frame struct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기 프레임 구조에 따라서 전체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들의 개수가 37 또는 39인 프레임을 통해 상기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며,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the signal through a frame having a total number of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symbols of 37 or 39 according to the frame structure, 상기 프레임은 6개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상기 6개의 서브프레임들은 상기 전체 OFDMA 심볼들 중 6개의 OFDMA 심볼들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전체 OFDMA 심볼들 중 7개의 OFDMA 심볼들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제 2 타입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Wherein the frame includes six subframes, wherein the six subframes comprise at least one first type subframe comprising six OFDMA symbols of the total OFDMA symbols and seven OFDMA symbols of the total OFDMA symbols At least one second type of sub-frame,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전체 OFDMA 심볼들 각각의 CP(Cyclic Prefix) 길이는 유효 심볼 길이의 1/4로 설정되고, The CP (Cyclic Prefix) length of each OFDMA symbol in the frame is set to 1/4 of the effective symbol length, 상기 프레임의 채널 대역폭은 8.75MHz로 설정되고,The channel bandwidth of the frame is set to 8.75 MHz, 상기 프레임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은 상기 6개의 OFDMA 심볼을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타입 서브프레임 중 하나이고, 두 번째 서브프레임은 상기 7개의 OFDMA 심볼을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타입 서브프레임 중 하나이고,Wherein the first subframe of the frame is one of the at least one first type subframe having the six OFDMA symbols and the second subframe is one of the at least one second type subframe having the seven OFDMA symbols One,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타입 서브프레임 각각의 길이는 0.768ms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타입 서브프레임 각각의 길이는 0.896ms인, 장치.Wherein the length of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type subframe is 0.768 ms and the length of each of the at least one second type subframe is 0.896 m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67849A 2009-04-03 2009-07-24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376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52,594 US8514830B2 (en) 2009-04-03 2010-04-01 Method for transceiving a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010159433.3A CN101902269B (en) 2009-04-03 2010-04-06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25209P 2009-04-03 2009-04-03
US61/166,252 2009-04-03
US17321409P 2009-04-28 2009-04-28
US61/173,214 2009-04-28
US21804709P 2009-06-17 2009-06-17
US61/218,047 2009-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707A KR20100110707A (en) 2010-10-13
KR101537617B1 true KR101537617B1 (en) 2015-07-17

Family

ID=43131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849A KR101537617B1 (en) 2009-04-03 2009-07-24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7617B1 (en)
CN (1) CN101902269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327A3 (en) * 2016-05-19 2018-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scalable frame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0475A (en) * 2006-09-28 2008-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osition of a frame in a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42513A1 (en) * 2004-06-24 2012-04-18 Nortel Networks Limited Preambles in OFDMA System
CN101151818B (en) * 2005-03-30 2011-08-10 摩托罗拉移动公司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round-trip latency and overhead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1026468A (en) * 2006-02-20 2007-08-29 华为技术有限公司 Business data transmitting method and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0475A (en) * 2006-09-28 2008-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osition of a frame in a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kia, "IEEE 802.16m System Description Document [Draft]", IEEE 802.16m-08/003r7, 2009.02.07. *
Nokia, "IEEE 802.16m System Description Document [Draft]", IEEE 802.16m-08/003r7, 2009.02.07.*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327A3 (en) * 2016-05-19 2018-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scalable frame structure
US11671213B2 (en) 2016-05-19 2023-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scalable fram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707A (en) 2010-10-13
CN101902269A (en) 2010-12-01
CN101902269B (en)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3857B2 (en) Method of communication using frame
US10070436B2 (en) Method of resolving overlaps in data transmission and user equipment therefor
KR101645490B1 (en) A method for tranmsimittng signal using a frame of a predetermined cyclic prefix length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302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40625B1 (en) Method for allocating radio resource in frequency division duplex frame
US8665907B2 (en) Method of constructing a frame by multiplexing subframes having different CP length
EP2497236A2 (en) Frame structure for support of large delay spread deployment scenarios
US8509124B2 (en) Method for transceiving a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00952B2 (en) Method for transceiving a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32205B2 (en) Frame transmission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47123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ceiving signals using frame struct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14830B2 (en) Method for transceiving a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37617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792505B1 (en) The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s
KR101456006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35885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6128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