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588B1 -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588B1
KR101537588B1 KR1020080028003A KR20080028003A KR101537588B1 KR 101537588 B1 KR101537588 B1 KR 101537588B1 KR 1020080028003 A KR1020080028003 A KR 1020080028003A KR 20080028003 A KR20080028003 A KR 20080028003A KR 101537588 B1 KR101537588 B1 KR 101537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menu
screen
touch scree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0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02512A (en
Inventor
최경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8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588B1/en
Priority to US12/268,362 priority patent/US9274681B2/en
Priority to RU2008148670/08A priority patent/RU2504821C2/en
Priority to CN200910002918.9A priority patent/CN101546245B/en
Priority to EP09155804.9A priority patent/EP2105827B1/en
Publication of KR20090102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5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5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 내의 각종 기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근접 터치와 접촉 터치가 상호 구분되어 입력될 수 있으므로, 단말기 내에 다양한 메뉴들이 존재하더라도 단말기 사용자가 용이하게 소망 메뉴를 선택하고 선택된 메뉴 내에서 소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various functions in a terminal can be implement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a us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oximity touch and the contact touch can be separately inputted, even if various menus exist in the terminal, the terminal user can easily select the desired menu and input the desired command in the selected menu .

Description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0001]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0002]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 내의 각종 기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various functions in a terminal can be implement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a user.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A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mobile phone, or the like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Examples of such various functions include a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a function of photographing a video or a moving image through a camera, a voice storage function, a music file playback function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an image or video display function. Some terminals include additional functions to execute games, and some other terminals are also implemented as multimedia devices. Moreover, recent terminals can receive a broadcast or multicast signal to view a video or television program.

또한, 상기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In addition, efforts for supporting and increasing the functions of the terminal continue. The foregoing efforts include not only changes and improvements in structural components that form the terminal, but also improvements in software or hardware.

단말기가 전술한 바와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 기로 동작할 때, 상기 단말기에는 상기 복잡한 기능만큼이나 다양한 메뉴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다양한 메뉴들은 오히려 사용자 입장에서는 단말기 조작에 대한 혼선을 초래하는 경우가 왕왕 있다. 따라서, 상기 다양한 메뉴들이 사용자가 조작하기에 편리하도록 구성되는 노력이 계속 요구되고 있다.When the terminal operates as a multimedi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complex functions, the terminal has menus as many as the complex functions. However, the various menus may cause confus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ly, there is a continuing need for efforts to configure the various menus to be convenient for the user to operat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단말기에 다양한 메뉴들이 존재하더라도, 단말기 사용자가 용이하게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고 선택된 메뉴 내에서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rminal that allows a terminal user to easily select a desired menu and input a predetermined command in a selected menu,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및 단말기 내에서 일부 명령들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근접 터치로 입력되고, 다른 일부 명령들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 터치로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some of instructions in the terminal to be input by touching the touch screen on the touch screen, To provide a terminal.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포인터의 근접 터치 및 접촉 터치 중 어느 것에 의해 명령이 입력될 것인지가 사전 설정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whether a command is inputted by touching or touching a pointer on the touch screen, to provide.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 내에서 일부 명령들이 터치스크린 상에 근접 터치로 입력되도록 제어되는 단계, 및 단말기 내에서 다른 일부 명령들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 터치로 입력되도록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touch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의 터치 모드가 설정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모드에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포인터의 근접 터 치 및 접촉 터치 중 어느 것에 의해 명령이 입력되도록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touch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setting a touch mode of the touch screen; and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to input an instruction by touching the touch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로 근접 터치될 때, 상기 근접 터치에 반응하여 소정 메뉴 아이콘들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screen device comprising: a touch scree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predetermined menu icons on the touch screen in response to the proximity touch when the touch- And a terminal.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소정 위치에 근접 터치된 후 드래그될 때, 상기 소정 위치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소정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 상기 근접 터치 드래그가 인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screen device comprising: a touch screen; and a touch screen, wherein when the touch screen is touched and dragg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and then the predetermined position is with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touch scree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to recognize the terminal.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근접 터치된 때는 제 1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터치스크린이 비활성화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 터치된 때는 제 2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터치스크린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screen device comprising: a touch screen; and a touch screen, wherein when the touch screen is touched on the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is inactivated after a first predetermined time elapses, And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to be inactiva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로 근접 터치되는 단계, 및 상기 근접 터치에 반응하여, 소정 메뉴 아이콘들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touch screen, comprising the steps of: touching a touch screen with a pointer; and controlling a predetermined menu icon to be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n response to the proximity touch And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소정 위치에 근접 터치된 후 드래그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위치가 상기 터치스크린의 소 정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 상기 근접 터치 드래그가 인식되도록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touch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touching and dragging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and then dragging the touch screen; And controlling the terminal.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근접 터치된 때는 제 1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터치스크린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 터치된 때는 제 2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터치스크린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touch screen, comprising: controlling a touch screen to be inactivated after a first predetermined time elapses when the touch is touched on a touch screen; And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to be inactiva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terminal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근접 터치와 접촉 터치가 상호 구분되어 입력될 수 있으므로, 단말기 내에 다양한 메뉴들이 존재하더라도 단말기 사용자가 용이하게 소망 메뉴를 선택하고 선택된 메뉴 내에서 소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oximity touch and the contact touch can be separately inputted, even if various menus exist in the terminal, the terminal user can easily select the desired menu and input the desired command in the selected menu .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mentioned "module" and "part"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로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와,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비휴대 단말기가 있을 수 있다. Th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There may be non-portable terminals such as terminals, desktop computers, and the like.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휴대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휴대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데스트탑 컴퓨터 등과 같은 상기 비휴대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 is a portable terminal. 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be applied to the non-portable terminal, such as a desktop computer, except for a component specially configured for portable 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휴대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1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udio / video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160, an interface unit 170, a control unit 180,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1 shows a portable terminal having various components. However, not all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re essential components.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e illustrated components, or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fewer components.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 는 휴대단말기(100)와 휴대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a network on which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Meanwhile,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 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ing systems. In particular,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Link Only),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and the like.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ing systems that provide broadcasting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can be built in or externally.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 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etc. may be used as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confirming or obtaining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typical exampl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is a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According to the current technology, the GPS module 115 calculates distance information and accurate time information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then applies trigonometry to the calculated information to obtain a three-dimensional string of latitude, longitude,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accurately calculated. At present, a method of calculating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an error of the calculated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another satellite is widely used. In addition, the GPS module 115 can calculate speed information by continuously calculating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An audio / video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The camera 1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n,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51.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he camera 121 may be equipped with two or more camera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마이크(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 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through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and output. The microphone 122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Particularly,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module 151 described later, it can be called a touch screen.

센싱부(140)는 휴대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단말기의 방위, 휴대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resence of the user, the orient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is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Also, it is responsible for a sensing function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the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s, earphone ports, and the like.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휴대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Here,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age right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 USIM "), and the like. In addition, an apparatus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at.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port.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transfer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transmits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휴대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휴대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는 신호가 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the interface unit may be a path through which the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a pathway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from the cradle or the power source may be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 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and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2, and an alarm output module 153 .

디스플레이 모듈(151)는 휴대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 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module 1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captured image and / or the received image or UI and GUI are display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module 151 and the touch pad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to constitute a touch screen, the display module 151 can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The display module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Also,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modules 151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include an external display module (not shown) and an internal display module (not shown) at the same time. The touch screen may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touch input position and area but also the touch input pressure.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따라서,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상당히 길며 그 활용도 또한 상당히 높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proximity sensors may be disposed inside or near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 nearby object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Therefore, the proximity sensor has a considerably longer life than the contact-type sensor and its utilization is also quite high.

상기 근접 센서의 작동원리의 일예를 설명하자면, 발진회로에서 정파의 고주파를 발진하는 상태에서 감지물체가 센서 감지면 근방에 접근을 하면 발진회로의 발진 진폭이 감쇄 또는 정지하며, 이런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감지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고주파 발진 근접센서와 감지물체 사이에 금속성이 아닌 어떠한 물질이 온다 하더라도 근접스위치는 그 물체의 간섭없이 검출하고자 하는 감지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To describe an example of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oximity sensor, when the sensing object approaches the vicinity of the sensor sensing surface in the state of oscillating high frequency of the stationary wave in the oscillation circuit, the oscillation amplitude of the oscillation circuit attenuates or stops,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ensing object. Therefore, even if any non-metallic substance comes between the high 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nd the sensing object, the proximity switch can detect the sensing object to be detected without interference of the object.

상기 근접 센서가 굳이 장착되지 않더라도,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proximity sensor may be configured so as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with a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if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는 접촉되지 않았지만 근접되어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 및 상기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가 검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하도록 하겠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Accordingly, when the pointer is not actual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but is located close to the touch screen, the position of the point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er and the touch screen can be detected. 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act of allowing the pointer to be located on the touch screen to recognize that the pointer is positioned on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 and a pointer The actual touching action will be referred to as "contact touch. &Quot; In addition,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roximate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touched.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 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52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and the like)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3)는 휴대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 receiving a call signal, receiving a message, inputting a key signal, and touch input .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inform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output a signal in a vibration mode. When the call signal is received or a message is received, the alarm unit 153 can output a vibration to notify it. Alternatively, when the key signal is input, the alarm unit 153 can output the vibration by the feedback to the key signal input. The user can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n event through the vibration output as described above. Of course,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module 151 or the audio output module 152.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may includ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 ≪ / RTI >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data on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 when the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 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memory unit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A disk, and / or an optical disk.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unit 160 on the Internet.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unit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80. [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 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In some cases, And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180.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Also, the software codes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and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80. [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In the foregoing,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Hereinafter, 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m. Hereinafter,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a slider type portable terminal will be exemplified among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folder type, a bar type, a swing type, a slider type, and the lik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lider-type portable terminal but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portable terminals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type.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100)는 제1바디(200)와, 상기 제1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5)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타입일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lide type including a first body 200 and a second body 205 configured to be slidable along at least one direction on the first body 200. [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The state where the first body 200 is disposed in a state of being overlapped with the second body 205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configuration and the first body 20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body 205 )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한편,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구성된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폴더 타입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 2 바디가 폴딩(folding)되게 구성된 상태를 닫힌 상태라 칭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바디가 언폴딩(unfolding)되게 구성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 칭할 수 있다.Meanwhile, 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older type including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configured to fold or unfold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bod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Here, the state where the second body is configured to be folded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state, and the state where the second body is configured to be unfolded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state.

더욱이 또한,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에 대해 스윙가능하게 구성된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스윙 타입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바디가 제 2 바디에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라 칭할 수 있으며, 제 2 바디가 스윙되어 제 1 바디의 일부분이 노출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 칭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f a swing type including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configured to sw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Here,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is superimposed on the second body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state, and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body is swung and a part of the first body is exposed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state.

상기 폴더 타입과 상기 스윙 타입에 따른 단말기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Although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folder type and the swing type is not described in detail,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portable terminal 100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in the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is also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user. Also, the mobile terminal 100 operates mainly in a call mode in an open state, but is also switched to a standby mode after an operation of a user o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상기 제1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casing (casing, housing, cover, etc.) constitut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first body 200 is formed by the first front case 220 and the first rear case 225.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installed in a space formed by the first front case 220 and the first rear case 225.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ont case 220 and the first rear case 225.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 바디(200),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음향출력모듈(152), 카메라(121) 또는 제1 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A display module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2, a camera 121, or a first user input unit 21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body 200, specifically, the first front case 220.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Since the display module 151 has already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simplicity.

상기 음향출력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peaker.

카메라(12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camera 121 may be implemented to suitably photograph an image or a moving image for a user and the like.

제1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와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As in the case of the first body 200, the case constitut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second body 205 is formed by the second front case 230 and the second rear case 235.

제2 바디(205),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user input unit 215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205, specifically, the second front case 230.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A microphone 122 and an interface unit 170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front case 230 and the second rear case 235. The third user input unit 245,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user input units 210, 215, and 245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user input unit 130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operates in a tactile manner with a tactile impression have.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by a dome switch or a touch pad capable of receiving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push or a touch operation of a user, or may be a wheel, a jog type, a joystick, or the like Can also be implemented.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210)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들과 연동되어 사용되는 소위 소프트키와, 방향 지시 및 확인을 위한 네비게이션키(4개의 방향키 및 중앙키로 구성됨)를 포함할 수 있다. In a functional aspect, the first user input unit 210 is for inputting commands such as start, end, scrolling, etc., and the second user input unit 215 is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symbols and the like. The first user input unit 210 includes a so-called soft key used in conjunction with icons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51 and a navigation key (composed of four direction keys and a center key) for direction indication and confirmation .

또한, 제3 사용자 입력부(245)는 예컨대 사이드키 형태로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Also, the third user input unit 245 may operate as a hot-key for activating a special fun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side key.

상기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microphone 122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suitable for receiving voice, sound, etc. of the user.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해서는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전술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interface unit 170 is a channel through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Since the interface unit 170 has already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2 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A power supply unit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second rear case 235 side.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 rechargeable battery, for example, for charging.

도 3는 도 2의 휴대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3를 참조하면, 제2바디(205)의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camera 121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rear case 235 of the second body 205.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205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which is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camera 121 of the first body 200. The camera 121 of the first body 200 and the camera 121 of the first body 200, And different pixels.

예를 들어,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바디의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camera 121 of the first body 200 has low pixels so that it is easy to capture a face of a user in the case of a video call or the like and transmit it to the other party, Since it is often the case that a subject is photographed and not immediately transferred,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250)는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255)는 사용자가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flash 250 and a mirror 255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adjacent to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205. The flash 250 illuminates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of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205. The mirror 255 allows the user to illuminate the user's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intends to take a picture of himself / herself (self-photographing) using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205.

제 2 리어 케이스(235)에는 음향출력모듈 (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second rear case 235 may further include an acoustic output module 152.

상기 제2바디(205)의 음향출력모듈(152)는 제1바디(200)의 음향출력모듈(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f the second body 205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f the first body 200 and may be used for a call in a speakerphone mode.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260)는 제2바디(205)(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ntenna 260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ear case 235 in addition to the antenna for communication. The antenna 260 may be installed to be detachable from the second body 205 (2).

제1바디(200)의 제 1 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1바디(200)와 제2바디(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A portion of the slide module 265 that slidably couples the first body 200 and the second body 205 is disposed on the first rear case 225 side of the first body 200.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5)의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The other part of the slide module 265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front case 230 side of the second body 205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in this figure.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 등이 제2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camera 121 and the like are disposed on the second body 205,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60, 121 내지 250, 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200),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바디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바디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configurations 260, 121 to 250, and 152 described as being disposed in the second rear case 235, such as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irst rear case 225 is mounted to the rear case 225. In such a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s) disposed in the first rear case 225 in the closed state is protected by the second body 205. Further, even if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is not separately provided, the camera 121 of the first body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so that the camera 121 of the second body can be photographed up to the photographing direction .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100 shown in Figs. 1 to 3 is operable in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through a frame or a packet, including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satellite-based communication system .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Hereinafter,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ope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 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The communication system may use different air interfaces and / or physical layers. For example, wireless interfaces that can be used by communication system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 (especially Long Term Evolution (LT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 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escription will be limited to CDM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ll communication systems including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4, the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100,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BSs) 270, and 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275 , And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280. MSC 28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 ") 290, and is also configured to be coupled to BSCs 275. BSCs 275 may be coupled in pairs with BS 270 through a backhaul line. The backhaul line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E1 / 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or xDSL. Thus, a plurality of BSCs 275 may be included in the system shown in FIG.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Each BS 270 may comprise at least one sector, and each sector may comprise an omnidirectional antenna or an antenna pointing to a particular direction of radial from BS 270. [ In addition, each sector may include two or more antennas of various types. Each BS 270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a plurality of frequency assignment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frequency assignments has a specific spectrum (e.g., 1.25 MHz, 5 MHz, etc.).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 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The intersection of sector and frequency assignment may be referred to as a CDMA channel. BS 270 may be referred to as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 In this case, the word "base station" may be referred to as a combination of one BSC 275 and at least one BS 270. [ The base station may also indicate a "cell site ". Alternatively, each of the plurality of sectors for a particular BS 270 may be referred to as a plurality of cell site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용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4, a broadcasting transmitter (BT) 295 transmits a broadcasting signal to the terminals 100 operating in the system. The broadcast module 111 shown in FIG. 1 is provided in the terminal 100 to receive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by the BT 295.

뿐만 아니라, 도 4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GPS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In addition, FIG. 4 illustrates several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atellites 300. The satellites 300 help to locat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00. Although two satellites are shown in Figure 4, useful loc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two or more satellites. The GPS module 115 shown in FIG. 1 cooperates with satellites 300 to obtain desired location information. Here, you can track your location using all of the technologies that can track your location, as well as your GPS tracking technology. Also, at least one of the GPS satellites 300 may optionally or additionally be responsible for satellite DMB transmission.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Among the typical operation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BS 270 receives a reverse link signal from the various terminals 100. At this time, the terminals 100 are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a call, transmitting or receiving a message, or performing another communication operation. Each of the reverse link signals received by the particular base station 270 is processed by the particular base station 270. The data resulting from the processing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ed BSC 275. The BSC 275 provides call resource allocation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s, including the organization of soft handoffs between the base stations 270. The BSC 275 also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the MSC 280 and the MSC 280 provides additional transmission services for connection with the PSTN 290. [ Similarly, the PSTN 290 connects to the MSC 280, the MSC 280 connects to the BSCs 275, and the BSCs 275 communicate with the BSs 270 ).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후술되는 실시예들이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related to a control method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이하의 실시예들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더욱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면부호 400으로 지칭하도록 하겠다.The following embodiments can be more easily implemented when the display module 151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Hereinafter, the display screen of the touch screen 151 will be referred to as a reference numeral 400.

제 1 1st 실시예Example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A first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of a first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tate diagram of a display screen in which a first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6의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터치스크린(400)에는 대기 상 태에 따른 화면(즉, 대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대기 화면들이 있을 수 있으나, 도 6의 (6-1)에서는 상대방 전화번호 아이콘들(411, 412, 413)과 메뉴 아이콘들(421, 422, 423, 424, 425)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음이 예시되어 있다. As shown in (6-1) of FIG. 6, the touch screen 400 displays a screen according to a standby state (i.e., a standby screen). 6-1 in FIG. 6, the other party telephone number icons 411, 412, and 413 and the menu icons 421, 422, 423, 424, and 425 are displayed. Is illustrated.

이 때, 도 6의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화번호 아이콘들 중에서 한 아이콘(413)이 포인터(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펜)로 접촉 터치되어 상기 메뉴 아이콘들 중 한 메뉴 아이콘(422)으로 드래그된다[S51].At this time, as shown in (6-2) of FIG. 6, one icon 413 among the phone number icons is touched with a pointer (a finger or a stylus pen) to display a menu icon 422 of the menu icons, (S51).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드래그가 접촉 터치 드래그를 인식한다[S52].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된 전화 아이콘(413)에 대해 상기 메뉴 아이콘(422)에 할당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한다[S54]. Then, the controller 180 recognizes the touch drag dragging of the pointer (S52). Then, the controller 180 causes the dragged phone icon 413 to execute the function assigned to the menu icon 422 (S54).

그러나, 도 6의 (6-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600) 상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되어 제 1 소정 방향(예를 들면, 좌에서 우)으로 드래그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보자[S51].However, in a state as shown in (6-1) of FIG. 6, when the pointer is touch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600 and dragged in a first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from left to right) Let's take a look at the case [S51].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드래그가 근접 터치 드래그를 인식한다[S52].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도 6의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에서 실행메뉴가 변경되도록 한다[S53]. 즉,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대기화면 메뉴에서 이미지(즉, 정지영상, 동영상, 또는 플래시 영상) 보기 메뉴로 변경된다.Then, the controller 180 recognizes the proximity touch drag by dragging the pointer (S52). Then, the control unit 180 causes the terminal to change the execution menu as shown in (6-3) of FIG. 6 (S53).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changed from the idle screen menu to an image (i.e., still image, moving image, or flash image) viewing menu.

상기 휴대단말기(100)에서 이미지 보기 메뉴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제 2 소정 방향(예를 들면, 우에서 좌)으로 접촉 터치 드래그 된다. 그러면, 도 6의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전환된다. 상기 이미지 전환을 위한 접촉 터치 드래그의 제 2 소정 방향은 상기 실행 메뉴 변경을 위한 근접 터치 드래그의 제 1 소정 방향과 같거나 다를 수 있다.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in a second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from left to right) while the image viewing menu is being execut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 Then, as shown in (6-4) in Fig. 6, the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s switched. The second predetermined direction of the touch drag dragging for image switching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first predetermined direction of the proximity touch drag for changing the execution menu.

도 6의 (6-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600) 상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되어 제 1 소정 방향(예를 들면, 좌에서 우)으로 다시 드래그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보자.In a state as shown in (6-3) of FIG. 6, when the pointer is dragged again in a first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from left to right) while the pointer is touch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600 Let's take a look at.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가 근접 터치 드래그임을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도 6의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에서 실행 메뉴가 변경되도록 한다. 즉,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이미지 보기 메뉴에서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로 전환된다.Then, the controller 180 recognizes that the drag is the proximity touch drag. Then, the control unit 180 changes the execution menu in the terminal as shown in (6-5) of FIG.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00 switches from the image viewing menu to the audio file playback menu.

상기 휴대단말기(100)에서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도 6의 (6-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제 3 소정 방향(예를 들면, 상에서 하 또는 하에서 상)으로 접촉 터치 드래그된다. 그러면,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중에 볼륨의 크기가 조절되거나, 실행 오디오 파일이 이전 파일 또는 다음 파일로 전환될 수 있다. 제 3 소정 방향은 전술한 제 1 소정 방향 및 제 2 소정 방향과 같거나 다를 수 있다.(6 - 6) in the state in which the audio file playback menu is being execut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it is possible to display on the touch screen in a third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Touch-dragging. Then, the size of the volume may be adjusted during playback of the audio file, or the execution audio file may be switched to the previous file or the next file. The third predetermined direction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first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direction.

도 6의 (6-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600) 상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되어 제 1 소정 방향(예를 들면, 좌에서 우)으로 다시 드래그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보자.When the pointer is dragged again in a first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from left to right) by touching the point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600 in a state as shown in (6-5) of FIG. 6 Let's take a look at.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가 근접 터치 드래그임을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도 6의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에서 실행 메뉴가 변경되도록 한다. 즉,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에서 대기상태로 전환된다.Then, the controller 180 recognizes that the drag is the proximity touch drag. Then, the control unit 180 changes the execution menu in the terminal as shown in (6-1) of FIG.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switched from the audio file playback menu to the standby state.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근접 터치되어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단말기 내의 실행 메뉴를 변환한다. 이상에서는 상기 단말기의 대기 상태가 일종의 실행 메뉴인 것으로 가정되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상기 단말기가 소정의 조작을 통해 대기 상태에서 메뉴 모드로 진입하여 소정의 메뉴가 실행된 이후부터, 상기 근접 터치 드래그를 인식하여 실행 메뉴를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실행 메뉴로서 이미지 보기 메뉴 및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만이 예시되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더 많은 다른 실행 메뉴(예를 들면, 사진 촬영 메뉴, 방송 수신 메뉴 등)가 본 실시예에 더욱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and is drag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controller 180 converts an execution menu in the terminal.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de on the assumption that the standby state of the terminal is a kind of execution menu.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the proximity touch drag and convert the execution menu after the terminal enters the menu mode from the standby state through a predetermined operation and the predetermined menu is executed. 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image viewing menu and the audio file reproducing menu are exemplified as the execution menus,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ore different execution menus (e.g., photographing menu, broadcast receiving menu, etc.) May be further included.

한편,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접촉 터치되어 드래그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단말기 내의 실행 메뉴 내에서 소정 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인식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and is dragged on the touch screen, the controller 180 recognizes that a predetermined command is input in the execution menu in the terminal.

정리하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근접 터치 드래그되면 실행 메뉴가 변환되고, 접촉 터치 드래그되면 실행 중인 메뉴 내에서 소정 명령이 입력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촉 터치 드래그되면 실행 메뉴가 변환되고, 근접 터치 드래그되면 실행 중인 메뉴 내에서 소정 명령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한 있다. 또는, 드래그가 되지 않더라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근접 터치되면 실행 메뉴가 변환되고, 접촉 터치되면 실행 중인 메뉴 내에서 소정 명령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short, when the touch-dragging is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the execution menu is changed. When the touch-dragging is performed, a predetermined command is inputted in the menu being executed.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touch-drag is performed, the execution menu is converted, and when a touch-drag is performed, a predetermined command is input in the menu being executed. Alternatively, even if the user does not drag, the execution menu may be converted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and a predetermined command may be input in the menu being executed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제 2 Second 실시예Example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A second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도 7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of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tate diagram of a display screen in which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의 소정 조작을 통해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을 보기 위한 이미지 보기 메뉴를 실행 중에 있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들은 폴더 별로 구분되어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상기 이미지들은 정지 영상, 동영상, 플래시 영상 중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It is assumed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executing an image viewing menu for viewing images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through a predetermined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130. [ It is assumed that the images are divided into folders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The images may be still images, moving images, or flash images.

도 8의 (8-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이미지 보기 메뉴 실행 중에 있고,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는 3개의 이미지 폴더들, 즉 제 1 폴더(510), 제 2 폴더(520), 제 3 폴더(530)가 있음이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상기 3개의 이미지 폴더들 중에서 제 1 폴더(510)가 활성화되어, 제 1 폴더(510) 내의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S71]. As shown in (8-1) of FIG. 8,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executing an image viewing menu, and on the touch screen 400, three image folders, i.e., a first folder 510, 2 folder 520, and a third folder 530 are illustrated. In the touch screen 400, the first folder 510 among the three image folders is activated, and the images in the first folder 510 are displayed (S71).

도 8의 (8-1)에서는 제 1 폴더(510)에 4개의 이미지들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어서, 제 1 폴더 내에 반드시 4개의 이미지들만이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상기 4개의 이미지들 이외에도 더 많은 이미지들이 제 1 폴더(510) 내에 있고, 상기 더 많은 이미지들은 터치스크린 화면의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디스플레이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볼 수도 있다. In (8-1) of FIG. 8, it is shown that there are four images in the first folder 510, so that it is not necessarily the case that only four images exist in the first folder. Because, in addition to the four images, more images are in the first folder 510, and the more images may be viewed as being not displayed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ize of the touch screen screen.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400)를 가로 질러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근접 터치 드래그된다[S72].The pointer is dragged proximately touching the touch screen 400 from top to bottom (or from bottom to top) across the touch screen 400 (S72).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근접 터치 드래그의 방향이 상하 방향임을 파악하고, 상기 상하 방향의 근접 터치 드래그는 폴더 전환 명령임을 인식한다. 그래서, 상기 제어부(180)는, 도 8의 (8-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제 1 폴더 이외의 다른 폴더(예를 들면 제 2 폴더)가 활성화되어, 제 2 폴더 내의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S73, S74]. Then, the control unit 180 recognizes that the direction of the proximity touch dragging is the up-and-down direction, and recognizes that the up-down proximity touch dragging is the folder change command. 8 (2), the controller 180 activates another folder (e.g., a second folder) other than the first folder on the touch screen 400, 2 images in the folder are displayed (S73, S74).

도 8의 (8-2)에서는 제 2 폴더(520)에 4개의 이미지들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어서, 제 2 폴더(520) 내에 반드시 4개의 이미지들만이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 것은 아님은 전술한 바와 같다.8 (8-2), it is shown that there are four images in the second folder 520,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re are necessarily only four images in the second folder 520, .

그 다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400)를 가로 질러 우에서 좌로 (또는 좌에서 우로) 근접 터치 드래그된다[S72].Next, the pointer is dragged in a proximity touch from right to left (or left to right) across the touch screen 400 (S72).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근접 터치 드래그의 방향이 좌우 방향임을 파악하고, 상기 좌우 방향 근접 터치 드래그는 폴더 내의 이미지 전환 명령임을 인식한다. 그래서, 상기 제어부(180)는, 도 8의 (8-3) 및 (8-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제 2 폴더(520)의 일부 이미지들(521, 522)은 슬라이딩되어 사라지면서 다른 이미지들(525, 526)이 슬라이딩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다[S73, S75].Then, the control unit 180 recognizes that the direction of the proximity touch dragging i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recognizes that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proximity touch dragging is an image switching command in the folder. Thus, as shown in (8-3) and (8-4) of FIG. 8, the control unit 180 displays some images 521 and 522 of the second folder 520 on the touch screen 400 Is slid and disappears, so that the other images 525 and 526 are slid and displayed (S73 and S75).

제 3 Third 실시예Example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A third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FIG.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FIG. 9 is a flowchart of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state diagram of a display screen on which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의 소정 조작을 통해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을 보기 위한 이미지 보기 메뉴를 실행 중에 있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상기 이미지들은 정지 영상, 동영상, 플래시 영상 중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It is assumed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executing an image viewing menu for viewing images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through a predetermined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130. [ The images may be still images, moving images, or flash images.

도 10의 (1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이미지 보기 메뉴 실행 중에 있고,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는 복수의 이미지들(511, 512, 513, 514)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S91]. The mobile terminal 100 is executing an image viewing menu and a plurality of images 511, 512, 513, and 514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400 as shown in (10-1) [S91].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한 이미지(513) 상에서 포인터가 소정 방향으로 근접 터치 드래그된다[S92]. 상기 이미지(513) 상에서 왕복으로 복수 회 근접 터치 드래그되어 일정 시간 이상으로 및/또는 일정 면적 이상에 대해 마치 지우개로 상기 이미지(513)를 문지르는 듯한 행동을 취하여도 무방하다.A pointer is dragged on the image 513 of the plurality of imag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92). It may be possible to take an action of rubbing the image 513 with the eraser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 or a predetermined area or more by touching and dragging a plurality of times on the image 513 reciprocally.

그러면, 도 10의 (1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상기 이미지를 삭제할 것인지를 묻는 창(515)이 디스플레이된다. Then, as shown in (10-2) of FIG. 10, a window 515 asking whether to delete the image on the touch screen 400 is displayed.

상기 창(515)에서 "Yes" 아이콘(516)이 선택되면, 도 10의 (1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513)는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삭제된다[S93].If the "Yes" icon 516 is selected in the window 515, the image 513 is deleted on the touch screen 400 (S93), as shown in (10-3) in FIG.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한 이미지(513) 상에서 포인터가 소정 방향으로 근접 터치 드래그될 때, 쓰레기통 형상의 인디케이터가 생성되고, 상기 한 이미지(513)가 상기 쓰레기통 형상의 인디케이터로 드래그-앤-드롭(drag & drop)됨으로써 삭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when a pointer is drag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on the image 513, a trash can-like indicator is generated, and the image 513 is dragged and dropped into the trash- And may be configured to be deleted by drag & drop.

제 4 Fourth 실시예Example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A four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FIG.

도 11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FIG. 11 is a flowchart of a four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state diagram of a display screen in which a four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의 소정 조작을 통해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을 보기 위한 이미지 보기 메뉴를 실행 중에 있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상기 이미지들은 정지 영상, 동영상, 플래시 영상 중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It is assumed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executing an image viewing menu for viewing images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through a predetermined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130. [ The images may be still images, moving images, or flash images.

도 12의 (1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이미지 보기 메뉴 실행 중에 있고,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는 복수의 이미지들(511, 512, 513, 514)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12-1,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execution of an image viewing menu and a plurality of images 511, 512, 513, and 514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400, .

그리고, 도 12의 (1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511, 512, 513, 514) 중에서 한 이미지(531) 상에 포인터가 근접 터치된다[S111].Then, as shown in (12-1) of FIG. 12, a pointer is touched on one image 531 out of the plurality of images 511, 512, 513, and 514 (S111).

그러면, 도 12의 (1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이미지(531)가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다[S112]. 상기 이미지가 확대되는 배율은 상기 포인터가 상기 한 이미지(531) 상에 근접하는 정도에 비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n, as shown in (12-2) of FIG. 12, the image 531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400 (S112). The magnification at which the image is enlarged can be configured to be proportional to the degree of proximity of the pointer on the image 531. [

여기서, 상기 근접 터치가 상기 한 이미지(531)로부터 해제되면, 상기 한 이미지(531)는, 도 12의 (1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크기로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디스플레이된다.When the proximity touch is released from the image 531, the image 531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400 in its original size as shown in (12-1) of FIG. 12 Is displayed.

그 다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한 이미지(531) 상에 완전히 접근하여 접촉 터치가 행해진다[S113]. Then, the pointer completely approaches the image 531 to make a contact touch (S113).

그러면, 도 12의 (1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이미지(531)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다른 이미지들(511, 512, 514)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면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선택된다[S114]. 그리고, 상기 한 이미지(531) 상에서 접촉 터치가 해제되더라도, 상기 한 이미지(513)는 확대되어 선택된 상태로 유지된다. Then, as shown in (12-3) of FIG. 12, the image 531 is enlarged and displayed such that other images 511, 512, and 514 are not visible on the touch screen, (S114). Also, even if the contact touch is released on the image 531, the image 513 is enlarged and remains selected.

그리고, 도 12의 (1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소정 영역에는 한 이미지(531)의 처리를 위한 각종 아이콘들(541, 542, 543, 544)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각종 아이콘들에 대해서는 도 12의 (12-3)에 도시된 것에 대해 한정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12 (12-3), various icons 541, 542, 543, and 544 for processing one image 531 are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touch screen 400 Are illustrated. The various icons need not be limited to those shown in (12-3) of Fig. 12, and various icons may be displayed as needed.

따라서, 상기 각종 아이콘들을 통해, 상기 선택된 이미지가 편집되거나, 삭제되거나, 상대방에게 전송되거나, 배경화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의 없더라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Thus, through the various icons, the selected image can be edited, delete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or set as a background scree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5 Fifth 실시예Example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5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A fif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FIG.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5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5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FIG. 13 is a flowchart of a fifth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state diagram of a display screen on which a fifth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14의 (1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는 대기 상태에 따른 화면(즉, 대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대기 화면들이 있을 수 있으나, 도 14의 (14-1)에서는 상대방 전화번호 아이콘들(411, 412, 413)과 메뉴 아이콘들(421, 422, 423, 424, 425)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음이 예시되어 있다. As shown in (14-1) of FIG. 14, the touch screen 400 displays a screen according to a standby state (i.e., a standby screen). There may be various kinds of idle screens. In (14-1) of FIG. 14, counterpart phone number icons 411, 412 and 413 and menu icons 421, 422, 423, 424 and 425 are displayed Is illustrated.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는 상기 메모리부(16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 중 한 이미지가 배경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다[S131].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들이 폴더 별로 구분되어 저장된다고 가정한다. 도 14의 (14-1)에서는 도 8의 (8-1)의 제 1 폴더(510)의 이미지(511)가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가정한다.One of the images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is displayed as a background screen on the touch screen (S131). 8, it is assumed that the images are stored separately in folders. In (14-1) of FIG. 14, it is assumed that the image 511 of the first folder 510 of (8-1) in FIG. 8 is displayed as a background screen.

이 때, 도 14의 (1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포인터가 근접 터치되어 제 1 소정 방향(예를 들면 우에서 좌 또는 우에서 좌)으로 드래그된다[S132].At this time, as shown in (14-1) of FIG. 14, the pointer is dragged in the first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from right to left or right to left) on the touch screen 400 ].

그러면, 도 14의 (1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폴더(510)의 다른 이미지(512)가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다[S133]. 즉,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제 1 소정 방향으로 근접 터치 드래그될 때마다 제 1 폴더(510) 내의 이미지들이 소정 순서대로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다.Then, as shown in (14-2) of FIG. 14, another image 512 of the first folder 510 is displayed as a background screen (S133). That is, the images in the first folder 510 are displayed as a background screen in a predetermined order whenever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400 in the first predetermined direction.

한편, 도 14의 (1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포인터가 근접 터치되어 제 2 소정 방향(예를 들면 상에서 하 또는 하에서 상)으로 드래그된다[S132].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14-2) of FIG. 14, the pointer is touched on the touch screen 400 and dragged in a second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lower or lower) in step S132.

그러면, 도 14의 (1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폴더(510)가 아닌 다른 폴더의 이미지가(예를 들면 제 2 폴더의 이미지(521))가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다[S133].Then, as shown in (14-3) in FIG. 14, an image of a folder other than the first folder 510 (for example, an image 521 of the second folder) is displayed as a background screen (S133 ].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배경 화면의 이미지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user can easily switch the background image.

제 6 6th 실시예Example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6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A six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7. FIG.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6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16 및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6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FIG. 15 is a flowchart of a six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6 and 17 are state diagrams of a display screen on which a six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16의 (1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는 대기 상태에 따른 화면(즉, 대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대기 화면들이 있을 수 있으나, 도 14의 (14-1)에서는 상대방 전화번호 아이콘들(411, 412, 413)과 메뉴 아이콘들(421, 422, 423, 424, 425)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음이 예시되어 있다. As shown in (16-1) of FIG. 16, a screen according to a waiting state (i.e., a standby screen)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400. There may be various kinds of idle screens. In (14-1) of FIG. 14, counterpart phone number icons 411, 412 and 413 and menu icons 421, 422, 423, 424 and 425 are displayed Is illustrated.

이 때, 도 16의 (1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포인터가 근접 터치되어 제 1 소정 방향(예를 들면, 상에서 하)으로 드래그된다[S151].At this time, as shown in (16-1) of FIG. 16, the pointer is touched on the touch screen 400 and dragged in a first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upper and lower) (S151).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방향이 제 1 소정 방향임을 판단한다[S152].Then,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drag direction is the first predetermined direction (S152).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 16의 (1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근접 터치 드래그에 따라 상기 배경 화면의 밝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한다[S153]. 도 16의 (16-2)에서는 상기 배경 화면의 밝기가 상기 근접 터치 드래그에 따라 어두워졌음이 예시되고 있다.Then, the control unit 180 adjusts at least one of the brightness and the hue of the background screen according to the proximity touch dragging (S153), as shown in (16-2) of FIG. In (16-2) of FIG. 16, it is illustrated that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screen is darkened in accordance with the proximity touch dragging.

도 16의 (1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제 1 소정 방향으로 근접 터치 드래그가 한번 더 행해진다.As shown in (16-2) of FIG. 16, proximity touch dragging is once again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400 in the first predetermined direction.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 16의 (1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경 화면의 밝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더욱 조절한다. 도 16의 (16-3)에서는 상기 배경 화면의 밝기가 상기 근접 터치 드래그에 따라 더욱 어두워졌음이 예시되고 있다.Then, the controller 180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brightness and the hue of the background screen, as shown in (16-3) of FIG. In (16-3) of FIG. 16, it is illustrated that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screen becomes darker according to the proximity touch dragging.

도 16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소정 방향의 반대 방향로 근접터치 드래그되면, 상기 배경 화면의 밝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제 1 소정 방향에 의한 변화와는 반대로 변화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제 1 소정 방향의 반대 방향, 즉 하에서 상으로 근접 터치 드래그되면 상기 배경 화면의 밝기가 밝아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16, when the near-touch dragging is per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predetermined direction, at least one of the brightness and the hue of the background may be chang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hange in the first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touch-dragging is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predetermined direction, that is, downward,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screen may be increas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not be given unless otherwise described.

한편,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제 2 소정 방향으로 근접 터치 드래그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본다.Referring to FIG. 17, a case of proximity touch dragging on the touch screen 400 in a second predetermined direction will be described.

도 17의 (1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는 대기 상태에 따른 화면(즉, 대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대기 화면들이 있을 수 있으나, 도 17의 (17-1)에서는 상대방 전화번호 아이콘들(411, 412, 413)과 메뉴 아이콘들(421, 422, 423, 424, 425)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음이 예시되어 있다. As shown in (17-1) of FIG. 17, the touch screen 400 displays a screen according to a standby state (i.e., a standby screen). There may be various kinds of idle screens. In (17-1) of FIG. 17, the other party phone number icons 411, 412, and 413 and the menu icons 421, 422, 423, 424, and 425 are displayed Is illustrated.

이 때, 도 17의 (1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포인터가 근접 터치되어 제 2 소정 방향(예를 들면 좌에서 우)으로 드래그된다[S151].At this time, as shown in (17-1) of FIG. 17, the pointer is touched on the touch screen 400 and dragged in a second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from left to right) (S151).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방향이 제 2 소정 방향임을 판단한다[S152].Then,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drag direction is the second predetermined direction (S152).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 17의 (1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근 접 터치 드래그에 따라 상기 아이콘들의 밝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한다[S154]. 도 17의 (17-2)에서는 상기 아이콘들의 밝기가 상기 근접 터치 드래그에 따라 어두워졌음이 예시되고 있다.Then, the control unit 180 adjusts at least one of the brightness and the hue of the icons according to the near-touch drag, as shown in (17-2) of FIG. 17 [S154]. In (17-2) of FIG. 17, the brightness of the icons is darkened according to the proximity touch dragging.

도 17의 (1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제 2 소정 방향으로 근접 터치 드래그가 한번 더 행해진다.As shown in (17-2) of FIG. 17, proximity touch dragging is performed again on the touch screen 400 in the second predetermined direction.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 17의 (1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콘들의 밝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더욱 조절한다. 도 17의 (17-2)에서는 상기 배경 화면의 밝기가 상기 근접 터치 드래그에 따라 더욱 어두워졌음이 예시되고 있다.Then, the control unit 180 further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brightness and the hue of the icons as shown in (17-3) of FIG. In (17-2) of FIG. 17, it is illustrated that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screen becomes darker in accordance with the proximity touch dragging.

도 17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2 소정 방향의 반대 방향로 근접터치 드래그되면, 상기 아이콘들의 밝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제 2 소정 방향에 의한 변화와는 반대로 변화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제 2 소정 방향의 반대 방향, 즉 우에서 좌로 근접 터치 드래그되면 상기 아이콘들의 밝기가 밝아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17, when the near-touch dragg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econd predetermined direction, at least one of the brightness and the hue of the icons may be configured to change inversely to the change in the second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touch-dragging is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predetermined direction, that is, from right to left, the brightness of the icons may be increas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not be given unless otherwise described.

이상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근접 터치 드래그될 때 배경 또는 아이콘의 밝기 또는 색상이 변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경 및 아이콘 모두가 밝기 또는 색상이 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근접 터치 드래그될 때, 배경 또는 아이콘의 형 상(예를 들면, 확대 및 축소)이 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또한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de on the case where the brightness or color of the background or the icon changes when the touch is dragged on the touch screen.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both the background and the icon may be configured to change brightness or hue. Also, 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near touch is dragged on the touch screen, the shape of the background or icon changes (e.g., enlargement and reduc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not be given unless otherwise described.

제 7 Seventh 실시예Example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7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A seve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8 to 20. FIG.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7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19 및 20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7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FIG. 18 is a flowchart of a seve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9 and 20 are state diagrams of a display screen on which a seve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19의 (19-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는 메뉴 모드 진입에 따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100)에서의 메뉴 모드 진입은 단말기 사용자의 적절한 사용자 입력부(130) 조작을 통해 행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As shown in (19-1) of FIG. 19, the touch screen 400 displays a screen according to the entry of the menu mode. The entry into the menu mode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be performed through an operation of an appropriate user input unit 130 of the terminal use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not be given unless otherwise described.

그러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는 다면체(600)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다면체의 각 면에는 해당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S181].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면체가 육면체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에 대해 이하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Then, the polyhedron 60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400, and a corresponding menu screen is displayed on each side of the polyhedron (S181).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polyhedron is a hexahedron.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9의 (19-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면체(600)의 제 1 면(610)이 정면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제 1 면(610)에는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As shown in (19-1) of FIG. 19, the first face 610 of the polyhedron 600 is displayed on the front face, and the audio file reproduction menu screen is displayed on the first face 610 .

이 때,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포인터가 근접 터치되어 제 1 소정 방향(예를 들면, 우에서 좌)으로 드래그된다. 그러면, 도 19의 (19-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상기 다면체(600)는 제 1 소정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예를 들면 90도) 회전된다[S182].At this time, the pointer is dragged on the touch screen 400 in a first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from right to left) by touching the pointer. Then, as shown in (19-2) of FIG. 19, the polyhedron 600 on the touch screen 40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90 degrees) along the first predetermined direction (S182).

그리고, 도 19의 (19-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상기 다면체(600)의 제 2 면(620)이 정면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제 2 면(620)에는 이미지 보기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19, the second surface 620 of the polyhedron 60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400 and the second surface 620 is displayed on the second surface 620. In this case, It is exemplified that the menu screen is being displayed.

그 다음,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포인터가 근접 터치되어 제 2 소정 방향(예를 들면 상에서 하)으로 드래그된다. 그러면, 도 19의 (19-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상기 다면체(600)는 제 2 소정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예를 들면 90도) 회전된다[S182].Then, the pointer is touched on the touch screen 400 and dragged in a second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downward). Then, as shown in (19-4) of FIG. 19, the polyhedron 600 on the touch screen 40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90 degrees) along the second predetermined direction (S182).

그리고, 도 19의 (19-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상기 다면체(600)의 제 3 면(630)이 정면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제 3 면(630)에는 사진 촬영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19, the third surface 630 of the polyhedron 60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400 and the third surface 630 is displayed on the third surface 630, It is exemplified that the menu screen is being displayed.

한편, 도 20을 더욱 참조하여,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상기 다면체(600)를 통해 소망 메뉴(예를 들면, 사진 촬영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20, a process of selecting a desired menu (e.g., a photographing menu) through the polyhedron 600 on the touch screen 400 will be described.

앞서 도 19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근접 터치 드래그를 하여 상기 다면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다면체의 정면에 소망 메뉴 화면, 즉 사진 촬영 메뉴 화면이 위치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9, the polyhedron is rotated by performing proximity touch dragging on the touch screen, thereby placing a desired menu screen, that is, a photographing menu screen, on the front face of the polyhedron.

따라서, 도 20의 (2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상기 다면체(600)의 제 3 면(630)이 정면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제 3 면(630)에는 사진 촬영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Therefore, as shown in (20-1) of FIG. 20, the third surface 630 of the polyhedron 600 is display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ouch screen 400, and the third surface 630 displays The menu screen is being displayed.

이 때, 도 20의 (2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면체(600)의 제 3 면(630) 상에 포인터가 근접 터치된다[S183].At this time, as shown in (20-1) of FIG. 20, the pointer is touched on the third surface 630 of the polyhedron 600 (S183).

그러면, 도 20의 (2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면체(600)의 제 3 면(630)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확대된다[S184]. 제 3 면(630)이 확대되는 배율은 포인터가 제 3 면(630) 상에 근접하는 정도에 비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n, as shown in (20-2) of FIG. 20, the third surface 630 of the polyhedron 600 is enlarged on the touch screen 400 (S184). The magnification at which the third surface 630 is magnified can be configured to be proportional to the degree of proximity of the pointer on the third surface 630. [

여기서, 상기 근접 터치가 제 3 면(630)로부터 해제되면, 제 3 면(630)은, 도 20의 (2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크기로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디스플레이된다.Here, when the proximity touch is released from the third surface 630, the third surface 630 is formed on the touch screen 400 in its original size as shown in (20-1) of FIG. 20 Is displayed.

그 다음, 도 20의 (2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면체(600)의 제 3 면(630)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에 의해 접촉 터치된다[S185].Next, as shown in (20-2) of FIG. 20, the third surface 630 of the polyhedron 600 is touched by the pointer on the touch screen (S185).

그러면, 도 20의 (2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면체(600)의 제 3 면(630)이 선택되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충분히 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다[S186].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는 제 3 면(630)에 따른 사진 촬영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Then, as shown in (20-3) of FIG. 20, the third surface 630 of the polyhedron 600 is selected and displayed in a sufficiently large screen on the touch screen 400 (S186). Accordingly, on the touch screen 400, a photographing menu screen corresponding to the third surface 630 is displayed.

상기 접촉 터치가 해제되더라도 사진 촬영 메뉴 화면은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사진 촬영 메뉴 화면을 보면서 사진 촬영을 행할 수 있다.Even if the contact touch is released, the photographing menu screen is maintained. Accordingly, the terminal user can perform photographing while viewing the photographing menu screen.

제 8 Eighth 실시예Example

도 21 내지 도 23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8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An eigh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1 to 23. Fig.

도 2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8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22 및 2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8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FIG. 21 is a flowchart of an eigh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2 and 23 are state diagrams of a display screen on which an eigh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22의 (2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에서는 이미지 보기 메뉴가 실행 중에 있고,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는 이미지 보기 메뉴 관련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는 제 1 이미지(511)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100)에는 터치 모드 전환 아이콘(444)이 더욱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상기 터치 모드 전환 아이콘에 대해서는 이후 설명된다. As shown in (22-1) of FIG. 22, an image viewing menu is being execut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a screen related to an image viewing menu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400. Accordingly, the first image 511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400. [ In addition, a touch mode switching icon 444 is further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0. The touch mode switching icon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2의 (22-1)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400)은 현재 접촉 터치 모드로 설정되어 있어서, 접촉 터치를 인식할 뿐이고 근접 터치는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S211].In step 22-1 of FIG. 22, it is assumed that the touch screen 400 is currently set to the contact touch mode, so that the touch screen 400 recognizes only the touch but does not recognize the proximity touch [S211].

따라서, 예컨대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도 22의 (2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포인터가 접촉 터치되어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되어야 하고, 근접 터치되어 드래그되어서는 안된다. Accordingly, for example, in order to switch the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400 to another image, as shown in (22-1) of FIG. 22, the pointer touches the touch screen 400, Direction, and should not be dragged in proximity to touch.

상기 포인터가 접촉터치되어 드래그되면, 도 22의 (22-2) 및 (22-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는 제 1 이미지(511)가 슬라이딩되어 사라지면서, 제 2 이미지(512)가 슬라이딩되어 나타난다. When the pointer is touched and dragged, the first image 511 slides and disappears on the touch screen 400 as shown in (22-2) and (22-3) of FIG. 22, The image 512 appears to be slid.

도 22의 (2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모드 전환 아이콘(445)가 선택된다[S212]. The touch mode switching icon 445 is selected as shown in (22-3) of FIG. 22 (S212).

그러면, 상기 터치스크린(400)은 근접 터치 모드로 설정되어, 근접 터치를 인식할 뿐이고 접촉 터치는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S213]. Then, the touch screen 400 is set to the proximity touch mode, and only the proximity touch is recognized, and the contact touch is not recognized (S213).

따라서, 예컨대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도 22의 (2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포인터가 근접 터치되어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되어야 하고, 접촉 터치되어 드래그되어서는 안된다. Therefore, for example, in order to switch the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400 to another image, as shown in (22-4) in FIG. 22, Direction, and should not be dragged and touched by touching.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되어 드래그되면, 도 22의 (22-5) 및 (2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는 제 2 이미지(512)가 슬라이딩되어 사라지면서, 제 3 이미지(513)가 슬라이딩되어 나타난다.When the pointer is dragged in the proximity touch, as shown in (22-5) and (22-6) of FIG. 22, the second image 512 is slid and disappears on the touch screen 400, The image 513 is slid and appears.

터치 모드 전환을 위해 반드시 별도의 아이콘이 반드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A separate icon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on the touch screen in order to switch the touch mode.

예를 들면, 상기 터치 모드 전환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의 사이드키를 통해서도 터치 모드 전환 명령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touch mode switching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touch mode switching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side key of the user input unit 130.

그 외에도,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기가 외부 크래들에 장착될 때 자동으로 터치 모드에서 근접 터치 모드 또는 그 반대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it can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witch from the touch mode to the proximity touch mode or vice versa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external cradle.

이상에서는 상기 터치 모드 전환 아이콘이 선택될 때, 접촉 터치 모드와 근 접 터치 모드 간에 상호 전환되는 것에 대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터치 모드 전환 아이콘이 선택될 때, 접촉 터치 모드, 근접 터치 모드, 및 접촉 및 근접 터치 모드 간에 순차적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접촉 및 근접 터치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 터치와 근접 터치 모두가 인식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when the touch mode switching icon is selected, the switching between the contact touch mode and the near touch mode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when the touch mode switching icon is selected, it may be configured to sequentially switch between the contact touch mode, the proximity touch mode, and the contact and proximity touch modes. When the contact and proximity touch modes are selected, both the contact touch and the proximity touch can be recognized on the touch screen.

한편, 이상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터치 모드가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모든 메뉴에 대해 일괄적으로 설정되고 전환되는 것에 대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각 메뉴마다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 모드가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23을 더욱 참조하여 살펴본다.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touch mode of the touch screen 400 is collectively set and switched for all the menu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touch mode of the touch screen may be configured to be set for each menu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is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3의 (2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메뉴 모드로 진입된다. As shown in (23-1) of FIG. 23, the portable terminal 100 enters the menu mode.

그리고, 도 23의 (23-2)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사용자 입력부 조작을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 모드 설정 모드로 진입한다. 상기 터치 모드 설정 모드로의 진입은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Then, as shown in (23-2) of FIG. 23, the touch mode setting mode of the touch screen is entered through an appropriate user input unit operation. The entry into the touch mode setting mode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further description,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도 23의 (2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각 메뉴에 대해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터치 모드가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즉, 각 메뉴에 대해, 근접 터치 모드 및 접촉 터치 모드 중 어느 것으로 채택될 것인지 선택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소정 메뉴에 대해서는 양 모드가 모두 채택될 수 도 있다. As shown in (23-2) of FIG. 23, the touch mode of the touch screen 400 may be preset for each menu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 That is, for each menu, it can be selected which of the proximity touch mode and the contact touch mode is adopted. Of course, both modes may be adopted for the predetermined menu if necessary.

제 9 9th 실시예Example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9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A ninth embodiment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4 and 25. FIG.

도 2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9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9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FIG. 24 is a flowchart of a ni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5 is a state diagram of a display screen in which a ni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휴대단말기(100)에서 둘 이상의 메뉴들이 멀티태스킹으로 동시에 실행되는 경우에 근접 터치와 접촉 터치가 구분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된다. 이하에서는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와 이미지 보기 메뉴가 동시에 실행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다. 그러나, 상기 두 메뉴들은 단지 예시일 뿐이고 다른 메뉴들이 사용되어야 무관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se where two or more menus are simultaneously executed in multi-tasking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in which a proximity touch and a contact touch are used separately. Hereinafter,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an audio file playback menu and an image viewing menu are simultaneously executed. However, the two menu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other menus should be used.

도 25의 (2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에는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가 실행되고 있고,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400)에는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와 관련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As shown in (25-1) of FIG. 25, the audio file playback menu is being execut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refore, a screen related to the audio file playback menu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400. [

그 다음,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가 실행되고 있는 가운데,상기 휴대단말기(100)에는 이미지 보기 메뉴가 실행된다[S241].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400)에는, 도 25의 (2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 보기 메뉴와 관련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즉,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 관련 화면은 새로 실행된 상기 이미지 보기 메뉴와 관련된 화면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Then, while the audio file playback menu is being executed, the image viewing menu is execut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S241). Accordingly, the touch screen 400 displays a screen related to the image viewing menu, as shown in (25-2) of FIG. That is, the audio file playback menu related screen is hidden by the screen related to the newly executed image viewing menu.

이 때, 상기 이미지 보기 메뉴가 조작되기 위해서는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접촉 터치되어야 한다[S242, S244]. 예를 들면, 상기 이미지 보기 메뉴에서 이전 또는 다음 이미지를 보기 위해서는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포인터가 접촉 터치되어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되어야 한다. 그러면, 도 25의 (25-2) 및 (2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511)가 다른 이미지(512)로 전환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operate the image viewing menu, the touch screen 400 must be touched (S242, S244). For example, in order to view the previous or next image in the image view menu, the pointer must be touched on the touch screen 400 and drag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n, as shown in (25-2) and (25-3) in Fig. 25, the image 511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s switched to another image 512. [

한편,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가 조작되기 위해서는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근접 터치되어야 한다[S242, S243]. 예를 들면,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에서 볼륨을 조절하거나 이전 또는 다음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포인터가 근접 터치되어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되어야 한다. 그러면, 도 25의 (2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에는 그대로 유지되면서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의 볼륨이 조절되거나 이전 또는 다음 오디오 파일이 재생된다.Meanwhile, in order for the audio file playback menu to be operated, it must be touched on the touch screen 400 [S242, S243]. For example, in order to adjust the volume in the audio file playback menu or to reproduce the previous or next audio file, the pointer must be touched on the touch screen 400 and drag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n, as shown in (25-4) of FIG. 25, the volume of the audio file playback menu is adjusted or the previous or next audio file is reproduced while the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s maintained.

이상에서는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가 조작되기 위해서는 근접 터치되어야 하고, 상기 이미지 보기 메뉴가 조작되기 위해서는 접촉 터치되어야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가 조작되기 위해서는 접촉 터치되어야 하고, 상기 이미지 보기 메뉴가 조작되기 위해서는 근접 터치되어야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audio file playback menu has to be touched to be operated, and the image viewing menu must be touched to operate.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audio file playback menu must be touched to be operated, and the image viewing menu must be touched to be operated.

제 10 Article 10 실시예Example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0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A te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6 and 27. FIG.

도 2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0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27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0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FIG. 26 is a flowchart of a te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7 is a state diagram of a display screen in which a te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휴대단말기(100)에서 소정의 메뉴가 실행될 때 근접 터치와 접촉 터치가 공히 상기 소정 메뉴의 특정 조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터치가 근접 터치 및 접촉 터치 중 어느 것인가에 따라 상기 특정 조작의 스케일 또는 정도가 차별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보기 메뉴가 실행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predetermined menu is execut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roximity touch and the contact touch can be used for specific operations of the predetermined menu. However, The scale or degree of a particular operation may be differentiated.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in which the image viewing menu is executed i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휴대단말기(100)에는 이미지 보기 메뉴가 실행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400)에는, 도 27의 (2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 보기 메뉴와 관련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The image viewing menu is execut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 Accordingly, the touch screen 400 displays a screen related to the image viewing menu, as shown in (27-1) of FIG.

이 때,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511) 상에 근접 터치가 행해진다[S261]. At this time, proximity touch is performed on the image 511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400 (S261).

그러면, 도 27의 (2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511)는 상기 근접 터치가 행해질 때마다(또는 상기 근접 터치의 유지 시간에 비례하여) 제 1 배율(예를 들면, X1, X2, X3...)로 확대된다[S262, S263].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복귀 아이콘(452)가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511)는 원래의 크기대로 복귀되어 디스플레이된다.Then, as shown in (27-2) of FIG. 27, the image 511 has a first magnification (for example, X1 (for example, , X2, X3, ... (S262, S263). When the return icon 452 on the touch screen is selected, the image 511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ize and displayed.

한편,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도 27의 (27-1)의 이미지(511) 상에서 접촉 터치가 행해진다[S261].On the other hand, a contact touch is performed on the image 511 of FIG. 27 (27-1)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400 (S261).

그러면, 도 27의 (2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511)는 상기 근접 터치가 행해질 때마다(또는 상기 근접 터치의 유지 시간에 비례하여) 제 2 배율(예를 들면, X2, X4, X6...)로 확대된다[S264].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복귀 아이콘(452)가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511)는 원래의 크기대로 복귀되어 디스플레이된다.Then, as shown in (27-3) of FIG. 27, the image 511 is displayed at a second magnification (for example, X2 (for example, , X4, X6 ...) (S264). When the return icon 452 on the touch screen is selected, the image 511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ize and displayed.

이상에서는 터치의 종류에 따라 이미지가 확대되는 배율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터치의 종류에 따라 오디오 재생 메뉴에서 볼륨 조절의 스케일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근접 터치 드래그되면 볼륨이 미세 조절(fine adjustment)되고, 접촉 터치 드래그되면 거침 조절(coarse adjustment)되도록 (또는 그 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념이 확장되어, 제 1 거리 근접 터치 드래그되면 볼륨이 미세 조절되고, 제 2 거리 근접 터치 드래그되면 볼륨이 거침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the case where the magnification of the image is enlarged depending on the type of touch is examined. However,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type of touch, the scale of the volume control may vary in the audio playback menu.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proximity touch dragging is performed, the volume is fine-tuned, and when the touch-drag is dragged, the coarse adjustment is performed (or vice versa). In this way, the concept may be extended such that when the first distance proximity touch drag is performed, the volume is finely adjusted, and when the second distance proximity touch drag is performed, the volume is roughly adjusted.

제 11 Eleventh 실시예Example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An eleve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8 and 29. FIG.

도 2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1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2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1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FIG. 28 is a flowchart of an eleventh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9 is a state diagram of a display screen on which an eleventh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29의 (29-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는 대기화면이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상기 대기화면 상에는 상대방 전화번호 아이콘들(411, 412, 413)이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다.As shown in (29-1) of FIG. 29, an idle screen is illustrative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400. On the idle screen, counterpart phone number icons 411, 412, and 413 are illustratively displayed.

이 때, 도 29의 (29-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소정 위치에 포인터로 근접 터치된다[S281].At this time, as shown in (29-1) of FIG. 29, the user tou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400 with a pointer (S281).

그러면, 도 29의 (29-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메뉴 아이콘들(421, 422, 423, 424, 425)이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된다[S282]. 상기 메뉴 아이콘들(421, 422, 423, 424, 425)은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하단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나타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n, menu icons 421, 422, 423, 424, and 425 are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400 (S282) as shown in (29-2) of FIG. The menu icons 421, 422, 423, 424, and 425 may be configured to be slid from the bottom of the touch screen 400. [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상기 근접 터치가 해제된다[S283]. The proximity touch is released on the touch screen 400 (S283).

상기 근접 터치가 해제될 때 상기 메뉴 아이콘들(421, 422, 423, 424, 425)이 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enu icons 421, 422, 423, 424, and 425 disappear when the proximity touch is released.

또는, 상기 근접 터치 해제되더라도 소정 시간 동안은 상기 메뉴 아이콘들(421, 422, 423, 424, 425)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계속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근접 터치 해제된 시점부터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상기 메뉴 아이콘들(421, 422, 423, 424, 425)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S284]. Alternatively, the menu icons 421, 422, 423, 424, and 425 may be maintained on the touch screen 400 for a predetermined time even when the proximity touch is released. That is, the menu icons 421, 422, 423, 424, and 425 may disappear from the touch screen 400 when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time when the proximity touch is released (S284).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상기 메뉴아이콘들(421, 422, 423, 424, 425)이 유지되고 있을 때, 도 29의 (29-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 아이콘들(411, 412, 413) 중에서 한 상대방 전화번호 아이콘(413)이 포인터로 접촉 터치된 후 상기 메뉴아이콘들(421, 422, 423, 424, 425) 중의 한 메뉴아이콘(422)에 드래그된다.When the menu icons 421, 422, 423, 424, and 425 are held on the touch screen 400, as shown in (29-3) in FIG. 29, the counterpart phone number icons 411 422, 423, 424, and 425 after one of the other party's phone number icons 413, 412, and 413 is touched with a pointer.

그러면, 도 29의 (29-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래그되는 상대방 전화 아이콘(413)에 대해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422)에 할당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한다.Then, as shown in (29-4) in FIG. 29, the function assigned to the selected menu icon 422 is executed for the dragged partner phone icon 413.

상기 메뉴아이콘들(421, 422, 423, 424, 425)이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 아이콘들이 드래그되어야만 해당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될 필요는 없다. 상기 메뉴아이콘들(421, 422, 423, 424, 425)을 바로 접촉 터치함으로써 해당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n the menu icons 421, 422, 423, 424, and 425 are displayed, it is not necessary that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executed only when the counterpart phone number icons are dragged. The corresponding functions can be executed by touching the menu icons 421, 422, 423, 424, and 425 directly.

또한, 이상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근접 터치되기 전에 전화번호 아이콘들은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근접 터치되면, 메뉴 아이콘들이 생성되는 것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전화번호 아이콘들도 디스플레이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근접 터치되면, 상기 전화번호 아이콘들과 상기 메뉴 아이콘들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lso,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menu icons are generated when the phone number icons remain intact before being touched on the touch screen,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on the touch screen.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when the phone number icons are no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f the phone number icons and the menu icons are touched on the touch screen at the same time or sequentially . ≪ / RTI >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simplicity in this specification.

제 12 Article 12 실시예Example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A twelfth embodiment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0 and 31. FIG.

도 30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31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2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FIG. 30 is a flowchart of a twelf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1 is a state diagram of a display screen in which a twelf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31의 (3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대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As shown in (31-1) of FIG. 31, an idle screen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400.

이 때,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포인터로 근접 터치된다[S301]. At this time,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400 with a pointer (S301).

그러면, 상기 근접 터치가 되자마자 또는 상기 근접 터치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이후에, 도 31의 (3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기화면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내부로 소정 배율로 축소되어 디스플레이되면서,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가장자리에 또다른 메뉴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된다[S302]. 상기 또다른 메뉴 아이콘들은 즐겨찾기 메뉴 아이콘일 수 있다. 상기 또다른 메뉴 아이콘들이 가장자리에 배치될 필요는 없고,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대기 화면이 반드시 축소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대기화면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즐겨찾기 메뉴 아이콘들이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n, as soon as the proximity touch is performed 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proximity touch, as shown in (31-2) of FIG. 31, the idle screen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within the touch screen 400 And other menu icons are displayed at the edge of the touch screen 400 (S302). The other menu icons may be a favorites menu icon. The other menu icons need not be disposed on the edge, but may be disposed at another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400. In addition, the idle screen is not necessarily reduced, but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favorite menu icons are generated while the idle screen is maintained.

도 31의 (31-2)에서는 4개의 즐겨찾기 메뉴 아이콘들, 즉 방송 메뉴 아이콘(710),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 아이콘(720), 게임 메뉴 아이콘(730), 및 이미지 보기 메뉴 아이콘(740)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더 많거나 더 적은 즐겨찾기 메뉴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상기 예시된 즐겨찾기 메뉴 아이콘들과는 다른 것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 다.31, the four favorite menu icons, i.e., a broadcast menu icon 710, an audio file play menu icon 720, a game menu icon 730, and an image view menu icon 740 Are illustrated.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ore or fewer favorite menu icons may be displayed, or other than the illustrated favorite menu icons may be displayed.

이 때, 도 31의 (3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되어 우에서 좌로 드래그된다[S303]. 이 때 상기 근접 터치 드래그의 시작점이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 아이콘(720)이 되어야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31-2) of FIG. 31, the user touches the pointer on the touch screen 400 and is dragged from right to left [S303]. At this time, the start point of the near touch drag may be the audio file play menu icon 720.

그러면, 도 31의 (3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우측에서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 관련 화면(460)이 슬라이딩되어 디스플레이되면서,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가 시작된다[S304]. 그래서,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 관련 화면(460)을 통해 소망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Then, as shown in (31-3) of FIG. 31, the audio file playback menu related screen 460 is slid and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touch screen 400, and the audio file playback menu is started (S304 ]. Thus, the terminal user can reproduce the desired audio file through the audio file playback menu related screen 460.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 화면(460)이 포인터로 근접 터치되어 좌에서 우로 드래그되면,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 화면(460)이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사라지면서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가 종료될 수 있다.When the audio file playback menu screen 460 is touched by a pointer and dragged from left to right, the audio file playback menu screen 460 is slid to the right and disappears, and the audio file playback menu may be terminated.

그러나, 도 31의 (3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포인터로 상기 이미지 보기 메뉴 아이콘(740)이 근접 터치되어 좌에서 우로 드래그된다[S303].However, as shown in (31-4) of FIG. 31, when the audio file playback menu is being operated, the image viewing menu icon 740 is touched with a pointer on the touch screen 400, Drag to the right [S303].

그러면, 도 31의 (3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좌측에서 상기 이미지 보기 메뉴 관련 화면(510, 520, 530)이 슬라이딩되어 디스플레이되면서, 상기 이미지 보기 메뉴가 시작된다[S304]. 그래서,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 보기 메뉴 관련 화면을 통해 소망의 이미지를 볼 수 있 다.Then, as shown in (31-5) of FIG. 31, the image viewing menu related screen 510, 520, 530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touch screen 400 while the audio file reproducing menu is in operation And the image viewing menu is started while being slid and displayed (S304). Thus, the terminal user can view a desired image through the image related to the image viewing menu while the audio file playback menu is being operated.

이상에서는,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 보기 메뉴 관련 화면이 슬라이딩되어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에 대해 설명되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when the image viewing menu related screen is displayed while the audio file reproducing menu is being operated, the audio file reproducing menu is maintained as it is.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이미지 보기 메뉴 관련 화면이 좌측에서 슬라이딩되어 디스플레이될 때,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 관련 화면이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사라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 관련 화면이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사라질 때,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메뉴 동작이 그대로 유지되거나 또는 종료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when the image related to the image viewing menu is displayed by sliding on the left side, the screen related to the audio file playing menu may be slid to the right and disappear 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audio file playback menu related screen is slid to the right and disappears, the audio file playback menu operation may be maintained or terminated.

제 13 Thirteenth 실시예Example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A thirtee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2 and 33. FIG.

도 3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3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3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3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FIG. 32 is a flowchart of a thirtee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3 is a state diagram of a display screen in which a thirtee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33의 (3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에는 이미지 보기 메뉴가 동작되고 있고,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는 이미지 보기 메뉴 관련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이미지 보기 메뉴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단지 상기 이미지 보기 메뉴는 예시적으로 선택된 메뉴일 뿐 임을 유념해야 한다.As shown in (33-1) of FIG. 33, the image viewing menu is operat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us, a screen related to the image viewing menu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400.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embodiment is not applicable to the image viewing menu only, and that the image viewing menu is merely an exemplary selected menu.

이 때, 상기 터치스크린(100)의 소정 영역에 포인터로 근접 터치된 다음 우에서 좌로 드래그된다[S321]. 즉, 상기 근접 터치 드래그의 시작점이 상기 소정 영역이 된다. 도 33의 (33-1)에서는 상기 소정 영역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임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소정 영역이 다른 영역이 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At this time, the user touches a predetermined area of the touch screen 100 with a pointer and then is dragged from right to left [S321]. That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proximity touch dragging becomes the predetermined area. In (33-1) of FIG. 33, the predetermined area is an area where an image is displayed.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predetermined region may be configured to be another region.

그러면, 도 33의 (3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근접 터치 드래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이미지(511)가 좌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사라지면서, 제 1 이미지(512)가 우측에서 슬라이딩되어 나타난다[S322, S323].Then, as shown in (33-2) of FIG. 33, according to the proximity touch drag, the displayed first image 511 slides to the left and disappears, so that the first image 512 is slid on the right side (S322, S323).

그 다음, 도 33의 (3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근접 터치 드래그가 행해진 다음에, 우연히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비의도적으로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근접하여 좌에서 우로 가로질러 이동될 수 있다[S321].Then, as shown in (33-3) of FIG. 33, after the proximity touch drag is performed, the pointer is unintentionally caused by the terminal user to close the touch screen 400 from left to right And can be moved across [S321].

그러나, 상기 포인터의 근접 이동은 도 33의 (3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인식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상기 포인터의 근접 이동이 상기 소정 영역에서 시작되지 않았기 때문이다[S322, S324].However, the proximity movement of the pointer is not recognized in the touch screen 400 as shown in (33-4) in FIG. This is because the proximity movement of the pointer has not started in the predetermined area [S322, S324].

한편, 도 33의 (3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상기 포인터가 제 2 이미지(512) 상에서 터치되어 좌에서 우로 드래그된다[S321].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33-4) in FIG. 33, the pointer is touched on the second image 512 on the touch screen 400 and dragged from left to right (S321).

그러면, 도 33의 (3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근접 터치 드래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제 2 이미지(512)가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사라지면서, 제 1 이미지(511)가 좌측에서 슬라이딩되어 나타난다[S322, S323].Then, as shown in (33-5) in FIG. 33, according to the proximity touch drag, the displayed second image 512 is slid to the right and disappears, so that the first image 511 is slid from the left side (S322, S323).

제 14 14th 실시예Example

도 34 및 도 35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A description will now be given of a fourtee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34 and 35. FIG.

도 3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4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3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4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FIG. 34 is a flowchart of a fourtee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5 is a state diagram of a display screen in which a fourtee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35의 (3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이 비활성화되어 있다[S341]. 배터리 전원 소모의 방지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일정시간 동안 터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400)이 자동으로 비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35-1) of FIG. 35, the touch screen 400 is inactivated (S341). The touch screen 400 may be automatically deactivated when there is no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40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order to prevent battery power consumption.

이 때,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포인터로 터치된다[S342].At this time,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400 with a pointer (S342).

그러면, 상기 터치스크린(400)은, 도 35의 (3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로 인해 활성화된다[S343]. 상기 활성화된 터치스크린(400) 상에는 대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Then, as shown in (35-2) of FIG. 35, the touch screen 400 is activated due to the touch (S343). And an idle screen is displayed on the activated touch screen 400.

그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가 접촉 터치인지 근접 터치인지를 판단한다[S344].Next,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touch is a contact touch or a proximity touch [S344].

상기 터치가 접촉 터치이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로부터 제 1 소정 동안 추가적인 터치,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의 조작, 또는 이벤트 발생 등이 없는 경우, 도 35의 (3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이 다시 비활성화되도록 한다[S345].If there is no additional touch during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130, an event occurrence, or the like during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ouch, if the touch is a contact touch, The touch screen 400 is deactivated again (S345).

상기 터치가 근접 터치이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로부터 제 2 소정 동안 추가적인 터치,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의 조작, 또는 이벤트 발생 등이 없는 경우, 도 35의 (3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이 다시 비활성화되도록 한다[S346]. 제 2 소정 시간은 제 1 소정 시간에 비해 제 2 소정 시간보다 길거나 짧을 수 있다.If the touch is a proximity touch, 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no additional touch during the second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130, The touch screen 400 is deactivated again (S346).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may be longer or shorter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as compared to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이상에서는 상기 터치가 접촉 터치인지 근접 터치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이 활성화되는 시간이 다르도록 구성되는 것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상기 터치의 영역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이 활성화되는 시간이 다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ouch screen is activated in a different time depending on whether the touch is a contact touch or a proximity touch.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touch screen may be activated at different times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touch on the touch scree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recognize from the foregoing descrip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simplicity.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예를 들면, 이상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근접 터치와 접촉 터치가 상호 구분되어 서로 다른 명령으로 인식되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근접 터치는 상기 터치스크린과의 근접 거리에 따라 제 1 거리 근접 터치 및 제 2 거리 근접 터치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근접 터치와 접촉 터치가 상호 구분되는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제 1 거리 근접 터치와 제 2 거리 근접 터치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above description,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the proximity touch and the touch touch are recognized as different commands on the touch screen have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roximity touch can be divided into a first distance proximity touch and a second distance proximity touch according to a proximity distance to the touch screen. 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the proximity touch and the contact touch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can be applied to the first distance proximity touch and the second distance proximity touch as they are.

또한, 예를 들면,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 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Further,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Also, the computer may include a control unit 180 of the terminal.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of a first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6 is a state diagram of a display screen on which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7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of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8 is a state diagram of a display screen in which a second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9 is a flowchart of a third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10 is a state diagram of a display screen on which a third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11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11 is a flowchart of a fourth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FIG. 12 is a state diagram of a display screen on which a fourth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5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13 is a flowchart of a fifth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5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14 is a state diagram of a display screen on which a fif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6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15 is a flowchart of a six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및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6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16 and 17 are a state diagram of a display screen on which a six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7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18 is a flowchart of a seve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9 및 20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7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19 and 20 are state diagrams of a display screen on which a seve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2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8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FIG. 21 is a flowchart of an eigh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2 및 2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8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22 and 23 are state diagrams of a display screen on which an eigh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2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9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24 is a flowchart of a ni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9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25 is a state diagram of a display screen on which a ni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2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0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26 is a flowchart of a te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7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0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FIG. 27 is a state diagram of a display screen on which a te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FIG.

도 2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1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28 is a flowchart of an eleve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1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29 is a state diagram of a display screen on which an eleve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30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30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1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2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31 is a state diagram of a display screen on which a twelfth embodiment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3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3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32 is a flowchart of a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3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33 is a state diagram of a display screen on which a thirteenth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Claims (40)

터치스크린; 및touch screen; And 단말기 내에서 일부 명령들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근접 터치로 입력되고, 다른 일부 명령들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 터치로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ome of the commands in the terminal to be input by the proximity touch on the touch screen and the other commands to be input on the touch screen by the touch touch, 상기 제어부는,Wherein, 둘 이상의 메뉴들이 동시에 실행될 때, 상기 둘 이상의 메뉴들 중 한 메뉴에 대한 명령은 접촉 터치에 의해 입력되고 다른 메뉴에 대한 명령은 근접 터치에 의해 입력되도록 제어하되,When two or more menus are simultaneously executed, a command for one of the two or more menus is input by a touch touch and a command for another menu is input by a proximity touch, 상기 둘 이상의 메뉴들에 각각 해당하는 화면들이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화면들 중에서 노출되는 화면의 메뉴에 대한 명령은 접촉 터치에 의해 입력되고, 상기 화면들 중에서 상기 노출되는 화면에 가려지는 화면의 메뉴에 대한 명령은 근접 터치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In the case where the screens corresponding to the two or more menus are overlapped and displayed, the command for the menu of the screen exposed from the screens is input by the touching touch, and the screen of the screen, Wherein the command for the menu is input by proximity touch.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화면들 중에서 중첩되어 가려지는 화면의 메뉴는 먼저 실행 시작된 메뉴이고, 상기 화면들 중에서 노출되는 화면은 나중에 실행 시작된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Wherein a menu of a screen which is overlapped and hidden among the screens is a menu which has been executed first, and a screen which is exposed among the screens is a menu which is started to be executed la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terminal, 터치스크린; touch screen; 크래들과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An interface for connecting with the cradle; And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포인터의 근접 터치 및 접촉 터치 중 어느 것에 의해 명령이 입력될 것인지가 사전 설정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command is inputted by either the proximity touch of the pointer or the touch touch on the touch screen, 상기 제어부는,Wherein, 상기 단말기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크래들에 연결될 때,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포인터의 근접 터치 또는 접촉 터치에 의해 명령이 입력되도록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Wherein when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radle through the interface unit, the controller controls the touch screen to automatically set a command to be input by proximity or touch of the point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1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 모드를 변환하기 위한 아이콘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icon for changing a touch mode of the touch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삭제delete 단말기 내에서 일부 명령들이 터치스크린 상에 근접 터치로 입력되도록 제어되는 단계; 및Controlling some commands in the terminal to be input with a proximity touch on the touch screen; And 단말기 내에서 다른 일부 명령들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 터치로 입력되도록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되,And controlling some other commands in the terminal to be input on the touch screen by touching the touch screen,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둘 이상의 메뉴들이 표시되는 경우, 상기 둘 이상의 메뉴들 중 한 메뉴에 대한 명령은 접촉 터치에 의해 입력되고 다른 메뉴에 대한 명령은 근접 터치에 의해 입력되며,When two or more menus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 command for one of the two or more menus is input by a touch touch, a command for another menu is input by a proximity touch, 상기 둘 이상의 메뉴들에 각각 해당하는 화면들이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화면들 중에서 노출되는 화면의 메뉴에 대한 명령은 접촉 터치에 의해 입력되고, 상기 화면들 중에서 상기 노출되는 화면에 가려지는 화면의 메뉴에 대한 명령은 근접 터치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In the case where the screens corresponding to the two or more menus are overlapped and displayed, the command for the menu of the screen exposed from the screens is input by the touching touch, and the screen of the screen, Wherein the command for the menu is input by proximity touch.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5 항에 있어서, 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화면들 중에서 중첩되어 가려지는 화면의 메뉴는 먼저 실행 시작된 메뉴이고, 상기 화면들 중에서 노출되는 화면은 나중에 실행 시작된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Wherein the menu of the screen which is overlapped and hidden among the screens is a menu which has been executed first, and the screen which is exposed among the screens is a menu which is started to be executed later. 접촉 터치 및 근접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스크린; 및A touch screen for recognizing contact touches and proximity touches; And 제어부를 포함하되,And a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Wherein, 제 1 메뉴 및 제 2 메뉴가 동시에 실행 중일 때,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상기 제 1 메뉴 및 상기 제 2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가 표시되도록 하고,Wherein when the first menu and the second menu are simultaneously being executed, the first menu and the second menu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상기 접촉 터치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입력되면 상기 제 1 메뉴 및 상기 제 2 메뉴 중 상기 표시되는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들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도록 하며,Wherein when the contact touch is input onto the touch screen, one of the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menu among the first menu and the second menu is executed, 상기 근접 터치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입력되면 상기 제 1 메뉴 및 상기 제 2 메뉴 중 표시되지 않는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들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And controls to perform any one of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non-displayed menu among the first menu and the second menu when the proximity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제 33항에 있어서,34. The method of claim 33, 상기 제 1 메뉴 및 상기 제 2 메뉴는 멀티태스킹으로 동시에 실행되는, 이동 단말기.Wherein the first menu and the second menu are simultaneously executed with multitasking. 제 33항에 있어서,34. The method of claim 33, 상기 제어부는,Wherein, 상기 제 1 메뉴 및 상기 제 2 메뉴 중 나중에 실행된 메뉴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And controls a menu executed later of the first menu and the second menu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제 33항에 있어서,34. The method of claim 33, 상기 접촉 터치는 터치-드래그 입력을 포함하고,Wherein the contact touch comprises a touch-drag input, 상기 근접 터치는 접촉터치-드래그 입력을 포함하며,Wherein the proximity touch comprises a contact touch-drag input, 상기 표시되는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들 및 상기 표시되지 않는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들 각각은 상기 터치-드래그 입력 또는 상기 접촉터치-드래그 입력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는, 이동 단말기.Wherein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menu and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non-displayed menu are determined according to a direction of the touch-drag input or the touch-drag input, respectively. 제 1 메뉴 및 제 2 메뉴가 동시에 실행 중일 때, 상기 제 1 메뉴 및 상기 제 2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가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단계;Displaying one of the first menu and the second menu on the touch screen when the first menu and the second menu are simultaneously being executed; 접촉 터치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입력되면 상기 제 1 메뉴 및 상기 제 2 메뉴 중 상기 표시되는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들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는 단계; 및Executing any one of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menu among the first menu and the second menu when a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And 근접 터치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입력되면 상기 제 1 메뉴 및 상기 제 2 메뉴 중 표시되지 않는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들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And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menu that is not displayed among the first menu and the second menu when the proximity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제 37항에 있어서,39. The method of claim 37, 상기 제 1 메뉴 및 상기 제 2 메뉴는 멀티태스킹으로 동시에 실행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Wherein the first menu and the second menu are simultaneously executed with multitasking. 제 37항에 있어서,39. The method of claim 37, 상기 제 1 메뉴 및 상기 제 2 메뉴 중 나중에 실행된 메뉴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Wherein a menu executed later of the first menu and the second menu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제 37항에 있어서,39. The method of claim 37, 상기 접촉 터치는 터치-드래그 입력을 포함하고,Wherein the contact touch comprises a touch-drag input, 상기 근접 터치는 접촉터치-드래그 입력을 포함하며,Wherein the proximity touch comprises a contact touch-drag input, 상기 표시되는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들 및 상기 표시되지 않는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들 각각은 상기 터치-드래그 입력 또는 상기 접촉터치-드래그 입력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Wherein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menu and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non-displayed menu are determined according to a direction of the touch-drag input or the touch-drag input, respectively.
KR1020080028003A 2008-03-26 2008-03-26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375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003A KR101537588B1 (en) 2008-03-26 2008-03-26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2/268,362 US9274681B2 (en) 2008-03-26 2008-11-10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RU2008148670/08A RU2504821C2 (en) 2008-03-26 2008-12-09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200910002918.9A CN101546245B (en) 2008-03-26 2009-01-12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09155804.9A EP2105827B1 (en) 2008-03-26 2009-03-20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003A KR101537588B1 (en) 2008-03-26 2008-03-26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512A KR20090102512A (en) 2009-09-30
KR101537588B1 true KR101537588B1 (en) 2015-07-17

Family

ID=41359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003A KR101537588B1 (en) 2008-03-26 2008-03-26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58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5998A (en) * 2001-12-26 2003-07-11 Canon Inc Information processor,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or, control program of information processor and storage medium
KR20070036077A (en) * 2004-06-29 2007-04-0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Multi-layered display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070113016A (en)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Touch screen apparatus and imige displaying method of touch screen
KR20080007991A (en) * 2006-07-19 2008-01-23 엠텍비젼 주식회사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5998A (en) * 2001-12-26 2003-07-11 Canon Inc Information processor,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or, control program of information processor and storage medium
KR20070036077A (en) * 2004-06-29 2007-04-0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Multi-layered display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070113016A (en)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Touch screen apparatus and imige displaying method of touch screen
KR20080007991A (en) * 2006-07-19 2008-01-23 엠텍비젼 주식회사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512A (en)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557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3150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RU2504821C2 (e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542380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95170B1 (en) Method for displaying menu of mobile terminal
KR10156537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37592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387527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menu icon therefor
KR101504209B1 (en) Mobile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with touch sen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56001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969790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ynthersizing contents
KR101690232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480470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lock screen thereof
KR101412586B1 (en) Method for input of mobile terminal
KR10152697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45569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KR101556135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02002B1 (en) Mobile terminal using of proximity touch and wallpaper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101486343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21910B1 (en)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of mobile terminal
KR101537593B1 (en)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n event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44864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therein
KR101504206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KR101540663B1 (en) Mobile terminal having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oadcasting thereof
KR101557353B1 (en) Mobile terminal having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for capturing scree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