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956B1 -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956B1
KR101535956B1 KR1020140011424A KR20140011424A KR101535956B1 KR 101535956 B1 KR101535956 B1 KR 101535956B1 KR 1020140011424 A KR1020140011424 A KR 1020140011424A KR 20140011424 A KR20140011424 A KR 20140011424A KR 101535956 B1 KR101535956 B1 KR 101535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g
tag
envelope
tag 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4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도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부보안
도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부보안, 도대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부보안
Priority to KR1020140011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95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9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The apparatus for disposing of was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a tag reader unit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for recognizing a user tag; an input unit, when the user tag is recognized, for rotating from a first position status where a waste bag cannot be placed into a second position status where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waste bag is exposed for a waste bag to be placed; a bag collecting unit for supporting the waste bag when the input unit is in the second position status and forming a falling passage where the waste bag falls downward when the input unit is in the first position status; a bag tag reader unit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of the input unit for recognizing the bag tag attached to the waste bag; and a control unit for rotating the input unit from the first position status into the second position status when the user tag is recognized by the tag reader unit and for rotating the input unit from the second position status into the first position status when the bag tag is recognized by the bag tag reader unit. Therefore, the second position, wherein a waste bag can be put in, can be maintained when the user makes a tag recognized while in the first position, a waste bag cannot be put in, is maintained, and, when it is checked whether the waste bag put in is a standard bag, the status can be changed in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waste bag put in can be collected. Thus, an non-permitted waste bag can be fundamentally prevented from being put in without permission.

Description

쓰레기 처리 장치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0001]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0002]

본 발명은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처리 허가된 봉투에 담긴 쓰레기를 판단하여 허가된 봉투인 경우에만 처리하도록 하는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disposa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te disposal system for judging garbage contained in an approved bag to be processed only in the case of an authorized bag.

유입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도시화가 급격하게 팽창되면서 여러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으며, 그 중 생활쓰레기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가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Urbanization is rapidly expanding due to the rapid increase of the influx population, and various problems are emerging. Among them, the disposal of household garbage and food waste is emerging as an urgent task.

이러한 쓰레기를 매립하거나 소각시키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점차적으로 쓰레기를 매립시킬 수 있는 구역이 한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소각시키는 경우에도 소각장치의 처리 용량이 한정되어 있어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A method of embedding or incinerating such garbage has been proposed. However, not only are there a limited number of areas where garbage can be buried, but also the incineration apparatus has a limited processing capacity, which causes many problems.

따라서, 이러한 한정된 매립구역 및 소각장치를 증가시키는 것은 많은 한계가 있으므로 쓰레기의 발생량을 억제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많은 방안 중 하나로서 쓰레기 종량제가 제시되고 있다. Therefore, since there are many limitations to increase the limited landfill area and the incineration plant, various methods for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waste have been proposed. One of such measures is the garbage disposal system.

쓰레기 종량제는 쓰레기를 버릴 수 있는 봉투를 마련하여 허가된 쓰레기 봉투만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가정이나 기타 장소에서 사전에 쓰레기를 줄이려는 시도가 진행됨에 따라 사회 전반적으로 쓰레기가 발생되는 량이 줄어들고 있다. As the garbage-weighted garbage system is constructed to dispose of garbage bags so that only authorized garbage bags can be collected, the amount of garbage generated is reduced in society as a whole in an attempt to reduce garbage in advance in each home or other places.

최근에는 하기 특허문헌 1의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1-0003004호 'RFID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배출 및 비용 징수방법과 음식물 쓰레기 분쇄를 통한 차량 흡입 수거방식' 및 특허문헌 2의 특허공개공보 제10-2010-0130321호 'RFID카드를 이용한 쓰레기 투입구 제어시스템'과 같이, 이러한 쓰레기 봉투가 투입될 수 있는 쓰레기 처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사용자에게 코인형식이 발급되어 코인을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투입한 경우 쓰레기 봉투를 처리 시스템에 투입할 수 있게 하거나, 카드 형식으로 발급되어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서 카드가 인식되는 경우 쓰레기 봉투가 처리 시스템에 투입될 수 있는 쓰레기 처리 시스템이 제시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03004 entitled " Food waste disposal and cost collection method using RFID, vehicle intake collection method using food waste disintegration method ", and patent publication No. 10 -2010-0130321 A 'garbage inlet control system using an RFID card' discloses a garbage disposal system in which such garbage bags can be input.
When a coin type is issued to the user and the coin is input to the waste disposal system, the user can input the waste disposal bag into the disposal system or if the card is recognized in the waste disposal system in the form of a card, A garbage disposal system is propos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코인을 투입하거나 카드를 인식시켜 쓰레기 봉투를 투입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코인을 투입하거나 카드를 인식시킨 후 허가된 규격 봉투를 사용하지 않은 쓰레기를 무단으로 투입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garbage disposal system allows a user to insert a coin or recognize a card and input a garbage bag, it is possible to insert a coin or recognize a car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inject it into the apparatus.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쓰레기 봉투 투입자를 촬상할 수 있는 카메라를 설치하는 방안도 제시되고 있으나, 카메라를 유지 및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무단 투기자가 얼굴을 가리거나 하는 경우 증거자료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proposed a method of installing a camera capable of picking up a garbage bagper in a garbage disposal system.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maintaining and managing the camera, and when the unauthorized person covers the face,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be don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허가된 규격 쓰레기 봉투를 인식할 수 있는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rbage disposal system capable of recognizing an authorized standard garbage ba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 태그를 인식하는 태그 리더부; 상기 태그 리더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태그가 인식되는 경우, 쓰레기 봉투가 투입되지 못하는 제1 위치상태에서 상기 쓰레기 봉투가 수납되는 수납부가 쓰레기 봉투가 투입되게 노출되는 제2 위치상태로 회동되는 투입유닛; 상기 투입유닛이 상기 제2 위치상태에서는 상기 쓰레기 봉투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위치상태에서는 상기 쓰레기 봉투가 하부로 낙하되는 낙하통로가 형성되는 봉투 회수유닛; 상기 투입유닛의 수납부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쓰레기 봉투에 부착되는 봉투 태그를 인식하는 봉투 태그 리더부; 및 상기 태그 리더부에서 사용자 태그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투입유닛을 제1 위치 상태에서 제2 위치상태로 회동제어하며, 상기 봉투 태그 리더부에서 상기 봉투 태그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투입유닛을 제2 위치상태에서 제1 위치상태로 회동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arbage disposal system comprising: a housing; A tag reader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to recognize a user tag; An input unit which is rotated to a second position where the storage compartment in which the garbage bag is received is exposed to the garbage bag when the user tag is recognized by the tag reader unit in a first position where the garbage bag can not be inserted; An envelope collecting unit which supports the garbage bag in the second position state and forms a drop passage in which the garbage bag falls down in the first position state; An envelope tag reader unit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of the input unit and recognizing an envelope tag attached to the garbage bag; And controlling the turning unit from the first position state to the second position state when the user tag is recognized by the tag reader unit, and when the envelope tag is recognized by the envelope tag reader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from the positional state to the first positional state.

이로써, 평상시에는 쓰레기 봉투가 투입되지 못하는 제1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태그를 인식시킨 경우 쓰레기 봉투를 투입할 수 있는 제2 위치를 유지하면서 쓰레기 봉투가 투입된 상태에서 규격 봉투인지가 확인된 경우 제1 위치로 상태변경되면서 투입된 쓰레기 봉투가 회수될 수 있게 됨에 따라, 무단으로 허락되지 않은 쓰레기 봉투가 투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us, when the user recognizes the tag in a state where the garbage bag can not be normally inserted at the first position,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standard bag is in the state where the garbage bag is inserted while maintaining the second position where the user can input the garbage bag The garbage bag can be recovered when the state is changed to the first posi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nauthorized garbage bag from being inserted.

이때, 상기 봉투 태그는, EM 태그인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envelope tag is preferably an EM tag.

이로써, 쓰레기 봉투에 간단하게 규격 봉투인지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쓰레기 봉투의 생산단가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standard bag is simply a standard bag or not, and the production cost of the bag can be remarkably reduced.

또한, 상기 봉투회수 유닛의 낙하통로와 연통되어, 낙하된 쓰레기 봉투가 처리장으로 이송되는 이송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transfer pipe communicating with the drop passage of the envelope collecting unit to transfer the dropped waste bag to the treatment plant.

이로써, 허가된 규격 봉투만이 이송관을 통해 최종적인 쓰레기 처리장소로 이동되어 처리됨에 따라 허가된 규격 봉투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이 되어 무단투기가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only the approved standard envelope is moved to the final waste disposal site through the conveyance pipe and process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use an approved standard envelope,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unauthorized use of the envelope.

또한, 상기 봉투 태그 리더부는, 상기 투입유닛의 수납부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쓰레기 봉투에 의하여 가압되는 상태에서는 내부로 탄성위치 변경되고, 가압되지 않는 상태에서 돌출되는 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envelope tag reader unit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storage unit side of the charging unit and is returned to a position where it is elastically displaced to the inside in a state of being pressed by the garbage bag, .

이로써, 쓰레기 봉투가 어떠한 상태로 투입되어도 봉투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봉투 태그 리더부가 쓰레기 봉투측으로 돌출되어 보다 근접하여 태그통신을 할 수 있게 되어 규격 봉투인지 여부의 판단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Thus, even if the garbage bag is put in any state, the envelope tag reader capable of recognizing the bag tag can protrude toward the garbage bag side and can perform tag communication more closely,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determining whether the standard bag is a standard bag.

또한, 상기 사용자 태그는, 코인 또는 카드형태거나, 바코드 또는 QR 코드 형태일 수 있다. Further, the user tag may be in the form of a coin or card, a barcode or a QR code.

이로써, 다양한 형식으로 쓰레기 봉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the use of various types of garbage bags makes it possible to greatly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쓰레기 봉투가 투입되지 못하는 제1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태그를 인식시킨 경우 쓰레기 봉투를 투입할 수 있는 제2 위치를 유지하면서 쓰레기 봉투가 투입된 상태에서 규격 봉투인지가 확인된 경우 제1 위치로 상태변경되면서 투입된 쓰레기 봉투가 회수될 수 있게 됨에 따라, 무단으로 허락되지 않은 쓰레기 봉투가 투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garbage dispos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recognizes the tag while maintaining the first position where the garbage bag can not be inserted normally, while maintaining the second position where the garbage bag can be inserted, When the standard envelope is confirmed in the state that the envelope is inserted, the state of the standard bag is changed to the first position, so that the charged garbage bag can be recovered, so that the unauthorized unauthorized trash bag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put.

또한, 쓰레기 봉투에 간단하게 규격 봉투인지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쓰레기 봉투의 생산단가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confirm whether the standard bag is a standard bag, but also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of the bag.

또한, 허가된 규격 봉투만이 이송관을 통해 최종적인 쓰레기 처리장소로 이동되어 처리됨에 따라 허가된 규격 봉투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이 되어 무단투기가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only the authorized standard envelope is moved to the final waste disposal site through the conveyance pipe, the environment becomes inevitably required to use the approved standard envelope, and the unauthorized us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쓰레기 봉투가 어떠한 상태로 투입되어도 봉투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봉투 태그 리더부가 쓰레기 봉투측으로 돌출되어 보다 근접하여 태그통신을 할 수 있게 되어 규격 봉투인지 여부의 판단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Further, even if the waste bag is put in any state, the bag tag reader capable of recognizing the bag tag can protrude toward the garbage bag side to perform tag communication more closely,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determining whether the standard bag is a standard bag.

또한, 다양한 형식으로 쓰레기 봉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 of various types of garbage bags makes it possible to greatly enhanc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다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arbage disposa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garbage disposal system shown in FIG. 1;
Figure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garbage disposal system shown in Figure 1;
FIGS. 4A and 4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garbage disposal system shown in FIG. 1;
5A to 5D are views for explaining another operation of the garbage disposal system shown in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garbage disposa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arbage disposa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garbage disposal system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garbage disposal system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쓰레기 처리 시스템(100)은, 하우징(110), 태그 리더부(120), 투입유닛(130), 봉투 회수유닛(140), 봉투 태그 리더부(160),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1 to 3, a waste disposal system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a tag reader unit 120, a charging unit 130, an envelope collecting unit 140, An envelope tag reader unit 160, and a control unit 170.

하우징(110)은 태그 리더부(120), 투입유닛(130), 봉투 회수유닛(140), 봉투 태그 리더부(160)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면부에는 쓰레기 봉투(W)가 투입될 수 있는 투입구(111)가 형성된다. The housing 110 is provided with a tag reader unit 120, an input unit 130, an envelope collecting unit 140 and an envelope tag reader unit 160. In the housing 110, a waste bag W An inlet 111 is formed.

태그 리더부(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소지한 태그(T)를 접촉시키면 이를 인식한다. 이러한 태그 리더부(120)는 RF 태그방식일 수 있으며, 이와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어, 바코드 또는 QR코드와 같이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어느 방식이나 무방하다. The tag reader 12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recognizes the tag T when the user touches the tag. The tag reader unit 120 may be an RF tag or any other method capable of recognizing a user, such as a barcode or a QR code, in a different manner.

또는, 사용자에게 지급된 또는 사용자가 마련한 코인을 투입하거나 카드를 인식시키는 방식도 무방하다. Alternatively, a method of inputting a coin paid by a user or a user, or recognizing a card may be used.

투입유닛(130)은 쓰레기 봉투(W)를 쓰레기 처리 시스템(100)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1 위치상태 및 제2 위치상태로 선택적으로 회동되게 설치된다. The charging unit 130 allows the waste bag W to be charged into the waste disposal system 100,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selectively rotatable to the first position state and the second position state.

제1 위치상태는 쓰레기 봉투(W)가 투입되는 투입구(111)를 폐쇠시켜 쓰레기 봉투(W)가 투입될 수 없는 상태이며, 제2 위치상태는 쓰레기 봉투(W)가 투입되는 투입구(111)를 개방시켜 쓰레기 봉투가 투입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The first positional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waste bag W is closed by closing the inlet 111 into which the waste bag W is inserted and the second positional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waste bag W is inserted, And the garbage bag can be inserted.

이러한 투입유닛(13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쓰레기 봉투(W)가 투입되는 수납부(131)가 형성된다. The charging unit 1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receiving portion 131 into which the waste bag W is inserted is formed therein.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유닛(130)이 제1 위치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투입유닛(130)에 의하여 하우징(110)의 투입구(111)가 막히게 되며, 태그 리더부(120)에서 사용자 태그(T)가 인식되는 경우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수납부(131)가 투입구(111)측으로 노출되면서 쓰레기 봉투(W)가 수납부(131)로 투입될 수 있는 제2 위치상태로 된다. 5A, when the input unit 130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input unit 111 of the housing 110 is blocked by the input unit 130, When the tag T is recognized, the receiving portion 131 is exposed toward the inlet 111 side while rotating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and the second position state in which the waste bag W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31 do.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투입유닛(130) 그 자체로 투입구 개폐기능을 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투입구 개폐구조를 가질 필요가 없이 간단한 구조로 이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input unit 130 itself can perform the input port opening / closing function, and it is possible to realize this with a simple structure without having a separate input port opening / closing structure.

이러한 제1 위치상태에서는 수납부(131)가 지면과 수직인 직립방향으로 유지된 상태이며, 제2 위치상태에서 수납부(131)는 투입구(111)측에서 수납부(131) 저면으로 경사지게 위치되어 쓰레기 봉투(W)가 수납부(131)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수납부(131) 저면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first position, the receiving portion 131 is held in the uprigh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In the second position, the receiving portion 131 is inclined from the loading port 111 side to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ion 131 So that the garbage bag W can be slid in the storage portion 131 and be mov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131.

한편, 이러한 투입유닛(130)의 제1 위치상태 및 제2 위치상태로의 회동시 그 한계를 검지하기 위하여, 회동검지 유닛(150)을 더 포함한다. In order to detect the limit of the rotation of the input unit 130 to the first position state and the second position state, the rotation detection unit 150 is further included.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회동검지 유닛(150)은 투입유닛(130)의 회동축과 동축상으로 연장된 캠부(153) 및 캠부(153)를 검지하는 제1 리미트 스위치(15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152)를 포함한다. 4A and 4B, the rotation detecting unit 150 includes a cam unit 153 extending coaxially with the rotation shaft of the input unit 130, a first limit switch 151 for detecting the cam unit 153, And a second limit switch 152.

즉, 투입유닛(130)이 회동하면 이와 연동되어 캠부(153)가 회전하게 되는데, 도 4a의 상태 즉, 제1 위치상태에서는 제1 리미트 스위치(151)에서 캠부(153)가 검지되고 제2 리미트 스위치(152)에서 캠부(153)가 검지되는 않으며, 도 4b에 도시된 제2 위치상태에서는 제1 리미트 스위치(151)에서 캠부(153)가 검지되지 않고 제2 리미트 스위치(152)에서 캠부(153)가 검지된다. That is, when the input unit 130 rotates, the cam unit 153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input unit 130. In the state of FIG. 4A, that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cam unit 153 is detected by the first limit switch 151, The cam portion 153 is not detected by the limit switch 152 and the cam portion 153 is not detected by the first limit switch 151 and the cam portion 153 is not detected by the second limit switch 152 in the second position state shown in FIG. (153) is detected.

따라서, 제1 위치상태에서 투입유닛(130)이 제2 위치상태로 변경되기 위해 회동되면 제1 리미트 스위치(151)에서 캠부(153)가 검지되고 제2 리미트 스위치(152)에서 캠부(153)가 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리미트 스위치(151)에서 캠부(153)가 검지되지 않고 제2 리미트 스위치(152)에서 캠부(153)가 검지될 때까지 투입유닛(130)이 회동된다. Therefore, when the input unit 130 is rotated to change to the second position state in the first position state, the cam unit 153 is detected by the first limit switch 151 and the cam unit 153 is detected by the second limit switch 152, The input unit 130 is rotated until the cam unit 153 is not detected by the first limit switch 151 and the cam unit 153 is detected by the second limit switch 152 in a state where the first limit switch 151 is not detected.

이후, 투입유닛(130)이 제2 위치상태에서 제1 위치상태로 변경되기 위해 회동되면 제2 리미트 스위치(152)에서 캠부(153)가 검지되고 제1 리미트 스위치(151)에서 캠부(153)가 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리미트 스위치(152)에서 캠부(153)가 검지되지 않고 제1 리미트 스위치(151)에서 캠부(153)가 검지될 때까지 투입유닛(130)이 회동된다. Thereafter, when the input unit 130 is rotated to change from the second position state to the first position state, the cam portion 153 is detected by the second limit switch 152 and the cam portion 153 is detected by the first limit switch 151, The input unit 130 is rotated until the cam unit 153 is not detected by the second limit switch 152 and the first limit switch 151 detects the cam unit 153 in a state where the cam unit 153 is not detected.

이러한 캠부(153), 제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151)(152)의 구성에 의하여, 투입유닛(130)이 정확한 제1 위치상태 및 제2 위치상태를 유지하면서, 쓰레기 봉투(W)가 투입되거나 투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cam portion 153 and the first and second limit switches 151 and 152, the waste bag W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out of the waste bag W while the injection unit 130 maintains the correct first position state and the second position state It can be inserted or prevented from being inserted.

한편, 봉투 태그 리더부(160)는 쓰레기 봉투(W)에 부착된 태그(WT)를 인식하여 사용이 허가된 규격 봉투인지를 인식하는 것으로서, 투입유닛(130)의 수납부(131)측 저면에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envelope tag reader 160 recognizes the tag WT attached to the waste bag W and recognizes whether the standard envelope is allowed to be used. Respectively.

이러한 봉투 태그 리더부(160)는 투입유닛(130)이 제2 위치상태로 회동된 후 수납부(131)로 쓰레기 봉투(W)가 투입되면 수납부(131)의 경사에 의하여 슬라이딩이동 되면서 수납부(131)의 저면으로 위치되고, 이때 봉투 태그 리더부(160)와 쓰레기 봉투에 부착된 봉투 태그(WT)가 근접되면서 봉투 태그(WT)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waste bag W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unit 131 after the charging unit 130 is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bag tag reader 160 is slid by the inclination of the storage unit 131, The envelope tag reader unit 160 and the envelope tag WT attached to the garbage bag are close to each other to recognize the envelope tag WT.

이때, 봉투 태그 리더부(160)는 투입유닛(130)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지지벽(143) 측에 설치되어 투입유닛(130)의 회동과 별개로 위치되어 상호간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도 무방하다. The envelope tag reader unit 16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put unit 130. Alternatively, the envelope tag reader unit 16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wall 143 and separately from the rotation of the input unit 130, It is also possible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또한, 도면상에서는 봉투 태그 리더부(160)를 한 쌍(161)(162)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Although the envelope tag reader 160 is shown as a pair 161 and 162 in the drawing, the envelope tag reader 160 may be provided in a different mann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러한 봉투 태그 리더부(160)는 상기 수납부(131)측으로 탄성바이어스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쓰레기 봉투(W)가 용량이 적은 경우에도 수납부(131)측으로 돌출되어 쓰레기 봉투(W)와 근접되게 위치되어 봉투 태그(WT)를 인식할 수 있거나 쓰레기 봉투(W)가 대용량인 경우 쓰레기 봉투(W)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수납부(131) 외측으로 탄성변형되어 쓰레기 봉투(W)가 걸리지 않으면서 최대한 쓰레기 봉투(W)와 근접해서 봉투 태그(WT)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velope tag reader unit 160 can be elastically biased toward the storage unit 131. Even when the waste bag W has a small capacity, When the garbage bag W is large in capacity, the garbage bag W is elastically deform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portion 131 while being pressed by the garbage bag W,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envelope tag WT as close as possible to the garbage bag W without catching the garbage bag W.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봉투 태그 리더부(160)는 EM(Electro Magnetic) 라벨 형식으로 쓰레기 봉투에 부착된 봉투 태그(WT)를 인식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velope tag reader 160 recognizes the envelope tag WT attached to the garbage bag in an EM (Electro Magnetic) label format.

제어부(170)는 상기의 태그 리더부(120), 투입유닛(130)을 구동하는 투입유닛 구동부(130a) 및 봉투 태그 리더부(160)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태그 리더부(120)에서 사용자 태그(T)가 인식되는지 판단하여 사용자 태그(T)가 인식되는 경우 투입유닛()을 제1 위치상태에서 제2 위치상태로 회동되도록 투입유닛 구동부(130a)를 구동시키며, 제2 위치상태에서 쓰레기 봉투(W)가 수납부(131)로 투입된 후 봉투 태그 리더부(160)에서 봉투 태그(WT)가 인식되는 경우 투입유닛(130)을 제2 위치상태에서 제1 위치상태로 회동되도록 투입유닛 구동부(130a)를 구동시킨다.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input unit driving unit 130a and the envelope tag reader unit 160 for driving the tag reader unit 120 and the input unit 130. The controller unit 170 controls the tag reader unit 120 to transmit the user tags When the user tag T is recognized, the input unit driving unit 130a is driven so that the input unit T is rotated from the first position state to the second position state, and in the second position state, When the envelope tag WT is recognized by the envelope tag reader unit 160 after the envelope W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unit 131, the input unit 130 is rotated from the second position state to the first position state, And drives the driving unit 130a.

또한, 봉투 회수유닛(140)은 하우징(110)내에 마련되어, 수납부(131)에 수납된 쓰레기 봉투(W)가 유입되어 하부로 자유낙하하는 낙하통로(141)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낙하통로(141)는 투입유닛(130)이 제1 위치상태에 있을 때 직립된 수납부(131)와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투입유닛(130)이 제2 위치상태에 있을 때 즉, 수납부(131)가 투입구(111)측으로 노출되는 위치에 있을 때 수납부(131)의 저면에서 쓰레기 봉투(W)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벽(143)을 구비한다. The bag collecting unit 140 is provided in the housing 110 to form the drop passage 141 into which the waste bag W received in the receiving portion 131 flows and freely falls downwar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p passage 141 is formed to be positioned in line with the upright storage portion 131 when the loading unit 130 is in the first position. When the charging unit 130 is in the second position, that is, when the storage unit 131 is exposed to the charging port 111 side, the waste bag W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unit 131 And a support wall 143,

따라서, 제2 위치상태에서 쓰레기 봉투(W)가 수납부(131)로 투입된 후, 적법한 쓰레기 봉투(W)인지 즉, 봉투 태그 리더부(160)에서 봉투 태그(WT)가 인식되는 경우 제1 위치상태로 투입유닛(130)이 회동하면서, 수납부(131)와 낙하통로(141)가 일직선상이 되면서 쓰레기 봉투(W)가 낙하통로(141)를 따라 낙하한다. When the bag tag WT is recognized by the bag tag reader unit 160, that is, when the bag tag WT is recognized as a legitimate garbage bag W after the waste bag W is put into the storage unit 131 in the second position, The waste bag W falls along the drop passage 141 as the input unit 130 rotates while the storage unit 131 and the drop passage 141 are in a straight line.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낙하통로(141)와 연통되는 이송관(190)이 구비되어, 낙하된 쓰레기 봉투(W)가 이송관(190)을 따라 쓰레기 봉투 집하장, 소각장 또는 매립장으로 이송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ort pipe 190 communicating with the drop passage 141 is provided so that the dropped waste bag W is transported along the transport pipe 190 to the waste bag collecting site, Lt; / RTI >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쓰레기 처리 시스템(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garbage disposal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 투입유닛(130)은 제1 위치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태그(T)를 태그 리더부(120)에 접촉시키면 제어부(17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인지하여 투입유닛(13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제2 위치상태로 회동구동시킨다. 5A, the input unit 130 maintains the first position state in the initial state. When the user unit T held by the user touches the tag reader unit 120, the control unit 170 As shown in FIG. 5B, recognizes this and rotates the input unit 130 counterclockwise and rotates it to the second position.

이후, 제2 위치상태로 회동되면서 수납부(131)가 하우징(110)의 투입구(111)측으로 노출되게 되고 사용자는 수납부(131)로 쓰레기 봉투(W)를 투입할 수 있다. The housing part 131 is exposed to the inlet port 111 of the housing 110 and the user can insert the waste bag W into the storage part 131. [

이때, 투입된 쓰레기 봉투(W)는 수납부(131)의 경사를 따라 수납부(131)의 저면에 도달하게 된 후, 봉투 태그 리더부(160)가 쓰레기 봉투(W)에 부착된 봉투 태그(WT)를 인식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inserted waste bag W reaches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131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storage unit 131, and then the envelope tag reader unit 160 reads the envelope tag W attached to the waste bag W WT).

이때, 봉투 태그(WT)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하여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경고하여 투입이 허여된 쓰레기 봉투(W)가 아닌 것을 경고할 수 있다. 한편, 투입이 허여된 규격 봉투인 경우라도 봉투 태그(WT)가 봉투 태그 리더부(160)에서 인식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수동으로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는 안내메시지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f the envelope tag WT is not recognized, the user can be warned through the display unit 113 by visual or audible alarm to warn that the waste tag W is not the inserted waste bag W.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standard envelope is input, it is preferable that the envelope tag WT is also not recognized by the envelope tag reader 160, so that it also outputs a guidance message indicating that it is necessary to manually recognize the envelope tag WT.

제어부(170)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격 봉투인 것으로 인지되는 경우 시계방향으로 투입유닛(130)을 회동시키며 이때 투입구(111)는 다시 투입유닛(130)에 의하여 폐쇄되고 수납부(131)와 봉투 회수유닛(140)의 낙하통로(141)가 일직선상에 위치되면서 쓰레기 봉투(W)가 자유낙하하면서 이송관(190)으로 떨어지게 되고, 쓰레기 봉투(W)는 이송관(190)을 따라 이송되면서 쓰레기 집하장, 매립장 또는 소각장으로 이송된다. 5C, the control unit 170 rotates the input unit 130 in the clockwise direction. At this time, the input port 111 is closed again by the input unit 130 and the storage unit 131 And the drop passage 141 of the envelope collecting unit 140 ar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so that the waste bag W falls freely falling into the conveyance pipe 190 while the waste bag W falls freely, And transported to the garbage collection point, landfill or incinerator.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종래에 사용자를 인식시킨 후 규격 봉투가 아닌 다른 쓰레기를 투여할 수 있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garbage other than the standard envelope can be administered after recognizing the user in the related art.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 쓰레기 처리 시스템 110 : 하우징
111 : 투입구 120 : 태그 리더부
130 : 투입유닛 130a : 투입유닛 구동부
131 : 수납부 140 : 봉투 회수유닛
141 : 낙하통로 150 : 회동검지 유닛
151 : 제1 리미트 스위치 152 : 제2 리미트 스위치
153 : 캠부 160 : 봉투 태그 리더부
170 : 제어부 190 : 이송관
100: garbage disposal system 110: housing
111: input port 120: tag reader unit
130: Input unit 130a: Input unit driving unit
131: storage unit 140: envelope recovery unit
141: drop passage 150: rotation detecting unit
151: first limit switch 152: second limit switch
153: cam portion 160: envelope tag reader portion
170: control unit 190: transfer pipe

Claims (6)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 태그를 인식하는 태그 리더부;
상기 태그 리더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태그가 인식되는 경우, 쓰레기 봉투가 투입되지 못하는 제1 위치상태에서 상기 쓰레기 봉투가 수납되는 수납부가 쓰레기 봉투가 투입되게 노출되는 제2 위치상태로 회동되는 투입유닛;
상기 투입유닛이 상기 제2 위치상태에서는 상기 쓰레기 봉투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위치상태에서는 상기 쓰레기 봉투가 하부로 낙하되는 낙하통로가 형성되는 봉투 회수유닛;
상기 투입유닛의 수납부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쓰레기 봉투에 부착되는 봉투 태그를 인식하는 봉투 태그 리더부; 및
상기 태그 리더부에서 사용자 태그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투입유닛을 제1 위치 상태에서 제2 위치상태로 회동제어하며, 상기 봉투 태그 리더부에서 상기 봉투 태그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투입유닛을 제2 위치상태에서 제1 위치상태로 회동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봉투 태그 리더부는,
상기 투입유닛의 수납부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쓰레기 봉투에 의하여 가압되는 상태에서는 수납부 외측으로 탄성위치 변경되고, 가압되지 않는 상태에서 돌출되는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 장치.
housing;
A tag reader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to recognize a user tag;
An input unit which is rotated to a second position where the storage compartment in which the garbage bag is received is exposed to the garbage bag when the user tag is recognized by the tag reader unit in a first position where the garbage bag can not be inserted;
An envelope collecting unit which supports the garbage bag in the second position state and forms a drop passage in which the garbage bag falls down in the first position state;
An envelope tag reader unit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of the input unit and recognizing an envelope tag attached to the garbage bag; And
When the envelope tag is recognized by the envelope tag reader unit, when the user tag is recognized by the tag reader unit, the input unit is rotated from the first position state to the second position state, To a first position state,
The envelope tag reader unit,
Wherein the garbage bag is disposed to protrude toward the storage unit of the charging unit and is elastically displac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 in a state of being pressed by the garbage bag and returns to a position where the storage unit is protruded without being pres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태그는,
EM(Electro Magnetic) 라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 장치.
The RFID tag according to claim 1,
(EN) Disclosed is an EM (Electro Magnetic) lab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회수 유닛의 낙하통로와 연통되어, 낙하된 쓰레기 봉투가 처리장으로 이송되는 이송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ransfer pipe communicating with the drop passage of the bag collecting unit and having the dropped waste bag transferred to the treatment si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태그는,
코인 또는 카드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Coin or card 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태그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Bar code, or QR code.
KR1020140011424A 2014-01-29 2014-01-29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KR1015359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424A KR101535956B1 (en) 2014-01-29 2014-01-29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424A KR101535956B1 (en) 2014-01-29 2014-01-29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956B1 true KR101535956B1 (en) 2015-07-13

Family

ID=5379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424A KR101535956B1 (en) 2014-01-29 2014-01-29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95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48272A (en) * 2019-10-18 2022-11-17 エイシーアイ ケミカルズ アジ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Load collector
KR20230077857A (en) * 2021-11-26 2023-06-02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Garbage dispens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6752A (en) * 2010-03-23 2011-09-29 주식회사 동호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standardize envelope using rf eas
KR101167027B1 (en) * 2012-05-03 2012-07-24 임채수 Waste receiv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6752A (en) * 2010-03-23 2011-09-29 주식회사 동호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standardize envelope using rf eas
KR101167027B1 (en) * 2012-05-03 2012-07-24 임채수 Waste receiving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48272A (en) * 2019-10-18 2022-11-17 エイシーアイ ケミカルズ アジ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Load collector
JP7350160B2 (en) 2019-10-18 2023-09-25 エイシーアイ ケミカルズ アジ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Load collection device
KR20230077857A (en) * 2021-11-26 2023-06-02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Garbage dispensing device
KR102555615B1 (en) 2021-11-26 2023-07-17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Garbage dispens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29375T3 (en) Integrated AI system to optimize waste management by self-guided robot
US10062049B2 (en) Systems and processes for tracking items
CN1682252A (en) Return station for refundable or borrowed objects
KR101535956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KR20220164234A (en) Apparatus and system for collecting PET bottles
KR20110034340A (en) Method for collecting waste articles such as batteries and mobile phones or coins, and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KR200401388Y1 (en) chute means for refuse in suction operated refuse ingathering system
WO2019237707A1 (en) Unmanned vending machine and alarm method
EP3480137A1 (en) A system for volumetric disposal of waste in road bins
CN108376277A (en) Consumptive material intelligent early-warning system based on RFID technique
KR101107604B1 (en) Garbage Discharge Device of Garbage Collection System
KR20090128712A (en) Garbage discharge device of garbage collection system and garbage discharge method using it
CN104346862A (en) Paper class processing device and automatic trading device
US11014093B1 (en) Secure destruction machine
CN202003396U (en) Data preservation system
KR102498658B1 (en) Smart sorting device
CN105205948B (en) A kind of something lost card protection system of ATM
KR20230043516A (en) Automated reusable cup retrieval system for rewarding users
JP2008115586A (en) Storage system
KR20230043514A (en) A method for operating of a multi-use cup return device
KR20080107125A (en) Rfid tag cognition system for detecting a standard plastic garbage bag in waste collection system
KR20230043519A (en) Method for operation of a multi-use cup return resupply service system
JP2010179041A (en) Coin recovery-monitoring system of game parlor
EP4269278A1 (en) Packaging typology detection system
CN107274591A (en)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automatic teller machine maintena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