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036B1 - Combination type anchor assembly of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mbination type anchor assembly of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036B1
KR101534036B1 KR1020140159800A KR20140159800A KR101534036B1 KR 101534036 B1 KR101534036 B1 KR 101534036B1 KR 1020140159800 A KR1020140159800 A KR 1020140159800A KR 20140159800 A KR20140159800 A KR 20140159800A KR 101534036 B1 KR101534036 B1 KR 101534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unit
region
ancho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98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곽근우
장성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테크
Priority to KR1020140159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03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0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anchor assembly which can be stably fixed on a drilled hole on the ground and maximally secure a fixing area on the drilled hole and a constructing method thereof.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nchor head inserted into a drilled hole on the ground; a ground pressure unit installed on a ground surface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drilled hole; and an anchor body having a steel strand whose one side is mounted on the anchor head and whose the other side is mounted on the ground pressure unit. The anchor head comprises: an insertion unit counted on the steel strand; a blade unit whose lower are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s, whose upper area is formed in one unit, and wherein the lower area thereof spreads by the insertion unit when the steel strand is tensioned to be fixed on a wall surface of the drilled hole; and a lower cap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lower area of the blade unit before the lower area of the blade unit spreads to be destroyed when the lower area of the blade unit spreads to be separated from the blade unit.

Description

복합형 앵커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Combination type anchor assembly of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anchor assembly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형 앵커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반의 천공홀에 안정하게 고정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천공홀에 정착되는 영역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복합형 앵커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anchor assembly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e anchor assembly that can be stably fixed to a perforation hole in a ground, ≪ / RTI >

일반적으로 앵커는 건축 및 토목공사의 굴착공사시 주변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흙 막이 공사나 연약지반 절개면의 토사 유실을 억제하기 위한 공사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앵커는 앵커헤드, 상기 앵커헤드와 결합되는 인장재를 포함한다.In general, anchors are widely used to prevent soil collapse during construction of excavation works for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works, and to prevent soil loss from soft ground incision surface. The anchor includes an anchor head and a tensile member coupled with the anchor head.

상기 앵커를 지반에 설치할 때 작업자는 상기 앵커헤드를 지면의 앵커공에 삽입하고, 상기 인장재의 자유단에 하중을 걸고 인장을 한 후 외부 고정장치로 상기 인장재를 고정시킨다. 이후에, 상기 앵커공에 그라우팅액을 주입하여 그라우팅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앵커를 지반에 고정시킨다.When the anchor is installed on the ground, the operator inserts the anchor head into the anchor hole on the ground, applies a load to the free end of the tensile material, and sets the tensile material to an external fixation device. Thereafter, the grouting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anchor holes to perform grouting, thereby fixing the anchor to the ground.

그러나, 종래의 앵커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앵커가 상기 지반에 정착되는 길이가 짧고 상기 앵커헤드가 상기 앵커공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상기 앵커가 상기 지반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conventional anchor is installed, the length of the anchor fixed to the ground is short and the anchor head can not be stably fixed to the anchor hole, so that the anchor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ground.

특히, 상기 인장재의 피복선의 외측면에 상기 그라우팅액이 접촉되어 그라우팅됨으로써 그라우트와 상기 인장재의 마찰력이 떨어짐으로써 상기 앵커가 상기 지반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지 못하게 된다.Particularly, when the grouting liquid contacts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heath of the tensile material and is grouted,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grout and the tensile material drops, so that the anchor can not be stably installed on the groun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3682호(발명의 명칭: 앵커 조립체, 이를 이용한 경사면 보강공법, 공고일: 2010년 6월 15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63682 (Name of the invention: anchor assembly, method of reinforcing slope using the same, date of announcement: June 15, 2010)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반의 천공홀에 안정하게 고정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천공홀에 정착되는 영역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복합형 앵커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site anchor assembly that can be stably fixed to a perforation hole in a ground and can secure a region to be fixed to the perforation hol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반의 천공홀에 삽입되는 앵커헤드; 상기 천공홀과 대응되는 위치의 지면상에 설치되는 지압유닛; 그리고, 일측은 상기 앵커헤드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지압유닛과 결합되는 강연선을 갖는 앵커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헤드는 상기 강연선과 결합되는 삽입유닛과, 하부영역은 복수 개로 분할되되 상부영역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강연선의 인장시 상기 삽입유닛에 의하여 상기 하부영역이 벌어지면서 상기 천공홀의 벽면에 고정되는 블레이드유닛과, 상기 블레이드유닛의 하부영역이 벌어지기 전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유닛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다가 상기 블레이드유닛의 하부영역이 벌어지는 경우에 파손되면서 상기 블레이드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하부캡을 포함하는 복합형 앵커조립체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chor head inserted into a perforation hole of a ground; A pressure-sensitive unit installed on a surface of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erforation hole; The anchor head includes an insertion unit to be coupled with the strand, and a lower reg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and the upper reg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 blade unit which is integrally formed and is fixed to a wall surface of the perforation hole while the lower region is opened by the inserting unit when the strand is pulled;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blade unit, And a lower cap detached from the blade unit while being broken when the lower region of the blade unit is opened.

상기 블레이드유닛은 상기 삽입유닛이 이동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블레이드 몸체와, 상기 블레이드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유닛이 상기 블레이드유닛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캡을 포함할 수 있다.The blade unit may include a blade body forming an inner space through which the insertion unit is moved, and a stopper cap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lade body to prevent the insertion unit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lade unit .

상기 블레이드 몸체는 상기 스토퍼캡과 결합되는 블레이드 헤드와, 상기 블레이드 헤드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되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복수 개로 분할되어 있는 분할 블레이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blade body may include a blade head coupled to the stopper cap, and a plurality of divided blade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lade head, the blade blade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분할 블레이드는 상기 하부캡과 결합되는 하부캡 결합부와, 상기 하부캡 결합부와 연장형성되되 상기 천공홀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외측면에 돌출형성된 제1 블레이드 영역과, 상기 제1 블레이드 영역과 상기 블레이드 헤드를 연결하되 상기 삽입유닛의 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제1 블레이드 영역이 벌어질 때 벤딩되는 병목부를 갖는 제2 블레이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병목부의 두께는 상기 블레이드 헤드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A first blade reg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ap coupling portion and having a fixing protrusion extended from the lower cap coupling portion and fixed to a wall surface of the perforation hole;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bottleneck portion is less than a thickness of the blade head, and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bottleneck portion is less than a thickness of the blade head,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bottleneck portion is less than a thickness of the blade head. .

상기 제2 블레이드 영역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은 내측으로 함몰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병목부의 폭은 상기 제1 블레이드 영역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lade region may be recessed inwardly and the width of the bottleneck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blade region.

상기 블레이드 몸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 중 상기 블레이드 몸체의 하부영역에서 형성되는 하부공간의 단면폭은 상기 블레이드 몸체의 상부영역에서 형성되는 상부공간의 단면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lower space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blade body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blade body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space form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blade body.

상기 삽입유닛은 상기 강연선을 잡아주면서 고정하기 위한 그립부재와, 상기 강연선이 삽입되는 강연선 삽입부와 상기 그립부재가 삽입되는 그립부재 삽입부가 형성된 삽입유닛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부재 삽입부의 단면폭은 상기 강연선 삽입부의 단면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inserting unit includes a grip member for holding and fixing the strand of the strand, an inserting unit main body having a strand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strand is inserted and a grip member inserting portion into which the grip member is inserted, And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strand insertion portion.

상기 삽입유닛은 상기 삽입유닛 본체의 하부에 체결되는 삽입유닛 하부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유닛 본체의 하부영역의 직경은 상기 삽입본체의 상부영역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유닛 본체의 외측면은 적어도 일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insertion unit further includes an insertion unit lower cap which is fasten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unit body, wherein a diameter of a lower region of the insertion unit body is formed larger than a diameter of an upper region of the insertion body, The side surface may be at least partially formed obliquely.

상기 강연선은 제1 강연선부와, 상기 제1 강연선부에서 연장되는 제2 강연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몸체는 상기 강연선이 관통하되, 상기 제1 강연선부와 상기 제2 강연선부의 경계영역에 배치되는 패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커와 상기 앵커헤드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강연선부의 외측면은 피복선에 의하여 감싸여져 있고, 상기 패커와 상기 지압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2 강연선부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천공홀에 채워지는 그라우트에 직접 노출되어 상기 지반에 고정될 수 있다.Wherein the strand comprises a first liner portion and a second lin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liner portion, the anchor body extending through the strand of the first liner portion and the second liner portion, Wherei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liner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acker and the anchor head is wrapped by a sheath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liner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acker and the acupressure unit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may be directly exposed to the grout filled in the perforation hole and fixed to the ground.

상기 앵커몸체는 상기 강연선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피복선과, 상기 피복선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슬라이더들을 갖는 슬라이더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슬라이더들 중 이웃하는 두 개의 슬라이더는 상기 강연선의 인장시 서로 중첩되면서 상기 천공홀에 채워지는 그라우트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Wherein the anchor body includes a slider unit having a sheath surrounding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trand, and a plurality of sliders disposed outside the sheath, and two adjacent sliders of the plurality of sliders sandwich the strand And they can be fixed by grouting which is filled in the perforation hole while being overlapped with each other when tension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복합형 앵커조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상기 지반에 상기 천공홀을 굴착하는 단계; 상기 천공홀에 상기 복합형 앵커조립체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복합형 앵커조립체에 구비된 그라우팅액 주입호스를 통하여 그라우팅액을 주입하여 상기 천공홀을 그라우팅하는 단계; 상기 강연선을 인장하여 상기 앵커헤드를 상기 천공홀에 고정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강연선의 상단부를 상기 지압유닛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형 앵커조립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anchor assembly, the method comprising: drilling the perforation hole in the ground; Inserting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into the perforation hole; Grouting the perforation hole by injecting a grouting solution through a grouting solution injection hose provided in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Fixing the anchor head to the perforation hole by pulling the stranded wire; And fixing the upper end of the strand to the shi-pressure unit.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앵커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and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첫째, 복합형 앵커조립체에 구비된 앵커헤드의 구조적 특징, 즉 하부영역은 복수 개로 분할되되 상부영역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강연선의 인장시 상기 삽입유닛에 의하여 상기 하부영역이 벌어지면서 상기 천공홀의 벽면에 고정되는 블레이드유닛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앵케헤드의 선단이 확장되어 어떠한 경우라도 앵케헤드가 지반의 천공홀에서 분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Firs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nchor head of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that is, the lower reg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and the upper region is integrally formed, while the lower region is opened by the insertion unit when the strand is pulled, The tip of the anchor head is extended by the provision of the blade unit fixed to the wall surface so that the anchor head is not separated from the perforation hole of the ground in any case.

둘째, 복합형 앵커조립체가 토사형 지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패커와 지압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강연선이 상기 토사형 지반의 천공홀에 채워지는 그라우트에 직접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강연선, 그라우트 및 지반 사이의 마찰저항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복합형 앵커조립체가 정착되는 정착영역의 길이를 최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Secondly, when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is installed on the earth type soil, the strand disposed between the packer and the earth pressure unit is directly exposed to the grout filled in the perforation hole of the earth type soil so that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strand, So that the length of the fixing area where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is fixed can be maximized.

셋째, 복합형 앵커조립체가 암반형 지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강연선이 내장된 피복선의 외측면에 상기 강연선의 인장시 서로 중첩되면서 그라우트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슬라이더들을 설치함으로써 앵커헤드를 효율적으로 지압하면서도 상기 복합형 앵커조립체가 정착되는 정착영역의 길이를 최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ird, when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is installed on the rock-type foundation, a plurality of sliders ar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heath with the strands embedded therein while being fixed to the grout while the strands are being tension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ength of the fixing region where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is fixed can be maximiz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앵커조립체가 토사형 지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형 앵커조립체에 구비된 앵커헤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앵커헤드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복합형 앵커조립체에서 강연선이 인장되기 전과 인장된 후의 앵커헤드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앵커헤드에 구비된 블레이드유닛이 강연선의 인장시 하부영역이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앵커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가 암반형 지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복합형 앵커조립체에 구비된 슬라이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composite anch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saturating type grou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chor head provided in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nchor head of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an anchor head before and after tensioning of a stranded wire in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of FIG. 2.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ower region of the blade unit provided in the anchor head of FIG. 2 is opened when a strand of a strand is pulled.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rock-type grou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lider included in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of FIG. 5;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o be solved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the same names and the same symbo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s,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for will be omitted below.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앵커조립체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to 5, an embodiment of a composite anch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복합형 앵커조립체는 앵커헤드(1000), 지압유닛(200) 및 앵커몸체(300)를 포함한다.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includes an anchor head 1000, a compression unit 200, and an anchor body 300.

상기 앵커헤드(1000)는 지반의 천공홀(1)에 삽입되며, 상기 지압유닛(200)은 상기 천공홀(1)과 대응되는 위치의 지면상에 설치된다. 상기 앵커몸체(300)는 일측은 상기 앵커헤드(1000)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지압유닛(200)과 결합된다.The anchor head 1000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1 of the ground and the epilating unit 200 is installed on the groun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erforation hole 1. The anchor body 300 is coupled to the anchor head 1000 at one side and to the ankle unit 200 at the other side.

상기 앵커헤드(1000)는 강연선(310)과 결합되는 삽입유닛(1100), 상기 삽입유닛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블레이드유닛(1200) 및 상기 블레이드유닛(1200)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하부캡(1300)을 포함한다. The anchor head 1000 includes an insertion unit 1100 coupled with the strand 310, a blade unit 1200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insertion unit is accommodated, and a lower cap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blade unit 1200 1300).

구체적으로, 상기 블레이드유닛(1200)의 하부영역은 복수 개로 분할되되 상부영역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강연선(310)의 인장시 상기 삽입유닛(1100)에 의하여 상기 하부영역이 벌어지면서 상기 천공홀(1)의 벽면에 고정된다.Specifically, the lower region of the blade unit 120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and the upper region is integrally formed. When the strand 310 is pulled, the lower region is opened by the inserting unit 1100, (Not shown).

상기 블레이드유닛(1200)은 상기 삽입유닛(1100)이 이동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블레이드 몸체(1220)와, 상기 블레이드 몸체(12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유닛(1100)이 상기 블레이드유닛(12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캡(1210)을 포함한다.The blade unit 1200 includes a blade body 1220 forming an internal space through which the insertion unit 1100 is moved and a blade body 122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lade body 1220, And a stopper cap 1210 for preventing the cap 1210 from being detached to the outside.

상기 스토퍼캡(1210)은 상기 블레이드 몸체(122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캡결합부(1215)와, 상기 캡결합부(1215)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몸체(1220)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캡플랜지부(1211)와, 상기 캡플랜지부(1211)와 단차지게 형성되는 캡입구부(1213)를 포함한다.The stopper cap 1210 includes a cap engaging portion 1215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blade body 1220 and a cap 1220 extending from the cap engaging portion 1215 and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blade body 1220. [ And includes a flange portion 1211 and a cap inlet portion 1213 formed to be stepped with the cap flange portion 1211.

상기 삽입유닛(1100)에 결합된 상기 강연선(310)은 상기 스토퍼캡(1210)을 관통하면서 이동하지만, 상기 스토퍼캡(1210)의 내경은 상기 삽입유닛(1100)의 외경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삽입유닛(1100)은 상기 스토퍼캡(1210)을 관통할 수 없게 되어 상기 삽입유닛(1100)은 상기 스토퍼캡(1210)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된다.The strand 310 coupled to the inserting unit 1100 moves through the stopper cap 1210 while the inner diameter of the stopper cap 1210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ng unit 1100, The stopper cap 1110 can not penetrate through the stopper cap 1210 so that the insertion unit 1100 is restricted from being moved by the stopper cap 1210.

상기 블레이드 몸체(1220)는 상기 스토퍼캡(1210)과 결합되는 블레이드 헤드(1221)와, 상기 블레이드 헤드(1221)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되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복수 개로 분할되어 있는 분할 블레이드(1223)들을 포함한다. 즉, 상기 블레이드 헤드(1221)는 하나의 단일부재, 즉 일체로 형성되지만, 상기 블레이드 헤드(1221)에서 연장형성되는 분할 블레이드(1223)들은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복수 개로 배치된다.The blade body 1220 includes a blade head 1221 coupled to the stopper cap 1210 and a plurality of split blades 122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lade head 1221, . That is, although the blade head 1221 is formed as a unitary member, that is, it is integrally formed, the divided blades 1223 extended from the blade head 1221 are arranged 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tervals.

상기 분할 블레이드(1223)는 상기 하부캡(1300)과 결합되는 하부캡 결합부(1223e)와, 상기 하부캡 결합부(1223e)에서 연장형성되는 제1 블레이드 영역(1223c)과, 상기 제1 블레이드 영역(1223c)에서 연장형성되는 제2 블레이드 영역(1223b)을 포함한다.The partitioning blade 1223 includes a lower cap coupling portion 1223e coupled to the lower cap 1300, a first blade region 1223c extending from the lower cap coupling portion 1223e, And a second blade area 1223b extending from the area 1223c.

상기 제1 블레이드 영역(1223c)은 제1 구간(1223ca)과 제2 구간(1223cb)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제1 블레이드 영역(1223c)의 외측면에는 상기 천공홀(1)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돌기(1223d)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blade area 1223c is divided into a first section 1223ca and a second section 1223cb.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lade area 1223c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perforation hole 1 And protrusions 1223d protrude therefrom.

상기 제2 구간(1223cb)의 내측면은 상기 제2 블레이드 영역(1223b)의 내측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분할 블레이드들의 제2 구간(1223cb)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의 폭(D2)은 상기 분할 블레이드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하다.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ection 1223cb is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lade area 1223b and the width of the space formed by the second section 1223cb of the plurality of divided blades 1223cb D2 are the sam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viding blades.

상기 제1 구간(1223ca)은 상기 제2 구간(1223cb)에 대하여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분할블레이드들의 제1 구간(1223ca)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의 폭(D1)은 상기 제2 구간(1223cb)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의 폭(D2)보다 크게 형성된다.The first section 1223ca is inclined outward with respect to the second section 1223cb and the width D1 of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section 1223ca of the plurality of divisional blades is smaller than the width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D2 of the space formed by the section 1223cb.

상기 제2 블레이드 영역(1223b)은 상기 제1 블레이드 영역(1223c)과 상기 블레이드 헤드(1221)를 연결하며, 상기 제2 블레이드 영역(1223b)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은 내측으로 함몰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blade region 1223b connects the first blade region 1223c to the blade head 1221.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lade region 1223b is recessed inward.

상기 제2 블레이드 영역의 내측면은 상기 제1 블레이드 영역의 제2 구간의 내측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복수 개의 분할블레이드들의 제2 블레이드 영역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의 폭(D3)는 상기 제1 블레이드 영역의 제2 구간(1223cb)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의 폭(D2)와 동일하다.Since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lade area is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ection of the first blade area, the width D3 of the space formed by the second blade area of the plurality of divided blades is Is equal to the width D2 of the space formed by the second section 1223cb of the first blade area.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 몸체(1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 중 상기 블레이드 몸체(1220)의 하부영역에서 형성되는 하부공간의 단면폭, 즉 상기 제1 블레이드 영역의 제1 구간(1223ca)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의 폭(D1)은 상기 블레이드 몸체(1220)의 상부영역에서 형성되는 상부공간의 단면폭, 즉 상기 제2 블레이드 영역(1223b)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의 폭(D3)보다 크게 형성된다.Therefore, a space formed by 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lower space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blade body 1220, that is, the first section 1223ca of the first blade region, among the internal spaces formed by the blade body 1220, The width D1 of the first blade 1223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D3 of the space defined by the second blade 1223b.

또한, 상기 제2 블레이드 영역(1223b)에는 상기 삽입유닛(1100)의 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제1 블레이드 영역(1223c)이 벌어질 때 벤딩되는 병목부(1223a)가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blade area 1223b is formed with a bottleneck 1223a bent when the first blade area 1223c is open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insertion unit 1100. [

상기 병목부(1223a)의 외측면은 내측으로 함몰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병목부(1223a)의 내측면은 상기 블레이드 헤드(1221)의 내측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병목부(1223a)의 두께는 상기 블레이드 헤드(1221)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The inner surface of the bottleneck portion 1223a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inner surface of the blade head 1221 while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leneck portion 1223a is recessed inwardly, The thickness of the blade head 1221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lade head 1221.

또한, 상기 병목부(1223a)의 폭은 상기 제1 블레이드 영역(1223c)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병목부(1223a)에는 상기 병목부(1223a)의 폭을 줄이기 위하여 폭방향으로 일부분이 절개되어 있다.The width of the bottleneck portion 1223a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blade region 1223c. For example, the bottleneck portion 1223a is partially cut in the width direction to reduce the width of the bottleneck portion 1223a.

한편, 상기 삽입유닛(1100)은 상기 강연선(310)을 잡아주면서 고정하기 위한 그립부재(1113)와, 상기 강연선(310)이 삽입되는 강연선 삽입부(미도시)와 상기 그립부재(1113)가 삽입되는 그립부재 삽입부(미도시)가 형성된 삽입유닛 본체(1111)와, 상기 삽입유닛 본체(1111)의 하부에 체결되는 삽입유닛 하부캡(1115)을 포함한다.The insertion unit 1100 includes a grip member 1113 for holding and fixing the strand 310 and a strand insertion unit for insertion of the strand 310 and the grip member 1113 An insertion unit main body 1111 formed with a grip member insertion portion (not shown) to be inserted therein and an insertion unit lower cap 1115 fasten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unit main body 1111.

여기서, 상기 그립부재 삽입부의 단면폭은 상기 강연선 삽입부의 단면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grip member insertion portion may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strand insertion portion.

또한, 상기 삽입유닛 본체(1111)의 하부영역의 직경은 상기 삽입유닛 본체(1111)의 상부영역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유닛 본체(1111)의 외측면은 적어도 일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diameter of the lower region of the insertion unit body 1111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region of the insertion unit body 1111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insertion unit body 1111 is formed to be inclined.

즉, 상기 삽입유닛 본체(1111)의 외측면은 상기 제1 블레이드 영역의 제1 구간(1223ca)의 내측면과 대응됨으로써 상기 삽입유닛 본체(1111)의 하부영역의 외경은 상기 제1 블레이드 영역의 제1 구간(1223ca)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의 폭(D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게 된다.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unit body 1111 correspond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ection 1223ca of the first blade area,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area of the insertion unit body 1111 is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lade area And has a length substantially equal to the width D1 of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section 1223ca.

결과적으로, 상기 삽입유닛(1100)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삽입유닛 본체(1111)의 하부영역의 외경이 상기 제1 블레이드 영역의 제2 구간(1223cb)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의 폭(D2)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제1 블레이드 영역(1223c)은 상기 병목부(1223a)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블레이드 영역(1223b)에 대하여 외측방향으로 벤딩되면서 벌어지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insertion unit 1100 is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region of the insertion unit body 1111 is greater than the width D2 of the space formed by the second section 1223cb of the first blade region, The first blade area 1223c is bent in the out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blade area 1223b with respect to the bottleneck part 1223a.

상기 하부캡(1300)은 상기 블레이드유닛(1200)의 하부영역이 벌어지기 전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유닛(12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다가 상기 블레이드유닛(1200)의 하부영역이 벌어지는 경우에 파손되면서 상기 블레이드유닛(1200)으로부터 분리된다.The lower cap 130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lade unit 1200 in a state before the lower region of the blade unit 1200 is opened and is broken when the lower region of the blade unit 1200 is opened And is separated from the blade unit 1200.

상기 하부캡(1300)은 강성이 약한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삽입유닛의 이동으로 인하여 금속재질로 제작된 상기 블레이드유닛(1200)의 하단부가 벌어질 때 파손되게 된다.The lower cap 1300 is made of a metal or plastic material having a low rigidity and is broken when the lower end of the blade unit 1200 made of a metal material is open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insertion unit.

결과적으로, 상기 복합형 앵커조립체에 구비된 블레이드유닛(1200)의 구조적 특징, 즉 하부영역은 복수 개로 분할되되 상부영역은 일체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강연선의 인장시 상기 삽입유닛(1100)에 의하여 상기 하부영역은 상기 상부영역에 대하여 벤딩되면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영역은 고정된 폭을 가지는 반면 상기 하부영역은 벌어지면서 상기 천공홀의 벽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앵커헤드(1000)의 선단이 확장되어 어떠한 경우라도 상기 앵커헤드(1000)가 지반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As a resul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lade unit 1200 provided in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that is, the lower reg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and the upper region is integrally formed, by the insertion unit 1100 when the strand is pulled The lower region is bent while being bent relative to the upper region. Accordingly, the upper region has a fixed width, while the lower region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perforation hole by expanding the tip of the anchor head 1000 so that the anchor head 1000 is not separated from the ground in any case .

한편, 상기 지압유닛(200)은 지면에 설치되는 지압판(210), 상기 지압판(210)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강연선이 관통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 고정블럭(240), 상기 관통홀 상에 배치되어 상기 강연선을 잡아주는 웨지(250),상기 고정블럭(240)을 감싸면서 상기 지압판(210)과 결합되는 보호캡(220), 상기 보호캡(220)을 상기 지압판(2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230)를 포함한다.The shiplap unit 200 includes a support block 210 installed on the ground surface, a fixed block 240 formed on the support plate 210 and having through holes (not shown) through which the strands are passed, A wedge 250 that is disposed on the support plate 210 to catch the strand, a protective cap 220 that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210 while covering the fixed block 240, And a fastening member 230 for fastening.

상기 앵커몸체(300)는 상기 강연선(310)과, 상기 천공홀(1)의 특정 영역에 설치되되 상기 강연선(310)이 관통되는 패커(320)와, 상기 강연선(310)을 구성하는 복수 철근들 사이의 간격유지를 위한 간격재(330)와, 상기 천공홀(1)에 그라우팅액을 주입하기 위한 그라우팅액 주입호스(340)를 포함한다.The anchor body 300 includes the strand 310 and a packer 320 installed at a specific region of the perforation hole 1 and through which the strand 310 passes, And a grouting solution injection hose 340 for injecting the grouting solution into the perforation hole 1. The grouting solution injection hose 34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상기 강연선(310)은 복수 개로 구비되며, 하나의 강연선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제1 강연선부(311)와, 상기 제1 강연선부(311)에서 연장되는 제2 강연선부(313)를 포함한다.A plurality of strands 310 are provided and one strand includes a first strand 311 and a second strand 313 extending from the first strand 3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상기 패커(320)는 상기 제1 강연선부(311)와 상기 제2 강연선부(313)의 경계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패커(320)와 상기 앵커헤드(100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강연선부(311)의 외측면은 피복선(미도시)에 의하여 감싸여져 있다.The packer 320 is dispos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iner wire sections 311 and 313 and is disposed between the packer 320 and the anchor head 1000, The outer surface of the line portion 311 is surrounded by a sheath (not shown).

또한, 상기 패커(320)와 상기 지압유닛(20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2 강연선부(313)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천공홀(1)에 채워지는 그라우트(3)에 직접 노출되어 상기 지반에 고정된다.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liner portion 313 disposed between the packer 320 and the shaving unit 200 is directly exposed to the grout 3 filled in the perforation hole 1 And is fixed to the ground.

또한, 상기 패커(320)의 내부에 배치되는 강연선을 감싸는 피복선 외측면에는 고무링(350)이 설치되면, 상기 고무링(350)은 상기 패커(320)와 상기 피복선 사이의 그라우팅 유실을 방지하게 된다.When the rubber ring 35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heathing wrapped around the strand disposed inside the packer 320, the rubber ring 350 prevents the grouting loss between the packer 320 and the sheath do.

결과적으로, 상기 복합형 앵커조립체가 토사형 지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패커(320)와 지압유닛(200) 사이에 배치되는 강연선(310)이 상기 토사형 지반의 천공홀(1)에 채워지는 그라우트(3)에 직접 노출됨으로써 상기 강연선(310), 상기 그라우트(3) 및 지반 사이의 마찰저항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복합형 앵커조립체가 정착되는 정착영역의 길이를 최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is installed on the toe-type ground, the strand 310 disposed between the packer 320 and the shore pressure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1 of the to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strand 310, the grout 3 and the ground by directly exposing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3 to the maximized length of the fixation area where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is fixed.

물론, 상기 복합형 앵커조립체는 구조물의 시공과정에서 지하수의 부력에 의하여 상기 구조물이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Of course,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may also be used to prevent the structure from floating due to buoyancy of groundwater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tructure.

상술한 복합형 앵커조립체의 시공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construction process of the above-described composite anchor assembly will be described.

먼저, 작업자는 지반에 천공홀(1)을 굴착하고, 상기 천공홀(1)에 상기 복합형 앵커조립체, 즉 앵커헤드(1000)와 앵커몸체(300)를 삽입한다.First, the operator drills the perforation hole 1 in the ground, and inserts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that is, the anchor head 1000 and the anchor body 300, into the perforation hole 1.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복합형 앵커조립체에 구비된 그라우팅액 주입호스(340)를 통하여 그라우팅액을 주입하여 상기 천공홀(1)을 그라우팅하게 된다.Next, the operator injects the grouting solution through the grouting solution injection hose 340 provided in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to grout the perforation hole 1.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강연선(310)을 인장하여 상기 앵커헤드(1000)를 상기 천공홀(1)에 고정시키게 된다.Next, the worker pulls the strand 310 and fixes the anchor head 1000 to the perforation hole 1. [

최종적으로 작업자는 상기 강연선(310)의 상단부를 상기 지압유닛(200)에 고정하게 된다.Finally, the operator fixes the upper end of the strand 310 to the shiabud unit 200.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앵커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6 and 7,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 예에 따른 복합형 앵커조립체는 앵커헤드(1000), 지압유닛(200) 및 앵커몸체(300)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헤드(1000) 및 상기 지압유닛(200)은 상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형 앵커조립체에 구비되는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anchor head 1000, a compression unit 200 and an anchor body 300. The anchor head 1000 and the acupressure unit 200 are similar to the anchor head 1000, The anch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본 실시 예에 따른 복합형 앵커조립체는 암반형 지반에 설치되는 앵커조립체로서 토사형 지반에 설치되는 상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형 앵커조립체와 일부 차이를 가진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복합형 앵커조립체의 앵커몸체(300)에는 상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형 앵커조립체에 구비된 패커가 구비되지 않고, 복수 개의 슬라이더(360)들을 갖는 슬라이더유닛이 구비된다. However,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one embodiment, which is installed on a sanding type ground, as an anchor assembly installed on a rocky ground. That is, the anchor body 300 of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rovided with the packers provided in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slider unit having a plurality of sliders 360 do.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앵커몸체(300)는 상기 앵커헤드(1000)와 상기 지압유닛(200)을 연결하는 강연선을 포함하며, 상기 강연선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은 피복선에 의하여 감싸여져 있다.Specifically, the anchor body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trand connecting the anchor head 1000 and the paper pressure unit 200, and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trand is surrounded by a sheath .

또한, 상기 피복선의 외측면에는 복수 개의 슬라이더(360)들이 설치되되, 상기 앵커헤드의 상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된다.Further, a plurality of sliders 360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heath, and are sequentially disposed from the top of the anchor head.

상기 슬라이더(360)는 원뿔대 형상의 슬라이더 몸체(361)와, 상기 슬라이더 몸체(361)의 일단, 즉 직경이 작은 끝단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된 슬라이더 삽입부(362)와, 상기 슬라이더 몸체(361)의 외측면에서 돌출형성된 몸체돌기(363)를 포함한다.The slider 360 includes a truncated conical slider body 361 and a slider inserting portion 362 formed at one end of the slider body 361 so as to be stepped at a small diameter end portion of the slider body 361, And a body protrusion 363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상기 슬라이더 몸체(361)는 직경이 큰 끝단부가 상기 앵커헤드(10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몸체(361) 중 작은 직경을 갖는 끝단부는 이웃하는 다른 슬라이더 몸체의 큰 직경을 갖는 끝단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된다.The end of the slider body 361 having a large diameter is disposed in a direction toward the anchor head 1000 and the end of the slider body 361 having a small diameter is connected to an end portion Respectively.

상기 몸체돌기(363)는 상기 앵커헤드(100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된다.The body protrusion 363 is formed to increase the protrusion height toward the anchor head 1000.

상기 복합형 앵커조립체가 지반에 설치되고, 상기 지반의 천공홀(1)에 그라우터가 채워진 후 상기 강연선을 인장하게 되면, 상기 복수 개의 슬라이더(360)들 중 두 개의 슬라이더(360)는 서로 중첩된다. When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 strand is pulled after the router is filled in the perforation hole 1 of the ground, the two sliders 360 of the plurality of sliders 360 overlap each other do.

구체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슬라이더 몸체(361)의 끝단부가 이웃하는 다른 슬라이더 몸체의 큰 직경을 가지는 끝단부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슬라이더 유닛 전체의 길이는 짧아지게 되고, 중첩되는 영역에서는 외측방향으로 부풀어 오른 상태가 된다.Specifically, the length of the entire slider unit becomes shorter as the end of the slider body 361 having a small diameter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end por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of the adjacent other slider body. In the overlapping region, It becomes swollen.

여기서, 상기 몸체돌기(363)는 그라우팅 작업 후 상기 슬라이더유닛이 상기 그라우터 속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Here, the body protrusion 363 prevents the slider unit from rotating in the router after the grouting operation.

결과적으로, 복합형 앵커조립체가 암반형 지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강연선의 인장시 복수 개의 슬라이더들이 서로 중첩되면서 그라우트에 고정됨으로써 앵커헤드를 효율적으로 지압하면서도 상기 복합형 앵커조립체가 정착되는 정착영역의 길이를 최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is installed on the rock-type foundation, a plurality of sliders are fixed to the grout while being superimposed on each other when the strand is pulled, thereby efficiently applying pressure to the anchor head, The length can be maximiz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And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천공홀 3: 그라우트
200: 지압유닛 300: 앵커몸체
310: 강연선 320: 패커
330: 간격재 340: 그라우팅액 주입호스
1000: 앵커헤드 1100: 삽입유닛
1111: 삽입유닛 본체 1113: 그립부재
1115: 삽입유닛 하부캡 1200: 블레이드유닛
1210: 스토퍼캡 1220: 블레이드 몸체
1221: 블레이드 헤드 1223: 분할 블레이드
1223a: 병목부 1223b: 제2 블레이드 영역
1223c: 제1 블레이드 영역 1223d: 고정돌기
1223e: 하부캡 결합부 1300: 하부캡
1: Perforated hole 3: Grout
200: acupressure unit 300: anchor body
310: Strand 320: Packer
330: Interval material 340: Grouting fluid injection hose
1000: anchor head 1100: insertion unit
1111: insertion unit body 1113: grip member
1115: insertion unit lower cap 1200: blade unit
1210: stopper cap 1220: blade body
1221: blade head 1223: split blade
1223a: bottleneck part 1223b: second blade area
1223c: first blade area 1223d:
1223e: Lower cap coupling portion 1300: Lower cap

Claims (8)

지반의 천공홀에 삽입되는 앵커헤드;
상기 천공홀과 대응되는 위치의 지면상에 설치되는 지압유닛; 그리고,
상기 앵커헤드와 상기 지압유닛을 연결하는 앵커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몸체는 일측이 상기 앵커헤드와 결합되는 제1강연선부와 상기 제1강연선부에서 연장되어 타측이 상기 지압유닛과 결합되는 제2강연선부를 포함하는 강연선과, 상기 강연선이 관통하되 상기 제1강연선부와 상기 제2강연선부의 경계 영역에 배치되는 패커와, 상기 제2강연선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철근들 사이의 간격 유지를 위한 간격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커와 상기 앵커헤드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강연선부의 외측면은 피복선에 의하여 감싸여져 있고,
상기 패커와 상기 지압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2강연선부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천공홀에 채워지는 그라우트에 직접 노출되어 상기 지반에 고정되고,
상기 패커의 내부에 배치되는 강연선을 감싸는 피복선 외측면에는 고무링이 설치되고,
상기 앵커헤드는 상기 강연선과 결합되는 삽입유닛과, 하부영역은 복수 개로 분할되되 상부영역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강연선의 인장시 상기 삽입유닛에 의하여 상기 하부영역이 벌어지면서 상기 천공홀의 벽면에 고정되는 블레이드유닛과, 상기 블레이드유닛의 하부영역이 벌어지기 전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유닛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다가 상기 블레이드유닛의 하부영역이 벌어지는 경우에 파손되면서 상기 블레이드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하부캡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유닛은 상기 삽입유닛이 이동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블레이드 몸체와, 상기 블레이드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유닛이 상기 블레이드유닛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캡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몸체는 상기 스토퍼캡과 결합되는 블레이드 헤드와, 상기 블레이드 헤드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되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복수 개로 분할되어 있는 분할 블레이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분할 블레이드는 상기 하부캡과 결합되는 하부캡 결합부와, 상기 하부캡 결합부와 연장 형성되되 상기 천공홀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1 블레이드 영역과, 상기 제1 블레이드 영역과 상기 블레이드 헤드를 연결하되 상기 삽입유닛의 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제1 블레이드 영역이 벌어질 때 벤딩되는 병목부를 갖는 제2 블레이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병목부의 두께는 상기 블레이드 헤드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앵커조립체.
Anchor head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of the ground;
A pressure-sensitive unit installed on a surface of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erforation hole; And,
And an anchor body connecting the anchor head and the shi-pressure unit,
Wherein the anchor body includes a first stranded wire portion having one side engaged with the anchor head and a second stranded wire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stranded wire portion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shiissure unit, A packer dispos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liner portion and the second liner portion and a spacing member for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constituting the second liner porti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liner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acker and the anchor head is surrounded by a sheath,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liner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acker and the shiompech unit is directly exposed to the grout filled in the perforation hole to be fixed to the ground,
A rubber ring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sheath surrounding the strand disposed inside the packer,
Wherein the anchor head is fixed to a wall surface of the perforation hole while the lower region is divided by the inserting unit when the strand is pulled while the lower reg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and the upper region is integrally formed, And a lower cap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blade unit in a state before the lower area of the blade unit is opened and separated from the blade unit while being broken when the lower area of the blade unit is opened, ,
Wherein the blade unit includes a blade body forming an inner space through which the insertion unit is moved and a stopper cap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lade body to prevent the insertion unit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lade unit,
Wherein the blade body includes a blade head coupled to the stopper cap, and split blade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lade head, the split blade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first blade reg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ap coupling portion and having a fixing protrusion extended from the lower cap coupling portion and fixed to a wall surface of the perforation hole; And a second blade region having a neck portion that connects the region and the blade head and is bent when the first blade region is opened due to movement of the insertion unit,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bottleneck is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blade he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레이드 영역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은 내측으로 함몰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병목부의 폭은 상기 제1 블레이드 영역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앵커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lade area is recessed inwardly and the width of the bottleneck is less than a width of the first blade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몸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 중 상기 블레이드 몸체의 하부영역에서 형성되는 하부공간의 단면폭은 상기 블레이드 몸체의 상부영역에서 형성되는 상부공간의 단면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앵커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ross sectional width of a lower space formed in a lower region of the blade body is formed to be larger than a cross sectional width of an upper space formed in an upper region of the blade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유닛은 상기 강연선을 잡아주면서 고정하기 위한 그립부재와, 상기 강연선이 삽입되는 강연선 삽입부와 상기 그립부재가 삽입되는 그립부재 삽입부가 형성된 삽입유닛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부재 삽입부의 단면폭은 상기 강연선 삽입부의 단면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앵커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serting unit includes a grip member for holding and fixing the strand of the strand, an inserting unit main body having a strand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strand is inserted and a grip member inserting portion into which the grip member is inserted, Is greater than 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stranded wire insertion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유닛은 상기 삽입유닛 본체의 하부에 체결되는 삽입유닛 하부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유닛 본체의 하부영역의 직경은 상기 삽입유닛 본체의 상부영역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유닛 본체의 외측면은 적어도 일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앵커조립체.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sertion unit further includes an insertion unit lower cap which is fasten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unit body, wherein a diameter of a lower region of the insertion unit body is larger than a diameter of an upper region of the insertion unit body, Wherein the outer surface is formed at least partially inclined.
삭제delete 지반의 천공홀에 삽입되는 앵커헤드;
상기 천공홀과 대응되는 위치의 지면상에 설치되는 지압유닛; 그리고,
상기 앵커헤드와 상기 지압유닛을 연결하는 앵커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몸체는 일측은 상기 앵커헤드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지압유닛과 결합되는 강연선과, 상기 강연선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피복선과, 상기 피복선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슬라이더들을 갖는 슬라이더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원뿔대 형상의 슬라이더 몸체와, 상기 슬라이더 몸체에서 직경이 작은 끝단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된 슬라이더 삽입부와, 상기 슬라이더 몸체의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몸체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강연선의 인장시 어느 하나의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슬라이더 삽입부가 이웃하는 다른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슬라이더 몸체에서 직경이 큰 끝단부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복수 개의 슬라이더들 중 이웃하는 두 개의 슬라이더는 서로 중첩되고, 상기 천공홀에 채워지는 그라우트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앵커헤드는 상기 강연선과 결합되는 삽입유닛과, 하부영역은 복수 개로 분할되되 상부영역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강연선의 인장시 상기 삽입유닛에 의하여 상기 하부영역이 벌어지면서 상기 천공홀의 벽면에 고정되는 블레이드유닛과, 상기 블레이드유닛의 하부영역이 벌어지기 전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유닛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다가 상기 블레이드유닛의 하부영역이 벌어지는 경우에 파손되면서 상기 블레이드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하부캡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유닛은 상기 삽입유닛이 이동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블레이드 몸체와, 상기 블레이드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유닛이 상기 블레이드유닛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캡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몸체는 상기 스토퍼캡과 결합되는 블레이드 헤드와, 상기 블레이드 헤드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되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복수 개로 분할되어 있는 분할 블레이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분할 블레이드는 상기 하부캡과 결합되는 하부캡 결합부와, 상기 하부캡 결합부와 연장 형성되되 상기 천공홀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1 블레이드 영역과, 상기 제1 블레이드 영역과 상기 블레이드 헤드를 연결하되 상기 삽입유닛의 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제1 블레이드 영역이 벌어질 때 벤딩되는 병목부를 갖는 제2 블레이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병목부의 두께는 상기 블레이드 헤드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앵커조립체.
Anchor head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of the ground;
A pressure-sensitive unit installed on a surface of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erforation hole; And,
And an anchor body connecting the anchor head and the shi-pressure unit,
Wherein the anchor body has a plurality of slider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sheath, and a plurality of slider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sheath, wherein the anchor body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anchor hea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acupressure unit, Unit,
The slider includes a slider body having a truncated cone shape, a slider insertion part formed to be stepped at a small diameter end of the slider body, and a body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slider body,
When the strand of the strand is pulled, the slider insertion portion of one of the sliders is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an end portion of a larger diameter in the slider body of another neighboring slider, so that two adjacent sliders of the plurality of sliders overlap each other , And is fixed by a grout filled in the perforation hole,
Wherein the anchor head is fixed to a wall surface of the perforation hole while the lower region is divided by the inserting unit when the strand is pulled while the lower reg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and the upper region is integrally formed, And a lower cap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blade unit in a state before the lower area of the blade unit is opened and separated from the blade unit while being broken when the lower area of the blade unit is opened, ,
Wherein the blade unit includes a blade body forming an inner space through which the insertion unit is moved and a stopper cap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lade body to prevent the insertion unit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lade unit,
Wherein the blade body includes a blade head coupled to the stopper cap, and split blade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lade head, the split blade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first blade reg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ap coupling portion and having a fixing protrusion extended from the lower cap coupling portion and fixed to a wall surface of the perforation hole; And a second blade region having a neck portion that connects the region and the blade head and is bent when the first blade region is opened due to movement of the insertion unit,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bottleneck is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blade head.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형 앵커조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상기 지반에 상기 천공홀을 굴착하는 단계;
상기 천공홀에 상기 복합형 앵커조립체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복합형 앵커조립체에 구비된 그라우팅액 주입호스를 통하여 그라우팅액을 주입하여 상기 천공홀을 그라우팅하는 단계;
상기 강연선을 인장하여 상기 앵커헤드를 상기 천공홀에 고정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강연선의 상단부를 상기 지압유닛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형 앵커조립체의 시공방법.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anchor assembl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Drilling the perforation hole in the ground;
Inserting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into the perforation hole;
Grouting the perforation hole by injecting a grouting solution through a grouting solution injection hose provided in the composite anchor assembly;
Fixing the anchor head to the perforation hole by pulling the stranded wire; And,
And fixing the upper end of the stranded wire to the shrinking unit.
KR1020140159800A 2014-11-17 2014-11-17 Combination type anchor assembly of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5340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800A KR101534036B1 (en) 2014-11-17 2014-11-17 Combination type anchor assembly of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800A KR101534036B1 (en) 2014-11-17 2014-11-17 Combination type anchor assembly of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036B1 true KR101534036B1 (en) 2015-07-06

Family

ID=53789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9800A KR101534036B1 (en) 2014-11-17 2014-11-17 Combination type anchor assembly of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03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170B1 (en) * 2017-02-20 2017-12-05 곽근우 Combination type anchor assembly having friction tensile type and wedge pressure type anchora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20190006232A (en) * 2017-07-10 2019-01-18 최시덕 Retaining Wall Panel Structure using PC Strand and Ground Reinforcement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862B1 (en) * 1985-03-07 1987-10-17 신윤식 An earth anchor
KR20080067731A (en) * 2007-01-17 2008-07-22 박재만 Anchor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anchor
KR20120006151A (en) * 2010-07-12 2012-01-18 쌍용건설 주식회사 Permanent earth anch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862B1 (en) * 1985-03-07 1987-10-17 신윤식 An earth anchor
KR20080067731A (en) * 2007-01-17 2008-07-22 박재만 Anchor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anchor
KR20120006151A (en) * 2010-07-12 2012-01-18 쌍용건설 주식회사 Permanent earth anch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170B1 (en) * 2017-02-20 2017-12-05 곽근우 Combination type anchor assembly having friction tensile type and wedge pressure type anchora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20190006232A (en) * 2017-07-10 2019-01-18 최시덕 Retaining Wall Panel Structure using PC Strand and Ground Reinforcement Method
KR102111153B1 (en) * 2017-07-10 2020-05-15 동우건설(주) Retaining Wall Panel Structure using PC Str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972B1 (en) Retaining wall using multi reinforc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413593B1 (en) Composite pile with end bearing capacity, friction capacit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494236B1 (en) Soil nail-Earth anchor Hybrid Structure and Method for Slope Reinforcement
KR101534036B1 (en) Combination type anchor assembly of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528569B1 (en) Structure of Permanent Anchor
KR20080112559A (en) Earth-anchor apparatus and earth-anchor-construction process thereof
JP2008303659A (en) Ground biting anchor and anchoring method
KR101178043B1 (en) Construction method using cable bolt and cable bolt
KR20050017160A (en) Multi-blade high strength anchor, mhs anchor
KR101898338B1 (en) Anker assembly for anchoring weak foundation
KR100691890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having h-beam
KR20040110204A (en) Earth anchor including a duplex grouting pipe and the earth ancho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805170B1 (en) Combination type anchor assembly having friction tensile type and wedge pressure type anchora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JP2008223432A (en) Earthquake resisting construction method of structure, earthquake-resisting reinforcement construction method of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of structure, earthquake resisting structure of structure, tubular member, anchor and anchor installation method
KR100270603B1 (en) Earth amchor
KR101853185B1 (en) Pile grouting device for enhanced friction of skin
KR101683455B1 (en) A ground fixing member capable of removing a tensile material
KR101121119B1 (en)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of micro pile with pack
KR101991262B1 (en) intensively expandable anchor apparatus with expandable wings
KR101547320B1 (en) Structure of Permanent Anchor
KR100930541B1 (en) Slope reinforcement device and method
KR101517884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wall structure of underground using the semicircular sheet pile
KR101474530B1 (en) Extension pressure type anchor
KR101835492B1 (en) Grouting Reinforcement Apparatus
KR102535949B1 (en) Panel typ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composite anchor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