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482B1 - Information output guidance devic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nformation output guidance devic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482B1
KR101532482B1 KR1020130098415A KR20130098415A KR101532482B1 KR 101532482 B1 KR101532482 B1 KR 101532482B1 KR 1020130098415 A KR1020130098415 A KR 1020130098415A KR 20130098415 A KR20130098415 A KR 20130098415A KR 101532482 B1 KR101532482 B1 KR 101532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printed
film
desired cont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4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59701A (en
Inventor
김희정
Original Assignee
김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정 filed Critical 김희정
Priority to KR1020130098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482B1/en
Publication of KR20140059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7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4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책자, 브로마이드, 벽지나 편지 등의 일반 인쇄물의 인쇄면 영역에서도 출력되기를 희망하는 소리,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처리하여 주는 수단을 통해 인쇄물의 지면내용에 부합되는 소리,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추가로 출력함으로써, 인쇄물에 구비되는 한 면의 인쇄면에 필요로 하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추가로 구비하여 활용할 수 있는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쇄면에 그림, 문자, 숫자, 기호, 도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내용이 인쇄된 인쇄물(100)과;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인쇄물(100)의 인쇄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개별식별코드(210)를 갖는 필름(200)과; 상기 인쇄물(100)에 고정된 필름(200)에 접촉되면, 그 접촉된 필름(200)의 개별식별코드(210)를 인지하여 접촉된 상기 필름(200)의 식별정보인 접점필름 식별신호를 생성하는 스캐너(300)와; 정보입력부(410)와; 상기 스캐너(300)로부터 접점필름 식별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접점필름 식별신호가 생성된 영역인 인쇄물(100)의 인쇄면 접점영역에서 출력되기를 희망하는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의 저장위치를 나타내는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가 상기 정보입력부(410)를 통해 선택시, 사용자가 상기 스캐너(300)를 통해 상기 접점필름 식별신호가 생성된 영역인 상기 필름(200)이 부착된 인쇄물(100)의 인쇄면 접점영역을 선택하면 상기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에 위치된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접점필름 식별신호 및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를 포함하는 사용자 지정 인쇄접점 영역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450)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processing multimedia content composed of sounds, images, moving images, or a combination thereof, which is desired to be output even in a print surface area of a general printed matter such as a booklet, a bromide, A multimedia content including sound, image, moving image, or a combination thereof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of the printed matter is additionally output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so that various contents necessary for a printed surface of one surface provided in the printed material can be additionally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outputting guide device for guiding additional information to be printed on a printed matter having a printed matter, comprising: a printed matter (100) printed on its surface with contents of pictures, letters, numbers, symbols, figures or combinations thereof; A film (200) having an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 (210) fixed to the printing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through fixing means; The touch panel 200 recognizes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 210 of the contacted film 200 and generates a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which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acted film 200 A scanner 300; An information input unit 410; A contact point film identific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scanner 300 and indicates a storage position of a print surface contact area output desired content desired to be output from the print surface contact area of the printed material 100 in which the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s sel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410, a user prints the printed material 100 on which the film 200 is attached, through which the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scanner 300 When a face contact point region is selected,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user-specified print contact region including a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and an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s output so that the printed surface contact region output desired content located in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can be output. And a control unit 450 for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Description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Information output guidance device and method thereof}[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output guidance device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책자, 브로마이드, 벽지나 편지 등의 일반 인쇄물의 인쇄면 영역에서도 출력되기를 희망하는 소리,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처리하여 주는 수단을 통해 인쇄물의 지면내용에 부합되는 소리,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추가로 출력함으로써, 인쇄물에 구비되는 한 면의 인쇄면에 필요로 하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추가로 구비하여 활용할 수 있는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device for processing multimedia content composed of sounds, images, moving images, or a combination thereof, which is desired to be output even in a printed surface area of a general printed matter such as a booklet, a bromide, A multimedia content including sound, image, moving image, or a combination thereof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of the printed matter is additionally output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so that various contents necessary for a printed surface of one surface provided in the printed material can be additionally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outputting guide device for guiding additional information to be printed on a printed product.

일반적으로, 그림, 문자, 숫자, 기호, 도형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도서를 포함하는 책자, 브로마이드, 벽지, 매트나 편지 등을 아우르는 인쇄물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경험, 정보, 지식, 안부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매체이다.In general, printed matter including booklets, brochures, wallpapers, mats and letters containing books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pictures, letters, numbers, symbols, figures and the like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various experiences, information, knowledge, It is a medium to give.

특히, 인쇄물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의 습득 효율을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인쇄물에 인쇄된 내용에 대한 시청각적인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추세로 발전하고 있다.Particularly, as a part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acquiring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in a printed matter, it is evolving as a tendency to provide audiovisual information about contents printed on a printed matter.

이러한 발전의 대표적인 것으로, 인쇄물 중 전자도서가 있는데 그 주요 특징은 시각적인 학습 및 청각적인 학습이 조합된 컨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시각적인 학습콘텐츠인 그림이나 글자에 전자펜을 이용하여 접촉하면, 그 그림이나 글자에 해당하는 시각적인 학습콘텐츠에 대응되는 음성출력정보인 청각적인 학습콘텐츠가 출력됨으로써, 시청각적인 콘텐츠의 제공을 통해 흥미를 갖고 독서를 수행할 수 있게 안내한다.Typical examples of such development are electronic books among printed materials. The main feature is that the combination of visual learning and auditory learning is provided. When a user touches a picture or character, which is a visual learning content, with an electronic pen, The auditory learning contents which are audio out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isual learn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pictures or letters are output to guide the user to perform reading with interest through the provision of audiovisual contents.

도 1은 종래의 전자도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electronic book.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도서는 특수코드가 인쇄된 전자도서(10)와 그 전자도서(10)로부터 특수코드를 읽고 처리할 수 있는 도서 인식 장치(20)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a conventional electronic book comprises an electronic book 10 with a special code printed thereon and a book recognition device 20 capable of reading and processing a special code from the electronic book 10.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자도서(10)는 전 페이지에 특수코드(1)들이 인쇄되고, 그 특수코드가 인쇄된 페이지 상에 도서의 내용이 인쇄된다. In the electronic book 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pecial codes 1 are printed on all the pages, and the contents of the book are printed on the pages on which the special codes are printed.

이와 같은, 특수 코드는 그 페이지 상에서의 좌표정보를 갖는다. 상기 특수코드 인쇄 방식은 "새로운 인쇄방법 및 인쇄물(특허출원 제10-1990-0701890)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Such special code has coordinate information on the page. The special code printing method is described in detail in "New printing method and printed matter "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990-0701890),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또한 전자도서(10)에는 페이지를 인식하기 위해 페이지의 일 측면에 페이지 정보를 가지는 페이지 코드(2)가 인쇄된다.Also, in the electronic book 10, a page code 2 having page information is printed on one side of the page in order to recognize the page.

또한, 도서 인식 장치(20)에는 전자도서(10)의 전 페이지의 내용에 대한 음성데이터 또는 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지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전자도서(10) 상에 인쇄된 페이지 코드(2)를 읽고, 그 읽힌 페이지 코드(2)에 대응하는 페이지 데이터를 검색하며 이후, 페이지 코드(2)에 대한 페이지에서 임의 위치의 특수코드(1)가 읽혀지면, 페이지 코드(2)에 대한 페이지 데이터에서 그 특수코드(1)에 대한 좌표값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 또는 영상데이터를 추출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성 출력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 book recognition apparatus 20 stores page data including audio data or image data for the contents of all pages of the electronic book 10 and stores page data 2 printed on the electronic book 10, The p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page code 2 is retrieved and thereafter the special code 1 at an arbitrary position is read from the page for the page code 2, Extracts audio data or video data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value of the special code 1, and outputs audio data through a speaker.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자도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conventional electronic book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첫 번째로, 전자도서(10)의 각 페이지에는 특수코드(1)가 인쇄되어 있어야만 도서 인식 장치(20)가 이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전자도서(10)의 각 페이지마다 특수코드(1)를 인쇄해서 공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First, since the book recognition apparatus 20 can recognize the special code 1 on each page of the electronic book 10,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 special code (for example, 1) must be printed and supplied.

이 때문에, 특수코드(1)가 인쇄되지 않은 도서에서는 각 페이지마다 인쇄된 내용에 대한 추가의 시청각적인 정보를 함께 제공하지 못하는 폐단이 야기된다. As a result, in a book in which the special code (1) is not printed, it is impossible to provide additional audiovisual information on the contents printed on each page.

앞에서 언급한 첫 번째 문제점은 도서를 포함하는 책자, 브로마이드, 벽지, 매트나 편지 등을 아우르는 인쇄물의 전반에서 동일하게 야기되는 문제점이다. The first problem mentioned above is the same problem in the first half of printed matter including books, brochures, wallpapers, mats and letters containing books.

두 번째로, 종래의 전자도서는 도서 인식 장치(20)에 기저장된 시청각적 정보만 반복 출력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도서를 포함하는 책자, 브로마이드, 벽지, 매트나 편지 등을 아우르는 인쇄물의 전반에서 동일하게 야기되고 있다. Secondly, the conventional electronic book has a problem that only the audiovisual information pre-stored in the book recognition apparatus 20 is repeatedly output. This is because the book reader, the bromide, the wallpaper, the mattress, the letter, The same is caused.

이 때문에, 인쇄물에 인쇄된 내용에 대응되는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시청각 정보 또는 인터넷 상에서 제공되는 시청각 정보 등을 활용하여 제공하지 못함으로써, 학습 내지 흥미가 반감되는 폐단이 있다.
For this reason, variou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printed on the printed matter can not be provided by utilizing the audiovisual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user or the audiovisual information provided on the Internet, so that the learning or interest is halved.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책자, 브로마이드, 벽지나 편지 등의 일반 인쇄물의 인쇄면 영역에서도 출력되기를 희망하는 소리,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처리하여 주는 수단이 구비된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inting apparatus, a printing apparatus, a printing method, And a guide for outputting additional information to a printed matter provided with a means for processing the multimedia contents made up of a combination of them.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는, 인쇄면에 그림, 문자, 숫자, 기호, 도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내용이 인쇄된 인쇄물과;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인쇄물의 인쇄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개별식별코드를 갖는 필름과; 상기 인쇄물에 고정된 필름에 접촉되면, 그 접촉된 필름의 개별식별코드를 인지하여 접촉된 상기 필름의 식별정보인 접점필름 식별신호를 생성하는 스캐너와; 정보입력부와; 상기 스캐너로부터 접점필름 식별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접점필름 식별신호가 생성된 영역인 인쇄물의 인쇄면 접점영역에서 출력되기를 희망하는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의 저장위치를 나타내는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가 상기 정보입력부를 통해 선택시, 사용자가 상기 스캐너를 통해 상기 접점필름 식별신호가 생성된 영역인 상기 필름이 부착된 인쇄물의 인쇄면 접점영역을 선택하면 상기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에 위치된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접점필름 식별신호 및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를 포함하는 사용자 지정 인쇄접점 영역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outputting guide device for guiding the output of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printed ma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nted matter on which printed matter such as pictures, characters, numbers, symbols, figures, and; A film having an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 the film being fixed to the printing surface of the print through fixing means; A scanner for recognizing an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ntacted film when it is contacted with the film fixed on the printed matter and generating a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which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acted film; An information input unit; An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that indicates a storage position of the desired content to be printed on the printing surface contact area to which the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scanner and which is desired to be output from the printing surface contact area of the printed material, When the user selects the print surface contact area of the printed material to which the film is attached, which is the area in which the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scanner, when the user selects the print surface contact area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part,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user-specified printing contact area including a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and an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so that the content desired to be output can be output.

본 발명의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에는, 상기 제어부의 작동방식을 설정하는 모드로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상기 인쇄물의 인쇄면 중 상기 필름이 고정된 영역에서 출력되기를 희망하는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상기 사용자 지정 인쇄접점 영역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가 생성되는 절차를 안내하는 정보지정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지정모드 하에서 상기 사용자 지정 인쇄접점 영역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된다. The information output guide device for guiding the output of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printed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e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section and is a mode in which the film is fixed And an information designation mode for guiding a procedure for generating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user-specified printing contact area so that a content desired to be printed on a contact area output is generated, And is controlled to generate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printing contact area.

본 발명의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에는, 상기 제어부의 작동방식을 설정하는 모드로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상기 인쇄물의 인쇄면 중 상기 필름이 고정된 영역을 상기 스캐너를 통해 접촉하면, 사용자가 지정한 경로에 위치되는 상기 사용자 지정 인쇄접점 영역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지정 인쇄접점 영역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며, 정보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출력모드 하에서 상기 접점필름 식별신호가 입력되면, 그입력된 접점필름 식별신호를 상기 메모리부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사용자 지정 인쇄접점 영역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에 포함된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를 참조하여 해당 경로에 위치하는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가 상기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The information outputting guide device for guiding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printed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de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unit, And an information output mode for guiding the output of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of the user-specified printing contact areas located on a path designated by the user when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printing contact area, Further comprising an information output unit, wherein, when the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is input under the information output mode, the controller matches the input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with the memory unit to extract the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The desired output contents included in the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custom printing contact area. And controls the printed surface contact area output located on the path to be outputted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상기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는 인터넷주소(URL)이다.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s an Internet address (URL).

본 발명의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에는, 상기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의 저장위치이다. The information outputting guide device for guid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be output to the printed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emory unit for storing contents desired to be output to the printed surface contact area, Print side contact area output This is the storage position of the desired cont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책자, 브로마이드, 벽지나 편지 등의 일반 인쇄물의 인쇄면 영역에서도 출력되기를 희망하는 소리,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처리하여 주는 수단을 통해 인쇄물의 지면내용에 부합되는 소리,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추가로 출력함으로써, 인쇄물에 구비되는 한 면의 인쇄면에 필요로 하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추가로 구비하여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device for processing multimedia content composed of sounds, images, moving images, or a combination thereof, which is desired to be output even in a printed surface area of a general printed matter such as a booklet, a bromide, A multimedia content including sound, image, moving image, or a combination thereof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of the printed matter is additionally output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so that various contents necessary for a printed surface of one surface provided in the printed material can be additionally provided The effect is.

도 1은 종래의 도 1은 종래의 전자도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의 구성 중 추가정보 관리단말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의 구성 중 개별식별코드를 갖는 필름들이 시트지에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의 구성 중 개별식별코드가 다른 두 개의 필름이 인쇄물에 부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인쇄물의 인쇄면 중 사용자가 원하는 인쇄면 영역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도록 진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electronic book,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formation outputting guide device for outputting additional information to a printed ma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ddi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in the configuration of an information outputting guidance device that guides additional information to be output to the printed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at a sheet having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s is provided on a sheet of the information output guide device for guiding the output of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printed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at two films having different identification codes are attached to a printed matter, out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information outputting guide device for guiding the output of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printed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outputting multimedia content on a print surface area desired by a user among printed surfaces of a printed matter using an information output guide device that guides the printed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utput additional informa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an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의 구성 중 추가정보 관리단말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의 구성 중 개별식별코드를 갖는 필름들이 시트지에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의 구성 중 개별식별코드가 다른 두 개의 필름이 인쇄물에 부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인쇄물의 인쇄면 중 사용자가 원하는 인쇄면 영역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도록 진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formation outputting guide device for guiding the printed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utput additional informa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formation outputting guide device for guiding the printed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utput additional informa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at a sheet having an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 is provided on a sheet of the information output guide device for guiding the output of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printed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that two films having different identification codes are attached to the printed matter among the configurations of the information outputting guide device for guid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be output, and FIG. 6 is a view showing the information outputting guide device The multimedia content designated by the user is outputted from the print surface area desired by the user out of the print surface of the printed matter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eding to.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는 크게 인쇄물(100), 필름(200), 스캐너(300) 및 추가정보 관리단말(40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information output guide device for guiding the output of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printed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rinted product 100, a film 200, a scanner 300 and a supplementary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400.

먼저, 인쇄물(100)은 인쇄면에 그림, 문자, 숫자, 기호, 도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내용이 인쇄 또는 필기된 매체로서, 책자, 브로마이드, 벽지 및 편지 등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인쇄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First, the printed matter 100 is a printed or written medium in which contents such as pictures, letters, numbers, symbols, graphic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printed or written on a printed surface, and various printed media such as booklets, Can be used.

상기 필름(200)은 고정수단을 통해 인쇄물(100)의 인쇄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개별식별코드(210)가 구비된 부재이다. The film 200 is fixed to the printing surface of the printed material 100 through fixing means and is a member provided with an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 210.

여기서, 개별식별코드(210)는 특정한 패턴을 갖는 도트(dot)들이 필름(200)에 코팅된 것으로, 그 코팅된 특정한 패턴의 도트들에 의해 해당 필름(200)에게 식별수단이 부여된다. Here,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 210 is formed by coating dots having a specific pattern on the film 200, and identification means is given to the film 200 by dots of the coated specific pattern.

또한, 필름(200)의 고정수단은 필름(200)의 일면에 도포된 점착물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일예로 스티커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of the film 200 may use an adhesive material applied on one side of the film 200, for example, a sticker may be used.

도 4를 주로 참조하여, 시트지(201)에 개별식별코드(210,210a,210b,210c)가 각기 다른 필름(200)들이 스티커 타입으로 점착되어 있어, 손쉽게 필름(20)들을 떼어 사용할 수 있게 제공한다. 4, the films 200 having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s 210, 210a, 210b and 210c are adhered in a sticky manner on the sheet paper 201 so that the films 20 can be easily peeled off and used .

그리고 필름(200)들은 개별식별코드(210,210a,210b,210c)를 통해 개별적으로 식별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쇄물(100)의 인쇄면에 여러 개를 부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들이 출력될 수 있다.Since the films 200 can be individually identified through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s 210, 210a, 210b and 210c, it is possible to attach a plurality of films 200 to the printed surface of the printed product 100, Can be output.

상기 스캐너(300)는 선단에 광학센서가 구비되어, 인쇄물(100)에 고정된 필름(200)에 접촉되면, 그 접촉된 필름(200)의 개별식별코드(210)를 스캔하여 접촉된 필름(200)의 식별정보인 접점필름 식별신호를 생성하여 후술되는 추가정보 관리단말(400)로 전송하는 부재이다. The scanner 300 is provided with an optical sensor at its front end and scans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 210 of the contacted film 200 when it contacts the film 200 fixed to the printed product 100, 200, and transmits the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추가정보 관리단말(400)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인쇄물(100)의 인쇄면 중 사용자가 원하는 인쇄면 영역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소리,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도록 수행하는 부재로서, 전용 콘트롤러,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내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TV(smart TV),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디지털방송 수신기 등 정보의 입력 및 출력과 더불어 정보의 가공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400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multimedia content composed of a sound, an image, a moving image, or a combination thereof specified by a user on a printing surface area desired by the user among the printing surfaces of the printed material 100 held by the user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 computer, a mobile phone, a tablet PC, navigation, a smart phone, a smart TV,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such a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or a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as well as input and output of information and processing of information.

특히, 카메라가 구비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경우에는 해당 카메라가 스캐너(3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스캐너(300) 및 추가정보 관리단말(400)을 일체형으로 구비함으로써, 극대화된 작업편리성, 이동성, 휴대성 및 구동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Especially, in case of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equipped with a camera, since the corresponding camera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scanner 300, the scanner 300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400 are integrally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of operation, mobility, portability, and driving convenience.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추가정보 관리단말(400)의 세부구성은 정보입력부(410), 메모리부(420), 정보출력부(430), 정보수신부(440) 및 제어부(450)로 이루어진다.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400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includes an information input unit 410, a memory unit 420, an information output unit 430,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440, and a control unit 450 .

상기 정보입력부(4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학습본체(300)를 제어하거나 동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부재로서, 키입력부재, 터치입력부재, 제스처 입력부재 또는 음성 입력부재를 포함하는 다양한 입력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input unit 410 includes a key input member, a touch input member, a gesture input member, or a voice input member for generating a user input signal for controlling or operating the learning main body 300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Various input members can be used.

여기서, 정보입력부(410)를 통해 지정되는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의 경우 인터넷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소리,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인 경우 인터넷주소(URL)(ex; http://study.jr.naver.com/dongyo/view.nhn?dongyoNo=811&categoryId=2)가 적용되거나 또는, 후술되는 메모리부(420)에 저장된 소리,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인 경우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는 메모리부(420)에 저장된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의 저장위치(ex; D:\동요\국악동요\숨박꼭질.mp3)가 적용될 수 있다. Here, in the case of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designated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410, in the case of multimedia contents composed of sounds, images, moving pictures, or a combination thereof provided on the Internet, an Internet address (URL) /study.jr.naver.com/dongyo/view.nhn?dongyoNo=811&categoryId=2), or multimedia contents composed of sounds, images, moving pictures, or a combination thereof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may be a storage location (ex: D: \ shake \ Korean music shake \ hide-and-seek.mp3) of the content desired to be printed on the printed surface contact area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

상기 정보입력부(410)는 접점필름 식별신호가 생성된 영역인 인쇄물(100)의 인쇄면 접점영역에서 출력되기를 희망하는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의 저장위치를 나타내는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를 지정하는 것과 같이 인쇄물(100)의 인쇄면 중 사용자가 원하는 인쇄면 영역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음성,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정보의 입력 및 요청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입력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input unit 410 designates an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that indicates a storage position of the print-side contact area output desired content that is desired to be output from the print surface contact area of the printed material 100 in which the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As a member for performing input and request of information so that multimedia contents composed of a voice, an image, a moving picture, or a combination thereof specified by the user in the printing face area desired by the user among the printing face of the printed material 100 can be output, , A mouse, a keypad, or a touch screen may be used.

상기 메모리부(420)는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소리,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더불어 추가정보 관리단말(400)의 동작에 필요한 모드인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인쇄물(100)의 인쇄면 중 상기 필름(200)이 고정된 영역에서 출력되기를 희망하는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사용자 지정 인쇄접점 영역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가 생성되는 절차를 안내하는 정보지정모드 및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인쇄물(100)의 인쇄면 중 필름(200)이 고정된 영역을 스캐너(300)를 통해 접촉하면, 사용자가 지정한 경로에 위치되는 사용자 지정 인쇄접점 영역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모드와 같은 데이터 혹은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매체이다. The memory unit 420 stores multimedia contents including a sound, an image, a moving picture, or a combination thereof, which are held by a user, and a multimedia content, which is a mod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400, An information designation mode for guid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customized printing contact area so that the printed surface contact area output desired content desired to be output from the fixed area of the film 200 on the printed surface is output, When the area of the printed surface of the printed product 100 held by the user is contacted via the scanner 300, the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user-specified printing contact area located on the path designated by the user is output Such as an information output mode for guiding the user to the computer.

이처럼, 정보지정모드, 정보출력모드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정보선택모드를 구비함으로써,선택된 모드에 따라 제어부(450)가 선별 제어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화 되어진다.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the information selection mode in which the information designation mode, the information output mode, and the like can be selected, the controller 450 is programmed to be selectiv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메모리부(420)는 램(RAM, Read Access Memory), 롬(ROM, Read Only Memory), 하드디스크(HDD, Hard Disk Drive), 플래시 메모리, CD-ROM, DVD 및 USB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The memory unit 420 may be implemented as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ead only memory (ROM), a hard disk drive (HDD), a flash memory, a CD- USB memory, or a combination thereof.

그리고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는 음성,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이다. And the content desired to be output on the printed surface contact area is a multimedia content composed of voice, image, moving picture,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정보출력부(430)는 사용자가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인쇄물(100)의 인쇄면 중 사용자가 원하는 인쇄면 영역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소리,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출력되는 부재로서, 멀티미디어 정보가 출력될 수 있게 스피커(431) 및 디스플레이부(4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formation output unit 430 is a member for outputting a multimedia content composed of a sound, an image, a moving image, or a combination thereof specified by a user in a printing surface area desired by the user among the printing surfaces of the printed material 100 held by the user And a speaker 431 and a display unit 432 for outputting multimedia information.

상기 정보수신부(440)는 스캐너(3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스캐너(300)로부터 전송되는 접점필름 식별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는 통신인터페이스 부재로서, WLAN(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블루투스(Bluetooth), Zigbe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등) 또는 근거리 유선통신(USB 등)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440 is a communication interface member connected to the scanner 300 by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o receive a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canner 300 by wire or wireless.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440 may be a WLAN (Wireless LAN)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etc.) 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Zigbee, RFID ,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 (Ultra Wideband), etc.) or near-line communication (USB, etc.).

상기 제어부(450)는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인쇄물(100)의 인쇄면 중 사용자가 원하는 인쇄면 영역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소리,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부재이다. The control unit 450 controls the entirety of the printed surface of the printed material 100 held by the user so that a multimedia content composed of a sound, an image, a moving image, .

특히, 정보지정모드 하에서 제어부(450)는 스캐너(300)로부터 접점필름 식별신호가 입력되고, 접점필름 식별신호가 생성된 영역인 인쇄물(100)의 인쇄면 접점영역에서 출력되기를 희망하는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의 저장위치를 나타내는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가 정보입력부(410)를 통해 선택되면, 사용자가 스캐너(300)를 통해 접점필름 식별신호가 생성된 영역인 상기 필름(200)이 부착된 인쇄물(100)의 인쇄면 접점영역을 선택하면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에 위치된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접점필름 식별신호 및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를 포함하는 사용자 지정 인쇄접점 영역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Particularly, under the information designation mode, the control unit 450 receives the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scanner 300, and outputs the print film contact signal to the print face contact, which is desired to be output from the contact face contact area of the printed material 100, When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ndicating the storage location of the content desired to be output is sel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410, When a printed surface contact area of the printed product 100 is selected, a user-specified print contact area including a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and an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s printed so that the printed surface contact area output desired content located in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can be output. And controls so that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is generated.

또한, 정보출력모드하에서, 제어부(450)는 스캐너(300)로부터 접점필름 식별신호가 입력되면, 그입력된 접점필름 식별신호를 상기 메모리부(420)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사용자 지정 인쇄접점 영역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에 포함된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를 참조하여 해당 경로에 위치하는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가 정보출력부(4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When the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scanner 300, the control unit 450 outputs the input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memory unit 420. In the information output mode, And controls the output unit 430 to output the content desired to be printed on the printed surface contact area, which is positioned in the path, with reference to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ncluded in the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이때, 제어부(450)는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가 인터넷주소(URL)이면, 인터넷 웹브라우저를 구동제어한 상태에서 인터넷주소창에 해당 인터넷주소를 입력하여 스피커(431) 및 디스플레이부(432)로 이루어진 정보출력부(4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정한 인쇄물(100)의 인쇄면 영역에서 출력되기를 희망하는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제공한다. At this time, if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s an Internet address (URL), the control unit 450 inputs the corresponding Internet address into the Internet address window while driving the Internet web browser and controls the speaker 431 and the display unit 432 Information output unit 430 so as to output the content desired to be printed on the printing surface contact area desired to be output from the printing surface area of the printed product 100 specified by the user.

또한, 제어부(450)는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가 메모리부(420)에 저장된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의 저장위치이면, 해당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를 메모리부(420)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해당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가 스피커(431) 및 디스플레이부(432)로 이루어진 정보출력부(4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If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s a storage position of the print surface contact area output desired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the control unit 450 determines whether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matches the corresponding The printed surface contact area output is controlled to be outputted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430 including the speaker 431 and the display unit 432. [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인쇄물의 인쇄면 중 사용자가 원하는 인쇄면 영역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도록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description will now be made of a process in which the multimedia content is output on a printing surface area desired by the user among the printing surfaces of the printed matter by using the information output guide device to guide the output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printed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인쇄물(100)의 인쇄면에 개별식별코드(210)를 갖는 필름(200)을 부착(S100)한다. First, the user attaches the film 200 having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 210 to the printed surface of the printed material 100 he owns (S100).

이후, 사용자는 스캐너(300)를 이용하여 인쇄물(100)에 부착된 필름(200)에 접촉하면, 스캐너(300)는 그 접촉된 필름(200)의 개별식별코드(210)를 스캔하여 접촉된 필름(200)의 식별정보인 접점필름 식별신호를 생성하여 추가정보 관리단말(400)로 전송(S110)한다. Thereafter, when the user touches the film 200 attached to the printed matter 100 by using the scanner 300, the scanner 300 scans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 210 of the contacted film 200, Generates a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which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lm 200, and transmits it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400 (S110).

이때, 사용자는 추가정보 관리단말(400)의 작동방식을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의 지정을 요청하는 정보지정모드 또는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의 출력을 요청하는 정보출력모드인지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설정하여야 하며, 제어부(450)는 어떤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확인(S120)해야 한다. At this time, the user selects either the information designation mode for requesting the designation of the content desired to be printed side contact area output or the information output mode for requesting the output of the content desired for printing side contact area output And the control unit 450 determines which mode is set (S120).

추가정보 관리단말(400)의 제어부(450)는 작동방식이 정보지정모드로 설정된 경우 스캐너(300)로부터 전송된 접점필름 식별신호를 메모리부(420)에 임시저장한 상태에서 접점필름 식별신호가 생성된 영역인 인쇄물(100)의 인쇄면 접점영역에서 출력되기를 희망하는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의 저장위치를 나타내는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가 전송될 때까지 대기(S130)한다. The control unit 450 of the management terminal 400 temporarily stores the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canner 300 in the memory unit 420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information designation mode, (S130) until an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ndicating a storage location of the desired content to be printed out on the printed surface contact area desired to be output from the printed surface contact area of the printed material 100 as the generated area is transmitted (S130).

이후, 사용자는 정보입력부(410)를 조작하여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를 선택하여 추가정보 관리단말(400)의 제어부(450)로 전송(S140)한다.Then, the user operates the information input unit 410 to select an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450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400 (S140).

추가정보 관리단말(400)의 제어부(450)는 전송된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와 접점필름 식별신호를 취합하여 사용자가 스캐너(300)를 통해 접점필름 식별신호가 생성된 영역인 필름(200)이 부착된 인쇄물(100)의 인쇄면 접점영역을 선택시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에 위치된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안내하는 사용자 지정 인쇄접점 영역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메모리부(420)에 저장(S150)한다. The control unit 450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400 combines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and the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so that the film 200 that is the area where the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user through the scanner 300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user-specified printing contact area to guide the output of the printed area contact area output desired content located in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when the printed surface contact area of the attached printed product 100 is selected, (420) (S150).

그리고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인쇄물(100)을 열람 중 자신이 지정한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의 출력을 희망할 경우 추가정보 관리단말(400)의 작동방식을 정보출력모드로 설정한다. The user sets the operation mode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400 to the information output mode when he / she desires to output the printed matter contact area output desired content specified by the user himself / herself while viewing the printed material 100 held by the user.

이후, 추가정보 관리단말(400)의 제어부(450)는 작동방식이 어떤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확인(S120)하여 정보지정모드로 설정된 경우 스캐너(300)로부터 전송된 접점필름 식별신호를 메모리부(420)와 매칭하여 사용자 지정 인쇄접점 영역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를 추출(S160)한다. The control unit 450 of the supplementary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400 determines which mode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in operation S120 and sets the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canner 300 to the memory unit 420 And extracts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user-specified printing contact area (S160).

이후, 제어부(450)는 추출된 사용자 지정 인쇄접점 영역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에 포함된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를 참조하여 해당 경로에 위치하는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를 정보출력부(4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S170)한다. Then, the control unit 450 refers to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ncluded in the extracted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user-specified printing contact area, and outputs the printed surface contact area output desired content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path to the information output unit 430 (S170).

이때, 제어부(450)는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가 인터넷주소(URL)이면, 인터넷 웹브라우저를 구동제어한 상태에서 인터넷주소창에 해당 인터넷주소를 입력하여 정보출력부(4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또는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가 메모리부(420)에 저장된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의 저장위치이면, 해당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를 메모리부(420)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해당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가 정보출력부(4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정한 인쇄물(100)의 인쇄면 영역에서 출력되기를 희망하는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제공한다.
At this time, if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s an Internet address (URL), the control unit 450 controls the Internet web browser to be output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430 by inputting the corresponding Internet address into the Internet address window , Or if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s a storage position of the print surface contact area output desired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then the corresponding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s matched with the memory unit 420 to output the corresponding print surface contact area output The desired content is outputted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430 so that the content desired to be printed on the printed surface contact area desired to be output from the printed surface area of the printed product 100 specified by the user can be output.

100 : 인쇄물 200 : 필름
210,210a,210b,210c : 개별식별코드 300 : 스캐너
400 : 추가정보 관리단말 410 : 정보입력부
420 : 메모리부 430 : 정보출력부
440 : 정보수신부 450 : 제어부
100: print 200: film
210, 210a, 210b, 210c: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 300: Scanner
400: addi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410: information input section
420: memory unit 430: information output unit
440: Information receiving unit 450:

Claims (11)

인쇄면에 그림, 문자, 숫자, 기호, 도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내용이 인쇄된 인쇄물(100)과;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인쇄물(100)의 인쇄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개별식별코드(210)를 갖는 필름(200)과;
상기 인쇄물(100)에 고정된 필름(200)에 접촉되면, 그 접촉된 필름(200)의 개별식별코드(210)를 인지하여 접촉된 상기 필름(200)의 식별정보인 접점필름 식별신호를 생성하는 스캐너(300)와;
정보입력부(410)와;
상기 스캐너(300)로부터 접점필름 식별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접점필름 식별신호가 생성된 영역인 인쇄물(100)의 인쇄면 접점영역에서 출력되기를 희망하는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의 저장위치를 나타내는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가 상기 정보입력부(410)를 통해 선택시, 사용자가 상기 스캐너(300)를 통해 상기 접점필름 식별신호가 생성된 영역인 상기 필름(200)이 부착된 인쇄물(100)의 인쇄면 접점영역을 선택하면 상기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에 위치된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접점필름 식별신호 및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를 포함하는 사용자 지정 인쇄접점 영역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45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450)의 작동방식을 설정하는 모드로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상기 인쇄물(100)의 인쇄면 중 상기 필름(200)이 고정된 영역에서 출력되기를 희망하는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상기 사용자 지정 인쇄접점 영역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가 생성되는 절차를 안내하는 정보지정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정보지정모드 하에서 상기 사용자 지정 인쇄접점 영역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
A printed matter (100) on which the contents composed of figures, letters, numbers, symbols, figures or a combination thereof are printed on the printing surface;
A film (200) having an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 (210) fixed to the printing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through fixing means;
The touch panel 200 recognizes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 210 of the contacted film 200 and generates a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which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acted film 200 A scanner 300;
An information input unit 410;
A contact point film identific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scanner 300 and indicates a storage position of a print surface contact area output desired content which is desired to be output from the print surface contact area of the printed material 100 in which the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s sel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410, a user prints the printed material 100 on which the film 200 is attached, through which the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scanner 300 When a face contact point region is selected,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user-specified print contact region including a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and an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s output so that the printed surface contact region output desired content located in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can be output. And a control unit 450,
A mode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unit 450 is a mode in which a print surface contact area output desired content desired to be output from a region where the film 200 is fixed among the print surface of the printed material 100 held by the user And an information designation mode for guid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of the customized printing contact areas so as to be output,
Wherein the control unit (450) is controlled to generate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user-specified printing contact area under the information designation mo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50)의 작동방식을 설정하는 모드로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상기 인쇄물(100)의 인쇄면 중 상기 필름(200)이 고정된 영역을 상기 스캐너(300)를 통해 접촉하면, 사용자가 지정한 경로에 위치되는 상기 사용자 지정 인쇄접점 영역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지정 인쇄접점 영역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가 저장되는 메모리부(420);를 더 포함하며,
정보출력부(4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정보출력모드 하에서 상기 접점필름 식별신호가 입력되면, 그입력된 접점필름 식별신호를 상기 메모리부(420)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사용자 지정 인쇄접점 영역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에 포함된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를 참조하여 해당 경로에 위치하는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가 상기 정보출력부(4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user touches the area of the printed surface of the printed material 100 on which the film 200 is fixed through the scanner 300 as a mode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ler 450, And an information output mode for guiding the output of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of the user-specified printing contact areas located on a designated path,
And a memory unit (420) for storing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of the user-specified printing contact areas,
And an information output unit (430)
When the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is input in the information output mode, the controller 450 matches the input contact film identification signal with the memory unit 420 and outputs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user- And controls to output,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430), the content desired to be printed on the contact area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path with reference to the included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Outpu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는 인터넷주소(UR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s an Internet address (UR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가 저장되는 메모리부(4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는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된 상기 인쇄면 접점영역 출력희망 콘텐츠의 저장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emory unit (420) for storing contents desired to be output to the printed surface contact area,
Wherein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s a storage position of content desired to be printed on the print surface contact area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200)의 고정수단은 상기 필름(200)의 일면에 도포된 점착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에 추가정보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용 안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means of the film (200) is an adhesive material applied to one side of the film (200), so that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outputted to the printed mat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98415A 2013-08-20 2013-08-20 Information output guidance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5324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415A KR101532482B1 (en) 2013-08-20 2013-08-20 Information output guidance devic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415A KR101532482B1 (en) 2013-08-20 2013-08-20 Information output guidance devic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701A KR20140059701A (en) 2014-05-16
KR101532482B1 true KR101532482B1 (en) 2015-06-29

Family

ID=5088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415A KR101532482B1 (en) 2013-08-20 2013-08-20 Information output guidance devic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48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672A (en) * 2015-03-17 2016-09-2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printed matter with regularly printed micro-co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48423B1 (en) * 2018-04-16 2019-11-25 이동준 System for providing study reading boo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819A (en) * 2002-09-26 2004-06-05 요시다 켄지 Information reproduction method, information inputting and outputting method, information reproduction apparatus, portable information inputting and output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toy using dot pattern
KR20050004496A (en) * 2003-07-02 2005-01-12 허진수 Device for embodiment multimedia of a a disjoined printing hand
KR20060116985A (en) * 2005-05-12 2006-11-16 유니챌(주) Multimedia replay system by printed sorter
KR20060124492A (en) * 2005-05-31 200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Direct printing system and method in image form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819A (en) * 2002-09-26 2004-06-05 요시다 켄지 Information reproduction method, information inputting and outputting method, information reproduction apparatus, portable information inputting and output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toy using dot pattern
KR20050004496A (en) * 2003-07-02 2005-01-12 허진수 Device for embodiment multimedia of a a disjoined printing hand
KR20060116985A (en) * 2005-05-12 2006-11-16 유니챌(주) Multimedia replay system by printed sorter
KR20060124492A (en) * 2005-05-31 200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Direct printing system and method in image form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701A (en) 201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4837B2 (en) Electronic book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US9058067B2 (en) Digital bookclip
AU2008260115B2 (en) Multi-modal smartpen computing system
US8265382B2 (en) Electronic annotation of documents with preexisting content
US9349302B2 (en) Voice output device, information input device, file selection device, telephone set, an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of the same
JP6402109B2 (en) Book
US201200988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urning pages in e-book reader
US20160124702A1 (en) Audio Bookmarking
JP2011516924A (en) Multi-mode learning system
US9251714B2 (en) Method and device for learning in electronic book reader
JP2014515512A (en) Content selection in pen-based computer systems
WO2009124200A2 (en) Ink tags in a smart pen computing system
KR101971161B1 (en) Decoupled applications for printed materials
KR100783504B1 (en) Electronic books using transparency paper and books recognition method
KR101532482B1 (en) Information output guidance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80017548A (en) Electronic pen and user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pen
KR20150024262A (en) User terminal for drawing up handwriting contents and method therefor
KR101910036B1 (en) Large digital learning devices
KR101754920B1 (en) Electronic memo note for applying flexible display
US2017022031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of electronic apparatus
KR20180017558A (en) The Electronic Pen Supplying Different Voice
KR20180017547A (en) Electronic p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karaoke machine by using the electric pen
KR20180004623A (en) Adhesive memo paper for voice recording using electronic pen
KR20160051030A (en) Infomation confirming system for the between paper memo and digital infomation
KR20150103900A (en) Self directed learn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information using the sen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5